KR102385880B1 - 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Google Patents

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880B1
KR102385880B1 KR1020220009026A KR20220009026A KR102385880B1 KR 102385880 B1 KR102385880 B1 KR 102385880B1 KR 1020220009026 A KR1020220009026 A KR 1020220009026A KR 20220009026 A KR20220009026 A KR 20220009026A KR 102385880 B1 KR102385880 B1 KR 10238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le
distribution
cable failure
solenoi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세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세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detecting a fault line of a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based fault line detec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a distributing cable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t the same time, identification of the detected fault line of the distributing cable can be automatically displayed by visual confirmation, and thus maintenance of the fault line can be facilitated. The system is to detect a distributing cable fault for each unit monitoring line of the distributing cable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he system includes a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a database unit, a cable fault detection unit, a communication relay unit, and a cable fault display unit. The cable fault display unit includes a fault display lamp, a transparent cover, a QR code sticker, and a speaker device.

Description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에 대해 인공지능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이 수행되는 동시에 검출된 배전케이블의 고장구간 식별이 시각적인 확인 방식을 통해 자동 표시될 수 있어, 해당 고장구간에 대한 작업자의 유지 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fault section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performed for distribution cables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in the field of distribution technology, and at the same time, the identification of the fault sections of the detected distribution cables can be automatically displayed through a visual confirmation method. Therefore, it relates to a distribution cable fault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at enables the maintenance work of the operator for the corresponding fault section to proceed more easily.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는 지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주 및 이러한 전주에 설치되는 완철과 애자를 통해 배전케이블을 가설하는 가공배전선로, 그리고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매설관로에 배전케이블을 삽입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지중배전선로로 구분된다.In general, the distribution line is an overhead distribution line in which distribution cables are installed through electric pol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ground, steel and insulators installed on these electric poles, and distribution cables are inserted into underground pipelines buried underground. It is divided into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to be buried.

지중배전선로는 도시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동시에 지상의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Becaus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do not impair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usability of space on the ground, their use is continuously increasing.

이러한 지중배전선로는 통상 지중관로를 형성하는 전선관들을 매설 후 매설된 전선관들을 따라 배전케이블을 인입 방식으로 배선하여 해당 배전케이블이 보호되는 구조로 설치된다.Thes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are usually install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ribution cables are protected by burying the conduits forming the underground conduits and then wiring the distribution cables along the buried conduits in an incoming manner.

그러나 지중배전선로는 고장 발생 시 그 확인 및 고장구간 내지 고장 지점을 찾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fault and find the fault section or point of failure.

한국 등록특허 제10-2186779호(2020.12.04.공고), “지중배전선로의 실시간 감시 시스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86779 (2020.12.04. Announcement),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한국 등록특허 제10-2088740호(2020.03.13.공고), “인공 지능 기반 정정값 자동 계산 보호 계전 장치”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88740 (2020.03.13.Announcement),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utomatic calculation of correction value protection relay” 한국 등록특허 제10-2241963호(2021.04.16.공고), “인공지능 기능이 탑재된 배전반 시스템”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41963 (April 16, 2021. Announcement), “A switchboard system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중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에 대해 인공지능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이 수행될 수 있고, 검출된 배전케이블의 고장구간 식별이 시각적인 확인 방식을 통해 자동 표시될 수 있어, 해당 고장구간에 대한 작업자의 유지 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ult section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performed for distribution cables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and fault section identification of the detected distribution cables is automatically displayed through a visual confirmation method. Therefore, we provide a distribution cable fault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at allows operators to more easily perform maintenance on the fault s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중배전선로 중 일부 배전케이블 구간에 고장이 발생된 상황에서 이의 자동 통보 기능에 이상이 발생 시, 해당 배전케이블 구간을 지나는 일반 사람의 도움을 통해 해당 고장 사실이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에 전해질 수 있어, 지중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발생 시 그에 대한 확인 및 조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some distribution cable sections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it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the failure is notified from a remote location through the help of a general person passing the distribution cable section. We provide a distribution cable fault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so that when a fault sec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occurs, confirmation and action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은, 지중배전선로의 미리 정해진 길이의 배전케이블을 단위 감시 구간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별 배전케이블의 고장을 검출하는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으로서, 상기 단위 감시 구간의 배전케이블에 대한 이상 감지용의 데이터 획득을 위해 상기 단위 감시 구간별 설치되는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를 통한 배전케이블 이상 감지용의 데이터들이 해당 배전케이블의 배전 전압 및 식별정보와 매핑되는 방식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별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의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의 딥 러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학습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학습모듈의 딥 러닝 결과 및 상기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배전케이블 이상 감지용 데이터들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별 배전케이블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케이블 고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tribution cable of a predetermined length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as a unit monitoring section for detecting the failure of the distribution cable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As a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a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installed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to acquire data for detecting abnormality on the distribution cable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 and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a distribution cable through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section A database unit that is stored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in such a way that the data of the distribution cable are mapped with the distribution voltag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tribution cable,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ule that performs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the data of the database unit It include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eep learning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ule and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the distribution cable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a cabl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distribution cable is faulty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It may include a failure detection unit.

또한, 상기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는, 상기 단위 감시 구간들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며 좌우 양측에는 전선관이 연결되는 관통홀을 각각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단위 감시 구간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들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시 작동하는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하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와, 상기 전선관을 따라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일단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작동로드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경사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딩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전선관 내 배전케이블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와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및 센싱부의 작동주기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작동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와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및 센싱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부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전선관 내 배전케이블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에 전송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 the housing having a through hole to which a conduit is conn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inside the housing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 respectively. A first solenoid actuator and a second solenoid actuator each installed, simultaneously operating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generating vertical power in opposite directions, are installed along the conduit,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first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working rod of the solenoid actuator,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working rod of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so that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and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A guide rail disposed inclined as a reference, a sliding block coupled to the guide rail in a form of sliding downward by gravity along the inclined guide rail, and installed on the sliding block, together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sliding block A sensing unit that acquires data for detecting abnormalities on the distribution cable in the conduit while moving,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operation period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and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and the sensing unit is set in advance to operat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and the sensing unit according to the cycle, and transmits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to the distribution cable in the conduit transmitted through the sensing unit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in real time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은, 상기 제어유닛의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중계 및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중계부와, 상기 통신 중계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의 상기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케이블 고장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중계부 및 케이블 고장 표시부는 상기 단위 감시 구간별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ys data transmission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of the control unit and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repeater to receive; and a cable failure display unit oper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repeater, where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and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are installed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it may be

또한, 상기 통신 중계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측의 지면을 연결하도록 지중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보호파이프와, 상기 보호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파이프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동시에 지면에 노출되며, 수직 방향의 통행홀이 중앙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통행홀에는 고무패킹이 결합되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파이프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고무패킹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에 삽입되는 원기둥 블록을 갖는 지지포스트와, 상기 원기둥 블록의 상부에 커버플레이트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센싱부의 상기 전선관 내 배전케이블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에 무선 전송하고,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 고장 표시부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a protection pipe that is vertically buried in the ground to connect the ground above the housing,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on pipe to block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pipe from the outside. Exposed to the ground, a vertical passage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rotective cover to which a rubber packing is coupled to the passage hole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protective pipe, and the upper end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packing A support post having a cylindrical block that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and inserted into the rubber packing, and is installed in a state prot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ver plat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lock, and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n the distribution cable and wirelessly transmits it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케이블 고장 표시부는 상기 보호커버의 상면에 형성되는 수납홈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의 상기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적색으로 점등되는 고장 표시램프와, 상기 수납홈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상기 보호커버의 상면에 결합되는 투명커버와, 상기 투명커버의 내면에 부착되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리딩 시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유지 보수 요청신호가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에 전송되도록 하는 QR코드 스티커와, 상기 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센싱부의 상기 전선관 내 배전케이블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가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에 전송된 다음, 상기 제어유닛에 사전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로부터 상기 케이블 고장 표시부에 대한 상기 작동제어신호가 상기 제어유닛에 수신되지 않는 데 따른 상기 제어유닛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QR코드 스티커에 대한 리딩을 요청하는 음성신호를 외부 송출하며, 음성 송출 부분을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투명커버에 결합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and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is installed in a receiv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cabl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fault indicator lamp lit in 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failure detection unit, a transparent cover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to block the receiving groove from the outside, and a smart mobile devic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ver When reading through a QR code sticker that transmits a maintenance request signal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to a remot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and through the control unit, data for detecting abnormalities in the distribution cable in the conduit of the sens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cable. After being transmitted to the failure detection unit, the control unit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which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the cable failure indicating unit is not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within a preset time period. It may include a speaker device that transmits a voice signal requesting reading for the QR code sticker to the outside, and is coupled to the transparent cover while exposing the voice transmission part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지중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에 대해 인공지능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이 수행될 수 있고, 검출된 배전케이블의 고장구간 식별이 시각적인 확인 방식을 통해 자동 표시될 수 있어, 해당 고장구간에 대한 작업자의 유지 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ault section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performed for distribution cables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and fault section identification of the detected distribution cables is automatic through a visual confirmation method. can be displayed,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the operator for the corresponding fault sec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또한 지중배전선로 중 일부 배전케이블 구간에 고장이 발생된 상황에서 이의 자동 통보 기능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해당 배전케이블 구간을 지나는 일반 사람의 도움을 통해 해당 고장 사실이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에 전해질 수 있어, 지중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발생 시 그에 대한 확인 및 조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some distribution cable sections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the failure can be communicated to the remot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with the help of ordinary people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cable section.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aulty sec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it is possible to check and take measures more st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을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and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n by way of example of the embodiment.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describ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n the whole,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 wealth", "… The term “module”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A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을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ower distribu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은 지중배전선로(10)의 미리 정해진 길이의 배전케이블(11)을 단위 감시 구간(W)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배전케이블(11)의 고장을 검출하는 시스템이다.As shown, the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distribution cable 11 of a predetermined length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10 as a unit monitoring section (W) This is a system for detecting a failure of the distribution cable 11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W).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은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 데이터베이스부(200) 및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은 통신 중계부(400) 및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 a database unit 200 , and a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and a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는 상기 단위 감시 구간(W)의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의 데이터 획득을 위해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설치된다.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is installed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W) in order to acquir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for the distribution cable 11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 (W).

그리고 이러한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는 하우징(110),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 가이드레일(140), 슬라이딩 블록(150), 센싱부(160) 및 제어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first solenoid actuator 120, a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a guide rail 140, a sliding block 150, a sensing unit 16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70 .

하우징(110)은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들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며, 이러한 하우징(110)의 좌우 양측에는 전선관(12)이 연결되는 관통홀(111)이 각각 형성된다.The housing 110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s W, and through-holes 111 to which the conduit 12 is connected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110, respectively.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는 상기 단위 감시 구간(W)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하우징(110)들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상기 단위 감시 구간(W) 일단의 하우징(110)에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가 설치되고, 상기 단위 감시 구간(W) 타단의 하우징(110)에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가 설치된다.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and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s 110 respectiv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 W, that is, the unit monitoring section W. A first solenoid actuator 120 is installed in one end of the housing 110 , and a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t the other end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 W .

그리고 이러한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시 작동하는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하 동력을 발생시킨다.In addition, 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and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simultaneously operate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 vertical power in opposite directions.

가이드레일(140)은 전선관(12)을 따라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레일(140)은 길이 방향의 일단이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의 작동로드(12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의 작동로드(13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40)은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The guide rail 140 is installed along the conduit 12, and one end of the guide rail 1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ip of the operation rod 121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rod 131 . Accordingly, the guide rail 14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and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

슬라이딩 블록(150)은 경사진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가이드레일(140)에 결합된다.The sliding block 150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140 in the form of sliding downward by gravity along the inclined guide rail 140 .

센싱부(160)은 슬라이딩 블록(150)에 설치되며, 이러한 센싱부(160)는 슬라이딩 블록(150)의 슬라이딩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전선관(12) 내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획득한다. 그리고 센싱부에는 온도센서, 열화상 카메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60 is installed in the sliding block 150, and the sensing unit 160 moves together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sliding block 150, and data for detecting abnormalities in the distribution cable 11 in the conduit 12 to acquire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thermal imaging camera, and the like.

제어유닛(17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제어유닛(170)은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와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 및 센싱부(160)의 작동주기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작동주기에 따라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와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 및 센싱부(16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유닛(170)은 센싱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전선관(12) 내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7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this control unit 170 has 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and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and the operating cycle of the sensing unit 160 in advance. It is set to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 and the sens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operation cycl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on the distribution cable 11 in the conduit 12 transmit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60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in real time.

데이터베이스부(200)는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를 통한 배전케이블 이상 감지용의 데이터들이 해당 배전케이블(11)의 배전 전압 및 식별정보와 매핑되는 방식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저장된다. The database unit 200 stores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the distribution cable through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in such a way that it is mapped with the distribution voltag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tribution cable 11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W). do.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는 데이터베이스부(200)의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의 딥 러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학습모듈(310)을 포함하며, 인공지능 학습모듈(310)의 딥 러닝 결과 및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배전케이블 이상 감지용 데이터들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배전케이블(1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한다.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ule 310 that performs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the data of the database unit 200, and the deep learning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ule 310 And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the distribution cable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stribution cable 11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W has a failure.

통신 중계부(400)는 제어유닛(170)의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중계 및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설치된다.The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performs a function of relaying data transmission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of the control unit 170 and receiving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the unit monitoring section (W) Star is installed.

이러한 통신 중계부(400)는 보호파이프(410), 보호커버(420), 지지포스트(430) 및 무선통신모듈(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rotection pipe 410 , a protection cover 420 , a support post 430 ,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40 .

보호파이프(410)는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의 하우징(110) 내부 및 하우징(110)으로부터 상측의 지면을 연결하도록 지중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된다.The protection pipe 410 is installed vertically buried in the ground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of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and the ground above the housing 110 .

보호커버(420)는 보호파이프(410)의 상단에 결합되어 보호파이프(41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동시에 지면에 노출되며, 수직 방향의 통행홀(421)이 중앙에 형성되는 동시에 통행홀(421)에는 고무패킹(422)이 결합된다.The protective cover 4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ve pipe 410 to block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pipe 410 from the outside and to be exposed to the ground at the same time, and a passage hole 42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passage hole at the same time A rubber packing 422 is coupled to the 421 .

지지포스트(430)는 보호파이프(4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지지포스트(430)의 상단에는 보호커버(420)의 고무패킹(422)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고무패킹(422)에 삽입되는 원기둥 블록(431)이 결합된다.The support post 43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protective pipe 410,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st 430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packing 422 of the protective cover 420, so that the rubber packing The cylindrical block 431 inserted into the 422 is coupled.

무선통신모듈(440)은 지지포스트(430)의 원기둥 블록(431) 상부에 커버플레이트(432)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무선통신모듈(440)은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의 제어유닛(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센싱부(160)의 전선관(12) 내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에 무선 전송하고,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상술한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40 is installed in a state prot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over plate 432 on the cylindrical block 431 of the support post 430 . This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40 receives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for the distribution cable 11 in the conduit 12 of the sensing unit 160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70 of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It performs a function of wirelessly transmitting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and receiv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and transmitting it to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

그리고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의 제어유닛(170)은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한다.And the control unit 170 of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또한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는 통신 중계부(400)를 통해 수신되는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의 상기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며, 이러한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는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and this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is configured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W). is installed

그리고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는 고장 표시램프(510), 투명커버(520), QR코드 스티커(530) 및 스피커 장치(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ailure display lamp 510, a transparent cover 520, a QR code sticker 530 and a speaker device (540).

고장 표시램프(510)는 통신 중계부(400)의 보호커버(420) 상면에 형성되는 수납홈(423) 내에 설치되며, 이러한 고장 표시램프(510)는 통신 중계부(400)의 무선통신모듈(440)을 통해 전송되는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의 상기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적색으로 점등된다.The fault indication lamp 51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4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420 of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 and this fault indication lamp 51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 Lights in 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transmitted through (440).

투명커버(520)는 보호커버(420)의 수납홈(423)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보호커버(420)의 상면에 결합된다.The transparent cover 5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420 to block the receiving groove 423 of the protective cover 420 from the outside.

QR코드 스티커(530)는 투명커버(520)의 내면에 부착되며, 이러한 QR코드 스티커(530)는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통해 리딩 시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유지 보수 요청신호가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2000)에 전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QR code sticker 53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ver 520 , and this QR code sticker 530 is a long-distance maintenance request signal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000 when reading through the smart mobile device 1000 . It has a func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2000 of

스피커 장치(540)는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의 제어유닛(170)을 통해 센싱부(160)의 전선관(12) 내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가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에 전송된 다음, 제어유닛(170)에 사전 설정된 시간 내에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로부터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에 대한 상술한 작동제어신호가 제어유닛(170)에 수신되지 않는 데 따른 제어유닛(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QR코드 스티커(530)에 대한 리딩을 요청하는 음성신호를 외부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피커 장치(540)는 음성 송출 부분을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투명커버(520)에 결합된다.The speaker device 540 transmits data for abnormal detection of the distribution cable 11 in the conduit 12 of the sensing unit 160 through the control unit 170 of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 the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which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is not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70 within a preset time to the control unit 170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170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ternally transmitting a voice signal requesting reading for the QR code sticker 530 . And the speaker device 540 is coupled to the transparent cover 520 in a state of exposing the sound transmitting portion to the outside.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지중배전선로의 배전케이블에 대해 인공지능의 딥 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고장구간 검출이 수행될 수 있고, 검출된 배전케이블의 고장구간 식별이 시각적인 확인 방식을 통해 자동 표시될 수 있어, 해당 고장구간에 대한 작업자의 유지 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게 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fault section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performed for distribution cables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and fault section identification of the detected distribution cables can be automatically displayed through a visual confirmation method. 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 of the operator for the corresponding fault section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또한 배전케이블의 고장 판별을 위한 지중배전선로 현장의 획득 데이터들이 통신의 중계 기능 이상에 따라 원거리의 고장 검출부에 전송되지 못할 경우, 해당 배전케이블 구간을 지나는 보행자들이 자신의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의 QR코드 리딩 기능을 통해 원거리의 상기 고장 검출부에 해당 배전케이블 구간의 고장 상황을 알릴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지중배전선로 중 일부 배전케이블 구간에 고장이 발생된 상황에서 이의 자동 통보 기능에 이상이 발생 시, 해당 배전케이블 구간을 지나는 일반 사람의 도움을 통해 해당 고장 사실이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에 전해질 수 있으므로, 지중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발생 시 그에 대한 확인 및 조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acquired data on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for the distribution cable failure determination cannot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failure detection unit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communication relay function, pedestrians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cable section read the QR code of their smart mobile device. Through the function,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fault condition of the corresponding distribution cable section to the remote fault detection unit. In other words, when a failure occurs in some distribution cable sections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the failure is communicated to the remot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with the help of ordinary people passing through the distribution cable section. Therefore, when a faulty section of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occurs, confirmation and action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description,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No,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written,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the modifications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지중배전선로 11 : 배전케이블
12 : 전선관 W : 단위 감시 구간
100 :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 110 : 하우징
111 : 관통홀 120 :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121 : 작동로드 130 :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131 : 작동로드 140 : 가이드레일
150 : 슬라이딩 블록 160 : 센싱부
170 : 제어유닛 200 : 데이터베이스부
300 : 케이블 고장 검출부 310 : 인공지능 학습모듈
400 : 통신 중계부 410 : 보호파이프
420 : 보호커버 421 : 통행홀
422 : 고무패킹 423 : 수납홈
430 : 지지포스트 431 : 원기둥 블록
432 : 커버플레이트 440 : 무선통신모듈
500 : 케이블 고장 표시부 510 : 고장 표시램프
520 : 투명커버 530 : QR코드 스티커
540 : 스피커 장치 1000 :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
2000 : 통합관리서버
10: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11: distribution cable
12: conduit W: unit monitoring section
100: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10: housing
111: through hole 120: first solenoid actuator
121: actuating rod 130: second solenoid actuator
131: operation rod 140: guide rail
150: sliding block 160: sensing unit
170: control unit 200: database unit
300: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10: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ule
400: communication relay unit 410: protection pipe
420: protective cover 421: passage hole
422: rubber packing 423: storage groove
430: support post 431: cylindrical block
432: cover plate 44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00: cable failure display unit 510: failure display lamp
520: transparent cover 530: QR code sticker
540: speaker device 1000: smart mobile device
2000: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Claims (2)

지중배전선로(10)의 미리 정해진 길이의 배전케이블(11)을 단위 감시 구간(W)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배전케이블(11)의 고장을 검출하는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으로서,
상기 단위 감시 구간(W)의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의 데이터 획득을 위해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설치되는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
상기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를 통한 배전케이블 이상 감지용의 데이터들이 해당 배전케이블(11)의 배전 전압 및 식별정보와 매핑되는 방식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별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200):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의 데이터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의 딥 러닝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학습모듈(310)을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학습모듈(310)의 딥 러닝 결과 및 상기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를 통해 실시간 전송되는 배전케이블 이상 감지용 데이터들 간의 비교를 기반으로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배전케이블(11)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감시 데이터 획득부(100)는,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들의 연결 지점에 설치되며 좌우 양측에는 전선관(12)이 연결되는 관통홀(111)을 각각 형성한 하우징(110); 상기 단위 감시 구간(W)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110)들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시 작동하는 동시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하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 상기 전선관(12)을 따라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일단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의 작동로드(12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길이 방향의 타단이 상기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의 작동로드(13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 및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40); 경사진 상기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슬라이딩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레일(140)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150); 상기 슬라이딩 블록(150)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150)의 슬라이딩에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전선관(12) 내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부(16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와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 및 센싱부(160)의 작동주기가 사전에 설정되어 상기 작동주기에 따라 상기 제1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20)와 제2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30) 및 센싱부(16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센싱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전선관(12) 내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에 전송하는 제어유닛(17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170)의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에 대한 데이터 전송의 중계 및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중계부(400)와, 상기 통신 중계부(400)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의 상기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신 중계부(400) 및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는 상기 단위 감시 구간(W)별 설치되며,
상기 통신 중계부(4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및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상측의 지면을 연결하도록 지중에 수직으로 매립되는 보호파이프(410); 상기 보호파이프(4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파이프(41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동시에 지면에 노출되며, 수직 방향의 통행홀(421)이 중앙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통행홀(421)에는 고무패킹(422)이 결합되는 보호커버(420); 상기 보호파이프(41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고무패킹(422)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패킹(422)에 삽입되는 원기둥 블록(431)을 갖는 지지포스트(430); 상기 원기둥 블록(431)의 상부에 커버플레이트(432)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유닛(17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센싱부(160)의 상기 전선관(12) 내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에 무선 전송하고,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44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170)은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상기 작동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는, 상기 보호커버(4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수납홈(423) 내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440)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의 상기 작동제어신호에 따라 적색으로 점등되는 고장 표시램프(510); 상기 수납홈(423)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상기 보호커버(420)의 상면에 결합되는 투명커버(520); 상기 투명커버(520)의 내면에 부착되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를 통해 리딩 시 상기 스마트 모바일 디바이스(1000)로부터 유지 보수 요청신호가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2000)에 전송되도록 하는 QR코드 스티커(530); 상기 제어유닛(170)을 통해 상기 센싱부(160)의 상기 전선관(12) 내 배전케이블(11)에 대한 이상 감지용 데이터가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에 전송된 다음, 상기 제어유닛(170)에 사전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케이블 고장 검출부(300)로부터 상기 케이블 고장 표시부(500)에 대한 상기 작동제어신호가 상기 제어유닛(170)에 수신되지 않는 데 따른 상기 제어유닛(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QR코드 스티커(530)에 대한 리딩을 요청하는 음성신호를 외부 송출하며, 음성 송출 부분을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투명커버(520)에 결합되는 스피커 장치(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배전케이블 고장구간 검출시스템.
A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a failure of the distribution cable 11 of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10 as a unit monitoring section (W) and the distribution cable 11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W),
A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installed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W) in order to acquire data for detecting abnormalities on the distribution cable 11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 (W):
A database unit 200 that is stored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in such a way that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the distribution cable through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is mapped with the distribution voltag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tribution cable 11: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ule 310 for performing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the data of the database unit 200, the deep learning resul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odule 310 and the cable monitoring data It includes a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istribution cable 11 is faulty for each unit monitoring section (W)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in the distribution cable transmitted in real time through the acquisition unit 100, and ,
The cable monitoring data acquisition unit 100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unit monitoring sections (W) and has a housing 110 having a through hole 111 to which the conduit 12 is conne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 first solenoid actuator ( 120) and a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It is installed along the conduit 12,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rod 121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A guide rail 140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on rod 131 and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and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a sliding block 150 coupled to the guide rail 140 in the form of sliding downward by gravity along the inclined guide rail 140; a sensing unit 160 that is installed on the sliding block 150 and moves along with the sliding of the sliding block 150 to obtain data for detecting abnormalities on the distribution cable 11 in the conduit 12; I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the operation period of the first solenoid actuator 120,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and the sensing unit 160 is set in advance, and the first solenoi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eriod is set in advanc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20, the second solenoid actuator 130, and the sensing unit 160, and for detecting abnormalities in the distribution cable 11 in the conduit 12 transmitted through the sensing unit 160 and a control unit 170 that transmits data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in real time,
A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and relay of data transmission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of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 400) further comprising a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and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is the unit It is installed for each monitoring section (W),
The communication relay unit 400 includes: a protection pipe 410 vertically embedded in the ground to connect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ground above the housing 110;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rotection pipe 410 to block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pipe 410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o be exposed to the ground, a vertical passage hole 42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passage hole 421 at the same time The protective cover 420 to which the rubber packing 422 is coupled; A support post having a cylindrical block 431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pipe 4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ubber packing 422 at the upper end and inserted into the rubber packing 422 . (430); A power distribution cable ( 11) receives the data for detecting abnormality and transmits it wirelessly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and transmits it to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40 to
The control unit 170 receives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groove 4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420 and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40 a fault indicator lamp 510 that is turned on in red according to a signal; a transparent cover 52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420 to block the receiving groove 423 from the outside; A QR code sticker tha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ver 520 and transmits a maintenance request signal from the smart mobile device 1000 to the remote integrated management server 2000 when reading through the smart mobile device 1000 . (530); After the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cable 11 in the conduit 12 of the sensing unit 160 is transmitted to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through the control unit 170, the control unit 170 )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which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the cable failure display unit 500 from the cable failure detection unit 300 is not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70 within a preset time in A speaker device 540 coupled to the transparent cover 520 in a stat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requesting reading for the QR code sticker 530 to the outside, and exposes the voice transmission part to the outside. Distribution cable failure section de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KR1020220009026A 2022-01-21 2022-01-21 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3858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026A KR102385880B1 (en) 2022-01-21 2022-01-21 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026A KR102385880B1 (en) 2022-01-21 2022-01-21 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880B1 true KR102385880B1 (en) 2022-04-14

Family

ID=8121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026A KR102385880B1 (en) 2022-01-21 2022-01-21 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8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8134A (en) * 2023-08-09 2023-09-05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合肥供电公司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on of underground limited space of power grid
KR102614913B1 (en) 2023-05-22 2023-12-20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Distribution line controll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21071B1 (en) * 2023-07-06 2024-01-04 (주)포유텍 Underground electric power line monitoring system using sub pipe
KR102620960B1 (en) * 2023-08-17 2024-01-05 (주)청운엔지니어링 Distribution line pro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88B1 (en) * 2008-01-04 2009-12-31 박래웅 Cabl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KR101874286B1 (en) * 2018-02-09 2018-08-02 이황희 Monitoring and diagnosis system for Power devices
KR102088740B1 (en) 2018-03-30 2020-03-13 강문식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arameter setting value automatic calculation protection relays
KR102186779B1 (en) 2020-07-08 2020-12-04 (주)경동이앤지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KR102241963B1 (en) 2019-08-07 2021-04-16 이진혁 Switchboard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ngen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88B1 (en) * 2008-01-04 2009-12-31 박래웅 Cable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KR101874286B1 (en) * 2018-02-09 2018-08-02 이황희 Monitoring and diagnosis system for Power devices
KR102088740B1 (en) 2018-03-30 2020-03-13 강문식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arameter setting value automatic calculation protection relays
KR102241963B1 (en) 2019-08-07 2021-04-16 이진혁 Switchboard system with artificial intellingence
KR102186779B1 (en) 2020-07-08 2020-12-04 (주)경동이앤지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913B1 (en) 2023-05-22 2023-12-20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Distribution line controlling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621071B1 (en) * 2023-07-06 2024-01-04 (주)포유텍 Underground electric power line monitoring system using sub pipe
CN116698134A (en) * 2023-08-09 2023-09-05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合肥供电公司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on of underground limited space of power grid
CN116698134B (en) * 2023-08-09 2023-12-29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合肥供电公司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operation of underground limited space of power grid
KR102620960B1 (en) * 2023-08-17 2024-01-05 (주)청운엔지니어링 Distribution line protec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880B1 (en) Fault line detecting system of distributing cabl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173592B1 (en) System of detecting damaged position with protecting damage for underground pip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63853B1 (en) Fault section detection device by connecting point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N105631576A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940224B1 (en)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automatic notice function for internal state of manhole
CN111964731A (en) Pipe gallery monitoring and warning device and method
KR20090095966A (en) System for investigating state of manhole
KR102289990B1 (en) Electric leakag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apartment house
CN111459066A (en) Underground pipe network monitoring system of urban lighting facility
CN102982639A (en) Video monitoring optical fiber fence system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0619727A (en) Underground power cable external damage prevention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optical fiber vibration sensing technology
KR101562625B1 (e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of specipic position of underground pipe and method thereof
US20190049506A1 (en) Safety Ground Wire Monitoring And Alarm Systems
KR101588664B1 (en) One Click Facilities Management Automation system using Central control-specific integrated input module
CN205103956U (en) Electric wire netting pipeline facility safety precaution system
KR1025327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underground cavity
KR101734659B1 (en) Electrical fire sign detect and alarm system of an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and method thereof
KR20100001685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nderground common tunnel
CN106226620A (en) A kind of power supply unit observation system
KR101850353B1 (en)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CN109711500B (en) Safety helmet type inspection terminal, transformer substation inspection system with safety helmet type inspection terminal and inspection method using system
KR20200039880A (en) Wireless network-based sensing module of urban railway
KR102247225B1 (en) System for realtime remote diagnosing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JP2018114792A (en) Railway control system using optical cable
JP2009273203A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ting fault point or searching route of communication cable for wired remote supervisory control of distributi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