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353B1 -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 Google Patents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353B1
KR101850353B1 KR1020170152215A KR20170152215A KR101850353B1 KR 101850353 B1 KR101850353 B1 KR 101850353B1 KR 1020170152215 A KR1020170152215 A KR 1020170152215A KR 20170152215 A KR20170152215 A KR 20170152215A KR 101850353 B1 KR101850353 B1 KR 10185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switching transistor
output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근오
Original Assignee
(주)오토메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메이션 filed Critical (주)오토메이션
Priority to KR102017015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3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05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23/81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by dust removal, e.g. from surfaces of the image sensor or processing of the image signal output by the electronic image sensor
    • H04N5/2171
    • H04N5/2320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underground utility monitoring device using a camera, and in particular, to a remote underground utility monitoring device using a camera which quickly monitors an abnormal state inside an underground tunnel, which is an underground facility including a cable tunnel collectively accommodating communication cables, a power tunnel collectively accommodating power cables, and a pipe utility conduit collectively accommodating communication cables and water and sewage pipes. The remote underground utility monitoring device comprises: at least one state information sensing unit installed inside an underground tunnel an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a state inside the underground tunnel; at least one moving camera having a moving means and capturing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tunnel; a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moving, when the state information is obtained, the moving camera to the state information sensing unit by which the state information has been obtained.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camera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one of the moving cameras by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state information sensing unit by which the state information has been obtained;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ovement or image capturing of the determined moving camera; a dust measurement mean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tunnel to measure an amount of dust; and an automatic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outputting an alarm signal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when the measured amount of dust is a reference amount or greater.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케이블을 집합 수용하는 통신구, 전력케이블을 집합 수용하는 전력구, 및 통신케이블과 상하수도관을 집합 수용하는 공동구를 포함하는 지하시설물인 지하구 내부의 이상 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a subterranean inundation using a camera.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an underground facility including a communication port for collecting communication cables, a power port for collecting power cabl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a subterranean underground using a camera.

일반적으로 지하구란 전력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전선이나 가스 및 냉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배관등을 집합 수용하기 위한 공동구, 통신구, 전력구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점검 또는 보수가능하도록 구성된 폭 1.8m, 높이2m, 길이 50m 이상(전력, 통신사업용의 경우 500m 이상)의 지하 시설물을 의미한다.Generally, an underground area is a collective area, a communication area, and a power area for collecting electric wires and gas used for electric power communication and piping used for heating and cooling. It is 1.8m wide and 1.8m wide, 2m, and 50m or more in length (500m or more for power and communications).

지하구를 구성하는 목적은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 시설, 통신 시설, 및 하수도 시설 등을 공동수용함으로써 도시미관을 개선하고 도로 구조를 보전하며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함이다.The purpose of the underground area is to improve the cityscape, to preserve the road structure, and to facilitate traffic by collecting electricity, gas, water supply facilities,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sewage facilities.

그러나 지하구는 도시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환경이 열악한 지하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지하구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한 많은 인력과 예산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underground distric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unning the city, and at the same time, it is located in the underground environment where the environment is poo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manpower and budget are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underground area.

따라서 지하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Therefore, various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efficiently manage the underground sphere.

먼저, 지하구를 운용 및 관리하는데 있어서 지하구 내부의 각종 시설물(상하수도, 통신케이블, 전력선, 양수기, 환풍기 등)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상기 각종 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기반의 지하구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First, in order to manage and manage the underground facilities, we systematically manage information about various facilities (underground and underground water, telecommunication cables, power lines, water pumps, ventilators, etc.) A geograph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has been developed.

또한, 지하구 내부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지하구 내부에 각종 센서들을 설치한 후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경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monitor the situation inside the underground, various sensors were installed inside the underground, and an underground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to confirm the alarms transmitted from the sensors in real ti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 지하구 내부에 설치한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경보는 지하 깊은 곳(30m이상)에 위치하며, 길이 또한 수백m에서 수십km에 이르는 지하구의 열악한 위치 환경상 오작동일 경우가 많으므로 관리자가 경보 발생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가 쉽지 않으며 만약 경보 발생 상황을 오판할 경우에는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system, the alarm transmitted from the sensor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is located at a deep place (30 m or more), and in many cases it is a malfunction due to the poor position of the underground which is several hundred meters to several tens of kilometers in length It is not easy for the manager to make an accurate judgment on the alarm occurrence situation, and if the alarm occurrence situation is mistaken, serious damage occur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7084호([0006] 공고일 2010.11.29.)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97084 ([0006] Published Date Nov. 29, 2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력통신용으로 사용되는 전선 또는 냉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배관 등을 집합 수용하기 위한 지하 시설물인 지하구 내부의 이상 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하기 위한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derground facility for collecting a pipe used for pow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하구 내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 감지부와; 이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지하구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카메라와;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 측으로 상기 이동형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 동작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형 카메라들 중 하나의 이동형 카메라를 결정하는 카메라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에 대한 이동 또는 촬영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하구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ing system for a subsurfac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installed in a subsurface and acquiring situation information within the subsurface; At least one movable camera having a moving means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sphere; And a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for moving the mobile camera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in which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camer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one of the mobile camera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in which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or photographing the determined movable camera;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dust is detected by the dust measuring unit as a reference or abnormality This feature.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dust measuring means may include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for emitting infrared rays, a light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positioned to face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C) for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to increas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B) is smaller than a set value, );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electromagnets 2a, 2b and 2c which are wound around the actuator 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moving electromagnets 2b and 2c which are arranged adjac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An infrared transmitter converting means (2)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tionary electromagnets (2d, 2e, 2f) fixedly installed; 2b and 2c and the fixing electromagnets 2d and 2e and 2f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the flow electromagnets 2a and 2b and 2c and the fixing electromagnets 2d and 2e and 2f, A transmission control unit 1 for generating a repulsive force and an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frared transmitters 2e and 2f to drive the actuator 3, an infrared transmitter flow unit 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for flowing the infrared transmitter back and forth, And a plurality of concave lens groups (5) for varying an output of an infrared transmitter installed in an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wherein the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4)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for outputting an infrared ray to the outside in proximity to the concave lens group 5 formed therein, a movement bar 4b for flowing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Credit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olenoid (4c) to.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first to third fitting holes 6a for adjusting operational sensitivity, and first to third weight adjusting pins 6b inserted in the fitting holes, And further includes a speed adjusting means (6).

또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The concave lens group 5 is designed to vary the degree of output of infrared light according to the depression angle of the center portion. When a len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pression is selected by the movement operation of 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sion means, A third concave lens 5c which is provided at the very center of the working rod and has a depression angle of 25 degrees; A second concave lens 5b provided on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having a concave angle of 15 degrees; A first concave lens 5a provided on the second concave lens 152 and having a depression angle of 5 degrees; A fourth concave lens 5d which is used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 with a higher light output and is provided below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has a concave angle of 35 degrees; And a fifth concave lens 5e, which is used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 with a higher intensity, and which is provided below the fourth concave lens 5d and has a concave angle of 45 degrees.

또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power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 for switching a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to the base;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2 which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switches the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switching transistor Q3 for switching a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to the base; A fourth switching transistor Q4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switches the power supply unit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relay switch RY3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for induc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by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Wow;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re switched to induce switching of the relay switch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ource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configured to turn off the transistor and to switc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o that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simultaneously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are turned on,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for mainta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 and continuing the communication state; A circuit breaker 1131 for contacting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relaying power from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when the circuit operation operating wire 1131 is turned on, A steel wire piece 1132; A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guiding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to be kept in the off state at all times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ven i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witched and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is stopped whil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engaged with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and the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is overlapp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ng wire 1131 continues to maintain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operates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piece 1131 for circuit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re guid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without being directly coupl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1133 are engaged, Spacing means (1133a) for guiding the means (1134)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naturally during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stopping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ted.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구를 운용 및 관리함에 있어 지하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보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지하구 내부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시에 신속한 대응을 통해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mptly and precisely monitor various alarm situations occurring in the underground sphere when operating and managing the underground sphere, thereby preventing large-scale accidents by promptly responding to a disaster situation in the underground spher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지하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도 4의 S30에 대한 상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지하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19는 도 18의 요부 확대도.
도 20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subsurface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nderground sphere applying the underground ga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amer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onitoring a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of S30 of FIG.
FIG. 6 is a plan view of an underground sphere to which a underground sphe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dust measuring means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infrared receiving means constituting the dust measu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measuring dust us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nd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operation for the flow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angle measurement of the concav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figuration view of a first negativ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second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third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ourth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ifth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graph showing the optical intensity graph according to the concave lens center depress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ircuit diagram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8;
20 is an exemplary operational example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subsurface monitor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지하구의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underground sphere applying the underground gat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amer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FIG. 4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onitoring a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도 4의 S30에 대한 상세 순서도.5 is a detailed flowchart of S30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지하구의 평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of an underground sphere to which a underground sphe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구성 블록도.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dust measuring means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8 is a conceptual diagram of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infrared receiving means constituting the dust measu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measuring dust us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nd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의 유동을 위한 동작 개념도.10 is a conceptual diagram of operation for the flow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각도 측정 개념도.1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angle measurement of the concav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 오목렌즈 구성도.12 is a configuration view of a first negative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2 오목렌즈 구성도.13 is a second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3 오목렌즈 구성도.FIG. 14 is a third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4 오목렌즈 구성도.15 is a fourth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5 오목렌즈 구성도.16 is a fifth negative lens configura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오목렌즈 중심부 함몰각에 따른 광세기 그래프 구성도.17 is a graph showing the optical intensity graph according to the concave lens center depress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18 is a circuit diagram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도 18의 요부 확대도.Fig. 19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8;

도 20은 본 발명의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동작 예시도로서,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황 정보 감지부(10), 이동형 카메라(20), 카메라 동작 제어부(30), 및 카메라 이동 레일(40)을 포함한다.1 and 2, the underground porta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a movable camera 20, a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and a camera movement rail 40 ).

상황 정보 감지부(10)는 지하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하구 내부의 상황정보를 획득한다. 상황 정보 감지부(10)는 상기 지하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연기 발생, 출입자 발생, 수위 초과 발생, 불꽃 발생,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is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here and acquires the situation information inside the underground spher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may b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orifice and may acquire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smoke, entrances, water levels, sparks, or carbon dioxide.

이동형 카메라(20)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지하구 내부를 촬영한다. 이동형 카메라(20)는 상기 지하구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 시에 정확한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회전속도계인 타코미터(Tachometer)(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table camera 20 has a moving means and photographs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pier. At least one mobile camera 20 may b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here. The mobile camera 20 may further include a tachometer 22, which is a tachometer for measuring an accurate moving distance when the mobile camera 20 is moved.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형 카메라(20)는 상기 지하구 내부를원활하게 촬영을 위한 조명부와 상기 지하구 내부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온습도 센서 또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portable camera 20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unit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hole smoothly and a temperature / humidity sensor or a gas sensor for determining a situation inside the underground hole.

카메라 동작 제어부(30)는 상황 정보 감지부(10)에서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 측으로 이동형 카메라(10)를 이동시킨다.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moves the mobile camera 10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in which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

이때, 카메라 동작 제어부(30)의 상세한 구성은 이하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카메라 이동 레일(40)은 카메라 동작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는 이동형 카메라(20)가 상황 정보 감지부(10)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한다.이때, 카메라 이동 레일(40)은 상기 지하구 내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하구 내부의 열악한 환경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부식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부식 방지 처리가 될 수 있다.The camera movement rail 40 provides a movement path for the mobile camera 20 controlled by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to move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At this time, It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sphere, and a material which is not corroded so as to be damaged by the harsh environment inside the underground sphere may be used or a corrosion preven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동형 카메라(20)가 동작하지 않을시에 위치하면서 전력을 충전할 수 있도록 전원 충전기를 구비한 카메라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nderground gat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mount unit having a power charger for charging the mobile camera 20 when the mobile camera 20 is not operated.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동형 카메라(20)의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 측으로의 이동 또는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위치의 촬영을 위한 제어 신호전송이 가능한 신호 전송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nderground sphere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amera 20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And a signal transmission cable capable of signal transmiss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동작 제어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동작 제어부(30)는 상황 정보 판단부(32), 카메라 결정부(34), 및 제어신호 생성부(36)를 포함한다.3,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includes a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2, a camera determination unit 34,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36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황 정보 판단부(32)는 상황 정보 감지부(10)에서 획득된 상기 지하구 내부의 상황 정보를 분석한 후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2 analyzes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underground facility acquired by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and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카메라 결정부(34)는 상황 정보 판단부(32)의 판단 결과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지하구 내부에 설치된 이동형 카메라(20)들 중 하나의 이동형 카메라를 결정한다.The camera determining unit 34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32 by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 Of the mobile camera.

제어 신호 생성부(36)는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20)에 대한 이동 또는 촬영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20)는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촬영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 측으로 이동한 이동형 카메라(20)는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위치를 촬영하여 전송한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6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moving or shooting the determined moving camera 20, and the moving camera 20 determines that the moving camera 20 has detected the situation information The moving camera 20 moves to the sensing unit 10 and moves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where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by the photographing control signal.

이때, 상기 이동 제어 신호가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20)에 전송되면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20)에 구비된 타코미터(Tachometer)(22)가 정확한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20)가 상기 이동 제어 신호에 따른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movement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determined mobile camera 20, the tachometer 22 provided in the determined mobile camera 20 measures an accurate movement distance, It is possible to reach an accur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control signal.

또한,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20)에 대한 이동 또는 촬영을 위한 제어 신호는 상기 신호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signal for moving or photographing the mobile camera 20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cable.

이와 같이,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 측으로 이동형 카메라(20)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동작 제어부(30)는 상황 정보 판단부(32)에서 상기 획득된 상황 정보를 분석한 후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moves the portable camera 20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in which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2, After analyz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abnormal.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 카메라 결정부(34)에서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형 카메라(20)들 중 하나의 이동형 카메라를 결정하여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 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상황 정보 감지부(10)의 오작동에 따라 불필요한 이동형 카메라(20)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지하구 내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If an abnormal state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amera determining unit 34 determines one of the mobile cameras 20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from which the status information is obtained,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moved to the acquired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so that unnecessary movement of the portable camera 20 is prevented according to the malfunct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and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hole can be efficiently monitor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FIG. 4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onitoring underground gat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방법은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수행되는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method of monitor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performed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the underground structure monitoring system.

S10에서 지하구 내부에 설치된 상황 정보 감지부(10)가 지하구 내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상황정보 감지부(10)는 상기 지하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연기 발생, 출입자 발생, 수위 초과 발생, 불꽃 발생, 또는 이산화탄소 발생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S10,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here acquires the situation information inside the underground spher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may b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here and may acquire status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smoke, entrances, water levels, sparks, or carbon dioxide .

S20에서 카메라 동작 제어부(30)는 상기 상황 정보를 수신받는다.In S20,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S30에서 카메라 동작 제어부(30)는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위치를 고려하여 지하구 내부에 설치된 이동형 카메라(20)들 중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 측으로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를 이동시킨다.In step S30,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determines one of the mobile cameras 20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her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and transmits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Moves the determined mobile camera.

여기에서, 이동형 카메라(20)는 이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지하구 내부를 촬영하며, 상기 지하구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고, 이동 시에 정확한 이동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회전속도계인 타코미터(Tachometer)(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bile camera 20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and photographs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sphere. At least one or more at least one can be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here. In order to measure an accurate moving distance when moving, And a tachometer 22.

S40에서 이동형 카메라(20)가 카메라 동작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어하여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위치를 촬영한 후 상기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면 종료가 이루어진다.In step S40, when the portable camera 20 captures the position where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by the control of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and then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he process is terminated.

도 5는 도 4의 상기 S30에 대한 상세 순서도 이다.5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30 of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32에서 상황 정보 판단부(32)는 상기 획득된 상황 정보를 분석한 후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As shown in FIG. 5, in S32,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unit 32 analyzes the obtained situ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abnormal.

S34에서 카메라 결정부(34)는 상황 정보 판단부(32)의 판단 결과 이상 상태가 발생한 경우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지하구 내부에 설치된 이동형 카메라(20)들 중 하나를 결정한다.In S34, the camera determining unit 34 determines one of the mobile cameras 20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sphere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where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an abnormal state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unit 32 do.

S36에서 제어 신호 생성부(36)가 이동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전송하여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 측으로 상기 선택된 이동형 카메라(20)를 이동시키면 종료가 이루어진다.In step S36,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6 generates a movement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motion control signal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detector 10 to move the selected movable camera 20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10, thereby completing the process.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지하구의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an underground sphere applying the underground soul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U)의 내부에는 지하구(U) 내부에 설치되며 지하구(U) 내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 감지부(10, 10a), 이동 수단을 구비하며 지하구(U)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카메라(20a, 20b), 이동형 카메라(20a, 20b)를 상황 정보 감지부(10, 10a)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카메라 이동 레일(40)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t least on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 10a installed inside the underground U to acquire context information of the underground U, At least one mobile camera 20a and 20b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compartment U and a camera 20b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for moving the portable cameras 20a and 20b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s 10 and 10a, A movable rail 40 is provided.

지하구(U)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황 정보 감지부(10a)가 상황 정보를 획득한 경우 카메라 동작 제어부(30)는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a) 측으로 이동형 카메라(20a)를 이동시킨 후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위치를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한다.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a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facility U acquires the situation information,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camera 20a toward the acquired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10a,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after photographing the position where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따라서 본 발명의 지하구 감시 시스템은 국가 및 도시의 주요 기반시설이 수용되어 있는 지하구를 운용 및 관리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구를 운용 및 관리함에 있어 지하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보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지하구 내부에서의 재난 상황 발생시에 신속한 대응을 통해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ly, the underground surveill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and manages the underground sphere in which the main infrastructure of the country and the city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underground sphere, It is possible to promptly and precisely monitor the situation in the underground min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large accidents by promptly responding to a disaster situation in the underground mine.

그리고 카메라 동작부(32)에서 상기 획득한 상황 정보를 분석한 후 이상 상태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이상 상태가 발생할 경우 카메라 결정부(34)에서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이동형 카메라(20)들 중 하나를 결정한 후 제어 신호 생성부(36)에서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20)에 대한 이동 또는 촬영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Then, the camera operation unit 32 analyzes the obtained situ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an abnormal condition has occurred. If the abnormal condition occurs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camera determining unit 34 detects the situation information 10,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36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moving or photographing the mobile camera 20 determin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36 after determining one of the mobile cameras 20.

따라서, 지하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경보 상황을 선별하여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지하의 열악한 환경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보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증가 되는 업무량을 크게 경감시켜 지하구의 운용 및 관리에 소요되는 인원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nitor various alarm situations occurring in the underground wards efficiently, and thu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onitor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underground waters by greatly reducing the workload due to the malfunction of the alarm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eople required.

한편, 본 발명은 지하구 내부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2000)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경보신호를 통해 출력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빠른 속도로 먼지 구역을 벗어나도록 유도한다.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ust measuring means is installed at one end of an underground sphere, dust is detected through the dust measuring means 2000, and when dust above a reference level is detected, an alarm signal is output, .

그리고, 먼지 측정수단(2000)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3000)로 전송되며, 제어부(3000)는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측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4000)에 표시한다.The data measured by the dust measuring means 200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00, and the control unit 3000 displays the data measured by the dust measuring means on the display 4000.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2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ust measuring means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for emitting infrared rays, a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nd positioned to face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D) for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 to increas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C).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The infrared transmitting unit A receives the infrared transmitting control signal from the dust measuring control unit C, determines the infrared transmitting amount, and outputs the changed infrared transmitting amount.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esult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is transmitted to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section C,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section C predicts the dust generation amount based on the data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 to adjust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amount to induce the output.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light amount data outputted from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is read by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and the light amount of the infrared light emitting means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ased on the read light amount data, so that the sensitivity adjustment is automatically maintained constant. So that the measurement can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ensitivity state.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section C determines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s high when the amount of received light of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B is low,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increase the light amount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 If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C is too high, a contamination-free state or a precise measurement becomes difficult. Therefore, a control signal is outputted so as to lower the light amount of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 That is, it is necessary to keep the amount of infrared transmission light in an appropriate state. The infrared ray amount measured through the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is accurate and the dust amount can be more precisely predicted. Therefore, the dust amount data measured by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 dust measurement result with high reliability.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1)에서 이를 인지하여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을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st measurement control unit C outputs a control sign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change of the light amount of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uni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 recognizes the control signal and drives the infrared ray transmitter conversion unit to perform the most appropriate infrared ray transmission .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으로 이루어져,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ting means 2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electromagnets 2a, 2b and 2c which are wound around the actuator 3 and are mount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fix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2b and 2c And a plurality of stationary electromagnets 2d, 2e, 2f to be installed,

송신 제어부(1)의 신호가 인가되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가 흘러 자성이 형성되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이 발생하여 액추에이터(3)를 구동하게 된다.When a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control section 1 is applied, current flows through the floating electromagnets 2a, 2b, 2c and the fixed electromagnets 2d, 2e, 2f to form magnetic poles , 2c and the fixed electromagnets 2d, 2e, 2f to generate the repulsive force and attracting force to drive the actuator 3.

상기 엑츄에이터(3)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의 유동에 의해서 적외선 출력을 제한하기 위한 오목렌즈군이 다수 설치되어 이루어진다.The actuator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cave lens groups for limiting the infrared ray output by the flow of 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ting means 2.

이를 수행하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츄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진다.The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4 for performing this operation includes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for outputting infrared rays to the outside in proximity to the concave lens group 5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one side of the actuator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moving bar 4b for mov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element 4a and a solenoid 4c for moving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element to the left and right by moving the moving bar.

상기한 구성에서 엑츄에이터(3)의 이동시 솔레노이드(4c)에 제공되는 전원인가에 의해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4a)가 좌우로 유동된다.In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hen the actuator 3 is moved,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element 4a flows to the left and right due to application of power to the solenoid 4c.

상기 적외선 송신용 렌즈군(5)은 작동봉에 다수개 배열되어 이루어지되,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lens groups 5 are arranged on the working rods and are designed so that the degree of output of the infrared light is varied according to the depression angle of the center portion. The infrared ray of different intensity can be outputted.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5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광을 출력하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The second concave lens 5c disposed above the third concave lens 5c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output with a small amount of light, and the second concave lens 5c provided above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outputs light through the first concave lens 5a provided above the second concave lens 5b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 by further reducing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ted with higher light intensity, light is output through the fourth concave lens 5d provided below the third concave lens 5c.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ted with higher intensity, And outputs the light through a fifth concave lens 5e provided below the second concave lens 5d.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 3 오목렌즈(5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The concave lens group is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degree of output of infrared light depending on the depression angl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len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pression can be selected by the movement of 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sion means to output infrared light of different intensity The third concave lens 5c is basically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orking rod and forms a depression angle of 25 degrees.

그리고, 제 2 오목렌즈(5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The second concave lens 5b is used for outputting a slightly reduced amount of infrared light and is provided above the third concave lens 5c to form a depression angle of 15 degrees.

그리고, 제 1 오목렌즈(5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5b)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The first concave lens 5a is used when it is required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infrared light and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oncave lens 5b and forms a depression angle of 5 degrees.

그리고, 제 4 오목렌즈(5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The fourth concave lens 5d is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infrared ray with a higher light output, and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forms a depression angle of 35 degrees.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The fifth concave lens 5e is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output the infrared ray with a higher intensity, and is provided below the fourth concave lens 5d and forms a concave angle of 45 degrees.

적외선의 광을 높여야할 경우 엑츄에이터(3)을 상승시키고 적외선 광을 줄여야 할 경우 엑츄에이터(3)를 하강시키는 동작을 실시한다.When the infrared light needs to be increased, the actuator 3 is raised and the actuator 3 is lowered when the infrared light needs to be reduced.

작동봉의 1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2고정용전자석(2e)-제1유동용전자석(2a), 제3고정전용자석(2f)-제2유동용전자석(2b)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가 하강하여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1장착용전자석(2a)이, 제3고정용전자석(2f)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하강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2 오목렌즈(5b)에 근접하게 되어 제 2 오목렌즈(5b)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The first fixing electromagnet 2d, the first moving electromagnet 2a,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 the second floating electromagnet 2b, and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b are controll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 (2f) - the third floating electromagnet (2c) is given a repulsive force signal and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 - the first floating electromagnet (2a), the third fixing exclusive magnet When the attracting force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2b, the actuator 3 is lowered to place the first mounting electromagnet 2a in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 and the second mounting electromagnet 2a in the position of the third fixing electromagnet 2f. The mounting electromagnet 2b is positioned. 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rod is lowered by one step,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comes close to the second concave lens 5b and outputs infrared light through the second concave lens 5b.

그리고, 엑츄에이터의 1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송신 제어부(1)에서 제1고정용 전자석(2d)-제1유동용 전자석(2a), 제2고정용 전자석(2e)-제2유동용전자석(2b), 제3고정용전자석(2f)-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척력 신호를 주고, 제1고정용전자석(2d)-제2유동용전자석(2b), 제2고정전용자석(2d)-제3유동용전자석(2c)에는 인력 신호를 주면 엑츄에이터(3)이 상승하여 제1고정용전자석(2d)의 위치에 제2장착용전자석(2b)이, 제2고정용전자석(2e)의 위치에 제3장착용전자석(2c)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봉이 1단계 상승하게 되면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4 오목렌즈(5d)에 근접하게 되어 제 4 오목렌즈(5d)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된다.The first fixing electromagnet 2d-the first moving electromagnet 2a,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the second floating electromagnet 2b, and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b are controlled by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1 in the control for the one- The third fixed electromagnet 2f and the third floating electromagnet 2c are given a repulsive force signal and the first fixed electromagnet 2d-the second floating electromagnet 2b and the second fixed exclusive magnet 2d- When the actuating signal is applied to the third moving electromagnet 2c, the actuator 3 is raised so that the second mounting electromagnet 2b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electromagnet 2d and the second mounting electromagnet 2b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electromagnet 2e The third mounting electromagnet 2c is located. Accordingly, when the operating rod is raised by one step, the infrared transmitting element comes close to the fourth concave lens 5d and outputs infrared light through the fourth concave lens 5d.

그리고 작동봉의 2단계 하강을 위한 제어시 제3고정용전자석(2f)과 같은 위치에 제1유동용전자석(2a)이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는 제 1 오목렌즈(5a)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하게 되고, 엑츄에이터(3)의 2단계 상승을 위한 제어시 제1고정용전자석(2d)과 같은 위치에 제3유동용전자석(2c)이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적외선 송신용 소자는 제 5 오목렌즈(5e)를 통해 광을 출력하게 된다.The first moving electromagnet 2a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third fixing electromagnet 2f when the operation rod is lowered for two steps and accordingly the infrared transmitting element 4a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concave lens 5a, And the third moving electromagnet 2c is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first fixing electromagnet 2d in the control for raising the actuator 3 in two steps, The light is output through the fifth concave lens 5e.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부가 설치하는바, 엑츄에이터(3)의 하단에 돌출 성형되며, 상기 엑츄에이터(3)에 다수개의 끼움용 홀(6a)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용 홀에 엑츄에이터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는 무게조절용 핀(6b)을 삽입 설치하여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a motion speed adjusting means 6 is further provided an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3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6a in the actuator 3, The movement speed of the actuator 3 can be adjusted by inserting a weight adjusting pin 6b for adjusting the weight of the actuator in the hole.

즉, 끼움용 홀(6a)에 무게조절핀(6b)을 삽입 설치하되, 1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가볍기 때문에 빠른 유동이 가능하고, 3개의 무게조절핀을 설치하면 작동봉이 무겁기 때문에 느린 유동이 가능하다.That is, the weight adjusting pin 6b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6a. If one weight adjusting pin is provided, the working rod is light and thus it is possible to flow rapidly. When the three weight adjusting pins are installed, Slow flow is possible.

상기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빠른게 할 것인지 느리게 할 것인지를 조절하는바, 이는 엑츄에이터(3)가 너무 빠르게 움직이면 민감도가 높아지고, 엑츄에이터(3)가 너무 느리게 움직이면 반응속도가 느려지므로 사용자가 엑츄에이터(3)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movement speed control means control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3 is fast or slow. If the actuator 3 moves too fast, the sensitivity increases. If the actuator 3 moves too slowly,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actuator 3.

즉, 사용자가 민감도를 높이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1개만 삽입 결합시키고, 민감도를 낮추고 싶으면 무게조절핀(6b)을 3개까지 삽입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user wants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nly one weight control pin 6b is inserted and coupled, and if the sensitivity is to be lowered, up to three weight control pins 6b are inserted and coupled.

상기 끼움용 홀(6a)과 무게조절핀(6b)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끼움홀(6a)과 3개의 무게조절핀(6b)을 예시하여 설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number of the fitting holes 6a and the weight adjusting pins 6b may be varied according to ne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fitting holes 6a and three weight adjusting pins 6b ), So that the explanation can be made more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어알림상황이 발생하면 제어부(3000)가 통신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알림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통신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ust is detected as a reference or more and a notification condition occurs, the control unit 3000 displays the notification status through the automatic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000 so as to promptly solve the problem,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sw1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w2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power supply line 1110. The power supply unit 111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10,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 third switching transistor, a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 second circuit connection switch (sw2), and a communication control section (1120).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The power source unit 1110 applies power to its own power source.

상기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 switches the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to the base.

상기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2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switches the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킨다.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Q3 switches the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to the base.

상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Q4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to switch the power supply unit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릴레이 스위치(RL1)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The relay switch RL1 is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nd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is switched.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performs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by pulling the iron piece by the relay switch.

상기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serves to induce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by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do.

상기 통신 제어부(1120)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ler 1120 switches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to switch the relay switch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are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while turning off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nd to turn off the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nd maintains the communication state by continu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통신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간격유지수단(1133a)과,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ircuit board 1131 for operation, a wire piece 1132 for connection to a power supply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signal control unit, a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1133, a second resilient holding means 1134, (1133a),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The circuit-operating piece 1131 contacts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relays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상기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connection iron piece 1132 is design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When the circuit operation iron piece 1131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hereby inducing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상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are always kept in the off state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relay switch is operated, the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to be coupled with the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is overla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sw1 is switched So that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is stopped, the state of attaching the circuit breaker 1131 continues to maintain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At this time, when the circuit breaker 1131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the communication piece 1132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상기 간격유지수단(1133a)은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유지수단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유지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의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유지수단(1133a)을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gap maintaining means 1133a guides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without being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re engaged, 1133 and the second resilient holding means 1134 can be more smooth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action of the gap maintaining means at the time of disassembly. If the gap maintaining means is not present,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re directly attached to each other, so that mutual separation becomes difficult later.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nd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can be easily separated by further providing the gap holding means 1133a.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The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is connected to a wire for circuit operation and a wire for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wire to interrup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is stopped so tha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no longer output.

이하에서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will be described.

먼저, 통신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릴레이 스위치(RL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통신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First, a control relation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a power is applied to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to operate the relay switch RL1. Accordingly,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are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and the power is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display the communication signal.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작동을 차단하여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킨다.When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interrupts the operation of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to cut off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and simultaneously operates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한편, 만약 작업자가 통신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작동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통신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or turns off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in the middle of output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is, and then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re operated, It is possible to keep the closed circuit while moving the iron piece and at the same time return the power outputted to the communication signal control part 1140 to continuously operate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art 1150.

즉, 본 발명은 알림 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통신신호를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알림 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notification factor is not solved, the communication signal is continuously output to induce the notification factor to be solved.

즉, 제어부에서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통신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알림 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통신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통신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That is, when a switching signal is applied to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in th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signal is automatically output by returning the power source agai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operator to reliably solve the cause of the communication signal.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통신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통신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If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output a communic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no longer applies a power supply signal to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 Can be manually operated by a user to interrupt the communication signal.

10, 10a : 상황 정보 감지부
20,20a,20b : 이동형 카메라
22 : 타코 미터
30 : 카메라 동작 제어부
32 : 상황 정보 판단부
34 : 카메라 결정부
36 : 제어신호 생성부
40 : 카메라 이동 레일
1000: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
2000: 먼지 측정수단
3000: 제어부
4000: 디스플레이부
10, 10a: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20, 20a, 20b: a movable camera
22: Tachometer
30: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32: situation information judgment unit
34:
36: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40: Camera movement rail
1000: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section
2000: Dust measuring means
3000:
4000:

Claims (5)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에 있어서,
지하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하구 내부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 정보 감지부와; 이동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지하구 내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형 카메라와;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경우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 측으로 상기 이동형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카메라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 동작 제어부는, 상기 상황 정보가 획득된 상황 정보 감지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이동형 카메라들 중 하나의 이동형 카메라를 결정하는 카메라 결정부와; 상기 결정된 이동형 카메라에 대한 이동 또는 촬영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지하구 내부 일단에 설치하되, 상기 상황 정보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먼지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의해서 먼지가 기준이상 검출되면 카메라 동작 제어부가 유동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상기 카메라 동작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는 구성하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액추에이터(3)에 권취되어 소정거리 이격되게 장착되는 다수의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인접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용 전자석(2d,2e,2f)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2)과; 상기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에 전류를 흘려 자성을 형성시키고 이 자성에 의해 유동용 전자석(2a,2b,2c)과 고정용 전자석(2d,2e,2f) 사이에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액추에이터(3)를 구동시키는 송신 제어부(1)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하단에 설치되어 적외선 송신기를 전후로 유동시키는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과;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에 설치되는 적외선 송신기의 출력을 변동시키기 위한 오목렌즈군(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적외선 송신기 유동수단(4)은,
엑추에이터(3)의 일측 외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오목렌즈군(5)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외부로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용 소자(4a)와, 상기 적외선 송신용 소자(4a)를 유동시키기 위한 이동바(4b)와, 상기 이동바를 움직여서 적외선 송신용 소자를 좌우로 유동시키는 솔레노이드(4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
A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a camera,
At least on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and acquiring situation information inside the underground hole; At least one movable camera having a moving means and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underground sphere; And a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for moving the mobile camera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in which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camer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one of the mobile camera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in which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moving or photographing the determined movable camera;
A dust measuring uni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underground spher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sensing unit to measure dust;
And a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for recognizing a situation where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flows when the dust is detected by the dust measuring unit, and for outputting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unit;

Wherein the dust measuring means comprises:
An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for emitting an infrared ray; an infrared ray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ray transmitting means and determining the inflow of dus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receiving amount, (C) for controlling the input voltage of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to increase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infrared receiving means (B) is smaller than a set value;
The infrared transmitting means (A)
A plurality of moving electromagnets 2a, 2b and 2c wound around the actuator 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lurality of fixed electromagnets fixedly install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2d, 2e, 2f); 2b and 2c and the stationary electromagnets 2d and 2e by flowing a current to the moving electromagnets 2a and 2b and 2c and the fixing electromagnets 2d and 2e and 2f, (2f), and drives the actuator (3); An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4)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to flow the infrared transmitter back and forth; And a concave lens group (5) for varying the output of an infrared transmitter installed in the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The infrared transmitter flow means (4)
An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4a for outputting an infrared ray to the outside in proximity to the concave lens group 5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one side of the actuator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olenoid (4c) for moving the infrared ray transmission element to the left and right by moving the movement ba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의 하단에는, 작동 민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끼움용 홀(6a)과, 상기 끼움용 홀에 삽입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3 무게조절핀(6b)을 포함하는 움직임 속도 조절수단(6)을 더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tuator 3 includes first through third fitting holes 6a for adjusting operational sensitivity and first through third weight adjusting pins 6b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And further comprises a motion speed adjusting means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렌즈군(5)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적외선 송신기 변환수단의 움직임 작동에 의해서 함몰 정도가 다른 렌즈가 선택되면서 다른 강도의 적외선 광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25도인 제 3 오목렌즈(5c)와;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15도인 제 2 오목렌즈(5b)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52)의 윗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5도인 제 1 오목렌즈(5a)와;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5c)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35도인 제 4 오목렌즈(5d)와;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5d)의 아랫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가 45도인 제 5 오목렌즈(5e)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cave lens group (5)
And a lens having different degrees of depression is selected by a movement operation of the infrared transmitter converting means so as to be able to output infrared rays of different intensity,
A third concave lens 5c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working rod and having a concave angle of 25 degrees;
A second concave lens 5b provided on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having a concave angle of 15 degrees;
A first concave lens 5a provided on the second concave lens 152 and having a depression angle of 5 degrees;
A fourth concave lens 5d which is used when the infrared ray is to be output with a higher light output and is provided below the third concave lens 5c and has a concave angle of 35 degrees;
And a fifth concave lens 5e which is used when the infrared light is to be outputted with a higher intensity and is to be output and which is provided below the fourth concave lens 5d and has a concave angle of 45 degrees. Monitor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동작에 상응하여 동작하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Q2)와;
베이스에 입력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회로를 스위칭 시키는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Q3)와;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Q4)와;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신호가 통신신호 출력부(1150)를 통해 출력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통신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3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4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시켜,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통신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통신상태를 지속시키는 통신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통신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제 1 탄성유지수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서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제 1 탄성유지수단이 겹쳐지면서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제 2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1131)이 동작하면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통신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2 탄성유지수단(1134)과 제 1 탄성유지수단(1133)이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탄성유지수단(1133)과 제 2 탄성유지수단(1134)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유지수단(1133a)과;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통신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통신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통신신호 출력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통신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원격감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mmunication signal automatic output unit 1000,
A power supply unit 111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by its own power supply;
A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 for switching a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to the base;
A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2 which operate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switches the power source output from the power source unit;
A third switching transistor Q3 for switching a circuit according to a switching signal input to the base;
A fourth switching transistor Q4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switches the power supply unit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A relay switch RY3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nd generating a magnetic force when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is switched;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energizing the circuit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A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witch sw2 for inducing a communication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1150 by supplying power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while the iron wire is pulled by the relay switch, Wow;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re switched to induce switching of the relay switch so that the first circuit connecting switch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ignal output power source switch are switched, and then the third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fourth switching transistor A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configured to turn off the transistor and to switc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so that the relay switch is turned off and simultaneously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transistors are turned on,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20 for maintaining the switching state of the switch and continuing the communication state;
A circuit breaker 1131 for contacting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relaying power from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o continue the flow of power;
And a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power supply unit for connecting the power supply to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1140 to induce the communication device to operate when the circuit operation operating wire 1131 is turned on, A steel wire piece 1132;
A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it operation steel plate 1131 and guiding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and the circuit operation wire 1131 to be kept in the off state at all times when the relay switch is not operated )and;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installed abov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ven if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switched and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is stopped while the first circuit connection switch sw1 is engaged with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while the first circuit breaker 1131 is pulled and the first resilient holding means is overlapped,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ng wire 1131 continues to maintain the power supply state through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operates to automatically output the communication signal when the wire piece 1131 for circuit operation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
The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the first elastic holding means 1133 are guid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gap without being directly coupl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holding means 1134 and 1133 are engaged, Spacing means (1133a) for guiding the means (1134)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naturally during disassembly;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unit by turning off the wire for the circuit operation and the wire for connecting th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control unit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mmunication wire for interrupt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signal, And a manual operation switch (1135) for guiding the communication signal to cease to output a communication signal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KR1020170152215A 2017-11-15 2017-11-15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KR101850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15A KR101850353B1 (en) 2017-11-15 2017-11-15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15A KR101850353B1 (en) 2017-11-15 2017-11-15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353B1 true KR101850353B1 (en) 2018-04-19

Family

ID=6208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215A KR101850353B1 (en) 2017-11-15 2017-11-15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35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61B1 (en) 2018-12-17 2019-11-22 (주)에스유지 Port Underground Surveillance System of IoT Platform MOBIUS-based
KR102080713B1 (en) 2019-06-21 2020-02-24 (주)금성계전 Communication area monitor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16B1 (en) 2006-10-18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d lamp refl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16B1 (en) 2006-10-18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d lamp refl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61B1 (en) 2018-12-17 2019-11-22 (주)에스유지 Port Underground Surveillance System of IoT Platform MOBIUS-based
KR102080713B1 (en) 2019-06-21 2020-02-24 (주)금성계전 Communication area monit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353B1 (en) A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managing underground buried objects using camera
KR101439399B1 (en) Monitor for optical fiber composite cable in power transmission or supply of electric power or transformation of electric power
KR101399045B1 (en) Distribution line protection panel for underground line
CN106559653B (en) Nearly electricity operation safe monitoring early warning system
KR20150040099A (en) Monitoring system of water level for prevention of disaster
EA003803B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CN107524884A (en) A kind of piping lane monitoring system
KR101907565B1 (en) Power auto conversion box
KR20090095966A (en) System for investigating state of manhole
KR102382151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disorder on a switchboard
KR101113070B1 (en) Integrated realtime system for managing a watercourse
KR101529563B1 (en) Power Equipment Monitoring system using Mesh Network-Smart Sensor.
KR101909157B1 (en) Fire alarm system using water flow detection in fire pipe
CN108639111A (en) Road junction controls alarm system
KR20100001685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nderground common tunnel
KR101133240B1 (en) Water level controller of water tank using remote control
CN206920899U (en) Field system is patrolled at a kind of customer service scene based on track
KR101928781B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dition of underground cable
CN112233269A (en) Automatic inspection system of water supply equipment
KR102254007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position of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KR101724094B1 (en) Led distribution line insulation structure for lighting of apartment house
CN105489414A (en) Video ranging-based position monitoring and displaying method for open high-voltage isolating switch
KR20150040395A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Floodgate Using Power Control Device
KR102468546B1 (e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management system for telegraph pole using IoT
KR102020047B1 (en) Control apparatus for mushroom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