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853B1 -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853B1
KR102385853B1 KR1020190101090A KR20190101090A KR102385853B1 KR 102385853 B1 KR102385853 B1 KR 102385853B1 KR 1020190101090 A KR1020190101090 A KR 1020190101090A KR 20190101090 A KR20190101090 A KR 20190101090A KR 102385853 B1 KR102385853 B1 KR 10238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information
customer
materials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753A (ko
Inventor
조윤호
강동준
Original Assignee
조윤호
강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호, 강동준 filed Critical 조윤호
Priority to KR102019010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자재의 특성에 따라 비표준화된 제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팩스 또는 기타 수단으로 발주 처리를 진행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시스템을 통해 발주에 대한 전자적인 기록을 남기고 이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An order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 자재의 특성에 따라 비표준화된 제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팩스 또는 기타 수단으로 발주 처리를 진행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시스템을 통해 발주에 대한 전자적인 기록을 남기고 이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막대한 수의 컴퓨터들과 이들 컴퓨터들을 통신 링크들을 통하여 상호 접속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들로 구성된다.
상호 접속된 컴퓨터들은 다양한 서비스, 예를 들면 전자 우편, 고퍼 그리고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월드 와이드 웹은 서버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면 웹서버 혹은 웹사이트)이 정보의 도해적인 웹페이지들을 원격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에 보내지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원격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 받은 다양한 화면의 웹페이지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목자재, 타일, 욕실자재 등과 같은 비표준화된 건축자재를 구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일일이 가공의뢰를 하여야 했고, 특히 건설현장에서 대다수를 차지하는 소규모 건축업자인 경우, 가공을 원하는 건축자재의 물량이 많지 않아서 가공자(가공 공장 등)에게 가공을 의뢰하지 못하거나 가공을 의뢰하더라도 고가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건축자재를 대형 건설사의 경우에는 자체 조달할 수 있으나, 이외에 중견, 중소 건설사나 대형 건설사 등에서도 별도의 건축자재 생산자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여 왔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건축자재를 필요한 만큼만 가공하여 사용하지 못하고, 대량으로 구비하여 대량으로 폐기 처분할 수밖에 없어 가공 공장 등에서 공동으로 목자재 가공 작업과 같은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의 미비로 수공작업 등에 의존하여 시간적인 손해와 더불어 경제적으론 가공비용과 창고비용이 증대되며,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에 수많은 종류의 건축자재를 필요한 수만큼 조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즉, 수용자는 다수의 공급자를 찾아서 가격을 견적 받고, 견적 받은 내용을 검토하여 구매결정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건축자재에 대해서 최선의 가격과, 제품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구매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공급자 입장에서도 구매자들에게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광고를 하고, 영업을 해야 하므로, 경쟁이 치열해짐은 물론 비용이 증가하고, 결국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악순환이 되고 있으며, 다수의 공급자들은 상품을 직접 배송하는 것이 아닌, 서로 다른 배송업체와 계약하여 해당 배송업체를 통해 일괄적으로 배송을 수행함에 따라, 배송에 따른 고객 불만사항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6436호 (2010년 05월 0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 자재의 특성에 따라 비표준화된 제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팩스 또는 기타 수단으로 발주 처리를 진행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시스템을 통해 발주에 대한 전자적인 기록을 남기고 이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진행할 수 있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고객으로부터 건축자재를 주문받아 발주하는 발주사와, 상기 발주사로부터 받은 주문에 따라 건축자재를 생산 또는 유통하여 상기 발주사로 공급하는 협업사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하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협업사에서 취급하는 건축자재의 정보를 수용 및 홍보하고, 이를 고객에게 공개하여 고객의 선택을 회수하며, 상기 고객의 선택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발주하는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자재의 생산, 유통을 담당하는 협업사에게 전달하는 협업서버; 및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및 협업서버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및 협업서버에서 생성 또는 전달된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 및 협업사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고객의 건축자재 의뢰에 관한 정보를 리스트로 변환하고 이를 협업서버로 전송하는 의뢰 리스트 작성 프로그램;
발주 후 건축자재의 현장 사진, 시공 사진, 시공 후기 및 협업사에 대한 고객의 평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시공정보를 게재하고, 구매 건축자재에 대한 고객의 애프터서비스 요청을 관리하는 고객 관리 프로그램;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협업사의 시공정보, 건축자재의 판매 실적, 키워드 해시태그 및 협업사의 자체광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홍보정보를 게재하는 홍보 관리 프로그램; 및
발주 금액에 대한 통계 및 원가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업(판매)관리, 구매관리, 재고장부보고서, 거래명세표, 거래관리시스템, 거래처미수금관리, 세금계산서, 월말거래명세표, 월말세금계산서, 판매자금계획, 판매미수금조회, 재고관리, 이익관리, 구매현황, 미수금현황, 판매단가관리, 규격관리, 프로젝트관리, 미수금한도관리, 일괄자료등록, 수입부대비용관리 및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경영 지원 서비스를 고객과 협업사에 제공하는 경영 지원 프로그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고객의 건축자재 의뢰에 관한 정보를 리스트로 변환하는 의뢰 리스트 작성 프로그램;
상기 리스트를 협업사에게 발주 가능한 정보로 변환하는 정보 생성 프로그램; 및
상기 생성된 정보를 협업사에게 발주하는 발주 프로그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홍보 관리 프로그램은,
협업사의 홍보정보 노출빈도, 고객의 건축자재 검색빈도, 협업사별 고객의 건축자재 구입빈도 및 고객의 선호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검색 키워드에 따라 고객이 협업사를 정렬 및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정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고객 및 협업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협업사별 건축자재의 재고량, 건축자재의 제조 유형, 건축자재의 규격, 건축자재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의 수량, 건축자재의 소재, 고객의 선호 건축자재, 건축자재의 비용, 재료의 가격, 건축자재의 추가 가공 여부 및 건축자재의 제조시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발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발주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업서버는,
상기 협업사를 제조사 및 유통사로 구분하고, 상기 협업사 별로 건축자재의 생산 또는 재고 여부에 따라, 상기 제조사 및 유통사 간에 생산, 공급, 유통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주문을 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자재의 제조 시 각 제조사별로 재료의 재고량, 필요소요량 및 누적소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재료의 사용처를 추적 관리하고 그에 따른 재료의 적정 재고를 유지하는 생산관리모듈;
상기 건축자재의 출하, 발주, 상기 재료의 발주 시 각 협업사별로 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지급전표, 수수료전표를 발행하고, 출하에 따른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변동정보를 생성하는 정산관리모듈; 및
상기 정산관리모듈에서 각 협업사별로 재고변동정보를 전송받아 보관된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현황을 확인하고, 상기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입고관리, 출고관리, 이동관리, 외주관리, 불량관리, 창고이동관리, 로트관리, 작업지시서, 구매계획, 원가관리, 이익관리 및 반품관리를 진행하는 재고관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생산관리모듈은,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 받은 고객의 건축자재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건축자재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의 수량, 재료의 가격, 재료의 가공방법, 재료의 가공시간, 작업준비시간, 건축자재의 생산수율 및 가공원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건축자재제조정보와 대조하여 필요한 재료의 수량 및 가격을 산출한 생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재고관리모듈은,
상기 생산관리모듈로부터 생산정보를 송부 받아 보관된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와 대조하여 출고정보를 생성하거나 구매요청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산관리모듈은,
상기 재고관리모듈로부터 출고정보를 송부 받아 상기 건축자재의 제조에 따라 발생하는 매출액, 입금액 및 수수료를 산출하여 정산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구매요청정보를 송부 받아 상기 건축자재 또는 재료의 부족분을 타 협업사에 발주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매입액 및 수수료를 산출하여 정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협업서버는,
상기 고객의 발주에 따른 건축자재의 생산 시 건축자재제조정보를 수득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건축자재제조정보를 취합하여 각 협업사별 건축자재의 제조 수율, 건축자재의 재고회전율 및 재료 사용률을 일정 기간별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자재 생산 일정, 건축자재 생산 방법, 건축자재의 재고관리 방법, 재료의 재고관리 방법 및 건축자재의 개량 방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협업사관리계획을 각 협업사로 송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주 통합 시스템은 건축 자재의 특성에 따라 비표준화된 제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존의 팩스 또는 기타 수단으로 발주 처리를 진행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시스템을 통해 발주에 대한 전자적인 기록을 남기고 이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주 통합 시스템은 각 사용 주체인 고객과 협업사 간에 견적, 발주, 거래명세서, 매입 등의 전 거래 과정이 전자발주로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건축자재를 공급하고 구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자재의 발주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자재의 발주 방법 중 협업사 간의 발주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간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발주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간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협업사에 발주하는 간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구체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module)", "...부(unit), "...단말(terminal)",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이 조합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축자재’는 건물의 건축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외장재 및 내장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벽돌, 시멘트 이외에도 목재, 데크, 페인트, 벽지, 바닥재, 욕실자재, 가구, 블라인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고객과, 상기 고객으로부터 건축자재를 주문받아 발주하는 발주사와, 상기 발주사로부터 받은 주문에 따라 건축자재를 생산 또는 유통하여 상기 발주사로 공급하는 협업사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하는 시스템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시스템은, 협업사(2)에서 취급하는 건축자재의 정보를 수용 및 홍보하고, 이를 고객(1)에게 공개하여 고객의 선택을 회수하며, 상기 고객의 선택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발주하는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100);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자재의 생산, 유통을 담당하는 협업사(2)에게 전달하는 협업서버(200); 및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및 협업서버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및 협업서버에서 생성 또는 전달된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 및 협업사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고객(1)은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100)에 필요한 건축자재를 검색하거나, 검색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문을 기입하며, 건축자재를 받아 시공을 한 후의 건축자재의 현장 사진, 시공 사진, 시공 후기 및 협업사에 대한 고객의 평가 등을 기입하며, 필요에 따라 건축자재의 애프터서비스(After Service, AS) 및 건축자재 전반에 관한 상담 요청을 진행할 수 있다(a).
또한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100)은 상기와 같은 고객의 사용(a)에 대응하여 주문한 건축자재에 대한 견적서 및 계약서를 송부할 수 있으며, 계약에 따른 금액청구서를 송부할 수 있다(b).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고객의 주문을 데이터화한 발주를 상기 협업서버로 보낼 수 있다(c). 상기 협업서버에서는 이에 대응하여 발주에 관한 거래명세서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 보내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d).
또한 상기 협업사간의 건축자재 가공, 구매, 유통 등의 주문이 진행될 경우 이에 대하여 협업서버에서 다른 협업사에 2차발주를 보낼 수 있으며, 2차발주에 따른 거래명세서를 주문 요청자인 협업사에 보낼 수 있다(e1, e2).
상기 협업사간 주문과는 별개로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고객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검색내역, 주문내역, 시공정보내역, AS 및 상담 요청 내역 등을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로 보내 이를 저장하며(f),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는 기존에 보유하는 건축자재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 즉 건축자재의 재고량, 건축자재의 제조 유형, 건축자재의 규격, 건축자재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의 수량, 건축자재의 소재, 고객의 선호 건축자재, 건축자재의 비용, 재료의 가격, 건축자재의 추가 가공 여부 및 건축자재의 제조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 보내 이를 갱신하여 사용자가 항상 최신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g).
또한 상기 협업서버에서는 고객에게 받은 발주와 협업사간의 2차발주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건축자재의 제조 및 가공 시 소요시간, 제조 및 가공 비용, 재료의 소요량, 재료비용 등 전반적인 발주내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h). 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축자재의 제조 수율, 건축자재의 재고회전율 및 재료 사용률을 일정 기간별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자재 생산 일정, 건축자재 생산 방법, 건축자재의 재고관리 방법, 재료의 재고관리 방법 및 건축자재의 개량 방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협업사관리계획을 협업서버로 송부하여 협업사의 경영을 지원할 수 있다(i).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자재의 발주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먼저 데이터베이스서버는 건축자재정보센터(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KIRA)에서 선정한 자재분류체계를 바탕으로 건축자재를 특정하고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다음, 이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100)에 제공한다(s1).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이를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가공하여 협업사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
협업사는 상기와 같이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서 제공받은 인터페이스에 맞춰 취급하는 건축자재에 관한 정보를 갱신하여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업로드한다(s3).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이를 위해 카테고리, 이미지 데이터, 가격, 건축자재 등록 협업사 정보 등의 건축자재와 관련된 정보를 게재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협업사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게재하여 고객 및 협업사 등이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 이때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협업사가 등록한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와 연관하여 고객이 다수의 협업사가 판매하는 건축자재 정보 중에 원하는 특정 협업사의 건축자재 정보만을 접근할 수 있도록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업사 A와 B가 각각 목자재에 대한 정보를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A가 판매하는 목자재(A001)와 B가 판매하는 목자재(B001)에 각각 다른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협업사 정보와 연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번호에는 건축자재의 종류, 재질, 가격, 구매 가능 수량, 판매자 정보, 사은품 정보 등이 함께 연동되고, 고객이 목자재를 검색한 후에 A의 목자재를 선택하는 경우, 이에 대한 연동 정보를 고객이 확인할 수 있는 웹페이지 등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한다(s5).
고객은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키워드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키워드 검색 또는 카테고리 검색을 이용하여 상기 건축자재의 종류, 규격, 가격, 취급 협업사 등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성정할 수 있다(s7).
이에 대해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고객의 검색 퀴리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검색 퀴리에 맞는 정확한 검색 결과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s7). 예를 들어 고객이 목자재에 대한 검색을 낮은 가격 순으로 정렬하도록 검색 퀴리를 입력한 경우,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상기 검색된 건축자재에 포함된 가격 정보에 따라 소팅(sorting)하여 정렬한 결과를 고객에게 보여준다. 이를 통해 고객은 자신이 원하는 기준에 부합하는 건축자재를 쉽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다시 입력(s8)하고,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이를 회수하여(s9) 고객의 구매 내역을 확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고객이 구매한 건축자재의 종류, 건축자재 구매 개수, 건축자재의 가공 형태, 건축자재의 배송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발주 정보를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건축자재의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생성(s10)하여 이를 각각 해당 협업사와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다(s11a, s11b).
상기와 같이 고객이 구매 대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면, 고객은 구매 대금을 협업사에 직접 이체하거나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이체할 수 있다. 이때 구매 대금의 신용결제 시스템과 승인 방법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대금결제 방법,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이용한 신용결제 시스템, 특화된 보안모듈을 이용한 전자결제시스템 등, 선행기술에 따라 진행하여도 무방하다.
협업사는 고객의 발주정보를 확인한 후(s11b), 발주받은 건축자재를 생산하거나 재고를 확인한다(s12). 이 경우 상기 건축자재의 생산 또는 재고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발주를 받은 협업사에서 다른 협업사에 2차발주를 할 필요 없이 단독으로 발주를 처리할 수 있을 경우, 발주받은 건축자재를 생산하거나 재고를 확인하여 준비한 후(s12a), 건축자재의 배송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배송한다. 상기와 같이 건축자재를 인도(s13)받은 고객은 해당 건축자재를 사용하여 시공한 후, 건축자재의 현장 사진, 시공 사진, 시공 후기 및 협업사에 대한 고객의 평가, 시공 후 AS 요청 등의 내용을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기입할 수 있다(s14).
이와는 다르게 발주를 받은 협업사에서 다른 협업사에 2차발주를 하여야 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먼저 발주 정보를 확인하고, 2차발주가 필요한 부분, 예를 들어 부족한 건축자재 또는 재료의 공급 요청, 건축자재의 가공 요청 등과 같은 내용을 결정한다(s12b-1). 그리고 2차 발주가 가능한 협업사가 게재된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2차발주 협업사를 검색하고 이를 선택하여 기입하여 2차발주를 진행한다(s12b-2).
2차발주를 받은 협업사는 발주내용을 확인하고(s12b-3), 건축자재를 생산하거나 가공 또는 재고를 확인하여 협업사에 공급한다(s12b-4). 이와는 별개로 고객으로부터 발주를 받은 협업사에서도 생산 또는 공급 가능한 분량의 건축자재를 생산하거나 재고를 확인하여 공급을 준비한 후(s12b-4), 고객이 발주한 건축자재 분량을 확보하여 인도할 수 있다(s12b-5).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이용 방법을 통해 건축자재를 등록하는 협업사가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 등을 입력하여 건축자재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등록하는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일원화하고,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는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고객이 등록된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함으로써 각 협업사가 등록한 건축자재 전체에 대한 비교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협업사에서도 건축자재에 관한 생산, 가공, 유통 등 전반적인 활동을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발주 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발주 데이터를 전달받은 협업사에서 상기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건축자재의 재고가 부족하거나 가공이 어려울 경우, 다른 협업사에 상기 발주 데이터에 포함된 건축자재의 생산 또는 가공을 의뢰하는 2차발주를 진행하여 건축자재의 준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협업사 간 업무처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주 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협업사에서 발주 데이터에 따른 건축자재의 대금 정보를 고객의 API로 제공하고, 상기 건축자재의 시공 후, 시공 현장 사진, 사용 후기 등의 시공 정보를 상기 API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협업사에 전달함으로써 발주 후에도 고객에 대한 협업사의 사후관리를 강화하여 고객의 만족도와 충성심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A)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100)은 상기 협업사가 보유하거나 생산, 가공 가능한 건축자재, 예를 들어 목자재, 타일, 욕실자재, 조명, 벽지, 바닥재, 가구, 블라인드 등을 고객에게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제공하며,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데이터 형태로 협업사에 발주하여 협업사와 고객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상기 협업사의 건축자재 보유 정도, 건축자재 가공 형태, 규격 등을 일종의 광고 형태로 게시하며, 상기 고객은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확인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나 개인 단말기를 통해 협업사로부터 전달받은 건축자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객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상기 건축자재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건축자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문의할 수 있다. 상기 문의는 상기 발주와 동일하게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협업사에 전달되며, 전달된 문의에 대한 답변도 상기 협업서버를 통해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객은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상에 표시된 건축자재의 상품정보, 가공정보 등의 서비스를 확인한 후, 해당 상품을 보유하거나 가공 가능한 협업사에 발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주 데이터는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발주서버에 수집된다.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상기 발주사가 운영하며, 고객과 협업사를 연결하는 일종의 연결통로로, 고객이 확인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협업사의 건축자재 데이터베이스가 노출되며, 이외에도 상기 고객의 협업사에 대한 서비스 문의 및 상기 문의에 대한 답변을 화상을 통해 제출 또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상기 협업자 및 고객이 계정을 통해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주서버는 상기 계정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협업자 및 고객이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접속할 때 회원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상기 발주서버의 관리에 따라 고객, 협업사 및 관리자별로 각각 다른 접근 권한 및 인터페이스를 부여하며, 각 사용자는 자신이 부여받은 권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로 확인 및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인터넷에 의한 통신 기능(터미널, 어댑터 등을 이용하는 기능) 또는 모뎀에 의한 통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발주서버, 상기 발주서버와 협업서버 및 데이터베이스서버 간에는 인터넷 회선을 포함하는 전용 회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기반으로 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표현되는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이 도시되는 화면을 가지며, 상기와 같은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고객이 원하는 때에 바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도 1과 같이 고객이 원하는 건축자재에 관한 정보, 발주 내용을 수용하고, 이를 협업서버로 전송하는 의뢰 리스트 작성 프로그램(110), 발주 후 고객의 건축자재 시공 후기 등을 포함하는 시공정보를 게재하거나 건축자재에 관한 고객의 사후관리(애프터서비스) 요청을 기입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는 고객 관리 프로그램(120),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협업사의 시공 정보, 고객의 후기, 건축자재의 판매 실적, 자체 광고 등을 포함하는 홍보정보를 게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노출하는 홍보 관리 프로그램(130) 및 건축자재 발주에 따라 발생하는 통계 및 원가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 또는 협업사에게 영업(판매)관리, 구매관리, 재고장부보고서, 거래명세표, 거래관리시스템, 거래처미수금관리, 세금계산서, 월말거래명세표, 월말세금계산서, 판매자금계획, 판매미수금조회, 재고관리, 이익관리, 구매현황, 미수금현황, 판매단가관리, 규격관리, 프로젝트관리, 미수금한도관리, 일괄자료등록, 수입부대비용관리 및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의 경영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영지원 프로그램(14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된 의뢰 리스트 작성 프로그램(110)을 통해 원하는 건축자재의 가공, 구입, 문의 등에 대한 의뢰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의뢰 리스트 작성 프로그램은 상기 의뢰정보를 협업사에게 발주 가능한 정보로 변환한 후, 이를 협업서버로 발주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발주 가능한 정보로 변환한 후, 협업서버와 동시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로도 정보를 송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의뢰정보는 고객에 대한 정보, 원하는 건축자재의 종류에 관한 정보, 원하는 가공 방식에 관한 정보, 원하는 배송 일자에 관한 정보, 배송 장소에 관한 정보, 가공하기를 원하는 건축자재의 외관에 관한 정보, 상기 건축자재의 굵기, 길이 등 각종 규격에 관한 정보, 건축자재의 수량에 관한 정보, 건축자재의 단가에 관한 정보, 기타 문의사항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120)은 고객의 발주 후, 해당 건축자재의 시공정보, 해당 건축자재를 공급한 협업사에 대한 고객의 평가 등을 게재할 수 있는 일종의 인터페이스로, 발주 후에 고객이 해당 건축자재를 사용한 사진, 예를 들어 시공 현장의 사진, 해당 건축자재의 시공사진 등과, 해당 건축자재에 대한 고객의 사용 후기, 발주를 받은 협업사의 후기 등의 건축자재 사용정보를 게재하여 고객과 협업사가 교환하는 일종의 공유 경계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은 해당 건축자재에 대한 고객의 사용 정보를 협업사 또는 다른 고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다른 고객들의 건축자재 구입을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건축자재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fter service)의 필요 유무를 협업사에게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상기 건축자재 사용정보와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고객의 발주내역을 함께 게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건축자재의 구매정보를 다른 고객이 함께 확인할 수 있으며, 협업사의 경우 구매정보 중 구매한 건축자재나 구매일 등을 확인하여 해당 건축자재를 구입한 고객의 건축자재 교체, 건축자재의 수리, 추가 가공 등과 같은 애프터서비스에 대한 시기를 예측하여 협업사가 고객에게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애프터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다.
상기 홍보 관리 프로그램(130)은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등록된 협업사를 고객에게 보다 쉽고, 정확한 내용으로 알리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복수의 홍보정보를 확보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게재할 수 있다.
상기 홍보정보로 예를 들면,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기입하였던 고객의 발주 후 건축자재의 현장 사진, 시공 사진, 시공 후기 및 협업사에 대한 고객의 평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건축자재의 판매 실적, 사용자의 검색 결과와 문의, 상담, 제안 등을 받은 결과를 보관하고 이를 압축한 키워드 해시태그, 협업사의 자체 광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홍보 관리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위치기반서비스 등과 연계하여 고객이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협업사를 쉽게 찾아내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 홍보 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한 협업자에게 별도의 광고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우수한 광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객과 사용자간에 직접 광고, 홍보를 통한 판매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위치기반서비스와 연계하여 고객의 주변 협업사를 자동검색하고 이를 매칭해주는 알림 요청서비스를 상기 홍보정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홍보 관리 프로그램은 협업사의 홍보정보 노출빈도, 고객의 건축자재 검색빈도, 협업사별 고객의 건축자재 구입빈도 및 고객의 선호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검색 키워드에 따라 고객이 협업사를 정렬 및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정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맞춤형 정렬 서비스는 상기 홍보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다루는 협업사의 홍보정보와 고객의 검색 성향, 검색 빈도, 구입 빈도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하여 고객이 협업사를 더 쉽고 빠르게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고객 또는 협업사의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에 따라 협업사의 광고효과를 극대화하여 홍보 및 관리에 따른 비용을 대폭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영 지원 프로그램(140)은 발주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전반적인 정리뿐만 아니라, 재고관리, 미수금, 세금계산서 등 전반적인 경영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고객과 협업사 등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사용자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영 지원 서비스는 먼저 발주 금액에 대한 통계, 예를 들어 세금을 포함하는 거래대금, 순이익, 매출액, 거래량, 현금흐름 등을 원가와 함께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업사에는 영업(판매)관리, 재고장부보고서, 거래관리시스템, 거래처미수금관리, 판매자금계획, 판매미수금조회, 재고관리, 이익관리, 미수금현황, 판매단가관리, 규격관리, 프로젝트관리, 미수금한도관리, 일괄자료등록, 수입부대비용관리 및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을 제공하며, 고객에게는 구매관리, 거래명세표, 세금계산서, 구매현황 등의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영 지원 서비스는 발주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재무관련 정보를 정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건축자재의 구입 또는 판매에 따른 주요 통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기간별, 협업사별, 건축자재별로 통계를 쉽게 산출할 수 있어 지속적인 고객 관리가 용아하며, 장기적 경영업무 지원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 가능하다.
상기 발주서버는 정기적으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게재된 협업사의 건축자재 판매, 가공, 유통에 관한 광고 데이터 및 상기 협업사에 발주한 고객의 발주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전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데이터들을 정렬하고 이를 가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상기 가공된 데이터들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협업사의 광고에 대한 고객 접속 횟수, 판매 횟수를 협업사별로 정렬하여 고객에게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정렬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접속 횟수 또는 판매 횟수가 일정 이상인 경우 이를 포인트로 환산하고 고객이나 상기 협업사에게 현금 형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고객의 구입 및 협업사의 광고 게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주서버의 구입, 광고 확인과 같은 데이터들의 수집은 정기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나, 상기 고객의 광고 확인 시 또는 주문 발주 시 상기 발주서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바로 상기 데이터들을 송신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객의 발주 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고객 및 협업사의 정보 제공에 근거하여 실제 거래 실적에 따라 고객 및 협업사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바탕이 되며, 이를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게재하여 건전한 상거래를 유도할 수 있다.
(B) 협업서버
본 발명에서 상기 협업서버(200)는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받은 발주 정보를 상기 협업사들에게 전달하며, 이외에도 도 5와 같이 상기 협업사들 간의 2차발주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협업서버는 상기 협업사들의 취급하는 건축자재의 종류, 수량, 규격, 건축자재의 가공 가능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취급할 뿐만 아니라, 상기 협업사들 간의 협약에 의해 동종 또는 이종의 건축자재를 취급하는 협업사 간의 상품정보를 각 협업사들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협업사들은 상기 협업서버를 통해 서버 대 서버(server to server) 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협업사들이 사용하는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고객들이 이용하는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과 다른 정보를 게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협업사들이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접속하면, 고객들의 발주 내용이나 문의 내용이 표시되며, 동시에 상기 협업사들 간의 2차발주 내용이나 문의 내용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발주 내용이나 문의 내용 이외에도 상기 협업사들 간의 건축자재 보유량, 종류, 가공 유무 등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협업서버는 상기 고객들의 발주 내용을 각 협업사들에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협업사 별로 건축자재의 생산 또는 재고 여부에 따라 생산, 공급, 유통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주문을 하나의 협업사에서 다른 협업사로 발주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협업사들 간의 2차발주를 관리하고 해당 내용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서버로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협업서버는 수요자에게 건축자재의 공급시간을 줄여줌과 동시에 각 협업사들 상호간에 교차판매(crossing sale)를 가능케 함으로써 건축자재의 판매량을 늘리고, 마케팅 비용을 줄여 궁극적으로 협업사들 전체의 수익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업서버를 통해 고객은 동종 또는 이종의 건축자재를 취급하는 협업사들에 대한 개별적인 검색, 조사가 없이도 협업사들이 제공하는 건축자재의 범위 내에서 원하는 건축자재를 동일한 인터페이스인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구매함으로써 구매활동이 용이해지고, 구매비용 및 구매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 고객들은 건축자재의 구매와 관련된 제반 행동, 즉 건축자재의 검색, 구매, 가공, 결제, 배송, 반품 및 환불 등에 대한 사항을 모두 자신들이 선택한 협업사를 통해 처리할 수 있으므로 고객은 하나의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서 편안하게 건축자재의 구매, 가공 등과 관련된 행위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협업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고객과 협업사, 협업사와 협업사들 간의 거래 유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협업사는 건축자재의 생산 유무에 따라 건축자재를 직접 생산하는 제조사 및 상기 제조사로부터 건축자재를 구입하여 고객에게 되팔거나 구입한 건축자재를 가공하여 판매하는 유통사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임의의 한 제조사 또는 유통사가 자신이 보유하는 고유의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만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경우다. 이는 단일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의 가장 일반적인 전자상거래(B2C) 유형에 해당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고객이 임의의 한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 건축자재에 대한 공급을 발주 받았으나, 해당 건축자재를 일시적으로 공급할 수 없는 상황일 때, 해당 건축자재를 보유하는 다른 제조사 또는 유통사로부터 해당 건축자재를 공급받아서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경우다. 이 경우, 상기 고객이 발주를 요청한 임의의 한 제조사 또는 유통사가 원래 해당 건축자재를 보유하고 있다 재고 부족 등의 이유로 부득이하게 공급할 수 없는 경우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해당 건축자재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제조사 또는 유통사가 취급하는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 고객에게 자신이 취급하는 상품처럼 정보를 제공하여 대리 판매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고객이 여러 협업사들의 광고를 검색하여도 원하는 건축자재를 찾지 못했을 경우, 해당 협업사들로부터 건축자재 정보를 수집하여 최대한 유사한 건축자재에 대한 정보를 확정하고 이를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업서버는 상기 발주를 협업사별, 발주일자별 및 발주금액별로 정렬 및 관리하며, 상기 발주 시 건축자재의 생산 원가를 계산하고 그에 따른 매출원장, 청구서를 해당 협업사에 데이터로 제공하는 발주관리장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발주관리장부는 상기 협업서버 내 저장장치에 저장되며, 필요에 따라 거래에 관계된 협업사가 해당 장부를 확인하고 이를 경영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발주는 상기 협업사들 간에 요청하는 발주 이외에, 상기 고객이 협업사들에 요청하는 발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주관리장부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고객이 어떤 건축자재에 관하여 공급 요청을 발주하였으나, 해당 건축자재를 보유하고 있지 않아 다른 협업사에 해당 건축자재에 대한 공급 요청을 발주한 경우, 상기 협업사와 다른 협업사 간의 발주 내용을 파악한다. 즉, 건축자재 생산 또는 가공, 공급에 관한 주문, 작업 지시, 작업 확인과 생산, 가공, 공급 원가 확인, 협업체로 발주함에 따른 발주 청구서 작성 및 거래내역서, 영수증과 같은 매출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협업사와 협업사 간의 매출관리는 협업사와 협업사 간의 주문 목록 및 금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주문 목록에 따른 취급 분야별 지불 금액 및 총 정산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발주서버에 저장되며, 상기 협업사의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주관리장부는 협업사간의 발주뿐만 아니라, 협업사와 고객간의 발주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고객 및 협업사를 포함하는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고객 및 협업사의 발주 내용을 거래처, 일자, 금액 등의 항목으로 정렬하고, 이에 따른 발주 통계 및 건축자재의 생산, 공급, 가공 등에 따라 발생하는 제반 비용을 원가로 계산할 수 있어 비용관리에 대한 경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발주관리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협업서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협업서버는 건축자재의 제조 시 각 제조사별로 재료의 재고량, 필요소요량 및 누적소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재료의 사용처를 추적 관리하고 그에 따른 재료의 적정 재고를 유지하는 생산관리모듈(210); 상기 건축자재의 출하, 발주, 상기 재료의 발주 시 각 협업사별로 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지급전표, 수수료전표를 발행하고, 출하에 따른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변동정보를 생성하는 정산관리모듈(220); 및 상기 정산관리모듈에서 각 협업사별로 재고변동정보를 전송받아 보관된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현황을 확인하고, 상기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입고관리, 출고관리, 이동관리 및 반품관리를 진행하는 재고관리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산관리모듈(210)은 상기 협업사들 중 제조사와 관련된 것으로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받은 고객의 건축자재의 발주 정보 중 생산에 관한 발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조사가 최적의 생산 조건에 따라 건축자재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생산관리모듈은 고객의 건축자재의 생산 발주 시 해당 건축자재의 제조에 관한 전반적인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상기 정보를 송부받아 이를 바탕으로 재료의 수량 및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축자재 중 목자재의 경우, 고객이 상기 목자재의 규격, 재질 등을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기입하여 발주하면, 상기 발주를 받은 협업서버 내 생산관리모듈은 상기 목자재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의 수량, 재료의 가격, 재료의 가공방법, 재료의 가공시간, 작업준비시간, 건축자재의 생산수율 및 가공원가 등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송부받아 상기 발주와 대조하고, 이를 통해 목자재 제조 시 필요한 재료의 수량 및 가격을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생산정보는 상기 재고관리모듈(220)로 보내진다. 상기 재고관리모듈은 해당 협업사가 보유하는 건축자재 또는 건축자재 생산을 위한 재료의 재고를 일정 간격으로 파악하고 이를 수정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입출고와 부족분에 대한 구매요청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생산정보에 포함된 재료의 필요 수량과 재고량을 비교하여 상기 재료의 필요 수량이 재고량보다 작은 경우 출고정보를 생성하여 정산관리모듈로 보내며, 상기 재료의 필요 수량이 재고량보다 많은 경우 재로의 출고정보와 함께 부족한 재료에 대한 구매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출고정보와 함께 정산관리모듈로 송부한다.
상기 정산관리모듈(230)은 상기 건축자재의 생산, 가공, 판매, 구입, 재료의 구입, 판매 등에 대한 비용처리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외에도 상기 협업사 간의 건축자재 또는 구입에 대한 2차발주를 담당한다.
상기 정산관리모듈은 상기 재고관리모듈로부터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건축자재의 발주에 관한 전반적인 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고관리모듈로부터 받은 출고정보에 따라 상기 건축자재의 제조에 따라 발생하는 매출액, 입금액 및 수수료를 산출하여 정산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출고정보와 별개로 구매요청정보를 함께 송부받은 경우 상기 구매요청정보를 송부받아 상기 건축자재를 직접 2차발주하거나, 상기 건축자재의 제조에 필요한 재료의 부족분을 타 헙업사에 2차발주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매입액 및 수수료를 산출하여 정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정산정보는 건축자재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 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건축자재의 생산 시 재료가 부족하여 다른 협업사에 해당 재료를 2차발주하거나, 완성된 건축자재를 2차발주할 경우, 해당 2차발주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전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주관리장부는 이러한 협업서버에서 생성하는 생산정보, 출고정보, 구매요청정보, 정산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고객 및 협업사의 발주 내용 전반에 대한 데이터를 쉽게 관리하고, 이에 따른 발주 통계 및 건축자재의 생산, 공급, 가공 등에 따라 발생하는 제반 비용을 원가로 계산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사용자는 발주 및 피발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과, 이에 대한 경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협업서버(200)는 상기 고객의 발주에 따른 건축자재의 생산 시 생성되는 건축자재제조정보를 수득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건축자재제조정보는 시스템의 사용자에 해당 건축자재의 생산, 제조, 유통에 따른 전반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보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경영관리에 활용될 수 있다.
(C) 데이터베이스서버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300)는 데이터화한 상기 고객과 협업사 간의 발주 내역, 협업사와 협업사 간의 발주 내역을 취합하여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 및 협업사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 및 가공하며, 이때 상기 데이터는 크게 상기 고객 및 협업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 협업사별 건축자재의 재고량, 건축자재의 제조 유형, 건축자재의 규격, 건축자재의 소재, 고객의 선호 건축자재, 건축자재의 비용, 건축자재의 추가 가공 여부 및 건축자재의 제조시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가공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320) 및 발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발주 정보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는 회원 등록을 거친 고객 및 협업사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으로, 일련번호 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회원은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가입 및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한 온라인 가입 및 등록 절차는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수행되는 공지된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회원 등록을 거치지 않은 고객 및 협업사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회원 등록을 거치지 않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주문 또는 발주 시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상기 사용자의 정보 중 어느 하나, 가령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운전면허번호, 사업자번호 등의 식별 가능한 정보를 기입하여 발주할 경우, 해당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비회원 사용자가 회원으로 전환할 경우, 상기 식별 가능한 정보를 이용하여 회원관리 일련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되어 등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협업사에서 관리하는 건축자재에 관한 정보 전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협업사에서 팔고 있는 건축자재의 등록원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건축자재의 재고량, 건축자재의 제조 유형, 건축자재의 규격, 건축자재의 소재, 건축자재의 비용, 건축자재의 추가 가공 여부 및 가공 비용, 건축자재의 제조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건축자재의 공급 가능일, 배송방법 등의 판매 및 가공 정보를 상기 협업사가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면,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저장된 정보가 데이터화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되게 된다.
상기 건축자재의 분류는 건축자재정보센터(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KIRA)에서 선정한 자재분류체계를 바탕으로 할 수 있으며, 구처젝으로 자재의 표준속성정보인 자재의 개요, 용도, 제조사, 색상, 재질, 규격, 단가 성능 등과 같은 기본 속성 이외에 카탈로그, 시방서, 상세도, 인증/특허, 시험성적서, 도면 등의 확장속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와 같은 건축자재에 관한 정보 이외에 상기 협업서버로부터 송부받은 고객의 건축자재제조정보를 저장 및 취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취합된 건축자재제조정보는 고객의 구매 정보, 협업사의 건축자재 생산정보, 유통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고객의 수요변동에 대한 협업사의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을 돕기 위하여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축자재제조정보에는 건축자재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의 수량, 재료의 가격, 재료의 가공방법, 재료의 가공시간, 작업준비시간, 건축자재의 생산수율 및 가공원가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제조사는 제조 기술의 변경이나, 생산계획 등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자재제조정보 이외에 상기 발주관리장부에는 생산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유통, 판매에 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건축자재 또는 재료의 유통을 예측하여 이를 통해 건축자재의 생산 수율이나 건축자재 또는 재료의 재고회전율, 재료의 사용율을 일정 기간별로 정리하고, 이를 각 협업사에 송부하여 관리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리지표는 협업사의 관리계획으로, 상기 협업사관리계획의 예를 들면, 건축자재 생산 일정, 건축자재 생산 방법, 건축자재의 제고관리 방법, 재료의 재고관리 방법 및 건축자재의 개량 방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협업사는 건축자재 및 재료의 물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제조실적 데이터의 수집에 의해 품질 및 수율향상에 관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여 건축자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협업사는 고객의 수요를 예측하여 건축자재의 장기적인 생산계획을 최적화하여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관리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발주되는 경우 해당 발주를 통해 변경되는 정보를 수시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유통사에 건축자재 배송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건축자재의 배송으로 인해 줄어든 건축자재의 수량이 자동으로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고객의 발주 내용 및 요구에 따라 원하는 주문 조건을 선택하여 재발주할 수 있는 선택입력정보를 고객의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택입력정보는 고객의 발주정보 및 협업사의 제조 가능 여부, 재고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다양한 종류의 건축자재를 하나의 협업사에 주문하는 경우, 해당 협업사가 고객이 원하는 모든 종류의 건축자재를 갖고 있을 수도 있으나, 다른 고객의 주문 등에 의해 모든 재고를 보유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협업사가 발주를 받은 시점에서 건축자재를 보유하고 있다 하여도 해당 건축자재를 보유하고 있는 다른 협업사의 가격이 더 저렴할 수도 있다. 즉, 협업사의 현재 상황에 따라 고객에게 선택권을 줌에 따라 고객이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사항을 만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선택입력정보는 고객의 요구에 따른 맞춤 정보로서, 고객이 특정 협업사를 선택하지 못한 경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일, 가격, 다른 고객의 평가, 해당 건축자재에 대한 다른 고객의 주문량, 해당 건축자재의 보유량, 해당 건축자재의 가공 유무 등의 선택입력정보를 발주 시 고객이 하나 이상 선택하여 입력하면, 상기 발주를 받은 협업서버에서 해당 선택입력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협업사의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선택입력정보에 일치 또는 근접하는 주문이 가능한 여러 구매 예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구매 예시들은 고객의 요구를 기준으로 정확도가 높은 순으로 소팅(sorting)된 후, 최적의 조건을 선정하여 고객에게 송부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조건을 고객에게 송부한 후, 고객이 이를 받아 원하는 구매 조건을 선택하여 발주할 수 있다.
상기 선택입력정보는 상기와 같이 고객이 원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서버에서 최적의 구매조건을 선정하여 줌으로써 고객의 제품 구매 또는 가공 주문 시간을 줄여줄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필요에 따라 하나의 주문으로 고객이 원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다수의 협업사에 한 번에 발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발주와 연계하여 협업사들 간의 건축자재에 관한 정보 공유 및 거래를 더욱 활발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주 정보 데이터베이스(330)는 고객의 주문 전반에 관한 내용, 예를 들어 구입 건축자재의 종류, 수량, 발주일, 피발주 협업사, 건축자재 공급일, 건축자재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주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와 같은 고객의 발주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데이터화한 것으로, 고객의 선택을 돕거나, 고객, 협업사의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들을 산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주 시 발주 비용 등을 바탕으로 고객의 구입에 따른 유통사의 당기 순이익 및 비용 등이 자동으로 산출하고, 기존의 산출되었던 데이터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데이터를 분류, 정렬하고 이를 고객 또는 협업사에게 전송하거나, 이들의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에 게시하여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입력정보와 연계하여 고객의 주문 시 최적의 발주조건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주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와 같은 발주 관련 정보를 소팅(sorting)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고객의 주문 전반에 관한 내용을 각 항목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객의 발주 내용을 발주일, 발주 대상 협업사, 발주 대상 건축자재의 종류, 수량, 가격, 가공유무, 배송일 등을 나누어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필요 시 해당 정보들을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고객의 발주 후, 해당 건축자재의 시공정보, 해당 건축자재를 공급한 협업사에 대한 고객의 평가와 같은 상기 인터페이스에 관한 정보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장된 고객의 후기와 같은 정보는 필요에 따라 상기 발주 관련 정보와 함께 소팅되어 고객의 선택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고객
2 : 협업사
100 :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110 : 의뢰 리스트 작성 프로그램
120 : 고객 관리 프로그램
130 : 홍보 관리 프로그램
140 : 경영 지원 프로그램
200 : 협업서버
210 : 생산관리모듈
220 : 정산관리모듈
230 : 재고관리모듈
300 : 데이터베이스서버
310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320 :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
330 : 발주 정보 데이터베이스
a : 건축자재 검색, 주문 기입, 시공정보 기입, AS 및 상담 요청
b : 견적서, 계약서 및 청구서 송부
c : 건축자재 발주
d : 거래명세서 송부
e1, e2 : 2차발주, 거래명세서 송부
f : 검색내역, 주문내역, 시공정보내역, AS 및 상담 요청 내역 업로드
g : 건축자재 동기화
h : 발주내역 업로드
I : 협업사관리계획 송부

Claims (6)

  1. 고객으로부터 건축자재를 주문받아 발주하는 발주사와, 상기 발주사로부터 받은 주문에 따라 건축자재를 생산 또는 유통하여 상기 발주사로 공급하는 협업사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하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으로, 상기 시스템은,
    협업사에서 취급하는 건축자재의 정보를 수용 및 홍보하고, 이를 고객에게 공개하여 고객의 선택을 회수하며, 상기 고객의 선택을 데이터로 변환하여 발주하는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자재의 생산, 유통을 담당하는 협업사에게 전달하는 협업서버; 및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및 협업서버를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며,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 및 협업서버에서 생성 또는 전달된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고 이를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 및 협업사에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은,
    고객의 건축자재 의뢰에 관한 정보를 리스트로 변환하고 이를 협업서버로 전송하는 의뢰 리스트 작성 프로그램;
    발주 후 건축자재의 현장 사진, 시공 사진, 시공 후기 및 협업사에 대한 고객의 평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시공정보를 게재하고, 구매 건축자재에 대한 고객의 애프터서비스 요청을 관리하는 고객 관리 프로그램;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협업사의 시공정보, 건축자재의 판매 실적, 키워드 해시태그 및 협업사의 자체광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홍보정보를 게재하는 홍보 관리 프로그램; 및
    발주 금액에 대한 통계 및 원가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업(판매)관리, 구매관리, 재고장부보고서, 거래명세표, 거래관리시스템, 거래처미수금관리, 세금계산서, 월말거래명세표, 월말세금계산서, 판매자금계획, 판매미수금조회, 재고관리, 이익관리, 구매현황, 미수금현황, 판매단가관리, 규격관리, 프로젝트관리, 미수금한도관리, 일괄자료등록, 수입부대비용관리 및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경영 지원 서비스를 고객과 협업사에 제공하는 경영 지원 프로그램;
    을 포함하며,
    상기 고객 관리 프로그램은 고객이 발주한 건축자재에 대한 고객의 사용정보와 저장된 고객의 발주내역을 게재하여, 협업사에서 고객이 발주한 상기 건축자재의 발주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건축자재의 교체, 수리, 추가 가공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애프터서비스를 고객에게 제안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고객 및 협업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협업사별 건축자재의 재고량, 건축자재의 제조 유형, 건축자재의 규격, 건축자재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의 수량, 건축자재의 소재, 고객의 선호 건축자재, 건축자재의 비용, 재료의 가격, 건축자재의 추가 가공 여부 및 건축자재의 제조시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발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발주 정보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며,
    상기 의뢰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고객으로부터 건축자재의 배송일, 가격, 다른 고객의 평가, 다른 고객의 주문량, 협업사의 보유량 및 가공 유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선택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협업사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선택입력정보에 일치 또는 근접하는 구매 예시를 정확도 순으로 나열하여 고객에게 제공하여 구매 조건을 선택하여 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홍보 관리 프로그램은,
    협업사의 홍보정보 노출빈도, 고객의 건축자재 검색빈도, 협업사별 고객의 건축자재 구입빈도 및 고객의 선호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검색 키워드에 따라 고객이 협업사를 정렬 및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 정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서버는,
    상기 협업사를 제조사 및 유통사로 구분하고,
    상기 협업사 별로 건축자재의 생산 또는 재고 여부에 따라, 상기 제조사 및 유통사 간에 생산, 공급, 유통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주문을 발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협업서버는,
    건축자재의 제조 시 각 제조사별로 재료의 재고량, 필요소요량 및 누적소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재료의 사용처를 추적 관리하고 그에 따른 재료의 적정 재고를 유지하는 생산관리모듈;
    상기 건축자재의 출하, 발주, 상기 재료의 발주 시 각 협업사별로 매출전표, 매입전표, 입금전표, 지급전표, 수수료전표를 발행하고, 출하에 따른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변동정보를 생성하는 정산관리모듈; 및
    상기 정산관리모듈에서 각 협업사별로 재고변동정보를 전송받아 보관된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현황을 확인하고, 상기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입고관리, 출고관리, 이동관리, 외주관리, 불량관리, 창고이동관리, 로트관리, 작업지시서, 구매계획, 원가관리, 이익관리 및 반품관리를 진행하는 재고관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생산관리모듈은,
    상기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으로부터 전송 받은 고객의 건축자재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저장된 건축자재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의 수량, 재료의 가격, 재료의 가공방법, 재료의 가공시간, 작업준비시간, 건축자재의 생산수율 및 가공원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건축자재제조정보와 대조하여 필요한 재료의 수량 및 가격을 산출한 생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재고관리모듈은,
    상기 생산관리모듈로부터 생산정보를 송부 받아 보관된 건축자재 및 재료의 재고와 대조하여 출고정보를 생성하거나 구매요청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정산관리모듈은,
    상기 재고관리모듈로부터 출고정보를 송부 받아 상기 건축자재의 제조에 따라 발생하는 매출액, 입금액 및 수수료를 산출하여 정산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구매요청정보를 송부 받아 상기 건축자재 또는 재료의 부족분을 타 협업사에 발주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매입액 및 수수료를 산출하여 정산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협업서버는,
    상기 고객의 발주에 따른 건축자재의 생산 시 건축자재제조정보를 수득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는,
    상기 건축자재제조정보를 취합하여 각 협업사별 건축자재의 제조 수율, 건축자재의 재고회전율 및 재료 사용률을 일정 기간별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자재 생산 일정, 건축자재 생산 방법, 건축자재의 재고관리 방법, 재료의 재고관리 방법 및 건축자재의 개량 방법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협업사관리계획을 각 협업사로 송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KR1020190101090A 2019-08-19 2019-08-19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KR10238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90A KR102385853B1 (ko) 2019-08-19 2019-08-19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090A KR102385853B1 (ko) 2019-08-19 2019-08-19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53A KR20210021753A (ko) 2021-03-02
KR102385853B1 true KR102385853B1 (ko) 2022-04-11

Family

ID=7516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090A KR102385853B1 (ko) 2019-08-19 2019-08-19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223B1 (ko) 2023-11-29 2024-03-05 이재호 유통 및 공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젝트 별 매입 및 매출 관리 기능 erp 시스템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50054A (zh) * 2021-03-19 2021-06-11 湖南美石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商砼搅拌站的智能管理平台系统
KR102610146B1 (ko) 2021-06-10 2023-12-06 (주)대우건설 건설 자재의 발주 및 입고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461497B1 (ko) * 2021-11-19 2022-11-01 주식회사 공새로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391674B1 (ko) * 2022-02-22 2022-04-28 와이드유즈 주식회사 물류 전용 rpa 시스템
KR102489489B1 (ko) * 2022-05-25 2023-01-18 쿠팡 주식회사 아이템 판매를 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3485A (ja) * 2000-12-12 2002-06-28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関連企業間の最適発注仲介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503B1 (ko) * 1999-10-21 2002-02-25 조영재 인터넷을 이용한 이알피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1580B1 (ko) * 2003-06-03 2005-11-28 (주)설비넷 인터넷을 통한 기업간 유틸리티 설비자재를 위한 전자구매대행시스템 및 방법
KR101193266B1 (ko) 2008-10-27 2012-10-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잉여강재 발주대치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4238A (ko) * 2009-06-15 2010-12-23 이재천 통합공사업그룹 운영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3485A (ja) * 2000-12-12 2002-06-28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関連企業間の最適発注仲介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223B1 (ko) 2023-11-29 2024-03-05 이재호 유통 및 공사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젝트 별 매입 및 매출 관리 기능 erp 시스템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53A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5853B1 (ko)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KR101731189B1 (ko) 수요자 의사를 반영한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그 상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상권 정보 제공 서버
KR100756001B1 (ko) 소비자들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의 직접 유통 시스템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2000132596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センタ
KR20190060188A (ko) 렌탈 분양몰 관리서버
CN107833098A (zh) 大众创业电商平台
CN107862564A (zh) 一种全民创业电商平台
US20110125611A1 (en) Optimized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EA010284B1 (ru) Торгов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о-анали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JP2009540454A (ja) フランチャイズの役割分担参与によるオンライン販売及び統合管理方法
KR101995040B1 (ko)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805864B1 (ko) 수, 발주 시스템을 활용한 온, 오프라인 판매와 구매 및 통합 관리 방법
KR100698637B1 (ko) 프랜차이즈의 역할 분담 참여에 의한 온라인 판매 및 통합관리 방법
KR20120052792A (ko) 판매물품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판매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JP2020102188A (ja) 中間流通業者を経由して最初供給者及び購買者を連結する流通サービス提供方法
JP2001306959A (ja) 電子商取引支援システム
KR101928234B1 (ko) 가변적 상품 유통 가격 기반의 유통 관리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통 가격 관리 방법
US20050177468A1 (en) Request for quote system and method
KR101949034B1 (ko) 부동산 통합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부동산 업무진행 방법
KR2000006391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방법
JP7152907B2 (ja) 顧客間レンタル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23133B1 (ko) 공방의 판매회원 관리 방법
KR102436819B1 (ko) 견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JP2002063484A (ja) 電子調達システム,電子調達支援装置及び電子調達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