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497B1 -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497B1
KR102461497B1 KR1020210159897A KR20210159897A KR102461497B1 KR 102461497 B1 KR102461497 B1 KR 102461497B1 KR 1020210159897 A KR1020210159897 A KR 1020210159897A KR 20210159897 A KR20210159897 A KR 20210159897A KR 102461497 B1 KR102461497 B1 KR 102461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ite
price
materials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가람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새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새로
Priority to KR1020210159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은 상기 건설 현장에 대한 건축물의 종류, 건설 현장의 규모 및 공정 단계를 포함하는 현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및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응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FOR PREDICTING OR RECOMMENDING CONSTRUCTION MATERIAL FOR CONSTRUCTION PROCESS}
본 발명은 건자재 추천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 단계별 또는 용도별 건자재의 품목, 물량 및 가격을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자재는 용도, 부피 및 배송 등에서 특수성을 가져, 일반 상품과는 달리 취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건자재 조달 서비스들이 생겨났으나, 현재 이들은 단순한 웹 기반의 구매 대행 시스템에 그친다.
건자재 조달 서비스는 건설 현장에 원가 절감 및 공기 단축 등 생산성 향상을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건자재 공급처에 추가 매출처 확보, 자재 재고 및 비용 리스크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건설 현장의 건자재 전반에 대해 종합적으로 관리해주고, 수요 예측의 정확성을 높여 건설사와 건자재 공급처 모두 건자재 구매 및 조달의 정확성을 높이는 건자재 전문 플랫폼이 필요하다.
배경기술의 예는 다음의 특허 문헌에서 개시된다: KR 10-2017-0021161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공정 단계별 건자재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용도별 건자재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은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현장에 대한 건축물의 종류, 건설 현장의 규모 및 공정 단계를 포함하는 현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및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응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과거 현장 데이터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종류와 관련된 제1 과거 현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과거 현장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과거 현장 건자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과거 현장 건자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건자재 세트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과거 현장 데이터에 포함된 과거 현장의 규모 및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건자재 세트에 포함된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은 상기 과거 현장의 규모 데이터에 포함된 과거 현장의 규모에 대한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의 미리 저장된 규모에 대한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건설 현장 공정 단계에서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제1 건설 현장 공정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설 현장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제1 건자재 세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자재 세트에 포함된 건자재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건자재들을 상기 복수의 건자재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의 미리 저장된 규모에 대한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시세 및 상기 수량에 기초하여 가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는, 복수의 업체로부터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제1 건자재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자재에 대한 상기 복수의 업체의 각각의 가격을 평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업체는 상기 건설 현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하에 위치한 업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제1 건자재를 구매하기 위해 제1 업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에 대한 제1 시세 및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세 및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시세 대비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서버는 외부 장치로부터 건설 현장에 대한 건축물의 종류, 건설 현장의 규모 및 공정 단계를 포함하는 현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및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응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도별 건자재 추천 방법은 사용자에게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건자재를 추천하는 용도별 건자재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별된 제1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가 속한 필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가 속한 필드인 제1 필드에 속하는 제2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2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별된 제1 건자재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기초하여 선별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건자재를 선택함으로써 선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대한 건축물의 종류 및 건설 현장의 규모를 포함하는 현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필드에 포함된 복수의 건자재 중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건자재 및 상기 제2 건자재 각각의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 건자재 및 상기 제2 건자재에 대해 각각 결정된 수량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건자재 및 상기 제2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자재 및 상기 제2 건자재에 대해 상기 각각 결정된 수량 및 상기 확인된 시세에 기초하여 가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는, 복수의 업체로부터 상기 제1 건자재 및 상기 제2 건자재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자재 및 상기 제2 건자재 각각에 대한 상기 복수의 업체의 가격을 평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업체는 상기 건설 현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하에 위치한 업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건자재를 구매하기 위해 제1 업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에 대한 제1 시세 및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세 및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제1 시세 대비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건자재에 할당된 제1 태그와 관련된 상기 제1 필드를 확인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건자재는 상기 제1 필드와 관련된 제2 태그가 할당된 건자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도별 건자재 추천 서버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별된 제1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제1 건자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건자재가 속한 필드를 확인하고, 상기 제1 건자재가 속한 필드인 제1 필드에 속하는 제2 건자재를 선별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2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판매 업체 추천 방법은 사용자에게 건자재 판매 업체를 추천하는 건자재 판매 업체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건자재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일부 건자재들을 제1 기준에 따라 제1 건자재 그룹 및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을 판매하는 제1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제2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을 판매하는 제2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업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은 공정 단계, 건자재의 속성, 용도, 브랜드 또는 제조 업체와 관련된 기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건설 현장에 대한 건축물의 종류, 건설 현장의 규모 및 건설 현장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현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을 판매하는 복수의 업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업체 각각의 전문성, 위치, 건자재에 대한 가격 또는 예상 배송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업체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업체 정보 및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제1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에 대한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에 대한 시세 및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에 대한 건자재 그룹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에 대한 상기 제1 업체의 건자재 그룹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건자재 그룹 시세 및 상기 건자재 그룹 가격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는, 복수의 업체로부터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제1 건자재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자재에 대한 상기 복수의 업체의 각각의 가격을 평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업체는 상기 사용자의 건설 현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하에 위치한 업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업체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업체에 대한 정보는 업체의 전문 분야, 업체의 위치, 업체가 보유한 건자재의 가격 또는 예상 배송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판매 업체 추천 서버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복수의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일부 건자재들을 제1 기준- 상기 제1 기준은 건자재의 속성, 용도, 브랜드 또는 제조 업체와 관련된 기준인 -에 따라 제1 건자재 그룹 및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을 판매하는 제1 업체를 선별하고, 상기 제2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을 판매하는 제2 업체를 선별하고, 상기 제1 업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업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추천해주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도별 건자재를 추천해주는 방법 및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추천 시스템의 환경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 내에서 서버와 디바이스 간의 통신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 내의 현장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서버와 디바이스 간의 통신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기본적인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용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기본적인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용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1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업체 추천 방법의 기본적인 순서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업체 추천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업체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순서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의 추가적인 순서도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시세 확인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주문 리포트 제공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환경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서버(1000), 제1 디바이스(2000) 및 제2 디바이스(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서버(1000)와 통신하는 2개의 디바이스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디바이스 또는 3 이상의 디바이스가 서버(10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1000)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중심적인 구성으로, 건자재 추천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제1 디바이스(2000) 및 제2 디바이스(30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 제1 디바이스(2000) 및 제2 디바이스(3000)는 서로 연결되어 통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서버로서,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건자재 검색, 건자재 정보 제공, 건자재 구매, 건자재 추천, 건자재 견적 제공 등의 서비스를 제1 디바이스(2000) 또는 제2 디바이스(30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2000)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을 이용하는 수요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2000)는 수요자의 단말기이거나 수요자의 컴퓨터의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수요자의 디바이스를 제1 디바이스(2000)만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수요자들이 각각의 디바이스를 통해 서버(1000)와 통신하여 건자재 플랫폼(10000)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2000)의 사용자인 수요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서버(10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건자재를 검색하고,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건자재를 구매하고, 건자재를 추천받고, 건자재에 대한 견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디바이스(3000)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을 이용하는 공급자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디바이스(2000)는 공급자의 단말기이거나 공급자의 컴퓨터의 서버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공급자의 디바이스를 제2 디바이스(3000)만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공급자들이 각각의 디바이스를 통해 서버(1000)와 통신하여 건자재 플랫폼(10000)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3000)의 사용자인 공급자는 제2 디바이스(3000)를 통해 서버(10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자는 제2 디바이스(3000)를 통해 건자재를 검색하고, 서버(1000)가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건자재를 공급하고, 건자재에 대한 견적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10000)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구성요소간의 연결 관계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2000)와 제2 디바이스(3000)가 직접 통신하고, 제1 디바이스(2000) 또는 제2 디바이스(3000)는 각각 서버(10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제1 디바이스(2000) 또는 제2 디바이스(30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어, 제1 디바이스(2000) 및 제2 디바이스(3000)간의 양자간 통신만 수행되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서버(1000)의 개수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역할에 따라 복수의 서버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10000)의 구성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000)는 서버 제어부(1100), 서버 통신부(1200) 및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서버(1000)에 포함되는 세가지 구성 요소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서버(1000)는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를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서버(1000)의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고, 각각의 기능 별로 분산된 분산 서버일 수 있다.
서버 제어부(1100)는 서버(10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제어부(1100)는 서버 통신부(1200) 및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에 제어 명령을 보내 각 부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서버(1000)의 동작은 서버 제어부(11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200)는 서버(100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버 통신부(120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통신부(1200)는 제1 디바이스(2000) 또는 제2 디바이스(30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1200)는 제1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요자의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1200)는 제1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요자에 의해 선별된 또는 선택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1200)는 제2 디바이스(3000)로부터 공급자의 업체에 대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한 업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1200)는 제2 디바이스(3000)로부터 공급자의 업체가 판매하는 건자재의 정보, 주력 상품, 가격 정보, 할인 정보, 배송 예상일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200)는 유선 통신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1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알에프아이디(RFID) 등의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는 서버(10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는 서버(1000)가 획득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는 서버 통신부(1200)가 획득한 제1 디바이스(2000) 또는 제2 디바이스(30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는 수요자의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 건자재에 대한 정보, 건자재를 판매하는 업체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는 서버(1000)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과거 건설 현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에 저자된 과거 건설 현장 데이터는 서버 통신부(1200)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 또는 서버 자체적으로 계속 추가/수정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의 예로는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0)에 내장되는 형태나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이때, 디바이스는 도 1의 제1 디바이스(2000) 또는 제2 디바이스(3000)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2000) 또는 제2 디바이스(3000)를 디바이스로 명칭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제어부(2100), 디바이스 통신부(2200), 디바이스 입력부(2300), 디바이스 출력부(2400) 및 디바이스 저장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2100)는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210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단말의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제어부(2100)는 디바이스 통신부(2200), 디바이스 입력부(2300), 디바이스 출력부(2400) 및 디바이스 저장부(2500)에 제어 명령을 보내 각 부서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제어부(210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디바이스 제어부(210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CPU 칩 등의 저너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디바이스 제어부(2100)는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동작은 디바이스 제어부(21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디바이스 통신부(2200)는 전술한 서버(1000)의 서버 통신부(1200)와 유사하게, 디바이스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통신부(2200)에 포함된 모듈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바이스 입력부(2300)는 디바이스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입력부(23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및/또는 음성 입력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 입력부(23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입력부(2300)는 키패드, 키보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입력부(2300)는 수요자인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는 건설 현장의 이름, 건설사, 시공사, 건설 기간, 건설 현장의 위치, 건설 현장의 현재 공정 단계, 건설 현장의 규모, 건설 현장의 건축물의 종류, 예산 투입 시기, 건설 진척률, 특이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이사항은 건설 컨셉, 친환경 자재 사용 여부, 친환경 자재 등급, 통유리창 시공 등 건설 현장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입력부(2300)는 공급자인 사용자의 업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업체에 대한 정보는 업체의 이름, 업체의 위치, 업체가 판매하고 있는 건자재 목록, 주력으로 판매하는 건자재, 취급 브랜드, 건자재에 대한 가격, 할인 여부, 각 건자재에 대한 배송 예상일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2400)는 디바이스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2400)는 사용자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 및/또는 가공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2400)는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디바이스 출력부(2400)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바이스 출력부(2400)는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 저장부(2500)는 전술한 서버(1000)의 서버 데이터베이스(3200)와 유사하게, 디바이스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저장부(2500)에 포함된 모듈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 내에서 서버와 디바이스 간의 통신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 내에서 서버(1000), 수요자의 디바이스인 제1 디바이스(2000) 및 공급자의 디바이스인 제2 디바이스(3000)간의 신호 전송 관계를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신호 전송은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순서는 뒤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세 정보에 대한 신호 전송(S1110 내지 S1130)은 건자재 검색 단계(S1010 및 S1020) 또는 건자재 추천 단계(S1210 내지 S1230)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공급자에게 건자재에 대한 가격 정보를 요청 및 획득하는 단계(S1320 및 S1330)는 건자재 검색(S1010)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수요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건자재를 검색(S101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요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서버(1000)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서버(1000)는 키워드의 결과인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1 디바이스(2000)에 전송(S1020)할 수 있다.
수요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서버(1000)로부터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1000)로 건자재의 시세 조회를 요청(S1110)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시세 조회 요청(S1110)을 수신하고, 건자재에 대한 시세 정보 데이터를 생성(S1120)할 수 있다.
이때, 건자재에 대한 시세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건자재에 대한 시계열적인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자재에 대한 시세 정보는 지역에 따른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0)가 건자재에 대한 시세 정보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1000)는 생성한 시세 정보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2000)로 전송(S1130)할 수 있다. 이때, 시세 정보 데이터는 복수의 건자재 및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각각의 건자재에 대한 시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예시는 이하에서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1000)는 수요자에게 건자재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요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선택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0)로 전송(S1210)하고, 서버(1000)는 건자재 추천 데이터를 생성(S1220)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자재 추천 데이터는 선택된 건자재를 기초로 선별된 다른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자재 추천 데이터는 선택된 건자재와 동일한 용도로 쓰이는 다른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자재 추천 데이터는 사전에 입력받은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가 제1 단계일 때, 건자재 추천 데이터는 제1 단계에서 사용되는 복수의 건자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자재 추천 데이터는 선택된 건자재가 복수개일 경우, 선택된 건자재들을 일정 기준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기 일정 기준을 따르도록 각 그룹에 판매 업체를 대응시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자재 추천 데이터는 선택된 건자재들을 기준에 따라 제1 건자재 그룹 및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1 건자재 그룹에 제1 업체를 대응시키고, 제2 건자재 그룹에 제2 업체를 대응시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1000)는 생성된 건자재 추천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2000)로 전송(S1230)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계 S1210 내지 S1230을 통해 서버(1000)는 사용자에게 건자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수요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서버(1000)로 건자재에 대한 견적을 요청(S1310)할 수 있다. 서버(1000)는 공급자의 디바이스인 제2 디바이스(3000)에 건자재의 품목별 금액을 입력하는 것을 요청(S1320)할 수 있다. 공급자는 제2 디바이스(3000)를 통해 서버(1000)로 건자재 품목별 금액 정보를 전송(S1330)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수요자가 선택한 건자재 및 공급자가 제공한 건자재에 대한 가격을 기초로 견적서를 생성(S134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수요자의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건자재의 가격, 건설 현장과 가까운 위치, 건자재의 카테고리 등의 기준으로 견적서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생성한 견적서를 제1 디바이스(2000)로 전송(S1350)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계 S1310 내지 S1350을 통해 서버(1000)는 사용자에게 건자재 견적 추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서버(1000)로 건자재에 대한 주문 및 결제 정보를 전송(S1410)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제1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한 주문 및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3000)로 주문 정보를 전송(S1420)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제1 디바이스(2000)로부터 수신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디바이스(3000)에 수수료 또는 정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계 S1410 및 S1420을 통해 서버(1000)는 사용자에게 건자재 주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모바일에서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일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5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 또는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서버(1000)를 통해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2000)에서 복수의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건자재에 대한 정보는 건자재의 사진, 건자재의 이름, 건자재의 가격, 건자재의 용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공되는 복수의 건자재들은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별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화면처럼, 사용자가 공정 단계 중 수방 공사를 선택하면, 수방 공사에 사용되는 배수용 펌프, 호스, 마대, 장화 등의 건자재들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위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건자재 플랫폼(10000)이 사용자에게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 내의 현장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모바일에서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의 사용자의 건설 현장 정보 입력 화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정보 입력 화면은 도 6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 또는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서버(1000) 및/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대한 복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설 현장에 대한 복수의 정보는 현장의 이름, 건설사, 시공사, 건설 기간, 공사 시작일, 준공 예정일, 건설 현장의 위치, 건설 현장의 현재 공정 단계, 건설 현장의 규모, 건설 현장의 건축물의 종류, 예산 투입 시기, 건설 진척률, 특이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이사항은 건설 컨셉, 친환경 자재 사용 여부, 친환경 자재 등급, 통유리창 시공 등 건설 현장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일 수 있다.
그러나, 위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건자재 플랫폼(10000)이 사용자에게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서버(1000)에 저장된 과거 현장 데이터 중 일부로서, 도 7에서는 과거 현장 데이터가 테이블로 구현되어 있으나, 데이터의 구현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과거 현장 데이터는 예를 들어 csv 형식의 파일로 각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구별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 및/또는 저장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과거 현장 데이터는 과거의 현장에서 사용된 건자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거 현장 데이터는 현장 위치, 건자재 주문 날짜, 건축물의 종류, 건설 규모, 건설 공정 단계, 사용된 건자재들 및 수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과거 현장 데이터는 주문한 건자재의 가격, 건자재의 친환경 등급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과거 현장 데이터를 통해, 서버(1000)는 건축물의 종류에 따른 필요 건자재, 건설 규모에 따른 건자재의 수량, 공정 단계에 따른 필요 건자재, 날짜별 건자재의 시세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1000)는 과거 현장 데이터를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건축에 필요한 건자재들을 추출하여 아파트 건축 사용 건자재들을 리스트화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토목 공정시 사용되는 건자재들을 추출하여 토목 공정시 사용 건자재들을 리스트화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건설 규모에 따라 건자재의 필요 수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1200세대 건축시 필요한 마대 개수를 1000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1200세대에 1000개가 필요한 것을 확인하고, 세대 수에 비례하여 마대의 수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간단한 비례식을 저장 및 산출할 수 있다.
서버(1000)는 날짜에 따라 건자재에 따른 시세를 파악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월에 장화의 가격이 5000원이고, 10월에 장화의 가격이 5500원이고, 11월에 장화의 가격이 5200원인 것을 저장하여, 년도별, 시기별, 계절별, 외부 상황별 건자재의 가격을 파악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서버(1000), 제1 디바이스(2000) 및 제2 디바이스(3000)를 통해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10000)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과 서버(1000)에 저장되는 과거 현장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과거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수행되는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서버와 디바이스 간의 통신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의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1000)와 제1 디바이스(2000)의 신호 전송 관계를 알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신호 전송은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순서는 뒤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2200 및 단계 S2300는 동시에 진행되거나 그 순서가 뒤바뀔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계 S2200 및 단계 S2400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수요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키워드를 입력하여 건자재를 검색하거나, 특정 건자재를 선택(S210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요자는 건자재 플랫폼(10000) 내에 제공되는 건자재 상세 페이지를 클릭하거나, 키워드 검색 결과로 제공되는 건자재의 상세 페이지를 클릭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수요자가 선택한 건자재에 대해 제1 디바이스(2000)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전송(S220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자재에 대한 정보는 건자재의 이름, 건자재의 가격, 건자재의 용도, 건자재의 브랜드, 건자재 판매 업체, 배송 예정일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수요자에게 건자재를 추천해주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 추천 데이터를 생성(S2300)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추천 데이터는 수요자가 입력한 키워드, 검색된 건자재 또는 수요자가 선택한 건자재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추천 데이터는 수요자가 입력한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서버(1000)는 생성한 추천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2000)로 전송(S2400)할 수 있다. 이후 수요자는 제공받은 추천 데이터를 통해 추천 건자재를 구입하거나 견적서를 요청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기본적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은 공정 단계 및 현장 규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0),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건자재들을 선별하는 단계(S3200), 상기 현장 규모에 기초하여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3300) 및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3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단계 S3100 내지 S3400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단계의 순서는 뒤바뀌거나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각 단계들 사이에 다른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되거나, 각 단계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공정 단계 및 현장 규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100)는 제1 디바이스(2000)의 디바이스 입력부(230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는 공정 단계 및 현장 규모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는 건설 현장의 이름, 건설사, 시공사, 건설 기간, 건설 현장의 위치, 건설 현장의 현재 공정 단계, 건설 현장의 규모, 건설 현장의 건축물의 종류, 예산 투입 시기, 특이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특이사항은 건설 컨셉, 친환경 자재 사용 여부, 친환경 자재 등급, 통유리창 시공 등 건설 현장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일 수 있다.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건자재들을 선별하는 단계(S3200)는 단계 S3100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건자재 중 추천할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200는 단계 S3100에서 획득한 공정 단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과거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건자재를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200는 단계 S3100에서 획득한 공정 단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공정 단계에 따른 필요 건자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건자재를 선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1000)는 단계 S3200에서 선별된 건자재에 대하여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3200는 단계 S3100에서 획득한 현장 규모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선별된 건자재 각각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300는 단계 S3100에서 획득한 현장 규모 정보와 미리 저장된 과거 현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300는 단계 S3100에서 획득한 현장 규모 정보와 미리 저장된 규모 당 수량에 기초하여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1000)는 단계 S3200에서 선별된 건자재 및 단계 S3300에서 결정된 선별된 건자재에 대한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데이터를 생성(S3400)할 수 있다. 즉, 단계 S3400에서는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0)는 추천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20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0의 내용은 도 9의 건자재들을 선별하는 단계(S3200) 및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3300)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일 예시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S3200)는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과거 현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3210), 과거 현장 데이터로부터 과거 현장 건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220) 및 과거 현장 건자재 정보 및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S3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3300)는 과거 현장 건자재 정보 및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331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과거 현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3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와 미리 저장된 복수의 과거 현장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건축물의 종류가 동일하거나 규모가 동일하거나 다른 기타 사항이 동일한 과거 현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특히, 단계 S3210에서는 공정에 따른 건자재를 추천하는 서비스의 목적에 따라, 복수의 과거 현장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과거 현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미리 저장된 복수의 과거 현장 데이터에 대한 설명은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건설 현장의 건축물의 종류가 아파트인 경우, 서버(10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과거 현장 데이터에서 건축물의 종류가 아파트인 데이터만 선별 및/또는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건설 현장의 현재 공정 단계가 토목 공사 단계인 경우, 서버(10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과거 현장 데이터에서 공정 단계가 토목 공사 단계인 데이터만 선별 및/또는 추출할 수 있다.
현장 정보와 미리 저장된 복수의 과거 현장 데이터를 대응시켜, 현장 정보에 맞는 과거 현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 현장의 건축물이 아파트이고 현재 공정 단계가 토목 공사 단계인 경우, 서버(1000)는 건축물이 아파트인 과거 현장 데이터를 먼저 선별하고, 이후 선별된 과거 현장 데이터에서 공정 단계가 토목 공사 단계인 데이터를 다시 한번 선별할 수 있다. 또는 위 예시에서, 서버(1000)는 건축물이 아파트이면서 공정 단계가 토목 공사 단계인 데이터를 한번에 선별할 수도 있다.
과거 현장 데이터로부터 과거 현장 건자재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220)는 단계 S3210에서 선별된 과거 현장 데이터를 기초로 과거 현장에서 주문 또는 사용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이 토목 공사 단계인 경우, 단계 S3220은 단계 S3210에서 선별된 제1 과거 현장 데이터에서 토목 공사 단계에서 사용 또는 주문된 복수의 건자재 목록을 파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단계 S3210에서 선별된 과거 현장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서버(1000)는 제1 과거 현장 데이터가 토목 공사 단계에서 사용 또는 주문한 제1 건자재 목록을 파악하고, 제2 과거 현장 데이터가 토목 공사 단계에서 사용 또는 주문한 제2 건자재 목록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00)는 제1 건자재 목록 및 제2 건자재 목록에 모두 존재하는(교집합 되는)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1000)는 제1 건자재 목록 및 제2 건자재 목록에 존재하는(합집합 되는) 모든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는, 단계 S3210에서 선별된 과거 현장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서버(1000)는 가장 최신의 과거 현장 데이터를 중심으로 건자재 목록을 파악하고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건자재에 대한 정보는 건자재 이름, 과거 현장에서 주문 당시의 가격, 건자재의 브랜드, 건자재의 용도, 건자재 판매 업체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과거 현장 건자재 정보 및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S3230)는 단계 S3220에서 추출한 과거 현장 건자재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필요한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거의 데이터로부터 실제 건설 현장의 상황에 맞는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3220에서 추출된 건자재가 현재 사용 금지된 건자재인 경우, 서버(1000)는 해당 건자재를 선별 건자재 목록에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계 S3220에서 추출된 건자재가 현재 구하기 힘든 건자재일 경우, 서버(1000)는 해당 건자재를 선별 건자재 목록에서 제거하거나 대체 건자재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설 현장이 건자재의 친환경 등급이 A등급 이상인 건자재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서버(1000)는 단계 S3220에서 추출된 건자재의 친환경 등급을 확인하고, 등급이 A등급보다 낮은 경우 A등급 이상인 건자재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설 현장이 특정 브랜드의 건자재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서버(1000)는 단계 S3220에서 추출된 건자재의 브랜드를 상기 특정 브랜드의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계 S3220 및 단계 S3230은 하나의 단계로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버(1000)는 과거 현장 데이터로부터 특정 공정 단계에서 과거에 어떤 건자재가 사용되었는지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와 비교하여 과거 현장에서 상기 특정 공정 단계에 쓰였던 건자재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서버(1000)는 과거 현장 건자재 정보 및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S3230에서 선별된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결정(S331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를 기초로 선별된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규모가 1000세대이고, 단계 S3230에서 제1 건자재가 선별된 경우, 서버(1000)는 과거 현장 데이터에서 제1 건자재를 사용 또는 주문한 과거 현장에서 규모가 1000세대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해당 데이터를 추출한 후, 해당 데이터에서 과거에 제1 건자재를 몇 개 사용 또는 주문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개수를 제1 건자재의 수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규모가 1000세대이고, 단계 S3230에서 제1 건자재가 선별된 경우, 서버(1000)는 과거 현장 데이터에서 제1 건자재를 사용 또는 주문한 과거 현장에서 규모가 1000세대인 데이터가 없을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제1 건자재를 사용 또는 주문한 과거 현장에서 규모가 N세대인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0)는 해당 데이터를 추출한 후, 해당 데이터에서 과거에 제1 건자재를 몇 개 사용 또는 주문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개수에 (1000/N)을 곱한 개수를 기초로 제1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동일한 규모를 가진 과거 데이터가 없는 경우, 서버(1000)는 현장 규모의 비율대로 건자재의 수량을 계산 및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현장 규모의 비율과 함께 건설 현장의 공기, 도급액, 공정 유형, 공사 유형 및 과거 구매 내역을 추가적으로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예시에서 과거에 제1 건자재의 수량에 (1000/N)을 곱한 결과값과 함께, 서버(1000)는 공기, 도급액, 공정 유형, 공사 유형 및 과거 구매 내역을 추가적으로 함께 고려하여 상기 결과값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위 예시에서는 세대수를 기준으로 현장 규모를 파악 및 수량을 결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1000)는 현장 규모를 평수, 층고 높이, 대지 면적, 건축물의 높이, 층 수 등을 종합하여 고려하고, 그에 따른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공정 단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1의 내용은 도 9의 건자재들을 선별하는 단계(S3200) 및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3300)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예시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S3200)는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S3215),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건자재 세트를 확인하는 단계(S3225) 및 미리 정해진 건자재 세트에 기초하여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S32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3300)는 미리 정해진 규모 당 수량에 기초하여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3315)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S321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로부터 건설 현장의 현재 진행 또는 진행 예정인 공정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건자재 세트를 확인하는 단계(S3225) 단계 S3215에서 확인된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건자재 세트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공정 단계별 필요한 건자재들을 미리 저장해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제1 공정에서 필요한 건자재로서 제1 건자재 내지 제5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공정 건자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가설컨테이너 시공 단계에서 필요한 건자재로서 매입 스위치 박스, 스위치 커버, 콘센트 커버, LED 등 기구, GW 전선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설 컨테이너 시공 건자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1000)는 각 공정에 필요한 건자재 목록을 포함하는 복수의 공정 건자재 데이터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공정 건자재 데이터로부터 단계 S3215에서 확인된 공정에 대응되는 공정 건자재 데이터를 추출 및 확인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건자재 세트에 기초하여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S3235)는 단계 S3225에서 추출 및 확인된 건자재들을 선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계 S3225 및 단계 S3235는 하나의 단계로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버(100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특정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건자재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건자재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서버(1000)는 건자재별로 미리 정해진 규모 당 수량에 기초하여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결정(S3315)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건자재별로 미리 저장된 현장 규모별 건자재 수량을 기초로 선별된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별된 건자재인 제1 건자재는 세대당 5개의 수량이 필요하고,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규모가 1000세대인 경우, 서버(1000)는 제1 건자재의 수량을 5000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선별된 건자재인 제2 건자재는 대지 면적 평당 1개의 수량이 필요하고,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규모가 대지 면적 2000평인 경우, 서버(1000)는 제2 건자재의 수량을 2000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선별된 건자재인 철근은 세대당 0.85톤이 필요하고,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규모가 10000세대인 경우, 서버(1000)는 철근의 수량을 8500톤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는 세대수를 기준으로 현장 규모를 파악 및 수량을 결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1000)는 현장 규모를 평수, 층고 높이, 대지 면적, 건축물의 높이, 층 수 등을 종합하여 고려하고, 그에 따른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컴퓨터 상에서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일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12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 또는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현장 마일스톤 공정 단계를 미리 선택할 수 있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은 화면상으로 사용자의 현재 공정 단계를 화면상에 시각적으로 제공(3001)할 수 있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서버(1000)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공정에 필요한 건자재들(3005)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공정의 대표 공정(3002)과 세부 공정(3003)을 선택함으로써, 공정의 세부적인 단계에 대해서도 각각에 맞는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사용자의 현재 공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건자재(3004)에 대한 정보를 과거 현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모바일 상에서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일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13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 또는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은 도 12의 내용과 유사하게 모바일 상에서도 사용자의 현재 공정 단계를 화면상에 시각적으로 제공(3001)할 수 있다. 또한, 건자재 플랫폼(10000)은 모바일 상에서도 서버(1000)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공정에 필요한 건자재들(3005)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 상에서도 현재 공정의 대표 공정(3002)과 세부 공정(3003)을 선택함으로써, 공정의 세부적인 단계에 대해서도 각각에 맞는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용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기본적인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용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은 현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0), 선별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200), 선별된 건자재가 속한 필드를 확인하는 단계(S4300), 상기 필드에 속한 다른 건자재를 확인 및 추출하는 단계(S4400) 및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단계 S4100 내지 S4500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단계의 순서는 뒤바뀌거나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각 단계들 사이에 다른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되거나, 각 단계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현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9의 단계 S3100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선별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4200)는 사용자가 건자재 플랫폼(10000)내에서 선택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건자재 플랫폼(10000)내에서 광고로 제공된 건자재를 선택하거나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 결과에서 건자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건자재에 대한 데이터를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선별된 건자재가 속한 필드를 확인하는 단계(S4300)는 단계 S4200에서 수신한 선별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선별된 건자재의 속성을 파악하고, 상기 속성에 기초하여 선별된 건자재가 속한 필드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선별된 건자재의 용도를 파악하고, 파악한 용도에 기초화여 선별된 건자재가 속한 필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건자재의 속성에 대한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건자재와 건자재에 할당된 복수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건자재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0)는 미리 저장된 건자재 태그 데이터로부터 선별된 건자재에 할당된 복수의 태그를 확인하고, 상기 태그들에 기초하여 선별된 건자재가 속한 필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가 단계 S4200에서 수신한 정보로부터 선별된 건자재가 양수기인 경우, 서버(1000)는 양수기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양수기는 물을 퍼올리는 기계로써, 서버(1000)는 양수기의 미리 정해진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서버(1000)에 저장된 제1 건자재 태그 데이터는 양수기 및 양수기에 할당된 복수의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양수기에 할당된 복수의 태그는 여름철, 양수, 수방, 비, 장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여름철, 양수, 수방, 비, 장마 등의 태그를 확인하고, 양수기가 속한 필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양수기가 속한 필드는 위 태그 자체일 수도 있고, 태그로부터 유추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양수기의 태그로부터 유추되는 정보는 '여름철 장마 대비 수방 대책'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00)가 단계 S4299에서 수신한 정보로부터 선별된 건자재가 마대인 경우, 서버(1000)는 마대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마대는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자루로서, 서버(1000)는 마대의 미리 정해진 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서버(1000)에 저장된 제2 건자재 태그 데이터는 마대 및 마대에 할당된 복수의 태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대에 할당된 복수의 태그는 현장 정리, 쓰레기, 청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0)는 현장 정리, 쓰레기, 청소 등의 태그를 확인하고, 마대가 속한 필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마대가 속한 필드는 위 태그 자체일 수도 있고, 태그로부터 유추되는 정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마대의 태그로부터 유추되는 정보는 '현장 쓰레기 청소'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서버(1000)는 선별된 건자재의 용도에 기초하여 선별된 건자재가 속한 필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필드를 확인하기 위해 건자재에 할당된 복수의 태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필드에 속한 다른 건자재를 확인 및 선별하는 단계(S4400)는 단계 S4300에서 확인한 필드에 속한 다른 건자재를 확인하고 이를 선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건자재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건자재를 추천하기 위해, 선택한 건자재와 동일한 필드의 다른 건자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4200에서 선별된 건자재가 양수기이고, 단계 S4300에서 확인된 필드가 '여름철 장마 대비 수방 대책'과 관련된 것일 경우, 서버(1000)는 '여름철 장마 대비 수방 대책'과 관련된 필드에 속한 다른 건자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상기 필드에 속한 건자재로 장화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0)가 장화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서버(1000)는 양수기에 할당된 태그와 동일한 태그를 가지고 있는 건자재를 선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버(1000)가 장화를 추출한 이유는, 장화에 여름철, 양수, 수방, 비, 장마 등의 태그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계 S4200에서 선별된 건자재가 마대이고, 단계 S4300에서 확인된 필드가 '현장 쓰레기 청소'와 관련된 것인 경우, 서버(1000)는 '현장 쓰레기 청소'와 관련된 필드에 속한 다른 건자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상기 필드에 속한 건자재로 빗자루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0)가 빗자루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서버(1000)는 마대에 할당된 태그와 동일한 태그를 가지고 있는 건자재를 선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버(1000)가 빗자루를 추출한 이유는, 빗자루에 현장 정리, 쓰레기, 청소 등의 태그가 할당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0)는 미리 저장된 건자재에 할당된 태그를 통해, 선별된 건자재와 동일한 필드에 속하는 다른 건자재들을 확인할 수 있다.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4500)는 단계 S4400에서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 용도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15의 내용은 도 14의 S4500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포함되는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현장 규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600), 과거 현장 데이터의 과거 현장 규모와 상기 현장 규모를 비교하는 단계(S4700) 및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4800)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규모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4600)에서 획득한 정보는 도 14의 단계 S4100에서 이미 획득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단계 S4600은 도 14의 단계 S4100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과거 현장 데이터의 과거 현장 규모와 상기 현장 규모를 비교하는 단계(S4700)는 서버(1000)에 미리 저장된 과거 현장 데이터에 포함된 과거 현장 규모와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규모를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10의 단계 S321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S4800)는 단계 S4700에서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맞는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10의 단계 S331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5의 예시는 과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출된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이와 달리, 추출된 건자재의 수량을 결정하는 방법은 미리 정해진 규모 당 건자재의 개수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도 11의 설명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16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서버(1000)에 저장된 복수의 건자재 태그 데이터 중 일부로서, 도 16에서는 건자재 태그 데이터가 테이블로 구현되어 있으나, 데이터의 구현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건자재 태그 데이터는 예를 들어 csv 형식의 파일로 각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구별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 및/또는 저장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건자재 태그 데이터는 건자재 및 건자재에 할당된 복수의 태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양수기에는 #여름철 #양수 #수방 #비 #장마의 태그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대에는 #현장정리 #쓰레기 #청소의 태그가 할당될 수 있다. 위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건자재 각각에 용도에 맞는 태그들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컴퓨터 상에서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일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17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 또는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사용자는 검색창에 키워드(4001)를 입력하여 건자재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화면에서는 사용자는 CD를 입력하여, CD관과 관련된 건자재를 검색할 수 있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은 검색어와 관련된 복수의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 중 특정 건자재(4002)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건자재(4002)를 선택하면, 서버(1000)는 특정 건자재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건자재(4003)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건자재(4002)를 선택하면, 서버(1000)는 특정 건자재가 속하는 필드를 확인하고, 상기 필드에 속한 다른 건자재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추출된 건자재(4003)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모바일 상에서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일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18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 또는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은 도 17의 내용과 유사하게 모바일 상에서도 검색어와 관련된 복수의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상에서도 제공된 정보 중 특정 건자재(4002)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건자재(4002)를 선택하면, 서버(1000)는 특정 건자재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건자재(4003)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모바일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업체 추천 방법의 기본적인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건자재에 대한 업체 추천 방법은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S5100), 기준에 따라 건자재를 분류하는 단계(S5200), 분류된 건자재들을 판매하는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S5300) 및 선별된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단계 S5100 내지 S5400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단계의 순서는 뒤바뀌거나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각 단계들 사이에 다른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되거나, 각 단계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S5100)는 건자재들을 분류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건자재들은 사용자로부터 미리 선택된 건자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자재들은 사용자의 장바구니에 담긴 건자재이거나, 사용자가 건자재 플랫폼(10000)을 통해 견적을 요청한 건자재들일 수 있다.
서버(1000)는 제1 디바이스(200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기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준은 공정 단계, 건자재의 속성, 용도, 브랜드 또는 제조 업체와 관련된 기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렴한 가격을 원할 경우, 서버(1000)는 기준을 가격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특정 브랜드의 건자재를 원할 경우, 서버(1000)는 기준을 브랜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일본에서 제조 또는 생산한 건자재를 원할 경우, 서버(1000)는 기준을 제조 업체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에 따라 건자재를 분류하는 단계(S5200)는 단계 S5100에서 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건자재들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100에서 설정된 기준이 가격일 경우, 서버(10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복수의 건자재를 사용자가 하나의 업체에서 구매하는 경우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건자재들을 그룹화하여 그룹당 판매 업체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단계 S5200에서 가격을 기준으로 건자재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건자재 및 제2 건자재를 다른 업체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제1 업체로부터 상기 제1 건자재 및 상기 제2 건자재를 구매하기 위해, 서버(1000)는 복수의 건자재로부터 상기 제1 건자재 및 상기 제2 건자재를 제1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3 건자재, 제4 건자재 및 제5 건자재를 다른 업체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제2 업체로부터 상기 제3 건자재 내지 상기 제5 건자재를 구매하기 위해, 서버(1000)는 복수의 건자재로부터 상기 제3 건자재 내지 상기 제5 건자재를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100에서 설정된 기준이 공정 단계일 경우, 서버(1000)는 공정 단계별로 필요한 건자재들을 한번에 하나의 업체로부터 구매할 수 있도록, 건자재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토목 공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 건자재 및 제2 건자재를 제1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조경 공사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3 건자재, 제4 건자재 및 제5 건자재를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100에서 설정된 기준이 용도일 경우, 서버(1000)는 용도별로 필요한 건자재들을 한번에 하나의 업체로부터 구매할 수 있도록, 건자재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복수의 건자재 중 청소용 건자재들을 제1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하고, 마감 처리용 건자재들을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100에서 설정된 기준이 브랜드일 경우, 서버(1000)는 브랜드별로 필요한 건자재들을 한번에 하나의 업체로부터 구매할 수 있도록, 건자재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복수의 건자재 중 A 브랜드의 건자재를 제1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하고, B 브랜드의 건자재를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100에서 설정된 기준이 제조 업체일 경우, 서버(1000)는 제조 업체별로 필요한 건자재들을 한번에 하나의 업체로부터 구매할 수 있도록, 건자재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복수의 건자재 중 A 제조 업체의 건자재를 제1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하고, B 제조 업체의 건자재를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5100에서 설정된 기준이 제조 국가일 경우, 서버(1000)는 제조 국가별로 필요한 건자재들을 한번에 하나의 업체로부터 구매할 수 있도록, 건자재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복수의 건자재 중 A 국가에서 제조된 건자재를 제1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하고, B 국가에서 제조된 건자재를 제2 건자재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전술한 기준에 대한 예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건자재들을 그룹화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준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분류된 건자재들을 판매하는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S5300)는 단계 S5200에서 분류된 건자재 그룹들에 대해 하나의 그룹당 하나의 업체를 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이 가격인 경우, 서버(1000)는 복수의 업체 중 각 그룹의 건자재들의 개별적인 가격 또는 그룹 전체의 가격 평균이 가장 저렴한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준이 공정 단계일 경우, 서버(1000)는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 실시 일정에 맞게 배송을 해줄 수 있거나, 가격이 저렴하거나, 사용자의 건설 현장과 위치가 가깝거나, 상기 공정 단계에 사용되는 건자재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준이 용도일 경우, 서버(1000)는 각 용도에 해당하는 건자재를 주력 상품으로 판매하는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준이 브랜드일 경우, 서버(1000)는 각 그룹의 브랜드를 독점적으로 판매하는 업체나, 각 브랜드와 제휴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준이 제조 업체인 경우, 서버(1000)는 각 그룹의 제조 업체를 직접적으로 판매 업체로 선정하거나, 제조 업체의 건자재를 취급하는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제조 업체의 건자재를 판매하는 업체가 복수개일 경우, 서버(1000)는 가격이 싸거나, 배송 예정일이 빠르거나, 건설 현장과 위치가 가까운 업체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준이 제조 국가인 경우, 서버(1000)는 각 그룹의 제조 국가 내의 업체를 선정할 수도 있다.
선별된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5400)는 단계 S5300에서 선별된 업체에 대한 업체 이름, 업체의 위치, 업체의 전화번호, 업체의 건자재별 가격, 업체의 할인 정보, 업체의 배송 예정일, 업체의 배송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서버(1000)가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업체 추천 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상세하게는, 도 20의 내용은 도 19의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S5300)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일 예시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S5300)는 건자재를 판매하는 복수의 업체를 확인하는 단계(S5310), 각 업체의 속성을 파악하는 단계(S5320) 및 업체의 속성 및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S533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자재를 판매하는 복수의 업체를 확인하는 단계(S5310)는 건자재 그룹에 대해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제1 건자재 그룹에 대해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 모두를 판매하는 업체를 확인하고, 제2 건자재 그룹에 대해 상기 제2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 모두를 판매하는 업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310은 공급자의 디바이스인 제2 디바이스(300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건자재 플랫폼(10000) 내에 등록된 업체 및 확인된 업체에 대해서 서버(1000)가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을 판매하는 업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1000)는 건자재 플랫폼(10000)에 등록된 업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전자 상거래 사이트에서 건자재 판매 업체를 확인할 수도 있다.
각 업체의 속성을 파악하는 단계(S5320)는 서버(1000)가 제2 디바이스(3000)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업체의 이름, 위치, 건자재별 가격, 배송 예정일, 주력 상품, 할인 정보 등을 파악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에 미리 저장된 업체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업체의 속성 및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S5330)는 단계 S5320에서 파악한 업체의 속성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1000)가 각 건자재 그룹에 대응되는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9의 단계 S3100의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업체의 속성 중 업체의 위치를 이용하여 건자재 그룹에 대해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위치와 일정 거리 이내의 업체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전기 공사 단계를 진행중인 사용자의 건설 현장 업체를 고려하여, 건자재 그룹에 대해 업체의 속성 중 전기 공사 공정에 사용되는 건자재를 주력으로 판매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업체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00)는 업체의 속성 중 주문일의 다음날에 배송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건자재 그룹에 대해 내일 바로 배송될 수 있는 업체를 선별할 수 있다.
위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서버(1000)는 업체의 여러 속성 중 하나 이상의 속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 및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최적화된 업체를 선별할 수 있다.
서버(1000)가 건자재들을 그룹화하여 그룹당 최적화된 업체를 선별하는 것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건자재를 하나씩 주문하지 않고, 묶음으로 주문하는 이유는 원활한 공사 진행을 위하여 모든 건자재가 한번에 배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
또한, 모든 건자재를 하나의 업체에서 주문하지 않는 이유는 독점 배제 및 주문 과정에서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 또한, 그룹별로 최적화된 업체를 선정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건자재를 구입할 수 있고, 건자재의 퀄리티를 보장할 수도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업체 추천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모바일에서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그룹별 최적화 업체 추천 화면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최적화 업체 추천 화면은 도 6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 또는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서버(1000) 및/또는 제1 디바이스(2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복수의 건자재들을 그룹화하고, 그룹당 기준에 따른 최적화 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은 기준이 건자재의 용도일 경우로, 제1 건자재 그룹은 수방 대책을 위한 건자재이고, 제2 건자재 그룹은 현장 정리를 위한 건자재일 수 있다. 서버(1000)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에 기초하여 제1 건자재 그룹에는 A업체를 선별하고, 제2 건자재 그룹에는 B업체를 선별할 수 있다. 서버(1000)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을 통해 건자재 그룹 및 그룹당 선별한 업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의 기본적인 순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은 건자재를 추출하는 단계(S6100), 상기 건자재를 판매하는 복수의 업체를 추출하는 단계(S6200), 상기 건자재에 대한 각 업체의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S6300) 및 상기 건자재에 대한 각 업체의 가격을 평균화하는 단계(S64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자재를 추출하는 단계(S6100)는 서버(1000)가 시세를 확인하는 대상인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자재 추출은 사용자가 건자재를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건자재를 검색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사용자가 특정 건자재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건자재를 시세 확인 대상의 건자재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건자재를 판매하는 복수의 업체를 추출하는 단계(S6200)는 서버(1000)가 단계 S6100에서 추출된 건자재를 판매하는 업체를 파악하는 단계일 수 있다. 단계 S6200에 대한 내용은 도 29의 단계 S5300에 대한 내용과 중복될 수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건자재에 대한 각 업체의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S6300)는 서버(1000)가 단계 S6200에서 추출된 복수의 업체마다 단계 S6100에서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의 단계 S5320의 내용과 유사하게, 서버(1000)는 공급자의 디바이스인 제2 디바이스(3000)로부터 업체가 판매하는 건자재별 가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버(1000)는 획득한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S6100에서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건자재에 대한 각 업체의 가격을 평균화하는 단계(S6400)는 서버(1000)가 단계 S6300에서 확인한 상기 건자재에 대한 복수의 업체의 가격들을 평균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서버 데이터베이스(1300)에 제1 건자재에 대해 제1 업체의 제1 가격, 제2 업체의 제2 가격 내지 제N 업체의 제N 가격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제1 건자재에 대한 가격인 제1 가격, 제2 가격 내지 제N 가격을 모두 더한 후, 더한 값을 N으로 나누어 제1 건자재에 대한 평균 가격을 계산할 수 있다. 서버(1000)는 계산된 평균 가격을 제1 건자재에 대한 시세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건자재에 대한 각 업체의 가격은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서버(1000)는 제2 디바이스(3000)로부터 가격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가격이 변동된 경우, 변동된 가격을 반영하여 다시 평균 가격을 계산할 수 있다. 서버(1000)가 평균 가격을 계산하는 것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가격 변동에 대한 알림이 있는 경우에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의 추가적인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은 추가적으로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S6500), 선택한 업체의 건자재에 대한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S6600), 건자재에 대한 시세와 업체의 가격을 비교하는 단계(S6700) 및 비교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68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S6500)는 서버(1000)가 단계 S6400에서 평균화한 건자재에 대한 평균 가격을 시세로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선택한 업체의 건자재에 대한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S6600)는 서버(1000)가 사용자가 선택한 업체의 건자재에 대한 가격을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건자재에 대해서 제1 업체를 선택한다면, 서버(1000)는 단계 S6300에서 획득했던 업체에 대한 가격 정보를 통해 제1 업체의 제1 건자재에 대한 가격을 확인할 수 있다.
건자재에 대한 시세와 업체의 가격을 비교하는 단계(S6700)는 서버(1000)가 단계 S6500에서 확인한 시세와 단계 6600에서 확인한 업체의 가격을 수학적으로 비교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는 건자재에 대한 시세 대비 업체의 가격이 저렴한지 또는 가격이 고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건자재의 시세에서 업체의 가격을 마이너스하여 결과값의 부호가 양수인 경우는 시세 대비 업체의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판단하고, 결과값의 부호가 음수인 경우는 시세 대비 업체의 가격이 고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는 건자재에 대한 시세 대비 업체의 가격이 몇 퍼센트인지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건자재의 시세에서 업체의 가격을 마이너스한 결과값에 시세를 나누어 100을 곱함으로써, 시세 대비 업체의 가격이 몇 퍼센트인지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시세 가격 - 업체 가격)*(100/(시세 가격))의 수식을 통해, 서버(1000)는 시세 대비 업체의 가격이 몇 퍼센트인지를 계산할 수 있다.
만약 결과값이 +A%인 경우, 서버(1000)는 업체의 가격이 시세 대비 A 퍼센트 정도 저렴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결과값이 -B%인 경우, 서버(1000)는 업체의 가격이 시세 대비 B 퍼센트 정도 고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0)는 퍼센트의 수치에 따라, 시세 대비 가격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퍼센트의 수치가 A 이상인 경우, 시세 대비 가격 등급을 '매우 저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퍼센트의 수치가 B(B는 A보다 작은 수) 이상, A 이하인 경우, 시세 대비 가격 등급을 '저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퍼센트의 수치가 -A 이하인 경우, 시세 대비 가격 등급을 '매우 고가'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퍼센트의 수치가 -B(B는 A보다 작은 수) 이하, -A 이상인 경우, 시세 대비 가격 등급을 '고가'로 설정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는 4가지 등급으로 나누었으나, 등급의 개수와 등급을 나누는 기준 수치는 위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비교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6800)는 서버(1000)가 단계 S6700에서 비교하여 판단한 데이터를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업체의 가격이 시세 대비 저렴한지 또는 고가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버(1000)는 업체의 가격이 시세 대비 어떠한 수치를 갖는지 구체적인 수치 및/또는 위에서 설정한 등급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0)는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도 22 및 도 23에서 설명한 건자재의 시세 확인 서비스를 건자재 추천 서비스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가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정 단계별 건자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서버(1000)가 생성하는 추천 데이터는 건자재의 시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건자재들 각각에 대한 업체들의 가격 정보를 확인하고, 건자재들 각각의 시세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선별된 건자재, 선별된 건자재들의 시세 및 결정된 건자재의 수량에 기초하여 선별된 건자재에 대한 대략적인 견적을 추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단계 S3200에서 선별된 건자재들에 대한 시세를 결정하고, 결정된 시세에 단계 S3300에서 결정된 수량을 곱하여, 상기 선별된 건자재에 대한 견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견적에 대한 데이터는 단계 S3400에서 생성되는 추천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가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용도별 건자재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서버(1000)가 제공하는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는 건자재의 시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단계 S4400에서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업체들의 가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0)는 추출된 건자재, 추출된 건자재의 시세 및 단계 S4800에서 결정된 추출된 건자재의 수량에 기초하여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대략적인 견적을 추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단계 4400에서 추출된 건자재들에 대한 시세를 결정하고, 결정된 시세에 단계 S4800에서 결정된 수량을 곱하여, 상기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견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견적에 대한 데이터는 단계 S4500에서 생성되는 추출된 건자재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000)가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건자재 최적화 업체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서버(1000)가 제공하는 선별된 업체에 대한 정보는 건자재의 시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단계 S5200에서 분류된 건자재 그룹에 대해 단계 S5400에서 선별된 업체의 가격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 각각에 대한 시세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0)는 분류된 건자재 그룹, 각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의 시세에 기초하여 시세 대비 선별된 업체의 가격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단계 S5200에서 분류된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각 건자재들의 시세를 결정하고, 각 건자재들의 시세에 기초하여 각 건자재 그룹에 대한 시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각 건자재 그룹에 포함된 건자재들에 대한 업체의 가격을 확인하고, 건자재 그룹별 업체의 가격을 계산할 수 있다. 서버(1000)는 각 건자재 그룹당 시세 가격과 업체 가격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시세 확인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모바일에서 구현되는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일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건자재 플랫폼(1000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도 24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한 방식 또는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서버(1000)를 통해 건자재에 대한 시세를 지도와 함께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자재 플랫폼(10000)에서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Mkm 이내의 건자재 판매 업체들의 가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0)는 지도 내에서 각 업체의 가격과 시세 가격을 비교하여, 시세 대비 업체 가격 등급을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24에서는 '저렴', '보통', '고가'등급에 대하여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현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24에 한정되지 않고, 등급을 표현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자재 플랫폼의 건자재 주문 리포트 제공 서비스에서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사용자의 건설 현장 정보, 사용자의 건자재 구매 내용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장에 대한 건자재 주문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자재 주문 리포트는 사용자가 주문한 건자재의 종류 및 종류별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자재 주문 리포트는 사용자의 월별 주문 금액을 나타내는 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자재 주문 리포트는 건자재 주문 금액에 대하여 타 건설 현장과의 비교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사용자가 입력한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와 과거 현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설 현장에 대한 월별 품목별 건자재 소요 계획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공기 내에 제1 건자재에 대한 소요 계획을 월별로 테이블화 또는 그래프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 및 사용자의 건자재 구매 내역에 기초하여, 특정 건자재에 대한 월별 소요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사용자의 철근 구매 내역에 기초하여, 공기 내에 철근에 대한 소요량을 월별로 테이블화 또는 그래프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사용자의 건설 현장의 위치를 중심으로, 위치 기반 지역별 건자재 소요 물량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0)는 사용자의 건설 현장을 중심으로 지역별 건설 현장의 특정 건자재에 대한 소요량을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건자재 플랫폼(10000)은 사용자에게 건자재 주문 서비스, 건자재 추천 서비스 및 건자재 주문 관리 서비스 등 건자재에 대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설 현장에 대한 건축물의 종류, 건설 현장의 규모, 건설 현장의 위치, 현재 공정 단계, 예산 투입 시기, 진척률 및 특이사항을 포함하는 현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장 정보와 미리 저장된 건자재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태그를 가진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및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응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는 단계;
    그룹별로 주문 및 배송에 대한 처리가 일체로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들을 상기 공정 단계, 건자재의 속성, 용도, 브랜드 및 제조 업체와 관련된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제1 건자재 그룹에 대하여 제1 업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제2 건자재 그룹에 대하여 제2 업체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대한 제1 시세 및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인 제1 가격에 기초하여 제1 가격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건자재 그룹에 대한 제2 시세 및 상기 제2 업체의 가격인 제2 가격에 기초하여 제2 가격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주문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대한 월별 또는 품목별 건자재 소요 계획과 예산 사용 계획을 포함하는 건자재 리포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격 비교 데이터는 상기 제1 시세 대비 상기 제1 가격의 제1 비율 및 상기 제1 비율에 기초한 가격 등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격 비교 데이터는 상기 제2 시세 대비 상기 제2 가격의 제2 비율 및 상기 제2 비율에 기초한 가격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과거 현장 데이터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종류와 관련된 제1 과거 현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과거 현장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과거 현장 건자재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과거 현장 건자재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건자재 세트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과거 현장 데이터에 포함된 과거 현장의 규모 및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건자재 세트에 포함된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은 상기 과거 현장의 규모 데이터에 포함된 과거 현장의 규모에 대한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의 미리 저장된 규모에 대한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건설 현장 공정 단계에서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제1 건설 현장 공정 단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건설 현장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제1 건자재 세트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자재 세트에 포함된 건자재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건자재들을 상기 복수의 건자재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의 미리 저장된 규모에 대한 상기 건설 현장의 규모의 비율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격 비교 데이터 및 상기 제2 가격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업체로부터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제1 건자재에 대한 가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자재에 대한 상기 복수의 업체의 각각의 가격을 평균화하여 상기 제1 시세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체 또는 상기 제2 업체는 상기 건설 현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하에 위치한 업체인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방법.
  11. 삭제
  12. 외부 장치로부터 건설 현장에 대한 건축물의 종류, 건설 현장의 규모, 현장의 위치, 현재 공정 단계, 예산 투입 시기, 진척률 및 특이사항을 포함하는 현장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현장 정보와 미리 저장된 건자재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공정 단계에 대응되는 태그를 가진 복수의 건자재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수량을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및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응되는 수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추천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룹별로 주문 및 배송에 대한 처리가 일체로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현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들을 상기 공정 단계, 건자재의 속성, 용도, 브랜드 및 제조 업체와 관련된 기준에 따라 그룹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 각각에 대한 시세를 확인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제1 건자재 그룹에 대하여 제1 업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의 건자재에 포함된 제2 건자재 그룹에 대하여 제2 업체를 선별하고, 상기 제1 건자재 그룹에 대한 제1 시세 및 상기 제1 업체의 가격인 제1 가격에 기초하여 제1 가격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2 건자재 그룹에 대한 제2 시세 및 상기 제2 업체의 가격인 제2 가격에 기초하여 제2 가격 비교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주문 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건설 현장에 대한 월별 또는 품목별 건자재 소요 계획과 예산 사용 계획을 포함하는 건자재 리포트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제1 가격 비교 데이터는 상기 제1 시세 대비 상기 제1 가격의 제1 비율 및 상기 제1 비율에 기초한 가격 등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격 비교 데이터는 상기 제2 시세 대비 상기 제2 가격의 제2 비율 및 상기 제2 비율에 기초한 가격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 현장의 공정에 따른 건자재 추천 서버.
KR1020210159897A 2021-11-19 2021-11-19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461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897A KR102461497B1 (ko) 2021-11-19 2021-11-19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897A KR102461497B1 (ko) 2021-11-19 2021-11-19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497B1 true KR102461497B1 (ko) 2022-11-01

Family

ID=84042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897A KR102461497B1 (ko) 2021-11-19 2021-11-19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80B1 (ko) * 2023-04-14 2023-10-19 진부현 공사 계획 정보 분석 기반 공사용 볼트의 수요 예측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127A (ko) * 2010-03-26 2011-10-05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사례기반추론과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건축물의 공사비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1443048B1 (ko) * 2014-03-10 2014-09-22 문혜숙 온라인 견적 시스템 및 온라인 견적 방법
KR20160141508A (ko) *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두올테크 공사 유형에 따른 소요 자원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7446A (ko) * 2015-08-07 2017-02-15 코미텍 주식회사 분할구매 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KR20170021161A (ko) * 2015-08-17 2017-02-27 코미텍 주식회사 업체 신용등급 산출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KR20180079765A (ko) * 2017-01-02 2018-07-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30273B1 (ko) * 2018-04-17 2019-10-08 권영근 철근거래시스템
KR20200042123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스타키움 인테리어 자재 주문정보 등록과 견적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21753A (ko) * 2019-08-19 2021-03-02 조윤호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127A (ko) * 2010-03-26 2011-10-05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사례기반추론과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건축물의 공사비 예측시스템 및 방법
KR101443048B1 (ko) * 2014-03-10 2014-09-22 문혜숙 온라인 견적 시스템 및 온라인 견적 방법
KR20160141508A (ko) * 2015-06-01 2016-12-09 주식회사 두올테크 공사 유형에 따른 소요 자원 예측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17446A (ko) * 2015-08-07 2017-02-15 코미텍 주식회사 분할구매 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KR20170021161A (ko) * 2015-08-17 2017-02-27 코미텍 주식회사 업체 신용등급 산출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KR20180079765A (ko) * 2017-01-02 2018-07-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자동화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30273B1 (ko) * 2018-04-17 2019-10-08 권영근 철근거래시스템
KR20200042123A (ko) * 2018-10-15 2020-04-23 주식회사 스타키움 인테리어 자재 주문정보 등록과 견적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21753A (ko) * 2019-08-19 2021-03-02 조윤호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580B1 (ko) * 2023-04-14 2023-10-19 진부현 공사 계획 정보 분석 기반 공사용 볼트의 수요 예측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80371B (zh) 使用优惠券购买商品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73973B1 (ko) 인테리어 자재 주문정보 등록과 견적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79322B1 (ko) 온라인 기반 건축 자재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61497B1 (ko) 공정 단계별 건자재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463122B1 (ko) 용도별 건자재 패키지를 예측 또는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431253B1 (ko) 건설 현장 맞춤형 최적화 업체 또는 계약 방식을 추천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40077065A (ko)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US20240070780A1 (en) Software Technology for Managing a Construction Project Involving Multiple Currencies
KR101784454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218086B2 (ja) 購買決済システム
US202301393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product categorization
JP5629797B2 (ja) 電子商取引サーバ、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電子商取引プログラム
CN113393190B (zh) 仓储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US1188692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 sharing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computing environments based on expected completion latency differences
US20140244432A1 (en) E-Commerce System with Personal Price Points
US20210064225A1 (en) Computing device,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ata signal arranged to facilitate the display of information
KR2000006391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자재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90010231A (ko) 철제재고거래방법 및 단말기
KR20220010334A (ko) 다중 주문과 재분배 정산을 기반으로 하는 주문배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4174565A (ja) 電子商取引サーバ、電子商取引方法および電子商取引プログラム
KR20150103787A (ko) 네트워크 마케팅 관리 방법
US20230260004A1 (en) System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ual product recommendations
Azlin et al. The Development of Gas Ordering and Delivery Application for Chuan Huat LPG Sdn. Bhd
US118100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mapping to handle template changes
CA3138791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ad shed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