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673B1 -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및 조리 기구 - Google Patents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및 조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673B1
KR102384673B1 KR1020207019994A KR20207019994A KR102384673B1 KR 102384673 B1 KR102384673 B1 KR 102384673B1 KR 1020207019994 A KR1020207019994 A KR 1020207019994A KR 20207019994 A KR20207019994 A KR 20207019994A KR 102384673 B1 KR102384673 B1 KR 10238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lief
cooking
opening
air pump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3055A (ko
Inventor
페이룽 뤄
화융 류
즈쟈 량
성화 싱
리 마
웨이밍 황
후이민 우
샤오량 양
위화 황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928113.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5869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928442.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5893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928111.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5869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928114.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78439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721928306.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58702U/zh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93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조리 기구(100)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30A, 30B, 30C) 및 조리 기구(100)에 관한 것으로, 조리 기구(100)는 압력 릴리프 홀(21)을 구비하고, 압력 릴리프 장치(30A, 30B, 30C)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쇄 부재(314A, 314B, 314C)를 포함하며,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밀폐 어셈블리(31A, 31B, 31C); 및 밀폐 어셈블리(31A, 31B, 31C)에 연결되고, 밀폐 어셈블리(31A, 31B, 31C)를 구동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봉쇄하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32A, 32B, 32C);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및 조리 기구
본 출원은 조리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및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공 전기 밥솥은 진공 장치와 압력 릴리프 구조를 포함하는바, 진공 장치에 의해 조리 기구 내에서 부압 상태를 구현함으로써 밥 짓기 효과를 향상시키고, 전기 밥솥이 부압 상태에서 상압 상태로 회복되어야 하는 경우, 압력 릴리프 구조를 통해 압력을 릴리프한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전기 밥솥에는 여전히 허다한 부족점, 예를 들면 밀폐성이 그다지 좋지 않고 생산 비용이 보다 높은 등이 존재하는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출원은 적어도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은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밀폐성이 더 좋고 사용 수명이 더 길다.
본 출원은 조리 기구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는 압력 릴리프 홀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밀폐 어셈블리; 및 상기 밀폐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또는 봉쇄하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는,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 어셈블리 또는 밀폐 어셈블리의 봉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압력 릴리프 홀의 개폐를 구현하는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리 기구의 비용이 저감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리 기구의 뚜껑체는 상기 압력 릴리프 홀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의 바로 위에 있는 장착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쇄 부재 및 상기 장착 개구 부에 설치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부재의 중부가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봉쇄 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밀폐 부재의 외주 에지가 상기 장착 개구 부에 밀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밀폐 어셈블리의 봉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의 봉쇄 부재를 구동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는, 밀폐 부재를 장착 개구 위치에 고정하는바, 밀폐 부재의 중부가 봉쇄 부재에 연결되도록 하고 밀폐 부재의 외주 에지를 장착 개구에 밀폐 연결시킴으로써 밀폐 부재의 다단계 연결 고정을 구현하고, 밀폐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밀폐 부재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압력 릴리프 장치의 밀폐성 및 사용 성능을 향상시킨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봉쇄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개구 위치에 밀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봉쇄 부재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봉쇄 부재의 하단은 상기 가동부에 걸림 연결로 연결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봉쇄 부재의 하단측 주변 벽에는 그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 홈이 구비되어 상기 봉쇄 부재의 하단에 걸림 헤드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부의 중부에는 상기 걸림 헤드에 걸림 연결되는 걸림 홈이 구비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장착 개구는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의 바로 위에 설치된 링형 지지 리브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개구가 상기 링형 지지 리브를 향하는 링형 밀폐홈을 구비하고, 상기 링형 지지 리브는 상기 링형 밀폐홈과 걸림 연결로 연결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압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장착 개구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외주 에지를 상기 링형 지지 리브의 상표면에 가압 설치하고, 상기 링형 지지 리브의 상표면에는 리밋 돌기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지지 리브와 상기 밀폐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가동부는 유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부는 유연성 재료 또는 경질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밀폐 부재는 일체 성형 부재이다.
본 출원의 다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석 푸시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 푸시 로드는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봉쇄 부재를 푸시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전자석 푸시 로드의 단부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복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당접부 및 상기 전자석에 당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전자석 푸시 로드와 상기 봉쇄 부재 사이에 탄성 제어 부재가 연결된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는, 구동 어셈블리의 횡방향 푸시 로드에 의해 횡방향 푸시 로드의 횡방향 운동의 작용력을 밀폐 어셈블리의 종방향 운동의 작용력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압력 릴리프 홀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고; 이와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고 압력 릴리프 장치의 비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조리 기구는 조리 캐비티 및 상기 조리 캐비티와 연통하는 압력 릴리프 홀을 구비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횡방향 푸시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는 상기 밀폐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가 상기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상기 종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의 적어도 일부분은 최고점과 최저점을 구비하는 구동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홀을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고 상기 구동 세그먼트가 상기 관통 홀에 결합될 경우, 상기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이동시킨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구동 세그먼트는 상기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세그먼트는 상기 횡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점차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최고점과 상기 최저점은 각각 상기 구동 세그먼트의 양단에 형성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관통 홀 내벽면의 종단면은 중부가 상기 관통 홀의 중심으로 만곡되는 호형을 형성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통로를 구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꼭대기에는 상기 관통 홀이 설치되는 종방향 푸시 로드;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 에지는 상기 밸브의 저부에 연결되고 중부는 상기 종방향 푸시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 푸시 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더 나아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봉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쇄 부재는 상기 밸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봉쇄 부재와 상기 종방향 푸시 로드 사이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밀폐 부재의 중부는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봉쇄 부재의 외형 사이즈는 상기 통로의 횡단면 사이즈보다 조금 작고, 상기 봉쇄 부재와 상기 밀폐 부재의 중부는 걸림 연결로 연결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전자석 어셈블리이고,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 로드 외부에는 스프링이 씌워지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상기 구동 로드의 자유단 및 상기 전자석에 당접되어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자유단에는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의 일단은 상기 걸림 연결부에 걸림 연결로 연결된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조리 기구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압력 릴리프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이동시켜 압력 릴리프 홀의 개폐를 구현하는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리 기구의 비용이 저감된다.
일부 예시에서, 조리 기구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를 구비하는 솥 본체;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게 상기 솥 본체에 장착되는 뚜껑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은 상기 뚜껑체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뚜껑체 내에 설치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뚜껑체는 에어 펌핑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 기구는 진공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 장치는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어 상기 조리 기구의 조리 캐비티 내에 부압을 형성한다.
본 출원의 제3 측면에 따른 조리 기구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를 구비하는 솥 본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게 상기 솥 본체에 장착되는 뚜껑체 - 상기 뚜껑체는 에어 펌핑 개구 및 압력 릴리프 홀을 구비함 - ;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어 상기 조리 캐비티 내에 부압을 형성하는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압력 릴리프 장치 -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뚜껑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이 개방될 경우에 공기가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통하여 상기 조리 캐비티 내로 진입하도록 하거나 또는 증기를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통하여 상기 조리 캐비티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조리 캐비티 저벽에서의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의 정사 투영 면적은 20mm2-51mm2임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는, 조리 캐비티 저벽에서의 압력 릴리프 홀의 정사 투영 면적이 상술한 조건을 충족하도록 한정함으로써 압력 릴리프 소음을 최대한 저감시키고 쌀물이 넘치는 것을 회피하고 동시에 진공의 흡착력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는바, 따라서 조리 기구의 비용이 저감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이 둥근 홀을 형성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의 직경이 5mm-8mm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밀폐 어셈블리; 및 상기 밀폐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봉쇄하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더 나아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통로를 구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스풀;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밀폐 부재 - 상기 밀폐 부재의 외주 에지는 상기 밸브의 저부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 부재의 중부는 상기 밸브 스풀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스풀을 따라 이동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스풀은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 스풀의 일단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스풀의 타단에는 상기 밀폐 부재에 걸림 연결로 연결되는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거나; 및/또는,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봉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쇄 부재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밸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봉쇄 부재와 상기 밸브 스풀 사이에는 압력 제어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밀폐 부재의 중부는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밀폐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로드의 외부에는 복귀 스프링이 씌워지고 상기 복귀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상기 구동 로드의 단부 및 상기 전자석에 당접되어 연결된다.
일부 예시에서, 상기 뚜껑체는 내부 뚜껑 및 상기 내부 뚜껑의 상기 조리 캐비티를 향하는 일측에 설치되는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펌핑 개구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은 상기 덮개판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뚜껑의 상기 덮개판을 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덮개판에 당접되어 연결되는 밀폐링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 뚜껑, 상기 덮개판 및 상기 밀폐링 사이에 상기 압력 릴리프 홀에 연통되는 압력 릴리프 캐비티가 한정되고, 상기 내부 뚜껑에는 증기 밸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증기 밸브는 상기 압력 릴리프 캐비티와 연통한다.
본 출원의 제4 측면에 따른 조리 기구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를 구비하는 솥 본체; 선회축을 통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상기 솥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조리 캐비티에 연통되는 에어 펌핑 개구, 기체 배출 개구 및 증기 통로를 구비하는 뚜껑체; 및 상기 뚜껑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 펌핑 개구 및 상기 기체 배출 개구에 각각 연통되어 상기 조리 캐비티 내에 부압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축과 상기 증기 통로 사이에 있는 진공 펌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는, 진공 펌프를 선회축과 증기 통로 사이에 설치하므로 진공 펌프의 회전 토크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따라서 뚜껑체를 오픈하는 회전 토크가 감소되고, 이와 동시에 뚜껑체 오픈 시 진공 펌프의 견뢰성이 향상되고 뚜껑 오픈 시의 점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기 통로는 상기 선회축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선회축 또는 상기 증기 통로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회축의 축선에 수직되는 법선 방향에서 상기 에어 펌핑 개구는 상기 뚜껑체의 중부에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체 배출 개구는 상기 선회축 및 상기 뚜껑체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 펌프는 장착 지지대에 의해 상기 뚜껑체 내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 지지대는 대향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 및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지지 기둥의 윗부분에 설치되고 각 상기 지지 기둥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지지 기둥이 상기 선회축의 축선에 수직되는 법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거나; 및/또는, 상기 지지판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를 향하는 일측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진공 펌프의 외형에 매칭되는 호면을 형성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공 펌프는 진공 펌프 입구 및 진공 펌프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진공 펌프 입구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고, 상기 진공 펌프 출구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기체 배출 개구에 연통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기구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5 측면에 따른 조리 기구에 있어서,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를 구비하는 솥 본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게 상기 솥 본체에 장착되고 에어 펌핑 개구를 구비하는 뚜껑체;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어 상기 조리 캐비티 내에 부압을 형성하는 에어 펌핑 장치; 및 상기 에어 펌핑 개구 위치에 설치되는 폐색 방지 부재 - 상기 폐색 방지 부재는 상기 에어 펌핑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뚜껑체와의 사이에 상기 조리 캐비티 및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로를 한정하고, 각 상기 기류 통로의 횡단면 면적S1은 4mm2보다 작거나 같음 - ;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는, 폐색 방지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에어 펌핑 장치가 동작할 때 폐색 방지 부재와 함께 기류 통로를 한정하고 기류 통로의 횡단면 면적을 한정할 수 있도록 하여 쌀알 등의 큰 알갱이 식재료가 에어 펌핑 개구를 폐색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함으로써 폐색 방지 기능을 구현하여 에어 펌핑이 순조롭도록 보장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리 기구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폐색 방지 부재가 유연성 부재이며 상기 에어 펌핑 개구 위치에 걸림 연결되거나; 및/또는, 상기 에어 펌핑 장치가 진공 펌프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뚜껑체는 내부 뚜껑 및 상기 내부 뚜껑의 상기 조리 캐비티 일측을 향하는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폐색 방지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 횡단면 면적이 상기 에어 펌핑 개구의 횡단면 면적보다 크고 상기 덮개판의 상기 내부 뚜껑을 향하는 일측에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판의 상기 내부 뚜껑을 등지는 일측에 있는 폐색 방지부 - 상기 폐색 방지부의 상기 덮개판을 향하는 일측은 적어도 하나의 요홈을 구비하여 상기 에어 펌핑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판과 함께 상기 기류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요홈의 횡단면 면적은 상기 S1임 - ;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은 복수 개가 포함되는바, 복수의 상기 요홈이 상기 고정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분포되고 복수의 상기 요홈의 횡단면 면적 총합(S2)이 7mm2보다 크거나 같거나; 및/또는, 상기 요홈이 직사각형, 원형, V형이거나; 및/또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폐색 방지부의 연결 부위에 상기 에어 펌핑 개구를 회피하기 위한 링형 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은 상기 링형 요홈에 연통되거나; 및/또는,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원형 테이블 모양 또는 원뿔 모양을 형성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뚜껑에 설치되는 연결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조인트는 상기 에어 펌핑 개구와 연통하는 연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펌핑 장치는 상기 연결 통로에 연통된다.
본 발명의 부가 측면 및 이점은 아래의 설명에서 일부 제공될 것이고, 일부는 아래의 설명에서 선명해지거나 본 발명에 대한 실천으로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및/또는 부가적인 측면 및 이점은 아래 첨부 도면을 결부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선명해지고 이해하기 쉽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 는 도 1에서 A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릴리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의 압력 릴리프 장치가 뚜껑체에 장착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압력 릴리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압력 릴리프 장치가 뚜껑체에 장착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덮개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C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 릴리프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여기서, 뚜껑체는 폐쇄 상태에 있다.
도 13은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여기서, 뚜껑체는 개방 상태에 있다.
도 14는 본 출원에 따른 진공 펌프가 뚜껑체에 장착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E1부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에 따른 폐색 방지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폐색 방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E2-E2선에 따른 국부 단면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바,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서 시종일관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하는 소자를 나타낸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인바,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 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용어로서 ‘상’, ‘하’, ‘전’, ‘후’, ‘좌’, ‘우’, ‘직립’, ‘수평’, ‘정(頂)’, ‘저(底)’, ‘내’, ‘외’, ‘시계 방향’, ‘시계 반대 방향’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의 도시에 기초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로서 단지 본 출원에 대한 설명의 편의와 간략화를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구비하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 및 조작해야 함을 지시 또는 암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며, 때문에 이를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 된다.본 출원의 설명에서, 설명해야 할 것은, 별도로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있지 않은 한, 용어로서 ‘장착’, ‘상호 연결’, ‘연결’을 넓은 의미에서 이해하여야 하는바,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 가능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일체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고; 직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 상호 연결일 수도 있고 두 개 소자의 내부적 연통일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구체 상황에 따라 상술한 용어가 본 출원에서의 구체 함의를 이해할 수가 있다.
관련 기술의 진공 전기 밥솥의 압력 릴리프 장치는 전자석, 작은 볼 밸브 및 밀폐링으로 구성되고 작은 볼 밸브에 의해 압력 릴리프 홀을 폐색시킴으로써 조리 캐비티 내부를 밀폐시키고; 전기 밥솥이 부압 상태에서 상압 상태로 회복되어야 하는 경우, 다시 전자석에 의해 작은 볼을 푸시하여 개방함으로써 압력을 릴리프한다. 그러나, 압력 릴리프 장치 내의 밀폐링은 사용 중에 쉽게 이탈되는 잠재 문제가 있고 일정 시간 자주 사용하고 난 후 노화 변형이 발생하여 구조의 밀폐성에 영향 준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은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밀폐성이 더 좋고 사용 수명이 더 길다.
아래, 도1 내지 도19를 결부하여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및 조리 기구(100)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는 밀폐 어셈블리와 구동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조리 기구(100)는 압력 릴리프 홀(21)을 구비하고, 밀폐 어셈블리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밀폐 부재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쇄 부재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밀폐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상기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봉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구동 어셈블리는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봉쇄하거나, 또는, 밀폐 어셈블리의 봉쇄 부재를 구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봉쇄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는,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 어셈블리 또는 밀폐 어셈블리의 봉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압력 릴리프 홀(21)의 개폐를 구현하는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리 기구의 비용을 저감시킨다.
아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30A)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30A)에 있어서, 조리 기구(100)의 뚜껑체(20)는 압력 릴리프 홀(21) 및 장착 개구(23)를 구비하고, 장착 개구(23)는 압력 릴리프 홀(2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압력 릴리프 장치(30A)는 밀폐 어셈블리(31A) 및 구동 어셈블리(32A)를 포함한다.
밀폐 어셈블리(31A)는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 봉쇄 부재(314A) 및 밀폐 부재(313A)를 포함하는바, 봉쇄 부재(314A)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밀폐 부재(313A)는 장착 개구(23) 위치에 설치되고 밀폐 부재(313A)의 중부는 봉쇄 부재(314A)에 연결되므로 봉쇄 부재(314A)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밀폐 부재(313A)의 외주 에지는 장착 개구(23) 위치에 밀폐 연결된다. 구동 어셈블리(32A)는 봉쇄 부재(314A)에 연결되어 봉쇄 부재(314A)를 구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밀폐 부재(313A)를 연동시켜 이동하도록 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30A)는, 밀폐 부재(313A)를 장착 개구(23)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밀폐 부재(313A)의 중부가 봉쇄 부재(314A)에 연결되도록 하고 밀폐 부재(313A)의 외주 에지가 장착 개구(23)에 밀폐 연결되로록 하는바, 밀폐 부재(313A)의 다단계 연결 고정을 구현하고 밀폐 부재(313A)의 이탈을 방지하며 밀폐 부재(313A)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압력 릴리프 장치(30A)의 밀폐성 및 사용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폐 부재(313A)는 가동부(3131A) 및 고정부(3132A)를 포함하고, 가동부(3131A)는 봉쇄 부재(314A)에 연결됨으로써 봉쇄 부재(314A)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고정부(3132A)는 가동부(3131A)에 연결되고 가동부(3131A)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을 형성하며 장착 개구(23) 위치에 밀폐 연결된다.
일부 예시에서, 봉쇄 부재(314A)는 종방향으로(도2에서의 상하 방향) 연장되는 기둥 모양을 형성하고, 봉쇄 부재(314A)의 하단은 가동부(3131A)에 걸림 연결로 연결된다. 봉쇄 부재(314A)가 가동부(3131A)에 걸림 연결되는 것을 통하여 밀폐 부재(311)의 안정적인 밀폐를 구현하고 밀폐 부재(31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서, 봉쇄 부재(314A)의 하단측 주변 벽에는 링형 홈이 구비되고, 링형 홈은 봉쇄 부재(314A)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봉쇄 부재(314A)의 하단에 걸림 헤드(3141A)를 형성하고, 가동부(3131A)의 중부에는 걸림 헤드(3141A)에 걸림 연결되는 걸림 홈(31311A)이 구비되고, 따라서 가동부(3131A)가 봉쇄 부재(314A)에 걸림 연결되어 봉쇄 부재(314A)와의 동기화 이동이 구현되도록 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서, 압력 릴리프 홀(21)의 바로 위에는 링형 지지 리브(50)가 구비되고, 링형 지지 리브(50)는 장착 개구(23)를 한정하고, 고정부(3132A)에는 링형 밀폐홈(31321A)이 구비되고, 링형 밀폐홈(31321A)의 개구는 링형 지지 리브(50)의 방향을 향하고, 링형 지지 리브(50)는 링형 밀폐홈(31321A)에 걸림 연결로 연결된다. 링형 밀폐홈(31321A)을 링형 지지 리브(50) 위치에 걸림 연결함으로써 밀폐 부재(311)를 장착 개구(23) 위치에 고정하고 나아가 밀폐 부재(311)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링형 밀폐홈(31321A)의 반경 방향 사이즈는 링형 지지 리브(50)의 반경 방향 사이즈보다 작지 않은바, 따라서 고정부(3132A)와 링형 지지 리브(50)의 걸림 연결이 견고해지고 밀폐 부재(313A)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일부 예시에서, 밀폐 어셈블리(31A)는 압착 부재(311A)를 더 포함하고, 압착 부재(311A)는 장착 개구(23)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압착 부재(311A)는 고정부(3132A)의 상부에 설치되는바, 따라서 고정부(3132A)의 외주 에지를 링형 지지 리브(50)의 상표면에 가압 설치할 수 있다. 압착 부재(311A)의 압착 작용에 의해 밀폐 부재(313A)에 대한 스퀴징식 장착을 구현하여 밀폐 부재(313A)를 고정하는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더 나아간 예시에서, 링형 지지 리브(50)의 상표면에는 리밋 돌기(51)가 설치되고, 리밋 돌기(51)는 링형 지지 리브(50)와 밀폐 부재(313A)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리밋 돌기(51)의 위치 한정 작용에 의해 더 나아가 밀폐 부재(311)를 스퀴징하여 밀폐 부재(311)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예시에서, 링형 밀폐홈(31321A)의 내측 주변 벽은 식각 패턴 등을 가지는 조면 처리된 구조로 설정할 수도 있는바, 밀폐 부재(313A)와 링형 지지 리브(5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본 출원의 일 예시에 따르면, 가동부(3131A)는 유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고정부(3132A)는 유연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고정부(3132A)는 경질 재료를 적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는바, 따라서 고정부(3132A)와 링형 지지 리브(50)의 하드(hard) 밀폐에 의해 밀폐 부재(313A)에 대한 고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시에 따르면, 밀폐 부재(313A)는 일체 성형 부재일 수 있는바, 따라서 밀폐 부재(313A)의 장착과 탈착이 편리해지고 고정이 편리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32A)는 전자석(322A) 및 전자석 푸시 로드(323A)를 포함하고, 전자석 푸시 로드(323A)는 전자석(322A)에 의해 구동되고, 전자석 푸시 로드(323A)는 봉쇄 부재(314A)에 연결되고, 따라서 전자석(322A)의 통전 및 정전을 제어함으로써 전자석 푸시 로드(323A)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봉쇄 부재(314A)를 구동하여 이동시키고, 나아가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봉쇄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전자석 푸시 로드(323A)의 단부(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단 단부)는 당접부를 구비하고(3231A), 구동 어셈블리(32A)는 복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324A), 복귀 탄성 부재(324A)의 일단은 당접부(3231A)에 당접되어 연결되고 복귀 탄성 부재(324A)의 타단은 전자석(322A)에 당접되어 연결된다. 전자석 푸시 로드(323A)가 전자석(322A)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복귀 탄성 부재(324A)에 모양 변화가 발생한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서, 복귀 탄성 부재(324A)는 스프링이고, 스프링은 전자석 푸시 로드(323A)에 씌워져 설치된다. 복귀 탄성 부재(324A)는 전자석 푸시 로드(323A)의 이동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고, 전자석(321)이 정전된 후, 전자석 푸시 로드(323A)는 복귀 탄성 부재(324A)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통로(3110) 내에 탄성 제어 부재(312A)가 설치되고, 탄성 제어 부재(312A)의 양단은 각각 봉쇄 부재(314A) 및 전자석 푸시 로드(323A)에 당접되어 연결된다. 탄성 제어 부재(312A)는 봉쇄 부재(314A)의 이동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에셈블리 에러(assembly error)로 인한 밀폐 불량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끼이는 상황이 나타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통로(3110) 내에 탄성 제어 부재(312A)를 설치함으로써 압력 릴리프 장치(30A)가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리 캐비티(11) 내의 기압으로 탄성 제어 부재(312A)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하고 압력 릴리프를 구현할 수 있는바, 이로써 조리 기구(100)에 대한 안전 보호 작용을 발휘하고 조리 기구(100)의 정상 동작을 보장한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서, 압력 릴리프 장치(30A)는 구동부(321A)를 더 포함하고, 구동부(321A)에는 나사 구멍이 구비되고 전자석 푸시 로드(323A)의 일단(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단)에는 나사산이 구비되므로 전자석 푸시 로드(323A)와 구동부(321A)는 나사산에 의해 결합 연결되는바, 구조가 간단하고 연결이 편리하다.
물론, 구동부(321A)는 나사 기둥체를 구비할 수도 있는바, 전자석 푸시 로드(323A)에는 나사 구멍이 구비되고 구동부(321A)의 나사 기둥체는 나사 구멍 내에 장착되며, 나사산의 회전에 따라 구동부(321A)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일부의 예시에서, 전자석 푸시 로드(323A)와 구동부(321A)는 걸림 연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석 푸시 로드(323A) 측벽의 하단에 내측으로 요입된 링형 요홈이 구비되고 구동부(321A)가 링형 요홈 내에 걸림 연결됨으로써 전자석 푸시 로드(323A)와 구동부(321A)를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는 상술한 실시예의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30A)를 포함한다. 압력 릴리프 장치(30A)는 뚜껑체(20) 내에 설치된다. 상술한 압력 릴리프 장치(30A)가 적용됨에 따라 밀폐 부재(313A)의 고정 능력이 향상되고 밀폐 부재(313A)의 이탈이 회피되는바, 따라서 조리 기구(100)의 사용 성능이 향상된다.
일부 예시에서, 뚜껑체(20)는 에어 펌핑 개구(22)를 더 구비하고, 조리 기구(100)는 진공 장치(40A)를 더 포함하고, 진공 장치(40A)는 에어 펌핑 개구(22)에 연통됨으로써 조리 캐비티(11) 내에 부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전기 라이스 팟,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등일 수 있다.
조리 기구(100)는 솥 본체(10), 뚜껑체(20), 압력 릴리프 장치(30A) 및 진공 장치(40A)를 포함한다.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솥 본체(10)의 저부에는 가열 장치가 구비된다. 뚜껑체(20)는 솥 본체(10)에 장착되고, 뚜껑체(20)에는 압력 릴리프 홀(21), 에어 펌핑 개구(22) 및 장착 개구(23)가 있다. 압력 릴리프 홀(21)의 바로 위에는 링형 지지 리브(50)가 구비되고, 링형 지지 리브(50)는 장착 개구(23)를 한정한다. 압력 릴리프 장치(30A) 및 진공 장치(40A)는 뚜껑체(20) 내에 설치되고, 진공 장치(40A)는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이고, 압력 릴리프 장치(30A)는 밀폐 어셈블리(31A) 및 구동 어셈블리(32A)를 포함한다.
밀폐 어셈블리(31A)는 압착 부재(311A), 봉쇄 부재(314A) 및 밀폐 부재(313A)를 포함한다.
밀폐 부재(313A)는 가동부(3131A) 및 고정부(3132A)를 포함하고, 가동부(3131A)의 중부에는 걸림 홈(31311A)이 구비되고, 봉쇄 부재(314A)의 하단측 주변 벽에는 링형 홈이 구비되고, 링형 홈은 봉쇄 부재(314A)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봉쇄 부재(314A)의 하단에 걸림 헤드(3141A)를 형성하고, 걸림 홈(31311A)과 걸림 헤드(3141A)는 걸림 연결된다. 고정부(3132A)에는 링형 밀폐홈(31321A)이 구비되고, 링형 지지 리브(50)가 링형 밀폐홈(31321A)에 걸림 연결된다. 압착 부재(311A)는 고정부(3132A)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부(3132A)의 외주 에지를 링형 지지 리브(50)의 상표면에 가압 설치한다. 링형 지지 리브(50)의 상표면에는 리밋 돌기(51)가 설치되어 링형 지지 리브(50)와 고정부(3132A)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가동부(3131A)와 봉쇄 부재(314A)의 걸림 연결에 의해 밀폐 부재(313A)에 대한 초벌 위치 결정을 구현하고; 고정부(3132A)의 링형 밀폐홈(31321A)과 링형 지지 리브(50)의 걸림 연결에 의해 더 나아간 고정을 구현하고; 압착 부재(311A)의 가압 설치 작용에 의해 밀폐 부재(313A)에 대한 더 나아간 고정 및 위치 한정을 구현하는바, 밀폐 부재(313A)가 밀폐 및 비밀폐를 구현하는 신뢰성 있는 상태를 시종일관 유지하도록 하여 밀폐 부재(313A)에 구조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밀폐 무효 및 제품 기능 무효가 회피된다.
관련 기술에서의 진공 전기 밥솥의 압력 릴리프 구조는 전자석 및 작은 볼 밸브로 구성되고, 작은 볼 밸브에 의해 압력 릴리프 홀을 폐색시키고, 따라서 조리 캐비티 내를 밀폐시킨다. 전기 밥솥이 부압 상태에서 상압 상태로 회복되어야 하는 경우, 다시 전자석에 의해 작은 볼을 푸시하여 개방함으로써 압력을 릴리프한다. 그러나, 작은 볼 밸브은 비용이 보다 높고 진공 시스템만 가지는 전기 밥솥에 있어서는 시장 경쟁력이 부족하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은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낮다.
아래,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30B)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조리 캐비티(11) 및 압력 릴리프 홀(21)을 구비하고, 압력 릴리프 홀(21)은 조리 캐비티(11)와 연통하고, 압력 릴리프 장치(30B)는 밀폐 어셈블리(31B) 및 구동 어셈블리(32B)를 포함한다.
밀폐 어셈블리(31B)는 종방향으로(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고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것이고, 구동 어셈블리(32B)는 횡방향 푸시 로드(321B)를 구비하고, 횡방향 푸시 로드(321B)는 횡방향으로(도6에서 도시한 좌우 방향) 이동 가능하고, 횡방향 푸시 로드(321B)는 밀폐 어셈블리(31B)에 연결됨으로써 횡방향 푸시 로드(321B)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밀폐 어셈블리(31B)를 구동하여 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구동 어셈블리(32B)의 횡방향 푸시 로드(321B)에 의해 횡방향 푸시 로드(321B)의 횡방향 운동의 작용력을 밀폐 어셈블리(31B)의 종방향 운동의 작용력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밀폐 어셈블리(31B)를 구동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고; 이와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고 압력 릴리프 장치(30B)의 비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고, 따라서 조리 기구(100)의 비용을 저감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횡방향 푸시 로드(321B)의 적어도 일부분은 최고점과 최저점을 구비하는 구동 세그먼트를 형성하고(3211B), 밀폐 어셈블리(31B)에는 관통 홀(3121B)이 구비되고, 관통 홀(3121B)은 횡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횡방향 푸시 로드(321B)는 관통 홀(3121B)을 관통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는 관통 홀(3121B)에 결합될 수 있는바, 따라서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이동에 의해 밀폐 어셈블리(31B)를 구동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 푸시 로드(321B)가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구동 세그먼트(3211B)가 좌우로 이동되고, 구동 세그먼트(3211B)가 관통 홀(3121B)에 결합되는 높이는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에서 이동함으로써 밀폐 어셈블리(31B)를 구동하여 상하로 이동시켜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바, 조작이 편리하다.
일부 선택적인 예시에서,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적어도 일부분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호형 로드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부의 선택적인 예시에서, 구동 세그먼트(3211B)는 가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로드 세그먼트를 형성한다. 즉 구동 세그먼트(3211B)는 횡방향 푸시 로드(321B) 방향에 경사지는 경사 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는 최고점과 최저점을 구비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고점이 횡방향 푸시 로드(321B)에 연결되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저점은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는바, 횡방향 푸시 로드(321B)가 이동하는 경우, 구동 세그먼트(3211B)가 동기화로 이동된다.
물론, 횡방향 푸시 로드(321B)는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저점에 연결될 수도 있는바,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고점은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고점 및 최저점은 또한 각각 분리된 2개 세그먼트의 횡방향 푸시 로드(321B)에 연결될 수 있는바, 횡방향 푸시 로드(321B)가 이동하는 경우, 구동 세그먼트(3211B)가 동기화로 이동된다.
일부 예시에서, 구동 세그먼트(3211B)는 횡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점차 하향 경사되어 연장되고, 최고점 및 최저점은 각각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양단에 형성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구체 예시에서, 구동 세그먼트(3211B)는 좌우 방향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되어 연장되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고점 및 최저점은 각각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양단에 형성되는바, 따라서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좌측단이 밀폐 어셈블리(31B)에 결합될 경우, 밀폐 어셈블리(31B)는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우측단이 밀폐 어셈블리(31B)에 결합될 경우, 밀폐 어셈블리(31B)는 압력 릴리프 홀(21)을 봉쇄한다.
여기서,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수평(도6에서의 좌우 방향) 투형 길이는 구동 로드(323B)의 이동 스트로크와 같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종방향(도6에서의 상하 방향) 투영 길이는 밀폐 어셈블리(31B)의 스트로크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관통 홀(3121B) 내벽면의 종단면은 중부가 관통 홀(3121B)의 중심으로 만곡되는 호형을 형성하고, 여기서의 종단면은 관통 홀(3121B)의 축방향으로 절개된 단면을 가리키고, 중부는 관통 홀(3121B)내벽면의 중간 부위를 가리키고, 즉 관통 홀(3121B) 내벽면의 중부는 관통 홀(3121B)의 중심으로 만곡되는바, 관통 홀(3121B)의 상부에 있는 내벽면은 하측으로 돌출되고, 관통 홀(3121B)의 하부에 있는 내벽면은 위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방향 유도 작용을 할 수 있어서 관통 홀(3121B)이 구동 세그먼트(3211B)에 결합되기 편리해지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고점과 관통 홀(3121B)의 상부를 접촉되도록 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저점과 관통 홀(3121B)의 하부 부위가 접촉되도록 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압력 릴리프 장치(30B)는 밸브(33B)를 더 포함하고, 밸브(33B)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통로(331B)를 구비한다. 밀폐 어셈블리(31B)는 종방향 푸시 로드(312B) 및 밀폐 부재(313B)를 포함하고, 종방향 푸시 로드(312B)는 통로(331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종방향 푸시 로드의 꼭대기에는 관통 홀(3121B)이 설치되고, 밀폐 부재(313B)는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밀폐 부재(313B)의 외주 에지는 밸브(33B)의 저부에 밀폐 연결되고, 밀폐 부재(313B)의 중부는 종방향 푸시 로드(312B)에 걸림 연결되어 밀폐 부재(313B)의 중부가 종방향 푸시 로드(312B)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봉쇄한다.
더 나아간 예시에서, 밀폐 어셈블리(31B)는 봉쇄 부재(314B)를 더 포함하고, 봉쇄 부재(314B)는 밸브(33B) 내에 설치되고, 봉쇄 부재(314B)와 종방향 푸시 로드(312B) 사이에는 탄성 부재(315B)가 설치되고, 탄성 부재(315B)는 봉쇄 부재(314B)의 이동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에셈블리 에러(assembly error)로 인한 밀폐 불량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종방향 푸시 로드(312B)의 끼이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315B)는 스프링이고, 봉쇄 부재(314B)의 하단은 밀폐 부재(313B)의 중부에 걸림 연결되고 봉쇄 부재(314B)의 상단에는 스프링의 하단에 대해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홈이 구비되고, 스프링의 상단은 종방향 푸시 로드(312B)의 하단에 연결된다.
일부 구체 예시에서, 봉쇄 부재(314B)의 외형 사이즈는 통로(331B)의 횡단면 사이즈보다 조금 작은바, 따라서 봉쇄 부재(314B)는 밸브(33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봉쇄 부재(314B) 하단에는 링형 걸림 홈이 구비되어 봉쇄 부재(314B)의 종단면에 하단이 'H'자 모양인 구조를 형성하고, 밀폐 부재(313B)의 중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형 돌기가 구비되고 링형 돌기는 봉쇄 부재(314B) 하단의 걸림 홈 내에 삽입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밀폐 부재(313B)와 봉쇄 부재(314B)가 걸림 연결로 연결되어 밀폐 부재(313B)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출원의 일 예시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30)는 전자석 어셈블리이다. 전자석 어셈블리는 전자석(322B) 및 구동 로드(323B)를 포함하고 구동 로드(323B)은 전자석(322B)의 구도으로 이동함으로서 횡방향 푸시 로드(321B)를 연동시켜 상기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구동 로드(323B) 외부에는 스프링(324B)이 씌워져 설치되고, 스프링(324B)의 양단은 각각 구동 로드(323B)의 자유단 및 전자석(322B)에 당접하여 연결되고, 스프링(324B)은 구동 로드(323B)의 이동에 완충 작용을 하고, 구동 로드(323B)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324B)의 압축이 연동된 후, 스프링(324B)이 전자기체(electromagnetic body)(322)의 흡인력을 대체하여 구동 로드(323B)로 하여금 스프링(324B)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밸브(33B) 내에 스프링(324B)을 설치함으로써 압력 릴리프 장치(30B)가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리 캐비티(11) 내의 기압으로 스프링(324B)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하고 압력 릴리프을 구현할 수 있는바, 이로써 조리 기구(100)에 대한 안전 보호 작용을 발휘하고 조리 기구(100)의 정상 동작을 보장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구동 로드(323B)의 자유단에는 걸림 연결부(3231B)가 설치되고, 횡방향 푸시 로드(321B)의 일단은 걸림 연결부(3231B)에 걸림 연결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로드(323B)의 우측단은 구동 로드(323B)의 자유단을 형성한다. 횡방향 푸시 로드(321B)는 구동 로드(323B)의 우측단에 설치되고 횡방향 푸시 로드(321B)의 좌측단은 걸림 후크를 형성하고 걸림 후크는 걸림 연결부(3231B)에 걸림 연결로 연결되는바, 따라서 횡방향 푸시 로드(321B)와 구동 로드(323B)를 고정 연결시켜 양자의 동기화 이동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는 솥 본체(10), 뚜껑체(20)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30B)를 포함한다.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뚜껑체(20) 솥 본체(10)에 장착되고, 뚜껑체(2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고, 압력 릴리프 홀(21)은 뚜껑체(20)에 설치되고, 압력 릴리프 장치(30B)는 뚜껑체(20) 내에 설치된다. 상술한 압력 릴리프 장치(30B)를 적용함으로써 구동 어셈블리(32B)의 횡방향 푸시 로드(321B)에 의해 밀폐 어셈블리(31B)를 구동하여 이동시켜 압력 릴리프 홀(21)의 개폐를 구현하는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리 기구의 비용이 저감된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전기 라이스 팟,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등일 수 있다.
조리 기구(100)는 솥 본체(10), 뚜껑체(20), 압력 릴리프 장치(30B) 및 진공 장치(40B)를 포함한다.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솥 본체(10)의 저부에는 가열 장치가 설치된다. 뚜껑체(20)는 솥 본체(10)에 장착되고, 뚜껑체(20)에는 압력 릴리프 홀(21)이 있다. 압력 릴리프 장치(30B) 및 진공 장치(40B)는 뚜껑체(20) 내에 설치되고, 진공 장치(40B)는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이고, 압력 릴리프 장치(30B)는 밀폐 어셈블리(31B), 구동 어셈블리(32B) 및 밸브(33B)를 포함한다. 밸브(33B)는 상하로 연장된 통로(331B)를 구비한다.
구동 어셈블리(32B)는 횡방향 푸시 로드(321B), 전자석(322B), 구동 로드(323B) 및 스프링(324B)을 포함한다. 스프링(324B)은 구동 로드(323B)의 외부에 씌워져 설치되고, 스프링(324B)의 양단은 각각 구동 로드(323B)의 우측단 및 전자석(322B)에 당접하여 연결되고, 구동 로드(323B)의 우측단에는 걸림 연결부(3231B)가 더 설치되고, 횡방향 푸시 로드(321B)의 좌측단은 걸림 후크를 형성하는바, 따라서 횡방향 푸시 로드(321B)와 구동 로드(323B)가 걸림 연결로 연결된다. 횡방향 푸시 로드(321B)의 일부분은 구동 세그먼트(3211B)를 형성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는 최고점과 최저점을 구비한다.
밀폐 어셈블리(31B)는 종방향 푸시 로드(312B), 밀폐 부재(313B), 봉쇄 부재(314B) 및 탄성 부재(315B)를 포함하고, 종방향 푸시 로드(312B)의 상단은 관통 홀(3121B)을 구비한다. 종방향 푸시 로드(312B)의 하단은 통로(331B) 내에 설치되고 종방향 푸시 로드(312B)의 하부와 봉쇄 부재(314B) 사이에 탄성 부재(315B)가 설치된다. 밀폐 부재(313B)의 외주 에지는 밸브(33B)의 하단과 뚜껑체(20) 사이에 걸려 설치되고 밀폐 부재(313B)의 중부는 봉쇄 부재(314B)의 하부에 걸림 연결되는바, 따라서 종방향 푸시 로드(312B)가 하향 이동하는 경우, 탄성 부재(315B)를 가압하여 봉쇄 부재(314B)와 밀폐 부재(313B)를 푸시하여 함께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압력 릴리프 홀(21)을 봉쇄한다.
조리 캐비티(11)를 에어 펌핑해야 하는 경우, 압력 릴리프 장치(30B)가 동작하여 조리 캐비티(11) 내에서 밀폐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프로그램이 전자석(322B)을 제어하여 정전시키고 구동 로드(323B)가 스프링(324B)의 탄성력의 작용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고 횡방향 푸시 로드(321B)를 연동시켜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구동 세그먼트(3211B)가 동기화로 우측 이동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저점과 관통 홀(3121B)의 하부가 접촉되고, 따라서 횡방향 운동의 작용력을 종방향 푸시 로드(312B)에 의해 종방향 운동의 작용력으로 변환시키고, 구동 세그먼트(3211B)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종방향 푸시 로드(312B)를 구동하여 하향 이동시키고, 따라서 밀폐 부재(313B)를 연동시켜 하향 운동하도록 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봉쇄하고, 따라서 조리 캐비티(11) 내의 밀폐를 구현한다. 이때 진공 장치(40B)는 조리 캐비티(11)를 에어 펌핑하여 조리 캐비티(11) 내에 부압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압력을 릴리프해야 하는 경우, 제어 프로그램이 전자석(322B)을 제어하여 통전 픽업(pick up)시키고, 구동 로드(323B)를 좌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횡방향 푸시 로드(321B)를 연동시켜 좌측 이동하도록 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는 동기화로 좌측 이동하고 구동 세그먼트(3211B)의 최고점과 관통 홀(3121B)의 상부가 접촉되고, 따라서 횡방향 운동의 작용력을 종방향 푸시 로드(312B)에 의해 종방향 작용으로 변환시키고, 구동 세그먼트(3211B)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종방향 푸시 로드(312B)가 상향 이동하고 밀폐 부재(313B)를 연동시켜 상향 운동하도록 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하고 나아가 조리 캐비티(11)가 외부와 연통하게 하며 압력 릴리프를 구현한다.
물론, 상술한 동작 과정은 하나의 바람직한 방안일 뿐, 전자석(322B)이 통전 픽업되는 경우, 구동 로드(323B)는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밀폐 부재(313B)를 연동시켜 하향 운동하도록 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봉쇄할 수도 있다.
관련 기술에서의 진공 전기 밥솥, 그 덮개판에는 압력 릴리프 홀 및 에어 펌핑 홀이 구비되고, 전기 밥솥 밥 짓기 에어 펌핑 및 부압 밀폐 유지 단계에서, 압력 릴리프 홀이 밀폐되고, 진공 펌프에 의해 조리 캐비티 내의 기압을 부압 상태로 낮춘다. 전기 밥솥이 밥 짓기의 비등 단계에 있는 경우, 압력 릴리프 홀이 개방되고 이때, 압력 릴리프 홀의 직경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 압력 릴리프 소음이 지나치게 커지고 쌀물이 압력 릴리프 홀로부터 분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 경험이 영향받고; 압력 릴리프 홀의 직경이 지나치게 큰 경우, 진공 흡착력이 지나치게 커지므로 구동 어셈블리에 대한 전력 요구가 높아지고 부품 비용이 지나치게 높아진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은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바, 상기 조리 기구는 소음이 작고 비용이 낮다.
아래, 도7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10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7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솥 본체(10), 뚜껑체(20),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40C) 및 압력 릴리프 장치(30C)를 포함한다.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뚜껑체(20)는 솥 본체(10)에 장착되고, 뚜껑체(2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고, 뚜껑체(20)에는 에어 펌핑 개구(22) 및 압력 릴리프 홀(21)이 구비되고,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40C)는 에어 펌핑 개구(22)에 연통되는바, 따라서 조리 캐비티(11) 내에 부압을 형성할 수 있고, 압력 릴리프 장치(30C)는 뚜껑체(20) 내에 설치되고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 릴리프 장치(30C)가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하는 경우, 공기가 압력 릴리프 홀(21)을 통해 조리 캐비티(11) 내로 진입하도록 하거나 또는 조리 캐비티(11) 내의 증기가 압력 릴리프 홀(21)을 통해 조리 캐비티(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리 캐비티(11) 저벽에서의 압력 릴리프 홀(21)의 정사 투영 면적은 20mm2-51mm2이다. 예를 들어, 조리 캐비티(11) 저벽에서의 압력 릴리프 홀(21)의 정사 투영 면적은 20mm2, 25mm2 또는 50mm2일 수 있다. 압력 릴리프 홀(21)의 모양은 원형, 직사각형 또는 기타 불규칙적인 모양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조리 캐비티(11) 저벽에서의 압력 릴리프 홀(21)의 정사 투영 면적을 상술한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한정함으로써 압력 릴리프 소음을 최대한 저감시키고 쌀물이 넘치는 것을 회피하고 동시에 진공의 흡착력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는바, 따라서 조리 기구(100)의 비용이 저감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릴리프 홀(21)은 둥근홀을 형성하고, 압력 릴리프 홀(21)의 직경은 5mm-8mm이다.
구체적으로, 압력 릴리프 홀(21)의 직경이 5mm로 설정되는 경우, 조리 캐비티(11) 내의 물을 비등할 때까지 가열하면 조리 캐비티(11) 내의 기압은 0.4kPa이 되고 이때 압력 릴리프 소음 및 넘쳐나는 현상도 잘 개선되고; 압력 릴리프 홀(21)의 직경이 7mm로 증가되는 경우, 검출된 조리 캐비티(11) 내의 식재료의 비등 상태에서의 상대 압력은 거의 상압에 근접하게 되고; 압력 릴리프 홀(21)의 직경이 8mm로 증가되는 경우, 진공의 흡착력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고, 따라서 조리 기구(100)의 비용이 저감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릴리프 장치(30C)는 밀폐 어셈블리(31C) 및 구동 어셈블리(32C)를 포함한다. 밀폐 어셈블리(31C)는 종방향으로(도7에서 도시한 상하 방향)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및 봉쇄할 수 있으며, 구동 어셈블리(32C)는 밀폐 어셈블리(31C)에 연결되고 구동 어셈블리(32C)는 밀폐 어셈블리(31C)를 구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봉쇄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압력 릴리프 장치(30C)는 밸브(33C)를 더 포함하고, 밸브(33C)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통로(331C)를 구비하고, 밀폐 어셈블리(31C)는 밸브 스풀(311C) 및 밀폐 부재(313C)를 포함한다. 밸브 스풀(311C)은 밸브(31)내에 설치되고, 밸브 스풀(311C)은 통로(331C)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밀폐 부재(313C)는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밀폐 부재(313C)의 외주 에지는 밸브(33C)의 저부에 밀폐 연결되고, 밀폐 부재(313C)의 중부는 밸브 스풀(311C)에 연결되는바, 따라서 밀폐 부재(313C)의 중부가 밸브 스풀(311C)을 따라 이동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 또는 봉쇄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서, 밀폐 부재(313C)의 외주 에지는 외부에서 내부로 요입된 링형 요홈을 구비하고, 뚜껑체(20)에는 걸림 후크(28)가 구비되고, 걸림 후크(28)는 링형 요홈의 내측에 억지 결합 연결됨으로써 밀폐 부재(313C)와 뚜껑체(20) 사이의 밀폐성을 보장한다. 밸브(33C)의 저부는 밀폐 부재(313C)에 가압 설치되고 밀폐 부재(313C)를 스퀴징하여 밀폐 부재(313C)의 외주 에지를 뚜껑체(20)와 밸브(33C) 사이에 걸려 설치함으로써 밀폐 부재(313C)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밸브 스풀(311C)은 통로(331C)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모양을 형성하고, 밸브 스풀(311C)의 일단은 구동 어셈블리(32C)에 연결되고, 밸브 스풀(311C)의 타단에는 걸림 연결부(312C)가 설치되고, 걸림 연결부(312C)는 밀폐 부재(313C)에 걸림 연결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걸림 연결부(312C)는 밸브 스풀(311C)의 하단에 형성되고, 걸림 연결부(312C)는 종단면이 'H'자 모양인 구조를 형성하고, 밀폐 부재(313C)의 중부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형 돌기를 구비하고, 링형 돌기는 걸림 연결부(312C)에 걸림 연결될 수 있는바, 따라서 밀폐 부재(313C)가 밸브 스풀(311C)에 걸림 연결로 연결되어 밀폐 부재(313C)의 중부가 밸브 스풀(311C)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밀폐 부재(313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밀폐 어셈블리(31C)는 봉쇄 부재(314C)를 더 포함하고, 봉쇄 부재(314C)는 밸브(33C)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봉쇄 부재(314C)와 밸브 스풀(311C) 사이에는 압력 제어 스프링(315C)이 설치되고, 압력 제어 스프링(315C)은 봉쇄 부재(314C)의 이동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에셈블리 에러(assembly error)로 인한 밀폐 불량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밸브 스풀(311C)의 끼이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밸브(33C) 내에 압력 제어 스프링(315C)을 설치함으로써 압력 릴리프 장치(30C)가 무효화되는 경우에 조리 캐비티(11) 내의 기압으로 압력 제어 스프링(315C)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하고 압력 릴리프를 구현할 수 있는바, 이로써 조리 기구(100)에 대한 안전 보호 작용을 발휘하고 조리 기구(100)의 정상 동작을 보장한다.
또한, 밀폐 부재(313C)의 중부는 봉쇄 부재(314C)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봉쇄 부재(314C)의 외형 사이즈는 통로(331C)의 횡단면 사이즈보다 조금 작은바, 따라서 봉쇄 부재(314C)는 밸브(33C)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봉쇄 부재(314C) 하단에는 링형 걸림 홈이 구비되어 봉쇄 부재(314C)의 단면이 하단이 'H'자 모양인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고, 밀폐 부재(313C)의 중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형 돌기가 구비되며, 링형 돌기는 봉쇄 부재(314C) 하단의 링형 걸림 홈 내에 삽입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밀폐 부재(313C) 및 봉쇄 부재(314C)가 걸림 연결로 연결되어 밀폐 부재(313C)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출원의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32C)는 전자석(322C)과 구동 로드(321C)를 포함하고, 구동 로드(321C)는 상하 방향으로 전자석(322C)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 로드(321)는 밀폐 어셈블리(31C)에 연결되고, 따라서 밀폐 어셈블리(31C)를 연동시켜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구동 로드(321C) 외부에 복귀 스프링(324C)이 씌워지고 복귀 스프링(324C)의 양단은 각각 구동 로드(321C)의 단부 및 전자석(322C)에 당접하여 연결된다. 복귀 스프링(324C)은 구동 로드(321C)의 이동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고, 전자기체(321)가 정전된 후, 구동 로드(321C)는 복귀 스프링(324C)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바, 따라서 조리 캐비티(11) 내의 진공 흡인력을 극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뚜껑체(20)는 내부 뚜껑(201) 및 덮개판(202)을 포함하고, 덮개판(202)은 내부 뚜껑(201)에 있어서 조리 캐비티(11)를 향하는 일측에 설치되고, 에어 펌핑 개구(22) 및 압력 릴리프 홀(21)은 덮개판(202)에 설치된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덮개판(202)에는 온도 제어기 홀(27)이 더 구비되는바, 따라서 온도 검출 장치가 온도 제어기 홀(27)을 통해 조리 캐비티(11)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도록 하고, 조리 캐비티(11) 내의 온도 변화에 따라 동작 상태를 적시에 조정하여 조리 기구(100)의 사용 성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온도 제어기 홀(27)은 에어 펌핑 개구(22)와 대칭되게 압력 릴리프 홀(21)의 양측에 배치되는바, 따라서 제조 공정의 난이도가 저감될 수 있으므로 생산이 편리하다.
도7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내부 뚜껑(201)에는 밀폐링(26)이 더 설치되는바, 밀폐링(26)의 상단은 내부 뚜껑(201)에 고정되고, 밀폐링(26)의 하단은 덮개판(202)에 당접되어 연결되고, 내부 뚜껑(201), 덮개판(202) 및 밀폐링(26) 사이에는 압력 릴리프 캐비티(61)가 한정되고, 압력 릴리프 캐비티(61)는 압력 릴리프 홀(21)에 연통된다.
더 나아간 예시에서, 내부 뚜껑(201)에는 증기 밸브(62)가 더 설치되는바, 증기 밸브(62)는 압력 릴리프 캐비티(61)와 연통하고 증기는 압력 릴리프 홀(21)을 거쳐 압력 릴리프 캐비티(61)에 배출된 후, 증기 밸브(6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7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전기 라이스 팟,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등일 수 있다.
조리 기구(100)는 솥 본체(10), 뚜껑체(20),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40C) 및 압력 릴리프 장치(30C)를 포함하고.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뚜껑체(20)는 솥 본체(10)에 장착되고, 뚜껑체(20)는 내부 뚜껑(201) 및 덮개판(202)을 포함하고, 덮개판(202)에는 에어 펌핑 개구(22), 압력 릴리프 홀(21) 및 온도 제어기 홀(27)이 구비된다.
압력 릴리프 장치(30C)는 밀폐 어셈블리(31C), 구동 어셈블리(32C) 및 밸브(33C)를 포함하고, 밸브(33C)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통로(331C)를 구비하고, 밀폐 어셈블리(31C)는 밸브 스풀(311C), 밀폐 부재(313C), 봉쇄 부재(314C) 및 압력 제어 스프링(315C)을 포함한다. 봉쇄 부재(314C)의 상단은 밸브 스풀(311C)에 연결되고 압력 제어 스프링(315C)은 봉쇄 부재(314C)와 밸브 스풀(311C) 사이에 설치된다. 봉쇄 부재(314C) 하단에는 링형 걸림 홈이 구비되고 밀폐 부재(313C)의 중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링형 돌기가 구비되고 밀폐 부재(313C)는 봉쇄 부재(314C) 하단의 링형 걸림 홈 내에 삽입 연결된다. 구동 어셈블리(32C)는 전자석(322C) 및 구동 로드(321C)를 포함하고 전자기체(321)는 나사못에 의해 내부 뚜껑(201)에 고정된다. 구동 로드(321C) 외부에 복귀 스프링(324C)이 씌워지고 복귀 스프링(324C)의 양단은 각각 구동 로드(321C)의 단부 및 전자석(322C)에 당접하여 연결된다.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40C)은 에어 펌핑 개구(22)에 연통되는바, 따라서 조리 캐비티(11) 내에 부압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릴리프 홀(21)은 둥근 홀을 형성하고, 압력 릴리프 홀(21)의 직경이 5mm-8mm이거나, 또는 조리 캐비티(11) 저벽에서의 압력 릴리프 홀(21)의 정사 투영 면적이 20mm2-50mm2이다.
조리 기구(100)가 동작할 때, 조리 캐비티(11) 내의 물을 비등 상태로 가열하고, 발생하는 증기량이 부단히 증가됨에 따라 압력도 점점 더 커지게 되고, 압력차의 작용으로 고압 기체가 압력 릴리프 홀(21)로부터 배출되고 고압 기체가 단면 면적이 보다 작은 압력 릴리프 홀(21)을 통과하는 경우, 기체 유속이 보다 크므로 발생하는 소음이 크고 이와 동시에 물-수증기 혼합물도 압력 릴리프 홀(21)을 통해 분출된다.
대량의 실험 데이터로 얻은 결론은, 압력 릴리프 홀(21)의 직경이 5mm인 경우, 조리 캐비티(11)의 물을 비등할 때까지 가열하면 내부 솥 내의 기압은 0.4kPa로 되고, 이때 기체 소음 및 넘쳐나는 문제가 잘 개선된다. 압력 릴리프 홀(21)의 직경이 7mm인 경우, 조리 캐비티(11)의 비등 상태에서의 상대 압력은 상압에 근접하다.
조리 기구(100)가 부압 상태로부터 순간적으로 상압 상태로 회복되는 경우, 압력 릴리프 홀(21)을 폐색시키는 밀폐 부재(313C)는 구동 어셈블리(32C)에 의해 개방되어야 하는 것으로, F=PS(P는 기체 압력 세기이고 S는 압력 릴리프 홀의 투영 면적)에 의해 알 수 있는바, 기압이 일정한 경우, 압력 릴리프 홀(21)의 투영 면적이 더 작게 되고 진공 흡인력이 더 작게 되며 구동 어셈블리(32C)가 극복하는 진공 흡인력이 작을수록, 전력이 더 작게 된다. 상술한 데서 획득되는 압력 릴리프 홀(21)의 최소 직경은 5mm이고 최대 진공도가 -40kPa로 설정되는 경우, 밀폐 부재(313C)가 압력 릴리프 홀(21)을 폐색시킨다면 인가되는 최대 진공 흡인력은 F1=PS=80gf이고, 이때 구동 어셈블리(32C)가 압력 릴리프 홀(21)을 개방시키고자 극복하여야 하는 저항력은 F=F1+F2이고, 여기서, F2는 전자석(322C), 구동 로드(321C), 밀폐 부재(313C) 등의 저항력이고, F2는 약 20gf이며, 따라서F=100gf이다. 구동 어셈블리(32C)가 진공 흡인력을 극복하는 것은, 주로 복귀 스프링(324C)의 회복력에 의한 것인바 F=1.25F이고 F=125gf이며 조리 기구(100)에서의 사용을 충족시키는 전자석의 모델 번호에 따라 테스트하여 얻은 결론은, 압력 릴리프 홀(21)의 직경이 8mm인 경우, 전자석(322C)의 전력, 부피, 수명 및 신뢰성은 최적치에 달할 수 있다.
진공 전기 밥솥은 통상적으로 뚜껑체에 진공 펌프가 장착되고 진공 펌프에 의해 에어 펌핑하여 조리 기구 내에서 부압 상태를 구현함으로써 밥 짓기 효과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진공 펌프를 뚜껑체의 전단에 장착하여 이를 제어 패널 부근에 있도록 하는 경우, 진공 펌프의 중력으로 인해 뚜껑 클로즈/뚜껑 오픈 시의 토크가 대폭 증가되고 따라서 진공 펌프가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은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바, 상기 조리 기구는 뚜껑 오픈 시의 진공 펌프의 안정성이 좋다.
아래,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10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솥 본체(10), 뚜껑체(20) 및 진공 펌프(40D)를 포함한다.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뚜껑체(20)는 선회축(203)에 의해 솥 본체(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뚜껑체(2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고 뚜껑체(20)에는 에어 펌핑 개구(22), 기체 배출 개구(24) 및 증기 통로(25)가 구비되고 에어 펌핑 개구(22), 기체 배출 개구(24) 및 증기 통로(25)는 모두 조리 캐비티(11)에 연통된다. 진공 펌프(40D)는 뚜껑체(20) 내에 설치되고 진공 펌프(40D)는 각각 에어 펌핑 개구(22) 및 기체 배출 개구(24)에 연통되는바, 따라서 조리 캐비티(11) 내에 부압을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진공 펌프(40D)는 선회축(203)과 증기 통로(25) 사이에 있다. 증기 통로(25) 위치에는 증기 밸브(미도시)가 설치되고 증기 밸브에 의해 조리 기구(100)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증기 배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는, 진공 펌프(40D)가 선회축(203)과 증기 통로(25) 사이에 설치되므로 진공 펌프(40D)의 회전 토크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따라서 뚜껑체(20) 오픈 시의 회전 토크가 감소되고 이와 동시에 뚜껑체(20) 오픈 시의 진공 펌프(40D)의 견뢰성이 향상되고 뚜껑 오픈 시의 점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기 통로(25)는 선회축(203)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진공 펌프(40D)는 증기 통로(25)에 인접한 부위에 설치되는바, 따라서 뚜껑 오픈 시의 진공 펌프(40D)의 회전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뚜껑 오픈 시의 점핑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진공 펌프(40D)는 선회축(203)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는바, 따라서 진공 펌프(40D)의 회전 토크를 나아가 더 저감시킬 수 있고, 이로써 뚜껑 오픈이 더욱 편리해진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회축(203)의 축선에 수직되는 법선 방향에서 에어 펌핑 개구(22)가 뚜껑체(20)의 중부에 설치되는바, 이에 따르면 조리 캐비티(11) 횡단면에서의 에어 펌핑 개구(22)의 정사 투영이 중부에 있도록 보장되므로 진공 펌프(40D)의 에어 펌핑이 균일해진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체 배출 개구(24)는 선회축(203) 및 뚜껑체(30)에 인접하는 외주 에지 부위에 설치된다.
일부 예시에서, 솥 본체(10)의 윗부분에서 선회축(203)에 가까운 위치에 집수조가 설치되고(미도시), 솥 본체(10)의 윗부분에서의 기체 배출 개구(24)의 정사 투영은 집수조 내에 있게 되고, 기체 배출 개구(24)를 선회축(203) 및 뚜껑체(30)에 인접하는 외주 에지 부위에 설치함으로써 진공 펌프(40D)에 의해 에어 펌핑되는 증기를 조리 캐비티(11) 외부로 배출시키기 편리해지고 집수조에 의해 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기 유리해지고 이와 동시에 뚜껑 오픈후 응축수가 조리 캐비티(1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펌프(40D)는 장착 지지대(71)에 의해 뚜껑체(20) 내에 고정되는바, 진공 펌프(40D)가 장착 지지대(71)에 장착됨으로써 진공 펌프(40D)와 뚜껑체(20)의 접촉이 회피되어 진공 펌프(40D)이 동작 중에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되고 이와 동시에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장착 지지대(71)는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711) 및 지지판(712)을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711)은 대향하여 배치되고 지지판(712)은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711)의 윗부분에 설치되며, 지지판(712)은 각 지지 기둥(711)에 고정 연결되고 진공 펌프(40D)는 지지판(712)에 장착된다.
일부 선택적인 예시에서, 지지판(712)은 탄성 재료를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지지판(712)은 고무판일 수 있고, 탄성 재료의 지지판(712)을 적용함으로써 진공 펌프(40D)를 탄성 재료로 제조된 지지판(712)에 장착하면 진공 펌프(40D)의 동작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뚜껑이 오픈 또는 클로즈될 때 , 진공 펌프(40D)에 대해 완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소음을 나아가 더 저감시킨다.
일부 선택적인 예시에서, 지지 기둥(711)은 탄성 재료를 적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는바, 진공 펌프(40D)가 동작할 때의 소음을 나아가 더 저감시킬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서,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711)이 선회축(203)의 축선에 수직되는 법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바, 따라서 뚜껑체(20)가 개방될 때,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711)이 2개의 지지 기둥(711)의 연결선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진공 펌프(40D)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고 뚜껑이 오픈 과정에서의 진공 펌프(40D)의 안정성이 나아가 더 향상된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서, 지지판(712)의 진공 펌프(40D)를 향하는 일측 표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진공 펌프(40D)의 외형에 매칭되는 호면을 형성하는바, 따라서 진공 펌프(40D)를 지지판(712)에 장착하기 편리해지고 뚜껑이 오픈 과정에서의 진공 펌프(40D)의 안정성이 나아가 더 향상된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펌프(40D)는 진공 펌프 입구(401) 및 진공 펌프 출구(402)를 구비하고 진공 펌프 입구(401)는 연결관(403)에 의해 에어 펌핑 개구(22)에 연통되고 진공 펌프 출구(402)는 연결관(22)에 의해 기체 배출 개구(24)에 연통된다. 여기서, 연결관(22)는 고무관일 수 있고 기류 유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기구(100)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이동시켜 압력 릴리프 홀의 개폐를 구현하는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리 기구의 비용이 저감된다.
도12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또는 전기 전골 냄비 등일 수 있다.
조리 기구(100)는 솥 본체(10), 뚜껑체(20), 진공 펌프(40D), 장착 지지대(71) 및 제어 패널(72)을 포함한다.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솥 본체(10)의 윗부분에서 선회축(203)에 가까운 위치에는 집수조가 설치된다.
뚜껑체(20)는 선회축(203)에 의해 솥 본체(1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뚜껑체(20)에는 에어 펌핑 개구(22), 기체 배출 개구(24) 및 증기 통로(25)가 구비되고 솥 본체(10)의 윗부분에서의 기체 배출 개구(24)의 정사 투영은 집수조 내에 있게 되고 증기 통로(25) 위치에는 증기 밸브가 설치되고 장착 지지대(71)는 뚜껑체(20) 내에 장착되고 제어 패널(72)은 뚜껑체(20) 상부에서 선회축(203)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장착 지지대(71)는 2개의 지지 기둥(711)과 하나의 지지판(712)을 포함하고 지지판(712)은 지지 기둥(711)에 고정되고 지지판(712)은 고무판이고 지지판(712)의 상측 표면은 호형면을 형성하고 진공 펌프(40D)는 지지판(712)에 장착된다. 진공 펌프(40D)는 진공 펌프 입구(401) 및 진공 펌프 출구(402)를 구비하고 진공 펌프 입구(401)는 연결관(403)에 의해 에어 펌핑 개구(22)에 연통되고 진공 펌프 출구(402)는 연결관(22)에 의해 기체 배출 개구(24)에 연통된다. 진공 펌프(40D)는 동작할 때, 에어 펌핑 개구(22)에 의해 조리 캐비티(11) 내의 기체를 에어 펌핑하고 이를 기체 배출 개구(24)에 의해 배출함으로써 조리 캐비티(11) 내에 부압을 형성하고 조리 캐비티(11) 내의 입쌀 내부의 미세 기포가 빠른 속도로 나오도록 하며 이와 동시에 물이 입쌀 내부로 더욱 쉽게 진입하도록 하여 입쌀의 빠른 속도로의 수분 흡수를 구현한다.
여기서, 증기 통로(25)는 선회축(203)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진공 펌프(40D)는 선회축(203)과 증기 통로(25) 사이에, 선회축(203)에 인접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진공 펌프(40D)의 구체 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진공 펌프(40D)의 회전 토크가 감소되고 따라서 뚜껑체(20)를 오픈하는 회전 토크가 감소되고 이와 동시에 뚜껑체(20) 오픈 시의 진공 펌프(40D)의 견뢰성이 향상되고 뚜껑 오픈 시의 점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관련 기술의 진공 전기 밥솥은, 진공 펌프의 기체 흡입 개구에 폐색 방지 커버가 설치되어 쌀알 등이 기체 흡입 개구를 폐색시키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폐색 방지 커버는 통상적으로 다공성 플라스틱 부재가 적용되나 이러한 플라스틱 부재의 폐색 방지 커버는 가동 덮개판에 장착될 때, 장착이 어렵고 장착 및 탈착 중 파손되기 쉬우며 세척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장시간 사용 후 폐색 방지 커버의 구멍이 쉽게 작아지어 진공 에어 펌핑이 순조롭지 못해지고 소음이 커진다.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은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바, 상기 조리 기구는 폐색 방지 효과가 좋고 에어 펌핑이 순조롭다.
아래, 도15 내지 도19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10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15 내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솥 본체(10), 뚜껑체(20), 에어 펌핑 장치(40E) 및 폐색 방지 부재(81)를 포함한다.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뚜껑체(20)는 솥 본체(10)에 장착되고 뚜껑체(2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고 뚜껑체(20)에는 에어 펌핑 개구(22)가 구비되고 에어 펌핑 장치(40E)는 에어 펌핑 개구(22)에 연통되고 에어 펌핑 장치(40E)가 에어 펌핑할 때, 조리 캐비티(11) 내에 부압을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폐색 방지 부재(81)는 에어 펌핑 개구(22) 위치에 설치되고 에어 펌핑 장치(40E)가 동작할 때, 폐색 방지 부재(81)와 뚜껑체(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기류 통로는 조리 캐비티(11) 및 에어 펌핑 개구(22)에 연통되고 각 기류 통로의 횡단면 면적S1은 4mm2보다 작거나 같다.
본 출원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폐색 방지 부재(81)를 설치함으로써 에어 펌핑 장치(40E)가 동작할 때 폐색 방지 부재(81)와 함께 기류 통로를 한정하고 기류 통로의 횡단면 면적을 한정할 수 있도록 하여 쌀알 등의 큰 알갱이 식재료가 에어 펌핑 개구(22)를 폐색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함으로써 폐색 방지 기능을 구현하여 에어 펌핑이 순조롭도록 보장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리 기구(100)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색 방지 부재(81)는 유연성 부재이고 폐색 방지 부재(81)는 에어 펌핑 개구(22) 위치에 걸림 연결된다. 유연성의 폐색 방지 부재(81)를 적용함으로써 그 유연성 특성을 이용하는바, 따라서 변형이 편리해지고 편리하게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폐색 방지 부재(81)의 일단은 에어 펌핑 개구(22)의 직경 크기보다 약간 큰 링형 걸림 후크를 구비할 수 있고, 링형 걸림 후크에 의해 에어 펌핑 개구(22)에 걸림 연결되어 폐색 방지 부재(81)를 뚜껑체(20)에 고정한다.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뚜껑체(20)는 내부 뚜껑(201) 및 덮개판(202)을 포함하고, 덮개판(202)은 내부 뚜껑(201)의 조리 캐비티(11)를 향하는 일측에 연결되는바, 즉 덮개판(202)은 내부 뚜껑(201)의 하측에 있다.
더 나아가, 폐색 방지 부재(81)는 고정부(811) 및 폐색 방지부(812)를 포함한다. 고정부(811)는 덮개판(202)의 상측에 있고, 고정부(811)의 적어도 일부분 횡단면 면적은 에어 펌핑 개구(22)의 횡단면 면적보다 큰바, 따라서 고정부(811)가 덮개판(202)에 걸림 연결될 수 있고, 폐색 방지부(812)는 고정부(811)에 연결되고, 폐색 방지부(812)는 덮개판(202)의 하측에 있고, 폐색 방지부(812)의 덮개판(202)을 향하는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813)이 구비되고, 에어 펌핑 장치(40E)가 동작할 때, 요홈(813)과 덮개판(202) 사이에 기류 통로를 한정할 수 있고, 요홈(813)의 횡단면 면적은 S1이고, S1은 4mm2보다 작거나 같고, 따라서 쌀알 등의 큰 알갱이 식재료가 요홈(813)을 폐색시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폐색 방지부(812)는 복수의 요홈(813)을 포함하고 복수의 요홈(813)은 고정부(81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분포되고 이격 분포된 복수의 기류 통로를 형성하며 따라서 기체가 복수의 방향에서 에어 펌핑 개구(22) 위치로 진입하도록 할수 있고 에어 펌핑 효율이 향상된다.
일부 구체적인 예시에서, 복수의 요홈(813)의 횡단면 면적 총합(S2)은 7mm2보다 크거나 같은바, 따라서 에어 펌핑 장치(40E)의 동작 효율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고 에어 펌핑이 순조롭지 않게 되거나 소음이 큰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요홈(813)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물론, 요홈(813)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V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바, 따라서 요홈(813)의 몰드 제작 및 가공이 편리해진다.
도17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고정부(811)와 폐색 방지부(812)의 연결 부위에 링형 요홈(814)이 구비되고, 링형 요홈(814)은 에어 펌핑 개구(22)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요홈(813)은 링형 요홈(814)에 연통됨으로써 조리 캐비티(11) 내의 기체가 요홈(813)을 통해 링형 요홈(814)에 연통되도록 하고, 에어 펌핑 장치(40E)가 동작할 때, 기체는 순조롭게 에어 펌핑 개구(22)를 통과하여 에어 펌핑 장치(40E)에 연통될 수 있다.
도17 내지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811)의 적어도 일부분은 원형 테이블 모양을 형성하는바, 따라서 고정부(811)가 덮개판(202)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부(811)의 일부분은 경사진 방향 유도면을 형성하는바, 이로써 덮개판(202)에 걸림 연결되어 고정되기 편리하고 폐색 방지 부재(81)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동시에 에어 펌핑 장치(40E)가 동작하지 않을 때, 고정부(811) 원형 테이블의 하측은 덮개판(202)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는바, 조리 캐비티(11)내에 밀폐된 실(cavity)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정부(811)의 적어도 일부분은 원뿔 모양을 형성할 수도 있는바, 이로써 덮개판(202)에 걸림 연결되기 편리해지고 폐색 방지 부재(81)의 이탈이 방지되며 이와 동시에 조리 캐비티(11)를 밀폐시킬 수 있다.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예시에서, 내부 뚜껑(201)에는 연결 조인트(82)가 설치되고, 연결 조인트(82)는 에어 펌핑 개구(22)와 연통하는 연결 통로(821)를 구비하고 에어 펌핑 장치(40E)는 연결 통로(821)에 연통된다. 내부 뚜껑(201)과 덮개판(202) 사이에는 밀폐링(60)이 더 설치되고, 밀폐링(60)의 상단은 내부 뚜껑(201)에 걸림 설치되고 연결 조인트(82)와 내부 뚜껑(201) 사이에 있으며 이와 동시에 연결 조인트(82)는 밀폐링(60)을 내부 뚜껑(201)에 나아가 가압 설치할 수 있는바, 밀폐링(60)과 내부 뚜껑(201), 연결 조인트(82) 사이의 밀폐성이 향상된다. 밀폐링(60)의 하단은 덮개판(202)에 당접되어 연결되는바, 따라서 덮개판(202)과 내부 뚜껑(201) 사이에 하나의 밀폐실을 형성하고 에어 펌핑 개구(22) 및 연결 통로(821)가 실(cavity) 내에 설치되어 에어 펌핑 장치(40E)가 에어 펌핑 개구(22) 및 연결 통로(821)를 통해 조리 캐비티(11) 내부를 에어 펌핑하도록 하므로 에어 펌핑 과정에서의 밀폐성이 좋다.
본 출원의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펌핑 장치(40E)가 진공 펌프인바, 구조가 간단하고 장착이 편리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 기구(100)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포함한다. 상술한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구동 어셈블리에 의해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이동시켜 압력 릴리프 홀의 개폐를 구현하는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리 기구의 비용이 저감된다.
도15 내지 도19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100)는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또는 전기 전골 냄비 등일 수 있다.
조리 기구(100)는 솥 본체(10), 뚜껑체(20), 진공 펌프 및 폐색 방지 부재(81)를 포함한다. 솥 본체(10)는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11)를 구비하고, 뚜껑체(20)는 내부 뚜껑(201) 및 덮개판(202)을 포함하고, 덮개판(202)은 내부 뚜껑(201)의 하측에 있다. 덮개판(202)에는 에어 펌핑 개구(22)가 구비되고 내부 뚜껑(201)에는 연결 조인트(82)가 설치되고 연결 조인트(82)는 연결 통로(821)를 구비하고 연결 통로(821)는 에어 펌핑 개구(22)와 통한다. 내부 뚜껑(201)과 덮개판(202) 사이에는 밀폐링(60)이 설치되고 밀폐링(60)의 상단은 내부 뚜껑(201)에 고정되고 하단은 덮개판(202)에 당접되어 연결된다. 진공 펌프는 연결 조인트(82)에 의해 내부 뚜껑(201)에 고정되고 진공 펌프의 기체 진입 개구는 연결 통로(821)와 통한다.
폐색 방지 부재(81)는 에어 펌핑 개구(22) 위치에 걸림 연결되고 폐색 방지 부재(81)는 유연성 부재이고 폐색 방지 부재(81)는 고정부(811) 및 폐색 방지부(812)를 포함한다. 고정부(811)의 일부분은 원형 테이블 모양을 형성하고 폐색 방지부(812)의 상측은 4개의 요홈(813) 및 하나의 링형 요홈(814)을 형성하고 요홈(813)은 폐색 방지부(812)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링형 요홈(814)은 요홈(813)의 중간에 설치되고 고정부(811)와 폐색 방지부(812)의 연결 부위에 있으며 에어 펌핑 개구(22)를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요홈(813)은 링형 요홈(814)과 통하고 요홈(813)의 횡단면 면적은 S1이고 S1은 4mm2보다 작거나 같고 4개의 요홈(813)의 횡단면 면적 총합(S2)은 7mm2보다 크거나 같다.
진공 펌프가 동작할 때, 폐색 방지 부재(81)는 뚜껑체(20)와 조리 캐비티(11) 사이의 압력차 작용으로 상향 이동되고 조리 캐비티(11) 내의 기체는 요홈(813)과 뚜껑체(20) 사이에 형성되는 기류 통로를 통해 에어 펌핑 개구(22)로 진입함으로써 연결 통로(821)를 통해 진공 펌프의 기체 진입 개구와 통하고 진공 펌프가 조리 캐비티(11) 내부를 에어 펌핑하여 조리 캐비티(11) 내에 부압을 형성한다. 조리 캐비티(11) 내부가 필요한 부압 값에 도달되면 진공 펌프는 동작을 종료하고 폐색 방지 부재(81)가 뚜껑체(20)와 조리 캐비티(11) 사이의 압력차 작용으로 하향 이동되고 고정부(811)의 일부분이 에어 펌핑 개구(22)를 봉쇄하여 조리 캐비티(11) 내에 밀폐된 실(cavity)을 형성하고 조리 캐비티(11)는 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로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 실시예’, ‘예시’, ‘구체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의 설명은 이러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설명되는 구체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점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의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서술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대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설명되는 구체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 개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비록 위에서 이미 본 출원의 실시예를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원리 및 최종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변화, 수정,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며 본 출원의 범위는 청구항 및 그 등가물에 의해 한정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100: 조리 기구, 10: 솥 본체, 11: 조리 캐비티, 20: 뚜껑체, 201: 내부 뚜껑, 202: 덮개판, 203: 선회축, 21: 압력 릴리프 홀, 22: 에어 펌핑 개구, 23: 장착 개구, 24: 기체 배출 개구, 25: 증기 통로, 26: 밀폐링, 27: 온도 제어기 홀, 28: 걸림 후크, 30A, 30B, 30C: 압력 릴리프 장치, 31A, 31B, 31C: 밀폐 어셈블리, 311A: 압착 부재, 3110A: 링형 통로, 311C: 밸브 스풀, 312A: 탄성 제어 부재, 312B: 종방향 푸시 로드, 3121B: 관통 홀, 312C: 걸림 연결부, 313A, 313B, 313C: 밀폐 부재, 3131A: 가동부, 31311A: 걸림 홈, 3132A: 고정부, 31321A: 링형 밀폐홈, 314A, 314B, 314C: 봉쇄 부재, 3141A: 걸림 헤드, 315B: 탄성 부재, 315C: 압력 제어 스프링, 32A, 32B, 32C: 구동 어셈블리, 321A: 구동부, 3211A: 통로, 321B: 횡방향 푸시 로드, 3211B: 구동 세그먼트, 321C: 구동 로드, 322A, 322B, 322C: 전자석, 323A: 전자석 푸시 로드, 323B: 구동 로드, 3231A: 당접부, 3231B: 걸림 연결부, 324A: 복귀 탄성 부재, 324B: 스프링, 324C: 복귀 스프링, 33B, 33C: 밸브, 331B, 331C: 통로, 40A, 40B: 진공 장치, 40C: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 40D: 진공 펌프, 401: 진공 펌프 입구, 402: 진공 펌프 출구, 403: 연결관, 40E: 에어 펌핑 장치, 50: 링형 지지 리브, 51: 리밋 돌기, 61: 압력 릴리프 캐비티, 62: 증기 밸브, 71: 장착 지지대, 711: 지지 기둥, 712: 지지판, 72: 제어 패널, 81: 폐색 방지 부재, 811: 고정부, 812: 폐색 방지부, 813: 요홈, 814: 링형 요홈, 82: 연결 조인트, 821: 연결 통로, 83: 밀폐 부재.

Claims (35)

  1.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로서,
    상기 조리 기구는 조리 캐비티 및 상기 조리 캐비티와 연통하는 압력 릴리프 홀을 구비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밀폐 어셈블리; 및
    상기 밀폐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또는 봉쇄하게 하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
    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횡방향 푸시 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는 상기 밀폐 어셈블리에 연결되어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가 상기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상기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의 적어도 일부분은 최고점과 최저점을 구비하는 구동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상기 횡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홀을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고 상기 구동 세그먼트가 상기 관통 홀에 결합될 경우, 상기 밀폐 어셈블리를 구동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의 뚜껑체는 상기 압력 릴리프 홀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의 바로 위에 있는 장착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봉쇄 부재 및 상기 장착 개구가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밀폐 부재의 중간부가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봉쇄 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밀폐 부재의 외주 에지는 상기 장착 개구가 있는 위치에 밀폐 연결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봉쇄 부재를 구동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봉쇄 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 개구가 있는 위치에 밀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쇄 부재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봉쇄 부재의 하단은 상기 가동부에 걸림 연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봉쇄 부재의 하단측 주변 벽에는 그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 홈이 구비되어 상기 봉쇄 부재의 하단에 걸림 헤드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부의 중간부에는 상기 걸림 헤드에 걸림 연결되는 걸림 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개구는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의 바로 위에 설치된 링형 지지 리브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고정부는 개구가 상기 링형 지지 리브를 향하는 링형 밀폐홈을 구비하고, 상기 링형 지지 리브는 상기 링형 밀폐홈과 걸림 연결로 연결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압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 부재는 상기 장착 개구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외주 에지를 상기 링형 지지 리브의 상표면에 가압 설치하고,
    상기 링형 지지 리브의 상표면에는 리밋 돌기가 설치되어 상기 링형 지지 리브와 상기 밀폐 부재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유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고정부는 유연성 재료 또는 경질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밀폐 부재는 일체 성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석 푸시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 푸시 로드는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봉쇄 부재를 푸시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전자석 푸시 로드의 단부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복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귀 탄성 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당접부 및 상기 전자석에 당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전자석 푸시 로드와 상기 봉쇄 부재 사이에 탄성 제어 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세그먼트는 상기 횡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로드 세그먼트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세그먼트는 상기 횡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점차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최고점과 상기 최저점은 각각 상기 구동 세그먼트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의 내벽면의 종단면은 중간부가 상기 관통 홀의 중심으로 만곡되는 호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통로를 구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꼭대기에는 상기 관통 홀이 설치되는 종방향 푸시 로드;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 에지는 상기 밸브의 저부에 연결되고 중간부는 상기 종방향 푸시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 푸시 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어셈블리는 봉쇄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봉쇄 부재는 상기 밸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봉쇄 부재와 상기 종방향 푸시 로드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밀폐 부재의 중간부는 상기 봉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봉쇄 부재의 외형의 사이즈는 상기 통로의 횡단면의 사이즈보다 작고, 상기 봉쇄 부재와 상기 밀폐 부재의 중간부는 걸림 연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13. 제1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전자석 어셈블리이고,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로드의 외부에는 스프링이 씌워지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상기 구동 로드의 자유단 및 상기 전자석에 당접되어 연결되고,
    상기 구동 로드의 자유단에는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횡방향 푸시 로드의 일단은 상기 걸림 연결부에 걸림 연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14. 조리 기구로서,
    제1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를 구비하는 솥 본체;
    상기 조리 캐비티와 연통하는 압력 릴리프 홀; 및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게 상기 솥 본체에 장착되는 뚜껑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은 상기 뚜껑체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뚜껑체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는 에어 펌핑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 기구는 진공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 장치는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어 상기 조리 기구의 상기 조리 캐비티 내에 음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7. 조리 기구로서,
    제1항에 따른 압력 릴리프 장치;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를 구비하는 솥 본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게 상기 솥 본체에 장착되는 뚜껑체 - 상기 뚜껑체는 에어 펌핑 개구 및 압력 릴리프 홀을 구비함 - ;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어 상기 조리 캐비티 내에 음압을 형성하는 마이크로 다이어프램 펌프
    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뚜껑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이 개방될 경우에 공기가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통하여 상기 조리 캐비티 내로 진입하도록 하거나 또는 증기를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통하여 상기 조리 캐비티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고, 상기 조리 캐비티의 저벽에서의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의 정사 투영 면적은 20mm2-51m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은 둥근 홀을 형성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의 직경은 5mm-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통로를 구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릴리프 장치의 밀폐 어셈블리는,
    상기 밸브 내에 설치되고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스풀;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 및 봉쇄하기 위한 밀폐 부재 - 상기 밀폐 부재의 외주 에지는 상기 밸브의 저부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 부재의 중간부는 상기 밸브 스풀에 연결되어 상기 밸브 스풀을 따라 이동함 - ;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 스풀은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모양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 스풀의 일단은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스풀의 타단에는 상기 밀폐 부재에 걸림 연결로 연결되는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0. 제17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로드는 상기 밀폐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로드의 외부에는 복귀 스프링이 씌워지고 상기 복귀 스프링의 양단은 각각 상기 구동 로드의 단부 및 상기 전자석에 당접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는 내부 뚜껑 및 상기 내부 뚜껑의 상기 조리 캐비티를 향하는 일측에 설치되는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펌핑 개구 및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은 상기 덮개판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뚜껑의 상기 덮개판을 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덮개판에 당접되어 연결되는 밀폐링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 뚜껑, 상기 덮개판 및 상기 밀폐링 사이에 상기 압력 릴리프 홀에 연통되는 압력 릴리프 캐비티가 한정되고,
    상기 내부 뚜껑에는 증기 밸브가 더 설치되고, 상기 증기 밸브는 상기 압력 릴리프 캐비티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2. 조리 기구로서,
    제1항에 따른 압력 릴리프 장치;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를 구비하는 솥 본체;
    선회축을 통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상기 솥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조리 캐비티에 연통되는 에어 펌핑 개구, 기체 배출 개구 및 증기 통로를 구비하는 뚜껑체; 및
    상기 뚜껑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 펌핑 개구 및 상기 기체 배출 개구에 각각 연통되어 상기 조리 캐비티 내에 음압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축과 상기 증기 통로 사이에 있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통로는 상기 선회축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선회축 또는 상기 증기 통로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의 축선에 수직인 법선 방향에서 상기 에어 펌핑 개구는 상기 뚜껑체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 개구는 상기 선회축 및 상기 뚜껑체의 외주 에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는 장착 지지대에 의해 상기 뚜껑체 내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 지지대는 대향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기둥 및 지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적어도 2개의 상기 지지 기둥의 윗부분에 설치되고 각 상기 지지 기둥에 연결되며, 상기 진공 펌프는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2개의 상기 지지 기둥이 상기 선회축의 축선에 수직인 법선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는 진공 펌프 입구 및 진공 펌프 출구를 구비하되, 상기 진공 펌프 입구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고, 상기 진공 펌프 출구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기체 배출 개구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8. 조리 기구로서,
    제1항에 따른 압력 릴리프 장치;
    윗부분이 오픈된 조리 캐비티를 구비하는 솥 본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활동 가능하게 상기 솥 본체에 장착되고 에어 펌핑 개구를 구비하는 뚜껑체;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어 상기 조리 캐비티 내에 음압을 형성하는 에어 펌핑 장치; 및
    상기 에어 펌핑 개구가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폐색 방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폐색 방지 부재는 상기 에어 펌핑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뚜껑체와의 사이에 상기 조리 캐비티 및 상기 에어 펌핑 개구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 통로를 한정하고, 각 상기 기류 통로의 횡단면의 면적 S1은 4mm2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방지 부재는 유연성 부재이고 상기 에어 펌핑 개구 위치에 걸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는 내부 뚜껑 및 상기 내부 뚜껑의 상기 조리 캐비티의 일측을 향하는 덮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폐색 방지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 횡단면 면적이 상기 에어 펌핑 개구의 횡단면 면적보다 크고, 상기 덮개판의 상기 내부 뚜껑을 향하는 일측에 있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덮개판의 상기 내부 뚜껑을 등지는 일측에 있는 폐색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폐색 방지부의 상기 덮개판을 향하는 일측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홈을 구비하여 상기 에어 펌핑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판과 함께 상기 기류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오목홈의 횡단면 면적은 상기 면적 S1과 같으며,
    상기 오목홈은 복수 개가 포함되어 복수의 상기 오목홈이 상기 고정부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분포되고, 복수의 상기 오목홈의 횡단면 면적 총합(S2)이 7mm2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는 상기 내부 뚜껑에 설치되는 연결 조인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 조인트는 상기 에어 펌핑 개구와 연통하는 연결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펌핑 장치는 상기 연결 통로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207019994A 2017-12-29 2018-06-05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및 조리 기구 KR102384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1928113.3U CN208658699U (zh) 2017-12-29 2017-12-29 烹饪器具
CN201721928442.8U CN208658937U (zh) 2017-12-29 2017-12-29 用于烹饪器具的泄压装置和烹饪器具
CN201721928111.4U CN208658698U (zh) 2017-12-29 2017-12-29 烹饪器具
CN201721928113.3 2017-12-29
CN201721928114.8 2017-12-29
CN201721928114.8U CN208784398U (zh) 2017-12-29 2017-12-29 用于烹饪器具的泄压装置和烹饪器具
CN201721928306.9U CN208658702U (zh) 2017-12-29 2017-12-29 烹饪器具
CN201721928111.4 2017-12-29
CN201721928442.8 2017-12-29
CN201721928306.9 2017-12-29
PCT/CN2018/089951 WO2019128111A1 (zh) 2017-12-29 2018-06-05 用于烹饪器具的泄压装置和烹饪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055A KR20200093055A (ko) 2020-08-04
KR102384673B1 true KR102384673B1 (ko) 2022-04-08

Family

ID=6706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994A KR102384673B1 (ko) 2017-12-29 2018-06-05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및 조리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53730B2 (ko)
KR (1) KR102384673B1 (ko)
WO (1) WO2019128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8151B2 (en) 2017-08-09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212788226U (zh) 2019-02-25 2021-03-26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CN112294106A (zh) * 2019-07-26 2021-02-0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上盖组件以及烹饪器具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216628206U (zh) * 2021-06-03 2022-05-31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烹饪设备及密封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3203A (ja) 2009-04-28 2010-11-11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CN206761390U (zh) * 2016-12-31 2017-1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食物制备器具
CN206761398U (zh) * 2016-12-31 2017-1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459U (ja) * 1991-09-19 1993-04-09 伊藤工機株式会社 流量比例制御弁
ES1056370Y (es) * 2003-12-15 2004-07-01 Fagor S Coop Valvula de regulacion en una olla a presion.
JP5396704B2 (ja) 2007-03-22 2014-01-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00067167A (ko) * 2008-12-11 2010-06-21 주식회사 리홈 전기 보온압력밥솥의 이상 압력 배출장치
JP5809451B2 (ja) 2011-06-06 2015-11-1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圧力式炊飯器
KR101175926B1 (ko) 2012-04-24 2012-08-22 파카코리아 주식회사 상시개방형 증기배출밸브
CN102961040B (zh) * 2012-12-07 2014-10-22 董宜周 一种电压力锅
JP6289414B2 (ja) 2015-05-12 2018-03-07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調理器
JP6681723B2 (ja) 2016-01-25 2020-04-15 旭有機材株式会社 バルブ装置
CN206197745U (zh) * 2016-08-19 2017-05-3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烹饪装置
CN206365751U (zh) * 2016-08-31 2017-08-01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电压力锅
CN206761416U (zh) * 2016-12-30 2017-1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3203A (ja) 2009-04-28 2010-11-11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CN206761390U (zh) * 2016-12-31 2017-1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食物制备器具
CN206761398U (zh) * 2016-12-31 2017-12-1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8111A1 (zh) 2019-07-04
JP2021508569A (ja) 2021-03-11
JP7153730B2 (ja) 2022-10-14
KR20200093055A (ko)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673B1 (ko) 조리 기구에 사용되는 압력 릴리프 장치 및 조리 기구
US10458402B2 (en) Micro water pump capable of controlling flow precisely
WO2016000551A1 (zh) 一种多层水封装置、多层水封方法
CN109806680A (zh) 一种滤网可振动的粉尘滤除装置
JP3002979B2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織機用チェックバルブ
KR20180129593A (ko) 조리 기구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5214964U (zh) 浮子阀组件及具有其的压力锅
CN115950088A (zh) 接水盘及除湿机
CN109984559B (zh) 烹饪器具和烹饪器具的控制方法
TW201303245A (zh) 排液裝置
CN210859994U (zh) 一种水路开关阀及应用该开关阀的洗碗机
CN208784399U (zh) 烹饪器具
KR101258795B1 (ko) 차량용 가변용량 압축기의 체크밸브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
US9028681B2 (en) Drainage device for closed chamber containing liquid
KR100887291B1 (ko) 경사 디스크와 경사 보닛을 가지는 게이트 밸브
KR101123236B1 (ko) 씽크볼 마개
CN112032350A (zh) 一种洗漱用水龙头
JP3206831U (ja) 流量を高精度で制御可能な超小型ポンプ
KR101697164B1 (ko) 차량용 가변용량 압축기의 체크밸브
CN108758051A (zh) 一种水龙头
CN218942955U (zh) 一种使用方便的炒菜机
CN220675789U (zh) 盖组件和水壶
US20220397332A1 (en) Refrigerator
CN219374422U (zh) 烹饪器具
CN208973714U (zh) 一种洗碗机用门下密封组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