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645B1 -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645B1
KR102384645B1 KR1020220000179A KR20220000179A KR102384645B1 KR 102384645 B1 KR102384645 B1 KR 102384645B1 KR 1020220000179 A KR1020220000179 A KR 1020220000179A KR 20220000179 A KR20220000179 A KR 20220000179A KR 102384645 B1 KR102384645 B1 KR 102384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anchorage
steel frame
build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Original Assignee
김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연 filed Critical 김수연
Priority to KR1020220000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는 건물 구조체에 고정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정착보강재와, 상기 정착보강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철골보강재와, 상기 철골보강재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상기 정착보강재에 전달하고 상기 정착보강재의 내부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하중전달볼트와, 상기 철골보강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거푸집을 구비하고 상기 정착보강재 및 상기 하중전달볼트를 매설하기 위해서 상기 거푸집과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무수축 몰탈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Th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opening of the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기둥 및 보에 내진성능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시야를 확보하고 거주자의 생활을 보다 쾌적하게 하기 위해 창문, 출입문과 같은 개구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개구부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공간을 확보한 후, 공간 내부에 창호 등을 삽입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이러한 개구부는 건축물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응력 집중이 심한 것으로 알려지며, 특히, 지진 등의 횡하중에 대해서 개구부가 매우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지진으로부터 인적 피해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건물의 개구부 또는 기둥이나 보와 같은 구조부재에는 다양한 제진장치가 설치되고, 이러한 제진장치를 이용한 내진보강공법은 건물의 신축공사 및 리모델링 공사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진장치는 기둥이나 보와 같은 큰 강성을 갖는 구조부재에 설치되고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하는 까다로운 환경조건이 필요하며, 성능대비 설치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개구부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기 때문에 거주자의 시야를 방해하고 건물의 외관을 해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65320호(2012.07.18)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건축물의 개구부를 간편하게 내진에 대하여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건축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내진보강을 형성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는 건물 구조체에 고정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정착보강재와, 상기 정착보강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철골보강재와, 상기 철골보강재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상기 정착보강재에 전달하고 상기 정착보강재의 내부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하중전달볼트와, 상기 철골보강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거푸집을 구비하고 상기 정착보강재 및 상기 하중전달볼트를 매설하기 위해서 상기 거푸집과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무수축 몰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착보강재는 상기 건물 구조체에 맞대어지며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한 쌍의 정착보강판과,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 상부에 배치되어 용접되고, 일면에 상기 하중전달볼트가 체결되는 각형강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착보강판은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일면에 절개되는 절개홈과, 상기 몸체판의 일면에 천공되어 상기 앵커볼트와 함께 상기 건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앵커홀을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은 상기 절개홈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앵커볼트를 수용하는 절개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형강관은 일면에 천공되어 상기 하중전달볼트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과, 상기 절개공간에서 일부돌출된 상기 앵커볼트가 체결되어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과 함께 상기 건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제2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착보강재는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형강관을 하부에 하나 더 용접하는 2단 정착보강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형강관은 상기 건물 구조체의 현장상황에 맞춰 관통구의 방향을 변경하여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에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철골보강재는 플랜지에 천공되어 상기 하중전달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의 일면이 상기 무수축 몰탈로 매설되는 내부매입형 철골보강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철골보강재는 웨브에 천공되어 상기 하중전달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웨브와 양측 플랜지가 상기 정착보강재를 감싸면서 상기 무수축 몰탈로 매설되는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에 의하면, 건물 구조체의 일면에 정착보강재를 앵커볼트로 고정하여 철골보강재를 체결하고 몰탈로 고정하여 내진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건물 구조체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개구부의 내진보강력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3(a),(b)는 도 2에 도시된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중 정착보강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정착보강재가 건물 구조체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정착보강재의 상부에 철골보강재가 하중전달볼트로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정착보강재와 철골보강재의 양측면에 거푸집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중 2단 정착보강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중 각형강관의 배치가 변경된 정착보강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중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는 건물 구조체(10)에 고정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정착보강재(100)와, 정착보강재(10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철골보강재(200)와, 철골보강재(200)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정착보강재(100)에 전달하고 정착보강재(100)의 내부에 충진공간(S)을 형성하는 하중전달볼트(300)와, 철골보강재(200)의 양측면을 감싸는 거푸집(410)을 구비하고 정착보강재(100) 및 하중전달볼트(300)를 매설하기 위해서 거푸집(410)과 충진공간(S)에 충진되는 무수축 몰탈(400)을 구비할 수 있다.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는 건물 구조체(10)의 개구부 형상에 맞춰 시공되면서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내진을 보강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한다.
도 3(a),(b)는 도 2에 도시된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여기서, 정착보강재(100)는 건물 구조체(10)와 일면이 맞대어지고 앵커볼트(20)에 의해 건물 구조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정착보강재(100)는 상부에 거푸집(410)이 형성되어 철골보강재(200)와 함께 무수축 몰탈(400)로 하중전달볼트(300)를 매설할 수 있다.
정착보강재(100)는 건물 구조체(10)와 맺대어지는 한 쌍의 철판과, 상기 철판에 용접되어 상부에 하중전달볼트(300) 및 철골보강재(200)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정착보강재(100)는 무수축 몰탈(400)에 매설되어 상기 철판 및 형태의 틈으로 몰탈이 침투할 수 있다.
철골보강재(200)는 건물 구조체(10)의 개구부 형상에 보강력을 증대시키고 정착보강재(100)의 일면에 하중전달볼트(300)로 체결되어 충진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충진공간(S)은 무수축 몰탈(400)로 충진될 수 있다.
철골보강재(200)는 양측 플랜지에 천공되어 하중전달볼트(300)가 체결되고, 플랜지의 외측면이 거푸집(410)에 의해 무수축 몰탈(400)로 매설되는 내부매입형 철골보강재(201)로 배치될 수 있다.
하중전달볼트(300)는 일단이 정착보강재(100)에 너트로 체결되고, 타단이 철골보강재(200)의 플랜지에 너트로 체결되어 정착보강재(100)와 철골보강재(200) 사이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무수축 몰탈(400)은 정착보강재(100)와 철골보강재(200)의 측면을 감싸는 거푸집(410)이 구비되어 충진공간(S)에 충진되면서 정착보강재(100) 및 하중전달볼트(300)를 매설할 수 있다.
무수축 몰탈(400)은 일정거리 이격된 정착보강재(100) 및 철골보강재(200)의 사이에 공간이 수축되지 않는 몰탈이 충진되며, 정착보강재(100)의 형상 사이사이로 침투되어 단단히 매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는 정착보강재(100)의 일면이 건물 구조체(10)에 앵커볼트(20)로 고정되고, 정착보강재(100)의 타면에 하중전달볼트(300)로 철골보강재(200)가 체결되어 충진공간(S)을 형성하고, 형성된 충진공간(S)에 무수축 몰탈(400)이 충진되면서 내진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에 형성된 건물 구조체(10)의 형상을 해치지 않고 정착보강재(100) 및 철골보강재(200)가 매설되면서 내진보강력을 증대시키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착보강재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중 정착보강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4(a),(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착보강재(100)는 건물 구조체(10)에 맞대어지며 앵커볼트(20)로 고정되는 한 쌍의 정착보강판(110)과, 한 쌍의 정착보강판(110)에 관통구의 입구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용접되고, 일면에 하중전달볼트(300)가 체결되는 각형강관(1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정착보강판(110)은 몸체판(111)과, 몸체판(111)의 일면에 절개되는 절개홈(112)과, 몸체판(111)의 일면에 천공되어 앵커볼트(20)와 함께 건물 구조체(10)에 고정되는 앵커홀(113)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판(111)은 일면이 건물 구조체(10)에 맞대어져 앵커볼트(20)로 고정되고, 타면에 각형강관(120)이 용접(W)되면서 한 쌍의 몸체판(111)이 각형강관(120)에 의해 하나의 구성인 정착보강재(100)로 제작될 수 있다.
용접부위(W)는 각형강관(120)과 한 쌍의 몸체판(111)이 서로 만나는 부위 외측에 형성되고, 개구부의 형상 또는 현장상황에 따라 4면을 모두 용접하거나 2면만 용접하여 정착보강재(100)를 구비할 수 있다.
절개홈(112)은 몸체판(111)의 일측면이 일부 절개되면서 한 쌍의 몸체판(111)이 마주보았을 때, 일정거리 이격공간을 구비하면서 중앙부위에 절개공간(J)을 형성할 수 있다.
절개공간(J)은 절개홈(112)으로 형성된 중앙부위 공간은 추후에 정착보강재(100)를 건물 구조체(10)에 고정하는 앵커볼트(20)의 돌출된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앵커홀(113)은 몸체판(11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앵커볼트(20)에 의해 정착보강재(100)를 건물 구조체(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착보강판(110)은 앵커볼트(20)가 체결되는 홀(hole) 및 절개공간(J)을 형성하는 절개홈(112)을 구비하고 있으며, 몸체판(111)의 일면에 각형강관(120)이 결합되는 용접부위(W)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형강관(120)은 일면에 천공되어 하중전달볼트(300)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121)과, 타면에 위치가 조절되도록 천공되어 앵커볼트(20)가 체결되어 정착보강판(110)과 함께 건물 구조체(10)에 고정되는 제2체결홀(1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체결홀(121)은 각형강관(120)의 상부에 천공되어 정착보강재(100)와 일정거리 이격되는 철골보강재(200)를 하중전달볼트(300)로 체결되어 형상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제1체결홀(121)은 추후에 각형강관(120)과 철골보강재(200) 사이의 거리를 너트로 좁히거나 넓힐 수 있다.
제2체결홀(122)은 정착보강판(110)의 절개홈(112)으로 일부돌출된 앵커볼트(20)가 각형강관(120)의 제2체결홀(122)까지 돌출되어 너트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체결홀(122)은 정착보강재(100)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긴홀(long hole)로 형성되어 앵커볼트(20)의 위치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형강관(120)은 한 쌍의 정착보강판(110)에 각각 용접되어 하나의 구성인 정착보강재(100)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정착보강재(100)가 건물 구조체(10)와 단단히 고정되도록 중앙에 제2체결홀(122)이 앵커볼트(20)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앵커볼트(20)는 절개홈(112)으로 형성된 절개공간(J)을 통과하여 제2체결홀(122)과 결합하고, 작업자는 각형강관(120)의 관통구(H)에 공구를 넣어 체결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정착보강재가 건물 구조체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정착보강재의 상부에 철골보강재가 하중전달볼트로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정착보강재와 철골보강재의 양측면에 거푸집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시공방법은 정착보강재(100)가 건물 구조체(10)에 앵커볼트(20)로 고정되는 단계(S100)와, 정착보강재(100)의 상부에 철골보강재(200)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중전달볼트(300)로 체결되는 단계(S200)와, 정착보강재(100)와 철골보강재(200)의 측면에 거푸집(410)이 감싸지며 충진공간(S)을 형성하고 충진공간(S)에 무수축 몰탈(400)이 충진되는 단계(S300)를 구비할 수 있다.
S100 단계는 몸체판(111)의 앵커홀(113)에 앵커볼트(20)가 체결되고, 절개홈(112)으로 형성된 절개공간(J)에 앵커볼트(20)의 일부가 돌출되어 각형강관(120)내에서 너트로 체결될 수 있다.
S200 단계는 각형강관(120)의 상부에 하중전달볼트(300)가 체결되고, 하중전달볼트(300)의 일단으로 철골보강재(200)가 체결되어 정착보강재(100)와 철골보강재(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충진공간(S)을 구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300 단계는 정착보강재(100) 및 철골보강재(200)의 측면을 감싸는 거푸집(410)이 형성되어 충진공간(S)을 무수축 몰탈(400)로 채워서 정착보강재(100) 및 하중전달볼트(300)를 매설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정착보강재(100)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중 2단 정착보강재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착보강재(100)는 한 쌍의 정착보강판(110)이 길이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2단 정착보강판(110a)을 형성하게 되고, 하부에 각형강관(120)을 하나 더 용접하는 2단 정착보강재(100a)를 구비할 수 있다.
2단 정착보강재(100a)는 각형강관(120)을 총 2개를 구비하여 건물 구조체(10)에 고정되는 고정력과, 철골보강재(200)와 체결되는 하중전달볼트(300)가 증가하여 개구부에 대한 보강력을 훨씬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의 철골보강재(200)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중 각형강관의 배치가 변경된 정착보강재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중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는 철골보강재(200)의 플랜지에 천공되어 하중전달볼트(300)가 체결되고, 플랜지의 외측 일면이 무수축 몰탈(400)로 매설되는 내부매입형 철골보강재(201)로 배치될 수 있다.
내부매입형 철골보강재(201)는 개구부의 관통된 내부측면에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가 형성되어 건물 구조체(10)의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형강관(120a)의 관통구(H)는 현장 상황에 따라 배치방향을 몸체판(111)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형성하면서 작업자가 관통구(H)에 공구를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각형강관(120a)은 현장상황 또는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용접하기 전에 관통구(H)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내부에 구비되는 제2체결홀(122)도 긴홀(hole)형태가 관통구(H)의 배치와 동일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각형강관(120a)으로 침투되는 무수축 몰탈(400)도 몸체판(111)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구가 위치되기 때문에, 몰탈침투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골보강재(200)는 웨브에 천공되어 하중전달볼트(300)가 체결되고, 웨브와 양측 플랜지가 정착보강재(100)를 감싸면서 무수축 몰탈(400)로 매설되는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202)로 배치될 수 있다.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202)는 개구부의 외측둘레로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가 형성되어 건물 구조체(10)의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202)는 철골보강재(200)의 웨브와 양측 플랜지의 'ㄷ'자 형상이 각형강관(120)을 감싸도록 체결할 수 있다. 하중전달볼트(300)는 웨브에 천공된 구멍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철골보강재(200)의 양측 플랜지가 몸체판(111)에 딱 붙도록 체결하여 거푸집(410)의 수량을 줄이도록 충진공간(S)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양측 플랜지와 몸체판(111)에 일정거리 이격된 거리를 두어 기존 거푸집(410)보다 적은 면적으로 구비하고 무수축 몰탈(400)을 충진하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형강관(120)의 배치를 몸체판(111)의 길이방향과 각형강관(120)의 관통구 방향을 동일하게 배치하여 무수축 몰탈(400)이 침투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건축물의 개구부를 내부매입형 철골보강재(201) 형태 또는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202) 형태로 구비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개구부에 맞게 각각의 형태를 적용하여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건물 구조체 20 : 앵커볼트
100 : 정착보강재 100a : 2단 정착보강재
110 : 정착보강판 110a : 2단 정착보강판
111 : 몸체판 112 : 절개홈
113 : 앵커홀 120 : 각형강관
121 : 제1체결홀 122 : 제2체결홀
200 : 철골보강재 201 : 내부매입형 철골보강재
202 :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 300 : 하중전달볼트
400 : 무수축 몰탈 410 : 거푸집

Claims (9)

  1. 건물 구조체에 고정되어 보강력을 증대시키는 정착보강재와,
    상기 정착보강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철골보강재와,
    상기 철골보강재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상기 정착보강재에 전달하고 상기 정착보강재의 내부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하중전달볼트와,
    상기 철골보강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거푸집을 구비하고 상기 정착보강재 및 상기 하중전달볼트를 매설하기 위해서 상기 거푸집과 상기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무수축 몰탈을 구비하고,
    상기 정착보강재는 상기 건물 구조체에 맞대어지며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한 쌍의 정착보강판과,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 상부에 배치되어 용접되고, 일면에 상기 하중전달볼트가 체결되는 각형강관을 구비하고,
    상기 정착보강판은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일면에 절개되는 절개홈과, 상기 몸체판의 일면에 천공되어 상기 앵커볼트와 함께 상기 건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앵커홀을 구비하고,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은 상기 절개홈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상기 앵커볼트를 수용하는 절개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강관은 일면에 천공되어 상기 하중전달볼트가 체결되는 제1체결홀과,
    상기 절개공간에서 일부돌출된 상기 앵커볼트가 체결되어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과 함께 상기 건물 구조체에 고정되는 제2체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보강재는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각형강관을 하부에 하나 더 용접하는 2단 정착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강관은 상기 건물 구조체의 현장상황에 맞춰 관통구의 방향을 변경하여 한 쌍의 상기 정착보강판에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강재는 플랜지에 천공되어 상기 하중전달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의 일면이 상기 무수축 몰탈로 매설되는 내부매입형 철골보강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보강재는 웨브에 천공되어 상기 하중전달볼트가 체결되고, 상기 웨브와 양측 플랜지가 상기 정착보강재를 감싸면서 상기 무수축 몰탈로 매설되는 외부부착형 철골보강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KR1020220000179A 2022-01-03 2022-01-03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KR102384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79A KR102384645B1 (ko) 2022-01-03 2022-01-03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179A KR102384645B1 (ko) 2022-01-03 2022-01-03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645B1 true KR102384645B1 (ko) 2022-04-08

Family

ID=8118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179A KR102384645B1 (ko) 2022-01-03 2022-01-03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6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320B1 (ko) 2011-12-12 2012-07-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
KR101459082B1 (ko) * 2014-06-12 2014-11-20 한국내진시스템 주식회사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101901435B1 (ko) * 2018-04-12 2018-09-27 최원익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KR20180135656A (ko) * 2017-06-13 2018-12-21 박상태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2050801B1 (ko) * 2019-03-27 2019-12-17 최원익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KR102099207B1 (ko) * 2019-11-11 2020-04-09 이강근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320B1 (ko) 2011-12-12 2012-07-18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부 내진보강방법
KR101459082B1 (ko) * 2014-06-12 2014-11-20 한국내진시스템 주식회사 거푸집 겸용 보강 철골과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내진 보강 구조체 및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KR20180135656A (ko) * 2017-06-13 2018-12-21 박상태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901435B1 (ko) * 2018-04-12 2018-09-27 최원익 파형 강판을 이용한 간접 접합 방식의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공법
KR102050801B1 (ko) * 2019-03-27 2019-12-17 최원익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공법
KR102099207B1 (ko) * 2019-11-11 2020-04-09 이강근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39590A (ja) ブレース型ダンパーの取付け構造
NZ502885A (en) Moment-resistant structure, sustainer,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705318B1 (ko) 창호 개방 간주형 건축물 제진시스템
JP7426406B2 (ja) 延性プレハブせん断壁
KR20180010833A (ko) 헌치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내진 보강 접합부
KR101489848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하여 철골프레임에 프리텐션을 도입한 개구부 내진보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384645B1 (ko) 건축물 개구부 내진보강구조
KR101814904B1 (ko)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멀티 조인트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JP7492431B2 (ja) アンボンドプレキャスト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柱の柱脚構造
JP2004324265A6 (ja) 橋梁の落橋防止装置及び移動制限装置並びに落橋防止工法
KR20170101037A (ko)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파형 웨브가 구성된 지진하중 흡수장치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KR20190098666A (ko)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KR101860849B1 (ko) 힌지접합 인방보형 슬릿강재댐퍼
JP3407237B2 (ja) 鋼板ブロックを用いた耐震及び制振構造
JPH0725160U (ja) 弾塑性ダンパー
KR102495592B1 (ko) 조립형 내진보강장치
KR20170101032A (ko) 분절형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JP4000725B2 (ja) 制震壁
JP2938019B1 (ja) 鉄骨構造物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20180026219A (ko) 힌지접합 연결보형 슬릿강재댐퍼
JPH1025832A (ja) 免震木造建築物
JP4105566B2 (ja) 基礎−柱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3371815B2 (ja) 既存建築物の制震補強構造
JP7503428B2 (ja) 制振装置
KR102311233B1 (ko) 목구조 건축물 지진 발생 시 2차 변형 제어를 위한 긴급 보강 강재이력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