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666A -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666A
KR20190098666A KR1020180077053A KR20180077053A KR20190098666A KR 20190098666 A KR20190098666 A KR 20190098666A KR 1020180077053 A KR1020180077053 A KR 1020180077053A KR 20180077053 A KR20180077053 A KR 20180077053A KR 20190098666 A KR20190098666 A KR 2019009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air
support
corn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아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리터 filed Critical (주)아리터
Priority to KR1020180077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8666A/ko
Publication of KR2019009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5Structures with concrete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모서리부에서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제1연결면이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을 향하여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강재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Device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proof of a concrete pillar}
본 발명은 필로티 구조물의 내진을 보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어 구조물을 지탱하는 기둥 또는 보와 같은 필로티 구조물의 수직방향의 압축하중에 대해 직교하는 구속력을 전달하여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필로티 구조물이 휨변형되거나 전단변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후되거나 신축된 필로티 구조물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간단한 보강시공에 의해서 확보할 수 있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도시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른 주택 수요의 급증, 노후화된 재고건물의 질적 수준 및 활용도 개선에 대한 요구수준의 향상, 환경 친화적 건물에 대한 필요성 및 무분별한 건물 신축에 따른 국토 난개발의 방지 등과 같은 견지에서 리모델링이 권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철거 및 신축에 대한 대안으로서 리모델링(remodeling)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오래된 건축물과 최근 신축되는 건축물은 건축법에 따른 설계 반영이 건축시점에 따라서 서로 상이하게 되는데, 신축건물과 다르게 구 건축물의 경우 내진설계가 전혀 반영되지 못하여 작은 진도에도 건축물이 파괴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경제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이라는 관점에서 정부 차원에서 환경 폐기물을 줄이고 기존의 아파트의 골조를 가능한 재활 정책 기조를 가짐에 따라 신축이나 재건축 이외에 리모델링을 택하는 아파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이미 건물의 리모델링은 관계기관의 허가를 다시 받을 필요가 없고 간단한 절차만으로 리모델링 건축이 가능함으로 신축건물에 비하여 선택의 폭이 자유로우며 현대식 건물로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래된 구건물은 기둥과 보와 같은 필로티 구조물이 취약한 것이 문제점이었다.
이러한 노후된 구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공법으로서는 기존 기둥 주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보강하는 공법이 있으나 공기가 많이 요구되고 인건비 증가하며, 공사 품질을 향상시키지 못하여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특허문헌 1) KR10-2015-0030061 A
특허문헌 1은 콘크리트 구조무르이 구조물의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부마다 강재 받침부를 배치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수개의 평면부 중 어느 하나에 강재 고정부를 배치하며, 강재 받침부에 길이중간이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위가 올려져 배치되고, 강재 고정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강재를 포함하여 강재 고정부에 연결되어 노출되는 강재의 단부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너트부재에 의해서 강재에 인가되는 외력을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속력을 가하여 보강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현장시공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 형상이 직각단면상으로 일정하지 않지 90도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 모서리부의 형상에 맞추어 각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강재받침부의 단면형상을 다양하게 현장 시공조건에 맞추어 사전 준비해야만 하고, 이러한 강재받침부와 결합되는 강재의 길이중간을 다양한 크기를 갖는 강재받침부에 맞추어 사전 준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전준비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한 시공작업이 길어지고,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규격화되지 않고 주문제작에 의한 구성부품에 의해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평면부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형성각도에 관계없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강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보강효율을 높일 수 있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에 외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모서리부에서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제1연결면이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을 향하여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강재 ; 를 포함하여 상기 강재는 상기 모서리지지부의 제1연결체에 구비된 한쌍의 제1연결면 중 어느 하나의 제1연결면의 제1연결공에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강재의 타단은 다른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제1연결체에 구비된 한쌍의 제1연결면중 어느 하나의 제1연결면의 제1연결공을 통해 노출되어 너트부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강재에 인가되는 외력을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속력을 인가하여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모서리부에 면접하는 한쌍의 지지면과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제1연결면을 일체로 갖추어 상기 한쌍의 제1연결면이 모서리부의 외측을 향하여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강재 ; 를 포함하여 상기 강재는 상기 모서리지지부의 제1연결체에 구비된 한쌍의 제1연결면 중 어느 하나의 제1연결면의 제1연결공에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강재의 타단은 다른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제1연결체에 구비된 한쌍의 제1연결면중 어느 하나의 제1연결면의 제1연결공을 통해 노출되어 너트부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강재에 인가되는 외력을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속력을 인가하여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하면서 상기 지지체의 외면에 테두리가 접하는 한쌍의 제2연결면을 갖추어 상기 한쌍의 제2연결면이 모서리부측으로 향하여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제2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강재 ; 를 포함하여 상기 강재는 상기 모서리지지부의 제2연결체에 구비된 한쌍의 제2연결면 중 어느 하나의 제2연결면의 제2연결공에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강재의 타단은 다른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제2연결체에 구비된 한쌍의 제2연결면중 어느 하나의 제2연결면의 제2연결공을 통해 노출되어 너트부재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강재에 인가되는 외력을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속력을 인가하여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체는 상기 강재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통과하는 제1연결공을 관통형성한 한쌍의 제1연결면을 갖는 'ㄴ' 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연결되는 한쌍의 강재의 각 단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엇갈리도록 제1연결공을 몸체에 상하한쌍으로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연결되는 한쌍의 강재의 단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엇갈리도록 제1연결공을 외부면에 상하한쌍으로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부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몸체에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상기 평면부와 면접하는 접촉판의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 단면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는 상기 평면부와 접하는 일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체의 타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와 타측면이 접하여 상기 지지체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1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재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평면부에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와 타측면이 접하여 상기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재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평면부에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배치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3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재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배치공을 상기 평면부와 대응하는 사각판체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된 한쌍의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하여 상기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ㄷ' 단면상의 제4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재의 양단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체의 제1연결면에 관통형성되는 제1연결공은 원형 또는 장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재의 양단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제2연결체의 제2연결면에 관통형성되는 제2연결공은 원형 또는 장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연결체는 상기 강재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통과하는 제2연결공을 관통형성한 한쌍의 제2연결면을 갖는 'ㄴ' 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평면부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형성각도가 직각으로 균일하지 않고 둔각이나 예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각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모서리지지부들 사이에 평면부와 나란하도록 강재의 양단을 구속하여 연결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강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면접하는 지지체에 의해서 평면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압축시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시 각 모서리부에 외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응력에 취약한 모서리부가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와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와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와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와 부분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 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에 적용되는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와 도 7b 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체와 연결체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 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 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에 적용되는 제1,2,3 및 4가압부재를 도시한 시공 상태도이다.
도 10a 와 도 10b 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에 적용되는 제1연결체의 제1연결공이 원형공과 장공 형태로 구비된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에 제1연결공을 장공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모서리부의 각도변화에 따른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a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에서 강재가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되어 시공되는 사시도이다.
도 12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에서 강재가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되어 시공되는 사시도이다.고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시공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1)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도록 모서리지지부(100)와 강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지지부(1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C)마다 각각 일대일로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연결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1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박스형태의 금속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110)는 양단에 상기 평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강재(200)가 간섭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강재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내경크기를 갖는 일정크기의 관통공(112)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12)의 평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지지체의 양단에 각각 관통형성되어 상기 강재가 통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체(120)는 상기 모서리부(C)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의 각 일단과 접하도록 한쌍의 제1연결면(124)을 갖추어 상기 모서리부의 꼭지점과 마주하는 꼭지점을 갖는 대략 'ㄴ' 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모서리부(C)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연결체(120)는 상기 지지체의 양단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12)과 일대일 대응하여 상기 강재의 양단이 통과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한쌍의 제1연결면(124)에 각각 제1연결공(122)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재(200)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모서리부마다 일대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100)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1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볼트형 체결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강재(200)는 일단이 나사머리(230)로 이루어지고 타단이 체결부재(210)가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수나사부(220)를 형성한 일정길이의 스터드형 볼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단에 체결부재가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수나사부(220)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일정길이의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강재(200)는 상기 모서리지지부(100)에 구비되는 제1연결체(120)에 구비된 한쌍의 제1연결면중 어느 하나의 제1연결면(124)의 제1연결공(122)에 일단인 나사머리(230)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강재(200)의 타단인 수나사부(220)는 다른 모서리지지부(100)의 다른 제1연결체(120)에 구비된 한쌍의 제1연결면(124) 중 어느 하나의 제1연결면의 제1연결공(122)을 통해 외부노출되어 체결부재(210)와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강재(200)는 상기 모서리지지부(100)에 구비되는 제1연결체(120)와 지지체(110)를 관통하고,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에 구비되는 지지체와 제1연결체를 관통하여 평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강재(200)의 양단은 좌우한쌍의 모서리지지부(100)사이에서 제1연결면으로 노출되어 나사머리와 볼트부재에 의해서 구속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제1연결면(124)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벌림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의 각 평면부마다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모서리지지부(100)사이에 강재(200)의 양단이 구속되어 연결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복수개의 평면부마다 이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강재의 일단에 조립되거나 양단에 조립된 체결부재(210)를 체결방향인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 지지체와 평면부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외력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전달하여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외력 보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10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배근용 철근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서리지지부(100)와 강재(200)를 포함하고,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모서리지지부(1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C)마다 각각 일대일로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1연결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체(120)는 상기 모서리부(C)를 형성하는 한쌍의 평면부와 동시에 면접하는 한쌍의 지지면(125)과, 상기 모서리부(C)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제1연결면(124)을 일체로 갖추어 상기 모서리부마다 배치되는 대략 열십자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한쌍의 제1연결면(124)은 상기 모서리부(C)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벌림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면(125)은 모서리부(C)에 면접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서리부(C)와 접하는 한쌍의 지지면(125)에 의해서 상기 평면부와 지지체(110)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 평면부와 지지체사이에 상기 지지면의 두께크기와 동일한 판두께를 갖는 접촉판(125a)을 개재하여 배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서리부에 상기 지지면의 두께크기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요홈를 함몰형성하거나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상기 지지면의 두께크기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출부를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평면부와 지지체간의 면접상태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체(120)에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면(125)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C)와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면과 일체로 구비된 한쌍의 제1연결면(124)이 상기 모서리부로부터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벌림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각 평면부마다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모서리지지부(100)사이에 강재(200)의 양단이 구속되어 연결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복수개의 평면부마다 이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강재의 일단에 조립되거나 양단에 조립된 체결부재(210)를 체결방향인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 지지체와 평면부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외력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전달하여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외력 보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서리지지부(100)와 강재(200)를 포함하고,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모서리지지부(1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C)마다 각각 일대일로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와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연결체(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체(120a)는 상기 모서리부(C)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의 각 일단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마주하면서 상기 한쌍의 지지체(110)의 외면에 외측테두리가 접해지는 한쌍의 제2연결면(126)을 갖는 대략 ' ㄴ ' 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한쌍의 제2연결면(126)은 제1실시예에 개시된 한쌍의 제1연결면과 반대로 상기 모서리부(C)측으로 향하는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제2연결면이 모서리부측으로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벌어지는 벌림각으로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각 평면부마다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모서리지지부(100)사이에 강재의 양단이 구속되어 연결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복수개의 평면부마다 이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강재의 일단에 조립되거나 양단에 조립된 체결부재(210)를 체결방향인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 지지체와 평면부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외력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전달하여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외력 보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및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서리지지부(100)와 강재(200)를 포함하고,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모서리지지부(1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P)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C)마다 각각 일대일로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와 이들 사이에 동시에 배치되는 제1,2연결체(120,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체(120)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모서리부(C)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의 각 일단과 접하도록 한쌍의 제1연결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서리부의 꼭지점과 마주하는 꼭지점을 갖도록 대략 'ㄴ' 단면상으로 절곡된 형강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체(120)는 상기 모서리부(C)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을 향하는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반면에 상기 제1연결체(120)와 한쌍으로 배치되는 제2연결체(120a)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모서리부(C)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110)의 각 일단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마주하면서 상기 지지체의 외면에 외측테두리가 접해지는 한쌍의 제2연결면(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대략 ' ㄴ ' 단면상으로 절곡된 형강부재로 이루어지는 제2연결체(120a)는 상기 모서리부(C)측으로 향하는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연결체(120a)의 제2연결면(126)에 관통형성되는 제2연결공(122a)은 상기 제1연결체(120)의 제1연결면(124)에 관통형성되는 제1연결공(122)과 대응하여 상기 강재의 양단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로 관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재(200)는 상기 모서리지지부(100)에 구비되는 제2연결체(120a)에 구비된 한쌍의 제2연결면중 어느 하나의 제2연결면(126)의 제1연결공(122a)에 일단인 나사머리(230)가 걸림연결되고, 상기 강재(200)의 타단인 수나사부(220)는 다른 모서리지지부(100)의 다른 제2연결체(120a)에 구비된 한쌍의 제2연결면(126) 중 어느 하나의 제2연결면의 제2연결공(122a)을 통해 외부노출되어 체결부재(210)와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제2연결면이 모서리부에서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벌림각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제1연결체와, 상기 한쌍의 제2연결면이 모서리부측으로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벌어지는 벌림각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제2연결체가 상기 모서리부에서 동시에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각 평면부마다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모서리지지부사이에서 지지체를 통과하는 강재의 양단을 구속하여 연결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 및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복수개의 평면부마다 이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강재의 일단에 조립되거나 양단에 조립된 체결부재(210)를 체결방향인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 지지체와 평면부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외력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전달하여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외력 보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2 및 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진보강장치(1,2)의 모서리지지부(100)에 적용되는 제1연결체(12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재의 단부가 통과하여 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결공(122)을 관통형성하고, 한쌍의 제1연결면(124)을 벌림각을 형성하도록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ㄴ' 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강재의 각 단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엇갈려 동시에 연결되도록 상하한쌍의 제1연결공(122)을 몸체에 각각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도 6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강재의 각 단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엇갈려 동시에 연결되도록 상하한쌍의 제1,2연결공(122,122a)을 외부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는 제1연결체(120)는 도 7a 와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각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모서리지지부에서 한쌍의 강재(200)의 각 단부가 상하 높이차를 갖는 한쌍의 제1연결공을 통해 동시에 연결되도록 서로 직교하면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내지 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진보강장치(1,2,3,4)의 모서리지지부(100)에 적용되는 지지체(110)는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재(200)가 간섭없이 통과하는 일정크기의 관통공(112)을 양단부인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재(200)가 통과하는 관통공(112)을 몸체에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재(200)가 통과하는 관통공(112)을 평면부와 접하는 접촉판의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 단면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110)는 도 7a 와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각 모서리부마다 구비되는 모서리지지부에서 상기 평면부와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강재(200)의 양단을 통과시켜 상기 제1연결체 또는 제2연결체와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평면부와 일면이 면접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절곡판체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부와 일면이 접하는 지지체(110)는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와 접하는 일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체(110)의 타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200)와 타측면이 접하여 상기 지지체에 가압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평면부와 지지체간의 면압을 증대시켜 보강하도록 상기 강재와 지지체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가압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재(131)는 상기 강재와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재의 외부면과 접하는 타측면에 원호홈(131a)을 함몰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재(200)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도 9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에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200)와 타측면이 접하여 상기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평면부와의 면압을 증대시켜 보강하도록 상기 강재와 평면부사이에 개재되는 제2가압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재(132)는 상기 강재와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강재의 외부면과 접하는 타측면에 원호홈(132a)을 함몰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강재(200)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도 9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에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배치공(133a)을 관통형성한 제3가압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가압부재(133)는 상기 평면부에 일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가 삽입배치되는 배치공이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평면부에 일면이 접하는 몸체에 상기 강재가 삽입배치되는 배치공을 관통형성한 육면중실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3가압부재의 배치공에 강재(2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3가압부재의 일면과 접하는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평면부와의 면압을 증대시켜 보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강재(200)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도 9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배치공을 상기 평면부와 대응하는 사각판체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된 한쌍의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대략 'ㄷ' 단면상의 제4가압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가압부재(134)는 상기 평면부에 사각판체의 일면이 접하거나 양단 수직면이 접하여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평면부와의 면압을 증대시켜 보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체의 관통공을 통과하는 강재의 양단인 나사머리 또는 수나사부가 노출되도록 제1연결체(120)의 제1연결면에 관통형성되는 제1연결공(122)은 도 10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재의 단면상과 동일한 원형공으로 관통형성되거나 도 10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공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공(122)이 수평한 장공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공을 관통하여 노출되는 강재(200)의 양단은 장공으로 관통형성된 제1연결공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상기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형성각도가 대략 90°인 직각(θ)보다 큰 크기의 둔각(θ1)으로 형성되거나 90°보다 작은 예각(θ2)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연결체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1연결면과 상기 모서리부를형성하는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의 일단사이에 틈새발생없이 이들이 서로 균일하게 접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평면부에 대하여 강재를 항상 나란하게 배치하여 모서리지지부들사이에 강재의 양단을 구속시켜 연결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연결공(122)이 원형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부의 형성각도가 90°보다 큰 크기의 둔각(θ1)으로 형성되거나 90°보다 작은 예각(θ2)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연결체에 구비되는 한쌍의 제1연결면과 상기 모서리부를형성하는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의 일단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기 때문에 제1연결체와 지지체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상기 틈새에 대략 삼각단면상의 삽입부재를 추가하여 삽입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형공 또는 장공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연결공은 제2연결체의 제2연결공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재(200)의 양단은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모서리지지부와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에 양단이 구속되어 고정연결되는바, 이러한 강재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나란하면서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설치되는 다른 강재와 다른 시공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면부와 나란하면서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설치되는 다른 강재와 동일한 시공높이로 설치되거나 도 1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평면부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높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복수개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모서리지지부
110 : 지지체
112 : 관통공
120 : 제1연결체
122 : 제1연결공
124 : 제1연결면
120a : 제2연결체
122a : 제2연결공
125 : 지지면
126 : 제2연결면
200 : 강재
210 : 체결부재
220 : 수나사부
230 : 나사머리
P : 콘크리트 구조물
C : 모서리부

Claims (8)

  1.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모서리부에서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제1연결면이 상기 모서리부의 외측을 향하여 벌림각으로 배치되는 제1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강재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체는 상기 강재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통과하는 제1연결공을 관통형성한 한쌍의 제1연결면을 갖는 'ㄴ' 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연결되는 한쌍의 강재의 각 단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엇갈리도록 제1연결공을 몸체에 상하한쌍으로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동시에 연결되는 한쌍의 강재의 단부가 서로 직교하면서 엇갈리도록 제1연결공을 외부면에 상하한쌍으로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부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몸체에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상기 평면부와 면접하는 접촉판의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 단면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는 상기 평면부와 접하는 일면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체의 타면과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와 타측면이 접하여 상기 지지체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1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평면부에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와 타측면이 접하여 상기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2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평면부에 일측면이 접하고, 상기 강재가 관통하여 배치되도록 배치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제3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와 평면부와의 사이에는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배치공을 상기 평면부와 대응하는 사각판체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된 한쌍의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하여 상기 평면부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ㄷ' 단면상의 제4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양단이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제1연결체의 제1연결면에 관통형성되는 제1연결공은 원형 또는 장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KR1020180077053A 2018-07-03 2018-07-03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KR20190098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53A KR20190098666A (ko) 2018-07-03 2018-07-03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53A KR20190098666A (ko) 2018-07-03 2018-07-03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338A Division KR101887979B1 (ko) 2018-02-14 2018-02-14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666A true KR20190098666A (ko) 2019-08-22

Family

ID=6776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053A KR20190098666A (ko) 2018-07-03 2018-07-03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86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733A (ko) * 2020-10-19 2022-04-2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앵글과 강봉의 인장력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 보강공법
CN114439265A (zh) * 2022-01-22 2022-05-06 成都城投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抗震性古建筑基础加固结构
CN114941451A (zh) * 2022-06-06 2022-08-26 浙江正立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装配式建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733A (ko) * 2020-10-19 2022-04-2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앵글과 강봉의 인장력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 보강공법
CN114439265A (zh) * 2022-01-22 2022-05-06 成都城投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抗震性古建筑基础加固结构
CN114439265B (zh) * 2022-01-22 2023-10-03 成都城投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抗震性古建筑基础加固结构
CN114941451A (zh) * 2022-06-06 2022-08-26 浙江正立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装配式建筑
CN114941451B (zh) * 2022-06-06 2024-01-12 浙江正立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装配式建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8666A (ko)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KR101185974B1 (ko) 가새부재를 이용한 기둥부와 보의 연결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102274029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
KR20200004056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101887979B1 (ko) 필로티 구조물 내진 보강장치
KR102397592B1 (ko) 접합 철물 및 패널의 접합 방법
JP2019196634A (ja) 木枠架構補強材
KR101991938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90231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4971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
JP2007303105A (ja) 耐震補強構造体
KR100657745B1 (ko) 선인장 압축재
KR102164646B1 (ko) 기둥형이력댐퍼
KR102495592B1 (ko) 조립형 내진보강장치
JP2883655B2 (ja) 建築用水平耐力部材
JP4519689B2 (ja) 基礎構造
JP6293207B2 (ja) 既存建物への間柱の設置構造
JP6487806B2 (ja) 柱、柱の下部構造体との締結構造及び建物ユニット
JP3825012B2 (ja) 建物
JP3360230B2 (ja) 軸組構造のブレースおよび十字ブレース
KR101272990B1 (ko) 에이엘씨 벽 패널과 슬래브를 연결하는 엘형 클립앵글
JP7383651B2 (ja) 簡易構造物の壁面構造及び簡易構造物
JP2014118801A (ja) 木造家屋の耐震補強構造
JP2013028986A (ja) 制震構造、制震構造の形成方法
KR101904118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