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231A -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231A
KR20180090231A KR1020180085652A KR20180085652A KR20180090231A KR 20180090231 A KR20180090231 A KR 20180090231A KR 1020180085652 A KR1020180085652 A KR 1020180085652A KR 20180085652 A KR20180085652 A KR 20180085652A KR 20180090231 A KR20180090231 A KR 2018009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lumn
corner
reinforcing
column
corn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아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리터 filed Critical (주)아리터
Priority to KR1020180085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0231A/ko
Publication of KR2018009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5Structures with concret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면접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모서리지지부 ; 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모서리부와 지지체 사이에서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연결면을 가지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Device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and Methods}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되어 토목 및 건축구조물을 지탱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의 압축하중에 대해 직교하는 구속력을 전달하여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콘크리트 기둥이 휨변형되거나 전단변형되어 갑자기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후되거나 내진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구조적 내진안전성을 간단한 보강시공에 의해서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도시화의 급속한 진전에 따른 주택 수요의 급증, 노후화된 재고건물의 질적 수준 및 활용도 개선에 대한 요구수준의 향상, 환경 친화적 건물에 대한 필요성 및 무분별한 건물 신축에 따른 국토 난개발의 방지 등과 같은 견지에서 리모델링이 권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철거 및 신축에 대한 대안으로서 리모델링(remodeling)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오래된 토목 및 건축구조물과 최근 신축되는 건축물은 건축법에 따른 설계 반영이 건축시점에 따라서 서로 상이하게 되는데, 신축건물과 다르게 구 건축물의 경우 내진설계가 전혀 반영되지 못하여 작은 진도에도 건축물이 파괴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경제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이라는 관점에서 정부 차원에서 환경 폐기물을 줄이고 기존의 아파트의 골조를 가능한 재활 정책 기조를 가짐에 따라 신축이나 재건축 이외에 리모델링을 택하는 아파트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이미 건물의 리모델링은 관계기관의 허가를 다시 받을 필요가 없고 간단한 절차만으로 리모델링 건축이 가능함으로 신축건물에 비하여 선택의 폭이 자유로우며 현대식 건물로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래된 구건물은 기둥과 보와 같은 콘크리트 기둥이 취약한 것이 문제점이었다.
이러한 노후된 구건물을 리모델링하는 공법으로서는 기존 기둥 주변에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보강하는 공법이 있으나 공기가 많이 요구되고 인건비 증가하며, 공사 품질을 향상시키지 못하여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특허문헌 1) KR10-2015-0030061 A
특허문헌 1은 콘크리트 구조물이 구조물의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가 서로 만나는 모서리부마다 강재 받침부를 배치하고, 콘크리트 기둥의 복수개의 평면부 중 어느 하나에 강재 고정부를 배치하며, 강재 받침부에 길이중간이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위가 올려져 배치되고, 강재 고정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강재를 포함하여 강재 고정부에 연결되어 노출되는 강재의 단부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너트부재에 의해서 강재에 인가되는 외력을 통하여 콘크리트 기둥에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속력을 가하여 보강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진과 같은 수평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모서리부의 수평방향으로만 보강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휨전단에 대한 내진성능을 더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내진보강자재를 촘촘하게 배치해야 함으로, 이로 인해 경제성과 시공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경우, 사전준비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하기 위한 시공작업이 길어지고,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한편, 규격화되지 않고 주문제작에 의한 구성부품에 의해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기존 발명의 경우, 강재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강재받침부도 이격되어 배치되어, 전단보강 효과와 연성보강 효과만 기대되었다. 또한 기존 발명 제품의 경우,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에 대한 강성을 저해하는 초기 균열 발생 시점을 늦춰 내진성능의 효과가 더 발현되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에 휨외력이 발생할 경우에 보강구간의 전면적을 보강하지 않고 있으므로, 휨외력에 대한 성능기능을 월등히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시공 설치 이후, 유지관리항목을 줄일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기둥의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평면부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접하는 면적을 수직방향으로 증대시킴으로서 휨강도와 전단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고, 구속면적을 증대시킴으로서, 에너지 흡수효율면적을 증가시켜 내진성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며,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보강작업을 안정적으로 함과 동시에 일률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고, 콘크리트 기둥의 평면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보강효율을 높일 수 있고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에 외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또는 곡면부)에 모서리지지부(또는 곡면지지부)를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시공효율을 극대화하고, 모서리부(또는 곡면부)를 전부 지압하여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에 대한 전단강성과 동시에 휨강성을 월등히 증대시키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가능한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도 포함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모서리지지부 ; 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하는 것으로, 너트부재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강재에 인가되는 외력을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속력을 인가하여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모서리부와 지지체 사이에서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연결면을 가지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하는 것으로, 너트부재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강재에 인가되는 외력을 통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속력을 인가하여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일한 설치이격간격으로 배치되거나, 기둥 단부 구간에 대해서는 상기 강재의 설치이격간격이 좁고, 기둥 단부 이외 구간에 대해서는 상기 강재의 설치이격간격이 넓게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강재는 적어도 한쪽단이 수나사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서리지지부에 연결고정되는 체결부재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부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 단면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몸체에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단면상의 절곡판체에 지지체보강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접하지 않는 지지체의 면중에서 관통공이 위치하는 지지체의 면에 접하는 보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체는 'ㄴ'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중실형 사각단면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사각중공체 단면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삼각형상의 단면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의 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원형 또는 장공 또는 타원형공 또는 사각형공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 사이에 추가 보강재를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한쌍의 지지체로 구성되는데, ㄱ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 또는 ㄴ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기둥면에 정착되어 있지 않는 면에 대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의 사용시간이 연장되어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되도록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도록 사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서리지지부를 이용하여 유지보수용 가설판을 설치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부재가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여 유지관리비용을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처럼, 전부 충진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부만 충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으로, 기존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기존 기둥부에 보강설치하는 단계;와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시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기존 기둥부에 보강설치 한 후, 내진보강장치의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모서리지지부 또는 곡면지지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시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기존 기둥부에 보강설치 한 후, 내진보강장치의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모서리지지부 또는 곡면지지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시공 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대해서,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모서리지지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시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이 벽체와 함께 벽체구조물을 끼고 있는 기둥에 있어서, 벽체 두께을 제외한 전체 보강구간(h)에 대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으로 시공 할 수 있다.
또한, 형단면 또는 타원단면의 기둥과 같이 곡면부를 가지는 기둥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 곡면지지부(10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시공 할 수 있다.
도2에서 설명하는 방법중에서, C1단계에서 C5단계까지는 기존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기존 기둥부 보강을 하는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세부 시공방법은 도2를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도3도 세부 시공방법에 대한 순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유지보수용 충진단계까지 시공 방법의 흐름은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콘크리트 기둥의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평면부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의 접하는 면적을 수직방향으로 증대시킴으로서 휨강도와 전단강도를 동시에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둥의 외곽면에서 기둥 모서리부의 구속면적을 증대시킴으로서, 에너지 흡수효율면적을 증가시켜 내진성능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보강작업을 일률적으로 빠르게 수행할 수 있고, 콘크리트 기둥의 평면부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보강효율을 높일 수 있고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에 외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콘크리트 기둥의 평면부(또는 곡면부)와 면접하는 지지체(110, 110')에 의해서 평면부(또는 곡면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외력에 의한 콘크리트 기둥의 압축시 변형을 방지하도록 보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시 각 모서리부에 외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응력에 취약한 모서리부가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또는 곡면부)에 모서리지지부(100, 100')를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시공효율을 극대화하고, 모서부(또는 곡면부)를 전부 지압하여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에 대한 전단강성과 동시에 휨강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시공속도가 빠르고 공기단축의 효과가 있어, 시공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유지관리항목을 줄여, 향후 유지관리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로 매우 유용하다. 본 기술은 강재의 수나사부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부재의 토크값을 시공시 목표토크값으로 관리해야 하는데, 이렇게 유지관리항목으로 관리해 나가야 하는 항목에 대해서, 유지관리비용을 줄이는 방법으로, 이러한 공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예로써, 체결부재가 있는 곳을 유지보수용 충진을 함으로써,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 또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다.또한 일예로써, 유지보수용 가설판을 설치하여, 유지보수용 충진 작업 및 경화 후 유지보수용 가설판 제거를 통해, 유지보수관리비용을 줄이는 방법으로도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의 대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의 시공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의 시공순서 상세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보강구간(h)에 대해 면정리를 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서리지지부(100)를 모서리부(C)에 설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곡면부를 가지는 기둥에 대해 도면은 생략)
도 6는 본 발명의 강재(200)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강재(200)를 체결부재(210)로 체결하여 미리 모서리지지부(100)에 도포된 단면보강재(114)가 밀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체결부재'의 1차체결 모습)
도 8는 토크렌치(T)를 이용하여 목표 체결토크값을 확인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우선 기존 기둥부 보강이 1차적으로 완료된 내진 보강 시공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모서리지지부와 강재를 이용한 1차 시공 완료 모습)
도 10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유지보수용 가설판(310)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유지보수용 가설판(310)이 설치되어 있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유지보수용 충진(300) 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유지보수용 충진(300)후, 유지보수용 가설판(310)이 탈거 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유지보수용 충진(300)이 완료된 부분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단차(d)를 가지는 모서리지지부(100)를 이용한 유지보수용 충진(300)이 완료된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모따기면(A)이 있는 경우의 실시예)
도 16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특히 곡면부를 가지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곡면지지부(100')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모서리지지부(100)의 다른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서리지지부(100)의 구성체인 연결체(내부 또는 외부)의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지지체(110)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의 시공이 완료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에 있어서, 추가 보강재(400)를 사용한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의 시공이 완료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추가 보강재(400)는 지지체(110)와 동일한 형상을 사용할 수도 있고, 그 외에 다른 형태의 다양한 형상으로도 사용 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실시예의 도면은 생략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의 실시예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지지체와 연결체로 구성되는 모서리지지부의 사용실시예를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에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ㄱ'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 또는 'ㄴ'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의 형태를 가지는 모서리지지부의 사용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와 면접하는 부분이 지지체의 단면방향길이가 길고, 강재와 연결되는 관통공이 있는 부분이 지지체의 단면방향길이가 짧은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는 'ㄱ'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 또는 'ㄴ'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의 형태를 가지는 모서리지지부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와 면접하는 부분이 강재와 연결되는 관통공이 있는 부분보다 더 긴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기존 콘크리트 기둥부로부터 돌출되는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실시예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병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에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도2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형태에서 추가로 지지체보강체(111)을 사용하는 실시예로서, 사각단면 형상의 지지체보강체(111)를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4는 본 발병의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및 사용 시간이 연장되는(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에 또 다른 실시예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도23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각단면 형상의 지지체보강체 대신에 삼각형단면 형상의 지지체보강체(111)를 사용하는 실시예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대부분 콘크리트 사각형 기둥에 대한 것만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 외에도 원형 및 타원 단면의 기둥에 대해서도 동일한 보강방법(시공방법)으로 시공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벽체를 끼고 있는 기둥에 대해서도 벽체 두께을 제외한 전체 보강면을 본 발명의 도면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보강방법(시공방법)으로 시공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도면 생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하도록 모서리지지부(100)와 강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도16의 곡면부를 가지는 기둥에서, 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음)
상기 지지체(110)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P)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박스형태의 금속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재(200)는 상기 콘크리트구조물의 모서리부마다 일대일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100)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1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나사형 또는 볼트형 체결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강재(200)는 일단이 체결부재(210) 또는 나사머리로 이루어지고 타단이 체결부재(210)로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수나사부(220)를 형성한 일정길이의 스터드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단에 체결부재가 각각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수나사부(220)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일정길이의 볼트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강재(200)는 상기 모서리지지부(100)에 구비되는 지지체(110)를 관통하고,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에 구비되는 지지체를 관통하여 평면부와 나란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강재(200)의 양단은 좌우한쌍의 모서리지지부(100)사이에서 평면부와 면접하지 않는 지지체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수나사부의 체결부재(210) 또는 나사머리에 의해서 구속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체결토크력에 의해 가해진 구속력은 강재(200)와 모서리지지부(110)를 통해 기둥부의 구속효과를 가지게 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결토크값(N·m)은 사용강재의 크기와 지지체의 크기 및 강재(20)의 설치간격에 따라 필요체결토크값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기둥(P)의 각 평면부마다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모서리지지부(100)사이에 강재(200)의 양단이 구속되어 연결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복수개의 평면부마다 이에 나란하도록 배치된 강재의 일단에 조립되거나 양단에 조립된 체결부재(210)를 체결방향인 잠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 지지체와 평면부간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외력이 콘크리트 기둥의 평면부와 직교하는 단면 중심방향으로 전달하여 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외력 보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요약하자면,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모서리지지부 ; 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모서리부와 지지체 사이에서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연결면을 가지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하여 사용된다.
게다가, 상기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일한 설치이격간격으로 배치되거나, 기둥 단부 구간에 대해서는 상기 강재의 설치이격간격이 좁고, 기둥 단부 이외 구간에 대해서는 상기 강재의 설치이격간격이 넓게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부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 단면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몸체에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단면상의 절곡판체에 지지체보강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접하지 않는 지지체의 면중에서 관통공이 위치하는 지지체의 면에 접하는 보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는 'ㄴ'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중실형 사각단면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사각중공체 단면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삼각형상의 단면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원형 또는 장공 또는 타원형공 또는 사각형공으로 구비되어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기둥면에 정착되어 있지 않는 면에 대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의 사용시간이 연장되어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되도록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시공예>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진보강장치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모서리지지부(100)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보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모서리부(C)에 모서리지지부(100)를 설치하는 단계 ; 모서리지지부의 관통공에 강재(200)를 설치하는 단계와 ; 체결부재를 1차 체결하는 단계와 ; 목표 체결토크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 포함하여 시공하는 단계를 기본 단계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여기서 '체결부재'의 의미는 너트 또는 볼트머리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C)에,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지지체(110)로 구비된 보강구간(h) 길이의 모서리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110)로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마다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100) ;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장치의 시공방법으로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면접하는 모서리지지부(100)의 안쪽면에 단면보강재(114)를 미리 도포하는 단계 ; 를 상기 모서리부(C)에 모서리지지부(100)를 설치하는 단계 ; 이전에 더 포함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112)을 양단부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112)을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 단면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112)을 몸체에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단면상의 절곡판체에 지지체보강체(111)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공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1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강재(120) ; 를 포함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체(120)는 도 17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ㄴ'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지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중실형 사각단면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사각중공체 단면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삼각형상의 단면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설명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콘크리트 기둥이 벽체와 함께 벽체구조물을 끼고 있는 기둥에 있어서, 벽체 두께을 제외한 전체 보강구간(h)에 대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으로 시공 할 수 있다.
또한, 곡면부를 가지는 기둥에 있어서, 또는 원형단면 또는 타원단면의 기둥에 있어서, 곡면부에 곡면지지부(100')를 설치하는 단계 ; 곡면지지부의 관통공에 강재(200)를 설치하는 단계와 ; 체결부재를 1차 체결하는 단계와 ; 목표 체결토크값을 확인하는 단계를 ;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으로, 상기 곡면지지부(100')에는 곡면부를 구성하는 한쌍의 지지체(110'))와 연결체(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구조를 포함하여 시공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면부에 곡면지지부(100')를 설치하는 단계 ; 에 있어서, 곡면부에 곡면지지부(10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모서리지지부와 곡면지지부의 재질은 금속재료 또는 복합재료 및 비금속재 모두 포함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평면부와 면접하는 모서리지지부(100)의 안쪽면에 단면보강재(114)를 미리 도포하는 단계를 ;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C)에 모서리지지부(100)를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더 실시 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단면보강재(114)는 몰탈제품이나 에폭시나 유동성이 거의 없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모서리지지부(100)의 지지체(110)가 콘크리트 기둥의 평면부에 밀실하게 정착하여, 체결토크로 인한 구속압이 모든 지지체(110)와 면접하는 모서리부(C)의 평면부에 고루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기존 콘크리트 기둥의 심부구속상태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때 반드시 토크렌치(T)를 이용하여 목표 체결토크값을 확인하도록 하며, 향후 유지관리시에도 관리목표치의 토크값을 가지도록 관리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설명은, 기존 콘크리트 기둥에 대해 보강하는 방법의 실시예이다. 하지만, 도2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지보수용 충진을 포함하여 내진장치를 추가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도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기존 기둥부에 보강설치 한 후, 내진보강장치의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모서리지지부 또는 곡면지지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기존 기둥부에 보강설치하는 단계 ;에 추가 보강재를 설치하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모서리지지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콘크리트 기둥이 벽체와 함께 벽체구조물을 끼고 있는 기둥에 있어서도, 벽체 두께을 제외한 전체 보강구간(h)에 대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만약, 원형단면 또는 타원단면의 기둥과 같이 곡면부를 가지는 기둥에 있어서도, 상기 곡면부에 곡면지지부(10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공전에는 반드시, 적어도 보강구간에 대해서, 시공 전에 모서리지지부(100)의 정착면 상태를 확인하고, 정착면 기둥의 표면을 청소 및 면처리 또는 면정리(M)하는 단계(C1)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기둥부에 단면보수보강작업 필요할 경우, 사전에 별도의 단면보수보강작업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한 이후에 본 발명을 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모서리지지부, 100' : 곡면지지부
110, 110' : 지지체
111 : 지지체보강체
112 : 관통공
114 : 단면보강재
120, 120' : 연결체
121' : 연결체 힌지부
122 : 연결공
124 : 연결면
200 : 강재
210 : 체결부재
220 : 수나사부
300 : 유지보수용 충진
310 : 유지보수용 가설판
400 : 추가 보강재
P, P' : 콘크리트 기둥
C : 모서리부
h : 보강구간
M : 면정리
F : 기초판, 하부슬래브, 바닥슬래브
T : 토크렌치
A : 모따기면
d : 단차

Claims (21)

  1.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를 가지며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모서리지지부 ; 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2. 외력에 의한 휨변형이나 전단변형을 방지하도록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평면부에 일면이 면접하도록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체와, 상기 모서리부와 지지체 사이에서 한쌍의 지지체의 각 일단과 접하는 한쌍의 연결면을 가지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모서리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에 면접하고 있는 한개 이상의 면과 면접하지 않는 한개 이상의 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둥면의 보강구간(h)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전혀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모서리지지부의 다른 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길이의 복수개의 강재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둥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동일한 설치이격간격으로 배치되거나, 기둥 단부 구간에 대해서는 상기 강재의 설치이격간격이 좁고, 기둥 단부 이외 구간에 대해서는 상기 강재의 설치이격간격이 넓게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4.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적어도 한쪽단이 수나사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서리지지부에 연결고정되는 체결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5.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부에 각각 관통형성한 사각중공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 단면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몸체에 관통형성한 중실형 육면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강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양단 수직면에 각각 관통형성한 'ㄷ'단면상의 절곡판체에 지지체보강체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6.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를 형성하는 평면부와 접하지 않는 지지체의 면중에서 관통공이 위치하는 지지체의 면에 접하는 보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ㄴ'단면상의 형강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중실형 사각단면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사각중공체 단면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삼각형상의 단면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8.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원형 또는 장공 또는 타원형공 또는 사각형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9.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가 콘크리트 기둥면에 정착되어 있지 않는 면에 대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의 사용시간이 연장되어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되도록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10.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부를 이용하여 유지보수용 가설판을 설치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모서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지지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모서리지지부 사이에 추가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여 유지관리비용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13.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유지관리비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으로,
    기존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기존 기둥부에 보강설치하는 단계;와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기존 기둥부에 보강설치 한 후, 내진보강장치의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모서리지지부 또는 곡면지지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기존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구간(h)에, 상기 콘크리트 기둥 내진보강장치를 기존 기둥부에 보강설치하는 단계 ;에
    추가 보강재를 설치하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보강장치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도록 모서리지지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용 충진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
  17.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이 벽체와 함께 벽체구조물을 끼고 있는 기둥에 있어서, 벽체 두께을 제외한 전체 보강구간(h)에 대해서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
  18. 제13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원형단면 또는 타원단면의 기둥과 같이 곡면부를 가지는 기둥에 있어서,
    상기 곡면부에 곡면지지부(100')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방법.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한쌍의 지지체로 구성되는데, ㄱ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 또는 ㄴ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콘크리트 기둥의 모서리부와 면접하는 부분이 지지체의 단면방향길이가 길고, 강재와 연결되는 관통공이 있는 부분은 지지체의 단면방향길이가 짧은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는 ㄱ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 또는 ㄴ단면모양의 한쌍의 지지체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지지부는, 사각단면 형상 또는 삼각단면 형상의 지지체보강체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 보강장치.
KR1020180085652A 2018-07-23 2018-07-23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90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652A KR20180090231A (ko) 2018-07-23 2018-07-23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652A KR20180090231A (ko) 2018-07-23 2018-07-23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231A true KR20180090231A (ko) 2018-08-10

Family

ID=6322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652A KR20180090231A (ko) 2018-07-23 2018-07-23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02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4908A (zh) * 2019-05-09 2019-08-20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深层注浆加固滑坡构造及其构筑方法
US11414880B2 (en) * 2019-09-29 2022-08-16 Feng He Ying Zao Group Co., Ltd. Reinforcing structure of unexpired concrete building floo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4908A (zh) * 2019-05-09 2019-08-20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深层注浆加固滑坡构造及其构筑方法
CN110144908B (zh) * 2019-05-09 2024-03-2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深层注浆加固滑坡构造的构筑方法
US11414880B2 (en) * 2019-09-29 2022-08-16 Feng He Ying Zao Group Co., Ltd. Reinforcing structure of unexpired concrete building flo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029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
CN108755954B (zh) 一种单边预应力全装配式自复位钢框架节点
KR101185974B1 (ko) 가새부재를 이용한 기둥부와 보의 연결부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102237936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US11261596B2 (en) Precast wall having increased pouring resistance
KR20180090230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US20180209134A1 (en) Construction arrangement and detachable connection assembly for this construction arrangement
KR101534431B1 (ko) 창호 프레임 충격흡수 및 내진 보강용 분절형 보강 구조물
KR101991938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85228A (ko) 조적 채움벽체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80090231A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장치 및 그 방법
KR102201159B1 (ko) 캡유닛과 보강기둥을 이용한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45821B1 (ko) 내진 보강용 브레이스 조립체 시공공법
KR20170112142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KR20160052474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방법
US11332928B2 (en) Panel of compound sheets for the construction of light-weight one-way joist slabs
JP6717782B2 (ja) 既設フーチングの補強方法
KR102255601B1 (ko) 콘크리트 기둥 내진 보강 방법
KR1025174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JP6026794B2 (ja) 鉄骨柱の柱脚構造
KR101770988B1 (ko) 구조물 내진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1734127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KR20170111836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JP2019027195A5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