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322B1 -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322B1
KR102384322B1 KR1020170168544A KR20170168544A KR102384322B1 KR 102384322 B1 KR102384322 B1 KR 102384322B1 KR 1020170168544 A KR1020170168544 A KR 1020170168544A KR 20170168544 A KR20170168544 A KR 20170168544A KR 102384322 B1 KR102384322 B1 KR 102384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ert
bid
ranking
bidding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166A (ko
Inventor
박왕근
Original Assignee
(주)전자조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전자조달연구원 filed Critical (주)전자조달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14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lgebr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를 매칭하여 매칭된 전문가가 입찰 참여자에게 낙찰 예측가를 입찰가로서 제공하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은,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는 입찰의 면허 및 지역을 설정받고, 설정된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가 관리부; 모의 입찰에 대해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는 모의 입찰부; 입찰자의 입찰에 면허 및 지역이 일치하고 설정된 기준 랭킹보다 상위의 랭킹을 갖는 전문가를 매칭하고, 매칭된 전문가로부터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고, 등록된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의 입찰가로 제공하는 전문가 매칭부; 및 모의 입찰 및 입찰자의 입찰에 등록된 낙찰 예측가에 대해 낙찰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낙찰률의 랭킹을 매기는 전문가 랭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찰 전문가를 입찰자에게 매칭하여 전문가가 예측한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가 제공받고, 입찰자는 제공받은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로 입찰에 참여하여 낙찰 확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Platform System for Matching between Bidding Expert and Bidding Participa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찰 전문가의 매칭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찰 전문가를 육성하고, 입찰 전문가의 자격을 평가하고,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를 매칭시키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달청과 같은 관공서 및 기반 등의 주관으로 이루어지는 공공 입찰(예 : G2B)은 난수 시스템이 적용되는 전자 입찰이다. 난수 시스템에 의해 입찰자들은 낙찰자가 될 수 있는 공정한 기회를 부여받는다. 공공 입찰은 낙찰가의 예정 가격이 랜덤 선택되고, 예정 가격에 동일하거나 가장 근접한 입찰자가 낙찰자가 되는 방식이다.
예측 알고리즘에 기반된 종래 낙찰 예측 시스템은 과거 입찰 정보 및 낙찰 이력의 패턴을 분석하여 예측을 수행하지만, 난수 시스템에 기반된 낙찰가를 예측하는 것은 역부족이다.
하지만, 입찰 전문가에 의한 낙찰 성공률은 종래 낙찰 예측 시스템보다 우수하다. 왜냐하면, 전문가들은 자신만의 전문화된 경험과 노하우에 따라 개찰 정보를 분석하며, 낙찰 예측 시스템의 기계적 능력으로 분석하지 못하는 인간의 예민한 예측 능력과 전문가의 경험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 특정 면허에 따라 우수한 낙찰 성과를 보이는 입찰 전문가가 존재한다. 여기서, 입찰 전문가란 입찰 참여자에게 입찰 가격(사정률)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업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낙찰 금액은 과거의 개찰 정보로부터 분석되어 낙찰률이 높은 금액 구간대를 낙찰 금액으로 예측하는 것은 물론이며, 과거의 낙찰 패턴으로부터 예측될 수 없는 임의의 금액 구간대를 지정하여 낙찰 금액으로 예측할 수 있다. 오히려, 전문가가 과거의 통계 정보에 기반된 낙찰 패턴과 다른 임의의 낙찰 금액을 예측하는 것은 입찰자의 경쟁이 낮게 예측되기에 낙찰 가능성이 높게 파악될 수 있는데, 전문가들은 이러한 부분까지도 고려하여 낙찰 금액을 예측한다.
따라서, 우수한 낙찰 성과를 가진 입찰 전문가와 공공 입찰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서로 매칭시켜 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26912(2009.03.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인식하에 창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낙찰 성과를 가진 입찰 전문가와 공공 입찰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서로 매칭시켜줄 수 있는 플랫폼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찰 전문가를 육성하고, 육성된 입찰 전문가의 자격과 랭킹을 평가하고, 평가된 전문가의 정보를 제공받은 입찰 참여자가 적합한 전문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은,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는 입찰의 면허 및 지역을 설정받고, 설정된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가 관리부; 전문가의 모의 입찰 요청에 대해,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는 모의 입찰부; 입찰자의 입찰에 대해 면허 및 지역이 일치하고 설정된 기준 랭킹보다 상위의 랭킹을 갖는 전문가를 매칭하고, 매칭된 전문가로부터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고, 등록된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의 입찰가로 제공하는 전문가 매칭부; 및 상기 모의 입찰 및 상기 입찰자의 입찰에 등록된 낙찰 예측가에 대해 낙찰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낙찰률의 랭킹을 매기는 전문가 랭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칭 플랫폼 시스템은, 실제 입찰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DB(DataBase)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의 입찰부는 상기 DB의 입찰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된 입찰 정보로 실제 입찰과 동일하게 모의 입찰의 개찰을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문가 랭킹부는,
하기의 수식
N1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N2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N3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Nk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P= ∑ Nk / n *100
P= 낙찰률 ( % )
n =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
을 이용하여 낙찰률(P)을 산정한다.
또한, 상기 전문가 매칭부는, 전문가가 예비 전문가에서 전문가의 자격으로 최초 등록된 후,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 이상의 상기 모의 입찰을 수행하여 낙찰률의 랭킹이 매겨진 전문가에 대해 입찰자와 매칭하고, 매칭된 정보를 DB에 저장한다.
나아가, 상기 전문가 매칭부는, 입찰자에 의해 설정된 면허 및 지역에 일치되도록 수집된 전체 입찰 또는 입찰자가 선택한 입찰에 대해 전문가를 자동 추천하여 매칭하거나, 상기 입찰에 대해 입찰자가 선택한 전문가를 매칭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문가 매칭부는, 개별 전문가들의 전체 매칭 횟수를 설정 횟수 이하로 제한하고, 제한된 매칭 횟수 내에서 전문가를 입찰자의 입찰에 매칭한다.
여기서, 입찰자의 자동 매칭의 요청에 따라, 설정 랭킹보다 상위의 랭킹을 가진 전문가를 선별하고, 선별된 전문가를 입찰자에게 자동 매칭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매칭 플랫폼 시스템은, 전문가의 자격을 신청받고, 신청자 정보를 예비 전문가 정보로 등록하고, 등록된 예비 전문가에 대해 단계별 모의 입찰을 제공하고, 제공된 모의 입찰의 전체 단계를 통과하면, 전문가의 자격을 등록하는 예비 전문가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예비 전문가 관리부는, 상기 모의 입찰의 개별 단계마다 설정된 입찰 건수 및 낙찰률의 조건 정보와 예비 전문가의 모의 입찰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의해 조건이 만족되는 예비 전문가를 상위 단계의 예비 전문가로 등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매칭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모의 입찰에 입찰한 전문가들의 낙찰 예측가 및 회원사의 요청에 의해 전문가가 등록한 낙찰 예측가의 분포를 낙찰 예측 분포도로 생성하여 입찰자들에게 제공하고, 입찰자의 구매 요청에 의해 상기 분포도에서 선택된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제공하고, 구매 금액의 일부를 전문가에게 정산하는 모의 입찰 분포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방법은, 매칭 플랫폼 시스템이 실행하는 매칭 플랫폼 방법에 있어서, (a)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는 입찰의 면허 및 지역을 설정받고, 설정된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가 관리 단계; (b)전문가의 모의 입찰 요청에 대해,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는 모의 입찰 단계; (c)입찰자의 입찰에 대해 면허 및 지역이 일치하고 설정된 기준 랭킹보다 상위의 랭킹을 갖는 전문가를 매칭하고, 매칭된 전문가로부터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고, 등록된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의 입찰가로 제공하는 전문가 매칭 단계; 및 (d)상기 모의 입찰 및 상기 입찰자의 입찰에 등록된 낙찰 예측가에 대해 낙찰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낙찰률의 랭킹을 매기는 전문가 랭킹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낙찰 성과를 가진 입찰 전문가와 공공 입찰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서로 매칭시켜 줌으로써 상호 win-win 할 수 있는 혁신적인 입찰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플랫폼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찰 매칭 서버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찰 매칭 서버가 수집하는 면허/지역의 입찰 건수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입찰 매칭 서버가 예비 전문가의 승급을 관리하는 단계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입찰 매칭 서버가 전문가의 낙찰률을 산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입찰 매칭 서버가 관리하는 전문가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입찰 매칭 서버가 제공하는 모의 입찰의 전문가 분포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플랫폼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플랫폼 시스템(1)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플랫폼 시스템(1)은 유,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문가와 입찰자(입찰 참여자)를 매칭하는 입찰 매칭 서버(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매칭 플랫폼 시스템(1)은 입찰자가 입찰에 참여하는 입찰가를 예측하여 제공하는 전문가 단말(3) 및 전문가에 의해 예측된 입찰가를 제공받는 입찰자 단말(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 무선 네트워크는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망, 인터넷과 같은 유, 무선 공중망이나 전용망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괄한다.
상기 입찰 매칭 서버(2)는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 전문가 단말(3) 및 입찰자 단말(4)을 상대로 본 발명의 입찰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홈 페이지(200)는 데스크 탑 및 모바일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홈 페이지(200)는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앱을 상대로 입찰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찰 매칭 서비스는 전문가를 육성하고, 육성된 전문가에 대해 낙찰률을 산정하여 전문가의 낙찰률 랭킹을 산정하고, 산정된 랭킹 정보를 이용하여 전문가를 입찰자의 입찰에 매칭하고, 매칭된 전문가에 의해 예측된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면, 입찰자는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입찰가로 하여 입찰에 참여한다.
상기 전문가 단말(3)은 홈 페이지(200)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 스마트 단말에 해당되고, 인터넷 접속이 되는 단말이면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 후, 전문가 자격을 신청하면 예비 전문가의 자격이 주어진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전문가가 전문가 단말(3)로 전문가의 자격을 신청하여 예비 전문가의 자격을 제공받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문가 단말(3)의 전문가는 예비 전문가의 자격으로서 홈 페이지(200)가 제공하는 모의 입찰에 참여하고, 복수개 단계를 전부 통과하면, 예비 전문가에서 승급된 전문가의 자격을 받는다. 전문가로 승급되면, 홈 페이지(200)를 통해 입찰자의 입찰에 매칭되는 자격이 주어진다.
상기 입찰자 단말(4)은 홈 페이지(200)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단말, 스마트 단말에 해당되고, 인터넷 접속이 되는 단말이면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공공 입찰에 참여하는 회원사는 입찰 참여자로서 직원이 입찰자 단말(4)을 실행하여 홈 페이지(200)에 회원 가입을 하고, 입찰 매칭 방식을 설정한다. 그러면, 설정된 입찰 매칭 방식에 따라 입찰자 단말(4)은 자동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수동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수동 매칭 서비스에서 입찰자 단말(4)은 입찰자로부터 전문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참고로, 입찰자는 1면허당 1명의 전문가를 선택하는 것으로 서비스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입찰자 단말(4)은 입찰 매칭 서버(2)로부터 입찰 매칭 서비스의 댓가를 지불하며, 입찰자의 서비스 이용료는 입찰 매칭 서버(2)가 수수료를 공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전문가에게 정산한다.
도 2는 도 1의 입찰 매칭 서버(2)의 개략적 내부 구조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입찰 매칭 서버(2)의 데이터 및 처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찰 매칭 서버(2)는 전문가의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가 관리부(21), 전문가의 모의 입찰을 진행하는 모의 입찰부(22), 입찰자의 입찰에 전문가를 매칭하는 전문가 매칭부(23) 및 전문가의 낙찰 결과에 따라 낙찰률을 산정하여 랭킹을 매기는 전문가 랭킹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입찰 매칭 서버(2)는 예비 전문가 관리부(201) 및 모의 입찰 분포 제공부(2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전문가 관리부(201)는 전문가 단말(3)이 입찰 전문가의 자격을 신청하면, 전문가가 되기 전 단계로서 예비 전문가의 자격을 부여한다. 예비 전문가 관리부(201)는 예비 전문가들을 단계별로 관리한다. 예비 전문가 관리부(201)는 각 단계별로 입찰 기준 건수 및 낙찰률을 포함하는 단계 관리 정보를 설정받고, 설정된 단계 관리의 조건을 충족하는 예비 전문가를 상위 단계로 승격한다. 즉, 예비 전문가가 각 단계별 기준 건수 이상의 모의 입찰에 참여하고, 참여한 모의 입찰 건에 대해 기준 낙찰률 이상을 기록해야만 조건이 충족되어 상위 단계로 승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찰 정보의 면허/지역의 입찰 건수 테이블이 도시된다. 입찰은 '면허' 및 '지역'에 의해 구분된다. 공공 입찰은 입찰자에게 입찰 면허와 입찰 지역을 부여하여, 입찰자의 면허와 지역이 일치되는 입찰에 대해 입찰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전기" 면허에 대해 "경기" 지역의 입찰 건수는 "2374" 건이 집계된다.
본 발명의 전문가는 예비 전문가와 예비 전문가로부터 승격된 전문가로 구성된다. 예비 전문가 관리부(201)가 처리하는 예비 전문가의 관리를 예시하면 다음의 1~5와 같다.
1. 모든 회원은 전문가 참여를 신청할 수 있으며, 전문가 과정에 참여한 자를 예비 전문가라고 칭한다. 회원이 아닌 경우 예비 전문가 참여가 불가하다.
2. 예비 전문가는 전문가 참여 신청, 이용 약관 동의 후 가입 절차가 완료되면, 바로 예비 전문가의 자격이 부여된다.
3. 예비 전문가 등록 시 필명(별명) 사용이 원칙(본명 사용도 인정)이며, 반드시 프로필 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4. 예비 전문가는 모의 입찰에 참여하여 5단계의 단계별로 승급 절차를 거치게 된다.
5. 5단계를 완료한 예비 전문가는 전문가 승급을 요청할 수 있으며, 홈 페이지(200)에서 전자 입찰의 실무 자격증을 발급할 수 있다.
여기서, 모의 입찰부(22)가 처리하는 예비 전문가의 모의 입찰 관리를 예시하면 이하의 1~3과 같다.
1. 예비 전문가 모의 입찰 공고
A. 홈 페이지(200)는 G2B 당일 입찰 마감인 공고들을 예비 전문가의 모의 입찰 공고로 제공함을 원칙으로 한다.
B. 단, 18:00 이후는 모든 공고의 입찰마감일이 지나게 되어, 참여할 수 있는 공고가 없으므로, 18:00시 익일 입찰 마감인 공고를 제공한다.
C. 관리자는 상기 “A”항 기준으로 최대 200건의 모의 입찰 공고를 제공한다.
2. 예비 전문가의 모의 입찰 구성
A. 예비 전문가 모의 입찰은 복수의 단계(예 :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B. 각 단계별 내용은 도 4와 같으며, 단계별 예비 전문가에게 공통으로 적용된다.
C. 1, 2단계는 기본 건수만 충족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 예비 전문가는 기준 건수 "100"회의 입찰에 참여하면, 2단계 예비 전문가로 승격된다.
D. 그리고 3~5단계는 도 4에서 정한 내용의 낙찰률 이상이 되어야, 해당 단계를 넘어갈 수 있다. 물론, 각 단계별 기준 건수와 낙찰률은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3. 모의 입찰 참여
A. 예비 전문가는 하루 최대 100건의 모의 입찰에 참여 가능하다. (1일 0건~100건)
B. 예비 전문가는 도 4의 예시된 내용과 같이, 단계별 조건을 충족하고, “결과확인”을 한 후 다음 단계로 승격될 수 있다.
C. 모든 모의 입찰 내역은 모의 입찰의 개찰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결과확인”은 진행 및 결과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D. 5단계를 완료한 예비 전문가는 전문가 승급을 요청할 수 있다.
모의 입찰의 개찰이 개시되어 낙찰이 확정된 후, 상기 전문가 랭킹부(24)가 낙찰 결과에 따라 모의 입찰에 참여한 예비 전문가의 랭킹을 산정하는 처리를 예시하면 다음의 다음의 1~7과 같다.
1. 예비 전문가의 랭킹 산정은 낙찰률에 의해 결정된다.
2. 낙찰률이란 총 참여 건수를 기준으로 낙찰된 건만의 확률을 계산하며, 낙찰률의 산출 수식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N1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
N2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
N3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

Nk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

낙찰률(P)= ∑Nk/ n %
n = 예비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
3. 예비 전문가 낙찰률 산정을 위한 n,“예비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는 해당 각 단계의 모의 입찰 건수를 기준으로 한다. 참고로, 전문가 랭킹부(24)가 전문가의 랭킹을 산정할 때, 표 1의 n은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로 대체된다.
4. 참여한 총 공고 개수가 “n”, “예비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에 도달하여야지만 예비 전문가의 단계별 랭킹이 생성된다. 즉, 예비 전문가의 낙찰률 산정은 각 단계별 모의 입찰 100건을 기준으로 하므로, 각 단계별로 100건의 모의 입찰을 완료해야만 단계별 낙찰률이 산출된다.
5.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는 '시계열' 개념을 적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신규 개찰이 되면 신규 공고가 산입되고 시간상 가장 늦은 공고가 빠짐으로써 기준 건수를 유지한다. 즉, 랭킹 산정 기준 건수는 최근 100건의 입찰만으로 산정할 수 있다.
A. 예비 전문가 3, 4, 5단계의 낙찰률 산정시, 시계열 개념을 적용한다.
B. 즉, 100건을 달성하여 낙찰률이 산정됐지만 낙찰률이 100%를 넘지 못하였을 경우, 낙찰률이 100%를 넘을 때까지 계속 모의 입찰을 진행하게 되며, 이때 시계열 개념을 적용하여, 신규개찰이 되면 시간상 가장 늦은 공고가 빠지면서 예비 전문가의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인 100건을 유지하게 된다.
6. 예비 전문가의 낙찰률은 예비 전문가 모의 입찰의 각 단계 참여 완료 후, “예비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을 기준으로 매일 00:00에 산출 및 순위 업데이트 된다.
7. 예비 전문가 랭킹은 낙찰률이 높은 순서대로 순위를 노출한다. (높을수록 높은 순위)
상기 전문가 관리부(21)는 예비 전문가의 자격에서 승격된 전문가에 대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면허/지역의 정보를 설정받고, 전문가의 자격, 랭킹 등을 관리한다.
여기서, 예비 전문가의 5 단계를 완료한 자들 중, 전문가 심의를 통해 전문가 승급이 확정되고, 계약절차에 따라 전문가 교육을 이수하고 오프라인 계약이 완료되었을 때, 전문가 관리부(21)는 전문가의 자격 정보를 DB에 등록한다. 전문가의 자격 정보가 등록되면, 전문가 관리부(21)는 전문가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들에게 전문가의 프로필 화면을 별도 제공할 수 있다.
전문가 관리부(21)에 의해 전문가가 관리되는 정책은 다음과 같다. 전문가는 정책에 의해 예비 전문가로부터 승격되어 관리된다.
전문가는 예비 전문가 과정을 거쳐 낙찰률이 검증된 자를 전문가검증위원회라는 공정한 기구를 통해 선발함으로써 명분과 실력을 확보한다. 전문가검증위원회는 전문가 대상자에게 예비 전문가 과정 중 축적된 모의 입찰 실적을 지역과 면허로 구분하여 낙찰률이 높은 면허나 랭킹 진입에 유리한 면허를 추천한다. 즉, 전문가검증위원회는 전문가를 심사하는 사람들로 구성된다.
전문가 관리부(21)가 처리하는 면허별 전문가의 관리를 예시하면 다음의 1~6과 같다.
1. 전문가는 면허가 설정되고, 해당 면허의 입찰에 입찰할 자격이 주어진다. 따라서, 전문가 관리부(21)는 도 3에 예시된 면허들 중에서 전문가로부터 자신이 활동하고 싶은 면허를 반드시 설정받아야 한다.
2. 전문가 관리부(21)는 전문가 자격으로 승급된 전문가에게 이전 예비 전문가의 단계에서 활동한 모의 입찰의 종합평가서를 제공하고 지역과 면허를 추천할 수 있다. 그러나 면허의 선택은 전문가 선택에 맡긴다.
3. 전문가는 면허를 신청 즉시 보유할 수 있으나, 각 면허+지역별 랭킹에 진입하기 전에는 회원사(입찰자)로부터 의뢰 공고를 받을 수 없다.
4. 전문가 관리부(21)는 전문가의 면허 설정(신규, 추가, 변경, 중지, 해지)의 요청에 대해 고유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전문가 현황 관리 메뉴의 보유면허관리 또는 전문가 현황 관리 등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5. 면허 제한은 최대 10개, 지역은 18개(종합 및 17개 주요 시도)로 전문가가 지역 + 면허별 랭킹이 진입 가능한 총 수는 180개이다. 무분별한 전문가의 입찰 허용은 낙찰률 및 전문성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어 면허와 지역의 제한을 통해 전문가의 전문성을 관리한다.
6. 전문가 관리부(21)는 지정한 각 면허+지역별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를 달성한 전문가에 한하여 해당 면허+지역별 전문가 순위에 랭크되도록 허용한다. 즉, 예비 전문가의 자격에서 전문가 자격으로 승격된다고 해서, 승격된 전문가가 바로 고객의 입찰에 입찰가를 예측하는 것은 아니다. 승격된 전문가는 예비 전문가의 입찰 이력 및 전문가의 입찰 이력을 조합하여 전문가들끼리 경쟁하는 랭킹이 매겨져야만 하고, 전문가 랭킹이 매겨지기 위해서는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에 해당하는 모의 입찰에 참가해야 한다.
상기 모의 입찰부(22)는 실제 입찰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찰 정보와 동일하게 전문가 단말(3)을 상대로 모의 입찰을 진행한다. 실제 입찰에서는 입찰자가 입찰에 참여하지만, 모의 입찰에서는 전문가가 입찰에 참여한다. 모의 입찰부(22)는 수집된 입찰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저장된 입찰 정보를 관리한다. 모의 입찰부(22)는 예비 전문가 및 전문가의 입찰 요청에 대해, 낙찰 예측가를 입찰가로 등록받고, 실제 입찰의 낙찰 정보로 모의 입찰의 개찰을 처리한다.
상기 전문가 랭킹부(24)는 모의 입찰 및 입찰에 낙찰 예측가를 등록한 전문가에 대해 상기 표 1의 낙찰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낙찰률의 랭킹을 산정한다. 물론, 전문가 랭킹부(24)가 전문가의 랭킹을 산정할 때, 표 1의 n은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이다. 예를 들면, 전문가 랭킹부(24)는 도 5의 예시에서와 같이 전문가의 입찰 이력 중에서 기준 건수에 부합하는 최근 입찰 건에 대해 낙찰률을 산정한다.
여기서, 산정된 랭킹은 예비 전문가의 단계별 랭킹 및 전문가의 랭킹 2종류이다. 산정된 전문가 랭킹은 면허별로 지역을 달리하여 랭킹 정보가 세분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랭킹(전국), 전기+서울 랭킹 등으로 세분화되어 순위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전문가 랭킹부(24)가 처리하는 전문가의 랭킹 및 랭킹 산정의 처리를 예시하면 다음의 1~9와 같다.
1. 전문가의 랭킹 산정은 표 1의 낙찰률에 의해서 결정된다.
2. 낙찰률의 적용 예시는 도 5와 같다.
3. 전문가의 랭킹 산정을 위한 참여 건수는 면허별, 면허+지역별로 다르게 정하였으며, 이를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라 한다.
4. 전문가가 낙찰 예측가를 제시한 입찰자의 실제 입찰 또는 모의 입찰은 개찰될 때마다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에 반영한다.
5.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는 전년도 면허별 및 지역별 최고 경쟁률(참여업체 수)에 기초한다. 공정한 전문가 랭킹을 위해 참여업체 수가 많은 면허는 참여업체 수에 비례한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를 산출하여 적용하고, 경쟁률(참여업체 수)을 건수로 변환한다.
6. 단,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는 효율적인 전문가 운영을 위해 일정 비율로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랭킹의 산정은 낙찰률이 높은 전문가들을 순위화하여 선별하기 위함이므로, 선별 기준에 맞는 효율적인 기준 건수로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7.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는 '시계열' 개념을 적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신규 개찰이 되면 신규 공고가 산입되고 시간상 가장 늦은 공고가 빠짐으로써 가장 최근에 개찰된 건수로 기준 건수를 유지하며 매일 00:00시에 변경된다.
8. 지역을 2개 이상 갖고 있는 공고의 경우, 해당 낙찰률을 각각 지역에 중복으로 적용함을 허용한다.
9. 낙찰률 산출 기준을 위한 공고 반영 순서는 아래와 같이 따른다.
i. 개찰일시 순 > 공고번호 순으로 반영한다.
ii. 같은 공고 번호에 다수의 낙찰 예측가를 제시된 경우, 낙찰이 있는 건을 우선 적용하며, 나머지는 랜덤으로 정한다.
또한, 전문가 랭킹부(24)가 처리하는 면허별 랭킹 진입의 예시는 다음의 1~5와 같다. 전문가 랭킹부(24)는 전문가 랭킹의 신뢰도를 위해 각 면허별로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를 제한한다.
1.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는 전문가 랭킹에 진입하기 위한 최소 참여건수이며, 최소 건수 미달시 랭킹이 생성되지 않는다.
2.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도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와 마찬가지로 전년도 면허, 지역별 최고 경쟁률(참여업체 수)에 기초한다.
3.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도 효율적인 전문가 운영을 위해 상기 2항의 기준을 일정 비율로 축소할 수 있다. 단,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를 초과할 수 없다.
4.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 충족 방법
A. 전문가 승급 전 예비 전문가 모의 입찰에서 참여한 모의 입찰 공고의 면허/지역을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에 적용시킨다.
B. 모자란 건수는 전문가가 모의 입찰에 참여하여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를 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서울의 면허+지역에서 전문가의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 50건이라 가정한다. 예비 전문가로서 모의 입찰에서 전기/서울 공고를 40건 참여했다. 전문가 승격 후, 전기/서울의 면허+지역에 해당하는 공고에 모의 입찰로 참여하여 10건을 진행하면, 전기/서울면허+지역의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 50건을 충족하게 된다.
C. 신규 면허, 지역은 전문가 모의 입찰을 통해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를 완료해야 한다
5. 면허/ 지역별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 설정
A. 상기 1~4의 항목에 따라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를 최고 경쟁률(참여 업체 수)의 30% 비율로 초기 적용한다.
B. 각 면허의 '종합' 최소 건수보다 각 면허의 '지역'의 최소 건수가 많을 경우, 면허의 '지역' 최소 건수는 '종합'의 최소 건수를 넘지 못하도록 한다.
C. 단, 발주량이 적은 면허에 대해서는 지역별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를 별도로 규정하여 일괄 적용한다.
또한, 전문가 랭킹부(24)가 처리하는 전문가의 랭킹 운영의 예시는 다음의 1~4와 같다.
1.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는 최고 경쟁률(참여 업체 수)의 50%의 비율로 적용한다.
2.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는 최고 경쟁률(참여 업체 수)의 30%의 비율로 적용한다.
3. 최초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를 완료하여 랭킹에 진입한 전문가는 이후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에 도달할 때까지 건수를 누적한다. 예를 들어, 부산/건축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 84건을 완료하여 랭킹에 진입한 전문가는 이후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 140건에 도달할 때까지 기준 건수는 누적된다.
4. 각 면허의 '지역' 기준 건수는 '종합'의 기준 건수를 넘지 못한다.
전문가 랭킹부(24)가 전문가의 랭킹 정보를 산정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랭킹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검색 서비스를 예시하면 다음의 1~3과 같다.
1.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를 충족한 전문가만 회원사에게 검색 및 노출 된다.
2. 회원사존 ZONE 메인 메뉴 중 전문가 선택, 전문가ZONE 메인 메뉴 중 전문가 순위에 노출되는 디폴트 전문가 값들에 대해서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전문가는 회원사가 전문가 선택의 화면을 제공받을 때, 회원사가 전문가를 선택하기 전까지 디폴트로 지정된 전문가로서 회원사에게 노출 기회를 보장받는다. 전문가 순위 노출 순서는, 각 면허별 종합 순위를 기준으로 한다.
3. 전문가 순위에서 검색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A. 최소한 전문가가 1명 이상이면 무조건 순위를 제공한다.
B. 검색한 조건 값의 전문가가 1명도 없을 경우
i. 문안 ”해당 면허/지역 전문가를 준비 중입니다.”를 표기한다.
ii. 각 면허별로 종합 랭킹을 제공한다.
전문가는 승격 후, 랭킹 진입의 최소 건수 및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의 충족을 위해 모의 입찰부(22)가 제공하는 모의 입찰에 참여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모의 입찰부(22)가 처리하는 전문가 모의 입찰을 예시하면 다음의 1~4와 같다.
1. 전문가 모의 입찰 공고
A. 모의 입찰부(22)가 실제 발주된 입찰 공고들의 정보를 수집한 후 모의 입찰 공고로 제공함을 원칙으로 한다.
B. 예비 전문가에게 제공되는 모의 입찰 공고가 투찰 마감일 당일(18:00시 이후에는 익일)까지인데 비해, 전문가 모의 입찰 공고는 회원사의 의뢰 공고를 더 포함하므로 의뢰 공고와 자동 수집된 공고를 제공한다.
C. 예비 전문가 모의 입찰과는 다르게 수량에 대한 제한은 없다.
참고로, 예비 전문가 모의 입찰에서는 일별 모의 입찰의 최대 공고 개수가 200건이며, 이중 예비 전문가는 하루 최대 100건의 모의 입찰에 참가 가능하다. 반면에, 전문가 모의 입찰에서는 이러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2. 모의 입찰 참여
A. 전문가는 전문가 모의 입찰을 통해 면허/지역별 랭킹에 진입하거나 또는 랭킹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B. 투찰 마감일 전날까지 전문가 모의 입찰의 1개 공고에서 1개의 낙찰 예측가를 제시할 수 있다.
C. 해당 공고가 회원사로부터 의뢰받은 공고라고 할지라도, 전문가 모의 입찰에서 낙찰 예측가를 제시할 수 있다.
3. 전문가가 참여한 모의 입찰의 낙찰 예측가는 개찰 결과에 따른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 '시계열' 규정에 따라 전문가의 랭킹 산정에 반영되며, 모의 입찰 분포 제공부(202)가 미래 예측 분포도에 반영한다. 참고로, 미래 예측 분포도는 모의 입찰 건에서 전문가가 모의 입찰한 낙찰 예측가의 가격 분포를 말한다.
4. 모의 입찰 공고가 정정, 취소되었을 경우
A. 랭킹 산정의 실적에 반영되지 않는다.
B. 단, 랭킹 진입 기준 건수에는 반영된다.
상기 전문가 매칭부(23)는 랭킹이 산정된 전문가와 전문가의 매칭을 요청하는 입찰자를 매칭시키고,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의 입찰가로 제공한다. 입찰자는 전문가의 매칭이 요구되는 입찰을 설정하면, 전문가 매칭부(23)는 설정된 입찰자의 입찰의 면허 및 지역과 동일한 면허 및 지역을 설정한 전문가를 매칭한다.
여기서, 전문가 매칭부(23)는 자동 매칭 서비스와 수동 매칭 서비스의 2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동 매칭 서비스는 입찰자에게 자동으로 전문가를 매칭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입찰자가 면허/지역을 설정하면, 설정된 정보에 맞는 입찰 건이 "입찰 가능 공고"로서 수집된다. 그러면, 수집된 입찰 건에 대해 면허/지역의 전문가 랭킹에 진입한 상위 3% 이내의 전문가가 자동 매칭 서비스에 의해 랜덤 선택되어 매칭된다.
물론, 수동 매칭 서비스는 입찰자의 설정에 의해 전문가를 입찰자가 직접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입찰자가 면허/지역을 설정하여 수집된 "입찰 가능 공고"의 입찰 건에 대해 전문가를 직접 선택하는 것이다.
전문가 매칭부(23)가 처리하는 전문가와 회원사의 매칭 관리를 예시하면 다음의 1~3과 같다.
1. 전문가 매칭부(23)는 매일 00:00시를 기준으로 면허/지역별 전문가 랭킹을 생성하면서 아래 서비스에 따라 전문가와 회원사를 매칭한다.
2. 전문가의 면허 변경, 정지, 해지 등으로 변경이 있는 경우, 전문가 관리부(21)는 변경된 정보를 DB에 실시간 반영한다.
3. 랭킹에 신규 진입한 전문가의 랭킹 정보는 전문가 랭킹부(24)가 낙찰률 및 랭킹 순위를 DB에 저장한다.
전문가 매칭부(23)가 처리하는 상기 자동 매칭 서비스에 해당되는 전문가 매칭의 "상위 3% 전문가 특별 자문 서비스" 매칭을 예시하면 다음의 1~4와 같다.
1. "상위 3% 전문가 특별 자문 서비스"는 수집된 "입찰 가능 공고"를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상품이다. 입찰자는 "상위 3% 전문가 특별 자문 서비스"에 가입하고 면허/지역을 설정해 둔다. 모의 입찰부(22)는 입찰 정보를 수집해서 DB에 저장한다. DB에 저장된 입찰 정보 중에서 입찰자의 면허/지역과 일치하는 입찰 정보는 입찰자가 전문가에게 입찰 의뢰하는 대상이 된다.
2. 랭킹에 진입한 전문가는 면허/지역(종합, 전국 포함)별 최대 5개의 입찰에 대해 입찰자의 입찰 의뢰를 받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문가는 자동 매칭 서비스를 기준으로 총 5개의 입찰 의뢰를 받을 수 있다. 전문가가 1개의 면허/지역에 대해 입찰자의 입찰 의뢰 건수를 제한받는 것은 전문가의 무분별한 입찰 참가를 제한하고 전문가가 신중하게 낙찰 예측가를 등록하여 전문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즉, 전문가는 각 면허/지역별 최대 5개의 회원사로부터 의뢰공고를 받을 수 있다.
3. "상위 3% 전문가 특별 자문 서비스"- 자동 매칭
A. 전문가 매칭의 "상위 3% 전문가 특별 자문 서비스"를 신청한 회원사에게 우선적으로 자동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B. 전문가가 각 면허/지역의 랭킹의 상위 3%에 진입시, "상위 3% 전문가 특별 자문 서비스"-자동 매칭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사와 자동으로 매칭된다. 단, 상기 2항에 따라 최대 5개 업체로 한정된다.
C. 매일 00:00시에 전문가 랭킹부(24)에 의해 랭킹이 새로 산정되고, 전문가 매칭부(23)는 산정된 랭킹의 전문가와 회원사자의 자동 매칭을 처리한다.
D. 3%의 기준은 랭킹 중인 전문가 수 × 3%이며, 적용은 다음과 같이 정한다.
i. 상위 3%가 1명 이하일 경우 1명의 전문가와 매칭 (ex: 전문가가 3명~33명이면 1위 랭크된 1명의 전문가가 회원사와 자동 매칭됨)
ii. 상위 3%가 소수점을 초과할 경우 1명 추가 (ex: 전문가가 34명이면 2명, 67명이면 3명의 전문가와 매칭)
E. 자동 매칭의 기준은 면허이며, 지역의 경우 해당지역 순위 > 종합순위 > 타지역 순위 순으로 우선 순위를 정한다. 즉, 입찰자에 의해 설정된 면허/지역에 대해 면허 우선 순위로 매칭된다.
F. 면허별 최소 건수표에 준하여 지역을 구분할 수 없는 면허의 경우 면허별 종합순위를 적용한다.
G. 면허별로 자동 매칭은 회원사의 면허/지역에 따라 적용하는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
i. 회원사 지역 + 면허 (ex : 서울 전기 3% / 전기 랭킹에 50명이 있을 경우, 2명의 전문가가 자동 매칭의 전문가로 선별됨)
ii. 종합 + 면허 (ex: 종합 전기 3% / 전기 랭킹에 100명이 있을 경우, 3명의 전문가가 자동 매칭의 전문가로 선별됨)
iii. 타지역 + 면허 (ex: 서울 전기에 3%가 마감되었고, 경기 전기에 정원이 있을 경우 경기 전기에 매칭)
이 경우에는 회원사의 동의를 구하도록 한다. 타지역의 순서는 전국 > 서울 > 경기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강원 > 경북 > 경남 > 전남 > 전북 > 제주 > 충남 > 충북 > 세종 순이다.
iv. 정원이 발생하였을 경우, 우선 순위 A > B > C > D에 따라 해당 지역+면허로 익일 00:00시에 자동 매칭을 승계한다.
여기서, 정원은 면허/지역별 자동 매칭이 가능한 전문가와 매칭이 가능한 회원사 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전기/서울의 상위 3%에 진입한 전문가가 1명일 경우, 정원은 5개의 회원사로 정해진다. 이때, 정원의 승계는, 전문가에게 이미 매칭된 5개 회원사 중에서 1회원사가 자동 매칭 서비스로부터 탈퇴함에 따라 제 2회원사가 제 1회원사를 대체하여 자동 매칭 서비스를 승계하는 것을 말한다.
H. 1명의 전문가는 5개의 회원사에게 매칭되며, 상위 3%의 전문가가 2명 이상 복수일 경우 랜덤 선택된 전문가가 회원사에게 매칭된다.
i. 랜덤 방식은 복수의 전문가에게 회원사를 순차적으로 매칭한다. 예를 들어 5개 회원사만 있을 경우, 해당 지역+면허의 1등 전문가에게 매칭하며, 6개 회원사가 매칭될 경우 1등, 2등에게 순차적으로 3개씩 매칭한다.
ii. 회원사의 매칭 순서는 계약일을 기준으로 한다. 가입 기간이 오래된 회원사부터 랜덤하게 선택된 전문가와 매칭된다.
4. "상위 3% 전문가 특별 자문 서비스"- 수동 매칭
A. 전문가 매칭부(23)는 전문가 매칭 서비스를 제공받는 회원사로부터 자동 매칭을 수동 매칭으로 변경하는 신청을 받을 수 있다.
B. 수동 매칭으로 변경된 경우, 전문가 매칭부(23)는 회원사로부터 전문가를 직접 선택받는다. 단, 면허/지역별로 정원이 남은 전문가를 선택하게 된다. 전문가의 면허/지역별 정원은 5개 회원사이다.
예를 들어, 서울+전기 전문가에서 상위 3% 이내의 전문가 중 정원이 남아 있을 경우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전문가의 매칭 가능한 회원사 수는 1씩 차감된다.
전문가 매칭부(23)가 처리하는 상기 수동 매칭 서비스에 해당되는 "10명 이상의 전문가 집단 자문 서비스"를 예시하면 다음의 1~3과 같다.
1. "10명 이상의 전문가 집단 자문 서비스"는 회원사가 원하는 입찰 건 및 전문가를 직접 선택하여 의뢰하는 상품이다. 회원사는 전체 공고중 입찰하려는 공고를 선택하고, 전문가 매칭부(23)는 선택된 입찰 건에 대해 회원사로부터 전문가를 직접 선택받아 전문가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2. 회원사가 전체 공고 중 일부 공고만 전문가에게 의뢰하기 때문에 전문가 매칭 정원에서 제외하며, 의뢰 공고 수에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위 3% 이내의 A 전문가가 이미 5개 회원사의 정원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도, 집단 자문 서비스에 의해 회원사가 A 전문가를 선택하면, A 전문가는 그 선택에 응해야 한다.
3. 회원사가 전문가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매칭은 그대로 유지된다.
전문가 매칭부(23)는 입찰자의 입찰 의뢰에 대해 전문가로부터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고, 등록된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 단말(4)로 제공한다. 여기서,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 등록을 예시하면 다음의 1~4와 같다.
1. 전문가는 입찰자의 의뢰 공고에 대해 '제시마감일'까지 낙찰 예측가를 제시하여야 한다.
2. 부득이한 사정으로 상기 1의 제시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 전문가는 최소 하루 전까지 매칭 플랫폼 시스템(1)에 통보해야 한다.
3. 장기간 업무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 시스템(1)의 제공사와 합의하여 기존 의뢰된 공고에 대한 낙찰 예측가 제시를 완료한 후 매칭을 중지하여야 한다.
4. 위의 내용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 전문가는 배상 규정을 적용받는다.
전문가와 입찰자의 매칭 서비스에 따른 수수료 발생을 예시하면 다음의 1~3과 같다.
1. 전문가가 제시한 낙찰 예측가가 회원사의 입찰자 단말(4)로 제공된 후 전자 입찰에 참여한 공고가 개찰을 통해 1순위로 낙찰되거나 또는 선순위 업체가 탈락하여 최종 낙찰자로 결정되면, 매칭 플랫폼 시스템(1)과 회원사 간에 체결된 매칭 서비스의 계약에 따라 자문 서비스의 수수료가 발생한다.
여기서, 회원사가 제시받은 낙찰 예측가를 확인하였고, 고의적으로 금액의 일부를 변경한 금액으로 입찰에 참여하여 낙찰이 되었다고 한다면 이에 대해서도 상기 수수료가 부과된다.
2. 상기 1에 따라 자문 서비스의 수수료가 발생하였으나, 회원사가 공사 수주 포기 또는 취소, 기업 도산, 회수 불가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 매칭 플랫폼 시스템(1)은 지속적인 채권 회수 진행 또는 자문 서비스의 수수료 취소를 선택할 수 있다.
3. 시스템(1)은 자문 서비스의 수수료 발생부터 최종결과에 이르는 모든 진행상황을 전문가에게 실시간으로 투명하게 제공한다.
매칭 플랫폼 시스템(1)은 사이버 머니에 해당되는 비드 코인을 발행하여 입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비드 코인의 정산을 예시하면 다음의 1~4와 같다.
1. 비드 코인은 회원사가 모의 입찰 분포 제공부(202)가 제공하는 미래 예측 분포도를 조회하거나 전문가의 예측가를 구매하거나 또는 전문가의 매칭을 요청할 때 사용될 수 있다. 1 코인은 대한민국 원화 1원과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원사는 미래 예측 분포도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여 선택된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의 구매를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매 전에는 분포도상에서 예측가의 일부(예 : 소수점 2째 짜리까지만 공개)만 조회 가능하며, 구매에 의해 전체 공개된 예측가가 구매자에게 제공된다.
2. 비드 코인은 거래 활성화를 위해 사용하는 서비스 제공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코인과 회원사가 직접 비드 코인을 구매하여 사용하는 구매 코인으로 구분되며, 비드 코인의 정산은 구매 코인에 한한다.
3. 미래 예측 분포도 정산
A. 미래 예측 분포도는 일정 수 이상 전문가들의 낙찰 예측가가 제시된 공고에 한해 회원사가 구매할 수 있다.
B. 회원사가 구매한 미래 예측 분포도의 정산 대상은 전문가가 모의 입찰을 통해 낙찰 예측가를 제시한 건이다. 입찰자의 입찰 의뢰한 건에 대해 전문가가 낙찰 예측가를 제시한 건은 정산에서 제외한다. 이는 입찰자의 의뢰는 자문 서비스 의 수수료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의 입찰은 랭킹 변경을 위한 전문가의 능동적인 참여이므로 정산은 이에 대한 보상으로 운영한다.
C. 미래 예측 분포도의 정산 방법은 회사와 모의 입찰 참여 전문가들이 각각 50% 정산을 원칙으로 전문가 정산금 50%를 참여한 전문가 수만큼 1/n으로 나누어 정산한다. 즉, 입찰자의 구매한 금액의 50%를 시스템이 갖고, 나머지 50%는 전문가들에게 정산된다. 예를 들어, A공고에 미래 예측 분포도의 수익이 10,000원이 발생했으며, 여기 모의 입찰을 참여한 전문가가 5명이라면, 5,000원/5명으로 각 참여한 각각의 전문가에게 1,000원씩 정산된다.
4. 전문가 공고 의뢰시 지불하는 비드 코인 정산
A. 회원사는 공고 의뢰시 비드 코인(서비스 코인 또는 구매 코인)으로 1,000 코인을 지불하여야 한다.
B. 서비스 코인은 많은 공고를 의뢰함으로써 자문 서비스의 수수료 발생을 높이는 목적으로 정산에서 제외한다.
예를 들면, 특별 자문 서비스, 집단 자문 서비스의 회원사가 공고 의뢰시 사용한 서비스 코인 또는 미래 예측 분포도를 구매시 사용된 서비스 코인은 전문가에게 정산하는 기준에서 제외된다.
C. 비드 코인의 정산 대상은 회원사가 구매 코인으로 결제한 건에 한하여 지불한 금액의 50%를 전문가에게 지급한다.
전문가 매칭부(23)가 처리하는 전문가의 배상을 예시하면 다음의 1~3과 같다.
1. 시스템(1)은 입찰자의 의뢰 공고에 대해 전문가가 제시 마감일까지 낙찰 예측가를 제시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은 금전적 배상금을 전문가에게 부과한다.
A. 일자 기준 최초 1일에 한하여 의뢰공고 건당 20,000원 배상
B. 일자 기준 2회 발생 시, 의뢰공고 건당 30,000원 배상
C. 일자 기준 3회 발생 시, 의뢰공고 건당 50,000원 배상 및 전문가 자격 중지
2. 의뢰 공고 중 정정, 취소, 연기공고가 발생하거나 낙찰 예측가 제시 전에 회원사가 의뢰를 취소한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3. 배상금은 전문가 정산금에서 차감한다.
전문가 매칭부(23)가 처리하는 전문가 정산금 지급을 예시하면 다음의 1~4와 같다.
1. 시스템(1)은 당월 1일부터 말일까지의 자문 서비스 수수료 및 비드 코인을 함께 정산하여 익월 10일 용역 수수료 정산서를 발급하고, 상호 조정 및 확인을 거쳐 익월 25일 최종 확인된 정산금을 전문가가 지정한 은행 계좌로 지급한다
2. 자문 서비스 수수료 및 비드 코인 금액에는 VAT가 포함되어 있으며, 정산금에 반영한다.
3. 정산금은 수금된 자문 서비스 수수료 정산금과 비드 코인 정산금, 전문가 배상금을 함께 반영한다.
4. 전문가가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은 개인인 경우 정산금에서 부가 가치세(VAT)와 사업 소득세 3.3%를 제한 정산금을 지급하며, 전문가가 사업자의 경우 정산금에 따른 세금 계산서를 회사에 제출하면, 확인 후 정산금을 지급하기로 한다.
전문가 관리부(21)가 제공하는 전문가 현황 관리를 예시하면 다음의 1~4와 같다.
1. 전문가는 전문가 현황 관리를 통해 현재 전문가 자신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필요한 부분으로 바로 접근할 수 있다.
2. 전문가 현황 관리를 통해 전문가는 전략적으로 면허/지역의 랭킹 순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전문가는 전문가 현황 관리에서 면허/지역의 정보를 변경하거나 모의 입찰에 참여하여 랭킹 순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전문가 현황 관리는 도 6에 도시된 바 있다.
4. 전문가가 보유한 면허가 10개 미만일 경우, 면허추가 (+)를 클릭하면 면허 선택창이 팝업하여 바로 면허를 추가할 수 있다.
-> 보유 면허란을 면허 수만큼만 표시하지 않고, 10개 란을 제공함으로써 전문가가 10개 면허를 보유하도록 유도한다.
전문가 관리부(21)가 제공하는 전문가 현황을 예시하면 다음의 1~2와 같다.
1. 전문가 관리부(21)는 조회 요청에 따라 면허별 각 지역의 랭킹에 진입하여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 수를 확인하는 화면을 제공한다(랭킹 미진입 전문가 수 제외).
2. 여기서, 면허+지역별 랭킹 진입한 전문가 수는 실시간 반영될 수 있다.
전문가 관리부(21)가 제공하는 전문가 현황 관리의 순위 현황을 예시하면 다음의 1~4와 같다.
1. 각 전문가는 면허+지역별 랭킹에 진입한 상황을 조회할 수 있다.
2. 랭킹 미진입 시
A. 미진입이라고 표현된다.
B. 해당 면허+지역의 랭킹 진입 건수를 충족하지 못하여 랭킹 진입하지 못한 상태.
C. 마우스 오버시, 해당 면허+지역에 참여한 공고 수와 모의 입찰 가능 공고 수가 나온다.
3. 랭킹 진입 시
A. 해당 면허+지역의 내 순위/ 해당 면허+지역 진행하고 있는 전문가 수로 표현된다.
B. 마우스 오버시, 해당 면허+지역의 나의 낙찰률과, 모의 입찰 가능 공고 수가 나온다.
4. 각 면허+지역을 클릭 시, 현재 가능한 모의 입찰 공고 리스트로 이동한다.
전문가 관리부(21)가 제공하는 전문가 현황 관리 - 회원사 현황은 다음의 1~2와 같다.
1. 면허+지역별로 각 전문가는 매칭되어 있는 회원사 수를 파악할 수 있다.
2. 각 면허+지역에 마우스 오버시, 상품별 매칭되어있는 회원사 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플랫폼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입찰 매칭 서버(2)는 관리자로부터 전문가 관리, 모의 입찰, 낙찰률 산정, 미래 예측 분포도의 생성, 전문가 매칭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기준 및 정책의 데이터를 설정받고 DB에 저장한다.
입찰 매칭 서버(2)는 홈 페이지(200)에 접속한 전문가 단말(3)로부터 전문가 자격의 취득을 요청받고, 예비 전문가의 자격을 부여하고, 예비 전문가의 단계별 승급 서비스를 제공한다(S21). 전문가 자격을 신청한 신청자는 예비 전문가의 초기 단계부터 도 4에 예시된 기준 건수 및 낙찰률을 포함하는 단계별 승급 기준에 따라 상위 단계로 승격된다.
예비 전문가 단계가 모두 완료되면, 입찰 매칭 서버(2)는 전문가 단말(3)로 전문가 자격의 취득을 알리고, 전문가 단말(3)로부터 면허/지역을 설정받고 DB에 전문가 정보로서 저장한다(S22). 입찰 매칭 서버(2)는 전문가에게 설정된 면허/지역의 공고된 입찰에 대해서만 전문가 단말(3)로부터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을 수 있다. 입찰 매칭 서버(2)는 전문가가 등록한 낙찰 예측가에 대해 낙찰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낙찰률에 따라 전문가 랭킹의 순위를 매긴다.
여기서, 입찰 매칭 서버(2)는 전문가의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낙찰 랭킹 진입 최소 건수 및 랭킹 산정 기준 건수로 전문가의 모의 입찰 참여를 요구한다. 즉, 전문가 자격을 획득한 사용자는 모의 입찰에 낙찰 예측가를 등록하여 입찰에 참여하면서 전문가로써 경험을 쌓는다. 경험을 쌓은 전문가가 상기 건수의 기준을 충족하면 랭킹 정보가 산정되어 입찰자들에게 공개된다.
전문가 단말(3)이 모의 입찰에 참여를 요청하면, 입찰 매칭 서버(2)는 요청된 입찰 건에 대해 전문가 단말(3)로부터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는다(S31). 이를 위해, 입찰 매칭 서버(3)는 공고되는 공개 입찰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입찰 건을 모의 입찰을 실제 입찰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최초로 전문가 자격을 획득한 사용자는 랭킹 진입 및 산정을 위해 모의 입찰에 참여하고, 이미 랭킹을 보유한 전문가는 랭킹 순위의 변경을 위해 필요에 따라 모의 입찰에 참여한다.
여기서, 모의 입찰의 진행 중에, 입찰 매칭 서버(2)는 모의 입찰에 입찰된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이용하여 도 7의 미래 예측 분포도를 생성하고, 입찰자 단말(4)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분포도를 제공한다(S32). 입찰 매칭 서버(2)는 분포도상에서 입찰자 단말(4)로부터 특정 분포 위치를 선택받고, 입찰자의 구매 요청에 따라 선택된 위치에 대응되는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공개한다. 즉, 분포도상에서는 정확한 낙찰 예측가는 공개되지 않으며, 입찰 매칭 서버(2)가 구매를 완료한 입찰자 단말(4)로 정확한 낙찰 예측가를 제공한다.
한편, 입찰 매칭 서버(2)는 회원사에 해당되는 입찰자의 요청에 따라 입찰자 단말(4)로부터 전문가 매칭 서비스의 가입을 요청받고, 서비스 설정 정보를 등록받는다(S41). 입찰 매칭 서버(2)는 입찰자에게 자동 매칭 서비스 및 수동 매칭 서비스를 설정받고, 설정된 서비스에 맞는 각종 조건 정보 등을 설정받는다. 입찰자는 서비스 설정에 부합하는 입찰 정보 및 그 입찰 정보와 매칭되는 전문가 정보를 제공받는다.
입찰 매칭 서버(2)는 자동 매칭 서비스 및 수동 매칭 서비스에 따라 입찰자의 참여 입찰 건에 대해 전문가를 매칭한다(S42). 먼저, 입찰 매칭 서버(2)가 입찰자의 서비스 설정된 면허/지역에 맞는 입찰 정보를 수집하여 입찰자의 참가 입찰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입찰자가 면허/지역에 맞는 전체 입찰 정보 중에서 참가하는 입찰 정보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입찰 정보가 결정 또는 선택되면, 전문가 매칭은 자동 매칭 서비스일 경우, 입찰 매칭 서버(2)가 설정된 상위 순위에 전문가를 랜덤 선별하고, 선별된 전문가의 정보를 입찰자 단말(4)로 제공한다. 만약, 수동 매칭 서비스일 경우, 입찰 매칭 서버(2)가 입찰자가 참가하는 입찰 정보를 입찰자 단말(4)로 제공하고, 입찰자로부터 전문가를 선택받는다.
입찰 건 및 전문가의 결정 또는 선택이 완료되면, 입찰 매칭 서버(2)는 전문가 단말(3)로 입찰자의 입찰 의뢰를 통보하고, 전문가 단말(3)로부터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고, 등록된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 단말(4)로 제공한다(S43).
입찰 건의 개찰이 개시되면, 입찰 매칭 서버(2)는 낙찰 결과를 수집하고, 수집된 낙찰 정보를 기반으로 전문가의 모의 입찰 및 입찰 의뢰를 통해 등록한 낙찰 예측가에 대해 표 1의 낙찰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낙찰률의 랭킹을 매긴다(S51). 즉,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 등록은 이력으로 저장되고, 입찰자의 구매 여부와 무관하게 낙찰률 및 랭킹으로 평가된다.
매 입찰 건의 개찰시마다. 전문가의 랭킹은 순위가 변경되고, 변경된 정보는 진행 중인 모의 입찰 건 및 전문가 매칭 서비스에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즉, 입찰자는 모의 입찰 건의 미래 예측 분포도를 통해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구매할 수 있고, 전문가 매칭 서비스에 가입된 입찰자는 자동 매칭 또는 수동 매칭에 따라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제공받는다.
만약,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가 실제로 낙찰될 경우, 입찰 매칭 서버(2)는 설정된 정책에 따라 소정의 수수료를 낙찰가를 예측한 전문가에게 정산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부"라는 용어는 입찰 매칭 서버(2)의 하드웨어적 구분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통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의 구성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또한, 구성부는 하드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의 구성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라는 용어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 입찰 매칭 서버 200 : 홈 페이지
3 : 전문가 단말 4 : 입찰자 단말

Claims (9)

  1. 전문가가 되는 자격이 신청된 신청자 정보를 예비 전문가 정보로 등록하고, 등록된 예비 전문가에 대해 단계별 승격이 요구되는 모의 입찰을 제공하고, 각 단계별로 대응되는 기준 건수의 모의 입찰에 예비 전문가가 참여한 이후로, 참여된 기준 건수 이상의 모의 입찰 건에 대해 기준 낙찰률 이상을 기록해야만 승격 조건이 충족되어 전문가를 상위 단계로 승격시키고, 상기 승격에 의해 예비 전문가의 전체 단계를 통과하면, 전문가의 자격을 등록하는 예비 전문가 관리부;
    상기 등록된 자격의 전문가가 참여할 수 있는 입찰의 면허 및 지역을 설정받고, 설정된 정보를 관리하는 전문가 관리부;
    랭킹 순위의 변경을 통해 입찰자에게 매칭되기 위한 전문가의 상기 모의 입찰의 참여 요청에 대해,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아 모의 입찰에 참여시키는 모의 입찰부;
    입찰자의 실제 입찰에 대해 면허 및 지역이 일치하고 설정된 기준 랭킹보다 상위의 랭킹을 갖는 전문가를 매칭하고, 매칭된 전문가로부터 낙찰 예측가를 등록받고, 등록된 낙찰 예측가를 입찰자의 입찰가로 제공하는 전문가 매칭부; 및
    공고된 개찰 건의 상기 모의 입찰 및 상기 실제 입찰에 등록된 상기 낙찰 예측가의 낙찰 여부를 포함한 최근 개찰 건들의 낙찰 여부를 이용하여 전문가별 낙찰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낙찰률의 순위에 따라 상기 입찰자에게 실시간 매칭되기 위한 전문가의 상기 랭킹을 면허별 및 지역별로 매기는 전문가 랭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문가 랭킹부는,
    하기의 수식
    N1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N2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N3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Nk = 참여 업체 수 X (“낙찰”=1 또는 “탈락”=0)
    P= ∑Nk/ n *100
    P= 낙찰률(%)
    n =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
    을 이용하여 낙찰률(P)을 산정하며,
    또한, 상기 전문가 랭킹부는,
    상기 모의 입찰 및 상기 실제 입찰의 참여 건수 합이 랭킹 진입 최소 건수 이상인 전문가들에 대해서만 상기 랭킹을 매기고,
    상기 전문가 랭킹 산정의 기준 건수 및, 상기 랭킹 진입 최소 건수는,
    면허별 및 지역별로 다르게 정해지면서 전년도 면허별 및 지역별 최고 경쟁률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실제 입찰 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되는 DB(DataBase)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의 입찰부는 상기 DB의 입찰 정보를 관리하고, 저장된 입찰 정보로 실제 입찰과 동일하게 모의 입찰의 개찰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매칭부는,
    개별 전문가들의 전체 매칭 횟수를 설정 횟수 이하로 제한하고, 제한된 매칭 횟수 내에서 전문가를 입찰자의 입찰에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 매칭부는,
    입찰자의 자동 매칭의 요청에 따라, 설정 랭킹보다 상위의 랭킹을 가진 전문가를 선별하고, 선별된 전문가를 입찰자에게 자동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전문가 관리부는,
    상기 모의 입찰의 개별 단계마다 설정된 입찰 건수 및 낙찰률의 조건 정보와 예비 전문가의 모의 입찰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에 의해 조건이 만족되는 예비 전문가를 상위 단계의 예비 전문가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입찰에 입찰한 전문가들의 낙찰 예측가 및 회원사의 요청에 의해 전문가가 등록한 낙찰 예측가의 분포를 낙찰 예측 분포도로 생성하여 입찰자들에게 제공하고, 입찰자의 구매 요청에 의해 상기 분포도에서 선택된 전문가의 낙찰 예측가를 제공하고, 구매 금액의 일부를 전문가에게 정산하는 모의 입찰 분포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칭 플랫폼 시스템.
KR1020170168544A 2016-04-28 2017-12-08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102384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2415 2016-04-28
KR1020160052415 2016-04-28
KR1020160119264A KR20170123217A (ko) 2016-04-28 2016-09-19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264A Division KR20170123217A (ko) 2016-04-28 2016-09-19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166A KR20170141166A (ko) 2017-12-22
KR102384322B1 true KR102384322B1 (ko) 2022-04-07

Family

ID=603845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264A KR20170123217A (ko) 2016-04-28 2016-09-19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1020170168544A KR102384322B1 (ko) 2016-04-28 2017-12-08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264A KR20170123217A (ko) 2016-04-28 2016-09-19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232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220B1 (ko) * 2019-09-03 2020-09-03 주식회사 지에스지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
US11625685B2 (en) * 2019-10-04 2023-04-11 Procore Technologies, Inc.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project prequalification and management
CN112085577A (zh) * 2020-09-03 2020-12-15 上海容基工程项目管理有限公司 一种招投标在线答疑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KR102645157B1 (ko) * 2022-09-02 2024-03-08 (주)한국재무심리연구소 재무심리 분석에 의한 머니타입 유형별 머니튜터링 파이낸셜 컨설팅 시스템
CN116860833B (zh) * 2023-07-18 2024-04-16 深圳交易集团有限公司 一种多域数据的主体信息服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912A (ko) 2007-09-11 2009-03-16 최창훈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문가 경매 시스템 및 그 경매방법
KR101269874B1 (ko) * 2011-03-10 2013-06-07 주식회사 싸이픽소프트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한 낙찰 금액 산출 시스템 및 그 산출 방법
KR20130037051A (ko) * 2011-10-05 2013-04-15 (주)로시컴 전문가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425054B1 (ko) * 2012-06-22 2014-08-0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문가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448290B1 (ko) * 2013-03-04 2014-10-13 (주)전자조달연구원 전문가의 낙찰 예측 분포도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 및 그 입찰 컨설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217A (ko) 2017-11-07
KR20170141166A (ko) 201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322B1 (ko)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100438307B1 (ko) 주식시세정보 제공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컴퓨터 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US6038537A (en) Intra-organization cooperation system, commodity deal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7707062B2 (en) Method and system of forecast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potential commercial transactions
US20160035003A1 (en) System for concurrent optimization of business economics and customer value
US118167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 service provider of a retirement plan
US20020099596A1 (en) Dynamic ratemaking for insurance
US8538848B1 (en) Revenue allocation for bundled intellectual property transactions
JP6978551B2 (ja) 特許評価システム
KR20180108764A (ko) 포인트 기부 시스템
EP3754572A1 (en) Business execu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714600B1 (ko)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한 상품 유통과 이윤 환원 생태계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11680A (ko) 투자 정보 제공방법 및 투자 정보 제공서버
CN112384944A (zh) 数值决定系统及其方法
JP2002099733A (ja) プロジェクト投資仲介システム
KR102181925B1 (ko)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JP5296900B2 (j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20013565A (ko) 수익예측에 근거한 대가 환불 방식의 증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80556B1 (ko) B2b 정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eng et al. The usage of opportunity cost to maximize performance in revenue management
KR101448289B1 (ko) 전문가의 낙찰 예측 결과를 이용하는 입찰 컨설팅 시스템 및 그 입찰 컨설팅 방법
WO2016179658A1 (en) A property analysis system
US20150058073A1 (en) Crowdsourced innovation exchange
JP2016024584A (ja) 投資適格性評価システム、投資適格性評価システムの制御方法、投資適格性評価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U2019201903A1 (en) Crowdcallect – an app that allows potential community project developers to collect : credible pledges for equity plus loan offers and capital donations as well as preliminary usage nominations, memberships and purchase offers for future goods or services such that all these likely participations can be estimated and mapped to development options and higher confidence social impacts for developing stronger development project business cases, including provision of public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