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349A -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349A
KR20190097349A KR1020180016634A KR20180016634A KR20190097349A KR 20190097349 A KR20190097349 A KR 20190097349A KR 1020180016634 A KR1020180016634 A KR 1020180016634A KR 20180016634 A KR20180016634 A KR 20180016634A KR 20190097349 A KR20190097349 A KR 2019009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item
expert
operating computer
o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612B1 (ko
Inventor
윤성민
Original Assignee
윤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민 filed Critical 윤성민
Priority to KR102018001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612B1/ko
Priority to PCT/KR2019/001427 priority patent/WO2019156445A1/ko
Priority to US16/969,254 priority patent/US20210004908A1/en
Priority to EP19751416.9A priority patent/EP3754572A4/en
Publication of KR2019009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06Q30/0185Product, service or business identity frau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운영컴퓨터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 접속되어 사업 수행에 관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되는 사용자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컴퓨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업 아이템을 수신하여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는 심사대상선정수단과; 상기 심사대상선정수단에서 선정된 사업 아이템에 대해 등록된 전문가들의 전문가의견데이터를 수신하여 전문가검증수단과; 상기 전문가의견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사업 아이템의 안건별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을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집단지성수렴수단과;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사업 수익의 배분율을 설정하기 위한 수익배분율설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은 상기 사업 아이템의 최종 선정, 용역업체의 선정, 항목별 소요비용의 결정 및 사업수익배분율의 확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Business execu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투자금의 최적화된 운용을 통하여 손실을 최소화하고 사업 수행을 통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업 수행을 위한 준비단계에 해당하는 사업 아이템 선정, 선정된 사업 아이템의 사업 초기화 단계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가 및 해당 사업 아이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투자자, 소비자 등의 참여자가 단계적으로 의견을 반영시켜 최적 사업 아이템의 평가 및 사업 수행에 소요되는 투자금을 필수항목과 선택항목으로 분리하여 투자금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투자의 최적화를 통한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업 수행을 위해서는 우선 사업 아이템의 선정, 선정된 사업 아이템의 사업성 평가, 기본 기획, 실행 기획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투자하고 사업 수행을 통해 투자금 회수 및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 수행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특정인의 결정 또는 최소한의 전문가 참여를 통한 사업성 평가를 통해 사업을 실행하게 됨으로써 투자금의 회수 및 이익의 창출면에서 그 한계성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업 수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들이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086605호(공개일: 2001년09월15일)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부동산 개발 컨설팅 방법 및 부동산 개발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 발명(1)은, 부동산 중개인으로부터 특정 부동산에 대한 개발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부동산 개발정보가 입력되면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해당 부동산 개발정보에 대한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후 건축설계 기본도면 생성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해당 부동산 개발정보에 대한 건축설계 기본도면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보고서 및 상기 건축설계 기본도면을 소속 전문가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소속 전문가의 견해서 및 부동산 개발 적합여부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견해서에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보고서 및 상기 건축설계 기본도면을 결합하여 최종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최종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보고서를 상기 부동산 중개인 또는 부동산 소유주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89145호(등록일: 2014년04월18일)의 부동산 개발 정보 중계 방법 및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2)은, 웹 서버를 통하여 상기 부동산 개발 정보 중계 시스템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지도를 제공하는 단계, 개발 제안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개발 적정 지역 및 개발 용도를 입력받는 단계, 선택된 개발 적정 지역 및 개발 용도의 제안 횟수가 기준 값 이상인 지점을 관심 지역으로 선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심 지역의 개발을 위한 커뮤니티를 개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수의 개발 제안자들의 추천과 참여에 의해 개발의 형태와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고, 토지를 단순하게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최적화된 개발 방향으로 추천과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부동산 개발 지원 기관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지주, 개발 제안자, 수요자 등이 요구하는 개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59417호(등록일: 2013년04월24일)의 집단지성을 활용한 하이브리드형 유망기술 추출 시스템 및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3)은, 특정 주제에 관한 유망기술의 선정에 필요한 유망기술 자료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고, 선정된 유망기술 자료에 대해 1차 클러스터링과 통계적 필터링을 통한 2차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제1 유망기술 후보군을 추출하는 계량적 유망기술 추출부; 상기 특정 주제에 관한 기술 동향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이슈 기술에 관한 기사 중 전문가들에 의해 일정 수 이상으로 클릭된 기사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해, 클릭수가 일정 기준보다 상위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이슈 기술을 제2 유망기술 후보군으로 추출하는 집단지성 유망기술 추출부; 및 상기 제1 유망기술 후보군과 상기 제2 유망기술 후보군의 유사도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일정 기준 이상으로 높은 유망기술을 최종 유망기술로 결정하는 유망기술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상기 공개발명(1)은 특정 부동산 개발 정보를 1차로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해당 부동산 개발정보에 대한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기본 사업타당성 분석보고서를 기초로 소속 전문가가 견해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상기 공개발명(1)은 부동산 개발의 사업 타당성 정보를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하고, 그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문가가 견해를 밝히는 구성으로서, 전문가의 견해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의 발명이고,
상기 특허발명(2)는 다수의 개발 제안자들의 추천과 참여에 의해 개발의 형태와 개발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구조의 발명이고,
상기 특허발명(3)은 특정 주제에 관해 1차 및 2차 클러스터링에 의해 제1 유망기술 후보군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주제에 관한 기술 동향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이슈 기술에 관한 기사 중 전문가들에 의해 일정 수 이상으로 클릭된 기사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해, 클릭수가 일정 기준보다 상위에 해당하는 키워드의 이슈 기술을 제2 유망기술 후보군으로 추출하여, 1차 유망기술 후보군과 2차 유망기술 후보군의 유사도를 판단하여 최종 유망기술로 선정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 또는 특허발명들은 전문가의 견해에 의존하거나, 개발 제안자의 추천에 의존하는 단편적인 검증을 통해 아이템의 선정에만 집중되므로,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 지성의 검증을 통한 기본 지식의 제공과, 전문 지식의 제공을 받은 다양한 참여자들의 의견 수렴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사업 수행의 과정에 필요한 투자금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최적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가의 검증과 전문가의 해당 배경 지식을 포함하는 지식 정보의 제공과, 전문가의 해당 아이템에 관한 지식 정보를 제공받은 다양한 참여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한 사업 아이템의 수행 타당성 및 투자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는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1-0086605호(공개일: 2001년09월1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89145호(등록일: 2014년04월1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59417호(등록일: 2013년04월24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가의 검증과 전문가의 해당 배경 지식을 포함하는 지식 정보의 제공과, 전문가의 해당 아이템에 관한 지식 정보를 제공받은 다양한 참여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한 사업 아이템의 수행 타당성 검증을 통한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증된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과정에서 투자금의 투입 항목을 필수적 투자비용과 선택적 투자비용으로 구분하고, 선택적 투자비용 중에서 비용 절감이 가능한 비본질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 부분에 대한 투자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사업의 수행의 투자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는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등록 전문가의 전문 지식 및 상세 설명과 다양한 참여자들의 상기 전문가의 전문지식 및 상세 설명을 참조하여 제시한 의견을 수렴하여 사업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운영컴퓨터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컴퓨터에 접속되어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또는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운영컴퓨터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업 아이템을 제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안자단말기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운영컴퓨터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컴퓨터에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 지식 및 배경지식 등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운영컴퓨터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가의 전문지식 및 배경지식을 열람하고 상기 운영컴퓨터에 의견을 제공하기 위한 참여자단말기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운영컴퓨터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업 아이템의 실행 정보를 제공하고 사업 실행 과정에서 추진 정보 등을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역업체단말기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 접속되어, 상기 운영컴퓨터에 사업 수행에 필요한 레거시 정보 및 사업 아이템에 관한 지능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컴퓨터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 접속되어, 사업 아이템에 관한 공공성이 보증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기관컴퓨터를 포함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제안자단말기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운영컴퓨터에 사업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수신된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경우 등록된 전문가를 조회하여 조회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사업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가 상기 사업 아이템 정보에 관하여 사업 수행의 동의 여부 및 점수, 전문 지식, 그 근거 및 그에 관한 상세설명 등을 포함하는 전문가의견데이터를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수신된 전문가의견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문가의견데이터에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동의 의견 관련 필수열람의견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부동의 의견 관련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필수 안건을 포함시킨 상기 사업 아이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포함하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입력된 참여자들의 상기 필수 안건이 포함된 사업 아이템 정보에 관한 동의 또는 부동의 의견데이터를 기초로 안건별로 안건의 승인 또는 부결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업 수행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으로, 운영컴퓨터가 제안자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사업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사업 아이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등록된 전문가에게 제공하여 전문가들의 검증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수렴된 상기 전문가들의 검증 의견을 기초로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전문가들의 검증 의견을 기초로 상기 사업 아이템에 관한 안건별 동의 및 부동의 의견의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안건별로 수익배분율을 설정하고 상기 안건들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상기 필수열람의견에 관한 동의 또는 부동의 의견을 수렴하여 통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안건별 상기 필수열람의견들의 열람 순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확인된 상기 안건별 상기 필수열람의견들의 열람 순위가 변동되는 것을 체크하여 상기 안건별 상기 필수열람의견들의 동일한 열람 순위에 위치한 기간(또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안건별 상기 필수열람의견들의 열람 순위 및 기간(또는 시간)을 기초로 사업 수익의 배분율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업 수행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으로, 제안자단말기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운영컴퓨터에 사업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단말기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 접속되어 상기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 지식 및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타당성 검증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전문가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사업 수행 타당성 검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업 아이템에 관한 참여자 의견 수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해당 사업 아이템에 관한 참여자 의견을 수렴하기로 결정된 경우, 상기 운영컴퓨터가 통신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전문가의 전문 지식 및 배경 지식을 열람하고 제공하는 관련 의견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관련 의견을 기초로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지를 판단하여 사업 수행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사업 수행에 필요한 전체 투자금액 및 항목별 투자금액을 산정하고 이를 포함한 기초 사업계획 정보를 상기 전문가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단말기가 상기 기초 사업 계획 정보를 기초로 전문 지식과 상세 설명 및 기초 사업계획의 검증 정보를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통신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전문가의 전문 지식 및 상세 설명을 열람하고 제공하는 관련 의견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관련 의견을 기초로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업 아이템과 관련하여 전문가, 참여자, 투자자, 소비자 등에게 배분할 수익 배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 사업계획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의 수행 정보 중 업체 선정이 필요한 항목별로 용역업체 정보를 상기 전문가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단말기가 상기 사업 수행 항목별 용역업체 정보를 기초로 이와 관련된 전문 지식과 상세 설명 및 용역업체 관련 검증 정보를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통신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전문가의 전문 지식 및 상세 설명을 열람하고 제공하는 관련 의견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관련 의견을 기초로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지를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용역업체 선정을 결정하는 단계와;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용역업체의 용역업체단말기가 사업 수행의 항목별 추진 일정 및 성과 정보를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용역업체들의 사업 수행의 항목별 추진 정보 및 성과 정보를 상기 전문가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문가단말기가 상기 사업 수행의 항목별 추진 정보 및 성과 정보를 기초로 이와 관련된 전문 지식과 배경 지식 및 검증 정보를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통신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전문가의 전문 지식 및 상세 설명을 열람하고 제공하는 관련 의견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온 관련 의견을 기초로 설정된 수익 배분 비율의 수정 또는 확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사업 정산 단계를 포함하는 사업 수행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가의 검증과 전문가의 해당 배경 지식을 포함하는 지식 정보의 제공과, 전문가의 해당 아이템에 관한 지식 정보를 제공받은 다양한 참여자들의 의견 수렴을 통한 사업 아이템의 수행의 타당성 검증이 가능하고, 검증된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과정에서 투자금의 투입 항목을 필수적 투자금과 선택적 투자금으로 구분하고, 선택적 투자금 중에서 비용 절감이 가능한 비본질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 부분에 대한 투자금을 절감시킴으로써 사업의 수행의 투자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운영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회원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제안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전문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참여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 절차인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이용한 중요 안건의 의사 결정 및 기여도 산정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지능형데이터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사업수행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정산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업 수행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용어 등에 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또는 단말기 등의 하드웨어 용어는 그 하드웨어 자체를 지칭하기도 하고, 그 하드웨어의 자원을 활용하여 실행되는 웹프로그램 또는 컴퓨터프로그램을 지칭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운영자컴퓨터는 상기 운영자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체를 표현한 것이기도 하고, 상세한 설명의 문맥상 운영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원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컴퓨터프로그램, 또는 그 컴퓨터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모듈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은, 등록 전문가의 전문 지식 및 배경 지식과 다양한 참여자들의 상기 전문가의 전문지식 및 배경지식을 참조하여 제시한 의견을 수렴하여 사업 수행을 관리하기 위한 운영컴퓨터(100)와;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접속되어 회원가입 및 사용자인증을 수행하는 제안자, 전문가, 참여자 및 용역업체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안자회원정보저장부(210), 전문가회원정보저장부(220), 참여자회원정보저장부(230), 용역업체회원정보저장부(240)을 포함하는 회원정보저장부(200a)와;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접속되어 제안자회원이 제공한 제안정보, 전문가회원 및 참여자회원이 제공한 집단지성정보, 선정된 사업 수행 아이템 정보 및 검증 설정기준 정보 등의 사업대상정보 및 사업 수행 종료시 분배하여야 할 이익의 산정 기준 및 정산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제안정보저장부(250), 집단지성정보저장부(260), 사업대상정보저장부(270), 정산정보저장부(280)를 포함하는 콘텐츠정보저장부(200b)와;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운영컴퓨터(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업 아이템을 제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안자단말기(300)와;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운영컴퓨터(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 지식 및 배경지식 등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400)와;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운영컴퓨터(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가의 전문지식 및 배경지식을 열람하고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의견을 제공하기 위한 참여자단말기(500)와;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상기 운영컴퓨터(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탑재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업 아이템의 실행 정보를 제공하고 사업 실행 과정에서 추진 정보 등을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용역업체단말기(600)와;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통신 접속되어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사업 수행에 필요한 레거시 정보 및 사업 아이템에 관한 지능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지능형컴퓨터(710) 및 관련정보저장부(720)을 포함하는 지능형컴퓨터부(700)와;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통신 접속되어 사업 아이템에 관한 공공성이 보증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외부기관컴퓨터(810) 및 기관콘텐츠저장부(820)을 구비한 외부기관컴퓨터부(8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운영컴퓨터(100)는 상기 회원들의 사용자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웹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데이터를 제공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또는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관리를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또는 웹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들과 통신할 수 있는 서버 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원정보저장부(200a) 및 콘텐츠정보저장부(200b)는 독립된 데이터베이스서버(DBMS)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안자, 전문가, 참여자 또는 용역업체 회원이 사용하는 단말기(300~600)는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통신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운영컴퓨터(100)가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웹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기능과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 다운로드 컴퓨터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서비스 관련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PC, 노트북컴퓨터, 태블릿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능형컴퓨터부(700)의 지능형컴퓨터(710)는 상기 운영컴퓨터(100)의 요청에 의해서 데이터를 조회하고, 조회된 데이터를 상기 운영컴퓨터(100)의 요청대로 결과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는 서버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운영컴퓨터(100)에 포함된 구성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기관컴퓨터부(800)의 외부기관컴퓨터(810)는, 부동산 관련 데이터, 경영 관련 데이터, 사회적 데이터, 통계 데이터 등의 소위 빅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사적 또는 공공기관의 서버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운영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100)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업 아이템의 제안자,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적 지성을 가지고 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전문가 지성을 참조하여 나름의 지성을 발휘하기 위한 다양한 참여자 및 선정된 사업 아이템을 사업 시행을 위해 필요한 각 분야의 사업자로 이루어진 용역업체들의 회원 가입, 가입 회원들의 각종 정보를 상기 회원정보저장부(200a)에 저장시키고, 회원들의 사용자인증 등을 수행하기 위한 회원정보관리부(110)와; 상기 회원들이 사용하는 사용자단말기에 실행되는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의 고유정보 관리 및 업데이트 등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프로그램관리부(120)와; 상기 제안자단말기(300)에서 입력되는 사업 아이템의 제안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시키고, 수신된 상기 제안 정보에 대해서 선정에 관한 차후 절차의 수행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제안인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안정보관리부(130)와; 등록된 전문가 회원들이 입력한 수신된 상기 제안 정보에 관한 설정된 기준에 따른 차후 절차를 위한 선정 의견, 선정된 제안에 관한 검증을 위한 전문 지식 및 배경 지식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참여자 회원들의 전문가 회원으로의 업그레이드 등을 관리하기 위한 전문정보관리부(140)와; 상기 제안된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가 회원의 전문 지식 및 배경지식을 제공하면서 제시된 의견에 대해서 참여자 회원들이 제시하는 의견을 수렴하여 통계화시키고, 상기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가 의견 및 참여자 의견들에 대하여 계량화된 방식으로 참여자들이 반드시 열람하여야 할 필수열람의견과 열람 여부를 회원들에게 맡기는 선택열람의견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상기 필수열람의견의 통계치를 기초로 제안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대상으로의 선정을 관리하기 위한 참여정보관리부(150)와; 제안된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대상으로의 선정, 선정된 사업 아이템의 사업 시행 과정에 있어서, 기존의 축적된 사회적 데이터를 가공하여 검증 및 도움을 받기 위해, 상기 지능형컴퓨터부(700)와 연계하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지능형데이터관리부(160)와; 제안된 사업 아이템의 선정, 선정된 사업 아이템의 사업 시행 과정에서 필요한 공공 데이터, 인증, 검증에 필요한 사적 또는 공적 빅데이터의 협조를 받기 위해, 상기 외부기관컴퓨터부(800)와 연계하여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외부기관연계관리부(170)와; 선정된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투자금의 투자 항목 및 시기 등의 최적화, 사업 시행의 최적화, 사업 시행 공정 정보 등을 관리하기 위한 사업수행정보관리부(180)와; 사업 수행에 따른 수익에 관한 배분 정보의 설정, 사업 수행 종료에 따른 투자금 및 수익금 등의 통계 관리 및 수익금 배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산정보관리부(19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운영컴퓨터(100)의 각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최적화를 위해 추가, 삭제 및 변경이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회원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원정보관리부(110)는,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100)가 제공하는 사업 수행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업 아이템을 제안하고자 하여 회원으로 등록한 제안자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제안자회원정보관리모듈(111)과; 제안된 사업 아이템에 관해 사업 수행 대상으로의 선정을 위한 검증 및 사업 시행 과정에서의 필요한 전문 지식을 그와 관련된 배경 지식과 함께 제공하는 전문가의 등록 요건, 등록된 전문가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전문가회원정보관리모듈(112)와; 제안된 사업 아이템에 관한 상기 전문가 회원의 전문 지식 및 배경 지식을 참조하여 사업 수행 대상 선정을 위한 의견을 제공하는 참여자의 회원 등록, 등록된 참여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참여자회원정보관리모듈(113)와; 사업 아이템 관련 전문 업체, 상기 전문 업체의 정보 등, 또한 선정된 사업 아이템을 시행하는 용역업체의 회원 등록 및 등록된 용역업체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용역업체회원정보관리모듈(11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제안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안정보관리부(130)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서비스에 제공할 사업 아이템의 제안은 제안의 제공자 및 제안의 내용에 제한이 없다. 다만, 사업 아이템의 제안을 제공하는 제안자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서비스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하고, 제공된 제안의 종류 및 내용에 관한 선정 기준은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안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제안된 내용은 무엇이나 선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하여 제안된 종류 및 내용과 관련하여 선정 절차로 진입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제안정제정보설정모듈(131)과; 제안된 사업 아이템의 심사대상으로 진입하기 위한 설정된 기준을 통과한 제안된 사업 아이템에 관한 1차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에 관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1차정제정보설정모듈(132)과; 상기 1차정제정보설정모듈(132)에서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는 사업 아이템의 1차 심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1차심사기준설정모듈(133)과; 상기 1차심사기준설정모듈(133)에서 설정한 심사 기준을 통과한 사업 아이템에 관해 2차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에 관한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2차정제정보설정모듈(134)과; 상기 2차정제정보설정모듈(134)에서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는 사업 아이템의 2차 심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2차심사기준설정모듈(135)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안정제정보설정모듈(131)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100)가 제공하는 사업 수행 서비스에 회원으로 등록된 제안자 회원 누구나가 제안할 수 있는 사업 수행 아이템에 대해서, 선정 대상으로의 검증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사업 아이템을 가려내기 위해, 사업 아이템의 성격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에 충실한 사업 수지 및 계획 항목으로 30점, 사업 실행(현실화) 가능성 항목으로 40점, 사업 추진 관련 장애 요인 유무 항목으로 30점을 배점하여, 100점 기준으로 일정 점수 이상인 사업 아이템을 검증 대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정제정보설정모듈(132)은 상기 제안정제정보모듈(131)의 설정 기준을 통과한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1차 심사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예를 들면 등록 전문가 회원의 과반수 동의가 있는 사업 아이템, 등록 전문가의 10% 이상의 동의 및 상기 배점 기준에 관해 90점 이상의 점수를 부여한 사업 아이템 또는, 사업관리자측 또는 특정 신뢰성을 구비한 기관이 상기 배점 기준에 관해 90점 이상의 점수를 부여한 사업 아이템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1차심사정보설정모듈(133)은 상기 1차정제정보설정모듈(132)의 기준을 통과한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1차 심사 통과 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 사업 수행 대상의 1차 심사는 주로 전문가 회원이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1차 심사 기준으로서, 예를 들면 등록 전문가의 2/3 이상의 동의와 80점 이상의 점수가 부여된 사업 아이템, 등록 전문가의 1/3 이상의 동의와 90점 이상의 점수가 부여된 사업 아이템, 투자자 과반의 동의가 있는 사업 아이템, 또는 소비자(계약자) 과반의 동의가 있는 사업 아이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정제정보설정모듈(134)은 상기 1차심사정보모듈(133)의 설정 기준을 통과한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2차 심사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상기 1차 심사에서 전문가 검증 사항을 통과한 사업 아이템 및 상기 사업의 투자자 및 사업 수행 결과물의 구매 계약자들이 설정된 조건으로 동의한 건은 자동으로 2차 심사 대상으로서 자동 부의 사항이 되고, 다만 필수 부의 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업 아이템 최종 선정, 사업계획 확정 사항, 주요 용역업체 선정 사항, 수익 배당율 확정의 사항, 용역 발주(선정) 관련 전문가 그룹에의 위임 사항 등은 2차 심사 시 반드시 포함하여 부의 되어야 하는 필수 부의 사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업 수행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전문가의 전횡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로서 필수 부의 사항을 설정하여, 예를 들면 전문가 자격 박탈, 용역 업체 해임 내지 변경, 사업계획 수정 등 사업관련 모든 사항을 부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심사정보설정모듈(135)은 1차 심사 통과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부의된 사항 예를 들면, 사업계획 확정 사항, 주요 용역업체 선정 사항, 수익 배당율 확정의 사항, 용역 발주(선정) 관련 전문가 그룹에의 위임 사항 등에 대해서, 상기 참여자단말기들이 제공한 의견들을 수렴하여 결정하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활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사업 아이템의 선정 및 사업 시행 과정에서의 중요 안건에 관한 의사 결정을 위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은, 제시된 안건에 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전송시킨 찬성 또는 반대에 관한 의견, 그 의견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 및 설명 등의 전문가의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전문가의견관리수단과; 상기 전문가의견관리수단이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의견데이터를 참가자들에게 제공하여 전문가의견데이터들에의 동의 및 비동의 데이터, 부여한 점수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선택열람의견데이터로 구분하여 이를 상기 안건에 관한 배경지식데이터로 저장시키기 위한 배경지식관리수단과; 상기 배경지식관리수단에 저장된 배경지식데이터를 참여자들에게 제공하여 상기 참여자들이 상기 배경지식데이터를 열람하고 입력한 상기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과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에의 동의 또는 비동의 데이터 및, 부여한 점수데이터를 포함하는 참여자의견데이터를 수신하여 집단지성 수렴데이터로 처리하기 위한 참여데이터관리수단과; 상기 참여데이터관리수단에 저장된 상기 참여자의견데이터를 기초로 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순위를 기초로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을 갱신시켜 상기 배경지식관리부에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의견순위관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가자 또는 참여자들에 의해 소수의 동의를 받고 있지만 부여한 점수가 높은 의견에 대해서는 순위 상승 지위를 부여하기 위한 소수의견관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수의견관리수단이 관리하는 의견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택열람의견데이터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여자들이 상기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을 열람하는 과정에서 해당 의견데이터의 출처 및, 반론 또는 보완의견 등에 관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의견이력관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참여데이터관리수단에 저장된 집단지성 수렴데이터를 기초로 설정된 형식의 보고서를 생성시켜 상기 안건의 제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안건의 제공자가 검증할 수 있도록 상기 보고서의 기초가 된 집단지성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결과검증관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문가의견순위관리수단에 의한 상기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의 갱신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전문가의견관리수단은 상기 전문가들의 전문가단말기에 의견제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의견제시 양식은, 상기 안건에 관한 찬성 또는 반대의견에 관해 소정의 글자 수를 입력할 수 있는 의견요약입력부와; 설정된 갯 수만큼 상기 찬성 또는 반대 의견에 관한 핵심적인 근거를 입력하기 위한 핵심근거입력부와; 상기 안건에 관한 찬성 또는 반대 의견의 상세한 설명을 입력하기 위한 상세설명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단지성 수렴데이터는, 상기 안건에 관한 찬성 또는 반대의견의 전문가의견데이터에 관한 찬성과 반대의견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를 각각 소정의 수로 설정하여 설정된 수의 참여자에게 제공해주고, 각 참여자들이 입력한 찬성의견 및 반대의견에 관한 필수열람의견데이터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의 동의, 비동의 및 그에 관한 점수가 표시되고, 각 참여자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의 점수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필수 부의 사항 및 자동 부의 사항을 지정,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전문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문정보관리부(140)는, 사업 아이템에 관한 등록된 전문가 회원들이 제공한 전문 지식, 이와 관련된 상세 설명 등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관리하기 위한 전문의견콘텐츠관리모듈(141)과; 상기 전문의견콘텐츠관리모듈(141)에서 수신된 전문가들의 의견을 기초로 필수열람의견데이터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를 생성시켜 참여자들에게 제공할 배경지식콘텐츠로 관리하기 위한 배경지식콘텐츠관리모듈(14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에 참여하는 전문가는 누구든지 참여하여 활동을 할 수 있지만, 전문 의견 및 지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엄격한 자격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전문가로서의 등록 조건으로서, 첫째, 이미 등록된 전문가의 과반수가 동의한 희망자, 둘째, 사업 아이템에의 투자자 또는 소비자(계약자)의 1/4 이상의 동의를 받은 희망자, 셋째, 사업 수행 대상 선정 과정에서 1차 심사 가결 실적이 20건 이상 또는 2차 심사 가결 실적이 10건 이상을 달성하고, 동시에 설정된 신뢰도 평가 시스템에서 80% 이상의 신뢰도를 확보한 희망자를 전문가로 등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신뢰도는 예를 들면 기본 신뢰도 점수를 50%로 하고, 1차 심사에서 참여한 안건의 가결시에 +10%, 부결시에 -15%를 부여하고, 2차 심사에서 참여한 안건의 가결시에 +30% 부결시에 -5%를 부여하여 그 전문가의 신뢰도를 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에 등록된 전문가가 상술한 자격 기준이 상시 체크되어 이에 미달될 때에는 전문가 회원의 자격이 자동으로 박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전 과정에서 일반인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참여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문정보관리부(140)의 상기 배경지식콘텐츠관리모듈(142)에서 생성된 배경지식에 포함된 필수열람의견의 참여자 열람 및 참여자의 의견과 점수부여 상황을 수신하여 사업 아이템에 관한 참여자들의 집단 지성을 수렴하기 위한 필수열람의견관리모듈(151)과; 상기 사업 아이템과 관련된 필수열람의견을 열람한 참여자들의 기여도를 산정하고, 그에 따른 사업 수행 이익의 배분 비율 및 순위를 산정하기 위한 배점 및 순위생성모듈(15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사업 아이템의 중요 사안을 집단지성화 시킴에 있어 중요한 필수열람의견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사업 수행 검증에 관한 필수열람의견의 기여도에 따라서 해당 필수열람의견에 사업 수행의 이익을 배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수열람의견 자체 및 순위가 실시간으로 변동되므로, 필수열람의견에 대한 사업 수행의 이익 배분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변동된다. 예를 들면, 사업 아이템의 중요 안건에 관하여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진행시간 동안 각 순위에 머물렀던 시간에 비례해서 사업 수행 이익을 배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실시예의 주요 절차인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이용한 중요 안건의 의사 결정 및 기여도 산정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표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이용한 의사결정 및 기여도 산정은, 안건의 중요도에 따라서 사업수익의 배분율과 집단지성 수렴기간(시간)을 예를 들면, 사업계획 검증(확정) 여부에 관한 안건에 40%와 30일, A 업무의 용역업체 선정 안건에 35%와 15일, B 업무의 용역업체 선정 안건에 15%와 10일, 사업 수익 배분의 확정 안건에 5%와 7일, 용역 발주 관련 전문가 그룹에의 위임 안건에 5%와 12일로 정해서 수행한다. 집단지성 수렴을 위한 필수열람의견은 상위 5개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필수열람의견은 안건에 관한 찬성의견과 반대의견으로 제시된다. 사업계획 검증(확정) 안건에 관해 30일간 집단지성 수렴 결과, 찬성이 80%, 반대가 20%로 의사 결정의 결과는 확정으로 확정되고, 필수열람의견의 순위별 수익 분배 비율은 1순위 50%, 2순위 30% 및 3순위 20% 등으로 배분하여, 수익배분율 40%에 해당하는 사업수익을 순위별 배분 비율에 따라서 필수열람의견의 기여도를 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특성상 필수열람의견은 실시간 변동하므로 진행시간 동안 각 순위에 머무른 시간에 비례해서 수익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필수열람의견의 순위는 참여자들의 동의건수와 점수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므로 특정 순위에 머물렀던 기간(또는 시간)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순위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의거 정해지지만 그것이 실시간 변동할 수 있으므로 각 순위에 머물렀던 시간을 계산하여 수익을 배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안건 필수열람의견 중 1순위 의견에 설정기간 7일 동안 하루씩 A, A, B, B, B, C, B 의견이 각 하루씩 점유했을 경우, 1순위 의견에 배당되는 수익이 7억원을 가정할 경우, A 의견이 2/7, B 의견이 4/7, C 의견이 1/7 의 비율로 수익을 가져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지능형데이터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에서의 지능형데이터관리부(160)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에서의 사업 아이템의 선정, 사업 수행 과정에서의 주요 안건의 결정에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이 활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더 구체적이고 더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서 지능형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필요 주제에 관한 키워드 등의 검색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검색정보관리모듈(161)과; 검색정보를 기초로 관련 정보를 조회하여 수집하기 위한 정보수집관리모듈(162)과;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주제에 부합되는 정보로 필터링하기 위한 정보분석관리모듈(163)과; 주제에 관한 답변으로서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결과정보관리모듈(164)과; 도출된 결과에 오류가 있는지 또는 그 결과를 반영했을 경우 발생되는 장애가 있는지의 검증 결과인 장애정보관리모듈(165)과; 주제에 관한 새로운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점을 감안하여 결과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업데이트정보관리모듈(166)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지능형데이터관리부(160)는, 상기 운영컴퓨터(100) 자체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상기 지능형컴퓨터부(700)와 연계해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사업수행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업수행정보관리부(180)는, 사업 수행에 있어서 투자를 최적화하기 위해 사업 수행의 항목을 반드시 투자되어야 할 사업 수행의 본질적 요소인 필수항목과, 투자 여부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업 수행의 비본질적 요소인 선택항목으로 구분 관리하기 위한 사업비항목정보관리모듈(181)과; 상기 사업비항목정보관리모듈(181)에서 정해진 필수항목과 선택항목에 대해서 투자비율을 설정함에 있어서, 전체 투자비용 범위 내에서 투자 비용을 더 증액시켜야 할 본질적 요소와 비용절감이 가능한 비본질적 요소에 대한 사업 비용의 투자 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사업비용정보관리모듈(182)와; 사업 수행의 각 항목별로 선정된 사업 용역업체에 대해서 사업 수행의 지속성 및 성공을 위해 사업 용역업체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관리하기 위한 용역업체정보관리모듈(183)과; 사업 수행의 항목별로 제시된 시행 일정 및 전체 사업 히행 일정을 실시간 관리하여 투자금 증액을 방지하기 위한 사업수행일정관리모듈(184)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사업비용정보관리모듈(182)은 예를 들면, 사업 수행에 필요한 투자금을 투자한 투자자가 있는 경우, 그 투자금에 발생할 수 있는 금융조달비용(대출 이자 등)을 그 자본 투자자에게 환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업 수행의 종료 후 사업 수행 결과물의 판매에 관하여 발생될 수 있는 판매수수료 등의 비용은 구매 예정인 소비자(계약자)에게 환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운영컴퓨터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정산정보관리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산정보관리부(190)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에서 사업 수익이 발생한 경우, 수익을 사업 수행에 참여한 사업 제안자, 투자자, 소비자, 집단지성수렴시스템 참여자 등에게 배분하기 위해서 배분 비율의 설정, 설정된 배분 비율의 업데이트 등을 관리하기 위한 분배정보관리모듈(191)과; 상기 분배정보관리모듈(191)에서 설정된 사업 수익의 배분을 관리하기 위한 정산정보관리모듈(19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분배정보관리모듈(191)에서의 사업 수익 분배 비율은 예를 들면, 사업 아이템의 필수항목(토지 등의 원자재) 제공자에게 5%, 사업 수행 완료의 결과물인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5%, 자금 투자자에게 30%, 사업 용역업체에게 10%, 필수열람의견 기여자에게 50%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업 수익의 분배 비율은 기본적으로 전문가 그룹에서 1차 결정한 후, 사업계획 확정 안건으로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서 2차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재화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투자자에게 사업 수익을 배분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통상의 수익을 배분하는 것과 별개로써 추가로 배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투자자가 본 시스템을 이용한 사업에 확신을 갖고 투자를 하는 경우 본 사업에서 산출되는 제품(상품)의 품질을 신뢰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가 아닌 소비자 지위에서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러한 투자자의 구매결정을 촉진하면서 실제구매결정이 이루어진 것에 대한 추가 수익을 부여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유사한 취지에서 사업에 '필수적인 항목을 제공한 자' 역시 필수항목(예; 부동산 개발에서 토지)을 본 사업을 위해 적정 가격에 매도하면서 반대급부(매매대금)을 취득하지만, 그와는 별도로 사업정산시에 투자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정비율의 수익을 배분함으로써 해당항목 제공에 대한 동기부여 및 제공에 대한 결정을 촉진하는 중요한 매개로 작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은, 투자 비용의 본질적 요소와 비본질적 요소를 구분하여 본질적 요소(필수항목)에 투자를 더욱 강화하고 비본질적 요소 중 절감 가능한 항목은 해당 투자 비용의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투자 비용의 비본질적 요소 중 불필요한 항목에 대하여 투자자 내지 소비자에게 비용을 환원(분배)할 수 있고, 비용의 본질적 요소 중 핵심항목을 제공한 자에게 사업수익의 일부를 분배할 수 있고, 투자자가 본 사업의 재화를 구매하는 경우 사업수익의 일부를 분배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은 사업의 기여도에 따라 사업수익을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특정 사업자에게 수익이 집중되지 않고 사업성공에 기여하는 제반 요소를 찾아내어 기여자에게 자동으로 수익을 귀속시키는 시스템이다. 또한, 사업계획단계부터 집단지성에 의거 철저하게 검증되고, 검증된 사업계획에 따라 최적의 용역업체를 선정하여 그 용역업체가 최고의 퍼포먼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업의 성공확률은 급증하고 실패가능성은 급감하는바, 투자금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투자자 내지 소비자에게 비용을 환원이라 함은 사업 수행 수익의 배분과는 구분되는 구성으로서, 수익배당은 사업 종료후에 사업 정산할 때 남는 수익에 대하여 배당하는 것인 반면, 상기 환원은 사업진행과정 도중에 비용을 집행함에 있어 환원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부동산개발사업의 금융조달비용을 자본 투자자에게 환원시키는 것은 자본투자자에게 이자상당액을 사업진행도중에 지급(환원)하는 것이며, 판매수수료를 구매예정 소비자에게 환원하는 것은 판매 등 매출 발생하는 시점에 판매가격에 반영하여 할인해주거나 보상해주는 구성이다. 즉, 사업정산 이전에 투자자는 사업 기간 도중에 이자상당액 수취를 기대할 수 있고, 소비자는 본 시스템에 의한 재화나 서비스 구매시 제대로 된 물건을 시가보다 저렴하게 구매하는 효과를 보게 되므로, 투자 및 소비를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의 실시예의 요소 중 투자금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대출(대여) 방식의 자금조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업 수행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업 수행 방법은, 제안자단말기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운영컴퓨터에 사업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0)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수신된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단계(S101)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경우 등록된 전문가를 조회하여 조회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사업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02)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가 상기 사업 아이템 정보에 관하여 사업 수행의 동의 여부 및 점수, 전문 지식, 그 근거 및 그에 관한 상세설명 등을 포함하는 전문가데이터를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S103)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수신된 전문가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지를 확인하는 단계(S104)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문가데이터에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동의 의견 관련 필수열람의견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부동의 의견 관련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S105)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필수 안건을 포함시킨 상기 사업 아이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포함하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S106)와;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S107)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입력된 참여자들의 상기 필수 안건이 포함된 사업 아이템 정보에 관한 동의 또는 부동의 의견데이터를 기초로 안건별로 안건의 승인 또는 부결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S108)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사업 수행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업 수행 방법은, 운영컴퓨터가 제안자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사업 아이템을 수신하는 단계(S200)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사업 아이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201)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등록된 전문가에게 제공하여 전문가들의 검증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S202)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수렴된 상기 전문가들의 검증 의견을 기초로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203)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전문가들의 검증 의견을 기초로 상기 사업 아이템에 관한 안건별 동의 및 부동의 의견의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S204)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안건별로 수익배분율을 설정하고 상기 안건들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205)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상기 필수열람의견에 관한 동의 또는 부동의 의견을 수렴하여 통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206)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안건별 상기 필수열람의견들의 열람 순위를 확인하는 단계(S207)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확인된 상기 안건별 상기 필수열람의견들의 열람 순위가 변동되는 것을 체크하여 상기 안건별 상기 필수열람의견들의 동일한 열람 순위에 위치한 기간(또는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안건별 상기 필수열람의견들의 열람 순위 및 기간(또는 시간)을 기초로 사업 수익의 배분율을 산정하는 단계(S208)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운영주체를 운영컴퓨터로 설명했으나, 상기 운영컴퓨터는 사업 전체 수행을 주관하는 전문 사업자의 컴퓨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사업수익의 합리적 배분으로 투자금 손실을 최소화>
투자 비용의 본질적 요소와 비본질적 요소의 구분하여 본질적 요소(필수항목)에 대한 투자를 더욱 강화하고 비본질적 요소 중 절감 가능한 항목은 해당 비용의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투자 비용의 비본질적 요소 중 불필요한 항목에 대하여 투자자 내지 소비자에게 비용을 환원(분배)하고, 투자 비용의 본질적 요소 중 핵심항목을 제공한 자에게 사업수익의 일부를 분배할 수 있다. 투자자가 본 사업의 재화를 구매하는 경우 사업수익의 일부를 분배할 수 있다. 사업의 기여도에 따라 사업수익을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특정 사업자에게 수익이 집중되지 않고 사업성공에 기여하는 제반 요소를 찾아내어 기여자에게 자동으로 수익을 귀속시킬 수 있다. 사업계획단계부터 집단지성에 의거 철저하게 검증되고, 검증된 사업계획에 따라 최적의 용역업체를 선정하여 그 용역업체가 최고의 퍼포먼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사업의 성공확률은 급증하고 실패가능성은 급감하는바, 투자금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의한 의사결정>
본 발명에서는 사업계획을 포함한 사업의 주요단계와 중요한 내용(주요 용역업체 선정 등)에 대하여 집단지성수렴시스템으로 가부를 결정하고, 집단지성수렴에서 배경지식인 필수열람의견의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필수열람의견 기여자에게 사업수익의 일정비율을 분배함을 특징으로 한다.
<불특정 다수의 일반 대중에게 개방된 시스템>
본 발명에서는 전문가 그룹을 운영하지만 누구나 일정한 요건 충족시 전문가 그룹으로 편입될 수 있고, 집단지성수렴시스템 역시 100% 일반인에게 개방된 시스템으로 자유로운 접근이 가능하여, 누구나 해당 사업관련 일정한 능력만 있으면 사업참여(사업제안, 용역업체 추천 및 직접참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건정제수단 (전문가 그룹에 의한 1차 심사)>
본 발명의 개방성으로 인하여 누구나 접근 가능하지만 아무나 혹은 아무런 안건(주제)을 심사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으므로, 집단지성 수렴시스템으로 심사할 만한 안건을 1차적으로 스크린할 수 있는 장치로써 전문가 그룹을 만들어 1차 심사를 진행한다. 1차 심사 대상을 정하고 심사대상에 해당하는 안건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심사하여 동의 여부 및 점수를 부여하고 일정한 기준 충족(1차 심사통과기준)시 2차 심사(집단지성수렴시스템)로 넘어가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문가 그룹의 전횡을 방지하기 위하여 2차 심사에 필수적으로 부의되는 사항을 규정하고 일정한 기준 충족시 1차 심사와 무관하게 자동으로 2차 심사에 부의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1차 심사의 원활한 운영을 담보하기 위하여 전문가 등록기준을 설정하고 전문가 활동시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하거나 사업수익의 일정부분을 배당하여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문가는 이름 앞에 (전)표시를 하여 구분하고 뒤에 제안실적과 신뢰도를 함께 표시함으로써 시스템이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필수열람의견 기여자에 대한 수익배분>
본 발명의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핵심사항인 필수열람의견에 기여한 자에게 사업수익의 일정비율을 기여도에 비례하여 사업정산시 배당하는 구성으로서, 해당 안건이 수익이 발생하는 사업이 아닐 경우에는 수익(금전) 대신 포인트 등을 지급하여 신용도에 반영함으로써 명예상승 효과를 부여함 (의견 검색시 신용도 순으로 검색하는 옵션을 설정하여 의견검색에서 다른 사람보다 먼저 노출될 수 있음)
또한, 본 발명의 필수열람의견이 되기 위하여는 일반 대중의 다수의 동의를 받거나 평균점수가 높아야 하므로 본 시스템에 참여하는 자는 객관성과 합리성이 담보된 최적의 의견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스로 노력하게 되는 구성이다. 필수열람의견 기여도 산정은 필수열람의견에 노출되었던 시간에 비례하여 계산하여 각 노출자에게 정산 지급할 수 있다. 사업의 중요사안을 집단지성화시킴에 있어 중요한 필수열람의견 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업수익을 배분하는 것으로 강력한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업 수행 대상의 선정부터 사업 수행 과정에서의 각각의 안건별로 전문가의 검증과 전문가의 검증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참여자들이 참여하여 사업 대상, 투자의 최적화 및 사업자, 투자자 및 소비자에게 이익이 환원되는 사업 수행에 관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당연하다.
100: 운영컴퓨터
200a: 회원정보저장부
200b: 콘텐츠정보저장부
300: 제안자단말기
400: 전문가단말기
500: 참여자단말기
600: 용역업체단말기
700: 지능형컴퓨터부
800: 외부기관컴퓨터부

Claims (39)

  1. 운영컴퓨터와, 상기 운영컴퓨터에 통신 접속되어 사업 수행에 관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단말기에서 출력 또는 실행되는 사용자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영컴퓨터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업 아이템을 수신하여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는지를 확인하는 심사대상선정수단과; 상기 심사대상선정수단에서 선정된 사업 아이템에 대해 등록된 전문가들의 전문가의견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업 아이템을 검증하기 위한 전문가검증수단과; 상기 전문가의견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사업 아이템의 안건별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을 제공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상기 사업 아이템 및 사업 수행의 안건별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집단지성수렴수단과; 상기 전문가들의 전횡 내지 권한남용을 방지하기 위한 전문가견제수단을 포함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견제수단은, 전문가들의 자격심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견제수단은, 운영컴퓨터에서 하나 이상의 필수부의사항을 지정하여 집단지성수렴수단으로 사업수행 안건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수부의사항은, 사업아이템의 최종선정에 관한 안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수부의사항은, 사업계획확정에 관한 안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수부의사항은, 주요 용역업체의 선정에 관한 안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수부의사항은, 사업수익 분배율의 확정에 관한 안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수부의사항은, 상기 전문가들에게 사업수행관련 업무를 위임하는 안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견제수단은, 운영컴퓨터가 자동부의조건을 설정하여 전문가검증수단 통과 여부와 상관없이 집단지성수렴수단으로 사업수행 안건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동부의조건은, 사업의 투자자 또는 사업수행결과의 구매자의 일정수 이상의 동의가 있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컴퓨터에서 상기 필수부의사항의 대상 내지 상기 자동부의조건을 집단지성수렴수단으로 검증하여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수부의사항은, 전문가자격 재심사, 용역업체 변경, 사업계획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컴퓨터는, 사업진행 단계에서 사업수행 비용의 비본질적 항목을 사업의 투자자 또는 사업수행결과의 구매자에게 환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사업 수익에 대하여 사업 수행 비용의 본질적 항목을 제공한 자에게 소정의 수익배분율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사업 수익에 대하여 사업 수행 결과의 재화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투자자에게 소정의 수익배분율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사업 수익에 대하여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의 필수열람의견 생성에 기여한 자에게 소정의 수익배분율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사업 수익에 대하여 상기 전문가검증수단에서 정한 수익 분배율을 참조하여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에서 수익배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의 모든 단계에서 일반인 전체의 자유의사에 기한 참여기회를 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 수행에 필요한 자금의 조달방식은 투자금 또는 대출(대여)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사업 수익에 대하여 상기 전문가검증수단에서의 전문가 검증에 참여한 전문가에게 소정의 이익 또는 수익배분율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 결과로 발생되는 사업 수익에 대하여 상기 사업 아이템 관련 의사 결정에 기여한 필수열람의견의 생성에 가담한 자에게 소정의 수익배분율을 부여하되, 안건별로 필수열람의견에 대한 기여도를 각 순위와 시간에 비례하여 계산된 수익배분율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사대상선정수단은, 제안된 사업 아이템에 대한 항목별 설정된 배점을 기초로 부여된 점수를 취득한 사업 아이템, 상기 시스템에 등록된 전문가가 제안한 사업 아이템, 상기 시스템에 등록된 전문가들의 과반수 동의가 있는 사업 아이템, 특정 기관에서 평가한 설정된 평가 기준에 부합되는 사업 아이템, 또는 이들의 복합적인 설정 기준에 부합되는 사업 아이템을 심사대상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검증수단은, 상기 심사대상선정수단에서 선정된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 시스템에 등록된 전문가의 설정된 비율의 동의와 설정된 점수의 취득에 해당할 경우에 전문가 검증 통과 사업 아이템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아이템.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검증수단은, 전문가 검증 통과 사업 아이템을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에 필수부의사항을 포함시켜 검증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전문가는 설정된 기준에 부합되는 자이고, 상기 설정된 기준은 이미 등록된 전문가들의 과반수의 동의, 사업 수행 투자자 또는 사업 수행 결과의 구매자들의 설정된 비율의 동의, 사업 아이템의 전문가 검증 참여 관련 설정된 실적의 취득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전문가는 사업 아이템에 관한 검증 실적을 기초로 산정된 신뢰도에 의해 설정된 수치에 따라서 전문가 자격이 유지 또는 박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는 전문가의 사업 아이템 관련 검증 참여 결과 동의 또는 부동의에 설정된 수치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은, 상기 전문가검증수단에서 검증된 사업 아이템 관련 필수 부의 사항을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안건의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에서 취급하는 필수열람의견은 복수이고 복수의 필수열람의견 각각에 대해 동의와 부동의의 콘텐츠를 기초로 의사 결정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은 안건별로 의사 결정을 위한 설정된 진행 시간 또는 진행 기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문가검증수단에서 심사 대상에 해당하는 사업 아이템의 안건에 대하여 1차 심사를 수행하여 동의 여부 및 점수를 부여하고, 1차 심사의 기준을 통과한 안건에 대하여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에서 2차 심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3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수렴수단은,
    상기 전문가의견데이터에서 필수부의사항과 자동부의사항을 포함하는 안건에 관한 동의 및 부동의에 관한 의견과, 부여된 점수를 기초로 해당 안건에 관한 동의 및 부동의 의견의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해당 안건에 관한 동의 및 부동의 의견의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에 관한 참여자들의 동의 및 부동의 의견 데이터를 수렴하여 통계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컴퓨터는 상기 사업 아이템의 전문가 검증 및 집단지성수렴에 의한 검증에 필요한 지능형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지능형데이터제공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업 수행 시스템.
  34. 적어도 하나의 제안자단말기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운영컴퓨터에 사업 아이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 정보가 설정된 기준에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심사 대상의 사업 아이템으로 선정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컴퓨터에 접속하여 심사 대상으로 선정된 사업 아이템 정보가 설정된 기준에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사업 수행 대상의 사업 아이템으로 1차 선정하여 1차 선정 결과를 전문가의견을 포함시켜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사업 아이템에 관한 전문가의견을 기초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사업 수행에 관한 필수 의사 결정 안건을 포함하는 의사 결정이 필요한 항목별 안건에 관한 필수열람의견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가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필수열람의견데이터에 관한 동의 또는 부동의 의견데이터를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컴퓨터가 상기 필수열람의견데이터에 관한 동의 또는 부동의 의견데이터를 수신하여 집단지성데이터로서 통계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필수 의사 결정 안건 및 항목별 안건의 가결 또는 부결 결과를 도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업 수행 방법.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데이터는 사업수행에 필요한 비용의 본질적 요소와 비본질적 요소를 구별하여 비본질적 요소 중 절감 가능한 항목으로 구분된 항목에 대하여 사업의 투자자 또는 사업 수행 결과의 구매자에게 환원시킬 비용으로 산출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방법.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데이터는 비용의 본질적 요소 중 핵심항목을 제공한 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업수익의 배분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방법.
  37.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데이터는 상기 전문가 의견을 제공한 전문가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업수익의 배분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방법.
  38.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데이터는 의사 결정에 관련된 상기 필수열람의견데이터에 기여한 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업수익의 배분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방법.
  39.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데이터는 사업 수행의 결과물을 구매하는 투자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업수익의 배분율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수행 방법.
KR1020180016634A 2018-02-12 2018-02-12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2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634A KR102126612B1 (ko) 2018-02-12 2018-02-12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9/001427 WO2019156445A1 (ko) 2018-02-12 2019-02-01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US16/969,254 US20210004908A1 (en) 2018-02-12 2019-02-01 Business execu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EP19751416.9A EP3754572A4 (en) 2018-02-12 2019-02-01 BUSINESS EXECUTION SYSTEM AND ITS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634A KR102126612B1 (ko) 2018-02-12 2018-02-12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49A true KR20190097349A (ko) 2019-08-21
KR102126612B1 KR102126612B1 (ko) 2020-06-24

Family

ID=6754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634A KR102126612B1 (ko) 2018-02-12 2018-02-12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04908A1 (ko)
EP (1) EP3754572A4 (ko)
KR (1) KR102126612B1 (ko)
WO (1) WO201915644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2314A (zh) * 2021-05-17 2021-07-13 北京猎豹移动科技有限公司 一种广告业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WO2022114641A1 (ko) * 2020-11-30 2022-06-02 윤성민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운영컴퓨터,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방법
KR20230044997A (ko) 2020-06-26 2023-04-04 안도현 블록체인 기반의 iro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9000A (zh) * 2020-08-26 2020-11-06 广州茗软信息技术有限公司 工程资料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05A (ko) 2001-06-27 2001-09-15 오한곤 네트워크를 이용한 부동산 개발 컨설팅방법 및 부동산개발방법
KR20100132289A (ko) * 2009-06-09 2010-12-1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업의 유망 사업화 아이템 발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2152A (ko) * 2010-11-15 2012-05-23 권혁도 지식 거래 통장을 이용한 질문자 답변자 상호 간 지식 거래 중개 방법
KR101170290B1 (ko) * 2012-02-14 2012-08-0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9417B1 (ko) 2011-11-17 2013-04-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집단지성을 활용한 하이브리드형 유망기술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389145B1 (ko) 2012-02-08 2014-04-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동산 개발 정보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41954A (ko) * 2015-06-02 2016-12-12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KR101804960B1 (ko) * 2017-06-08 2017-12-06 윤성민 집단지성 수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9204B2 (en) * 2000-05-08 2007-11-20 Karl Peng System for winning investment selection using collective input and weighted trading and investing
KR20010081131A (ko) * 2001-08-02 2001-08-29 성보현 인터넷을 이용한 다중채널 아이템 평가시스템 및 그시스템 운영방법
KR101267060B1 (ko) * 2011-03-08 2013-05-28 이상문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사업화 시스템 및 그 사업화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605A (ko) 2001-06-27 2001-09-15 오한곤 네트워크를 이용한 부동산 개발 컨설팅방법 및 부동산개발방법
KR20100132289A (ko) * 2009-06-09 2010-12-1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기업의 유망 사업화 아이템 발굴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2152A (ko) * 2010-11-15 2012-05-23 권혁도 지식 거래 통장을 이용한 질문자 답변자 상호 간 지식 거래 중개 방법
KR101259417B1 (ko) 2011-11-17 2013-04-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집단지성을 활용한 하이브리드형 유망기술 추출 시스템 및 방법
KR101389145B1 (ko) 2012-02-08 2014-04-2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부동산 개발 정보 중계 방법 및 시스템
KR101170290B1 (ko) * 2012-02-14 2012-08-0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1954A (ko) * 2015-06-02 2016-12-12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KR101804960B1 (ko) * 2017-06-08 2017-12-06 윤성민 집단지성 수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997A (ko) 2020-06-26 2023-04-04 안도현 블록체인 기반의 iro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2114641A1 (ko) * 2020-11-30 2022-06-02 윤성민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운영컴퓨터,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광고수익을 매개로 한 투자유치 방법
CN113112314A (zh) * 2021-05-17 2021-07-13 北京猎豹移动科技有限公司 一种广告业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04908A1 (en) 2021-01-07
KR102126612B1 (ko) 2020-06-24
WO2019156445A1 (ko) 2019-08-15
EP3754572A4 (en) 2021-11-17
EP3754572A1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etto et al. Supply chain finance: From traditional to supply chain credit rating
Cunha Marques et al. Public‐private partnership contracts: a tale of two cities with different contractual arrangements
Glode et al. Over-the-counter versus limit-order markets: The role of traders’ expertise
Mitra et al.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shareholder value: Evidence from consortium based industry exchanges
Stamatiou et al. A process reference model for claims management in construction supply chains: The contractors’ perspective
Sun et al. Transformation of the transaction cost and the agency cost in an organiz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blockchain—a case study of peer-to-peer insurance
Baek et al. A technology valuation model to support technology transfer negotiations
EP3754572A1 (en) Business execu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Wang et al. Fuzzy-QFD approach based decision support model for licensor selection
KR20170141166A (ko)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Werth et al. What determines FinTech success?—A taxonomy-based analysis of FinTech success factors
Heaton et al. The construction materials conundrum: practical solutions to address integrated supply chain complexities
US20150100386A1 (en) Digital framework for business model innovation
Mattarocci et al. The New Era of Real Estate: An Analysis of Business Models in the Proptech Industry
Mazher et al. Modelling capability-based risk allocation in PPPs using fuzzy integral approach
Zhang et al. The impact of information integration on purchase order finance and new product launch: a case study
KR20200113699A (ko) Ui개발 툴을 이용한 지능형 입찰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7074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특허 사업화 전개 시스템 및 그 방법
Mundaca et al. Transaction costs of low-carbon technologies and policies: the diverging literature
Tang et al. An entropy‐based financial decision support system (e‐FDSS) for project analysis in construction SMEs
Bailey Subcontractor selec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development of a research approach to investigate selection criteria, methods, value creation initiative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Gumboh Effect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on the strength of business-to-business relationship among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enya
Negash et al. Sustainable supply chain finance enablers under disruption: the causal effect of collaboration value innovation on sustainability performance
KR102241028B1 (ko) 발전사업자 성향 기반의 사업참여자 연계 플랫폼 시스템 및 그의 중개 방법
US20230128246A1 (en) Collaborative electronic platform for predicting non-payments for companies and associate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76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306

Effective date: 2020042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