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954A -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954A
KR20160141954A KR1020150077663A KR20150077663A KR20160141954A KR 20160141954 A KR20160141954 A KR 20160141954A KR 1020150077663 A KR1020150077663 A KR 1020150077663A KR 20150077663 A KR20150077663 A KR 20150077663A KR 20160141954 A KR20160141954 A KR 20160141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terminal
information
investors
enterpr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008B1 (ko
Inventor
고용기
Original Assignee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라우드 펀딩시스템을 통하여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 그룹에게는 수익을 분배하여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크라우드 펀딩시스템 운용자와 우량 투자자들 간에는 실투자 금액이 높은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고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 및 공유함으로써 수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CROWD FUN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라우드 펀딩시스템을 통하여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 그룹에게는 수익을 분배하여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실투자 금액이 높은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고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 및 공유하는 크라우드 펀딩시스템 운용자와 우량 투자자들 간에는 수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셜미디어나 인터넷 등의 매체를 활용해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투자방식인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 영화와 같은 창작 프로젝트나 사회공익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한 수단으로도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크라우드 펀딩을 위해서는 조달된 자금을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성공가능성이나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의 발전가능성을 다수의 투자자들이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함에도, 그러한 투자가이드 정보를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알릴 수 있는 투명하고 정확한 수단이 없어 크라우드 펀딩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012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증권 거래와 관련된 현업 종사자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과 일반투자자의 실시간 정보 공유와 양자의 실시간 투자 상담으로 일반 투자자의 증권 정보에 대한 선별 능력 및 분석능력을 높일 수 있게 한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투자 결정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 시스템은 한정된 수의 상장사에 대한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하기에 적합할 뿐 증권사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이루어져야 하는 비상장사의 주식 취득을 위한 투자가이드 정보 제공에는 직접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비상장사의 주식을 취득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사업계획서에 개시되어 있는 정적인 예정상황을 넘어 실제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동적인 회사의 성장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으며, 창업한지 오래되지 않은 창업기업들의 경우에도 원하는 자금을 안정적으로 모집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여전히 요청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크라우드 펀딩을 지원하는 기업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은 대부분이 전문지식이 부족한 비전문가가 대다수인 관계로 전문가 집단의 투자가이드 정보를 근거로 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서 전문가 그룹은 투자자들에 투자 가이드정보를 제공하더라도 이에 따른 수익이 분배되지 않기에 자신이 관심을 갖거나 투자중인 기업외 에는 참여도가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크라우드 펀딩 방식은 개인 투자자들의 펀딩 참여율을 높이고 해당 기업의 자금 조달에는 기여할 수 있었지만, 대형 증권사들의 투자 시스템과 같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높은 수익성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투자 금액이 높은 우량 고객들의 투자율과 수익률을 높이고, 그에 따른 수수료율 또한 높일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크라우드 펀딩 방식들은 우량 고객 관리가 미흡하기 때문에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01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에서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투자자에게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 그룹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투자 금액이 높은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고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 및 공유함으로써,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운용자와 우량 투자자들 간의 수익성을 더욱 높일 수 있어 우량 고객 관리가 가능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목표 투자 유치금액을 포함하는 투자 유치 신청 신호를 송신하는 희망하는 기업단말기; 상기 기업단말기의 투자 유치 신청 신호를 접수하여 온라인을 통하여 상기 기업단말기의 기업정보 및 투자 유치 신청을 게시하는 중개서버;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상기 기업단말기의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투자자가 투자시에 참조할 수 있는 투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게시된 기업정보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 가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해당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 투자 유치된 금액으로 인하여 발생된 수익을 설정된 수익 분배 기준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 분배하고,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에 따라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여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를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익분배기준은 전문가 그룹과 펀딩시스템 운용자 및 우량투자자에 따라 그 기준을 달리하는 것으로, 상기 전문가 그룹은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한 이력,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금액, 투자자의 평가 또는 수수료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펀딩시스템 운용자 및 우량 투자자는 각 투자자나 전문가 단말기의 참여도 또는 해당 기업의 펀딩 금액에 따라 설정되거나 기타 사업자의 설계나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으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투자 단말기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기업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투자 단말기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기업 단말기의 가입 및 접속시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부; 상기 수익분배기준에 따라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투자 단말기의 수익을 연산하는 정산부; 상기 투자단말기의 투자를 접수하여 각 투자 단말기별 투자 현황 정보와, 기업별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펀딩부; 상기 투자 단말기를 통한 투자자들의 투자 이력과 투자 현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의 데이터들을 검색하거나 온라인을 통하여 게시된 정보를 검색하는 데이터검색부;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가이드 정보와 상기 기업단말기의 기업정보 및 상기 펀딩부의 투자현황 및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부; 및 상기 펀딩부에서 생성되는 투자 현황정보 및 투자 유치 정보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투자 가이드 정보를 게시하도록 상기 정보등록부를 제어하고,상기 정산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투자 단말기의 수익을 연산 및 분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 서브 홈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기업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시간대별로 기록하는 타임라인 방식으로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기업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투자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의 수익 및 예치금을 저장하는 사이버계좌를 계설하는 계좌운영모듈; 상기 수익분배기준에 따라서 상기 투자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의 수익을 연산하는 수익연산모듈; 및 상기 수익연산모듈에서 연산된 금액을 일반 투자자들과 우량 투자자들 및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수익을 각각의 사이버계좌에 분배하여 수익분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투자단말기의 투자시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산출하는 수수료 연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여 상기 실제 투자 금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보다 많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상기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높은 투자자들을 상기 우량 투자자들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서 송신된 정보를 게시하는 서브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기업등록모듈; 상기 기업단말기의 업종, 사업형태, 기술분야를 분류하여 상기 기업등록모듈에 인가하는 기업분류모듈; 및 상기 기업단말기로부터 신규 정보 또는 갱신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기업정보관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를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상기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를 잠재 투자자로서 추출하여, 해당 관심 기업의 신규 정보나 갱신정보,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생성 및 송신하는 관심추출모듈을 더 포함한다.
전문가 그룹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은, 전문가 단말기, 투자단말기 및 기업단말기가 중개서버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가입신청 및 회원등록되는 등록단계; 상기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기업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업정보 및 투자 유치 신청정보를 게시하는 기업정보 제공단계; 상기 기업정보 제공단계 이후에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홈페이지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투자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 가이드 정보 제공 이력을 저장하는 전문가의 투자가이드 단계; 상기 전문가의 투자가이드 단계에서 상기 투자 단말기로부터 투자 접수 후 펀딩을 운영하는 투자접수 및 펀딩운영단계; 및 상기 펀딩운영단계에서 발생된 수익을 설정된 수익 분배기준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 분배하는 수익분배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익 분배 기준은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한 이력,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금액, 투자자의 평가 또는 수수료에 따라 전문가 그룹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게 기업정보를 게시할 수 있는 서브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에 사이버계좌를 개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업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에서 상기 기업단말기를 관심기업으로 등록하면, 상기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를 잠재 투자자로 추출하여 상기 기업단말기의 신규정보 및 갱신된 정보의 유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자접수 및 펀딩단계는, 상기 투자단말기의 투자가 접수되면,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에 투자유치 현황 정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자접수 및 펀딩단계는, 기업별 투자 유치 현황정보와, 가입된 전체 기업의 투자 유치금 총액과,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동일 분야의 기업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자가이드 단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기업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업정보 요청수신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 기업정보를 송신하는 기업정보 송신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해당 기업의 서브홈페이지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투자가이드정보 수신 및 제공단계; 및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가이드 정보의 제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 저장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자가이드 단계에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투자 가이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투자 가이드 정보가 송신되면, 해당 기업을 관심 기업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에 투 자 가이드 정보가 제공됨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라우드 펀딩시스템 운용자와 우량 투자자들 간에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은,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업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업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공개하고 투자를 접수함과 아울러,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에 따라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여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를 배분하는 단계;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중개서버에서 게시된 기업정보를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투자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개서버에서 게시된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투자 단말기에 투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익 분배 기준은 각 투자자나 전문가 단말기의 참여도 또는 해당 기업의 펀딩 금액에 따라 설정되거나 기타 사업자의 설계나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으로서 설정되어 상기 펀딩시스템 운용자 및 우량 투자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량 투자자들과 수수료를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교 및 계산된 결과에 따라 별도로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 및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량 투자자들과 수수료를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 단말기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기업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투자 단말기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기업 단말기의 가입 및 접속시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투자 단말기의 투자를 접수하여 펀딩을 운영하는 단계; 상기 투자 단말기를 통한 투자자들의 투자 이력과 투자 현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의 데이터들을 검색하거나 온라인을 통하여 게시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각 투자자들의 수수료 및 수익을 정산 및 분배하면서도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교 및 계산된 결과에 따라 별도로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 및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한 비교 결과 또는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의 비율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투자 단말기의 투자금액에 대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연산함과 아울러 상기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연산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수익분배기준에 따라 일반 투자자들과 상기 우량 투자자들의 수익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투자자들과 상기 우량 투자자들 및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수익을 각각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량 고객 선별 단계는,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여 상기 실제 투자 금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보다 많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상기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높은 투자자들을 상기 우량 투자자들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수료 연산 단계는, 상기 우량 투자자들의 수수료율은 일반 투자자들의 수수료율 보다 더 높거나 낮게 책정하고, 상기 우량 투자자들은 상기 미리 책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연산 및 정산함과 아울러 상기 우량 투자자들로부터의 수수료는 별도 수익으로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자자에게 조언을 줄 수 있는 투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어 전문가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어 투자자에게는 보다 안전한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고, 유망 기업측에서는 목표 금액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투자 금액이 높은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고 관리함으로써, 우량 투자자들의 충성도와 참여율을 높이고 투자율 및 수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 및 공유함으로써,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운용자와 우량 투자자들 간의 수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시스템 및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시스템에서 중개서버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방법에서 투자가이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방법에서 기업정보의 검색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방법에서 서브 홈페이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방법에서 투자유치 현황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시스템 및 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창업기업, 예비 창업자 또는 자금이 필요한 기업의 기업정보를 온라인을 통하여 공개하여 투자자들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각각의 기업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기업정보를 온라인을 통하여 공개 및 투자를 접수함과 아울러,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에 따라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여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 및 공유하는 중개 서버(100)와, 상기 중개서버(100)에서 게시된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투자하는 투자 단말기(300)와, 상기 중개서버(100)에서 게시된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투자 단말기(300)에 투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문가 단말기(200)는 주식, 금융, 부동산, 경영, 지적재산권, 기술, 법률 및 교육 분야에서 전문지식을 갖는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상기 중개서버(100)에서 게시된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창업기업이나 예비 창업자의 사업계획을 포함하는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투자자들에게 투자시 고려해야될 사항을 포함하는 투자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투자가이드는, 예를 들면,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시 수익성, 위험성, 고려사항, 사업계획, 지적재산권, 시장동향, 관련 시장의 니즈(Need) 분석, 유사제품정보, 관련제품정보, 침해여부 및 창업아이템에 관련된 의견을 포함한다.
상기 투자 단말기(300)는 투자 자금을 갖고 선택적으로 투자하는 개인이나 기업 관련 투자자들의 단말기기로써, 상기 중개서버(100)를 통하여 게시된 기업정보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서 제공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확인하여 중개서버(100)를 통하여 해당 기업에 투자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단말기(300)는 상기 중개서버(100)에 일정 비용을 예치하여 희망한 기업에게 투자할 수 있다.
상기 중개서버(100)는 상기 기업단말기(400)의 투자 유치 희망을 접수하고, 해당 기업의 사업계획서, 아이템, 인력현황, 보유기술 등을 포함하는 기업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투자 단말기(300)로부터 투자를 유치한다. 이때, 상기 중개서버(100)는 각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 및 기준 수익 금액 등과 비교 대비하여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고, 선별된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 및 공유한다. 따라서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시마다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개서버(100)는 각각의 투자 단말기(300)를 이용해 투자하는 투자자들의 투자시마다 설정된 기본 수수료율에 따라 기본 수수료를 받고 펀딩 및 투자 절차를 진행한다. 이 후, 투자 결과에 따라 수익률을 계산 및 분배하게 되는데, 이때 중개서버(100)는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비교 및 계산된 결과에 따라 별도로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며, 선별된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 및 공유한다.
또한, 상기 중개서버(10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참여도(예를 들면, 투자가이드 정보 제공 이력)를 확인하여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에 따라 수익(예를 들면, 수수료) 중 일부를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 분배하기도 한다. 이는, 전문가 단말기(200)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써,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 정보 제공 이력,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금액, 투자자의 평가 또는 수수료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개서버(10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수익을 설정된 수익분배기준에 따라 분배한다. 예를 들면, 상기 수익분배기준은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한 이력,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금액, 투자자의 평가 또는 수수료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익분배기준은 사업자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중개서버(100)의 상세구성은 하기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시스템에서 중개서버(1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중개서버(100)는 투자 단말기(300)와 전문가 단말기(200) 및 기업단말기(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투자 단말기(300)와 전문가 단말기(200) 및 기업단말기(400)의 가입 및 접속시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부(160)와, 상기 기업단말기(400)와 전문가 단말기(200)에서 송신된 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부(170)와, 상기 기업단말기(400)의 기업정보를 등록하는 기업관리부(180)와,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를 접수하여 펀딩을 운영하는 펀딩부(130)와, 데이터 베이스부(190)의 데이터들을 검색하거나 온라인을 통하여 게시된 정보를 검색하는 데이터검색부(140)와, 각 투자자들의 수수료 및 수익을 정산 및 분배하는 정산부(120)와,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정보 제공 이력 및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 현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19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기업단말기(400)와, 투자 단말기(300)와 전문가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단말기(300)와 전문가 단말기(2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DA, 스마트폰, PDP와 같은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 및 기업단말기(400)에서 중개서버(100)에서 송신되는 메세지의 수신 계정을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으로 등록하였다면, 이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된 메세지를 송신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통신부(110)는 모바일 통신 및/또는 인터넷통신이 가능한 구성이 적용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을 적용함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정산부(120)는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금액에 대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연산하는 수수료연산모듈(121)과,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설정된 수익분배기준에 따라 수익을 연산하는 수익연산모듈(122)과,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 수익을 분배하는 수익분배모듈(123)과, 투자 단말기(300) 및 전문가 단말기(200)의 예치금을 이체하거나 누적시키는 계좌운영모듈(124)과, 상기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는 우량 고객 선별 모듈(125)을 포함한다.
상기 수수료연산모듈(121)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기업별 투자금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연산하고, 예치금에서 수수료를 정산한다. 또한, 우량 투자자들의 수수료율은 일반 투자자들의 수수료율 보다 더 높거나 낮게 책정하고, 우량 투자자들은 상기 미리 책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연산 및 정산함과 아울러 우량 투자자들로부터의 수수료는 별도 수익으로 책정한다.
상기 투자 단말기(300)는, 예를 들면, 투자 예치금을 상기 크라우드 펀딩시스템에서 지정한 계좌로 금액을 이체하면, 상기 운영계좌모듈에서 운영되는 사이버계좌에 실제 금액과 동일한 가상의 화폐가 예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수료연산모듈(121)은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시마다 설정된 수수료를 상기 사이버계좌의 예치금에서 정산한다.
상기 수익연산모듈(122)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수익분배조건에 따라 수익을 연산한다. 여기서 상기 수익분배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된 각 투자자나 전문가 단말기(200)의 참여도 또는 해당 기업의 펀딩금액에 따라 설정되거나 기타 사업자의 설계나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수익분배모듈(123)은 상기 수익연산모듈(122)에 의하여 산출된 각 전문가 단말기(200)의 수익을 상기 사이버계좌에 누적시키고 데이타베이스(190)에 저장한다.
상기 계좌운영모듈(124)은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의 사이버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수익분배모듈(123)에 의하여 누적된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의 가상화폐의 전체 총액을 정산한다. 여기서 상기 계좌운영모듈(124)은 중개서버(100)에서 지정된 실제 금융계좌로부터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 및 투자 단말기(300)에서 설정된 금융계좌로 이체시키고, 상기 사이버계좌의 가상화폐를 정산한다.
상기 우량 고객 선별 모듈(125)은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여 실제 투자 금액이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보다 많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전체 투자 금액 대비 5%)보다 높은 투자자들을 상기 우량 투자자들로 선별한다.
상기 펀딩부(130)는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된 투자금으로 펀딩을 운영한다. 예를 들면, 상기 펀딩부(130)는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금으로 선택기업의 주식을 매입하거나 투자 단말기(300)의 매도주문에 따라 주식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펀딩을 운영한다.
여기서 상기 펀딩부(130)는 창업기업이나 예비 창업자에 대한 펀딩을 위하여 해당 기업의 투자금을 접수하는 투자접수모듈(132)과, 접수된 투자 단말기(300) 및 기업의 투자현황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통계모듈(133)과, 특정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하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를 확인하여 잠재 투자자로 산출하는 관심추출모듈(131)을 포함한다.
상기 투자접수모듈(132)은 상기 투자 단말기(300)에서 선택된 기업과 투자금을 포함하는 투자접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계모듈(133) 및 제어부(150)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투자접수모듈(132)은 상기 투자접수신호에 포함된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현황정보를 누적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190)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현황정보는 상기 투자 단말기(300)에서 투자한 금액과 기업의 리스트와 총액을 누적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투자접수모듈(132)은 해당 기업별 투자금 유치 현황정보를 누적하여 데이타베이스(190)에 저장한다. 상기 기업별 투자금 유치 현황정보는 기업별로 투자 단말기(300) 및 투자금액을 리스트화하고, 누적된 투자금의 총액을 포함한다.
상기 통계모듈(133)은 상기 중개서버(100)에 가입된 전체 기업단말기(400)의 투자 유치 현황을 메인 홈페이지에 실시간을 누적하여 출력하도록 통계치를 산출한다. 즉, 상기 통계모듈(133)은 전체 기업별 투자 유치금 총액과, 기술분야별 투자 유치금 총액과, 각 기업별 투자 유치금 총액을 실시간으로 누적 및 모니터링하여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통하여 메인 홈페이지에 출력한다(도 8 참조).
상기 관심추출모듈(131)은 메인 홈페이지에서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기업단말기(400)를 관심기업으로 등록하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를 잠재 투자자로 추출한다. 상기 잠재 투자자는 현재 해당 기업에 투자를 하지 않았지만, 관심기업으로 설정한 만큼 향후 투자 및 투자 가이드 정보의 제공 가능성이 높은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를 칭한다. 따라서 상기 관심추출모듈(131)은 향후 정보등록부(170)를 통하여 해당 기업의 신규 정보가 게시되면 잠재 투자자로 추출된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에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메일로서 신규 정보가 게시되는 메세지를 송신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데이터검색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19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한다. 아울러 상기 데이터검색부(140)는 상기 데이타베이스(190) 뿐만 아니라 포털사이트 및 기타 온라인에 게시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엔진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인증부(160)는 상기 투자 단말기(300) 및 전문가 단말기(200)의 회원가입, 기업단말기(400)의 회원가입과정을 진행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인증부(160)는 상기 투자 단말기(300)와 전문가 단말기(200) 및 회원단말기의 가입과정에서 인증기관(예를 들면, 모바일 통신사 또는 공인인증기관)을 통하여 사용자인증을 수행하고, 입력 설정된 아이디와 패스워드 그리고 사용자정보(예를 들면, 투자 단말기(300)의 신상정보 및 금융계좌, 전문가 단말기(200)의 신상정보 및 금융계좌, 기업단말기(400)의 금융계좌 및 기업명칭, 주소)를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인증부(160)는 상기 투자 단말기(300)와 전문가 단말기(200) 및 기업단말기(400)의 접속할 때 마다 등록된 사용자정보와 비교하여 접속을 허여한다.
상기 정보등록부(170)는 상기 투자 단말기(300)와 전문가 단말기(200)에서 송신된 정보를 메인홈페이지에 등록한다. 아울러 상기 정보등록부(170)는 상기 메인홈페이지에서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하는 전문가 단말기(200) 및 투자 단말기(300) 정보를 상기 관심추출모듈(131)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정보등록부(170)는 상기 메인 홈페이지 또는 서브 홈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면, 투자 가이드 정보 제공 이력을 생성하여 상기 수익DB(196)에 저장한다.
상기 기업관리부(180)는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기업단말기(400)에 메인 홈페이지 내에 자사의 정보를 게시할 수 있는 서브 홈페이지와 데이타베이스(190)의 저장용량을 생성 및 할당하는 기업등록모듈(181)과, 기업단말기(400)의 업종이나 창업 형태 및 기술별로 분류 및 등록하는 기업분류모듈(182)과, 상기 기업단말기(4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상기 데이타베이스(190)에 저장하고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기업정보관리모듈(183)을 포함한다.
상기 기업분류모듈(182)은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기업분류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기업의 업종 및 기술분야와 기업의 규모, 형태(예를 들면, 신규 창업기업, 예비창업자, 또는 벤처기업)를 분류하여 상기 기업등록모듈(181)로 기업분류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기업등록모듈(181)은 상기 데이타베이스(190)의 해당 기업단말기(4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기업DB(193)의 용량을 할당하고, 상기 메인 홈페이지에 링크되어 기업단말기(400)에서 임의대로 정보를 게시할 수 있는 서브 홈페이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기업등록모듈(181)은 상기 기업분류모듈(182)로부터 수신된 기업분류신호에 따라 해당 기업의 업종이나 창업형태를 분류하여 등록한다.
상기 기업정보관리모듈(183)은 상기 기업단말기(400)에 할당된 서브 홈페이지에서의 정보게시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통하여 등록을 요청하고,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되는 정보의 작성 및 표현을 위한 문서작성, 이미지 생성 및 변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업정보관리모듈(183)은 상기 기업단말기(4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시간대별로 기록하는 타임라인(TIME LINE)의 방식으로 서브 홈페이지에 기록하고,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통하여 메인 홈페이지와 연동될 수 있도록 등록을 요청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업정보관리모듈(183)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서 송신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상기 정보등록부(170)에 등록요청하여 투자 가이드 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와 연동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브 홈페이지는 도 7에 그 일예가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 홈페이지는 상기 기업단말기(400)의 정보와 투자 유치된 금액 및 유치조건과 같은 해당 기업과 관련된 모든 정보가 타임라인의 방식으로 게시된다. 이와 같은 서브 홈페이지의 정보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펀딩부(130)로부터 수신된 투자 유치 금액정보와, 상기 기업단말기(400)에서 송신된 정보를 상기 기업정보관리모듈(183)에서 설정된 포맷에 맞도록 변환되어 상기 정보등록부(170)에 의해 메인 홈페이지에 게시된다.
바람직하게로 상기 기업정보관리모듈(183)은 상기 기업단말기(400)에서 투자유치 현황정보나 기타 메세지를 상기 중개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계정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한 계정으로 등록되면, 이에 적합한 포맷으로 메세지를 작성하여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송신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190)는 전문가 단말기(200)의 신상정보(이름, 연락처, 전문분야, 직장)와 사이버계좌와 수익현황을 저장하는 전문가DB(191)와,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신상정보와 투자금액, 예치금, 수익현황 및 금융계좌를 저장하는 투자자DB(192)와, 기업단말기(400)의 서브 홈페이지 계정과 기업정보가 저장되는 기업DB(193)와, 수익 정산부(120)의 우량 고객 선별 모듈(125)에서 선별된 우량 고객들의 신상정보(이름, 연락처, 전문분야, 직장)와 사이버계좌와 수익현황을 저장하는 우량 고객 관리 DB(194)와, 기업 및 투자자별 투자 정보와 펀딩 정보가 저장되는 펀딩DB(195)와, 중개서버(100)의 수수료 및 전문가 단말기(200)의 수익정보가 저장되는 수익DB(196)를 포함한다.
상기 전문가DB(191)는 가입된 전문가의 이름, 연락처와 같은 신상정보와 직장이나 전공 및 전문분야, 금융계좌 및 사이버계좌, 수익현황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투자자DB(192)는 투자자의 이름, 연락처와 같은 신상정보와 아이디 및 패스워드, 예치금을 포함하는 사이버계좌정보, 수익현황 및 금융계좌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자와 전문가는 동일인이거나 서로 다른 사람일 수 있다.
상기 기업DB(193)는 기업단말기(400)의 서브 홈페이지 계정과, SNS(Social Network Service) 계정 정보, 기업정보(예를 들면, 업종, 보유기술 및 지적재산권 현황, 기업인증, 인력현황, 매출액, 아이템, 자산 및 사업계획서)가 저장된다.
상기 우량 고객 관리 DB(194)는 수익 정산부(120)의 우량 고객 선별 모듈(125)에서 선별된 우량 고객들의 신상정보(이름, 연락처, 전문분야, 직장)와 사이버계좌와 수익현황을 저장함과 아울러, 선별된 우량 고객들에게 적용된 수수료율과 정산된 수수료 총액을 저장한다.
상기 펀딩DB(195)는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정보와 기업단말기(400)의 투자유치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정보는 기업별로 투자 금액과, 전체 투자금액을 포함하고, 기업단말기(400)의 투자유치정보는 목표금액과 누적된 투자유치금 총액과 투자자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수익DB(196)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 정보의 제공 이력, 수익 분배기준과, 전문가 및 투자자별 수익과,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시에 징수되는 수수료가 저장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 투자 단말기(300) 및 기업단말기(400)로부터 회원가입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인증부(160)를 제어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기업관리부(180)를 제어하여 회원가입된 기업단말기(400)별로 메인 홈페이지에 연동되는 별도의 서브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기업DB(193)에 설정된 용량을 할당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기업관리부(180)의 기업정보관리모듈(183)로부터 신규 정보 또는 갱신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제어하여 관련 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연동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관심추출모듈(131)에 의해 추출된 전문가 단말기(200) 및 투자 단말기(300), 또는 전체 투자 단말기(300)와 전문가 단말기(200)에 정보의 신규 게시 또는 갱신 여부를 설정된 계정으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정보등록부(170)로부터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 정보의 제공 여부를 확인하여 전문가 단말기(200)의 수익을 연산하고, 전문가 단말기(200)에 배당된 수익을 분배하도록 상기 정산부(120)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정산부(120)를 제어하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금 대비하여 수익을 분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펀딩부(130)로부터 투자접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정산부(120)의 수수료연산모듈(121)을 구동시켜 수수료를 연산한 뒤에 상기 통계모듈(133)을 구동시켜 해당 투자자의 투자현황정보 및 기업단말기(400)의 투자 유치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타베이스(19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제어하여 실시간으로 메인홈페이지에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 투자 단말기(300) 및 기업단말기(400)로부터 데이타검색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타검색부(140)를 제어하여 요청된 정보를 검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방법은 기업단말기(400)의 투자유치 요청을 수신한 뒤에 메인 홈페이지 및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해당 기업정보를 공개하고, 전문가 단말기(200)의 활동에 따른 수익을 연산 및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방법은 회원 및 기업단말기(400)의 등록단계(S110)와, 상기 등록단계(S110)에서 등록된 기업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기업정보를 게시하는 기업정보 제공단계(S120)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의 투자가이드 정보 제공 단계(S130)와, 상기 투자 단말기(300)로부터 투자 접수 후 펀딩을 운영하는 투자접수 및 펀딩운영단계(S140)와, 상기 펀딩운영단계(S140)에서 발생된 수익을 정산하여 분배하는 수익분배단계(S160)를 포함하며,
우량 투자자들의 수익을 계산할 경우에는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에 따라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여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하는 수익 계산, 확정 및 관리 단계(S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등록단계(S110)는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회원 가입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인증부(160)를 제어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 후에 회원 등록하는 단계이다.
회원 가입 요청자는 상기 중개서버(100)에서 운영하는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회원 가입요청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회원가입에 필요한 신상정보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요청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회원가입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인증부(160)를 통하여 사용자인증과정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사용자인증부(160)는 투자 및 수익분배를 위하여 회원 가입 요청자의 금융계좌 및 공인인증서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계좌운영모듈(124)을 제어하여 신규 가입된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의 사이버계좌를 개설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계좌운영모듈(124)은 신규 가입된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의 사이버계좌를 개설하고 상기 데이타베이스(190)에 저장한다.
상기 기업단말기(400)는 상기 중개서버(100)에서 운영하는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기업회원으로 가입요청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기업회원의 가입신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인증부(160)를 구동시켜 기업단말기(400)의 인증과정을 수행한 뒤에 가입을 승인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기업단말기(400)의 회원가입과정에서 수신된 기업정보를 상기 기업관리부(180)로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기업등록모듈(181)은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기업단말기(400)의 가입이 승인되면, 상기 기업단말기(400)에서 온라인을 통하여 투자금 유치를 위한 정보를 게시 및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기업DB(193)내에서 설정된 용량과 메인 홈페이지에 연동되어 상기 기업DB(193)에 저장되는 기업정보를 게시할 수 있는 서브 홈페이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기업등록모듈(181)에 의하여 기업DB(193)에 등록된 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연동시켜 온라인을 통하여 공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제어하여 메인 홈페이지 내에서 신규 등록된 기업명과 그 정보를 투자 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2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기업분류모듈(182)의 분류에 따라서 예비창업자와 스타트업 기업(창업기업) 및 벤처기업과, 기타로서 분류된 항목에 그 해당 기업을 누적시킨다(도 6 참조).
상기 기업정보제공단계(S120)는 상기 제어부(150)가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기업의 등록 여부 및 기업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투자 단말기(300) 및 전문가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기업정보관리모듈(183)로부터 신규 가입된 기업단말기(400)의 기업정보나 이전 가입된 기업단말기(400)에서 신규 또는 갱신된 정보가 수신된 정보등록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제어하여 신규 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등록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로 상기 투자 단말기(300) 및 전문가 단말기(200)는 상기 메인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자 유치를 희망하는 기업의 정보가 게시되면, 관심기업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는 투자 단말기(300) 및 전문가 단말기(200)의 관심기업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제어하여 등록한다. 아울러 상기 관심추출모듈(131)은 상기 정보등록부(170)의 관심기업 등록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신호에 포함된 전문가 단말기(200) 및 투자 단말기(300)를 잠재 투자자로 추출한다.
따라서 상기 관심추출모듈(131)은 잠재 투자자로 추출된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 및 투자 단말기(300)에 관심기업으로 등록요청한 해당 기업의 신규 정보나 갱신된 정보가 수신되면, 문자 및/또는 메일로서 송신하여 투자 및 투자 가이드 정보가 제공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투자가이드 단계(S13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투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단계이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방법에서 투자가이드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투자가이드 단계(S130)는 전문가 단말기(200)의 기업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업정보 요청수신단계(S131)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 기업정보를 송신하는 기업정보 송신단계(S132)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로부터 투자가이드 정보를 수신하여 투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투자가이드정보 수신 및 제공단계(S133)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 정보의 제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 저장 단계(S134)를 포함한다.
상기 기업정보 요청 수신단계(S131)는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전문가 단말기(200)로부터 기업정보ED 의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는, 예를 들면, 중개서버(100)에서 운영하는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의 전문분야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하여 관련 기업에 관한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신이 직접 메인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기업정보를 검색할 수 있지만, 상술한 관심추출모듈(131)에 의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한 문자로 기업정보를 수신받거나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기업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기업정보 송신단계(S132)는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 기업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서 입력된 키워드가 포함된 기업정보를 검색하도록 상기 데이타검색부(140)를 제어한다. 상기 데이타검색부(14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정보를 갖는 기업정보를 기업DB(193)에서 검색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데이터검색부(140)에 의해 검색된 기업정보를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에 송신되는 정보는 그 일예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투자가이드정보 수신 및 제공단계(S133)는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해당 기업의 서브홈페이지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투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는 상기 기업정보 송신단계에서 수신된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기업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투자 가이드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투자가이드 정보는, 예를 들면, 해당 기업의 창업 아이템에 대한 유사상품 및 시장의 동향, 특허 침해가능성, 유사 기술의 존재 여부, 유사상품과의 차별성/독창성, 사업계획서상의 오류나 수정사항과 같이 투자시에 고려해야될 모든 사항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로부터 투자가이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기업정보관리모듈(183)을 제어하여 해당 기업의 투자가이드 정보로서 분류한다. 상기 기업정보관리모듈(183)은 상기 투자가이드 정보를 상기 기업DB(193)에 저장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는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함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기업정보관리모듈(183)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제공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상기 정보등록부(170)를 통하여 등록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관심추출모듈(131)은 상기 정보등록부(170)의 투자 가이드 정보의 등록 여부를 수신하여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투자 단말기 및 전문가 단말기(200)에 상기 투자가이드정보 또는 정보 제공 이력을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력 누적단계(S134)는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투자가이드정보 수신 및 제공단계(S133)에서 투자가이드 정보를 송신한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 정보 제공 이력을 누적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정보등록부(17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 정보 제공 이력을 누적시켜 상기 수익DB(195)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자가이드 단계(S130)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가, 예를 들면, 신규 창업기업이나 예비 창업자의 사업아이템과 동일 분야 및 기술 동향에 대한 의견, 사업아이템에 대한 특허 침해 여부, 시장의 동향에 대한 의견을 메인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투자자에게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상기 투자접수 및 펀딩 운영단계(S140)는 상기 제어부(150)가 투자 단말기(300)로부터 투자접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투자접수모듈(132)을 구동시켜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를 접수하고, 투자금을 통하여 펀딩을 운영하는 단계이다.
투자자는 자신의 투자단말기(300)를 통하여 상기 중개서버(100)에 게시된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와 기업정보를 확인한 뒤에 투자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중개서버(100)에 투자접수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투자 단말기(300)는 해당 기업의 명칭과 투자금액 및 투자자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아이디, 성명)가 포함된 투자접수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접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투자접수모듈(132)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투자접수모듈(132)은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접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펀딩DB(194)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수료연산모듈(121)을 구동시켜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예치금에서 수수료를 정산한 뒤에 상기 수익DB(195)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통계모듈(133)은 상기 투자 단말기(300)의 투자가 접수되면,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금 총액을 누적한 기업별 투자 유치 정보와 투자자별 투자정보를 누적하여 상기 펀딩DB(194)에 저장한다.
상기 정보등록부(170)는 투자유치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게시함과 동시에 전체 기업단말기(400)의 투자 유치 정보를 갱신하여 게시한다. 이는 도 7에 그 일예가 도시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방법에서 기업단말기(400) 투자유치 정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등록부(170)는 상기 통계모듈(133)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최종 투자 유치 정보를 온라인상에 공개한다. 공개되는 투자유치정보는 전체 기업을 업종별 또는 기술분야별로 분류하고, 전체 투자 유치금액에서 동일 분류 내의 투자 유치금액의 비율을 그래프로서 출력한다(도 7의 b 참조).
또는 상기 정보등록부(170)는 상기 통계모듈(133)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기업별 투자금액 정보를 각 기업별로 분류하여 표시함도 가능하다(도 7의 a 참조).
여기서 상기 관심추출모듈(131)은 투자접수된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에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메일로서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부(150)에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해당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에 상기 관심추출모듈(131)로부터 생성된 메세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수익 계산, 확정 및 관리 단계(S150)에서는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에 따라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여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한다. 즉, 중개서버(100)는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비교 및 계산된 결과에 따라 별도로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며, 선별된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 및 공유한다. 특히, 중개서버(100)는 각 투자자들의 수수료 및 수익을 정산 및 분배하면서도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교 및 계산된 결과에 따라 별도로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며, 선별된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 및 공유한다. 이때, 우량 투자자들의 수수료율은 일반 투자자들의 수수료율 보다 더 높거나 낮게 책정하고,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책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연산 및 정산함과 아울러 우량 투자자들로부터의 수수료는 별도 수익으로 책정할 수 있게된다.
상기 수익분배단계(S160)는 상기 제어부(150)가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에 수익을 정산 및 분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익연산모듈(122)을 구동시켜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수익을 연산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수익연산모듈(122)은 설정된 기준(예를 들면, 상기 수익DB(195)에 저장된 수수료 및 전문가 단말기(200)의 투자가이드 정보 제공횟수나, 또는 펀딩DB(194)에 저장된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금 총액)에 따라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수익을 연산한다.
그리고 상기 수익분배모듈(123)은 상기 수익연산모듈(122)에서 연산된 각 전문가 단말기(200)의 수익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계좌운영모듈(124)의 사이버계좌에 예치금을 누적시킨다.
상기 계좌운영모듈(124)은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 및 투자 단말기(300)의 금융이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중개서버(100)에서 지정된 실제 금융계좌에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와 투자 단말기(300)의 금융계좌로 현금을 이체시키고, 사이버계좌의 예치금을 정산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버계좌는 상기 중개서버(100)에서 설정한 가상화폐가 누적되는 계좌로서 사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가상화폐는 실제 현금과 1:1의 비율로 설정되어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의 선택에 의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기(200)가 지정한 실제 금융계좌로 지급될 수 있거나, 할인권이나 초대권 및 쿠폰과 같은 형태로서 지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크라우드 펀딩시스템에서 전문지식이 부족한 투자자들에게 적절한 투자를 조언해줄 수 있는 전문가들의 투자 가이드 정보 제공이력에 따라서 적절한 수익을 분배함에 따라 전문가들의 투자 가이드의 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투자자는 전문가의 참여도가 높아짐에 따라 부족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투자시에 적절한 판단을 내릴 수 있기에 안전하게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실투자 금액이 높은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고 관리함으로써, 우량 투자자들의 충성도와 참여율을 높이고 투자율 및 수익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고,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 등을 배분 및 공유함으로써,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운용자와 우량 투자자들 간의 수익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중개서버 110 : 통신부
120 : 정산부 121 : 수수료연산모듈
122 : 수익연산모듈 123 : 수익분배모듈
124 : 계좌운영모듈 125 : 우량고객선별모듈
130 : 펀딩부 131 : 관심추출모듈
132 : 투자접수모듈 133 : 통계모듈
140 : 데이타검색부 150 : 제어부
160 : 사용자인증부 170 : 정보등록부
180 : 기업관리부 181 : 기업등록모듈
182 : 기업분류모듈 183 : 기업정보관리모듈
190 : 데이타베이스 191 : 전문가DB
192 : 투자자DB 193 : 기업DB
194 : 펀딩DB 195 : 수익DB
200 : 전문가 단말기 300 : 투자 단말기

Claims (24)

  1. 목표 투자 유치금액을 포함하는 투자 유치 신청 신호를 송신하는 희망하는 기업단말기;
    상기 기업단말기의 투자 유치 신청 신호를 접수하여 온라인을 통하여 상기 기업단말기의 기업정보 및 투자 유치 신청을 게시하는 중개서버;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상기 기업단말기의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투자자가 투자시에 참조할 수 있는 투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게시된 기업정보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 가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해당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 투자 유치된 금액으로 인하여 발생된 수익을 설정된 수익 분배 기준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 분배하고,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에 따라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여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를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분배기준은 전문가 그룹과 펀딩시스템 운용자 및 우량투자자에 따라 그 기준을 달리하는 것으로,
    상기 전문가 그룹은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한 이력,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금액, 투자자의 평가 또는 수수료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펀딩시스템 운용자 및 우량 투자자는 각 투자자나 전문가 단말기의 참여도 또는 해당 기업의 펀딩 금액에 따라 설정되거나 기타 사업자의 설계나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으로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투자 단말기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기업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투자 단말기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기업 단말기의 가입 및 접속시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인증부;
    상기 수익분배기준에 따라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투자 단말기의 수익을 연산하는 정산부;
    상기 투자단말기의 투자를 접수하여 각 투자 단말기별 투자 현황 정보와, 기업별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펀딩부;
    상기 투자 단말기를 통한 투자자들의 투자 이력과 투자 현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의 데이터들을 검색하거나 온라인을 통하여 게시된 정보를 검색하는 데이터검색부;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가이드 정보와 상기 기업단말기의 기업정보 및 상기 펀딩부의 투자현황 및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메인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정보등록부; 및
    상기 펀딩부에서 생성되는 투자 현황정보 및 투자 유치 정보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투자 가이드 정보를 게시하도록 상기 정보등록부를 제어하고,상기 정산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투자 단말기의 수익을 연산 및 분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 서브 홈 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기업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시간대별로 기록하는 타임라인 방식으로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기업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투자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의 수익 및 예치금을 저장하는 사이버계좌를 계설하는 계좌운영모듈;
    상기 수익분배기준에 따라서 상기 투자단말기와 전문가 단말기의 수익을 연산하는 수익연산모듈; 및
    상기 수익연산모듈에서 연산된 금액을 일반 투자자들과 우량 투자자들 및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수익을 각각의 사이버계좌에 분배하여 수익분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투자단말기의 투자시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산출하는 수수료 연산모듈을 더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여 상기 실제 투자 금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보다 많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상기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높은 투자자들을 상기 우량 투자자들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량 고객 선별 모듈을 더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서 송신된 정보를 게시하는 서브 홈페이지를 생성하는 기업등록모듈;
    상기 기업단말기의 업종, 사업형태, 기술분야를 분류하여 상기 기업등록모듈에 인가하는 기업분류모듈; 및
    상기 기업단말기로부터 신규 정보 또는 갱신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브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기업정보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를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상기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를 잠재 투자자로서 추출하여, 해당 관심 기업의 신규 정보나 갱신정보,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포함하는 메세지를 생성 및 송신하는 관심추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10. 전문가 그룹에게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은,
    전문가 단말기, 투자단말기 및 기업단말기가 중개서버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가입신청 및 회원등록되는 등록단계;
    상기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기업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업정보 및 투자 유치 신청정보를 게시하는 기업정보 제공단계;
    상기 기업정보 제공단계 이후에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홈페이지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투자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 가이드 정보 제공 이력을 저장하는 전문가의 투자가이드 단계;
    상기 전문가의 투자가이드 단계에서 상기 투자 단말기로부터 투자 접수 후 펀딩을 운영하는 투자접수 및 펀딩운영단계; 및
    상기 펀딩운영단계에서 발생된 수익을 설정된 수익 분배기준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 분배하는 수익분배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분배 기준은 투자가이드 정보를 제공한 이력, 해당 기업의 투자 유치금액, 투자자의 평가 또는 수수료에 따라 전문가 그룹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게 기업정보를 게시할 수 있는 서브 홈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에 사이버계좌를 개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에서 상기 기업단말기를 관심기업으로 등록하면, 상기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를 잠재 투자자로 추출하여 상기 기업단말기의 신규정보 및 갱신된 정보의 유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접수 및 펀딩단계는
    상기 투자단말기의 투자가 접수되면, 해당 기업을 관심기업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에 투자유치 현황 정보를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방법.
  15. 제10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접수 및 펀딩단계는
    기업별 투자 유치 현황정보와, 가입된 전체 기업의 투자 유치금 총액과,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된 동일 분야의 기업 투자 유치 현황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가이드 단계는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기업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업정보 요청수신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 기업정보를 송신하는 기업정보 송신단계;
    상기 전문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투자가이드 정보를 해당 기업의 서브홈페이지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하여 투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투자가이드정보 수신 및 제공단계; 및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가이드 정보의 제공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가이드 단계에서
    상기 전문가 단말기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여 투자 가이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투자 가이드 정보가 송신되면, 해당 기업을 관심 기업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기와 투자단말기에 투 자 가이드 정보가 제공됨을 알리는 메세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방법.
  18. 크라우드 펀딩시스템 운용자와 우량 투자자들 간에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은,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업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기업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공개하고 투자를 접수함과 아울러,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에 따라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여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를 배분하는 단계;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중개서버에서 게시된 기업정보를 확인하고 선택적으로 투자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개서버에서 게시된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투자 단말기에 투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익 분배 기준은
    각 투자자나 전문가 단말기의 참여도 또는 해당 기업의 펀딩 금액에 따라 설정되거나 기타 사업자의 설계나 필요에 의하여 다양한 응용으로서 설정되어 상기 펀딩시스템 운용자 및 우량 투자자에게 수익을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우량 투자자들과 수수료를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교 및 계산된 결과에 따라 별도로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 및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우량 투자자들과 수수료를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 단말기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기업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투자 단말기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기업 단말기의 가입 및 접속시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투자 단말기의 투자를 접수하여 펀딩을 운영하는 단계;
    상기 투자 단말기를 통한 투자자들의 투자 이력과 투자 현황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의 데이터들을 검색하거나 온라인을 통하여 게시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각 투자자들의 수수료 및 수익을 정산 및 분배하면서도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비교 및 계산된 결과에 따라 별도로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 및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배분하는 단계는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한 비교 결과 또는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의 비율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투자 단말기의 투자금액에 대해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수료를 연산함과 아울러 상기 우량 투자자들은 미리 설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연산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수익분배기준에 따라 일반 투자자들과 상기 우량 투자자들의 수익을 각각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투자자들과 상기 우량 투자자들 및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수익을 각각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우량 고객 선별 단계는
    상기 각 투자자들의 실제 투자 금액을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과 비교하여 상기 실제 투자 금액이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자 금액보다 많거나,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을 계산하여 상기 전체 투자 금액 대비 상기 실제 투자 금액 비율이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높은 투자자들을 상기 우량 투자자들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수료 연산 단계는
    상기 우량 투자자들의 수수료율은 일반 투자자들의 수수료율 보다 더 높거나 낮게 책정하고, 상기 우량 투자자들은 상기 미리 책정된 별도의 수수료율을 적용시켜 수수료 및 수익률을 연산 및 정산함과 아울러 상기 우량 투자자들로부터의 수수료는 별도 수익으로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법.
KR1020150077663A 2015-06-02 2015-06-02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KR101982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663A KR101982008B1 (ko) 2015-06-02 2015-06-02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663A KR101982008B1 (ko) 2015-06-02 2015-06-02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954A true KR20160141954A (ko) 2016-12-12
KR101982008B1 KR101982008B1 (ko) 2019-08-28

Family

ID=5757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663A KR101982008B1 (ko) 2015-06-02 2015-06-02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0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03A (ko) * 2016-12-29 2018-07-09 김태현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차량 렌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2229A (ko) * 2017-06-29 2019-01-08 박성훈 크라우드 펀드 운용 시스템
WO2019156445A1 (ko) * 2018-02-12 2019-08-15 윤성민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41396A (ko)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라페어리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하는 투자 상품 거래 플랫폼 및 그 방법
KR20200028607A (ko) * 2018-09-07 2020-03-17 이종석 투자 집행 투명성 재고를 위한 펀딩 제공 시스템 및 펀딩 제공 방법
KR102195052B1 (ko) 2020-01-06 2020-12-24 윤성민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5109B1 (ko) 2023-11-15 2024-03-07 와디즈 주식회사 상품 펀딩을 포함하는 메이커 종합지원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28A (ko) 2000-05-17 2000-08-05 양진수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투자 결정 방법
KR20010094216A (ko) * 2000-04-04 2001-10-31 이선무 애널주식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1889A (ko) * 2008-09-16 2010-03-25 박희용 소액 직접 투자를 위한 투자 중개 플랫폼 시스템
KR20140096675A (ko) * 2013-01-28 2014-08-06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216A (ko) * 2000-04-04 2001-10-31 이선무 애널주식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0128A (ko) 2000-05-17 2000-08-05 양진수 인터넷을 이용한 증권 투자 의사 결정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투자 결정 방법
KR20100031889A (ko) * 2008-09-16 2010-03-25 박희용 소액 직접 투자를 위한 투자 중개 플랫폼 시스템
KR20140096675A (ko) * 2013-01-28 2014-08-06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마일스톤 달성현황 통지시스템 및 통지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903A (ko) * 2016-12-29 2018-07-09 김태현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한 차량 렌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2229A (ko) * 2017-06-29 2019-01-08 박성훈 크라우드 펀드 운용 시스템
WO2019156445A1 (ko) * 2018-02-12 2019-08-15 윤성민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7349A (ko) * 2018-02-12 2019-08-21 윤성민 사업 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41396A (ko) 2018-06-14 2019-12-24 주식회사 라페어리 암호화폐를 기반으로 하는 투자 상품 거래 플랫폼 및 그 방법
KR20200028607A (ko) * 2018-09-07 2020-03-17 이종석 투자 집행 투명성 재고를 위한 펀딩 제공 시스템 및 펀딩 제공 방법
KR102195052B1 (ko) 2020-01-06 2020-12-24 윤성민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8415A (ko) 2020-01-06 2021-07-14 윤성민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141314A1 (ko) * 2020-01-06 2021-07-15 윤성민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DE112020006013T5 (de) 2020-01-06 2022-09-22 Seong Min YOON Ein system zur investitionsförderung und verfahren dafür
GB2606303A (en) * 2020-01-06 2022-11-02 Min YOON Seong Investment attrac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645109B1 (ko) 2023-11-15 2024-03-07 와디즈 주식회사 상품 펀딩을 포함하는 메이커 종합지원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008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4342B2 (en) Asset data model for recurring revenue asset management
KR101982008B1 (ko)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Rajol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e financial industry organizational processes and technology innovation
US201000768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controlled secondary market for small dollar deposits and lending
US20080109378A1 (en) Financial product frequent identification and comparision service
WO2001077925A1 (ko) Personalized investment consulting system implemented on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US20180232682A1 (en) System for identification and integration of like resources and configuring resources for common use
US10476813B2 (en) Computerized system for identifying and redistributing complementary resources
US20210192620A1 (en) Machine learning-based digital exchange platform
Deighton et al. The Value of Data: Consequences for insight, innovation and efficiency in the US economy
KR20200104011A (ko) 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웰스매니저 추천 및 매칭 방법
AU2013277314A1 (en) Service ass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00055832A (ko) 인공지능 투자관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인 재무관리 시스템
KR20170034577A (ko) 예약 투자가 가능한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Stone et al. Interactive marketing, customer information and marketing research
CN111539783A (zh) 不动产投资分析辅助装置及方法、记录介质
KR20210110531A (ko) 투명한 거래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거래 방법
CN112926997A (zh) 一种客户关系管理系统及方法
KR20210125320A (ko) 빅데이터 기반을 통한 고객 투자성향 맞춤 종목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rooqi et al. Effectiveness of e-CRM in Commercial Banks: Banker's Perspective
KR20200104015A (ko) 자산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상품추천방법
KR101507151B1 (ko) 지인기반 통합투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24770B1 (ko)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한 pos 및 erp 연동 수익 분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62766B1 (ko) 가입시 소액의 포인트를 구매하는 영업파트너와 영업 성과 보상기준을 제시하는 의뢰기업의 적극적 영업매칭 시스템
Fofanov The Future of Banking: Strategic Alliances between Banks and FinTec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551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922

Effective date: 20170314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1000013;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1001885;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09

Effective date: 201803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10000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409

Effective date: 201804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