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415A -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415A
KR20210088415A KR1020200160893A KR20200160893A KR20210088415A KR 20210088415 A KR20210088415 A KR 20210088415A KR 1020200160893 A KR1020200160893 A KR 1020200160893A KR 20200160893 A KR20200160893 A KR 20200160893A KR 20210088415 A KR20210088415 A KR 20210088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stment
company
information
attraction
divid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민
Original Assignee
윤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민 filed Critical 윤성민
Priority to KR1020200160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415A/ko
Publication of KR20210088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투자유치를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기업단말기에 출력되어 실행되는 투자유치수단과 투자유치 기업에의 투자를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에 출력되어 실행되는 투자수단과 상기 참여기업단말기 및 투자자단말기에 접속되어 투자유치 및 투자를 관리하는 투자운영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유치수단은 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로 기업의 근무형태를 변경하여 기업환경의 혁신을 조건으로 투자유치를 상기 투자운영컴퓨터에 신청을 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는 투자유치 신청기업들의 기업정보를 기초로 투자 대상 기업을 선정하여 상기 투자 대상 기업의 기업현황 정보를 상기 투자수단에 제공하고, 상기 투자수단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제공한 기업현황 정보를 기초로 투자 대상 기업을 선택하여 투자금 정보를 상기 투자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Investment attrac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투자유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기업의 근무환경을 2교대(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 근무방식으로 변화시켜 기업 생산성 및 매출증가를 꾀함과 동시에 고용창출을 수행하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하여 추가로 고용되는 인원의 소요자금을 투자유치 및 지원기관의 지원유치를 통하여 조달하고, 투자자에게 투자수익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기업의 근무형태를 변경하여 기업환경을 혁신하고 이를 통해 고용창출, 투자유치, 투자수익 환원의 선순환을 위한,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시스템 및 그 방법과, 특히. 기업에 투자를 수행하는 투자자들에게의 투자 배당을 지불함에 있어서 투자 시점에 따라서 배당 비율을 달리 적용하여 배당금을 지불하는 투자유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것이다.
기업이 투자유치를 희망하면 기업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기업현황과 기업의 성장가능성 등으로 투자자를 설득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업의 현재환경에서 신제품 개발, 출시 또는 신사업분야 진출 등의 가시적이고 입증적으로 제시할 것이 마땅하지 않을 경우 투자자를 설득시켜 투자유치를 한다는 것은 요원하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여 투자유치에 성공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업환경을 검증된 방식으로 혁신하여 그로 인해 생성되는 기업가치의 향상을 실질적으로 도모할 것이고 이를 위해 투자유치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경우, 그 정보는 이미 검증된 정보이므로 투자자들을 설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업환경의 혁신을 위한 방법 중 기존의 전통적인 근무형태에 변화를 주어 2교대(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 방식으로 기업의 근무환경을 변경시키는 것이 있다.
기업의 근무형태를 9시 출근 및 6시 퇴근의 전통적인 방식보다, 2교대(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 방식의 근무형태가 고용확대, 생산성 향상 및 매출증가 등의 기업에 유리한 요소가 많이 있음은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근무형태를 바꾸지 목하는 것은 2교대(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 방식으로 변경을 했을 경우 발생되는 추가 고용인원 등에 소요되는 자금 조달이 난제이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근무형태 변경이라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실천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있다.
기업의 투자유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6-0141954호(공개일: 2016년12월12일)의 클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목표 투자 유치금액을 포함하는 투자 유치 신청 신호를 송신하는 희망하는 기업단말기; 상기 기업단말기의 투자 유치 신청 신호를 접수하여 온라인을 통하여 상기 기업단말기의 기업정보 및 투자 유치신청을 게시하는 중개서버;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상기 기업단말기의 기업정보를 확인하여 투자자가 투자시에 참조할 수 있는 투자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전문가 단말기; 및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게시된 기업정보와, 상기 전문가 단말기의 투자 가이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중개서버를 통하여 해당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기업단말기에 투자 유치된 금액으로 인하여 발생된 수익을 설정된 수익 분배 기준에 따라 상기 전문가 단말기에 분배하고,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금액 및 수익률에 따라 우량 투자자들을 선별하여 우량 투자자들과 수익률을 비롯한 수수료를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2-0045458호(공개일: 2002년06월19일)의 투자중개방법의 발명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관심사업분야들을 미리 정한 투자자들의 모임인 동호회들을 개설하는 단계와, 기업으로부터 투자유치신청을 받음과 동시에 그 기업에 대한 기업명, 설립연월일, 사업분야 등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기업으로부터 투자유치신청이 발생되면, 그 기업의 사업분야를 관심사업분야로 하는 동호회들에 해당 기업의 개략정보를 제공하여 소개하고, 해당 동호회들에 소속되는 투자자들에게 투자의사여부를 투표하도록 요청하는 단계와, 어느 한 동호회의 투표결과가 그 동호회에 속한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에 대해 투자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 해당 동호회에 소속된 투자자들에게 해당 기업에 대한 분석자료, 투자설명회를 제공하는 등의 투자유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발명들은 투자자를 설득하여 투자유치를 하기 위한 검증된 입증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면, 상술한 종래의 기업투자유치의 어려움인 투자자들을 설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그대로 존재한다.
기업의 근무환경 관련 발명으로서 본 출원인이 발명자 및 특허권자로 되어 있는,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2045540호(등록일: 2019년11월11일)의 집단지성수렴에 의해 설정된 근무형태를 통한 고용창출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발명이 특허등록되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발명은,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에 관하여 고용창출을 위해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컴퓨터와; 상기 운영컴퓨터의 요청에 의해 4조2교대 도입 및 고용확대율 등의 의견취합항목에 관한 집단지성을 수렴하고 최종수렴의견에 수치를 포함하여 상기 운영컴퓨터에 제공하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과; 상기 운영컴퓨터의 요청에 의해 기업의 경쟁사 대비 과도한 임금 수준 등의 비합리적 비용을 재평가하여 최적화시키는 수치결정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운영컴퓨터는,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있어서, 하루 24시간 중 인간의 수면에 필요한 최소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을 2교대로 운영하여 인력을 분산시키거나 주중(원,화,수,목)조와 주말(금,토,일)조로 인력을 분산시키되 기업의 하루 가동시간을 기존 근무형태의 15배 내지 2배 정도 증가시켜 고용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지성수렴에 의해 설정된 근무형태를 통한 고용창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발명입니다.
상기 특허발명은 기업의 근무환경을 4조2교대 형태로 전환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발명이고, 특허발명으로 인한 기업의 생산성 향상 등의 유리한 요소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그러나, 특허발명의 설명에서도 개시한 바와 같이, 기업의 근무환경을 4조2교대 방식으로 혁신하기 위해서는 추가 고용으로 인해 소요되는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허발명의 유리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기업에서의 채택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업의 근무환경을 2교대(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 방식으로 혁신하여 고용확대 및 생산성향상의 검증된 기업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투자를 유치함과 동시에, 기업의 근무환경의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 효과의 검증정보를 제공하여 고용정책기관 등의 지원을 이끌어 내어, 기업환경의 혁신에 따른 초기 소요 자금을 빠르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들은 근무환경의 혁신에 따른 기업가치 향상을, 고용정책기관 등은 최소 지원금으로 고용창출이라는 성과를, 투자자는 투자손실이 최소화되면서 투자수익을 취할 수 있고, 특히. 기업에 투자를 수행하는 투자자들에게의 투자 배당을 지불함에 있어서 투자 시점에 따라서 배당 비율을 달리 적용하여 배당금을 지불하는 투자유치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6-0141954호(공개일: 2016년12월1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2-0045458호(공개일: 2002년06월19일) 대한민국 특허번호 제10-2045540호(등록일: 2019년11월11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업에 투자를 수행하는 투자자들에게의 투자 배당을 지불함에 있어서 투자 시점에 따라서 배당 비율을 달리 적용하여 배당금을 지불하는 투자유치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업이 근무환경을 2교대(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로 혁신하여 고용창출을 하고 이로 인해 소요될 초기 자금을 투자유치 및 지원을 통해 충당할 수 있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업이 근무환경을 2교대로 혁신하여 투자유치 및 지원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고, 동시에 기업의 근무환경의 2교대로의 혁신을 통해 고용창출, 교통정체해소 및 환경개선이라는 사회문제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업이 근무환경을 2교대로 혁신하여 투자유치를 할 경우, 투자유치 신청 기업들의 기업정보를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제공하여 수렴된 집단지성을 기초로 투자 대상 기업을 선정하여 투자금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업이 근무환경을 2교대로 혁신하여 투자유치를 함에 있어서, 기업의 2교대 근무형태로의 변경에 수치결정시스템을 적용하여 기업환경을 최적화하여 혁신할 수 있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으로, 투자유치를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기업단말기에 출력되어 실행되는 투자유치수단과 투자유치 기업에의 투자를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에 출력되어 실행되는 투자수단과 상기 참여기업단말기 및 투자자단말기에 접속되어 투자유치 및 투자를 관리하는 투자운영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는 상기 투자자단말기의 투자수단에 투자 및 배당 기준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투자 및 배당 기준은 투자자들의 투자 시점을 기초로 배당 기준을 달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으로, 기업의 근무형태를 2교대로 변경하고 이를 위한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기업정보 및 이들 신청기업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투자를 하는 투자자정보 및 고용정책기관을 포함하는 지원기관정보를 구비하고 기업의 근무형태의 최적화와 이를 통한 투자유치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투자운영컴퓨터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에 통신 접속되거나 속해 있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에서 수신하거나 관리하는 기업, 투자자 및 투자유치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저장컴퓨터와; 기업의 근무형태를 2교대로 변경하고 이를 위한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기업들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기업단말기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로부터 신청기업들의 투자 관련 기업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를 통해 신청기업들에 투자를 수행하는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와; 신청기업들의 최적화된 근무형태 구축 및 투자유치 신청기업 중 투자 대상 기업의 선정 등에 집단지식수렴을 통해 지원하기 위한 집단지성수렴시스템과; 기업의 근무형태 변경에 최적화된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기업환경개선시스템과; 기업의 근무형태 변경에 따른 고용창출에 지원금을 지원하는 고용정책기관 및 기업의 경영현황을 컨설팅하는 컨설팅지원기관 등의 지원기관컴퓨터를 포함하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으로, 투자운영컴퓨터가 적어도 하나의 참여기업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기업정보, 2교대로의 근무형태 변경 정보 및 소요 자금 투자유치정보를 포함하는 투자유치신청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신청기업들의 투자유치신청정보를 기업환경개선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기업환경개선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신청기업들의 최적화된 근무형태 및 이에 따른 추가 고용인원 및 추가 소요 자금 등의 최적화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최적화정보를 기초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후보기업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후보기업의 정보를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기업의 선정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기업들의 투자유치신청정보 및 최적화정보를 기초로 투자 대상 기업들의 투자유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생성된 투자유치정보를 투자기준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로부터 투자 정보를 수신하여 투자 대상 기업과 연관지어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 대상 기업별 설정된 자금의 투자유치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유치가 완료된 투자 대상 기업에 투자금의 상환 기간 등의 조건을 지정하여 상기 설정된 자금을 지원하고 해당 기업의 상기 참여기업단말기로 투자금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으로, 투자운영컴퓨터가 기업들로부터 투자유치 신청을 받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투자유치 신청을 한 기업들의 기업들의 기업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자들이 제공한 투자금을 상기 투자 대상 기업들에게 지원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 시점에 시점에 따라서 투자자들에게 차등화된 배당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자유치 방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의 근무환경을 2교대(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 방식으로 혁신하여 고용확대 및 생산성향상의 검증된 기업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여 투자를 유치함과 동시에, 기업의 근무환경의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 효과의 검증정보를 제공하여 고용정책기관 등의 지원을 이끌어 내어, 기업환경의 혁신에 따른 초기 소요 자금을 빠르고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기업들은 근무환경의 혁신에 따른 기업가치 향상을, 고용정책기관 등은 최소 지원금으로 고용창출이라는 성과를, 투자자는 투자손실이 최소화되면서 투자수익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투자운영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데이터저장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참여기업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투자자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지원기관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관리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집단지성수렴시스템 중 주요부인 수렴관리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7의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수치결정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기업의 기존 근무형태와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분석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특정 근무조에 대한 근무시간의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의 실시예에서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 여부를 위한 집단지성 수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의 실시예에서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따른 고용확대율 결정을 위한 집단지성 수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에서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의 조별 투입인원 비율의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에서 상기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의견수렴을 적용한 결과의 고용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에서 상기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의견수렴을 적용한 결과의 고용확대율의 최종수치 결정에 기여한 참여자에게의 보상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에서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의견 수렴 결과 고용확대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업에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 중 관리자 근무형태의 조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에서 4조2교대 근무형태 채택전에 과도기로서 2조2교대 근무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1은 4조2교대 근무형태 채택 및 최적화를 통해 고용확대가 될 경우 기업의 비용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보완수단으로서의 수치결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자유치 참여기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효과 및 투자금 모집 실시간 현황 및 투자에 대한 실시간 차등 배당율 정보의 리포트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 표현 등에 관한 정의 또는 해석에 도움이 되는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각종 컴퓨터 및 단말기는 하드웨어 자체 구성일 수 있고, 그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그램의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투자운영컴퓨터, 데이터저장컴퓨터, 지원기관컴퓨터 등은 각 컴퓨터에 포함된 하드웨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원을 활용하여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웹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집단지성시스템은, 본 출원인의 특허번호 제10-1804960호의 발명의 구성을 사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구성에 적응하도록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허발명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은, 본 출원인의 특허번호 제10-2045540호의 발명의 구성을 사용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구성에 적응하도록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특허발명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컴퓨터, 각 시스템 또는 단말기 등을 분리하여 도시하고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 구성이 타 구성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하나의 구성이 더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각각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전체 구성 중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용어일 수 있고, 각각 독립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구성간의 구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용어 및 용어들의 열거 등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예측 가능한 다양한 용어 및 열거되지 않은 요소 등을 당연히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은, 기업의 근무형태를 2교대(4조2교대 또는 2조2대)(이하 "2교대"라 함)로 변경하고 이를 위한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기업정보 및 이들 신청기업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투자를 하는 투자자정보 및 고용정책기관 등을 포함하는 지원기관정보를 구비하고 기업의 근무형태의 최적화와 이를 통한 투자유치를 수행하고 관리하는 투자운영컴퓨터(100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통신 접속되거나 속해 있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서 수신하거나 관리하는 기업, 투자자 및 투자유치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저장컴퓨터(2000)와; 기업의 근무형태를 2교대로 변경하고 이를 위한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기업들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기업단말기(300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로부터 신청기업들의 투자 관련 기업현황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를 통해 신청기업들에 투자를 수행하는 투자자들이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4000)와; 기업의 근무형태 변경에 최적화된 환경을 집단지성수렴을 통하여 산출하고 지원하기 위한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과; 기업의 근무형태 변경에 따른 고용창출에 지원금을 지원하는 고용정책기관 및 기업의 경영현황을 컨설팅하는 컨설팅지원기관 등의 지원기관컴퓨터(60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수행 및 운영하기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웹프로그램 등이 탑재되어 실행할 수 있는 서버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컴퓨터(2000)는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통신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투지운영컴퓨터(1000)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구축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또는 본 발명의 시스템 규모에 있어서 초기단계에서는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속해 있는 데이터베이스(DB)저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여기업단말기(3000) 및 투자자단말기(4000)는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 웹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컴퓨팅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출력시킬 수 있는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컴퓨터, 태블릿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휴대전화단말기 등의 컴퓨터 통신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투자운영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자운영컴퓨터(1000)는, 본 발명의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가 제공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심이 있거나 본 발명의 투자유치에 참여하고자 기업정보를 제공하면서 회원으로 가입한 기업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업회원정보관리부(101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접속하여 투자 대상 기업들의 정보를 제공받고 투자 의향을 제공하는 투자자가 회원으로 가입한 투자자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투자회원정보관리부(1020)와; 투자유치 신청 기업 및 투자자 회원들이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투자유치를 신청하기 위한 요건 및 투자회원들이 투자 대상 기업에 투자를 할 경우 배당 기준과 함께 투자기준 정보를 관리하는 투자기준정보관리부(1030)와; 상기 기업회원들 중 기업환경 혁신을 조건으로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기업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참여기업정보관리부(1040)와; 상기 참여기업정보관리부(1040)에서 관리하는 투자유치 신청기업의 기업현황정보 및 근무형태 변경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기업현황을 분석하고 투자 대상 기업으로서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참여기업분석정보관리부(1050)와; 상기 참여기업분석정보관리부(1050)에서 분석하여 제공한 투자 대상 기업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기업정보를 포함한 투자정보를 제공받아 특정 기업에의 투자를 위한 투자금을 제공하는 투자자 정보 및 기업별 투자금 모집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투자수행정보관리부(1060)와; 기업이 근무형태를 변경하여 기업환경을 혁신하고자 할 경우 2교대 근무형태, 근무형태 변경에 따를 고용인원 및 소요 자금의 최적화 모델을 분석하여 지원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과 연동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관리를 수행하는 기업환경최적화관리부(1070)와; 기업 근무형태의 변경과 투자유치를 신청한 기업 중 투자 대상의 선정을 상기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에 포함되어 있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요청하고 전송되어 온 집단지성수렴 정보 등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하는 집단지성수렴관리부(1080)와; 고용정책기관, 교통정책기관 및 환경정책기관 등의 정보를 관리하고 이들 기관중 적어도 하나의 신청기업별 지원가능정보를 관리하는 지원금정보관리부(1090)와; 투자유치 신청 기업 중 투자 대상 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에 투자를 한 투자자들에게 투자금에 관한 이자 및 투자수익을 배당하기 위한 배당율 및 배당금 등을 관리하는 투자배당정보관리부(1100)와; 투자유치가 완료되어 투자금을 지원받은 기업들의 현황 및 투자 성과 정보 등을 관리하는 투자성과정보관리부(111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운영컴퓨터(1000)의 각 구성요소는 상기 운영컴퓨터(1000)에 탑재되어 각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웹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컴퓨팅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자기준정보관리부(1030)는, 근무형태 변경을 통한 고용 투자유치를 신청한 기업에 근무형태의 변경에 따른 추가 고용인원 및 거기에 소요되는 전체 자금을 투자유치 목표금액으로 했을 경우, 참여기업, 해당 기업의 임직원 투자자, 일반투자자 및 지원기관의 지원금 등의 비율을 규정하여 관리하는 구성이다.
아래 표 1은 참여기업에 관한 투자 기준의 예시를 나타낸다.
구분 A 기업(25억원) B 기업(10억원) C 기업(5억원) 비고
참여기업 20% 20% 20%
임직원투자자 30% 25% 20%
일반투자자 30% 35% 40%
지원기관투자자 20% 20% 20%
위 표 1에서 기업의 금액표시는 추가 고용인원 대비 추가 소요비용을 나타내고, 참여기업은 기업 자체 부담금을 투자하는 신청 기업을, 임직원투자자는 신청기업 소속 임직원 투자자를, 일반투자자는 순수하게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를, 지원기관투자자는 고용문제, 교통문제 및 환경문제 정책 수행 및 예산 관장 기관을 의미한다. 그러나 위 표 1의 예시는 그야말로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기업의 근무형태 변경, 추가 고용인원, 소요자금 및 매출 향상 예측 등의 다양한 요소를 감안하고, 투자유치를 합리적이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치를 기준으로 규정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자기준정보관리부(1030)에서는 배당과 관련지은 투자의 기준이 설정되어 관리될 수 있다. 시간적인 투자 순위(투자시점)에 따라서 배당의 비율이 달라지도록 설정하여 투자자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관리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상기 표 1에서 C기업의 경우 투자유치 금액이 5억원, 일반투자자 투자비율이 40%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일반투자자 투자 가능금액: 2억원)의 투자시점에 따른 차등 배당 기준의 예를 아래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자금액 구간 배당율 정산금
10,000 20,000,000 150% 30,000,000
20,010,000 40,000,000 140% 28,000,000
40,010,000 60,000,000 130% 26,000,000
60,010,000 120,010,000 115% 69,000,000
120,010,000 200,000,000 110% 88,000,000
(투자금+배당금) 241,000,000
위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투자시점에 따른 차등 배당 기준은, 예를 들면 우선 참여기업에서 또는 경영분석기관이 예측할 수 있는 투자유치 금액의 배당율(120.5%)을 설정하고, 투자금액의 구간 별로 투자시기가 빠른 투자에 대해서 배당율을 높게 책정하여 최종 투자유치 금액의 모집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배당율을 차등 설정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투자시점에 따른 차등 배당 기준을 공시하면 참여기업의 투자유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참여기업정보관리부(1040)는, 기업회원 중에서 2교대 근무형태를 변경하여 기업환경을 혁신하고, 이로 인해 소요될 초기 자금을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가 운영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기업이 제공한 근무형태, 추가 고용인원, 소요 자금, 자체부담 자금, 지원기관 지원금 및 기업의 사업계획서 등을 저장시키고 관리하여, 참여기업의 분석수단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참여기업분석정보관리부(1050)는, 상기 참여기업정보관리부(1040)에서 제공하는 참여신청 기업의 다양한 데이터 및 자체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참여 신청기업의 기업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투자 대상 후보 기업으로 선정을 하고, 2차적으로 투자 대상 후보 기업들의 분석 정보를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제공하여,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서 수렴된 집단지성을 기초로 투자 대상 기업을 선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자수행정보관리부(1060)는, 투자 대상 기업의 투자유치 상황을 목표로 한 투자금의 투자유치가 완료될 때까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이다. 투자 대상 기업의 투자유치의 기본 원칙은 기업의 자체 부담액, 기업의 임직원을 포함한 일반투자자의 투자금액 및 고용정책기관 등의 지원기관의 지원금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 투자자들의 투자금 구성비는 기업의 현황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지원기관의 지원금액은 자체 부담금 및 일반투자자의 투자금액을 전체 투자금으로 책정하고, 투자유치에서 부족분이 있을 경우 지원기관의 지원금으로 충당하거나, 지원금을 일정 금액으로 사전에 책정할 수도 있다.
상기 투자 대상 기업의 투자유치를 위해서, 투자운영컴퓨터(1000)에서 기업별 투자금 모집 상황을 실시간 자료로 공개하여 홍보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투자유치가 완료된 기업의 매출 및 기업가치 상승 등의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그 자료를 공개시킴으로써 홍보를 수행할 수 있고, 기업 및 임직원, 기업관계자 등이 자발적인 홍보수단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기업환경최적화관리부(1070)는, 2교대 근무형태로 변경을 통한 투자유치에 참여하는 기업이 투자유치 신청을 할 때 제시한 희망하는 근무형태, 근무형태 변경에 따른 추가 고용인원수 및 이에 소요되는 추가 자금 정보, 예를 들면 투자유치 기업의 현임직원 수가 100명이고 4조2교대 근무형태로 변경할 시 추가 고용율을 10%로 예측하여 추가 고용인원수가 10명, 이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기타비용이 5억원/1년으로 제시되어 있는 경우, 투자유치 기업이 제시한 상기 상태로 투자 대상 기업의 선정에 그대로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기업환경최적화관리부(1070)은 기업정보를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에 제공하여, 후술하는 수치결정시스템 및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활용하여 최적화된 정보를 산출하여 기업에 제시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투자 대상 기업 선정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집단지성수렴관리부(1080)는, 투자유치 참여 신청기업의 기업현황을 분석한 정보를 기초로 투자운영컴퓨터(1000)가 투자 대상 후보 기업을 선정하고, 선정된 투자 대상 후보 기업들의 기업정보 및 분석정보를 상기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에 포함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제공하여 투자 대상 기업의 선정을 요청하고,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으로부터 집단지성수렴에 기초하여 투자 대상 기업의 선정 또는 선정을 위한 집단지성수렴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하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데이터저장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저장컴퓨터(2000)는, 본 발명의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가 제공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심이 있거나 본 발명의 투자유치에 참여하고자 기업정보를 제공하면서 회원으로 가입한 기업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기업회원정보저장부(201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접속하여 투자 대상 기업들의 정보를 제공받고 투자 의향을 제공하는 투자자가 회원으로 가입한 투자자회원 정보를 저장하는 투자회원정보저장부(2020)와; 투자유치 신청 기업 및 투자자 회원들이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투자유치를 신청하기 위한 요건 및 투자회원들이 투자 대상 기업에 투자를 할 경우 배당 기준과 함께 투자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참여기준정보저장부(2030)와; 상기 기업회원들 중 기업환경 혁신을 조건으로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기업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참여기업정보저장부(2040)와; 상기 참여기업정보관리부(1040)에서 관리하는 투자유치 신청기업의 기업현황정보 및 근무형태 변경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기업현황을 분석하고 투자 대상 기업으로서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생성시킨 참여기업분석정보를 저장하는 참여기업분석정보저장부(2050)와; 상기 참여기업분석정보관리부(1050)에서 분석하여 제공한 투자 대상 기업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기업정보를 포함한 투자정보를 제공받아 특정 기업에의 투자를 위한 투자금을 제공하는 투자자 정보 및 기업별 투자금 모집현황 정보를 저장하는 투자수행정보저장부(2060)와; 기업이 근무형태를 변경하여 기업환경을 혁신하고자 할 경우 2교대 근무형태, 근무형태 변경에 따를 고용인원 및 소요 자금의 최적화 모델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과 연동하여 기업환경최적화정보를 저장하는 기업환경최적화정보저장부(2070)와; 기업 근무형태의 변경과 투자유치를 신청한 기업 중 투자 대상의 선정을 상기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에 포함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서 제공한 기업 근무형태의 변경과 투자유치를 신청한 기업 중 투자 대상의 선정 관련 집단지성수령정보를 저장하는 집단지성수렴정보저장부(2080)와; 상기 고용정책기관, 교통정책기관 및 환경정책기관 정보 및 이들 기관중 적어도 하나의 신청기업별 지원가능정보를 저장하는 지원금정보저장부(2090)와; 투자유치 신청 기업 중 투자 대상 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에 투자를 한 투자자들에게 투자금에 관한 이자 및 투자수익을 배당하기 위한 배당율 및 배당금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투자배당정보저장부(2100)와; 투자유치가 완료되어 투자금을 지원받은 기업들의 현황 및 투자 성과 정보를 저장하는 투자성과정보저장부(211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참여기업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참여기업단말기(3000)는, 기업의 기초정보 및 현황정보 등을 입력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제공하는 기업정보입력모듈(3010)과; 기업의 근무형태의 혁신을 통해 소요 자금의 투자유치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투자신청정보입력모듈(3020)과; 기업의 근무형태를 변경하여 투자유치를 신청한 기업에 대해서 또는 기업의 요청에 의하여 2교대 근무형태로 기업환경을 바꿀 때 최적화된 근무형태, 고용인원 및 소요자금 등의 상세 정보를 기업정보를 기초로 분석 및 산출 정보를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로부터 하여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기업환경최적화정보출력모듈(3030)과;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로부터 투자유치 신청 결과로 투자 대상 기업으로 선정된 정보 및 투자자들의 투자금 모집 정보 및 투자금 지원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시키는 투자유치정보관리모듈(3040)과; 투자금 지원을 받아 투자자에게 지불할 배당율 및 배당금 정보를 관리하는 투자배당정보관리모듈(3050)과; 투자금 지원 후 기업환경 혁신에 따를 매출상승 등의 투자성과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제공하고 관리하는 투자성과정보관리모듈(306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참여기업단말기(3000)의 각 구성요소의 모듈은 상기 참여기업단말기(3000)에서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컴퓨팅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투자유치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투자자단말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자자단말기(4000)는, 투자자의 개인정보 및 단말기기 정보 등을 입력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로 전송하는 투자자정보입력모듈(4010)과;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가 투자유치 신청 기업들 중 투자 대상 후보 기업으로 선정한 후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집단지성수렴 결과를 참조하여 결정한 투자 대상 기업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투자대상기업현황정보출력모듈(4020)과; 상기 투자대상기업현황정보출력모듈(4020)에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기업 정보 중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제공하기 위한 투자대상기업선택모듈(4030)과; 선택한 투자 대상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기준정보를 확인하고 투자 기준에 합당한 투자금을 지불하고 투자 대상 기업의 투자금 모집 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투자정보관리모듈(4040)와; 투자 대상 기업에 투자금 지원이 이루어진 후, 이자 수급 및 배당금 수급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하는 배당정보관리모듈(4050)과; 투자 기업의 재투자 등을 위한 설정된 기간 동안의 해당 기업의 투자 성과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투자성과정보출력모듈(406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 투자자단말기(4000)의 각 구성요소의 모듈은 상기 투자자단말기(4000)에서 출력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컴퓨팅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투자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참여기업단말기(3000) 및 투자자단말기(4000)는, 통신 수단으로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와 통신 접속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가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프로그램 또는 클라우드컴퓨팅프로그램이 출력 또는 실행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이 탑재되어 있는,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컴퓨터, 태블릿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휴대전화단말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지원기관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원기관컴퓨터(6000)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용 관련 정책을 수행하고 관련 예산을 관장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과 제휴하여 해당 연도의 관련 예산 중 지원 가능 예산 정보를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제공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로부터 지원금 투입 효과 정보를 제공받는 고용지원기관컴퓨터(6100)와; 도심권 등의 교통정체를 포함한 교통문제 개선을 위한 정책수행과 예산을 관장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과 제휴하여 해당 연도의 관련 예산 중 지원 가능 예산 정보를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제공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로부터 지원금 투입 효과 정보를 제공받는 교통지원기관컴퓨터(6200)와; 도심권 등의 대기 오염 등의 환경문제 개선을 위한 정책을 수행과 관련 예산을 관장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과 제휴하여 해당 연도의 관련 예산 중 지원 가능 예산 정보를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에 제공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1000)로부터 지원금 투입 효과 정보를 제공받는 환경지원기관컴퓨터(6300)와; 투자금 지원을 받은 기업의 설정된 투자 기간의 경과후 재투자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전문가 집단인 경영컨설팅 또는 경영분석기관에 의뢰를 하여 경영분석 결과를 기초로 재투자 등의 결정을 하도록 지원하는 경영분석지원기관컴퓨터(64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 중 주요부인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시스템을 이용하여 근무형태의 변경을 통한 고용투자유치를 신청하는 신청기업이 종전의 무교대(오전 09:00 출근~오후 18:00 퇴근) 근무형태를 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의 근무형태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신청 기업이 근무형태, 추가 고용인원수 및 추가 소요자금 등을 임의로 설정하여 신청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에 의해서 생성된 근무형태 및 수반되는 요건을 따르는 것이 유효하다. 도 7의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은 상술한 본 출원인의 특허번호 10-2045540호의 특허발명을 차용하여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신청 기업은 도 7의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을 활용하여 산출된 결과를 제공되는 근무형태 및 고용 관련 정보를 채택하거나, 참고하여 정하는 것이 좋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은, 집단지성수렴에 의해 설정된 근무형태를 통한 고용창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5000)을 이하에서 "고용창출시스템"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고용창출시스템은,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에 관하여 고용창출을 위한 최적화를 수행하기 위한 관리컴퓨터(10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의 요청에 의해 4조2교대 도입 및 고용확대율 등의 집단지성을 수렴하여 상기 관리컴퓨터(100)에 제공하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과; 상기 관리컴퓨터의 요청에 의해 기업의 경쟁사 대비 과도한 임금 수준 등의 비합리적 비용을 재평가하여 최적화시키는 수치결정시스템(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참고로 집단지성시스템은 본 출원인의 특허번호 제10-1804960호(등록일: 2017년11월29일)의 집단지성 수렴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등록된 특허발명이다.
상기 관리컴퓨터(100)는,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있어서, 하루 24시간 중 인간의 수면에 필요한 최소시간(예를 들면, 6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최대 18시간)을 2교대로 운영하여 인력을 분산시키거나 주중(원,화,수,목)조와 주말(금,토,일)조로 인력을 분산시키되 기업의 하루 가동시간을 기존 근무형태의 1.5배 내지 2배 정도 증가시켜 고용을 증가시키면서 동시에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집단지성시스템(200)은, 상기 관리컴퓨터(100)에서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 여부,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시에 조편성의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의 최적화를 통한 고용확대율, 수치결정시스템의 보상 결정에 관하여 관련 배경지식을 기초로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의견제시를 수렴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상기 관리컴퓨터(100) 및 수치결정시스템(300)에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수치결정시스템(300)은 4조2교대 근무형태를 도입하여 이를 최적화시키는 관리컴퓨터(100)의 최적화 과정에서 필요한, 기업이 경쟁사 대비 과도한 임금 수준 등의 각종 비합리적인 비용을 재평가함에 있어서,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에 안건을 제공하고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이 관련 배경지식을 기초로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상기 수치결정시스템(300)에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최적화된 비용 정보를 상기 관리컴퓨터(10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 8은 고용창출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관리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단지성수렴에 의해 설정된 근무형태를 통한 고용창출 시스템의 관리컴퓨터(100)는, 4조2교대 근무형태와 관련된 의견 취합 항목을 설정하고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수렴된 의견을 관리하기 위한 의견수렴정보관리부(110)와; 4조2교대 근무형태의 참여 인원의 오전 및 오후조, 주중 및 주말조의 비율을 설정하고, 도입 초반 주중 오전조의 비율이 높고 주말조의 비율이 낮은 점을 감안하여 오전 주중조의 비율을 단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조편성정보관리부(120)와; 교대근무의 필요성은 인정하나 초기 4조2교대 근무형태를 당장 도입하기 어려운 기업 상황을 감안하여 투입인원을 과도기적으로 2조2교대 근무형태로 설정하여 관리하기 위한 과도기정보관리부(130)와; 4조2교대의 도입으로 생산량의 증가, 근무 스페이스의 여유 등의 요인이 발생할 경우 경감되는 기업의 비용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업비용정보관리부(140)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을 이용하여 4조2교대 근무형태를 최적화하여 증가되는 고용인원 정보를 포함하는 고용확대율 등을 수치결정시스템(300)을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고용창출정보관리부(150)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을 이용하여 4조2교대 근무형태를 최적화시켰을 때 발생되는 고용창출, 기업비용 저감 등의 결과를 분석하여 관리하기 위한 결과분석정보관리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컴퓨터(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리컴퓨터(100)에서 처리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고용창출데이터저장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9는 도 8의 고용창출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은, 공개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서는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참여자들의 찬반의견과 이에 대한 점수를 제시하는 구성이나, 여기서의 공개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집단지성수렴에 의해 설정된 근무형태를 통한 고용창출 시스템에 활용함에 있어서, 공개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서는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참여자들의 찬반의견과 참여자가 제시할 수 있는 수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치는 안건의 항목별로 제시할 수 있는 수치의 범위가 미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은, 안건에 관한 집단지성의 수렴데이터를 도출해내기 위해 참여하는 단말기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수집하기 위한 수렴관리컴퓨터(210)와; 상기 수렴관리컴퓨터(210)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제시된 안건에 관한 전문가들이 입력하는 전문가의견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단말기(240)와; 상기 수렴관리컴퓨터(210)에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참여자들이 제시된 안건에 관한 전문가들의 전문가의견데이터를 열람하고 전문가의견에 관한 참여자의견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단말기(250)와; 상기 수렴관리컴퓨터(21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으로 접속하고 상기 전문가단말기(240) 및 참여자단말기(250)에 집단지성을 수렴하기 위해 제공되는 데이터, 상기 전문가의견데이터 및 참여자의견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220)와; 상기 수렴관리컴퓨터(21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으로 접속하고 전문가 회원들의 정보 및 참여자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회원정보저장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0은 도 9의 집단지성수렴시스템 중 주요부인 수렴관리컴퓨터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렴관리컴퓨터(210)는, 제시된 안건에 관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전송시킨 찬성 또는 반대에 관한 의견, 그 의견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 및 설명 등의 전문가의견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전문가의견관리부(211)와; 상기 전문가의견관리부(211)가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의견데이터를 참여자들에게 제공하여 전문가의견데이터들을 찬성 및 반대에 관한 의견 각각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필수열람의견데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선택열람의견데이터로 구분하여 저장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들에게 저장된 찬성 및 반대에 관한 의견 각각에 관한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과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을 상기 안건에 관한 배경지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배경지식관리부(212)와; 상기 배경지식관리부(212)로부터 제공받은 찬성 및 반대에 관한 의견 각각에 관한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과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을 열람하고 입력한 동의 또는 비동의의 의사표시데이터 및, 상기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에 관한 수치데이터를 포함하는 집단지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참여데이터관리부(213)와; 상기 참여데이터관리부(213)에 저장된 상기 집단지성데이터를 기초로 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순위를 기초로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을 갱신시켜 상기 배경지식관리부(212)에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의견순위관리부(214)와; 상기 참가자 또는 참여자들의 소수의 동의를 받고 있지만 점수가 높은 의견에 대해서는 순위 상승 지위를 부여할 수 있는 소수의견관리부(215)와; 상기 참여자들이 상기 필수열람의견데이터들 및 선택열람의견데이터들을 열람하는 과정에서 의견들이 복잡하게 여러 가지가 상존하는 경우 해당의견이 어떤 맥락과 상황에서 나온 것인지에 대한 전후 상황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문과 전후의 1 단계씩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해 해당 의견데이터의 출처 및, 반론 또는 보완의견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의견이력관리부(216)와; 상기 참여데이터관리부(213)에 저장된 집단지성데이터를 기초로 설정된 형식의 보고서를 생성시켜 상기 안건을 제공한 관리컴퓨터(100)에게 제공하는 결과검증관리부(217)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1은 도 7의 고용창출시스템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수치결정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상기 고용창출시스템에서의 수치결정시스템(300)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과 연계하여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의 최적화를 통한 고용확대율 등의 특정 수치를 결정함에 있어서 집단지성수렴으로 최종 결정될 수치를 맞추는 참여자에게 보상을 실시하여, 객관성이 보증된 최종 수치를 도출하는 시스템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치결정시스템은, 상기 관리컴퓨터(l00)로부터 고용확대율 관련 수치 결정 안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에 의견 수렴 요청을 하여 그 결과를 관리하기 위한 의견수렴정보관리부(31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로부터 수신한 수치 결정 안건 데이터에 포함된 조작방지최소값정보 또는 자체 결정한 조작방지최소값정보를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에의 의견 수렴 요청시에 포함시켜 상기 집단지성수렴의견 수렴 결과치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작방지정보관리부(320)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에서 수렴될 최종 수치를 맞추는 참여자에게 소정의 보상을 실시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본보상정보관리부(33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가 자체 설정하여 자발적으로 이행하는 성과보상을 실시하고 상기 관리컴퓨터(100)에서의 성과보상 이행율과 그 신뢰도를 관리하는 성과보상정보관리부(340)와;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의 의견 수렴의 최종 수치와 관련하여 그 수치에 근접한 참여자들이 선정되고 선정된 참여자들에게 등수별로 보상액을 배당하는 배당정보관리부(350)와; 상기 관리컴퓨터(100)에 최종 결정된 수치를 제공하는 결과정보관리부(360)와; 상기 수치결정시스템(300)에 포함되어 있거나 통신수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수치결정시스템(300)에서 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치결정데이터저장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7 내지 도 11 및 이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활용되는 고용창출시스템의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기업의 기존 근무형태와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분석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업의 기존 근무형태는 예를 들어 근무 투입 인원을 100명을 기준으로 하고, 근무시간은 9시~18시(9시간), 근무요일은 월화수목금(주중) 5일간이고, 주말(토일)을 휴무이므로 1인당 주 45시간, 월 180시간으로 산출된다.
이에 대비되는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고용확대를 예상하여 근무 투입 인원을 148명으로 조별 근무투입비율은 균등(5:5)함을 목표로 하고, 근무는 주중(월화수목) 및 주말(금토일), 오전 및 오후에 근무하는 4조(A조, B조, C조, D조)가 주중과 주말 또는 오전과 오후의 2교대로 근무하는 형태이다. 오전조의 근무시간은 8~17시(9시간), 오후조의 근무시간은 17~25시(8시간)을 기준으로, 주중 오전조(A조) 37명, 주중 오후조(B조) 37명, 주말 오전조(C조) 37명 및 주말 오후조(D조) 37명으로 배치된다.
도 13은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특정 근무조에 대한 근무시간의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A조는 1주차에 주중 오전조(9시간*4일=36시간), 2주차에 주중 오후조(8시간*4일=32시간), 3주차에 주말 오전조(9시간*3일=27시간), 4주차에 주말 오후조(8시간*3일=24시간)으로 월간 근무시간이 총 119시간으로 산출된다.
즉, 기존의 근무형태에 비하여 4조2교대 근무형태가 적용되었을 경우, 근로자 1인당 월 근무시간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는 상기 고용창출시스템의 실시예에서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 여부를 위한 집단지성수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관리컴퓨터(100)가 특정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 여부에 관한 집단지성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서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으로 집단지성 의견을 요청한다. 이 경우, 의견 취합 항목으로, 4조2교대 근무형태 도입의 찬반의견, A, B, C, D 4개조 중 A조 비율(기업의 전체 투입인원 중 주중, 오전조가 차지하는 비율), 하루 가동 시간, A조의 근무 시작시간, A조의 시작 요일, 기업의 순이익 증가시 증가분에 대한 배당율(주주 및 경영진분, 근로자분)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컴퓨터(100)로부터 집단지성 의견을 요청 받은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은,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을 안건으로 하여 전문가의견을 기초로 배경지식을 도출하여 집단지성 의견제시자인 참여자들에게 제시한다.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찬성하는 경우의 배경지식으로, 예를 들면, 업무 트래픽 분산으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휴가시간 증가로 근로자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사무실 유지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하여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반대하는 경우의 배경지식으로, 예를 들면, 주말 내지 야간 근무로 인한 매출 향상이 불확실하고, 팀별 인원의 한계로 4개조의 구성이 어렵고, 고용확대시 인건비의 부담이 증가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의 배경지식과 아울러, 집단지성 결과를 수치로 확보하기 위해서, 의견취합항목에 대해 참여자가 제시할 수 있는 수치범위를 설정해줄 수 있다. 예를 들면,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찬성하는 경우, A조의 비율에 대한 찬성의견의 수치범위를 5~9로 설정할 수 있고, 하루 가동시간은 수치범위를 12~18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A조의 근무 시작시간을 6~10시로 수치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따라 기업의 순이익 증가시 증가분에 대한 의무적 배당율의 수치범위를 25%~50%로 성정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는 하나의 예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의 예에서, 집단지성수렴의 결과는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 여부는 "찬성", A조의 투입비율은 약 7, 하루 가동시간은 16시간, A조의 근무시작시간은 "8시", A조의 시작요일은 "월요일",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따라 기업의 순이익 증가시 증가분에 대한 의무적 배당율은, 주주 및 경영진은 "33.33%", 근로자는 "35%"로 수렴되었다.
도 15는 상기 고용창출시스템의 실시예에서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따른 고용확대율 결정을 위한 집단지성수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관리컴퓨터(100)로부터 집단지성 의견을 요청 받은 집단지성수렴시스템(200)은,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에 따른 고용확대율 의견 수렴을 안건으로 하여 전문가의견을 기초로 배경지식을 도출하여 집단지성 의견제시자인 참여자들에게 제시한다. 고용확대에 찬성하는 경우의 배경지식으로, 예를 들면, 최근 3개년도 매출이 지속적으로 향상되었고, 작년 당기 순이익이 50% 증가했고, 인사 적체 개선에 기여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고용확대에 반대하는 경우의 배경지식으로, 예를 들면, 소비 감소추세가 지속되었고, 수출관련 대외 환경이 불리하게 되었고, 동종 업종의 전체 매출이 하강 국면이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의 배경지식과 아울러, 집단지성 결과를 수치로 확보하기 위해서, 의견취합항목에 대해 참여자가 제시할 수 있는 수 있는 수치범위를 설정해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용확대에 찬성하는 경우, 고용확대율의 수치범위를 1% ~ 100%로 설정할 수 있고, 고용확대에 반대(고용축소)하는 경우, 고용확대율의 수치범위를 -50% ~ -1%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치범위는 하나의 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의 예에서, 찬성 의견의 평균값에서 소수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고용확대율의 수렴 값은 약 16%로 나타난다.
도 16은 기업의 4조2교대 근무형태의 조별 투입인원 비율의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최종 목표비율은 오전조 및 오후조의 비율을 5:5, 주중조 및 주말조의 비율을 5:5로 설정하는 것이지만, 이는 시스템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그러므로, 그 비율 설정을 단계별로 설정해 놓고,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수렴의견을 취합하여 적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오전조 및 오후조의 비율을 8:2, 주중조 및 주말조의 비율을 8:2로 설정되는 경우, 전제 투입인원 100명일 경우의 A, B, C, D조의 인원배정이 64, 16, 16, 4명으로 설정된다. 또한, 전제 투입인원 목표를 148명으로 할 경우의 A, B, C, D조의 인원배정이 94, 24, 24, 6명으로 설정된다.
또한, 오전조 및 오후조의 비율을 7:3, 주중조 및 주말조의 비율을 7:3으로 설정되는 경우, 전제 투입인원 100명일 경우의 A, B, C, D조의 인원배정이 49, 21, 21, 9명으로 설정된다. 또한, 전제 투입인원 목표를 148명으로 할 경우의 A, B, C, D조의 인원배정이 73, 31, 31, 13명으로 설정된다.
또한, 오전조 및 오후조의 비율을 6:4, 주중조 및 주말조의 비율을 6:4로 설정되는 경우, 전제 투입인원 100명일 경우의 A, B, C, D조의 인원배정이 36, 24, 24, 16명으로 설정된다. 또한, 전제 투입인원 목표를 148명으로 할 경우의 A, B, C, D조의 인원배정이 53, 36, 36, 23명으로 설정된다.
또한, 최종 목표인, 오전조 및 오후조의 비율을 5:5, 주중조 및 주말조의 비율을 5:5로 설정되는 경우, 전제 투입인원 100명일 경우의 A, B, C, D조의 인원배정이 25, 25, 25, 25명으로 설정된다. 또한, 전제 투입인원 목표를 148명으로 할 경우의 A, B, C, D조의 인원배정이 37, 37, 37, 37명으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조2교대 근무형태 도입 초반에는 A조 비율(주중 오전비율)이 높고 주말조 비율이 낮으므로, A조 비율을 단계적으로 낮춰가면서 궁극적으로는 각조의 비율을 동등하게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의 조별 투입인원 배정의 설정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설정 과정을 집단지성을 수렴하여 그에 따라서 적용시킴에 있다.
도 17은 상기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의견수렴을 적용한 결과의 고용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도 12 및 도 13에서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 및 이로 인한 고용확대에 대한 집단지성을 수렴한 결과를 설명하였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조2교대 근무형태, 전체 투입인원 100명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이에 관한 취합의견항목에 관한 집단지성수렴의 결과는, 4조2교대 찬반은 "찬성", 고용확대율은 "16%", A조(주중 오전조)의 비율은 "7", 하루 가동시간은 "16시간", A조의 근무시작시간은 "8시", 및 A조의 근무시작요일은 "월요일"로 나타났다.
기업의 전체 투입인원 100명 기준 4조2교대 근무형태에 대하여 상술한 집단지성수렴의 결과를 적용시키면, 고용확대율이 16%이므로 총 투입인원은 116명으로 되어 16명의 고용창출을 이룰 수 있고, 조별 인원 비율은 A조(주중 오전)의 비율이 7이므로, 주중 오전조와 오후조가 7:3, 주중 오전조와 주말 오전조가 7:3의 비율로 정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집단지성수렴 결과를 적용시킨 4조2교대 근무형태의 조별 배정은, 오전조 근무시간 8~16시(8시간), 오후조 근무시간 16~24시(8시간)이고, A조, B조, C조, D조의 인원 배정은 57명, 24명, 24명, 11명으로 설정된다.
도 18은 상기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의견수렴을 적용한 결과의 고용확대율의 최종수치 결정에 기여한 참여자에게의 보상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의한 고용확대율의 결정에 참여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집단지성으로 수렴할 최종수치(상기 예에서 고용확대율 최종 수렴값 16%)를 맞추는 참여자들에게 보상을 하는 시스템이다.
보상시스템은 기본보상과 성과보상으로 구분되고, 기본보상은 예를 들면 직전년도 매출액을 소정 비율(%)의 금액을 보상액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성과보상은 예를 들면 고용확대로 증가된 매출액의 소정 비율(%)의 금액을 보상액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예에서의 최종수렴수치 16%를 맞춘 참여자가 2명, 최종수렴수치 16%의 전후의 수치구간을 최종수렴수치 16%의 직전 수치구간이 15%이상~16%미만의 대상이 2명, 14%이상~15%미만의 대상이 3명, 최종수렴수치 16%의 직후 수치구간이 16%초과~17%이하의 대상이 1명, 17%초과~18%이하의 대상이 2명으로 나타난 경우, 예를 들면, 최종수렴수치 16%를 맞춘 참여자 2명에게 보상금의 50%를 배분하고, 종15d%이상~16%미만의 2명에게 보상금의 15%를 배분하고, 14%이상~15%미만의 3명에게 보상금의 10%를 배분하고, 16%초과~17%이하의 1명에게 보상금의 15%를 배분하고, 17%초과~18%이하의 2명에게 보상금의 10%를 배분할 수 있다.
또한, 최종수렴수치와 동일한 수치가 없는 경우 가장 근접한 수치를 최종수렴수치로 인정하여 보상금을 배분할 수 있다.
도 19는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의 의견 수렴 결과 고용확대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업에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 중 관리자 근무형태의 조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보완이 필요한 요소는 예를 들면, 관리자급 과다, 추가 고용된 근로자로 인한 비용 증가, 비합리적인 비용 발생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관리자급의 근무형태를 변경, 추가고용된 근로자를 한시적(매출(순이익)증가시 까지 ) 비정규직으로 채용 및 추가 고용된 근로자의 임금을 매출증가율(순이익)의 증가에 연계시키고, 비합리적인 비용 예를 들면 경쟁사 대비 과다한 임금 수준 등)과 관련해서는 수치결정시스템으로 보완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관리자를 예를 들면, 팀장, 상무 및 사장/부사장으로 가정할 때, 팀장의 근무형태는 하루 가동시간의 중간 시간대에 걸쳐서 근무하도록 설정하여 팀장급을 50% 까지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무급은 A조~C조의 중간요일에 걸쳐서 근무하도록 설정하여 상무급을 50%까지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장/부사장은 팀장 및 상무의 근무 시간대 중 중간 시간대에 근무하도록 설정하여, 사장과 부사장 2명만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4조2교대 근무형태의 도입과 최적화에 따라서 고용확대에 따라서 팀장, 부서장 등 관리자급 내지 임원급의 고위 간부의 경우 인건비 부담이 크므로, 2개조 이상으로 근무조를 운영하는 회사에서 관리자급 내지 임원급 인원의 근무를 2개조 근무시간의 중간시간(날짜)에 배치하여 관리자급 내지 임원급 인원의 신규 채용 없이 기존 인원을 활용하거나 추가 수요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4조2교대 근무형태를 채택하여 고용창출을 꾀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기업의 비용 증가부담의 보완수단으로서, 상술한 고용형태 및 임금결정 형태 외에도, 고용확대에 의해 발생되는 생산성 향상에 따른 생산 재료의 대량구매를 통한 재료비 절감을 꾀해서 기업의 영엽이익을 상승시킬 수 있고, 4조2교대 근무형태의 최적화를 통해 특정 시간대에 근무 인원이 감소하여 근무 스페이스의 축소로 임대료 감소 또는, 여유 스페이스에 대한 임대 등을 통한 수익 창출을 통해, 고용확대에 따른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을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임금 삭감 없는 고용확대시에 받을 수 있는 세제혜택을 통하여 순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4조2교대 근무형태를 채택하여, 근무조, 근무시간, 인원배치를 최적화시켜서, 임금의 삭감이 없는 고용확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조별 투입 인원수가 다른 경우의 조편성에 관하여는, 팀/부서 단위 조직으로 세분화된 현대기업에서 팀당 52명을 초과하는 경우는 출현되기 어려우므로, 팀/부서의 최대 인원을 52명(52명 초과시에는 52명 이하 단위로 팀을 나누어 적용)으로 가정할 때 주당 1명씩 순서대로 조를 변경해주면 최대 1년(52주) 경과시에 조별 인원 배정이 1순환되어 1년 이내에 조별 형평성 문제가 해결 될 수 있다.
또한,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기업의 특성상 주중/주말 구분이 없는 4조2교대 근무가 가능한 경우(주중/주말 구분없이 업무량이 비슷한 경우 등), 4개조가 각각 N일 근무하고 N일 휴식하는 방식으로 운용가능하며, 2번째주에 주야 교대만 하면 조별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고, 3번째주부터는 동일 패턴으로 반복시켜 조별 형평성을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기업에 따라서는 형편상 바로 4조2교대 근무형태를 채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서 기업이 4조2교대 근무형태를 채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 까지 과도기적으로 2조2교대 근무형태를 채택하되, 근무조, 조별 투입인원 및 근무시간을 최적화시켜 실시할 수 있다. 기존의 주중(월화수목금) 전체 근무, 주말(토일) 휴무의 근무형태에 비하여 2조2교대 근무형태로 주중조(월화수목) 및 주말조(금토일)로 하여 투입인원을 최적화할 경우, 업무집중도 향상으로 작업인원 축소영향보다 작업시간 확보 효과가 크게 작용하여 1인당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20은 4조2교대 근무형태 채택전에 과도기로서 2조2교대 근무형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조2교대 근무형태는, 인원 배치와 관련하여 조별인원이 같은 경우는 주중/주말, 오전조/오후조를 교대로 근무하도록 설정하고, 조별 인원이 다른 경우(예를 들면, 주중 오전조의 수요가 많은 경우)는 조를 고정해놓고 주단위로 근로자가 돌아가면서 각각의 조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공평한 조배정을 실현할 수 있다. 즉, 기업의 업무는 팀/부서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팀/부서 인원이 N명인 경우 N주 경과시에 모든 투입 인원이 1순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4조2교대 근무형태에서 주중과 주말의 구분이 없는 경우, 즉 주중/주말의 요일과 관계없이 업무량이 비슷할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는 4개조가 각각 N일 근무하고 N일 휴식을 하도록 설정하고, 2번째주에 오전조와 오후조가 교대를 하면 조별 형평성을 확보할 수 있고, 3주째부터는 같은 패턴으로 반복 수행하도록 설정한다.
도 21은 4조2교대 근무형태 채택 및 최적화를 통해 고용확대가 될 경우 기업의 비용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보완수단으로서의 수치결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수치결정시스템은 4조2교대 근무형태 채택 기업에서 임금수준 등 비합리적인 비용을 재평가하여 최적화시킴으로써 기업의 비용부담을 저감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치결정시스템은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활용하고, 집단지성수렴에 참여한 참여자들에게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치결정시스템은 고용확대율 등 특정수치를 결정함에 있어 보상시스템을 가동하여 최적의 수치를 수렴해가는 시스템으로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집단지성으로 수렴될 최종수치, 상기 예에서 고용확대율 최종수렴값 16%를 맞추는 참여자에게 보상을 실시하는 것을 기본원리로 하여 기본보상(기본배당금)과 성과보상(성과배당금)으로 구성된다. 참여자들은 가장 객관적인 의견으로 인정받고 있는 배경지식을 열람후 제반 사정을 종합하여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게 되는바, 참여자 본인이 생각하는 주관적인 수치를 제시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보상시스템을 고려하여 전체 참여자의 의견이 집단지성으로 수렴될 수치를 예측(예상)하여 의견(수치)을 제시하게 되므로 수렴된 수치의 객관성과 합리성이 보장되는 구성이다. 기본보상은 의뢰인이 시스템관리자에게 작업 의뢰시 일정금액을 예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성과보상은 의뢰인이 자체 설정하여 자발적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운영하되 성과달성 여부 등을 시스템에서 체크하여 의뢰인의 성과보상 이행율과 신뢰도를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것으로 운영된다.
한편 집단지성의견의 수렴과 관련하여 조작방지 시스템을 추가 운영한다. 즉, 의뢰인, 전문가, 참여자들의 의견수렴시 조작방지최소값(조작이 무력화될 수 있는 최소 참여인원수)을 설정하거나 입력하도록 하고 해당값에 도달시 결과물을 전달하거나 의뢰인 설정값 도달전이라도 집단지성으로 수렴된 조작방지값을 의뢰인이 수용하는 경우 결과물을 의뢰인에게 전달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구성이다.
조작방지 일반적인 대책으로 예를 들면, 의견수렴관련 인위적 조작행위 신고시 신고자가 받은 금원의 2배 보상, 특정안건 조작지시자가 같은 경우 신고자 최대 10명 선착순 보상, 보상금은 1인당 최대 100만원, 안건별 총액 1000만원 등으로 한도를 설정하여 운영할 수 있다.
수치결정시스템에서의 보상대상 선정과 관련하여 총 참여인원의 10%정도가 보상대상자가 될 수 있도록 수치 및 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치결정시스템에서 1등은 최종 수렴된 값을 맞춘 1명 또는 수명이 될 수 있으며 맞춘 인원이 없는 경우 가장 근접한 수치를 제시한 인원 1명 또는 수명을 1등으로 선정하고, 2등은 1등 수치 직전 및 직후 수치를 제시한 참여자(예: 총 참여중 약4% 비율), 3등은 2등 수치 직전 및 직후 수치를 제시한 참여자(예: 총 참여중 약6% 비율)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1등 선정은 전체 참여자 숫자를 감안하여 한자리숫자 범위 내에서 선정될 수 있도록 가격의 경우 원단위까지, 백분율의 경우 소수점 셋째~넷째 자리까지 시스템 이용자들이 입력하도록 설정하여 시스템을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등수별 참여자가 선정되면, 등수별로 금액을 분배하고 각 등수 배정액을 각 등수 총인원으로 나누어 1인당 분배액을 산정하고 해당금액을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대상자에게 배당할 수 있다.(성과배당금 배당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됨)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치결정시스템은, 4조2교대 근무형태 도입에 의해 최적 임금(연봉)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서 우선 해당 분야의 전문가 들이 배경지식으로서, 제시되는 임금수준의 의견에 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최소수치(의견 제시에 참여해야 하는 최소 인원의 수)를 복수개 제시하면, 상기 전문가들의 배경지식 및 조작방지최소수치 정보를 기초로 참여자들이 각각 임금수준과 조작방지최소수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참여자들의 임금수준 및 조작방지최소수치의 평균값(예에서, 연봉 88,900,000원, 조작방지최소수치 6천명)을 최종 수렴 의견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고용창출시스템의 더 구체적인 설명은 본 출원인의 특허번호 제10-20455040호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용창출, 생산성 향상 및 기업가치 상승 정보가 검증된 기업의 근무방식을 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로 변경을 하는 기업환경을 혁신하고자 할 때에, 이로 인해 발생되는 추가 고용인원의 인건비를 포함한 소요자금의 확보가 난제인 점을 감안하여,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해 투자유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기업의 기업환경 혁신을 통한 유리한 효과를 투자자들에게 정보로 제공하여 투자를 유치함과 동시에,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 효과의 검증된 정보를 고용정책 주관기관에 제공하여 고용확대에 따른 지원금을 지원받아, 기업환경의 혁신에 참여한 기업들이 소요자금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투자자들에게는 기업환경 혁신을 통한 매출 상승 등의 효과로 발생되는 배당금의 수익을 취하게 하고, 고용정책 주관기관 등에는 최소 비용으로 최대의 고용확대라는 효과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발명이다. 부수적인 효과로 기업의 근무방식을 2교대로 변경함으로써 기업들이 밀집된 지역에서는 교통정체문제가 해소되는 점과, 이로 인하여 대기 오염이 저감되어 환경문제가 해소되는 점에 교통정책 주관기관 및 환경정책 주관기관의 지원금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자유치 중 일반투자자들로부터의 투자금 조성은 P2P방식 또는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조합원들로부터 투자금을 모금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들의 투자금 손실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초기 투자 대상 기업을 선정함에 있어서 신청기업의 현황, 사업계획, 고용창출효과, 매출 내지 수익증대 효과 등을 분석하여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활용하여 투자 대상 기업으로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투자금중 일정비율(예: 5%)을 이자지급재원으로 적립(이자지급적립금)하여 투자자들에게 3개월 단위로 이자를 지급하며, 투자원금은 1년뒤 해당 기업에서 상환 받도록 한다. 이 경우 이자지급은 해당기업에서 매출 증가시 자체 부담할 수 있으며, 자체부담이 어려운 경우 이자지급적립금, 시스템상의 광고매출, 정부지원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자지급적립금과 별도로, 투자금중 일정비율(예: 5%)을 투자금의 손실을 보전해주는 비용으로 적립(투자손실적립금)할 수 있다.
또한, 투자금 지원(집행) 1년 경과후 투자성과에 대한 결과분석을 통해 계속투자 여부 등을 심사평가후 투자금 등에 대하여 정산할 수 있다.
또한, 고용증가에따른 매출 내지 수익증대에 소정의 성과가 있을 경우 지원받은 해당 기업의 자체부담으로 지원받은 투자금 원금을 상환하도록 한다.
또한, 소정의 성과가 없을 경우, 문제점을 분석하여 현 사업구조 하에서 보완을 통하여 개선이 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보완 및 수정하여 재시행, 즉 원금상환 기간을 1년 이상 연장하고 이자 등의 비용과 연장에 따른 원금상환부담을 이자지급적립금 및 정부지원금 등에서 지원해줄 수 있다.
또한, 문제점 분석은 해당 기업이 자체적으로 할 수도 있고, 고용전문가 내지 경영컨설팅 업체와 제휴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며, 문제점 분석후 보완 및 수정된 내용으로 재시행함에 있어 최종 진행여부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으로 다시 검증받아 가결된 경우 재시행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성과가 없을 경우, 문제분석 후 현 사업구조 하에서 개선이 어렵거나 고용증가에 따른 매출증대효과가 거의 없는 경우, 경영분석지원기관에 경영컨설팅을 의뢰하여 기업구조조정, 체질개선작업 등을 통하여 개선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거듭나게 하거나 시장성이 없는 경우 업종전환 등을 통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기업구조개선안을 고용전문가, 경영컨설팅 업체,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업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기업구조개선안의 최종 진행여부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으로 다시 검증받아 가결된 경우 재시행할 수 있다. 다만, 정부지원금을 재원으로 개선안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정부기관의 의사에 따라 최종시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성과가 없을 경우의 투자금에 대한 정산관련, 투자금 손실액의 일정비율(예: 90%)을 투자손실적립금, 정부지원금, 광고매출 등에 따른 시스템 자체 재원 등으로 보전해줄 수 있다. 이 경우 투자손실금의 대부분을 보전해줌으로써 투자금의 모집을 더욱 촉진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해 상품성이 개선되거나 업종전환 등을 통하여 시장성 있는 상품으로 새롭게 기업활동을 진행하게 됨으로써 해당기업의 지속적인 경영활동이 가능하게 되고,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상품과 서비스가 제공되는 한 그 상품과 서비스의 수요는 하루 24시간 중 특정 시간대에 국한되거나 제한되지 않거나 또는 일주일중 주중으로 국한되거나 제한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4조2교대 방식을 통한 추가고용에 대한 인력수요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상의 방법으로 투자금을 모집하여 초기 재원 조달, 1년 후 성과가 있는 경우 원금상환하고 성과가 미진한 경우 보완하여 계속 시행하거나 기업개선작업을 통하여 상품 및 서비스를 리뉴얼하는 과정을 통하여 기업 전반에 걸쳐 고용창출 동력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은 투자 대상 기업별 투자금 모집 현황을 실시간 자료로 공개하여 신청기업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을 적용했을 때의 고용창출 효과 및 투자에 관한 차등화된 배당율 정보를 리포트(AI 리포트)로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자유치 참여기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고용창출효과 및 투자금 모집 실시간 현황 및 투자에 대한 실시간 차등 배당율 정보의 리포트의 예시도이다.
도 22에서 알 수 있듯이 고용정책 주관기관에게는 참여기업들의 고용창출 효과를 인원수와 고용율로 제시하여 지원금을 쾌척하는데 도움을 주고, 투자자에게는 투자유치 금액의 초기 모집일수록 배당율이 높음을 보여주어 투자를 서두르게 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업환경의 혁신을 통한 투자유치 방법은, 투자운영컴퓨터가 적어도 하나의 참여기업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기업정보, 2교대로의 근무형태 변경 정보, 추가 고용인용 정보 및 소요 자금 투자유치 정보를 포함하는 투자유치신청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S10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신청기업들의 투자유치신청정보를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신청기업들의 최적화된 근무형태 및 이에 따른 추가 고용인원 및 추가 소요 자금 등의 최적화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S11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최적화 정보를 기초로 선정된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후보기업의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S12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후보기업의 정보를 집단지성수렴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기업의 선정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단계(S13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투자 대상 기업들의 투자유치신청정보 및 최적화 정보를 기초로 투자 대상 기업들의 투자유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생성된 투자유치정보를 투자기준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S15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로부터 투자 정보를 수신하여 투자 대상 기업과 연관지어 관리하는 단계(S16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 대상 기업별 설정된 자금의 투자유치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70)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유치가 완료된 투자 대상 기업에 투자금의 상환 기간 등의 조건을 지정하여 상기 설정된 자금을 지원하고 해당 기업의 상기 참여기업단말기로 투자금 지원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기업이 자체적으로 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로의 근무형태의 변경, 이로 인한 추가 고용인원 및 소요자금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에 투자유치를 신청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는 자체 수집한 기업정보를 기초로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의 지원을 받아 기업들이 근무형태를 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로 변경하여 기업환경을 혁신을 하였을 때, 최적화된 추가 고용인원 및 소요자금 정보를 산출하고, 이와 같은 기업환경의 혁신에 의해 생산성 향상, 매출상승 및 기업가치 상승 등의 수치정보를 자체 수집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출해서, 해당 기업들에 제공하고 기업환경의 혁신 및 이를 위한 투자유치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이 투자 대상 기업을 선정함에 있어서, 그 선정의 초점을 투자 손실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는 기업에 맞추어 집단지성을 수렴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투자금을 지원받은 기업이 투자금 상환 기간을 1년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 한 것이고, 기업 상황 또는 투자 상황에 따라서 그 기간을 달리 설정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는 투자자들의 투자금에서 또는 지원기관의 지원금에서 일정 비율의 금액을 이자지급적립금으로 적립시키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에서 상기 투자자들에게의 이자지급 시기가 도래했는지를 투자 기업과 연계하여 투자자별로 확인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이자지급 시기가 도래한 투자자들에게 상기 이자지급적립금에서 산출된 이자를 지급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는 투자자들의 투자금에서 또는 지원기관의 지원금에서 일정 비율의 금액을 투자손실보전금으로 적립시키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금을 지원한 기업의 투자금 상환 및 배당금 지급 시기가 도래하기 전에 기업현황을 제공받거나 분석하여 기업의 투자금 상환 및 배당금 지급 능력을 확인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기업의 투자원금 상환 및 배당금 지급 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투자운영컴퓨터에서 상기 투자자들에게의 투자 원금 및 배당금의 지급 시기가 도래했는지를 투자 기업과 연계하여 투자자별로 확인하여;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 원금 및 배당금의 지급 시기가 도래한 투자자들에게 상기 투자손실보전금에서 산출된 비율의 투자금을 지급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금 지원을 받은 기업과 관련하여 설정된 기간이 도래하면 해당 기업으로부터 기업현황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기업현황 정보를 경영분석컴퓨터 또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으로 전송하여 해당 기업의 투자 성과 분석 또는 투자 성과 분석을 위한 집단지성 수렴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경영분석컴퓨터 또는 집단지성수렴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해당 기업의 투자 성과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기업에 관한 투자 계속 수행 또는 투자금 상환을 결정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자 계속 수행 결정에는 해당 기업의 투자 성과가 긍정적이고 투자자의 투자계속 의사가 적용된 경우와, 투자 성과가 긍정적이지 않지만 경영컨설팅을 통하여 계속 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결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투자운영컴퓨터가 기업들로부터 투자유치 신청을 받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투자유치 신청을 한 기업들의 기업들의 기업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자들이 제공한 투자금을 상기 투자 대상 기업들에게 지원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 시점에 시점에 따라서 투자자들에게 차등화된 배당금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의 투자유치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업의 4조2교대 또는 2조2교대의 근무형태로 변경하는 기업환경의 혁신을 조건으로 기업환경의 최적화를 통해 소요자금의 투자유치를 신청하는 기업에 대해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활용하여 투자 대상 기업을 선정하여, 투자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투자자들의 투자를 유치하여 모집된 투자금, 또는 투자금의 부족분 또는 미리 설정된 금액을 고용정책, 교통정책 또는 환경정책의 주관기관으로부터의 지원금으로 투자 대상 기업에 소요자금을 지원하여, 기업에게는 생산성 향상에 의한 매출상승, 기업가치 상승 및 기업환경의 최적화 조건을 제공하고, 투자자들에게는 투자 대상 기업의 선정을 집단지성수렴시스템을 활용하여 수행함으로써 투자 손실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투자 수익을 취하게 하고, 고용정책 주관기관 등의 지원기관에는 최소의 지원금 투자로 최대의 정책 효과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1000: 투자운영컴퓨터
2000: 데이터저장컴퓨터
3000: 참여기업단말기
4000: 투자자단말기
5000: 기업환경최적화시스템
6000: 지원기관컴퓨터

Claims (5)

  1. 투자유치를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기업단말기에 출력되어 실행되는 투자유치수단과 투자유치 기업에의 투자를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투자자단말기에 출력되어 실행되는 투자수단과 상기 참여기업단말기 및 투자자단말기에 접속되어 투자유치 및 투자를 관리하는 투자운영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는 상기 투자자단말기의 투자수단에 투자 및 배당 기준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투자 및 배당 기준은 투자자들의 투자 시점에 따라 배당율이 다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유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자유치금액을 2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투자유치금액 구간 중 선행하는 금액 구간에 대한 투자 배당 비율이 후행하는 금액 구간에 대한 배당 비율보다 높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유치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자유치금액의 분할된 구간은, 최소 투자금액부터 1차로 설정한 금액까지, 이어서 1차로 설정한 금액 이상부터 2차로 설정한 금액까지로 구간을 분할하되 총 투자유치금액까지 소정 수의 구간으로 이어서 분할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유치시스템.
  4. 투자운영컴퓨터가 기업들로부터 투자유치 신청을 받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상기 투자유치 신청을 한 기업들의 기업정보, 투자 및 배당 기준의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투자운영컴퓨터가 투자자들이 제공한 투자금을 투자 대상 기업들에게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자들에게 제공되는 투자 및 배당 기준의 정보는,
    상기 투자자들의 투자 시점에 따른 투자 수익의 차별화된 배당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운영컴퓨터는 투자시기가 빠른 투자에 대해서 배당율을 높게 책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유치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투자자들의 투자 시점을 기초로 배당 기준을 달리 설정되되, 상기 투자유치 신청을 한 기업이 투자유치금액을 포함한 최대 배당율 한도를 설정하고, 상기 투자유치금액을 2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투자유치금액 구간 중 선행하는 금액 구간에 대한 투자 배당 비율이 후행하는 금액 구간에 대한 배당 비율보다 높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자유치방법.
KR1020200160893A 2020-01-06 2020-11-26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8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893A KR20210088415A (ko) 2020-01-06 2020-11-26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184A KR102195052B1 (ko) 2020-01-06 2020-01-06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00160893A KR20210088415A (ko) 2020-01-06 2020-11-26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84A Division KR102195052B1 (ko) 2020-01-06 2020-01-06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415A true KR20210088415A (ko) 2021-07-14

Family

ID=740874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84A KR102195052B1 (ko) 2020-01-06 2020-01-06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00160893A KR20210088415A (ko) 2020-01-06 2020-11-26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184A KR102195052B1 (ko) 2020-01-06 2020-01-06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102195052B1 (ko)
DE (1) DE112020006013T5 (ko)
GB (1) GB2606303A (ko)
WO (1) WO2021141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52B1 (ko) * 2020-01-06 2020-12-24 윤성민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458A (ko) 2000-12-11 2002-06-19 김현철 투자 중개 방법
KR20160141954A (ko) 2015-06-02 2016-12-12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045540B1 (ko) 2018-08-28 2019-11-15 윤성민 집단지성수렴에 의해 설정된 근무형태를 통한 고용창출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040B1 (ko) 2002-06-26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라디우스 서버 식별 방법
KR101212235B1 (ko) * 2010-12-27 2012-12-13 주식회사 신한은행 채용 지원을 위한 금융 서비스 방법 및 금융 서버
KR101804960B1 (ko) 2017-06-08 2017-12-06 윤성민 집단지성 수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9038A (ko) * 2017-11-01 2019-05-09 임종범 가상 화폐를 이용한 투자 시스템 및 방법
KR102210617B1 (ko) * 2019-08-07 2021-02-02 주식회사 에스브이 가상 화폐 투자 및 분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95052B1 (ko) * 2020-01-06 2020-12-24 윤성민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458A (ko) 2000-12-11 2002-06-19 김현철 투자 중개 방법
KR20160141954A (ko) 2015-06-02 2016-12-12 오픈트레이드 주식회사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045540B1 (ko) 2018-08-28 2019-11-15 윤성민 집단지성수렴에 의해 설정된 근무형태를 통한 고용창출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606303A (en) 2022-11-02
KR102195052B1 (ko) 2020-12-24
WO2021141314A1 (ko) 2021-07-15
DE112020006013T5 (de) 2022-09-22
GB202209927D0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acy An empirical test of an asymmetric information model of strikes
Szulanski 3 Appropriability and the Challenge of Scope: Banc One Routinizes 25
Svejnar Labor markets in the transitional Central and East European economies
Boddy Local economic and employment strategies
Trapeznikova Employment adjustment and labor utilization
US200200292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ource allocation
Moberly New Directions in worker particip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JP7129547B2 (ja) 集団的知性収斂によって設定された勤務形態を通じての雇用創出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210088415A (ko) 투자유치 시스템 및 그 방법
Vasile Romania: A country under permanent public sector reform
Mosley et al. The reorganization of labor market policy: further training for the unemployed in the United Kingdom
KR20230065202A (ko) 집단지성수렴에 의해 설정된 근무형태를 통한 고용창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86468A (ko) 근무형태 변경을 통한 사회문제 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Farell Danés et al. L’Evocative. Creation of a digital marketing agency based on Instagram Chatbots
CA2544691A1 (en) Asset allocation, rebalancing, and investment management system
Susanti et al. Implementation Model of Equity Participation in Regional Development Banks in Indonesia
Curagău et al. The process of capital migration of groups of companies on a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accountind and fiscal aspects
Shultana Recruitments and selection process of Al-Arafah Islami Bank Limited (AIBL)
Johnson Investigation of Alternatives to Effort Reporting for the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PAVLIKOVA IMPACT OF THE COVID-19 CRISIS ON PUBLIC FINANCES
Nakamura et al. New Approaches to Public Income Support in Canada
Wheaton et al. TANF and Related Administrative Data Project Final Evaluation Report
Galassi Essays in labor economics and public policy
TENGFEI RESEARCH ON COST CONTROL OF PRIVATE PHARMACEUTICAL ENTERPRISES TAKE X MEDICINE COMPANYAS AN EXAMPLE
Ismajili Impact of civil servant salaries on the performance of local public administration in Koso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20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921

Effective date: 2023113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