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925B1 -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925B1
KR102181925B1 KR1020190079392A KR20190079392A KR102181925B1 KR 102181925 B1 KR102181925 B1 KR 102181925B1 KR 1020190079392 A KR1020190079392 A KR 1020190079392A KR 20190079392 A KR20190079392 A KR 20190079392A KR 102181925 B1 KR102181925 B1 KR 102181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nd
product
user
repaym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한철
Original Assignee
임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한철 filed Critical 임한철
Priority to KR102019007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1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solving equations, e.g. nonlinear equations, general mathematical optimization probl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6Parsing using statistical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상품 공급자 및 상품 공급자가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판매 관리모듈; 상품 판매창을 통해 상기 상품을 디스플레이하여 온라인 상품 판매를 수행하는 상품 판매 모듈; 상기 상품을 구매한 유저의 구매 확정 시 상기 유저에게 상품가격에 비례하여 책정된 재화를 근거로 한 배당금을 배당받을 수 있는 배당자격을 부여하는 배당자격 관리모듈; 배당자격을 부여받은 유저의 배당 신청을 받아 상기 유저에게 상기 배당금을 배당 처리하는 배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을 구매한 유저에게 배당자격을 부여하여 상품 판매 수익에 대한 배당금을 지급함으로써 유저의 구매 욕구를 더욱 향상시켜 판매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MANAGEMENT SYSTEM BASED DISTRIBUTING PROFITS FOR USER}
본 발명은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을 구매한 유저에게 배당자격을 부여하여 상품 판매 수익에 대한 배당금을 지급함으로써 유저의 구매 욕구를 더욱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상품 판매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먼저, 배당(配當, dividend)이란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 소유 지분에 따라 기업이 이윤의 일부를 분배하는 것으로서, 기업 즉 회사는 영업 활동을 통해 이익이 발생하면 그 이익을 주주들에게 배분하는 것이 원칙이다.
여기서, 이윤을 분배하는 수단으로는 현금(일반적으로 은행 계좌의 입금) 또는 주식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당 제도는 기업의 원활한 운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투자자는 기업의 이윤 발생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이러한 배당을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유저가 쇼핑몰을 통해 쇼핑하는 것을 일종의 투자로 인식하여 이 투자를 통해 쇼핑몰이 수익을 창출할 경우 이러한 쇼핑몰의 수익을 분배받도록 하는 원리와 개념을 의미한다.
이때, 배당 시스템을 적용한 쇼핑몰과 관련하여 한국 공개 특허 제 2003-0086721호(발명의 명칭 : 배당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상품판매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판매가의 일정액을 구매자에게 돌려주는 컴퓨터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구매정보를 서버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구매정보 중 판매된 상품수량을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카운터된 숫자가 상품에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일정액을 구매자에게 환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에 설정된 조건은 적정수량과 적정일자를 포함하여, 먼저 카운터 숫자와 적정수량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정일자를 비교연산하여 할인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당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배당을 이용하여 쇼핑몰을 운영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할인율을 적용하고 그 이익의 일부를 배당함으로써 판매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쇼핑몰의 최저가 상품에 비해 가격이 높아 판매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 최저가의 가격으로 판매를 하며 유저가 상품을 구매했을 경우 배당자격을 부여하여 배당금을 지급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 상품을 구매한 유저에게 배당자격을 부여하여 상품 판매 수익에 대한 배당금을 지급함으로써 유저의 구매 욕구를 더욱 향상시켜 판매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매 상품에 대하여 다른 온라인 상품 쇼핑몰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을 경우 이에 대한 패널티를 부여함으로써 유저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판매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저에게 배당금을 선지급함으로써 유저의 신뢰도 및 쇼핑몰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상품 공급자 및 상품 공급자가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판매 관리모듈; 상품 판매창을 통해 상기 상품을 디스플레이하여 온라인 상품 판매를 수행하는 상품 판매 모듈; 상기 상품을 구매한 유저의 구매 확정 시 상기 유저에게 상품가격에 비례하여 책정된 재화를 근거로 한 배당금을 배당받을 수 있는 배당자격을 부여하는 배당자격 관리모듈; 배당자격을 부여받은 유저의 배당 신청을 받아 상기 유저에게 상기 배당금을 배당 처리하는 배당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품판매 관리모듈은,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다른 온라인 상품 쇼핑몰의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것으로 유저로부터 신고가 접수된 경우 해당 상품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품절 처리하는 품절 처리부 및, 상기 상품 공급자가 품절 처리된 상품을 최저가로 조절할 시, 기준 시간 이내 해당 상품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최저가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상품판매 관리모듈은, 상품 별로 온라인 상품 판매 사이트의 최저가를 검색하는 최저가 검색부와, 상기 최저가 검색부에서 검색한 최저가를 기준으로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상기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상태로 특정 시간동안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창에서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최저가 관리부 및, 상기 최저가 검색부에서 검색한 최저가를 기준으로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상기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상태로 특정 회수로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공급자에게 패널티를 부여하는 패널티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배당자격 관리모듈은, 상품 가격의 오름차순 별로 상기 재화 등급을 설정하는 재화등급 설정부와, 상기 재화 등급 별로 배당자격을 차등적으로 처리하는 배당자격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당 모듈은, 일정 기간 별로 상기 쇼핑몰의 수익을 산출하는 쇼핑몰 수익 산출부와, 상기 유저의 상기 배당자격에 따른 상기 재화 등급에 따라 상기 쇼핑몰 수익을 분배한 금액을 배당금으로 배당 처리하는 분배 배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의하면,
1) 상품을 구매한 유저에게 배당자격을 부여하여 상품 판매 수익에 대한 배당금을 지급함으로써 유저의 구매 욕구를 더욱 향상시켜 판매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2) 다른 온라인 상품 쇼핑몰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을 경우 이에 대한 패널티를 부여함으로써 유저와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판매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3) 유저에게 배당금을 선지급함으로써 유저의 신뢰도 및 쇼핑몰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저의 배당자격 신청에 대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당금의 선지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지급 관리모듈에서 배당금으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개별 요소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유저라 함은 단말(유저 단말)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1)과 연동되는 하드웨어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내지 모바일 사이트를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상품을 조회 및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유저의 단말은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이 가능하며 유저의 단말은 본 시스템(1)을 구동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온라인 홈페이지 접속이 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더하여, 유저가 시스템(1)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배당금을 지급받기 위해서 유저는 후술하겠지만 결제 수단 및 계좌 정보를 시스템(1)에서 제공하는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스템 서버라 함은 본 발명의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1) 자체 내지 본 발명의 시스템(1)을 운영하기 위한 기본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서버로서, CPU와 같은 연산 처리 수단 및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 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통신부를 매개로 연산 처리 수단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의 구성 및 기능이 후술할 세부 모듈이 된다.
이러한 시스템 서버는 상품판매를 수행하는 온라인 공간, 즉 쇼핑몰을 특정한 웹/앱 사이트로 구현하여 이를 관리하는데, 이를 위해 시스템 서버는 상품 공급자, 회원의 정보 및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DB서버 및 쇼핑몰인 웹/앱 사이트의 기본적인 운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유저와 시스템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1)의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유저의 배당자격 신청에 대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1)은 시스템 서버의 CPU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품 판매 관리모듈(110), 상품 판매 모듈(120), 배당자격 관리모듈(130), 배당 모듈(140)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품판매 관리모듈(110)은 상품 공급자 및 상품 공급자가 판매할 상품을 시스템 서버(또는 DB 서버) 내지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에 별도로 구비된 저장 공간에 등록하는 것으로서, 상품을 공급자 즉, 상품 공급자의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품 공급자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이미지, 가격 등의 정보를 시스템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1) 내의 상품 공급자는 여러 명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shop in shop(매장 안에 또 다른 매장을 만들어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의 형태로 상품이 판매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또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앱 사이트에 대한 쇼핑몰)을 통해 판매될 수 있는 상품은 기본적으로 온라인 판매가 가능한 모든 카테고리의 상품일 수 있으며, 모든 상품은 온라인 최저가로만 상품판매 관리모듈(110)에 등록이 가능한 것을 바탕으로 한다.
또한, 상품판매 관리모듈(110)은 상품 공급자가 등록한 상품 가격이 다른 경쟁상품의 가격과 비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쇼핑몰 사이트에서 경쟁상품의 가격을 검색하는 봇(bot) 기능을 구비한 최저가 검색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더하여, 상품의 가격을 포함한 정보는 상술한 상품판매 관리모듈(110)에 등록한 뒤에도 상품 공급자에 의해서 수정이 가능하며, 수정 시 일정 기간(예를 들어, 일주일 또는 10일) 동안 품절 처리될 수도 있다.
상품 판매 모듈(120)은 앞서 언급한 웹/앱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창을 통해 상기 상품을 디스플레이하여 온라인 상품 판매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품판매 관리모듈을 통해 등록된 상품의 이미지, 가격 등의 정보를 판매창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유저는 이를 확인하여 상품의 선택 및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판매 모듈(120)은 시스템 서버에 등록된 유저의 결제 수단 및 계좌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결제 또는 기타 결제 수단을 매개로 상품에 대한 구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상품 판매모듈(120)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은 현재 공지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상품 판매 기능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배당자격 관리모듈(130)은 상기 상품을 구매한 유저의 구매 확정 시 상기 유저에게 상품가격에 비례하여 책정된 재화를 배당받을 수 있는 배당자격을 부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때, 유저의 구매 확정의 기준은 유저가 구매한 상품을 유저가 수령한 뒤 이를 확인한 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구매가 확정되게 되면 배당자격 관리모듈은 유저에게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있다고 자격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재화라 함은 유저가 배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유저가 구매한 상품의 금액에 비례하여 책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재화는 예시적으로 포인트, 사이버머니와 같은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재화를 기준으로 배당금을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재화가 1일 경우 이에 대한 배당금 역시 1일 수 있고 재회가 10일 경우 배당금은 5로 책정되는 것이 가능한데, 다시 말해 재화량의 고저에 따라 배당금이 비례 책정이 된다.
더불어, 이러한 재화 또는 배당금을 배당받을 수 있는 자격을 본 발명에서는 '배당자격'이라 하는데, 이러한 배당자격은 배당금을 배당받는 자격요건이 되는 것은 물론 배당받는 회수를 결정하는 정량적 의미와 배당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정성적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정량적 의미의 예로서, 배당자격이 3번인 경우 3번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정성적 의미의 예로서는 배당자격이 A1 등급으로 책정된 경우에는 가령 A2 등급보다 OOO원(또는 OO%)이 할증된 배당금을 더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배당 모듈(140)은 배당자격을 부여받은 유저의 배당 신청을 받아 상기 유저에게 상기 배당자격에 해당되는 배당금을 배당 처리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배당자격 관리모듈에 의해 배당자격을 부여받은 유저를 대상으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배당 모듈에서 배당 기능은 공지의 온라인 송금 처리, 적립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배당 모듈(140)에서 배당 처리하는 기준을 예시하면, 상품을 구매한 고객에게 상품가격에 비례하여 높은 금액의 배당금을 지급하되 배당 처리는 상품 구매 시점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을 정해두어 그 기간에 한 번씩 배당/지급하는 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배당금의 배당 처리는 시스템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의 계좌를 통해 지급하거나 포인트 제도를 도입하여 후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포인트(앞서 언급한 재화의 한 예)로서 이를 지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포인트 지급에 대하여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어느 상품의 가격이 원가와 기타 수수료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유저가 어느 상품을 구매하게 되면 쇼핑몰은 원가를 제외한 기타 수수료를 포인트로서 유저에게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포인트의 지급은 무조건 상품의 가격에 비례하여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상품의 가격 대비 원가의 비율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및 기능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품을 구매한 유저에게 일정한 배당자격 및 배당금을 환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유저의 상품 구매 촉진은 물론 상품 판매에 따른 이익을 유저와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특성을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다른 유저와 배당의 자격을 공유하여 쇼핑몰로부터 지급되는 배당금을 분배받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배당 모듈에는 필요시 다양한 기능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상품판매 관리모듈(110)은 품절 처리부(111), 최저가 조정부(112)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온라인 최저가 판매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저와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다.
품절 처리부(111)는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다른 온라인 상품 쇼핑몰의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것으로 유저로부터 신고가 접수된 경우 해당 상품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품절 처리하는 것으로서, 자체적으로 상술한 봇(bot)을 통해 최저가 검색 및 최저가 비교분석을 하는 자동 방식이 아니라 유저의 신고로부터 접수받아 처리하는 수동 방식의 최저가 검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일정 비율 및 품절 처리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시스템(1) 상에 등록되어 있는 A 라는 상품이 존재한다고 할 때, 동일 상품에 대한 온라인 최저가가 5% 이상 낮을 경우 유저는 이를 품절 처리부(111)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온라인 창을 통해 신고할 수 있으며, 이후 품절 처리부(111)는 A의 상품 공급자에게 이 내용을 전달하여 알린 후 상품 A를 즉각 품절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최저가 조정부(112)는 상기 상품 공급자가 품절 처리된 상품을 최저가로 조절할 시, 기준 시간 이내 해당 상품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상품 공급자가 상품의 가격을 온라인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지 않는 범위로 조정할 경우 상품을 재등록 처리하여 다시 판매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시간이라 함은 24시간 혹은 일주일 등의 기간이 될 수 있으며, 기준 시간 내에 상술한 범위로 가격을 조정하지 않으면,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하여 영구적으로 상품을 품절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품판매 관리모듈(110)은 최저가 검색부(113), 최저가 관리부(114), 패널티 처리부(115)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상술한 유저의 신고로 인한 수동적인 최저가 판매 유지에 더하여 자체적으로 상품의 최저가 판매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더욱 체계적인 최저가 유지 및 관리가 가능하고 유저보다 먼저 발견하여 상품의 가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유저와의 신뢰도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최저가 검색부(113)는 상품 별로 온라인 상품 판매 사이트의 최저가를 검색하는 것으로서, 시스템(1)에서 자체적으로 웹사이트 상에서 해당 상품의 가격을 검색하여 판매되는 상품의 최저가 유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봇(bot, 데이터를 찾아주는 소프트웨어 도구)을 이용하여 동일 상품의 가격 정보를 다른 여러 온라인 쇼핑몰에서 검색 및 비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저가 관리부(114)는 상기 최저가 검색부에서 검색한 최저가를 기준으로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상기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상태로 특정 시간동안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창에서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상술한 최저가 검색부(113)를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한 최저가를 가지는 상품을 검색한 뒤 품절 처리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가격의 범위보다 높게 개시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에 대한 시점 및 유지 기간을 파악하여 일종의 패널티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때, 일정 기간은 최저가 관리부(114)에서 상품 공급자에게 가격을 수정할 수 있도록 설정된 기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최저가 관리부(114)에서 일주일, 열흘 등의 기간으로 설정하여 이를 상품 공급자에게 공지할 수 있다. 이러한 최저가 관리부(114)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된 상품들은 영구적 혹은 가격의 수정 후 일정 기간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패널티 처리부(115)는 상기 최저가 검색부(113)에서 검색한 최저가를 기준으로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상기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상태로 특정 회수로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공급자에게 패널티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최저가 검색부(113) 및 최저가 관리부(114)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횟수, 즉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상태로 특정 회수로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품 공급자에게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패널티는 해당 상품의 입점을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금지하거나, 추후에 상품 공급자와의 재계약을 제한하는 것 등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배당자격 관리모듈(130)은 재화등급 설정부(131)와 배당자격 처리부(132)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배당 모듈(140)은 쇼핑몰 수익 산출부(141)와 분배 배당부(142)를 구비할 수 있다.
재화등급 설정부(131)는 상품 가격의 오름차순 별로 상기 재화 등급을 설정하는 것이며, 배당자격 처리부(132)는 상기 재화 등급 별로 배당자격을 차등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재화등급 설정부(131)는 시스템 서버 상에 등록된 상품들을 낮은 가격부터 정렬한 뒤 이에 대한 재화의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낮은 가격에 해당하는 상품이 낮은 재화 등급을 가지게 되며 높은 가격에 해당하는 상품이 높은 재화 등급을 가질 수 있다.
재화 등급은 배당금의 고저를 결정할 수 있는 일종의 등급으로서 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5만원을 기준으로 재화 등급을 나누어 1 내지 49,999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는 상품을 1등급, 50,000 내지 99,999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는 상품을 2등급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배당의 수치로 나눠진 재화의 등급은 즉 유저가 부여받을 배당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배당자격 처리부(132)는 재화등급이 설정된 상품에 대한 유저의 구매를 파악하여 유저의 배당자격을 차등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낮은 배당자격을 1배당이라 하며 배당자격이 높아질수록 2배당, 3배당으로 등급이 올라갈 수 있다. 예를 들어, 10만 포인트를 제 1 재화 등급이라 할 때 이의 배당자격을 1배당, 20만 포인트를 제 2 재화 등급이라 할 때 이의 배당자격을 2배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1배당, 2배당'의 배당은 배당자격을 구분짓는 일종의 등급을 의미한다.
이러한 근거에 입각하여 높은 재화등급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할수록 많은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추가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쇼핑몰이 배당 수익을 분배한다고 하였을 때, 1배당 유저는 30%, 2배당 유저는 31%, 3배당 유저는 33% 지급을 하는 방식으로 '배당'이라는 등급이 높아질수록 배당 금액과 배당 비율이 함께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재화 등급은 꼭 배당 상품의 가격에 비례하지 않을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품 가격 대비 원가가 낮은 상품이 동일한 가격을 가지는 다른 상품보다 유저에게 더 많은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몰 수익 산출부(141)는 일정 기간 별로 상기 쇼핑몰의 수익을 산출하는 것이며, 여기서 쇼핑몰은 상품판매 관리모듈에 등록되어 있는 각 상품 공급자를 총괄하는 의미이거나 각 상품 공급자의 의미일 수 있다. 이때, 일정 기간이라 함은 일주일, 한 달 등이 될 수 있으며, 시스템(1)에서 자체적으로 기간을 설정하여 시스템(1)에 등록된 전체 상품의 총괄적인 수익 또는 각 상품 공급자의 수익을 산출할 수 있다.
분배 배당부(142)는 상기 유저의 상기 배당자격에 따른 상기 재화 등급에 따라 상기 쇼핑몰 수익을 분배한 금액을 배당금으로 배당 처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쇼핑몰 전체 수익의 15%를 배당금으로 공유한다고 하였을 때, 이러한 수익의 15%를 배당자격이 1배당, 2배당, 3배당으로 상승됨에 따라 1/n, 2/n, 3/n(여기서, n={(1배당 고객 수 *1)+(2배당 고객 수 *2)+(3배당 고객 수 *3))씩 분배될 수 있다. 즉, A라는 유저의 배당자격이 2배당일 때, 수익의 15%의 2/n만큼 배당받을 수 있다. 이때, 배당을 분배하는 과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쇼핑몰의 수익을 한 달 기준으로 구분하여, 한 달 동안 발생한 수익을 유저의 배당자격에 따라 분배할 수 있으며, 영구적으로 계속 지급하는 것이 아닌 6개월, 1년 등의 기간을 제한하여 한 달 단위로 배당을 분배할 수 있다. 더하여, 배당 지급 기간 동안 쇼핑몰은 전체 수익 대비 공유하는 비율을 수정하여 이를 분배할 수 있다.
더불어, 배당자격 관리모듈(130)은 추가 상품 구매 파악부(133)와 배당자격 유지 관리부(134)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배당 모듈(140)은 배당금 한도 설정부(143)와 배당 조정부(144)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저의 배당 유지 및 지급할 배당금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 상품 구매 파악부(133)는 상기 배당자격을 상기 유저에게 부여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점 이내에 상기 유저가 상품을 추가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며, 배당자격 유지부 관리부(134)는 상기 상품을 추가 구매한 유저를 대상으로 상기 배당자격을 유지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일정 시점이란 배당자격이 주어진 고객에게 배당을 지급할 수 있는 기간이며, 6개월, 1년 등의 기간일 수 있다. 이러한 일정 시점이 지나기 전에 유저가 배당 상품을 추가적으로 구매하게 되면 이러한 배당 기간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일정 시점이 지나기 전에 추가 구매를 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배당자격에서 제외될 수 있다.
배당금 한도 설정부(143)는 상기 배당금에 한도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유저가 배당 상품을 많이 구매하여 배당자격이 높더라도 이에 대한 배당금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배당자격 기준으로 1배당은 150만원 제한, 2배당은 300만원 제한 등의 기준을 정할 수 있다.
배당 조정부(144)는 상기 배당금 한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한도에 따라 상기 배당금을 조정 처리하는 것으로서 유저의 배당금이 상술한 한도보다 높을 경우 유저의 배당금을 한도액에 맞추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유저가 많은 배당금을 배당받기 위해서는 배당자격이 높아야하며, 높은 배당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재화등급이 높은 상품(실제 가격보다 높은 가치의 재화등급이 부여된 상품을 의미한다)을 구매하여 배당자격 등급을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배당 지급 방식을 통하여 유저의 상품 구매를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반은 물론 배당에 대한 유저의 기대심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당금의 선지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쇼핑몰이 보유한 배당금을 유저에게 선지급할 수 있으며, 유저에게 배당금을 선지급함으로써 신뢰도 및 유대감 향상, 쇼핑몰의 이용률 향상 등의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신용평가 모듈(150)과, 선지급 관리모듈(160), 상환 관리모듈(170)을 추가로 포함한다.
신용평가 모듈(150)은 PG(Payment Gateway)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유저를 대상으로 카드사 및 통신사 중 어느 하나의 결제내역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신용평점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PG를 이용하는 카드사 및 통신사를 포함하는 다매체의 서버, 즉 PG 서버로부터 입력받은 특정 개인, 즉 유저의 결제 및 요금 납부에 대한 정보인 다매체결제정보를 포함한다.
신용평가 모듈(150)은 예를 들어 유저가 카드사 또는 통신사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결제대금 또는 요금을 납부한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가령 유저가 이용하는 통신사에서 입력받은 유저의 핸드폰 요금 내역을 통해 결제패턴을 분석하고자 하면 유저의 현재번호 이용기간 및 납부내역 조회, 요금납부 이력, 단말기 요금 할부 이력, 부가정보 사용 및 결제, 패턴분석, 모바일결제 이용이력, 납부 연체 및 사고 유무, 통신사 자체 신용등급을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결제정보를 통해 신용평가 기준을 선정하여 각각의 유저에 대한 신용 평점을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신용평점을 산출하는 기본적인 기준과 방식은 금융사 내지 신용평가 기관에서 수행하는 공지의 방식을 따르는 것이 가능하다.
신용평점에 있어서는 별도의 가중치가 더 부여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가중치는 유저의 신용기반가중치로서, 유저의 결제 대금이나 요금을 얼마나 잘 납부하였는지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하며, 별도의 설정을 통해 지정되거나 혹은 시스템(1)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혹은 후술할 선지급 재관리모듈을 통해 산출된 상환 가중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선지급 관리모듈(160)은 상환 조건을 설정하여 신용평점이 산출된 유저에게 배당금을 선지급 처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당금을 배당 시점보다 우선한 시점에 미리 유저에게 지급할 수 있는데, 이를 선지급이라 한다. 이와 같이 배당금이 선지급된 경우 원금 및 이자를 상환해야 하는 조건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선지급 관리모듈(160)은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유저가 원금 및 이자를 상환하기 위한 상환 조건을 설정한 다음 배당금을 선지급 처리하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환조건은 상환기간, 이자, 분할상환, 일시상환, 결제수단 등의 다양한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더하여, 배당금 선지급에 대하여 상환하지 않고 기존의 지급일을 그대로 기다리는 것도 가능하지만, 유저가 배당금의 선지급에 대하여 미리 상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1)은 해당 유저에 대한 신뢰도를 높게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쇼핑몰은 상품 구매 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등을 통해 신뢰도 향상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선지급 관리모듈(160)에서 배당금으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 리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선지급 관리모듈(160)은 상품 판매창을 통해 상기 유저가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을 적어도 하나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쇼핑몰에서 판매중인 상품 중 유저의 신용평가 또는 선지급 받은 배당금으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을 디스플레이에 복수개의 선택 영역으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상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에를 들어, 유저가 신용평가를 통해 낮은 수치가 산출되었다고 할 때, 해당 유저에 대한 추천 구매 상품으로는 향수, 고급 주류 등의 사치품이 아닌 생필품 등이 될 수 있다. 더하여,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경우 해당 배당금 이하의 상품은 유저가 구매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이러한 상품 또한 추천 구매 상품으로써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환 관리모듈(170)은 상기 선지급된 배당금에 대한 유저의 상환여부를 관리하고, 상환하지 않았다면 유저에게 상환 요청을 하거나 아니면 유저의 안전 계좌를 통해 자동결제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환알림 제공부(171), 상환여부 파악부(172), 자동결제 요청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환알림 제공부(171)는 유저에게 상환기간 말일이 도래함을 안내하는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알림은 유저단말에 문자메시지 형식으로 전송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1)에서 마치 기상 알람과 같이 상환기간 말일이 도래하면 시스템(1) 자체에서 알림이 울리도록 하는 등 그 방법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환여부 파악부(172)는 유저가 선지급 받은 배당금을 상환했는지 그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유저가 선지급 받은 배당금을 유저의 안전계좌와 연동하여 파악할 수 있다.
자동결제 요청부(173)는 유저가 상기 상환기간이 도래했음에도 불구하고 금액을 상환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상환기간 말일의 다음날인 자동결제일에 유저의 안전계좌에서 해당 배당금이 자동결제 되도록 PG서버와 연동되어 요청을 보낸다.
본 발명의 선지급 재관리모듈(180)은 특정 유저에게 선지급된 배당금에 대한 상환이 완료가 된 후 해당 유저가 다시 본 발명의 시스템(1)을 통해 또 다른 배당금을 선지급 받고자 하는 경우 이를 재관리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유저가 본 발명의 시스템(1)을 다시 이용하여 배당금을 선지급 받을 경우, 유저가 과거에 상환을 얼마나 성실히 하였는지 및 유저가 직접 작성한 선지급 받은 배당금에 대한 배당 관련 후기를 기반으로 배당금 선지급 대상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선지급 재관리모듈(180)은 상환정보 생성부(181), 상환성실도 파악부(182), 상환가중치 산출부(183), 블라인드 실행부(184)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후기조사 수행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환정보 생성부(181)는 상기 상환 관리모듈과 연동되어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상환일, 상환한 금액, 상환기간 내에 상환한 횟수 및 상기 유저가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일로부터 상기 상환일까지의 상환소요기간을 포함하는 상환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유저가 얼마나 성실히 상환을 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상환 성실도를 산출하도록 그 역할을 제공한다.
상환성실도 파악부(182)는 상기 상환정보를 기반으로 유저의 상환 성실도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때 성실도는 유저에게 배당금을 선지급한 전체 횟수 대비 유저가 상환기간 내에 금액을 상환한 횟수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성실도를 판단하는 방법에는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상환가중치 산출부(183)는 상기 상환성실도 파악부에 의해 파악된 상환 성실도와 상기 상환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환정보를 기반으로 상환 가중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상환 가중치는 다음의 참조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참조 수학식.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2
은 상환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3
는 유저가 선지급 받은 배당금을 상환한 총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4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5
번째 선지급 시 유저의 상환 성실도,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6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7
번째 선지급 시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상환일에서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일을 뺀 상환소요기간의 역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8
Figure 112019067746183-pat00009
번째 선지급 시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횟수를 의미한다.
산출된 상환 가중치를 기반으로 유저의 신용평점을 재산출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참조 수학식을 통해서 상환 가중치를 더 반영하여 유저의 신용평점을 재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상환 가중치는 다른 요소들에 의해 별도의 가중치를 더 부여받을 수 있는데, 이렇게 별도의 가중치를 통해 상환 가중치를 재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블라인드 실행부(184)는 재산출된 상기 신용평점의 고저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선지급한 배당금으로 구입할 수 없는 상품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블라인드 처리라 함은 특정 선택영역에서 표시되는 상품 정보를 가리거나, 아예 숨김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블라인드 처리된 선택영역의 상품 정보가 유저 단말에 표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환 가중치에 의해 재산출된 특정 유저의 신용평점이 높으면 블라인드 처리되는 상품 정보의 수는 적을 것이고, 재산출된 신용평점이 낮으면 블라인드 처리되는 상품 정보의 수는 많을 것이다.
나아가, 유저는 선지급 받은 배당금에 대한 후기를 남길 수 있는데, 이러한 후기를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환 가중치를 재산출할 수 있다. 즉, 선지급받은 배당금에 대해 유저의 심리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므로, 유저의 심리를 반영하는 상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지급 재관리모듈(180)은 후기조사수행부(185)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기조사 수행부(185)는 배당금을 선지급 받고 난 후 유저를 대상으로 선지급된 배당금 및 이에 대한 후기를 조사하는 것으로서, 유저로부터 후기를 입력받는 후기입력파트(191)와, 후기를 이루는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의 등장빈도와 근접도에 따라 그룹화한 그룹화 팩터를 통해 유효 키워드를 도출하는 유효키워드 추출파트(192) 및, 상술한 키워드의 등장빈도와 근접도 및 유효 키워드의 개수를 기반으로 추가 가중치를 산출하는 추가가중치 산출파트(19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후기를 조사하기 위해서 후기입력파트(191)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유저가 선지급 받은 배당금을 활용, 즉 시스템(1)으로부터 배당금을 대리하고 난 후 이에 대한 만족도나 불편한 점, 배당 시스템(1)에 대한 평가 등을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도록 입력 공간을 제공하여 선지급받은 배당금에 대한 후기를 입력받는다. 이때 입력받은 후기는 한두 개의 단어가 아니라 유저가 자유롭게 기재한 문장이므로, 입력된 후기 문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후기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저가 입력한 후기 문장에 대한 예시를 들면 다음과 같다.
'OOO 시스템(1)을 통해 배당금을 50만원 제공받았습니다. 제가 구입한 배당 상품은 의류에 해당되는 XXX였고, 상품 공급자는 YYY 였습니다. 선지급받은 배당금에 대한 수익에 대해서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다음에는 더 많은 상품, 그 중에서도 OOO 상품을 구매하여 만족스러운 배당금을 받고 싶습니다.'가 될 수 있다.
유효키워드 추출파트(192)는 상기 후기입력파트(191)에 입력된 후기문장에 포함된 키워드 중 유효한 키워드(예를 들어, 선지급된 배당금에 대한 유저의 만족도 내지 배당 수익 등을 알 수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키워드 및 유효 키워드를 추출하는 원리를 예시하면, 상기 후기 문장에 포함된 텍스트들을 어절별로 나누되, 다시 그 자체만으로도 특정 의미를 갖는 명사와 같은 텍스트 및 감정을 나타내는 감정텍스트, 텍스트 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된 연결텍스트 등으로 잘게 쪼개어 용어화 시키고, 특히 50만원과 같은 수치, 해당 수치 앞뒤의 단어 등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텍스트 분석 과정에서 기본 작업으로 수행될 수 있는 과정 중 하나이며, 이 유효키워드추출파트(192)에서 얼마나 작은 단위로 용어를 쪼개느냐에 따라 보다 정확한 유효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여기서 용어를 나누는 기준을 굳이 복잡하게 잡지 않고, 단순히 하나의 어절을 기준으로 용어를 나누되, 이 어절에 조사나 접사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인식하고 추후 필요에 따라 제외하여 용어로서 활용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원리로 상기 예시적인 후기 문장에서의 유효 키워드는 '배당금 50만원', '의류 XXX', '상품 공급자 YYY','만족', 'OOO 상품 '등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받은 후기를 분석한 다음, 추가가중치 산출파트(193)는 등장빈도, 근접도, 유효 키워드의 개수를 기반으로 추가 가중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후기에 '배당금'이라는 단어가 가장 반복적으로 등장하거나 혹은 상기 답안문장 중 특정 문장에서 '만족'이라는 단어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등장빈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근접도의 경우에는 적용하는 방법에 따라 어느 정도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예를 들어 '배당금'과 '만족' 혹은 '배당금'과 '특정한 수치' 등의 용어들은 반복 등장할 확률이 높다. 이때 '실질적인 배당금에 대한 수치'와 '배당금'의 사이에 다른 용어가 위치 즉,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러한 배당금/50만원과 배당금/만족했다는 서로 다른 근접도를 갖게 되므로, 이들의 샘플이 다양하게 모였을 때 이러한 근접도를 비교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두 단어의 연관성이 얼마나 큰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도 판단의 경우에는 현재 빅데이터 분야에서 워드 마이닝과 같은 작업 시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엔진이 공개되어 있으며, 이들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상술한 예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유효키워드추출파트(192)는 이러한 용어, 즉 키워드를 그룹화 팩터를 통해 그룹화를 진행하게 되는데, 그룹화 팩터는 둘 이상의 용어를 반복적으로 등장빈도와 근접도를 비교하여 상기 답안문장에 포함된 용어들 각각의 중요도를 파악해 실제 분석에 활용될 유효 용어를 도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용어들을 그룹화 팩터를 통해 그 유효도의 고저를 판단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이 그룹화 팩터는 용어 분석 시 전체 용어를 비교 판단하는 것보다는 의미가 있다고 예상되는 용어만 미리 추출하여 이를 비교 판단할 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파라미터이다. 즉, 각 용어의 등장빈도와 근접도가 유효한 기준값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상술한 예시적인 후기 문장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예시적인 후기 문장에서 '배당금', '만족', '상품'과 같은 키워드는 세트를 이루어 후기 문장에 반복 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키워드들은 등장빈도가 다른 키워드들과 대비할 때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만족이라는 키워드의 경우 이 세 키워드를 제외한 다른 키워드들의 근접도가 전혀 없어 0을 나타내는 것보다는 높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그룹화 팩터를 통해 바로 이 배당금, 만족이라는 키워드가 유효 키워드로 도출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그룹화 팩터 적용은 기존의 다른 기술들과 대비해볼 때 유효한 키워드의 추출시간이 짧아 빠르게 키워드 추출이 가능하여 상기 후기 문장의 길이가 길거나 혹은 후기 문장을 수많은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경우에는 이러한 빠른 키워드 추출을 통해 같은 하드웨어를 보유한 경우에도 더 많은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동시에 유효 키워드를 더욱 세밀하게 도출할 수 있는 시스템(1)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때, 상술한 상환가중치산출부(183)는 추가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환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추가 가중치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0
여기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1
는 추가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2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3
번째 선지급 시 상기 유효 키워드의 등장빈도,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4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5
번째 선지급 시 상기 유효 키워드의 근접도,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6
는 상기 후기문장에 포함된 전체 단어의 개수 대비 상기 유효 키워드의 개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7
은 총 선지급한 횟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추가 가중치는 후기문장에 포함된 유효 키워드를 고려한 가중치로서, 이를 다시 반영하여 상환 가중치를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재산출된 상환 가중치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19
은 상환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0
는 유저가 선지급 받은 배당금을 상환한 총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1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2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의 상환 성실도,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3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4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상환일에서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일을 뺀 상환소요기간의 역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5
는 i번째 선지급 시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6
는 상기 추가 가중치를 의미한다.
즉 상기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상환 가중치는 상기 후기문장에 포함된 유저의 배당금에 대한 만족도를 반영하여 산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면, 상환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7
는 상환기간, 유저의 상환 성실도, 유저가 금액을 상환한 날을 기반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유저가 상환기간 내에 상환을 했다 하더라고 상환기간의 말일에 가깝게 상환(즉,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8
값이 작음)한 것이 아닌 상환기간의 초일에 가깝게 상환했다면(즉,
Figure 112019067746183-pat00029
값이 크다면) 이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환기간 내에 상환을 마치기만 해도 유저의 상환 성실도는 증가할 수 있으나, 말일에 상환하는 것보단 초일에 상환하는 것이 유저의 상환 성실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요소가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추가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0
를 더 반영하여, 유저가 입력한 후기를 고려한 상환 가중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지급된 배당금을 상환해야하는 기간이 2019년 5월 18일부터 2019년 5월 22일까지라고 가정하자. 이때 상환기간의 초일은 18일이고 말일은 22일이다. 만약 유저가 상기 금액을 18일에 상환하면 22일에 상환하는 것보다 유저의 성실함을 입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저가 상환기간 내에 최대한 빨리 상환을 할 경우 상환 가중치의 값이 커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후기조사 수행부(185)는 후기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일렬로 나열할 때, 나열된 각 키워드 사이에 위치한 키워드의 개수인 간격을 파악하는 간격파악파트(194)와, 상기 간격의 고저에 따른 간격 가중치를 더 적용하여 그룹화한 확장 그룹화 팩터를 통해 확장 유효 키워드를 도출하는 확장키워드 도출파트(19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환가중치 산출부(183)는 상기 확장 그룹화 팩터를 통해 산출된 보정 가중치를 더 반영하여 상기 상환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간격을 근접도에 적용하여 간격의 대소에 따른 간격 가중치를 활용함으로서, 그룹화 팩터를 구할 때 근접도의 개념을 더욱 확장하여 활용이 가능한 구성을 갖춰 확장된 유효 키워드를 도출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간격'은 키워드 사이의 상대적 거리, 예를 들어 키워드 사이에 1개 키워드가 있을 때를 1의 거리라 하였을 때 2개 키워드가 있는 경우는 거리가 2가 된다. 또한, 확장 그룹화 팩터는 간격(거리)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수치를 일정 기준으로 그룹 처리한 수치를 의미하는바, 다시 말해 간격이 정량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가중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도록 간격에 부가되는 수치를 말하며 이는 수학식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1)이 유저에게 선지급할 배당금을 허용할지 여부, 배당금 중 얼마를 선지급으로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키워드들의 간격이자 근접도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간격의 대소에 따라 근접도에 적용할 수 있는 간격 가중치를 둔 그룹화한 확장 그룹화 팩터를 통해 유저가 선택한 배당금에 대한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배당금 성향파악파트(196)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간격 가중치는 유저의 글쓰기 습관에 따라서도 변경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미리 유저의 글쓰기 습관을 미리 판단하기 위한 사전조사과정을 더 거치는 방법을 통해 간격 가중치의 적용 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배당금 성향파악파트(196)은 상술한 확장 유효 키워드를 기반으로 유저가 선지급 받고자 하는 배당금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배당금 성향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러한 배당금 성향파악파트(196)은 상술한 유저 성향 파악파트 및 확장키워드 도출파트(195)와 연동되어 유저가 선지급 받고자 하는 배당금의 성향(엄밀히는 배당금 액수 자체가 아니라 전체 받을 수 있는 배당금 중에 어느 비율을 선지급 받고싶은지)을 파악하고 이를 배당금 성향정보로 생성한다.
나아가, 상기 확장 유효 키워드를 이러한 유저 성향정보를 반영함으로써, 이미 파악된 성향정보보다 배당금에 집중적으로 관련된 유저의 성향을 자세하게 파악하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 유효 키워드를 도출하기 위한 확장 그룹화 팩터를 산출하는 방법을 다음의 수학식 3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3.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1
여기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2
는 확장 그룹화 팩터,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3
은 전체 그룹화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4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5
번째 그룹화에서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6
에 대한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7
의 그룹화 팩터,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8
Figure 112019067746183-pat00039
번째 그룹화에서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0
와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1
의 간격,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2
는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3
와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4
의 최대 간격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수학식 4를 통해 도출된 확장 그룹화 팩터를 통해 키워드를 추출할 시 각 키워드의 간격을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후기 문장을 일렬로 배치하여 전체 키워드 수 대비 도출된 키워드의 간격을 비교하면 결국 이는 키워드 간격의 평균값을 의미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보정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도출된 확장 그룹화 팩터를 기반으로 보정 가중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술한 상환 가중치를 재산출할 수 있는데, 상기 상환 가중치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5
여기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6
은 상환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7
는 유저가 선지급 받은 배당금을 상환한 총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8
Figure 112019067746183-pat00049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의 상환 성실도,
Figure 112019067746183-pat00050
Figure 112019067746183-pat00051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가 금액을 상환한 상환일에서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일을 뺀 상환소요기간의 역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52
Figure 112019067746183-pat00053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54
는 상기 추가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55
는 상기 보정 가중치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4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학식 4는 상기 수학식 2와는 다르게 추가 가중치가 아닌 보정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환 가중치를 재산출한 수학식이다. 확장 그룹화 팩터를 기반으로 하는 보정 가중치의 반영은 곧 상기 상환 가중치에 확장 유효 키워드, 즉 유저의 후기에 입력된 심리를 반영하여 상환 가중치를 산출한다는 의미이다. 즉, 상기 수학식 4를 통해 재산출된 상환 가중치를 반영하여 유저의 신용평점을 재산출하면, 보다 정확한 신용평점을 산출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학식 4를 통해
Figure 112019067746183-pat00056
번째 선지급 시 후기문장의 키워드의 간격을 비교하면, 간격이 가까울 때에는 가중치가 커지고 간격이 멀면 가중치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키워드가 서로 가까울수록 문장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미이고,
Figure 112019067746183-pat00057
번째 선지급 시점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상환 가중치를 반영하여 유저의 신용평점을 다시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상환 가중치를 기반으로 유저에게 선지급될 배당금 정보가 표시된 선택 영역을 선택적으로 보여주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선 방법과 달리 간격 가중치가 등장하기 때문에 도출된 값이 특정 기준 이상인 것을 확장 유효 키워드로서 도출하게 되면, 반복적으로 등장하지 못한 키워드의 경우에도 각각의 배당금 및 상퓸 정보마다 가중치가 적용되어 있어 앞선 유효 키워드와 달리 확장 유효 키워드로서 도출될 수 있어 보다 상세한 유저의 선택영역 선택 성향 파악에 도움이 되는 팩터로서의 역할을 제공하는바, 다시 말해 상기 근접도 및 간격을 그룹화 팩터에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위의 같이 후기 문장을 분석하여 유저의 성향을 파악한 후, 유저의 성향과 거리가 먼 상품은 유저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도록 블라인드 처리하여 유저가 효율적으로 자신의 성향에 맞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1)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시스템 110: 상품판매 관리모듈
111: 퓸절 처리부 112: 최저가 조정부
113: 최저가 검색부 114: 최저가 관리부
115: 패널티 처리부 120: 상품 판매 모듈
130: 안전계좌 관리모듈 131: 재화등급 설정부
132: 배당자격 처리부 133: 추가 상품 구매 파악부
134: 배당자격 유지 관리부 140: 배당 모듈
141: 쇼핑몰 수익 산출부 142: 분배 배당부
143: 배당금 한도 설정부 144: 배당 조정부
150: 신용평가 모듈 160: 선지급 관리모듈
170: 상환알림 제공부 171: 상환알림 제공부
172: 상환여부 파악부 173: 자동결제 요청부
180: 선지급 재관리모듈 181: 상환정부 생성부
182: 상환성실도 파악부 183: 상환 가중치 산출부
184: 블라인드 실행부 185: 후기조사 수행부
191: 후기입력파트 192: 유효키워드 추출파트
193: 추가가중치 산출파트 194: 간격파악파트
195: 확장키워드 도출파트 196: 배당금 성향파악파트

Claims (11)

  1.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으로서,
    상품 공급자 및 상품 공급자가 판매할 상품을 등록하는 상품판매 관리모듈;
    상품 판매창을 통해 상기 상품을 디스플레이하여 온라인 상품 판매를 수행하는 상품 판매 모듈;
    상기 상품을 구매한 유저의 구매 확정 시 상기 유저에게 상품가격에 비례하여 책정된 재화를 근거로 한 배당금을 배당받을 수 있는 배당자격을 부여하는 배당자격 관리모듈;
    배당자격을 부여받은 유저의 배당 신청을 받아 상기 유저에게 상기 배당금을 배당 처리하는 배당 모듈;
    PG(Payment Gateway)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유저를 대상으로 카드사 및 통신사 중 어느 하나의 결제내역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결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의 신용평점을 수치로 산출하는 신용평가 모듈;
    상환 조건을 설정하여 신용평점이 산출된 상기 유저에게 배당금을 선지급 처리하는 선지급 관리모듈;
    상기 유저로부터 선지급된 상기 배당금의 상환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배당금을 상환받도록 자동결제를 실행하는 상환 관리모듈;
    상기 상환 관리모듈로부터 상기 유저의 상환일, 상환 금액, 상환 횟수 및 상기 유저가 상기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일로부터 상기 상환일까지의 상환소요기간을 포함하는 상환정보를 생성하는 상환정보 생성부와, 상기 상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유저가 상기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전체 횟수 대비 상기 상환 횟수를 비교한 상환 성실도를 파악하는 상환성실도 파악부 및, 상기 상환 성실도 및 상기 상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환 가중치를 산출하는 상환가중치 산출부를 포함하는 선지급 재관리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신용평가모듈은, 상기 상환 가중치를 기반으로 상기 신용평점을 재산출하며,
    상기 선지급 관리모듈은, 상기 상품 판매창을 통해 상기 유저가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을 적어도 하나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선지급 재관리모듈은, 재산출된 상기 신용평점의 고저에 따라 상기 유저에게 선지급한 배당금으로 구입할 수 없는 상품을 블라인드 처리하는 블라인드 실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지급 재관리모듈은,
    상기 유저에게 선지급 처리한 상기 배당금에 대한 후기를 조사하는 것으로, 상기 유저로부터 후기 문장을 입력받는 후기입력파트와, 상기 후기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의 등장빈도와 근접도에 따라 그룹화한 그룹화 팩터를 통해 유효 키워드를 추출하는 유효키워드추출파트 및, 상기 등장빈도와 상기 근접도 및 상기 유효 키워드의 개수를 기반으로 추가 가중치를 산출하는 추가가중치 산출파트를 구비한 후기조사 수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상환가중치산출부는, 상기 추가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상환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판매 관리모듈은,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다른 온라인 상품 쇼핑몰의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것으로 유저로부터 신고가 접수된 경우 해당 상품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품절 처리하는 품절 처리부 및,
    상기 상품 공급자가 품절 처리된 상품을 최저가로 조절할 시, 기준 시간 이내 해당 상품을 다시 디스플레이하는 최저가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판매 관리모듈은,
    상품 별로 온라인 상품 판매 사이트의 최저가를 검색하는 최저가 검색부와,
    상기 최저가 검색부에서 검색한 최저가를 기준으로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상기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상태로 특정 시간동안 유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상품을 상기 상품 판매창에서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최저가 관리부 및,
    상기 최저가 검색부에서 검색한 최저가를 기준으로 상기 상품 공급자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가격이 상기 최저가보다 일정 비율 이상 높은 상태로 특정 회수로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공급자에게 패널티를 부여하는 패널티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당자격 관리모듈은,
    상품 가격의 오름차순 별로 상기 재화 등급을 설정하는 재화등급 설정부와,
    상기 재화 등급 별로 배당자격을 차등적으로 처리하는 배당자격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당 모듈은,
    일정 기간 별로 상기 쇼핑몰의 수익을 산출하는 쇼핑몰 수익 산출부와,
    상기 유저의 상기 배당자격에 따른 상기 재화 등급에 따라 상기 쇼핑몰 수익을 분배한 금액을 배당금으로 배당 처리하는 분배 배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당자격 관리모듈은,
    상기 배당자격을 상기 유저에게 부여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점 이내에 상기 유저가 상품을 추가 구매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추가 상품 구매 파악부와, 상기 상품을 추가 구매한 유저를 대상으로 상기 배당자격을 유지 처리하는 배당자격 유지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당 모듈은,
    상기 배당금에 한도를 설정하는 배당금 한도 설정부와,
    상기 배당금 한도 설정부에서 설정된 한도에 따라 상기 배당금을 조정 처리하는 배당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가중치는,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고,
    수학식 1.
    Figure 112020075375586-pat00058

    (여기서,
    Figure 112020075375586-pat00059
    는 추가 가중치,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0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1
    번째 선지급 시 상기 유효 키워드의 등장빈도,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2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3
    번째 선지급 시 상기 유효 키워드의 근접도,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4
    는 상기 후기문장에 포함된 전체 단어의 개수 대비 상기 유효 키워드의 개수,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5
    은 총 선지급한 횟수)
    상기 상환 가중치는,
    상기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6

    (여기서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7
    은 상환 가중치,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8
    는 유저가 선지급 받은 배당금을 상환한 총 횟수,
    Figure 112020075375586-pat00069
    Figure 112020075375586-pat00070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의 상환 성실도,
    Figure 112020075375586-pat00071
    Figure 112020075375586-pat00072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상환일에서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일을 뺀 상환소요기간의 역수,
    Figure 112020075375586-pat00073
    는 i번째 선지급 시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횟수,
    Figure 112020075375586-pat00074
    는 상기 추가 가중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기조사 수행부는,
    상기 후기 문장에 포함된 키워드를 일렬로 나열하고, 상기 키워드 각각의 간격을 파악하는 간격파악파트와,
    상기 간격의 고저에 따른 간격 가중치를 더 적용하여 그룹 처리한 확장 그룹화 팩터를 통해 확장 유효 키워드를 도출하는 확장키워드 도출파트 및,
    상기 확장 유효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유저가 선지급 받고자 하는 배당금 액수를 파악하여 배당금 성향정보를 생성하는 배당금 성향파악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환가중치 산출부는,
    상기 확장 그룹화 팩터를 통해 산출된 보정 가중치를 더 반영하여 상기 상환 가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그룹화 팩터는,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산출되고,
    수학식 3.
    Figure 112019067746183-pat00075

    (여기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76
    는 확장 그룹화 팩터,
    Figure 112019067746183-pat00077
    은 전체 그룹화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78
    Figure 112019067746183-pat00079
    번째 그룹화에서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0
    에 대한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1
    의 그룹화 팩터,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2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3
    번째 그룹화에서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4
    와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5
    의 간격,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6
    는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7
    와 키워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8
    의 최대 간격)
    상기 상환 가중치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수학식 4.
    Figure 112019067746183-pat00089

    (여기서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0
    은 상환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1
    는 유저가 선지급 받은 배당금을 상환한 총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2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3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의 상환 성실도,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4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5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가 금액을 상환한 상환일에서 배당금을 선지급 받은 일을 뺀 상환소요기간의 역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6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7
    번째 배당금의 선지급 시 유저가 배당금을 상환한 횟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8
    는 상기 추가 가중치,
    Figure 112019067746183-pat00099
    는 상기 보정 가중치)
KR1020190079392A 2019-07-02 2019-07-02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181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92A KR102181925B1 (ko) 2019-07-02 2019-07-02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92A KR102181925B1 (ko) 2019-07-02 2019-07-02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925B1 true KR102181925B1 (ko) 2020-11-23

Family

ID=73680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392A KR102181925B1 (ko) 2019-07-02 2019-07-02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452A (ko) 2021-05-18 2022-11-25 박정용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71215B1 (ko) 2022-03-16 2022-11-28 주식회사 텐핑 이익배당권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이익 배당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05A (ko)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뉴월드넷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최저가격 구매보장 시스템
KR20060085882A (ko) * 2005-01-25 2006-07-28 김선철 구매자가 판매대행자로 전환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80070784A (ko) * 2006-12-19 2008-07-31 비씨카드(주) 신용카드가맹점 매출 선지급 대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305A (ko) * 2003-01-22 2004-07-30 주식회사뉴월드넷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최저가격 구매보장 시스템
KR20060085882A (ko) * 2005-01-25 2006-07-28 김선철 구매자가 판매대행자로 전환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80070784A (ko) * 2006-12-19 2008-07-31 비씨카드(주) 신용카드가맹점 매출 선지급 대출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452A (ko) 2021-05-18 2022-11-25 박정용 디지털 공유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471215B1 (ko) 2022-03-16 2022-11-28 주식회사 텐핑 이익배당권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이익 배당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3595B (zh) 基于区块链的预付费消费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Demir et al. Don’t throw in the towel, throw in trade credit!
US8108286B2 (en) Fuel offering and purchase management system
US201202655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ve behavior and/or making awards based upon geographic location
US20120271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affecting a change in consumer behavior
US201001065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warding positive consumer behavior using loyalty point advances
US8364544B2 (en) Comprehensive online bidding and sales management system for merchant processing services
US20010054006A1 (en) Points trad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20100106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positive behavior based upon an accumulated metric or trend
US20090248506A1 (en) Merchant funded rewards network implementing cardholder loyalty rebate program
US20020161699A1 (en) Method of invitation to alteration of contract of cash loan for consumption
US201001065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warding a consumer based upon positive behavior of a group
US200902875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entivizing consumers
Njoroge et al. Effect of electronic banking on financial performance in Kenyan commercial banks: Case of Equity bank in its Nairobi Central Business District branches, Kenya
CN112561566B (zh) 一种跨境进口门店分销商城平台系统
US201001065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positive behavior and offering incentives based upon limited use identifier transactions
US20140310088A1 (en) Early Payment Rewards System and Method
KR102181925B1 (ko) 유저 배당 기반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
US20100106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tracking incentives for positive behavior
US20100106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ve consumer behavior based upon structural risk
JP2009176121A (ja) 経営管理システム
US201001065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registration, determination and distribution of positive behavior incentives
KR100775910B1 (ko) 차등 대금결제시스템 및 차등 대금결제방법
KR102021477B1 (ko) 다매체 빅데이터 매칭 패턴 분석을 활용한 신용평가 기반의 선지급 예약 후상환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00106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sumer incentives based upon positive consumer behavi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