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220B1 -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220B1
KR102151220B1 KR1020190108583A KR20190108583A KR102151220B1 KR 102151220 B1 KR102151220 B1 KR 102151220B1 KR 1020190108583 A KR1020190108583 A KR 1020190108583A KR 20190108583 A KR20190108583 A KR 20190108583A KR 102151220 B1 KR102151220 B1 KR 102151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expert
information
server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진
박재학
여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지
Priority to KR102019010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드론을 활용한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와, 드론을 활용한 업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소비자를 중개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특히,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에 따라 등급이 부여된 전문가 카테고리 분류 시스템을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Intermediary system for professionals and consumers of drone utilization business}
본 발명은 드론을 활용한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와, 드론을 활용한 업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소비자를 중개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드론 활용시장은 2016년도에 551억, 2019년도에는 2198억을 예상하고 있으며, 드론 제작시장은 2016년도에 153억, 2019년도에는 656억을 예상하고 있다(국토교통부, 2017). 이 같은 시장을 조사한 국토교통부에 의하면 드론 활용·제작시장은 연간 약 140%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드론 활용 시장의 예로는 국토교통부의 국토조사, 아마존 및 DHL의 배송, 산림청의 산림 감시 및 보호, 농협의 농작물 병충해 방재 등이 있으며, 지적재조사·토지보상·댐 관리 등 공공분야의 실증사업 추진 및 확대, 주간·가시권 내 비행에서 야간·가시권 외 비행 가능, 특정분야(농업, 항공촬영, 조종교육, 측량·탐사) 허용에서 2016년 기준 공연·광고 등 모든 분야 사업에서 드론 활용 사업을 허용하는 등 드론 운영을 위한 법률 제도가 개선 중에 있다.
한편, 소비자 관점에서 드론을 활용한 업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무분별하게 산재된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 정보를 소비자가 직접 비교해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해당 전문가가 어느 분야에 특화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은 더욱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946416호(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 및 장치)(이하, 종래기술)가 있다.
종래기술의 기술분야는 "수요자로부터 드론을 이용한 업무를 요청받음에 따라, 드론 업무 특성에 맞추어 드론을 전문 자격을 갖춘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론 업무를 요청하고, 드론 조종사로부터 드론 데이터를 획득하여 수요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드론 업무에 관한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드론 콜 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라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or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으로서, 2010년 즈음부터 군사적 용도뿐 아니라 다양한 민간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단일-주파수 기반의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드론을 제어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드론 제어 연속성의 상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드론 무선 송·수신기 이중화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온라인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거나, 금융 거래를 하는 사용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고, 실제로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을 통해 구매 및 거래를 하는 수가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온라인상에서의 물건 및 금융 거래뿐 아니라,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 인력을 매칭하여 제공하는 사이트도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드론을 이용한 업무는 전문성을 요하며,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의 성능 및 드론 조종 능력도 중요하기 때문에,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는 작업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와 같은 배경기술에 따라 제안된 것이며,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업무에 필요한 드론의 개수, 원하는 드론의 성능, 드론 업무의 보수, 드론 업무 개시 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드론 업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신청을 접수함에 따라,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가 상기 수요자의 단말에게 지도상에서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요자의 단말에 의하여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정된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가 상기 드론 업무 신청 및 드론 업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 드론 업무를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수수료, 상기 수요자가 신청한 드론 업무 신청과 유사한 업무를 수행한 경험 정보 및 상기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에서의 업무를 수행한 경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드론 업무와 드론 조종사 간의 업무 매칭률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업무 매칭률은, 드론 조종사의 업무 능력이 상기 드론 업무 신청에 포함된 기준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여부를 수치로 결정한 것인―;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가 상기 업무 매칭률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에게 상기 드론 업무의 수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는 상기 드론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 드론 업무가 수행되는 장소, 측정된 수수료, 드론 업무의 고유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 업무의 난이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난이도에 기초하여 산정된 착수금을 상기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의 계좌로 입금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각각이 선택한 비행경로 상에서 드론 업무를 수행한 드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상기 드론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드론 업무에 대한 통합 드론 데이터를 제작하는 단계;및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수요자의 단말로 상기 통합 드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방법."와 같은 사항을 청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건설현장이나 지방자치 단체, 긴급재난 대응센터 등에서 특정 영역에 대해 드론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실시간으로 드론 조종자를 매핑하고, 매핑된 조정자를 특정 영역으로 투입하여 드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드론 업무를 파악하여, 드론 조종자에게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수요자의 요청사항에 부합하는 드론 조종사에게 드론 업무를 할당함으로써, 수요자에게 높은 품질의 드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드론 데이터를 공급하는 드론 조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드론의 종류, 드론에서 사용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종류에 따라 드론 조종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비행경로 내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드론 조종사들이 수요자들의 요구사항에 부합할 수 있는 드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요자와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 론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다수의 드론 조종사들이 제공하는 드론 데이터가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체크하고,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드론 데이터만 선택하며, 다수의 공급하는 드론 데이터를 통합된 하나의 드론 데이터 맵으로 생성하여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요자와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론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는 드론 데이터를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자에게 비용을 받고, 드론 데이터를 공급한 드론 조종사들에게 보상을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와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외부데이터(기상청, 지방항공청, 나라장터 데이터 등)를 활용하여 수요자 또는 드론 조종사에게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유익을 주는 기술 등은 기재된 바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46416호(공고일자 2019.02.12.)
드론 분야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 및 전문가에게 편의성을 주면서, 드론 사업이 활성화 및 발전될 수 있도록 경쟁구도를 조성하는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한, 소비자가 원하는 업무 수행 능력을 가진 전문가를 매칭할 수 있도록 전문가 검증 서비스가 탑재된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를 중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상호명, 대표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주력 사업, 드론의 종류, 드론의 사양, 드론의 주요 특징,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을 포함하는 전문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을 설정 비율에 따라 등급이 부여된 전문가 카테고리 분류 시스템을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문가 카테고리 분류 시스템의 카테고리는 제작, 판매, 교육, 촬영, 계측, 농업, 임업, 방제, 배송을 포함하고, 각 카테고리는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1 ~ 3등급에 속하는 상위 등급 그룹, 신규 전문가 그룹, 그리고 나머지 등급의 순으로 배치되어 소비자 단말에 표시되며,
상기 서버는 드론의 방수처리 여부 및 중량에 따라 강수확률 임계치와 풍속 임계치를 상이하게 지정하고,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집된 강수확률 정보와 풍속 정보가 임계치 초과에 해당하는 운용 중인 드론의 전문가 단말과 이용 중인 소비자 단말에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비행 경고 알림서비스와,
나라장터 서버의 입찰공고정보를 수집하고, 드론 관련 입찰공고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출된 정보와 매칭되는 전문가 단말에 제공하는 사업 알림서비스와,
지방항공청 서버의 비행제한구역정보, 국가법령정보센터 서버의 제·개정정보를 수집하여, 전문가 단말에 제공하는 비행 정보 알림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에 의하면, 모바일 앱 개발로 적용할 수 있어, 장소, 시간, PC 등에 제약을 받지 않아 언제 어디서든 전문가 정보 검색 및 사업 체결이 가능하므로 소비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현재 공공사업에 집중된 소요를 민간사업으로 전환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전문가 정보 검증 서비스로 드론 사업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비자 선택 위주 시스템이어서 전문가(업체) 간 경쟁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 전문가의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및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장점 및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장점 및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의 전문가 카테고리 분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의 확장형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의 동작관계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중개 시스템으로서, 특히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업체)(이하, 전문가)와 소비자를 중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중개 시스템은 전문가와 소비자를 매칭시켜 전문가를 통해 소비자에게 드론 활용 업무 서비스를 제공하며,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에 따라 등급이 부여된 전문가 카테고리 분류 시스템을 소비자 단말(10)에 제공하는 서버(20)를 포함한다.
도 1의 중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는 복수개의 소비자 단말(10)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전문가 단말(30)과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예로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소비자 단말(10)은 서버(20)에 소비자 정보 및 인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소비자 계정 생성 및 중개 시스템 이용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소비자 정보는 이름,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드론 활용 업무 분야, 관심 분야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서버(20)로부터 소비자 계정 생성 및 중개 시스템 이용 권한을 부여받기 위한 소비자의 인증은 예를 들어, 통상의 휴대폰 인증, 신분증 인증, 이메일 인증, 공인인증서 인증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10)은 서버(20)로부터 소비자 정보의 확인 결과 및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소비자 계정 생성 및 중개 시스템 이용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전문가 단말(30)은 서버(20)에 전문가 정보 및 인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전문가 계정 생성 및 중개 시스템 이용 권한을 요청할 수 있다. 전문가 정보는 상호명, 대표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주력 사업, 드론의 종류, 드론의 사양, 드론의 주요 특징,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로부터 전문가 계정 생성 및 중개 시스템 이용 권한을 부여받기 위한 전문가의 인증은 소비자 단말(10)의 인증 절차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전문가 단말(30)은 서버(20)로부터 전문가 정보의 확인 결과 및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전문가 계정 생성 및 중개 시스템 이용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서버(20)는 전문가의 주력 사업에 따라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드론 제작, 드론 판매, 드론 교육, 드론을 이용한 촬영, 드론을 이용한 계측, 농업, 임업, 드론을 이용한 방제, 드론을 이용한 배송 등일 수 있으며, 전문가의 주력 사업이 방제와 관련된 것이면 방제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서버(20)는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을 수신하고, 정형화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등급 부여시 사업 수행실적 40%, 자격사항 35%, 비행이력 25%의 비율로 반영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테고리는 제작, 판매, 교육, 촬영, 계측, 농업, 방제, 임업, 배송, 기타를 포함하고, 각 카테고리에서의 전문가 배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최상위 등급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등급 그룹과 신규 전문가 그룹을 배치한 후 나머지 등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위 등급 그룹은 1 ~ 3등급, 1 ~ 5등급 등 임의로 지정될 수 있다. 상위 등급 그룹과 신규 전문가 그룹은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중개 시스템은 도 5와 같이 서버(20)에 나라장터 서버(41), 지방항공청 서버(42), 국가법렬정보센터 서버(43), 기상청 서버(44)가 연결될 수 있다.
서버(20)는 나라장터 서버(41)로부터 입찰공고정보를, 지방항공청 서버(42)로부터 비행제한구역정보를, 국가법령정보센터 서버(43)로부터 제·개정정보를, 기상청 서버(44)로부터 기상정보를 각각 제공받는다.
서버(20)는 나라장터 서버(41)로부터 입찰공고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전문가 단말(30)에 입찰공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는 나라장터 서버(41)의 입찰공고정보를 수집하고, 드론 관련 입찰공고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드론 활용 업무 중 어느 분야인지를 확인한다. 입찰공고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확인된 입찰공고정보가 예를들어 방제와 관련된 정보인 경우, 서버(20)는 방제를 주력 사업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3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입찰공고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확인된 입찰공고정보가 배송인 경우, 서버(20)는 배송을 주력 사업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3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20)는 지방항공청 서버(42)의 비행제한구역정보, 국가법령정보센터 서버(43)의 제·개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소비자 단말(10) 및 전문가 단말(30)에 비행제한구역정보와 제·개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10) 및 전문가 단말(30)은 서버(20)로부터 비행제한구역정보와 제·개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비행제한구역 및 관련 법령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서버(20)는 기상청 서버(44)로부터 수집된 기상정보가 드론 활용 업무에 운용 중인 드론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한 정보인 경우, 소비자 단말(10)과 전문가 단말(3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기상정보는 강수확률, 강수량, 습도, 바람, 기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에 입력된 기상정보가 강수확률 50%이고, 서버(20)에 등록된 K전문가의 드론은 방수처리 제품, R전문가의 드론은 방수미처리 제품이면서 양 드론 모두 업무 수행(소비자와의 계약사항 중 업무 수행 스케줄에 의해 알 수 있음) 중인 경우, 서버(20) 우선적으로 R전문가의 단말에 비행경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이 예를들어 1.5m/s이고, K전문가의 드론은 중량이 30kg인 제품, R전문가의 드론은 3kg인 제품이면서 양 드론 모두 업무 수행 중인 경우, 서버(20)는 비행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여 비행경고 알림을 양 드론에 모두에 전송하지 않지만, 바람이 7m/s이면 R전문가의 단말에만 비행경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이 15m/s이면 양 드론 모두에 비행경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개 시스템은 소비자 단말(10)과 전문가 단말(30)에 매칭앱, 즉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중계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앞서 개시한 서버(30)가 요구하는 사항을 소비자 단말(10)과 전문가 단말(30)이 제공해야 한다.
전문가 단말(30)이 상호명, 대표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주력 사업, 드론의 종류, 드론의 사양, 드론의 주요 특징,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을 포함하는 전문가 정보를 서버(20)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서버(20)는 등급을 부여하고, 카테고리를 분류한다. 서버(20)가 카테고리별로 전문가를 분류하는 것에 의해 중계 시스템을 통해 전문가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고, 서버(20)에서 정량화된 기준으로 등급별로 구분되는 것에 의해 전문가는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20)는 나라장터 서버(41)로부터 입찰공고정보를 수신한다. 서버(20)는 입찰공고정보에서 제목과 본문을 추출하고, 제목과 본문에 미리정한 키워드 그룹이 있는지 비교한다. 키워드 그룹은 예를들어 "드론"을 포함하고, "방제", "농업", "제작", "판매", "교육", "촬영", "계측", "농업", "임업", "배송"의 키워드가 있는지 확인한다.
미리정한 키워드 그룹이 없으면 해당 입찰공고정보는 삭제하고, 있으면 "드론"을 제외한 키워드가 제1키워드(예컨대, 방제)이면 해당 사업을 주력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30)에 입찰공고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드론"을 제외한 키워드가 제2키워드(예컨대, 교육)이면 해당 사업을 주력으로 등록한 전문가 단말(30)에 입찰공고정보를 전송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20)가 지방항공청 서버(42)의 비행제한구역정보, 국가법령정보센터 서버(43)의 제·개정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소비자 단말(10) 및 전문가 단말(30)에 비행제한구역(a,b,c,d)(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일 뿐, 실제 비행제한구역과 관계없음)을 제공할 수 있고, 비행제한구역이 해제되는 것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어 소비자 단말(10)과 전문가 단말(30)은 드론 활용 업무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업무에 혼선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20)가 기상청 서버(44)로부터 강수확률, 강수량, 습도, 바람, 기온 등과 같은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전문가 단말(30)에 비행경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버(20)에 입력된 기상정보가 강수확률 50%이고, 서버(20)에 등록된 K전문가의 드론(제1 드론)은 방수처리 제품, R전문가의 드론(제2 드론)은 방수미처리 제품이면서 양 드론 모두 업무 수행 중인 경우, 서버(20) 우선적으로 R전문가의 단말에 비행경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바람이 예를들어 1.5m/s이고, K전문가의 드론은 중량이 30kg인 제품, R전문가의 드론은 3kg인 제품이면서 양 드론 모두 업무 수행 중인 경우, 서버(20)는 비행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여 비행경고 알림을 양 드론에 모두에 전송하지 않지만, 바람이 7m/s이면 R전문가의 단말에만 비행경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이 15m/s이면 양 드론 모두에 비행경고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는 전문가 단말(30)의 위치를 소비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가 전문가 단말(30)의 위치를 소비자 단말(10)에 제공되는 것에 의해 소비자는 업무 진행 상황에 대해 신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소비자 단말
20: 서버
30: 전문가 단말
41: 나라장터 서버
42: 지방항공청 서버
43: 국가법령정보센터 서버
44: 기상청 서버

Claims (5)

  1.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를 중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전문가 단말(30)로부터 상호명, 대표이름,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주력 사업, 드론의 종류, 드론의 사양, 드론의 주요 특징,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을 포함하는 전문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사업 수행실적, 자격사항, 비행이력을 설정 비율에 따라 등급이 부여된 전문가 카테고리 분류 시스템을 소비자 단말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전문가 카테고리 분류 시스템의 카테고리는 제작, 판매, 교육, 촬영, 계측, 농업, 임업, 방제, 배송을 포함하고, 각 카테고리는 드론 활용 업무 분야별 전문가의 1 ~ 3등급에 속하는 상위 등급 그룹, 신규 전문가 그룹, 그리고 나머지 등급의 순으로 배치되어 소비자 단말에 표시되며,
    상기 서버는 드론의 방수처리 여부 및 중량에 따라 강수확률 임계치와 풍속 임계치를 상이하게 지정하고,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집된 강수확률 정보와 풍속 정보가 임계치 초과에 해당하는 운용 중인 드론의 전문가 단말과 이용 중인 소비자 단말에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비행 경고 알림서비스와,
    나라장터 서버의 입찰공고정보를 수집하고, 드론 관련 입찰공고정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출된 정보와 매칭되는 전문가 단말에 제공하는 사업 알림서비스와,
    지방항공청 서버의 비행제한구역정보, 국가법령정보센터 서버의 제·개정정보를 수집하여, 전문가 단말에 제공하는 비행 정보 알림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8583A 2019-09-03 2019-09-03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 KR102151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83A KR102151220B1 (ko) 2019-09-03 2019-09-03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83A KR102151220B1 (ko) 2019-09-03 2019-09-03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220B1 true KR102151220B1 (ko) 2020-09-03

Family

ID=7246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583A KR102151220B1 (ko) 2019-09-03 2019-09-03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2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79A (ko) * 2015-12-30 2017-07-10 사단법인 한국드론협회 드론의 규제 및 통합적 관리를 위한 드론 통합관리 시스템
KR20170123217A (ko) * 2016-04-28 2017-11-07 (주)전자조달연구원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8231A (ko) * 2016-10-06 2018-04-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0369A (ko) * 2017-04-27 2018-11-06 탁승호 드론 비행 예약 관제 시스템
KR101946416B1 (ko) 2018-05-21 2019-02-12 이종범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0177B1 (ko) * 2018-03-14 2019-08-12 김남식 무인기 유지보수정비격납 기능을 갖는 자율 능동 물품 수령 시스템 및 수령 방법
KR20190098454A (ko) * 2018-02-14 2019-08-22 윙스투미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매개로 하는 비즈니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9379A (ko) * 2015-12-30 2017-07-10 사단법인 한국드론협회 드론의 규제 및 통합적 관리를 위한 드론 통합관리 시스템
KR20170123217A (ko) * 2016-04-28 2017-11-07 (주)전자조달연구원 입찰 전문가와 입찰 참여자의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8231A (ko) * 2016-10-06 2018-04-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0369A (ko) * 2017-04-27 2018-11-06 탁승호 드론 비행 예약 관제 시스템
KR20190098454A (ko) * 2018-02-14 2019-08-22 윙스투미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매개로 하는 비즈니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10177B1 (ko) * 2018-03-14 2019-08-12 김남식 무인기 유지보수정비격납 기능을 갖는 자율 능동 물품 수령 시스템 및 수령 방법
KR101946416B1 (ko) 2018-05-21 2019-02-12 이종범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9852A1 (en) Smart drone rooftop and ground airport system
Jiang et al. 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 Concept of operation and system architecture
US10593217B2 (en) Vertiport management platform
US1035123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delivery system
US11367359B2 (en) Airspace management system, airspa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therefor
Besada et al. Drones-as-a-service: A management architecture to provide mission planning, resource brokerage and operation support for fleets of drones
WO201616489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nmanned aircraft system (uas) traffic management
KR101036800B1 (ko) 쌍방향의 기상 상황 보고 시스템
US11631336B1 (en) Multiplexed communications for coordination of piloted aerial drones enlisted to a common mission
US20120218127A1 (en) Terminal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US20180025044A1 (en) Unmanned vehicle data correlation, routing, and reporting
JP2019511769A (ja) 無人航空機システムを割り当て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46416B1 (ko)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096982A1 (en) Electric power trade brokering system, program and electric power trade brokering method
RU2734019C2 (ru) Реализуемый с помощью компьютера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пассажирами и исполнителями, участвующими в организации воздушного движения
Yapp et al. UAV as a service: Enabling on-demand access and on-the-fly re-tasking of multi-tenant UAVs using cloud services
US20160104114A1 (en) Supporting the transport of shipments
JP7391832B2 (ja) 移動体の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管理サーバ並びに自律移動体
KR102151220B1 (ko) 드론 활용 업무 전문가와 소비자 중개용 시스템
Kopardekar Unmanned Aerial Systems Traffic Management (UTM): Safely Enabling UAS Operations in Low-Altitude Airspace
KR20200098072A (ko) 기상정보를 이용한 드론 운용 시스템
JP6613015B1 (ja) 移動体の管理システム
Sharma et al. Dynamic Path Planning Automation Concept for Advanced Air Mobility
Yapp UAV as a service: providing on-demand access and on-the-fly retasking of multi-tenant UAVs using cloud services
TW201733653A (zh) 無人飛行載具服務系統與執行任務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