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726B1 - 커터용 교체 날 및 커터 - Google Patents

커터용 교체 날 및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726B1
KR102383726B1 KR1020170054367A KR20170054367A KR102383726B1 KR 102383726 B1 KR102383726 B1 KR 102383726B1 KR 1020170054367 A KR1020170054367 A KR 1020170054367A KR 20170054367 A KR20170054367 A KR 20170054367A KR 102383726 B1 KR102383726 B1 KR 10238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blade
engaging portion
slid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198A (ko
Inventor
아츠시 츠카모토
마리 이케다
Original Assignee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프러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3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comprising retraction means for the blade or the blad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Abstract

교체 날의 교환 작업 시에 교체 날의 날에 접촉하는 것이 저감된 커터용 교체 날(20) 및 이 교체 날(20)을 구비한 커터(10)를 제공하기 위해서, 커터용 교체 날(20)은, 걸림 결합부(미끄럼 이동 돌기631)를 갖는 트레이(60)와, 트레이(60)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되는 피걸림 결합부(보유 지지 구멍73)를 갖는 날체(70)를 구비한다. 걸림 결합부는, 피걸림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한다. 또한, 커터(10)는, 커터용 교체 날(20)을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30)를 구비하여 날체(70)를 출몰 가능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커터용 교체 날 및 커터{REPLACEABLE BLADE FOR CUTTER AND CUTTER WITH THE SAME REPLACEABLE BLADE}
본 발명은, 커터용 교체 날 및 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교체 날을 교환 가능한 커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 2008-229077호 공보에 개시되는 커터 나이프는, 커터 날을 보유 지지하면서 케이스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갖고 있다. 이 슬라이더는, 슬라이더 본체와, 당해 슬라이더 본체의 사이에 커터 날을 끼워 넣도록 설치된 압박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슬라이더는, 소정의 조작을 함으로써 커터 날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일본 특허공개 제 2008-229077호 공보에 개시된 커터 나이프는, 커터 날을 제거할 때에 슬라이더의 소정 조작을 필요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 및 커터 날을 케이스로부터 빼낸 경우라도, 커터 날이 부주의하게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라고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제 2010-264004호 공보에 개시되는 커터 나이프는, 커터 본체와, 커터날을 갖는 커터 부재와, 절단 대상물에 대하여 절삭날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가압 부재는, 절삭날의 반대측에 배치된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터 나이프는, 압박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절단 작업시의 조작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커터 나이프는, 날체의 일부를 덮는 슬라이더로 교체 날을 교환할 수 있는데, 날체의 대부분은 커터 본체에 수납되기까지의 동안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 날의 교환 작업 중에 사용자가 교체 날의 날에 접촉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교체 날의 교환 작업 시에 교체 날의 날에 접촉하는 것이 저감된 커터용 교체 날 및 이 교체 날을 구비한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터용 교체 날은, 걸림 결합부를 갖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상기 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되는 피걸림 결합부를 갖는 날체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터는, 상기 커터용 교체 날을 착탈 가능하게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날체가 출몰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체 날의 교환 작업 시에 교체 날의 날에 접촉하는 것이 저감된 커터용 교체 날 및 이 교체 날을 구비한 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터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a)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터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터의 우측 후방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의 커터의 IV-IV 단면도이며, (a)는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 1의 커터의 V-V 단면도이며, (a)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 5의 커터 VI-VI 단면도이며, (a)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도 5의 커터 조작부 주변을 확대한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터의 도6(a)의 수납 상태로부터 도 6(b)의 사용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커터(10)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커터(10)에는, 날체(70)를 구비하는 커터용 교체 날(20)(도 2 및 도 3 참조)이 본체 케이스(3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사용자는, 조작 부재(80)를 전후로 조작함으로써, 날체(70)를 본체 케이스(30)의 전단부에 설치된 날체 출몰 구멍(31)으로부터 출몰시킬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커터(10)의 날체 출몰 구멍(31)측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후방으로 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상방을 위, 하방을 아래로 하고,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보았을 때의 좌측을 왼쪽, 우측을 오른쪽으로 한다.
도 2는, 커터(10)의 좌측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커터(10)의 우측 후방 하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커터(10)는, 교체 날(20) 및 슬라이더(50)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30)와, 엔드 캡(40)을 구비한다. 교체 날(20)에는, 트레이(60)와 날체(70)가 포함된다. 슬라이더(50)의 상부에는, 조작 부재(80)가 설치된다. 또한, 커터(10)는, 엔드 캡(40)의 착탈 및 슬라이더(50)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부재(90)를 갖는다. 이하, 각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 케이스(30)는, 전후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 단부면(30c)의 선단부는, 오므라지도록 형성된다. 본체 케이스(30)의 좌측면(30a) 및 우측면(30b)(도 3 참조)의 좌우 폭은, 후방을 향하여 약간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본체 케이스(30)의 전단부측의 상면에는, 전후로 장축을 갖고 타원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조작 오목부(301)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30)의 하면에는, 본체 케이스(30)의 외표면을 따라 외표면보다 들어간 파지면(302)이 형성된다. 본체 케이스(30)의 전방 단부면(30c)에는, 날체(70)를 삽입 관통 가능한 폭 및 길이의 날체 출몰 구멍(31)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30)의 후방 개구부(34)를 후방으로부터 본 확대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체 출몰 구멍(31)의 우측 내벽에는, 상하 위치에 각각 두 개의 원호 형상 돌기(311)가 형성된다.
본체 케이스(30)의 상면에는, 본체 케이스(3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오목 형상의 긴 직사각형상 홈(303)이 형성된다. 긴 직사각형상 홈(303)의 저부에는, 본체 케이스(3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절결된 슬릿(32)이 형성된다. 이 슬릿(32)을 통하여, 본체 케이스(30)의 외부와 교체 날(20)이 수납되는 내부(33)가 관통된다. 슬릿(32)의 우측테두리부에는, 전후에 걸쳐서 복수의 절결부(321)가 형성된다. 각 절결부(321)는, 좌우로 절결되어, 상방에서 볼 때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 케이스(3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부터 교체 날(20) 및 슬라이더(50)를 수납시키는 후방 개구부(34)가 형성된다. 후방 개구부(34)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 상측이 L자 형상으로 절결되어 개구되어 있다. 후방 개구부(34)에는, 본체 케이스(30)의 저면(30f)과, 좌측면(30a) 및 우측면(30b)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설치된 U자 형상의 개구 수용부(35)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하는 개구 수용부(35)의 좌측면(35a)의 외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두 개의 가이드 홈(351a)이 형성된다. 두 개의 가이드 홈(351a)은, 상하로 병설된다. 각 가이드 홈(351a)의 전방측에는, 가이드 홈(351a)보다 깊게 우묵하게 들어간 걸림 오목부(352)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개구 수용부(35)의 우측면(35b)의 외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두 개의 가이드 홈(35lb, 351c)이 형성된다. 상측 가이드 홈(35lb)과 하측 가이드 홈(351c)은, 상하로 병설된다. 각 가이드 홈(35lb, 351c)의 전방측에는, 가이드 홈(35lb, 351c)보다 깊게 우묵하게 들어간 걸림 오목부(352)가 형성된다. 하측 가이드 홈(351c)의 후방측에는, 개구 수용부(35)의 우측면(35b)을 내외로 관통하는 직사각 형상의 걸림 구멍(353)이 형성된다. 또한, 개구 수용부(35)에는, 가이드 홈(351c)의 후단부에, 직사각 형상의 절결부(354)가 형성된다.
도 2의 확대도A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30)의 내부(33)에는, 전방 저부(333)를 갖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내부(33)의 우측 내벽(33b)으로부터는, 좌측 방향을 향하여 중간판(334)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중간판(334)은, 날체 출몰 구멍(31)이 형성되는 전방 저부(333)로부터 후방 개구부(34) 부근까지 연장 설치된다.
내부(33)의 하측 내벽에는, 전방 저부(333)로부터 후방 개구부(34) 부근에 걸쳐 얕게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 형상의 하부 홈부(36f)가 형성된다. 중간판(334)과 하부 홈부(36f) 사이에는,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오목 프레임부(36e)가 형성되고, 그 오목 프레임부(36e)의 우측 내면에는, 오목 프레임부(36e)보다 상하 폭이 좁은 오목 홈부(36e1)가 형성된다. 오목 프레임부(36e)는, 상하 폭이 날체 출몰 구멍(31)보다 넓게 형성되고, 전방 저부(333)로부터 후방 개구부(34) 부근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들 오목 프레임부(36e) 및 오목 홈부(36e1)에 의해, 트레이 수납부(36)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33)의 좌측 내벽(33a)과 중간판(334)의 좌측 단부면(334a) 사이에는, 슬라이더 좌측 수납부(37)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33)의 슬릿(32)이 형성된 상측 내벽(33e)과 중간판(334)의 상면 사이에는, 슬라이더 상측 수납부(38)가 형성된다. 또한, 중간판(334)의 후방이며, 개구 수용부(35)의 저부(35f)에는, 오목 프레임부(355) 및 가이드 돌기(356)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356)는, 저부(35f)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고, 하부 홈부(36f)로부터 저부(35f)에 접속하는 경사면으로부터, 개구 수용부(35)의 후단부까지 연장 설치된다. 오목 프레임부(355)는, 가이드 돌기(356)의 우측 방향에 설치된다.
엔드 캡(40)은, 교체 날(20) 및 슬라이더(50)를 수납한 본체 케이스(30)의 후단부로부터 개구 수용부(3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덮개로서 기능한다. 엔드 캡(40)은, 좌우 폭이 본체 케이스(30)보다 좁게 형성된다(도 6 참조). 엔드 캡(40)은, 전방측에 전방 개구부(41)를 갖는다. 엔드 캡(40)의 후방측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타원 형상의 관통 구멍(42)이 형성된다. 또한, 엔드 캡(40)의 후단부면(40d)은, 측면에서 볼 때, 관통 구멍(42)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두께가 대략 동일해지도록, 관통 구멍(42)의 내주연 형상을 따른 타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5 참조). 관통 구멍(42)의 내벽부(421)에는, 후단부면(40d)측에 관통하는 두 개의 관통 구멍(422)이 상하로 배치된다.
전방 개구부(41)의 내벽에 있어서 우측 가이드면(41b) 및 좌측 가이드면(41a)에는, 각각 전후로 연장 설치되는 볼록 형상의 가이드 레일(43a, 43b)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43a)은 상하로 두 개 병설되고, 가이드 레일(43b)도 상하로 두 개 병설된다. 또한, 우측 가이드면(4lb)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43b)의 전방측에는, 개구 수용부(35)의 우측 가이드 홈(35lb, 351c)의 걸림 오목부(352)와 걸림 결합하는 볼록 원호 형상의 걸림 결합 돌기부(431)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가이드면(41a)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43a)의 전방측에는, 개구 수용부(35)의 좌측 가이드 홈(351a)의 걸림 오목부(352)와 걸림 결합하는 볼록 원호 형상의 걸림 결합 돌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따라서, 엔드 캡(40)은, 우측 가이드 레일(43b)이 가이드 홈(35lb, 351c)에 가이드되고, 좌측 가이드 레일(43a)이 가이드 홈(351a)에 가이드됨으로써, 본체 케이스(30)에 후방으로부터 장착된다.
엔드 캡(40)이 본체 케이스(30)에 완전히 장착될 때, 걸림 결합 돌기부(431)가 걸림 오목부(352)와 걸림 결합한다. 그로 인해, 엔드 캡(40)을 장착한 클릭감을 얻는 동시에 엔드 캡(40)의 의도하지 않은 탈락이 방지된다.
엔드 캡(40)의 상면에는, 잠금 부재(90)가 장착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스폿 페이싱부(44)가 형성된다. 스폿 페이싱부(44)는, 그 저부에 있어서, 네 코너의 코너부에 장착 구멍(441)을 갖고, 대략 중앙에 장착 구멍(441)보다 약간 개구 면적이 큰 잠금 핀 삽입 관통 구멍(442)을 갖는다. 장착 구멍(441) 및 잠금 핀 삽입 관통 구멍(442)은, 엔드 캡(4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긴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스폿 페이싱부(44)의 저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잠금 핀 삽입 관통 구멍(442)을 사이에 끼운 전방측과 후방측에 걸림 결합 돌기(443)가 형성된다.
이어서, 교체 날(20)에 대해서 설명한다. 교체 날(20)은, 트레이(60) 및 날체(70)를 포함한다. 교체 날(20)에 포함되는 날체(70)는, 날체(70)의 우측으로부터 트레이(60)에 의해 보유 지지되고, 날체(70)의 좌측으로부터 슬라이더(50)와 접속된다.
트레이(60)는, 전후로 장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저판(61)을 갖는다. 저판(61)의 상방 테두리 및 하방 테두리로부터는, 저판(61)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전단부측에 걸쳐서 각각 상측벽(61e) 및 하측벽(61f)이 좌측 방향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측벽(61e) 및 하측벽(61f)의 좌우 방향의 높이는 날체(70)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측벽(61e)의 선단으로부터는, 하방으로 굴절된 두 개의 상측 누름벽(61e1, 61e2)이 형성된다. 하측벽(61f)의 선단으로부터는, 상방으로 굴절된 두 개의 하측 누름벽(61f1, 61f2)이 형성된다. 각 누름벽(61e1, 61e2, 61f1, 61f2)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상측 누름벽(61e1), 하측 누름벽(61f1), 상측 누름벽(61e2), 하측 누름벽(61f2)의 순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저판(61), 상측벽(61e) 및 하측벽(61f)에 의해 전후로 긴 홈부가 형성된다. 이 홈부에 적재된 날체(70)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일측이 상측 누름벽(61e1, 61e2) 및 하측 누름벽(61f1, 61f2)에, 타측이 저판(61)에 끼워짐으로써, 좌우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날체(70)는,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헐겁게 끼워지면서 전후 이동이 자유롭게 가이드 됨과 동시에, 트레이(60)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상측벽(61e)의 좌측 방향 단부에는, 긴 판 형상의 가이드판(611)이 더 연장 설치된다. 가이드판(611)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중앙의 약간 후방측으로부터 전단부까지 연장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판(611)은, 하면이 상측벽(61e)의 하면과 대략 높이가 동일하고, 상면이 상측벽(61e)의 상면과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상측벽(61e)과 접속된다.
저판(61)은, 날체(70)의 적재측과 반대측(트레이(60)의 우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긴 직사각형 오목부(62)를 갖는다. 긴 직사각형 오목부(62)는, 전후 방향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전단부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판(61)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다. 긴 직사각형 오목부(62)의 후방에는, 원 형상의 관통 구멍(621)이 형성된다. 또한, 저판(61)은, 긴 직사각형 오목부(62)의 상방 위치 및 하방 위치에, 관통 구멍인 상측 창 구멍(64e)과 하측 창 구멍(64f)을 갖는다(도 3도 참조). 상측 창 구멍(64e)은, 상측 누름벽(61e1, 61e2)의 우측에 위치한다. 하측 창 구멍(64f)은, 하측 누름벽(61f1, 61f2)의 우측에 위치한다. 상측 창 구멍(64e)과 하측 창 구멍(64f)은, 전후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긴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저판(61)은, 후단부측에 전후로 연장되는 긴 구멍(612)을 갖는다. 그 긴 구멍(612)의 내측에는, 외팔보 스프링 형상의 미끄럼 이동판(63)이 형성된다. 미끄럼 이동판(63)의 후단부측은 저판(61)과 접속되는 고정단부(63d)이고, 미끄럼 이동판(63)의 전방측 선단(63c)은 자유단부이다. 미끄럼 이동판(63)은, 선단(63c)의 좌측에 세워 설치되는 미끄럼 이동 돌기(걸림 결합부)(631)를 갖는다. 미끄럼 이동 돌기(631)는, 전후로 긴 장원의 저변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미끄럼 이동 돌기(631)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C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미끄럼 이동판(63)은, 고정단부(63d)와 선단(63c) 사이에 있어서 좌측으로 돌출한 조작 돌기(632)를 갖는다. 조작 돌기(632)는, 도6(a)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보면 저변을 미끄럼 이동판(63)측으로 한 대략 오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미끄럼 이동판(63)의 고정단부(63d)측의 상방에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 돌기(633c)와 후방 돌기(633d)가 형성된다(도 5(b) 참조). 전방 돌기(633c)의 전방측면 및 후방 돌기(633d)의 후방측면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방 돌기(633c)의 후방측면은 후방으로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후방 돌기(633d)의 전방측면은 후방으로 올라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저판(61)은, 상측 누름벽(61e1)의 후방 및 하측 누름벽(61f1)의 후방에, 각각 상측 걸림부(651) 및 하측 걸림부(652)를 갖는다. 상측 걸림부(651)는, 상측 저부가 상측벽(61e)에 접속되어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도5(a) 참조). 하측 걸림부(652)는, 하측 저부가 하측벽(61f)에 접속되어 상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측 걸림부(651)의 전방 단부면과, 하측 걸림부(652)의 전방 단부면 각각은, 대략 동일면 상에 설치되고, 날체(70)가 트레이(60)에 수납되었을 때에 날체(70)의 후단부 경사면(70d)과 접촉하여 날체(7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상측벽(61e)의 후방측에는, 하방을 향하여 오목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걸림부(66)가 형성된다. 걸림부(66)는, 전단부 및 후단부를 고정단부로 한 상하로 탄성 변형 가능한 고정지지 스프링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부(66)의 하면 전후 방향 대략 중앙에는, 상부 걸림 돌기(661)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상부 걸림 돌기(661)는, 좌우 폭이 걸림부(66)보다 넓고 걸림부(66)의 우측 방향측까지 연장 설치된다. 또한, 상부 걸림 돌기(661)의 기단부측의 전후에는, 판상의 플랜지부(661c, 661d)가 형성된다. 이 플랜지부(661c, 661d)는, 상부 걸림 돌기(661)의 우측 위치에 설치된다. 도 2에서, 하측벽(61f) 상부 걸림 돌기(66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지지 돌기(662)가 상방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부 걸림 돌기(661) 및 지지 돌기(662)의 선단은, 측면에서 볼 때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서, 저판(61)에는, 긴 구멍(612)의 후단부측에 있어서, 걸림부(66)와 미끄럼 이동판(63) 사이에 절결부(663)가 형성된다. 저판(61)의 우측면에는, 돌출면(613)이 형성된다. 돌출면(613)은, 상하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고, 트레이(60)의 전단부로부터 대략 후단부까지 연장 설치된다. 절결부(663)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있어서, 돌출면(613)의 일부로부터는, 돌기부(664c, 664d)가 상부 걸림 돌기(661)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또한, 미끄럼 이동판(63)의 우측면측에는, 리브부(635)가 형성된다. 리브부(635)는, 미끄럼 이동판(63)의 고정단부(63d)로부터 미끄럼 이동판(63)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까지 연장 설치된다. 또한, 리브부(635)의 고정단부(63d)의 일부는, 절결부(634)의 테두리와 인접하여 상하 폭이 좁게 형성된다.
도 2에 있어서, 미끄럼 이동판(63)에는, 고정단부(63d)측의 하단부에,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절결된 절결부(634)가 형성된다. 절결부(634)의 좌측에는, 저판(61)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의 걸림 결합 돌기(671)가 설치된다. 걸림 결합 돌기(671)의 선단에는, 상방을 향하여 세워 설치되는 되돌림 돌기(671e)가 형성된다. 또한, 걸림 결합 돌기(671)의 하방에는, 저판(61)으로부터 연장 설치된 후방 압박판(672)이 슬라이더(50)의 좌측 방향에 형성된다. 이 걸림 결합 돌기(671)에 슬라이더(50)의 홈부(533)가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50)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걸림 결합 돌기(671) 및 후방 압박판(672)에 의해, 슬라이더(50)는, 트레이(60)에 대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하측벽(61f)의 하단부에 있어서, 후방 압박판(672)의 전방측에는, 개구 수용부(35)의 가이드 돌기(356)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 돌기(673)가 형성된다. 접촉 돌기(673)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트레이(60)는, 저판(61)의 후방에 트레이 걸림부(68)를 갖는다. 트레이 걸림부(68)는, 저판(61)보다도 상하 폭이 좁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트레이 걸림부(68)의 좌측면에는, 평면에서 볼 때 V자 형상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홈부(681)가 형성된다. 또한, 홈부(681) 내의 후방 내면에는 좌측 방향을 향하여 세워 설치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기둥 형상 돌기(682)가 형성된다. 도 3에서, 트레이 걸림부(68)의 후단 우측면에는, 걸림 돌기(683)가 형성된다. 이 걸림 돌기(683)는, 트레이(60)를 본체 케이스(30)의 내부(33)에 수납했을 때, 본체 케이스(30)의 걸림 구멍(353)에 걸어, 트레이(60)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트레이 걸림부(68)의 후단에는, 트레이 걸림부(68)를 좌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걸림 돌기(683)의 걸림 구멍(353)으로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판(684)이 설치된다.
날체(70)는, 평행사변형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날체(70)는, 장변의 한쪽에 날끝(71)을 갖는다. 이 날끝(71)은, 날체(70)의 양면에 날이 형성된 양면 날로서 형성된다. 날체(70)는, 날끝(71)이 하측으로 되고, 날끝(71)을 포함하는 날체(70)의 예각 정점이 전방으로 되도록, 트레이(60)에 수납된다. 날체(70)는, 후단부측에 있어서 송출 구멍(72)과 보유 지지 구멍(피걸림 결합부)(73)을 갖는다. 송출 구멍(72)은, 날체(70)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에 형성된 둥근 구멍이다. 또한, 보유 지지 구멍(73)은, 날체(70)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에 있어서, 송출 구멍(72)의 후방 위치에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유 지지 구멍(73)의 구멍 형상의 장축은, 날체(70)의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날체(70)는, 상하 방향이 상측벽(61e)과 하측벽(61f) 사이에 끼워지고, 좌우 방향이 저판(61)과 상측 누름벽(61e1, 61e2) 및 하측 누름벽(61f1, 61f2) 사이에 끼워져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또한, 보유 지지 구멍(73)에는 미끄럼 이동 돌기(631)가 삽입된다. 날체(70)는, 미끄럼 이동 돌기(631)가 보유 지지 구멍(73)에 삽입되어 있는 동안,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슬라이더(50)는, 트레이(60), 날체(70) 및 조작 부재(80)와 조합하여, 날체(70)의 전후 이동을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슬라이더(50)는, 슬라이드판(51)과 조작부(52)를 갖는다.
슬라이드판(51)은, 날체(70)를 트레이(60)와 사이에 끼우면서, 날체(70)와 접속된다. 슬라이드판(51)의 후방측에는, 고정판(53)이 연장 설치된다. 고정판(53)의 상하 폭은, 슬라이드판(51)의 상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고정판(53)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더(50)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구멍(531)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53)은, 잠금 구멍(531)의 하방에, 기둥 형상 돌기(682)보다 전후 폭이 넓은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절결부(532)를 갖는다. 슬라이드판(51)의 좌측면에는, 상하 2단으로 배치되고, 전후로 분할된 네 개의 가이드 레일(54)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54)은, 슬라이드판(51)으로부터 돌출한 직선 형상의 돌기이며 슬라이더(5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53)의 하단부에는, 절결부(532)에 의해 전후가 이격된 후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홈부(533)가 형성된다. 홈부(533)는, 내벽이 하방 및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트레이(60)의 되돌림 돌기(671e)와 걸림 결합한다.
슬라이드판(51)의 우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홈(55)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55)은, 가이드판(611)과 걸림 결합한다. 가이드 홈(55)은, 긴 판 형상으로 두 개의 레일 사이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55)은, 슬라이더(50)의 전단부로부터 잠금 구멍(531)이 설치되는 고정판(53)에 걸쳐서 설치된다. 슬라이드판(51)의 우측면의 대략 중앙에는, 가압부(561)가 형성된다. 가압부(561)는, 전후로 장축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압부(561)는, 전방 경사부(561c) 및 후방 경사부(561d)를 갖는다. 또한, 가압부(561)의 우측면의 대략 중앙에는, 전후로 긴 오목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가압부(561)의 후단부이며, 후방 경사부(561d)의 상단부에는, 판부(561e)가 후방으로 연장 설치된다. 이 판부(561e)를 포함하는 가압부(561)의 상면에는, 하부 걸림 돌기(562)가 형성된다. 하부 걸림 돌기(562)는, 우측면에서 볼 때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판(51)의 가압부(561)의 전방측에는, 날체(70)의 송출 구멍(72)과 걸림 결합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걸림 결합 돌기(563)가 우측 방향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걸림 결합 돌기(563)는, 전체를 전후로 분단하는 홈부(563a)를 갖는다. 걸림 결합 돌기(563)에 인접하는 후방에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으로 세워 설치되는 날체(70)의 적재대(564)가 형성된다. 또한, 적재대(564)와 걸림 결합 돌기(563)의 경계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홈부가 형성된다. 날체(70)의 송출 구멍(72)에는, 걸림 결합 돌기(563)가 삽입된다. 이때, 날체(70)의 좌측면은, 적재대(564)의 평탄면(564a)과 접촉한다.
또한, 슬라이드판(51)의 우측면에는, 하단부(51e)와, 하단부(51e)보다도 우측 방향으로 판 두께가 두꺼운 상단부(51f)가 형성되어 있다. 하단부(51e)는, 슬라이드판(51)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단부(51f)는 슬라이드판(51)의 하방에 설치된다. 가압부(561) 및 적재대(564)는, 상단부(51f)와 하단부(51e)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걸림 결합 돌기(563)는, 상단부(51f) 상에 배치된다. 걸림 결합 돌기(563)의 홈부(563a)의 저부는, 상단부(51f)와 동일면에 형성된다.
도 2에 있어서, 조작부(52)는, 슬라이드판(51)의 상부에 연장 설치된다. 조작부(52)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조작 본체부(57)와, 조작 본체부(57)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 설치된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고정판(58)을 갖는다. 조작 본체부(57)는, 슬라이드판(51)의 상부에 있어서, 슬라이드판(51)과 대략 수직으로 되도록 접속된다. 조작 본체부(57)의 상면 네 코너에는, 각각 사각 기둥 형상의 접촉 돌기(571)가 설치된다. 접촉 돌기(571)의 상면측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C모타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 돌기(571)의 상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은, 상방으로 돌출한 단차부가 형성된다. 각 접촉 돌기(571)의 하방 위치에 있어서, 조작 본체부(57)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각각 대략 원호 형상의 걸림 결합 돌기(572)가 합계 네 개 설치된다.
고정판(58)은, 좌측의 두 개의 접촉 돌기(571a)의 우측에 인접하고 있다. 고정판(58)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상방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한 되돌림 돌기(581)가 형성된다. 되돌림 돌기(581)는, 상단부가 C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판(58)에는, 전방에 있어서, 우측 전방을 향하여 두 갈래로 분기하는 전방 분기판(582)이 형성된다(도 7도 참조). 또한, 고정판(58)에는, 후방에 있어서, 우측 후방을 향하여 두 갈래로 분기하는 후방 분기판(583)이 형성된다. 전방 분기판(582)의 전단부 및 후방 분기판(583)의 후단부는, 상면에서 볼 때, 고정판(58)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분기판(582)의 선단부 및 후방 분기판(583)의 선단부 상방에는, 우측으로 돌출한 되돌림 돌기(581)가 형성된다. 전방 분기판(582) 및 후방 분기판(583)의 되돌림 돌기(581)는, 상단부측이 C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판(58)의 우측면에는, 두 개의 각기둥 형상의 걸림 결합 돌기(584c, 584d)가 형성된다. 걸림 결합 돌기(584c, 584d)는, 전방 분기판(582) 및 후방 분기판(583)의 사이에 설치된다. 전방측의 걸림 결합 돌기(584c)는 고정판(58)으로부터 우측 전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고, 후방측의 걸림 결합 돌기(584d)는, 고정판(58)으로부터 우측 후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다. 또한, 각 걸림 결합 돌기(584c, 584d)의 선단은, 전방 분기판(582) 및 후방 분기판(583)보다도 우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조작 부재(80)는, 조작부(52)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고정된다. 조작 부재(80)는, 도 3의 확대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긴 대략 직사각형 판상으로 형성된다. 조작 부재(80)는, 좌측판(81a) 및 우측판(8lb)을 갖고, 하방을 개구시킨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좌측판(81a)의 내벽에는, 되돌림 돌기(581)와 대략 동일한 전후 간격의 위치에, 두 개의 내측 걸림 돌기(81a1)가 설치된다. 또한, 우측판(8lb)의 내벽에도, 내측 걸림 돌기(81a1)와 좌우의 대향하는 위치에, 두 개의 내측 걸림 돌기(8lb1)가 설치된다. 내측 걸림 돌기(81a1)는, 모두 조작 부재(8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내측 걸림 돌기(81a1, 8lb1)의 하단부에는, C모따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작 부재(80)의 천장판(82)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하면으로부터 입방체형상의 전방 규제 부재(821c) 및 후방 규제 부재(821d)가 형성된다. 전방 규제 부재(821c) 및 후방 규제 부재(821d)의 사이에는, 저면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 각기둥 형상의 걸림 결합 해제판(83)이, 천장판(82)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세워 설치된다. 걸림 결합 해제판(83)은, 우측면이, 우측판(8lb)의 내면과 접해서 배치된다. 걸림 결합 해제판(83)의 전단부 및 후단부의 좌측은, 각각 경사면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걸림 결합 해제판(83) 및 우측판(8lb)의 경계 부분에는, 오목 형상의 홈부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80)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홈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된다. 이 요철부는, 사용자가 조작 부재(8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때의 미끄럼 방지부로 기능한다.
잠금 부재(90)는, 본체 부분이 대략 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잠금 부재(90)의 상면에는, 전후로 긴 직선 형상의 돌기인 조작 손잡이(91)가 형성된다. 이 조작 손잡이(91)는, 사용자가 잠금 부재(9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 시킬 때 사용된다. 잠금 부재(90)의 본체 부분의 하면에는, 도 3의 확대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코너의 코너부에 있어서 가이드 기둥(92)이 하방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각 가이드 기둥(92)은, 그 하측 선단부에 전후의 외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되돌림 돌기(921)를 구비한다. 되돌림 돌기(921)는, 선단측으로부터 잠금 부재(90)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굵어지도록 서서히 경사져 형성된다. 전방측 가이드 기둥(92c)의 되돌림 돌기(921)의 경사면은 전방측에 형성되고, 후방측 가이드 기둥(92d)의 되돌림 돌기(921)의 경사면은 후방측에 형성된다.
각 가이드 기둥(92)은, 스폿 페이싱부(44)에 설치된 장착 구멍(441)에 각각 대응해서 삽입된다. 또한, 되돌림 돌기(921)는, 장착 구멍(441)을 관통한 하방 단부의 노출 부분에 설치된다. 따라서, 되돌림 돌기(921)는, 잠금 부재(90)가 엔드 캡(40)의 장착 구멍(44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부재(90)의 본체 부분의 하면 중앙에는, 하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잠금 핀(93)이 형성된다. 잠금 핀(93)은, 선단이 엔드 캡(40)의 좌측을 향하여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잠금 핀(93)은, 스폿 페이싱부(44)에 설치된 잠금 핀 삽입 관통 구멍(442)에 삽입 관통된다. 또한, 잠금 부재(90)의 이면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94a, 94b)가 좌우 각각에 형성된다. 각 홈부(94a, 94b)는, 잠금 핀(93)을 사이에 끼운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분단되어 있다. 이 좌우 어느 한쪽의 홈부(94a, 94b)는, 엔드 캡(40)의 걸림 결합 돌기(443)와 걸림 결합한다.
도4(a)는, 도 1의 커터(10)의 잠금 부재(90)의 위치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이며,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b)는 IV-IV 단면도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다. 잠금 부재(90)의 가이드 기둥(92) 및 잠금 핀(93)은, 각각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구멍(441) 및 잠금 핀 삽입 관통 구멍(442)에 삽입되므로, 잠금 부재(90)를 커터(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 부재(90)를 도면의 우측(커터(10)의 좌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잠금 부재(90)의 하면에 설치되는 L자 형상의 잠금 핀(93)의 선단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구멍(531)에 삽입 관통된다. 잠금 핀(93)이 잠금 구멍(531)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잠금 상태에서는, 슬라이더(50)의 전후 방향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잠금 상태에서는, 잠금 부재(90)는 엔드 캡(4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엔드 캡(40)의 전후 이동도 규제된다. 즉, 잠금 부재(90)를 조작함으로써, 커터(10)의 엔드 캡(40)의 제거를 규제하면서, 커터(10)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부재(90)가 커터(10)의 우측 위치에 있을 때(도4(a)의 잠금 해제 상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잠금 부재(90)의 본체부의 이면에 설치된 좌측의 홈부(94a)와 걸림 결합 돌기(443)가 걸림 결합한다. 또한, 잠금 부재(90)가 커터(10)의 좌측 위치에 있을 때(도 4(b)의 잠금 상태), 잠금 부재(90)의 이면에 설치된 우측의 홈부(94b)와 걸림 결합 돌기(443)가 걸림 결합한다. 따라서, 잠금 부재(90)는, 잠금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커터(10)의 수납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커터(10)의 V-V 단면도이며, (a)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커터(10)의 VI-VI 단면도이며, (a)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은, 도 5의 커터(10)의 조작부(52) 주변을 확대한 VII-VII 단면도이다.
도5(a)의 수납 상태에서는,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돌기(631)는 보유 지지 구멍(73)의 전방측에 삽입되어 있다. 조작 돌기(632)의 슬라이더(50)측의 정점과, 이 정점으로부터 저판(61)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전후면은, 슬라이더(50)의 위치를 따라서 가압부(561)와 접한다. 수납 상태에 있어서, 조작 돌기(632)는, 가압부(561)의 전방 경사부(561c)의 전방에 위치한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 부재(80)가 전방으로 밀려나면,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80)에 설치된 걸림 결합 해제판(83)의 전단부 경사부(83c)는, 전방의 걸림 결합 돌기(584c)를 좌측 전방 방향(도 7의 좌측 하방 방향)으로 밀어내어 절결부(321)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한다. 그로 인해, 조작부(52)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후방의 걸림 결합 돌기(584d)는, 조작부(52)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좌측 방향(도 7의 하방)으로 휘어, 절결부(321)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도5(a)에서, 슬라이더(5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하부 걸림 돌기(562)는, 상부 걸림 돌기(661)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 걸림부(66)의 중앙을 상방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따라서, 슬라이더(50)의 이동에는, 소정 이상의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슬라이더(50)와 함께 날체(70)가 부주의하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커터(10)의 도6(a)의 수납 상태로부터 도 6(b)의 사용 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단면도이다. 조작 부재(80)가 전방측으로 밀려나면, 미끄럼 이동 돌기(631)는 긴 구멍인 보유 지지 구멍(73) 내에 소정의 유격량을 갖고 삽입되어 있으므로, 날체(70)는 슬라이더(50)와 함께 소정의 유격량 분만큼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돌기(632)가 전방 경사부(561c)에 올라타 가압부(561)의 평탄부에 위치하면, 미끄럼 이동판(63)은 트레이(60)의 우측(도 8에 있어서의 상측)으로 휜다. 그로 인해, 미끄럼 이동 돌기(631)는 보유 지지 구멍(73)으로부터 벗어나, 날체(70)의 전진 이동이 더욱 가능해진다. 슬라이더(50)를 더욱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가압부(561)는, 조작 돌기(632)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더(50)측으로 이동한 미끄럼 이동 돌기(631)와 접촉한다. 그로 인해, 미끄럼 이동 돌기(631)가 가압부(561)의 평탄부에 위치하고, 미끄럼 이동판(63)의 우측 방향으로의 휨이 유지된다. 그 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561)가 미끄럼 이동 돌기(631)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미끄럼 이동판(63)의 변형이 탄발력에 의해 원래대로 복귀되고, 날체(70)가 날체 출몰 구멍(31)으로부터 외부에 노출된다.
슬라이더(50)의 전방으로의 송출 조작이 끝나고, 사용자가 조작 부재(80)의 조작을 해제하면, 도 7의 걸림 결합 돌기(584c, 584d)가 어느 하나의 절결부(321)에 걸림 결합한다. 따라서, 슬라이더(50)의 전후 이동이 규제되어, 날체(70)의 돌출량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b) 및 도 6(b)의 커터(10)의 사용 상태의 외관은, 도 1(b)의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5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도 7에 나타낸 걸림 결합 돌기(584c, 584d)는,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조작 부재(80)가 후방으로 밀려나면, 조작 부재(80)에 설치된 걸림 결합 해제판(83)의 후단부 경사부(83d)는, 후방의 걸림 결합 돌기(584d)를 좌측 후방 방향(도 7의 우측 하방 방향)으로 밀어내어 절결부(321)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한다. 그로 인해, 조작부(52)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방의 걸림 결합 돌기(584c)는, 조작부(52)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좌측 방향(도 7의 하방)으로 휘어, 절결부(321)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걸림 결합 해제판(83)은, 조작 부재(80)의 전후 조작에 의해 걸림 결합 돌기(584c, 584d)의 절결부(321)와의 걸림 결합을 슬라이더(50)의 이동 방향으로 해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슬라이더(50)는, 날체(7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과 날체(70)에 삽입된 미끄럼 이동 돌기(631)를 빼내는 기능을, 각각 걸림 결합 돌기(563)와 가압부(561)를 구비한 하나의 부재에 의해 실현하고 있지만, 가압부(561)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미끄럼 이동 돌기(631)는,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볼록 원호 형상의 돌기로 해도 좋다. 따라서, 조작 부재(80)를 소정의 힘 이상으로 전방으로 미는 것에 의해, 미끄럼 이동 돌기(631)가 보유 지지 구멍(73)의 후방 테두리에 올라타, 날체(70)와 트레이(60)와의 보유 지지를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교체 날(20)과 슬라이더(50)는, 하나의 세트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터(10)의 소모품으로서 교환되는 교체 날에는, 트레이(60), 날체(70) 및 슬라이더(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교체 날의 교환 시에 슬라이더(50)를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50)와 날체(70)는, 날체(70)에 두 개 이상의 둥근 구멍이나 각진 구멍 등의 구멍부를 설치해서 고정시킬 수 있다. 혹은, 날체(70)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절결부를 형성하고, 슬라이더(50)를 그 절결부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더(50)와 날체(70)를 고정해도 좋다.
또한, 보유 지지 구멍(73)과 미끄럼 이동 돌기(631)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는 방법은, 슬라이더(50)의 전진 이동에 의해 가압부(561)가 미끄럼 이동판(63)을 휘게 하는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 부재(80)의 조작과 연동하는 다른 부재가 미끄럼 이동판(63)의 좌측으로부터 접촉하여, 미끄럼 이동판(63)을 휘게 해도 좋다. 혹은, 본체 케이스(30)의 외면에 슬라이더(50)와 독립한 해제 부재를 설치하고, 이 해제 부재의 누름 조작이나 슬라이드 조작과 연동하는 부재 등에 의해 조작 돌기(632) 등을 밀어 미끄럼 이동판(63)을 휘게 해도 좋다.
또한, 보유 지지 구멍(73)은,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긴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둥근 구멍이나 각진 구멍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 돌기(631)의 착탈 방법은, 다른 방법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30)는, 날체(70)와 미끄럼 이동 돌기(631)의 보유 지지 상태 및 보유 지지 해제 상태를 슬라이드 조작이나 누름 조작에 의해 전환하기 위한 잠금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이동 돌기(631)는, 보유 지지 구멍(73)에 삽입 관통되어 있을 때,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가압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날체(70)에 형성되는 날끝(71)은, 단면 날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교체 날의 교환 작업 시에 교체 날의 날에 접촉하는 것이 저감된 커터용 교체 날 및 이 교체 날을 구비한 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10 : 커터
20 : 교체 날
30 : 본체 케이스
30a : 좌측면
30b : 우측면
30c : 전방 단부면
30f : 저면
31 : 날체 출몰 구멍
32 : 슬릿
33 : 내부
33a : 좌측 내벽
33b : 우측 내벽
33e : 상측 내벽
34 : 후방 개구부
35 : 개구 수용부
35a : 좌측면
35b : 우측면
35f : 저부
36 : 트레이 수납부
36e : 오목 프레임부
36e1 : 오목 홈부
36f : 하부 홈부
37 : 슬라이더 좌측 수납부
38 : 슬라이더 상측 수납부
301 : 조작 오목부
302 : 파지면
303 : 긴 직사각형상 홈
311 : 원호 형상 돌기
321 : 절결부
333 : 전방 저부
334 : 중간판
334a : 좌측 단부면
351a 내지 351c : 가이드 홈
352 : 걸림 오목부
353 : 걸림 구멍
354 : 절결부
355 : 오목 프레임부
356 : 가이드 돌기
40 : 엔드 캡
40d : 후단부면
41 : 전방 개구부
41a : 가이드면
4lb : 가이드면
42 : 관통 구멍
43a : 가이드 레일
43b : 가이드 레일
44 : 스폿 페이싱부
421 : 내벽부
422 : 관통 구멍
431 : 걸림 결합 돌기부
441 : 장착 구멍
442 : 잠금 핀 삽입 관통 구멍
443 : 걸림 결합 돌기
50 : 슬라이더
51 : 슬라이드판
51e : 하단부
51f : 상단부
52 : 조작부
53 : 고정판
54 : 가이드 레일
55 : 가이드 홈
57 : 조작 본체부
58 : 고정판
531 : 잠금 구멍
532 : 절결부
533 : 홈부
561 : 가압부
561c : 전방 경사부
561d : 후방 경사부
561e : 판부
562 : 하부 걸림 돌기
563 : 걸림 결합 돌기
563a : 홈부
564 : 적재대
564a : 평탄면
571, (571a, 57lb) : 접촉 돌기
572 : 걸림 결합 돌기
581 : 되돌림 돌기
582 : 전방 분기판
583 : 후방 분기판
584c, 584d : 걸림 결합 돌기
60 : 트레이
61 : 저판
61e : 상측벽
61e1, 61e2 : 상측 누름벽
61f : 하측벽
61f1, 61f2 : 하측 누름벽
62 : 긴 직사각형 오목부
63 : 미끄럼 이동판
63c : 선단
63d : 고정단부
64e : 상측 창 구멍
64f : 하측 창 구멍
66 : 걸림부
68 : 트레이 걸림부
611 : 가이드판
612 : 긴 구멍
613 : 돌출면
621 : 관통 구멍
631 : 미끄럼 이동 돌기
632 : 조작 돌기
633c : 전방 돌기
633d : 후방 돌기
634 : 절결부
635 : 리브부
651 : 상측 걸림부
652 : 하측 걸림부
661 : 상부 걸림 돌기
661c : 플랜지부
661d : 플랜지부
662 : 지지 돌기
663 : 절결부
664c : 돌기부
664d : 돌기부
671 : 걸림 결합 돌기
671e : 되돌림 돌기
672 : 후방 압박판
673 : 접촉 돌기
681 : 홈부
682 : 기둥 형상 돌기
683 : 걸림 돌기
684 : 조작판
70 : 날체
71 : 날끝
72 : 송출 구멍
73 : 보유 지지 구멍
70d : 후단부 경사면
80 : 조작 부재
81a : 좌측판
81a1 : 내측 걸림 돌기
8lb : 우측판
8lb1 : 내측 걸림 돌기
82 : 천장판
83 : 걸림 결합 해제판
83c : 전단부 경사부
83d : 후단부 경사부
821c : 전방 규제 부재
821d : 후방 규제 부재
90 : 잠금 부재
91 : 조작 손잡이
92(92c, 92d) : 가이드 기둥
93 : 잠금 핀
94a : 홈부
94b : 홈부
921 : 되돌림 돌기

Claims (8)

  1. 교체 날을 사용하는 커터로서,
    상기 교체 날은 걸림 결합부가 형성되는 미끄럼 이동판을 갖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상기 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되는 피걸림 결합부를 갖는 날체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미끄럼 이동판이 상기 날체에 가압되어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고,
    상기 교체 날을 착탈 가능하게 수납해서 상기 트레이를 고정시키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날체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미끄럼 이동판을 가압해서 상기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고 후방 이동에 의해 해당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걸림 결합부를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시키는 가압부를 갖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결합부는, 외팔보 스프링 형상의 상기 미끄럼 이동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미끄럼 이동 돌기이고,
    상기 피걸림 결합부는, 상기 날체에 형성되는 긴 구멍 형상의 보유 지지 구멍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이동판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 이동에 맞추어 상기 가압부와 접촉해서 가압되는 조작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상면에 형성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절결된 복수의 절결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절결부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돌기와, 상기 걸림 결합 돌기의 상기 절결부와의 걸림 결합을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해제하는 걸림 결합 해제판을 포함하는 조작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날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날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엔드 캡과,
    상기 엔드 캡의 착탈 및 상기 슬라이더의 전후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
  8. 커터의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교체 날로서,
    걸림 결합부가 형성되는 미끄럼 이동판을 갖고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고정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상기 걸림 결합부가 걸림 결합되는 피걸림 결합부를 갖는 날체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결합부는, 상기 미끄럼 이동판이 상기 날체에 가압되어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하고,
    상기 커터는 상기 날체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이동에 의해 상기 미끄럼 이동판을 가압해서 상기 걸림 결합부의 걸림 결합을 해제하고 후방 이동에 의해 해당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걸림 결합부를 상기 피걸림 결합부에 걸림 결합시키는 가압부를 갖는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용 교체 날.
KR1020170054367A 2016-05-26 2017-04-27 커터용 교체 날 및 커터 KR102383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5206A JP6718611B2 (ja) 2016-05-26 2016-05-26 カッター用の替刃及びカッター
JPJP-P-2016-105206 2016-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198A KR20170134198A (ko) 2017-12-06
KR102383726B1 true KR102383726B1 (ko) 2022-04-06

Family

ID=6045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367A KR102383726B1 (ko) 2016-05-26 2017-04-27 커터용 교체 날 및 커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18611B2 (ko)
KR (1) KR102383726B1 (ko)
CN (1) CN107433626B (ko)
TW (1) TWI7157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40654A (ja) * 2021-09-10 2023-03-23 ムラテックKds株式会社 カッターナイ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077A (ja) 2007-03-22 2008-10-02 Kokuyo Co Ltd カッターナイ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1010Y2 (ko) * 1978-02-13 1982-11-08
JPH056954Y2 (ko) * 1987-12-28 1993-02-22
JP3382367B2 (ja) * 1994-08-12 2003-03-04 株式会社ケイディエス カートリッジ式カッターナイフ
US5604984A (en) * 1995-10-26 1997-02-25 The Nack Company Limited Utility knife with rotary blade magazine
JP3600671B2 (ja) * 1995-12-15 2004-12-15 エヌティー株式会社 カッタナイフのスライダ
TW567976U (en) * 2002-08-08 2003-12-21 Sheheng Jaan Ind Corp Improved structure for craft knife
US20050172496A1 (en) * 2004-02-06 2005-08-11 Zeng Min Z. Gigantic strength type cutter knife
US7389587B2 (en) * 2005-09-08 2008-06-24 Helen Of Troy Limited Utility knife
JP2010264004A (ja) * 2009-05-13 2010-11-25 Olfa Corp カッターナイフ
TWM393402U (en) * 2010-07-16 2010-12-01 Mang Kao Entpr Co Ltd Forward/backward pressing control device
CN201760884U (zh) * 2010-07-22 2011-03-16 盟高实业股份有限公司 前后按压操控装置
CN202241316U (zh) * 2011-08-12 2012-05-30 何峻锋 利用倾斜状态进行刀片切换的美工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9077A (ja) 2007-03-22 2008-10-02 Kokuyo Co Ltd カッターナイ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198A (ko) 2017-12-06
CN107433626B (zh) 2020-12-04
TW201741102A (zh) 2017-12-01
JP6718611B2 (ja) 2020-07-08
TWI715768B (zh) 2021-01-11
JP2017209342A (ja) 2017-11-30
CN107433626A (zh)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91733B2 (en) Razor with blade unit biasing member
KR102180993B1 (ko) 면도 카트리지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는 면도기용 손잡이
EP2934829B1 (en) Shaver
JP4486038B2 (ja) 外科用メス刃用ホルダ
US20060277761A1 (en) Saw tool
EP2700482A1 (en) Box cutter with retractable blade
WO2006113200A1 (en) Releasable blade locking mechanism for utility knife
US6782785B2 (en) Cutter cassette and cutting device
KR102615110B1 (ko) 카트리지를 결속 및 결속 해제하기 위한 잠금 및 해제 메커니즘을 갖는 면도기 손잡이
US6598761B1 (en) Blade holder and dispenser
WO2013031017A1 (ja) 刃物
KR102383726B1 (ko) 커터용 교체 날 및 커터
US20120110858A1 (en) Safety Cutter with Blade Change/Storage Mechanism
EP3167755A1 (en) Drawer slide assembly
US20060103279A1 (en) Drawer assembly with a stop mechanism
CN112914644B (zh) 一种腔镜吻合器
JP4493036B2 (ja) 外科用メス刃用ホルダ
JP3974641B1 (ja) 成形用金型装置
JP3812703B2 (ja) カッターナイフ
JP6456701B2 (ja) 手持ち具
JP2000042262A (ja) クイックバックスライダ
JP4468317B2 (ja) 横引き式スクリーン装置における固定框の取付機構
JP2018000420A (ja) 収納装置
JP5850719B2 (ja) 刈取機
JP6824646B2 (ja) 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