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480B1 -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480B1
KR102383480B1 KR1020170169842A KR20170169842A KR102383480B1 KR 102383480 B1 KR102383480 B1 KR 102383480B1 KR 1020170169842 A KR1020170169842 A KR 1020170169842A KR 20170169842 A KR20170169842 A KR 20170169842A KR 102383480 B1 KR102383480 B1 KR 10238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uel
unit
connection structure
ven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682A (ko
Inventor
박준영
이성원
임준식
최승훈
이태윤
김명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4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23Arrangements of the venting tube
    • B60K2015/03533Arrangements of the venting tube the venting tube being movable with the fuel level
    • B60K2015/06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주유구의 외측에 장착되며 레벨링유닛과 벤팅유닛이 동시에 체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구에 주유건이 삽입되고 주유가 시작되면 상기 플러그가 상기 벤팅유닛을 폐쇄하여 벤트 튜브 내 요소수의 과주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UREA TANK FOR DIESEL CAR}
본 발명은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에 관한 발명이다.
SCR 시스템은 디젤차량의 배기가스 중 질소산화물(NOX)을 저감시키기 위해 배기측 SCR촉매에 요소수를 분사하는 시스템이다.
종래에 일부 차종에는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해 주유부와 별도의 위치에 차량 요소수 탱크측에 멤브레인 밸브를 장착하고 있으나(도 6, (a)) 부품추가에 따른 원가상승의 문제가 있어 요소수 캡과 멤브레인 밸브의 일체화(도 6, (b))를 위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요소수 주유기능, 레벨링기능, 벤팅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주유구의 외측에 장착되며 레벨링유닛과 벤팅유닛이 동시에 체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구에 주유건이 삽입되고 주유가 시작되면 상기 플러그가 상기 벤팅유닛을 폐쇄하여 벤트튜브 내 요소수의 과주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는 요소수의 주입과 벤팅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이다. 즉, 상기 주유부에 설치되는 플러그와 연결되는 벤팅유닛에 의해, 요소수 주입 시에는 상기 벤팅유닛이 차단되어 벤팅기능이 정지되어 요소수 탱크 내 과주입을 방지하고 주유가 완료되어 주유건을 탈거하면 상기 벤팅유닛이 개방되어 벤팅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단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부의 주유건 삽입상태(좌) 및 탈거상태(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부의 마그넷유닛의 하향(좌) 및 상향(우)에 따른 벤팅유닛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부의 주유건 삽입상태(좌) 및 탈거상태(우)에 따른 벤팅기능의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멤브레인 밸브 별도형 요소수 탱크의 구조(a) 및 일체형 요소수캡이 적용된 요소수 탱크의 구조(b)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주유구의 외측에 장착되며 레벨링유닛과 벤팅유닛이 동시에 체결되는 플러그(10)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구에 주유건이 삽입되고 주유가 시작되면 상기 플러그와 연결된 상기 벤팅유닛이 폐쇄되어 압력차로 인한 벤트튜브 내 요소수의 과주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단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플러그(10)는 상기 벤팅유닛의 벤트튜브(70)의 일측과 연결되는 벤트튜브 연결부(11), 상기 레벨링유닛의 레벨링튜브(60)의 일측과 연결되는 레벨링튜브 연결부(12)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13)은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기에서 설명할 마그넷유닛의 막음돌기(24)와 접촉하면 상기 벤팅유닛이 폐쇄된다.
도 3은 도 1의 표시부의 주유건 삽입상태(좌) 및 탈거상태(우)의 단면도로 하기에서 설명할 제1마그넷과 제2마그넷의 방향(극성방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도 4는 도 1의 표시부의 마그넷유닛의 하향(좌) 및 상향(우)에 따른 벤팅유닛의 개폐상태를 기구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도 5는 도 1의 표시부의 주유건 삽입상태(좌) 및 탈거상태(우)에 따른 벤팅기능의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주유부(50)는 상기 주유구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마그넷유닛(20), 상기 마그넷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구에 상기 주유건이 삽입되어 상기 마그넷유닛이 하향 이동하면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13)이 폐쇄되어 벤팅기능이 정지되고, 상기 주유구에서 상기 주유건이 탈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마그넷유닛이 상향 이동하여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이 개방되어 벤팅기능이 실행되게 된다.
상기 마그넷유닛(20)은 상기 주유건이 관통하도록 중심부가 관통된 마그넷케이스(22)와 상기 마그넷케이스에 삽입되는 상기 제1마그넷(21)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마그넷은 상기 마그넷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다른 극이 위치한다.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마그넷케이스(22)는 상기 주유구의 중심축을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돕는 슬라이딩 가이드(23),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13)과 접촉하여 상기 벤팅유닛을 폐쇄하는 막음돌기(24)를 포함하고, 상기 막음돌기는 상기 마그넷케이스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경사진 형태이며,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막음돌기와 대응되는 경사진 형태이다. 상기 경사진 형태는 상기 막음돌기(24)와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13)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함과 동시에, 상기 마그넷케이스의 이동방향을 고려한 것으로 안정적으로 상기 벤팅유닛이 폐쇄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주유구는 내측면에 상기 마그넷유닛이 체결되는 마그넷유닛 체결부(미도시), 상기 탄성부재가 체결되는 탄성부재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유닛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홀(미도시)을 포함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마그넷유닛 체결부는 상기 마그넷유닛(20)의 길이보다 길어서 그 차이만큼 상기 주유건에 의해 하향 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향하며, 상기 마그넷유닛의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벤팅유닛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 상기 탄성부재(30)는 상기 마그넷케이스(22)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 체결부의 하단에 의해 타측이 고정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주유건은 선단에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넷은 상기 주유구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그넷의 극방향과 반대로 위치하여, 상기 주유건의 선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면(주유건의 선단이 마그넷케이스에 완전히 삽입되면) 주유가 시작되고 상기 인력이 제거되면(주유건이 탈거되면) 상기 주유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의 작동방법으로, 상기 주유구에 상기 주유건을 삽입하는 주유건 삽입단계, 상기 주유건에 의해 하향 이동한 상기 마그넷케이스(22)가 상기 벤팅유닛을 폐쇄하는 벤팅유닛 폐쇄단계, 상기 주유건을 상기 주유구에서 탈거하는 주유건 탈거단계, 상기 마그넷케이스가 상기 탄성부재(30)의 탄성에 의해 상향 이동하여 상기 벤팅유닛이 개방되는 벤팅유닛 개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건 삽입단계는 상기 주유건의 선단에서 상기 인력이 발생하면 주유가 시작되는 주유 시작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유건 탈거단계는 상기 주유건의 선단에서 상기 인력이 제거되면 상기 주유가 정지되는 주유 정지단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플러그
20 : 마그넷유닛
30 : 탄성부재
50 : 주유부
60 : 레벨링튜브
70 : 벤트튜브
11 : 벤트튜브 연결부
12 : 레벨링튜브 연결부
13 :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
21 : 제1마그넷
22 : 마그넷케이스
23 : 슬라이딩 가이드
24 : 막음돌기

Claims (9)

  1.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주유구의 외측에 장착되며 레벨링유닛과 벤팅유닛이 동시에 체결되는 플러그; 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구에 주유건이 삽입되고 주유가 시작되면 상기 플러그가 상기 벤팅유닛을 폐쇄하여 벤트튜브 내 요소수의 과주입을 방지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벤팅유닛의 벤트튜브의 일측과 연결되는 벤트튜브 연결부;
    상기 레벨링유닛의 레벨링튜브의 일측과 연결되는 레벨링튜브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플러그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주유부는
    상기 주유구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마그넷유닛;
    상기 마그넷유닛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주유구에 상기 주유건이 삽입되어 상기 마그넷유닛이 하향 이동하면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주유구에서 상기 주유건이 탈거되면 탄성에 의해 상기 마그넷유닛을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유닛은
    상기 주유건이 관통하도록 중심부가 관통된 마그넷케이스;
    상기 마그넷케이스에 삽입되는 제1마그넷;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마그넷은 상기 마그넷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S-N극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케이스는
    상기 주유구의 중심축을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돕는 슬라이딩 가이드;
    상기 벤트튜브 연결부의 타측과 접촉하여 상기 벤팅유닛을 폐쇄하는 막음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구의 내측면은
    상기 마그넷유닛이 체결되는 마그넷유닛 체결부;
    상기 탄성부재가 체결되는 탄성부재 체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유닛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은 선단에 제2마그넷; 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그넷은 상기 주유구에 삽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마그넷의 S-N극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의 선단에서 상기 제1 및 제2마그넷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면 주유가 시작되고 상기 인력이 제거되면 상기 주유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부 연결구조.
KR1020170169842A 2017-12-12 2017-12-12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KR10238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842A KR102383480B1 (ko) 2017-12-12 2017-12-12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842A KR102383480B1 (ko) 2017-12-12 2017-12-12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682A KR20190069682A (ko) 2019-06-20
KR102383480B1 true KR102383480B1 (ko) 2022-04-06

Family

ID=6710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842A KR102383480B1 (ko) 2017-12-12 2017-12-12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8006B (zh) * 2019-11-26 2021-04-27 青岛德顺昕工贸有限公司 一种防过热三元催化器
CN111430150A (zh) * 2020-04-09 2020-07-17 刘和平 一种箱式高电压电力电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746B1 (ko) 2013-12-05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용 요소수 주입 장치
KR101518938B1 (ko) 2013-12-17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요소수 통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746B1 (ko) 2013-12-05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선택적 촉매 환원 장치용 요소수 주입 장치
KR101518938B1 (ko) 2013-12-17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요소수 통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682A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235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10690257B2 (en) Operating fluid reservoir having an integrated venting and/or air admission valve
KR102383480B1 (ko)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KR101500136B1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US8087434B2 (en) Filler neck for the fuel tank of a vehicle
JPWO2016031726A1 (ja) 弁ケースの取付構造
JP5758683B2 (ja) 車輌用灯具の洗浄装置及びノズルカバー
KR102371227B1 (ko) 요소수 필러넥 장치
JP2016055834A (ja) フィラーパイプ
KR101655655B1 (ko) 차량의 요소수 탱크용 충전제한 통기밸브
KR20090114949A (ko) 차량용 연료 주유장치
JP2017144822A (ja) フィラーパイプ
KR101481343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US20210095624A1 (en) Fuel pump module, fuel supply device, and method of installing fuel pump module in fuel tank
KR101567234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벤팅 시스템
KR101457366B1 (ko) 액추에이터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유압저장장치
KR100489123B1 (ko) 필러 캡이 일체로 형성된 필러 도어
KR102406043B1 (ko) 요소수 캡
KR20160150376A (ko) 차량의 연료주입용 필러넥 장치
KR20210073123A (ko) 캡리스 필러 넥 구조
KR101904004B1 (ko) 압축천연가스 차량 충전용 리셉터클
KR102453681B1 (ko) 기화연료의 인젝터 유입방지 구조를 갖는 연료레일모듈
KR20090004113A (ko) 차량용 혼유 방지 장치
KR100251212B1 (ko)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설치 구조
KR101481331B1 (ko)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