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066B1 -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066B1
KR102382066B1 KR1020210092906A KR20210092906A KR102382066B1 KR 102382066 B1 KR102382066 B1 KR 102382066B1 KR 1020210092906 A KR1020210092906 A KR 1020210092906A KR 20210092906 A KR20210092906 A KR 20210092906A KR 102382066 B1 KR102382066 B1 KR 10238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servation
room
virtual spac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인
Priority to KR102021009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66B1/ko
Priority to PCT/KR2021/010479 priority patent/WO202328690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객실 내부를 촬영한 복수의 객실이미지 및, 복수의 상기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DB 및, 상기 객실이미지 및 상기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가상공간DB를 포함하는 가상공간 생성 모듈; 상기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3D 외관 영상 상에서 상기 객실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를 차등 제어하는 예약 확인 모듈; 고객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영상 제공부 및, 상기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실을 선택받아 예약 완료 처리하는 예약 처리부를 포함하는 예약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SYSTEM PROVIDING ACCOMMODATIONS RESERVATION FLATFORM BASED ON 3D VIRTUAL SPACE}
본 발명은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의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숙박시설 및 객실 내부를 3D 가상공간으로 확인하며 숙박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영화를 보거나 여행을 하는 등 여가 생활을 누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여가 생활에 따른 예약문화가 일반화되고 있으며, 영화사, 철도청, 항공사, 숙박업계(호텔, 콘도 등)등 에서 예약서비스를 제공하여 숙박시설에 대한 예약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 중, 호텔의 예약방법으로는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을 희망하는 호텔로 전화를 하여 예약하는 방법이 있는데, 사용자가 호텔 등을 예약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에 위치한 다양한 호텔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전화번호로 일일이 전화를 걸어 예약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화 예약방법은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지역의 호텔 전화번호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선택한 호텔에 대한 상세정보를 눈으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객실을 예약하기 때문에 원하는 객실을 자유로이 예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텔의 온라인 사이트를 통한 직접 예약, 또는 여행사와 같은 대행업체를 통해 호텔에 대한 예약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행사와 같은 대행업체 또는 호텔의 온라인 사이트를 확인하고 예약을 수행한다고 할지라도, 사용자가 호텔에 대한 상세정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는 못한 채 예약을 수행하게 되어, 실제 호텔 방문 시 시설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더러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 제 10-2021-0070004호에 ‘호텔 숙박시설 부킹 및 예약 매니징, 매칭과 관련된 토탈 연계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어느 하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로부터 어느 하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에서 예약된 숙박시설 예약관련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문자메시지에 따른 문자메시지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제어부 및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과 단말로부터 문자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문자메시지 정보를 이용하여 숙박시설의 예약이 이루어진 숙박시설 예약사이트 식별정보, 숙박시설 식별정보 및 예약일자 정보를 포함하는 숙박시설 예약 정보를 추출하고, 숙박시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숙박시설의 예약이 가능한 복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들 중에서, 숙박시설의 예약이 이루어진 숙박시설 예약사이트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에 액세스하여, 숙박시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에서 숙박시설에 대한 예약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숙박시설 예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으로 하여금 웹이나 앱 상에서 숙박하고자 하는 숙박시설의 외관 및 객실 내부를 3D 가상공간으로 체험하며 숙박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고객으로 하여금 현실감 있는 가상공간 영상을 통해 숙박시설의 외부 및 내부를 체험하도록 하고, 그를 기반으로 숙박 예약을 수행하도록 하되 직관적인 구성으로써 객실의 예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으로 하여금 객실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기에 대한 IoT 제어를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객실 내부에 대한 가상공간 파노라마 영상에 IoT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접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가상공간 영상에 대한 끊김없는 전송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객실 내부를 촬영한 복수의 객실이미지 및, 복수의 상기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DB 및, 상기 객실이미지 및 상기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가상공간DB를 포함하는 가상공간 생성 모듈; 상기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3D 외관 영상 상에서 상기 객실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를 차등 제어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예약 확인 모듈; 고객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영상 제공부 및, 상기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실을 선택받아 예약 완료 처리하는 예약 처리부를 포함하는 예약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객실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IoT 허브(Hub)와 연결 처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상기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기기 표시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3D 내부 영상은, 상기 IoT 기기가 배치된 객실 내부에 대한 360°파노라마 영상이며, 상기 기기 표시부는, 상기 IoT 기기가 배치된 3D 내부 영상을 상기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상기 3D 내부 영상 상에 나타내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기기는, 도어락(Door lock)을 포함하며, 상기 IoT 제어 모듈은, 상기 투숙객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기 설정된 해제범위 이내인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해제범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을 잠금 설정하는 잠금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1)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되, 예약일자 별 예약 완료 여부에 따라 외관 상 직관적인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쉽게 객실 별 예약 여부를 확인하고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2) 객실에 구비된 IoT 허브와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을 연동 처리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객실에 비치된 다양한 전자기기에 대한 IoT 제어를 수행토록 하여 이용 편의성을 높였고,
3) 3D 내부 영상과 IoT 제어 기능을 접목하여 투숙객으로 하여금 객실 내부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대한 직관적 제어를 가능케 하였을 뿐 아니라,
4) 가상공간 영상에 대한 전송 속도의 고저에 따라 영상 신호에 추가적인 패킷을 삽입 전송함으로써 끊김 없는 영상 전송을 가능케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객실 내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의 개념도.
도 5는 예약 여부에 따른 조명의 on/off 구성을 설명한 개념도.
도 6은 섹터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숙박시설(2), 고객(1), 그리고 중앙관제서버(3)로 이루어진다.
숙박시설(2)은 복수의 객실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숙박시설(2)이라 함은 호텔, 리조트, 콘도, 유스호스텔, 나아가 모텔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숙박시설(2)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객(1)이 예약하여 숙박하는 공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객실을 포함하고 있어 하나의 객실마다 한 명, 혹은 한 그룹의 고객(1)이 숙박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는 숙박시설(2)의 외관 뿐 아니라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의 내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이 생성되어, 고객(1)에게 제공된다.
고객(1)은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을 통해 숙박시설(2)을 이용하고자 하는 자로서, 숙박시설(2)의 외관 뿐 아니라 객실 내부를 가상공간 영상을 통해 확인하고 원하는 객실을 예약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예약된 객실을 이용하는 동안에는 객실 내부에 구비된 IoT 허브(4)와 고객(1)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매개로 연결 처리하여 객실 내에 구비된 조명이나 전자기기와 같은 IoT 기기를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1)이 객실을 이용할 때 객실 내의 다양한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객실 내에 IoT 기기 및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허브(4)(Hub)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IoT 허브(4)는 각각의 IoT 기기, 그리고 고객(1)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통신을 매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고객(1)이 소지한 스마트폰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매개로 각각의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3)는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에 대한 생성 및 관리 주체이자, 숙박 예약 플랫폼에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숙박시설(2) 외부 및 내부 객실에 대한 3D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이를 고객(1)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앙관제서버(3)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관제서버(3)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중앙관제서버(3)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서버(3)(3)(4)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포스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가상공간 생성 모듈(100), 예약 확인 모듈(200), 예약 처리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객실 내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의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2와 함께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상공간 생성 모듈(100)을 숙박시설(2)의 외부, 그리고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의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숙박시설(2)의 외관 및 각각의 객실 내부에 대한 3D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이미지DB(110) 및 가상공간DB(120)를 포함한다.
이미지DB(110)는 객실 내부 및 숙박시설(2)의 외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객실 내부를 촬영한 객실이미지, 그리고 숙박시설(2)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를 입력하는 주체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관리자 혹은 숙박시설(2) 관리자일 수 있다.
더불어 여기서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는 사진 파일일 수도 있으며, 혹은 객실 내부 전체, 그리고 숙박시설(2) 외부 전체를 촬영한 동영상 파일일 수도 있다. 따라서 객실 내부 및 숙박시설(2)의 외관을 360°로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사진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각각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로서 이미지DB(110)에 입력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이미지DB(110)는 입력된 복수의 객실이미지를 각각의 객실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시설이미지 역시 입력된 복수의 시설이미지를 각각의 숙박시설(2)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360°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객실 내부 및 숙박시설(2) 외관에 있어 모든 방향에 시야에 대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방향에 대한 시야를 포함하는 사진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로써 각각 입력 처리되어, 후술하겠으나 3D 가상공간 영상을 360°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도록 한다.
가상공간DB(120)는 이미지DB(110)에 입력된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숙박시설(2)의 외관 및 각각의 객실 내부에 대한 3D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상공간 영상은 바람직하게 숙박시설(2)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그리고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3D 외관 영상 및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은 360°3D 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는데, 여기서 360° 영상이란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로부터 모든 방향의 시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다리 말해, 위 전방 영상, 우측 영상, 후방 영상, 좌측 영상에 대한 데이터 모두 하나의 카메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360° 영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한편, 하나의 360° 영상에는 상방이나 하방 등과 같은 그 외의 다양한 방면의 영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360° 영상은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시설이미지 및 객실이미지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영상일 수 있다 하였으므로, 객실 내부 및 숙박시설(2) 외관에 대한 영상들을 영상 촬영 위치 및 영상 촬영 시점을 기반으로 스티칭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동산 매물의 구조, 치수 및 텍스처(예를 들어, 색상, 질감 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계도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동산 매물의 건물 구조를 3차원 모델링한 후, 3차원 모델링된 건물 구조에 앞서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각각의 객실 내부와 대응되는 3차원의 가상 공간, 그리고 복수의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2)의 외부를 3차원 가상 공간에 구현한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시스템 관리자나 숙박시설(2) 관리자로부터 해당 숙박시설(2) 및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객실에 대한 2차원 내지 3차원의 설계도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설계도를 입력받은 경우 가상공간 영상 생성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3D 가상공간 영상은 숙박시설(2)의 외관(외부) 뿐 아니라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 내부에 대한 3D 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3D 파노라마 영상 형식의 가상공간 영상이 가상공간DB(120)에 숙박시설(2)별로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예약 여부에 따른 조명의 on/off 구성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2와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예약 확인 모듈(200)은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에 대한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예약 완료 여부에 따라 가상공간 영상에 포함되는 숙박시설(2)의 외관 영상, 즉 3D 외관 영상 상에서 해당 객실의 조명을 소등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바람직하게 다시 설명하면, 3D 외관 영상 상에서 각각의 객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인데, 이는 바람직하게 객실마다 대부분 창문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개별 객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면 3D 외관 영상에서 보이는 창문을 객실 별로 구분지을 수 있다. 따라서 3D 외관 영상 상에서 나타나는, 해당 객실에 대응되는 객체, 즉 창문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객실의 조명을 on/off 제어하는 듯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 날짜 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02호 객실이 2021년 6월 20일에는 예약이 가능하나, 2021년 6월 21일에는 예약이 불가능하다고 (이미 예약이 되어있다고)하는 경우, 2021년 6월 20일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영상에 대해서는 3D 외관 영상 상에서 302호 객실의 창문에 대응되는 객체, 즉 창문의 위치에 해당하는 밝기를 올려 마치 302호 객실의 조명이 켜져 있는 것처럼 효과를 부여하고, 20201년 6월 21일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영상에 있어서는 3D 외관 영상 상에서 302호 객실의 창문에 대응되는 객체, 즉 창문의 위치에 해당하는 밝기를 낮추어 마치 302호 객실의 조명이 꺼져 있는 것처럼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더불어 이때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는 바람직하게 해당 숙박시설(2)의 예약 관리 서버와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각각의 객실에 대한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불러와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말하자면 3D 외관 영상 상에서 각각의 객실에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즉 창문의 밝기를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에 따라 차등 제어한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가상공간 영상, 그 중에서도 3D 외관 영상에 있어서 일자별로 서로 다른 효과를 부여한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약 확인 모듈(200)에 의하여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에 따라 3D 외관 영상 상에서 창문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 차등 제어 효과가 부여되면, 일자별로 서로 다른 3D 외관 영상이 생성된다. 즉, 일자별로 서로 다른 가상공간 영상이 생성되는 것인데, 이는 바람직하게 상술한 가상공간DB(120)에 다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숙박시설(2)별로, 그리고 일자별로 구분되어 가상공간 영상이 각각 저장 처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약 처리 모듈(300)은, 고객(1)으로부터 숙박시설(2)을 예약하고자 하는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해당 예약일자에 대응되는 일자별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한 뒤 객실에 대한 예약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가상영상 제공부(310) 및 예약 처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상영상 제공부(310)는 객실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고자 하는 고객(1)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해당 예약일자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은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므로, 웹사이트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1)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해당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하여 고객(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예약 확인 모듈(200)에 의해 부여된 3D 외관 영상의 효과에 의하여, 해당 예약일자에 예약이 가능한 객실의 경우 해당 객실의 외관 창문의 조명이 켜져 있는 것처럼 나타나고, 해당 예약일자에 예약이 불가능한 객실의 경우 해당 객실의 외관 창문의 조명이 꺼져있는 것처럼 나타나므로 고객(1)은 객실의 예약 가능 여부를 외관 영상 상에서의 해당 객실의 조명 on/off의 차이로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특정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보고 싶은 경우, 조명이 켜져 있는 객실의 창문을 클릭하면 해당 객실의 3D 내부 영상이 제공되어 고객(1)으로 하여금 실제 해당 객실의 내부를 확인하는 것처럼, 360°3D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1인칭 시점에서 객실 내부를 가상으로 체험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객실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320)는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받아 숙박시설(2)의 외관 뿐 아니라 객실 내부를 확인하고, 각각의 객실에 대한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한 고객(1)으로부터 예약이 가능한 객실을 선택받아, 해당 객실에 고객(1)을 배정 처리하여 예약 완료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경우 예약 완료 처리가 되었으므로, 3D 외관 영상에서 해당 고객(1)이 예약한 날짜에 대응되는 해당 객실의 창문 객체의 경우 조명이 꺼진 것처럼 밝기가 감소되어 가상공간 영상 상에서 또 다른 효과가 부여되는 것이며, 상술한 숙박업소의 예약 관리 서버에도 고객(1)의 이름, 연락처, 숙박 인원, 숙박 날짜 등이 전송되어 예약 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예약 처리부(320)의 구성에 있어 고객(1)은 숙박비를 결제 처리할 수도 있어, 객실 숙박 비용에 대한 선결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 금액만을 예약금으로써 결제받고 고객(1)으로 하여금 차액에 대한 현장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통해, 고객(1)이 숙박시설(2)의 외관 및 객실의 내부를 나타낸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받아 숙박시설(2)의 외관, 객실 내부를 가상으로 체험한 뒤 객실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여기서 해당 예약일자 별 예약 여부를 숙박시설(2)의 외관 영상 상에서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고객(1)의 객실 선택 편의성을 높인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을 이용하여 객실을 이용하는 고객(1), 즉 투숙객으로 하여금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객실 내에 위치한 전자기기에 대한 IoT(Internet of Things)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IoT 제어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제어 모듈(400)은 객실 내부에 위치한 조명이나 스피커, 도어락, 냉난방기와 같은 IoT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기기 표시부(410) 및 동작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기기 표시부(410)는, 객실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해당 객실을 이용 중인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 처리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IoT 기기가 구비될 수 있는 만큼, 기기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해당 리스트를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 처리할 수 있다.
더불어 이 같은 구성에서는 각각의 IoT 기기 및 투숙객의 스마트폰이 통신을 기반으로 연결 처리되어야 함을 기본으로 하는데, 이 역할은 객실 내에 구비된 IoT 허브(4)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IoT 허브(4)가 객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IoT 기기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IoT 허브(4)와 스마트폰 역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을 매개로 연결 처리되어 투숙객의 스마트폰을 통해 IoT 허브(4)와 연결된 복수의 IoT 기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동작 제어부(420)는,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입력된 IoT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때 각각의 IoT 기기에 대한 개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모든 기기에 대한 통합 제어를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전체 IoT 기기에 대한 통합 제어는 on/off 제어일 수 있다.
IoT 기기에 대한 개별 제어 시에는, 기기 표시부(410)를 통해 투숙객이 본인이 스마트폰에 표시된 복수의 IoT 기기를 확인한 상태에서, 특정 IoT 기기를 선택하여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IoT 기기에 대한 동작 여부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IoT 제어 모듈(400)을 통하여, 투숙객이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객실 내에 구비된 조명, 스피커, 냉난방기, 도어락 등의 IoT 기기들에 대한 개별 또는 통합 제어를 가능케 함으로써 투숙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IoT 기기에 대한 제어 구성에 있어, 상술한 가상공간 영상, 그 중에서도 3D 내부 영상과 IoT 기기 제어 구성을 연동 처리하여 투숙객이 스마트폰으로 하여금 3D 내부 영상을 통해 IoT 기기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며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3D 내부 영상은, 단순히 객실 내부를 촬영한 360°파노라마 영상이 아닌 IoT 기기가 배치된 상태의 객실 내부를 가상공간으로 구현해낸 360°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다.
즉 3D 내부 영상 제작을 위한 객실이미지 촬영 시, IoT 기기가 배치된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토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3D 내부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IoT 기기가 배치 처리된 객실 내부의 파노라마 영상을 3D 내부 영상으로써 생성하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경우, 기기 표시부(410)를 통해 IoT 기기를 스마트폰에 표시 처리할 때, IoT 기기가 배치 처리된,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 처리함으로써 투숙객이 머무르고 있는 객실을 3D 파노라마 영상으로써 확인하며, 그와 함께 배치된 IoT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IoT 기기를 포함하는 3D 내부 영상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투숙객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투숙객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투숙객이 본인이 머무르는 객실에 대한 가상 파노라마 영상을 확인하고 그를 통해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IoT 기기를 목록 형태로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3D 내부 영상을 통해 IoT 기기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각각의 IoT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송할 수 있는데, 이때 바람직하게는 동작 제어부(420)를 통한 제어신호 발송 및 IoT 기기 제어에 있어,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3D 내부 영상에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는 3D 내부 영상에서, 각각의 IoT 기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게 하고, 개별 IoT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 입력 시 3D 내부 영상 속 IoT 기기에 해당하는 객체 부위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추가적인 효과용 오브젝트를 삽입하거나, 혹은 알림메시지를 출력하여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3D 내부 영상에 시각적 효과로써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투숙객으로 하여금 3D 내부 영상을 확인하면서 객실 내에 비치된 IoT 기기를 제어하고, IoT 기기의 제어 여부를 3D 내부 영상 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직관적인 시각적 확인을 통한 객실 내부의 기기 제어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더불어 바람직하게 IoT 기기는 객실에 구비된 도어락(Door lock) 기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도어락의 경우 IoT 제어 모듈(400)을 통해 투숙객의 스마트폰을 통해 잠금 해제 및 잠금 설정 기능을 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oT 제어 모듈(400)은 위치 파악부(430), 잠금 해제부(440) 및 잠금 설정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파악부(430)는 투숙객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IoT 허브(4)(Hub)를 통해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파악함으로써 파악되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투숙객의 위치정보를 GPS 기반으로 확인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투숙객의 위치정보를 GPS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잠금 해제부(440)는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도어락으로부터 기 설정된 해제범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잠금 설정부(450)는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도어락으로부터 해제범위 이상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도어락을 잠금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제는 매우 엄밀한 보안용 기능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해제범위는 매우 가까운 거리, 예를 들어 1m 이내, 혹은 50cm 이내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소지한 투숙객이 도어락에 매우 가깝게 다가가는 경우 도어락이 잠금 해제되는 것이며, 도어락에서 멀어짐에 따라 도어락이 잠금 처리된다. 그러므로 투숙객이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소지한 채로 도어락에 가깝게 다가가거나, 멀어짐으로써 자동으로 도어락에 대한 잠금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IoT 기능이 작동된다 하였으므로, 해당 투숙객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 이를 해당 숙박시설(2)의 예약 서버를 통해 인증처리 하게 함으로써 한정된 기간에만, 즉 투숙 기간에만 IoT 기능을 통해 객실 내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해 투숙을 수행한 고객(1), 즉 투숙객이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객실 내부에 있는 다양한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객실 도어락에 대해 별도의 카드키 없이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잠금 설정 및 해제를 가능케 함으로써 객실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고객(1)에 대한 객실 예약을 수행함에 있어, 실시간으로 해당 고객(1)이 선택한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해야 한다. 이때 가상공간 영상은 바람직하게 영상 신호의 형태로 고객(1)이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데스크톱, 노트북과 같은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예약일자를 여러번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예약일자에 맞춰 가상공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계속 제공해야 하는 바, 여기서 인터넷의 품질이 떨어지거나 전송 속도가 너무 느린 경우, 혹은 갑자기 전송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과 같이 인터넷이 고른 품질을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 고객(1)이 가상공간 영상을 원활하게 제공받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보다 끊김 없는, 안정적인 속도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송 제어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송 제어 모듈(500)은 바람직하게 속도 파악부(510) 및 패킷 삽입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파악부(510)는 가상공간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의 전송 속도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송 속도(전송율)은 Mbps단위가 일반적이므로, 실시간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이를 Mbps 단위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패킷 삽입부(520)는 전송 속도의 고저에 따라 영상 신호에 엠티 패킷(empty packet)을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송 속도의 변화를 파악하여 고른 전송 속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즉 전송 속도가 끊기는 끊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하방의 피크(peak)가 발생하는 식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상황이 나타나는 경우 해당 영상 신호에 엠티 패킷을 삽입하여 전송 속도의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엠티 패킷이라 함은 다시 말해 널 패킷(null packet)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비어 있는 패킷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0이나 1로 채워진 비트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런 의미 없이,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 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삽입된다.
이러한 엠티 패킷은 영상 신호의 비트율 합을 계산하고, 계산한 비트율과 전송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가 떨어지는 경우 부족한 만큼을 엠티 패킷으로 채우는 방식으로써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엠티 패킷의 삽입을 통해, 전송 속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거나 하방의 피크가 나타나는 등 고른 품질을 나타내지 않을 때, 엠티 패킷을 영상 신호에 삽입함으로써 전송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고객(1)으로 하여금 끊김없는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섹터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2와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송 제어 모듈(500)은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 품질을 보다 높이기 위해 단순히 엠티 패킷을 삽입하는 것 뿐 아니라 전송 속도에 따라 엠티 패킷이 삽입될 개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산출된 개수만큼의 엠티 패킷을 지정된 위치에 규칙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송 제어 모듈(500)은 섹터 생성부(530), 패킷지수 산출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섹터 생성부(530)는 상술한 가상공간 영상의 영상 신호를 인프라 패킷(Infra packet)과 인프라 패킷에 종속되는 복수의 종속 패킷(Predicted packet)으로 그룹화하여 복수의 섹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시간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으로 분리하되, 일정 시간마다 위치하는 패킷을 인프라 패킷으로 지정(즉, 부호화)하고, 어느 하나의 인프라 패킷을 기준으로 시간 순서에 따라 다음 인프라 패킷까지 위치하는 복수 개의 패킷들을 각각 종속 패킷으로 지정(즉, 부호화)하여 기준으로 지정된 인프라 패킷에 종속시키면, 이러한 인프라 패킷과 인프라 패킷에 종속된 복수의 종속 패킷을 묶은 섹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MPEG 영상 포맷에서 활용되는 방식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특정 시간마다 혹은 특정 개수의 패킷을 묶어 섹터를 형성하되, 이 섹터에서 가장 앞선 시간에 위치하는 패킷을 인프라 패킷으로 지정하고, 섹터 내에서 인프라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패킷들을 종속 패킷으로 지정하여 시간 순서 상 앞에 위치한 인프라 패킷에 종속 패킷들을 종속시켜 하나의 그룹(즉, 섹터)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섹터는 하나의 인프라 패킷과 복수 개의 종속 패킷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는데, 이 때 섹터 생성부(530)는 ‘IPPPP’와 같은 섹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섹터의 길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즉 섹터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은 다시 말해 영상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패킷지수 산출부(540)는 전송 속도에 따라 엠티 패킷이 삽입될 개수인 패킷지수를 차등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패킷지수의 산출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송속도가 느릴수록 패킷지수가 높으며, 전송속도가 빠를수록 패킷지수가 낮아질 수 있다. 즉 전송속도가 느릴수록 많은 양의 엠티 패킷을 삽입하게 되는 것이며, 전송속도가 빠를수록 적은 양의 엠티 패킷을 삽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섹터 생성부(530)를 통해 섹터가 생성되고 인프라 패킷이 파악된 상태에서, 패킷지수 산출부(540)에 의해 전송 속도에 따라 패킷지수가 산출되면, 패킷 삽입부(520)는 섹터 별 인프라 패킷의 위치마다 패킷지수 만큼의 엠티 패킷을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인프라 패킷마다 엠티 패킷이 삽입되는 것인데, 여기서 전송속도는 실시간으로 변화될 수 있으므로 영상 신호가 전송되면서 실시간으로 패킷지수가 산출되는 경우, 각각의 인프라 패킷마다 삽입되는 엠티 패킷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실시간 전송속도를 반영하여 인프라 패킷마다 적정한 양의 엠티 패킷이 삽입됨으로써, 실시간으로 전송 품질 저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1)에게 보다 고른 품질의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와 같은 패킷지수 산출에 있어서 전송속도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되는 영상 신호, 즉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그리고 해당 영상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 실시간 전송속도와 지연율, 손실율을 기반으로 하여 산출된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를 통해 패킷지수를 보다 정교화하고 난수화함으로써 전송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전송 제어 모듈(500)은 용량 파악부(560)를 더 포함하여 가상공간 영사에 대한 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용량의 단위는 일반적으로 MB 또는 GB 단위로 파악될 수 있다.
나아가 속도 파악부(510)는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속도 뿐 아니라 지연율, 손실율을 함께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이때 전송속도(전송율)은 Mbps단위가 일반적이고, 지연율은 ms 단위임이 일반적이며, 손실률은 % 단위가 아닌 일반 소수점 단위로 이용하게 된다.(만약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손실률이 20인 경우 20%를 의미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0.2로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패킷지수 산출부(540)는 단순히 전송속도에 따라 패킷지수를 산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파악된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그리고 실시간 지연율 및 손실율에 따라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간단하게는 패킷지수에 지연율 및 손실율, 그리고 용량을 곱하여 패킷지수를 보정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패킷지수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2
은 보정된 패킷지수,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3
는 패킷지수,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4
은 손실률,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5
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6
는 지연율,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7
는 전송속도로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8
)
이 때 상술한대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09
은 손실률로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0
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손실률이 1에 수렴할수록 하이퍼볼릭 탄젠트의 역함수의 값은 무한대에 가깝게 발산한다. 따라서 손실률에 하이퍼볼릭 탄젠트의 역함수를 씌운 값은 0 내지 무한대 사이에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손실율이 1퍼센트인 경우 0.01의 손실율 값을 가지므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1
의 값은 대략 0.01로 나타난다. 그러나 손실율이 50퍼센트인 경우 0.6의 손실율 값을 갖는데, 이 때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2
는 0.54의 값을 갖는다. 더불어 손실율이 85퍼센트인 경우 0.85의 손실율 값을 갖는데, 이 때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3
는 1.25로 나타난다.
즉 손실율이 1에 가까워질수록 급격하게 커지며, 손실율이 매우 작은 경우 하이퍼볼릭 탄젠트 역함수의 값은 손실율의 값과 거의 유사하다.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4
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mb 단위일 수 있으므로 100mb일 경우 100이 된다. 더불어 용량이 예를 들어 860mb 인 경우 860이며, 용량이 1.2GB인 경우 1228.8의 값을 갖게 된다.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5
는 지연율로써 ms 단위를 사용한다. 이 때 d값의 예시로는 예를 들어 지연율이 50ms 인 경우 50이 된다.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6
는 전송속도로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7
이고, 일반적으로 Mbps값을 사용한다 하였다. 즉 475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경우 475의 값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패킷지수는 손실률, 용량, 지연율, 전송속도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단위를 통해 보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는 손실률이 높을수록, 용량이 클수록, 지연율이 높을수록, 전송속도가 느릴수록 기본 패킷지수에 비해 보정된 패킷지수의 값이 올라가게 된다. 특히 손실율에 따라 패킷지수의 보정값이 큰 차이로 보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킷지수의 보정 구성을 통해 보다 끊김없는 영상 신호의 제공을 가능케 함으로써, 고객(1)으로 하여금 끊김없는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패킷지수를 또 다른 방법으로 보정 처리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전송 제어 모듈(500)은 변동률 파악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변동률 파악부(570)는 실시간으로 전송속도를 검출하여 만약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전송속도가 나타나는 경우 이를 피크로서 산출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기준범위는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 자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범위가 설정되는 방법에는 그 제한이 없다.
피크가 산출되는 경우, 상기 피크가 나타난 영상 신호 파장의 주기를 기반으로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파악하게 된다. 영상 전송의 경우 전자 신호가 전송되는 것인 만큼, 전자 신호는 파장 대역을 포함한다. 이 때 해당 파장에서 피크를 검출하고 분석 처리하여 피크를 검출하고 피크 발생에 따라 전송속도가 실시간으로 어떻게 변동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전송속도의 변동률이 파악되는 경우, 상술한 패킷지수 산출부(540)는 지연율, 손실율, 용량 뿐 아니라 여기에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함께 반영한 수학식 2를 기반으로 패킷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19
은 보정된 패킷지수,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0
는 패킷지수,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1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2
번째 피크가 나타난 영상 신호 파장의 주기,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3
은 나타난 상기 피크의 개수,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4
은 손실률,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5
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6
는 지연율,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7
는 전송속도로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8
)
여기서 중간 부분 항이 전송속도의 변동률 항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크의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 검출됨이 기본이다. 왜냐하면 반복적인 영상 전송에 있어 피크값이 적어도 2번 이상은 나타남이 자명하며,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후술하지 않는다.
이때 만약 피크가 가장 적은 회수인 2번 나타난다 하고, 기본 파장의 주기가 5초(피크 없는 파장의 주기) 1번째 피크의 주기가 5초, 2번째 피크의 주기가 4초인 경우
Figure 112021081814492-pat00029
,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0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1
,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2
이므로 전송속도 변동률은 0.14의 값이 산출된다. 이와 같이 기본 파장의 주기, 피크가 나타난 주기(피크 값 사이의 시간 간격), 그리고 피크의 개수를 통해 전송속도 변동률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손실률은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3
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손실률이 1에 수렴할수록 하이퍼볼릭 탄젠트의 역함수의 값은 무한대에 가깝게 발산한다. 따라서 손실률에 하이퍼볼릭 탄젠트의 역함수를 씌운 값은 0 내지 무한대 사이에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손실율이 1퍼센트인 경우 0.01의 손실율 값을 가지므로,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4
의 값은 대략 0.01로 나타난다. 그러나 손실율이 50퍼센트인 경우 0.6의 손실율 값을 갖는데, 이 때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5
는 0.54의 값을 갖는다.
더불어 손실율이 85퍼센트인 경우 0.85의 손실율 값을 갖는데, 이 때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6
는 1.25로 나타난다. 즉 손실율이 1에 가까워질수록 급격하게 커지며, 손실율이 매우 작은 경우 하이퍼볼릭 탄젠트 역함수의 값은 손실율의 값과 거의 유사하다.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7
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mb 단위이므로 100mb일 경우 100이 된다. 더불어 용량이 예를 들어 860mb 인 경우 860이며, 용량이 1.2GB인 경우 1228.8의 값을 갖게 된다.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8
는 지연율로써 ms 단위를 사용한다 이 때 d 값의 예시로는 예를 들어 지연율이 50ms 인 경우 50이 된다.
Figure 112021081814492-pat00039
는 전송속도로서 일반적으로 Mbps값을 사용한다 하였다. 즉 475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경우 475의 값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학식 2를 통하여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패킷지수 보정에 이용하는 것인데, 이는 전송속도의 변동 폭을 파악하여 피크값을 산출하고, 해당 피크값을 통한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파악하여 이를 보정에 반영함으로써 패킷지수의 보정을 보다 엄밀하고 상세히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고객 2 : 숙박시설
3 : 중앙관제서버 4 : IoT 허브
100 : 가상공간 생성 모듈 110 : 이미지DB
120 : 가상공간DB 200 : 예약 확인 모듈
300 : 예약 처리 모듈 310 : 가상영상 제공부
320 : 예약 처리부 400 : IoT 제어 모듈
410 : 기기 표시부 420 : 동작 제어부
430 : 위치 파악부 440 : 잠금 해제부
450 : 잠금 설정부 500 : 전송 제어 모듈
510 : 속도 파악부 520 : 패킷 삽입부
530 : 섹터 생성부 540 : 패킷지수 산출부
560 : 용량 파악부 570 : 변동률 파악부

Claims (9)

  1.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객실 내부를 촬영한 복수의 객실이미지 및, 복수의 상기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DB 및, 상기 객실이미지 및 상기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가상공간DB를 포함하는 가상공간 생성 모듈;
    상기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3D 외관 영상 상에서 상기 객실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를 차등 제어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예약 확인 모듈;
    고객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 및 상기 가상공간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상기 고객이 소지한 단말에 전송하는 가상영상 제공부 및, 상기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실을 선택받아 예약 완료 처리하는 예약 처리부를 포함하는 예약 처리 모듈;
    상기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을 파악하는 용량 파악부와,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 속도와 지연율 및 손실율을 파악하는 속도 파악부 및, 상기 전송 속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엠티 패킷(empty packet)을 삽입하는 패킷 삽입부와, 상기 영상 신호를 인프라 패킷(Infra packet)과 상기 인프라 패킷에 종속되는 복수의 종속 패킷(Predicted packet)으로 그룹화하여 복수의 섹터를 생성하는 섹터 생성부와, 상기 전송 속도에 따라 상기 엠티 패킷이 삽입될 개수인 패킷지수를 산출하되 상기 지연율, 상기 손실율 및 상기 용량에 따라 상기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패킷지수 산출부 및,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전송속도를 피크로서 산출한 다음 상기 피크가 나타나는 상기 영상 신호 파장의 주기를 기반으로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파악하는 변동률 파악부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패킷 삽입부는,
    상기 섹터 별 인프라 패킷의 위치마다 상기 패킷지수 만큼의 상기 엠티 패킷을 삽입하며,
    상기 패킷지수 산출부는,
    상기 지연율, 상기 손실율 및 상기 용량과 상기 전송속도의 변동률이 반영된 다음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상기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Figure 112022005843110-pat00065

    (여기서,
    Figure 112022005843110-pat00066
    은 보정된 패킷지수,
    Figure 112022005843110-pat00067
    는 패킷지수,
    Figure 112022005843110-pat00068
    Figure 112022005843110-pat00069
    번째 피크가 나타난 영상 신호 파장의 주기,
    Figure 112022005843110-pat00070
    은 나타난 상기 피크의 개수,
    Figure 112022005843110-pat00071
    은 손실률,
    Figure 112022005843110-pat00072
    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Figure 112022005843110-pat00073
    는 지연율,
    Figure 112022005843110-pat00074
    는 전송속도로서
    Figure 112022005843110-pat00075
    )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객실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IoT 허브(Hub)와 연결 처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상기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기기 표시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D 내부 영상은,
    상기 IoT 기기가 배치된 객실 내부에 대한 360°파노라마 영상이며,
    상기 기기 표시부는,
    상기 IoT 기기가 배치된 3D 내부 영상을 상기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상기 3D 내부 영상 상에 나타내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는,
    도어락(Door lock)을 포함하며,
    상기 IoT 제어 모듈은,
    상기 투숙객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기 설정된 해제범위 이내인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해제범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을 잠금 설정하는 잠금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92906A 2021-07-15 2021-07-15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38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06A KR102382066B1 (ko) 2021-07-15 2021-07-15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PCT/KR2021/010479 WO2023286906A1 (ko) 2021-07-15 2021-08-09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06A KR102382066B1 (ko) 2021-07-15 2021-07-15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66B1 true KR102382066B1 (ko) 2022-04-01

Family

ID=8118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906A KR102382066B1 (ko) 2021-07-15 2021-07-15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2066B1 (ko)
WO (1) WO202328690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584A (ja) * 1999-02-04 2000-08-11 Nec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伝送システム
JP2004180233A (ja) * 2002-11-29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再生装置、媒体及び情報集合体
KR20100110083A (ko) * 2009-04-02 2010-10-12 류승훈 숙박업소 관리시스템
JP5159973B1 (ja) * 2012-06-18 2013-03-13 株式会社プランネット・アソシエイツ 伝送パケットの配信方法
KR20190028134A (ko) * 2017-09-08 2019-03-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의 저전력 위치기반 통신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호텔 서비스 대체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90111575A (ko) * 2018-03-23 2019-10-02 이재호 객실 확인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584A (ja) * 1999-02-04 2000-08-11 Nec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伝送システム
JP3439361B2 (ja) * 1999-02-04 2003-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伝送システム
JP2004180233A (ja) * 2002-11-29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再生装置、媒体及び情報集合体
KR20100110083A (ko) * 2009-04-02 2010-10-12 류승훈 숙박업소 관리시스템
JP5159973B1 (ja) * 2012-06-18 2013-03-13 株式会社プランネット・アソシエイツ 伝送パケットの配信方法
KR20190028134A (ko) * 2017-09-08 2019-03-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의 저전력 위치기반 통신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호텔 서비스 대체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90111575A (ko) * 2018-03-23 2019-10-02 이재호 객실 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6906A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1724B2 (en) Systems and methods of assessing permissions in virtual worlds
US95717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ne-grained control of privacy from image and video recording devices
EP2780816B1 (en) Providing a real-time shared viewing experience in a three-dimensional modeling environment
CN110300909A (zh) 用于显示交互式增强现实展示的系统、方法和介质
US11348318B1 (en) Augmented reality goal setter
CN108012162A (zh) 内容推荐方法及装置
JP7407223B2 (ja) 三次元空間の眺めを表示させる方法、装置、及び記憶媒体
JP2014504384A (ja) 2次元画像からの3次元バーチャルツアーの生成
US20230419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reservations in a hospitality establishment
US11250526B2 (en) Dynamic content generator
KR102276936B1 (ko)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1839111B1 (ko) Bim 기반 건축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82066B1 (ko)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CN109636628A (zh) 客户关系管理方法、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US107788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ontents by collaborating between users
KR101724676B1 (ko) 인터랙티브 파노라마 vr 기반의 장소 정보 기록 시스템
US11967147B2 (en) Augmented reality visualization of enclosed spaces
KR100917903B1 (ko) 좌석에 따른 영상의 크기와 각도 표시방법
KR101934965B1 (ko)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15764A (ko) 전자지갑 기반 아바타의 이력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 시스템
CN115330942A (zh) 多层空间三维建模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5179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reating virtual pop-up spaces
US20170076383A1 (en) System for restructuring based on intent analysis
CN112634339A (zh) 商品对象信息展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363620B1 (ko) 건축 설계 도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시간 공유 지원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