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936B1 -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936B1
KR102276936B1 KR1020210006261A KR20210006261A KR102276936B1 KR 102276936 B1 KR102276936 B1 KR 102276936B1 KR 1020210006261 A KR1020210006261 A KR 1020210006261A KR 20210006261 A KR20210006261 A KR 20210006261A KR 102276936 B1 KR102276936 B1 KR 10227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hibition
interface
purchas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주)제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넷 filed Critical (주)제주넷
Priority to KR102021000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5Image signal generators from 3D object models, e.g. computer-generated stereoscopic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Abstract

경량화된 가상 공간에 배치된 전시물을 관람하는 동시에, 전시물과 같은 효과를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에 적용하거나, 전시물 등을 구매하기 위한 가상 배치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는, 기 저장된 다수의 전시물 객체가,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배치되며,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FOV(Field Of View)가 변경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공간 제공부;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전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 이미지 업로드 입력 및 이미지 변환 입력을 수신 시, 전시물 객체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업로드 입력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된 전시물 객체의 특징 정보로 변환한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 및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전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전시물 객체 및 변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구매 대상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 시, 구매 입력된 구매 대상의 현물 구매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EXHIBITS IN 3D VIRTUAL EXHIBITION SPACE}
본 발명은 VR 및 AR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유저들이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서, 2차원 또는 3차원 전시물을 가상 공간에 배치하고 유저들이 가상 공간의 FOV를 조작함에 따라서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저 단말이 관람을 위해서 로드하는 가상 공간의 데이터를 경량화하고, 유저들의 선택에 따라서 전시물의 현물화가 가능하도록 하되, 유저가 전시물의 배치를 가상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취향에 맞는 현물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대면 사회가 구축되면서 유튜브 등 다양한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통한 문화 컨텐츠의 이용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콘서트 등의 경우에도, 스테이지에서 연주자가 연주를 진행하는 상황을 카메라 등으로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 스트리밍 도는 녹화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를 통해서 다수의 사용자가 원격에서 비대면 상태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문화 컨텐츠 서비스는, 음악, 연극, 오페라 등 공연 컨텐츠의 경우 매우 효율적이고 현재 구축된 상기의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통해서 구현이 가능한 이유로, 그 이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연 컨텐츠와 달리, 그림, 조각 등의 미술품과 기타 전시물의 경우, 즉각적으로 유저들이 컨텐츠에 대한 이해 등을 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즉, 상술한 전시물은 전시물에 대해서 유저가 시간을 갖고 주시하거나, 그 컨텐츠에 함유된 내용들에 대한 큐레이팅 등의 서비스가 있어야 관람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컨텐츠는, 상술한 이유에서 실시간 촬영 및 스트리밍이 어렵거나 기존의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서비스가 물가능한 특징이 있어, 해당 전시물에 대한 비대면 관람에 대한 니즈가 늘어나는 시점에 있어서 전시물의 관람에 적합한 플랫폼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2151451호 등에서는, 3차원의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는 데 있어서, 가상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히트맵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한 후 이를 관람객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관람객이 단말을 통해서 가상의 전시 공간에서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 공간을 이용한 원격의 비대면 관람 서비스는, 가상 공간을 이용하여 전시물을 관람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수익 창출 가능성이 매우 높아,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큰 관계로, 유저들이 휴대 단말을 이용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서 해당 가상 공간의 이용 시,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따른 버퍼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가상 공간을 이용한 전시물의 관람 서비스에 있어서, 입력되는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에 대한 경량화를 통해서 유저가 로드해야 하는 데이터를 경량화하여 낮은 스펙 및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부드럽게 가상 공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유저들에게 전시물을 통한 현물 구매를 포함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가상 공간을 이용한 전시물 관람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저장된 다수의 전시물 객체가,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배치되며,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FOV(Field Of View)가 변경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공간 제공부;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 이미지 업로드 입력 및 이미지 변환 입력을 수신 시, 전시물 객체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업로드 입력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된 전시물 객체의 특징 정보로 변환한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전시물 객체 및 상기 변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구매 대상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 시, 구매 입력된 구매 대상의 현물 구매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 제공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3차원 가상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 중, 경계를 이루는 프레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인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고, 경계 상의 외면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인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한 뒤,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경량화하여 제3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제3 모델링 데이터를 결합한 데이터를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입체 모델로서 생성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이루는 다수의 2차원 면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면을 이루는 각 픽셀의 색상 및 크기에 대한 데이터인 면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 저장된 경량 2차원 이미지들 중, 추출된 면 속성 데이터들과 동일한 경량 2차원 이미지로 다수의 2차원 면 각각을 대체한 결과 생성되는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전시물 객체를 이루는 이미지 데이터인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픽셀 각각의 색온도 정보, 픽셀 사이의 색온도의 연관 정보 및 제1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업로드 입력된 이미지를 이루는 데이터인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각각을 이루는 복수의 픽셀 각각의 색온도 정보, 픽셀 사이의 색온도의 연관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색온도 정보 및 색온도의 연관 정보들 중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와 동일한 객체 정보에 포함된 색온도 정보 및 색온도의 연관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및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사이의 동일성은, 두 객체 정보를 입력 값으로 하고, 객체 정보 사이의 유사도 수치를 출력값으로 가지며, 머신 러닝을 통해 그 유사도 수치 알고리즘이 학습되는 유사도 수치 도출 함수를 통해 판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서브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한 서브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로서 구매 대상을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인 배경 이미지가 출력되며, 상기 구매 대상의 이미지인 작품 이미지가 상기 배경 이미지에 이동 가능하게 오버레이(Overlay)되어, 상기 구매 대상을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에 상기 구매 대상을 배치한 가상의 화면을 증강현실로 구현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구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경 이미지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를 구성 시, 상기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 및 유저 단말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에서 바닥면, 벽면 및 천정에 대응되는 실내 영역을 추출한 뒤, 구매 대상별로 설정된 정보로서 상기 실내 영역들 중 상기 구매 대상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에만 상기 작품 이미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작품 이미지의 이동 가능 영역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를 제공 시, 상기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을 이용한 객체 인식 결과, 상기 구매 대상과 동일한 종류의 전시물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의 초기 출력 시, 인식된 전시물이 배치된 영역에 자동으로 상기 구매 대상이 가상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를 제공 시, 상기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을 이용한 객체 인식 결과, 상기 구매 대상과 동일한 종류의 전시물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인식된 전시물이 배치된 영역에 이벤트 효과를 부여하여 상기 구매 대상에 대한 추천 배치 영역으로 유저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시물의 데이터가 오버레이되어 가상 공간을 이루기 위한 배경의 가상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관리 시, 프레임 등 외형 경계를 이루는 선 데이터에 대해서만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벽면 모델링 데이터 등 면 데이터의 경우, 기 저장된 경량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는 것을 통해서, 가상 공간의 데이터를 크게 경량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시 공간을 이루는 가상 공간에 대해서 낮은 스펙 및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매우 부드럽고 버퍼링 없이 가상 공간을 구현할 수 있어, 유ㅜ저의 이용성이 크게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유저들에게 현물 구매가 가능하게 하거나, 유저가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서 전시물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통해서 가상 공간에의 전시 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수익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유저들의 흥미를 증가시켜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가상 공간에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화면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 공간의 데이터가 경량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의 예.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인터페이스의 화면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가상 공간에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화면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 공간의 데이터가 경량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변환의 예, 도 6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 인터페이스의 화면 예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10, 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함)는, 공간 제공부(11),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12) 및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10)에는 상기의 각 구성에 의하여 생성, 수정 및 삭제되거나, 이를 통해 외부와 공유되는 모든 데이터의 저장 장치로서, 데이터베이스(14)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10) 후술하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컴퓨팅 장치와 동일하거나, 해당 장치를 복수개 포함하는 그룹 서버 및 단일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기능적인 구성에 해당하는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 및 관리자 단말(30) 등과 구분되어 독립적인 단말로서 구성될 수 있으나, 컴퓨팅 장치인 관리자 단말(30)에 포함되는 장치 또는 유저 단말(20)에 포함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서는 유저 단말(20) 및 관리자 단말(30)과 구분되는 구성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기능에 따라서 유저 단말(20) 및 관리자 단말(3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장치(10)가 일 구성(예를 들어 유저 단말(20))에 포함되는 경우 회로적인 연결로, 다른 구성에 연결되는 경우 근거리/원거리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계정이 의미하는 바는, 특정 단말을 통해 본 발명의 장치(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해당 서비스에 가입 시 생성되는 아이디 등을 의미하며, 유저 계정은 유저가 서비스에 가입하여 생성한 계정, 관리자 계정은 관리자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서 생성한 계정을 의미하는 등, 다양한 단말을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로그인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10)의 각 기능 수행을 통해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휴대 단말 등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 단말에서 접속 가능한 웹페이지 상에서 구동 가능한 웹 프로그램 등의 실행 및 접속에 의하여 실행되는 다수의 화면 및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공간 제공부(11)는 기 저장된 다수의 전시물 객체가,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배치되며,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FOV(Field Of View)가 변경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유저 단말(2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전시물 객체는, 대표적으로 예술 작품으로서, 그림 등의 2차원 형태 및 조각 등 3차원 형태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전시물을 디지털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컨텐츠로 생성한 데이터가 유저 단말(20)의 출력 수단에 출력된 상태의 시각적인 객체를 의미한다. 즉 2차원 또는 3차원의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구현되어 유저가 전시물이 유저 단말(20)에 시각화됨에 따라서 전시물이 출력된 것으로 인지 및 식별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은, 마치 전시물이 전시된 것과 같은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서 구현되는 가상의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가 유저 단말(20)에 시각화된 공간을 의미한다. 즉 가상 공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에 따라서 유저 단말(20)에 출력되는 이미지로서 해당 이미지를 유저가 확인 시 마지 전시물이 배치되는 가상의 전시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배경 객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전시 영역은, 전시물 객체마다 할당된 가상 공간 상의 일정한 영역들로서, 전시 영역은 전시물 객체의 각 픽셀값에 가상 공간의 좌표를 매칭함에 따라서 설정되는 가상 공간 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관리자 단말(30)에 의하여 전시 영역이 할당되거나, 가상 공간의 모델링 시 전시 영역이 할당된 상태로 모델링되고, 전시물 객체의 배치 순서, 사이즈, 종류 등에 따라서 자동으로 전시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전시 인너페이스를 구성 시 상술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 전시물 객체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 및 전시 영역에 대한 좌표 및 전시물 객체별 할당 정보가 관리자 단말(30)에 의하여 구성될 것이며, 상술한 데이터 및 할당 정보 등의 조합에 의하여 전시 인터페이스가 구성된다.
전시 인터페이스에는 각 가상 공간에 대한 좌표의 제어 입력값을 수신 시, 해당 좌표의 제어 입력값과 그 입력값의 변화에 따른 벡터 입력이 생성되고, 벡터 입력에 따라서 FOV(Field Of View)가 제어되어 출력되는 가상 공간이 제어된다.
즉, 유저 계정은 예를 들어 전시 인터페이스가 유저 단말(20)에 출력되는 경우, 유저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별 가용되는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입력을 통한 조작에 따라서 가상 공간에 대한 FOV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서 유저가 마치 가상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시물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출력이 유저 단말(20)의 출력 수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유저 단말(2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러한 효과 및 제어 수단 등이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며, 해당 전시 인터페이스가 유저 단말(20)에 제공되고, 유저 단말(20)에서는 제공된 전시 인터페이스를 실행함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컨텐츠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은, 유저 단말(20)에 배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이 가능한 웹에 대한 접속에 의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전시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화면(100)을 참조하면, 전시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상술한 가상 공간이 화면(100)에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면(100)은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 출력되는 화면으로 이해될 것이다.
화면(100) 내에는 가상 공간에 해당하는 배경 공간(101)이 3차원으로 출력되며,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배경 공간(101)에 대한 FOV가 달라짐에 따라서 배경 공간(101)이 구성하는 실내를 유저가 움직이면서 전시물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배경 공간(101)에는 각 전시물별로 전시 영역(102)이 할당되며, 해당 전시 영역(102)에는 2차원 전시물 객체(103) 또는 3차원 전시물 객체(104)가 배치되어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가상 관람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저가 방향 조작을 수행 시, 가상 공간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하여 전시물을 개략적으로 바라보면서 관람할 수 있도록 하며, 특정 전시물 객체(103, 104)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행 시, FOV에 전시물 객체(103, 104)만을 포함하도록 제어하여 전시물만을 자세하게 바라볼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공간 제공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시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20)에 제공함으로써 유저 계정이 해당 가상 관람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하는데, 가상 공간의 경우 3차원 모델링 데이터인 한편, 전시물 객체에 비하여 그 모델링 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클 수밖에 없어, 차지하는 용량이 클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가상 공간은 배경에 해당하며, 전시물 객체에 비하여 중요도가 떨어지고 높은 해상도를 가질 필요가 없는데, 일반적으로 관리자 단말(30)에서 디자이너 등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직접 제작하는 캐드(CAD) 파일이나 STEP 파일 등 3차원 객체를 표현하는 모델링 데이터 포맷을 갖는 모델링 데이터의 용량은 매우 크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가 유저 단말(20)에 직접 전송되어 전시 인터페이스에서 실행 및 구현되는 경우, 유저 단말(20)의 성능 및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서 가상 공간의 시각화에 따라서 부드러운 출력이 되지 않고 버퍼링 등이 걸려 유저에게 매우 이질감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공간 제공부(11)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전송을 위한 가상 공간의 구현에 있어서, 가상 공간의 구현을 위해 필요시되는 모델링 데이터의 경량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즉, 공간 제공부(11)는, 외부, 즉 관리자 단말(30) 또는 외부 가상 공간을 디자인하는 주체가 이용하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3차원 가상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 중, 경계를 이루는 프레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인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고, 경계 상의 외면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인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한 뒤, 제2 모델링 데이터를 경량화하여 제3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1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제3 모델링 데이터를 결합한 데이터를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입체 모델로서 생성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예를 들어, 제3 모델링 데이터는,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이루는 다수의 2차원 면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면을 이루는 각 픽셀의 색상 및 크기에 대한 데이터인 면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 저장된 경량 2차원 이미지들 중, 추출된 면 속성 데이터들과 동일한 경량 2차원 이미지로 다수의 2차원 면 각각을 대체한 결과 생성되는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데이터베이스(14) 또는 공간 제공부(11)의 메모리에는, 각 면을 이루는 데이터들로서, 적당하게 원래 모델링 데이터에 대응되는 면의 색상 및 질감 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순화된 색상의 면 이미지 데이터인 상술한 경량 2차원 이미지들이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 관리자 단말(30)의 입력 및 자동 대체 프로세스에 따라서, 추출된 면 속성 데이터들과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경량 2차원 이미지로 다수의 2차원 면 각각을 대체하게 되면, 모델링 데이터를 이루는 대용량의 면 데이터를 매우 적은 용량의 이미지로 대체할 수 있어, 데이터의 경량화가 가능한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간 제공부(11)는 외부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110)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분석하여 경계, 즉 가상 공간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에 대한 제1 모델링 데이터(111)와 해당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나머지 면, 즉 경계 상의 외면에 대한 제2 모델링 데이터(111)를 추출하게 된다. 즉 제1 모델링 데이터(111)는 가상 공간이 실제 건축물인 경우 골조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2 모델링 데이터는 내벽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때, 3차원 가상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110)에서 제1 모델링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프레임 데이터(113)로서 이용하고,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데이터들 중, 제2 모델링 데이터(112)와 유사한 제3 모델링 데이터(114), 즉 경량 2차원 이미지들을 프레임 데이터(113)에 결합하여 전시 인터페이스에서 가상 공간을 이루는 입체 모델(120)로서 생성하여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제3 모델링 데이터(114)는 경량 2차원 이미지를 각 제2 모델링 데이터(112)의 색상 및 크기에 따라서 선택 및 사이즈 변경을 통해 생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12)는 유저 단말(20)의 입력 수단을 통해 전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 이미지 업로드 입력 및 이미지 변환 입력을 수신 시, 전시물 객체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업로드 입력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된 전시물 객체의 특징 정보로 변환한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여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전시물 객체는 유명한 작가가 자신만의 화풍 등으로 제작한 예술 작품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유저들은 자신이 촬영한 사진 또는 저작한 미술 작품에 대해서, 유명한 작가들과 유사한 화풍으로 가공하는 것에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유저의 니즈를 반영하여 가상의 전시 공간에 대한 관람과 더불어, 해당 전시물 객체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특성을 이용하여 관람을 하면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 등을 유명한 작가의 화풍 등과 유사하게 변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일정한 과금을 통해서, 유저에게는 가상의 전시 관람을 이용하면서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운영 업체의 측면에서는 간단한 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시물 객체의 화풍 또는 패턴에는, 주로 사용하는 색상 및 표현 기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표현 기법에는, 색상의 표현 기법, 객체에 대한 표현 기법, 질감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나 사물을 표현하는 데 점을 찍어 선, 면 등을 표현하거나, 그림자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특정한 기법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작가들별로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 작가와 유사한 화풍 또는 패턴의 컨텐츠로 유저가 보유한 컨텐츠를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12)는, 전시물 객체를 이루는 이미지 데이터인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픽셀 각각의 색온도 정보, 픽셀 사이의 색온도의 연관 정보 및 제1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추출하고, 업로드 입력된 이미지를 이루는 데이터인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각각을 이루는 복수의 픽셀 각각의 색온도 정보, 픽셀 사이의 색온도의 연관 정보를 제1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색온도 정보 및 색온도의 연관 정보들 중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와 동일한 객체 정보에 포함된 색온도 정보 및 색온도의 연관 정보로 변환하여, 변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색온도(Color temperature)는 광원의 색을 절대온도를 이용해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붉은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가 낮고, 푸른색 계통의 광원일수록 색온도가 높다. 온도는 전통적으로 절대 온도 단위인 켈빈을 사용한다. 색온도는 플랑크 법칙과 빈의 변위법칙과 관련되어 있다. 실제 조명등에서는 흑체복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CIE색도표 상의 근사값인 상관색온도(Correlated Color Temperature)를 사용한다. 즉 색온도 정보를 통해서 각 픽셀의 색상 정보가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색온도의 연관 정보는, 각 픽셀과 인접한 픽셀들의 색온도 정보로서, 이를 통해서 색상의 변화 패턴을 분석할 수 있거나, 상술한 표현 기법을 유추할 수 있다. 한편 객체 정보는, 사람, 사물, 배경 등 특정 작품에 포함된 객체를 의미한다. 해당 객체 정보는, 머신 러닝 등의 인공지능 프로세스를 통해서 픽셀들의 경계값 변화를 분석한 결과 도출되는 경계선 분석 및 경계선의 형태에 따른 객체 식별 기술을 통해서 추출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데이터들의 색상 및 표현 기법에 있어서 전체적인 특징, 각 객체 또는 배경별 특징 등이 추출될 수 있으며, 제2 이미지 데이터의 전체적인 특징, 각 객체 또는 배경의 특징을 제1 이미지 데이터의 그것들과 유사하게 변환하여,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게 되면, 마치 자신이 보유하거나 저작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가 유명 작가에 의하여 제작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예가 도 4 및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먼저 참조하면, 제2 이미지 데이터(131)에 제1 이미지 데이터(132)의 전체적인 색상 및 화풍을 적용하여 변환 이미지(133)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는 특히 객체의 색상과, 땅 배경의 질감이 유사하게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역시 제2 이미지 데이터(134)에 제1 이미지 데이터(135)의 전체적인 색상 및 화풍이 적용되어 변환 이미지(1360가 생성된 다른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특히 배경과 각 객체들에 대한 표현 기법이 유사하게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변환에 있어서 서비스 초기에는 관리자 단말(30)을 통한 수동 이미지 변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빠르게 이미지를 변환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초기의 수동 변환된 이미지를 기반 데이터로 활용하고, 이를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학습시켜, 자동 변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12)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미지 데이터의 화풍 등의 특징 정보의 추출 방식은 각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하고, 특징 정보를 출력값으로 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머신 러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더욱 정교한 이미지 변환을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데이터와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들 중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객체를 각 객체별 특징 정보에 맞도록 변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특징 정보들 중, 객체별로 서로 다른 특징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들 중 제1 이미지 데이터에 동일하게 포함된 객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반영하여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서 객체 정보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서 제1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및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사이의 동일성은, 두 객체 정보를 입력 값으로 하고, 객체 정보 사이의 유사도 수치를 출력값으로 가지며, 머신 러닝을 통해 그 유사도 수치 알고리즘이 학습되는 유사도 수치 도출 함수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한편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유저 단말(20)의 입력 수단을 통해 전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전시물 객체 및 변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구매 대상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 시, 구매 입력된 구매 대상의 현물 구매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2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전시물 객체 및 상술한 변환 이미지에 대해서 유저들은 해당 작품들을 직접 거주지의 전시물로서 배치하기 원할 수 있다. 즉, 실제 전시회 등에서 미술품을 구매하거나 해당 미술품의 모조 작품 등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니즈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한편, 단순 가상 공간의 전시 관람 서비스뿐 아니라 이러한 실제 작품 판매를 통해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20)에 제공하며, 유저 단말(20)로부터 특정 작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됨을 감지 시, 해당 전시물에 대응되는 진품, 작가로부터 승인된 모조품 또는 이미지/3차원 객체 등에 대한 고화질 프린터 및 3차원 프린터 등을 이용한 출력 결과 생산되는 제품을 결제 프로세스에서 수신한 유저의 주소에 배송하여, 유저가 직접 해당 제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기본적으로 유저가 특정 전시물 객체 또는 변환 이미지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행하게 되면, 해당 구매에 대한 결제 프로세스가 진행될 것이다. 이러한 결제 프로세스가 완성되면, 구매 대상에 대한 실물 제작 요청이 실물 제작을 수행하는 제작자 단말에 전송될 것이며, 제작자 단말,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시물 객체에 대한 진품 관리를 수행하거나, 모조품을 수동으로 또는 고화질 2차원/3차원 프린터를 통해 자동으로 제작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주체가 이용하는 단말에서 실물 제작을 수행하고, 배송 서비스를 통해서 제작된 실물이 유저가 결제 프로세스에서 입력한 배송지에 배송되는 것이다.
이러한 예술 작품들은, 유저가 예술 작품들에 대한 개별 확인을 통해서 구매하고자 하는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으나, 해당 작품이 배치될 영역과 작품이 어울리는지 여부를 미리 살펴보고 의사 결정을 할 수도 있다. 즉 작품은, 그 작품 자체의 심미성이 구매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도 있지만, 해당 작품과 작품이 배치되는 영역의 조화에 따라서 구매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객의 니즈를 반영하고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는 한편, 새로운 재미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서브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한 서브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20)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로서 구매 대상을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인 배경 이미지가 출력되며, 구매 대상의 이미지인 작품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에 이동 가능하게 오버레이(Overlay)되어, 구매 대상을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에 구매 대상을 배치한 가상의 화면을 증강현실로 구현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구성하여 유저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 인터페이스 화면(140)에 있어서 유저들이 유저 단말(20)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한 배경 이미지(143)가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배경 이미지(143)는 미리 촬영된 이미지이거나, 현재 유저가 촬영 수단을 위치시켜 촬영 수단의 촬영 영역에 포함되어 촬영되고 있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이미지일 수 있다.
화면(140) 상에는 배경 이미지(143)와 함께, 선택한 구매 대상(142)이 출력되는 영역(141)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구매 대상(142)은 해당 영역(141)에 썸네일(Thumbnail)로 출력되거나 식별 정보가 리스트화되어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어 유저가 출력된 구매 대상(142)을 변화시키면서 다양한 작품들이 배경 이미지(143) 상에 가상으로 배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서 유저가 구매 대상(142)을 선택하면, 배경 이미지(143) 상에 구매 대상(142)이 오버레이됨에 따라서 작품 이미지(144)가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작품 이미지(144)는 다른 영역(145)에 배치할 수 있도록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 등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그림 작품 등의 경우, 주로 벽면에 배치되며, 바닥이나 천정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유저 단말(20)이 스마트 폰 등인 경우, 유저 단말(20)은 이미지 분석 프로세스 및 지자기 센서 등을 통한 단말의 기울기 측정 프로세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유저 단말(20)에서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실내 공간의 각 영역의 구분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고, 상술한 각 구매 대상, 즉 예술품에 따른 배치 영역의 제한성을 반영하여 유저들이 구매 대상의 가상 배치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각 구매 대상에 대한 배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서브 인터페이스를 구성 시,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 및 유저 단말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배경 이미지에서 바닥면, 벽면 및 천정에 대응되는 실내 영역을 추출한 뒤, 구매 대상별로 설정된 정보로서 실내 영역들 중 구매 대상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에만 작품 이미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작품 이미지의 이동 가능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서브 인터페이스 화면(140)을 참조하면, 도 6과 유사하게 구매 대상(142)이 출력되며, 유저가 구매 대상(142)을 선택 시, 작품 이미지(144)가 배경 이미지 상에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앤 드롭 방식 등을 통해서 작품 이미지(144), 즉 구매 대상을 이동시킬 수 있는데, 드래그(147) 중, 작품 이미지(144)가 배치될 수 없는 영역(PA)에 이동 시, 이동이 불가함을 알리는 아이콘(148)을 출력하고 해당 영역(PA)에 작품 이미지(144)를 이동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 대상이 그림인 경우, 천정에는 그림을 배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도 8과 같은 효과를 구현하여 유저들에게 작품의 배치를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저들은 예를 들어 다른 작품이 이미 특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으로 교체하여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대한 효과를 가상으로 비교하고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에는, 유저들이 일일이 기 배치된 작품의 위치를 파악한 후 해당 작품 이미지를 이동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특정 작품과 교체 배치한 효과를 제공하거나, 해당 다른 작품의 위치로 작품 이미지를 이동시키도록 안내하여, 유저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서브 인터페이스를 제공 시,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을 이용한 객체 인식 결과, 구매 대상과 동일한 종류의 전시물이 인식되는 경우, 서브 인터페이스의 초기 출력 시, 인식된 전시물이 배치된 영역에 자동으로 구매 대상이 가상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서브 인터페이스 화면(140)을 참조하면, 도 6과 유사하게 구매 대상(142)이 출력되며, 유저가 구매 대상(142)을 선택 시, 작품 이미지(144)가 배경 이미지 상에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특정 작품(146)이 촬영된 이미지 상에서 인식되는 경우, 작품 이미지(144)를 자동으로 초기에 해당 영역에 오버레이하여, 가상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13)는, 서브 인터페이스를 제공 시,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을 이용한 객체 인식 결과, 구매 대상과 동일한 종류의 전시물이 인식되는 경우, 서브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인식된 전시물이 배치된 영역에 이벤트 효과를 부여하여 구매 대상에 대한 추천 배치 영역으로 유저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점선 이미지(145)와 같이 특정 영역에 대해서 별도 표시를 하도록 하여, 유저들이 해당 영역으로 작품 이미지(144)를 이동시키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구현을 통해서, 유저들이 가상으로 구매하고자 하는 작품이 자신의 거주 공간 등 작품을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에 배치된 상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한 구매 가이드를 제공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전시 및 구매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대한 신뢰성 향상과 함께, 가상 배치 등을 통한 새로운 재미를 느끼도록 하여, 이용률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특정 작품에 대해서 구매를 하고자 하는 경우 도 9와 같은 또 다른 서브 인터페이스가 구매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도 9의 서브 인터페이스 화면(150)을 통해, 유저들은 구매 대상(151)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주소 입력, 연락처 입력 및 가격 확인 등을 한 뒤, 구매하기 메뉴(152)를 선택하여 해당 작품을 구매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 저장된 다수의 전시물 객체가,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배치되며,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FOV(Field Of View)가 변경되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유저 단말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공간 제공부;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 이미지 업로드 입력 및 이미지 변환 입력을 수신 시, 전시물 객체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업로드 입력된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된 전시물 객체의 특징 정보로 변환한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유저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 상에 출력된 전시물 객체 및 상기 변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인 구매 대상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 시, 구매 입력된 구매 대상의 현물 구매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구매 인터페이스를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변환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전시물 객체를 이루는 이미지 데이터인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픽셀 각각의 색온도 정보, 픽셀 사이의 색온도의 연관 정보 및 제1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업로드 입력된 이미지를 이루는 데이터인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각각을 이루는 복수의 픽셀 각각의 색온도 정보, 픽셀 사이의 색온도의 연관 정보를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색온도 정보 및 색온도의 연관 정보들 중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와 동일한 객체 정보에 포함된 색온도 정보 및 색온도의 연관 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제공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3차원 가상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 중, 경계를 이루는 프레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인 제1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하고, 경계 상의 외면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인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추출한 뒤,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경량화하여 제3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델링 데이터에 상기 제3 모델링 데이터를 결합한 데이터를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입체 모델로서 생성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델링 데이터는,
    상기 제2 모델링 데이터를 이루는 다수의 2차원 면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면을 이루는 각 픽셀의 색상 및 크기에 대한 데이터인 면 속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 저장된 경량 2차원 이미지들 중, 추출된 면 속성 데이터들과 동일한 경량 2차원 이미지로 다수의 2차원 면 각각을 대체한 결과 생성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및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사이의 동일성은, 두 객체 정보를 입력 값으로 하고, 객체 정보 사이의 유사도 수치를 출력값으로 가지며, 머신 러닝을 통해 그 유사도 수치 알고리즘이 학습되는 유사도 수치 도출 함수를 통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를 이루는 서브 인터페이스들 중 어느 한 서브 인터페이스를 유저 단말의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로서 구매 대상을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을 촬영한 이미지인 배경 이미지가 출력되며, 상기 구매 대상의 이미지인 작품 이미지가 상기 배경 이미지에 이동 가능하게 오버레이(Overlay)되어, 상기 구매 대상을 배치하고자 하는 영역에 상기 구매 대상을 배치한 가상의 화면을 증강현실로 구현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구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이미지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를 구성 시, 상기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 및 유저 단말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에서 바닥면, 벽면 및 천정에 대응되는 실내 영역을 추출한 뒤, 구매 대상별로 설정된 정보로서 상기 실내 영역들 중 상기 구매 대상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대응되는 배경 이미지에만 상기 작품 이미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작품 이미지의 이동 가능 영역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를 제공 시, 상기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을 이용한 객체 인식 결과, 상기 구매 대상과 동일한 종류의 전시물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의 초기 출력 시, 인식된 전시물이 배치된 영역에 자동으로 상기 구매 대상이 가상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를 제공 시, 상기 배경 이미지의 픽셀 경계값을 이용한 객체 인식 결과, 상기 구매 대상과 동일한 종류의 전시물이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의 출력 시, 인식된 전시물이 배치된 영역에 이벤트 효과를 부여하여 상기 구매 대상에 대한 추천 배치 영역으로 유저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10006261A 2021-01-15 2021-01-15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27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61A KR102276936B1 (ko) 2021-01-15 2021-01-15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261A KR102276936B1 (ko) 2021-01-15 2021-01-15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936B1 true KR102276936B1 (ko) 2021-07-13

Family

ID=7685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261A KR102276936B1 (ko) 2021-01-15 2021-01-15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283B1 (ko) * 2021-07-27 2022-03-10 김준수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CN114326428A (zh) * 2021-12-30 2022-04-12 深圳思悦创新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展示方法及系统
KR102494057B1 (ko) * 2022-07-15 2023-02-06 신헌주 인공지능 기반의 작품 관리 시스템
KR20230065778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65779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04022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디지포레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019A (ko) * 2015-11-02 2017-05-11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KR20200130359A (ko) * 2018-03-05 2020-11-18 밸브 코포레이션 주변 이미지 영역에서의 실시간 압축을 통한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제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019A (ko) * 2015-11-02 2017-05-11 백명섭 전시자 맞춤형 3차원 가상 갤러리 관리 방법
KR20200130359A (ko) * 2018-03-05 2020-11-18 밸브 코포레이션 주변 이미지 영역에서의 실시간 압축을 통한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제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2283B1 (ko) * 2021-07-27 2022-03-10 김준수 가상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20230065778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65779A (ko) *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16848B1 (ko) 2021-11-05 2023-12-27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52585B1 (ko) 2021-11-05 2024-03-29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4326428A (zh) * 2021-12-30 2022-04-12 深圳思悦创新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设备展示方法及系统
KR20230104022A (ko) * 2021-12-31 2023-07-07 주식회사 디지포레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2630775B1 (ko) * 2021-12-31 2024-01-29 주식회사 디지포레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2494057B1 (ko) * 2022-07-15 2023-02-06 신헌주 인공지능 기반의 작품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936B1 (ko)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US11823256B2 (en)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retail environment simulation
US116574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 location
US20200380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body scanning and avatar creation
US107544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elements in a virtual architectural visualization
US11244223B2 (en) Online garment design and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US11640672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ultra-low footprint body scanning
CN105637564B (zh) 产生未知对象的扩增现实内容
KR102263133B1 (ko)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US11935192B2 (en) Technologies for 3D placement of virtual objects from a 2D layout
US10643399B2 (en) Photorealistic scene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CN108459704A (zh) 用于三维数字内容的笔画操作预测
CN106471551A (zh) 用于将现有3d模型转换成图形数据的方法和系统
US11227075B2 (en) Product design, configuration and decision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US11948057B2 (en) Online garment design and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US20220138383A1 (en) Product design, configuration and decision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US20240087004A1 (en) Rendering 3d model data for prioritized placement of 3d models in a 3d virtual environment
CN114764840A (zh) 图像渲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181829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ultra-low footprint body scanning
JP20200133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23038613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forming a 3d body model based on a 2d image of an adorned subject
KR20120139470A (ko)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07589834A (zh) 终端设备操作方法及装置、终端设备
KR20230075050A (ko)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
Tharaka Real time virtual fitting room with fast rend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