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848B1 -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848B1
KR102616848B1 KR1020210151694A KR20210151694A KR102616848B1 KR 102616848 B1 KR102616848 B1 KR 102616848B1 KR 1020210151694 A KR1020210151694 A KR 1020210151694A KR 20210151694 A KR20210151694 A KR 20210151694A KR 102616848 B1 KR102616848 B1 KR 10261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space
content
virtual
virtual exhibition
art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5779A (ko
Inventor
신호
임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to KR102021015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8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IRTUAL GALLERY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활동들이 온라인으로 넘어오거나, 온라인과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온라인 갤러리이다.
온라인 갤러리는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게시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관람객들이 온라인으로 방문하여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갤러리는 예를 들어 웹 서버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라인 관람객들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온라인 갤러리에 접속한 후, 해당 온라인 갤러리에 게시된 각 아티스트들이 작품을 열람할 수 있다.
이처럼 온라인 갤러리는 오프라인상에게 전시되던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전시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그런데 이처럼 온라인 갤러리는 사용자(아티스트)의 선택 등에 의해 꾸밀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스킨 모듈을 제공하여 아티스트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온라인 갤러리 운영자에 의해 제공되는 스킨 모듈의 개수는 그렇게 많지 않아서 선택이 폭이 좁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작품과 조화를 이루는 스킨 모듈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콘텐츠)에 부합하도록 가상 전시공간을 일일이 구성하는 것도 상당히 시간이 많이 필요한 작업이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아티스트) 입장에서 바라보는 가상 전시 공간을 제공 서비스의 사용 편리성 부족이 항상 문제가 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10685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아티스트의 수동 조작이 없더라도, 아티스트들이 업로드하는 작품(콘텐츠)에 부합되도록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와; 상기 콘텐츠 분석부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추출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판단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 전시공간이 아티스트의 수동 조작이 없더라도 전시되는 콘텐츠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영역별로 추출한 후, 3차원 가상공간으로 이루어진 가상 전시공간의 대응되는 면에 배치함으로써, 콘텐츠와 조화를 이루는 전시공간의 구성으로 인해 온라인 관람객의 감동을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가상 전시 공간이라는 것은 단지 그 안에 배치되는 콘텐츠 뿐만 아니라, 가상 전시 공간 자체에도 개성이 묻어 나와야 주목을 받고 오히려 작품(콘텐츠)를 부각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전시되는 콘텐츠로부터 추출된 특징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콘텐츠(작품)의 내용으로 몰입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3차원으로 이루어진 가상 전시공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콘텐츠의 영역별로 추출한 객체가 가상 전시공간의 대응되는 면에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아티스트 단말기(200),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티스트 단말기(200)는 아티스트들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가상 전시공간을 꾸미는 기능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고, 유선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아티스트는 반드시 예술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콘텐츠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여 타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콘텐츠는 각 아티스트들이 제작하거나 창작한 작품들에 대한 전자적 데이터일 수 있다.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각 아티스트들에 의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콘텐츠 즉, 작품들을 열람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된 경우,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는 장치면 충분하다.
한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함과 아울러 그 가상 전시공간에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공간에 전시 또는 배치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회원제에 기반한 시스템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가상 전시공간을 제공하거나 콘텐츠의 등록을 처리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온라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공간을 열람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110), 콘텐츠 분석부(120),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4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각종 요청 신호, 콘텐츠, 각종 정보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가상 전시공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그 업로드한 아티스트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물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회원 정보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회원 정보와, 각 회원이 등록하거나 각 회원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정보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저장부(150)에 등록되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 나아가 저장부(150)에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 동작 중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실시간 저장될 수도 있다.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110)는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공간을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상 전시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영역 또는 공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가상 전시공간은 복수 개의 웹페이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110)는 각 아티스트들마다 5개의 웹페이지(각 URL로 접근할 수 있는 각각의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 웹페이지에는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0개)의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는 제한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가상 전시공간은 각 콘텐츠마다 구축되는 개별적 가상공간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 개의 콘텐츠가 배치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일 수도 있다.
이러한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110)에 의해 구축되는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공간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정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티스트에 의해 등록(업로드)된 콘텐츠가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온라인 관람객으로 하여금 자신이 마치 바닥면과, 천정, 좌측 벽, 우측 벽이 있는 건물 안에 들어와 있는 것과 같이 착각이 들도록 가상 전시공간에게 입체적 효과를 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 전시공간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정육면체와 같은 공간이 가상 전시공간으로써 구성되고, 그 정면에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된 콘텐츠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가상 전시공간을 입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온라인 관람객에게 오프라인 갤러리를 방문한 것과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된 콘텐츠가 수작업으로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경우, 콘텐츠 분석부(120)는 해당 그림에서 배경과 배경 이외의 부분을 구분하여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콘텐츠 분석부(120)는 테두리 강조 필터링 등을 이용하여 배경을 제외한 나머지 객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미지에서 배경과 그 외의 객체를 분리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콘텐츠로부터 객체를 추출함에 있어서,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의 영역을 구분하여 영역별로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500)를 상, 하, 좌, 우(510, 520, 530, 540)로 구분하여 그 각각의 영역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영역별로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에서는 상부 영역(510)에는 A 객체가, 하부 영역(520)에는 B 객체가, 좌측 영역(530)에는 C 객체가, 우측 영역(540)에는 D 객체가 존재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고, 이 경우 콘텐츠 분석부(120)는 A,B,C,D 의 주요 객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주요 객체는 예를 들어 각 영역에 복수 개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그 중에서 해당 영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500)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추출한 주요 객체가 꽃인지, 나무인지, 동물인지, 사람인지 등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600)의 구성을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가 추출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500)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600)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가상 전시공간(600)이 도 3과 같이 3차원 형태로 구축되어 있는 경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3차원의 적어도 일부 면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이미지가 적어도 일부 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도 4(a)와 같이 콘텐츠 분석부(120)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500)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가 도 4(b)에 도시되었다.
즉, 도 4(b)를 참조하면,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에는 콘텐츠(500)의 상부 영역(510)에 있던 A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하면(620)에는 콘텐츠(500)의 하부 영역(520)에 있던 B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좌측면(630)에는 콘텐츠(500)의 좌측 영역(530)에 있던 C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우측면(640)에는 콘텐츠(500)의 우측 영역(540)에 있던 D객체가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가상 전시공간(600)의 정면에는 콘텐츠(500)를 있는 그대로 배치하여 마치 오프라인 갤러리에 그림이 걸려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처럼 정면을 기준으로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정면에 배치되는 콘텐츠(500)로부터 추출한 객체를 다시 배치함으로써, 콘텐츠(500)와 입체적 배경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어서, 온라인 관람객의 감동이 배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분석부(120)에 의해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가 판단된 경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가 판단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B영역에 존재하는 객체가 진달래꽃이라면,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130)는 이와 유사한 철쭉, 나리꽃, 제비꽃 이미지를 기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미 도시함)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하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온라인 관람객 입장에서는 콘텐츠에 포함된 꽃과는 동일하지는 않은 다른 꽃 종류들이 마치 가상의 전시공간 바닥에 깔려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있어서, 콘텐츠 관람/열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아티스트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공간 구축을 한 후 해당 아티스트에 할당 처리한다(단계 S1).
이어서 가상 전시공간이 할당된 아티스트로부터 콘텐츠의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한다(단계 S3).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한다(단계 S5).
도 6에는 도 3의 과정 중에서 가상 전시공간이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이 있는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부분적인 제어흐름이 도시되었다.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영역별로 분석하여 주요 객체를 추출하는데(단계 S11), 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를 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우측 영역으로 구분한 후 각 영역으로부터 주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콘텐츠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는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에 배치하고(단계 S13), 콘텐츠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는 가상 전시공간의 하면에 배치하며(단계 S15), 콘텐츠의 좌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는 가상 전시공간의 좌측면에 배치하고(단계 S17), 콘텐츠의 우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는 가상 전시공간의 우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단계 S19).
도 6에서는 특정 콘텐츠로부터 주요 객체가 추출된 후에 가상 전시공간의 각 면에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만일 가상 전시공간에 여러 개의 콘텐츠가 배치 및 전시되는 경우, 동일한 가상 전시공간에 배치되는 각 콘텐츠로부터 객체들을 각각 추출한 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객체를 주요 객체로 선정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써, 가상 전시공간에 여러 개의 콘텐츠가 배치 및 전시되는 경우, 동일한 가상 전시공간에 배치되는 각 콘텐츠로부터 주요 객체들을 각각 추출한 후, 그 주요 객체들 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주요 객체 복사본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주요 객체 복사본들을 가상 전시공간의 대응되는 면에 가득차게 채울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상 전시공간에 전시되는 콘텐츠별 주요 객체들이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면에 가득차 있는 것처럼 보여져 일반 건물이 아니라 콘텐츠와 관련된 색다른 공간에서 콘텐츠를 열람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7에는 도 6보다 더 구체적인 제어 흐름의 일 예가 도시되었다.
즉,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가 업로드한 콘텐츠를 영역별로 분석하여 주요 객체를 추출하는데, 예를 들어 해당 콘텐츠를 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우측 영역으로 구분한 후 각 영역으로부터 주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S21).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한다(단계 S23).
즉,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콘텐츠의 각 영역(상측 영역, 하측 영역, 좌측 영역, 우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를 각각 판단하는 것이다.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콘텐츠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만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에 배치하고(단계 S25), 콘텐츠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만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하면에 배치하며(단계 S27), 콘텐츠의 좌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만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좌측면에 배치하고(단계 S29), 콘텐츠의 우측 영역으로부터 추출한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만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전시공간의 우측면에 배치할 수 있다(단계 S31).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가 가상 전시 공간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에로써,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콘텐츠 내에서 배경과 객체를 분리하는 것 자체는 이미지 분석관 관련된 기수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는데, 콘텐츠의 배경으로부터 소정의 객체를 분리/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하는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딥러닝과 같이 기계학습에 기초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경우 소정의 콘텐츠(그림 이미지 등)에 포함된 식물, 동물, 사람 등에 대한 객체 추출 과정과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대해 판단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객체의 형태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가로 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고, 객체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식물인지, 동물이나 식물이라면 어떠한 동/식물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으며, 크기는 콘텐츠(예를 들어 그림 이미지) 내에서 상대적 크기 또는 절대적 크기에 대한 판단일 수 있다. 일 예로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인지에 대한 판단일 수도 있다.
특히 콘텐츠에 복수 개의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분석부는 그 중 주요 객체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할 수도 있는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추출된 주요 객체에 대해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요 객체인지 여부는 객체의 배치 위치(예를 들어 콘텐츠 중심부에 배치되었는지 여부)와, 콘텐츠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 등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이처럼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가 추출되고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 등이 판단된 이후,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세로방향으로 쭉 뻗은 나무를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가상 전시 공간 중 세로 방향으로 긴 위치에 해당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특정 아티스트에게 각기 다른 형태의 가상 전시 공간이 할당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중에서 현재 콘텐츠 내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나 종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가장 어울리는 가상 전시 공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콘텐츠 자체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를 배치하는 경우 오히려 전체적으로 획일적 이미지를 주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그러한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내용별 유사도에 따른 감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콘텐츠 분석부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는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한 후에, 그 선정된 액자 프레임을 해당 콘텐츠와 결합하여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콘텐츠(작품)마다 어떤 액자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그 작품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액자 프레임의 선택은 그만큼 중요하다.
특히,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액자 프레임의 중요성 및 효과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가장 부합하는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가상 전시 공간에 게시되는 각 콘텐츠는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유사한 화풍에 대한 기존 다양한 액자 프레임으로 전시된 콘텐츠들의 판매율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현재 새로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판매뿐만 아니라 일명 '좋아요'버튼 등과 같이 온라인 관람객의 호응도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유사한 화풍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어떠한 액자 프레임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액자 프레임의 선정에 있어서는 단순히 액자 프레임의 모양이나 재질 뿐만 아니라, 액자 프레임 안에 콘텐츠가 놓이는 위치 즉, 액자 프레임과 콘텐츠까지의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액자 프레임은 단순히 콘텐츠의 테두리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백(즉, 액자 프레임으로부터 콘텐츠까지의 거리)을 통해 오히려 콘텐츠(작품)를 두드러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의 액자 프레임의 선정 및 콘텐츠와의 결합 후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를 통해 온라인 관람객에게 실제 오프라인 전시관에 전시된 아티스트의 작품이라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가 판단될 수 있는데, 이때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 결과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이 콘텐츠 분석부에 의해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는데, 가상 전시 공간 꾸밈부는 그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가상 갤러리 시스템 200 : 아티스트 단말기
300 :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 110 :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
120 : 콘텐츠 분석부 130 :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
140 : 입력부 150 : 저장부

Claims (10)

  1. (a)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상 전시공간을 아티스트별 구축하는 단계와;
    (b)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추출하되,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들을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배경 이미지로써 분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 객체들 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주요 객체 복사본들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주요 객체 복사본들을 가상 전시공간의 대응되는 면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7.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구성되 가상 전시공간을 아티스트별 구축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들을 추출하는 콘텐츠 분석부와;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들을 각각 상기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배경 이미지로써 분리 배치하는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전시공간 꾸밈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가 추출한 주요 객체들 간의 비율을 고려하여 주요 객체 복사본들을 생성한 후에, 생성된 주요 객체 복사본들을 가상 전시공간의 대응되는 면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51694A 2021-11-05 2021-11-05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1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4A KR102616848B1 (ko) 2021-11-05 2021-11-05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4A KR102616848B1 (ko) 2021-11-05 2021-11-05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79A KR20230065779A (ko) 2023-05-12
KR102616848B1 true KR102616848B1 (ko) 2023-12-27

Family

ID=8638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694A KR102616848B1 (ko) 2021-11-05 2021-11-05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8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279B1 (ko) 2016-09-29 2018-12-27 김영규 IoT환경에서 관람객의 활동 기반 전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07315B1 (ko) 2018-10-26 2020-05-06 신효미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KR102276936B1 (ko)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308678B1 (ko)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가상 전시공간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57B1 (ko)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디를 활용한 가상 공간의 갤러리시스템
KR20170107581A (ko)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가상 공간에서의 전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279B1 (ko) 2016-09-29 2018-12-27 김영규 IoT환경에서 관람객의 활동 기반 전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07315B1 (ko) 2018-10-26 2020-05-06 신효미 작품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품 관리 방법
KR102308678B1 (ko)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가상 전시공간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276936B1 (ko)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79A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54248B (zh) 基于灰度的分布式图像底层特征识别方法及系统
US20160011733A1 (en) Guided exploration of an exhibition environment
JP201606212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7924387A (zh) 用于生成电子页面的系统和方法
CN107818490A (zh) 设备选用指导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
CN104166966B (zh) 一种图像增强现实应用的实现方法
CN113709549A (zh) 特效数据包生成、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685593A (zh) 数据对象信息提供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257406A (zh) 一种基于web前端的内容封面生成器及方法
Grasseni et al. Introduction: skilled mediations
CN109074680A (zh) 基于通信的增强现实中实时图像和信号处理方法和系统
CN115222929A (zh) 一种vr虚拟展厅构建方法和装置
CN106445439B (zh) 一种在线展示图片的方法
KR102616848B1 (ko)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30823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구 맞춤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52585B1 (ko)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49104B1 (ko) 3d 모델을 이용하는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방법
KR102616846B1 (ko)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640190A (zh) Ar效果的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369254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及计算机程序
Battisti et al. Virtual Reality meets Degas: An immersive framework for art exploration and learning
Panetta et al. Color theme--based aesthetic enhancement algorithm to emulate the human perception of beauty in photos
JP201704537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39330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Miescher et al. Posters in action: Visuality in the making of an African 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