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5778A -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5778A
KR20230065778A KR1020210151693A KR20210151693A KR20230065778A KR 20230065778 A KR20230065778 A KR 20230065778A KR 1020210151693 A KR1020210151693 A KR 1020210151693A KR 20210151693 A KR20210151693 A KR 20210151693A KR 20230065778 A KR20230065778 A KR 2023006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rtual
artist
exhibition space
galle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585B1 (ko
Inventor
신호
임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Priority to KR102021015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5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각 콘텐츠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VIRTUAL GALLERY SYSTEM FOR PERFORMING AUTOMATIC CONTENTS PLACEMENT,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활동들이 온라인으로 넘어오거나, 온라인과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온라인 갤러리이다.
온라인 갤러리는 아티스트들이 자신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게시할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관람객들이 온라인으로 방문하여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들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갤러리는 예를 들어 웹 서버로 운영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온라인 관람객들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온라인 갤러리에 접속한 후, 해당 온라인 갤러리에 게시된 각 아티스트들이 작품을 열람할 수 있다.
이처럼 온라인 갤러리는 오프라인상에게 전시되던 각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온라인상에 전시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그런데 각 아티스트들은 작품 활동 분야에 있어서는 나름 전문가라 할 수 있음에도, 제작된 작품을 게시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어려움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오프라인과 달리 온라인상의 작품들(콘텐츠들)은 가상 전시 공간내에서의 배치 및 교체가 자유롭고 그만큼 선택권이 많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아티스트들 입장에서는 오히려 많은 고민을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들은 자신의 콘텐츠들이 가상 전시 공간에 어떠한 순서 또는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지, 또는 각 콘텐츠들의 프레임은 어떠한 것을 해야 적절한지 등에 대해 많은 고민들을 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가 전무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2193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온라인상의 가상 전시 공간에 콘텐츠를 배치함에 있어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배치 위치 또는 배치 방법 등에 대해 자동으로 판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각 콘텐츠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상기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와; 상기 콘텐츠 분석부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티스트들은 작품제작에만 힘쓰면 되고, 제작된 작품의 게시와 관련해서는 자동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아티스트들의 편의성이 상당히 증대된다.
특히, 콘텐츠 자체의 크기가 아닌,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기초하여 배치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온라인 관람객이 콘텐츠의 내용과, 그 콘텐츠가 배치된 공간과의 조화를 통해 더 큰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더 나아가 화풍에 따른 액자 프레임에 대한 선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아티스트의 고민을 많이 덜어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아티스트 단말기(200),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티스트 단말기(200)는 아티스트들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가상 전시 공간을 꾸미는 기능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고, 유선망에 연결된 개인용 컴퓨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아티스트는 반드시 예술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콘텐츠를 온라인상에 업로드하여 타인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콘텐츠는 각 아티스트들이 제작하거나 창작한 작품들에 대한 전자적 데이터일 수 있다.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각 아티스트들에 의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등록된 콘텐츠 즉, 작품들을 열람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된 경우,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는 웹브라우저를 포함하는 장치면 충분하다.
한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함과 아울러 그 가상 전시 공간에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에 전시 또는 배치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회원제에 기반한 시스템 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제공하거나 콘텐츠의 등록을 처리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미리 회원으로 가입한 온라인 관람객을 대상으로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 공간을 열람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 콘텐츠 분석부(120), 콘텐츠 배치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4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각종 요청 신호, 콘텐츠, 각종 정보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 및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콘텐츠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아티스트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생성하는 가상 전시 공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아티스트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를 그 업로드한 아티스트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회원 정보가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각 회원 정보와, 각 회원이 등록하거나 각 회원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정보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저장부(150)에 등록되는 것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 나아가 저장부(150)에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 동작 중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실시간 저장될 수도 있다.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상 전시 공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영역 또는 공간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이 웹서버로 구성되는 경우 가상 전시 공간은 복수 개의 웹페이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각 아티스트들마다 5개의 웹페이지(각 URL로 접근할 수 있는 각각의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각 웹페이지에는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10개)의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는 제한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에 의해 구축되는 각 아티스트들의 가상 전시 공간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건물과 같은 이미지로 구성된 후에, 온라인 관람객이 조작하는 온라인상의 아바타 등이 해당 건물로 진입하는 건물 안 이미지로 전환하면서 콘텐츠가 게시된 전시 공간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 내에서 배경과 객체를 분리할 수 있는데, 이처럼 이미지 내에서 배경과 객체를 분리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과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하는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딥러닝과 같이 기계학습에 기초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경우 소정의 콘텐츠(그림 이미지 등)에 포함된 식물, 동물, 사람 등에 대한 객체 추출 과정과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대해 판단하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객체의 형태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가로 방향으로 뻗은 형태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고, 객체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인지, 동물인지, 식물인지, 동물이나 식물이라면 어떠한 동/식물인지 등에 대한 판단일 수 있으며, 크기는 콘텐츠(예를 들어 그림 이미지) 내에서 상대적 크기 또는 절대적 크기에 대한 판단일 수 있다. 일 예로 정물화, 인물화, 풍경화인지에 대한 판단일 수도 있다.
특히 콘텐츠에 복수 개의 객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분석부(120)는 그 중 주요 객체를 선정하고, 그 선정된 객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요 객체인지 여부는 객체의 배치 위치(예를 들어 콘텐츠 중심부에 배치되었는지 여부)와, 콘텐츠 내에서 차지하는 비율 등을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분석부(12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가 동양화인지 서양화인지, 또는 인상파 화풍, 입체파 화풍, 초현실주의 화풍, 바로크 화풍 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풍 판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지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각 화풍에 대한 주요 색조, 터치 기법 등에 대한 기 저장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분석부(120)는 각 콘텐츠의 색조, 사용된 색상의 종류, 터치 기법 등에 대한 분석과, 각 화풍별 기법을 나타내는 정보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화풍을 해당 콘텐츠에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콘텐츠 배치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배치 처리 즉,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가 추출되고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 등이 판단된 경우, 콘텐츠 배치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세로방향으로 쭉 뻗은 나무를 그린 그림에 해당하는 경우, 콘텐츠 배치부(130)는 가상 전시 공간 중 세로 방향으로 긴 위치에 해당 콘텐츠를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분석부(120)는 콘텐츠 자체의 크기가 아니라, 그 콘텐츠 내에 포함된 객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콘텐츠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콘텐츠 자체의 크기에 따라 콘텐츠를 배치하는 경우 오히려 전체적으로 획일적 이미지를 주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그러한 문제점을 야기하지 않으면서도, 내용별 유사도에 따른 감흥을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콘텐츠 배치부(130)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처리를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배치부(130)는 비슷한 종류의 피사체(예를 들어 동물들)를 그린 그림들끼리 가상 전시 공간의 비슷한 위치에 함께 배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에는 아티스트가 콘텐츠를 업로드할 때는 키워드 혹은 카테고리 분류 등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이상, 별도의 수동 조작 과정을 거쳐서 복수의 콘텐츠를 그루핑해야 했는데, 이는 상당히 번거로운 과정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콘텐츠 배치부(130)가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객체에 대한 판단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그루핑 처리를 해주는 경우 사용자 편의성이 상당히 증대된다.
물론 이 경우 콘텐츠 배치부(130)는 그루핑 결과에 대해서 아티스트에게 제공해주고, 최종 결정(일 예로 확인 버튼 클릭 등)은 아티스트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분석부(120)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한 경우, 콘텐츠 배치부(130)는 콘텐츠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액자 프레임을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콘텐츠(작품)마다 어떤 액자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그 작품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액자 프레임의 선택은 그만큼 중요하다.
특히, 콘텐츠 배치부(130)는 액자 프레임의 중요성 및 효과를 분석하여 해당 콘텐츠에 가장 부합하는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가상 전시 공간에 게시되는 각 콘텐츠는 온라인 판매가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유사한 화풍에 대한 기존 다양한 액자 프레임으로 전시된 콘텐츠들의 판매율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현재 새로 등록된 콘텐츠에 대한 액자 프레임을 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판매 뿐만 아니라 일명 '좋아요'버튼 등과 같이 온라인 관람객의 호응도에 대한 통계치를 조사하여 유사한 화풍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어떠한 액자 프레임이 어울리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액자 프레임의 선정에 있어서는 단순히 액자 프레임의 모양이나 재질 뿐만 아니라, 액자 프레임 안에 콘텐츠가 놓이는 위치 즉, 액자 프레임과 콘텐츠까지의 거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액자 프레임은 단순히 콘텐츠의 테두리 역할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백(즉, 액자 프레임으로부터 콘텐츠까지의 거리)을 통해 오히려 콘텐츠(작품)를 두드러지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의 액자 프레임의 선정 및 콘텐츠와의 결합 후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를 통해 온라인 관람객에게 실제 오프라인 전시관에 전시된 아티스트의 작품이라는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화풍에 따라 온라인 관람객에도 익숙한 종류의 액자 프레임이 자동으로 콘텐츠와 결합하여 게시(온라인상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화풍에 따른 액자 프레임의 형태나 종류에 대한 지식이 없는 아티스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제어흐름을 설명한다.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아티스트의 요청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 구축을 한 후 해당 아티스트에 할당 처리한다(단계 S1).
이어서 가상 전시 공간이 할당된 아티스트로부터 콘텐츠의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내용 분석을 처리한다(단계 S3).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각 콘텐츠에 대한 내용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
예를 들어, 아티스트들이 올리는 순서대로 콘텐츠들이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되거나, 사후적으로 아티스트들의 수동 조작에 따라 콘텐츠들이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 콘텐츠의 내용 분석 결과에 따라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에 의해 자동으로 그 배치 위치가 결정되거나, 배치를 위한 액자 프레임이 자동으로 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3의 과정에서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배치 위치가 결정되는 구체적인 과정의 일 예가 도시되었다.
즉,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추출한다(단계 S11).
최근 기계 학습에 의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참고하면, 소정의 이미지 내에 사람이 있는지 여부, 동물이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은 상당히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추출된 주요 객체의 종류, 형태, 크기를 판단하고(단계 S13), 그 판단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단계 S15).
배치 위치가 결정된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해당 위치에 콘텐츠를 게시한다(단계 S17).
여기서 콘텐츠를 게시한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라인 관람객이 열람할 수 있도록 가상 전시 공간내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처럼 온라인상의 소정의 페이지에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인데, 유사한 객체를 포함하는 콘텐츠끼리 비슷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었다.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아티스트에 의해 업로드되는 각 콘텐츠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추출하고(단계 S21), 추출된 주요 객체의 종류, 형태, 크기를 판단한다(단계 S23).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추출된 주요 객체의 종류, 형태, 크기 등에 대한 유사도에 기초하여 그루핑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5).
예를 들어 유사한 피사체를 그린 그림들끼리 동일한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루핑 과정을 수행한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그룹별로 가상 전시 공간내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27).
즉, 언급한 바와 같이 가상 전시 공간이 복수 개의 웹 페이지로 구성된 경우, 각 웹페이지마다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들끼리 모아서 배치/게시할 수 있는 것이다(단계 S29).
도 6은 액자 프레임을 자동으로 선정해주는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업로드되는 콘텐츠와 기 등록된 화풍 정보를 비교한다(단계 S31).
비교결과 유사도에 기초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단계 S33),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장 유사한 화풍을 해당 콘텐츠의 화풍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판단된 화풍에 매칭된 액자 프레임을 선정한다(단계 S35).
이때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특정 화풍에 매칭된 액자 프레임이 복수 개 있는 경우, 가장 인접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액자 프레임이 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액자 프레임이 선정된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선정된 액자 프레임과 콘텐츠를 결합하는데(단계 S37), 예를 들어 콘텐츠 주변으로 동일한 마진을 두고서 액자 프레임이 배치되는 형태가 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어서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액자 프레임과 결합된 콘텐츠를 게시하여 온라인 관람객이 온라인을 통해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39).
배치 위치가 결정된 이후,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해당 위치에 콘텐츠를 게시한다.
여기서 콘텐츠를 게시한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라인 관람객이 열람할 수 있도록 가상 전시 공간내의 특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처럼 온라인상의 소정의 페이지에 콘텐츠를 배치하는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가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한다고만 설명하였으나 일단 구축된 가상 전시 공간에 대한 구성을 변경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콘텐츠 분석부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면,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해 분석이 이루어지고 해당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추출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추출한 객체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가 배치되는 가상 전시공간의 색상과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전시공간은 정면을 기준으로 해당 정면을 바라보는 쪽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주는 각각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 및 정면을 포함하여 3차원 형상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면, 콘텐츠 배치부(130)는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할 수 있는데, 이때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콘텐츠 배치부(130)가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콘텐츠 배치부(130)가 콘텐츠로부터 추출되는 주요 객체의 종류를 판단한 경우,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110)는 콘텐츠 배치부(130)가 판단한 각 주요 객체의 종류에 대응되는 유사 객체를 복수 개씩 데이터베이스(미 도시함)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복수 개씩 추출된 유사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의 상면, 하면, 좌측면, 우측면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 과정이 도 7에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500)를 상, 하, 좌, 우(510, 520, 530, 540)로 구분하여 그 각각의 영역에 포함된 주요 객체를 영역별로 추출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상부 영역(510)에는 A 객체가, 하부 영역(520)에는 B 객체가, 좌측 영역(530)에는 C 객체가, 우측 영역(540)에는 D 객체가 존재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고, 이 경우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A,B,C,D 의 주요 객체를 각각 추출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도 7(a)와 같이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500)를 분석하여 상, 하, 좌, 우 영역에 존재하는 각각의 주요 객체를 추출한 경우에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는 그 추출한 상, 하, 좌, 우 영역별 주요 객체를 각각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분리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가 도 7(b)에 도시되었다.
즉, 도 7(b)를 참조하면,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에는 콘텐츠(500)의 상부 영역(510)에 있던 A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하면(620)에는 콘텐츠(500)의 하부 영역(520)에 있던 B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좌측면(630)에는 콘텐츠(500)의 좌측 영역(530)에 있던 C객체가 배치되고, 가상 전시공간(600)의 우측면(640)에는 콘텐츠(500)의 우측 영역(540)에 있던 D객체가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은 가상 전시공간(600)의 정면에는 콘텐츠(500)를 있는 그대로 배치하여 마치 오프라인 갤러리에 그림이 걸려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처럼 정면을 기준으로 가상 전시공간(600)의 상면(610), 하면(620), 좌측면(630), 우측면(640)에 정면에 배치되는 콘텐츠(500)로부터 추출한 객체를 다시 배치함으로써, 콘텐츠(500)와 입체적 배경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어서, 온라인 관람객의 감동이 배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갤러리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가상 갤러리 시스템 200 : 아티스트 단말기
300 : 온라인 관람객 단말기 110 :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
120 : 콘텐츠 분석부 130 : 콘텐츠 배치부
140 : 입력부 150 : 저장부

Claims (10)

  1. (a)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단계와;
    (b)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각 콘텐츠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7. 아티스트별 가상 전시 공간을 구축하는 가상 전시 공간 구축부와;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를 분석하는 콘텐츠 분석부와;
    상기 콘텐츠 분석부의 콘텐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의 해당 아티스트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 공간에의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콘텐츠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추출한 후, 그 추출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를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가상 전시 공간에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복수 개의 콘텐츠들에 대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객체의 형태, 종류와, 크기에 따라 그루핑 과정을 수행하고, 그루핑된 콘텐츠들별로 묶어서 가상 전시 공간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석부는 상기 아티스트로부터 업로드되는 콘텐츠에 대한 화풍을 기 등록된 화풍정보와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 배치부는 상기 콘텐츠 분석부에서 판단된 화풍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액자 프레임을 선정하여 해당 콘텐츠와 결합한 후, 가상 전시 공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KR1020210151693A 2021-11-05 2021-11-05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5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3A KR102652585B1 (ko) 2021-11-05 2021-11-05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693A KR102652585B1 (ko) 2021-11-05 2021-11-05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778A true KR20230065778A (ko) 2023-05-12
KR102652585B1 KR102652585B1 (ko) 2024-03-29

Family

ID=8638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693A KR102652585B1 (ko) 2021-11-05 2021-11-05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5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57B1 (ko) *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디를 활용한 가상 공간의 갤러리시스템
KR20170107581A (ko)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가상 공간에서의 전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76936B1 (ko) *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308678B1 (ko)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가상 전시공간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57B1 (ko) * 2011-09-23 2012-01-20 여미옥 3디를 활용한 가상 공간의 갤러리시스템
KR20170107581A (ko) * 2015-02-10 2017-09-25 여주희 가상 공간에서의 전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08678B1 (ko)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가상 전시공간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276936B1 (ko) *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585B1 (ko) 2024-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62018B (zh) 食材烹饪方法的推荐方法及装置
US20170278135A1 (en) Image recogn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for ecommerce
CN107436921B (zh) 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734557A (zh) 用于生成服饰推荐信息的方法、装置和系统
KR20020062429A (ko) 영상 시퀀스에서의 객체 레이블 영상 생성장치 및 그 방법
US10025777B2 (en) User interface screen creation supporting system
CN109785400B (zh) 一种剪影图像制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558907B1 (ko)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색상을 분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85671A1 (en) Terminal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information based on color information
CN110084871B (zh) 图像排版方法及装置、电子终端
CN110446093A (zh) 一种视频进度条显示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20170107581A (ko) 가상 공간에서의 전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494946A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980612A (zh) 信息推荐系统和方法
CN108304543B (zh) 一种传统手工艺品的个性化交互方法、装置及系统
CN104837065B (zh) 电视终端与移动终端间的二维码信息共享方法及系统
CN117014428B (zh) 一种基于数字可视化的线上云展厅管理系统及方法
CN106445439A (zh) 一种在线展示图片的方法
KR20230065778A (ko)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837108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640190A (zh) Ar效果的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85433A (ko) 퍼스널 컬러 추천 서비스 시스템
CN111768729A (zh) 一种vr场景自动解说方法、系统和存储介质
KR102616848B1 (ko) 가상 전시공간 구성을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16846B1 (ko) 보상 기능을 구비한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