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367B1 -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367B1
KR102219367B1 KR1020200080940A KR20200080940A KR102219367B1 KR 102219367 B1 KR102219367 B1 KR 102219367B1 KR 1020200080940 A KR1020200080940 A KR 1020200080940A KR 20200080940 A KR20200080940 A KR 20200080940A KR 102219367 B1 KR102219367 B1 KR 10221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booth
user
exhibition
predef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몬
Priority to KR102020008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7Network arrangements for conference optimisation or adap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가상 3D 전시 부스(booth) 운영 단말로부터 부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부스 정보를 기초로, 가상 3D 전시관에 포함되는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하는 단계;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用) 그래픽을 획득하는 단계; 가상 3D 전시 부스에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을 반영하는 단계;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연동시키는 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 3D 전시관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이동하기, 주변 둘러보기, 대화하기, 및 선택하기 동작이 적어도 수행 가능한 가상 3D 인간형 아바타―로 표현하는 단계; 및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한 경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수행한 동작과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아래 실시예들은 온라인 가상 공간에서 전시 또는 컨벤션을 진행하는 가상 전시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과 관련된 배경기술로,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792842 B1은 온라인 전시회 관리 방법 및 그 서버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은 특정한 전시회에 대응되는 가상의 공간상에서 관람객의 아바타가 특정한 전시 부스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진입하면, 상기 전시 부스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상기 관람객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제1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안 상기 관람객의 아바타에 대한 식별 정보 및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관람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관람객 정보를 상기 특정한 전시 부스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전시회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이를 통해, 선행문헌은 시공간적인 제약 없이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선행문헌은 전시회 관람객에 대한 정보를 전시회에 참가한 전시 부스 업체에게 제공함으로써, 전시 부스 업체가 원활하게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2080878 B1은 가상 현실 공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캐릭터 생성 및 학습 시스템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은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캐릭터 아바타 생성을 요청받아 요청에 대응되는 캐릭터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캐릭터 아바타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 및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시키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캐릭터 아바타를 학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바타 생성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문헌들은 전시부스, 구조물로 표현하는 전시의 형태(오프라인)가 아닌 3D, 아트웍 등의 온라인 디자인 그래픽을 활용하여 한정된 오프라인 전시장의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가상 전시 공간만의 특정 컨셉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내지 시스템을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선행문헌들은 사용자 인터랙트 요소를 보유하여 가상 3D 전시 부스에 들어가 기업의 제품을 확인할 수도 있고,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할 수도 있는 가상 전시 환경을 생성·관리하는 방법 내지 시스템을 개시하지 않는다. 나아가, 선행문헌들은 효율적인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을 위한 자동화 관리 방법 내지 시스템을 개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시부스, 구조물로 표현하는 전시의 형태(오프라인)가 아닌 3D, 아트웍 등의 온라인 디자인 그래픽을 활용하여 한정된 오프라인 전시장의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가상 전시 공간만의 특정 컨셉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의 구현이 요청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랙트 요소를 보유하여 가상 3D 전시 부스에 들어가 기업의 제품을 확인할 수도 있고,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할 수도 있는 가상 전시 환경을 생성·관리하는 기술의 구현이 요청된다. 나아가, 효율적인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을 위한 자동화 관리 기술의 구현이 요청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792842 B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2080878 B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1292036 B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2078969 B1
실시예들은 전시부스, 구조물로 표현하는 전시의 형태(오프라인)가 아닌 3D, 아트웍 등의 온라인 디자인 그래픽을 활용하여 한정된 오프라인 전시장의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가상 전시 공간만의 특정 컨셉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터랙트 요소를 보유하여 가상 3D 전시 부스에 들어가 기업의 제품을 확인할 수도 있고,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할 수도 있는 가상 전시 환경을 생성·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을 위한 자동화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실시예들은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과제들 및 본 명세서에서 드러나는 해당 기술 분야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가상 3D 전시 부스(booth) 운영 단말로부터 부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스 정보를 기초로, 가상 3D 전시관에 포함되는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用) 그래픽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을 반영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연동시키는 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3D 전시관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이동하기, 주변 둘러보기, 대화하기, 및 선택하기 동작이 적어도 수행 가능한 가상 3D 인간형 아바타―로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수행한 동작과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은 부스 아바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1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터랙션 요소는, 상기 부스 아바타들의 속성으로 연동되고, 상기 제 1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부스 아바타들 중 적어도 한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대화를 시도한 부스 아바타와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과 상기 사용자 계정을 채팅으로 연결하는 인터랙션이고, 상기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상기 부스 아바타들과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들과, 사용자 아바타들과 연동된 사용자 계정들의 채팅이 미리 정의된 빈도를 초과하는 활성 시간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스 운영 계정들에 로그인할 수 있는 각각의 부스 직원의 고객 만족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만족도가 미리 정의된 만족도 이상인 부스 직원들이 상기 활성 시간 구간에 상기 부스 운영 계정들에 로그인하도록 상기 각각의 부스 직원의 근무 시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은 제품 그래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2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터랙션 요소는, 상기 제품 그래픽들의 속성으로 연동되고, 상기 제 2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제품 그래픽들 중 적어도 한 제품 그래픽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선택한 제품 그래픽과 연동된 제품 설명을 상기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랙션이고, 상기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 이상인 상기 제품 그래픽들의 제 1 위치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후 정지해 있는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인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 이상인 상기 제품 그래픽들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품 그래픽들 중에서 제품 그래픽의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들에 포함되지 않는 제품 그래픽과, 상기 제 1 위치들에 포함된 위치를 가지지만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품 그래픽의 위치를 서로 바꿔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가상 3D 전시 장치는 가상 3D 전시 부스(booth) 운영 단말로부터 부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스 정보를 기초로, 가상 3D 전시관에 포함되는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用) 그래픽을 획득하고,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을 반영하고,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연동시키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3D 전시관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이동하기, 주변 둘러보기, 대화하기, 및 선택하기 동작이 적어도 수행 가능한 가상 3D 인간형 아바타―로 표현하고, 상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수행한 동작과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전시부스, 구조물로 표현하는 전시의 형태(오프라인)가 아닌 3D, 아트웍 등의 온라인 디자인 그래픽을 활용하여 한정된 오프라인 전시장의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가상 전시 공간만의 특정 컨셉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터랙트 요소를 보유하여 가상 3D 전시 부스에 들어가 기업의 제품을 확인할 수도 있고,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할 수도 있는 가상 전시 환경을 생성·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효율적인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을 위한 자동화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3D 전시관 및 전시 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와 부스 아바타의 인터랙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와 제품 그래픽의 인터랙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서버(100);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들(131-134)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0);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들(131-134)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시스템은 VR & AR 기술을 통해 온라인 가상 전시를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360° VR 가상 전시를 포함하는 가상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시스템은 인터넷 연결 상태가 중요하지 않은 가상 전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은 인터랙션 요소를 보유한 가상 전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100)는 서버(1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서버(1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지능을 구비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들(131-134)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버(100)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앱/웹 플랫폼(150)과 연동될 수 있다. 앱/웹 플랫폼(150)은 가상 3D 전시관 및 전시 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 및 사용자 단말들(131-134)은 앱/웹 플랫폼(150)을 통해 서버(1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가령, 도 1과 같이,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은 데스크탑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들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들(131-134)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스 운영 계정들(121-124)은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을 통해 앱/웹 플랫폼(150)에 접속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은 앱/웹 플랫폼(150)을 통해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부스 운영 계정들(121-124)은 앱/웹 플랫폼(150)에 포함된 가상 3D 전시 부스의 부스 아바타들과 연동될 수 있다. 부스 아바타는 사용자 계정(141-144)과 연동된 사용자 아바타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인터랙션이 이루어질 경우, 부스 아바타와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과, 사용자와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 간의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131-134)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VR 장치 등일 수 있다. 가령, 도 1과 같이, 제 1 사용자 단말(131)은 스마트폰일 수 있고; 제 2 사용자 단말(132)은 데스크탑일 수 있고; 제 3 사용자 단말(133)은 노트북일 수 있고; 제 4 사용자 단말(134)은 VR 장치일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31, 132, 133, 134)은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들(131-134)들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131-134)은 서버(100) 및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들(141-144)은 사용자 단말들(131-134)을 통해 앱/웹 플랫폼(150)에 접속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131-133)은 앱/웹 플랫폼(150)을 통해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들(141-144)은 앱/웹 플랫폼(150)에서 사용자 아바타들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 아바타는 부스용 그래픽들과 인터랙션할 수 있다. 인터랙션이 이루어질 경우,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이 수행될 수 있다. 가령, 부스용 그래픽이 부스 아바타일 때, 인터랙션이 이루어질 경우, 부스 아바타와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과, 사용자와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 간의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100)는 VR & AR 기술을 통해 온라인 가상 전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기존 오프라인 중심의 행사들을 온라인에서 전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0)는 앱/웹 플랫폼(150)을 통해 VR과 AR 기술을 접목시켜 가상 전시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전시 플랫폼은 가상 3D 전시관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3D 전시관은 가상 3D 전시 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는 오프라인의 일회성 홍보부스와 달리 행사 이후에도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참가자 전용의 상시 부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앱/웹 플랫폼(150)은 VR 콘솔과 웹에서 둘 다 이용될 수 있다.
서버(100)는 360° VR 가상 전시를 포함하는 가상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미지 컷들의 연결방식으로 구현한 360° VR전시만 제공해온 기존의 가상전시들과 달리 웹에서 활용이 가능한 가상 3D 전시를 포함하는 가상의 3D 모델링이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 및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의 공간은 3D 모델링과 VR 기술을 접목한 클라이언트 방식일 수 있다. 가상의 공간은 한정된 오프라인 전시장의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시공간만의 특정 컨셉을 구현할 수 있다. 요컨대, 전시부스, 구조물로 표현하는 전시의 형태(오프라인)가 아닌 3D, 아트웍 등의 온라인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컨셉을 표현함으로써 가상 3D 전시관 및 가상 3D 전시 부스의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하나의 전시회에서 구역마다 다른 컨셉, 공간연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상 3D 전시관 전체가 빌딩이라면, A구역은 연구실 그래픽으로, B구역은 정원 그래픽으로, C구역은 우주 그래픽으로 랜더링할 수 있다.
앱/웹 플랫폼(150)은 인터넷 연결 상태가 중요하지 않은 가상 전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360° VR전시는 인터넷 연결상태와 환경에 따라 구동이 불가능했다. 앱/웹 플랫폼(150)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연결에 영향을 받지 않은 클라이언트 방식을 추가하였다. 인터넷 연결에 구애 없이 가상 전시를 원하는 가상 3D 부스 운영자는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앱/웹 플랫폼(150)에 가상 3D 부스의 모든 그래픽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비용을 지불한 가상 3D 부스 운영자의 가상 3D 부스는 앱/웹 플랫폼(150)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31-134)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1-134)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전시 부스의 정보를 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1-134)이 인터넷에 연결될 때마다, 해당 전시 부스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서버(100)는 인터렉티브한 요소를 보유한 가상 전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VR 전시는 사진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인터렉티브한 요소가 없었다. 서버(100)가 제공하는 가상 3D 전시관은 사용자 아바타가 TPP 또는 FPP 방식으로 게임을 하는 것처럼 움직이면서 특정 가상 3D 전시 부스에 들어가 기업의 제품을 확인할 수도 있고,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하나의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과 네 대의 사용자 단말들(131-134)만을 도시했으나, 각각의 단말의 수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서버(1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각각의 단말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이하에서, 서버(100)의 동작을 중심으로 실시예가 기술되며, 실시예들은 통신의 주체나 양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응용예가 채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온라인 가상 3D 전시 구현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여, 가상 3D 전시관 및 전시 부스가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아바타와 부스 아바타의 인터랙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아바타와 제품 그래픽의 인터랙션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인공지능의 학습 동작과 관련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booth) 운영 단말로부터 부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201).
부스 정보는 가상 3D 전시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의 서지 정보; 기업의 로고; 희망하는 부스 사이즈 및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책임 계정(121)은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에 로그인한 상태일 수 있다. 서버(100)는 앱/웹 플랫폼(150)에 접속한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로 부스 정보 입력 UI를 포함하는 시각적 구성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책임 계정(121)이 부스 정보 입력 UI를 통해 입력한 부스 정보를 업로드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부스 정보를 기초로, 가상 3D 전시관에 포함되는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할 수 있다(202).
가상 3D 전시 부스는 가상 3D 전시관에 포함될 수 있다. 가상 3D 전시관은 앱/웹 플랫폼(150)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책임 계정(121)이 입력한 부스 정보를 기초로, 가상 3D 전시 부스의 위치 및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의 성격 및 요구사항에 따른 미리 정의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가상 3D 전시 부스의 기본 외관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의 구체적인 모습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어서,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用) 그래픽을 획득할 수 있다(203).
부스용 그래픽은 가상 3D 전시 부스를 운영하는 기업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일 수 있다. 부스용 그래픽은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를 표현할 수 있는 모방한 구체적인 그래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가 오프라인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면, 부스용 그래픽은 오프라인 매장을 모방한 인테리어 그래픽일 수 있다. 부스용 그래픽은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를 표현할 수 있는 추상적인 그래픽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가 바이오 업체라면, 부스용 그래픽은 공중에 떠 있는 이중나선 마크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스용 그랙픽은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의 직원들을 형상화한 부스 아바타들일 수 있다. 또한, 부스용 그래픽은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의 제품을 형상화한 제품 그래픽일 수도 있다. 또한, 부스용 그래픽은 이벤트 상품 그래픽일 수도 있다. 부스용 그래픽은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이어지는 순서로,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에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을 반영할 수 있다(204).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의 성격 및 요구사항에 따른 미리 정의된 렌더링을 부스용 그래픽에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렌더링은 가상 3D 전시관에 따른 색감, 질감, 조명 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가상 3D 전시관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가상 3D 전시 부스의 부스용 그래픽들이 전체적으로 부자연스럽지 않게 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획득할 수 있다(205).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사용자 아바타가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할 경우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이 일어나도록 하는 요소일 수 있다. 가령,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사용자 계정과 채팅, 사용자 단말에 제품 설명 창 띄우기, 사용자 계정에게 이벤트 상품 제공하기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연동시킬 수 있다(206).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에 부합하는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연동될 수 있다. 가령,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이 사용자 계정과 채팅이라면,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부스 아바타와 연동될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이 사용자 단말에 제품 설명 창 띄우기라면,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품 그래픽과 연동될 수 있다.
이어지는 순서로, 서버(100)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상 3D 전시관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로 표현할 수 있다(207).
사용자 계정들(141-144)은 사용자 단말들(131-134)에 로그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131-134)은 앱/웹 플랫폼(15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들(141-144)은 앱/웹 플랫폼(150)을 통해 가상 3D 전시관에 접속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에 접속한 사용자 계정들(141-144)을 사용자 아바타로 렌더링할 수 있다. 사용자 아바타는 이동하기, 주변 둘러보기, 대화하기, 및 선택하기 등의 동작이 적어도 수행 가능한 가상 3D 인간형 아바타일 수 있다. 사용자 아바타의 모습은 실사를 기반으로 모델링된 또는 캐릭터화된 또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모습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한 경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수행한 동작과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208).
예를 들어, 제 1 인터랙션 요소는 부스 아바타들의 속성으로 연동될 수 있다. 제 1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부스 아바타들 중 적어도 한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사용자 아바타가 대화를 시도한 부스 아바타와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과 사용자 계정을 채팅으로 연결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 2 인터랙션 요소는 제품 그래픽들의 속성으로 연동될 수 있다. 제 2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제품 그래픽들 중 적어도 한 제품 그래픽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사용자 아바타가 선택한 제품 그래픽과 연동된 제품 설명을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 3 인터랙션 요소는 가상 3D 전시 부스의 미리 정의된 위치와 연동될 수 있다. 제 3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미리 정의된 위치를 둘러보는 동작일 수 있다. 제 3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에게 미리 정의된 이벤트 상품을 제공하는 동작일 수 있다.
서버(100)가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에 따른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동작은 도 4 및 5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3D 전시관 및 전시 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100)는 VR & AR 기술을 통해 온라인 가상 전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기존 오프라인 중심의 행사들을 온라인에서 전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버(100)는 앱/웹 플랫폼(150)을 통해 VR과 AR 기술을 접목시켜 가상 전시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전시 플랫폼은 가상 3D 전시관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 3D 전시관은 가상 3D 전시 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는 오프라인의 일회성 홍보부스와 달리 행사 이후에도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참가자 전용의 상시 부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앱/웹 플랫폼(150)은 VR 콘솔과 웹에서 둘 다 이용될 수 있다.
서버(100)에 의해 생성·관리되는 가상 3D 전시관 및 전시 부스의 모습 제 1 장면 내지 제 10 장면(301-310)과 같은 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장면(301)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 부스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가 가상 3D 전시 부스로 들어가는 동작 및 가상 3D 전시 부스와 연동된 기업의 제품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에 따라 가상 3D 전시관에서 사용자 아바타의 위치가 변경되며,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의 시각적 출력도 변경된다.
제 2 장면(302)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 부스의 전경이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별로 복수의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는 가상 3D 부스를 신청한 각각의 기업과 연동시킬 수 있다.
제 3 장면(303)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 부스 내부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가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하는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와 부스 아바타 간의 채팅을 개설할 수 있다.
제 4 장면(304)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 부스 입구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가 실제 부스에 입장하는 것과 유사한 그래픽을 연출하도록 TPP 또는 FPP 방식의 컨트롤을 제공할 수 있다.
제 5 장면(305)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관 입장 화면이다. 제 5 장면(305)은 다양한 테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들(131-133)이 앱/웹 플랫폼(150)에서 가상 3D 전시관으로 입장하는 테마로 대한민국 전통 문화와 관련된 UI를 선택할 경우, 서버(100)는 제 5 장면(305)과 같은 그래픽을 사용자 단말들(131-133)로 제공할 수 있다.
제 6 장면(306)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관의 전경이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이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로 구분되도록 가상 3D 전시관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과 관련 있는 그래픽을 가상 3D 전시관에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 6 장면(306)과 같이, 바이오 컨퍼런스를 위한 이중나선 그래픽을 가상 3D 전시관 중심에 생성할 수 있다.
제 7 장면(307)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관의 게이트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가 게이트를 통과하는 경우, 현재 사용자 아바타가 위치한 구역의 전시 부스들의 테마와 다른 테마를 가지는 전시 부스들이 모여 있는 가상 3D 구역으로 사용자 아바타를 이동시키거나, 기업과 고객의 미팅이 가능한 가상 3D 라운지로 사용자 아바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 8 장면(308)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관의 세부 전경이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 내부에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를 위한 가상 3D 공간을 할당하여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가 가상 3D 전시관을 이동하면서 가상 3D 전시 부스를 구경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에 따라 가상 3D 전시관에서 사용자 아바타의 위치가 변경되며,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의 시각적 출력도 변경된다.
제 9 장면(309)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라운지이다. 서버(100)는 가상 3D 라운지에서 사용자 아바타와 부스 아바타가 채팅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 10 장면(310)은 서버(100)가 생성한 가상 3D 전시관의 또 다른 전경이다.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가 이동하며 부스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정보에 따라 가상 3D 전시관에서 사용자 아바타의 위치가 변경되며,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단말의 시각적 출력도 변경된다.
이상을 통해 서버(100)는 360° VR 가상 전시를 포함하는 가상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이미지 컷들의 연결방식으로 구현한 360° VR전시만 제공해온 기존의 가상전시들과 달리 웹에서 활용이 가능한 가상 3D 전시를 포함하는 가상의 3D 모델링이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관 및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할 수 있다. 가상의 공간은 3D 모델링과 VR 기술을 접목한 클라이언트 방식일 수 있다. 가상의 공간은 한정된 오프라인 전시장의 공간적 제약을 벗어나 전시공간만의 특정 컨셉을 구현할 수 있다. 요컨대, 전시부스, 구조물로 표현하는 전시의 형태(오프라인)가 아닌 3D, 아트웍 등의 온라인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컨셉을 표현함으로써 가상 3D 전시관 및 가상 3D 전시 부스의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하나의 전시회에서 구역마다 다른 컨셉, 공간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앱/웹 플랫폼(150)은 인터넷 연결 상태가 중요하지 않은 가상 전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360° VR전시는 인터넷 연결상태와 환경에 따라 구동이 불가능했다. 앱/웹 플랫폼(150)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터넷 연결에 영향을 받지 않은 클라이언트 방식을 추가하였다. 인터넷 연결에 구애 없이 가상 전시를 원하는 가상 3D 부스 운영자는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앱/웹 플랫폼(150)에 가상 3D 부스의 모든 그래픽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비용을 지불한 가상 3D 부스 운영자의 가상 3D 부스는 앱/웹 플랫폼(150)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31-134)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1-134)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전시 부스의 정보를 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1-134)이 인터넷에 연결될 때마다, 해당 전시 부스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나아가, 서버(100)는 인터랙트 요소를 보유한 가상 전시관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 VR 전시는 사진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인터랙트 요소가 없었다. 서버(100)가 제공하는 가상 3D 전시관은 사용자 아바타가 TPP 또는 FPP 방식으로 게임을 하는 것처럼 움직이면서 특정 가상 3D 전시 부스에 들어가 기업의 제품을 확인할 수도 있고,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서버(100)는 사용자 계정의 접속 횟수, 특정 위치 방문, 접속 유지 시간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의 수집과 연산을 통해 리워즈, 가령, 게임 속 코인 같은 개념 또는 스탬프 수집과 같은 개념 등의 기능 제공 또는 새로운 인터랙션, 가령, 배경이 바뀌거나 아바타의 의상이 업그레이드되는 등의 기능 제공으로 사용자 계정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율과 정착율(체류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라이브 스트리밍이 가능한 컨퍼런스를 서비스 내에서 운영할 수 있다. 라이브 스트리밍은 아바타 접속 방식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음성만 노출되거나, 발표자의 아바타도 함께 보일 수 있다. 또한, 라이브 스트리밍은 실제 화면 촬영 방식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발표자의 음성 및 영상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컨퍼런스를 녹화 화면의 형태로 송출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표 영상 또는 광고 영상, 기업 후원 영상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0) 컨퍼런스 공간 내에서 사용자 계정이 질문을 하고 발표자 계정이 답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답변은 텍스트 혹은 음성의 형태로 송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단과 객석이 있는 3D 모델링된 가상의 공간(3D 전시장 내의 특정 공간)에서 발표자(전문가) 계정이 강연 혹은 연설을 진행할 수 있다. 강연 및 연설의 진행은 실시간 또는 녹화 영상일 수 있다. 강연 및 연설이 송출되는 방식은 1인 또는 다자가 송출되는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사용자는 컨퍼런스가 개최되는 가상 공간에서 발표자 계정의 연설을 보고 들을 수 있다.
서버(100)는 주최사 계정의 요청에 따라 발표 공간을 여러 개 만들 수 있다. 서버(100)는 비용을 지불하거나 특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 계정만 컨퍼런스에 접속하게 할 수 있다. 서버(100)는 해당 가상 공간에서는 발표자의 영상과 발표자료의 화면이 함께 노출되거나 별도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발표자 계정은 진행된 발표의 공개 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발표자 계정 동의 시 사용자 계정은 녹화본과 발표자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사용자 계정은 원할 시 컨퍼런스 다시 보기를 할 수 있다. 발표와 발표 사이에는 기업 후원 영상 등 특정 영상이 송출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은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발표권을 부여받아 질문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할 시 질문은 발표자에게 1:1로 대화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질문 내용은 질문한 사용자 계정과 발표자 계정에만 노출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와 부스 아바타의 인터랙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에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을 반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은 부스 아바타들(400)을 포함할 수 있다. 부스 아바타들(400)은 부스 운영 계정들(121-124)과 연동될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연동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1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터랙션 요소는 부스 아바타들(400)의 속성으로 연동될 수 있다. 제 1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140)가 부스 아바타들 중 적어도 한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사용자 아바타(140)가 대화를 시도한 부스 아바타(400)와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과 사용자 계정을 채팅으로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아바타(140)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은 부스 아바타(400)와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으로부터 제품 설명 또는 상담을 받거나, 부스 운영 책임 계정(121)과 실질적인 계약을 진행할 수 있다.
서버(100)는 효율적인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을 위한 자동화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1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다음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서버(100)는 부스 아바타들과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들과, 사용자 아바타들과 연동된 사용자 계정들의 채팅이 미리 정의된 빈도를 초과하는 활성 시간 구간을 획득할 수 있다(410).
미리 정의된 빈도는 가상 3D 전시 부스마다 다를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빈도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고,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는 사용자 아바타들의 시간별 방문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부스 운영 계정들에 로그인할 수 있는 각각의 부스 직원의 고객 만족도를 획득할 수 있다(420).
부스 직원의 고객 만족도는 사용자 아바타가 부스 아바타에게 제품 설명, 상담 등을 받은 후 부스 아바타로부터 제공받은 서비스의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집계될 수 있다. 하나의 부스 아바타는 여러 부스 직원이 이용할 수 있으나,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가 서비스 만족도를 평가한 시간을 획득함으로써, 부스 아바타가 아닌 부스 직원의 고객 만족도를 정확하게 분류하여 집계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고객 만족도가 미리 정의된 만족도 이상인 부스 직원들이 활성 시간 구간에 부스 운영 계정들에 로그인하도록 각각의 부스 직원의 근무 시간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430).
미리 정의된 만족도는 가상 3D 전시 부스마다 다를 수 있다. 미리 정의된 만족도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고, 가상 3D 전시 부스의 근무 직원들의 수집된 고객 만족도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00)에 포함된 미리 학습된 제 1 인공지능은 부스 직원들의 고객 만족도를 포함하는 부스 직원 정보와, 가상 3D 전시 부스의 활성 시간 구간을 포함하는 가상 3D 전시 부스의 시간대별 활성도를 기초로, 각각의 부스 직원의 근무 시간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제 1 인공지능은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제 1 인공지능은 가상 3D 전시 부스가 시간대별로 붐비는 정도를 단계화하고, 부스 직원들의 고객 만족도를 기준으로 부스 직원들을 단계화한 후, 붐비는 정도가 높은 시간대에 고객 만족도가 높은 부스 직원을 배치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에 사용자 아바타들이 몰리는 시간에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에서 고객 만족도가 높은 부스 직원들의 근무가 각각 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는 고객 응대 효율 및 품질이 자동으로 향상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는 오프라인에서는 랜덤 또는 노하우로 배정해야 했던 직원들의 부스 근무 시간을, 고객 응대 효율 및 품질이 최대화되도록 자동으로 배정받을 수 있으므로, 가상 3D 전시 부스를 이용하는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아바타들은 다른 사용자 아바타들이 몰리는 시간에, 고객 만족도가 높은 부스 아바타와 신속·정확하게 목적에 맞는 채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용자 아바타들이 몰림으로써 생기는 지연 불만 등이 최소화될 수 있어, 사용자 계정들의 가상 3D 전시관 이용 만족도도 높아질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아바타와 제품 그래픽의 인터랙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에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을 반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은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가 생산·판매하는 제품 그래픽들(501, 502)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는 가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제품 그래픽들(501, 502)로는 조명(501)과 요람(502) 등이 있을 수 있다. 서버(100)는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연동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2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터랙션 요소는 제품 그래픽들(501, 502)의 속성으로 연동될 수 있다. 제 2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140)가 제품 그래픽(501, 502)들 중 적어도 한 제품 그래픽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사용자 아바타(140)가 선택한 제품 그래픽(501, 502)과 연동된 제품 설명을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아바타(140)가 조명(501) 제품 그래픽을 선택하는 경우,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140)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로 조명(501) 제품 설명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아바타(140)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은 가상 3D 전시 부스에서 선택한 제품 설명을 이미지, 텍스트, 영상, VR, AR, 3D 모델 또는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전달받을 수 있다.
서버(100)는 효율적인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을 위한 자동화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2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서버(100)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다음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 이상인 제품 그래픽들의 제 1 위치들을 획득할 수 있다(510).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는 가상 3D 전시 부스마다 다를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고,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는 사용자 아바타들의 방문 시 제품 그래픽 선택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될 수도 있다.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 이상인 제품 그래픽들은 사용자 아바타들이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요람(502)은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 이상일 수 있다. 이는 요람(502)이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의 주력 상품이어서라기 보다, 요람(502)이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 즉, 가상 3D 전시 부스의 입구 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서버(100)는 요람(502)의 위치를 획득하여 제 1 위치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후 정지해 있는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인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 이상인 제품 그래픽들의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520).
미리 정의된 시간은 가상 3D 전시 부스마다 다를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시간은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고,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는 사용자 아바타들의 방문 시 제품 그래픽 선택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될 수도 있다.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는 가상 3D 전시 부스마다 다를 수 있다.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는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고,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는 사용자 아바타들의 방문 시 제품 그래픽 선택 데이터를 기초로 연산될 수도 있다.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 미리 정의된 시간, 및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는 서버(100)에 포함된 미리 학습된 제 2 인공지능의 추론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제 2 인공지능은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제 2 인공지능은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한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하는 횟수를 최소화하고, 또한 가상 3D 전시 부스에 머무는 시간을 최대화하는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 미리 정의된 시간, 및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를 탐색하도록 학습될 수 있다.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에 제품 설명이 표시된다. 사용자 계정들이 제품 설명을 확인하는 동안, 사용자들은 사용자 아바타들을 통상 조작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아바타들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 아바타들이 정지 상태를 오래 유지할수록, 사용자들이 제품 설명을 오랫동안 확인한 셈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후 정지해 있는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인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 이상인 제품 그래픽들은 사용자 아바타들이 실제로 관심있는 제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조명(501)은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후 정지해 있는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인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 이상인 제품 그래픽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가 생산·판매하는 제품 중에서 조명(501)은 사용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제품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서버(100)는 조명(501)을 상기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리스트에 포함된 제품 그래픽들 중에서 제품 그래픽의 위치가 제 1 위치들에 포함되지 않는 제품 그래픽과, 제 1 위치들에 포함된 위치를 가지지만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품 그래픽의 위치를 서로 바꿔줄 수 있다(530).
예를 들어,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들이 요람(502)을 선택하는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 이상이므로, 요람(502)의 위치를 제 1 위치들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어서,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들이 조명(501)을 선택한 후 정지해 있는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인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 이상이므로, 조명(501)을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서버(100)는 리스트에 포함된 조명(501)의 위치가 제 1 위치들에 포함되지 않음을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요람(502)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음을 판별할 수 있다. 서버(100)는 조명(501)의 위치와 요람(502)의 위치를 서로 바꿔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에서 사용자 아바타들이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에 사용자 아바타들이 실제로 관심있는 제품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가상 3D 전시 부스는 제품 그래픽 배치가 자동으로 향상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는 오프라인에서는 랜덤 또는 노하우로 배치해야 했던 제품들의 배치를, 소비자들이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에 소비자들이 실제로 관심있는 제품이 배치받을 수 있으므로, 가상 3D 전시 부스를 이용하는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아바타들은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에, 실제로 관심있는 제품이 배치되므로,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의 상품 중에서 관심도가 높은 제품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계정들의 가상 3D 전시관 이용 만족도도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에 제 3 인터랙션 요소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을 위한 자동화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제 3 인터랙션 요소는 가상 3D 전시 부스의 미리 정의된 위치와 연동될 수 있다. 제 3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미리 정의된 위치를 둘러보는 동작일 수 있다. 제 3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에게 미리 정의된 이벤트 상품을 제공하는 동작일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아바타들의 방문 히스토리를 기초로, 미리 정의된 제 3 횟수 이상 방문한 고객 또는 미리 정의된 거래가 성사된 사용자 아바타들을 단골 아바타로 구분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단골 아바타들이 가상 3D 전시 부스에 들어와서 둘러보는 제 1 입체각들을 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단골 아바타들이 아닌 사용자 아바타들이 가상 3D 전시 부스에 들어와서 둘러보는 제 2 입체각들을 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1 입체각들의 대표값과 제 2 입체각들의 대표값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0)는 제 1 입체각들의 평균과 제 2 입체각들의 평균을 연산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제 1 입체각들의 대표값과 제 2 입체각들의 대표값의 차집합을 연산할 수 있다. 서버(100)는 차집합을 기초로, 이벤트 상품이 포함될 가상 3D 전시 부스의 미리 정의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버(100)는 단골 아바타들은 둘러볼 확률이 있지만 단골이 아닌 사용자 아바타들은 둘러볼 확률이 낮은 위치에 이벤트 상품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은품으로 지급되는 이벤트 상품의 이벤트성이 자동으로 향상될 수 있다.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는 오프라인에서는 랜덤 또는 노하우로 제공해야 했던 이벤트 상품을, 단골 소비자들은 확인할 확률이 있지만 단골이 아닌 소비자들은 확인할 확률이 낮은 곳에 자동으로 배치받을 수 있으므로, 가상 3D 전시 부스를 이용하는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아바타들은 흔히 둘러보지 않는 위치에,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의 이벤트 상품이 숨어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므로, 가상 3D 전시 부스를 더 자세히 둘러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주체는 사용자들이 가상 3D 전시 부스를 자세히 확인해주므로, 가상 3D 전시 부스를 이용하는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고, 사용자들은 숨겨진 보물을 찾는 재미가 있어, 사용자 계정들의 가상 3D 전시과 이용 만족도도 높아질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601)는 프로세서(602) 및 메모리(60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02)는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601)는 서버(100);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110); 사용자 단말들(131-134); 또는 인공지능 학습 장치 등일 수 있다. 장치(601)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603)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술된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03)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601)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603)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601)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장치(601)는 인공지능을 학습시키거나, 학습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603)는 학습 중인 또는 학습된 인공지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2)는 메모리(603)에 저장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시키거나 실행시킬 수 있다.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장치(601)와 학습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장치(601)는 동일할 수도 있고 개별적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에 있어서,
    가상 3D 전시 부스(booth) 운영 단말로부터 부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스 정보를 기초로, 가상 3D 전시관에 포함되는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用) 그래픽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을 반영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연동시키는 단계;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3D 전시관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이동하기, 주변 둘러보기, 대화하기, 및 선택하기 동작이 적어도 수행 가능한 가상 3D 인간형 아바타―로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수행한 동작과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3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하고,
    제 3 인터랙션 요소는,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의 미리 정의된 위치와 연동되고,
    상기 제 3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미리 정의된 위치를 둘러보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 3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상기 미리 정의된 위치를 둘러본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에게 미리 정의된 이벤트 상품을 제공하는 인터랙션이고,
    상기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미리 정의된 횟수 이상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거나 미리 정의된 거래가 성사된 사용자 아바타들을 단골 아바타로 구분하는 단계;
    단골 아바타들이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여 주변 둘러보기 동작을 통해 둘러본 제 1 입체각들을 구하여 저장하는 단계;
    단골 아바타가 아닌 사용자 아바타들이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여 주변 둘러보기 동작을 통해 둘러본 제 2 입체각들을 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체각들의 대표값과 상기 제 2 입체각들의 대표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체각들의 대표값과 상기 제 2 입체각들의 대표값의 차집합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집합을 기초로, 상기 미리 정의된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은 부스 아바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1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터랙션 요소는,
    상기 부스 아바타들의 속성으로 연동되고,
    상기 제 1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부스 아바타들 중 적어도 한 부스 아바타에게 대화를 시도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대화를 시도한 부스 아바타와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과 상기 사용자 계정을 채팅으로 연결하는 인터랙션이고,
    상기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상기 부스 아바타들과 연동된 부스 운영 계정들과, 사용자 아바타들과 연동된 사용자 계정들의 채팅이 미리 정의된 빈도를 초과하는 활성 시간 구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부스 운영 계정들에 로그인할 수 있는 각각의 부스 직원의 고객 만족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고객 만족도가 미리 정의된 만족도 이상인 부스 직원들이 상기 활성 시간 구간에 상기 부스 운영 계정들에 로그인하도록 상기 각각의 부스 직원의 근무 시간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은 제품 그래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2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터랙션 요소는,
    상기 제품 그래픽들의 속성으로 연동되고,
    상기 제 2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제품 그래픽들 중 적어도 한 제품 그래픽을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상기 사용자 아바타가 선택한 제품 그래픽과 연동된 제품 설명을 상기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인터랙션이고,
    상기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은,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1 횟수 이상인 상기 제품 그래픽들의 제 1 위치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아바타들이 제품 그래픽을 선택한 후 정지해 있는 시간이 미리 정의된 시간 이상인 횟수가 미리 정의된 제 2 횟수 이상인 상기 제품 그래픽들의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제품 그래픽들 중에서 제품 그래픽의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들에 포함되지 않는 제품 그래픽과, 상기 제 1 위치들에 포함된 위치를 가지지만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제품 그래픽의 위치를 서로 바꿔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4. 하드웨어에 결합되어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가상 3D 전시 부스(booth) 운영 단말로부터 부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부스 정보를 기초로, 가상 3D 전시관에 포함되는 가상 3D 전시 부스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用) 그래픽을 획득하고,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을 반영하고,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운영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획득하고,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스용 그래픽의 속성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를 연동시키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가상 3D 전시관에 접속한 각각의 사용자 계정을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이동하기, 주변 둘러보기, 대화하기, 및 선택하기 동작이 적어도 수행 가능한 가상 3D 인간형 아바타―로 표현하고,
    상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과 일치하는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각각의 사용자 아바타가 수행한 동작과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랙션 요소는 제 3 인터랙션 요소를 포함하고,
    제 3 인터랙션 요소는,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의 미리 정의된 위치와 연동되고,
    상기 제 3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동작은 사용자 아바타가 상기 미리 정의된 위치를 둘러보는 동작을 포함하고,
    제 3 인터랙션 요소의 미리 정의된 인터랙션은 상기 미리 정의된 위치를 둘러본 사용자 아바타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에게 미리 정의된 이벤트 상품을 제공하는 인터랙션이고,
    상기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동작은,
    미리 정의된 횟수 이상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거나 미리 정의된 거래가 성사된 사용자 아바타들을 단골 아바타로 구분하고,
    단골 아바타들이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여 주변 둘러보기 동작을 통해 둘러본 제 1 입체각들을 구하여 저장하고,
    단골 아바타가 아닌 사용자 아바타들이 상기 가상 3D 전시 부스를 방문하여 주변 둘러보기 동작을 통해 둘러본 제 2 입체각들을 구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 1 입체각들의 대표값과 상기 제 2 입체각들의 대표값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 1 입체각들의 대표값과 상기 제 2 입체각들의 대표값의 차집합을 연산하고,
    상기 차집합을 기초로, 상기 미리 정의된 위치를 지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온라인 가상 3D 전시 장치.
KR1020200080940A 2020-07-01 2020-07-01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1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940A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0-07-01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940A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0-07-01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367B1 true KR102219367B1 (ko) 2021-02-24

Family

ID=7468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940A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0-07-01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367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606B1 (ko) * 2021-03-30 2021-08-24 주식회사 에이드소프트 Mice 산업 기반 가상현실을 이용한 컨퍼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4422740A (zh) * 2021-12-25 2022-04-29 在秀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即时通讯及视频的虚似场景互动方法与系统
KR102449460B1 (ko) * 2022-02-21 2022-09-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및 가상현실을 활용한 맞춤형 가상 전시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49202B1 (ko) 2022-06-24 2022-09-29 주식회사 래빗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143457A (ko) * 2021-04-16 2022-10-25 고수영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KR20220153890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지피다 디지털 전시관 체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5578520A (zh) * 2022-11-10 2023-01-06 一站发展(北京)云计算科技有限公司 用于沉浸式场景下的信息处理方法及系统
KR20230020697A (ko) 2021-08-04 2023-02-13 주식회사 리모샷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491656B1 (ko) * 2022-01-13 2023-02-23 주식회사 위글로벌리 메타버스 서비스에 기반한 해외 공장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047726A (ko) * 2021-10-01 2023-04-10 고수영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5113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강원자원순환센타 가상 과학기술 체험관 제공 시스템
KR20230065778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3141141A1 (en) * 2022-01-24 2023-07-27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Participant interactions during a virtual expo
KR102623371B1 (ko) * 2022-09-14 2024-01-11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표준 전시 부스 기반 메타버스 전시 공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KR102654948B1 (ko) * 2023-12-13 2024-04-05 (주)아트인인터랙션 가상공간 갤러리 시스템
KR102691592B1 (ko) * 2021-11-16 2024-08-05 강다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가상 갤러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갤러리 서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640B1 (ko) * 2000-03-03 2003-01-29 신유진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박람회 개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292036B1 (ko) 2011-03-08 2013-09-16 이상문 가상공간 구현시스템 및 그 가상공간 구현방법
KR101792842B1 (ko) 2016-05-19 2017-1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전시회 관리 방법 및 그 서버
KR102078969B1 (ko) 2019-07-11 2020-02-19 주식회사 서커스컴퍼니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KR102080878B1 (ko) 2019-02-07 2020-02-24 류경희 가상 현실 공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캐릭터 생성 및 학습 시스템
KR20200071809A (ko) * 2018-11-30 2020-06-22 데이터킹주식회사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640B1 (ko) * 2000-03-03 2003-01-29 신유진 3차원 가상 현실 공간에서의 박람회 개최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292036B1 (ko) 2011-03-08 2013-09-16 이상문 가상공간 구현시스템 및 그 가상공간 구현방법
KR101792842B1 (ko) 2016-05-19 2017-11-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전시회 관리 방법 및 그 서버
KR20200071809A (ko) * 2018-11-30 2020-06-22 데이터킹주식회사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080878B1 (ko) 2019-02-07 2020-02-24 류경희 가상 현실 공간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캐릭터 생성 및 학습 시스템
KR102078969B1 (ko) 2019-07-11 2020-02-19 주식회사 서커스컴퍼니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예술품 전시 및 거래 시스템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606B1 (ko) * 2021-03-30 2021-08-24 주식회사 에이드소프트 Mice 산업 기반 가상현실을 이용한 컨퍼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43457A (ko) * 2021-04-16 2022-10-25 고수영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KR102570217B1 (ko) * 2021-04-16 2023-08-24 고수영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KR102647722B1 (ko) * 2021-05-12 2024-03-14 주식회사 지피다 디지털 전시관 체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53890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지피다 디지털 전시관 체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20697A (ko) 2021-08-04 2023-02-13 주식회사 리모샷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672516B1 (ko) * 2021-08-04 2024-06-05 주식회사 리모샷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20230047726A (ko) * 2021-10-01 2023-04-10 고수영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및 방법
KR102670125B1 (ko) * 2021-10-01 2024-05-30 고수영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 프로필 적용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5113A (ko) * 2021-10-18 2023-04-25 주식회사 강원자원순환센타 가상 과학기술 체험관 제공 시스템
KR102674717B1 (ko) * 2021-10-18 2024-06-14 주식회사 강원자원순환센타 가상 과학기술 체험관 제공 시스템
KR20230065778A (ko) 2021-11-05 2023-05-12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52585B1 (ko) 2021-11-05 2024-03-29 주식회사 에이치투시티랩 자동화된 콘텐츠 배치 처리를 수행하는 가상 갤러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91592B1 (ko) * 2021-11-16 2024-08-05 강다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가상 갤러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갤러리 서버
CN114422740A (zh) * 2021-12-25 2022-04-29 在秀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即时通讯及视频的虚似场景互动方法与系统
KR102491656B1 (ko) * 2022-01-13 2023-02-23 주식회사 위글로벌리 메타버스 서비스에 기반한 해외 공장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3141141A1 (en) * 2022-01-24 2023-07-27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Participant interactions during a virtual expo
US11870598B2 (en) 2022-01-24 2024-01-09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Participant interactions during a virtual expo
WO2023158059A1 (ko) * 2022-02-21 2023-08-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및 가상현실을 활용한 맞춤형 가상 전시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49460B1 (ko) * 2022-02-21 2022-09-2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및 가상현실을 활용한 맞춤형 가상 전시 공간 구축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49202B1 (ko) 2022-06-24 2022-09-29 주식회사 래빗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23371B1 (ko) * 2022-09-14 2024-01-11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표준 전시 부스 기반 메타버스 전시 공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메타버스 구현 시스템
CN115578520A (zh) * 2022-11-10 2023-01-06 一站发展(北京)云计算科技有限公司 用于沉浸式场景下的信息处理方法及系统
KR102654948B1 (ko) * 2023-12-13 2024-04-05 (주)아트인인터랙션 가상공간 갤러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367B1 (ko)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846937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Yoo et al. The merchants of meta: A research agenda to understand the future of retailing in the metaverse
US10970934B2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US20210291043A1 (en) Multi-instance, multi-user virtual reality spaces
US93054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opic based virtual environments and expertise detection
McVeigh-Schultz et al. A “beyond being there” for VR meetings: envisioning the future of remote work
CN103890815A (zh) 用于主管可被远程自动创建、主管和终止的瞬变虚拟世界的方法和系统
Bogdanovych Virtual institutions
WO2019099912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Suroto et al.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in museums
Meng [Retracted] Application of VR Technology in Brand IP Image Design
US2014021452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events
Rushton et al. Immersive architectural legacies: the construction of meaning in virtual realities
US202303347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events platform
Malerba Exploring the Potential of the Metaverse for Value Creation: An Analysis of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Societal Impact, with a Focus on the Chinese Context
Myftari Study on the use of social networks for the creation of gaming experiences
US12125163B1 (en) Real-time build out of a virtual world
KR20230160534A (ko) 메타버스 환경 기반 전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ntchak et al. Interactive technologies
Douka Transition to Sharing: A Platform to Support Social Sharing in Sege Park Neighbourhood
Mäkelä Is the Future of the Music Industry in Metaverse? Case Motel Finlandia
Li PUBLIC SPACE BETA: Gamification For An Engaged Participatory Landscape Design
Buforn Tena Developing a distributed, customizable multiplayer card game
Havilehto Co-designing virtual reality products: case study at Digia Finland 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