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217B1 -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217B1
KR102570217B1 KR1020210049990A KR20210049990A KR102570217B1 KR 102570217 B1 KR102570217 B1 KR 102570217B1 KR 1020210049990 A KR1020210049990 A KR 1020210049990A KR 20210049990 A KR20210049990 A KR 20210049990A KR 102570217 B1 KR102570217 B1 KR 102570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exhibition hall
digital object
user terminal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457A (ko
Inventor
고수영
안창원
이수남
Original Assignee
고수영
안창원
이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수영, 안창원, 이수남 filed Critical 고수영
Priority to KR102021004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21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 다수의 공예품, 미술품, 영상, 사진 및 조각 등의 작품을 전시하고, 사용자들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방문 및 관람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존재하는 미술품, 사진 등의 작품에 대하여 요청받아 3D 모델링을 통해 디지털 객체화하고, 가상 공간상에 배치하여 가상 전시관을 구현하고, 온라인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통해 작품 관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편하게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VIRTUAL EXHIBITION SYSTEM BASED ON ON-LINE}
본 발명은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상에 다수의 공예품, 미술품, 영상, 사진 및 조각 등의 작품을 전시하고, 사용자들이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방문 및 관람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시관, 화가, 공예가, 사진가, 조각가 등과 같은 작가들에 의해 제작되는 미술, 공예, 사진, 조각 등과 같은 작품을 전시함과 아울러, 전시된 작품의 매매도 가능하게 하는 오프라인 상의 공간을 가리킨다.
이러한 전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전시관을 방문하여 여러 유명작가의 전시된 작품을 감상할 수도 있으며, 또한 마음에 드는 작품에 대해서는 매매도 할 수 있는 등 시민들의 문화생활 공간으로의 전시관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시관은 물리적인 공간이 한정되어 있어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작가의 제한이 심하여 능력이 있으나 유명세를 얻지 못한 수많은 작가들은 전시관에 자신의 작품을 제대로 전시할 기회조차 얻지 못하며,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관람객의 수도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어렵게 전시관을 오픈한다 하더라도 그 운영비 또한 상당히 높은 수준임에 따라 관람객에 의한 입장료 수입으로는 적자를 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0165호는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며 시스템에 등록된 작가들의 예술 작품에 대한 관람 및 작품 구매를 위한 정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관람객용 제1 단말장치와, 인터넷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며 시스템에 작가로 등록하여 자신의 예술 작품에 대한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 데이터를 업로드시키며, 인터넷 가상 전시관 개설의 요청이 가능한 작가용 제2 단말장치와,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정보 DB를 구비하는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와, 시스템에 접속한 관람객들이 인터넷을 통해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상 전시관을 구축하여 등록된 작가들로부터 업로드된 예술작품을 작가들의 전시관 개설 요구에 따라 할당된 전시관에 전시하며, 관람객들의 전시관 관람 요구시 해당 전시관에 등록된 예술작품을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으로 제1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관람객이 이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전시관 서버를 포함하는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관람객이 예술작품을 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으로 시청하는 제한된 행위만을 할 수 있으며, 마치 오프라인 전시관에 직접 방문하여 현장의 분위기를 느끼고, 타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체험을 제공해주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0165호(공개일자: 2002.10.23.)
본 발명은 전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 3D 모델링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작품이 전시된 가상 공간을 구축하고, 사용자를 대체하는 아바타가 가상 공간에 입장함으로써 전시관을 관람하고 현장을 체험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예품, 미술품, 사진 및 조각과 같은 실제 작품을 온라인 상의 디지털 객체로 재구성하여 가상 전시관에 전시하고, 그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실제 작품뿐만 아니라, 디지털 객체 자체에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타인과 거래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한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 구축되고, 하나 이상의 작품이 디지털 객체 형태로 전시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실제 작품의 전시를 요청받고, 상기 작품의 외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품정보를 입력받는 작품 등록부, 접수 승인된 작품에 대하여, 상기 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생성하여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객체 생성부, 3D 좌표를 갖는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공간의 지정된 위치에 상기 디지털 객체를 배치하는 전시 운영부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아바타의 이동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아바타의 1인칭 또는 3인칭 시점에 따라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관람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객체 생성부는, 상기 가상 공간의 비율정보에 따라, 실제 작품 대비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의 스케일을 1:N(N은 0을 제외한 유리수)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공간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관람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객체의 위치 및 아바타의 위치와 아바타의 시선에 따라, 디지털 객체에 상기 광원에 의한 효과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상 공간에는 복수의 아바타가 입장 가능하고, 상기 관람 제어부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말풍선, 텍스트 또는 음성형태로 둘 이상의 아바타간 대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람 제어부는, 상기 가상 공간상에서 아바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디지털 객체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시,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작품에 대한 해설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실제 작품에 대한 소유권을 포함하는 권리에 대한 구매 신청을 접수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의 승인에 따라 소유자와 사용자간 작품에 대한 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제1 거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전시 이후, 소유자와 사용자간 거래에 의해 소유권이 변경된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에 대하여, 가치평가정보에 따라 실물 작품에 관한 권리와는 별개인 디지털 객체를 특정시간 동안 전시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내에서의 사용권에 대한 가치를 부여 및 수치화하여 토큰을 생성하는 가치 평가부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이 보유한 토큰을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제2 거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치평가정보는, 작품의 실제 거래액,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각 디지털 객체에 대한 감상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작품에 대하여 수집되는 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거래부는, 상기 토큰을 소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제시한 매도가 및 토큰을 매수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제시한 매수가를 공시하고, 사용자들이 제시하는 매도가 및 매수가가 합치하는 토큰 매물에 대한 거래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공간을 1인칭 시점으로 표시하는 VR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존재하는 미술품, 사진 등의 작품에 대하여 요청받아 3D 모델링을 통해 디지털 객체화하고, 가상 공간상에 배치하여 가상 전시관을 구현하고, 온라인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통해 작품 관람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다양한 작품을 편하게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바타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관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아바타를 통해 타 관람객과의 대화, 작품 해설 청취, 작품 구입 등의 작품 감상 이외의 다양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의한 전시관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공간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가상 전시관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표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전체 서비스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실제 작품에 대해서 3D 모델링을 통해 디지털 객체로 구현하고, 웹 페이지로 접속 가능한 가상 공간내에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전시하는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을 통해 자신의 보유한 그림, 영상, 사진 및 조각 등의 작품을 전시하고자 하는 작가, 소유자 등이 이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과, 가상 전시관에 입장하여 작품을 관람하고자 하는 관람객이 이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작가 등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의 소유권을 갖는 작품의 전시를 요청함과 아울러, 실제 작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 예를 들면, 작가명, 작품명, 제작날짜, 종류 등에 대한 작품해설과 관련된 데이터 및 3D 모델링을 위한 치수, 도면, 외형에 대한 이미지 등의 외관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품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또한, 관람을 목적으로 하는 관람객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100)은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공개된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회원 가입 및 로그인 절차를 완료한 후, 웹 페이지 상에서 관람객을 대체할 아바타를 생성하고, 아바타를 통해 가상 전시관에 입장하여 내부에 배치된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관람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단말(1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공지의 다양한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2D 영상을 재생하는 통상의 평판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3D 영상에 특화된 VR HMD 디스플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은 복수의 작품을 3D 모델링하여 생성한 디지털 객체가 전시되는 가상 전시관을 생성하고, 웹 페이지를 통해 정보통신망에 공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은 작가 등으로부터 요청된 작품에 대한 작품정보를 입력받아 이에 기초하여 디지털 객체를 생성하고, 가상 공간을 구축하여 디지털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가상 전시관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아바타를 생성하여 가상 공간에 입장 시킴으로써 가상 전시관을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전시관은, HTML, 자바 스크립트 등의 공지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고, 가상 전시관에 대한 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송출될 수 있다.
전술한 가상 전시관이 포함되는 웹 페이지가 공개, 전송되는 정보통신망으로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같은 유선전화망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망의 일 예로서,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가 이용될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망의 일 예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5G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작품을 대체할 수 있는 디지털 객체를 생성 및 전시하는 가상 전시관을 웹 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상에 공개함으로써, 전시관 관람을 원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관람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전술한 관람 서비스를 통해, 작품의 거래 기능, 사용자간 커뮤니케이션 기능 등 유용한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은, 온라인 상에 구축되고, 하나 이상의 작품이 디지털 객체 형태로 전시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하나 이상의 실제 작품의 전시를 요청받고, 상기 작품의 외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품정보를 입력받는 작품 등록부(210), 접수 승인된 작품에 대하여, 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생성하여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객체 생성부(220), 3D 좌표를 갖는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가상 공간의 지정된 위치에 상기 디지털 객체를 배치하는 전시 운영부(23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조작에 따라 가상 공간 내에서 아바타의 이동을 구현하고, 가상 공간에 대한 아바타의 1인칭 또는 3인칭 시점에 따라 디지털 객체를 제2 사용자 단말(120)에 표시하는 관람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작품 등록부(21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자 하거나, 자신의 전시회를 개최하고자 하는 작가, 예술가, 또는 작품의 소유권을 가진 소유자 등의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작품의 전시 등록을 요청 받을 수 있다.
이에, 작품 등록부(210)는 요청과 더불어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실제 작품의 외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품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시스템 운영측은 이러한 작품정보를 참조하여 등록 여부를 심사할 수 있다. 그 심사결과에 따라 작품 등록부(210)는 심사결과에 따라 작품 전시를 결정할 수 있다.
객체 생성부(220)는 작품 전시가 결정된 작품에 대하여, 입력된 작품정보의 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통해 디지털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3D 모델링은 실제 작품의 전체 프레임에 대응하는 복수의 폴리곤과, 각 폴리곤의 표면에 매핑되는 텍스처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폴리곤 및 텍스처는 대상 작품의 전체의 외형, 표면의 색상 및 거칠기 등이 그대로 반영될 수 있다.
특히, 객체 생성부(220)는 디지털 객체가 전시된 가상 전시관에 대응하는 가상 공간의 스케일 비율정보에 따라, 실제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의 스케일을 1:N(N은 0을 제외한 유리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객체 생성부(220)는 가상 전시관 스케일에 따라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디지털 객체 및 기타 객체와, 아바타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가상 전시관에 전시된 각 디지털 객체들이 실제 작품에 대응한 비율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들로 하여금 거부감이 없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생성된 디지털 객체 및 이에 대한 메타 데이터 등은 데이터 베이스(250)의 디지털 객체 정보(255)로 저장될 수 있다.
전시 운영부(230)는 데이터 베이스(250)를 참조하여 가상공간 정보(251)를 통해 웹 상에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등록된 각 작품에 대한 디지털 객체 정보(255)를 참조하여 상기 가상 공간 상에 디지털 객체를 배치함으로써, 가상 전시관을 운영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전시관은 동적 HTML, 자바 스크립트에 의해 구현되어 웹 페이지를 통해 접속 및 열람할 수 있으며, 가상 전시관에 방문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자신이 소지한 PC, 스마트 폰 등의 제2 사용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접속 및 가상 전시관에 입장할 수 있다.
전술한 가상 전시관 및 이에 배치되는 디지털 객체는 제2 사용자 단말(120)에 탑재되는 그래픽 카드 기반 렌더링을 활용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청하는 화면의 해상도, 품질 및 광원효과 등은 사용자 자신이 보유한 제2 사용자 단말(120)의 그래픽 카드 성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객체 생성시 렌더링 작업은 외부 시스템이 제공하는 그래픽 API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시 운영부(230)는 가상 전시관이 게시된 웹 페이지를 온라인 상에 공개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회원가입 절차 및 로그인 절차를 진행하여 사용자가 가상 전시관에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관람 제어부(240)는 가상 전시관에 입장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여 가상 전시관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아바타의 시점으로 가상 전시관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관람 제어부(240)는 로그인 절차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사용자에 대하여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입력에 따라 그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아바타는, 사람의 형상일 수 있고 그 외형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관람 제어부(240)는 생성된 아바타를 가상 공간의 일 영역에 배치하여 입장 처리할 수 있고, 이에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조작을 아바타를 이동 및 기타 행동에 반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아바타를 통해 가상 전시관의 각 장소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람 제어부(240)는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설정에 따라, 1인칭 시점뿐만 아니라, 아바타를 중심으로 하는 3인칭 시점의 뷰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는 1인칭 또는 3인칭 시점으로 가상 전시관을 이동하면서 디지털 객체를 관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전시관에는 다수의 조명이 설치될 수 있고, 관람 제어부(240)는 조명의 위치 및 빛의 방향에 따라 각 장소에 배치된 디지털 객체에 3D 조명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객체의 위치 및 아바타의 위치와 아바타의 시선에 따라, 디지털 객체에 광원 효과가 적용된 화면을 시청할 수 있으며, 보다 현장감 있는 관람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들은 3D 모델링으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하좌우, 근/원거리 및 전 방향에서 다양한 각도로 디지털 객체를 관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관람 제어부(240)는 보다 실감나는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전시관에는 둘 이상의 사용자가 접속 가능함에 따라, 가상 공간 내에 복수의 아바타가 입장할 수 있고, 사용자간 상호교류 및 연계에 기반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동일 시점 및 공간에 존재하는 둘 이상의 아바타는 양자의 시점에서 서로를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화, 채팅 등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둘 이상의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입력에 따라, 말풍선, 텍스트 또는 음성형태로 진행될 수 있으며, 작품에 의한 감상 및 정보 교환 등의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특히 서로의 대화 내용은 설정에 따라 주변의 제3 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처리함으로써 오프라인 전시관과는 달리 전시관 내부 임에도 불구하고 주변의 타 관람객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람 제어부(240)는 가상 공간상에서 아바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아바타가 디지털 객체의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작품에 대한 해설을 자동으로 재생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전시관을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작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은 전시관을 통해 소개된 다양한 작품에 대한 웹을 통한 관람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와 작품 소유자간의 자유로운 작품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은 는 실제 작품의 소유자와 사용자 간의 소유권 거래를 지원하는 제1 거래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거래부(260)는 디지털 객체를 관람한 사용자가 그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실제 작품에 대한 구매 의사를 입력하면,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실제 작품에 대한 소유권을 포함하는 권리에 대한 구매 신청을 접수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디지털 객체 정보를 참조하여 소유자를 판단하고 제1 사용자 단말(110)에 판매 의사를 문의할 수 있다. 이에, 제1 사용자 단말(110)이 판매를 승인하면, 제2 사용자 단말(120)에 거래가 성립되었음을 알리고, 소유자와 사용자간 작품에 대한 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거래 절차가 완료되어 구입대금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고 실제 작품이 사용자 측에 전달되면, 사용자는 소유자의 입장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로서 작품의 전시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작품 등록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결정에 따른 전시여부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제 작품에 대한 거래, 즉 현물 거래뿐만 아니라, 현물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의 사용권과 관련된 대한 거래 또한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디지털 객체는 작품과 관련성이 있으나, 오직 가상 전시관에서만 활용되는 대상이며, 실제 작품의 소유권 및 저작권과는 독립적으로 사용권이 시스템 내에서만 거래될 수 있고, 이러한 사실은 작품의 등록시 소유자에게 미리 통지되게 된다.
전술한 디지털 객체의 가치 거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관 시스템(200)은, 디지털 객체의 전시 이후 소유자와 사용자간 거래에 의해 소유권이 변경된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에 대하여, 가치평가정보에 따라 실물 작품에 관한 권리와는 별개인 디지털 객체를 특정시간 동안 전시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 내에서의 사용권에 대한 가치를 부여 및 수치화하여 토큰을 생성하는 가치 평가부(27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이 보유한 토큰을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제2 거래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치 평가부(270)는 등록된 디지털 객체에 대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디지털 객체 자체는 실제 작품에 기반하나 별도의 존재하는 것으로, 객관적으로 평가되는 작품의 인지도, 작가, 실거래 가격 등에 영향을 받을 수는 있으나 가상 전시관에서만 이용 가능한 제한적인 것이며, 실제 작품과는 독립적으로 가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객체에 대한 가치평가 정보는, 작품의 실제 거래액,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입력되는 각 디지털 객체에 대한 감상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작품에 대하여 수집되는 평판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가상 전시관을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서 최종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디지털 객체의 가치는 수치화된 토큰의 형태로 거래될 수 있다. 일례로서, A작품에 대한 디지털 객체에 부여되는 가치는 1,000,000 토큰일 수 있고, 이는 1 토큰 이상의 단위로 거래될 수 있으며, 1 토큰은 초기 원화 1원에 거래될 수 있다.
또한, 토큰은 해당 디지털 객체의 사용권, 즉 가상 전시관에서 전시할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1토큰은 1시간의 사용권에 대응할 수 있고, 10토큰을 보유한 사용자는 10시간 동안 특정 디지털 객체를 원하는 위치에 전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질 수 있다. 전시에 사용된 토큰은 시스템으로 회수될 수 있다.
제2 거래부(280)는 토큰을 소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제시한 매도가 및, 토큰을 매수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제시한 매수가를 공시하고, 사용자들이 제시하는 매도가 및 매수가가 합치하는 토큰 매물에 대한 거래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치가 부여된 디지털 객체의 토큰에 대하여 시스템의 보유분을 개당 1원에 구입할 수 있고, 시스템의 보유분이 소진되면, 타 사용자간에 원하는 가격으로 매매할 수 있다.
일례로서, 토큰은 보유한 사용자A는 자신이 개당 1원에 구입한 토큰을 3원에 매도 주문할 수 있고, 사용자B는 개당 2원에 토큰을 매수 주문할 수 있다. 제2 거래부(280)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주문내용을 입력받아 온라인 상에 공시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20)의 매수 또는 매도 신청에 따라 거래를 중개할 수 있으며, 매매가가 합치하는 요청에 대한 거래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토큰은 사용자의 가상 전시관 입장료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디지털 객체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요가 증가할수록 그 가치를 미리 인지한 사용자에게 금전적 이익을 제공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활성화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토큰과 관련된 거래 내역은, 제2 거래부(280)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 분산원장에 토큰 거래내역이 트랜잭션에 의해 기록됨에 따라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용권의 변동 내역이 변조 없이 기록, 보관될 수 있다.
전술한 기능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그림, 조각 및 사진과 같은 작품을 온라인상에 전시하는 가상 전시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자 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가상 전시관 상에 디지털 객체 형태로 전시할 수 있고, 아울러 전시관을 방문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시간,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작품에 갈음하는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의한 전시관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의한 전시관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본 발명의 시스템 및 그 구성부가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에 의한 전시관 제공 방법에 의하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실제 작품의 전시를 요청받고 작품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로서, 본 발명의 가상 전시관에 자신의 작품을 전시하고자 하는 작가, 소유권자 또는 저작권자 등이 자신의 제1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정보통신망을 통해 시스템에 접속 및 작품 전시를 요청하고, 작품의 외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품정보를 입력하면, 시스템은 작품 전시건을 접수받고, 이에 대한 심사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접수 승인된 작품에 대하여, 디지털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S110)에서는, 시스템이 작품의 접수 승인 이후, 입력된 작품정보에 포함되는 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생성하고, 텍스처 매핑, 렌더링 등의 그래픽 처리 과정을 거쳐 디지털 객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가상 공간의 지정된 위치에 디지털 객체를 배치하는 단계(S120)는, S110 단계에서 생성한 디지털 객체를 가상 전시관 내부에 지정된 위치에 객체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시스템은 가상 공간 정보를 참조하여 모델링 절차를 통해 3D 가상 전시관을 구현하고, 등록된 디지털 객체 정보에 따라 가상 공간 내 적절한 위치에 디지털 객체를 배치하여 가상 전시관을 구현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 및 이동을 구현하고, 아바타 시점에 따라 디지털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S130)에서는, 웹 페이지를 통해 가상 전시관을 공개함에 따라 작품을 관람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제2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하면, 시스템이 사용자들가 입력한 설정값에 따라 각 사용자에 대한 아바타를 생성하고, 이를 가상 전시관에 배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자신의 아바타의 시점으로 가상 전시관을 관람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키보드, 마우스 및 조이패드 등의 조작에 따라 아바타를 가상 전시관 내에서 이동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아바타의 1인칭 시점, 또는 아바타를 중심으로 하는 3인칭 시점으로 가상 전시관을 표시할 수 있고, 각 가상 전시관의 각 장소에 배치된 디지털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관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전시관 화면의 일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상 공간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은 웹 페이지(500)를 기반으로 그래픽 렌더링에 따른 가상 전시관(510) 및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520)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가상 전시관(510) 내부의 모습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전시관(510)은 공지의 오프라인 전시관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일정 간격으로 3D 그래픽화된 작품 즉, 디지털 객체(5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avt)가 조작에 따라 디지털 객체(520)의 사이를 이동하며 작품을 관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탑재되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의 조작을 통해 아바타(avt)를 가상 공간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의도에 따라 시점을 변경할 수도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아바타(avt)를 중심으로 하는 3인칭 시점으로 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아바타(avt)의 1인칭 시점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1인칭 시점은 사용자 단말이 VR HMD와 같은 3D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상당한 현실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가상 전시관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른 화면의 예로서, 사용자A는 자신의 아바타(avt1)를 조작하여 가상 전시관(510)의 각 장소로 이동하며 디지털 객체를 감상할 수 있고, 특히 동일한 시간 및 공간에 입장한 사용자B의 아바타(avt2)를 디지털 객체와 함께 볼 수 있다.
이때, 사용자A는 이동조작 이외에도 아바타(avt1)를 조작하여 사용자B의 아바타(avt2)와의 대화, 채팅 등의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은 각 아바타(avt1, avt2)의 서로간 대화 내용이 텍스트로 표시되는 말풍선, 일반 텍스트 및 사용자의 음성을 마이크로 입력받아 출력하는 음성채팅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120 : 사용자 단말 200 : 가상 전시관 시스템
210 : 작품 등록부 220 : 객체 생성부
230 : 전시 운영부 240 : 관람 제어부
250 : 데이터 베이스

Claims (10)

  1. 온라인 상에 구축되고, 하나 이상의 작품이 디지털 객체 형태로 전시된 가상 전시관 시스템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하나 이상의 실제 작품의 전시를 요청받고, 상기 작품의 외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작품정보를 입력받는 작품 등록부;
    접수 승인된 작품에 대하여, 상기 외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모델링을 생성하여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객체 생성부;
    3D 좌표를 갖는 3D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 공간의 지정된 위치에 상기 디지털 객체를 배치하는 전시 운영부;
    제2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공간 내에서 아바타의 이동을 구현하고, 상기 가상 공간에 대한 아바타의 1인칭 또는 3인칭 시점에 따라 상기 디지털 객체를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관람 제어부;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실제 작품에 대한 소유권을 포함하는 권리에 대한 구매 신청을 접수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의 승인에 따라 소유자와 사용자간 작품에 대한 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제1 거래부;
    전시 이후, 소유자와 사용자간 거래에 의해 소유권이 변경된 작품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에 대하여, 가치평가정보에 따라 실물 작품에 관한 권리와는 별개인 디지털 객체를 특정시간 동안 전시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는 가상 공간내에서의 사용권에 대한 가치를 부여 및 수치화하여 토큰을 생성하는 가치 평가부;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이 보유한 토큰을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제2 거래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치평가정보는,
    작품의 실제 거래액,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각 디지털 객체에 대한 감상 및,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작품에 대하여 수집되는 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거래부는,
    상기 토큰을 소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제시한 매도가 및 토큰을 매수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가 제시한 매수가를 공시하고, 사용자들이 제시하는 매도가 및 매수가가 합치하는 토큰 매물에 대한 거래 절차를 처리하며,
    상기 토큰과 관련된 거래 내역은 상기 제2 거래부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기반 분산원장에 트랜잭션에 의해 기록되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생성부는,
    상기 가상 공간의 비율정보에 따라, 실제 작품 대비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의 스케일을 1:N(N은 0을 제외한 유리수)으로 조절하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관람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객체의 위치 및 아바타의 위치와 아바타의 시선에 따라, 디지털 객체에 상기 광원에 의한 효과를 적용하여 표시하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에는 복수의 아바타가 입장 가능하고,
    상기 관람 제어부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입력에 따라, 말풍선, 텍스트 또는 음성형태로 둘 이상의 아바타간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제어부는,
    상기 가상 공간상에서 아바타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디지털 객체에 일정 거리 이상 접근시, 디지털 객체에 대응하는 작품에 대한 해설을 재생하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상 공간을 1인칭 시점으로 표시하는 VR 기기와 연결되는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KR1020210049990A 2021-04-16 2021-04-16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KR102570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990A KR102570217B1 (ko) 2021-04-16 2021-04-16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990A KR102570217B1 (ko) 2021-04-16 2021-04-16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457A KR20220143457A (ko) 2022-10-25
KR102570217B1 true KR102570217B1 (ko) 2023-08-24

Family

ID=8380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990A KR102570217B1 (ko) 2021-04-16 2021-04-16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868B1 (ko) * 2023-06-21 2023-12-20 주식회사 흥왕 아크릴박물관 전시운영 및 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67B1 (ko) *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65A (ko) 2001-04-12 2002-10-23 강화영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전시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예술작품 전시, 판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67B1 (ko) *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457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6937B2 (en) Three-dimensional virtual environment
US10347028B2 (en) Method for sharing emotions through the creation of three-dimensional avatars and their interaction
US1144982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ducting a transac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US10970934B2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US20050086612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20050030309A1 (en) Information display
US7225114B2 (en) Information delivering system and information delivering method
TW201017539A (en) System and method for prioritization of rendering policies in virtual environments
WO2019099912A1 (en) Integrated operating environment
KR102570217B1 (ko) 온라인 기반 가상 전시관 시스템
KR102641854B1 (ko) 메타버스 기반 전자 상거래 시스템
Barszcz et al. 3D scanning digital models for virtual museums
US20230334494A1 (en) Cryptographic digital assets management system
Sonnen Metaverse For Beginners 2023: The Ultimate Guide on Investing In Metaverse, Blockchain Gaming, Virtual Lands,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NFT, Real Estate, Crypto And Web 3.0
KR102534418B1 (ko) 메타버스상에서의 가상 전자명함 판매 활성화 장치 및 방법
Sousa et al. Influencing wine tourists' decision-making with VR: The impact of immersive experiences on their behavioural intentions
Kau Gaming the Landscap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Game Engines for Design Representation
Agbaje et al. The Challenges of Migration from 2D to 3D Internet (3DI)
KR20230122231A (ko) 메타버스 기반 비활동 아티스트 온오프라인 팬미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Samala Real Life into Second Life
MASIERO Digital transformation and art: a market evolution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