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697A -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697A
KR20230020697A KR1020210102402A KR20210102402A KR20230020697A KR 20230020697 A KR20230020697 A KR 20230020697A KR 1020210102402 A KR1020210102402 A KR 1020210102402A KR 20210102402 A KR20210102402 A KR 20210102402A KR 20230020697 A KR20230020697 A KR 2023002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resident
space
virtu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2516B1 (ko
Inventor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모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모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모샷
Priority to KR102021010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251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0240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25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행사를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 서버는 가상의 전시공간을 제공하고, 입점자들은 가상의 전시 공간상에 자신의 IR 부스를 설치 등록하고, 관람자들은 가상의 전시공간에 입장하여 입점자들과 상호 소통, 제품 거래, 미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다수의 입점자 단말기(100), 다수의 관람자 단말기(200),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A platform system that provides cyber exhibition in the Virtual-Reality space}
본 발명은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행사를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 서버는 가상의 전시공간을 제공하고, 입점자들은 가상의 전시 공간상에 자신의 IR 부스를 설치 등록하고, 관람자들은 가상의 전시공간에 입장하여 입점자들과 상호 소통, 제품 거래, 미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편리하고 위생적인 생활을 위한 각종 과학 기술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하고 편리한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003년의 사스(SARS), 2015년의 메르스(MERS), 2020년의 코로나 19(Corona virus 19) 사태로 인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와 신종 질병에 대한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한편, 사스(SARS), 메르스(MERS), 코로나 19(Corona virus 19)와 같은 전염병이 유행하는 경우, 경제/교육/행정/종교와 같은 전반적인 사회 활동과 각종 모임이 제한을 받게 되어, 생활 방식이 대면 방식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 된다.
예를 들면, 학교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종교시설은 온라인 예배나 불공, 회사는 화상회의, 음식 구매는 주문 배달, 제품 구매는 온라인 쇼핑몰에 의한 택배 배송으로 대체하고 있다.
특히,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게 되는 행사는 불허되거나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비대면 생활 방식으로의 전환에 따라, 각종 사회 활동과 모임을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기술과 시스템들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사스(SARS), 메르스(MERS), 코로나 19(Corona virus 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에도,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행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 서버는 가상의 전시공간을 제공하고, 입점자들은 가상의 전시 공간상에 자신의 IR 부스를 설치 등록하고, 관람자들은 가상의 전시공간에 입장하여 입점자들과 상호 소통, 제품 거래, 미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2564호 객체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가상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1451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9367호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5494호 VR 기기를 이용한 가상 박람회 체험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행사를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 서버는 가상의 전시공간을 제공하고, 입점자들은 가상의 전시 공간상에 자신의 IR 부스를 설치 등록하고, 관람자들은 가상의 전시공간에 입장하여 입점자들과 상호 소통, 제품 거래, 미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입점자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하여 3D 기반의 전시 부스(2)를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입점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관람자와 소통 및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하여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입점자와 소통, 제품 구매,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관람자 단말기(200)와;
인터넷상에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입점자가 입점자 단말기(100)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3D 기반의 전시 부스(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람자가 관람자 단말기(200)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해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입장한 입점자와 관람자들이 상호 소통, 제품 판매 및 구매,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행사를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 서버는 가상의 전시공간을 제공하고, 입점자들은 가상의 전시 공간상에 자신의 IR 부스를 설치 등록하고, 관람자들은 가상의 전시공간에 입장하여 입점자들과 상호 소통, 제품 거래, 미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행사 진행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사스(SARS), 메르스(MERS), 코로나 19(Corona virus 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에도,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행사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점자 단말기를 이용한 전시 부스 설치 예시도
도 4는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의 3D 기반의 전시 부스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람 관련 아이콘,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 선택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사 소개, 제품 소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품 구매, 채팅 상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이어 정보 등록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이어 미팅 진행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 선택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10, 이하 ‘본 발명’)은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행사를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 서버(300)는 가상의 전시공간을 제공하고, 입점자들은 입점자 단말기(100)를 통해 가상의 전시 공간상에 자신의 IR 부스를 설치 등록하고, 관람자들은 관람자 단말기(200)를 통해 가상의 전시공간에 입장하여 입점자들과 상호 소통, 제품 거래, 미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발명으로, 행사 진행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해소하고, 사스(SARS), 메르스(MERS), 코로나 19(Corona virus 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에도, 전시회, 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행사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10)은 다수의 입점자 단말기(100), 다수의 관람자 단말기(200),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점자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하여 3D 기반의 전시 부스(2)를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입점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관람자와 소통 및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하여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입점자와 소통, 제품 구매,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관람자 단말기(200)와;
인터넷상에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입점자가 입점자 단말기(100)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3D 기반의 전시 부스(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람자가 관람자 단말기(200)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해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입장한 입점자와 관람자들이 상호 소통, 제품 판매 및 구매,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점자 단말기(100)는 입점자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하여 3D 기반의 전시 부스(2)를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입점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관람자와 소통 및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입점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특히, 상기 입점자 단말기(100)는 플랫폼 서버(300)가 운영 관리하는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에 접속한 후,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도 3과 같은, 부스 설치용 툴을 이용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입점자의 전시 부스(2)와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을 입점자가 3D 기반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입점자는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열리는 전시회나 박람회에 참가하는 회사, 기관, 단체의 직원, 관계자를 가리키며, 입점자는 입점자 단말기(100)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부스 설치용 툴을 통해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전시 부스(2)를 설치하게 되는데, 전시 부스(2) 설치 위치는 입점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임의로 정하거나 주최 측에서 배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입점자는 입점자 단말기(100)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부스 설치용 툴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이, 자신의 전시 부스(2)를 다양하게 디자인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은 3D 기반이기 때문에 입점자는 입체적이고 현장감이 있게 전시 부스(2)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입점자 단말기(100)는 데스크톱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과 같은 전자기기일 수 있는데, 본 발명(10)에서는 데스크톱 PC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점자는 입점자 단말기(100)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부스 설치용 툴을 이용하여, 도 4와 같이, 전시 부스(2)에 회사 소개, 관람자와의 소통, 제품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을 배치할 수 있으며,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은 적어도 회사 소개 아이콘, 제품 소개 아이콘, 제품 판매 아이콘, 상담 아이콘을 포함한다.
상기 관람자 단말기(200)는 관람자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하여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입점자와 소통, 제품 구매,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관람자들이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여기서, 상기 관람자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10)에서는 휴대성이 우수한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관람자는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열리는 전시회를 관람하는 사람을 가리키며, 단순히 전시회를 관람하는 단순 관람자이거나 전시회에 참가한 업체의 제품 구매나 사업적 파트너쉽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어인 관람자일 수 있다.
관람자는 상기 관람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후,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다.
즉,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설치된 다수의 전시 부스(2)마다 배치된 관람 관련 아이콘(3)(회사 소개 아이콘, 제품 소개 아이콘, 제품 판매 아이콘, 상담 아이콘 등)을 도 5의 상단 그림과 같이, 터치하여 입점자의 회사 정보를 살펴보거나 입점자가 전시회에 출품한 제품의 정보를 살펴보거나 입점자의 회사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구매하거나 입점자와 상담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람자가 관람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전시 부스(2)에 배치된 회사 소개 아이콘을 터치 선택하면 도 6과 같이, 입점자의 회사를 소개하는 미디어 정보가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되고, 제품 소개 아이콘을 터치 선택하면 도 6과 같이, 입점자가 전시회에 출품한 제품을 소개하는 미디어 정보와 해당 제품의 3D 기반의 제품 형상 정보가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되고, 제품 판매 아이콘을 터치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해당 입점자의 쇼핑몰 화면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되어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담 아이콘을 터치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해당 입점자와 상담할 수 있는 채팅창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된다.
특히, 관람자와 입점자의 채팅 상담은 문자 채팅, 화상 채팅, 음성 채팅, VR 채팅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이 적용되고, 관람자가 상담을 신청했을 때, 입점자가 상담 중이면, 상담 대기가 필요함을 채팅창을 통해 알리게 된다.
또한,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는 입점자와 바이어인 관람자가 바이어 미팅을 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회 주최측이 설치한 바이어 부스(4)가 설치되어 있으며, 바이어 부스(4)에는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은 도 5의 하단 그림과 같이, 바이어 아이콘, 입점자 아이콘, 매칭결과 아이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바이어인 관람자가 바이어 부스(4)에 배치된 바이어 아이콘(5)을 터치 선택하면, 도 8과 같이, 관심 분야와 미팅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바이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되어 바이어 정보를 플랫폼 서버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원격지에 설치된 일종의 서버용 컴퓨터로, 플랫폼 서버(300)는 인터넷상에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입점자가 입점자 단말기(100)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3D 기반의 전시 부스(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람자가 관람자 단말기(200)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해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입장한 입점자와 관람자들이 상호 소통, 제품 판매 및 구매,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운영 관리부(310), 툴 제공부(320), 관람 관리부(330),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인터넷상에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에 접속한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 단말기(200)로 각종 사이버 전시회 정보를 제공하고, 입점자 단말기(100) 또는 관람자 단말기(200)가 특정 사이버 전시회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이버 전시회의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점자 또는 관람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 관리부(310)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전시 부스(2)와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을 3D 기반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부스 설치용 툴을 입점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툴 제공부(320)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와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서 3D 기반으로 전시회 관람, 소통, 제품 구매 및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관람 관리부(330)와,
입점자와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서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영 관리부(310)는 인터넷상에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 단말기(200)가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에 접속하면, 운영 관리부(310)는 접속된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 단말기(200)에 각종 사이버 전시회 정보를 제공한다.
운영 관리부(310)가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를 통해 인터넷상에서 운영 관리하는 사이버 전시회는 다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전 전시회(박람회), 의료기기 전시회(박람회), 건축 관련 전시회(박람회) 등일 수 있다.
운영 관리부(310)는 접속된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 단말기(200)에 현재 개최되고 있는 각종 사이버 전시회에 대한 정보(A 가전 전시회(박람회), B 의료기기 전시회(박람회), C 건축 관련 전시회(박람회) 등)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입점자와 관람자는 운영 관리부(310)가 제공하는 각종 사이버 전시회 정보 중 특정 사이버 전시회를 선택하면(예를 들어, A 가전 전시회(박람회)를 선택하면), 운영 관리부(310)는 선택된 특정 사이버 전시회의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점자 또는 관람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툴 제공부(320)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전시 부스(2)와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을 3D 기반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부스 설치용 툴을 입점자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즉, 입점자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입장해 툴 제공부(320)가 제공하는 부스 설치용 툴을 이용해, 도 3, 4와 같이, 자신의 전시 부스(2)와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을 3D 기반으로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관람 관리부(330)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와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서 3D 기반으로 전시회 관람, 소통, 제품 구매 및 판매를 할 수 있도록,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 단말기(200)를 중계하는 구성으로, 입점자 홍보 관리부(331), 입점자 제품 판매 관리부(332), 소통 관리부(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점자 홍보 관리부(331)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있는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관람 관련 아이콘 중, 회사 소개 아이콘을 도 5의 상단 그림과 같이, 선택하면, 해당 입점자의 회사를 소개하는 미디어 정보가 도 6의 상단 그림과 같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되도록 하여 관람자가 전시회에 참가한 해당 입점자의 회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점자 홍보 관리부(331)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있는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관람 관련 아이콘 중, 제품 소개 아이콘을 도 5의 상단 그림과 같이, 선택하면, 제품 소개 아이콘에 해당하는 제품을 소개하는 미디어 정보와 해당 제품의 3D 기반의 제품 형상 정보가 도 6의 하단 그림과 같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되도록 하여 관람자가 해당 입점자의 전시회에 출품된 제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점자 제품 판매 관리부(332)는 입점자 홍보 관리부(331)가 제공한 제품 정보를 파악한 관람자 중, 해당 제품의 구매를 원하는 관람자가 있는 경우,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입점자 제품 판매 관리부(332)는 전시회에 참가하는 입점자들로부터 전시회에 출품한 제품을 포함하는 입점자의 판매 제품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판매 제품 정보를 이용해 관람자들이 입점자들의 제품을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입점자별 전시회 쇼핑몰을 생성한다.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있는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관람 관련 아이콘 중, 제품 판매 아이콘을 도 5의 상단 그림과 같이, 선택하면, 상기 입점자 제품 판매 관리부(332)는 제품 판매 아이콘을 선택한 관람자의 관람자 단말기(200)에, 도 7의 상단 그림과 같이, 해당 입점자의 전시회 쇼핑몰 창을 표출시켜 관람자가 해당 입점자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입점자별 전시회 쇼핑몰을 생성을 위해 입점자들로부터 제공받는 판매 제품 정보는 적어도 사이버 전시회에 출품한 제품 정보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해당 입점자가 판매하는 다른 제품들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점자 제품 판매 관리부(332)가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시키는 전시회 쇼핑몰 창의 메인 화면에는 제품 판매 아이콘이 선택된 특정 입점자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화면이 표시되고,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시키는 전시회 쇼핑몰 창의 서브 화면에는 제품 판매 아이콘이 선택된 특정 입점자 이외의 다른 입점자들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화면이 표시되어, 관람자가 전시회에 참가한 다른 입점자들의 제품도 구매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한다.
한편, 관람자가 전시 부스(2)에 배치된 회사 소개 아이콘이나 제품 소개 아이콘을 통해 충분한 입점자의 정보 획득이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관람자는 입점자와의 구체적 상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이 소통 관리부(333)이다.
상기 소통 관리부(333)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있는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관람 관련 아이콘 중, 상담 아이콘을 도 5의 상단 그림처럼 선택하는 경우, 상담 아이콘을 선택한 관람자의 관람자 단말기(200)와 특정 입점자의 입점자 단말기(100)에 채팅창을 표출시켜 상담 아이콘을 선택한 관람자와 특정 입점자가 일대일로 채팅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채팅창은 문자 채팅, 화상 채팅, 음성 채팅, VR 채팅 중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채팅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관람자가 상담 아이콘을 선택했을 때, 입점자가 다른 관람자와 채팅 상담 중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소통 관리부(333)는 상담 아이콘을 선택한 관람자의 관람자 단말기(200)에 대기 메시지를 표출시켜 관람자가 대기하도록 안내한다.
이어서, 다른 관람자와 채팅 상담 중이던 특정 입점자의 채팅 상담이 종료되면, 대기 중이던 관람자 단말기(200)와 특정 입점자의 입점자 단말기(100)에 채팅창을 표출시켜 특정 입점자와 관람자가 일대일로 채팅 상담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한편,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해 전시회를 관람하는 관람자는 단순히 전시회를 관람하는 단순 관람자이거나 전시회에 참가한 업체의 제품 구매나 사업적 파트너쉽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어인 관람자일 수 있다.
바이어인 관람자의 경우, 자신과 사업적 파트너쉽을 형성할 수 있는 사업적 파트너를 찾기 위해,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해 모든 전시 부스(2)를 돌아다니는 것은 불편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이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이다.
전시회 주최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3D 기반의 바이어 부스(4)를 설치해 놓는다.
3D 기반의 바이어 부스(4)에는 도 5의 하단 그림처럼, 3D 기반의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바이어 아이콘, 입점자 아이콘, 매칭결과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입장한 바이어인 관람자가 도 5의 하단 그림과 같이, 3D 기반의 바이어 부스(4)에 배치된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 중, 바이어 아이콘을 선택하면,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는 도 8과 같이, 바이어인 관람자가 관심 분야와 미팅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바이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입력창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입력창에 입력된 관심 분야와 미팅 가능 시간 정보가 바이어 정보로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되도록 한다.
또한,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가 3D 기반의 바이어 부스(4)에 배치된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 중, 입점자 아이콘을 선택하면,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는 그동안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된 바이어 정보를 입점자 아이콘을 선택한 입점자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제공된 바이어 정보(관심 분야, 미팅 가능 시간)를 참고해 입점자가 특정 바이어를 입점자 단말기(100)를 통해 선택하면,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는 특정 바이어를 선택한 입점자와 해당 입점자가 선한 바이어간 바이어 미팅이 성사된 것으로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한다.
또한,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 또는 관람자가 3D 기반의 바이어 부스(4)에 배치된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 중, 매칭결과 아이콘을 선택하면,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는 성사된 바이어 미팅 정보를 매칭결과 아이콘을 선택한 입점자 단말기(100) 또는 관람자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입점자와 바이어인 관람자가 성사된 바이어 미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는 성사된 바이어 미팅 건의 미팅시간이 도래하고, 해당 미팅 건의 당사자인 입점자와 바이어인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입장해 있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바이어 미팅 건의 당사자인 입점자의 입점자 단말기(100)와 바이어인 관람자의 관람자 단말기(200)에 채팅창을 동시에 표출시켜 해당 바이어 미팅 건의 당사자인 입점자와 바이어인 관람자가 상호 사업적 미팅을 채팅을 통해 진행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때, 상기 채팅창도 전술한 상담 채팅창과 동일하게 문자 채팅, 화상 채팅, 음성 채팅, VR 채팅 중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채팅창이다.
따라서 본 발명(10)은 전시회나 박람회를 비 대면식으로 가상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에도 비 대면식으로 전시회나 박람회가 가능하도록 하고,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기가 아니라 하더라도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전시회나 박람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서 컨퍼런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퍼런스 관리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상 사이버 전시회는 많은 주제(예를 들어, 가전, 육아, 건축 등)에 대한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상기 컨퍼런스 관리부(350)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개최되고 있는 컨퍼런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퍼런스 관리부(350)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 배치된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7) 중, 컨퍼런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현재 진행되고 있거나 진행 예정인 컨퍼런스 정보(컨퍼런스 내용, 시간)가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컨퍼런스 정보를 참고한 관람자가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 배치된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7) 중, 컨퍼런스 입장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관람자가 강연자의 강연 내용을 시청하고 강연자와 소통할 수 있는 컨퍼런스 창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컨퍼런스 창은 관람자와 강연자가 문자 채팅, 화상 채팅, 음성 채팅, VR 채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퍼런스 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개최되고 있는 컨퍼런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전시회 주최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를 설치해 놓는다.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는 도 10과 같이, 3D 기반의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6)(컨퍼런스 정보 아이콘, 컨퍼런스 입장 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입장한 관람자가 도 10과 같이,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 배치된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6) 중, 컨퍼런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면, 컨퍼런스 관리부(350)는 관람자가 현재 진행되고 있거나 진행 예정인 컨퍼런스를 파악할 수 있도록, 현재 진행되고 있거나 진행 예정인 컨퍼런스 정보(컨퍼런스 주제, 시간)가 컨퍼런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한 관람자의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컨퍼런스 정보 아이콘 선택을 통해 관람자는 현재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서 개최되고 있는 각종 컨퍼런스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전 관련 컨퍼런스, 육아 관련 컨퍼런스, 건축 관련 컨퍼런스 등일 수 있고, 해당 컨포런스가 개최되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자신이 참여하고 싶은 컨퍼런스가 있는 경우, 해당 컨퍼런스가 현재 개최되고 있으면 바로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 배치된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6) 중, 컨퍼런스 입장 아이콘을 선택해 해당 컨퍼런스에 참여하면 되고, 참여하고 싶은 컨퍼런스가 현재가 아닌 다른 시간에 개최될 예정이면, 해당 시간에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 배치된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6) 중, 컨퍼런스 입장 아이콘을 선택해 해당 컨퍼런스에 참여하게 된다.
또한, 컨퍼런스 정보를 참고한 관람자가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 배치된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7) 중, 컨퍼런스 입장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컨퍼런스 관리부(350)는 관람자가 컨퍼런스의 강연자의 강연 내용을 시청하고 강연자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퍼런스 창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즉, 컨퍼런스 창에는 강연자의 강연 내용이 동영상으로 표시되는 부분과 관람자가 강연자와 소통(질문과 응답)할 수 있는 부분(예: 관람자와 강연자가 질문과 응답을 할 수 있는 채팅창)을 포함한다.
컨퍼런스가 라이브 컨퍼런스인 경우, 동영상이 표시되는 부분에는 현재 강연자의 강연 동영상이 생중계되고, 강연 중 또는 강연이 종료된 후 관람자는 관람자가 강연자와 소통(질문과 응답)할 수 있는 부분을 통해 관람자는 강연자에게 질문을 하고, 강연자는 이에 대한 응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영상이 표시되는 부분에는 강연자의 강연 녹화 동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컨퍼런스 창의 일부인 관람자가 강연자와 소통(질문과 응답)할 수 있는 부분인 채팅창은 관람자와 강연자가 문자 채팅, 화상 채팅, 음성 채팅, VR 채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10)은 전시회나 박람회를 비 대면식으로 가상공간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에도 비 대면식으로 전시회나 박람회가 가능하도록 하고,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 유행 시기가 아니라 하더라도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전시회나 박람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100 : 입점자 단말기
200 : 관람자 단말기
300 : 플랫폼 서버

Claims (11)

  1.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입점자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하여 3D 기반의 전시 부스(2)를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입점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관람자와 소통 및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가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하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하여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입점자와 소통, 제품 구매,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관람자 단말기(200)와;
    인터넷상에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입점자가 입점자 단말기(100)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3D 기반의 전시 부스(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관람자가 관람자 단말기(200)를 통해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해 전시회를 3D 기반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입장한 입점자와 관람자들이 상호 소통, 제품 판매 및 구매,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점자 단말기(100)는,
    플랫폼 서버(300)가 운영 관리하는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에 접속해 부스 설치용 툴을 제공받고, 플랫폼 서버(300)가 제공한 부스 설치용 툴을 이용해 입점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전시 부스(2)와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을 3D 기반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은 회사 소개 아이콘, 제품 소개 아이콘, 제품 판매 아이콘, 상담 아이콘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인터넷상에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를 운영 관리하고, 사이버 전시회 사이트에 접속한 입점자 단말기(100)와 관람자 단말기(200)로 각종 사이버 전시회 정보를 제공하고, 입점자 단말기(100) 또는 관람자 단말기(200)가 특정 사이버 전시회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이버 전시회의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점자 또는 관람자가 입장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 관리부(310)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전시 부스(2)와 관람 관련 아이콘(3)들을 3D 기반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부스 설치용 툴을 입점자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툴 제공부(320)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와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서 3D 기반으로 전시회 관람, 소통, 제품 구매 및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관람 관리부(330)와,
    입점자와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서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관리부(330)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있는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회사 소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입점자의 회사를 소개하는 미디어 정보가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되도록 하고,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있는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제품 소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해당 제품을 소개하는 미디어 정보와 해당 제품의 3D 기반의 제품 형상 정보가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되도록 하는 입점자 홍보 관리부(3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관리부(330)는,
    입점자들로부터 판매 제품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판매 제품 정보를 이용해 관람자들이 입점자들의 제품을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입점자별 전시회 쇼핑몰을 생성하고,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있는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제품 판매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관람자 단말기(200)에 특정 입점자의 전시회 쇼핑몰 창을 표출시켜 관람자가 특정 입점자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입점자 제품 판매 관리부(3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점자 제품 판매 관리부(332)가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출시키는 전시회 쇼핑몰 창의 메인 화면에는 제품 판매 아이콘이 선택된 특정 입점자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화면이 표시되고, 전시회 쇼핑몰 창의 서브 화면에는 제품 판매 아이콘이 선택된 특정 입점자 이외의 다른 입점자들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람 관리부(330)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 있는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상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상담 아이콘을 선택한 관람자의 관람자 단말기(200)와 특정 입점자의 입점자 단말기(100)에 채팅창을 표출시켜 상담 아이콘을 선택한 관람자와 특정 입점자가 일대일로 채팅 상담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소통 관리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 관리부(333)는,
    관람자가 채팅 상담을 위해 특정 입점자의 전시 부스(2)에 배치된 3D 기반의 상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특정 입점자가 다른 관람자와 채팅 상담 중이면, 상담 아이콘을 선택한 관람자의 관람자 단말기(200)에 대기 메시지를 표출시키고,
    다른 관람자와 채팅 상담 중이던 특정 입점자의 채팅 상담이 종료되면, 대기 중이던 관람자 단말기(200)와 특정 입점자의 입점자 단말기(100)에 채팅창을 표출시켜 특정 입점자와 관람자가 일대일로 채팅 상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채팅창은 문자 채팅, 화상 채팅, 음성 채팅, VR 채팅 중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채팅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3D 기반의 바이어 부스(4)에 배치된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 중, 바이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관람자가 관람자 단말기(200)를 통해 관심 분야와 미팅 가능 시간을 포함하는 바이어 정보를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가 3D 기반의 바이어 부스(4)에 배치된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 중, 입점자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등록된 바이어 정보를 입점자 단말기(100)로 제공하고, 입점자가 입점자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바이어를 선택하면 특정 바이어를 선택한 입점자와 행당 입점자가 선택한 바이어간 바이어 미팅이 성사된 것으로 플랫폼 서버(300)에 등록하고,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입점자 또는 관람자가 3D 기반의 바이어 부스(4)에 배치된 바이어 미팅 관련 아이콘(5) 중, 매칭결과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성사된 바이어 미팅 정보를 매칭결과 아이콘을 선택한 입점자 단말기(100) 또는 관람자 단말기(2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 미팅 관리부(340)는,
    성사된 미팅 건의 미팅시간이 도래하고, 해당 미팅 건의 당사자인 입점자와 바이어인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 상에 입장해 있으면, 해당 미팅 건의 당사자인 입점자의 입점자 단말기(100)와 바이어인 관람자의 관람자 단말기(200)에 채팅창을 동시에 표출시켜 해당 미팅 건의 당사자인 입점자와 바이어인 관람자가 상호 사업적 미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관람자가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상에서 컨퍼런스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퍼런스 관리부(3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퍼런스 관리부(350)는,
    3D 기반의 가상 사이버 전시 공간(1)에 입장한 관람자가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 배치된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7) 중, 컨퍼런스 정보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현재 진행되고 있거나 진행 예정인 컨퍼런스 정보가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하고,
    컨퍼런스 정보를 참고한 관람자가 3D 기반의 컨퍼런스 부스(6)에 배치된 컨퍼런스 관련 아이콘(7) 중, 컨퍼런스 입장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관람자가 강연자의 강연 내용을 시청하고 강연자와 소통할 수 있는 컨퍼런스 창이 관람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컨퍼런스 창은 관람자와 강연자가 문자 채팅, 화상 채팅, 음성 채팅, VR 채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퍼런스 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0210102402A 2021-08-04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67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402A KR102672516B1 (ko) 2021-08-04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402A KR102672516B1 (ko) 2021-08-04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697A true KR20230020697A (ko) 2023-02-13
KR102672516B1 KR102672516B1 (ko) 2024-06-05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564B1 (ko) 2019-11-25 2020-06-12 류경희 객체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가상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151451B1 (ko) 2018-11-30 2020-09-03 데이터킹주식회사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25494B1 (ko) 2019-11-01 2021-03-08 정연정 Vr 기기를 이용한 가상 박람회 체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451B1 (ko) 2018-11-30 2020-09-03 데이터킹주식회사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
KR102225494B1 (ko) 2019-11-01 2021-03-08 정연정 Vr 기기를 이용한 가상 박람회 체험 방법 및 장치
KR102122564B1 (ko) 2019-11-25 2020-06-12 류경희 객체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가상현실 공간을 이용한 전시장 플랫폼 구축 시스템
KR102219367B1 (ko) 2020-07-01 2021-02-24 주식회사 씨몬 온라인 가상 3d 전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27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00143486A1 (en) Method for partitioning social media environments and integrating collaboration applications
US9800829B2 (en) Architectural scale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therefore
US200201568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convention online
KR20170109458A (ko)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JP2024511431A (ja) ユーザ端末と連動して作動するサイネージシステム
KR20070121661A (ko) 그룹 응답 이벤트 호스팅 방법 및 장치
Weinstein et al. Technologies fo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The interprofessional education-distributed
TW200302990A (en)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providing education services for free talk services
Smith et al. Crisis preparedness and meeting planners’ perceptions
He et al. Exploring configuration of mixed reality spaces for communication
KR20230020697A (ko)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KR102672516B1 (ko) 가상공간을 이용한 사이버 전시 플랫폼 시스템
Van Maasakkers et al. Where should we have the meeting? Venue creation for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in planning
US20120324006A1 (en) Multi-touch for cloud computing
Michalak et al. Keeping Library Staff Safe: Using Zoom TVs to Bridge the Gap Between In-Person and Virtual Service Consultations During COVID-19
Fitzmaurice et al. Cinematic meeting facilities using large displays
Ritzel International Videoconferencing: A Reaction to Burke et al.
WO2022091765A1 (ja) 会議管理装置、会議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会議管理システム
Hillyer et al. Video reference—It's not your typical virtual reference: Video reference services for South Campus at the University of Nebraska at Omaha
Tang Supporting collaboration through teleproximity
Pinhanez et al. Projector-camera systems for telepresence
JP2023133895A (ja) イベント運営支援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Sidrowicz InfoComm 2021: Small yet mighty
KR20240044086A (ko)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전시 운영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