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458A -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458A
KR20170109458A KR1020160033640A KR20160033640A KR20170109458A KR 20170109458 A KR20170109458 A KR 20170109458A KR 1020160033640 A KR1020160033640 A KR 1020160033640A KR 20160033640 A KR20160033640 A KR 20160033640A KR 20170109458 A KR20170109458 A KR 20170109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online platform
learning
sharing
platform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석
이명열
송다영
이효정
최유리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니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니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니션
Priority to KR102016003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9458A/ko
Publication of KR2017010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 플랫폼 서비스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인터넷이나 영상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학습자의 세부적인 학습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없어 자신의 능력 향상을 가져오기 어려운 한계가 있고, 또한,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있어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 공유 및 의견수렴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결과물에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에 최종 결과물이 산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이 일목요연하게 확인될 수 있는 데 더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개된 결과물에 대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하며,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에서 거래까지의 모든 과정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online flatform service capable of recording, cooperation, sharing, learning and trading}
온라인 교육 플랫폼 서비스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기존의 인터넷이나 영상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단방향의 소통만이 가능함으로 인해 실제 학습자의 세부적인 학습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없고, 디자인 과정상의 중간 결과물에 대하여 문서나 이미지에 직접 의견을 주고받을 수 없어 학습자가 획일적인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 향상을 가져오기 어려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결과물에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있어서, 파일서버, 이메일,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을 이용하여 각자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전송하고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은 오프라인이나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한 세부 단계의 결과물 공유 및 의견수렴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여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동시에,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에 최종 결과물이 산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이 일목요연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데 더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개된 결과물에 대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에서 거래까지의 모든 과정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에 있어서, 다수의 인원이 하나의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기록, 협업 및 공유를 위해 각자 작업한 작업내용이 저장된 파일을 파일서버, 이메일,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을 통해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하여 서로 교환하는 것으로 작업내용의 협업이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각자의 인원이 전체적인 내용이 아닌 파편적인 내용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해당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진행 내역이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고, 이와 같이 디자인 과정상의 중간 산출물에 대하여 해당 문서나 이미지에 직접 의견을 주고받으며 프로젝트 과정을 기록하는 과정에 제한이 많음으로 인해 디자인 프로젝트의 결과물 향상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그로 인해, 종래, 디자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맥락과 의사결정 과정은 대부분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직접 만나서 해결해야 하므로 다수의 인원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 모이기 위하여는 인원이 많을수록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를 들면, 인터넷 강의나 동영상 강의와 같이, 종래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들은 대부분 단방향의 소통 통로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도자의 입장에서 실제 학습자의 학습 진행 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학습자의 입장에서도 단순한 결과물보다는 전체적인 맥락과 과정을 확인하여 전체적인 과정에 대한 지도를 받는 것이 중요하나, 종래의 온라인 교육시스템들은, 대부분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학습과정을 제시할 뿐이므로 각각의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아울러, 종래의 온라인 학습 시스템들은, 학습자가 직접 실습을 해야 하는 경우 원격으로 이를 지도받을 방법이 없다시피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인원이 각자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진행 내역이나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고, 프로젝트 관리 및 진행을 위한 의사결정을 위해 다수의 인원이 모이기 위하여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많은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의 문제점 및 인터넷 강의나 동영상 강의와 같이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학습과정을 제시하는 것에 그침으로 인해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온라인 학습시스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실시간으로 결과물을 제시하고,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자신의 결과물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각각의 구성원이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각각의 결과물에 서로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 받는 과정을 통하여 결과물의 내용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이러한 여러 가지 중간단계를 거쳐 최종 결과물이 나오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연결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진행이 일목요연하게 확인될 수 있는 동시에, 학습자와 지도자 간의 자유로운 실시간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온라인을 통한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서비스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3835호 (2015.02.10.)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7304호 (2006.02.24.)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70577호 (2002.09.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기존의 인터넷이나 영상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단방향의 소통만이 가능함으로 인해 실제 학습자의 세부적인 학습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없고, 디자인 과정상의 중간 결과물에 대하여 문서나 이미지에 직접 의견을 주고받을 수 없어 학습자가 획일적인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 향상을 가져오기 어려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결과물에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있어서, 파일서버, 이메일,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을 이용하여 각자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전송하고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은 오프라인이나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한 세부 단계의 결과물 공유 및 의견수렴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여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동시에,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에 최종 결과물이 산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이 일목요연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데 더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개된 결과물에 대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에서 거래까지의 모든 과정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자인 프로젝트를 기록, 협업, 공유, 학습할 수 있는 웹(Web) 및 모바일(Mobile)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구축하는 온라인 플랫폼 구축단계;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 구축단계에서 구축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웹(Web)과 모바일(Mobile)을 통하여 원격으로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를 기록, 협업, 공유, 교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 구축단계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은, 각각의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 선정된 최종 결과물의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의 참여자와 열람자를 구분하여 각각의 진행과정 및 열람내역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각각의 사용자가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상기 결과물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내용을 지도자에게 공개하면, 상기 지도자가 상기 학습내용을 검토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피드백하여 지도하는 과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를 열람하고 원하는 결과물을 구매하는 거래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완성 및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진행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컨텐츠를 열람시 각각의 열람자에게 해당 컨텐츠의 열람에 대한 비용을 지불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외부에 공개하기 전에 디자인 등록을 위한 양식을 작성하여 해당 기관에 자동으로 송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작자의 권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디자인 프로젝트 플랫폼이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디자인 교육서비스 플랫폼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결과물에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기존의 인터넷이나 영상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단방향의 소통만이 가능함으로 인해 실제 학습자의 세부적인 학습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없고, 디자인 과정상의 중간 결과물에 대하여 문서나 이미지에 직접 의견을 주고받을 수 없어 학습자가 획일적인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 향상을 가져오기 어려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있어서,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여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동시에,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에 최종 결과물이 산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이 일목요연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파일서버, 이메일,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을 이용하여 각자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전송하고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은 오프라인이나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한 세부 단계의 결과물 공유 및 의견수렴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개된 결과물에 대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데 더하여,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에서 거래까지의 모든 과정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실제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기존의 인터넷이나 영상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단방향의 소통만이 가능함으로 인해 실제 학습자의 세부적인 학습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없고, 디자인 과정상의 중간 결과물에 대하여 문서나 이미지에 직접 의견을 주고받을 수 없어 학습자가 획일적인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 향상을 가져오기 어려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결과물에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있어서, 파일서버, 이메일,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을 이용하여 각자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전송하고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은 오프라인이나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한 세부 단계의 결과물 공유 및 의견수렴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여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동시에,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에 최종 결과물이 산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이 일목요연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데 더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개된 결과물에 대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에서 거래까지의 모든 과정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11)와,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11)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11)는, 예를 들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등에 연결되는 서버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고,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2)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PC와 같은 고정식 단말기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이,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PC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11)에 접속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실제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11)에 접속하고 회원가입을 행한 후, 로그인을 행하여 로그인이 성공하면, 해당 사용자가 업로드한 프로젝트 및 결과물을 표시하는 메인화면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러한 메인화면에서 원하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면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11)에서 해당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시, 디자인 프로젝트의 각각의 구성원들이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을 업로드하면 동일 프로젝트의 구성원들에게 해당 내용이 표시됨으로써, 각각의 구성원들이 서로의 결과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원들이 서로의 결과물을 확인하는 것과 동시에 각 구성원들 사이에 메시지 전송 등과 같은 토론기능이 함께 제공됨으로써, 서로의 작업내용에 대하여 의견을 주고받아 피드백하는 과정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11)에서는, 디자인 프로젝트의 구성원과 아닌 사람(이하, '열람자'라 함)을 구분하여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및 열람내역을 각각 구분하여 관리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디자인 프로젝트 구성원이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결과물에 대하여 다른 구성원들과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됨으로써, 디자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및 공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디자인 프로젝트의 공유 및 진행뿐만 아니라, 학습 및 교육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하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11)에 접속하고 회원가입을 행한 후, 로그인을 행하면, 해당 학습자에게 해당하는 학습내용이 메인화면에 표시되며, 학습자가 학습내용이나 과제물 등의 학습내용을 업로드 또는 자신의 지도자에 전송하면, 지도자가 학습내용을 검토하여 학습자에게 다시 피드백하는 것에 의해 학습 및 지도과정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면,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즉각적인 지도를 받을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지도자에 있어서도 다수의 학습자를 일일이 찾아가거나 할 필요 없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관리 및 지도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플랫폼에 업로드된 디자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열람하고, 원하는 결과물을 구매하는 거래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컨텐츠의 판메 이외에,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컨텐츠를 열람시 각각의 열람자에게 해당 컨텐츠의 열람에 대한 비용 지불을 요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디자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에 대한 거래 및 과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디자인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완성 및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단일의 서비스 내에서 용이하고 편리하게 진행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 수익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축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디자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외부에 공개하기 전에, 디자인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위한 양식을 작성하여 해당 기관에 자동으로 송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업로드된 디자인이 공개되기 전에 저작권 등록을 위한 양식을 자동으로 작성하여 해당 기관에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불법적인 도용이나 침해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거래 및 과금기능과 저작권 등록기능은,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내에서 직접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연계해 주는 등과 같이, 일종의 중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디자인 프로젝트를 기록, 협업, 공유, 학습할 수 있는 웹(Web) 및 모바일(Mobile)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가 제공되며, 이를 이용하여, 웹(Web)과 모바일(Mobile)을 통하여 원격으로 디자인 프로젝트를 기록, 협업, 공유, 교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각각의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 선정된 최종 결과물의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화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며, 이때, 프로젝트 참여자와 열람자를 구분하여 각각의 과정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프로젝트를 열람하고 원하는 결과물을 구매하는 거래기능이 제공됨으로써,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완성 및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진행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해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상기한 디자인 프로젝트 이외에 다른 분야에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결과물에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기존의 인터넷이나 영상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은 단방향의 소통만이 가능함으로 인해 실제 학습자의 세부적인 학습 진행과정을 파악할 수 없고, 디자인 과정상의 중간 결과물에 대하여 문서나 이미지에 직접 의견을 주고받을 수 없어 학습자가 획일적인 과정에서 자신의 능력 향상을 가져오기 어려는 한계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분야의 온라인 교육 서비스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있어서,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여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동시에,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에 최종 결과물이 산출되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의해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이 일목요연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파일서버, 이메일,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을 이용하여 각자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전송하고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과정은 오프라인이나 별도의 시스템을 이용함으로 인해 프로젝트의 진행을 위한 세부 단계의 결과물 공유 및 의견수렴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개된 결과물에 대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에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실시간으로 의견을 주고받는 것에 의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고, 다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디자인 프로젝트에 대한 공유 및 협업이 용이한 데 더하여, 디자인 프로젝트의 진행에서 거래까지의 모든 과정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11.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서버
12.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디자인 프로젝트를 기록, 협업, 공유, 학습할 수 있는 웹(Web) 및 모바일(Mobile)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구축하는 온라인 플랫폼 구축단계; 및
    상기 온라인 플랫폼 구축단계에서 구축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웹(Web)과 모바일(Mobile)을 통하여 원격으로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를 기록, 협업, 공유, 교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 구축단계에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은,
    각각의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여러 가지 디자인 시안 중 선정된 최종 결과물의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의 참여자와 열람자를 구분하여 각각의 진행과정 및 열람내역을 구분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각각의 사용자가 디자인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세부 단계의 결과물을 공개하고, 공개된 상기 결과물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직접적인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내용을 지도자에게 공개하면, 상기 지도자가 상기 학습내용을 검토하여 상기 학습자에게 피드백하여 지도하는 과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를 열람하고 원하는 결과물을 구매하는 거래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완성 및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진행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들이 특정 컨텐츠를 열람시 각각의 열람자에게 해당 컨텐츠의 열람에 대한 비용을 지불받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디자인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외부에 공개하기 전에 디자인 등록을 위한 양식을 작성하여 해당 기관에 자동으로 송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원작자의 권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9.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10.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서비스 시스템.
KR1020160033640A 2016-03-21 2016-03-21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KR20170109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640A KR20170109458A (ko) 2016-03-21 2016-03-21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640A KR20170109458A (ko) 2016-03-21 2016-03-21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458A true KR20170109458A (ko) 2017-09-29

Family

ID=6003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640A KR20170109458A (ko) 2016-03-21 2016-03-21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45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150A (ko) 2019-07-16 2021-01-2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콘텐츠 유통관리용 확장형 온라인 범용 플랫폼 시스템
KR20210026642A (ko) 2019-08-30 2021-03-1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플랫폼 기반 강의컨텐츠 생성방법
KR20210026647A (ko) 2019-08-30 2021-03-1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플랫폼 기반 크라우드펀딩 컨텐츠 생성방법
KR20210055391A (ko)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사람과가치연구소 프로젝트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KR20210104325A (ko)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코딩플러스 콘텐츠 협업을 통한 통합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462139B1 (ko) * 2022-07-14 2022-11-03 주식회사 고브이알 3d 에셋 배치를 이용한 교육용 메타버스 구현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9150A (ko) 2019-07-16 2021-01-2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콘텐츠 유통관리용 확장형 온라인 범용 플랫폼 시스템
KR20210026642A (ko) 2019-08-30 2021-03-1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플랫폼 기반 강의컨텐츠 생성방법
KR20210026647A (ko) 2019-08-30 2021-03-10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플랫폼 기반 크라우드펀딩 컨텐츠 생성방법
KR20210055391A (ko)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사람과가치연구소 프로젝트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KR20210104325A (ko)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코딩플러스 콘텐츠 협업을 통한 통합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거래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462139B1 (ko) * 2022-07-14 2022-11-03 주식회사 고브이알 3d 에셋 배치를 이용한 교육용 메타버스 구현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9458A (ko) 프로젝트의 기록, 협업, 공유, 학습 및 거래가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제공방법
Ghobadi et al. An investig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adop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acchi et al. Action research practices and media for development
Wood Where are the faculty? Fulfilling the traditional faculty role at a distance
Truong et al. Good, fast, cheap: How centers of teaching and learning can capitalize in today's resource‐constrained context
Cochrane et al. Mobile social media as a catalyst for collaborative curriculum redesign
Leppisaari et al. International e-benchmarking: flexible peer development of authentic learning principles in higher education
Fong E-collaborations and virtual organizations
KR20140005493U (ko) 출석체크 및 팀활동을 가능하게 한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Reamer Digital technology in social work
KR102071133B1 (ko) 커뮤니티 기반의 운동예약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Govaerts et al. Tutoring teachers-building an online tutoring platform for the teacher community
Turban et al. Innovative EC systems: from E-Government to E-Learning, knowledge management, E-Health, and C2C commerce
KR20130049227A (ko) 도식화된 좌석 플랫폼을 이용한 클래스 대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Dugan et al. Campus career collaboration:“Do the research. Land the job.”
Swarm et al. A case study for combining technologies for the delivery of information literacy and community to students at remote locations using live synchronous video-conferencing
TW202211676A (zh) 線上會議展覽方法
Hearn et al. New media challenge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mmunication engagement
Michalak et al. Keeping Library Staff Safe: Using Zoom TVs to Bridge the Gap Between In-Person and Virtual Service Consultations During COVID-19
Dominic et al. A framework for student‐led education conferences
Holdsworth et al. Can webinars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video consultations at pace and scale within the allied health professions?
Irwin et al. New Directions, New Relationships: The Smithsonian's Twenty‐first Century Learning in Natural History Settings Conference and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JP7378827B2 (ja) 学習塾向けの教務システム
Hardy et al. Driving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remotely
TW201201134A (en) A Learning Process System for File Sharing, Exchanging and Job See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