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022A -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022A
KR20230104022A KR1020220188250A KR20220188250A KR20230104022A KR 20230104022 A KR20230104022 A KR 20230104022A KR 1020220188250 A KR1020220188250 A KR 1020220188250A KR 20220188250 A KR20220188250 A KR 20220188250A KR 20230104022 A KR20230104022 A KR 20230104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type
virtual
virtual prototype
verif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775B1 (ko
KR20230104022A9 (ko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포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포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포레
Publication of KR2023010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022A/ko
Publication of KR20230104022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022A9/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Geome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Abstract

가상융합기술(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에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부,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네트워크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과 그의 검증 메뉴창을 제공하고, 상기 검증 메뉴창의 사용자 선택 입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하며,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IING PROTOTYPES BASED ON XR}
본 개시는 시제품 검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융합기술(XR) 기반으로 시제품 가상화 서비스,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 그리고 시제품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융합기술(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비창업자 및 창업자들은,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의 아이디어를 시제품화하여 이를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처럼, 예비창업자 및 창업자들은, 제품의 아이디어를 2D 스케치에서부터 제조 가능한 3차원의 데이터로 발전시켜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며, 해당 아이디어에 대한 검증을 위한 많은 의사소통도 필요하다.
또한, 예비창업자 및 창업자들은, 제품 개발 초기 아이디어를 빠르게 3차원으로 가상화하고 시각화하여 이를 공유하고 검증할 수 있는 과정도 필요하다.
하지만,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환경에서, 제품 개발 진행 시에 많은 소통의 문제가 발생하고, 아이디어 검증을 위해 시제품 제작에 드는 많은 예산과 노력이 드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실제 제품이 양산되기까지 검증을 위한 많은 단계의 시제품 제작으로 인하여, 많은 예비창업자 및 창업자들은, 노력(Communication Cost)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들이 있었다.
따라서, 시제품 제작에 드는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하고, 효과적인 시제품 검증이 가능하며, 비대면 환경에 적합한 비대면 전시 및 홍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제품 검증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03963호(2015년 01월 12일)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제공하고, 시제품 가상화 검증 서비스,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 그리고 시제품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융합기술(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제품 검증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부,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네트워크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과 그의 검증 메뉴창을 제공하고, 상기 검증 메뉴창의 사용자 선택 입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하며,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사전에 업로드된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목록으로부터 검증하고자 하는 가상 시제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가상 시제품에 상응하는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증 메뉴창을 제공할 때, 상기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메뉴, 재질 검증 메뉴,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 메뉴를 포함하는 검증 메뉴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크기, 형태 및 부품간의 결합이 설계 시의 시제품과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부품 파트별로 특정 재질을 적용하여 다양한 라이팅 환경에서 재질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외형과 내부의 기구적 부분의 조립성 및 움직임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할 때,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이 있으면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를 위한 동적 링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제품 방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하고,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시연 및 전시 상황 중 원하는 화면을 실시간 라이브 방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제품 검증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과 그의 검증 메뉴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증 메뉴창의 사용자 선택 입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협업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제공하고, 시제품 가상화 검증 서비스,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 그리고 시제품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품 개발 프로세스 개선으로 인한 비용, 노력,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제품 개발 초기 아이디어 단계 검증을 효과적으로 진행하여, 제품을 개발하려는 예비창업자, 창업자, 소상공인의 비용, 노력, 시간을 실질적으로 절약하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제품의 크기 형태 등을 빠르게 확인하는 소프트 목업 단계, 색, 재질, 소재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자인 목업 단계 등을 제공하므로, 시제품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누구나(일반인·비전문가) 활용 가능한 가상융합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3차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빠르게 내려야 하는 모든 사람에게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높여줄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제품을 개발하려는 사용자와 시제품 제작업체 간의 대면 또는 비대면 의사소통에도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시제품 제작 프로세스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하여 4차산업시대 미래 제조업으로 견인할 수 있고, 일련의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디지털 및 데이터화하고 축적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수집, 분석,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수 있으며, 소상공인 맞춤형 온라인 판로 지원, 스마트 상점 및 공방 등 비대면 산업 육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검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프로세서의 구성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검증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방송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검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검증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부(150),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0), 네트워크부(150) 및 메모리(13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증강 현실 글래스(AR Glasses),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이동형 기기일 수 있고,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은, 증강 현실(AR) 영상, 가상 현실(VR) 영상, 혼합 현실(MR) 영상을 표시하는 이동형 기기 및 고정형 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PC(Personal Computer)(24), 네트워크 TV(Network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스마트 TV(Smart TV), IPTV(Internet Protocol TV) 등과 같은 고정형 디바이스(standing device)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26), 노트북(Notebook)(22),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or handheld device)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시제품 검증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를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데, 페어링 또는/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칭한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규격에 의해 현재 또는 향후 지원될 통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그를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모두 지원 가능하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에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Wi-Fi 다이렉트(direct)와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시제품 검증 장치(100)는,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메일(e-mail),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시제품 검증 장치(100)는,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 및 Web OS를 이용할 수 있으며, 범용의 OS 커널(OS kernel) 또는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상에 다양한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추가(adding), 삭제(deleting), 수정(amending), 업데이트(updating) 등을 처리가 가능하며, 그를 통해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user-friendly) 환경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시제품 검증 장치(100)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외부 입력으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플레이스테이션(playstation)이나 엑스-박스(X-Box) 등과 같은 게임 디바이스(game device), 스마트 폰, 태블릿 PC, 포켓 포토(pocket photo) 등과 같은 프린터기(printing device), 스마트 TV, 블루-레이(Blu-ray device) 디바이스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시제품 검증 장치(100)는, 웹 페이지(web page), 웹 컨텐트 또는 웹 서비스(web content or web service)를 제공하는 포털 서버(portal server), 광고 데이터(advertising data)를 제공하는 광고 서버(advertising server), 컨텐트를 제공하는 컨텐트 서버(content server),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하는 SNS 서버, 제조업체(manufacturer)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 VoD(Video on Demand)나 스트리밍(streaminng) 서비스 제공을 위한 MVPD(Multichannel Video Programming Distributor), 유료 서비스(pay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네트워크부(150)는, 무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그리고 위치 정보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 모듈은, 시제품 검증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 사이 또는 시제품 검증 장치(100)와 참여자 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다.
다음,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은, 시제품 검증 장치(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비콘 모듈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시제품 검증 장치(1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참여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제품 검증 장치(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참여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제품 검증 장치(100)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의 비가청음파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참여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메모리(130)는,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 시제품 가상화 검증 서비스,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 그리고 시제품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정보 및 참여자 단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이상 탐지 장치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어, 본 개시의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시제품 가상화 검증 서비스,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 그리고 시제품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출력부 및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출력부는, 시제품 검증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고, 프로세서(11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네트워크부(15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출력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데,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키 및/또는 버튼들, 또는 물리적인 키 및/또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사용자 등의 음성 또는 동작을 수신하여 이를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 또는 동작 인식(Motion Recognition)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입력부는, 시제품 검증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비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비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드, 터치 펜, 키보드 또는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입력부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으며, 출력부와 동일한 구성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터치 스크린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SAW) 방식, 압전 방식, 저항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터치 스크린 패널이 시제품 검증 장치(100)에 채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입력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입력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입력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프로세서(110)는 입력부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메모리(130)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과 그의 검증 메뉴창을 제공하고, 검증 메뉴창의 사용자 선택 입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하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검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추출할 때,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사전에 업로드된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목록으로부터 검증하고자 하는 가상 시제품이 선택되면 선택된 가상 시제품에 상응하는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메모리(13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가상 시제품 목록을 제공할 때,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썸네일 이미지들이 배열되는 가상 시제품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썸네일 이미지들은, 시제품별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각 가상 시제품별로 공개 또는 비공개 선택 필드를 제공하고, 공개 또는 비공개 선택 필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가상 시제품의 공개 또는 비공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각 가상 시제품별로 SNS 공유 선택 필드를 제공하고, SNS 공유 선택 필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가상 시제품을 SNS를 통한 공유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제공할 때, 에셋 런타임 로더(asset runtime loader)를 사용하여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10)는, GLTF, FBX, OBJ를 포함하는 범용 포맷 파일을 갖는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가상 공간에 불러오고, 가상 시제품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애니메이션을 임포트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제공할 때, PBR(Physically Based Render) 기반 뷰어(viewer)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이동, 회전, 확대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풀 렌더링(full rendering) 및 와이어 프레임 모드(wire frame mode)를 포함하는 쉐딩 모드(shading mode) 변경이 가능한 사용자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검증 메뉴창을 제공할 때,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메뉴, 재질 검증 메뉴,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 메뉴를 포함하는 검증 메뉴창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크기, 형태 및 부품간의 결합이 설계 시의 시제품과 동일한지를 검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부품 파트별로 특정 재질을 적용하여 다양한 라이팅 환경에서 재질을 검증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프로세서(110)는, 가상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외형과 내부의 기구적 부분의 조립성 및 움직임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할 때,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요청이면 가상 공간 내에서 다양한 각도로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형상 및 비율을 확인하도록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이동, 회전 및 확대 기능을 제공하고,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구성 부품 크기를 측정하도록 가상 자(rul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할 때,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요청이면 가상 공간에서 사실적인 시제품 확인이 가능하도록 PBR(Physically Based Render) 기반 실시간 그래픽스(realtime graphics) 재질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실시간 그래픽스 재질 라이브러리를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파트별 PBR 재질 변경 기능 및 PBR 재질별 속성 변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컬러(color), 거칠기(roughness), 메탈릭(metallic), 노말맵(normalmap) 등을 포함하는 PBR 재질별 속성 변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할 때,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요청이면 가상 공간 내 실시간 라이팅 조절 기능과 가상 환경 변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조명 밝기, 조명 컬러, 조명 퍼짐, 그림자 조절 기능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라이팅 조절 기능과, 3차원 환경 및 3차원 이미지 지원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이 위치하는 가상 환경을 변경하는 가상 환경 변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할 때,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요청이면 가상 공간 내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사용자의 텍스트 정보를 기재하여 주석(annotation)을 삽입하는 주석 삽입 기능, 3차원 가상 시제품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자료 연동 기능, 그리고 3차원 라인 드로잉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보조 기능을 포함하는 시제품 검증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가상 공간 내에 사용자 텍스트 입력 및 표시 기능과 가상 공간 내에 정확한 위치에 텍스트 박스가 연동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석 삽입 기능을 제공하고, 유튜브 영상, PDF 문서, 웹 페이지를 가상 공간에 함께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자료 연동 기능을 제공하며, 굵기 및 색상 변경 지원이 가능한 3차원 라인 드로잉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검증 결과를 제공할 때,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에 대한 제1 검증 결과,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에 대한 제2 검증 결과, 그리고 가상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에 대한 제3 검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제1 검증 결과, 제2 검증 결과, 그리고 제3 겸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검증 결과 요청을 수신하면 검증 결과 요청을 기반으로 검증 종류를 확인하고, 제1 검증 결과, 제2 검증 결과, 그리고 제3 겸증 결과 중 검증 종류에 상응하는 검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메모리(130)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할 때,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하도록 크로스 플랫폼 환경을 고려한 3차원 가상 시제품 실시간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할 때, 해상도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변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사용자 단말의 성능을 고려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의 렌더링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할 때,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이 있으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를 위한 동적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자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를 위한 동적 링크를 생성하고, 보안 링크를 통한 3차원 가상 시제품 뷰어(Viewer) 접근 기능, SNS를 연동하는 3차원 가상 시제품 공유 기능, 동적 링크 기간 제한 설정 기능, 그리고 동적 링크 패스워드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이 공유되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공유하고자 하는 참여자 단말로 초대 링크를 전송하고, 초대 링크를 통해 참여자 단말과의 양방향 상호 소통 기반으로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제품 분해 조립, 재질 및 조명 변경, 그리고 음성 채팅을 포함하는 양방향 상호 소통 기반으로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국내 및 국외 원격지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및 복수의 참여자 단말들이 동시 접속하도록 크로스 플랫폼 네트워크 동시 접속 기능, 음성 채팅 기능, 그리고 발표 및 편집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시제품 방송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메모리(130)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하고,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시연 및 전시 상황 중 원하는 화면을 실시간 라이브 방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라이브 방송할 때, 전체 화면 모드, 라이브(Live) 로고 표시, UI/UX 선택적 숨김 기능을 포함하는 VR 방송 연계 모드 기능과 방송 관련 기능 패널 제작을 제공하고, 유튜브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방송을 연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라이브 방송할 때,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 및 미디어의 입력 신호(HDMI Input)를 최소 4개까지 스위칭하는 입력 신호 스위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최소 4개의 HDMI 신호 입력 처리 기능과 방송 컨트롤을 위한 별도의 PC 앱을 제공하고, VR 및 AR 방송 연계 중 3차원 가상 시제품 화면을 스위처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라이브 방송할 때, AR 방송 중 다양한 디바이스로 가상공간에 접속한 원격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양방향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10)는, 크로스 플랫폼 기반 양방향 이벤트 동기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양방향 이벤트 동기화 기능은, VR 및 AR 방송 중에 실시간 투표, 응원 및 격려 메시지 보내기를 포함하는 가상 이벤트를 진행하기 위한 이벤트(Event) 실시간 동기화 기능과, 참여자들이 이벤트 참여 데이터를 집계하여 막대 그래프 및 파이 그래프를 포함하는 3차원 형태로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제공하고, 시제품 가상화 검증 서비스,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 그리고 시제품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제품 개발 프로세스 개선으로 인한 비용, 노력,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제품 개발 초기 아이디어 단계 검증을 효과적으로 진행하여, 제품을 개발하려는 예비창업자, 창업자, 소상공인의 비용, 노력, 시간을 실질적으로 절약하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제품의 크기 형태 등을 빠르게 확인하는 소프트 목업 단계, 색, 재질, 소재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자인 목업 단계 등을 제공하므로, 시제품 제작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누구나(일반인·비전문가) 활용 가능한 가상융합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3차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빠르게 내려야 하는 모든 사람에게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높여줄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제품을 개발하려는 사용자와 시제품 제작업체 간의 대면 또는 비대면 의사소통에도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시제품 제작 프로세스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하여 4차산업시대 미래 제조업으로 견인할 수 있고, 일련의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디지털 및 데이터화하고 축적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수집, 분석,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수 있으며, 소상공인 맞춤형 온라인 판로 지원, 스마트 상점 및 공방 등 비대면 산업 육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프로세서의 구성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프로세서(110)는, 시제품 가상화 모듈(112),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모듈(114), 그리고 시제품 방송 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제품 가상화 모듈(112)은, 가상 시제품의 정확한 크기, 형태, 재질, 그리고 부품 간 조립(Assembly)을 테스트하여 도면상에 보이지 않은 잠재적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제품 가상화 모듈(112)은,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를 검증하는 제1 검증 기능, 가상 시제품의 재질을 검증하는 제2 검증 기능, 가상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을 검증하는 제3 검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시제품 가상화 모듈(112)은,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를 검증하는 제1 검증 기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크기, 형태 및 부품간의 결합이 설계 시의 시제품과 동일한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시제품 가상화 모듈(112)은, 가상 시제품의 재질을 검증하는 제2 검증 기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부품 파트별로 특정 재질을 적용하여 다양한 라이팅 환경에서 재질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시제품 가상화 모듈(112)은, 가상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을 검증하는 제3 검증 기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외형과 내부의 기구적 부분의 조립성 및 움직임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모듈(114)은, 사용자의 시제품 라이브러리를 언제 어디서든지 실감있게 시연하고, 간편하게 공유하여 전문가 및 잠재 수요처와 상호소통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모듈(114)은, 시제품 시연 기능, 시제품 공유 기능, 그리고 인터랙션 기반 상호 소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모듈(114)은, 시제품 시연 기능을 통해, 3차원 웹(Web)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가상 시제품을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디바이스 환경(PC, 모바일 폰, 스마트 패드, VR, AR, MR 디바이스)에서 동일하게 확인 및 시연할 수 있다.
또한,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모듈(114)은, 시제품 공유 기능을 통해, 국내 및 국외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전문가, 멘토, 수요처 등에 자신의 3차원 시제품 데이터 및 시제품 데이터 라이브러리를 웹 주소(URL)를 통해 공유하여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모듈(114)은, 인터랙션 기반 상호 소통 기능을 통해,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전문가 및 수요처에 초대 링크를(URL) 전송하여 웹, 모바일, XR 환경에서 몰입적인 가상 시제품을 시연하고, 초대받은 참여자도 양방향 상호작용(제품분해조립, 재질 및 조명 변경, 음성채팅 등)기반 시제품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 시제품 방송 모듈(116)은, 제작된 3차원 가상 시제품을 활용하고, 다양한 전문가 및 잠재 수요처 관계자들에게 몰입감 있는 제품 홍보를 할 수 있는 AR 방송연계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제품 방송 모듈(116)은, 실시간 AR 라이브 방송 기능, 입력 신호 스위칭 기능, 그리고 AR 방송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제품 방송 모듈(116)은, 실시간 AR 라이브 방송 기능을 통해, 시제품 검증, 전시, 시연 상황 중 원하는 화면을 실시간으로 방송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시제품 방송 모듈(116)은, 입력 신호 스위칭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 및 미디어의 입력 신호(HDMI Input)를 최소 4개까지 스위칭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제품 방송 모듈(116)은, AR 방송 사용자 인터랙션 기능을 통해, AR 방송 중 다양한 디바이스로 가상공간에 접속한 원격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양방향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검증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시제품 검증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상 시제품의 정확한 크기, 형태, 재질, 그리고 부품 간 조립(Assembly)을 테스트하여 도면상에 보이지 않은 잠재적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개시는, 에셋 런타임 로더(asset runtime loader)를 사용하여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업로드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개시는, GLTF, FBX, OBJ를 포함하는 범용 포맷 파일을 갖는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가상 공간에 불러오고, 가상 시제품 데이터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3차원 애니메이션을 임포트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PBR(Physically Based Render) 기반 뷰어(viewer)를 이용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이동, 회전, 확대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풀 렌더링(full rendering) 및 와이어 프레임 모드(wire frame mode)를 포함하는 쉐딩 모드(shading mode) 변경이 가능한 사용자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썸네일 이미지들이 배열되는 가상 시제품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썸네일 이미지들은, 시제품별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각 가상 시제품별로 공개 또는 비공개 선택 필드를 제공하고, 공개 또는 비공개 선택 필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가상 시제품의 공개 또는 비공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개시는, 각 가상 시제품별로 SNS 공유 선택 필드를 제공하고, SNS 공유 선택 필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가상 시제품을 SNS를 통한 공유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요청이면 가상 공간 내에서 다양한 각도로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형상 및 비율을 확인하도록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이동, 회전 및 확대 기능을 제공하고,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구성 부품 크기를 측정하도록 가상 자(rul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5와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요청이면 가상 공간에서 사실적인 시제품 확인이 가능하도록 PBR(Physically Based Render) 기반 실시간 그래픽스(realtime graphics) 재질 라이브러리를 제공하고, 실시간 그래픽스 재질 라이브러리를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파트별 PBR 재질 변경 기능 및 PBR 재질별 속성 변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컬러(color), 거칠기(roughness), 메탈릭(metallic), 노말맵(normalmap) 등을 포함하는 PBR 재질별 속성 변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요청이면 가상 공간 내 실시간 라이팅 조절 기능과 가상 환경 변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조명 밝기, 조명 컬러, 조명 퍼짐, 그림자 조절 기능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라이팅 조절 기능과, 3차원 환경 및 3차원 이미지 지원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이 위치하는 가상 환경을 변경하는 가상 환경 변경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요청이면 가상 공간 내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사용자의 텍스트 정보를 기재하여 주석(annotation)을 삽입하는 주석 삽입 기능, 3차원 가상 시제품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자료 연동 기능, 그리고 3차원 라인 드로잉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보조 기능을 포함하는 시제품 검증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가상 공간 내에 사용자 텍스트 입력 및 표시 기능과 가상 공간 내에 정확한 위치에 텍스트 박스가 연동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석 삽입 기능을 제공하고, 유튜브 영상, PDF 문서, 웹 페이지를 가상 공간에 함께 연동하는 멀티미디어 자료 연동 기능을 제공하며, 굵기 및 색상 변경 지원이 가능한 3차원 라인 드로잉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 보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6과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 선택 입력이 가상 시제품의 조립 및 움직임 검증 요청이면 자동 어셈블리(assembly) 기능을 통해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제품 라이브러리를 언제 어디서든지 실감있게 시연하고, 간편하게 공유하여 전문가 및 잠재 수요처와 상호소통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업로드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 단말 환경에서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하도록 크로스 플랫폼 환경을 고려한 3차원 가상 시제품 실시간 연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해상도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변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사용자 단말의 성능을 고려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의 렌더링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본 개시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이 있으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를 위한 동적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자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하여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를 위한 동적 링크를 생성하고, 보안 링크를 통한 3차원 가상 시제품 뷰어(Viewer) 접근 기능, SNS를 연동하는 3차원 가상 시제품 공유 기능, 동적 링크 기간 제한 설정 기능, 그리고 동적 링크 패스워드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이, 본 개시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이 공유되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공유하고자 하는 참여자 단말로 초대 링크를 전송하고, 초대 링크를 통해 참여자 단말과의 양방향 상호 소통 기반으로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제품 분해 조립, 재질 및 조명 변경, 그리고 음성 채팅을 포함하는 양방향 상호 소통 기반으로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체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국내 및 국외 원격지에 위치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및 복수의 참여자 단말들이 동시 접속하도록 크로스 플랫폼 네트워크 동시 접속 기능, 음성 채팅 기능, 그리고 발표 및 편집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방송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시제품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제작된 3차원 가상 시제품을 활용하고, 다양한 전문가 및 잠재 수요처 관계자들에게 몰입감 있는 제품 홍보를 할 수 있는 AR 방송연계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본 개시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시연 및 전시 상황 중 원하는 화면을 실시간 라이브 방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전체 화면 모드, 라이브(Live) 로고 표시, UI/UX 선택적 숨김 기능을 포함하는 VR 방송 연계 모드 기능과 방송 관련 기능 패널 제작을 제공하고, 유튜브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방송을 연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 및 미디어의 입력 신호(HDMI Input)를 최소 4개까지 스위칭하는 입력 신호 스위칭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최소 4개의 HDMI 신호 입력 처리 기능과 방송 컨트롤을 위한 별도의 PC 앱을 제공하고, VR 및 AR 방송 연계 중 3차원 가상 시제품 화면을 스위처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와 같이, 본 개시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을 라이브 방송할 때, AR 방송 중 다양한 디바이스로 가상공간에 접속한 원격 네트워크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양방향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는, 크로스 플랫폼 기반 양방향 이벤트 동기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양방향 이벤트 동기화 기능은, VR 및 AR 방송 중에 실시간 투표, 응원 및 격려 메시지 보내기를 포함하는 가상 이벤트를 진행하기 위한 이벤트(Event) 실시간 동기화 기능과, 참여자들이 이벤트 참여 데이터를 집계하여 막대 그래프 및 파이 그래프를 포함하는 3차원 형태로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시제품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
그리고,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20).
여기서,.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사전에 업로드된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목록으로부터 검증하고자 하는 가상 시제품이 선택되면 선택된 가상 시제품에 상응하는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어, 본 개시는,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과 그의 검증 메뉴창을 제공할 수 있다(S30).
여기서, 본 개시는,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메뉴, 재질 검증 메뉴,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 메뉴를 포함하는 검증 메뉴창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본 개시는, 검증 메뉴창의 사용자 선택 입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할 수 있다(S40).
여기서, 본 개시는,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크기, 형태 및 부품간의 결합이 설계 시의 시제품과 동일한지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부품 파트별로 특정 재질을 적용하여 다양한 라이팅 환경에서 재질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가상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외형과 내부의 기구적 부분의 조립성 및 움직임을 검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검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S50).
여기서, 본 개시는,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에 대한 제1 검증 결과,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에 대한 제2 검증 결과, 그리고 가상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에 대한 제3 검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제1 검증 결과, 제2 검증 결과, 그리고 제3 겸증 결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이 있으면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를 위한 동적 링크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제품 방송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하고,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시연 및 전시 상황 중 원하는 화면을 실시간 라이브 방송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사용자 단말에 통신 연결하는 네트워크부;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네트워크부 및 메모리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과 그의 검증 메뉴창을 제공하고, 상기 검증 메뉴창의 사용자 선택 입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하며,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추출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사전에 업로드된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목록으로부터 검증하고자 하는 가상 시제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가상 시제품에 상응하는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증 메뉴창을 제공할 때, 상기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메뉴, 재질 검증 메뉴,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 메뉴를 포함하는 검증 메뉴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시제품의 크기 및 형태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크기, 형태 및 부품간의 결합이 설계 시의 시제품과 동일한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시제품의 재질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부품 파트별로 특정 재질을 적용하여 다양한 라이팅 환경에서 재질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시제품의 조립성 및 움직임 검증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외형과 내부의 기구적 부분의 조립성 및 움직임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터랙션 시연 및 전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할 때,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 요청이 있으면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공유를 위한 동적 링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시제품 방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스튜디오 공간에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을 시연 및 전시하고,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시연 및 전시 상황 중 원하는 화면을 실시간 라이브 방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장치.
  10.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가상 시제품 검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상 시제품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에 3차원 가상 시제품과 그의 검증 메뉴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증 메뉴창의 사용자 선택 입력을 통해 3차원 가상 시제품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가상 시제품의 검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제품 검증 방법.
KR1020220188250A 2021-12-31 2022-12-29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2630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691A KR20230103085A (ko) 2021-12-31 2021-12-31 Xr 기반의 시제품 검증 시스템
KR1020210193691 2021-12-31
DK1020210193691 2021-12-31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022A true KR20230104022A (ko) 2023-07-07
KR20230104022A9 KR20230104022A9 (ko) 2023-07-14
KR102630775B1 KR102630775B1 (ko) 2024-01-29

Family

ID=871548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691A KR20230103085A (ko) 2021-12-31 2021-12-31 Xr 기반의 시제품 검증 시스템
KR1020220188250A KR102630775B1 (ko) 2021-12-31 2022-12-29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691A KR20230103085A (ko) 2021-12-31 2021-12-31 Xr 기반의 시제품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0308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998A (ko) * 2007-08-29 2009-03-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3963A (ko) 2013-07-01 2015-01-12 주식회사 아이디어오디션 오디션에 기반한 제품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45663A (ko) * 2019-10-17 2021-04-27 (주)에프앤에스홀딩스 가상 패션 체험 콘텐츠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102276936B1 (ko) *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998A (ko) * 2007-08-29 2009-03-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3963A (ko) 2013-07-01 2015-01-12 주식회사 아이디어오디션 오디션에 기반한 제품 개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45663A (ko) * 2019-10-17 2021-04-27 (주)에프앤에스홀딩스 가상 패션 체험 콘텐츠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KR102276936B1 (ko) * 2021-01-15 2021-07-13 (주)제주넷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775B1 (ko) 2024-01-29
KR20230104022A9 (ko) 2023-07-14
KR20230103085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535B1 (ko)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이용한 설문 시스템, 방법 및 상기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생성하기 위한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저장 된 저장 매체
AU2017203904A1 (en) A system, device, or method for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US20220138470A1 (en) Techniques for Presentation Analysis Based on Audience Feedback, Reactions, and Gestures
US20220141532A1 (en) Techniques for rich interaction in remote live presentation and accurate suggestion for rehearsal through audience video analysis
KR20150137911A (ko) 사용자 단말 장치,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4504053A (ja) 二次元コード表示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JP6525043B2 (ja) 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9791B1 (ko)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전광판 구동시스템 및 방법
US11640273B2 (en) Infrastructure model collaboration via state distribution
KR101715828B1 (ko)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303772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and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KR101887081B1 (ko)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425672B1 (ko)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서버,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bim 기반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809673B1 (ko)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630775B1 (ko) Xr 기반 시제품 검증 장치 및 방법
Hosio et al. Situated engagement and virtual services in a smart city
CN107291834B (zh) 一种基于可读码的信息输入方法、设备和终端
KR101705812B1 (ko) Mr 콘텐츠 제작 장치 및 그 방법
CN114885213A (zh) 远程展示分享信息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696214A (zh) 房屋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Pfeiffer et al. Virtual prototyping of mixed reality interfaces with internet of things (IoT) connectivity
KR102020352B1 (ko) 3d 객체와 마커를 이용한 mr 콘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8359A (ko) Mr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6076B1 (ko) 미팅 참석자의 위치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TWI649998B (zh) 立體影像顯示方法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