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050A -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050A
KR20230075050A KR1020210161259A KR20210161259A KR20230075050A KR 20230075050 A KR20230075050 A KR 20230075050A KR 1020210161259 A KR1020210161259 A KR 1020210161259A KR 20210161259 A KR20210161259 A KR 20210161259A KR 20230075050 A KR20230075050 A KR 20230075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space
content
additional conten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머스
Priority to KR102021016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050A/ko
Publication of KR2023007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유저가 자신이 저작한 컨텐츠들을 전시물로서 가상의 공간 상에 전시하는 전시 공간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고, 다른 유저와의 공감이 가능한 부가적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시물의 전시에 대한 흥미도 및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유저 단말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될 전시물의 모델링 데이터인 전시물 객체 데이터와, 3차원 가상 공간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 시, 속성 정보에 따라 생성된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전시물 객체 데이터에 따라 시각화된 전시물 객체를 배치하여,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인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공간 제작부;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것으로서, 전시물 객체를 전시 공간을 이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시, 전시물 객체의 관람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인 부가 컨텐츠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각 전시물 객체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는 부가 컨텐츠 설정부; 및 공간 제작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시 공간에 부가 컨텐츠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부가 컨텐츠를 적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전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전시 공간의 이용 시 부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DEVICES FOR CREATING VR EXHIBITION SPACES}
본 발명은 VR 및 AR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유저들이 이용 가능한 공간으로서, 2차원 또는 3차원 전시물을 가상공간에 배치하고 유저들이 가상 공간의 FOV를 조작함에 따라서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신이 제작한 전시물을 상기의 가상 공간에 전시하고자 하는 유저의 니즈에 대응하여, 유저가 편리하게 가상 공간에 전시물 배치가 가능하고, 전시물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대면 사회가 구축되면서 유튜브 등 다양한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통한 문화 컨텐츠의 이용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콘서트 등의 경우에도, 스테이지에서 연주자가 연주를 진행하는 상황을 카메라 등으로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 스트리밍 도는 녹화 컨텐츠에 대한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를 통해서 다수의 사용자가 원격에서 비대면 상태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문화 컨텐츠 서비스는, 음악, 연극, 오페라 등 공연 컨텐츠의 경우 매우 효율적이고 현재 구축된상기의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통해서 구현이 가능한 이유로, 그 이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연 컨텐츠와 달리, 그림, 조각 등의 미술품과 기타 전시물의 경우, 즉각적으로 유저들이 컨텐츠에 대한 이해 등을 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즉, 상술한 전시물은 전시물에 대해서 유저가 시간을 갖고 주시하거나, 그 컨텐츠에 함유된 내용들에 대한 큐레이팅 등의 서비스가 있어야 관람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컨텐츠는, 상술한 이유에서 실시간 촬영 및 스트리밍이 어렵거나 기존의 컨텐츠 공유 플랫폼을 서비스가 물가능한 특징이 있어, 해당전시물에 대한 비대면 관람에 대한 니즈가 늘어나는 시점에 있어서 전시물의 관람에 적합한 플랫폼의 필요성이증가되고 있다.
이때 전시물이 저작자 측면에서는, 상술한 가상 공간을 이용하여 저작물을 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전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전시 공간에 대한 제작 및 제공을 일임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서 유저가 원하는 형태의 전시 공간을 제작하는 데 제작자와의 의견 조율에 있어서 불편함이 있으며, 최종적으로도 자신이 원하는 전시 공간을 제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시 공간에 전시된 전시물에 대해서, 유저가 관람바와 공유하고자 하는 전시물에 대한 느낌이나 정보들을 정확하게 공유하는 것은 전시물이 가상 공간에 전시되는 특성에 의하여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련 기술에 대해서,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2151451호 등에서는, 3차원의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는 데 있어서, 가상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히트맵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한 후 이를 관람객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관람객이 단말을 통해서 가상의 전시 공간에서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원하는 컨셉을 갖는 전시 공간의 제작에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모되며, 특히 가상 공간을 통한 전시물의 전시의 특성 상, 관람자와 저작자 간의 감성을 공유하기 위한 서비스는 매우 부족하여, 가상 공간을 통한 전시 서비스의 이용의 상용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서, 전시물의 저작 및 전시를 원하는 유저가 전시 공간의 생성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되,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전시 공간을 저작할 수 있도록하여, 유저가 원하는 컨셉의 전시 공간의 저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상의 전시 공간 생성 및 제공의 활성화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유저의 전시물에 대한 부가적인 다양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시물의 전시 시의 유저와 해당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타 유저 사이의 전시물을 통한 감성의 공유가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여, 전시 공간에 대한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저 단말로부터 3차원 가상공간 상에 배치될 전시물의 모델링 데이터인 전시물 객체 데이터와, 상기 3차원 가상 공간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생성된 입체 모델을 갖는 상기 3차원 가상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상기 전시물 객체 데이터에 따라 시각화된 전시물 객체를 배치하여, 전시물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인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공간 제작부;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것으로서, 상기전시물 객체를 상기 전시 공간을 이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시, 전시물 객체의 관람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인 부가 컨텐츠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각 전시물 객체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는 부가 컨텐츠 설정부; 및 상기 공간 제작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시 공간에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부가 컨텐츠를 적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상기 전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전시공간의 이용 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가능한 상태로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들은 전시물 객체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과, 전시물 객체가 배치되는 가상 공간에 대한설정 및 배치에 대한 입력만을 통해서, 간편하게 전시물 객체가 배치되어 다른 유저의 관람 시 3차원 가상 공간을 이용하여 전시물을 관람할 수 있는 전시 공간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다양한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여전시물 관람에 대하여 다른 유저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다양한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기술과 달리, 유저들이 전시 공간의 설정을 직접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전시 공간에 대한 저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유저가 원하는 컨셉의 전시 공간의 저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상의 전시 공간 생성 및 제공의 활성화가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 새로운 방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유저의 전시물에 대해서 부가 컨텐츠를 자유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시물에 대해서 유저가 다른 유저와 공유하기 원하는 감정이나 내용 등에 대해서 효율적인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시 공간에 대한 이용률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전시물 객체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가상 공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가 관람 순서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부가 컨텐츠가 설정되어 전시 인터페이스에 구현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전시물 객체를 가상 공간에 배치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가상 공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가 관람 순서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부가 컨텐츠가 설정되어 전시 인터페이스에 구현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장치(10, 이하 '본 발명의 장치'라 함)는, 공간 제작부(11), 부가 컨텐츠 설정부(12) 및 인터페이스 생성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10)에는 상기의 각 구성에 의하여 생성, 수정 및 삭제되거나, 이를 통해 외부와 공유되는 모든 데이터의 저장 장치로서, 데이터베이스(14)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10)는 후술하는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될 컴퓨팅 장치와 동일하거나, 해당 장치를 복수개 포함하는 그룹 서버 및 단일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는 기능적인 구성에 해당하는 장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 등과 구분되어 독립적인 단말로서 구성될 수 있으나, 컴퓨팅 장치인 유저 단말(20)에 포함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서는 유저 단말(20)과 구분되는 구성으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그 기능에 따라서 유저 단말(20)에 포함되는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장치(10)가 일 구성(예를 들어 유저 단말(20))에 포함되는 경우 회로적인 연결로, 다른 구성(예를 들어 다른 유저 단말(30))에 연결되는 경우 근거리/원거리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데이터의 송 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됨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계정이 의미하는 바는, 특정 단말을 통해 본 발명의 장치(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해당 서비스에 가입 시 생성되는 아이디 등을 의미하며, (다른) 유저 계정은 (다른) 유저가 서비스에 가입하여 생성한 계정을 의미하는 등, 다양한 단말을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로그인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10)의 각 기능 수행을 통해서 이용 가능한 서비스는,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휴대 단말 등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각 단말에서 접속 가능한 웹페이지 상에서 구동 가능한 웹 프로그램 등의 실행 및 접속에 의하여 실행되는 다수의 화면 및 메뉴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서 이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내용을 참조하면, 먼저 공간 제작부(11)는 유저 단말(20)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될 전시물의모델링 데이터인 전시물 객체 데이터와, 3차원 가상 공간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 시, 속성 정보에 따라 생성된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전시물 객체 데이터에 따라 시각화된 전시물 객체를 배치하여,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인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전시물 객체는, 대표적으로 예술 작품으로서, 그림 등의 2차원 형태 및 조각 등 3차원 형태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전시물을 디지털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 컨텐츠로 생성한 데이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유저 단말(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2차원 또는 3차원의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구현되어 해당 전시물 객체를 인지한 다른 유저가 전시물이 다른 유저 단말(30)에 시각화됨에 따라서 전시물이 출력된 것으로 인지 및 식별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입체 모델을 갖는 3차원 가상 공간은, 마치 전시물이 전시된 것과 같은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서 구현되는 가상의 공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가 시각화된 공간으로서, 후술하는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되어 출력됨으로써 다른 유저 단말(30)이 이를 인지할 수 있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공간 상에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상태, 즉 가상 공간에 대응되는 데이터와 전시물 객체에 대응되는 데이터가 결합된 공간은 전시 공간으로 지칭된다. 즉 가상 공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에 따라서 유저 단말(20)에 출력되는 이미지로서 해당 이미지를 유저가 확인 시 마지 전시물이 배치되는 가상의 전시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하는 배경 데이터를 의미하는 것이다.
전시 영역은, 전시물 객체마다 할당된 가상 공간 상의 일정한 영역들로서, 전시 영역은 전시물 객체의 각 픽셀 값에 가상 공간의 좌표를 매칭함에 따라서 설정되는 가상 공간 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유저 단말(20)에 의하여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전시 영역이 할당 및 매칭되거나, 가상 공간의 모델링 시 전시 영역이 할당된 상태로 모델링될 수 있다. 또한 전시물 객체의 배치 순서, 사이즈, 종류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의 설정 입력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자동으로 전시물 객체별 전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시 공간이 구성되어 다른 유저 단말(30)에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구성 시, 유저들이 마치 전시 공간을 따라서 전시물 객체에 대응되는 전시물들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 전시물 객체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 및 전시 영역에 대한 좌표 및 전시물 객체별 할당 정보 등 전시 공간에 대한 제어를 위한 데이터들이 유저 단말(20)의 입력 및 상술한 공간 제작부(11)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구성될 것이며, 상술한 데이터 및 할당 정보 등의 조합에 의하여 전시 인터페이스가 구성된다.
전시 인터페이스에는 각 가상 공간에 대한 좌표의 제어 입력값을 수신 시, 해당 좌표의 제어 입력값과 그 입력 값의 변화에 따른 벡터 입력이 생성되고, 벡터 입력에 따라서 FOV(Field Of View)가 제어되어 출력되는 가상 공간이 제어된다.
즉, 전시 공간을 이용하는 다른 유저 계정은 예를 들어 전시 인터페이스가 다른 유저 단말(30)에 출력되는 경우, 다른 유저 단말(30)에서 실행되는 전시 인터페이스별 가용되는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입력을 통한 조작에 따라서 가상 공간에 대한 FOV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서 유저가 마치 가상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시물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출력이 다른 유저 단말(30)의 출력 수단을 통해서 출력되는 것이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설정되는 경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FOV가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다른 유저 단말(3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는데, 이러한 효과 및 제어 수단 등이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며, 해당 전시 인터페이스가 다른 유저 단말(30)에 제공되고, 다른 유저 단말(30)에서는 제공된 전시 인터페이스를 실행함에 따라서 상기와 같은 컨텐츠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은, 다른 유저 단말(30)에 배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의 실행, 또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실행이 가능한 웹에 대한 접속에 의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전시 인터페이스 상의 전시 공간을 유저 단말(20)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구현하기 위해서, 공간 제작부(11)는 유저 단말로부터 객체 데이터와 각 전시 영역에 대한 배치 정보를 수신 시, 배치 정보에 대응되는 전시영역에 객체 데이터에 대응되는 시각 데이터를 오버레이하도록 하여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를 편집하는 프로세스를 각 객체 데이터마다 실행하여 전시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입력된 전시물 객체(100)들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선택된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110)가 존재할 수 있다. 유저 단말(20)은 상술한 기능 수행을 통해서 전시 공간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예를 들어 리스트화된 전시물 객체(100)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의 입력 등을 통해서, 전시물 객체(100)를 가상 공간의 모델링 데이터(110) 상의 할당 가능한 전시 영역 중 어느 한 영역과 전시물 객체(100) 같의 배치정보(120)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상 공간에 대한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공간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가상 공간의 형태, 사이즈, 가상 공간 상의 벽면, 바닥면, 천정에 해당하는 면 영역의 색상, 질감 등을 포함하여 가상 공간의 시각화를 위해서 설정 가능한 모든 입력에 해당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의 상술한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는, 가상 공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 단위 모델링 데이터(111, 112)들이 제공되며,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선택 입력 및 상술한 속성 정보 등의 설정 입력과 함께, 선택 가능한 전시 영역들에 대한 할당 정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전시물 객체들이 각 전시 영역(121, 122)에 배치 가능한 가상 공간(113)이 완성된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공간 제작부(11)에 의하여 전시 공간, 즉 전시 공간의 모델링이 완료되면,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입력된 것으로서, 전시물 객체를 전시 공간을 이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시 전시물 객체의 관람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인 부가 컨텐츠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각 전시물 객체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부가 컨텐츠는 전시 공간이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 상의 일 영역에 출력되며, 전시물 객체에 대한 시각정보뿐 아니라, 전시물 객체의 내용이나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유저 단말(20)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이러한 부가 컨텐츠 설정부(12) 및 공간 제작부(11)에 의하여 전시 공간이 생성되고 해당 전시 공간에 배치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부가 컨텐츠가 설정되는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의하여 생성된 전시 공간에 부가 컨텐츠 설정부(12)에 의하여 설정된 부가 컨텐츠를 적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전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전시 공간의 이용 시 부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함은, 생성된 전시 인터페이스를 데이터베이스(14) 등 온라인을 통해 접속 가능한 경로에 저장 및 관리하고, 다른 유저 계정이 다른 유저 단말(30)을 통해 접속 시 전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실행하도록 하여, 다른 유저 단말(30)에 출력되도록 함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수행에 있어서 부가 컨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시물 객체를 다른 유저들이 시각적으로 인지 시 해당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보들을 각각 설정학 위해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예로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전시물 객체의 관람 순서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 시, 부가 컨텐츠로서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관람 순서 정보를 전시물 객체마다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부가 컨텐츠로서 전시물 객체에 관람 순서 정보에 대한 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다른 유저로부터 자동 관람 요청을 수신 시, 관람 순서 정보 순으로 전시 공간에 대한 FOV(Field Of View)가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하도록 하여, 관람 순서에 따라서 FOV 내의 전시물 객체가 다른 유저 단말(30)의 출력 수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자동 관람 기능을 전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관람 순서 정보에 대한 설정 정보를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로부터 수신하게 되면,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 시, 해당 관람 순서 정보 순으로 자동으로 FOV가 이동되도록 하는 모드를 활성화하고, 다른 유저 단말(30)로부터 해당 모드에 대한 활성화 요청 입력을 수신 시, 자동 관람 기능을 활성화하여 다른 유저 단말(30)의 제어 입력 없이도 자동으로 전시물 객체를 관람 순서에 따라서 관람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각 전시물 객체(101, 102, 103)에 유저 단말(20)로부터의 관람 순서에 대한 설정 입력(131)을 수신하게 되면, 이를 인터페이스 생성부(13)에 전송하게 되면,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공간 상에서 전시물 객체(A1, A2, A3)를 관람 가능한 FOV 및 각 전시 공간을 따르는 경로 상의 각 포인트마다 설정된 노드(n)별로, 그 이동 순서를 포함하는 경로(R)를 설정하여, 자동관람 기능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자동 관람 기능 이외에, 유저들은 자신이 저작한 전시물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저작 시,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저작물을 보고 어떤 감정을 느끼기 원할 수 있다. 또는, 유저들은 해당 전시물의 저작한 사람이 자신이며, 언제 해당 전시물을 저작했는지를 알려주기 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제2 예에서,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유저 단말(20)로부터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 컨텐츠를 수신 시, 부가 컨텐츠로서 각 전시물 객체에 설명 컨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에,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는 설명 출력 영역을 배치하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전시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화면(200)을 참조하면, 전시 공간(201)이 출력되며 전시 공간(201)에 각 전시물 객체(203, A1, A2)가 배치된다. 이때, 각 전시물 객체에 대한 썸네일이나 식별 정보로 구성되는 리스트(204)가 리스트 출력 영역(202)에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전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유저들은, 보기 메뉴(205)를 선택하여, 각 전시물 객체(203)에 대한 설명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 출력 방식 이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일 영역 중, 각 전시물 객체가 출력되는 전시 영역과 인접된 영역을 설명 출력 영역으로 설정하도록 하여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리스트를 다른 유저들이 일일이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전시물 객체가 출력되는 영역 인근에 출력하여, 전시물 객체를 확인하면서 자연스럽게 설명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쩡 FOV를 갖는 화면(210)이 출력됨을 가정하면, 해당 화면(210)에는 가상 공간에 해당하는 배경 영역(211)과 특정 전시물 객체(212)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에 인접한 영역에 설명 컨텐츠로서, 예를 들어 작가명(P1) 및 저작 일시(D1)를 출력하는 등의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여 전시물 객체(212)의 확인과 함께 자연스럽게 해당 전시물에 대한 설명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 출력 영역에 설명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큐레이션 메뉴(214)가 출력되도록 하고, 큐레이션 메뉴(214)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 시 설명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전시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설명 컨텐츠의 내용이 많아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 등에 있어서 별도로 설명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를 구성하여 다른 유저들의 관람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한편, 제2 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생성부(13)는, 다른 유저 단말(30)에서 출력되는 전시 인터페이스의 이용에 따라서 전시 공간에 대한 FOV 내에 어느 한 전시물 객체가 포함되는 경우, 설명 컨텐츠가 자동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전시 인터페이스에 포함시켜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도 7에 도시된 화면(220)을 참조하면, 특정 전시물 객체(221)가 포함되는 FOV가 감지된 경우, 이에 대한 설명 컨텐츠(222)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다른 유저들이 편리하게 해당 전시물 객체(221)에 대한 설명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생성부(13)에 의하여 전시 인터페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기능을 정확하게 구현하기 위한 도 8의 화면(230)을 참조하면, FOV에 포함되어 출력되는 전시 공간(231)에 특정 전시물 객체(232)가 포함되는 경우, 다른 전시물 객체(233, A2)로 FOV가 이동되기 전까지는, 오디오 컨텐츠로서 해당 전시물 객체(232)에 대한 큐레이션 정보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오디오 큐레이션 메뉴(234)가 자동 활성화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의 설명 컨텐츠(222)를 확인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설명 컨텐츠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20)로부터 입력된 전시물 객체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제1 컨텐츠,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수집된 상기 전시물 객체와 관련된 컨텐츠로서 유저 단말(20)을 이용하는 유저 계정이 온라인 상에 등록한 게시 컨텐츠인 제2컨텐츠, 및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등록된 전시물 객체와 관련된 온라인 상에 다른 유저가 등록한 게시 컨텐츠인 제3 컨텐츠 중 어느 한 컨텐츠로서 설정될 수 있다.
제1 컨텐츠를 예를 들어 도 6 및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시물 객체의 저작자, 저작 일시, 저작 일시에서의 날씨, 전시물을 저작한 지역, 해당 지역의 저작 일시에서의 날씨, 저작자가 전시물을 저작 시 방문한장소, 먹었던 음식, 입었던 옷 등, 유저가 다른 유저와 공유하고자 하는 해당 전시물을 저작 시의 환경이나 감정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제2 컨텐츠는, 예를 들어 전시물과 관련되어 유저가 자신이 활동하는 SNS에 게시한 게시물 등에 대한 정보로서, 역시 전시물을 저작 시의 유저의 감정, 환경 등을 유추할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한편 제3 컨텐츠는, 예를 들어 전시물과 관련되어 유저 이외의 다른 유저나 업체 등, 유저가 게시한 게시물 이외에, 해당 전시물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시물의 화풍, 화풍의 역사, 전시물의 종류와 관련된 유명한 작가의 작품, 전시물의 저작 시점에 유행했던 노래 등의 문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예 및 제2 예에서 언급된 설명 컨텐츠를 통해서, 다른 유저들은 유저가 저작한 전시물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해당 전시물의 저작한 유저와의 정보 공유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고, 마치 유저가 해당 전시물에 대해서 큐레이션을 하는 것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감정의 공유에 따른 실감나는 관람이 가능해져 그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3 예에서, 유저들은 다른 유저들에게 자신이 제작한 전시 공간에 대한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자신이 제작한 전시 공간을 소개하고자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순히 전시 공간에 대한 방문을 유도하는 것 보다, 전시 공간을 미리 볼 수 있는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예에서 부가 컨텐츠 생성부(12)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공간 제작부(11)에 의하여 전시 공간이 생성된 상태에서, 유저 단말(20)로부터 미리보기 컨텐츠 생성 요청을 수신 시, 전시 공간을 기설정된 경로에 따라서 이동 시 전시 공간에 대한 FOV의 이동에 따라서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될 시각 데이터를 영상화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미리보기 컨텐츠로서 생성하고, 부가 컨텐츠로서 전시 공간에 대한 미리보기 컨텐츠를 전시 공간에 대해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미리보기 컨텐츠는 예를 들어 기설정된 용량 또는 시간(예를들어 1분)의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동 시의 이동 속도에 대한 유저 단말(20)로부터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FOV에 대한 이동 속도가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 컨텐츠 설정부(12)는,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저장 공간에 대한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어드레스 정보를 생성한 뒤, 생성된 어드레스 정보를 유저 계정에 제공하여, 유저 계정이 다른 유저 계정에 어드레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해당 기능의 구현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계정은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를 보유할 수 있고, 다른 유저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채팅 어플리케이션(300) 등을 통해서, 해당 어드레스 정보에 대한 공유 정보(301)를 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유저들은, 해당 공유 정보(301)를 선택시, 상술한 미리보기 컨텐츠의 재생 서비스 화면(301)을 확인하여, 미리보기 컨텐츠 영상(311)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0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0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 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저 단말로부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될 전시물의 모델링 데이터인 전시물 객체 데이터와, 상기 3차원 가상 공간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인 공간 설정 정보를 수신 시, 상기 속성 정보에 따라 생성된 입체모델을 갖는 상기 3차원 가상 공간 상에 마련된 각 전시 영역에, 상기 전시물 객체 데이터에 따라 시각화된 전시물 객체를 배치하여, 전시물 객체가 배치된 가상 공간인 전시 공간을 생성하는 공간 제작부;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입력된 것으로서, 상기 전시물 객체를 상기 전시 공간을 이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시, 전시물 객체의 관람에 도움이 되는 컨텐츠인 부가 컨텐츠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설정 입력에 따라서 각 전시물 객체에 상기 부가 컨텐츠를 설정하는 부가 컨텐츠 설정부; 및
    상기 공간 제작부에 의하여 생성된 전시 공간에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부가 컨텐츠를 적용하여, 다른 유저 계정이 상기 전시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전시 공간의 이용 시 상기 부가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전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다른 유저 계정이 이용 가능한 상태로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가 컨텐츠 설정부는,
    상기 공간 제작부에 의해 전시 공간이 생성된 상태에서,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미리보기 컨텐츠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시 인터페이스에 출력될 시각 데이터를 영상화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로서 생성하고,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의 생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저장 공간에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어드레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유저 계정에게 제공하여 상기 유저 계정으로 하여금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다른 유저 계정에게 공유하도록 하되,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는,
    상기 다른 유저 계정이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통해 상기 미리보기 컨텐츠에 대한 저장 공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유저 단말에 의해 설정된 FOV(Field Of View)에 대한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화면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10161259A 2021-11-22 2021-11-22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 KR20230075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259A KR20230075050A (ko) 2021-11-22 2021-11-22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259A KR20230075050A (ko) 2021-11-22 2021-11-22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050A true KR20230075050A (ko) 2023-05-31

Family

ID=8654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259A KR20230075050A (ko) 2021-11-22 2021-11-22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0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133B1 (ko) 3차원 가상 전시 공간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Sereno et al. Collaborative work in augmented reality: A survey
US20210166300A1 (en)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retail environment simulation
US107544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teraction with elements in a virtual architectural visualization
Yang et al. Manufacturing system design with virtual factory tools
KR102276936B1 (ko) 3차원 가상 전시 공간의 전시물 이용 서비스 제공 장치
CN108008954A (zh) 页面配置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US915916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dynamic multimodal and multidimensional presentation
Kim et al. Sketchstudio: Experience prototyping with 2.5-dimensional animated design scenarios
Flotyński et al. Customization of 3D content with semantic meta-scenes
Shen et al. An augmented 3D iPad mobile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learning (CCL) of building MEP systems
Walczak et al. Semantic query-based generation of customized 3D scenes
Ryabinin et al. Cyber-physical museum exhibits based on additive technologies, tangible interfaces and scientific visualization
Muhammad Nizam et al. A Scoping Review on Tangible and Spatial Awareness Interaction Technique in Mobile Augmented Reality‐Authoring Tool in Kitchen
JP2019532385A (ja) 仮想現実シーケンスを構成又は修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構成方法、及びそのシーケンスを読み取るためのシステム
Fanini et al. Building blocks for multi-dimensional WebXR inspection tools targeting cultural heritage
Kimer et al. A model of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for virtual environments: definition and a case study
Sobociński et al. Large-scale 3d web environment for visualization and marketing of household appliances
Sanna et al. Developing touch-less interfaces to interact with 3D contents in public exhibitions
Yan et al. 3d simulation of interior house design in vr using vr3id method
Rohman et al. Innovations in Interior Room Design using Markerless Augmented Reality Mobile-base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Algorithm
KR20230075050A (ko) Vr 전시 공간 제작을 위한 장치
Huang et al. Developing a BIM-based visualization and interactive system for healthcare design
KR102268013B1 (ko) 증강현실 콘텐츠 저작을 위한 저작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Jana et al. HoloLens bluepr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