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470A -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470A
KR20120139470A KR1020110059290A KR20110059290A KR20120139470A KR 20120139470 A KR20120139470 A KR 20120139470A KR 1020110059290 A KR1020110059290 A KR 1020110059290A KR 20110059290 A KR20110059290 A KR 20110059290A KR 20120139470 A KR20120139470 A KR 20120139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s
display system
large scre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8640B1 (ko
Inventor
최은석
최유진
이은경
정윤하
박상화
이연진
김요한
최종민
고아진
임대운
정선애
김기정
김보슬
김인경
김지현
신승민
김준희
구자민
두준호
Original Assignee
(주)디스트릭트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스트릭트홀딩스 filed Critical (주)디스트릭트홀딩스
Priority to KR102011005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6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들을 촬영하고 인식함에 따라 대형 스크린에 이전과 다른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에 관련된다.

Description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LARGE SCREEN}
아래 실시예들은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들을 촬영하고 인식함에 따라 대형 스크린에 이전과 다른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에 관련된다.
대형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대형 크기의 화면과 그 화면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구비하여, 동일 공간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대형 크기의 이미지들을 보여주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서, 대형 스크린은 영화관, 전시 공간, 미술관, 발표회장 및 거리 등과 같이 많은 곳에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대형 스크린이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들의 종류도 광고, 영화 및 전시 등으로 점차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자신들을 촬영함에 응답하여, 각 사용자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대형 스크린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대형 스크린에서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조합되어 보여질 수 있으며, 나아가 이 조합된 이미지들이 사용자들의 감정, 표정, 나이, 성별, 움직임 및 의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자동으로 변화될 수 있는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형 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구경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도록 반사 유리 뒤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그 사용자의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는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인터렉션에 응답하는 터치 스크린과, 상기 터치 스크린과 연동하는 대형 스크린과, 복수의 이미지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동작에 응답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에서 다른 사용자가 더 촬영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사용자를 촬영함에 응답하여 또는 상기 촬영된 다른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추가로 선택하고, 상기 추가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형 스크린은 기존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면서, 상기 추가로 선택된 이미지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유형별로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의 그룹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은 사람의 감정, 표정, 나이, 성별, 움직임 및 의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유형을 기초로, 상기 대형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대형 스크린에 전송되는 이미지들의 각각 또는 전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뒷면의 상황을 보지 못하게 하는 반사 유리와, 상기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아바타 생성 카메라와, 미리 저장된 아바타들의 후보들과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 생성 카메라는 상기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반사 유리 앞측을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상기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영상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이 성공함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된 얼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과 연동하는 대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대상의 복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동작에 응답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에서 다른 사용자가 더 촬영된 경우,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를 촬영함에 응답하여 또는 상기 촬영된 다른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이전에 선택된 이미지와는 다른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대형 스크린은 기존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면서, 상기 선택된 다른 이미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 단말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팅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팅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유형별로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의 그룹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형은 사람의 감정, 표정, 나이, 성별, 움직임 및 의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결정된 유형에 대응하는 그룹의 이미지들의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결정된 유형을 기초로, 상기 대형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대형 스크린에 전송되는 이미지들의 각각 또는 전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뒷면의 상황을 보지 못하게 하는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과, 미리 저장된 아바타들의 후보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반사 유리 앞측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영상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이 성공함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된 얼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자신들을 촬영하면, 자신과 대응하는 이미지가 대형 스크린을 통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특히, 그 대형 스크린에는 자신과 대응하는 이미지와 다른 사람과 대응하는 이미지가 조합되어 보여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형 스크린은 사용자들의 감정, 표현, 나이, 성별, 움직임 및 의복에 따라 모양, 크기, 조명 및 분위기 등이 다르게 변화된 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설치된 반사 유리에 서 있으면, 자신의 아바타가 생성되고 있음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신을 위한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갑자기 볼 수 있는 재미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스크린과 대형 스크린이 설치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4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대형 스크린에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2 파트의 외관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 내지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카메라(110), 터치 스크린(120), 대형 스크린(130), 프로세서(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메라(110)와 터치 스크린(120)은 상호 연동하여, 사용자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의 동작들을 수행하며, 저항막, 광학, 정전용량, 초음파 및 압력 등과 같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동시 입력 및 여러 사용자의 입력에 모두 반응할 수 있도록 멀티 터치 입력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대형 스크린(130)은 터치 스크린(120)의 일측이나, 또는 주변에 설치된다. 예컨대, 대형 스크린(130)은 건물의 외벽이나 내벽 등에 큰 사이즈로 설치되어, 사용자들이 큰 사이즈의 그림이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터치 스크린(120)과 대형 스크린(130)이 설치되는 일례를 보여준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210)과 대형 스크린(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210)은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높이에 설치되고, 대형 스크린(200)은 터치 스크린(210)의 주변 공간에 터치 스크린(210)보다 큰 사이즈로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터치 스크린(210)을 터치하여 그 터치 스크린(120)과 연동하는 카메라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카메라가 자신들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210)은 사용자 a의 터치에 따라 화면 A를 통해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사용자 b의 터치에 따라 화면 B를 통해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사용자 c의 터치에 따라 화면 C를 통해 사진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이러한 터치 스크린(210)의 촬영 동작에 대응하여,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대상의 이미지들을 선택하고, 대형 스크린(200)은 그 선택된 이미지들을 터치 스크린(210)의 주변 공간에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40)는 카메라의 촬영 동작에 응답하거나 또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터치 스크린(120)으로부터 획득함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대상의 이미지들을 선택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대상의 이미지들을 저장한다. 이 때, 이미지들은 영상 정보(사용자의 얼굴, 나이, 성별)에 따라 임의의 이미지 생성 함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그 이미지들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상기 디스플레이 대상의 이미지들을 선택할 때, 카메라(110)에 의해 하나의 사용자가 촬영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120)으로부터 하나의 영상 정보가 획득됨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40)는 상기 선택을 위하여, 랜덤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자세히 말해서, 프로세서(140)는 하나의 사용자(a)가 촬영되면, 사용자(a)에 대응하여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다른 사용자(b)가 더 촬영되면, 다른 사용자(b)에 대응하여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다른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이미지는 랜덤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이전 선택된 이미지와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고,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대형 스크린(130)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선택되는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대형 스크린(130)은 기존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면서, 프로세서(140)에서 추가로 전송된 이미지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40)는 촬영부(141),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 및 대형 스크린 처리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41)는 카메라(110)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로 전달한다.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는 촬영부(14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정보를 터치 스크린(120)에게 전송하고, 터치 스크린(12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그 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로 설정한다.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의 설정에 응답하여,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는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영상이 촬영되고, 그 촬영된 영상 정보가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로 전달되기까지의 과정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도 3 및 도 4에서 보여주는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례로서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면(300)을 통해 자신의 영상이 촬영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상기 화면(300)의 버튼 부분(310)을 터치함으로써, 현재의 영상이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로부터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으로 전달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고 자신을 촬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화면(400)을 터치하고 대형 스크린쪽으로 드래그함으로써, 현재의 영상이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로부터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으로 전달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나아가,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는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사용자의 얼굴, 나이, 성별)에 따라 임의의 이미지 생성 함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그 이미지들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는 상기 사용자를 위해 촬영되는 영상을 화면(50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있다가, 화면(510)과 같이 상기 사용자의 특정 터치 동작(예컨대, 버튼 터치, 터치 앤 드래그 등)이 발생하였는 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 결과,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는 상기 특정 터치 동작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이미지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이미지를 대형 스크린 처리부(144)로 전달할 수 있다.
대형 스크린 처리부(144)는 대형 스크린(130)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컨트롤하는 모듈로서,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520)를 대형 스크린(130)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를 요청한다. 이때, 대형 스크린 처리부(1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과거에 다른 사용자들에 대응하여 선택된 이미지들(530, 540)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던 것을 그대로 유지하고, 이미지(520)를 추가로 디스플레이시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대상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데이터베이스(150)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유형별로 그룹핑하여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는 터치 스크린 처리부(142)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유형에 대응하는 그룹의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는 상기 분석시, 도 5에 도시된 511과 같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써, 그 추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은 사람의 감정, 표정, 나이, 성별, 움직임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것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데이터베이스(150)는 사람의 감정(예컨대, 기쁨, 무표정, 침울 등)별로 그룹핑된 이미지들을 저장하고 있고,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감정을 분석할 수 있다.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는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예컨대, 기쁨)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형 스크린(130)에는 기쁨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대형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의 분위기가 상기 사용자의 감정에 따라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형 스크린 처리부(144)는 상기 사용자의 유형을 기초로, 대형 스크린(130)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대형 스크린에 전송되는 이미지들의 각각 또는 전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대형 스크린(130)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색상 정보 및 보조조명 온오프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고, 상기 전송되는 이미지들 각각 또는 전체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색상 정보 및 액션 스크립트 함수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스크린 처리부(144)는 상기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대형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색상 정보를 조정(예컨대, 검은 옷을 입은 사용자의 경우 대형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색상을 어둡게 하는 등)하거나 보조조명을 온 또는 오프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유형에 따른 액션 스크립트 함수(예컨대, 튀어나오기, 부스러지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20)을 통해서 자신을 촬영하지 않고, 자신의 이동 단말이나 컴퓨팅 장치를 통해 자신을 촬영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실시 예로서, 이동 단말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팅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팅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600)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추가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600)은 상기 사용자가 터치 앤 드래그함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된 영상 정보는 대응 이미지 선택부(143)로 전달될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600)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버튼('사진 보내기')을 조작함에 응답하여,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가까이 있지 않더라도, 버튼 조작을 통해 자신의 영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미도시됨)는 앞서 설명된 이동 단말들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데스크톱을 조작함으로써, 원격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대형 스크린에 자신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의 사용자는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관리자 또는 특정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해당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사용자에 대응하여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이미지를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한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반사 유리의 뒤에서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아바타(이하,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라 칭함)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들은 대형 스크린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파트(820) 및 아바타를 생성하는 제2 파트(830)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파트(820)는 프로세서(821), 대형 스크린(822), 카메라(823) 및 터치 스크린(824)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들은 도 1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들(110 내지 150)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파트(830)는 아바타 생성 카메라(831), 아바타 생성 장치(832) 및 반사 유리(8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파트(820)와 제2 파트(830)는 사용자들의 이동 경로 상에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제1 파트(820)에 의해 대형 스크린(822)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들을 감상한 후에 제2 파트(830)의 동작 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제2 파트(830)의 반사 유리(833)는 사용자들이 뒷면의 상황을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들이 보는 방향에서는 반투명하고, 반대의 방향에서는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아바타 생성 카메라(831)는 반사 유리(833)의 뒤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아바타 생성 카메라(831)는 반사 유리(833) 뒤에서, 상기 사용자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면서 얼굴을 인식한다.
아바타 생성 장치(832)는 데이터베이스(810)에 미리 저장된 아바타들의 후보들과, 아바타 생성 카메라(831)에 의해 인식된 얼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한다. 즉, 데이터베이스(810)는 아바타들의 후보들과 각 후보들의 특성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두고, 아바타 생성 장치(832)는 아바타 생성 카메라(831)에 의해 인식된 얼굴의 특성 정보에 해당하는 후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의 생성 과정은 다양한 아바타 생성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제2 파트(830)가 구현할 수 있는 외관의 일례를 보여주고, 그 외관을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보여주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반사 유리(910) 앞으로 이동하는 경우, 반사 유리(910) 뒤에 설치되어 있는 아바타 생성 카메라(920)는 상기 사용자를 촬영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다. 그 인식 결과는 아바타 생성 장치로 전달되고,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기초로 한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는 930과 같이 상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홀로그램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아바타 생성 카메라(920)는 반사 유리(910) 뒤에 설치되어서, 앞측을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상기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영상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인식한다. 그리고, 아바타 생성 카메라(920)는 상기 인식이 성공함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된 얼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는 아바타 생성 카메라(920)에서 제공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장에서는, 반사 유리(910) 뒤에서 자신을 촬영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된 자신의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볼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00 단계에서,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대상의 복수의 이미지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이미지들은 상기 대형 스크린에서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여 표시될 이미지들이고, 실시예에 따라 패턴문양, 아이콘 및 캐릭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호 연동하는 카메라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주변에 위치한 대형 스크린을 구비한다.
몇몇의 사용자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상기 카메라가 자신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와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10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에서 사용자를 촬영하였는 지를 판단할 수 있고, 1020 단계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가 획득되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1010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102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가 획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30 단계에서, 상기 촬영된 사용자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30 단계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이미지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대형 스크린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자신을 촬영한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다른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유형별로 그룹핑하여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대형 스크린에 전송할 이미지를 선택할 때 사용자의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의 그룹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형은 사람의 감정, 표정, 나이, 성별, 움직임 및 의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영상 정보에서 얼굴을 인식하고, 그 얼굴이 속하는 유형의 그룹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하나를 상기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31 단계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32 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의 특징점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얼굴에 대하여 검출된 특징점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고, 상기 추정된 나이(예컨대, 24세)의 유형(예컨대, 20대)을 상기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33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유형의 그룹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0대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형 스크린에는 20대에 대응하는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것이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대형 스크린에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보여준 후에, 상기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동작 방법은 도 12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5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뒷면의 상황을 보지 못하게 하는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60 단계에서, 상기 촬영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른 실시예로서, 1050단계에서 상기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였는 지만을 감지하고, 1060 단계에서는 앞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얼굴을 인식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1070 단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1060 단계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과, 미리 저장된 아바타들의 후보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인터렉션에 응답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과 연동하는 대형 스크린;
    미리 정의된 또는 상기 영상 정보에 따라 생성되는 복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 동작에 응답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다른 사용자가 더 촬영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사용자를 촬영함에 응답하여 또는 상기 촬영된 다른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추가로 선택하고, 상기 추가로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고,
    상기 대형 스크린은
    기존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면서, 상기 추가로 선택된 이미지를 더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유형별로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의 그룹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은 사람의 감정, 표정, 나이, 성별, 움직임 및 의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 결과를 기초로 상기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유형을 기초로, 상기 대형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대형 스크린에 전송되는 이미지들의 각각 또는 전체의 디스플레이 정보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 단말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팅 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이동 단말 또는 네트워크와 연결된 컴퓨팅 단말로부터 획득된 영상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뒷면의 상황을 보지 못하게 하는 반사 유리;
    상기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아바타 생성 카메라; 및
    미리 저장된 아바타들의 후보들과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 장치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생성 카메라는
    상기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반사 유리 앞측을 연속적으로 촬영하고, 상기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영상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이 성공함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된 얼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로 제공하는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과 연동하는 대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대상의 복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의 촬영 동작에 응답하거나 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대형 스크린으로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다른 사용자가 더 촬영된 경우,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사용자를 촬영함에 응답하여 또는 상기 촬영된 다른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획득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이전에 선택된 이미지와는 다른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대형 스크린은
    기존의 디스플레이를 유지하면서, 상기 선택된 다른 이미지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유형별로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가 속하는 유형의 그룹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은
    사람의 감정, 표정, 나이, 성별, 움직임 및 의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뒷면의 상황을 보지 못하게 하는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과, 저장된 아바타들의 후보들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뒷면의 상황을 보지 못하게 하는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반사 유리 뒤에서 상기 반사 유리 앞측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단계;
    상기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영상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이 성공함에 응답하여 상기 인식된 얼굴의 영상 정보를 상기 아바타 생성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상기 사용자 맞춤형 아바타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059290A 2011-06-17 2011-06-17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26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90A KR101268640B1 (ko) 2011-06-17 2011-06-17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90A KR101268640B1 (ko) 2011-06-17 2011-06-17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70A true KR20120139470A (ko) 2012-12-27
KR101268640B1 KR101268640B1 (ko) 2013-06-04

Family

ID=4790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290A KR101268640B1 (ko) 2011-06-17 2011-06-17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0255A1 (en) 2015-08-18 2017-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rge format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689830A (zh) * 2019-10-10 2020-01-14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地质岩样标本采集展示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676A (ko) * 2007-06-04 2008-12-09 주식회사 케이티 Vr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95337A (ko) * 2008-03-05 2009-09-09 (주)오늘보다내일 사진촬영 기능이 있는 디지털 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640B1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38408B (zh) 图像修改器的选择性识别和排序
JP7297216B2 (ja) 拡張現実システムのためのタッチフリーインターフェース
KR102540163B1 (ko) 증강 및 가상 현실 환경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US10026229B1 (en) Auxiliary device as augmented reality platform
KR102664688B1 (ko) 가상 캐릭터 기반 촬영 모드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0716645A (zh)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013583B2 (ja) 有効インターフェース要素の強調のための方式
CN105027033B (zh) 用于选择扩增现实对象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媒体
CN114080585A (zh) 在人工现实环境中使用外围设备的虚拟用户界面
CN112243583B (zh) 多端点混合现实会议
JP6094550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10210664B1 (en) Capture and apply light information for augmented reality
KR101894021B1 (ko) Vr 공간에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EP3090424A1 (en) Assigning virtual user interface to physical object
JP6253127B2 (ja) 情報提供装置
JP2016514865A (ja) 現実世界の分析可視化
CN113546419B (zh) 游戏地图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3543825B (zh) 摄像机光标系统
KR102077665B1 (ko) 혼합 현실에서의 가상 모바일 단말 구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68640B1 (ko) 대형 스크린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19229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control display of a content image
CN109144598A (zh) 基于手势的电子面罩人机交互方法与系统
KR101405439B1 (ko) 동작인식 배경영상 제공시스템, 동작인식 배경영상 제공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80071492A (ko)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실감형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US110549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correcting operation direction and operation amou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