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86906A1 -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86906A1
WO2023286906A1 PCT/KR2021/010479 KR2021010479W WO2023286906A1 WO 2023286906 A1 WO2023286906 A1 WO 2023286906A1 KR 2021010479 W KR2021010479 W KR 2021010479W WO 2023286906 A1 WO2023286906 A1 WO 202328690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age
room
reservation
virtual spac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047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인
Publication of WO202328690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869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virtual space-based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providing system. It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3D virtual space-based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that allows accommodation reservation to be confirmed by space.
  • a hotel reservation method there is a method of making a reservation by calling the hotel the service user wishes to use. After checking, you can make a reservation by calling the confirmed phone number one by on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70004 provides a 'total linkage system related to hotel accommodation booking, reservation management, and matching'.
  • the prior art stores a reception unit that receives a text message related to an accommodation reservation made on an accommodation reservation site from any one accommodation reservation site, and an applic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text mes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ext message to a server.
  • a terminal including a storage unit, a control unit that drives an application, and a transmitter that transmits text message information to a server using the application, and a receiver that receives text message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reservations for accommodation are made using the text message information.
  • Accommod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including accommodation reservation si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mmod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servation dat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based on the accommod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reservation sites where accommodation reservations are possible,
  • a control unit that accesses at least one accommodation reservation site other than the accommodation reservation site where the reservation was made and changes the reservation information for accommodations on the accessed at least one accommodation reservation site based on the accommod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It relates to an accommodation reservation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server including a.
  • 3D virtual space-based lodging allows customers to experience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they want to stay on the web or app as a 3D virtual space and make a reservation.
  •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customers to experience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accommodation facilities through realistic virtual space images, and to make accommodation reservations based on them, but to confirm whether or not a room has been reserved through an intuitive configuration. do.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guest using a guest room to perform IoT control for electronic devices disposed inside the guest roo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orporate a control function for an IoT device into a virtual space panoramic image of the interior of a guest room.
  •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eamless transmission of virtual space images provided to customers.
  • the system for providing a 3D virtual space-based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includes a plurality of room images taken inside the room and a facility image taken outside the lodging facility including the plurality of rooms.
  • An image DB for receiving and storing, and a virtual space for generating and storing a virtual space image including a 3D exterior image of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and a 3D interior image of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on based on the room image and the facility image.
  • a virtual space creation module including a DB; a reservation confirmation module that checks whether or not the reservation of the room has been completed by date and gives an effect of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om on the 3D exterior image;
  • Reservation processing including a virtual image providing unit that receives a reservation date from a customer and provides a virtual space image for the reservation date to the customer, and a reservation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room selected from the customer and completes the reservation proces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module.
  • the system includes a devic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IoT device connected to an IoT hub located inside a room on a smartphone of a guest using the room, and a control signal input by the smartphone.
  • a devic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IoT device connected to an IoT hub located inside a room on a smartphone of a guest using the room, and a control signal input by the smartphone.
  • the 3D internal image is a 360 ° panoramic image of the interior of the room in which the IoT device is placed
  • the device display unit displays the 3D internal image in which the IoT device is placed on the guest's smartphone
  • the opera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unction of indicating on the 3D internal image whether the IoT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ntrol signal.
  • the IoT device includes a door lock
  • the IoT control module includes a location detec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est's smartphone, and a preset releas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from the door lock.
  • a lock release unit for unlocking the door lock and a lock setting unit for locking the door lock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lease range from the door lock.
  • the IoT hub provided in the guest room and the smartphone owned by the guest using the guest room are interlock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enabling IoT control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provided in the guest room through the smartphone.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irtual space image of the exterior of an accommod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irtual space image for the interior of the cabi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n / off configuration of lighting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reservation is made.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ctor
  • the system for providing an accommodation reservation platform based on 3D virtual space includes an image DB for receiv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room images taken inside a room and a facility image taken outside an accommodation facility including a plurality of rooms.
  • Virtual space creation including a virtual space DB for generating and storing virtual space images including a 3D exterior image of the exterior of the lodging facility and a 3D interior image of the interior of the room based on the room image and the facility image module; a reservation confirmation module that checks whether or not the reservation of the room has been completed by date and gives an effect of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oom on the 3D exterior image;
  • Reservation processing including a virtual image providing unit that receives a reservation date from a customer and provides a virtual space image for the reservation date to the customer, and a reservation processing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room selected from the customer and completes the reservation process module; to include is the best form for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3D virtual space-based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nsists of an accommodation facility (2), a customer (1), and a central control server (3).
  • Accommodation facilities 2 include a plurality of rooms, and accommodation facilities 2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hotels, resorts, condominiums, youth hostels, and motels.
  • accommodation facility (2) it is generally a space where a customer (1) reserves and stays, and includes at least one, preferably a plurality of rooms, so that one or a group of customers (1 ) will be used for lodging.
  • a virtual space image of the interior of each room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s well as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customer 1.
  • the customer 1 is a person who wants to use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through the accommodation reservation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hecks the interior of the room as well as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through virtual space images, and reserves and uses the desired room. be able to Furthermore, while using the reserved room, the IoT hub (4) provided inside the room and the smartphone owned by the customer (1) are connected via Wi-Fi or Bluetooth, etc. You can remotely control the device with your smartphone.
  • the IoT device and the IoT hub 4 (Hub) that controls the IoT device must be provided in the room.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IoT device through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the smartphone owned by the customer 1 while connected to each IoT device and the smartphone owned by the customer 1 through communication. play a role
  • the central control server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ubject of creation and management of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plays 3D virtual space images of the external and internal rooms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It plays a role in generating and providing it to the customer (1).
  • This central control server 3 refers to hardware having a CPU and storage means in a state of having a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ssion means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a series of modules to be described later by software to be executed in the CPU and Specific functions can be derived.
  • Such a central control server 3 is based on hardware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and a hard disk, and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software is installed and the software can be executed.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and a hard disk
  •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software is installed and the software can be executed.
  • a series of detailed configurations of such software will be described later as 'modules', 'units', and 'interfaces'.
  • the central control server 3 temporarily and/or permanently stores signals (or data) processed therein (RAM: Random Access Memory, not shown) and ROM (ROM: Read-Only Memory, not shown). ), may include a processor.
  • the central control server (3) (3) (4)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including at least one of a graphic processing unit, RAM and ROM.
  • SoC system on chip
  • th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not shown) and a graphic processor (not shown) and/or a connection path (eg, a b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other components.
  • a graphic processor not shown
  • a connection path eg, a bus
  • the memory may store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executing and controlling modules or parts to be described later.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s.
  •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in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thereof.
  • a software module may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form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computer, which is hardware, and stored in a medium.
  •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elements, and similarly, embodiments may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as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combinations of other programming constructs, such as C, C++ , Java (Java), can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such as assembler (assembler).
  •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in an algorithm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 the configuration of these 'modules' or 'parts' or 'interfaces' is a configuration of hardware such as software or FPGA or ASIC executed via CPU and memory while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main server (POS server). it means.
  • the configuration of 'module' or 'unit' or 'interface' is not limited to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 'module' or 'part' or 'interface'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and properties. , procedures,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Functions provided by these 'modules' or 'units' or 'interfac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or may be combin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or 'modules'. can be further separated.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ystem for providing a 3D virtual space-based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composed of a virtual space creation module 100, a reservation confirmation module 200, and a reservation processing module 300. characterized by
  •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irtual space image of the exterior of an accommod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irtual space image of the interior of a guest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virtual space creation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to each room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It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storing a 3D virtual space image of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the inside of each room based on the image taken inside.
  • the image DB 110 and the virtual space DB 120 are used to store the image taken inside.
  • the image DB 110 receives and stores images of the interior of the guest room and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preferably a room image of the interior of the room and a facility of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Performs a function to receive and save an image. At this tim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subject who inputs the room image and facility image, but it may preferably be a system manager or an accommodation facility (2) manager.
  • the image of the room and facility may be a photo file, or may be a video file of the entire interior of the room and the entire exterior of the lodging facility (2). Therefore, a plurality of photo files or video files that can check the interior of the guest room and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in 360° can be input to the image DB 110 as a room image and a facility image, respectively.
  • the image DB 110 stores a plurality of input room images separately for each room, and also stores a plurality of input facility images separately for each accommodation facility 2 .
  • the image of the room and the facility may preferably include photos or videos about the field of view in all directions in the interior of the room and the exterior of the lodging facility 2 so that a 360° image can be generated. Therefore, photo files or video files including views in all directions are input and processed as room images and facility images, respectively, to provide a basis for producing 3D virtual space images as 360 ° imag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virtual space DB 120 generates a virtual space image including a 3D image of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the inside of each room based on the room image and facility image input to the image DB 110, serves to store it.
  • the virtual space image preferably includes a 3D exterior image of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a 3D interior image of the inside of each room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 the virtual space image including the 3D exterior image and the 3D interior image may be a 360 ° 3D panoramic image, wherein the 360 ° image includes image data for the field of view in all directions from the position of the camera capturing the image. means video.
  • the data for the upper front image, right image, rear image, and left image are all included in the 360° image captured based on the position of one camera.
  • one 360° image may include image data of various other directions, such as upward or downward.
  • one 360° image may correspond to one panoramic image.
  • the input facility image and room image may preferably be images
  • at least one image of the interior of the room and the exterior of the lodging facility (2) is stitched based on the location and time of image capture.
  • a bluepri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tructure, dimensions, and texture (eg, color, texture, etc.) information of the real estate for sale is acquired, and the building structure of the real estate for sale is 3D modeled based on this, and then the 3D modeled
  • a virtual space image that implements a 3D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each room and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including a plurality of guest rooms in a 3D virtual space to create
  • such a 3D virtual space image may be a 3D panoramic image of not only the exterior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but also the inside of each room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such a 3D panoramic image format virtual space image
  • Each lodging facility 2 may be stored in the virtual space DB 120 .
  •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n/off configuration of lighting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reservation is made.
  • the reservation confirmation module 200 included in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or not the reservation for each room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has been completed. an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reservation has been completed, an effect of turning off the light of the corresponding room may be provided on the exterior image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included in the virtual space image, that is, the 3D exterior image.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oom on the 3D exterior image is first to determin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oom on the 3D exterior image. Since most of the rooms are preferably equipped with windows,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oom is identified, the window visible in the 3D exterior image can be classified by room. Therefore,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room, that is, a window, which appears on the 3D exterior image, an effect of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room on/off may be displayed.
  • whether or not the reservation of each room has been completed by date is preferably interlocked with the reservation management serve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so that whether or not the reservation of each room has been completed by date can be called and used in real time.
  • the reservation processing module 300 receives input from the customer 1 of the reservation date for which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is to be reserved, provides virtual space images for each date corresponding to the reservation date, and then processes reservation completion for the room. As to perform, for this purpo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irtual image providing unit 310 and a reservation processing unit 320.
  • the virtual image providing unit 310 receives a reservation date from the customer 1 who wants to make a reservation for a room,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 virtual spac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servation date.
  • a reservation date is input from the customer 1 through a website or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a virtual space for the reservation date is entered.
  • the image may be output on a website or application and provided to the customer 1 .
  • the exterior window of the room appears as if the light is turned on, and the reservation is made on the reservation date
  • the exterior window of the corresponding room appears as if the lights are turned off, so the customer 1 can determine whether the room can be reserv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ing on/off of the corresponding room on the exterior image.
  • the reservation processing unit 320 receives the virtual space image, checks the interior of the room as well as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selects a room that can be reserved from the customer 1 who has confirmed the availability of each room, It performs a function of assigning the customer 1 to the corresponding room and completing the reservation.
  • the reserv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transmitting the name, contact information, number of guests, date of stay, etc. of the customer 1 to the reservation management server of the above-mentioned lodging establishment.
  • the customer 1 may pay for the accommodation fee, so it may be possible to pre-pay for the room accommodation cost, or only a part of the amount is paid as the reservation fee, and the customer 1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n on-site settlement of the difference.
  • the customer (1) is provided with a virtual space image showing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the interior of the room, and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the interior of the room are provided.
  • a virtual space image showing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the interior of the room
  • the exterio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and the interior of the room are provided.
  • the customer (1) that is, the guest, using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can perform IoT (Internet of Things)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located in the room through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oT control module 400.
  • the IoT control module 400 provides a control function for IoT devices such as lights, speakers, door locks, and air conditioners located inside a room, and for this purpose, it basically includes a device display unit 410 and an operation control unit 420.
  • the device display unit 410 displays at least one IoT device located inside the guest room on a smartphone of a guest using the corresponding room. Since a plurality of IoT devices can be preferably provided, a list of devices can be generated and the corresponding list can be displayed on the guest's smartphone.
  • each IoT device and the guest's smartphone should be connected based on communication, and this role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IoT hub 4 provided in the room.
  • the IoT hub (4)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oT devices provided in the room via Bluetooth or Wi-Fi
  • the IoT hub (4) and the smartphone are also connected via Bluetooth or Wi-Fi, so that guests' smart It is possible to check a plurality of IoT devices connected to the IoT hub 4 through the phone.
  • the operation control unit 42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whether the selected IoT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or the IoT device input by the smartphone, and at this time, individual control may be performed for each IoT device.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integrated control of all devices. Preferably, integrated control for all IoT devices may be on/off control.
  • the guest selects a specific IoT device and inputs a control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while checking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through the device display unit 41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only whether the device operates.
  • the guest can individually or collectively control IoT devices such as lighting, speakers, air conditioners, door locks, etc. can increase
  • the above-described virtual space images, especially 3D internal images, and IoT device control configuration are interlocked to process so that guests can use their smartphones to intuitively view the status of IoT devices through 3D internal images. Check and control can be performed.
  • the 3D interior image may be a 360° panoramic image obtained by realizing the inside of a room in which IoT devices are placed in a virtual space, rather than simply a 360° panoramic image of the interior of a room.
  • the IoT device when taking a room image for producing a 3D interior video, the IoT device is placed and the shooting is performed, and based on this, a 3D interior video is created.
  • a panoramic image of the interior of the room where the IoT device is arranged is created as a 3D interior video. let it do
  • the IoT device when the IoT device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through the device display unit 410, the room where the guest is staying is displayed on the smartphone of the guest by displaying and processing the 3D interior image of the room in which the IoT device is placed. can be checked as a 3D panoramic image, and IoT devices deployed with it can be checked.
  • the 3D internal image including the IoT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guests through a guest application linked to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which the guest checks a virtual panoramic image of the room in which he/she stays And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of the IoT device.
  • the operation controller 420 In sending a control signal and controlling an IoT device through a 3D internal image, it is possible to indicate whether the IoT device is operating or not.
  • the guest can control the IoT devices installed in the room while checking the 3D internal image, and check whether the IoT device is controlled or not on the 3D internal image. can make it possible
  • the IoT device may include a door lock device provided in the guest room.
  • a door lock In the case of such a door lock, unlocking and lock setting functions can be added through the guest's smartphone through the IoT control module 400 .
  • the IoT control module 400 may include a positioning unit 430, a lock release unit 440, and a lock setting unit 450.
  • the positioning unit 430 identifi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est's smartphone, which can be identified by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connected by communication through the IoT hub 4 (Hub) described above, or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guest based on GPS on the accommodation reservation platform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smartphone. Preferabl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est can be checked based on GPS on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locking unit 440 performs a function of unlocking the door lock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phone is detected as being located within a preset release range from the door lock, and the lock setting unit 450 performs a function of unlocking the door lock.
  • the location information is detected as being located at a distance greater than the release range from the door lock, it performs a function of locking the door lock.
  • the unlocking range can generally be set to a very close distance, for example, within 1 m or within 50 cm.
  • the door lock is unlocked when a guest with a smartphone approaches the door lock very close, and the door lock is locked as the guest moves away from the door lock. Therefore, when a guest installs an application linked to an accommodation reservation platform and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the door lock while carrying a smartphone with the application installe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lock and unlock the door lock.
  • the IoT function is preferably operated through an application linked to such an accommodation reservation platform, when the guest installs the application, it is authenticated through the reservation server of the accommodation facility (2), so that only for a limited period, that is, Authorization can be given to control the inside of the room through the IoT function only during the stay.
  • the customer 1 that is, the guest, who has stayed using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various IoT devices inside the room through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lodging reservation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ccommodation reservation platform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needs to provide a virtual space image for the reservation date selected by the customer 1 in real time when making a room reservation for the customer 1.
  • the virtual space image may preferabl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video signal to a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ablet PC, desktop, or laptop owned by the customer 1.
  •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mission control module 500 to provide virtual space images at a more seamless and stable speed.
  • th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500 may preferably include a speed determination unit 510 and a packet insertion unit 520.
  • the speed determination unit 510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speed of an image signal for a virtual space image.
  • the transfer rate transmission rate
  • the transfer rate is generally in Mbps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eal-time transfer rate in Mbps unit.
  • the packet inserting unit 520 performs a function of inserting an empty packet into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rate. Most preferably, when the change in transmission speed is not detected and an even transmission speed does not appear, that is, when a disconnection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transmission speed is interrupted or a situation in which quality is deteriorated such as a downward peak occurs, the corresponding By inserting empty packets into the video signal, the quality of transmission speed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 the empty packet can also be referred to as a null packet, and means an empty packet.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bit string filled with 0 or 1, and is inserted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video signal at a certain level without any meaning rather than transmitting specific data.
  • These empty packets can be inserted by calculating the sum of the bit rates of the video signals and comparing the calculated bit rate with the transmission speed, thereby filling the gap with empty packets when the transmission speed drops.
  • the empty packet is inserted into the video signal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quality at a certain level, so that the customer ( 1) can be provided with seamless virtual space images.
  •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ector.
  • th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500 not only simply inserts empty packets to further improve the transmission quality of the video signal, but also the number of empty packets to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peed. may be calculated, and empty packets as many as the calculated number may be regularly inserted into designated positions.
  • th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500 may include a sector generator 530 and a packet index calculator 540.
  • the sector generator 53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sectors by grouping the above-described video signal of the virtual space image into an infrastructure packet and a plurality of predicted packets subordinate to the infrastructure packet.
  • the data constituting the video signal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ckets according to time order, and the packets located at each predetermined time are designated as infrastructure packets (ie, encoded), and the time order is based on any one infrastructure packet. If a plurality of packets located up to the next infrastructure packet are designated (ie, encoded) as subordinate packets and subordinated to the infrastructure packet designated as the standard, a sector is formed by binding these infrastructure packets and a plurality of subordinate packets subordinate to the infrastructure packet. can do.
  • a sector is formed by binding a specific number of packets at a specific time or by bundling a specific number of packets, designating the packet located at the earliest time in the sector as an infrastructure packet,
  • a function of generating one group (ie, sector) by designating the remaining packets except for as dependent packets and subordinating the dependent packets to the infrastructure packet located earlier in the chronological order is provided.
  • one sector is composed of one infrastructure packet and a plurality of subordinate packets.
  • the sector generating unit 530 may generate a sector such as 'IPPPP'.
  • the length of the sector can be set by the system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setting the length of the sector means adjusting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ignal.
  • the packet index calculation unit 540 performs a function of differentially calculating the packet index, which is the number of empty packets to be insert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peed.
  •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packet index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the transmission speed is slow. The higher the packet index, the faster the transmission speed, the lower the packet index. That is, the slower the transmission rate, the more empty packets are inserted, and the faster the transmission rate, the less empty packets are inserted.
  • the packet inserter 520 performs sector-by-sector For each position of the infrastructure packet, empty packets equal to the number of packets are inserted.
  • empty packets are inserted for each infrastructure packet.
  • the transmission speed can be changed in real time, when the packet index is calculated in real time while the video signal is transmitted, the number of empty packets inserted for each infrastructure packet may vary. . That is, an appropriate amount of empty packets are inserted into each infrastructure packet by reflecting the real-time transmission speed, so that a video signal of more even quality can be transmitted to the customer 1 by responding to transmission quality degradation in real time.
  • the packet index not only the transmission speed is reflected, but the capacity of the transmitted video signal, that is, the virtual space video, and the real-time transmission speed, delay rate, and loss rate of the video signal are transmitted. Packets calculated based on It is also possible to calibrate the exponen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ransmission stability by further elaborating and randomizing the packet index.
  • th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500 may further include a capacity determination unit 560 to determine the capacity for virtual space projection.
  • the unit of capacity may be generally determined in terms of MB or GB.
  • the speed determination unit 510 may determine not only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video signal, but also the delay rate and loss rate. At this time, transmission speed (transmission rate) is generally in Mbps unit, delay rate is in ms unit, and loss rate is used in general decimal point unit, not in % unit. (If the Internet speed measurement standard loss rate is 20, 20% Therefore, it is calculated as 0.2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cket index calculation unit 54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correcting the packet index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identified virtual space image, and the real-time delay rate and loss rate, in addition to simply calculating the packet index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speed. there is.
  • the packet index may be most simply corrected by multiplying the packet index by the delay rate, the loss rate, and the capacity, but most preferably, the packet index may be correc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 R is the corrected packet index
  • P is the packet index
  • l is the loss rate
  • C is the capacity of the virtual space image
  • d is the delay rate
  • v is the transmission speed, v>0
  • l represents a value between 0 ⁇ l ⁇ 1 as a loss rate, and as the loss rate converges to 1, the value of the inverse function of the hyperbolic tangent diverges close to infinity. Therefore, the value obtained by applying the inverse hyperbolic tangent function to the loss rate appears between 0 and infinity.
  • the loss rate is 1 percent, it has a loss rate value of 0.01, The value of is approximately 0.01. However, if the loss rate is 50 percent, it has a loss rate value of 0.6, where has a value of 0.54. In addition, if the loss rate is 85%, it has a loss rate value of 0.85, at which time appears as 1.25.
  • C is the capacity of the virtual space image and can be in mb units as described above, so in the case of 100mb, it becomes 100.
  • the capacity is 860mb, for example, it is 860, and if the capacity is 1.2GB, it has a value of 1228.8.
  • d is the delay rate and uses the unit of ms. At this time, an example of the d value is 50 when the delay rate is 50 ms.
  • v is the transmission speed, and v>0, and generally uses the Mbps value. That is, it has a value of 475 in the case of a transmission rate of 475 Mbps.
  • the above-described packet index is corrected through the basic unit as described above for loss rate, capacity, delay rate, and transmission speed.
  • the value of the corrected packet index increases compared to the basic packet index.
  • the correction value of the packet index can be corrected with a larg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oss rate.
  • the transmission control module 500 may include a rate of change determination unit 570.
  • the rate of change unit 570 detects the transmission rate in real time and, if the transmission rat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calculates it as a peak.
  • the reference range may be set by the system administ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et by the system itself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how the reference range is set.
  •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rate is determined based on the period of the video signal wavelength in which the peak appears.
  • the electronic signals since electronic signals are transmitted, the electronic signals include a wavelength band.
  • the peak is detected at the corresponding wavelength, analyzed, and the peak is detected, and how the transmission speed change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the peak is grasped.
  • the above-described packet index calculator 540 calculates the packet index based on Equation 2 in which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rate is reflected as well as the delay rate, loss rate, and capacity. can be corrected.
  • R' is the corrected packet index, means sigma, a symbol used in mathematical calculations, P is the packet index, is the period of the video signal wavelength where the k-th peak appears, n is the number of the peaks, l is the loss rate, C is the capacity of the virtual space image, d is the delay rate, and v is the transmission speed, v>0)
  • the middle partial term can be referred to as the rate of change term of the transmission rate, and a method for calculating this term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transmission rate change rate is calculated as 0.14. In this way, the rate of change in transmission rate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period of the fundamental wavelength, the period at which peaks appear (time interval between peak values), and the number of peaks.
  • the loss rate represents a value between 0 ⁇ l ⁇ 1, and as the loss rate converges to 1, the value of the inverse hyperbolic tangent function diverges to infinity. Therefore, the value obtained by applying the inverse function of the hyperbolic tangent to the loss rate appears between 0 and infinity. For example, if the loss rate is 1 percent, it has a loss rate value of 0.01, The value of is approximately 0.01. However, if the loss rate is 50 percent, it has a loss rate value of 0.6, where has a value of 0.54.
  • the loss rate is 85%, it has a loss rate value of 0.85, at which time appears as 1.25. That is, as the loss rate approaches 1, it rapidly increases, and when the loss rate is very small, the value of the hyperbolic tangent inverse function is almost similar to the value of the loss rate.
  • C is the capacity of the virtual space image and is mb unit as described above, so it becomes 100 in the case of 100mb.
  • the capacity is 860mb, for example, it is 860, and if the capacity is 1.2GB, it has a value of 1228.8.
  • d is the delay rate and uses the unit of ms. At this time, an example of the value of d is 50 when the delay rate is 50ms, for example.
  • v is the transmission rate and generally uses the Mbps value. That is, in the case of a transmission rate of 475 Mbps, it has a value of 475.
  •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rate is used for packet index correction, which is to determine the range of change in the transmission rate to calculate the peak value, and to determine the rate of change of the transmission rate through the peak value for correction.
  • the correction of the packet index can be performed more strictly and in detail.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ccommodations such as various hotels or motels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reservations can be made, and, of course,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객실 내부를 촬영한 복수의 객실이미지 및, 복수의 상기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DB 및, 상기 객실이미지 및 상기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가상공간DB를 포함하는 가상공간 생성 모듈; 상기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3D 외관 영상 상에서 상기 객실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를 차등 제어하는 예약 확인 모듈; 고객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영상 제공부 및, 상기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실을 선택받아 예약 완료 처리하는 예약 처리부를 포함하는 예약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의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숙박시설 및 객실 내부를 3D 가상공간으로 확인하며 숙박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영화를 보거나 여행을 하는 등 여가 생활을 누리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여가 생활에 따른 예약문화가 일반화되고 있으며, 영화사, 철도청, 항공사, 숙박업계(호텔, 콘도 등)등 에서 예약서비스를 제공하여 숙박시설에 대한 예약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 중, 호텔의 예약방법으로는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을 희망하는 호텔로 전화를 하여 예약하는 방법이 있는데, 사용자가 호텔 등을 예약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에 위치한 다양한 호텔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 확인된 전화번호로 일일이 전화를 걸어 예약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화 예약방법은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지역의 호텔 전화번호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선택한 호텔에 대한 상세정보를 눈으로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객실을 예약하기 때문에 원하는 객실을 자유로이 예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텔의 온라인 사이트를 통한 직접 예약, 또는 여행사와 같은 대행업체를 통해 호텔에 대한 예약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행사와 같은 대행업체 또는 호텔의 온라인 사이트를 확인하고 예약을 수행한다고 할지라도, 사용자가 호텔에 대한 상세정보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지는 못한 채 예약을 수행하게 되어, 실제 호텔 방문 시 시설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더러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 제 10-2021-0070004호에 '호텔 숙박시설 부킹 및 예약 매니징, 매칭과 관련된 토탈 연계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어느 하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로부터 어느 하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에서 예약된 숙박시설 예약관련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부, 문자메시지에 따른 문자메시지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제어부 및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문자메시지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과 단말로부터 문자메시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문자메시지 정보를 이용하여 숙박시설의 예약이 이루어진 숙박시설 예약사이트 식별정보, 숙박시설 식별정보 및 예약일자 정보를 포함하는 숙박시설 예약 정보를 추출하고, 숙박시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숙박시설의 예약이 가능한 복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들 중에서, 숙박시설의 예약이 이루어진 숙박시설 예약사이트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에 액세스하여, 숙박시설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액세스한 적어도 하나의 숙박시설 예약사이트에서 숙박시설에 대한 예약정보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숙박시설 예약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으로 하여금 웹이나 앱 상에서 숙박하고자 하는 숙박시설의 외관 및 객실 내부를 3D 가상공간으로 체험하며 숙박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고객으로 하여금 현실감 있는 가상공간 영상을 통해 숙박시설의 외부 및 내부를 체험하도록 하고, 그를 기반으로 숙박 예약을 수행하도록 하되 직관적인 구성으로써 객실의 예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으로 하여금 객실 내부에 배치된 전자기기에 대한 IoT 제어를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객실 내부에 대한 가상공간 파노라마 영상에 IoT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접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가상공간 영상에 대한 끊김없는 전송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객실 내부를 촬영한 복수의 객실이미지 및, 복수의 상기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DB 및, 상기 객실이미지 및 상기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가상공간DB를 포함하는 가상공간 생성 모듈; 상기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3D 외관 영상 상에서 상기 객실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를 차등 제어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예약 확인 모듈; 고객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영상 제공부 및, 상기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실을 선택받아 예약 완료 처리하는 예약 처리부를 포함하는 예약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객실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IoT 허브(Hub)와 연결 처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상기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기기 표시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3D 내부 영상은, 상기 IoT 기기가 배치된 객실 내부에 대한 360°파노라마 영상이며, 상기 기기 표시부는, 상기 IoT 기기가 배치된 3D 내부 영상을 상기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상기 3D 내부 영상 상에 나타내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oT 기기는, 도어락(Door lock)을 포함하며, 상기 IoT 제어 모듈은, 상기 투숙객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기 설정된 해제범위 이내인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해제범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을 잠금 설정하는 잠금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1)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되, 예약일자 별 예약 완료 여부에 따라 외관 상 직관적인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쉽게 객실 별 예약 여부를 확인하고 예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2) 객실에 구비된 IoT 허브와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이 소지한 스마트폰을 연동 처리하여 스마트폰을 통해 객실에 비치된 다양한 전자기기에 대한 IoT 제어를 수행토록 하여 이용 편의성을 높였고,
3) 3D 내부 영상과 IoT 제어 기능을 접목하여 투숙객으로 하여금 객실 내부의 다양한 전자기기에 대한 직관적 제어를 가능케 하였을 뿐 아니라,
4) 가상공간 영상에 대한 전송 속도의 고저에 따라 영상 신호에 추가적인 패킷을 삽입 전송함으로써 끊김 없는 영상 전송을 가능케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객실 내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의 개념도.
도 5는 예약 여부에 따른 조명의 on/off 구성을 설명한 개념도.
도 6은 섹터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객실 내부를 촬영한 복수의 객실이미지 및, 복수의 상기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DB 및, 상기 객실이미지 및 상기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가상공간DB를 포함하는 가상공간 생성 모듈; 상기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3D 외관 영상 상에서 상기 객실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를 차등 제어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예약 확인 모듈; 고객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영상 제공부 및, 상기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실을 선택받아 예약 완료 처리하는 예약 처리부를 포함하는 예약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숙박시설(2), 고객(1), 그리고 중앙관제서버(3)로 이루어진다.
숙박시설(2)은 복수의 객실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숙박시설(2)이라 함은 호텔, 리조트, 콘도, 유스호스텔, 나아가 모텔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숙박시설(2)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객(1)이 예약하여 숙박하는 공간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객실을 포함하고 있어 하나의 객실마다 한 명, 혹은 한 그룹의 고객(1)이 숙박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서는 숙박시설(2)의 외관 뿐 아니라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의 내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이 생성되어, 고객(1)에게 제공된다.
고객(1)은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을 통해 숙박시설(2)을 이용하고자 하는 자로서, 숙박시설(2)의 외관 뿐 아니라 객실 내부를 가상공간 영상을 통해 확인하고 원하는 객실을 예약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예약된 객실을 이용하는 동안에는 객실 내부에 구비된 IoT 허브(4)와 고객(1)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매개로 연결 처리하여 객실 내에 구비된 조명이나 전자기기와 같은 IoT 기기를 소지한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객(1)이 객실을 이용할 때 객실 내의 다양한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객실 내에 IoT 기기 및 IoT 기기를 제어하는 IoT 허브(4)(Hub)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IoT 허브(4)는 각각의 IoT 기기, 그리고 고객(1)이 소지한 스마트폰과 통신을 매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고객(1)이 소지한 스마트폰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매개로 각각의 IoT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3)는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에 대한 생성 및 관리 주체이자, 숙박 예약 플랫폼에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숙박시설(2) 외부 및 내부 객실에 대한 3D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이를 고객(1)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앙관제서버(3)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관제서버(3)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 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중앙관제서버(3)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관제서버(3)(3)(4)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메인 서버(포스서버)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거시적 구성을 기반으로 이에 대한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가상공간 생성 모듈(100), 예약 확인 모듈(200), 예약 처리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객실 내부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의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2와 함께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상공간 생성 모듈(100)을 숙박시설(2)의 외부, 그리고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의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숙박시설(2)의 외관 및 각각의 객실 내부에 대한 3D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이미지DB(110) 및 가상공간DB(120)를 포함한다.
이미지DB(110)는 객실 내부 및 숙박시설(2)의 외부를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객실 내부를 촬영한 객실이미지, 그리고 숙박시설(2)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를 입력하는 주체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관리자 혹은 숙박시설(2) 관리자일 수 있다.
더불어 여기서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는 사진 파일일 수도 있으며, 혹은 객실 내부 전체, 그리고 숙박시설(2) 외부 전체를 촬영한 동영상 파일일 수도 있다. 따라서 객실 내부 및 숙박시설(2)의 외관을 360°로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사진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각각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로서 이미지DB(110)에 입력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이미지DB(110)는 입력된 복수의 객실이미지를 각각의 객실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시설이미지 역시 입력된 복수의 시설이미지를 각각의 숙박시설(2)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는 바람직하게는 360°영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객실 내부 및 숙박시설(2) 외관에 있어 모든 방향에 시야에 대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방향에 대한 시야를 포함하는 사진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이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로써 각각 입력 처리되어, 후술하겠으나 3D 가상공간 영상을 360°영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도록 한다.
가상공간DB(120)는 이미지DB(110)에 입력된 객실이미지 및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숙박시설(2)의 외관 및 각각의 객실 내부에 대한 3D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상공간 영상은 바람직하게 숙박시설(2)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그리고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3D 외관 영상 및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은 360°3D 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는데, 여기서 360° 영상이란 영상을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로부터 모든 방향의 시야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을 의미한다. 다리 말해, 위 전방 영상, 우측 영상, 후방 영상, 좌측 영상에 대한 데이터 모두 하나의 카메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촬영된 360° 영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한편, 하나의 360° 영상에는 상방이나 하방 등과 같은 그 외의 다양한 방면의 영상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360° 영상은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시설이미지 및 객실이미지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영상일 수 있다 하였으므로, 객실 내부 및 숙박시설(2) 외관에 대한 영상들을 영상 촬영 위치 및 영상 촬영 시점을 기반으로 스티칭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부동산 매물의 구조, 치수 및 텍스처(예를 들어, 색상, 질감 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계도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부동산 매물의 건물 구조를 3차원 모델링한 후, 3차원 모델링된 건물 구조에 앞서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각각의 객실 내부와 대응되는 3차원의 가상 공간, 그리고 복수의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2)의 외부를 3차원 가상 공간에 구현한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는 바람직하게 시스템 관리자나 숙박시설(2) 관리자로부터 해당 숙박시설(2) 및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객실에 대한 2차원 내지 3차원의 설계도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설계도를 입력받은 경우 가상공간 영상 생성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3D 가상공간 영상은 숙박시설(2)의 외관(외부) 뿐 아니라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 내부에 대한 3D 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3D 파노라마 영상 형식의 가상공간 영상이 가상공간DB(120)에 숙박시설(2)별로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예약 여부에 따른 조명의 on/off 구성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2와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예약 확인 모듈(200)은 숙박시설(2)에 포함된 각각의 객실에 대한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예약 완료 여부에 따라 가상공간 영상에 포함되는 숙박시설(2)의 외관 영상, 즉 3D 외관 영상 상에서 해당 객실의 조명을 소등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바람직하게 다시 설명하면, 3D 외관 영상 상에서 각각의 객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인데, 이는 바람직하게 객실마다 대부분 창문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개별 객실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면 3D 외관 영상에서 보이는 창문을 객실 별로 구분지을 수 있다. 따라서 3D 외관 영상 상에서 나타나는, 해당 객실에 대응되는 객체, 즉 창문의 밝기를 조절함으로써 객실의 조명을 on/off 제어하는 듯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게 날짜 별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302호 객실이 2021년 6월 20일에는 예약이 가능하나, 2021년 6월 21일에는 예약이 불가능하다고 (이미 예약이 되어있다고)하는 경우, 2021년 6월 20일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영상에 대해서는 3D 외관 영상 상에서 302호 객실의 창문에 대응되는 객체, 즉 창문의 위치에 해당하는 밝기를 올려 마치 302호 객실의 조명이 켜져 있는 것처럼 효과를 부여하고, 20201년 6월 21일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영상에 있어서는 3D 외관 영상 상에서 302호 객실의 창문에 대응되는 객체, 즉 창문의 위치에 해당하는 밝기를 낮추어 마치 302호 객실의 조명이 꺼져 있는 것처럼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더불어 이때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는 바람직하게 해당 숙박시설(2)의 예약 관리 서버와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각각의 객실에 대한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불러와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말하자면 3D 외관 영상 상에서 각각의 객실에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즉 창문의 밝기를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에 따라 차등 제어한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가상공간 영상, 그 중에서도 3D 외관 영상에 있어서 일자별로 서로 다른 효과를 부여한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약 확인 모듈(200)에 의하여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에 따라 3D 외관 영상 상에서 창문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 차등 제어 효과가 부여되면, 일자별로 서로 다른 3D 외관 영상이 생성된다. 즉, 일자별로 서로 다른 가상공간 영상이 생성되는 것인데, 이는 바람직하게 상술한 가상공간DB(120)에 다시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숙박시설(2)별로, 그리고 일자별로 구분되어 가상공간 영상이 각각 저장 처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약 처리 모듈(300)은, 고객(1)으로부터 숙박시설(2)을 예약하고자 하는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해당 예약일자에 대응되는 일자별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한 뒤 객실에 대한 예약 완료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가상영상 제공부(310) 및 예약 처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상영상 제공부(310)는 객실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고자 하는 고객(1)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해당 예약일자에 대응되는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은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므로, 웹사이트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1)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해당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출력하여 고객(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예약 확인 모듈(200)에 의해 부여된 3D 외관 영상의 효과에 의하여, 해당 예약일자에 예약이 가능한 객실의 경우 해당 객실의 외관 창문의 조명이 켜져 있는 것처럼 나타나고, 해당 예약일자에 예약이 불가능한 객실의 경우 해당 객실의 외관 창문의 조명이 꺼져있는 것처럼 나타나므로 고객(1)은 객실의 예약 가능 여부를 외관 영상 상에서의 해당 객실의 조명 on/off의 차이로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특정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보고 싶은 경우, 조명이 켜져 있는 객실의 창문을 클릭하면 해당 객실의 3D 내부 영상이 제공되어 고객(1)으로 하여금 실제 해당 객실의 내부를 확인하는 것처럼, 360°3D 파노라마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1인칭 시점에서 객실 내부를 가상으로 체험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 객실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약 처리부(320)는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받아 숙박시설(2)의 외관 뿐 아니라 객실 내부를 확인하고, 각각의 객실에 대한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한 고객(1)으로부터 예약이 가능한 객실을 선택받아, 해당 객실에 고객(1)을 배정 처리하여 예약 완료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경우 예약 완료 처리가 되었으므로, 3D 외관 영상에서 해당 고객(1)이 예약한 날짜에 대응되는 해당 객실의 창문 객체의 경우 조명이 꺼진 것처럼 밝기가 감소되어 가상공간 영상 상에서 또 다른 효과가 부여되는 것이며, 상술한 숙박업소의 예약 관리 서버에도 고객(1)의 이름, 연락처, 숙박 인원, 숙박 날짜 등이 전송되어 예약 처리가 수행된다.
또한 이러한 예약 처리부(320)의 구성에 있어 고객(1)은 숙박비를 결제 처리할 수도 있어, 객실 숙박 비용에 대한 선결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부 금액만을 예약금으로써 결제받고 고객(1)으로 하여금 차액에 대한 현장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을 통해, 고객(1)이 숙박시설(2)의 외관 및 객실의 내부를 나타낸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받아 숙박시설(2)의 외관, 객실 내부를 가상으로 체험한 뒤 객실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여기서 해당 예약일자 별 예약 여부를 숙박시설(2)의 외관 영상 상에서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고객(1)의 객실 선택 편의성을 높인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을 이용하여 객실을 이용하는 고객(1), 즉 투숙객으로 하여금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객실 내에 위치한 전자기기에 대한 IoT(Internet of Things)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IoT 제어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oT 제어 모듈(400)은 객실 내부에 위치한 조명이나 스피커, 도어락, 냉난방기와 같은 IoT 기기에 대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기기 표시부(410) 및 동작 제어부(420)를 포함한다.
기기 표시부(410)는, 객실 내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해당 객실을 이용 중인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 처리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IoT 기기가 구비될 수 있는 만큼, 기기의 리스트를 생성하여 해당 리스트를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 처리할 수 있다.
더불어 이 같은 구성에서는 각각의 IoT 기기 및 투숙객의 스마트폰이 통신을 기반으로 연결 처리되어야 함을 기본으로 하는데, 이 역할은 객실 내에 구비된 IoT 허브(4)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IoT 허브(4)가 객실 내에 구비된 복수의 IoT 기기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IoT 허브(4)와 스마트폰 역시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을 매개로 연결 처리되어 투숙객의 스마트폰을 통해 IoT 허브(4)와 연결된 복수의 IoT 기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동작 제어부(420)는,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입력된 IoT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때 각각의 IoT 기기에 대한 개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모든 기기에 대한 통합 제어를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전체 IoT 기기에 대한 통합 제어는 on/off 제어일 수 있다.
IoT 기기에 대한 개별 제어 시에는, 기기 표시부(410)를 통해 투숙객이 본인이 스마트폰에 표시된 복수의 IoT 기기를 확인한 상태에서, 특정 IoT 기기를 선택하여 해당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IoT 기기에 대한 동작 여부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IoT 제어 모듈(400)을 통하여, 투숙객이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을 통해 객실 내에 구비된 조명, 스피커, 냉난방기, 도어락 등의 IoT 기기들에 대한 개별 또는 통합 제어를 가능케 함으로써 투숙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IoT 기기에 대한 제어 구성에 있어, 상술한 가상공간 영상, 그 중에서도 3D 내부 영상과 IoT 기기 제어 구성을 연동 처리하여 투숙객이 스마트폰으로 하여금 3D 내부 영상을 통해 IoT 기기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하며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3D 내부 영상은, 단순히 객실 내부를 촬영한 360°파노라마 영상이 아닌 IoT 기기가 배치된 상태의 객실 내부를 가상공간으로 구현해낸 360°파노라마 영상일 수 있다.
즉 3D 내부 영상 제작을 위한 객실이미지 촬영 시, IoT 기기가 배치된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토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3D 내부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IoT 기기가 배치 처리된 객실 내부의 파노라마 영상을 3D 내부 영상으로써 생성하도록 한다.
더불어 이러한 경우, 기기 표시부(410)를 통해 IoT 기기를 스마트폰에 표시 처리할 때, IoT 기기가 배치 처리된,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 처리함으로써 투숙객이 머무르고 있는 객실을 3D 파노라마 영상으로써 확인하며, 그와 함께 배치된 IoT 기기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IoT 기기를 포함하는 3D 내부 영상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투숙객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투숙객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투숙객이 본인이 머무르는 객실에 대한 가상 파노라마 영상을 확인하고 그를 통해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IoT 기기를 목록 형태로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3D 내부 영상을 통해 IoT 기기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각각의 IoT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송할 수 있는데, 이때 바람직하게는 동작 제어부(420)를 통한 제어신호 발송 및 IoT 기기 제어에 있어,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3D 내부 영상에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는 3D 내부 영상에서, 각각의 IoT 기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게 하고, 개별 IoT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 입력 시 3D 내부 영상 속 IoT 기기에 해당하는 객체 부위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추가적인 효과용 오브젝트를 삽입하거나, 혹은 알림메시지를 출력하여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3D 내부 영상에 시각적 효과로써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투숙객으로 하여금 3D 내부 영상을 확인하면서 객실 내에 비치된 IoT 기기를 제어하고, IoT 기기의 제어 여부를 3D 내부 영상 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직관적인 시각적 확인을 통한 객실 내부의 기기 제어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더불어 바람직하게 IoT 기기는 객실에 구비된 도어락(Door lock) 기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도어락의 경우 IoT 제어 모듈(400)을 통해 투숙객의 스마트폰을 통해 잠금 해제 및 잠금 설정 기능을 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oT 제어 모듈(400)은 위치 파악부(430), 잠금 해제부(440) 및 잠금 설정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파악부(430)는 투숙객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IoT 허브(4)(Hub)를 통해 통신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파악함으로써 파악되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투숙객의 위치정보를 GPS 기반으로 확인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투숙객의 위치정보를 GPS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다.
잠금 해제부(440)는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도어락으로부터 기 설정된 해제범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잠금 설정부(450)는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도어락으로부터 해제범위 이상 거리에 위치한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도어락을 잠금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도어락의 잠금 및 해제는 매우 엄밀한 보안용 기능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해제범위는 매우 가까운 거리, 예를 들어 1m 이내, 혹은 50cm 이내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소지한 투숙객이 도어락에 매우 가깝게 다가가는 경우 도어락이 잠금 해제되는 것이며, 도어락에서 멀어짐에 따라 도어락이 잠금 처리된다. 그러므로 투숙객이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소지한 채로 도어락에 가깝게 다가가거나, 멀어짐으로써 자동으로 도어락에 대한 잠금 설정 및 해제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IoT 기능이 작동된다 하였으므로, 해당 투숙객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시 이를 해당 숙박시설(2)의 예약 서버를 통해 인증처리 하게 함으로써 한정된 기간에만, 즉 투숙 기간에만 IoT 기능을 통해 객실 내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해 투숙을 수행한 고객(1), 즉 투숙객이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과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객실 내부에 있는 다양한 IoT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에서 더 나아가, 객실 도어락에 대해 별도의 카드키 없이도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잠금 설정 및 해제를 가능케 함으로써 객실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고객(1)에 대한 객실 예약을 수행함에 있어, 실시간으로 해당 고객(1)이 선택한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해야 한다. 이때 가상공간 영상은 바람직하게 영상 신호의 형태로 고객(1)이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데스크톱, 노트북과 같은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예약일자를 여러번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예약일자에 맞춰 가상공간 영상을 실시간으로 계속 제공해야 하는 바, 여기서 인터넷의 품질이 떨어지거나 전송 속도가 너무 느린 경우, 혹은 갑자기 전송 속도가 떨어지는 현상과 같이 인터넷이 고른 품질을 나타내지 못하는 경우 고객(1)이 가상공간 영상을 원활하게 제공받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보다 끊김 없는, 안정적인 속도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송 제어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송 제어 모듈(500)은 바람직하게 속도 파악부(510) 및 패킷 삽입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파악부(510)는 가상공간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의 전송 속도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송 속도(전송율)은 Mbps단위가 일반적이므로, 실시간 전송 속도를 파악하여 이를 Mbps 단위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패킷 삽입부(520)는 전송 속도의 고저에 따라 영상 신호에 엠티 패킷(empty packet)을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송 속도의 변화를 파악하여 고른 전송 속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즉 전송 속도가 끊기는 끊김 현상이 발생하거나 하방의 피크(peak)가 발생하는 식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상황이 나타나는 경우 해당 영상 신호에 엠티 패킷을 삽입하여 전송 속도의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엠티 패킷이라 함은 다시 말해 널 패킷(null packet)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비어 있는 패킷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0이나 1로 채워진 비트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런 의미 없이,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 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삽입된다.
이러한 엠티 패킷은 영상 신호의 비트율 합을 계산하고, 계산한 비트율과 전송 속도를 비교함으로써 전송 속도가 떨어지는 경우 부족한 만큼을 엠티 패킷으로 채우는 방식으로써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엠티 패킷의 삽입을 통해, 전송 속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거나 하방의 피크가 나타나는 등 고른 품질을 나타내지 않을 때, 엠티 패킷을 영상 신호에 삽입함으로써 전송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고객(1)으로 하여금 끊김없는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섹터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술한 도 2와 함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송 제어 모듈(500)은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 품질을 보다 높이기 위해 단순히 엠티 패킷을 삽입하는 것 뿐 아니라 전송 속도에 따라 엠티 패킷이 삽입될 개수를 산출하도록 하고, 산출된 개수만큼의 엠티 패킷을 지정된 위치에 규칙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송 제어 모듈(500)은 섹터 생성부(530), 패킷지수 산출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섹터 생성부(530)는 상술한 가상공간 영상의 영상 신호를 인프라 패킷(Infra packet)과 인프라 패킷에 종속되는 복수의 종속 패킷(Predicted packet)으로 그룹화하여 복수의 섹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상 신호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시간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패킷으로 분리하되, 일정 시간마다 위치하는 패킷을 인프라 패킷으로 지정(즉, 부호화)하고, 어느 하나의 인프라 패킷을 기준으로 시간 순서에 따라 다음 인프라 패킷까지 위치하는 복수 개의 패킷들을 각각 종속 패킷으로 지정(즉, 부호화)하여 기준으로 지정된 인프라 패킷에 종속시키면, 이러한 인프라 패킷과 인프라 패킷에 종속된 복수의 종속 패킷을 묶은 섹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은 MPEG 영상 포맷에서 활용되는 방식과 유사한 구성으로서, 특정 시간마다 혹은 특정 개수의 패킷을 묶어 섹터를 형성하되, 이 섹터에서 가장 앞선 시간에 위치하는 패킷을 인프라 패킷으로 지정하고, 섹터 내에서 인프라 패킷을 제외한 나머지 패킷들을 종속 패킷으로 지정하여 시간 순서 상 앞에 위치한 인프라 패킷에 종속 패킷들을 종속시켜 하나의 그룹(즉, 섹터)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섹터는 하나의 인프라 패킷과 복수 개의 종속 패킷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는데, 이 때 섹터 생성부(530)는 'IPPPP'와 같은 섹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섹터의 길이는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즉 섹터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은 다시 말해 영상 신호에 있어서의 프레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패킷지수 산출부(540)는 전송 속도에 따라 엠티 패킷이 삽입될 개수인 패킷지수를 차등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여기서 패킷지수의 산출 방식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송속도가 느릴수록 패킷지수가 높으며, 전송속도가 빠를수록 패킷지수가 낮아질 수 있다. 즉 전송속도가 느릴수록 많은 양의 엠티 패킷을 삽입하게 되는 것이며, 전송속도가 빠를수록 적은 양의 엠티 패킷을 삽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섹터 생성부(530)를 통해 섹터가 생성되고 인프라 패킷이 파악된 상태에서, 패킷지수 산출부(540)에 의해 전송 속도에 따라 패킷지수가 산출되면, 패킷 삽입부(520)는 섹터 별 인프라 패킷의 위치마다 패킷지수 만큼의 엠티 패킷을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인프라 패킷마다 엠티 패킷이 삽입되는 것인데, 여기서 전송속도는 실시간으로 변화될 수 있으므로 영상 신호가 전송되면서 실시간으로 패킷지수가 산출되는 경우, 각각의 인프라 패킷마다 삽입되는 엠티 패킷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실시간 전송속도를 반영하여 인프라 패킷마다 적정한 양의 엠티 패킷이 삽입됨으로써, 실시간으로 전송 품질 저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1)에게 보다 고른 품질의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와 같은 패킷지수 산출에 있어서 전송속도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되는 영상 신호, 즉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그리고 해당 영상 신호가 전송되고 있는 실시간 전송속도와 지연율, 손실율을 기반으로 하여 산출된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를 통해 패킷지수를 보다 정교화하고 난수화함으로써 전송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전송 제어 모듈(500)은 용량 파악부(560)를 더 포함하여 가상공간 영사에 대한 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용량의 단위는 일반적으로 MB 또는 GB 단위로 파악될 수 있다.
나아가 속도 파악부(510)는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속도 뿐 아니라 지연율, 손실율을 함께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이때 전송속도(전송율)은 Mbps단위가 일반적이고, 지연율은 ms 단위임이 일반적이며, 손실률은 % 단위가 아닌 일반 소수점 단위로 이용하게 된다.(만약 인터넷 속도 측정 기준 손실률이 20인 경우 20%를 의미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0.2로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패킷지수 산출부(540)는 단순히 전송속도에 따라 패킷지수를 산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파악된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그리고 실시간 지연율 및 손실율에 따라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간단하게는 패킷지수에 지연율 및 손실율, 그리고 용량을 곱하여 패킷지수를 보정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패킷지수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1
(여기서, R은 보정된 패킷지수, P는 패킷지수, l은 손실률, C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d는 지연율, v는 전송속도로서 v>0)
이 때 상술한대로 l은 손실률로서 0<l<1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손실률이 1에 수렴할수록 하이퍼볼릭 탄젠트의 역함수의 값은 무한대에 가깝게 발산한다. 따라서 손실률에 하이퍼볼릭 탄젠트의 역함수를 씌운 값은 0 내지 무한대 사이에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손실율이 1퍼센트인 경우 0.01의 손실율 값을 가지므로,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2
의 값은 대략 0.01로 나타난다. 그러나 손실율이 50퍼센트인 경우 0.6의 손실율 값을 갖는데, 이 때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3
는 0.54의 값을 갖는다. 더불어 손실율이 85퍼센트인 경우 0.85의 손실율 값을 갖는데, 이 때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4
는 1.25로 나타난다.
즉 손실율이 1에 가까워질수록 급격하게 커지며, 손실율이 매우 작은 경우 하이퍼볼릭 탄젠트 역함수의 값은 손실율의 값과 거의 유사하다.
C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mb 단위일 수 있으므로 100mb일 경우 100이 된다. 더불어 용량이 예를 들어 860mb 인 경우 860이며, 용량이 1.2GB인 경우 1228.8의 값을 갖게 된다.
d는 지연율로써 ms 단위를 사용한다. 이 때 d값의 예시로는 예를 들어 지연율이 50ms 인 경우 50이 된다.
v는 전송속도로서 v>0이고, 일반적으로 Mbps값을 사용한다 하였다. 즉 475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경우 475의 값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패킷지수는 손실률, 용량, 지연율, 전송속도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단위를 통해 보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는 손실률이 높을수록, 용량이 클수록, 지연율이 높을수록, 전송속도가 느릴수록 기본 패킷지수에 비해 보정된 패킷지수의 값이 올라가게 된다. 특히 손실율에 따라 패킷지수의 보정값이 큰 차이로 보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킷지수의 보정 구성을 통해 보다 끊김없는 영상 신호의 제공을 가능케 함으로써, 고객(1)으로 하여금 끊김없는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패킷지수를 또 다른 방법으로 보정 처리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전송 제어 모듈(500)은 변동률 파악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변동률 파악부(570)는 실시간으로 전송속도를 검출하여 만약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전송속도가 나타나는 경우 이를 피크로서 산출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기준범위는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본 발명의 시스템 자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범위가 설정되는 방법에는 그 제한이 없다.
피크가 산출되는 경우, 상기 피크가 나타난 영상 신호 파장의 주기를 기반으로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파악하게 된다. 영상 전송의 경우 전자 신호가 전송되는 것인 만큼, 전자 신호는 파장 대역을 포함한다. 이 때 해당 파장에서 피크를 검출하고 분석 처리하여 피크를 검출하고 피크 발생에 따라 전송속도가 실시간으로 어떻게 변동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술한 구성에서와 같이 전송속도의 변동률이 파악되는 경우, 상술한 패킷지수 산출부(540)는 지연율, 손실율, 용량 뿐 아니라 여기에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함께 반영한 수학식 2를 기반으로 패킷지수를 보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5
(여기서, R'은 보정된 패킷지수,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6
는 수학 계산에서 이용하는 합의 기호인 시그마(sigma)를 의미, P는 패킷지수,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7
는 k번째 피크가 나타난 영상 신호 파장의 주기, n은 나타난 상기 피크의 개수, l은 손실률, C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d는 지연율, v는 전송속도로서 v>0)
여기서 중간 부분 항이 전송속도의 변동률 항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크의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 검출됨이 기본이다. 왜냐하면 반복적인 영상 전송에 있어 피크값이 적어도 2번 이상은 나타남이 자명하며,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후술하지 않는다.
이때 만약 피크가 가장 적은 회수인 2번 나타난다 하고, 기본 파장의 주기가 5초(피크 없는 파장의 주기) 1번째 피크의 주기가 5초, 2번째 피크의 주기가 4초인 경우 n=2,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8
,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09
,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10
이므로 전송속도 변동률은 0.14의 값이 산출된다. 이와 같이 기본 파장의 주기, 피크가 나타난 주기(피크 값 사이의 시간 간격), 그리고 피크의 개수를 통해 전송속도 변동률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손실률은 0<l<1 사이의 값을 나타내고, 손실률이 1에 수렴할수록 하이퍼볼릭 탄젠트의 역함수의 값은 무한대에 가깝게 발산한다. 따라서 손실률에 하이퍼볼릭 탄젠트의 역함수를 씌운 값은 0 내지 무한대 사이에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손실율이 1퍼센트인 경우 0.01의 손실율 값을 가지므로,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11
의 값은 대략 0.01로 나타난다. 그러나 손실율이 50퍼센트인 경우 0.6의 손실율 값을 갖는데, 이 때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12
는 0.54의 값을 갖는다.
더불어 손실율이 85퍼센트인 경우 0.85의 손실율 값을 갖는데, 이 때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13
는 1.25로 나타난다. 즉 손실율이 1에 가까워질수록 급격하게 커지며, 손실율이 매우 작은 경우 하이퍼볼릭 탄젠트 역함수의 값은 손실율의 값과 거의 유사하다.
C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mb 단위이므로 100mb일 경우 100이 된다. 더불어 용량이 예를 들어 860mb 인 경우 860이며, 용량이 1.2GB인 경우 1228.8의 값을 갖게 된다.
d는 지연율로써 ms 단위를 사용한다 이 때 d 값의 예시로는 예를 들어 지연율이 50ms 인 경우 50이 된다.
v는 전송속도로서 일반적으로 Mbps값을 사용한다 하였다. 즉 475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경우 475의 값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학식 2를 통하여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패킷지수 보정에 이용하는 것인데, 이는 전송속도의 변동 폭을 파악하여 피크값을 산출하고, 해당 피크값을 통한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파악하여 이를 보정에 반영함으로써 패킷지수의 보정을 보다 엄밀하고 상세히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호텔이나 모텔 등의 숙소 등에 적용되어 예약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9)

  1.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으로서,
    객실 내부를 촬영한 복수의 객실이미지 및, 복수의 상기 객실을 포함하는 숙박시설의 외부를 촬영한 시설이미지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DB 및, 상기 객실이미지 및 상기 시설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숙박시설의 외관에 대한 3D 외관 영상 및 객실 내부에 대한 3D 내부 영상을 포함하는 가상공간 영상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가상공간DB를 포함하는 가상공간 생성 모듈;
    상기 객실의 일자별 예약 완료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3D 외관 영상 상에서 상기 객실의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의 밝기를 차등 제어하는 효과를 부여하는 예약 확인 모듈;
    고객으로부터 예약일자를 입력받고, 상기 고객에게 상기 예약일자에 대한 가상공간 영상을 제공하는 가상영상 제공부 및, 상기 고객으로부터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객실을 선택받아 예약 완료 처리하는 예약 처리부를 포함하는 예약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객실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서 IoT 허브(Hub)와 연결 처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기기를 상기 객실을 이용하는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하는 기기 표시부 및,
    상기 스마트폰에 의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는 IoT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3D 내부 영상은,
    상기 IoT 기기가 배치된 객실 내부에 대한 360°파노라마 영상이며,
    상기 기기 표시부는,
    상기 IoT 기기가 배치된 3D 내부 영상을 상기 투숙객의 스마트폰에 표시하고,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IoT 기기의 동작 여부를 상기 3D 내부 영상 상에 나타내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IoT 기기는,
    도어락(Door lock)을 포함하며,
    상기 IoT 제어 모듈은,
    상기 투숙객의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기 설정된 해제범위 이내인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 및,
    스마트폰의 위치정보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상기 해제범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락을 잠금 설정하는 잠금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영상 제공부는,
    상기 가상공간 영상에 대한 영상 신호를 상기 고객이 소지한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 속도를 파악하는 속도 파악부 및,
    상기 전송 속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엠티 패킷(empty packet)을 삽입하는 패킷 삽입부를 포함하는 전송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모듈은,
    상기 영상 신호를 인프라 패킷(Infra packet)과 상기 인프라 패킷에 종속되는 복수의 종속 패킷(Predicted packet)으로 그룹화하여 복수의 섹터를 생성하는 섹터 생성부와,
    상기 전송 속도에 따라 상기 엠티 패킷이 삽입될 개수인 패킷지수를 산출하는 패킷지수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 삽입부는,
    상기 섹터 별 인프라 패킷의 위치마다 상기 패킷지수 만큼의 상기 엠티 패킷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모듈은,
    상기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을 파악하는 용량 파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도 파악부는,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한 전송속도와 지연율 및 손실율을 파악하며,
    상기 패킷지수 산출부는,
    상기 지연율, 상기 손실율 및 상기 용량에 따라 상기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지수 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14
    (여기서, R은 보정된 패킷지수, P는 패킷지수, l은 손실률, C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d는 지연율, v는 전송속도로서 v>0)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 모듈은,
    기 설정된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상기 전송속도를 피크로서 산출하고, 상기 피크가 나타나는 상기 영상 신호 파장의 주기를 기반으로 전송속도의 변동률을 파악하는 변동률 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킷지수 산출부는,
    상기 지연율, 상기 손실율 및 상기 용량과 상기 전송속도의 변동률이 반영된 다음의 수학식 2를 기반으로 상기 패킷지수를 보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15
    (여기서, R'은 보정된 패킷지수,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16
    는 수학 계산에서 이용하는 합의 기호인 시그마(sigma)를 의미, P는 패킷지수,
    Figure PCTKR2021010479-appb-I000017
    는 k번째 피크가 나타난 영상 신호 파장의 주기, n은 나타난 상기 피크의 개수, l은 손실률, C는 가상공간 영상의 용량, d는 지연율, v는 전송속도로서 v>0)
PCT/KR2021/010479 2021-07-15 2021-08-09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WO202328690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06A KR102382066B1 (ko) 2021-07-15 2021-07-15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10-2021-0092906 2021-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6906A1 true WO2023286906A1 (ko) 2023-01-19

Family

ID=8118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0479 WO2023286906A1 (ko) 2021-07-15 2021-08-09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82066B1 (ko)
WO (1) WO2023286906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584A (ja) * 1999-02-04 2000-08-11 Nec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伝送システム
JP2004180233A (ja) * 2002-11-29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再生装置、媒体及び情報集合体
KR20100110083A (ko) * 2009-04-02 2010-10-12 류승훈 숙박업소 관리시스템
KR20190028134A (ko) * 2017-09-08 2019-03-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의 저전력 위치기반 통신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호텔 서비스 대체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90111575A (ko) * 2018-03-23 2019-10-02 이재호 객실 확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9973B1 (ja) * 2012-06-18 2013-03-13 株式会社プランネット・アソシエイツ 伝送パケットの配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4584A (ja) * 1999-02-04 2000-08-11 Nec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伝送システム
JP2004180233A (ja) * 2002-11-29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再生装置、媒体及び情報集合体
KR20100110083A (ko) * 2009-04-02 2010-10-12 류승훈 숙박업소 관리시스템
KR20190028134A (ko) * 2017-09-08 2019-03-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의 저전력 위치기반 통신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호텔 서비스 대체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방법
KR20190111575A (ko) * 2018-03-23 2019-10-02 이재호 객실 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66B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3889B2 (ja)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6909458B1 (en) Camera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one or more cameras
WO2014081076A1 (en) Head mou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01785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11594A1 (en) Electronic device,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AU201335548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4204239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lock scree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092736A1 (ko) 방 단위의 가상 인테리어 견적 산출 서버 및 견적 산출 방법
WO2021162434A1 (ko)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키오스크 주문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1786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WO2018101628A1 (ko) 조건부 액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9160250A1 (ko)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7007166A1 (ko) 투영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이미지 픽셀과 깊이값간의 매핑 방법
WO2019035582A1 (en) DISPLAY APPARATUS AND SERVER,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8169304A2 (ko)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286906A1 (ko) 3d 가상공간 기반의 숙박 예약 플랫폼 제공 시스템
WO2018135729A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기부 및 기부 콘텐츠 구매 방법
US20220272164A1 (en) Experience sharing system and experience sharing method
WO2020202992A1 (ja) 保守方法、保守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WO2018169166A1 (ko) 룰을 이용한 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WO2023146189A1 (ko) 전자지갑 기반 아바타의 이력 관리를 위한 메타버스 시스템
WO2020091194A1 (ko) 클라우드 기반의 버추얼 스마트폰 시스템
WO20190937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86642A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WO2022005050A1 (ko) 공유핸들 기반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사용자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502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