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910B1 -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 - Google Patents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910B1
KR102379910B1 KR1020190174574A KR20190174574A KR102379910B1 KR 102379910 B1 KR102379910 B1 KR 102379910B1 KR 1020190174574 A KR1020190174574 A KR 1020190174574A KR 20190174574 A KR20190174574 A KR 20190174574A KR 102379910 B1 KR102379910 B1 KR 10237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inding wheel
grinding
truing
d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033A (ko
Inventor
김현진
김재하
신다운
안춘근
Original Assignee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9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5/02Wheels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4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of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s on abrasive tools or wheels
    • B24B53/047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of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s on abrasive tools or wheels equipped with one or more diam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연삭시간을 감소시키고, 연삭품질을 확보하며, 생산성을 높이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을 제시한다. 그 휠 및 방법은 연삭휠의 중심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샹크 및 연삭층을 포함하고, 연삭층은 샹크의 둘레에 배치되며, 내측에는 고경도층이 위치하고 외측에는 상기 고경도층보다 경도가 낮은 지석층이 위치한다.

Description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Grinding wheel of surface processing for workpiece and method of truing or dressing the wheel}
본 발명은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과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방정계 질화붕소 연마입자를 활용하여 압연롤과 같은 피삭재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연은 금속의 소성을 이용해서 고온 또는 상온의 금속재료를, 회전하는 2개의 롤 사이로 통과시켜서 여러 가지 형태, 즉 판(plate), 봉(rod), 관(pipe), 기타 형재 등으로 가공하는 방법이다. 압연에는 고온에서 실시하는 열간압연과 저온에서의 냉간압연이 있다. 압연롤은 압연에 사용되는 롤(roll)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압연롤은 마모에 대한 저항 및 인성을 동시에 가지며, 표면은 내마모성이 큰 외층재 및 상기 외층재의 내부는 인성(toughness)이 큰 내층재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압연롤의 외층재는 높은 내마모성을 위해 경질 탄화물을 포함하고, 크롬, 몰리브덴, 바나듐, 니오븀 등의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내마모성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 내층재는 인성이 큰 회주철 또는 구성 흑연주철로 형성하고 있다. 압연롤은 압연을 하는 과정에서 외층재의 훼손이 일어나므로, 표면을 다시 가공하여 적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압연롤의 표면을 다시 가공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1837320호 등과 같이 알루미나, 탄화규소, 다이아몬드 입자 등의 연마입자를 포함한 연삭휠을 사용한다. 그런데, 다이아몬드의 경우, 압연롤과 반응하여 마모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압연롤의 표면가공에서 배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압연롤 표면가공은 다이아몬드보다 경도가 낮은 알루미나, 탄화규소 등의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지석휠을 사용한다. 압연롤 표면가공용 연삭휠은 일반적인 디스크 형태이며 지름 600~1000mm, 폭 50~150mm의 크기이다.
상기 지석휠은 경도가 낮아서 압연롤 표면의 연삭시간이 상대적으로 길고, 연삭품질이 낮으며, 지석휠의 잦은 트루잉과 드레싱 및 낮은 수명으로 인한 교체로 인하여 생산성이 저하된다. 압연롤 형상 정밀도의 미흡, 연삭면의 표면조도의 미달, 크라운(crown) 및 롤마크(roll mark) 발생 등으로 연삭품질이 저하된다. 종래의 지석휠은 자주 교체하여야 하고, 교체하는 과정에서는 지석휠의 트루잉 드레싱 작업이 필요하여 공정의 생산성을 떨어뜨린다. 특히 압연롤의 연마작업 중 지석휠의 마모로 직경 및 형상의 변화가 발생하여 압연롤의 형상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가 까다롭다. 이에 비하여, CBN, 다이아몬드와 같은 고경도 연마입자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 중에 연마휠의 마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작업이 간편하고 공정조건도 간단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삭시간을 감소시키고, 연삭품질을 확보하며, 생산성을 높이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에 의하면, 연삭휠의 중심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샹크 및 연삭층을 포함하고, 상기 연삭층은 상기 샹크의 둘레에 배치되며, 내측에는 고경도층이 위치하고 외측에는 상기 고경도층보다 경도가 낮은 지석층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연삭휠에 있어서, 상기 고경도층은 CBN층 또는 다이아몬드층 중의 어느 하나의 층일 수 있다. 상기 CBN층의 CBN 지립은 상기 피삭재에 의해 산화를 유발되지 않는다. 상기 피삭재는 상기 CBN층의 CBN 지립으로 연삭되며, 상기 연삭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CBN 지립은 상기 피삭재에 의해 산화가 유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CBN 지립의 집중도는 30~50vol%일 수 있다. 상기 지석층의 두께는 상기 CBN층에 비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석층은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탄화규소(SiC), 알루미나-지르코니아(Al2O3-ZrO2) 또는 티타늄 다이보라이드(TiB2)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CBN층은 세라믹 결합재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샹크의 재질은 세라믹 소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에 의하면, 먼저 샹크의 둘레에 도포되며, 내측에는 고경도층이 위치하고 외측에는 상기 고경도층보다 경도가 낮은 지석층이 위치하는 연삭층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지석층을 연삭하여 상기 고경도층 및 상기 지석층이 혼재되어 드러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석층은 상기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위하여 존재한다. 상기 지석층의 두께는 상기 트루잉 또는 상기 드레싱을 위한 두께일 수 있다. 상기 지석층의 연삭은 다이아몬드 드레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에 의하면, 지석층을 이용하여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하고 고경도 지립으로 피삭재를 연삭함으로써, 연삭시간을 감소시키고, 연삭품질을 확보하며, 생산성을 높인다. CBN층보다 경도가 낮은 지석층을 이용하여 트루잉 또는 드레싱 또는 그 조합을 용이하게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삭휠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삭휠의 연삭층을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석층을 이용하여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하고 고경도 지립으로 피삭재을 연삭함으로써, 연삭시간을 감소시키고, 연삭품질을 확보하며, 생산성을 높이는 연삭휠 및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고경도 입자를 포함하는 연삭휠 및 그 연삭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고경도 입자 포함 연삭휠을 트루잉 또는 드레싱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삭휠은 압연롤과 같은 피삭재의 표면을 가공하는 데에 사용된다. 여기서, 압연롤은 피삭재의 하나의 사례이다. 상기 압연롤은 고온에서 실시하는 열간압연과 저온에서의 냉간압연에서 사용되는 롤(roll)이다. 일반적으로, 압연롤은 마모에 대한 저항 및 인성을 동시에 가지며, 표면은 내마모성이 큰 외층재 및 상기 외층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인성이 큰 내층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삭휠은 내마모성이 큰 외층재를 연삭한다. 이때, 고경도 입자는 다이아몬드, CBN으로써 여기서는 CBN을 예로 들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삭휠(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연삭휠(100)은 중심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샹크(10) 및 연삭층(20)을 포함한다. 연삭층(20)은 샹크(10)의 둘레를 소정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CBN층(21) 및 외곽에는 지석층(22)으로 구분된다. 즉, CBN층(21)은 샹크(10) 및 지석층(22) 사이에 위치한다. 샹크(10)는 반경(R)의 원통 형태이며, 세라믹 소결체, 알루미늄, 티타늄, 강철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샹크(10)의 크기 및 재질은 본 발명의 연삭휠(100)이 적용되는 환경, 용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압연롤을 연삭하는 연삭휠(100)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중량이 가벼운 세라믹 소결체가 바람직하다.
입방정계 질화붕소(cubic boron nitride, CBN)은 다이아몬드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원자 사이에 형성된 결합은 강하며 주로 정사면체 공유결합이다. 상기 CBN은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경도가 높고,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열전달률이 높아 마찰열에 의해서도 쉽게 마모되지 않는다. 한편, 연마입자로 주로 사용되는 다이아몬드는 철계 금속에 의해 산화가 쉽게 일어나므로, 다이아몬드는 철계 금속의 가공에 적용하기 어렵다. 반면, CBN 지립은 다이아몬드와는 달리 고온에서 철계 금속과 반응하지 않고 약 1300℃ 정도의 고온에서도 산화가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CBN 지립은 철계 금속으로 이루어진 압연롤의 연삭가공에 적합하다.
또한, CBN 지립은 연삭효율은 다이아몬드를 제외한 종래의 지석에 비해 1.5~6배에 달하며, 연삭주기도 10배 이상 길어짐으로써 전체적으로 4~8배의 가공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압연롤 표면의 치수공차가 2~4㎛ 이내로 줄어들수록 CBN 지립의 효용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이, CBN 지립이 채용된 CBN층(21)은 긴 수명과 탁월한 연삭 성능 및 높은 생산성을 구현한다. 특히, CBN층(21)에 비정질 세라믹 결합재(vitrified ceramic bond)를 사용하면, CBN 지립과 세라믹 결합재, 다량의 기공을 함유함으로써, 트루잉(truing) 혹은 드레싱(dressing)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결합재의 적용으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생산성 향상, 결합재의 강도에 의해 적은 정도의 드레싱(dressing)만으로 버링(burring) 없이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세라믹 결합재는 내열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세라믹 결합재는 연삭과정에서 CBN 지립을 지지하는데 세라믹 결합재는 내마모성이 우수하므로 지립을 지지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또한, 세라믹 결합재는 취성이 있어서, 드레싱(dressing)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결합재는 열팽창계수가 낮을 뿐 아니라, CBN 지립과 유사하므로, 연삭과정에 마찰열에 의한 CBN 지립의 탈락을 최대한으로 줄인다. 세라믹 결합재는 SiO2-Al2O3-B2O3계와 같이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다. 세라믹 결합재는 재질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CBN층(21)은 CBN 지립 및 세라믹 결합재를 포함하여 구현되며, 페놀 수지와 같은 유기 결합재가 혼합될 수 있다. 이때, CBN층(21)의 기공도(porosity)는 20~30%가 바람직하다.
지석층(22)은 CBN 지립을 포함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철계 금속으로 이루어진 압연롤의 표면가공을 위하여 다이아몬드 지립은 배제되는 것이 좋다. 즉, 지석층(22)은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탄화규소(SiC), 알루미나-지르코니아(Al2O3-ZrO2), 티타늄 다이보라이드(TiB2) 등의 지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립은 CBN 지립에 비해 경도가 낮아서, 상대적으로 쉽게 마모된다. CBN층(21)의 마모량은 동일한 연삭조건에서 지석층(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는 점에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지석층(22)의 결합재의 종류는 굳이 한정하지 않으나, 에폭시 수지나 페놀 수지와 같은 유기 결합재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마층(20)은 샹크(10) 위에 형성되며, CBN층(21) 및 지석층(22)이 적층된다. 이에 따라, 압연롤을 연삭하기 위한 CBN층(21)이 지석층(22)에 의해 덮인 상태이다. 지석층(22)은 추후에 설명할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위하여 존재한다. 즉, 지석층(22)은 압연롤을 연마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 아니고, 연마층(20)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에 활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삭휠의 연삭층을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때, 연삭휠은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연삭층(20)을 트루잉 또는 드레싱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삭휠(100)의 샹크(10) 상에 CBN층(21) 및 지석층(22)으로 이루어진 연삭층(20)을 형성한다(S10). 상기 트루잉은 연삭층(20)의 형상을 바로잡아 주고, 상기 드레싱은 CBN 지립을 노출시키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트루잉과 드레싱은 동시에 이루어지기도 한다. 효율적인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위해서는 지석층(22)의 두께가 최대한으로 얇은 것이 좋으나, 실질적으로 약 2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석층(21)의 두께는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위한 두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CBN층(21)은 실질적으로 압연롤을 연삭하는 역할을 하며, 예컨대 약 10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CBN층(21)의 일부가 드러날 때까지 지석층(22)을 연삭하여 제거한다. 즉, 휠의 표면에 CBN층(21)과 지석층(22)이 혼재되어 드러나도록 트루잉 또는 드레싱한다(S12).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실행하는 장치를 드레서라고 하고, 상기 드레서에는 크게 고정 다이아몬드 드레서, 로타리 드레서가 있다. 로타리 드레서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효율적으로 연삭휠(100)을 트루잉 및 드레싱할 수 있는 방식이나, 기존에 지석휠을 사용하던 작업환경에서 로타리 드레서를 새로 설치할 수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로타리 드레서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압연롤을 연삭하는 본 발명의 연삭휠(100)에 대한 드레서로는 부적합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드레서는 고정 다이아몬드 드레서가 바람직하다. 고정 다이아몬드 드레서는 실제 현장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작으므로, 압연롤을 연삭하는 공정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 지석휠의 트루잉 및 드레싱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공정의 큰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삭휠(100)의 연삭층(20)은 고정 다이아몬드 드레서로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실시한다. 다이아몬드 드레서는 자루의 단부에 다이아몬드 지석을 고정하여 이루어지며, 다이아몬드 지석을 설치각을 두어 배치한 후에, 연삭휠(100)을 다이아몬드 지석에 접촉한 다음, 연삭휠(100)을 회전시켜 연삭휠(100)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수행한다. 물론, 트루잉 및 드레싱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도 있다. 지석층(22)은 연삭층(20)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하여 존재한다.
트루잉 또는 드레싱한 이후의 연삭층(20) 표면의 일부는 CBN층(21)이 드러나기 시작하고 나머지는 지석층(22)이 남아있으며, CBN층(21) 및 지석층(22)이 혼재되어 있는 연삭표면을 형성한다. 만일, 연삭층(20)이 CBN층(21)으로만 이루어졌다면, CBN층(21)을 트루잉 또는 드레싱하여야 한다. 한편, 연삭휠(100)은 연마작업대에 최초 체결할 때, 체결편차가 약 0.2mm 정도 존재하므로 CBN층(21)은 최초(1차) 트루잉이 중요하다. CBN층(21)의 최초 트루잉으로 다이아몬드 드레서를 사용하면, 트루잉을 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된다. 특히, 연삭휠(100)의 CBN 지립의 집중도(농도)는 일반적으로 30~50vol%로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정 드레서로는 트루잉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외층의 지석층(22)을 트루잉하여 CBN층(21) 및 지석층(22)이 혼재되도록 최초 트루잉하는 작업은 고정 다이아몬드 드레서로도 충분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은 트루잉 또는 드레싱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지석층(22)을 활용함으로써, 트루잉 또는 드레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CBN층(21)이 드러나도록 트루잉 또는 드레싱이 충분하게 이루어졌으므로, 압연롤을 무난하게 연삭할 수 있다. 이때, 지석층(22)은 다이아몬드가 배제된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탄화규소(SiC), 알루미나-지르코니아(Al2O3-ZrO2), 티타늄 다이보라이드(TiB2) 등의 지립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철계 금속으로 이루어진 압연롤의 연삭하기 위한 연삭휠을 예로 들었다. 이에 따라, 연삭휠(100)은 철계 금속의 영향을 받지 않는 CBN 지립을 포함하는 CBN층(21)을 적용하였다. 그런데, 피삭재가 철계 금속이 아니어서 산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면, CBN 지립 대신에 다이아몬드 지립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 지립을 사용하면, CBN층(21)은 다이아몬드층(21)이라고 할 수 있고, CBN층(21) 및 다이아몬드층(21)을 통칭하여 고경도층(21)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앞에서는 피삭재로써 압연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형태의 피삭재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0; 연삭휠 10; 샹크
20; 연삭층 21; CBN층
22; 지석층

Claims (14)

  1. 연삭휠의 중심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샹크 및 연삭층을 포함하고,
    상기 연삭층은 상기 샹크의 둘레에 배치되며, 내측에는 고경도층이 위치하고 외측에는 상기 고경도층에서의 연마입자보다 경도가 낮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지석층이 위치하고, 상기 경도가 낮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지석층은 트루잉 또는 드레싱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경도층은 CBN층 또는 다이아몬드층 중의 어느 하나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BN층의 CBN 지립은 상기 피삭재에 의해 산화를 유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BN 지립의 집중도는 30~50v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층의 두께는 상기 CBN층의 두께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층은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탄화규소(SiC), 알루미나-지르코니아(Al2O3-ZrO2) 또는 티타늄 다이보라이드(TiB2)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경도층은 세라믹 결합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샹크는 세라믹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9. 샹크의 둘레에 도포되며, 내측에는 고경도층이 위치하고 외측에는 상기 고경도층에서의 연마입자보다 경도가 낮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지석층이 위치하는 연삭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석층을 연삭하여 상기 고경도층 및 상기 지석층이 혼재되어 드러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도가 낮은 연마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지석층은 트루잉 또는 드레싱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의 트루잉 및 드레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경도층은 CBN층 또는 다이아몬드층 중의 어느 하나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의 트루잉 및 드레싱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층은 상기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또는 그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위하여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의 트루잉 및 드레싱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층의 두께는 상기 트루잉 또는 상기 드레싱을 위한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의 트루잉 및 드레싱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층은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탄화규소(SiC), 알루미나-지르코니아(Al2O3-ZrO2) 또는 티타늄 다이보라이드(TiB2)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의 트루잉 및 드레싱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석층의 연삭은 다이아몬드 드레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의 트루잉 및 드레싱 방법.

KR1020190174574A 2019-12-24 2019-12-24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 KR10237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574A KR102379910B1 (ko) 2019-12-24 2019-12-24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574A KR102379910B1 (ko) 2019-12-24 2019-12-24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033A KR20210082033A (ko) 2021-07-02
KR102379910B1 true KR102379910B1 (ko) 2022-03-29

Family

ID=7689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574A KR102379910B1 (ko) 2019-12-24 2019-12-24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224A (ko) 2021-10-20 2023-04-2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표면검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36B1 (ko) * 1998-11-06 2006-08-11 가부시기가이샤노리다께캄파니리미티드 베이스원판형 연삭숫돌
JP2011251350A (ja) * 2010-05-31 2011-12-15 Mitsubishi Materials Corp 薄刃ブレード
KR101506613B1 (ko) * 2013-05-13 2015-03-27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절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936B1 (ko) * 1998-11-06 2006-08-11 가부시기가이샤노리다께캄파니리미티드 베이스원판형 연삭숫돌
JP2011251350A (ja) * 2010-05-31 2011-12-15 Mitsubishi Materials Corp 薄刃ブレード
KR101506613B1 (ko) * 2013-05-13 2015-03-27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절삭공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033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9338B2 (en) Grinding wheel for roll grinding application and method of roll grinding thereof
KR101256310B1 (ko) 양면 연마 장치의 가공층을 트리밍하는 트리밍 방법 및 트리밍 장치
Liu et al. Grinding wheels for manufacturing of silicon wafers: a literature review
JP3323827B2 (ja) 精密部品の製造方法
EP1574289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rrier for holding an object to be polished
US11781244B2 (en) Seed crystal for single crystal 4H—SiC growth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ame
KR102379910B1 (ko) 피삭재의 표면가공을 위한 연삭휠 및 그 연삭휠의 트루잉 또는 드레싱 방법
JPH0378223B2 (ko)
JP2012200847A (ja) ビトリファイド超砥粒砥石
JPH0822509B2 (ja) 研削砥石
JP2021115645A (ja) ビトリファイド超仕上げ砥石
JP2000190199A (ja) 定盤平面修正方法
Ichida Wheel life and cutting-edge wear in mirror-grinding using a coarse-grained CBN wheel treated by microdressing
TW201932247A (zh) 研磨工具
JP3065987U (ja) 超砥粒研削定盤
JP2004243465A (ja) ダイヤモンドラップ定盤
JP3612122B2 (ja)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19377A (ja) 鏡面加工用ビトリファイドボンド超砥粒ホイール
JP2003136411A (ja) 研削砥石
JPH0829496B2 (ja) ベース円板形研削砥石
JP2000280178A (ja) 研削砥石
JPH03213272A (ja) ビトリファイド超砥粒砥石
JP6286196B2 (ja) 砥石およびそれを用いる研削装置
JPS58181574A (ja) 超砥粒砥石
JP2001198800A (ja) ガラス板の表面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