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276B1 - 건축용 동바리 - Google Patents

건축용 동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276B1
KR102379276B1 KR1020210101804A KR20210101804A KR102379276B1 KR 102379276 B1 KR102379276 B1 KR 102379276B1 KR 1020210101804 A KR1020210101804 A KR 1020210101804A KR 20210101804 A KR20210101804 A KR 20210101804A KR 102379276 B1 KR102379276 B1 KR 10237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hinge
lower support
upper support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Priority to KR1020210101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바닥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는 종방향의 하부 힌지홀이 형성된 하부 지지관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의 전,후방에는 하부 지지관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후방 돌출판이 형성되고, 각각의 전,후방 돌출판에서는 상기 하부 힌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연결 힌지홀이 형성된 하부 받침판과; 서로 일치하는 상기 연결 힌지홀들과 하부 힌지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상부에 높이 조정수단으로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지지관과; 상기 상부 지지관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를 받혀주는 상부 받침수단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경사져 경사진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의 하부 받침판의 상면 양측을 눌러주어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유동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동바리{SUPPORTING POST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진 바닥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건축용 동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로 시공되는 건축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층간사이의 층간벽을 구성하는 슬래브를 시공할 경우에는, 층간벽을 구성하는 슬래브가 시공되는 부분의 하부에 다수의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각각의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에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직의 동바리를 설치한 다음, 슬래브 거푸집들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층간벽을 구성하는 슬래브를 시공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는 수평의 슬래브 거푸집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동바리와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먼저 종래에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의 일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9566호의 "건축용 동바리"(이하,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는 수직의 동바리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받침대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수직의 동바리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의 받침판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는 상부 받침대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에 경사진 상부 받침대를 경사지게 밀착시켜 동바리의 외,내부 지지관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건축용 동바리는 바닥에 밀착되는 받침판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경사진 바닥에 하부의 받침판을 경사지게 밀착시켜 동바리의 외,내부 지지관을 수직으로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동바리는 경사진 바닥에 하부의 받침판을 경사지게 밀착시키고 외,내부 지지관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하부의 받침판으로 전달되어 하부의 받침판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어 경사진 바닥에서 미끄러짐으로써, 외,내부 지지관이 경사지게 되어 동바리의 지지력이 저하됨에 따라 거푸집들이 하부로 미세하게 낙하되어 슬래브의 시공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동바리는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의 하면에 상부 받침대를 경사지게 밀착시키고 외,내부 지지관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상부 받침대로 전달되어 상부 받침대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어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로 미끄러짐으로써, 외,내부 지지관이 경사지게 되어 동바리의 지지력이 저하됨에 따라 거푸집들이 하부로 미세하게 낙하되어 슬래브의 시공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9566호의 "건축용 동바리"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진 바닥에 하부 받침판을 경사지게 밀착시키고 하,상부 지지관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하부 받침판으로 전달되더라도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진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상부 지지관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에 상부 받침부재를 경사지게 밀착시키고 하,상부 지지관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상부 받침부재로 전달되어 상부 받침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어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상부 지지관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동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동바리는 하부에는 종방향의 하부 힌지홀이 형성된 하부 지지관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의 전,후방에는 하부 지지관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후방 돌출판이 형성되고, 각각의 전,후방 돌출판에서는 상기 하부 힌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연결 힌지홀이 형성된 하부 받침판과; 서로 일치하는 상기 연결 힌지홀들과 하부 힌지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상부에 높이 조정수단으로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지지관과; 상기 상부 지지관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를 받혀주는 상부 받침수단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경사져 경사진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의 하부 받침판의 상면 양측을 눌러주어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유동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경사진 바닥에 하부 받침판을 경사지게 밀착시키고 하,상부 지지관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하부 받침판으로 전달되더라도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진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하,상부 지지관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동바리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거푸집들이 하부로 미세하게 낙하되어 발생되는 슬래브의 시공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의 하면에 상부 받침부재를 경사지게 밀착시키고 하,상부 지지관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상부 받침부재로 전달되어 상부 받침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어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하,상부 지지관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동바리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거푸집들이 하부로 미세하게 낙하되어 발생되는 슬래브의 시공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내부를 일부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c는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내부를 일부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내부를 일부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내부를 일부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도 1a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내부를 일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경사진 바닥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하부 지지관(1), 하부 받침판(2), 힌지축(3), 상부 지지관(4), 상부 받침수단(6), 하부 유동 방지수단(7)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지지관(1)은 하부에 위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하부에는 종방향의 하부 힌지홀(1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받침판(2)은 하부 지지관(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면의 전,후방에는 하부 지지관(1)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후방 돌출판(21a)(21b)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전,후방 돌출판(21a)(21b)에는 상기 하부 힌지홀(11)과 상응되는 위치에 연결 힌지홀(2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축(3)은 하부 받침판(2)의 상면 전,후방에 형성된 전,후방 돌출판(21a)(21b)의 사이에 하부 지지관(1)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전,후방 돌출판(21a)(21b)에 형성된 연결 힌지홀(211)들과 하부 지지관(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힌지홀(11)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받침판(2)이 힌지축(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관(4)은 하부 지지관(1)의 상부에 높이 조정수단(5)으로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 조정수단(5)은 여러 형태로 공지되어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하부 지지관(1)의 내부에 상부 지지관(4)이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즉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높이 조정수단(5)이 하부 지지관(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된 나사부(51)와, 하부 지지관(1)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수직 장홈(52)과, 상부 지지관(4)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핀홀(53)과, 상기 나사부(51)에 체결되어 승강되는 회전링(54)과, 상기 핀홀(53)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링(54)의 상단에 걸리는 핀(55)을 포함하여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수단(6)은 상부 지지관(4)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슬래브 거푸집(10)의 하부를 받혀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상부 받침수단(6)은 상기 상부 지지관(4)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힌지홀(61)과, 상기 상부 지지관(4)의 상부에 배치되는 받침판(미도시)이나 하판과 양측의 수직판으로 이루어진 멍에 받침부(621)로 구성된 상부 받침부재(62)와, 상기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 전,후방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상기 상부 힌지홀(61)과 상응되는 위치에 연결 힌지홀(631)이 형성된 전,후방 돌출판(63a)(63b)과, 서로 일치하는 상기 연결 힌지홀(631)들과 상부 힌지홀(61)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힌지축(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받침부재(62)는 슬래브 거푸집(10)을 그대로 받치는 판 형태의 받침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슬래브 거푸집(10)의 하부에 구비된 멍에를 받치는 멍에 받침부(621)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멍에 받침부(621)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받침수단(6)은 상부 지지관(4)의 상부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상부 받침부재(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경사져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10)과 밀착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의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 양측을 눌러주어 상부 받침부재(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유동 방지수단(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유동 방지수단(65)은 경사진 상태의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 양측을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관(4)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너트(651)와, 각각의 상기 너트(651)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머리부가 하부에 위치되어 머리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나사축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축의 상부 끝단이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 측부를 눌러주게 설치되는 두 개의 누름볼트(6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너트(651)는 상부 지지관(4)의 하부 양측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부 지지관(4)의 양측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유동 방지수단(7)은 하부 지지관(1)의 하부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하부 받침판(2)이 힌지축(3)을 중심으로 경사져 경사진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의 하부 받침판(2)의 상면 양측을 눌러주어 하부 받침판(2)이 힌지축(3)을 중심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하부 유동 방지수단(7)은 경사진 상태의 하부 받침판(2)의 상면 양측을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지지관(1)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너트(71)와, 각각의 상기 너트(71)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머리부가 상부에 위치되어 머리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나사축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축의 하부 끝단이 하부 받침판(2)의 상면 측부를 눌러주게 설치되는 두 개의 누름볼트(7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경사진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1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경사진 바닥과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10)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를 경사진 바닥과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10)의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하부 유동 방지수단(7)을 구성하는 누름볼트(72)들을 모두 풀어 상승시키고, 상부 유동 방지수단(65)을 구성하는 누름볼트(652)들을 모두 풀어 하강시킨다.
다음 상기 하부 받침판(2)을 힌지축(3)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하여 경사진 바닥에 밀착시키고, 상기 상부 받침부재(62)를 힌지축(64)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하여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10)의 하부를 받혀주면서, 상기 높이 조정수단(5)의 조작을 통해 상부 지지관(4)을 상승되게 위치시켜 동바리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다.
다음 상기 하부 유동 방지수단(7)을 구성하는 누름볼트(72)들을 모두 조이는 과정을 통해, 하부 유동 방지수단(7)을 구성하는 각각의 누름볼트(72)의 나사축의 하부 끝단으로 경사진 하부 받침판(2)의 상면을 나사축의 조임력으로 강하게 눌러줌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하부 받침판(2)으로 전달되더라도 하부 받침판(2)이 힌지축(3)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 상기 상부 유동 방지수단(65)을 구성하는 누름볼트(652)들을 모두 조이는 과정을 통해, 상부 유동 방지수단(65)을 구성하는 각각의 누름볼트(652)의 나사축의 상부 끝단으로 경사진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를 나사축의 조임력으로 강하게 눌러줌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상부 받침부재(62)로 전달되더라도 상부 받침부재(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경사진 바닥에 하부 받침판(2)을 경사지게 밀착시키고 하,상부 지지관(1)(4)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하부 받침판(2)으로 전달되더라도 하부 받침판(2)이 힌지축(3)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진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하부 받침판(2)으로 전달되더라도 하부 받침판(2)이 힌지축(3)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사진 바닥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하,상부 지지관(1)(4)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동바리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거푸집들이 하부로 미세하게 낙하되어 발생되는 슬래브의 시공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10)의 하면에 상부 받침부재(62)를 경사지게 밀착시키고 하,상부 지지관(1)(4)을 수직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상부 받침부재(62)로 전달되어 상부 받침부재(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어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10)의 하부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상부 받침부재(62)로 전달되어 상부 받침부재(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어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10)의 하부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하,상부 지지관(1)(4)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동바리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거푸집들이 하부로 미세하게 낙하되어 발생되는 슬래브의 시공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내부를 일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동바리의 구성 중 하,상부 유동 방지수단(7)(65)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를 구성하는 하부 유동방지수단(7)은 경사진 상태의 하부 받침판(2)의 상면 양측을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지지관(1)에 설치된 힌지축(3)의 후방에 중앙이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되게 연결되는 횡형 수직판(74)과, 상기 횡형 수직판(74)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너트(75)와, 각각의 상기 너트(75)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머리부가 상부에 위치되어 머리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나사축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축의 하부 끝단이 하부 받침판(2)의 상면 측부를 눌러주게 설치되는 두 개의 누름볼트(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너트(75)는 횡형 수직판(74)의 전방 양측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횡형 수직판(74)의 전방 양측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하부 유동 방지수단(7)을 구성하는 누름볼트(76)들을 모두 조이는 과정을 통해, 하부 유동 방지수단(7)을 구성하는 각각의 누름볼트(76)의 나사축의 하부 끝단으로 경사진 하부 받침판(2)의 상면을 나사축의 조임력으로 강하게 눌러줌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하부 받침판(2)으로 전달되더라도 하부 받침판(2)이 힌지축(3)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각각의 누름볼트(76)의 나사축의 하부 끝단이 경사진 하부 받침판(2)의 상면을 나사축의 강한 조임력으로 눌러주는 과정에서, 나사축의 하부 끝단이 경사진 하부 받침판(2)의 상면을 직각 방향으로 눌려줌에 따라 나사축의 누름력이 더 강해짐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하부 받침판(2)으로 전달되더라도 하부 받침판(2)이 힌지축(3)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이 좀 더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를 구성하는 상부 유동 방지수단(65)은 경사진 상태의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 양측을 견고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지지관(4)에 설치된 힌지축(64)의 후방에 중앙이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되게 연결되는 횡형 수직판(654)과, 상기 횡형 수직판(654)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너트(655)와, 각각의 상기 너트(655)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머리부가 하부에 위치되어 머리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나사축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축의 상부 끝단이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 측부를 눌러주게 설치되는 두 개의 누름볼트(6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너트(655)는 횡형 수직판(654)의 전방 양측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횡형 수직판(654)의 전방 양측에 용접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상기 상부 유동 방지수단(65)을 구성하는 누름볼트(656)들을 모두 조이는 과정을 통해, 상부 유동 방지수단(65)을 구성하는 각각의 누름볼트(656)의 나사축의 상부 끝단으로 경사진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를 나사축의 조임력으로 강하게 눌러줌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상부 받침부재(62)로 전달되더라도 상부 받침부재(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건축용 동바리는 각각의 누름볼트(76)의 나사축의 상부 끝단이 경사진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를 나사축의 강한 조임력으로 눌러주는 과정에서, 나사축의 하부 끝단이 경사진 상부 받침부재(62)의 하부면을 직각 방향으로 눌려줌에 따라 나사축의 누름력이 더 강해짐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시 발생되는 심한 진동이 상부 받침부재(62)로 전달되더라도 상부 받침부재(62)가 힌지축(64)을 중심으로 미세하게 유동되는 것이 좀 더 방지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ll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하부 지지관
11 : 하부 힌지홀
2 : 하부 받침판
21a : 전방 돌출판
21b : 후방 돌출판
3 : 힌지축
4 : 상부 지지관
5 : 높이 조정수단
6 : 상부 받침수단
61 : 상부 힌지홀
62 : 상부 받침부재
63a : 전방 돌출판
63b : 후방 돌출판
64 : 힌지축
65 : 상부 유동 방지수단
7 : 하부 유동 방지수단
71 : 너트
72 : 누름볼트
74 : 횡형 수직판
75 : 너트
76 : 누름볼트
10 : 슬래브 거푸집

Claims (6)

  1. 하부에는 종방향의 하부 힌지홀이 형성된 하부 지지관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의 전,후방에는 하부 지지관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후방 돌출판이 형성되고, 각각의 전,후방 돌출판에서는 상기 하부 힌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연결 힌지홀이 형성된 하부 받침판과; 서로 일치하는 상기 연결 힌지홀들과 하부 힌지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상부에 높이 조정수단으로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지지관과; 상기 상부 지지관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를 받혀주는 상부 받침수단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경사져 경사진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의 하부 받침판의 상면 양측을 눌러주어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유동 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유동 방지수단은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너트와,
    각각의 상기 너트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머리부가 상부에 위치되어 머리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나사축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축의 하부 끝단이 하부 받침판의 상면 측부를 눌러주게 설치되는 두 개의 누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2. 하부에는 종방향의 하부 힌지홀이 형성된 하부 지지관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면의 전,후방에는 하부 지지관의 하부가 삽입되는 전,후방 돌출판이 형성되고, 각각의 전,후방 돌출판에서는 상기 하부 힌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연결 힌지홀이 형성된 하부 받침판과; 서로 일치하는 상기 연결 힌지홀들과 하부 힌지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상부에 높이 조정수단으로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지지관과; 상기 상부 지지관의 상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슬래브 거푸집의 하부를 받혀주는 상부 받침수단과; 상기 하부 지지관의 하부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경사져 경사진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의 하부 받침판의 상면 양측을 눌러주어 하부 받침판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유동 방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유동 방지수단은
    상기 하부 지지관에 설치된 힌지축의 후방에 중앙이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되게 연결되는 횡형 수직판과,
    상기 횡형 수직판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너트와,
    각각의 상기 너트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머리부가 상부에 위치되어 머리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나사축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축의 하부 끝단이 하부 받침판의 상면 측부를 눌러주게 설치되는 두 개의 누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수단은
    상기 상부 지지관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힌지홀과,
    상기 상부 지지관의 상부에 배치되는 받침판이나 하판과 전,후판으로 이루어진 멍에 받침부로 구성된 상부 받침부재와,
    상기 상부 받침부재의 하부 전,후방에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각각에는 상기 상부 힌지홀과 상응되는 위치에 연결 힌지홀이 형성된 전,후방 돌출판과,
    서로 일치하는 상기 연결 힌지홀들과 상부 힌지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상부 지지관의 상부에 연결 구비되어 상기 상부 받침부재가 상부 힌지축을 중심으로 경사져 경사진 슬래브 거푸집과 밀착된 상태에서 경사진 상태의 상부 받침부재의 하부 양측을 눌러주어 상부 받침부재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유동 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동 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지지관의 상부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너트와,
    각각의 상기 너트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머리부가 하부에 위치되어 머리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나사축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축의 상부 끝단이 상부 받침부재의 하부 측부를 눌러주게 설치되는 두 개의 누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유동 방지수단은
    상기 상부 지지관에 설치된 힌지축의 후방에 중앙이 회전이 가능하게 관통되게 연결되는 횡형 수직판과,
    상기 횡형 수직판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고정된 두 개의 너트와,
    각각의 상기 너트에 나사축이 관통 체결되고 머리부가 하부에 위치되어 머리부의 회전 조작을 통해 나사축의 위치를 조정하여 나사축의 상부 끝단이 상부 받침부재의 하부 측부를 눌러주게 설치되는 두 개의 누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동바리.
  6. 삭제
KR1020210101804A 2021-08-03 2021-08-03 건축용 동바리 KR10237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04A KR102379276B1 (ko) 2021-08-03 2021-08-03 건축용 동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04A KR102379276B1 (ko) 2021-08-03 2021-08-03 건축용 동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276B1 true KR102379276B1 (ko) 2022-03-28

Family

ID=8099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804A KR102379276B1 (ko) 2021-08-03 2021-08-03 건축용 동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2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982B1 (ko) * 2022-05-25 2023-07-2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연구소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가변조립형 잭서포트
CN117306513A (zh) * 2023-09-26 2023-12-29 广州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路桥抢险应急施工的无定向支护方法及支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566B1 (ko) 1994-06-21 1999-07-15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다공성의 비오염노즐 및 이 노즐을 사용한 가스주입방법
KR20150139746A (ko) * 2014-06-04 2015-12-14 김준형 건축용 조립식 파이프 서포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566B1 (ko) 1994-06-21 1999-07-15 조안 엠. 젤사 ; 로버트 지. 호헨스타인 ; 도로시 엠. 보어 다공성의 비오염노즐 및 이 노즐을 사용한 가스주입방법
KR20150139746A (ko) * 2014-06-04 2015-12-14 김준형 건축용 조립식 파이프 서포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982B1 (ko) * 2022-05-25 2023-07-26 주식회사 엔알씨구조연구소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가변조립형 잭서포트
CN117306513A (zh) * 2023-09-26 2023-12-29 广州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路桥抢险应急施工的无定向支护方法及支护装置
CN117306513B (zh) * 2023-09-26 2024-04-09 广州公路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路桥抢险应急施工的无定向支护方法及支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276B1 (ko) 건축용 동바리
US5481846A (en) Support pole having a bell-shaped lower end
US20120255242A1 (en) Concentrically Loaded, Adjustable Piering System
CN210239222U (zh) 一种建筑工程用模板支撑装置
KR101939311B1 (ko) 건축용 동바리
KR200459685Y1 (ko) 시스템 서포트용 이동장치
KR0162033B1 (ko) 건축용 슬라브 폼 지지장치
CN215166585U (zh) 一种无梁拱的快接装置
CN207863462U (zh) 一种加固铝合金模板圆盘式可调钢支撑
KR102445486B1 (ko) 천장 슬래브 보의 타설을 위한 시스템 서포트
JP2002242213A (ja) マンホール
CN217326471U (zh) 一种铝模斜撑固定装置
JP2001032302A (ja) 蓋受け枠の高さ調整装置
CN219569617U (zh) 一种钢结构螺栓预埋辅助装置
CN214498270U (zh) 应用于高精度地坪施工的轨道支撑工具及轨道施工装置
KR200474780Y1 (ko) 상갑판 서포트용 높이조절장치
JP2022149078A (ja) 束金物及びこれを用いた床下構造
JP2002220922A (ja) 型枠支持装置
JPH06158855A (ja) 傾斜スラブ用金物
JPH0596266U (ja) 手摺支柱の支持部材保持具
JP2000303664A (ja) 調整床束
JPH0642044Y2 (ja) コンクリ−ト型枠支持金具
KR20060116056A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JP2006097391A (ja) 床束等に用いられる束の構造
JP2588852B2 (ja) 床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