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328B1 -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328B1
KR102378328B1 KR1020200123199A KR20200123199A KR102378328B1 KR 102378328 B1 KR102378328 B1 KR 102378328B1 KR 1020200123199 A KR1020200123199 A KR 1020200123199A KR 20200123199 A KR20200123199 A KR 20200123199A KR 102378328 B1 KR102378328 B1 KR 10237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at rail
electronic device
bas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훈
Original Assignee
박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훈 filed Critical 박종훈
Priority to KR102020012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는,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설치되어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되게 고정설치 가능한 마운팅 프레임;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이상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뒷좌석 착석자도 편하게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본 발명은 차량 뒷자석에 앉은 사용자가 편하게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를 차량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거치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차량용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차량용 거치대의 경우 운전자나 조수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구조나 설치 형태가 적용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운전석, 조수석의 헤드 레스트에 뒷자석에 착석한 사용자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경우가 있지만, 이는 헤드 레스트에 매립 고정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협소한 차량 뒷자리 공간에 모바일 전자기기를 자유롭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뒷좌석 착석자가 영상, 이미지를 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0384호 (2009. 06. 02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다양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뒷좌석 착석자가 편하게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상기 차량 시트레일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이상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센터콘솔의 후방 하부가 내측 영역에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에 마련되며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에 각각 중첩되게 고정 가능한 한 쌍의 고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중앙의 직선 베이스부와, 상기 직선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서로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직선 베이스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콘솔의 후방 하부가 내측 영역에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의 양단에 마련되며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에 각각 중첩되게 고정 가능한 한 쌍의 고정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되며 플로어 패널 또는 플로어 시트와 접촉 가능한 확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플로어 패널 또는 플로어 시트와 상기 확장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지지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슬릿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센터콘솔과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도록 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랜지의 사이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베이스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는, 상기 직선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일측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제1 이동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제1 래크; 및 상기 피니언의 타측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제2 이동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제2 래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뒷좌석 착석자도 편하게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프레임의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되게 고정됨으로써, 플로어 패널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차량 훼손없이 마운팅 프레임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차량 훼손에 대한 반감을 갖는 사용자에게 반감을 해소하고 설치에 대한 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확장 플레이트, 탄성지지부 구조를 통해 플로어 패널에 대해 마운팅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 진동에 의해 마운팅 프레임 고정부의 체결력이 약화되어 전체적인 설치 내구성이 하락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 플랜지의 사이 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량에 공용화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구성 간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는 디스플레이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현재 사용중인 차량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즉 차량의 플로어 패널 등과 같은 기본 차량 프레임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하지 않은 상태로 설치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차량 훼손에 대한 반감을 갖고 있는 사용자에게 반감을 해소하고 설치에 대한 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100, 이하 '거치대')는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10)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단말,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다양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전자기기(11)를 거치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마운팅 프레임(110), 연장부(120) 및 거치부(130)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마운팅 프레임(110)은 차량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15)에 차량 시트레일(12)과 함께 고정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마운팅 프레임(110)은 차량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13)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15)에 중첩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중첩 설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시트레일(12)은 운전석 및 조수석 시트 하부에 시트 위치를 조절하도록 마련되고, 시트레일 고정부(15)는 시트레일(12)을 플로어 패널(13)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시트레일과 연결된 별도 브래킷(미도시), 상기 브래킷을 플로워 패널에 고정하는 스크루(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플로어 패널에는 상기 스크루(16)가 브래킷 등을 통해 체결되도록 스크루가 관통되는 시트레일고정 스크루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트레일 고정부(15)는 통상적인 구조로 적용 가능하며 관련 도면에는 통상적인 구조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이외 다양한 구조로 적용 가능하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110)은 베이스부(111),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2), 확장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부(111)는 센터콘솔(10)의 후방 하부가 내측 영역에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이자면, 베이스부(111)는 센터콘솔(10)의 후방 형상과 일정 이상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라운드질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 내 협소한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관련 도면에서 베이스부(111)의 하부에는 절개구(115)가 마련되고, 절개구(115)는 센터콘솔(10) 후방의 플로어 패널이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바 플로어 패널의 돌출된 부분에 간섭되지 않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플랜지(112)는 베이스부(111)의 양단에 절곡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며,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7)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8)에 각각 중첩되게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운전석 시트레일과 한 쌍의 조수석 시트레일 중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을 고정하는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7)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8)는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13)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미도시), 스크루(16)를 포함하는데, 상기 '중첩 고정'이라 함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2)를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7)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8) 내측으로 삽입한 후 동일한 스크루(16) 체결을 통해 고정 플랜지를 고정함을 의미한다.
부연하자면, 현재 체결되어 있는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17)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18)의 스크루(16)를 분리한 후, 시트레일 고정부의 브래킷(미도시) 등에 고정 플랜지(112)를 중첩되게 삽입(배치)한 후 분리된 스크루(16)를 다시 체결함으로써, 플로어 패널(13)에 대한 운전석(조수석) 시트레일과 고정 플랜지(112)의 고정 결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110)의 고정 플랜지(112)가 시트레일 고정부(15)에 중첩되게 고정됨으로써, 고정 플랜지를 고정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에 별도의 스크루 홀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차량 훼손없이 마운팅 프레임(110)을 플로어 패널(13)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도 3에 도시된 도면번호 116은 스크루(16)가 관통되는 스크루 체결홀이고, 도면번호 117은 시트고정핀(미도시)이 관통되는 시트고정핀 관통홀이다. 여기서, 시트고정핀(미도시)은 후술하는 플로어 시트(14)를 플로어 패널상에 흔들림없이 고정하기 위한 핀이다.
다음,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플레이트(113)는 베이스부(111)의 측방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되며, 저면이 플로어 패널(13) 또는 플로어 시트(14)와 접촉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관련 도면에서는 플로어 패널(13) 상부에 플로어 시트(14)가 덮혀 있으므로 확장 플레이트(113)는 플로어 시트(14)와 접촉되고, 이하에서는 플로어 패널 상부에 플로어 시트가 마련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확장 플레이트(113)는 전체적으로 마운팅 프레임(110)과 플로어 시트(14) 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차량 주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고정 플랜지(112)의 중첩 결합 부분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확장 플레이트(113)가 없는 마운팅 프레임(110)은 한 쌍의 고정 플랜지(112)가 일측으로 치우처셔 플로어 패널에 고정된 일종의 캔틸레버(cantilever)와 같으며, 이 경우 차량 주행진동에 의해 고정 플랜지(112)의 중첩결합 부분의 결합력이 현격히 저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 플랜지(112)는 시트레일 고정부에 중첩되게 고정됨에 따라, 이러한 결합력 저하는 심하게는 운전석(조수석) 시트레일의 고정 결합력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확장 플레이트(113)가 베이스부(111)의 측방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어 플로어 시트(14)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시 마운팅 프레임(1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고 고정 플랜지(112)의 중첩결합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한층 감소시켜 전체적인 설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플레이트(113)의 저면에는 플로어 패널(13) 또는 플로어 시트(14)와 확장 플레이트(113) 사이에서 확장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지지부(1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차량에 따라 센터콘솔(10) 후방의 플로어 패널(13) 돌출 높이가 상이할 수 있는바, 탄성지지부(114)는 이러한 돌출 높이가 일정 범위내에서 상이하더라도 확장 플레이트(113)를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주행진동에 따른 내구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부(114)는 판 스프링, 코일 스프링 구조를 포함하거나 실리콘, 에폭시, 우레탄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120)는 후술하는 거치부(130)를 마운팅 프레임(110)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상단부가 센터콘솔(10)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오도록 마운팅 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이상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120)의 하부에는 베이스부(111)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슬릿홈(122)이 마련되어 있다. 연장부(120)와 베이스부(111)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베이스부(111)는 슬릿홈(122)에 강제 압입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구성들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슬릿홈(122)을 통해 서로 결합된 후 후공정으로 연결부분의 용접이 진행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센터콘솔(10)의 후방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차량 주행진동에 의해 센터콘솔과 미세하게나마 반복 접촉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대적으로 표면 경도가 큰 연장부(금속 또는 플라스틱)와 상대적으로 표면 경도가 작은 센터콘솔 표면(가죽, 천 등)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센터콘솔에 스크래치, 찢겨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콘솔(10)과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도록 연장부(120)에 완충부재(125)가 마련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25)는 외력에 의해 쉽게 탄성 압축, 팽창 가능한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130)는 디스플레이 전자기기(11)를 거치 가능하도록 연장부(120)의 상단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는 거치하고자 하는 전자기기를 별도의 클램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클램핑하고 상기 클램프의 다른 부분을 다시 거치부(130)에 클램핑하여 전자기기를 거치부(130) 상부에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련 도면에서, 거치부(130)는 대략 'ㄷ'자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클램프(미도시)를 클램핑할 수 있고 전자기기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를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마운팅 프레임 구조에 있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며, 나머지 연장부와 거치부는 동일하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부연 설명하면, 운전석 시트레일과 조수석 시트레일 간의 사이 간격은 차량 제조사와 모델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제1 실시예의 마운팅 프레임 구조는 양측의 고정 플랜지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고정된 구조인 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차종에 공용화하여 적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사용자가 한 쌍의 고정 플랜지 사이 간격을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여 설치 차종 변경시에도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마운팅 프레임(210)은 베이스부(211), 고정 플랜지(212) 및 베이스 이동부(250)를 포함하며, 베이스부(211)는 직선 베이스부(211a)와 제1 이동 베이스부(211b)와 제2 이동 베이스부(211c)를 포함한다.
직선 베이스부(211a)는 내부 공간을 갖는 관통 케이스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는 연장부(220)가 삽입되고 그 하단에 확장 플레이트(213)가 마련될 수 있다. 연장부(220)의 하단에는 직선 베이스부의 양측에 삽입되도록 슬릿홈 또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211b,211c)는 직선 베이스부(211a)를 기준으로 서로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직선 베이스부(211a)의 양측에 연결되며, 마찬가지로 센터콘솔의 후방 하부가 내측 영역에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다.
다음, 고정 플랜지(212)는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211b,211c)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에 각각 중첩되게 고정된다.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이동부(250)는 직선 베이스부(211a)에 대해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211b,211c)를 서로간에 동시 접근 또는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즉, 베이스 이동부(250)는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2)의 사이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베이스 이동부(250)의 동작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하 설명 및 관련 도면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사용자가 베이스 이동부(250)를 동작시켜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211b,211c)를 이동시킴에 따라 결국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2)의 사이 간격을 사용자 의도에 따라 가변 조절할 수 있으며, 다양한 차종에 공용적으로 설치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 이동부(250)는 직선 베이스부(211a)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피니언(251), 피니언(251)의 일측(상측)에 맞물림되고 제1 이동 베이스부(211b)에 형성되는 제1 래크(252), 피니언(251)의 타측(하측)에 맞물림되고 제2 이동 베이스부(211c)에 형성되는 제2 래크(25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래크는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에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 가능하다.
직선 베이스부(211a)의 일측(외측)에는 사용자가 핸들링할 수 있도록 회전 레버(254)가 마련되고 그 내측에는 회전 레버(254)와 축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도록 피니언(251)이 마련되며, 베이스 이동부(250)에는 피니언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별도의 베어링구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동 베이스부(211b)는 피니언(251)의 상측에 맞물림되도록 제1 래크(25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이동 베이스부(211c)는 피니언(251)의 하측에 맞물림되도록 제2 래크(253)가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베이스부(211a) 내측은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래크(252,253)는 직선 베이스부(211a)의 내벽에 접촉한 상태로 가지므로 직선 베이스부(211a)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 레버(254)와 피니언(251)을 일측(CW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1 이동 베이스부(211b)와 제2 이동 베이스부(211c)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반대로 타측(CCW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제1 이동 베이스부(211b)와 제2 이동 베이스부(211c)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고정 플랜지(212) 간의 사이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센터콘솔 12: 차량 시트레일
13: 플로어 패널 14: 플로어 시트
15: 시트레일 고정부 17: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
18: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 100: 전자기기 거치대
110,210: 마운팅 프레임 111,211: 베이스부
112,212: 고정 플랜지 113: 확장 플레이트
114: 탄성지지부 120: 연장부
122: 슬릿홈 125: 완충부재
130: 거치부 211a: 직선 베이스부
211b: 제1 이동 베이스부 211c: 제2 이동 베이스부
250: 베이스 이동부 251: 피니언
252: 제1 래크 253: 제2 래크

Claims (8)

  1. 차량 내부의 센터콘솔 후방에 설치되어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 시트레일을 플로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시트레일 고정부에 상기 차량 시트레일과 함께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 프레임;
    상기 마운팅 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이상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를 거치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중앙의 직선 베이스부와, 상기 직선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서로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직선 베이스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콘솔의 후방 하부가 내측 영역에 배치 가능하도록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
    상기 제1 및 제2 이동 베이스부의 양단에 마련되며 운전석 시트레일 고정부와 조수석 시트레일 고정부에 각각 중첩되게 고정 가능한 한 쌍의 고정 플랜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랜지의 사이간격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베이스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이동부는,
    상기 직선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니언;
    상기 제1 이동 베이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의 일측에 맞물림되는 제1 래크; 및
    상기 제2 이동 베이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의 타측에 맞물림되는 제2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부의 측방으로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연장되며 플로어 패널 또는 플로어 시트와 접촉 가능한 확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플로어 패널 또는 플로어 시트와 상기 확장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확장 플레이트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탄성지지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부가 삽입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슬릿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센터콘솔과의 접촉 충격을 완충하도록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8. 삭제
KR1020200123199A 2020-09-23 2020-09-23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KR10237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99A KR102378328B1 (ko) 2020-09-23 2020-09-23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99A KR102378328B1 (ko) 2020-09-23 2020-09-23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328B1 true KR102378328B1 (ko) 2022-03-23

Family

ID=80963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199A KR102378328B1 (ko) 2020-09-23 2020-09-23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3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655U (ja) * 1991-09-26 1993-04-06 株式会社ル・モンド 自動車用のコードレス電話器保持具
KR950032913U (ko) * 1994-05-25 1995-12-16 카폰고정용 트레이 장착구조
KR0113908Y1 (ko) * 1993-12-31 1998-04-11 전성원 차량용 포터블 컴퓨터 테이블
KR20030018365A (ko) * 2001-08-28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콘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포터블 스탠드
KR100900384B1 (ko) 2008-05-15 2009-06-02 박옥련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655U (ja) * 1991-09-26 1993-04-06 株式会社ル・モンド 自動車用のコードレス電話器保持具
KR0113908Y1 (ko) * 1993-12-31 1998-04-11 전성원 차량용 포터블 컴퓨터 테이블
KR950032913U (ko) * 1994-05-25 1995-12-16 카폰고정용 트레이 장착구조
KR20030018365A (ko) * 2001-08-28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콘솔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포터블 스탠드
KR100900384B1 (ko) 2008-05-15 2009-06-02 박옥련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063B2 (en) Holder
JP2002199960A (ja) 格納式ヘッドレスト
US4687305A (en) Mirror mounting apparatus
JP380348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支持装置
KR102378328B1 (ko)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US10759307B2 (en) Seat cushion length adjuster
US11628758B2 (en) Table for seat
JP2000177448A (ja)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ー装置
JP3211364U (ja) 携帯端末の車載用ホルダ
JP3211364U7 (ko)
JP4307224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230053903A (ko)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연결용 테이블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JP2005047483A5 (ko)
JPH1120559A (ja) 携帯電話機用支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JP3208291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JPH11151987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用アタッチメント
US20240166110A1 (en) Leg rest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20190057899A (ko) 자동차의 시트레일
JPH11237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6962120B2 (ja) 乗物用シート
CN210822078U (zh) 一种车载支架的横向固定座及车载支架
JP6921237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66679Y1 (ko) 차량용 노트북 고정장치
JP3527397B2 (ja) 引出し装置
JP3744277B2 (ja) 機器取付けスタンド及び機器取付けスタンド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