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318B1 -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318B1
KR102378318B1 KR1020200046167A KR20200046167A KR102378318B1 KR 102378318 B1 KR102378318 B1 KR 102378318B1 KR 1020200046167 A KR1020200046167 A KR 1020200046167A KR 20200046167 A KR20200046167 A KR 20200046167A KR 102378318 B1 KR102378318 B1 KR 102378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lutch
drive shaft
electric c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229A (ko
Inventor
박병호
Original Assignee
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호 filed Critical 박병호
Priority to KR102020004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318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0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brakes or clutches as main steering-eff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01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control systems
    • B62D11/006Mechanical contro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6Actuation by rocker lever; Rocker le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통이 놓인 장소로 채밀기를 이동시켜 채밀 작업을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에서, 간단하게 모터의 동력을 단속하거나 양쪽 바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밀기가 탑재된 전동카는 한 쌍의 앞,뒷바퀴에 의해 이동되게 하되 앞바퀴는 핸들에 의해 좌우 회전되게 하고, 전동카의 프레임 후방에는 양쪽으로 뒷바퀴가 위치되게 하며, 상기 뒷바퀴는 조향축의 양쪽 선단에 결합되게 하되 상기 조향축은 전동카 프레임에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뒷바퀴가 결합되고, 상기 조향축은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조향 구동축의 양쪽에 끼워진 채로 결합하되 상기 조향 구동축의 회전력은 클러치에 의해 조향축으로 전달되는 것이 단속되게 하고, 상기 클러치는 조향축의 스플라인 기어를 타고 스프링을 압착시키며 이동할 때 조향 구동축의 회전력이 조향축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클러치가 조향 구동축으로 이동할 때 동력이 전달되게 하고, 상기 클러치는 클러치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조향레버에 결합된 조향 갈고리에 의해 이동이 선택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apparatus of motor car for honey extractor}
본 발명은 벌통이 놓인 장소로 채밀기를 이동시켜 채밀 작업을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에서, 앞바퀴의 폭을 넓히되 지면 상태에 관계없이 양쪽 바퀴가 바닥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안정된 운행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양쪽 뒷바퀴로 전달되는 모터의 동력을 간단하게 단속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꿀벌은 벌통에 채워진 소비에 꿀을 채우고, 소비에 채워진 꿀은 채밀기에 넣은 후 소비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으로 꿀을 채취하는 것으로, 이러한 채밀 작업은 벌통이 놓인 곳과 거리가 떨어진 곳에서 채밀기를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벌통과 채밀기 사이에서 소비를 운반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고, 또한 채밀된 꿀을 모아주는 드럼통의 상차 작업이 드럼통의 무게로 인하여 대단히 어려운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는 모터의 회전력으로 채밀기가 설치된 전동카를 벌통이 놓인 장소로 이동한 후 채밀 작업을 하고, 꿀이 채워진 드럼통은 윈치를 이용하여 상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를 개발함으로써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동카는 모터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뒷바퀴가 좌우 회전에 관계없이 일정한 반경을 갖고 회전하게 되어, 전동카의 좌우 회전 반경이 크게 되어 방향전환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10-1864389호에는 전동카의 회전 반경을 줄이기 위하여 좌우측 회전이 이루어질 때 내측에 위치하는 뒷바퀴는 회전되지 않고 외측에 위치하는 뒷바퀴만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으나,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에서 양쪽 바퀴의 동력 전달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조향축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조향축에서 뒷바퀴가 양쪽으로 설치되는 조향축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복잡한 문제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전동카는 앞바퀴를 두 개로 제작하되 그 폭이 좁은 상태에서 핸들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상태이기 때문에 경사진 곳을 운행할 때 폭이 넓은 두 개의 뒷바퀴는 지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나, 앞바퀴는 폭이 좁아 한 쪽만 닿고 다른 쪽은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한 경우 전동카의 수평 균형이 무너져 낮은 곳으로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벌통이 놓이는 장소는 대부분 경사진 곳이기 때문에 앞바퀴가 하나이거나, 두 개이더라도 폭이 좁게 설치되는 경우는 경사도에 따라서 전복의 위험이 따르게 되고, 특히, 두 개의 앞바퀴는 동일 높이를 유지하기 때문에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반대 쪽의 바퀴는 공중에 뜰 수밖에 없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전동카의 안전운행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허 등록 10-1864389호(2018.05.29. 등록) 특허 등록 10-1864385호(2018.05.29.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20-2010-0011720호(2010.12.03.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 10-2012-0052466호(2012.05.24. 공개)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력으로 벌통이 놓인 장소에 채밀기를 이동시켜 채밀이 이루어지는 전동카에서, 모터의 회전동력이 회전축으로 전달된 후 조향축으로 전달되어 조향축에서 양쪽 뒷바퀴로의 동력 전달이 선택된 다음 양쪽으로 뒷바퀴가 결합된 조향축으로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에서 모터의 회전동력이 양쪽 뒷바퀴로 전달되는 구조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회전동력이 직접 조향 구동축으로 전달되게 하는 한편 조향 구동축에 결합된 조향축의 양쪽으로 뒷바퀴를 결합시키되 조향축에서 클러치를 이용하여 양쪽 뒷바퀴로 전달되는 모터의 회전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폭이 좁은 두 개의 앞바퀴가 동일 높이를 유지한 채로 전동카의 이동이 이루어기기 때문에 전동카가 경사진 곳을 이동할 때 앞바퀴 중의 한 쪽이 바닥에 닿지 않아 전복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앞바퀴의 폭이 뒷바퀴와 동일하게 유지하되 상기 앞바퀴는 동일 높이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거나 양쪽 앞바퀴의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카가 경사진 곳을 이동하더라도 앞,뒷바퀴가 모두 바닥에 닿은 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채밀기가 탑재된 전동카는 한 쌍의 앞,뒷바퀴에 의해 이동되게 하되 한 쌍의 앞바퀴는 핸들에 의해 좌우 회전되게 하고, 전동카의 프레임 후방에는 양쪽으로 뒷바퀴가 위치되게 하며, 상기 뒷바퀴는 조향축의 양쪽 선단에 결합되게 하되 상기 조향축은 전동카 프레임에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결합되고, 상기 조향축은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조향 구동축의 양쪽에 끼워진 채로 결합하되 상기 조향 구동축의 회전력은 클러치에 의해 조향축으로 전달되는 것이 단속되게 하고, 상기 클러치는 조향축의 스플라인 기어를 타고 스프링을 압착시키며 이동할 때 조향 구동축의 회전력이 조향축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클러치가 조향 구동축으로 이동할 때 동력이 전달되게 하고, 상기 클러치는 클러치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조향레버에 결합된 조향 갈고리에 의해 이동이 선택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핸들 부근에 설치되는 클러치 레버를 당기게 되면 조향레버가 회전하며 조향 갈고리로 클러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조향 구동축의 회전력이 조향축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클러치 레버를 놓게 되면 클러치 레버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면서 조향 구동축의 회전력이 조향축으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모터는 정지 상태에서 자동으로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게 하는 한편 모터의 회전력은 기어박스를 통하여 조향 구동축으로 전달되게 한다.
본 발명의 클러치는 조향 갈고리에 의해 좌우 이동이 선택되고, 내측으로는 조향축의 스플라인 기어를 타고 이동되게 하고, 외측은 조향 구동축에 형성된 클러치 기어와 치합되거나 치합이 분리되게 함으로써, 클러치가 스프링을 압축하며 조향축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조향 구동축의 클러치 기어와 분리되어 동력 전달이 차단되고, 클러치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조향축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조향 구동축의 클러치 기어와 치합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클러치 레버는 당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을 설치함으로써, 클러치 레버를 당긴 후 고정핀을 끼우게 되면, 클러치가 구동축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조향축으로 전달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차단하여 수동으로 전동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핸들에 좌우 회동되는 한 쌍의 앞바퀴는 바퀴 프레임의 양쪽에 설치하되 뒷바퀴와 같은 폭으로 설치하고, 상기 바퀴 프레임의 중앙 상측에는 수평축이 베어링에 결합되게 하는 한편 핸들을 수직으로 설치하며, 상기 수평축의 후방에는 수직축을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수직축은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된 베어링에 결합되게 설치함으로써, 바퀴 프레임이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 회동되게 하는 한편 수평축을 중심으로 양쪽의 높낮이가 다르게 회동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바퀴의 폭이 넓고, 양쪽 앞바퀴의 높낮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전동카가 경사진 곳을 이동할 때 앞바퀴와 뒷바퀴가 모두 기울기에 관계없이 바닥에 밀착된 채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채밀기가 탑재된 전동카를 벌통이 놓인 곳으로 이동시켜 채밀 작업을 함에 있어서, 전동카의 뒷바퀴가 조향축의 양쪽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조향축에는 양쪽으로 조향 구동축으로 전달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클러치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거 뒷바퀴에 전달되는 모터의 동력을 간편하게 단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향축에 모터의 회전력이 직접 전달되게 하는 한편 조향축에 뒷바퀴를 결합시키되 조향축에서 동력 단속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기존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 방식에 비하여 현저히 간편한 구성을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고, 동력 전달을 선택하는 클러치 레버는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동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동카의 앞바퀴를 뒷바퀴의 폭과 같게 하는 한편 양쪽의 앞바퀴가 높낮이 차이를 두고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카가 경사진 곳을 이동할 때 앞바퀴와 뒷바퀴 모두 바닥에 밀착된 채로 이동할 수 있어, 전동카의 전복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와 함께 4개의 바퀴로 안정되게 전동카를 받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러치 레버를 당기고 고정핀을 기우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러치 레버를 당겼을 때 클러치 이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력 전달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수평 회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좌우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본 발명은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채밀기를 벌통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채밀을 하는 전동카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력이 조향 구동축으로 전달되게 하되 상기 조향 구동축에는 양쪽으로 조향축이 끼워지게 하고, 상기 조향축은 베어링으로 전동카 프레임에 지지된 채로 뒷바퀴가 결합되며, 상기 조향축에는 스플라인 기어를 형성하여 클러치가 스플라인 기어를 타고 이동하면서 조향 구동축의 동력을 조향축으로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게 하고, 상기 클러치는 스플라인 기어를 타고 뒷바퀴 쪽으로 이동할 때 스프링을 압착시켜 복원력을 받게 하고, 상기 클러치는 조향레버를 이용하여 좌우 이동되게 하되 상기 조향레버는 핸들 부위에 설치되는 클러치 레버에 의해 작동이 선택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동카에 설치된 모터는 전선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거나 탑재된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 공급을 받게 되며, 정지 상태에서 자동으로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게 하는 한편 모터의 회전력은 기어박스를 통하여 조향 구동축으로 전달되게 한다.
본 발명은 채밀기가 탑재된 전동카에서 모터의 회전동력을 양쪽의 뒷바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수동으로 이동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조향 구동축의 양쪽으로 조향축을 끼우되 상기 조향 구동축의 동력은 클러치를 이동시켜 조향축으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클러치는 핸들 부근에 설치되는 클러치 레버를 이용하여 이동이 선택되게 하고, 상기 조향축의 양쪽에는 뒷바퀴를 연결함으로써, 클러치가 조향 구동축의 회전 동력을 조향축으로 전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모터의 회전 동력으로 뒷바퀴 회전이 가능하고, 클러치가 조향 구동축의 회전 동력을 조향축으로 전달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모터의 회전동력은 뒷바퀴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된다.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별도의 조향축이나 클러치 축 등의 구조를 거치지 않고도 간단하게 모터의 회전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클러치 레버를 당기면 클러치에서 동력 전달을 차단하고, 클러치 레버를 놓으면 클러치에서 동력을 전달하여 조향축에 설치된 뒷바퀴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게 함으로써, 방향 전환이 필요할 때 클러치를 이용하여 동력전을 단속하여 간단히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는 클러치에서 동력 전달을 차단시킴으로써 핸들을 미는 힘 만으로 전동카의 이동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수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클러치 레버를 고정핀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간편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클러치를 제자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클러치가 클러치 기어에 치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 동력이 조향 구동축에서 조향축을 거쳐 뒷바퀴로 전달되고, 클러치 레버로 조향레버를 작동시켜 클러치가 스프링을 압착하며 이동되게 하면, 모터의 회전동력은 조향축으로 전달되지 않으며, 이를 위하여 클러치는 조향축에 형성된 스플라인 기어를 타고 이동되게 하되 조향레버에 의해 이동되게 하고, 클러치가 조향 구동축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스플라인 기어에 치합된 상태에서 클러치 기어에 치합되게 함으로써 조향 구동축의 회전 동력이 클러치에 의해 조향축으로 전달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앞바퀴를 바퀴 프레임의 양쪽에 설치하되 뒷바퀴의 폭과 동일하게 설치하고, 상기 바퀴 프레임은 수평축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좌우 높낮이가 조절되게 설치되며, 상기 수평축과 일체로 이루어진 수직축은 프레임의 전방에 베어링으로 결합되어 좌우로 회동되게 하는 것으로, 수직축과 수평축은 T자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바퀴 프레임에 설치된 앞바퀴의 폭을 뒷바퀴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안정되게 전동카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수평축을 중심으로 바퀴 프레임의 좌우 높낮이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경사진 곳을 이동할 때도 전복의 위험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핸들을 이용하여 수직축을 중심으로 바퀴 프레임을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동카(100)의 프레임(10)에는 전방으로 핸들(11)로 방향 전환되는 앞바퀴(20)(21)를 설치하는 한편 후방으로 모터(40)의 회전동력을 클러치(68)(69)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달받는 뒷바퀴(30)(31)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카(100)의 프레임(10)에는 상측으로 채밀기(70)와 보조 저장통 및 드럼통(71)을 설치하는 한편 펌프와 윈치(71) 및 발전기(80) 등을 설치한다.
본 발명의 앞바퀴(30)(31)는 기존 기술로 제시된 바와 같이 핸들(11)의 좌우 회전력을 조향링크로 전달받아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핸들(11)과 인접되거나 조작이 간편한 위치에 클러치 레버(60)(61)를 설치하여 케이블(62)(63)을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클러치 레버(60)(61)를 당긴 상태에서는 핀구멍(92)(93)이 노출되고, 이 핀구멍(92)(93)에 고정핀(90)(91)을 꼿게 되면 클러치 레버(60)(61)가 케이블(62)(63)을 당긴 상태로 고정되며, 고정핀(90)(91)을 핀구멍(92)(93)에서 빼게 되면, 클러치 레버(60)(61)는 케이블(62)(63)을 당기지 않은 상태로 놓이게 되며, 클러치 레버(60)(61)를 당긴 상태에서는 뒷바퀴(30)(31)로 동력 전달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고, 클러치 레버(60)(61)를 놓은 상태에서는 뒷바퀴(30)(31)로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뒷바퀴(30)(31)는 모터(40)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조향축(51)(52)의 선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조향축(51)(52)은 베어링(12)(13)에 의해 프레임(10)의 저면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향축(51)(52)은 조향 구동축(50)의 양측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조향축(51)(52)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스플라인 기어(53)(54)를 타고 클러치(68)(69)가 이동하면서 조향 구동축(50)의 회전동력을 조향축(51)(52)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프레임(10)에 얹혀져 설치되는 모터(40)의 회전력은 체인(41)을 통하여 조향 구동축(50)으로 전달되고, 상기 조향 구동축(50)은 모터(40)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조향 구동축(50)의 회전력은 클러치(68)(69)의 위치에 따라 조향축(51)(52)으로 선택적인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클러치(68)(69)는 조향축(51)(52)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스플라인 기어(53)(54)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상기 클러치(68)(69)는 조향갈고리(66)(67)에 의해 이동하면서 조향 구동축(50)에 형성된 클러치 기어(50a)(50b)와 치합되거나, 치합이 분리되게 되며, 상기 클러치(68)(69)가 클러치 기어(50a)(50b)와 분리될 때 스프링(55)(56)을 탄지하며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클러치(68)(69)를 이동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클러치(68)(69)는 스프링(55)(56)의 복원력에 의해 조향 구동축(50)의 클러치 기어(50a)(50b)와 치합되게 이동한다.
즉, 모터(40)의 회전력에 의해 조향 구동축(5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클러치(68)(69)가 조향 구동축(50)의 클러치 기어(50a)(50b)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조향 구동축(50)의 회전력이 클러치(68)(69)를 통하여 조향축(51)(52)으로 전달되어 뒷바퀴(30)(31)를 회전시키게 되고, 클러치(68)(69)가 스프링(55)(56)을 압착하며 이동한 상태에서는 조향 구동축(50)의 회전력이 조향축(51)(52)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클러치(68)(69)는 조향 갈고리(66)(67)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조향 갈고리(66)(67)는 조향레버(64)(65)의 회전에 의해 클러치(68)(69)를 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조향레버(64)(65)는 케이블(62)(63)을 통하여 클러치 레버(60)(61)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클러치 레버(60)(61)를 당기게 되면, 케이블(62)(63)이 당겨지면서 조향레버(64)(65)를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조향 갈고리(66)(67)가 클러치(68)(69)를 이동시키되 스프링(55)(56)을 압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뒷바퀴(30)(31)로 전달되는 동력은 차단되며, 이와 반대로 클러치 레버(60)(61)를 놓게 되면, 케이블(62)(63)로 조향레버(34)(65)를 당기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스프링(55)(56)의 복원력에 의해 클러치(68)(69)는 조향 구동축(50)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기어(50a)(50b)가 치합됨으로써, 뒷바퀴(30)(31)로는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본 발명의 모터(40)는 전선을 통한 전원 공급 또는 발전기(80)로부터 발전되는 전기를 공급받게 되며, 핸들(11)에 설치된 도시되지 아니한 스위치 또는 콘트롤러에서 모터(4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것을 조작할 수 있으며, 전동카(10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 앞바퀴(20)(21)의 방향을 핸들(11)로 틀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모터(40)는 정지 상태에서 자동으로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되게 함으로써,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걸려서 정지상태에서 미끄러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모터(40)의 회전력은 기어박스 등을 통하여 조향 구동축(50)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전,후진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앞바퀴(20)(21)를 바퀴 프레임(110)의 양쪽에 설치하되 뒷바퀴(30)(31)의 폭과 동일하게 앞바퀴(20)(21)를 설치하고, 상기 바퀴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는 베어링(111)을 설치하는 한편 수직 방향으로 바퀴 프레임(110)의 회동을 위한 핸들(11)을 설치하며, 상기 베어링(111)에는 수평축(121)을 끼워 고정시키되 상기 수평축(121)의 선단에는 수직축(122)을 형성함으로써 수평축(121)과 수직축(122)은 T자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 수직축(122)은 전동카(100)의 프레임(10) 전방에 고정된 베어링(130)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 바퀴 프레임(110)은 베어링(130)에 끼워진 수직축(122)을 중심으로 수평 회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베어링(111)에 끼워진 수평축(121)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전동카(100)가 측면으로 경사진 위치에 놓이게 될 때 바퀴 프레임(110)이 수평축(12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두 개의 앞바퀴(20)(21)가 모두 지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경사진 곳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앞바퀴(20)(21)와 뒷바퀴(30)(31)가 모두 지면에 닿은 채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동카(100)가 전복되는 경우를 없애는 한편 안정된 상태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핸들(11)을 바퀴 프레임(110)을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직축(122)은 상하측이 각각 베어링(130)으로 지지되게 하고, 상기 수직축(122)에 형성된 수평축(121)은 상기 베어링(130) 사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수평축(121)과 수직축(122)은 T자 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모터(40)의 회전동력을 뒷바퀴(30)(31)에 전달하기 위하여 클러치 레버(60)(61)를 당기지 않게 되면, 클러치(68)(69)는 스프링(55)(56)의 탄성력에 의해 조향 구동축(50)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기어(50a)(50b)와 치합되기 때문에 모터(40)의 회전동력이 체인(41)으로 전달되는 조향 구동축(50)의 회전력이 클러치(68)(69)에서 조향축(51)(52)으로 전달되어 뒷바퀴(30)(31)는 모터(4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모터(40)의 회전동력을 뒷바퀴(30)(31)에 전달하지 않기 위해서는 클러치 레버(60)(61)를 당겨서 케이블(62)(63)로 조향레버(64)(65)를 당기게 되면, 조향레버(64)(65)가 조향 갈고리(66)(67)를 회전시킴으로써 클러치(68)(69)가 스플라인 기어(53)(54)를 타고 조향 구동축(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조향 구동축(50)으로 인가되는 모터(40)의 회전력은 조향축(51)(52)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뒷바퀴(30)(31)는 수동으로 전동카(100)를 밀거나 당기는 힘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전동카(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뒷바퀴(30)(31)에 모터(4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전동카(1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좌측으로 방향 전환을 원할 경우, 좌측의 클러치(69)를 이동시켜 뒷바퀴(31)로 전달되는 모터(40)의 동력은 차단하고, 우측의 클러치(68)는 이동시키지 않아, 뒷바퀴(30)는 모터(40)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좌측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는 달리 우측으로 방향 전환을 시킬 경우는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클러치(68)(69)를 이동시키면 된다.
모터(40)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전동카(100)를 밀거나 당기는 힘만으로 이동시킬 경우는 클러치 레버(60)(61)를 당겨서 조향 구동축(50)의 회전력이 조향축(51)(52)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 뒷바퀴(30)(31)를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고, 이 같이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는 클러치 레버(60)(61)를 당긴 상태에서 고정핀(90)(91)을 고정홈(92)(93)에 꼿아서 클러치 레버(60)(61)가 원상태로 복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클러치 레버(60)(61)에 손을 대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11)을 이용하여 전동카(100)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러치 레버(60)(61)를 이용하여 클러치(68)(69)로 뒷바퀴(30)(31)에 전달되는 모터(40)의 회전 동력을 선택함으로써, 방향 전환을 쉽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조향축(50)(51)에 뒷바퀴(30)(31)가 직접 결합되고, 조향 구동축(50)을 통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추는 것이어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앞바퀴(20)(21)를 뒷바퀴(30)(31)의 폭과 동일하게 설치하되 앞바퀴(20)(21)가 설치된 바퀴 프레임(110)을 T자형의 수평축(121)과 수직축(122)으로 프레임(10)의 전방에 결합시키되 수평축(121)과 수직축(122)이 바퀴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베어링(111)과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는 베어링(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바퀴 프레임(110)이 수직축(121)을 중심으로 수평 회동하는 한편 수평축(121)을 중심으로 좌우 높낮이가 다르게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동카(100)가 경사진 곳을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앞바퀴(20)(21)의 좌우측 높낮이가 다르게 유지되면서 지면을 받치게 되므로, 전동카(100)가 전복하지 않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전동카(100)가 측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 뒷바퀴(30)(31)가 경사진 상태로 지면에 밀착할 때 앞바퀴(20)(21)도 좌우 높낮이가 경사도에 따라 자동 조절되면서 지면을 받치게 되므로, 결국 앞바퀴(20)(21)와 뒷바퀴(30)(31)가 모두 지면을 받치게 되면서, 전동카(100)가 이동할 때 측방향으로 전복될 위험을 없애주게 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경사진 곳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앞바퀴(20)(21)와 뒷바퀴(30)(31)가 모두 지면에 닿은 채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동카(100)가 전복되는 경우를 없애는 한편 4개의 바퀴가 지면에 닿은 채로 이동하게 되어 안정된 상태로의 이동이 가능하고, 핸들(11)을 바퀴 프레임(110)을 좌우 회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카(100)는 본 출원인이 특허 받은 전동카와 대동 소이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장치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 프레임 11 : 핸들
20,21 : 앞바퀴 30,31 : 뒷바퀴
40 : 모터 50 : 조향 구동축
51,52 : 조향축 53,54 : 스플라인 기어
55,56 : 스프링 60,61 : 클러치 레버
64,65 : 조향레버 68,69 : 클러치
70 : 채밀기 80 : 발전기
90,91 : 고정핀 92,93 : 고정홈
100 : 전동카 110 : 바퀴 프레임
111 : 베어링 121 : 수평축
122 : 수직축 130 : 베어링

Claims (6)

  1. 프레임(10)의 전방 상측으로 채밀기(70)가 탑재된 전동카(100)에는 전방으로 앞바퀴(20)(21)를 설치하여 핸들(11)로 조작되게 하고;
    상기 전동카(100)의 프레임(10)에는 후방으로 뒷바퀴(30)(31)를 설치하되 상기 뒷바퀴(30)(31)는 프레임(10)의 저면에 베어링(12)(13)으로 지지되는 조향축(51)(52)의 선단에 설치하고;
    상기 조향축(51)(52)은 조향 구동축(50)의 양쪽에 끼워져 회전되게 하되 상기 조향 구동축(50)에는 프레임(10)에 탑재된 모터(40)의 회전 동력이 체인(41)을 통하여 전달되게 하고;
    상기 조향축(51)(52)에는 길이 방향으로 스플라인 기어(53)(54)를 형성하여 클러치(68)(69)가 스플라인 기어(53)(54)를 타고 이동되게 하되 상기 클러치(68)(69)가 조향 구동축(50)에 끼워져 클러치 기어(50a)(50b)와 치합될 때 조향 구동축(50)의 회전력이 조향축(51)(52)으로 전달되게 하고;
    상기 클러치(68)(69)가 조향 구동축(5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때 스프링(55)(56)을 압착하며 이동되게 하고;
    상기 클러치(68)(69)는 조향 갈고리(66)(67)로 이동되게 하되 상기 조향 갈고리(66)(67)는 조향레버(64)(65)로 회동되게 하는 한편 상기 조향레버(64)(65)는 클러치 레버(60)(61)에서 케이블(62)(63)을 당겨서 회동시키고;
    상기 클러치(68)(69)는 내측이 조향축(51)(52)의 스플라인 기어(53)(54)와 치합된 채로 스플라인 기어(53)(54)를 타고 이동되게 하고, 상기 클러치(68)(69)는 조향 구동축(50)에 끼워지되 조향 구동축(50)의 클러치 기어(50a)(50b)와 치합되게 하며, 클러치(68)(69)가 조향 구동축(50)에 끼워질 때 조향축(51)(52)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고, 클러치(68)(69)가 스프링(55)(56)을 압착시키며 이동할 때는 조향축(51)(52)으로 동력전달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클러치 레버(60)(61)는 케이블(62)(63)을 당긴 상태에서 고정핀(90)(91)을 고정홈(92)(93)에 꼿아서, 클러치 레버(60)(61)가 복귀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46167A 2020-04-16 2020-04-16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KR10237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167A KR102378318B1 (ko) 2020-04-16 2020-04-16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167A KR102378318B1 (ko) 2020-04-16 2020-04-16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229A KR20210128229A (ko) 2021-10-26
KR102378318B1 true KR102378318B1 (ko) 2022-03-25

Family

ID=7826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167A KR102378318B1 (ko) 2020-04-16 2020-04-16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3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783B1 (ko) * 2009-09-09 2012-01-17 이충철 방향 조작이 가능한 수동형 무한궤도차량
US20150210316A1 (en) * 2012-07-13 2015-07-30 Bomag Gmbh Articulated Vehicle And Articulation Joint Arrangement For Such A Vehicle
KR101864389B1 (ko) * 2016-09-21 2018-06-05 박병호 채밀기용 전동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1720U (ko) 2009-05-25 2010-12-03 김창연 벌꿀 채밀기
KR20120052466A (ko) 2010-11-16 2012-05-24 칠곡군(승계청:칠곡군농업기술센터, 관리청:칠곡군수) 벌통 운반 및 리프트 적재장치
KR101864385B1 (ko) 2016-08-02 2018-06-05 박병호 채밀기용 전동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783B1 (ko) * 2009-09-09 2012-01-17 이충철 방향 조작이 가능한 수동형 무한궤도차량
US20150210316A1 (en) * 2012-07-13 2015-07-30 Bomag Gmbh Articulated Vehicle And Articulation Joint Arrangement For Such A Vehicle
KR101864389B1 (ko) * 2016-09-21 2018-06-05 박병호 채밀기용 전동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229A (ko)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4591B2 (ja) 乗用型田植機
JP2022173247A (ja) 電動作業車
JP2005341881A5 (ko)
KR102378318B1 (ko) 채밀기용 전동카의 동력 전달장치
US3760770A (en) Battery powered feed cart
KR101864389B1 (ko) 채밀기용 전동카
KR101864385B1 (ko) 채밀기용 전동카
JP2018068282A (ja) 刈取作業機及びシステム
EP0185513A1 (en) Mowers
US3867796A (en) Propelling means for floor finishing machines
JP3577825B2 (ja) 農作業機
JP4935950B2 (ja) 乗用型苗移植機
JP6229843B2 (ja) 作物収穫機
JP2011230596A (ja) 農用作業車両
JP2013176331A (ja) 苗移植機
JP6514099B2 (ja) 歩行型作業機
JP2672742B2 (ja) 作業車輌
JP2014003937A (ja) 乗用化ユニット
JP2741079B2 (ja) 除雪機のオーガ高さ調整装置
KR102531318B1 (ko) 자주식 운반차
JP7317697B2 (ja) 作業機
KR100860866B1 (ko) 트랙터용 트레일러
JP2002000090A (ja) マルチフィルム回収機
KR200348252Y1 (ko) 유모차 구동장치
JP2009232714A (ja) 乗用苗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