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907B1 - 지류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지류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907B1
KR102377907B1 KR1020210126585A KR20210126585A KR102377907B1 KR 102377907 B1 KR102377907 B1 KR 102377907B1 KR 1020210126585 A KR1020210126585 A KR 1020210126585A KR 20210126585 A KR20210126585 A KR 20210126585A KR 102377907 B1 KR102377907 B1 KR 10237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ating
coated paper
conveyo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범진
Original Assignee
장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범진 filed Critical 장범진
Priority to KR102021012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075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by assembling, e.g. by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layers or sheathings having a shape adapted to the shap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5Joining of substantially the whole surface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 B29C66/72327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non-plastics layer consisting of natural products or their composites, not provided for in B29C66/72321 - B29C66/72324
    • B29C66/72328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21H27/34Continuous materials, e.g. filaments, sheets, nets
    • D21H27/36Films made from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42Multi-ply comprising dry-laid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2063/021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characterized by the junction of material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류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류 원단이 적층되는 제 1 적층부; 지류 원단의 코팅에 이용되는 코팅지가 적층되는 제 2 적층부; 상기 제 1 적층부와 제 2 적층부로부터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공급받아 압착시킴으로써 코팅 지류를 제작하는 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를 통해 제조된 코팅 지류를 전달받아 적층시키는 제 3 적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부는, 지류 원단과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지류 원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는 지류 원단에서, 하나의 지류 원단을 추출하는 제 1 추출 컨베이어;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지류 원단의 하면을 압착시키는 제 1 코팅 컨베이어; 코팅지와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코팅지를 끌어내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는 코팅지에서, 하나의 코팅지를 추출하며, 코팅지의 낙하를 방지하고 코팅부의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코팅지 가이드 프레임이 마련되는 제 2 추출 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코팅지의 상면을 압착시키는 제 2 코팅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가공하고자 하는 지류의 원단과 코팅지를 수작업으로 합지시키는 것이 아닌,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효율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이들을 압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가공된 지류를 생산할 수 있는 지류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류 가공 장치 {Paper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지류 가공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가공하고자 하는 지류의 원단과 코팅지를 수작업으로 합지시키는 것이 아닌,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효율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이들을 압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가공된 지류를 생산할 수 있는 지류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한 경제성장과 편리 위주의 생활패턴으로 1회용 용기의 대량 소비 시대를 맞아 국내에서만 하루에도 수십 수백만개의 1회용 용기가 소비되고 있으며, 제품을 수납 및 운반하는 데는 지류로 형성되는 포장재가 일반화됨으로 인해 플라스틱이 아닌 친환경의 지류 소재로 제품을 포장하는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은 지류를 이용하는 1회용 용기 또는 포장재는, 가정이나 업소 및 유통과정에서 일정시간동안 내용물의 유출과 파손의 방지와 더불어 광고의 효과를 목적으로 표면에 코팅지를 부착하고자 포장재를 형성하는 지류의 표면 내면에 폴리에틸렌을 열압축 코팅처리하여 방수성과 열접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상기 폴리에틸렌은 분해되지 않아서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1회용 용기 또는 포장재를 수거하여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에틸렌층과 종이층을 분리하여야 하는 바, 이 경우 포장재를 잘게 잘라서 강산 또는 강알칼리의 수용액에 장시간 침지시켜 폴리에틸렌과 지류를 별도로 분리 수거한 후, 지류만을 재생시키고 있지만, 경제적인면과 불량률이 높아 현실적으로는 거의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 일회용 용기 및 포장재들은 합성수지류로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합성수지류의 용기 및 포장재들은 자연적인 상태에서 자연분해되지 않으므로 환경오염이 초래되고, 또한 유해가스 배출없이 완전 소각처리하기도 상당히 어려워서 소각 처리시 유해가스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근래에는 자연 상태에서 쉽게 생분해되는 종이나 녹말 등을 일회용 용기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지만, 이들 종이나 녹말은 수분을 쉽게 흡수하여 형상 변형되므로, 형상 유지를 위해서는 지류의 외면에 불수용성 코팅액을 도포해야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방식은 작업자가 붓 등의 도포기구를 사용하여 지류의 외면에 불수용성 코팅액을 직접 수작업으로 도포한 후, 가열기구로 이를 가열하여 불수용성 코팅액이 종이용기의 외면에 코팅된 상태로 증발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도포작업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코팅액의 도포두께가 일정치 않아서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며, 코팅액에 포함된 휘발성 유해가스에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작업환경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아울러, 법규 개정으로 인해 농산물도 포장 후 운반 및 보관을 하여야 하는데, 과일이나 채소를 담는 포장상자의 경우 그 자체 무게에 의해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고, 이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골판지 포장재가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골판지는 종이(紙)로서의 재질이 갖는 한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중량 및 단가에 비해 보다 향상된 인장력과 압축강도를 부여하는 것인 바, 이는 골판지의 두께 폭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에 접착 형성된 골심지(주름)에 주로 의존하는 것이고, 상기 골심지에 의해 복수 개의 공간층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완충성도 내포하고 있어 매우 다양한 범용성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골판지상자의 제조방법은 골판지상자의 특성상 좌측면과 우측면의 인쇄가 틀리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었다.
예컨대, 좌측면 인쇄지A와 우측면 인쇄지B의 인쇄내용에 있어서 좌측면 인쇄지A에는 품목의 명칭과 사진 또는 그림이 인쇄되고, 우측면 인쇄지B에는 원산지 표기 및 품명, 제조 년월, 제조자 등이 기입되는 방식으로 좌측면과 우측면의 인쇄표기가 틀리게 된다.
이럴 경우 종래 골판지 포장상자 제조방법은 먼저 3개의 원지(표면지, 중심지, 이면지)가 구비되고, 이 3개의 원지 사이에 주름진 형태로 완충성을 확보하는 2개의 골심지가 각각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골판지 포장상자는, 그 표면으로 인쇄된 각각의 인쇄지를 포장박스 좌, 우측에 붙이는 별도의 공정을 진행하여야 하고, 인쇄지를 합지하는 작업공정이 별도로 분리 진행되고 최종단계에서 합지되므로 인해 작업 능률의 비효율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작업공정 및 시간도 그만큼 오래 걸리게 되어서 골판지와 인쇄지의 유기적인 협동작업 공정도 불가능해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95-9025호(공개번호)와 같은 '지류코팅장치'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어왔다.
그러나, 최근까지 상기와 같은 방식의 지류 가공 장치와 같은 지류의 합지 및 가공의 수단이 꾸준히 개발되어 온 것에 반해, 그의 효용성과 범용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운용적인 편리함과 동시에, 범용성이 뛰어나며 양질의 가공 및 코팅 지류를 제조하기 위한 지류 가공 장치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작업자가 코팅하고자 하는 지류와 코팅지를 수작업으로 합지시키는 것이 아닌, 지류와 코팅지를 효율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이들을 압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지류를 가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는, 지류 원단이 적층되는 제 1 적층부; 지류 원단의 코팅에 이용되는 코팅지가 적층되는 제 2 적층부; 상기 제 1 적층부와 제 2 적층부로부터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공급받아 압착시킴으로써 코팅 지류를 제작하는 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를 통해 제조된 코팅 지류를 전달받아 적층시키는 제 3 적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부는, 지류 원단과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지류 원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는 지류 원단에서, 하나의 지류 원단을 추출하는 제 1 추출 컨베이어;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지류 원단의 하면을 압착시키는 제 1 코팅 컨베이어; 코팅지와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코팅지를 끌어내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는 코팅지에서, 하나의 코팅지를 추출하며, 코팅지의 낙하를 방지하고 코팅부의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코팅지 가이드 프레임이 마련되는 제 2 추출 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코팅지의 상면을 압착시키는 제 2 코팅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에 의해 압착되는 지류 원단과 코팅지가 하나의 지류로 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소정 높이 돌출되는 가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 마련된 가압 돌기가 맞물리는 가압홈이 마련됨으로써, 지류 가공 장치를 통해 코팅되는 지류의 표면에 가상선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설정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가압 돌기의 외곽 반경에 구비되며, 선단을 가지는 칼날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절삭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에 마련된 제 1 절삭날과 맞물리는 반경에 마련되는 제 2 절삭날이 마련됨으로써, 지류 가공 장치를 통해 코팅되는 지류를 설정 범위로 재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적층부는, 상기 제 1 절삭날과 제 2 절삭날을 통해 절삭된 코팅 지류의 불필요 면적을 탈락시키는 탈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락부는, 상기 제 3 적층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압착 실린더; 상기 압착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운동하며, 코팅 지류의 총 면적과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압착판 및 상기 제 1 절삭날과 제 2 절삭날로 인해 재단되는 코팅 지류 테두리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의 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압착판의 하방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하강하는 압착판과 맞닿아 압착됨으로써, 중단에 위치한 코팅 지류의 불필요 면적을 탈락시키고, 불필요 면적이 탈락된 코팅 지류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탈락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팅부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에 의해 합지되는 지류를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지류 원단과 코팅지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코팅 환경 조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 환경 조성부는, 상기 지류 원단과 맞닿는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 구비되어, 지류 원단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 및 상기 코팅지와 맞닿는 제 2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 구비되어, 코팅지를 설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환경 조성부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가 맞닿는 전단에 구비되어, 제 1 추출 컨베이어와 제 2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가열시키는 보조 가열 수단 및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가 맞닿는 종단에 구비되어, 제 3 적층부로 공급되는 코팅 지류를 냉각시키는 보조 냉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는, 상기 제 1 적층부에 적층된 지류 원단 또는 상기 제 2 적층부에 적층된 코팅지 또는 상기 제 3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던 코팅 지류를 지류 가공 장치의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 1 적층부로 지류 원단 또는 상기 제 2 적층부로 코팅지를 추가로 적층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는, 지류 가공 장치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에서, 프레임의 높이를 이루는 Y축의 프레임에 마련되는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이송 브라켓; 상기 이송 브라켓에 구비되며, 지류 원단, 코팅지 또는 코팅 지류를 파지하는 이송 클램프 및 이송 브라켓과 이송 클램프를 결속시키는 결합부에 마련되어, 이송 클램프를 축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는, 작업자가 코팅하고자 하는 지류와 코팅지를 수작업으로 합지시키는 것이 아닌, 지류와 코팅지를 효율적으로 공급과 동시에 압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지류를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는,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합지시킴과 동시에, 코팅지가 부착된 지류의 표면에 가상선을 부여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탈락시킴으로 인해, 후 가공이 보다 용이한 가공 지류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는, 지류 또는 코팅지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코팅 환경 조성부를 이용하여, 지류 원단과 코팅지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양질의 가공 지류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는, 프레임에 구비되는 이송부로 하여금, 가공을 완료한 지류를 이송하거나, 적층부 상에 적층된 원자재를 손쉽게 충전시킬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팅부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코팅되는 지류의 표면에 가성선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압 돌기와 가압홈이 마련된 코팅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코팅되는 지류를 설정범위로 재단하기 위하여, 제 1 절삭날과 제 2 절삭날이 마련된 코팅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락부가 구비된 지류 가공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0 은 탈락부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저면도이다.
도 12 의 (a) 및 (b) 는 탈락부의 운용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13 의 (a) 및 (b) 는 냉각 수단과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코팅 환경 조성부가 마련된 코팅부의 예시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보조 가열 수단과 보조 냉각 수단을 포함하는 코팅 환경 조성부가 마련된 지류 가공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부가 구비된 지류 가공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7 은 이송부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부품도이다.
도 18 의 (a) 내지 (e) 는 이송부의 운용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1)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의 후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팅부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1)는, 종이의 재질로 형성되며,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지류(紙類)를 가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장치로서, 지류 가공 장치(1)의 뼈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F)과 함께, 지류 가공에 이용되는 구성인 제 1 적층부(100), 제 2 적층부(200), 코팅부(300) 및 제 3 적층부(4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F)은, 본 발명의 지류 가공 장치(1)의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골조, 즉, 뼈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F)은, 이후 자세하게 서술될 제 1 적층부(100), 제 2 적층부(200), 코팅부(300) 및 제 3 적층부(400)를 지류 가공 장치(1)의 설치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강철 또는 탄소 합금강과 같이 강한 강성과 강도를 가지는 소재가 모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F)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적층부(100)와 제 2 적층부(200)를 층 단위로 지지하기 위한 제 1 프레임(F1), 상기 코팅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제 3 프레임(F2, F3)과, 상기 제 3 적층부(400)를 지지하기 위한 제 4 프레임(F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F1, F2, F3, F4)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본 발명이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각각의 프레임(F1, F2, F3, F4)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일 몸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단일 프레임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F1, F2, F3, F4)이 분리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프레임들(F1, F2, F3, F4)의 하방에는 바퀴가 마련됨으로써, 작업자가 각각의 프레임들(F1, F2, F3, F4)을 잡아당겨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적층부(100)는, 작업자가 가공하고자 하는 지류 원단(BP)이 적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적층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면적을 가지는 지류 원단(BP)이 투입된 이후, 지류 원단(BP)을 층층이 쌓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하우징, 케이스 또는 호퍼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적층부(200)는, 지류 원단(BP)의 코팅에 이용되는 코팅지(CP)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적층부(200)는, 제 1 적층부(100)와 동일하게, 소정 면적을 가지는 코팅지(CP)를 층층이 쌓아 임시 저장할 수 있는 하우징, 케이스 또는 호퍼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적층부(20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적층부(10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이후 서술될 코팅부(300)로 하여금 상면이 코팅된 코팅 지류(EP)를 제작하기 위함으로써,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그들의 배치가 반전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300)는, 상기 제 1 적층부(100)와 제 2 적층부(200)로부터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를 공급받아 압착시킴으로써, 코팅 지류(EP)를 제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300)는, 제 1 추출 컨베이어(310), 제 1 코팅 컨베이어(320), 제 2 추출 컨베이어(330) 및 제 2 코팅 컨베이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구성과 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기에 앞서,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310), 제 1 코팅 컨베이어(320), 제 2 추출 컨베이어(330) 및 제 2 코팅 컨베이어(340)는, 지류의 자동 공급 공정에서 주로 이용되는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예시적인 형태일 뿐, 체인(Chain) 또는 롤러(Roller)를 이용하는 방식의 지류 이송 수단의 형태들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310)는, 상기 제 1 적층부(100)에 적층되어 있는 지류 원단(BP)에서, 하나의 지류 원단(BP)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310)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부(300)의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류 원단(BP)과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지류 원단(BP)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310)는, 지류 원단(BP)을 제 1 적층부(100)로부터 코팅부(300)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지류 원단(BP)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는,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310)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지류 원단(BP)의 하면을 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추출 컨베이어(330)는, 상기 제 2 적층부(200)에 적층되어 있는 코팅지(CP)에서, 하나의 코팅지(CP)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추출 컨베이어(330)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코팅부(300)의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코팅지(CP)와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코팅지(CP)를 끌어내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추출 컨베이어(330)의 종단, 보다 구체적으로 제 3 프레임(F3)의 전단에는, 코팅지(CP)의 낙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코팅부(300)의 방향으로 코팅지(CP)를 가이드 하는 코팅지 가이드 프레임(3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2 추출 컨베이어(330)는, 코팅지(CP)을 제 2 적층부(200)로부터 코팅부(300)의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코팅지(CP)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코팅 컨베이어(340)는, 상기 제 2 추출 컨베이어(330)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코팅지(CP)의 상면을 압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는,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켄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속 또는 저속 회전함으로써,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를 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의 간격은, 지류 원단(BP)의 두께와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그의 간격이 보다 협소되거나 확장되도록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는, 각각의 컨베이어의 내부 혹은 외부에 마련되는 발열 장치를 통해 코팅지(CP)와 지류 원단(BP)에 열을 인가함으로써, 열 압착방식으로 하여 코팅 지류(EP)를 생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프레임(F2)이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를 지지하는 면적의 높이 방향 중단에는,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소정 면적이 제거된 방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코팅부(300)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건강에 해로운 접착제를 생략하고,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를 압착시킴으로써 코팅 지류(EP)의 형태로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적층부(400)는, 상기 코팅부(300)를 통해 제조된 코팅 지류(EP)를 전달받아 적층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3 적층부(400)는, 제 3 적층부(400)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F, F4)의 높이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는 안착판(401)과, 상기 안착판(401)의 승하강을 가이드 하는 안착판 가이드(4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적층부(400)에는, 코팅 지류(EP)를 작업자의 설정 개수에 따라 묶거나 포장할 수 있는 포장 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1)는, 작업자가 코팅하고자 하는 지류 원단(BP)와 코팅지(CP)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합지시키는 것이 아닌, 지류 원단(BP)와 코팅지(CP)를 효율적으로 공급과 동시에 압착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지류를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5 및 도 6 은 코팅되는 지류의 표면에 가성선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압 돌기와 가압홈이 마련된 코팅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팅부(300)는, 가압 돌기(3210)와 가압홈(341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돌기(3210)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의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돌기(3210)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정된 형상, 바람직하게는, 코팅 지류(EP)를 포장 박스(BOX)의 형상으로 접을 수 있는 형태의 배열을 가지며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홈(3410)은, 상기 제 2 코팅 컨베이어(340)의 표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홈(3410)은, 상기 가압 돌기(3210)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압홈(3410)은, 반드시 가압 돌기(3210)와 맞물리는 함몰홈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코팅 지류(EP)에 가상선을 부여하는 것이 아닌, 가압 돌기(3210)와 동일한 형태의 돌기가, 가상선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압 돌기(3210)와 엇갈리는 방식으로 마련됨으로써, 코팅 지류(EP)의 전면, 후면 양면에 가상선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류 가공 장치(1)를 통해 코팅 지류(EP)의 표면에 가상선, 즉, 코팅 지류(EP)를 박스 형태로 접는 것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선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포장 박스를 접는데 있어,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7 및 도 8 은 코팅되는 지류를 설정 범위로 재단하기 위하여, 제 1 절삭날과 제 2 절삭날이 마련된 코팅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팅부(300)는, 앞서 서술된 가압 돌기(3210) 및 가압홈(3410)의 구성과 함께, 제 1 절삭날(3220)과 제 2 절삭날(342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절삭날(3220)은, 앞서 서술되었던 가압 돌기(3210)와 마찬가지로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의 표면에 구비되되, 상기 설정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가압 돌기(3210)의 외곽 반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삭날(3220)은,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선단을 가지는 칼날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코팅 컨베이어(340)의 표면에는, 제 2 절삭날(3420)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절삭날(3420)은,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에 마련된 제 1 절삭날(3220)과 맞물리는 반경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절삭날(3420) 역시, 제 1 절삭날(3220)과 동일하게 선단을 가지는 칼날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지류 가공 장치(1)를 통해 코팅되는 코팅 지류(EP)의 표면을 설정 범위로 재단할 수 있어, 작업자가 보다 손쉽게 코팅 지류(EP)의 불필요 면적을 탈락시킨 이후, 포장 박스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탈락부가 구비된 지류 가공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10 은 탈락부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도 10 의 저면도이고, 도 12 의 (a) 및 (b) 는 탈락부의 운용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예시도이다.
도 9 내지 12 와 함께, 앞서 참조한 도 5 내지 도 8 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3 적층부(400)는, 상기 제 1 절삭날(3220)과 제 2 절삭날(3420)을 통해 절삭된 코팅 지류(EP)의 불필요 면적을 탈락시키는 탈락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락부(410)는, 압착 실린더(4110), 압착판(4120) 및 탈락 프레임(4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 실린더(4110)는, 상기 제 3 적층부(40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판(4120)은, 상기 압착 실린더(4110)에 의해 승하강 운동하며, 코팅 지류(EP)의 총 면적과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락 프레임(4130)은, 상기 제 1 절삭날(3220)과 제 2 절삭날(3420)로 인해 재단되는 코팅 지류(EP) 테두리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의 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락 프레임(4130)은, 상기 압착판(4120)의 하방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 4 프레임(F4)의 소정 높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탈락 프레임(4130)은, 상기 압착 실린더(4110)에 의해 하강하는 압착판(4120)과 맞닿아 압착됨으로써, 중단에 투입 및 위치된 코팅 지류(EP)를 압착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코팅 지류(EP)의 불필요한 면적을 탈락시키고, 불필요 면적이 탈락된 코팅 지류(EP)를 탈락 프레임(4130)의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1)는,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를 합지시킴과 동시에, 코팅지(CP)가 부착된 코팅 지류(EP)의 표면에 가상선을 부여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탈락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작업자의 후 가공이 보다 용이한 가공 지류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3 의 (a) 및 (b) 는 냉각 수단과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코팅 환경 조성부가 마련된 코팅부의 예시도이고, 도 14 는 도 13 의 측면도이며, 도 15 는 보조 가열 수단과 보조 냉각 수단을 포함하는 코팅 환경 조성부가 마련된 지류 가공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팅부(300)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에 의해 합지되는 코팅 지류(EP)를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코팅 환경 조성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면, 상기 코팅 환경 조성부(500)는, 냉각 수단(510) 및 가열 수단(5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냉각 수단(510)은, 상기 지류 원단(BP)과 맞닿는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의 표면에 마련되는 열선의 형태로 구비되어, 지류 원단(BP)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수단(520)은, 상기 코팅지(CP)와 맞닿는 제 2 코팅 컨베이어(340)의 표면에 구비되어, 코팅지(CP)를 설정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4 를 참조하면, 상기 가열 수단(520)은,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제 2 코팅 컨베이어(340)의 회전하는 반경의 설정 범위마다 각기 다른 열을 인가하거나, 설정 위치를 지나는 코팅지(CP)의 위치에 따라 가열 수단(520)의 가열 동작을 임시 정지되는 방식으로 하여, 코팅 지류(EP)의 가열되는 면적을 제어하도록 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지(CP)가 투입되는 위치한 가열 수단(520)의 반경(521)은 활성화되어 제 2 코팅 컨베이어(340)의 초기에 투입되는 코팅지(CP)에 열을 인가하고,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의 가열 압착을 완료하여 코팅이 완료된 코팅 지류(EP)가 제 3 적층부(400)로 배출되는 종단의 반경(523)에는, 상기 가열 수단(520)이 비활성화됨으로써, 제작이 완료된 코팅 지류(EP)에 불필요한 열을 인가하지 않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5 를 참조하면, 상기 코팅 환경 조성부(500)는, 앞서 상술된 냉각 수단(510) 및 가열 수단(520)과 더불어, 보조 가열 수단(530) 및 보조 냉각 수단(54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보조 가열 수단(530)은,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가 맞닿게 되는 전단에 구비되며, 코팅부(300)에 투입되는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에 열풍을 방사시키는 방식으로, 제 1 추출 컨베이어(310)와 제 2 추출 컨베이어(330)를 통해 공급되는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를 가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냉각 수단(540)은,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320)와 제 2 코팅 컨베이어(340)가 맞닿는 종단에 구비되며, 제 3 적층부(400)로 배출되는 코팅 지류(EP)에 냉풍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완료된 코팅 지류(EP)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1)는,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를 압착시켜 합지시킴에 있어서, 코팅지(CP)를 가열시켜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코팅지(CP)와 지류 원단(BP)을 압착시켜 제조를 완료한 이후, 냉각 및 응축시킴으로써,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제 3 적층부(400)에 적층됨으로 인해 코팅 지류(EP)의 사이에 잔재한 잔열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1)는, 지류 원단(BP), 코팅지(CP) 및 코팅 지류(EP)를 상황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시킬 수 있는 코팅 환경 조성부(500)를 이용하여, 지류 원단(BP)과 코팅지(CP)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양질의 가공된 코팅 지류(EP)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부가 구비된 지류 가공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17 은 이송부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부품도이며, 도 18 의 (a) 내지 (e) 는 이송부의 운용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지류 가공 장치(1)는, 상기 제 1 적층부(100)에 적층된 지류 원단(BP) 또는 상기 제 2 적층부(200)에 적층된 코팅지(CP) 또는 상기 제 3 적층부(400)에 적층되어 있던 코팅 지류(EP)를 지류 가공 장치(1)의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 1 적층부(100)로 지류 원단(BP) 또는 상기 제 2 적층부(200)로 코팅지(CP)를 추가로 적층시키는 이송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600)는, 이송 레일(610), 이송 브라켓(620), 이송 클램프(630) 및 회전 모터(M)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송 레일(610)은, 지류 가공 장치(1)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F)에서, 프레임의 높이를 이루는 Y축의 프레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브라켓(620)은, 상기 이송 레일(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클램프(630)는, 상기 이송 브라켓(620)에 구비되며, 지류 원단(BP), 코팅지(CP) 또는 코팅 지류(EP)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모터(M)는, 이송 브라켓(620)과 이송 클램프(630)를 결속시키는 프레임간의 결합부에 마련되어, 이송 클램프(630)를 축 회전, 보다 구체적으로는 2축 회전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부(600)의 동작을 도 18 을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작업자가 제 2 적층부(200)에 쌓여있는 코팅지(CP)를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 이송 브라켓(620)을 도 18 의 (a)와 같은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회전 모터(M2)를 동작시켜 (b) 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이송 클램프(630)에 코팅지(CP)를 끼워 넣고, 이후, (c) 와 같이 이송 브라켓(620)을 이송 레일(610)의 필요 높이까지 상승시킨 뒤, 회전 모터(M1)를 이용하여 (d) 및 (c)와 같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코팅지(CP)를 제 2 적층부(200)에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1)는, 이송부(600)로 하여금, 가공을 완료한 코팅 지류(EP)를 외부로 이송하거나, 적층부(400)에 적층된 원자재(BP, CP)를 보다 손쉽게 충전시킬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지류 가공 장치(1)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류 가공 장치(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지류 가공 장치
100 : 제 1 적층부 200 : 제 2 적층부
300 : 코팅부 310 : 제 1 추출 컨베이어
320 : 제 1 코팅 컨베이어 3210 : 가압 돌기
3220 : 제 1 절삭날 330 : 제 2 추출 컨베이어
340 : 제 2 코팅 컨베이어 3410 : 가압홈
3420 : 제 2 절삭날 400 : 제 3 적층부
401 : 안착판 402 : 안착판 가이드
410 : 탈락부 4110 : 압착 실린더
4120 : 압착판 4130 : 탈락 프레임
500 : 코팅 환경 조성부 510 : 냉각 수단
520 : 가열 수단 530 : 보조 가열 수단
540 : 보조 냉각 수단 600 : 이송부
610 : 이송 레일 620 : 이송 브라켓
630 : 이송 클램프
F : 프레임 BP : 지류 원단
CP : 코팅지 EP : 코팅된 지류
M : 회전 모터

Claims (9)

  1. 지류 원단이 적층되는 제 1 적층부;
    지류 원단의 코팅에 이용되는 코팅지가 적층되는 제 2 적층부;
    상기 제 1 적층부와 제 2 적층부로부터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공급받아 압착시킴으로써 코팅 지류를 제작하는 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를 통해 제조된 코팅 지류를 전달받아 적층시키는 제 3 적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부는,
    지류 원단과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지류 원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는 지류 원단에서, 하나의 지류 원단을 추출하는 제 1 추출 컨베이어;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지류 원단의 하면을 압착시키는 제 1 코팅 컨베이어;
    코팅지와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코팅지를 끌어내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는 코팅지에서, 하나의 코팅지를 추출하며, 코팅지의 낙하를 방지하고 코팅부의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코팅지 가이드 프레임이 마련되는 제 2 추출 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코팅지의 상면을 압착시키는 제 2 코팅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에 의해 압착되는 지류 원단과 코팅지가 하나의 지류로 합지되고,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소정 높이 돌출되는 가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 마련된 가압 돌기가 맞물리는 가압홈이 마련됨으로써, 지류 가공 장치를 통해 코팅되는 지류의 표면에 가상선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가공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설정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가압 돌기의 외곽 반경에 구비되며, 선단을 가지는 칼날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절삭날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에 마련된 제 1 절삭날과 맞물리는 반경에 마련되는 제 2 절삭날이 마련됨으로써, 지류 가공 장치를 통해 코팅되는 지류를 설정 범위로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가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적층부는,
    상기 제 1 절삭날과 제 2 절삭날을 통해 절삭된 코팅 지류의 불필요 면적을 탈락시키는 탈락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락부는,
    상기 제 3 적층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압착 실린더;
    상기 압착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운동하며, 코팅 지류의 총 면적과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압착판 및
    상기 제 1 절삭날과 제 2 절삭날로 인해 재단되는 코팅 지류 테두리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의 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압착판의 하방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하강하는 압착판과 맞닿아 압착됨으로써, 중단에 위치한 코팅 지류의 불필요 면적을 탈락시키고, 불필요 면적이 탈락된 코팅 지류를 하방으로 낙하시키는 탈락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가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에 의해 합지되는 지류를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지류 원단과 코팅지 간의 결속력을 증대시키는 코팅 환경 조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가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환경 조성부는,
    상기 지류 원단과 맞닿는 제 1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 구비되어, 지류 원단을 설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 및
    상기 코팅지와 맞닿는 제 2 코팅 컨베이어의 표면에 구비되어, 코팅지를 설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가공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환경 조성부는,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가 맞닿는 전단에 구비되어, 제 1 추출 컨베이어와 제 2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가열시키는 보조 가열 수단 및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가 맞닿는 종단에 구비되어, 제 3 적층부로 공급되는 코팅 지류를 냉각시키는 보조 냉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가공 장치
  8. 지류 원단이 적층되는 제 1 적층부;
    지류 원단의 코팅에 이용되는 코팅지가 적층되는 제 2 적층부;
    상기 제 1 적층부와 제 2 적층부로부터 지류 원단과 코팅지를 공급받아 압착시킴으로써 코팅 지류를 제작하는 코팅부 및
    상기 코팅부를 통해 제조된 코팅 지류를 전달받아 적층시키는 제 3 적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부는,
    지류 원단과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지류 원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는 지류 원단에서, 하나의 지류 원단을 추출하는 제 1 추출 컨베이어;
    상기 제 1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지류 원단의 하면을 압착시키는 제 1 코팅 컨베이어;
    코팅지와 맞닿아 회전하는 면이, 코팅지를 끌어내릴 수 있는 마찰 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는 코팅지에서, 하나의 코팅지를 추출하며, 코팅지의 낙하를 방지하고 코팅부의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코팅지 가이드 프레임이 마련되는 제 2 추출 컨베이어 및
    상기 제 2 추출 컨베이어를 통해 추출된 하나의 코팅지의 상면을 압착시키는 제 2 코팅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코팅 컨베이어와 제 2 코팅 컨베이어에 의해 압착되는 지류 원단과 코팅지가 하나의 지류로 합지되고,
    지류 가공 장치는,
    상기 제 1 적층부에 적층된 지류 원단 또는 상기 제 2 적층부에 적층된 코팅지 또는 상기 제 3 적층부에 적층되어 있던 코팅 지류를 지류 가공 장치의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 1 적층부로 지류 원단 또는 상기 제 2 적층부로 코팅지를 추가로 적층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지류 가공 장치의 뼈대를 형성하는 프레임에서, 프레임의 높이를 이루는 Y축의 프레임에 마련되는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높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이송 브라켓;
    상기 이송 브라켓에 구비되며, 지류 원단, 코팅지 또는 코팅 지류를 파지하는 이송 클램프 및
    이송 브라켓과 이송 클램프를 결속시키는 결합부에 마련되어, 이송 클램프를 축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류 가공 장치



  9. 삭제
KR1020210126585A 2021-09-24 2021-09-24 지류 가공 장치 KR102377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585A KR102377907B1 (ko) 2021-09-24 2021-09-24 지류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585A KR102377907B1 (ko) 2021-09-24 2021-09-24 지류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907B1 true KR102377907B1 (ko) 2022-03-22

Family

ID=8099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585A KR102377907B1 (ko) 2021-09-24 2021-09-24 지류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9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54Y1 (ko) * 2006-08-18 2006-12-26 최금오 박스 포장지용 파지제거장치
KR20100043647A (ko) * 2008-10-20 2010-04-29 장일완 골판지 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64314A (ko) * 2011-12-08 2013-06-18 김일경 골판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654Y1 (ko) * 2006-08-18 2006-12-26 최금오 박스 포장지용 파지제거장치
KR20100043647A (ko) * 2008-10-20 2010-04-29 장일완 골판지 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64314A (ko) * 2011-12-08 2013-06-18 김일경 골판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2693B2 (ja) 完全リサイクル型の環境に優しい包装構造とその製造方法
US10787303B2 (en) Packaging insulation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13427825B (zh) 箱盒成型机
CN1048466C (zh) 香烟的包装方法和设备及采用该包装方法制造的香烟包
MX2007003674A (es) Aparato y metodo para formar recipientes y preformas de recipientes.
JP2020199778A (ja) 連続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段ボールシート製造装置
CN107531379A (zh) 用于形成包装的方法和系统
JP2013542859A (ja) プラテンプレスを有する打抜き機
AU2009300441B2 (en) Manufacturing process
KR102377907B1 (ko) 지류 가공 장치
US100811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corrugated cardboard, in particular on the site of systems for automatically forming packaging boxes
CN102186663A (zh) 零售商品盒及制造零售商品盒的方法
EP3847104B1 (en) Method for forming biodegradable bags
DE102005032014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packung aus Pappe
CA2593025A1 (en) Containers and container blanks,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orming containers and container blanks
FI95302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oristelaminaattilevyjen valmistamiseksi
US4333784A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weatherproofed multi leaf shipping forms
CN111016278B (zh) 一种瓦楞纸箱的成型工艺
KR101206052B1 (ko) 골판지와 라벨지를 합지하기 위한 장치
CN206663946U (zh) 一种贴合设备
US20230098764A1 (en) Packaging machine and packaging method
FR2956352A1 (fr) Carton ondule quadruple cannelu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3189008B2 (ja) 紙製立体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7224684U (zh) 一种智能化包装箱生产线
TW466204B (en) Sealing and labeling machine for use with plastic woven ba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