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479B1 -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479B1
KR102377479B1 KR1020200092511A KR20200092511A KR102377479B1 KR 102377479 B1 KR102377479 B1 KR 102377479B1 KR 1020200092511 A KR1020200092511 A KR 1020200092511A KR 20200092511 A KR20200092511 A KR 20200092511A KR 102377479 B1 KR102377479 B1 KR 102377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ube
reagent
tube bod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217A (ko
Inventor
오재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Priority to KR102020009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4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0Enclosures; Chamber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e.g. cupboards, wast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1Adjust spacings in an array of wells, pipettes or holders, format transfer between arrays of different size or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8Ergonomic or safety aspects of handling devices
    • B01L2200/082Handling hazard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6Reagents, handling or storing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약장에 장착되어 시약장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는,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본체와, 시약장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로 전달되도록 시약장의 배출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흡기관과, 정화된 공기가 시약장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본체와 시약장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시약장은 외측벽과 내측벽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패널로 제작되고, 상기 흡기관 또는 배기관은 서로 결합하는 제1 관체와 제2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관체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관체와 결합하며, 상기 제2 관체는 상기 외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Hazardous gases purifying device for reagent cabinet}
본 발명은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약장에 장착되어 시약장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품 및 시약 보관장은 학교의 실험실이나 연구기관의 실험실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화학약품이나 시약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약품 및 시약 보관장은 단순히 화학약품 등을 보관하는 기능만 있어 보관된 약품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냄새나 유해가스가 교실이나 실험실을 오염시키고, 두통이나 중독 사고를 유발하며, 장시간 접촉시 암이나 아토피 등을 발생시키거나 화재, 가스누출, 폭발 등 다양한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위험물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을 설치하기 위하여 실외 배기덕트를 설치하거나 별도의 제거시스템을 장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보관장의 이동에 제약을 받게 되는 불편함이 있고,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하기 때문에 냉난방 효율을 저하시키고, 유해가스 및 악취에 의한 실외의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필터형 클린 시약장의 사시도로, 시약실 내부의 공기 흐름을 수평류로 제어하여 시약장의 유해가스 발생시 유해가스를 상측으로 포집하여 시약장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필터형 클린 시약장은 공기 순환장치가 시약장에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공기 순환장치의 설치공간이 미리 구비되어 있는 특정 시약장에만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즉 시약장은 다양한 형태로 시중에 출시되고 있지만 일반적인 시약장의 경우 구조를 개조하지 않고 종래의 상기 공기 순환장치를 설치할 수 없다.
도 2는 종래의 위험물질 보관함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험물질 보관함은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와 유입구(13)에 유해가스와 필터에 의해 정화되는 기체를 순환시키는 순환라인(20)을 조립하고, 순환라인(20)에는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순환라인(20)에는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와 유입구(13)를 통해 유독성 기체의 배출과, 유독성 기체가 여과된 공기의 유입 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어셈블리(40)가 설치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시약장은 외측벽과 내측벽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위험물질 보관함을 일반적인 시약장에 적용할 경우, 밸브어셈블리(40)가 시약장의 외측벽과만 접촉하게 되고,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의 공간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시약장 내부 공기의 흡입 및 순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0118호(2017.03.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7801호(2017.05.2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시약장과 호환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시약장의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시약장 내부 공기의 흡입 및 순환효율을 높여 시약장 내부 공기의 정화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는,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본체와, 시약장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로 전달되도록 시약장의 배출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흡기관과, 정화된 공기가 시약장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본체와 시약장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시약장은 외측벽과 내측벽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패널로 제작되고, 상기 흡기관 또는 배기관은 서로 결합하는 제1 관체와 제2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관체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관체와 결합하며, 상기 제2 관체는 상기 외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벽에 밀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관체는 상기 외측벽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측벽을 향해 삽입되고, 상기 제1 관체는 상기 제2 관체에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관체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시약장의 외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배출구를 덮고, 상기 제2 관체는 일단이 상기 제1 관체로 삽입되며, 상기 제1 관체로부터 인출되어 타단이 상기 시약장의 내측벽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관체의 타단에는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부를 상기 시약장의 외측벽에 부착시키는 제1 자석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 관체의 타단에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2 플랜지부를 상기 시약장의 내측벽에 부착시키는 제2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관체의 내측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체의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상기 제2 관체를 밀어내는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관체의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제2 자석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은 서로 마주하는 면의 극성이 다르다.
또는, 상기 제1 관체와 제2 관체는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시약장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제1 자석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는 제2 관체의 결합위치 또는 인출길이의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패널의 두께가 상이한 다양한 시약장과 호환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시약장의 외측벽과 내측벽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시약장 내부 공기의 흡입 및 순환효율을 높여 시약장 내부 공기의 정화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필터형 클린 시약장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위험물질 보관함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기관의 시약장 연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기관의 시약장 연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기관의 시약장 연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기관의 시약장 연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기관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기관의 시약장 연결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는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본체(101)와 흡기관(102) 및 배기관(103)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1)는 시약장(20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정화 대상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미도시)과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시약장(201)은 금속재질의 패널로 제작된다. 그리고 패널은 외측벽(210)과 내측벽(2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외측벽(210)과 내측벽(2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벽(210)과 내측벽(220) 사이의 거리는 시약장(201)의 제조사마다 또는 시약장(201)의 모델마다 다르다. 즉 시약장(201)을 구성하는 패널의 두께는 일정하지 않다.
흡기관(102)은 시약장(201) 내부의 공기가 본체(101)로 전달되도록 시약장(201)의 배출구(211,221)와 본체(101)를 연결한다. 그리고 배기관(103)은 본체(101)에서 정화된 공기가 시약장(201)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본체(101)와 시약장(201)의 유입구(212,222)를 연결한다.
이러한 흡기관(102)은 서로 결합하는 제1 관체(301)와 제2 관체(401)로 이루어진다. 제1 관체(301)는 일단이 본체(101)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관체(401)와 결합한다. 그리고 제2 관체(401)는 시약장(201)의 외측벽(210)을 관통하여 내측벽(220)에 밀착된다. 즉 제2 관체(401)는 시약장(201)의 외측벽(2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11)를 통해 시약장(201)의 외측벽(210)을 관통한다. 그리고 외측벽(210)에 형성된 배출구(211)의 지름은 내측벽(220)에 형성된 배출구(221)의 지름보다 크다.
배기관(103)의 구조는 흡기관(102)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흡기관(102)과 시약장(201)의 연결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흡기관(102)이 연결되는 시약장(201)의 배출구(211,221) 부분의 단면구조를 확대하여 나탄낸 도면이다.
제1 실시예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관체(401)는 외측벽(210)에 나사결합되어 내측벽(220)을 향해 삽입된다. 즉 제2 관체(401)는 내측벽(22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11,221)에 나사결합됨으로써, 나사결합에 따른 회전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관체(401)를 회전시켜 제2 관체(401)가 내측벽(220)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2 관체(401)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 관체(40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패널의 두께가 상이한 다른 시약장(201)의 경우에도 제2 관체(401)가 내측벽(220)에 접촉하도록 제2 관체(40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관체(301)는 일단이 본체(10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관체(401)의 일단에 나사결합된다. 제2 관체(401)의 타단에는 내측벽(220)과 접촉하여 제2 관체(401)와 내측벽(2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S)가 장착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관체(301)의 지름은 제2 관체(401)의 지름보다 작다.
제2 실시예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관체(301)는 일단이 본체(101)와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벽(210)에 부착되어 외측벽(2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11)를 덮는다. 그리고 제2 관체(401)는 일단이 제1 관체(301)로 삽입되고, 제1 관체(301)로부터 인출되어 타단이 내측벽(220)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관체(301)의 타단에는 제1 플랜지부(311)가 형성되고, 제1 플랜지부(311)에는 제1 플랜지부(311)를 외측벽(210)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자석(312)이 장착된다. 그리고 제1 플랜지부(311)에는 외측벽(210)과 접촉하여 제1 관체(301)와 외측벽(2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S)가 장착된다.
제1 관체(301)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관체(401)의 일단에는 걸림부(411)가 형성된다. 제2 관체(401)는 걸림부(411)가 제1 플랜지부(311)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 관체(301)와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관체(401)의 타단에는 제2 플랜지부(412)가 형성된다. 제2 플랜지부(412)는 제2 관체(401)의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제2 플랜지부(412)에는 제2 플랜지부(412)를 내측벽(220)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2 자석(413)이 장착된다. 또한, 제2 플랜지부(412)에는 제2 관체(401)와 내측벽(2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S)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2 관체(401)를 외측벽(2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11)로 삽입하면, 내측벽(220)에 부착되려는 제2 자석(413)의 자력에 의해 제2 관체(401)가 제1 관체(301)로부터 인출되어 내측벽(220)에 밀착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관체(301)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 제3 실시예는 제1 관체(301)의 내측에 지지부(313)가 추가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관체(401)는 제1 관체(301)로 삽입되는 일단에 걸림부(4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313)와 걸림부(411) 사이에는 제2 관체(401)를 밀어내는 탄성체(414)가 배치된다. 제3 실시예에서 탄성체(414)는 코일스프링이다. 제2 관체(401)의 타단에는 제2 관체(401)와 내측벽(2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S)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제2 관체(401)를 외측벽(2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11)로 삽입한 후 제1 자석(312)의 자력에 의해 제1 플랜지부(311)가 외측벽(210)에 부착되면, 탄성체(414)가 압축되면서 제2 관체(401)를 가압하여 제2 관체(401)가 내측벽(220)에 접촉한 상태로 밀착되도록 한다.
제4 실시예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관체(301)는 일단이 본체(101)와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벽(210)에 부착되어 외측벽(2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11)를 덮는다. 그리고 제2 관체(401)는 일단이 제1 관체(301)로 삽입되고, 제1 관체(301)로부터 인출되어 타단이 내측벽(220)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관체(301)의 타단에는 제1 플랜지부(311)가 형성되고, 제1 플랜지부(311)에는 제1 플랜지부(311)를 외측벽(210)에 부착시키기 위한 제1 자석(312)이 장착된다. 그리고 제1 플랜지부(311)에는 외측벽(210)과 접촉하여 제1 관체(301)와 외측벽(2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S)가 장착된다.
제2 관체(401)는 제1 관체(301)로 삽입되는 일단에 걸림부(411)가 형성되고, 걸림부(411)에는 제2 자석(413)이 장착된다. 제2 관체(401)의 타단에는 제2 관체(401)와 내측벽(22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재(S)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1 자석(312)과 제2 자석(413)은 서로 마주하는 면의 극성이 다르다. 따라서 제1 자석(312)과 제2 자석(413)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고, 제2 관체(401)는 제1 관체(301)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관체(401)를 외측벽(2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11)로 삽입한 후 제1 자석(312)의 자력에 의해 제1 플랜지부(311)가 외측벽(210)에 부착되면, 제1 자석(312)과 제2 자석(413)의 인력에 의해 제2 관체(401)가 내측벽(220)에 접촉한 상태로 밀착된다.
제5 실시예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관체(301)는 일단이 본체(101)와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벽(210)에 부착되어 외측벽(210)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211)를 덮는다. 그리고 제2 관체(401)는 브라켓(500)에 일체로 형성되고, 브라켓(500)과 제1 관체(301)가 결합한다. 즉 제1 관체(301)와 제2 관체(401)는 브라켓(500)에 의해 결합된다.
브라켓(500)의 상단에는 제1 관체(301)가 삽입되는 삽입홈(501)이 형성되고, 제1 관체(301)는 삽입홈(501)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제1 관체(301)는 시약장에 형성되는 배출구(211)의 위치에 맞춰 절단하여 브라켓(5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시약장의 외측벽(210)에 부착되는 브라켓(500)의 일면에는 복수의 제1 자석(312)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500)은 제1 자석(312)의 자력에 의해 시약장의 외측벽(210)에 부착된다. 이때, 제2 관체(401)는 외측벽(210)에 형성된 배출구(211)로 삽입되어 내측벽(220)에 밀착된다. 제2 관체(401)는 시약장의 패널 두께에 맞춰 절단하여 내측벽(22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1 : 본체,
102 : 흡기관,
103 : 배기관,
201 : 시약장,
210 : 외측벽,
211 : 외측벽 배출구,
212 : 외측벽 유입구,
220 : 내측벽,
221 : 내측벽 배출구,
222 : 내측벽 유입구,
301 : 제1 관체,
311 : 제1 플랜지부,
312 : 제1 자석,
313 : 지지부,
401 : 제2 관체,
411 : 걸림부,
412 : 제2 플랜지부,
413 : 제2 자석,
414 : 탄성체,
500 : 브라켓,
501 : 삽입홈,

Claims (8)

  1.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정화시키는 본체와, 시약장 내부의 공기가 상기 본체로 전달되도록 시약장의 배출구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흡기관과, 정화된 공기가 시약장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본체와 시약장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약장은 외측벽과 내측벽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패널로 제작되고,
    상기 흡기관 또는 배기관은 서로 결합하는 제1 관체와 제2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관체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관체와 결합하며, 상기 제2 관체는 상기 외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관체는 일단이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시약장의 외측벽에 부착되어 상기 배출구를 덮으며;
    상기 제2 관체는 일단이 상기 제1 관체로 삽입되며, 상기 제1 관체로부터 인출되어 타단이 상기 시약장의 내측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관체의 타단에는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부를 상기 시약장의 외측벽에 부착시키는 제1 자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는 상기 외측벽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내측벽을 향해 삽입되고, 상기 제1 관체는 상기 제2 관체에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의 타단에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에는 상기 제2 플랜지부를 상기 시약장의 내측벽에 부착시키는 제2 자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체의 내측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체의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와 걸림부 사이에는 상기 제2 관체를 밀어내는 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체의 일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제2 자석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은 서로 마주하는 면의 극성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체와 제2 관체는 브라켓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시약장에 부착되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는 제1 자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20200092511A 2020-07-24 2020-07-24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237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11A KR102377479B1 (ko) 2020-07-24 2020-07-24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11A KR102377479B1 (ko) 2020-07-24 2020-07-24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217A KR20220013217A (ko) 2022-02-04
KR102377479B1 true KR102377479B1 (ko) 2022-03-23

Family

ID=8026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511A KR102377479B1 (ko) 2020-07-24 2020-07-24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47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53102B (zh) 2005-07-20 2010-12-29 奥普蒂姆斯服务有限公司 用于医院和实验室环境的墙壁内的垃圾容器及垃圾的清洁方法
KR101517696B1 (ko) * 2013-11-08 2015-05-04 홍성정 세면대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WO2018229884A1 (ja) * 2017-06-14 2018-12-20 株式会社芦田製作所 真空用継手およびこれを用いた真空利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0589A (ja) * 1994-04-26 1995-11-07 Sekisui Chem Co Ltd フランジ付き内面樹脂ライニング分岐管の製造方法
KR20170057801A (ko) 2015-10-23 2017-05-25 (주)스마트코리아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KR101720118B1 (ko) 2016-08-01 2017-03-2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시약장 상측에 유해가스 정화를 위해 이온클러스터와 하이브리드필터를 내장한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필터형 클린 시약장
KR20190087060A (ko) * 2018-01-16 2019-07-24 최성민 위험물질 보관함 유해가스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53102B (zh) 2005-07-20 2010-12-29 奥普蒂姆斯服务有限公司 用于医院和实验室环境的墙壁内的垃圾容器及垃圾的清洁方法
KR101517696B1 (ko) * 2013-11-08 2015-05-04 홍성정 세면대의 배수시 발생되는 소음방지수단
WO2018229884A1 (ja) * 2017-06-14 2018-12-20 株式会社芦田製作所 真空用継手およびこれを用いた真空利用装置
JP6730699B2 (ja) 2017-06-14 2020-07-29 株式会社芦田製作所 真空用継手およびこれを用いた真空利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217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2396B (zh) 一种双循环式新风系统和新风机
US20060260341A1 (en) Refrigerator with integrated air cleaner
ATE444011T1 (de) Filtereinheit für staubsauger
US20140179216A1 (en) Particle Containment Systems
US5259816A (en) Ventilating apparatus
US20050287945A1 (en) Ventilating system
KR100606269B1 (ko) 분리형 공기청정장치를 갖는 에어콘
KR102377479B1 (ko)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0867953B1 (ko) 공기조화기
JPS61202028A (ja) 除塵装置内蔵の壁部材
KR20190000367U (ko) 실외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공기정화기
KR102318416B1 (ko) 공기정화장치 창문설치방법
CN216894160U (zh) 一种洁净传递窗的进风结构
KR20200018061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지는 천장 설치 구조물
KR102200728B1 (ko) 흡기 및 배기 혼합 방지 기능을 갖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1939625B1 (ko)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JP6210690B2 (ja) 換気装置
CN113465042A (zh) 用于空调设备的过滤器组件
CN111750445A (zh) 新风机
CN100565022C (zh) 空调的室内单元
CN217287684U (zh) 一种方便拆装的风管式过滤装置
JP3160654U (ja) エアフィルタの取付構造
CN2411435Y (zh) 双向换气机
KR20030073187A (ko) 진공청소기 겸용 공기청정기
KR102273730B1 (ko) 창문결합형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