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25B1 -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 Google Patents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625B1
KR101939625B1 KR1020180056883A KR20180056883A KR101939625B1 KR 101939625 B1 KR101939625 B1 KR 101939625B1 KR 1020180056883 A KR1020180056883 A KR 1020180056883A KR 20180056883 A KR20180056883 A KR 20180056883A KR 101939625 B1 KR101939625 B1 KR 10193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fixed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나 filed Critical (주)유나
Priority to KR102018005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31Purification arrangements, e.g. solid phase extraction [S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8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enabling gas exchange, e.g.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0Means to control humidity and/or other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하며, 내부 내장된 필터의 교체를 이용하게 한 구조를 제안한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는 프레임(100), 바닥판(200), 브라켓(300), 측판(400), 전면패널(500), 도어(600), 정화배출부(700) 및 배플(80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A Fume Hood for assembling easily}
본 발명은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며, 내부 내장된 필터의 교체를 이용하게 한 구조를 제안한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
흄후드(Fume Hood)는 실험실 등에서 각종 유기용제, 분진류, 산, 알칼리류, 및 생물학적 위험물질 등을 취급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유해성분 등을 제거하기 위한 국소배기 수단이다.
흄후드는 후드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수직 개방형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를 모두 닫았을 때 보충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도어 상부에 바이패스형 그릴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후드 상부에는 상방형 배기 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균일한 배기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흄후드 내부에 배플이 설치되어 슬롯형태로 배기시키고 있다. 흄후드를 통해 흄과 같은 유해물질은 흡입된 다음 필터, 배기덕트 및 공기정화장치 등을 통하여 처리되고 있다.
흄후드는 정해진 내부공간에서 앞서 언급한 물질들을 취급함에 따른 유해성분의 배출이 원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해진 배출구가 아닌 곳으로 누설되지 않아야 하는 기밀성이 어느 정도 담보되어야 하겠다.
또한, 배기덕트로 배출되기 전에 배치된 필터가 교체 용이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2517호(명칭 : 실험실 흄후드) 2. 한국등록특허 제10-0623497호(명칭 :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본 발명은 흄후드의 단순하고 기밀성이 우수한 조립구조를 제안함과 동시에, 필터의 용이한 교체구조를 제안함으로써, 제조 과정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도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접하며,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네 개의 프레임들(100);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들(10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며, 실험을 하기 위한 실험기기가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된 바닥판(200); 상기 프레임들(1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양측면 및 배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바닥판(200)의 상측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판(400); 상기 프레임들(1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측판(400)에 의해 형성된 전면 중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전면패널(500); 상기 전면패널(5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하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600); 및 상기 배면을 차단하기 위한 측판(4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외부로의 배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배플(8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100)은 지면에 접하는 하부프레임(110a, 110b); 및 상기 하부프레임(110a, 110b)의 상측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20a, 120b);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10a, 110b) 및 상부프레임(120a, 120b)의 길이방향으로 홀(111a, 121a)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홀(111a, 121a)에 삽입되는 연결핀(130a)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200)은 상기 홀(111a, 121a)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천공홀(210)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연결핀(130a)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20a, 120b)의 하측 단부면과 상기 하부프레임(110a, 110b)의 상측 단부면이 면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1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122a)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브라켓(310); 및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측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20);을 포함하는 브라켓(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400)은 상기 홈(122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내측판(410) 및 내측판(410)과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20)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외측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60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양측단과 결합되는 하우징(610); 및 일측은 상기 하우징(610)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600)의 상부 단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엽스프링(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정화배출구(700)는 상기 도어(60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가이드하며, 상기 고정브라켓(320)의 일측과 결합되는 수집부(710); 상기 수집부(710)의 상측부에 고정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720); 및 상기 필터부(720)의 상측에 체결 고정되는 배출관(730); 을 포함하는 정화 배출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흄후드의 단순하고 기밀성이 우수한 조립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며,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도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의 프레임 및 바닥판 체결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 중 측판 결합 방법을 개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 중 측판 결합 방법을 개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의 전면측 결합 방법을 개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의 전면측 하우징 결합 방법을 개시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의 상부측 정화배출부의 결합 방법을 개시한 개념도
본 발명은 흄후드, 특히 조립성이 우수한 흄후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는 프레임(100), 바닥판(200), 브라켓(300), 측판(400), 전면패널(500), 도어(600), 정화배출부(700) 및 배플(800) 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상술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흄후드는 좌측, 우측 및 배면측이 플레이트(평판) 형상을 갖을 수 있다. 따라서 공통된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프레임(100)의 경우 동일한 형상과 모양을 갖는 프레임이 사각 모서리부를 이룬다. 어느 하나의 프레임(100)은 소정 길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일 수 있고, 바닥판(200)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분할된 두 개의 프레임(110a, 120a)일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프레임,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참고하여야 한다. 또한, 프레임의 경우 사각 모서리부에 4개가 배치된다. 해당 프레임마다 도면번호를 달리 부여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기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도면번호를 단순화하였음을 참고하여야 한다.
또한,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브라켓(300), 측판(400) 등도 마찬가지로 설명하고 있으므로 참고하여야 한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프레임(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00)은 압출 방식으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0)은 바닥부터 상측 정화배출부(700)까지 연속된 일정 길이를 갖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사용(미도시)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하부프레임(110a) 및 상부프레임(120a)으로 나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0a)와 상부프레임(120a)은 하나의 프레임(100)에서 절단되어 나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 단면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기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네 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3의 확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단면도를 참고하면, 다수개의 홈(122a) 및 홀(111a, 121a)이 구비된다. 홀(111a, 121a)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110a, 120a)의 단부면과 함께 바닥판(20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도 2을 참고하면, 연결핀(130a)은 홀(111a, 121a)에 양 단부가 삽입되며, 상부 및 하부프레임(110a, 120a)과 함께 바닥판(200)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핀(130a)은 홀(111a, 121a)에 삽입되는 삽입부(131a) 및 하부프레임(110a)의 상측단부와 바닥판(200)의 하측단부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132a)가 구비된다. 걸림부(132a)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바닥판(200)의 천공홀(210)과 함께 안착홈(220)이 형성된다.
한편, 도 1 및 2를 참고하면, 흄후드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프레임(100)의 일측에 콘센트(140)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바닥판(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200)은 하부프레임(110a)의 상측에 놓이며, 연결핀(130a)이 개재되면서 고정된다. 바닥판(200)의 상측에는 다양한 실험기기 등이 놓일 수 있다.
도 1 및 3을 참고하여, 측판(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측판(400)은 내측판(410)과 외측판(4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122a)과 측판(400)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홈(122a)은 제1홈, 제2홈 및 제3홈(122a1, 122a2, 122a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22a1)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내측판(4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내측판(410)의 상단부측에 대응되는 높이 측에 지지브라켓(310)이 상부프레임(120a)의 제2홈(122a2)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지지브라켓(310)은 내측판(410)의 상단부측에 대응되는 높이 측이라면 상부프레임(120a)의 어느 곳이라도 무방하다.
도 3을 참고하면, 지지브라켓(320)에는 고정브라켓(320)이 체결 고정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310)은 'L'자형 브라켓일 수 있다. 일측면은 상부프레임(120a) 측 제2홈(122a2)에 체결된다. 타측면은 후술되는 고정브라켓(320)과 체결된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고정브라켓(320)은 지지브라켓(310) 등과 결합되는 결합부(323)를 중심으로 양측에 돌출부(321) 및 절곡부(322)를 포함한다. 돌출부(321)는 후술하는 외측판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부(421)와 결합되어 외측판(42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절곡부(322)는 내측판(410)의 상측단부측에 걸린다. 고정브라켓(320)의 형상은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된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외측판(420)은 이의 내면측에 설치된 걸림부(421)에 의하여 결합부(323)측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내측판(410) 및 외측판(420)를 포함하는 측판(400)의 설치방식은 흄후드의 좌우측면뿐만 아니라 배면까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 결합이 가능하다. 추후 설명하겠지만, 결합부(323)에는 정화배출부(700)도 결합될 수 있다.
도 5, 6을 참고하여, 흄후드의 전면부 결합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6과 같은 대략 '디긋'자형의 하우징(610)을 전면측 양쪽 프레임(100)의 상단부측에 결합한다.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상부프레임(120a)에 구비된 제2홈(122a2)의 상단부측에 지지브라켓(310)을 결합한다. 지지브라켓(310)의 형상에 의하여 돌출된 부분에 하우징(610)을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임(100)의 상단부측에 하우징(610)을 체결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10)의 내측부분에 테엽스프링(620)의 몸체(621) 부분을 결합한다. 도 5에는 테엽스프링이 총 8개가 결합된 것을 개시하였다. 테엽스프링(620)의 결합부(622)는 도어(600)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이로써, 흄후드의 전면부 측 도어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500)의 상단부를 하우징(610)의 상단부와 결합시킨다. 전면패널(500)은 다수개의 통공(51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510)은 흄후드의 작동과정에서 도어(600)를 닫았을 때 발생되는 음압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정화배출부(700)는 수집부(710), 필터부(720) 및 배출관(7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710)는 흄후드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흄과 같은 유해가스의 포집을 위하여 상측으로 갈 수록 단면적인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수집부(710)는 단부측에 절곡된 체결부(711)를 갖는다. 체결부(7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320)과 결합된다. 고정브라켓(320)의 결합부(323)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고하면, 수집부(710)의 상측부에 필터부(720)가 구비된다. 필터부(7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어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교체시, 도어(600)를 닫은 상태에서, 전면패널(500)를 분리시킨다. 분리된 전면패널 내부에 필터부(720)가 직접 노출되므로써 아주 쉬운 필터의 교체가 이루어진다. 필터의 상측부에 정화된 가스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관(730)이 구비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배면측 측판(400) 내측에는 난류 방지 및 정화배출부(700)에서 낙하될 수 있는 분진의 분리를 위하여 배플(800)이 구비된다. 배플은 적어도 하나의 판이 여러겹 구비될 수 있다.
100 : 프레임 200 : 바닥판
300 : 브라켓 400 : 측판
500 : 전면패널 600 : 도어
700 : 정화배출부 800 : 배플

Claims (5)

  1. 지면에 접하며,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네 개의 프레임들(100);
    상기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들(10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며, 실험을 하기 위한 실험기기가 놓여질 수 있도록 구비된 바닥판(200)
    상기 프레임들(1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양측면 및 배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바닥판(200)의 상측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측판(400);
    상기 프레임들(100)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측판(400)에 의해 형성된 전면 중 일부를 차단하기 위한 전면패널(500);
    상기 전면패널(5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하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600); 및
    상기 배면을 차단하기 위한 측판(4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기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외부로의 배출을 가이드하기 위한 배플(8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0)은 지면에 접하는 하부프레임(110a, 110b); 및 상기 하부프레임(110a, 110b)의 상측부에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20a, 120b);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10a, 110b) 및 상부프레임(120a, 120b)의 길이방향으로 홀(111a, 121a)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홀(111a, 121a)에 삽입되는 연결핀(130a)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200)은 상기 홀(111a, 121a)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천공홀(210)이 천공되어 있어, 상기 연결핀(130a)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20a, 120b)의 하측 단부면과 상기 하부프레임(110a, 110b)의 상측 단부면이 면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122a)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브라켓(310); 및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측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20);을 포함하는 브라켓(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판(400)은 상기 홈(122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내측판(410) 및 내측판(410)과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320)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외측판(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60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양측단과 결합되는 하우징(610); 및
    일측은 상기 하우징(610)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도어(600)의 상부 단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엽스프링(6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600)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가이드하며, 상기 고정브라켓(320)의 일측과 결합되는 수집부(710);
    상기 수집부(710)의 상측부에 고정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부(720); 및
    상기 필터부(720)의 상측에 체결 고정되는 배출관(730); 을 포함하는 정화 배출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KR1020180056883A 2018-05-18 2018-05-18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KR101939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83A KR101939625B1 (ko) 2018-05-18 2018-05-18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883A KR101939625B1 (ko) 2018-05-18 2018-05-18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625B1 true KR101939625B1 (ko) 2019-01-18

Family

ID=6532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883A KR101939625B1 (ko) 2018-05-18 2018-05-18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8103A (zh) * 2019-12-06 2020-02-14 青岛中科汉维实验室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四面开门的通风罩用边侧支撑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873A (ja) * 1995-12-28 1997-07-08 Itoki Crebio Corp ドラフトチャンバー
JP2002219368A (ja) * 2001-01-30 2002-08-06 Okamura Corp ヒュームフード
EP1616502A1 (en) * 2004-07-12 2006-01-18 Wilhelmus Martinus Franciscus Loos An assembly of at least four mutually connectable substantially plate-shaped bodies
KR100623497B1 (ko) 2005-03-17 2006-09-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KR100947478B1 (ko) * 2009-09-02 2010-03-1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흄 후드의 외부공기 유입 구조
KR20120084382A (ko) * 2011-01-20 2012-07-30 삼인싸이언스(주) 실험용 흄후드
KR20170012517A (ko) 2017-01-19 2017-02-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873A (ja) * 1995-12-28 1997-07-08 Itoki Crebio Corp ドラフトチャンバー
JP2002219368A (ja) * 2001-01-30 2002-08-06 Okamura Corp ヒュームフード
EP1616502A1 (en) * 2004-07-12 2006-01-18 Wilhelmus Martinus Franciscus Loos An assembly of at least four mutually connectable substantially plate-shaped bodies
KR100623497B1 (ko) 2005-03-17 2006-09-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KR100947478B1 (ko) * 2009-09-02 2010-03-1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흄 후드의 외부공기 유입 구조
KR20120084382A (ko) * 2011-01-20 2012-07-30 삼인싸이언스(주) 실험용 흄후드
KR20170012517A (ko) 2017-01-19 2017-02-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8103A (zh) * 2019-12-06 2020-02-14 青岛中科汉维实验室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四面开门的通风罩用边侧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1038C (en) Improved vacuum cleaner
JP4384225B2 (ja) 障子用換気装置
KR102162638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US7048625B2 (en) Clean bench for cleaning atmosphere of partitioned space
KR101939625B1 (ko)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US6004367A (en) Front access cover for air purifier
KR101926378B1 (ko) 양흡입 구조의 공기청정기
KR102656775B1 (ko) 창호형 환기장치
KR101491968B1 (ko) 소음 저감 구조의 산업용 진공청소기
KR101783547B1 (ko)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
KR102524670B1 (ko)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KR20080026466A (ko) 공기청정기
US20230184635A1 (en) Air purifier
KR20190000367U (ko) 실외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공기정화기
JP2009300019A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190109040A (ko) 창문형 공기 청정기
WO2015166947A1 (ja) 排気装置
CN218359297U (zh) 立式生物安全柜
KR102149319B1 (ko) 그리스 필터
JP4087170B2 (ja) 空気清浄装置
CN216501411U (zh) 一种防毒通风柜
KR102248311B1 (ko) 렌지 후드 조립체
KR102393582B1 (ko) 미세먼지 제거효율이 향상된 열교환 환기장치
KR102541475B1 (ko) 전열교환기
RU2775296C1 (ru) Приточная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и узел забора воздуха для не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