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497B1 -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497B1
KR100623497B1 KR1020050022212A KR20050022212A KR100623497B1 KR 100623497 B1 KR100623497 B1 KR 100623497B1 KR 1020050022212 A KR1020050022212 A KR 1020050022212A KR 20050022212 A KR20050022212 A KR 20050022212A KR 100623497 B1 KR100623497 B1 KR 100623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ir
closing
dust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설
임경수
박영옥
이시훈
박석주
정순관
김상도
최호경
임정환
임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2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로 국소배기시스템에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을 적용하여, 국소배기시스템의 이동없이 효율적으로 용해 및 출탕시에 발생되는 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며, 또한 적은 유량으로 분진 포집효과를 극대화하고, 출탕시에도 출탕전과 똑같은 조건하에서 후드를 사용하며, 다양한 작업조건하에서도 높은 분진 포착효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호이스트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입자상 또는 가스상 오염물질의 효과적인 흡입 및 제거를 위해 캐노피형 후드를 사용하는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 발생 오염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용해로 주위에 차폐막을 형성하는 차폐막 형성용 이동문과; 용해로에서 발생된 상승기류의 오염물질이 후드내로 유입되도록 용해로 한쪽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 유도류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공기분사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주물공장, 국소배기장치, 공기분사 노즐, 차폐막 형성용 이동 문, 국소배기용 후드, 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

Description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Ventilation System with Sliding Doors and Induced Air Flow}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유도류 및 이동형 차폐문을 구비한 용해로 발생오염물질 국소배기장치 구성도,.
도 2는 용해로 출탕시 국소배기장치의 측면도,
도 3는 용해로 용해 및 출탕시 국소배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용해로 용해 및 출탕시 호이스트 출입 통로를 닫았을 때의 자동 개폐문의 위치도,
도 5은 쇳물 용기 이동시 후드내의 호이스트 출입 측면도,
도 6은 쇳물 용기 이동시 후드내의 호이스트 출입 정면도,
도 7은 후드내로 호이스트 출입시 열린 상태의 자동 개폐문 위치도,
도 8은 상부와 하부문이 통합된 호이스트 출입문 자동 개폐시스템에서 출입문이 닫힌 상태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도 9는 상부와 하부문이 통합된 호이스트 출입문 자동 개폐시스템에서 출입문이 열린 상태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분사 노즐 (2) : 차폐막 형성용 이동 문
(3) : 국소배기용 후드 (4) : 국소배기용 덕트
(5) : 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 (6) : 흡입 송풍기
(7) : 급기 송풍기 (8) : 분사된 공기유도류
(9) : 발생 오염물질 (10) : 용해로 등의 오염 발생원
(11) : 쇳물 용기
(12) : 호이스트 출입로 상부 개폐문
(13) : 호이스트 출입로 자동 개폐문 제어장치
(14) : 호이스트 출입로 하부 개폐문
(15) : 통합형 호이스트 출입로 자동 개폐시스템의 상하부 개폐문 연결축
(16) : 통합형 호이스트 출입로 자동 개폐시스템의 완전 개방형 하부 개폐문
(17) : 호이스트
(18) : 호이스트 줄
본 발명은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해로 등과 같이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을 발생하는 오염원 주위에 이동 문을 이용하여 차폐막을 형성하고 공기분사 노즐을 통해 공기 유도류를 형성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후드를 통하여 흡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용해로 출탕시에도 후드의 이동없이 발생 오염물질을 포집할 뿐만 아니라 쇳물 용기 이동시 후드내 로 호이스트의 출입이 자유롭게 자동 개폐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관한 것이다.
주물산업은 국내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반산업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동시에 대표적인 직무기피산업으로 알려져 있다. 직무기피의 주요인은 주조의 전 공정에서 배출되는 각 종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작업환경의 열악성이다. 그 예로 용해로에서는 미세분진과 각 종 금속흄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며, 용탕 주입시와 주조시에도 금속흄이 발생한다. 용해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입경이 매우 작은 금속 흄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매우 크다.
현재 국내 주물업체의 환경설비는 성능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다. 특히, 용해로 등과 같이 고온에서 발생되는 분진 처리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존의 설비 중 흡입성능이 우수한 덮개형 후드는 사용하는 전기유도로의 형식과 고철의 형태 및 장입 방법에 따라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설치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 유량이 매우 크며, 또한 분진발생이 최대가 되는 구상화제 등의 투입, 슬래그 제거, 출탕 등의 작업조건을 반영할 수 없다는 기술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단순 상부 흡입식 캐노피 후드를 이용한 기존의 용해로 국소배기시스템은많은 배기량에 비해 실제 분진제어 효과가 극히 낮았으며, 원료의 잦은 장입으로 인해 후드의 이동이 빈번하여 분진배출이 극대화되는 작업조건에서는 기능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용해로 출탕시에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포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쇳물 용기 이동시에도 호이스트의 이동이 후드의 위치로 인해 많은 제약을 받아 이로 인해 실질적인 작업환경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분야의 종래 선행기술을 찾아보면 “전기로의 분진 포집방법 (특1987-0011416/1987. 10. 14(출원))”이 있는데, 이 기술은 상부 덮개형태로 전기로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게 하여 발생되는 분진 및 흄을 에어커튼으로 모아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연속적인 용탕 작업시 상부 덮개를 개폐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기술로는 “전로용 집진 후드(10-2001-0083428/ 2001. 12. 22(출원))”가 있는데, 이 기술은 주 후드부와 높이가 다른 보조 후드부로 나누어져 주 후드부에서 포집하지 못하는 분진을 보조 후드부에서 포집하도록 한 장치로, 전로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항상 일정한 상승 속도를 가져야 포집효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기술로는 “전기로용 집진후드(20-0357387/2004. 7. 16(등록))”이 있는데, 이 기술은 기존의 고정배출 덕트를 분리시켜 베어링으로 회전이 가능한 관절형 덕트구조를 하고 유압실린더로 관절을 제어하고 있으나 작업공정별로 후드의 각도 및 위치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추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이 있 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로 국소배기시스템에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을 적용하여, 국소배기시스템의 이동없이 효율적으로 용해 및 출탕시에 발생되는 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고자 적은 유량으로 분진 포집효과를 극대화하고, 출탕시에도 출탕전과 똑같은 조건하에서 후드를 사용하며, 다양한 작업조건하에서도 높은 분진 포착효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호이스트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용해로 등과 같이 오염물질 발생원에서 발생된 분진 및 유해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용해로 주위에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해 후드에 구비된 이동형 차폐 시스템, 용해로 등의 오염원에서 발생된 분진 및 유해가스를 후드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공기분사 시스템, 흡입된 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시스템, 쇳물 용기의 이동을 위한 호이스트 출입로의 자동 개폐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배기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해로 등의 오염물질 발생원 주위에서 일정 크기를 가진 분사노즐을 통하여 공기가 분사되어 공기유도류를 형성한다.
용해로 등의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분진 및 유해가스는 공기유도류에 의해서 후드가 설치되지 않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분사 공기와 함께 후드를 통하여 흡입된다.
분사노즐이 설치되지 않는 용해로 주위를 이동형 문으로 차폐막을 형성하여 분사 공기와 오염물질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한다.
흡입된 분진 및 유해가스는 분사된 공기와 함께 덕트를 통해 제거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용해로에서 출탕되어 쇳물이 담아진 쇳물용기를 이동할 때는 호이스트 이동 통로에 자동 개폐장치를 설치하여 호이스트가 후드의 내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유도류 분사노즐 및 이동 차폐문을 구비한 국소배기장치 구성도이다.
도 1에서처럼 본 발명의 국소배기장치는 용해로 등의 오염물질 발생원(10) 주위의 한 방향에서 후드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1)과; 차폐막을 형성하는 차폐막 형성용 이동 문(2)을 구비한 후드(3)와; 흡입가스의 이송을 위해 후드 상부에 형성된 덕트(4)와;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5)와; 쇳물용기 이동을 위해 차폐막 형성용 이동 문(2)을 구비한 후드(3)장치에 설치된 자동 개폐장치(12, 13, 14)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 분사노즐(1)을 통하여 급기 송풍기(7)에 의해서 공급된 일정 유속의 공기가 분사각도의 조절에 의해 후드 방향의 공기유도류(8)를 형성하게 된다.
용해로 등의 오염물질 발생원(10)에서 발생된 분진 및 유해가스(9)를 포함한 상향 기류는 분사된 공기유도류에 의해 국소 배기용 후드(3)의 흡입기류와 만나게 되어 덕트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후드의 양쪽에 있는 이동식 차폐문은 용해로 주위에 차폐막을 형성하여 용해로에서 발생된 모든 분진 및 유해가스(9)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분사 기류와 함께 후드(3)로 흡입되도록 한다.
공기 유도류(8) 및 차폐막(2)에 의해서 후드(3)로 유도된 분진 및 유해가스(9)는 흡입 송풍기(6)에 의해 분사 기체와 함께 덕트(4)를 따라 이동하여 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5)에서 제거된다.
도 2는 용해로 출탕시 용해로 국소배기 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후드(3)가 용해로 출탕 높이보다 높게 설치 되어 있고 쇳물용기(11) 위에 위치해 있어서 출탕시 구상화제 폭발로 발생되는 많은 분진 및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흡입 및 포집할 수 있다.
출탕시에는 후드 양옆에 구비된 이동식 문(2)은 차폐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쇳물용기(11) 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3은 용해로 용해 및 출탕시 국소배기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용해 및 출탕시에는 쇳물용기(11)가 후드내에 고정되어 있어 이동의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호이스트(17) 출입로가 닫혀진 상태이다.
도 4는 앞에서 언급한 용해 및 출탕시 호이스트(17) 출입 통로의 닫힌 상태에서 자동 이동식 개폐문의 위치도로서, 호이스트(17) 출입 통로에 모두 자동 개폐문(12, 14)이 설치되어 있어 후드 흡입 능력을 높게 함으로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5는 쇳물용기 이동시 후드내로 호이스트(17)가 출입할 때의 측면도로서, 후드의 양 쪽 이동식 차폐문(2) 및 공기의 분사 노즐은 용해시와 같은 위치에 있으며, 호이스트 통로의 자동 개폐문(12, 14)만 열린상태이다.
도 6은 쇳물용기 이동시 후드내로 호이스트(17)가 출입할 때의 정면도로서,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린 쇳물 용기는 호이스트(17)에 의해 후드 안에서 외부로 이동 하게 되며, 호이스트 줄(18)과 후드의 간섭이 거의 없이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도 7은 후드내의 호이스트(17) 출입시 열린상태의 자동 개폐문(12, 14) 위치도로서, 호이스트(17)가 쇳물용기의 이동을 위하여 후드 내부로 이동할 때는 상부 개폐장치(13) 및 하부 개폐장치(13)를 작동하여 동시에 열린상태를 유지한다. 쇳물용기(11)를 들어 올려 후드 외부로 호이스트(17)가 이동하면 열린 자동 개폐문(12, 14)은 다시 닫히도록 한다.
도 8은 상부와 하부 개폐문이 통합된 자동 개폐문의 닫힌 상태에서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로서, 상부의 개폐문(12)과 하부의 개폐문(16)이 연결축(15)에 의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장치(13)에 의해서 상부 개폐문(12)이 열리고 닫힘에 따라 연결축(15)을 따라 힘이 전달되어 하부의 개폐문(16)도 동시에 열리고 닫히게 된다.
도 9는 상부와 하부 개폐문이 통합된 자동 개폐문의 열린상태에서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로서, 상부 개폐문(12)이 열리게 되면 연결축(15)에 의해 하부 개폐문(16)이 90도 이상 열리게 된다. 이 상부와 하부 개폐문이 통합되어 열리게 되면 자동 개폐를 위한 동력원이 하나만 필요하게 되며 하부 후드의 한쪽면이 완전히 열리게 되어 쇳물 용기의 출입이 보다 쉬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용해로 등의 발생 분진 및 유해가스의 후드 흡입이 100%에 가깝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작업장 내부로 확산될 수 없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분진 발생이 최대가 되는 쇳물 출탕시의 구상화제 장입 순간에 폭발적으로 발생되는 고농도 금속 흄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는 국소배기시스템으로 인해 본 발명의 적용시 기존에 비해 용해로 주변의 작업환경이 대폭 향상된다는 장점과,
또한 본 발명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기능과 높은 성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기타 산업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국소배기시스템으로 국내 용해로 주물업체 뿐만 아니라, 기타 주조업 및 유해물질 처리 공정 즉, 전기로 사용 국내 주물업체, 전기아크로, 반사로 등 기타 용해로 적용 주조업체, 휘발성 유기물 등 유해물질 발생 공정, 분말 이송 및 포장 공정 등의 국소배기장치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이다.

Claims (9)

  1. 입자상 또는 가스상 오염물질의 효과적인 흡입 및 제거를 위해 캐노피형 후드를 사용하는 국소배기장치에 있어서,
    발생 오염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용해로 주위에 차폐막을 형성하는 차폐막 형성용 이동문과; 용해로에서 발생된 상승기류의 오염물질이 후드내로 유입되도록 용해로 한쪽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 유도류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공기분사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로 출탕조건에서 후드의 위치변동이 없이 오염물질을 흡입 및 포집하는 차폐막 형성용 이동문 상부에 형성된 후드 및 이 후드 상부에 형성된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내외부로 쇳물용기의 이동시 호이스트 출입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후드 호이스트 출입로의 상부와 하부에 자동 개폐문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
  4. 제 3항에 있어서,
    후드 내외부로 쇳물용기의 이동시 호이스트 출입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후드 호이스트 출입로의 상부 및 완전 개방형의 하부 개폐문을 기계적으로 연결하여 상부 개폐문의 작동시 하부 개폐문도 동시에 작동되는 통합된 자동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
  5. 오염물질 발생원에서 발생된 분진 및 유해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용해로 주위에 차폐막을 형성하기 위해 후드에 구비된 이동형 차폐부와와; 용해로 등의 오염원에서 발생된 분진 및 유해가스를 후드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공기분사부와; 흡입된 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분진 및 유해가스제거부와; 쇳물 용기의 이동을 위한 호이스트 출입로의 자동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배기장치.
  6. 용해로 등의 오염물질 발생원(10) 주위의 한 방향에서 후드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1)과; 차폐막을 형성하는 차폐막 형성용 이동 문(2)을 양쪽에 구비 한 후드(3)와; 흡입가스의 이송을 위해 후드 상부에 형성된 덕트(4)와;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분진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5)와; 쇳물용기 이동을 위해 차폐막 형성용 이동 문(2)을 구비한 후드(3)장치에 설치된 자동 개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배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차폐막 형성용 이동 문(2)을 양쪽에 구비한 후드(3)상에 형성된 호이스트 출입로 상부 개폐문(12)과; 그 하부에 형성된 호이스트 출입로 하부 개폐문(14)이 각각 형성되고, 이들을 연동하여 개폐하는 호이스트 출입로 자동 개폐문 제어장치(1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배기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개폐장치는 호이스트 출입로 상부 개폐문(12)이 통합형 호이스트 출입로 자동 개폐시스템의 상하부 개폐문 연결축(15)에 의해 통합되어 열리는 통합형 호이스트 출입로 자동 개폐시스템의 완전 개방형 하부 개폐문(16)으로 구성되어 자동 개폐를 위한 동력원이 하나만 필요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배기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노즐(1)은 급기 송풍기(7)에 의해서 공기가 공급되고, 분진 및 유해가스는 흡입 송풍기(6)에 의해 분사 기체와 함께 덕트(4)를 따라 이동하여 분진 및 유해가스 제거장치(5)에서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배기장치.
KR1020050022212A 2005-03-17 2005-03-17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KR100623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212A KR100623497B1 (ko) 2005-03-17 2005-03-17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212A KR100623497B1 (ko) 2005-03-17 2005-03-17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497B1 true KR100623497B1 (ko) 2006-09-14

Family

ID=3763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212A KR100623497B1 (ko) 2005-03-17 2005-03-17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49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87B1 (ko) 2006-04-26 2007-04-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 개폐문으로 구성된 국소배기장치
KR100997406B1 (ko) * 2010-07-07 2010-11-30 이옥자 용해로 배출물질 포집장치
KR101219382B1 (ko) 2010-11-24 2013-0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호이스트 이동로가 구비된 천정흡입 방식 국소배기후드를 이용한 환기장치
KR20160083611A (ko) 2014-12-31 2016-07-1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KR20170012517A (ko) 2017-01-19 2017-02-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KR101939625B1 (ko) 2018-05-18 2019-01-18 (주)유나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87B1 (ko) 2006-04-26 2007-04-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 개폐문으로 구성된 국소배기장치
KR100997406B1 (ko) * 2010-07-07 2010-11-30 이옥자 용해로 배출물질 포집장치
KR101219382B1 (ko) 2010-11-24 2013-0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호이스트 이동로가 구비된 천정흡입 방식 국소배기후드를 이용한 환기장치
KR20160083611A (ko) 2014-12-31 2016-07-1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KR20170012517A (ko) 2017-01-19 2017-02-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실험실 흄후드
KR101939625B1 (ko) 2018-05-18 2019-01-18 (주)유나 조립이 용이한 흄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497B1 (ko)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CN106955887A (zh) 一种移动式全包围钢包热修除尘罩装置
KR102072184B1 (ko) 연기 및/또는 먼지 및/또는 가스 혼합물의 흡인 및 처리를 위한 이동식 플랜트
EP0576977B1 (de) Verfahren zur Kühlung und Reinigung von heissen staubbeladenen und Dioxine und andere Toxine enthaltenden Rauchgasen
KR101193992B1 (ko) 금속 용해공정 오염물질 제어용 배기시스템 및 배기방법
KR100704187B1 (ko) 자동 개폐문으로 구성된 국소배기장치
CN101221015B (zh) 电弧炉烟尘综合处理工艺和烟尘捕集装置及组合除尘器
CN206731763U (zh) 一种移动式全包围钢包热修除尘罩装置
JPS637837Y2 (ko)
CN209439433U (zh) 钢包热修系统
CN211637676U (zh) 一种钢包热修收尘装置
CN212362872U (zh) 一种量子电炉烟气除尘系统
DE202012001953U1 (de) Absaugsystem und Kranvorrichtung
DE3903444C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liquid metal from a metallurgical furnace to a casting vessel
GB1377863A (en) Dust and fume extraction
CN206232770U (zh) 一种转炉铁水包除尘装置
KR101456782B1 (ko)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JP3534671B2 (ja) 溶融炉の出滓口開口装置
CN216838044U (zh) 一种除尘装置
CN214327779U (zh) 一种铁水罐车脱硫扒渣站烟气捕集罩
CN217041790U (zh) 一种在线探伤漆雾喷涂装置的除尘系统
KR200265549Y1 (ko) 유도 덕트형 캐노피 후드
CN211152565U (zh) 一种具备导流除尘功能的电气柜
CN2633895Y (zh) 高炉摆动流槽烟气捕集罩
JP2005272500A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装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