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782B1 -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782B1 KR101456782B1 KR1020130046592A KR20130046592A KR101456782B1 KR 101456782 B1 KR101456782 B1 KR 101456782B1 KR 1020130046592 A KR1020130046592 A KR 1020130046592A KR 20130046592 A KR20130046592 A KR 20130046592A KR 101456782 B1 KR101456782 B1 KR 1014567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ust collecting
- dust
- collecting hood
- ho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100/00—Exhaust gas
- C21C2100/02—Treatment of the exhaus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철스크랩(steel scrap)을 수거해 재활용하고자 용해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기 위한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로 상측에 배출닥터가 연결된 집진후드를 설치하여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여 외부로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본체는 분진을 배출하는 통로의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하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는 스크랩(scrap)이 전기로에의 투입이 상하 자유자재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후드의 본체 내주벽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되도록 공기분사장치를 구성하여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금속흄, 분진 등의 유해물질을 포집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장의 환경이 개선되어 작업능률향상으로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철스크랩(steel scrap)을 수거해 재활용하고자 용해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기 위한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로 상측에 배출닥터가 연결된 집진후드를 설치하여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여 외부로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본체는 분진을 배출하는 통로의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하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는 스크랩(scrap)이 전기로에의 투입이 상하 자유자재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후드의 본체 내주벽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되도록 공기분사장치를 구성하여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장의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제작하는 등의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철판을 프레스의 성형틀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과정에 스크랩(scrap)이 발생하고, 고가의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자 조각을 수거하여 약 600㎏∼1,000㎏ 정도의 중량을 갖는 덩어리로 압축한 후 전기로 등을 이용하여 용해하여 재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크랩을 용해하는 주물산업은 국내 산업의 근간을 이루는 기반산업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동시에 대표적인 직무기피산업으로 알려져 있다. 직무기피의 주요인은 주조의 전 공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작업환경의 열악성이다. 그 예로 용해로에서는 미세분진과 각종 금속흄이 발생하여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며, 용탕 주입시와 주조시에도 금속흄이 발생하고, 용해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입경이 매우 작은 금속 흄이 상당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매우 크다.
현재 국내 주물업체의 환경설비는 성능면에서 많은 문제점 등이 노출되고 있다. 특히, 용해로 등과 같이 고온에서 발생하는 분진 처리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존의 설비 중 흡입성능이 우수한 덮개형 후드는 사용하는 전기유도로의 형식과 고철의 형태 및 장입 방법에 따라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설치비용이 매우 고가이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 유량이 매우 크며, 또한 분진발생이 최대가 되는 구상화제 등의 투입, 슬래그 제거, 출탕 등의 작업조건
을 반영할 수 없다는 기술적인 문제점의 요인으로 인해 많은 제약을 받아 이로 인해 실질적인 작업환경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일예로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로(100)의 상측에 집진후드(200)가 설치되고, 상기 집진후드(200)는 하측은 개방되지만 상측은 분진이 포집되도록 막힌 상태로 배출닥터(300)를 연결하여 모터(500)에 의해 좌우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 상기 전기로(100)에서의 스크랩(S) 용해는 크레인(400)의 마그네틱에 스크랩(S) 덩어리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덩어리 스크랩(S)을 용해하는 전기로(100)의 특성상 전기로(100)로 서서히 내려지면서 용해할 수밖에 없어 사실상 전기로(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후드(200)는 스크랩(S)이 투입될 때마다 좌우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을 제대로 진행할 수 없어 생산능률이 저하되어 폐단 때문에 상기 집진후드(200)의 설치는 형식에 지나지 않아 작업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애로 사항을 개선하고자 하기 위한 이 분야의 종래 선행기술을 찾아보면 “전기로의 분진 포집방법 (특1987-0011416/1987. 10. 14(출원))”이 있는데, 이 기술은 상부 덮개형태로 전기로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게 하여 발생되는 분진 및 흄을 상부 덮개에 이코노마이즈 상의 에어커튼장치로 모아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덩어리로 구성된 스크랩의 용해로는 적합하지 않을뿐더러 연속적인 용해 작업시 상부 덮개를 매번 개폐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기술로는 “전로용 집진 후드(10-2001-0083428/ 2001. 12. 22(출원))”가 있는데, 이 기술은 주 후드부와 높이가 다른 보조 후드부로 나누어져 주 후드부에서 포집하지 못하는 분진을 보조 후드부에서 포집하도록 한 장치로,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항상 일정한 상승 속도를 가져야만이 포집효율이 높다는 단점과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후드의 상측이 개방되어 있지 않아 덩어리로 구성된 스크랩의 용해는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전기로의 상측에 설치되어 용해 시 발생하는 금속흄을 포함한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후드를 원통형으로 상하가 개방되고, 개방된 집진후드를 통해 크레인의 마그네틱에 접착된 덩어리 스크랩을 전기로로 서서히 내리면서 용해할 수 있도록 하고, 용해 시 발생하는 분진은 집진후드의 원주상에 마련된 공기분사장치에 의해 공기막을 형성하여 배출구로 포집 배출되도록 하여 스크랩이 투입될 때마다 집진후드를 좌우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되고, 용해 시 발생하는 금속흄과 분진 등이 작업장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작업환경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건강이 유지되어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로 상측에 배출닥터가 연결된 집진후드를 설치하여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여 외부로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본체는 분진을 배출하는 통로의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하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는 스크랩이 전기로에의 투입이 상하 자유자재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후드의 본체 내주벽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되도록 공기분사장치를 구성하여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배출이 배출구로 포집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분사장치는, 상기 집진후드의 외측벽 원주상에 복수 개의 송풍기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집진후드의 상측 원주상에 공기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통로에는 송풍기의 공기를 상기 집진후드 내측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집진후드에 마련된 배출구는 공기통로에 비해 아래 부분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공기막에 의해 상측으로의 배출이 차단되어 배출구로 포집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분사장치는, 상기 집진후드의 배출구를 배출닥터의 상부로 연장되게 한 단부에 송풍기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집진후드의 상측 원주상에 공기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통로에는 송풍기의 공기를 상기 집진후드 내측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집진후드에 마련된 배출구는 공기통로에 비해 아래 부분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공기막에 의해 상측으로의 배출이 차단되어 배출닥터로 유도되도록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분사장치는, 상기 집진후드의 외측벽 원주상에 복수개의 송풍기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집진후드의 상측 원주상에 공기통로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통로에는 송풍기의 공기를 상기 집진후드 내측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공기토출구가 마련되고, 상기 집진후드의 원주상 공기통로의 아래에 분진흡입공이 구비한 포집부를 구성하여 전기로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공기막에 의해 상측으로의 배출이 차단되면서 포집부의 분진흡입공으로 흡입되어 배출구로 포집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통로에는 풍향깃을 설치하여 공기막의 형성을 와류현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공기통로에 마련되는 공기토출구의 전방이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되, 토출구의 모양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면서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아래로 향하면서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크랩에 부딪히면서 와류현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기로의 상측에 설치되는 집진후드를 상하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구성하여 용해로에 스크랩의 공급을 서서히 지속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있고, 항상 집진후드의 상측이 개방되어 있어도 스크랩이 용해되는 과정에 발생하는 금속흄과 분진 등의 유해물질을 공기분사장치의 공기막에 의해 작업장으로 유출되지 않고 배출구로 포집되어 배출하게 되므로 작업장의 환경이 개선되어 작업자의 건강이 유지되어 작업효율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의 예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집진후드를 발췌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서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집진후드를 발췌하여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서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집진후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집진후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집진후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집진후드의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집진후드의 단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집진후드의 단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집진후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집진후드를 발췌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서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집진후드를 발췌하여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서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집진후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집진후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서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집진후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집진후드의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집진후드의 단면도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집진후드의 단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집진후드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실시례들을 도시한 것이고, 스크랩(S)을 용해하는 전기로(10), 상기 전기로(10)의 상측에 분진을 포집하는 집진후드(30), 상기 집진후드(30)의 배출구(31)의 플랜지(31a)에 연결되어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닥터(20), 크레인(40)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송하는 스크랩(S)이 상기 집진후드(30)를 통해 전기로(10)에 서서히 투입하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집진후드(30)의 변형을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상기 집진후드(30)의 태양에 대하여 실시례를 통해 도 6 내지 도 1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여러 형태로 변화할 수 있음을 보이지만 크레인(40)에 의해 스크랩(S)이 투입되는 집진후드(30)를 상하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집진후드(30)의 상측에 공기분사장치(A)를 구비하여 내측으로 공기의 분사로 공기막을 형성하여 분진이 배출구(31)를 배출되도록 하는 본 발명의 근본적인 특징은 변형이 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 집진후드(30)의 변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집진후드(30)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크레인(40)의 이송으로 스크랩(S)이 전기로(10)로 투입 가능하도록 상하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집진후드(30)의 상측 원주상에 공기분사장치(A)를 구성하되, 상기 공기분사장치(A)는 상기 집진후드(30)의 상측 원주상에 공기통로(33)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통로(33)의 내측벽에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토출구(34)가 구성되고, 상기 공기통로(33)에 공기의 공급원이 되는 송풍기(32)를 상기 공기통로(33)와 연결되도록 집진후드(30)의 외측벽에 설치하고, 한편 상기 집진후드(30)의 공기분사장치(A)에 비해 아래측에 위치되며 배출닥터(20)와 연결할 수 있도록 플랜지(31a)를 갖는 배출구(31)를 구성하고 있다.
도 4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집진후드(30)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집진후드(30)는 위에서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집진후드(3)를 상술한 부분에서 공기통로(33)의 공기 공급원이 되는 송풍기(32)를 배출닥터(20)의 후미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여 공기공급관(36)을 마련하여 상기 공기통로(33)에 연장 연결하도록 한 것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 5의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 도시되어 있는 상기 집진후드(30)는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집진후드(30)도 위에서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집진후드(3)를 상술한 부분에서 상기 공기통로(33)의 하부 원주상에 분진을 배출구(31)로 배출하기 위한 포집부(38)가 구성되고, 상기 포집부(38)의 내벽 원주상에 다수의 분진흡입공(37)을 구성한 것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 13에서와 같이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한 상기 집진후드(30)는 위에서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집진후드(3)를 상술한 부분에서 상기 공기통로(33)에 마련되는 공기토출구(34)의 전방이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토출구(34)의 모양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면서 한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스크랩(S)에 부딪히면서 와류현상을 일으키도록 아래로 향하면서 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집진후드(30)의 상측에 마련된 공기통로(33)에 풍향깃(35)을 마련하여 공기토출구(34)로 분사되는 공기의 흐름을 스크랩(S)에 부딪히면서 와류현상으로 유도하여 공기막의 형성에 세기를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후드(30)에 대하여 예시를 하고 있지만 공기통로(33)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32)는 전기로(10)의 용해 규모, 그로 인한 집진후드(30)의 분진 배출량에 따라 그 수량과 공기통로(33)의 규모 및 공기토출구(34)의 정도에 그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닥터(20) 말미에는 통상과 같이 상기 집진후드(30)를 포함하여 배출닥터(20)를 모터(50)에 의해 선회하도록 구성하여 전기로(10)의 확인 및 보수 시에 편리하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전기로(10)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집진후드(30)를 안착시키고, 상기 집진후드(30)의 일측에 마련된 배출구(31)는 배출닥터(20)에 플랜지(31a)로 연결하면 전기로(10)에 집진후드(3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크랩(S)을 용해하고자 할 때에는 크레인(40)에 의해 이송되는 스크랩(S)을 일부 전기로(10)에 요입되어 스크랩(S)이 용해되면서 발생하는 금속흄, 분진 등의 유해물질은 송풍기(32)로부터 발생하는 공기는 공기통로(33)로 인입하여 공기토출구(34)에서 공기를 토출하게 되고, 그러면 집진후드(30)의 내벽과 스크랩(S) 사이에 공기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기로(10)에서 용해되면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은 공기막에 의해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고, 차단된 유해물질은 토출구(31) 또는 포집부(38)로 포집되어 분진흡입공(37)으로 흡입되면서 토출구(31)측으로 유도되어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송풍기(32)에 전원의 공급으로 발생하는 공기는 공기통로(33)를 거쳐 공기토출구(34)에서의 분사로 공기막이 형성되어 분진 등의 유해물질은 작업장으로 유출되지 않아 작업장의 환경이 개선되고, 그러므로 작업자의 건강이 유지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생산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집진후드(30)는 상하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용해 시 스크랩(S)이 전기로(10)에 투입된 상태이어서 집진후드(30)의 이송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용해시간이 단축되어 경제성으로도 가치가 높은 특징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기로
20. 배출닥터
30. 집진후드
31. 배출구
31a. 플랜지
32. 송풍기
33. 공기통로
34. 공기토출구
35. 풍향깃
36. 공기공급관
37. 분진흡입공
38. 포집부
40. 크레인
50. 모터
A. 공기분사장치
S. 스크랩
20. 배출닥터
30. 집진후드
31. 배출구
31a. 플랜지
32. 송풍기
33. 공기통로
34. 공기토출구
35. 풍향깃
36. 공기공급관
37. 분진흡입공
38. 포집부
40. 크레인
50. 모터
A. 공기분사장치
S. 스크랩
Claims (6)
- 삭제
- 집진후드(30)의 본체는 분진을 배출하는 통로의 배출구(31)가 마련되며, 크레인(40)에 의해 이송되는 스크랩(S)이 전기로(10)에의 투입이 상하 자유자재로 승강할 수 있도록 상하를 개방하는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집진후드(30)의 본체 내주벽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되도록 공기분사장치(A)를 구성하여 전기로(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의 배출이 배출구(31)로 유도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장치(A)는,
상기 집진후드(30)의 외측벽 원주상에 복수 개의 송풍기(32)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3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집진후드(30)의 상측 원주상에 마련되는 공기통로(33);
상기 공기통로(33)에는 송풍기(32)의 공기를 상기 집진후드(30) 내측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토출구(34);
상기 집진후드(30)에 마련된 배출구(31)는 공기통로(33)에 비해 저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기로(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공기막에 의해 상측으로의 배출이 차단되면서 배출구(31)로 포집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장치(A)는,
상기 집진후드(30)의 외측벽 원주상에 복수개의 송풍기(32)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32)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집진후드(30)의 상측 원주상에 마련되는 공기통로(33);
상기 공기통로(33)에는 송풍기(32)의 공기를 상기 집진후드(30) 내측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공기막이 형성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기토출구(34);
상기 집진후드(30)의 원주상 공기통로(33)의 아래에 분진흡입공(37)이 구비한 포집부(38)를 구성하여 전기로(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공기막에 의해 상측으로의 배출이 차단되면서 포집부(38)의 분진흡입공(37)으로 흡입되어 배출구(31)로 유도되도록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6592A KR101456782B1 (ko) | 2013-04-26 | 2013-04-26 |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6592A KR101456782B1 (ko) | 2013-04-26 | 2013-04-26 |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6782B1 true KR101456782B1 (ko) | 2014-11-03 |
Family
ID=5228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6592A KR101456782B1 (ko) | 2013-04-26 | 2013-04-26 |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678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73171A (zh) * | 2020-01-06 | 2021-07-06 | 苏州苏信特钢有限公司 | 电炉喷灰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0128A (ja) * | 1997-07-28 | 1999-02-23 | Kawasaki Steel Corp | 取鍋精錬処理における集塵方法及び集塵装置 |
JP2004361003A (ja) * | 2003-06-04 | 2004-12-24 | Sanyo Special Steel Co Ltd | 製鋼用の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装入時の集塵装置 |
KR20090016991A (ko) * | 2007-08-13 | 2009-02-18 | 주식회사 포스코 |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
KR200444221Y1 (ko) * | 2007-12-03 | 2009-04-1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전기로의 부원료 씰링장치 |
-
2013
- 2013-04-26 KR KR1020130046592A patent/KR1014567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0128A (ja) * | 1997-07-28 | 1999-02-23 | Kawasaki Steel Corp | 取鍋精錬処理における集塵方法及び集塵装置 |
JP2004361003A (ja) * | 2003-06-04 | 2004-12-24 | Sanyo Special Steel Co Ltd | 製鋼用の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装入時の集塵装置 |
KR20090016991A (ko) * | 2007-08-13 | 2009-02-18 | 주식회사 포스코 | 전극봉 홀더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로 |
KR200444221Y1 (ko) * | 2007-12-03 | 2009-04-17 | 현대제철 주식회사 | 전기로의 부원료 씰링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73171A (zh) * | 2020-01-06 | 2021-07-06 | 苏州苏信特钢有限公司 | 电炉喷灰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646137U (zh) | 铁水脱硫站除尘装置 | |
KR20110062045A (ko) | 분무 살수장치 | |
CN107520194A (zh) | 一种粉末冶金除尘装置 | |
KR101456782B1 (ko) |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 |
CN206244865U (zh) | 一种电弧喷涂装备系统的定向金属除尘装置 | |
CN206404974U (zh) | 一种环保型喷涂设备 | |
CN205833501U (zh) | 一种涂油装置 | |
KR100623497B1 (ko) | 공기유도류 및 차폐막 적용 국소 배기장치 | |
CN204503726U (zh) | 一种吹吸结合的热镀锌消烟除尘装置 | |
CN205950518U (zh) | 一种喷砂机 | |
CN205915212U (zh) | 人字轨吊挂式抛丸清理机 | |
CN207723166U (zh) | 钢水罐或铁水罐拆罐除尘装置 | |
JP2014227577A (ja) | 高炉の集塵装置 | |
CN208321581U (zh) | 顶吸与侧吸复合式熔炼球化一体化吸尘装置 | |
CN104550177A (zh) | 一种吹吸结合的热镀锌消烟除尘装置 | |
CN105057583A (zh) | 一种铸造落砂车间除尘回收热量的装置 | |
CN202934219U (zh) | 等离子切割平台 | |
CN202030779U (zh) | 高炉摆动流嘴烟尘捕集罩 | |
JP2017082316A (ja) | 高炉の出銑口周りの集塵装置 | |
CN109056046A (zh) | 一种环保型线外溶锌处理装置 | |
CN211174199U (zh) | 隧道喷雾降尘装置 | |
CN103033064B (zh) | 烧结烟气余热回收装置 | |
CN210333136U (zh) | 一种钢结构防腐喷涂装置 | |
CN208770713U (zh) | 烧毛边机灭火装置 | |
CN207537473U (zh) | 一种高炉铁口环保除尘操作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