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801A -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 Google Patents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801A
KR20170057801A KR1020150166375A KR20150166375A KR20170057801A KR 20170057801 A KR20170057801 A KR 20170057801A KR 1020150166375 A KR1020150166375 A KR 1020150166375A KR 20150166375 A KR20150166375 A KR 20150166375A KR 20170057801 A KR20170057801 A KR 20170057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xic gas
circulation line
filter
ai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선준
장채원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스마트코리아
Publication of KR20170057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01D2279/51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in clean rooms, e.g. production facilities for electronic devices, laborat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함 내부의 유독성 기체를 보관함 외부로 순환시키고, 순환과정에서 유독성 물질을 여과하여 보관함 내부에서 유독성 기체의 포화에 따른 화재 등의 위험을 예방하고, 위험물질을 보관 및 꺼내기 위해 도어 개폐시 유독성 기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위험물질이 보관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가 형성되며, 일측과 위험물질에서 발생되어 내부에 산포된 유독성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타측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유독성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보관함 본체와; 상기 보관함 본체의 배출구와 유입구에 양단이 연결되어 보관함 본체 내부의 유독성 기체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순환라인과;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고, 유독성 기체가 여과되어진 공기가 순환라인을 통해 보관함 본체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필터어셈블리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Dangerous material cabinet having air circ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보관함 내부의 유독성 기체를 보관함 외부로 순환시키고, 순환과정에서 유독성 물질을 여과하여 보관함 내부에서 유독성 기체의 포화에 따른 화재 등의 위험을 예방하고, 위험물질을 보관 및 꺼내기 위해 도어 개폐시 유독성 기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연구소나 실험실 등에서는 유독성 물질로 된 위험물질을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케비넷)이 비치되며, 이러한 보관함은 국제규격에 의해 상당한 강도와 내열성, 내화학성 등을 갖추어 제작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4-82364호(공기 순환구조를 갖는 조립식 이중 케비넷, 이하 기출원발명)은 내부에 위험물질을 보관한 상태에서 이들 위험물질의 화학적 작용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출원발명은「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절곡부가 형성된 외부하판과, 양측으로 내향되도록 연결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외부하판과 결합되는 외부측판과, 양측에 연결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측판의 연결절곡부에 끼워맞춤 조립되는 외부뒤판과, 하부를 향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측판과 외부뒤판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외부상판으로 이루어져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조립된 외부 케비넷 본체와, 상기 외부 케비넷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로 절곡부가 형성된 내부하판과, 양측에 외향되도록 연결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하판과 결합되는 내부측판과, 양측에 외향되도록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측판과 결합되는 내부뒤판과, 상부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측판과 내부뒤판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내부상판으로 이루어진 내부 케비넷 본체와, 상기 외부 케비넷 본체와 내부 케비넷 본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외부 케비넷 본체의 전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이중 케비넷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비넷 본체의 외부측판과 외부뒤판에 상,하부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측판 및 외부뒤판에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판으로 구성되며, 화재 발생시 상부측 공기가 뜨거워지면서 외부로 열기가 이동됨에 따라 바닥측 낮은 온도의 공기가 상기 외부측판과 외부뒤판의 하부 공기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가이드판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외부측판과 외부뒤판의 상부 공기배출구측으로 이동되는 공기 흐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부 케비넷 본체측으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출원발명의 케비넷은 그 내부에서 화재 등의 위험상황이 발생된 경우 그 손실을 최소화하기는 하지만, 이미 발생된 위험상황에 따라 케비넷 내부에 보관된 고가의 시약, 실험/연구 물질 등의 손실 및 케비넷 자체의 손실에 따른 상당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위험물질이 보관된 케비넷의 내부는 시약, 실험/연구 물질 등에서는 발생된 유독성 물질이 기체상태로 산포되어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시약, 실험/연구 물질을 보관 또는 꺼내기 위해 도어를 개방시키게 되면, 케비넷 내부의 유독성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보관함 내부의 유독성 기체를 보관함 외부로 순환시키고, 순환과정에서 유독성 물질을 여과하여 보관함 내부에서 유독성 기체의 포화에 따른 화재 등의 위험을 예방하고, 위험물질을 보관 및 꺼내기 위해 도어 개폐시 유독성 기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내부에 위험물질이 보관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가 형성되며, 일측과 위험물질에서 발생되어 내부에 산포된 유독성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타측에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유독성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보관함 본체와; 상기 보관함 본체의 배출구와 유입구에 양단이 연결되어 보관함 본체 내부의 유독성 기체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순환라인과;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고, 유독성 기체가 여과되어진 공기가 순환라인을 통해 보관함 본체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필터어셈블리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에서 배출된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기 위한 구성과, 공기를 순환진행시키기 위한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순환라인을 통해 유독성 기체를 배출시키고, 상기 필터에 의해 유독성 기체가 여과된 공기를 보관함 본체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순환라인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의 배출구와 유입구를 통해 유독성 기체의 배출과, 유독성 기체가 여과된 공기의 유입 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어셈블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밸브어셈블리는, 순환라인과 보관함 본체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순환라인과 보관함 본체의 사이에 결합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밸브축이 설치되며, 상기 밸브축의 밸브 하우징 내측의 단부에는 보관함 본체의 배출구 또는 유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밸브체가 결합되고, 상기 밸브축의 밸브 하우징 외측의 단부에는 밸브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재가 결합된 단속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관함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유독성 기체 또는 내부의 공기에 의한 보관함 본체 내의 환경상황을 감지 검출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환경상황에 의해 밸브어셈블리를 구동시켜 유독성 기체의 순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판단에 의해 밸브어셈블리를 구동시켜 위험물질이 보관된 보관함 본체 내부의 압력이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동기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팬은 순환라인을 통해 순환되는 기체의 진행속도가 1.5m/sec 이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구동설정되어 유독성 기체의 원활한 여과순환이 실시되도록 구성되고, 도어를 개방하기전 25초 ~ 35초의 시간동안 팬이 구동되도록 하며, 연구소, 실험실 등의 괘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구동소음이 50dB이하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보관함 내부에 산포된 유독성 기체가 외측으로 순환되며 여과되도록 하여 보관함 내부의 유독성 기체가 상시 제거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관함 내부의 유독성 기체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상황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도어 개폐시 유독성 기체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독성 기체의 배출구 및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함 내부의 공기압 상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써, 보관함의 높은 안전성에 의해 사용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험물질 보관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위험물질 보관함의 밸브 어셈블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험물질 보관함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위험물질 보관함의 밸브 어셈블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위험물질 보관함은 보관함 본체(10), 순환라인(20), 필터어셈블리(3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기본 구성에 추가되어 본 발명은 밸브어셈블리(40)가 더 갖추어져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위험물질 보관함은 국제 규격에 따른 강도와 내열, 내화학 특성 등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갖추어 제작되는 것임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유독성 기체는 인체를 대상으로 하는 유독성분 및 화재 등의 위험성이 있는 성분을 모두 포괄하여 기재하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 보관함 본체(10)는 내부에 위험물질이 보관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실험 또는 연구에 사용되는 각종 시약이나 실험물질 등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한 다단의 거치대 등이 설치됨은 주지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보관함 본체(10)는 일측과 위험물질에서 발생되어 내부에 산포된 유독성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관함 본체(10)의 타측에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유독성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3)가 형성된다.
도면 중 부호 14는 도어(11)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레버이다.
상기 순환라인(20)은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와 유입구(13)에 양단이 연결된 순환덕트(2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순환라인(20)은 보관함 본체(10) 내부의 유독성 기체를 순환시키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절곡이음부(22)가 갖추어지고, 도면 상 보관함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덕트(21)는 유독성 기체에 대한 강도 및 내열, 내화학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는 순환라인(2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필터어셈블리(30)는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고, 유독성 기체가 여과되어진 공기가 순환라인(20)을 통해 보관함 본체(10)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어셈블리(30)는 필터 하우징(31), 필터(32), 팬(33)으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31)은 순환라인(20)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10)에서 배출된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32)와, 공기를 순환진행시키기 위한 팬(33)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필터(32)는 필터 하우징(31) 내에 1이상의 개수로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위험물질에 따른 유독성 기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전술된 것과 같이 다양한 유독성 기체에 대응하여 2이상의 개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33)은 필터(32)의 일측 또는 양측(도면에서는 일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팬(33)은 순환라인(20)을 통해 유독성 기체를 배출시키고, 상기 필터(32)에 의해 유독성 기체가 여과된 공기를 보관함 본체(10)로 유입시키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팬(33)은 위험물질 보관함의 규격에 따라 축류팬, 횡류팬의 종류 및 그 규격이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40)는 순환라인(20)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도면에서는 양측 끝단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밸브어셈블리(40)는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와 유입구(13)를 통해 유독성 기체의 배출과, 유독성 기체가 여과된 공기의 유입 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어셈블리(40)는 밸브 하우징(41)과 단속어셈블리(42)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41)은 순환라인(20)과 보관함 본체(10)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순환라인(20)과 보관함 본체(10)의 사이에 결합되며, 그 내측에 상기 단속어셈블리(42)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속어셈블리(42)는 밸브축(43), 밸브체(44), 조작부재(45)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축(43)은 밸브 하우징(41)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축(43)은 밸브 하우징(41)의 측벽면에 관통설치된 부시와 부시를 관통하여서 된 볼 스크류의 구성으로, 상기 밸브체(44)로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와 유입구(13)를 개폐시키기 위해서 회전구동을 요구하는 구성이다.
상기 밸브체(44)는 밸브축(43)의 밸브 하우징(41) 내측에 위치한 끝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와 유입구(13)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금속, 합성수지, 고무 등의 단일부재 또는 이들을 2이상 결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45)는 밸브축(43)의 밸브 하우징(41) 내측에 위치한 끝단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밸브축(43)에 회전구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노브이거나, 모터 등의 별도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구동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력전달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위험물질 보관함은 보다 안전한 사용을 위해 도어(11)를 개방하기전 25초 ~ 35초의 시간동안 팬(33)을 구동시켜 본체(10) 내부에서 발생된 유독성 기체를 순환라인(20)을 통해 여과순환시킨 후 도어(11)를 개방하여 유독성 기체의 유출 및 유독성 기체에 의한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팬(33)의 구동에 의한 순환라인(20) 내부의 기체 진행속도는 1.5m/sec 이상으로 설정하여 본체(10) 내부에서 유독성 기체의 여과순환이 원활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팬(33)은 연구소, 실험실 등의 괘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구동소음이 50dB(decibel)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추가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추가 실시예의 위험물질 보관함은 보관함 본체(10) 내부의 압력, 보다 구체적으로 유독성 기체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대한 압력이나 온도조건 등의 환경상황을 감지하여 유독성 기체의 순환을 단속하기 위한 구성이 제시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위험물질 보관함은 센서부(50), 제어부(60), 구동기구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50)는 보관함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유독성 기체 또는 내부의 공기에 의한 보관함 본체(10) 내의 환경상태를 감지 검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환경상태는 대표적으로 압력과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를 감안하여 상기 센서부(50)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의 복수구성으로 적용된다.
상기 제어부(60)는 센서부(50)에 의해 검출된 보관함 본체(10)의 환경상황에 따라 유독성 기체를 순환시켜 보관함 본체(10)를 적정압력, 적정온도, 적정습도 등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판단을 실시하는 회로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적용되며, 상기 제어부(60)는 보관함 본체(10) 내부의 환경조건에 따라 팬(33)의 구동 및 구동세기 등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기구부(70)는 제어부(60)의 판단에 의해 밸브어셈블리(40)를 구동시키도록 한 모터 등의 구성이다. 즉, 상기 구동기구부(70)는 전술된 밸브어셈블리(40)의 조작부재(45)를 기어, 클러치 등의 동력전달기구로 적용하고 모터 등의 구동기구를 결합하여 모터를 회전시킴에 의해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 유입구(1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10: 보관함 본체 20: 순환라인
30: 필터어셈블리 40: 밸브어셈블리
50: 센서부 60: 제어부
70: 구동기구부

Claims (6)

  1. 내부에 위험물질이 보관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11)가 형성되며, 일측과 위험물질에서 발생되어 내부에 산포된 유독성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와, 타측에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유독성 기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3)가 형성된 보관함 본체(10)와;
    상기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와 유입구(13)에 양단이 연결되어 보관함 본체(10) 내부의 유독성 기체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순환라인(20)과;
    상기 순환라인(20)에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고, 유독성 기체가 여과되어진 공기가 순환라인(20)을 통해 보관함 본체(10)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필터어셈블리(30)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30)는
    상기 순환라인(20)에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10)에서 배출된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기 위한 구성과, 공기를 순환진행시키기 위한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 하우징(31)과;
    상기 필터 하우징(31) 내에 설치되어 유독성 기체를 여과하는 필터(32)와;
    상기 필터(32)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순환라인(20)을 통해 유독성 기체를 배출시키고, 상기 필터(32)에 의해 유독성 기체가 여과된 공기를 보관함 본체(10)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팬(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20)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어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와 유입구(13)를 통해 유독성 기체의 배출과, 유독성 기체가 여과된 공기의 유입 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밸브어셈블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어셈블리(40)는
    순환라인(20)과 보관함 본체(10)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순환라인(20)과 보관함 본체(10)의 사이에 결합된 밸브 하우징(41)과;
    상기 밸브 하우징(41)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밸브축(43)이 설치되며, 상기 밸브축(43)의 밸브 하우징(41) 내측의 단부에는 보관함 본체(10)의 배출구(12) 또는 유입구(13)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밸브체(44)가 결합되고, 상기 밸브축(43)의 밸브 하우징(41) 외측의 단부에는 밸브축(43)을 구동시키기 위한 조작부재(45)가 결합된 단속어셈블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유독성 기체 또는 내부의 공기에 의한 보관함 본체(10) 내의 환경상황을 감지 검출하는 센서부(50)와;
    상기 센서부(50)에 의해 검출된 환경상황에 의해 밸브어셈블리(40)를 구동시켜 유독성 기체의 순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의 판단에 의해 밸브어셈블리(40)를 구동시켜 위험물질이 보관된 보관함 본체(10) 내부의 환경상황이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동기구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33)은
    순환라인(20)을 통해 순환되는 기체의 진행속도가 1.5m/sec 이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구동설정되어 유독성 기체의 원활한 여과순환이 실시되도록 구성되고, 도어(11)를 개방하기전 25초 ~ 35초의 시간동안 팬(33)이 구동되도록 하며, 연구소, 실험실 등의 괘적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구동소음이 50dB(decibel)이하로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KR1020150166375A 2015-10-23 2015-11-26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KR201700578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47711 2015-10-23
KR1020150147711 2015-10-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801A true KR20170057801A (ko) 2017-05-25

Family

ID=5905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375A KR20170057801A (ko) 2015-10-23 2015-11-26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78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0222A (zh) * 2020-07-21 2020-11-13 深圳市欧诺士德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柜控制方法以及装置
KR20220013217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20220163026A (ko) * 2021-06-02 2022-12-09 (주)지오필테크 유해가스 제거용 필터가 장착된 인화성 안전 캐비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20222A (zh) * 2020-07-21 2020-11-13 深圳市欧诺士德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柜控制方法以及装置
KR20220013217A (ko) 2020-07-24 2022-02-04 주식회사 청우씨엔티 시약장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20220163026A (ko) * 2021-06-02 2022-12-09 (주)지오필테크 유해가스 제거용 필터가 장착된 인화성 안전 캐비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7801A (ko) 공기순환기능을 갖는 위험물질 보관함
KR101187938B1 (ko)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CA2534446A1 (en) Circulation and external venting unit
KR101726801B1 (ko)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KR101628317B1 (ko)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2093061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에어컨실외기의 루버장치
KR20190087060A (ko) 위험물질 보관함 유해가스 정화장치
KR20100122989A (ko) 혼합형 화재확산방지 및 제연댐퍼
EP3335918A1 (en) Air blowing device
KR20090123646A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20160130343A (ko) 자동 폐쇄 장치
KR102070029B1 (ko) 급속 환기 댐퍼를 갖는 전열교환기
KR20200084157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5908B1 (ko) 위험물질 보관함용 외부순환 여과장치
KR20150060131A (ko) 제습기
KR101472557B1 (ko) 풍량 자동 제어형 댐퍼
KR200477999Y1 (ko) 역류방지 댐퍼
JP688262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336629B1 (ko) 에어워셔
KR20170051117A (ko) 환기구
KR101196840B1 (ko) 덕트 취출구용 공기의 양방향 분출장치
KR101645498B1 (ko)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1945500B1 (ko) 도어용 자연환기장치
JP2016023289A (ja) アスファルト抽出装置
CN111853893B (zh) 一种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