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926B1 -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926B1
KR102376926B1 KR1020200088534A KR20200088534A KR102376926B1 KR 102376926 B1 KR102376926 B1 KR 102376926B1 KR 1020200088534 A KR1020200088534 A KR 1020200088534A KR 20200088534 A KR20200088534 A KR 20200088534A KR 102376926 B1 KR102376926 B1 KR 10237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cover
luggage board
ga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0077A (ko
Inventor
신동규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9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2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separate 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21)이 세워진 상태일 때에는 시트백커버(2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된 가림부(210)를 이용해서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시트백(21)의 폴딩 동작시에는 케이블(400)의 당김에 의해 가림부(210)가 플랫상태가 되게 펼쳐지고, 가림부(210)가 플랫상태로 펼쳐지는 길이만큼 시트백커버(200)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APPARATUS FOR MINIMIZING GAP BETWEEN LUGGAGE BOARD AND SEAT BACK}
본 발명은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장력을 이용한 시트백커버의 이동을 통해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레저용 차량(RV, SUV, MPV 등)에는 리어시트(2열시트 또는 3열시트)의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러기지룸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러기지룸의 바닥은 러기지보드로 구성되고, 러기지보드의 하측으로는 스페어타이어나 또는 공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러기지트레이가 구비되어 있어서, 러기지보드의 개폐동작에 의해 러기지트레이의 수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된다.
통상적인 레저용 차량의 리어시트(2열시트 또는 3열시트)는 시트백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동작, 및 전방으로 접혀지는 폴딩 동작이 가능한 구성을 갖추고 있고, 이러한 리클라이닝 동작 및 폴딩 동작의 원활한 구현을 위해 러기지보드의 전방 끝단과 러기지보드의 앞쪽에 위치한 시트백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여유공간(갭)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는 러기지보드와 리어시트의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의 크기가 과도하게 커서 외관미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고, 특히 갭을 통해 러기지보드의 아래쪽으로 물건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52909호
본 발명은, 스프링 장력을 이용한 시트백커버의 이동을 통해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로서, 갭의 최소화를 통해 러기지보드의 아래쪽으로 물건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시트백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된 상태일 때에는 시트백커버 및 러기지보드가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는, 러기지보드의 앞쪽에 위치한 시트에서 시트백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결합되면서 가이드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트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의 상단은 다수 번 접혀져서 후방으로 돌출된 가림부로 변형되고, 가림부에 의해 러기지보드의 전방 끝과 시트백사이의 틈이 가려져서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시트백의 좌우측에서 시트백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백커버에는 가이드슬롯으로 삽입되어서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가이드돌기에 양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커버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는 커버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으면서 시트백커버의 상단이 다수 번 접혀져서 후방으로 돌출된 가림부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와 시트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게 설치된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된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는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기는 시트백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가이드슬롯으로 끼워지는 상단돌기 및 하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돌기에 커버스프링의 일단과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아이들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은 아이들롤러를 경유해서 하단돌기의 아래쪽 위치의 시트브라켓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의 폴딩시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시트백커버가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시트백커버의 가림부는 편평한 플랫상태로 펼쳐지고; 상기 가림부가 플랫상태로 펼쳐지는 길이만큼 시트백커버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러기지보드의 전방 끝과 시트백사이의 틈을 가려주게 됨에 따라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와 러기지보드는 편평한 플랫상태로 연결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커버의 상단에는 복수개의 노치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노치홈을 기준으로 접혀짐에 따라 시트백커버의 상단은 후방으로 돌출된 삼각단면 모양의 가림부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커버의 좌우측 최상단 위치에 가이드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돌기는 시트백커버의 좌우측 최하단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돌기는 결합돌기와 하단돌기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커버의 표면을 커버링하도록 결합된 부직포재질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일 때에 시트백커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된 가림부를 이용해서 러기지보드의 전방 끝과 시트백사이의 틈을 가려주고, 이를 통해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외관미 향상과 상품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러기지보드상에 있는 물건이 상기 틈을 통해 러기지보드의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백의 폴딩 동작시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시트백커버는 가이드브라켓에 가이드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커버의 후방 이동시 가림부가 플랫상태가 되게 펼쳐지고, 가림부가 플랫상태로 펼쳐지는 길이만큼 시트백커버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러기지보드의 전방 끝과 시트백사이의 틈을 가려주게 됨으로써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와 러기지보드는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된 상태로 물건을 얹어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의 사시도로서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일 때의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러기지보드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 확대도,
도 4는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의 상단이 가림부로 변형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시트백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의 가림부가 플랫상태로 펼쳐지고 시트백커버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기지보드(10)의 앞쪽에 위치한 시트(20)에서 시트백(21)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브라켓(100);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100)에 결합되면서 가이드브라켓(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트백커버(200);를 포함한다.
가이드브라켓(100)은 총 2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가이드브라켓(100)은 시트백(21)의 좌우측에서 시트백(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결합된다.
가이드브라켓(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슬롯(110)이 각각 형성되고, 시트백커버(200)에는 가이드슬롯(110)으로 삽입되어서 가이드슬롯(1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220)가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레저용 차량(RV, SUV, MPV 등)에는 리어시트(2열시트 또는 3열시트)의 후방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러기지룸이 구비되어 있고, 러기지룸의 바닥은 러기지보드(10)로 구성되고, 러기지보드(10)의 하측에는 러기지트레이가 구비되어 있어서, 러기지보드(10)의 개폐동작에 의해 러기지트레이의 수납공간이 개방되거나 밀폐된다.
또한, 통상적인 레저용 차량에서 러기지보드(10)의 앞쪽에 위치한 시트(20)는 리어시트(2열시트 또는 3열시트)가 되고, 러기지보드(10)의 앞쪽에 위치한 시트(20)의 시트백(21)은 시트쿠션(22)에 대해 각도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동작, 및 전방으로 접혀지는 폴딩 동작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백(21)의 원활한 리클라이닝 동작 및 폴딩 동작을 위해서 러기지보드(10)의 전방 끝단과 러기지보드(10)의 앞쪽에 위치한 시트(20)의 시트백(21)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여유공간(갭)이 확보되는데, 종래에는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이 과도하게 커서 외관미가 감소되고, 특히 갭을 통해 러기지보드(10)의 아래쪽으로 물건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백(21)의 좌우측부에 가이드브라켓(100)을 설치하고, 가이드브라켓(100)을 따라 이동하는 시트백커버(200)를 가이드브라켓(100)과 연결되게 설치하며, 특히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시트백(21)이 세워진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200)의 상단은 다수 번 접혀져서 후방으로 돌출된 가림부(210)로 변형되고, 가림부(210)에 의해 러기지보드(10)의 전방 끝과 시트백(21)사이의 틈(40)이 가려지게 됨에 따라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시트백(21)이 세워진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200)의 가림부(210)가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의 틈(40)을 메워서 갭(gap)을 최소화시키게 되면, 외관미 향상을 통해 상품성 증대를 이룩할 수 있게 되고, 특히 러기지보드(10)상에 있는 물건이 상기 틈(40)을 통해 러기지보드(10)의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가이드브라켓(100)과 가이드돌기(220)에 양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커버스프링(300)을 더 포함한다.
시트백(21)이 세워진 상태일 때에 시트백커버(200)는 커버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고 있어야 하며(화살표 M1), 이를 위해 커버스프링(300)은 시트백커버(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시트백커버(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으면, 시트백커버(200)의 상단은 다수 번 접혀져서 후방으로 돌출된 가림부(210)로 변형되고, 후방으로 돌출된 가림부(210)를 이용해서 러기지보드(10)의 전방 끝과 시트백(21)사이의 틈(40)을 가려서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백(21)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된 상태일 때에도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브라켓(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슬롯(110)이 형성되고, 시트백커버(200)에는 가이드슬롯(110)으로 삽입되어서 가이드슬롯(1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220)가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커버스프링(300)의 양단은 가이드브라켓(200)과 가이드돌기(22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케이블(400)은 가이드돌기(220)와 시트브라켓(30)에 양단이 연결되게 설치된 구성이 된다.
시트백(21)이 세워진 상태일 때 시트백(21)의 좌우 측부에는 일자로 형성된 가이드브라켓(100)이 상하로 연장되게 결합되고, 가이드브라켓(100)에는 가이드브라켓(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가이드슬롯(110)이 형성된다.
시트백커버(200)는 대략 사각평판 모양으로 형성되어서 좌우측에 결합된 가이드브라켓(100)사이로 위치하고, 시트백커버(200)에는 가이드돌기(220)가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가이드돌기(220)는 가이드슬롯(110)으로 삽입되어서 가이드슬롯(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20)는 시트백커버(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상단돌기(221) 및 하단돌기(222)로 구성되고, 가이드브라켓(100)과 시트백커버(200)의 안정된 결합구조 및 시트백커버(200)의 안정된 이동을 위해 상단돌기(221)와 하단돌기(222)는 모두 가이드슬롯(110)에 끼워져서 결합된 구조가 된다.
커버스프링(300)의 상단은 상단돌기(221)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가이드브라켓(100)으로부터 돌출된 스프링돌기(120)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커버스프링(300)의 하단은 가이드돌기(220) 중에서 상단돌기(221)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케이블(400)의 상단은 커버스프링(300)의 하단이 결합된 상단돌기(221)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케이블(400)의 하단은 시트브라켓(30)에 고정되게 결합되되, 하단돌기(222)보다 더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시트브라켓(3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가이드브라켓(100)의 하단부위에는 아이들롤러(5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블(400)은 아이들롤러(500)를 경유하는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400)의 하단이 결합되는 시트브라켓(30)은 리클라이너 로워브라켓이 될 수 있고, 리클라이너 로워브라켓은 리클라이너 어퍼브라켓(31)과 결합되고, 리클라이너 어퍼브라켓(31)에 가이드브라켓(100)이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또한, 리클라이너 어퍼브라켓(31)에는 리클라이너 레버(3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시트백(21)이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폴딩 동작을 하면, 케이블(400)의 당김(화살표 M2)에 의해 가이드돌기(220)는 가이드슬롯(11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고, 가이드돌기(220)에 이동에 의해 시트백커버(200)는 가이드브라켓(100)에 가이드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화살표 M3)
그리고, 시트백(21)의 폴딩시 케이블(400)의 당김에 의해 시트백커버(200)가 가이드브라켓(100)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는 시트백커버(200)의 가림부(210)는 편평한 플랫(flat)상태로 펼쳐지게 되고, 가림부(210)가 플랫상태로 펼쳐지는 길이만큼 시트백커버(200)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러기지보드(20)의 전방 끝과 시트백(21)사이의 틈(40)을 가려주게 됨에 따라 러기지보드(2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백(21)이 폴딩된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200)와 러기지보드(10)는 편평한 플랫상태로 연결되게 유지됨에 따라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된 상태로 물건을 얹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커버(200)는 상단부에 복수개의 노치홈(23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노치홈(230)을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또는 일자모양이 되게 펼쳐짐이 가능한 구성으로, 따라서 시트백(21)이 세워진 상태일 때에는 커버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시트백커버(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됨에 따라 노치홈(230)을 기준으로 다수 번 접혀져서 후방으로 돌출된 삼각단면 모양의 가림부(210)로 변형되고, 시트백(21)이 폴딩될 때에는 케이블(400)의 당김력에 의한 시트백커버(200)의 후방이동에 의해 가림부(210)가 플랫한 상태가 되도록 펼쳐지게 된다.
이를 위해, 시트백커버(200)의 좌우측 최상단 위치에는 결합돌기(240)가 형성되어서 결합돌기(240)는 가이드브라켓(100)과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가이드돌기(220)의 하단돌기(222)는 시트백커버(200)의 좌우측 최하단 위치에 형성되고, 가이드돌기(220)의 상단돌기(221)는 결합돌기(240)와 하단돌기(222)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구조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시트백커버(200)는 복수개의 노치홈(230)에 의해 연결이 단락되거나 또는 강도(강성)이 약해질 수 있는 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트백커버(200)의 표면을 커버링하도록 부직포재질의 커버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백(21)이 세워진 상태일 때에 시트백커버(2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된 가림부(210)를 이용해서 러기지보드(10)의 전방 끝과 시트백(21)사이의 틈(40)을 가려주고, 이를 통해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gap)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외관미 향상과 상품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러기지보드(10)상에 있는 물건이 상기 틈(40)을 통해 러기지보드(10)의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트백(21)의 폴딩 동작시 케이블(400)의 당김에 의해 시트백커버(200)는 가이드브라켓(100)에 가이드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고, 시트백커버(200)의 후방 이동시 가림부(210)가 플랫상태가 되게 펼쳐지고, 가림부(210)가 플랫상태로 펼쳐지는 길이만큼 시트백커버(200)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러기지보드(20)의 전방 끝과 시트백(21)사이의 틈을 가려주게 됨으로써 러기지보드(10)와 시트백(21)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백(21)이 폴딩된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200)와 러기지보드(10)는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정된 상태로 물건을 얹어서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러기지보드 20 - 시트
21 - 시트백 22 - 시트쿠션
30 - 시트브라켓 31 - 리클라이너 어퍼브라켓
32 - 리클라이너 레버 40 - 틈
100 - 가이드브라켓 110 - 가이드슬롯
120 - 스프링돌기 200 - 시트백커버
210 - 가림부 220 - 가이드돌기
230 - 노치홈 240 - 결합돌기
300 - 커버스프링 400 - 케이블
500 - 아이들롤러 600 - 커버부재

Claims (11)

  1. 러기지보드의 앞쪽에 위치한 시트에서 시트백의 좌우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 가이드브라켓; 및
    상기 가이드브라켓에 결합되면서 가이드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트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의 상단은 다수 번 접혀져서 후방으로 돌출된 가림부로 변형되고, 가림부에 의해 러기지보드의 전방 끝과 시트백사이의 틈이 가려져서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시트백의 좌우측에서 시트백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백커버에는 가이드슬롯으로 삽입되어서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가 좌우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과 가이드돌기에 양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커버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는 커버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으면서 시트백커버의 상단이 다수 번 접혀져서 후방으로 돌출된 가림부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와 시트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게 설치된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백이 전방으로 회전해서 폴딩된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는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시트백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 가이드슬롯으로 끼워지는 상단돌기 및 하단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돌기에 커버스프링의 일단과 케이블의 일단이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아이들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의 타단은 아이들롤러를 경유해서 하단돌기의 아래쪽 위치의 시트브라켓에 고정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폴딩시 케이블의 당김에 의해 시트백커버가 가이드브라켓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 시트백커버의 가림부는 편평한 플랫상태로 펼쳐지고;
    상기 가림부가 플랫상태로 펼쳐지는 길이만큼 시트백커버가 후방으로 이동해서 러기지보드의 전방 끝과 시트백사이의 틈을 가려주게 됨에 따라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사이에 존재하는 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일 때 시트백커버와 러기지보드는 편평한 플랫한 상태로 연결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커버의 상단에는 복수개의 노치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노치홈을 기준으로 접혀짐에 따라 시트백커버의 상단은 후방으로 돌출된 삼각단면 모양의 가림부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커버의 좌우측 최상단 위치에 가이드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돌기는 시트백커버의 좌우측 최하단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돌기는 결합돌기와 하단돌기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커버의 표면을 커버링하도록 결합된 부직포재질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KR1020200088534A 2020-07-17 2020-07-17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KR10237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34A KR102376926B1 (ko) 2020-07-17 2020-07-17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534A KR102376926B1 (ko) 2020-07-17 2020-07-17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077A KR20220010077A (ko) 2022-01-25
KR102376926B1 true KR102376926B1 (ko) 2022-03-21

Family

ID=8004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534A KR102376926B1 (ko) 2020-07-17 2020-07-17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9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403A (ja) 2004-06-17 2006-01-05 Piolax Inc シートバックボード構造
JP2007091136A (ja) 2005-09-30 2007-04-12 Tachi S Co Ltd カーペット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9775B2 (ja) * 1998-03-02 2002-01-21 河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トノカバー装置
KR100402856B1 (ko) 2000-12-26 2003-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러기지 보드
KR100534826B1 (ko) * 2004-04-08 2005-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러기지 트레이 커버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1403A (ja) 2004-06-17 2006-01-05 Piolax Inc シートバックボード構造
JP2007091136A (ja) 2005-09-30 2007-04-12 Tachi S Co Ltd カーペット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077A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8445B2 (en) Auxiliary seat storage structure
US7040685B2 (en) Seat storing structure for a vehicle
US8317259B2 (en) Seat device for vehicle
US10189373B2 (en) Seat arrangement
US20020171282A1 (en) Vehicle seat
US20110241372A1 (en) Tonneau cover device of vehicle
JP5115290B2 (ja) デッキボード及びデッキボードの取付構造
US7950712B2 (en) Deck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of deck board
US9145073B2 (en) Collapsible bolster cushion
US7159922B2 (en) Seat structure for vehicle
US20130200673A1 (en) Easy-entry vehicle seat with cover assembly
KR102376926B1 (ko) 차량용 러기지보드와 시트백의 갭 최소화장치
JP4293208B2 (ja) 自動車後部の荷室構造
JP6236233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30031067A (ko) 차량용 러기지보드 장치
JP5099443B2 (ja) デッキボードの移動機構
KR102643489B1 (ko) 확장형 러기지보드 장치
JP2003118451A (ja) 車両用シート
JP2008273399A (ja) 荷室ボード連動構造
US11938849B2 (en) Seat for vehicle having fold-and-dive function
JP7383345B2 (ja) 車両構造
KR102441965B1 (ko) 리어시트용 힌지브라켓
KR20220135855A (ko) 차량 리어시트용 백보드 조립체
JP2011131662A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KR20120045449A (ko) 슬라이딩 러기지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