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869B1 -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869B1
KR102376869B1 KR1020190143460A KR20190143460A KR102376869B1 KR 102376869 B1 KR102376869 B1 KR 102376869B1 KR 1020190143460 A KR1020190143460 A KR 1020190143460A KR 20190143460 A KR20190143460 A KR 20190143460A KR 102376869 B1 KR102376869 B1 KR 102376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odine
silicon compound
carbon atoms
ph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896A (ko
Inventor
츠토무 오기하라
츠카사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4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8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C07F7/1872Preparation; Treatments not provided for in C07F7/20
    • C07F7/1892Preparation; Treatments not provided for in C07F7/20 by reactions not provided for in C07F7/1876 - C07F7/1888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수 분해성 알콕시기의 가수 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으로 표시되고, 페닐기에 결합하는 트리알킬실릴((R0)3Si)기를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I-X)에 의해 요오드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9115422818-pat00018

(상기 반응식 중, R0은 전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R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기, R2는 탄소수 1∼10의 유기기, R3은 탄소수 1∼10의 유기기, R은 탄소수 1∼6의 유기기이다. n0은 1, 2 또는 3, n1은 1, 2 또는 3, n2는 0, 1 또는 2, n3은 0, 1 또는 2, 1≤n1+n3≤3이며, X는 친전자 활성종으로서 작용하는 요오드의 대향 치환기이다.)

Description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IODINE-CONTAINING SILICON COMPOUND}
본 발명은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EUV 광의 흡수 효율이 높은 요오드 함유 화합물은, 현재 EUV 리소그래피의 공업화의 과제의 하나로 되어 있는 EUV용 레지스트의 성능 개선에 기대를 갖게 하고 있다. 요오드 함유 화합물 중에서도 안정된 것으로서 요오드가 직접 방향환과 결합한 유기기, 특히 요오드화페닐기가 도입된 규소 함유 레지스트 하층막(이하 폴리실록산 하층막이라 함)에는, EUV 레지스트의 패터닝 성능 개선의 가능성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오드화페닐기를 갖는 폴리실록산 하층막을 얻기 위해서는, 요오드화페닐기가 도입된 가수 분해성 규소 화합물(이하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이라 함)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브롬화페닐실란 화합물과 Mg으로 그리냐르 시약을 제조하여 요오드와 반응하는 방법(특허문헌 1: [0058] 단락) 및 요오드화페닐렌과 특정 그리냐르 시약을 작용시킨 후, 테트라알콕시실란과 반응시키는 방법(특허문헌 2: [0085] 단락)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그리냐르 시약에 대한 자기 반응성을 막기 위해,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가수 분해성 알콕시기로서는 반응성이 낮은 특정한 기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얻어지는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가수 분해 성능이 한정되어, 범용성이 낮은 화합물밖에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방법에서도 자기 반응을 막기 위해, 온화한 조건으로 44시간과 장시간에 걸쳐 반응을 진행시키고 있어, 비경제적이다.
또한, 그 밖의 유기 화학적인 방법으로서, 하기 반응식과 같은 벤젠디아조늄염을 경유한 요오드화페닐기의 합성도 생각할 수 있지만, 반응 도중에 수계 시약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가수 분해성 규소 함유 화합물의 제조에는 부적합하다.
Figure 112019115422818-pat00001
[특허문헌 1] WO01/8360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14314호 공보
이상과 같이, 치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가수 분해성 알콕시기의 가수 분해 없이, 또한 알콕시기의 종류에 대하여 제약이 없는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보다 경제적인 제조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가수 분해성 알콕시기의 가수 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기 반응식으로 표시되고, 페닐기에 결합하는 트리알킬실릴((R0)3Si)기를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I-X)에 의해 요오드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21109313419-pat00019
(상기 반응식 중, R0은 전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R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기, R2는 탄소수 1∼10의 유기기, R3은 탄소수 1∼10의 유기기, R은 탄소수 1∼6의 유기기이다. n0은 1, 2 또는 3, n1은 1, 2 또는 3, n2는 0, 1 또는 2, n3은 0, 1 또는 2, 1≤n1+n3≤3이며, X는 친전자 활성종으로서 작용하는 요오드의 대향 치환기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이라면, 가수 분해성 알콕시기의 가수 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R0이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조 방법이라면, 트리알킬실릴((R0)3Si)기가 이탈하기 쉽기 때문에, 온화한 조건으로 반응이 진행되고, 가수 분해성 알콕시기의 가수 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보다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이 일염화요오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을 이용하면, 부반응이 일어나기 어렵고, 부생물의 분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한층 더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산업상 유용한, 특히 EUV 리소그래피용 하층막을 제조할 때에 유용한 요오드화페닐기 함유의 규소 화합물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업적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가수 분해성 알콕시기의 가수 분해 없이, 또한 알콕시기의 종류에 대하여 제약이 없는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보다 경제적인 제조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유기 화합물이나 규소 화합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그리냐르 시약을 대표로 하는 유기 금속 시약을 이용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요오드-탄소 결합은, 매우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요오드를 유지한 채로 유기 금속 시약을 조정하는 것은,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수한 반응 조건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특수한 조건을 필요로 하는 반응에서는, 범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규소 화합물을 공업적으로 채산이 맞는 규모로 제조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트리알킬실릴기를 미리 페닐기 상의 필요한 위치에 도입한 후, 규소 화합물의 골격을 각종 유기 반응으로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트리알킬실릴기를 요오드로 변환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으로 표시되고, 페닐기에 결합하는 트리알킬실릴((R0)3Si)기를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I-X)에 의해 요오드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Figure 112021109313419-pat00020
(상기 반응식 중, R0은 전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R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기, R2는 탄소수 1∼10의 유기기, R3은 탄소수 1∼10의 유기기, R은 탄소수 1∼6의 유기기이다. n0은 1, 2 또는 3, n1은 1, 2 또는 3, n2는 0, 1 또는 2, n3은 0, 1 또는 2, 1≤n1+n3≤3이며, X는 친전자 활성종으로서 작용하는 요오드의 대향 치환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미리 페닐기 상에 이탈기로서 도입되어 있는 트리알킬실릴((R0)3Si)기에 대하여 요오드를 포함하는 친전자 시약을 작용시킴으로써, 트리알킬실릴기의 ipso 위치, 즉 트리알킬실릴기 그 자체가 요오드로 치환됨으로써, 실온 정도의 온화한 조건 하, 단시간에 위치 선택성 효율적으로 요오드를 도입할 수 있다.
Figure 112021109313419-pat00021
(상기 반응식 중, R0은 전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R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기, R2는 탄소수 1∼10의 유기기, R3은 탄소수 1∼10의 유기기, R는 탄소수 1∼6의 유기기이다. n0은 1, 2 또는 3, n1은 1, 2 또는 3, n2는 0, 1 또는 2, n3은 0, 1 또는 2, 1≤n1+n3≤3이며, X는 친전자 활성종으로서 작용하는 요오드의 대향 치환기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이용하는 원료, 즉, 페닐기에 결합하는 트리알킬실릴((R0)3Si)기를 갖는 규소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트리알킬실리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이라고도 함.)이다.
Figure 112021109313419-pat00022
R0은 전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이며, 탄소수 1∼3의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R0)3Si기의 이탈능이 높아지기 때문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기이며, 2가의 유기기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직쇄상,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렌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카르보닐옥시기), 에테르기 등, 그리고, 이들 조합을 들 수 있다. 알킬렌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를 들 수 있고, 조합의 예로는, 카르보닐옥시기와 알킬렌기의 조합(카르보닐옥시메틸렌기, 카르보닐옥시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2는 탄소수 1∼10의 유기기이며, 직쇄상,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알콕시기, 에스테르기를 들 수 있고, 알킬기는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등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R2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R3은 탄소수 1∼10의 유기기이며, 상기 R2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R은 탄소수 1∼6의 유기기이며, 직쇄상,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R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를 들 수 있다.
n0은 1, 2 또는 3, n1은 1, 2 또는 3, n2는 0, 1 또는 2, n3은 0, 1 또는 2이다. 1≤n1+n3≤3이기 때문에, 상기 원료는 1∼3의 (OR)기를 갖고 있고, 가수 분해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트리알킬실릴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페닐기에 결합하는 트리알킬실릴((R0)3Si)기가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I-X)에 의해 요오드로 치환된다. 이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요오드 치환 위치에 상기 트리알킬실릴기(이탈기)를 갖는 트리알킬실릴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원료로서 선택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이용되는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I-X: I는 요오드이며, X는 친전자 활성종으로서 작용하는 요오드의 대향 치환기이다.)으로는, 요오드, 할로겐화요오드(일염화요오드, 일브롬화요오드 등)와 그 피리딘 부가체(PyICl 등), N-요오드이미드류, 금속 요오드화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요오드, 일염화요오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반응 속도를 높이기 위해,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사염화티탄, 삼불화붕소 등의 루이스산류의 첨가나 광조사를 행하여도 좋다. 상기 친전자 시약은 요오드화하는 트리알킬실릴기 1몰에 대하여 1몰 이상, 최대 2몰 정도 첨가하면 좋다. 부반응을 유발하지 않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응을 추적하면서, 첨가량을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은, 하기 용제에 용해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반응에 사용되는 용제로는, 아세트산,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특히 할로겐화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0℃ 이상 용제의 비점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10℃ 이상 40℃ 이하가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다. 반응을 용제의 환류 조건에서 행하여도 좋다.
반응을 행하는 분위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질소 등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분위기 하, 반응계에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반응시의 원료, 생성물의 가수 분해를 피할 수 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등에 의해 반응률을 추적하여, 반응을 완결시키는 것이 수율의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반응 시간은 친전자 시약 적하 종료로부터 0.1∼5시간 정도로 하면 좋다.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I-X)에 의해서는, 부생물로서 트리알킬할로실란류가 얻어진다(요오드의 대향 치환기 X가 할로겐인 경우). 이 경우, 반응 종료 후, 부생물로서 얻어지는 트리알킬할로실란류를 반응 용제와 함께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목적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반응 원료가 소실되었을 때 반응 정지제로서 알코올과 아민의 혼합물을 첨가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반응 후 처리 중에 진행하는 부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알코올과 아민의 혼합물을 첨가하면, 트리알킬할로실란이 반응하여 트리알킬알콕시실린과 할로겐화수소의 아민염이 형성된다. 형성된 아민염을 여과 분별한 후, 알코올, 아민 및 반응 용제를 증류 제거하여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으로서 일염화요오드를 이용하면, 부생하는 트리알킬클로로실란을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생성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 가능한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9115422818-pat00006
Figure 112019115422818-pat00007
Figure 112019115422818-pat00008
Figure 112019115422818-pat00009
Figure 112019115422818-pat00010
Figure 112019115422818-pat00011
Figure 112019115422818-pat00012
Figure 112019115422818-pat00013
Figure 112019115422818-pat00014
Figure 112019115422818-pat00015
Figure 112019115422818-pat00016
얻어진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은, 그대로 요오드 함유 폴리실록산 제조에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증류 정제한 후, 요오드 함유 폴리실록산 제조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300 ㎖의 3구 유리 플라스크에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부착하여, 내부를 질소 치환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4-트리메틸실릴페닐트리메톡시실란 27 g(0.1 mol)과 염화메틸렌 80 g을 주입하였다. 자석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내온을 10℃로 조정하여 일염화요오드 16.5 g과 염화메틸렌 80 g의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적하한 후, 25℃에서 1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GC로 반응을 확인한 바 원료가 소실되고 있으므로, 반응액을 로터리 에바포레이터로 농축하여, 미정제 4-요오드화페닐트리메톡시실란을 얻었다. 이것을 감압 증류하여 4-요오드화페닐트리메톡시실란을 28.9 g(0.09 mol) 얻었다. 수율은 89%였다.
[실시예 2]
500 ㎖의 3구 유리 플라스크에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부착하여, 내부를 질소 치환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3-트리메틸실릴페닐에틸트리에톡시실란 34 g(0.1 mol)과 염화메틸렌 100 g을 주입하였다. 자속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내온을 10℃로 조정하여 일염화요오드 16.5 g과 염화메틸렌 80 g의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적하한 후, 25℃에서 1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GC로 반응을 확인한 바 원료가 소실되고 있었으므로, 트리에틸아민 15 g과 에탄올 20 g의 혼합물을 25℃에서 5분에 걸쳐 적하하여, 25℃에서 30분간 숙성하였다. 반응액에 헥산을 100 g 첨가하여 트리에틸아민염산염을 침전시켜, 이것을 여과 분별하고, 여과액을 로터리 에바포레이터로 농축하여, 미정제 3-요오드화페닐에틸트리에톡시실란을 얻었다. 이것을 감압 증류하여 3-요오드화페닐에틸트리에톡시실란을 36.1 g(0.09 mol) 얻었다. 수율은 92%였다.
[실시예 3]
1000 ㎖의 3구 유리 플라스크에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부착하여, 내부를 질소 치환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3,4-비스트리메틸실릴페닐트리메톡시실란 34 g(0.1 mol)과 염화메틸렌 200 g을 주입하였다. 자석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내온을 10℃로 조정하여 일염화요오드 33 g과 염화메틸렌 200 g의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적하한 후, 25℃에서 2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GC로 반응을 확인한 바 원료가 소실되고 있었으므로, 트리에틸아민 30 g과 메탄올 30 g의 혼합물을 25℃에서 10분에 걸쳐 적하하여, 25℃에서 30분간 숙성하였다. 반응액에 헥산을 300 g 첨가하여 트리에틸아민염산염을 침전시켜, 이것을 여과 분별하여, 여과액을 로터리 에바포레이터로 농축하여, 미정제 3,4-2요오드화페닐트리메톡시실란을 얻었다. 이것을 감압 증류하여 3,4-2요오드화페닐트리메톡시실란을 38.4 g(0.09 mol) 얻었다. 수율은 84%였다.
[비교 합성예 1]
300 ml의 3구 유리 플라스크에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부착하여, 내부를 질소 치환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페닐트리메톡시실란 20 g(0.1 mol)과 염화메틸렌80 g을 주입하였다. 자석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내온 10℃로 조정하여 일염화요오드 16.5 g과 염화메틸렌 80 g의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적하한 후, 25℃에서 1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GC로 반응을 확인하였지만 원료가 미반응으로 남아 있었다. 반응 온도를 40℃로 하여 3시간 더 반응시킨 바, 원료가 분해되어 요오드화벤젠의 피크가 발생하고 있었다.
[비교 합성예 2]
300 ㎖의 3구 유리 플라스크에 환류 냉각기 및 온도계를 부착하여, 내부를 질소 치환하였다. 이 플라스크에, 페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 g(0.1 mol)과 염화메틸렌 80 g을 주입하였다. 자석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내온 10℃로 조정하여 일염화요오드 16.5 g과 염화메틸렌 80 g의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적하한 후, 25℃에서 1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GC로 반응을 확인하였지만 원료가 미반응으로 남아 있었다. 반응 온도를 40℃로 하여 30시간 더 반응시켰지만, 반응의 진행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에서는, 25℃(실온 정도)에서 1∼2시간 반응함으로써, 원료가 분해되는 일없이, 원료를 소실시킬 수 있고, 높은 수율로 목적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비교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트리알킬실릴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과 다른 원료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으로서 일염화요오드를 이용하여도, 실온 정도에서는 원료는 소실되지 않고, 반응 온도를 올리고, 또한 반응 시간도 길게 하면 원료가 분해되어 버려, 목적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얻을 수 없다.
상기한 결과로부터, 트리알킬실릴기를 온화한 조건으로 단시간에 요오드로 치환함으로써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가 가능한 것, 즉, 가수 분해성 알콕시기의 가수 분해를 일으키지 않고,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EUV 리소그래피의 성능 개선에 기대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폴리실록산 하층막을 형성하기 위한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가수 분해성 규소 화합물을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공업적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어떠한 것이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

  1. 하기 반응식으로 표시되고, 페닐기에 결합하는 트리알킬실릴((R0)3Si)기를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I-X)에 의해 요오드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Figure 112021109313419-pat00023

    (상기 반응식 중, R0은 전부 동일하여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은 탄소수 1∼6의 알킬기, R1은 단결합 또는 2가의 유기기이며, 여기서, 상기 유기기는, 직쇄상,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렌기, 카보닐기, 에스테르기(카르보닐옥시기), 에테르기 또는 이들의 조합이고, R2는 탄소수 1∼10의 직쇄상이나 탄소수 3∼10의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에스테르기이며, 여기서, 상기 알킬기는 에스테르기 또는 에테르기를 더 가지고 있어도 좋고, R3은 탄소수 1∼10의 직쇄상이나 탄소수 3∼10의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에스테르기이며, 여기서, 상기 알킬기는 에스테르기 또는 에테르기를 더 가지고 있어도 좋고, R은 탄소수 1∼6의 직쇄상이나 탄소수 3∼6의 분기상 혹은 환상의 알킬기이다. n0은 1, 2 또는 3, n1은 1, 2 또는 3, n2는 0, 1 또는 2, n3은 0, 1 또는 2, 1≤n1+n3≤3이며, X는 친전자 활성종으로서 작용하는 요오드의 대향 치환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0이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 함유 친전자 시약이 일염화요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단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오드화페닐기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0190143460A 2018-11-12 2019-11-11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2376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2146 2018-11-12
JP2018212146A JP7406300B2 (ja) 2018-11-12 2018-11-12 ヨウ素含有ケイ素化合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896A KR20200054896A (ko) 2020-05-20
KR102376869B1 true KR102376869B1 (ko) 2022-03-18

Family

ID=6858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460A KR102376869B1 (ko) 2018-11-12 2019-11-11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8774B2 (ko)
EP (1) EP3650452B1 (ko)
JP (1) JP7406300B2 (ko)
KR (1) KR102376869B1 (ko)
CN (1) CN111171070A (ko)
TW (1) TWI705070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942A (ja) * 2000-04-27 2003-10-28 ダウ・コ−ニング・コ−ポレ−ション 硬化性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及び反応性珪素化合物
WO2013056073A1 (en) * 2011-10-14 2013-04-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mpounds and anti-tumor nqo1 substrat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8206A (en) * 1975-04-22 1977-09-13 Mikhail Grigorievich Voronkov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1-organylsilatranes and carbofunctional derivatives thereof
JP4380229B2 (ja) * 2003-06-09 2009-12-09 旭硝子株式会社 新規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GB2439867B (en) * 2005-03-15 2009-11-11 Isis Innovation Light emitting highly branched dendrimers
JP4411369B2 (ja) * 2007-03-07 2010-02-10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有機シラ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有機シリカ
US8053588B2 (en) * 2007-03-07 2011-11-08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Organosilane compound and organosilica obtained therefrom
CN102051121A (zh) * 2009-12-02 2011-05-11 合肥凯蒙新材料有限公司 用于193纳米波长光刻技术的抗反光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8785671B2 (en) 2010-03-04 2014-07-22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Hokkaido University 6,13-dihalogen-5,14-dihydropentacene derivative and method for producing 6,13-substituted-5,14-dihydropentacene derivative using same
JP5830044B2 (ja) * 2013-02-15 2015-12-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5122437A (ja) 2013-12-24 2015-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薄膜トランジスタ、有機半導体薄膜および有機半導体材料
JP6671265B2 (ja) * 2016-08-17 2020-03-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24744B2 (ja) * 2018-02-22 2022-02-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JP7357505B2 (ja) * 2018-11-21 2023-10-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ヨウ素含有熱硬化性ケイ素含有材料、これを含むeuvリソグラフィー用レジスト下層膜形成用組成物、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942A (ja) * 2000-04-27 2003-10-28 ダウ・コ−ニング・コ−ポレ−ション 硬化性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及び反応性珪素化合物
WO2013056073A1 (en) * 2011-10-14 2013-04-18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mpounds and anti-tumor nqo1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0452B1 (en) 2021-09-08
TWI705070B (zh) 2020-09-21
EP3650452A1 (en) 2020-05-13
US20200148709A1 (en) 2020-05-14
JP2020079208A (ja) 2020-05-28
KR20200054896A (ko) 2020-05-20
US11518774B2 (en) 2022-12-06
CN111171070A (zh) 2020-05-19
TW202024104A (zh) 2020-07-01
JP7406300B2 (ja)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7459B1 (en) Method for producing phenylacetamide compound
JP2006312642A (ja) N,N′−ジ置換されたp−キノンジイミンの製造方法、および該ジアミンからなる安定剤、オルガノし欄組成物、その安定化法、および相転移触媒法
JP3085722B2 (ja) アルキレンカーボネートの製造法
US20150315110A1 (en) Aluminum catalyst
US8513465B2 (en) Potassium organotrifluoroborate derivative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9263316A (ja) 不完全縮合オリゴシルセスキオキサンの製造方法
KR102376869B1 (ko)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WO2011093439A1 (ja) N,n'-ジアリル-1,3-ジアミノプロパンの製造方法
EP2167516B1 (en) Process for producing phosphine oxide vitamin d precursors
TWI720410B (zh) 鉀鹽之製造方法及鉀鹽
US20120277458A1 (en) Method for producing difluorocyclopropane compound
JP2006298922A (ja) 不飽和の環状オルト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2009057297A (ja) ホスホニウムイオン液体、ビアリ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イオン液体の使用方法
CN101163657B (zh) 卤代烷基醚化合物的制造方法
WO2020175495A1 (ja) 塩の製造方法
US6545166B2 (en) Process for producing spiro acetal derivative
JP3477631B2 (ja) 1,3−ビス(3−アミノプロピル)−1,1,3,3−テトラオルガノジシロキサンの精製方法
JP2020527584A5 (ko)
CN1307165C (zh) 4-甲基-5-甲酰噻唑的制造方法
JP5305580B2 (ja) オキセタン化合物
US7772443B2 (en) Iodine-containing fluoropolyeth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344422B2 (ja) p−ブロモフェノール類の製造方法
JP2009149595A (ja) シアノエチルエーテル類の製造方法
JP2007112788A (ja) オキセタン化合物
JP2007056024A (ja) ノルボルネン誘導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