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804B1 -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804B1
KR102376804B1 KR1020180034450A KR20180034450A KR102376804B1 KR 102376804 B1 KR102376804 B1 KR 102376804B1 KR 1020180034450 A KR1020180034450 A KR 1020180034450A KR 20180034450 A KR20180034450 A KR 20180034450A KR 102376804 B1 KR102376804 B1 KR 102376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ontact plug
layer
converting
aband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444A (ko
Inventor
지연혁
문범호
김인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804B1/ko
Priority to US16/193,453 priority patent/US10847519B2/en
Priority to CN201811633697.0A priority patent/CN110364479B/zh
Publication of KR2019011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44A/ko
Priority to US17/075,849 priority patent/US1154549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2Modification of the material of dielectric layers, e.g. grading, after-treat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ayers, to increase their density etc.
    • H01L21/76826Modification of the material of dielectric layers, e.g. grading, after-treatment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layers, to increase their density etc. by contacting the layer with gases, liquids or plasmas
    • H01L27/1085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10B12/033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plu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 H01L21/0212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containing Si, O, and at least one of H, N, C, F, or other non-metal elements, e.g. SiOC, SiOC:H or SiONC the material being boron or phosphorus doped silicon oxides, e.g. BPSG, BSG or PS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oxide, e.g. S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37Filling up the space between adjacent conductive structures; Gap-filling properties of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95Local interconnects; Local pads, as exemplified by patent document EP0896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4Conductive vias through the substrate with or without pins, e.g. buried coaxi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3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being formed on, or in,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5386Geometry or layout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 H01L27/10867
    • H01L27/1088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8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being in a trench in the substrate
    • H10B12/038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buried strap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5Bit line conta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10B12/315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with the capacitor higher than a bit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ometry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이웃한 패턴구조물들간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본 기술에 따른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1콘택플러그 및 상기 제1콘택플러그 상의 도전라인을 포함하는 라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인구조물의 상부면과 측벽들을 커버링하며, 제1저유전율을 갖는 저유전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콘택플러그의 측벽에 이웃하되 상기 제1저유전율을 유지하는 미-컨버팅부분과 상기 도전라인의 측벽에 이웃하되 상기 제1저유전율보다 낮은 제2저유전율을 갖는 컨버팅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저유전율층을 컨버팅프로세스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컨버팅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콘택플러그에 이웃하면서 상기 컨버팅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전라인에 이웃하는 제2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WITH LOW K SPAC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저유전율스페이서(Low k spacer)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이웃하는 패턴구조물들 사이에 절연물질(Dielectric material)이 형성된다. 반도체 장치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패턴구조물들간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이로 인해, 기생캐패시턴스(Parasitic capacitance)가 증가되고 있다. 기생캐패시턴스가 증가됨에 따라 반도체장치의 성능(Performance)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웃한 패턴구조물들간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1콘택플러그 및 상기 제1콘택플러그 상의 도전라인을 포함하는 라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인구조물의 상부면과 측벽들을 커버링하며, 제1저유전율을 갖는 저유전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콘택플러그의 측벽에 이웃하되 상기 제1저유전율을 유지하는 미-컨버팅부분과 상기 도전라인의 측벽에 이웃하되 상기 제1저유전율보다 낮은 제2저유전율을 갖는 컨버팅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저유전율층을 컨버팅프로세스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컨버팅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콘택플러그에 이웃하면서 상기 컨버팅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전라인에 이웃하는 제2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제1콘택플러그 및 상기 제1콘택플러그 상의 도전라인을 포함하는 도전구조물; 제2콘택플러그; 상기 제1콘택플러그와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위치하는 초기 스페이서; 및 상기 초기 스페이서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도전라인과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초기 스페이서보다 낮은 유전율을 갖는 컨버팅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팅스페이서는 상기 초기 스페이서로부터 컨버팅된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는 반도체기판 상의 제1도전패턴 및 상기 제1도전패턴 상의 제2도전패턴을 포함하는 제1패턴구조물; 상기 제1패턴구조물로부터 이격된 제3도전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반도체기판 상의 제2패턴구조물; 상기 제1도전패턴과 상기 제2도전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저유전율 물질; 및 상기 저유전율 물질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도전패턴과 제3도전패턴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저유전율 물질보다 낮은 유전율을 갖는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산화물은 상기 저유전율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부터 컨버팅된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유전율 물질은 SiCO, SiCN, SiOCN, SiBN 또는 SiB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유전율 물질 및 실리콘산화물에 접촉된 실리콘질화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도전패턴과 제3도전패턴 사이에는 상기 저유전율 물질과 제1도전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상기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도전패턴과 제3도전패턴 사이에는 상기 실리콘산화물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한 쌍의 상기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되, 상기 저유전율 물질은 상기 실리콘질화물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유전율 물질은 상기 제1도전패턴과 제3도전패턴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실리콘질화물보다 큰 두께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산화물은 상기 제2도전패턴과 제3도전패턴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실리콘질화물보다 큰 두께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은 저유전율물질의 유전율을 더욱 낮추어 이웃한 패턴구조물들간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은, 비트라인과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사이에 저유전율물질의 산화물을 형성하므로써,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와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사이에 저유전율물질을 형성하므로써,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와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사이에 식각 내성을 갖는 저유전율스페이서를 형성하므로써, 스페이서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C-C'선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D-D'선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9는 반도체장치(200)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단면도, 평면도 및 블록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절연구조물(112)의 구성요소는 동일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장치(100)는 기판(101), 복수의 패턴구조물(105P) 및 패턴구조물(105P)의 양측벽에 형성된 절연구조물(1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1) 상에 복수의 패턴구조물(105P)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구조물(105P)은 기판(101) 상에 형성된 제1도전패턴(102)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구조물(105P)은 제1도전패턴(102) 상의 제2도전패턴(103) 및 제2도전패턴(103) 상의 하드마스크패턴(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패턴(102)은 기판(101)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도전패턴(102)과 기판(101)은 분리물질 또는 절연물질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제1도전패턴(102)과 제2도전패턴(103)은 폴리실리콘, 금속, 금속질화물, 금속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패턴(104)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다층의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제1도전패턴(102)의 측벽에 위치하는 제1절연물질(109)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제1절연물질(109)로부터 컨버팅되어 제1절연물질(109)보다 낮은 유전율을 갖는 제2절연물질(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절연물질(110)은 제2도전패턴(103)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복수의 제3절연물질(111A, 111B, 11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제3절연물질(111A)은 제1절연물질(109)에 접촉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절연물질(111B, 111C)은 제2절연물질(11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도전패턴(102)의 측벽에는 제1절연물질(109)과 제3절연물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절연물질(111A)은 제1도전패턴(102)의 측벽에 접촉할 수 있고, 제1절연물질(109)은 제3절연물질(111A)에 접촉할 수 있다. 제2도전패턴(103)의 측벽에는 제2절연물질(11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제3절연물질(111B, 111C)이 형성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스페이서구조물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구조물(112)은 다층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반도체장치(100')는 기판(101), 제1패턴구조물(105), 제2패턴구조물(108) 및 제1패턴구조물(105)과 제2패턴구조물(108) 사이의 절연구조물(11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1) 상에 제1패턴구조물(105)과 제2패턴구조물(108)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패턴구조물(105)과 제2패턴구조물(108) 사이에 절연구조물(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2개의 제1패턴구조물(105) 사이에 제2패턴구조물(108)이 위치할 수 있다.
제1패턴구조물(105)은 도 1의 패턴구조물(105P)과 동일할 수 있다. 제1패턴구조물(105)은 기판(101) 상에 형성된 제1도전패턴(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패턴구조물(104)은 제1도전패턴(102) 상의 제2도전패턴(103) 및 제2도전패턴(103) 상의 하드마스크패턴(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패턴구조물(108)은 제3도전패턴(1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패턴구조물(107)은 제3도전패턴(106) 상의 제4도전패턴(1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다층의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제1도전패턴(102)과 제3도전패턴(106) 사이에 위치하는 제1절연물질(109)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제1절연물질(109)보다 낮은 유전율을 갖는 제2절연물질(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절연물질(110)은 제2도전패턴(103)과 제3도전패턴(10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복수의 제3절연물질(111A, 111B, 11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제3절연물질(111A)은 제1절연물질(109)에 접촉할 수 있다. 한 쌍의 제3절연물질(111B, 111C)은 제2절연물질(11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도전패턴(102)과 제3도전패턴(106) 사이에는 제1절연물질(109)과 제3절연물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절연물질(111A)은 제1도전패턴(102)의 측벽에 접촉할 수 있고, 제1절연물질(109)은 제3도전패턴(106)의 측벽에 접촉할 수 있다. 제2도전패턴(103)과 제3도전패턴(106) 사이에는 제2절연물질(110)과 한 쌍의 제3절연물질(111B, 111C)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제3절연물질(111B)은 제2도전패턴(103)의 측벽에 접촉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제3절연물질(111C)은 제3도전패턴(106)의 측벽에 접촉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스페이서구조물' 또는 '저유전율스페이서구조물'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구조물(112)은 다층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절연구조물(112)은 이웃하는 패턴구조물(105P)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는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절연구조물(112)은 제1패턴구조물(105)과 제2패턴구조물(108)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는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제1절연물질(109), 제2절연물질(110) 및 제3절연물질(111A, 111B, 111C)은 저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은 제1저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절연물질(110)은 제2저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3절연물질(111A, 111B, 111C)은 제3저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저유전율은 제1저유전율보다 낮을 수 있고, 제1저유전율은 제3저유전율보다 낮을 수 있다. 제1저유전율은 5 이하일 수 있고, 제3저유전율은 약 7.5일 수 있으며, 제2저유전율은 약 3.9일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 제2절연물질(110) 및 제3절연물질(111A, 111B, 111C)은 저유전율물질(low k material)일 수 있다.
제2절연물질(110)은 제1절연물질(109)과 동일한 물질로부터 컨버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절연물질(110)은 제1절연물질(109)과 동일한 물질을 실리콘산화물로 컨버팅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팅에 의해 제2절연물질(110)은 제1절연물질(109)보다 낮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실리콘산화물로 컨버팅시키기 위해, 라디칼산화공정이 도입될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은 제3절연물질(111A, 111B, 111C)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절연물질(109)은 제3절연물질(111A, 111B, 111C)보다 식각률(Etch rate)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절연구조물(112)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은 5 이하의 저유전율(low k)을 가질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은 실리콘베이스물질(silicon bas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은 불순물(impurity)을 함유할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의 저유전율은 불순물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은 불순물 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은 카본(Carbon), 보론(Boro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은 SiCO, SiCN, SiOCN, SiBN 또는 SiBCN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불순물에 의해 제1절연물질(109)은 제3절연물질(111A, 111B, 111C)보다 식각률이 작을 수 있다.
제2절연물질(110)은 제1절연물질(109)보다 큰 함량의 산화물 성분(oxdie component)을 가질 수 있다. 제2절연물질(110)은 제1절연물질(109)로부터 산화된 실리콘산화물일 수 있다. 제2절연물질(110)은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보다 낮은 유전율을 갖도록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로부터 산화된 실리콘산화물일 수 있다. 컨버팅된 실리콘산화물은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은 라디칼산화 공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3절연물질(111)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절연물질(111)은 불순물이 미함유된 실리콘질화물(이하,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이라고 약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은 SixNy 또는 Si3N4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NON(Nitride-Oxide-Nitride) 구조 및 NL(Nitride-Low k)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NL 구조는 제3절연물질(111A)/제1절연물질(109)의 스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NON 구조는 제3절연물질(111B)/제2절연물질(110)/제3절연물질(111C)의 스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NL 구조의 일 예는,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저유전율물질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NL 구조의 다른 예는,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NON 구조의 일 예는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의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반도체장치(100, 100')는 메모리셀의 일부일 수 있다.
패턴구조물(105P) 및 제1패턴구조물(105)에서, 제1도전패턴(102)은 제1콘택플러그일 수 있다. 제2도전패턴(103)은 도전라인일 수 있다. 제2패턴구조물(108)은 제2콘택플러그일 수 있다. 제1절연물질(109)은 미-컨버팅스페이서(non-converting spacer)라고 지칭될 수 있고, 제2절연물질(110)은 컨버팅스페이서(converting space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다층의 저유저율스페이서일 수 있다. 따라서, 절연구조물(112)은 제1콘택플러그와 제2콘택플러그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절연구조물(112)은 도전라인과 제2콘택플러그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패턴구조물(105P) 및 제1패턴구조물(105)은 비트라인구조물일 수 있다. 제1도전패턴(102)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일 수 있다. 제2도전패턴(103)은 비트라인일 수 있다. 제2패턴구조물(108)은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일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비트라인스페이서일 수 있다. 따라서, 절연구조물(112)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와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비트라인과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도전패턴(102)과 제2도전패턴(103)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일 수 있다. 제2패턴구조물(108)은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영역에 접속된 콘택플러그일 수 있다. 절연구조물(112)은 게이트스페이서 또는 콘택스페이서일 수 있다. 따라서, 절연구조물(112)은 게이트전극과 콘택플러그간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턴구조물(105P)은 라인 형상의 금속배선일 수 있다. 따라서, 절연구조물(112)은 이웃하는 금속배선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C-C'선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D-D'선에 따른 평면도이다.
반도체장치(200)는 복수의 메모리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메모리셀은 매립워드라인(206)을 포함하는 셀트랜지스터, 비트라인(213) 및 메모리요소(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장치(200)를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기판(201)에 소자분리층(202) 및 활성영역(203)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자분리층(202)에 의해 복수의 활성영역(203)이 정의될 수 있다. 기판(201)은 반도체프로세싱에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기판(201)은 반도체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1)은 실리콘을 함유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201)은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폴리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실리콘저마늄, 단결정 실리콘저마늄, 다결정 실리콘저마늄, 탄소 도핑된 실리콘, 그들의 조합 또는 그들의 다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1)은 저마늄과 같은 다른 반도체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판(201)은 Ⅲ/Ⅴ족 반도체기판, 예컨대 GaAs과 같은 화합물반도체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판(201)은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자분리층(202)은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판(201)에 게이트트렌치(204)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트렌치(204)의 표면 상에 게이트절연층(205)이 형성된다. 게이트절연층(205) 상에 게이트트렌치(204)를 부분적으로 채우는 매립워드라인(206)이 형성될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206) 상에 게이트캡핑층(207)이 형성될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206)의 상단표면은 기판(201)의 표면보다 낮은 레벨일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206)은 저저항 금속물질일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206)은 티타늄질화물과 텅스텐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매립워드라인(206)은 티타늄질화물 단독(TiN Only)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206)은 매립게이트전극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기판(201)에 제1 및 제2불순물영역(208, 20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불순물영역(208, 209)은 게이트트렌치(204)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불순물영역(208, 209)은 소스/드레인영역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불순물영역(208, 209)은 비소(As) 또는 인(P) 등의 N형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매립워드라인(206), 제1 및 제2불순물영역(208, 209)은 셀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다. 셀트랜지스터는 매립워드라인(206)에 의해 숏채널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기판(201) 상에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가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는 제1불순물영역(208)에 접속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는 비트라인콘택홀(2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홀(211)은 하드마스크층(212)에 형성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212)은 기판(20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212)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홀(211)은 제1불순물영역(208)을 노출시킬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의 하부면은 기판(201)의 상부면보다 낮을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는 폴리실리콘 또는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의 일부는 비트라인콘택홀(211)의 직경보다 더 작은 선폭을 가질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 상에 비트라인(213)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213) 상에 비트라인하드마스크(214)가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 비트라인(213) 및 비트라인하드마스크(214)의 적층구조물은 비트라인구조물(BL)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비트라인(213)은 매립워드라인(206)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트라인(213)의 일부는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와 접속될 수 있다. A-A' 방향에서 볼 때, 비트라인(213)과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는 선폭(line width)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비트라인(213)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를 커버링하면서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비트라인(213)은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하드마스크(214)는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구조물(BL)의 하부 측벽에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구조물(BL)의 상부 측벽에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은 비트라인(213) 및 비트라인하드마스크(214)의 양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의 양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홀(211)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 및 제1스페이서구조물(215)로 채워질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홀(211)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 양측에 정의된 갭(G)을 포함할 수 있다. 갭(G)의 내부에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이 채워질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은 비트라인(213)의 양측벽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웃하는 비트라인구조물(BL) 사이에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는 스토리지노드콘택홀(217)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콘택홀(217)은 고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는 제2불순물영역(209)에 접속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는 하부 플러그(218)와 상부 플러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는 하부 플러그(218)와 상부 플러그(220) 사이의 오믹콘택층(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믹콘택층(219)은 금속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러그(218)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플러그(220)는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구조물(BL)과 평행하는 방향에서 볼 때, 이웃하는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 사이에 플러그분리층(22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분리층(221)은 이웃하는 비트라인구조물(BL) 사이에 형성되며, 하드마스크층(212)과 함께 스토리지노드콘택홀(217)을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분리층(221)에 의해 이웃하는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들이 분리될 수 있다. 이웃하는 비트라인구조물(BL) 사이에서, 복수의 플러그분리층(221)과 복수의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가 번갈아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플러그(220) 상에 메모리요소(230)가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요소(230)는 스토리지노드를 포함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는 필라 형태(Pillar type)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토리지노드 상에 유전층 및 플레이트노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는 필라형태 외에 실린더형태가 될 수도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과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와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의 하부플러그(21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은 비트라인(213)과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의 하부플러그(21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과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은 복수의 저유전율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구조물(BL)의 측벽에 제1스페이서(S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S1)는 비트라인(213)의 측벽에 접촉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S1)의 바텀부는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의 측벽에 접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S1)의 바텀부는 갭(G)의 일부 표면을 라이닝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스페이서(S1)가 비트라인구조물(BL)의 양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S2)는 제1스페이서(S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S2)는 비트라인(213)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S2)의 바텀부는 제1스페이서(S1)의 바텀부에 접촉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S2)의 바텀부는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의 하부플러그(218)에 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스페이서(S2)가 비트라인구조물(BL)의 양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스페이서(S3)는 제2스페이서(S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스페이서(S3)는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SNC)에 접촉될 수 있다. 제3스페이서(S3)는 제2스페이서(S2)의 바텀부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쌍의 제2스페이서(S3)가 비트라인구조물(BL)의 양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S1), 제2스페이서(S2) 및 제3스페이서(S3)는 모두 저유전율물질일 수 있다. 제1스페이서(S1), 제2스페이서(S2) 및 제3스페이서(S3)는 각각 제1저유전율스페이서, 제2저유전율스페이서, 제3저유전율스페이서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S2)는 미-컨버팅부분(S21)과 컨버팅부분(S22)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미-컨버팅부분(S21)과 동일한 물질로부터 컨버팅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미-컨버팅부분(S21)으로부터 산화된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컨버팅부분(S22)은 미-컨버팅부분(S21)을 실리콘산화물로 컨버팅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팅에 의해 컨버팅부분(S21)은 미-컨버팅부분(S22)보다 낮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실리콘산화물로 컨버팅시키기 위해, 라디칼산화공정이 도입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미-컨버팅부분(S21)은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보다 식각률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2스페이서(S2)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5 이하의 저유전율(low k)을 가질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실리콘베이스물질(silicon bas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불순물(impurity)을 함유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의 저유전율은 불순물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불순물 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은 카본(Carbon), 보론(Boro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은 SiCO, SiCN, SiOCN, SiBN 또는 SiBCN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불순물에 의해 미-컨버팅부분(S21)은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보다 식각률이 작을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미-컨버팅부분(S21)보다 큰 함량의 산화물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보다 낮은 유전율을 갖도록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로부터 산화된 실리콘산화물일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미-컨버팅부분(S21)보다 폭이 작을 수 있다.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는 동일 물질일 수 있다.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는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는 불순물이 미함유된 실리콘질화물(이하,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이라고 약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은 SixNy 또는 Si3N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의 유전율은 약 7.5일 수 있다.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은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Conventional Silicon nitride)을 지칭할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보다 낮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의 유전율은 약 3.9일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보다 낮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의 유전율은 5 이하일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미-컨버팅부분(S21), 제1스페이서(S1) 및 제3스페이서(S3)보다 낮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고, 컨버팅부분(S22)은 비트라인(213)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의 양측벽에서 갭(G)을 채울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플러그 형상(Plug-shape)을 가질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비트라인(213)의 양측벽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은 제1스페이서(S1) 및 미-컨버팅부분(S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은 제1스페이서(S1), 컨버팅부분(S22) 및 제3스페이서(S3)를 포함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S21)은 '초기 스페이서(Initial spacer)'라고 지칭될 수 있다. 컨버팅부분(S22)은 '컨버팅스페이서'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은 NL(Nitride-Low k)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은 NON(Nitride-Oxide-Nitride)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NL 구조는 제1스페이서(S1)/미-컨버팅부분(S21)의 스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NON 구조는 제1스페이서(S1)/컨버팅부분(S22)/제3스페이서(S3)의 스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4a 내지 도 4d에 따르면,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에 의해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와 하부 플러그(218)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 내에서 미-컨버팅부분(S21)이 최대 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예컨대, 미-컨버팅부분(S21)은 제1스페이서(S1)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스페이서(S1)은 약 1nm의 두께일 수 있고, 미-컨버팅부분(S21)은 2nm보다 큰 두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 차이를 가지므로,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에서 차지하는 미-컨버팅부분(S21)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국, 제1스페이서구조물(215) 내에 미-컨버팅부분(S21)이 지배적으로 포함되도록 하므로써, 기생캐패시턴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에 의해 비트라인(213)과 하부 플러그(218)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216) 내에서 컨버팅부분(S22)이 최대 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예컨대, 컨버팅부분(S22)은 제1스페이서(S1) 및 제3스페이서(S3)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1스페이서(S1) 및 제3스페이서(S3)은 약 1nm의 두께일 수 있고, 컨버팅부분(S22)은 2nm보다 큰 두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 차이를 가지므로, 제2스페이서구조물(216)에서 차지하는 컨버팅부분(S22)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국, 제2스페이서구조물(216) 내에 컨버팅부분(S22)이 지배적으로 포함되도록 하므로써, 기생캐패시턴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의 미-컨버팅부분(S21)이 불순물함유 저유전율물질을 포함하므로,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비교예1로서,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이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로만 이루어진 경우,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와 하부 플러그(218)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기 어렵다. 비교예2로서,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이 일반적인 실리콘산화물(Conventional SiO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실리콘산화물(Conventional SiO2)은 미-컨버팅부분(S21)의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예, SiCO)과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일반적인 실리콘산화물(Conventional SiO2)은 컨버팅부분(S22)의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과 다른 물질일 수 있다. 비교예2의 경우, 일반적인 실리콘산화물의 식각손실로 인해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반적인 실리콘산화물이 손실되면, 비트라인콘택플러그(210)와 하부 플러그(218)가 숏트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의 미-컨버팅부분(S21)은 식각률이 작기 때문에 제1 및 제3스페이서(S1, S3)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공정에서 손실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토리지노드콘택홀(217)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 동안에 제1스페이서구조물(215)의 미-컨버팅부분(S21)은 손실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9는 반도체장치(200)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9는 도 3의 A-A'선 및 B-B'선에 따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에 소자분리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자분리층(12)에 의해 활성영역(13)이 정의된다. 소자분리층(12)은 STI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STI 공정은 다음과 같다. 기판(11)을 식각하여 분리트렌치(도면부호 생략)를 형성한다. 분리트렌치는 절연물질로 채워지고, 이에 따라 소자분리층(12)이 형성된다. 소자분리층(12)은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기상증착(CVD) 또는 다른 증착공정은 절연물질로 분리트렌치를 채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CMP(chemical-mechanical polishing)와 같은 평탄화 공정(planarization process)이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판(11) 내에 매립워드라인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구조물은 게이트트렌치(15), 게이트트렌치(15)의 바닥면과 측벽을 커버링하는 게이트절연층(16), 게이트절연층(16) 상에서 게이트트렌치(15)를 부분적으로 채우는 매립워드라인(17), 매립워드라인(17) 상에 형성된 게이트캡핑층(18)을 포함할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11) 내에 게이트트렌치(15)가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트렌치(15)는 활성영역(13) 및 소자분리층(12)을 횡단하는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게이트트렌치(15)는 기판(11) 상에 마스크패턴(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트렌치(15)를 형성하기 위해, 식각장벽으로서 하드마스크층(14)이 사용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은 마스크패턴에 의해 패터닝된 형상일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층(14)은 TEOS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트렌치(15)의 저면은 소자분리층(12)의 저면보다 높은 레벨일 수 있다. 게이트트렌치(15)의 깊이는 후속 매립워드라인전극의 평균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충분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전극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트렌치(15)의 바텀 모서리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므로써, 게이트트렌치(15)의 바텀부에서 요철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게이트전극의 채움(filling)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소자분리층(12)의 일부를 리세스시켜 게이트트렌치(15) 아래의 활성영역을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B' 방향으로, 게이트트렌치(15) 아래의 소자분리층(12)을 선택적으로 리세스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트렌치(15) 아래에 핀영역(fin region, 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될 수 있다. 핀영역은 채널영역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게이트트렌치(15)의 바닥면 및 측벽들 상에 게이트절연층(16)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6)을 형성하기 전에, 게이트트렌치(15) 표면의 식각손상을 치유할 수 있다. 예컨대, 열산화 처리에 의해 희생산화물을 형성한 후, 희생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6)은 열산화 공정(Thermal Oxida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트렌치(15)의 바닥 및 측벽들을 산화시켜 게이트절연층(16)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절연층(16)은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또는 원자층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등의 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6)은 고유전물질, 산화물, 질화물, 산화 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전물질은 하프늄함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프늄함유물질은 하프늄산화물, 하프늄실리콘산화물, 하프늄실리콘산화질화물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유전물질은 란탄산화물, 란탄알루미늄산화물, 지르코늄산화물, 지르코늄실리콘산화물, 지르코늄실리콘산화질화물, 알루미늄산화물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고유전물질로는 공지된 다른 고유전물질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절연층(16)은 라이너폴리실리콘층을 증착한 후, 라이너폴리실리콘층을 라디칼산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절연층(16)은 라이너실리콘질화물층을 형성한 후, 라이너실리콘질화물층을 라디칼산화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게이트절연층(16) 상에 매립워드라인(17)이 형성될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17)을 형성하기 위해, 게이트트렌치(15)를 채우도록 도전층(도시 생략)을 형성한 후 리세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리세싱 공정은 에치백(etchback) 공정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 및 에치백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17)은 게이트트렌치(15)를 부분으로 채우는 리세스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매립워드라인(17)의 상부 표면은 활성영역(13)의 상부 표면보다 낮은 레벨일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17)은 금속, 금속질화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매립워드라인(17)은 티타늄질화물(TiN), 텅스텐(W) 또는 티타늄질화물/텅스텐(TiN/W)으로 형성될 수 있다. 티타늄질화물/텅스텐(TiN/W)은 티타늄질화물을 컨포멀하게 형성한 후 텅스텐을 이용하여 게이트트렌치(15)를 부분적으로 채우는 구조일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17)으로서 티타늄질화물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TiN Only" 구조의 매립워드라인(17)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립워드라인(17) 상에 게이트캡핑층(18)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캡핑층(18)은 절연물질을 포함한다. 매립워드라인(17) 상에서 게이트트렌치(15)의 나머지 부분이 게이트캡핑층(18)으로 채워진다. 게이트캡핑층(18)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캡핑층(18)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게이트캡핑층(18)은 NON(Nitride-Oxide-Nitride) 구조일 수 있다. 게이트캡핑층(18)의 상부 표면은 하드마스크층(14)의 상부 표면과 동일 레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게이트캡핑층(18) 형성시 CMP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게이트캡핑층(18) 형성 이후에, 제1불순물영역(19)과 제2불순물영역(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불순물영역(19)과 제2불순물영역(20)은 임플란트 등의 도핑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불순물영역(19)과 제2불순물영역(20)은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제1불순물영역(19)과 제2불순물영역(20)은 동일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불순물영역(19)은 제2불순물영역(20)보다 더 깊을 수 있다. 제1불순물영역(19)과 제2불순물영역(20)은 소스/드레인영역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불순물영역(19)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가 접속될 영역일 수 있다. 제2불순물영역(20)은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가 접속될 영역일 수 있다.
매립워드라인(17), 제1불순물영역(19) 및 제2불순물영역(20)에 의해 메모리셀의 셀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콘택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콘택홀(21)을 형성하기 위해 콘택마스크(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하드마스크층(14)을 식각할 수 있다. 제1콘택홀(21)은 평면상으로 볼 때 써클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콘택홀(21)에 의해 기판(11)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제1콘택홀(21)은 일정 선폭으로 제어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1콘택홀(21)은 활성영역(13)의 일부분을 노출시키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콘택홀(21)에 의해 제1불순물영역(19)이 노출된다. 제1콘택홀(21)은 활성영역(13)의 단축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제1콘택홀(21)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 공정에서 제1불순물영역(19), 소자분리층(12) 및 게이트캡핑층(18)의 일부가 식각될 수 있다. 즉, 제1콘택홀(21) 아래의 게이트캡핑층(18), 제1불순물영역(19) 및 소자분리층(12)이 일정 깊이 리세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콘택홀(21)의 저부를 기판(11) 내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제1콘택홀(21)이 확장됨에 따라, 제1불순물영역(19)의 표면이 리세스될 수 있고, 제1불순물영역(19)의 표면은 활성영역(13)의 표면보다 낮은 레벨이 될 수 있다. 제1콘택홀(21)은 비트라인콘택홀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플러그(22A)가 형성된다. 예비 플러그(22A)는 선택적에피택셜성장(SE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비 플러그(22A)는 SEG SiP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적에피택셜성장에 의해 보이드없이 예비 플러그(22A)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비 플러그(22A)는 폴리실리콘층 증착 및 CMP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비 플러그(22A)는 제1콘택홀(21)을 채울 수 있다. 예비 플러그(22A)의 상부 표면은 하드마스크층(14)의 상부 표면과 동일 레벨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라인도전층(23A)과 비트라인하드마스크층(24A)이 적층될 수 있다. 예비 플러그(22A) 및 하드마스크층(14) 상에 비트라인도전층(23A)과 비트라인하드마스크층(24A)을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비트라인도전층(23A)은 금속함유물질을 포함한다. 비트라인도전층(23A)은 금속, 금속질화물, 금속실리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트라인도전층(23A)은 텅스텐(W)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트라인도전층(23A)은 티타늄질화물과 텅스텐의 적층(TiN/W)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티타늄질화물은 배리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비트라인하드마스크층(24A)은 비트라인도전층(23A) 및 예비 플러그(22A)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하드마스크층(24A)은 실리콘산화물 또는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트라인하드마스크층(24A)은 실리콘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하드마스크층(24A) 상에 비트라인마스크층(25)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마스크층(25)은 감광막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라인마스크층(25)은 SPT(Spacer Patterning Technology), DPT(Double patterning Technology)와 같은 패터닝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비트라인마스크층(25)은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상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라인(23)과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가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23)과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23)과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는 비트라인마스크층(25)을 이용한 식각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마스크층(25)을 식각장벽으로 하여 비트라인하드마스크층(24A) 및 비트라인도전층(23A)을 식각한다. 이에 따라, 비트라인(23) 및 비트라인하드마스크(24)가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23)은 비트라인도전층(23A)의 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하드마스크(24)는 비트라인하드마스크층(24A)의 식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속해서, 비트라인(23)과 동일한 선폭으로, 예비 플러그(22A)를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가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는 제1불순물영역(1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는 제1불순물영역(19)과 비트라인(23)을 상호 접속시킬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는 제1콘택홀(2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선폭은 제1콘택홀(21)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 주변에 갭(G)이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가 형성되므로써 제1콘택홀(21) 내에 갭(G)이 형성된다. 이는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가 제1콘택홀(21)의 직경보다 더 작게 식각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갭(G)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를 에워싸는 서라운딩 형상이 아니라,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양측벽에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결국, 제1콘택홀(21) 내에는 하나의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와 한 쌍의 갭(G)이 위치하며, 한 쌍의 갭(G)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에 의해 분리된다. 갭(G)의 저면은 소자분리층(12)의 내부로 확장될 수 있다. 즉, 갭(G)의 저면은 제1불순물영역(19)의 리세스된 상부 표면보다 낮은 레벨일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 비트라인(23) 및 비트라인하드마스크(24)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물은, 비트라인구조물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비트라인구조물은 라인 형상의 패턴구조물일 수 있다.
비트라인마스크층(25)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층(26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양측벽 및 비트라인(23)의 양측벽을 커버링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비트라인하드마스크(24)의 상부면을 커버링할 수도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후속 공정에서 비트라인(23)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보호물질(passivation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비트라인(23)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이 두꺼운 경우, 기생캐패시턴스 감소가 어렵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약 1nm의 두께일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약 7.5의 저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제1보호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스페이서층(2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제1스페이서층(26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5 이하의 저유전율(low k)을 가질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저유전물질(low k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초기 저유전율층(Initial low k layer)' 또는 '베이스 저유전율층(base low k material layer)'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초기 저유전율층 및 베이스 저유전율층은 컨버팅되기 이전의 물질을 일컫는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카본, 보론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의 저유전율은 불순물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은 SiCO, SiCN, SiOCN, SiBN 또는 SiBCN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불순물에 의해 제2스페이서층(27A)은 제1스페이서층(26A)보다 식각률이 작을 수 있다. 즉, 제2스페이서층(27A)은 제1스페이서층(26A)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의 일부는 갭(G)을 채울 수 있다. 예컨대, 제1스페이서층(26A)은 갭(G)의 표면을 컨포멀하게 라이닝할 수 있고, 제2스페이서층(27A)의 일부는 제1스페이서층(26A) 상에서 갭(G)의 내부를 채울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제1스페이서층(26A)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2nm보다 큰 두께일 수 있다. 기생캐패시턴스 감소를 위해, 제1스페이서층(26A)은 최대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얇은 실리콘질화물(Thin silicon nitride)일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은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undoped silicon nitride), 예컨대,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Conventional Si3N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제1스페이서층(26A)보다 식각률이 작을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은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하고, 제1스페이서층(26A)은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은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보다 식각률이 작을 수 있다. 동일한 건식식각(또는 건식세정) 및 습식식각(또는 습식세정) 조건하에서, 제2스페이서층(27A)은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보다 식각률이 작다. 예컨대, NF3/H2O의 건식식각에서 제2스페이서층(27A)의 식각률은 약 0.2Å일 수 있고,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의 식각률은 약 14.6Å일 수 있다. LAL 용액을 이용한 습식식각에서, 제2스페이서층(27A)의 식각률은 약 0.4Å일 수 있고,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의 식각률은 약 11.1Å일 수 있다. LAL용액은 H2O, HF 및 NH4F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스페이서층(27A)은 제1스페이서(26A)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으로서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예, SiCN, SiOCN, SiBN, SiBCN)은 카본, 보론 등의 불순물을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인 실리콘질화물은 카본 또는 보론이 도핑되지 않은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페이서층(27A)은 컨버팅 공정(Converting process, 28)에 노출될 수 있다.
컨버팅 공정(28)에 의해 제2스페이서층(27A)은 부분적으로 컨버팅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스페이서층(27A)은 컨버팅부분(Converted portion, 27B)과 미-컨버팅부분(non-converted portion, 27R)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은 비트라인(23)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은 갭(G)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의 상부 표면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상부 표면과 동일 레벨일 수 있다.
컨버팅 공정(28)은 제2스페이서층(27A)의 유전율을 보다 낮은 유전율로 컨버팅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 컨버팅 공정(28)은 산화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팅 공정(28)은 라디칼산화공정(radical oxidation process)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칼산화공정에 의해 제2스페이서층(27A)이 부분적으로 산화될 수 있다. 여기서, 산화된 부분이 컨버팅부분(27B)이 될 수 있고, 산화되지 않고 잔류하는 부분은 미-컨버팅부분(27R)이 될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과 미-컨버팅부분(27R)은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은 제2스페이서층(27A)의 저유전율을 유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의 유전율은 제2스페이서층(27A)의 저유전율보다 낮을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의 유전율은 미-컨버팅부분(27R)보다 낮을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은 약 3.9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의 대부분, 즉 갭(G)의 외부에 형성된 제2스페이서층(27A)은 컨버팅부분(27B)으로 완전히 컨버팅(Fully-converting)될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은 비트라인(23)의 측벽에서 제1스페이서층(26A)에 접촉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측벽에서 제1스페이서층(26A)에 접촉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은 컨버팅부분(27B)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은 제1스페이서층(26A)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은 제2스페이서층(27A)과 동일 물질일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은 도프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프드물질은 카본, 보론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은 SiCO, SiCN, SiOCN, SiBN, SiBCN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은 전술한 도프드물질로부터 컨버팅된 실리콘산화물(이하,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이라고 약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은 불순물을 포함하는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은 카본, 보론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팅부분(27B)은 SiCO, SiCN, SiOCN, SiBN, SiBCN 또는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프드물질로부터 컨버팅된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 내에 카본, 보론 등의 불순물이 존재할 수는 있으나,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은 도프드물질보다 실리콘산화물 성분이 지배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은 도프드물질보다 유전율이 낮아질 수 있다.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은 일반적인 실리콘산화물과 유사한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버티드 실리콘산화물의 유전율은 약 3.9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버팅부분(27B) 상에 제3스페이서층(29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미-컨버팅부분(27R)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절연물질일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저유전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A9)은 컨버팅부분(27B)보다 높은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과 제1스페이서층(26A)은 동일한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과 제1스페이서층(26A)은 동일 물질일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언도프드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과 제1스페이서층(26A)은 동일 두께일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컨버팅부분(27B)보다 얇은 두께일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갭(G)을 채우지 않을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후속 공정시 컨버팅부분(27B) 및 미-컨버팅부분(27R)이 제거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층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이 두꺼운 경우 기생캐패시턴스 감소가 어렵기 때문에, 제3스페이서층(29A)은 보호층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최대한의 얇은 두께일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제2보호층'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은 약 1nm의 두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양측벽에는 제1스페이서층(26A) 및 미-컨버팅부분(27R)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23)의 양측벽에는 제1스페이서층(26A), 컨버팅부분(27B) 및 제3스페이서층(29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30A)이 형성된다. 희생층(30A)은 비트라인구조물 사이의 공간을 채운다. 희생층(30A)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희생층(30A)은 실리콘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희생층(30A)은 스핀온절연물질(Spin On Dielectric; SOD)을 포함할 수 있다. 후속하여 희생층(30A)은 비트라인하드마스크(24)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평탄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트라인구조물 사이에 라인 형상의 희생층(30A)이 형성될 수 있다. 희생층(30A)은 비트라인구조물과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희생층(30A)의 평탄화 공정시에 비트라인하드마스크(24)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1스페이서층(26A), 컨버팅부분(27B) 및 제3스페이서층(29A)이 평탄화될 수 있다. 평면상으로 볼 때, 제1스페이서층(26A), 컨버팅부분(27B) 및 제3스페이서층(29A)은 비트라인(23)의 측벽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라인구조물 및 희생층(30A) 상에 라인형 마스크패턴(31)이 형성된다. 라인형 마스크패턴(31)은 비트라인구조물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패터닝된다. 라인형 마스크패턴(31)은 라인 형상을 갖는다. 라인형 마스크패턴(31)은 감광막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인형 마스크패턴(31)은 라인/스페이스 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평면상으로 볼 때, 라인형 마스크패턴(31)의 스페이스는 매립워드라인(17)과 오버랩될 수 있다. 라인형 마스크패턴(31)에 의해 희생층(30A)의 상부 표면이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30A)에 예비 분리부(Pre-isolation part, 32)가 형성될 수 있다. 라인형 마스크패턴(31)을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희생층(30A)을 식각한다. 이에 따라, 예비 분리부(32)가 형성되며, 이웃하는 예비 분리부(32) 사이에 희생층패턴(30)이 잔류할 수 있다.
예비 분리부(32)는 매립워드라인(17)에 오버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비 분리부(32)는 매립워드라인(17)보다 작은 선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형 마스크패턴(31)이 제거된다. 예비 분리부(32)에 플러그분리층(Plug isolation layer, 33)이 형성된다. 플러그분리층(33)은 예비 분리부(32)를 갭필하도록 실리콘질화물을 형성한 후 평탄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분리층(33)은 비트라인구조물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비트라인구조물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희생층패턴(30)은 비트라인구조물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비트라인구조물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구조물과 평행하는 방향에서 플러그분리층(33)과 희생층패턴(30)이 교대로 번갈아 위치할 수 있다. 플러그분리층(33)은 예비 분리부(32)를 채울 수 있다.
플러그분리층(33)과 제3스페이서층(29A)은 동일 물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플러그분리층(33)과 제3스페이서층(29A)은 서로 다른 물질일 수 있다. 플러그분리층(33)과 제3스페이서층(29A)은 희생층패턴(30)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패턴(30)이 제거된다. 희생층패턴(30)이 제거된 공간은 예비 제2콘택홀(34')이 된다. 비트라인구조물과 평행하는 방향에서, 예비 제2콘택홀(34')과 플러그분리층(33)이 교대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예비 제2콘택홀(34')은 비트라인구조물과 플러그분리층(33)에 의해 고립된 형상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예비 제2콘택홀(34')은 평면상으로 볼 때, 사각형 형태의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희생층패턴(30)을 제거하기 위해 딥아웃(Dip-out)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딥아웃 공정에 의해 제1스페이서층(26A), 컨버팅부분(27B) 및 제3스페이서층(29A)의 손실없이 선택적으로 희생층패턴(30)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제2콘택홀(34')에 자기-정렬되도록 하부물질들을 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콘택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콘택홀(34)은 예비 제2콘택홀(34')이 하향 확장된(Downwardly extending) 형상일 수 있다.
제2콘택홀(34)을 형성하기 위해, 예비 제2콘택홀(34') 아래의 제3스페이서층(29A), 컨버팅부분(27B), 제1스페이서층(26A) 및 하드마스크층(14)이 순차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제2콘택홀(34)은 기판(11)의 표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2콘택홀(34)의 저부는 기판(11) 내부로 확장될 수 있다. 제2콘택홀(34)을 형성하는 동안에, 소자분리층(12), 게이트캡핑층(18) 및 제2불순물영역(20)이 일정 깊이 리세스될 수 있다. 제2콘택홀(34)의 바닥면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상부 표면보다 낮은 레벨일 수 있다. 제2콘택홀(34)의 바닥면은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바닥면보다 높은 레벨일 수 있다. 제2콘택홀(34)은 스토리지노드콘택홀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2콘택홀(34)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에 의해 비트라인구조물의 측벽에 복수의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는 적어도 3가지의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갖는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는 제1스페이서(26), 제2스페이서(27L, 27U) 및 제3스페이서(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26)는 비트라인구조물의 측벽에 접촉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27L, 27U)는 제1스페이서(26)를 커버링할 수 있다. 제3스페이서(29)는 제2스페이서(27L, 27U)의 상부(27U)를 커버링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27L, 27U)의 바텀부(27L)는 제3스페이서(29)에 의해 커버링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스페이서(27L, 27U)는 미-컨버팅스페이서(27L)와 컨버팅스페이서(27U)를 포함할 수 있다. 미-컨버팅스페이서(27L)는 비트라인구조물의 하부 측벽에 위치할 수 있고, 컨버팅스페이서(27U)는 비트라인구조물의 상부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미-컨버팅스페이서(27L)는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고, 컨버팅스페이서(27U)는 비트라인(23)의 측벽에 위치할 수 있다. 미-컨버팅스페이서(27L)는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양측벽에서 갭(G)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미-컨버팅스페이서(27L)는 플러그 형상(Plug-shape)을 가질 수 있다. 미-컨버팅스페이서(27L)은 플러깅 스페이서 또는 갭필스페이서라고 지칭될 수 있다.
비트라인(23)의 측벽에는 제1스페이서(26), 컨버팅스페이서(27U) 및 제3스페이서(29)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측벽에는 제1스페이서(26) 및 미-컨버팅스페이서(27L)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26)는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측벽에 형성되면서, 비트라인(23)의 측벽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3스페이서층(29A)의 식각에 의해 제3스페이서(29)가 형성된다. 제3스페이서(29)의 측벽에 정렬시켜 제2스페이서층(27A) 및 제1스페이서층(26A)이 순차적으로 식각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의 컨버팅부분(27B)의 식각에 의해 컨버팅스페이서(27U)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층(27A)의 미-컨버팅부분(27R)의 식각에 의해 미-컨버팅스페이서(27L)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층(26A)의 식각에 의해 제1스페이서(26)가 형성될 수 있다.
미-컨버팅부분(27R)의 식각률이 제3스페이서(29) 및 제1스페이서(26)보다 작기 때문에, 미-컨버팅스페이서(27L)의 식각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의 측벽에는 제1스페이서(26)와 미-컨버팅스페이서(27L)를 포함하는 제1스페이서구조물(S31)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라인(23)의 측벽에는 제1스페이서(26), 컨버팅스페이서(27U) 및 제3스페이서(29)를 포함하는 제2스페이서구조물(S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S31)은 더블 스페이서(Double spacer) 구조일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S32)은 트리플 스페이서(triple spacer) 구조일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S31)은 NL(Nitride-low k) 구조일 수 있고, 제2스페이서구조물(S32)은 NON(Nitride-Oxide-Nitride) 구조일 수 있다. 제1스페이서구조물(S31) 내에서 미-컨버팅스페이서(27L)가 최대 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S32) 내에서 컨버팅스페이서(27U)가 최대 체적을 차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1스페이서구조물(S31) 형성시, 미-컨버팅스페이서(27L)가 최대 체적을 차지하도록 하고, 제1스페이서(26) 및 제3스페이서(29)를 얇게 형성하므로, 기생캐패시턴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제2스페이서구조물(S32) 형성시, 컨버팅스페이서(27U)가 최대 체적을 차지하도록 하고, 제1스페이서(26)를 얇게 형성하므로, 기생캐패시턴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컨버팅스페이서(27U)의 손실을 억제하므로, 제2스페이서구조물(S32)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는 제2콘택홀(34)을 채울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의 제2불순물영역(20)과 접촉할 수 있다.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는 비트라인구조물과 이웃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복수의 비트라인구조물 사이에 복수의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가 위치할 수 있다. 비트라인(23)에 평행하는 방향에서, 복수의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와 복수의 플러그분리층(33)이 교대로 번갈아 위치할 수 있다(도 3 참조).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는 하부 플러그(35L), 오믹콘택층(35M) 및 상부 플러그(35U)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하부 플러그(35L)는 실리콘함유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러그(35L)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실리콘은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하부 플러그(35L)는 제2불순물영역(20)과 접속된다. 하부 플러그(35L)의 상부 표면은 비트라인(23)의 상부 표면보다 높을 수 있다. 하부 플러그(35L)를 형성하기 위해 제2콘택홀(34)을 채우도록 폴리실리콘을 증착한 후 평탄화 및 에치백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트라인(23)과 하부 플러그(35L) 사이에 제2스페이서구조물(S32)이 위치할 수 있다.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와 하부 플러그(35L) 사이에 제1스페이서구조물(S3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26)와 제3스페이서(29)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고, 컨버팅스페이서(27U)가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므로, 비트라인(23)과 하부 플러그(35L) 사이에 NON(Nitride-Oxide-Nitride) 스페이서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26)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고, 미-컨버팅스페이서(27L)가 저유전물질을 포함하므로,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와 하부 플러그(35L) 사이에 NL(Nitride-low k) 스페이서가 위치할 수 있다.
하부 플러그(35L) 상에 오믹콘택층(35M)이 형성될 수 있다. 오믹콘택층(35M)은 금속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믹콘택층(35M)을 형성하기 위해 실리사이드화금속층(Silicidable metal layer)의 증착 및 어닐링(annealing)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실리사이드화금속층과 하부 플러그(35L)가 접하는 계면에서 실리사이드화반응(Silicidation)이 발생하여, 금속실리사이드층(Metal silicide layer)이 형성된다. 오믹콘택층(35M)은 코발트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믹콘택층(35M)은 'CoSi2상'의 코발트실리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믹콘택층(35M)으로서 CoSi2 상(phase)의 코발트실리사이드를 형성하면, 콘택저항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저저항의 코발트실리사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오믹콘택층(35M) 상에 상부 플러그(35U)가 형성된다. 상부 플러그(35U)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물질(미도시)의 갭필 및 평탄화가 수행될 수 있다. 상부 플러그(35U)는 오믹콘택층(35M) 상에서 제2콘택홀(34)을 채우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러그(35U)는 금속함유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러그(35U)는 텅스텐을 함유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러그(35U)는 텅스텐층 또는 텅스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러그(35L)가 폴리실리콘을 포함하고, 오믹콘택층(35M) 및 상부 플러그(35U)가 금속물질을 포함하므로,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는 하이브리드플러그(Hybrid plug) 또는 세미메탈플러그(Semi-metal plug)라고 지칭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 플러그(35U) 상에 메모리요소(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컨버팅스페이서(27L)를 포함하는 제1스페이서구조물(S31)를 형성하므로써, 비트라인콘택플러그(22)와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스페이서구조물(S31) 내에서 미-컨버팅스페이서(27L)가 최대 체적을 차지하므로, 기생 캐패시턴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유전율이 높은 제1스페이서(26)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 유전율이 낮은 미-컨버팅스페이서(27L)의 두께를 두껍게 하므로, 기생캐패시턴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비교예로서, 제1스페이서구조물(S31)이 실리콘질화물로만 이루어진 질화물단독구조(Nitride only structure)의 경우에는, NL(Nitride-Low k) 구조보다 기생캐패시턴스가 높을 수 있다. 다른 비교예로서, 제1스페이서구조물(S31)이 실리콘질화물과 실리콘산화물로 이루어진 NO 구조(Nitride-Oxide structure)의 경우에는, NL(Nitride-Low k) 구조보다 구조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컨대, NO 구조는 후속 공정에서 실리콘산화물이 손실될 수 있다.
또한, 컨버팅스페이서(27U)를 포함하는 제2스페이서구조물(S32)를 형성하므로써 비트라인(23)와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35) 사이의 기생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2스페이서구조물(S32) 내에서 컨버팅스페이서(27U)가 최대 체적을 차지함과 동시에 제1스페이서(26)가 얇으므로, 기생 캐패시턴스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생캐패시턴스가 감소하므로 메모리셀의 센싱마진(Sensing margin)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01 : 기판 202 : 소자분리층
203 : 활성영역 204 : 게이트트렌치
205 : 게이트절연층 206 : 매립워드라인
207 : 게이트캡핑층 208, 209 : 제1,2불순물영역
210 : 비트라인콘택플러그 211 : 비트라인콘택홀
212 : 하드마스크층 213 : 비트라인
214 : 비트라인하드마스크 215 : 제1스페이서구조물
216 : 제2스페이서구조물 217 : 스토리지노드콘택홀
218 : 하부 플러그 219 : 오믹콘택층
220 : 상부 플러그 221 : 플러그분리층
230 : 메모리요소 S1 : 제1스페이서
S2 : 제2스페이서 S3 : 제3스페이서
S21 : 미-컨버팅부분 S22 : 컨버팅부분

Claims (35)

  1. 반도체 기판 상에 제1콘택플러그 및 상기 제1콘택플러그 상의 도전라인을 포함하는 라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라인구조물의 상부면과 측벽들을 커버링하며, 제1저유전율을 갖는 저유전율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콘택플러그의 측벽에 이웃하되 상기 제1저유전율을 유지하는 미-컨버팅부분과 상기 도전라인의 측벽에 이웃하되 상기 제1저유전율보다 낮은 제2저유전율을 갖는 컨버팅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저유전율층을 컨버팅프로세스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미-컨버팅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콘택플러그에 이웃하면서 상기 컨버팅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전라인에 이웃하는 제2콘택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율층을 컨버팅프로세스에 노출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컨버팅부분은 상기 저유전율층을 실리콘산화물로 컨버팅시켜 형성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율층을 컨버팅프로세스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라디칼 산화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율층은 5보다 낮은 저유전율을 갖는 실리콘베이스물질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율층은 카본, 보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불순물함유 실리콘베이스물질로 형성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율층은 SiCO, SiCN, SiOCN, SiBN 또는 SiBCN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컨버팅부분은 SiCO, SiCN, SiOCN, SiBN 및 SiBCN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팅부분은 상기 실리콘베이스물질로부터 컨버팅된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율층을 컨버팅프로세스에 노출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라인구조물의 측벽에 제1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전율층을 컨버팅프로세스에 노출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컨버팅부분 상에 제2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팅부분 및 미-컨버팅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보호층보다 낮은 유전율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팅부분은 상기 제2보호층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은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컨버팅 부분은 상기 제2보호층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플러그와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상기 제1보호층과 미-컨버팅부분이 차례로 적층된 스택이 형성되고,
    상기 도전라인과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상기 제1보호층, 상기 컨버팅 부분 및 상기 제2보호층이 차례로 적층된 스택이 형성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컨버팅부분은 상기 제1보호층보다 두껍고,
    상기 컨버팅부부은 상기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보다 두꺼운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팅 부분은 상기 미-컨버팅부분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하되, 상기 미-컨버팅부분은 상기 컨버팅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팅 부분은 상기 도전라인의 양측벽에 평행하는 라인 형상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미-컨버팅부부은 상기 제1콘택플러그의 양측벽에 위치하는 플러그 형상을 갖고 형성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절연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물질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택홀을 채우는 예비 플러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플러그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전층을 식각하여 상기 도전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라인과 동일 선폭으로 상기 예비 플러그를 식각하여 상기 제1콘택플러그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콘택플러그 양측에 갭을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컨버팅부분은 상기 갭을 채우는 형상을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플러그는 비트라인콘택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라인은 비트라인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택플러그는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콘택플러그 상에 메모리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21. 제1콘택플러그 및 상기 제1콘택플러그 상의 도전라인을 포함하는 도전구조물;
    제2콘택플러그;
    상기 제1콘택플러그와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위치하는 초기 스페이서; 및
    상기 초기 스페이서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도전라인과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초기 스페이서보다 낮은 유전율을 갖는 컨버팅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버팅스페이서는 상기 초기 스페이서로부터 컨버팅된 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스페이서는 저유전율 물질(Low k material)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스페이서는 저유전율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팅스페이서는 상기 저유전율 물질로부터 산화된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스페이서는 카본, 보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팅스페이서는 상기 실리콘베이스물질로부터 산화된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스페이서는 SiCO, SiCN, SiOCN, SiBN 또는 SiBCN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컨버팅스페이서는 상기 실리콘베이스물질로부터 산화된 실리콘산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플러그와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상기 초기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1다층스페이서가 위치하고,
    상기 도전라인과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상기 컨버팅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제2다층스페이서가 위치하되,
    상기 초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다층스페이서 내에서 최대 체적을 차지하며, 상기 컨버팅스페이서는 상기 제2다층스페이서 내에서 최대 체적을 차지하는
    반도체장치.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팅스페이서와 도전라인 사이에 위치하는 제1실리콘질화물스페이서; 및
    상기 컨버팅스페이서와 제2콘택플러그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실리콘질화물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실리콘질화물스페이서는 상기 초기 스페이서와 제2콘택플러그 사이까지 연장되는 반도체장치.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리콘질화물스페이서와 제2실리콘질화물스페이서는 상기 초기 스페이서 및 컨버팅스페이서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반도체장치.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및 제2실리콘질화물스페이서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반도체장치.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스페이서는 카본, 보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불순물을 함유하는 실리콘베이스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실리콘질화물스페이서는 상기 불순물이 미함유된 실리콘질화물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팅스페이서는 상기 도전라인의 양측벽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라인 형상을 갖는 반도체장치.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콘택플러그의 양측벽에 위치하는 플러그 형상을 갖는 반도체장치.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플러그는 비트라인콘택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라인은 비트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2콘택플러그는 스토리지노드콘택플러그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플러그에 접속되는 제1불순물영역 및 상기 제2콘택플러그에 접속되는 제2불순물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및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불순물영역을 노출시키는 제1콘택홀을 포함하는 절연물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콘택홀은 상기 제1콘택플러그 및 상기 초기 스페이서로 채워지는
    반도체장치.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불순물영역과 제2불순물영역 사이의 게이트트렌치;
    상기 게이트트렌치 내에 형성된 매립워드라인; 및
    상기 제2콘택플러그 상에 형성된 메모리요소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KR1020180034450A 2018-03-26 2018-03-26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6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50A KR102376804B1 (ko) 2018-03-26 2018-03-26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6/193,453 US10847519B2 (en) 2018-03-26 2018-11-16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ow-k spac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201811633697.0A CN110364479B (zh) 2018-03-26 2018-12-29 具有低k间隔件的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17/075,849 US11545494B2 (en) 2018-03-26 2020-10-21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ow-k spacer and converting spac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450A KR102376804B1 (ko) 2018-03-26 2018-03-26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44A KR20190112444A (ko) 2019-10-07
KR102376804B1 true KR102376804B1 (ko) 2022-03-21

Family

ID=6798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450A KR102376804B1 (ko) 2018-03-26 2018-03-26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847519B2 (ko)
KR (1) KR102376804B1 (ko)
CN (1) CN110364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804B1 (ko) * 2018-03-26 2022-03-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683418B (zh) * 2018-06-26 2020-01-21 華邦電子股份有限公司 動態隨機存取記憶體及其製造、寫入與讀取方法
KR20210067352A (ko) * 2019-11-29 2021-06-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수직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21848A (ko) * 2020-03-31 2021-10-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0672A (ko) 2020-07-17 2022-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220032738A (ko) * 2020-09-08 2022-03-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20085033A1 (en) * 2020-09-15 2022-03-17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structure
CN114188284B (zh) * 2020-09-15 2023-06-30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半导体结构的形成方法及半导体结构
KR20230046134A (ko) * 2021-09-29 202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4846A1 (en) 2004-12-16 2006-06-2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US20160322364A1 (en) 2014-02-14 2016-11-03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for reducing coupling capacitan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2245B1 (en) * 2001-10-16 2002-12-10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forming air gap isolation between a bit line contact structure and a capacitor under bit line structure
KR100571658B1 (ko) * 2003-11-21 2006-04-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KR100825034B1 (ko) * 2006-02-21 2008-04-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질화막―질화막―산화막 구조의 스페이서를 갖는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070197021A1 (en) * 2006-02-21 2007-08-23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spacer with nitride/nitride/oxide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732324B2 (en) * 2007-12-20 2010-06-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adhesion and reduced blistering between etch stop layer and dielectric layer
JP2011114049A (ja) * 2009-11-25 2011-06-09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KR101917815B1 (ko) * 2012-05-31 2018-11-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에어갭을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5657A (ko) * 2012-12-26 2014-07-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에어갭을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155063B2 (ja) * 2013-03-19 2017-06-2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基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153455B2 (en) * 2013-06-19 2015-10-0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memory cells, and arrays
US9425200B2 (en) * 2013-11-07 2016-08-23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ir gap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152798B1 (ko) * 2014-03-05 2020-09-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라인형 에어갭을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470132B (zh) * 2014-09-03 2018-08-10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鳍式场效应管的形成方法
KR102255834B1 (ko) 2015-03-20 202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6764B1 (ko) * 2015-12-23 2022-12-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소자분리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5266B1 (ko) * 2017-06-01 2021-12-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09322B1 (ko) * 2017-09-29 2023-03-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에어갭을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4707B1 (ko) * 2018-03-26 2022-09-1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극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76804B1 (ko) * 2018-03-26 2022-03-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7884B1 (ko) * 2018-03-30 2022-11-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패턴 형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KR102606784B1 (ko) * 2018-07-13 2023-11-2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에어갭을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4846A1 (en) 2004-12-16 2006-06-2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structure
US20160322364A1 (en) 2014-02-14 2016-11-03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for reducing coupling capaci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44A (ko) 2019-10-07
US10847519B2 (en) 2020-11-24
CN110364479A (zh) 2019-10-22
US20210035984A1 (en) 2021-02-04
US11545494B2 (en) 2023-01-03
US20190296026A1 (en) 2019-09-26
CN110364479B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707B1 (ko) 극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538812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ir ga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376804B1 (ko)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923390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ir ga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877437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low-k spacer
US20220406789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2035940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3038014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3001780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30011204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164982A1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low-k spac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95694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US2024007416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240121948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220023682A (ko) 저유전율스페이서를 구비한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73476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