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793B1 -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793B1
KR102376793B1 KR1020197008242A KR20197008242A KR102376793B1 KR 102376793 B1 KR102376793 B1 KR 102376793B1 KR 1020197008242 A KR1020197008242 A KR 1020197008242A KR 20197008242 A KR20197008242 A KR 20197008242A KR 102376793 B1 KR102376793 B1 KR 10237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s
shells
channel
turret
ammu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316A (ko
Inventor
이노켄티 그리츠케비치
앙또니 콜로민
Original Assignee
존 코커릴 디펜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코커릴 디펜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존 코커릴 디펜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90077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0Empty-cartridge-case or belt-link collectors or cat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5/00Cartridge extractors, i.e. devices for pulling cartridges or cartridge cases at least partially out of the cartridge chamber; Cartridge ejectors, i.e. devices for throwing the extracted cartridges or cartridge cases free of the gu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Toy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차에 장착된 포탑 (9) 에서 주요 무기 (19) 및/또는 보조 무기 (33) 와 관련된 탄약 (1) 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으로부터 쉘들 (5) 및/또는 커넥터들 (2) 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출 디바이스 (10) 는 탄약 (1) 을 발사한 후에, 결정된 경로를 따라서 상기 포탑 (9) 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상기 쉘들 (5)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 (2) 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기하학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규정된 구조 요소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쉘들 (5)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 (2) 의 상기 이동을 유리하게 하도록 상기 구조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소구경 (small caliber) 으로부터 중구경 (medium caliber) 으로 가면서, 소구경은 보조 무기 ("기관총" 또는 "공축 (coax)" 으로 지칭됨) 와 관련되는 반면에, 중구경은 주요 무기 ("배럴" 로 지칭됨) 와 관련되는 특정한 구경으로 특징 지어지는 탄약의 체인(들) 또는 스트립(들) 의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 로부터의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의 방출에 관한 것이다. 방출은 일반적으로 특정 기하학적 및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 모든 일련의 구조물들을 통하여, 발사 후에 임의의 장갑차에 장착된 포탑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수행된다.
소구경 및/또는 중구경 탄약 잔여물들의 방출에 관한 일련의 기술적 작동들은 2 개의 작동들의 조합으로 일반화될 수도 있다: i) 파이프와 같은 폐쇄된 원형 구조물 내로 중력의 영향 하에서 떨어지는 임의의 물질 (돌들, 식물들 등) 을 회수하는 것, 그리고 ii) 상기 물질의 환경 조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하기 위하여 진동 디바이스가 아래에 위치되게 제공된 벨트와 같은 이동 표면 상에서 상기 물질을 운송하는 것.
임의의 장갑차에 장착된 포탑 내에서, 주요 무기 (배럴) 및/또는 보조 무기 (기관총 또는 공축) 를 향하여 1 개 (또는 여러 개) 의 공급 채널(들)을 통하여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을 운반한 후, 여기서 상기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은 5.56 mm 내지 15 mm 의 소구경, 또는 20 mm 내지 50 mm 의 중구경을 갖고, 그리고 상기 탄약의 발사 후에, 지금까지 쉘들 및/또는 상기 쉘들을 구성하는 커넥터들의 방출은 기술적으로 (기계적, 전기적 등의 파라미터들), 또는 인간 공학 및 안전과 관련하여 어떤 시점에서의 기술적 수준에서 결코 우선권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주요 무기에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중구경 탄약의 발사 후에, 쉘들은 포탑 마스크의 높이에서 배럴 근처에 위치된 오리피스를 통하여 방출된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상기 배럴의 축선과 "실제로" 평행한 전방 방향으로 포탑 외부로 배출되는 반면에, 상기 커넥터들은 HMI (Human Machine Interface), 배선 시스템들 등과 같은 다양한 내부 모듈들 사이의 "랜덤" 경로를 따르는 포탑 내부, 특히 바스켓안에 수집된다.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공축" 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이 방출이 측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진행된다.
보조 무기와 관련된 소구경 탄약에 대해,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 커넥터들 모두에 대하여, 발사 후에 일반적으로 잔여물들로 지칭되는 이들 2 개의 유닛들의 회수는 배럴의 중구경 탄액 체인 또는 스트립의 커넥터들에 대해 이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접근 방식을 따른다.
전술한 2 개의 구경들을 특징으로 하는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회수하기 위한 시스템이 없다면, 이전에 개발된 포탑들을 경제적으로 최적화하면서, 대량, 전기 기계적 파라미터들 및 계약상의 제약 조건들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안전한 접근 방식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프로젝트, 즉 구형 및 신형 프로젝트의 경우에, 포탑의 마스크에 건축 개념을 재고하고 최적화해야한다.
i) 개념적 (전자 및 기계 공학), ii) 안전성, 및 iii) 경제적 관점들에 대해, 전술한 접근 방식은 허용되지 않거나 개발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게다가, 모든 수준들에서 사용자의 요구 사항들이 상대적으로 과감하고, 이는 경쟁력과 혁신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한 이유이다.
선행 기술에서, 제안된 해결책들은 주요 무기를 위한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만이 발사 후에 상기 주요 무기 근처에 배열된 특정 오리피스를 통하여 포탑 외부로, 또는 상기 주요 무기 내부에 제공된 특정 수집기 내로 방출된다는 사실에 기초하게 된다. 보조 무기를 위한 소구경 탄약과 관련된 잔여물들 뿐만 아니라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커넥터들은, 발사 후에, 1 개 (또는 2 개) 의 배출 채널(들) (배럴), 또는 1 개 (또는 2 개) 의 배출 채널(들) (공축) 을 통하여 이동하여, 상기 채널들을 떠날 때, 이들 커넥터들은 포탑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중력의 영향 하에서 바스켓으로 떨어지지만 수용 위치는 무작위로 정해진다.
전술한 접근 방식 외에도, 휴대용 무기들 (권총, 소총, 기관총 등) 에 대해 개발된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보관하기 위한 모든 일련의 보관 디바이스들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의 방출은 허용되고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이들 메카니즘들은 임의의 장갑차에 장착된 포탑 내에서 본 발명에서 개발된 방출 디바이스로 운반 가능하지 않다.
문헌 FR 2,977,018 에서, 발명은 커넥터들에 의해서 연결된 탄약을 발사하는 무기에 의해서 방출된 커넥터들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상기 커넥터 회수 디바이스는 무기로부터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윈도우에 제 1 단부가 고정되는 커넥터들을 운반하는 이동 코리도 (corridor) 를 포함한다. 이동 코리도는 제 2 단부에서 커넥터들을 운반하는 고정 코리도의 제 1 단부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고정 코리도는 제 2 단부가 탄약 박스에 고정되어 상기 탄약 박스 안에서 보이게 된다. 고정 코리도는 또한 고정 코리도에서 각각의 커넥터의 개별 진행을 유리하게 하는 커넥터들을 추진하기 위한 추진 수단을 포함하고, 회수 디바이스는 또한, 이동 코리도 및 고정 코리도에서, 커넥터들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추진 수단은 고정 코리도에 대해 측방향으로 위치되고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그리고 그 회전 축선은 고정 코리도에서 커넥터들의 전진 방향에 수직이고 커넥터들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커넥터 프로펠러는 반경 방향의 강모들을 갖는 원통형 브러시를 포함한다. 가이드 수단은 적어도 i) 각각의 커넥터의 제 1 노치와 대응할 수 있는 이동 코리도에 고정되어 제 1 가이드 레일에 횡방향으로 커넥터를 안내하는 제 1 가이드 레일, ii) 각각의 커넥터의 제 1 노치와 대응할 수 있는 고정 코리도에 고정되어 제 2 가이드 레일에 횡방향으로 커넥터를 안내하는 제 2 가이드 레일, 및 iii) 커넥터가 이동 코리도로부터 고정 코리도로 이동할 때, 각각의 커넥터의 제 2 노치와 대응할 수 있는 고정 코리도에 고정되고 중간 레일에 횡방향으로 커넥터를 안내하는 중간 레일을 포함한다. 고정 코리도의 중간 레일과 이동 코리도 (고정 코리도, 각각) 의 제 1 (제 2, 각각) 가이드 레일은 평행하고 접촉하지 않으면서 부분적으로 겹친다. 커넥터들의 회수로 인해, 탄약 박스는 탄약으로부터 커넥터들을 분리하는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이동 칸막이를 포함하고, 이는 탄약 박스의 부피가 증가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문헌 EP 2,156,131 에서, 발명은 기관총용 중심 리시버를 통하여 빈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측면 방출 벨트에 관한 것이다. 기관총의 이런 측면 방출은 적절한 무게 중심과의 일반적인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럴이 무기 바로 아래에서 무게 중심과 상호 작용하도록 허용하고, 그리고 탄약 박스가 무기 아래에 위치되도록 허용한다. 이들 양태들에서 비롯되는 하나의 목표는 기관총에 상당한 무게, 질량 또는 장비를 추가하지 않는 것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측면 스트립 로딩을 갖는 기관총은 (i) 총기의 한쪽을 통과하면서 사용된 쉘들을 하방으로 편향시키는 탄약 홀더를 갖는 새로운 편향기를 사용하여 사용된 쉘들을 배럴 아래의 방출기로부터 하방으로 방출하고, 그리고 ii) 백의 전체 질량이 무기와 균형을 잡을 때까지 무기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된 백의 상당 부분을 포함한다.
문헌 US20100319521 에서, 무기를 발포하기 위한 링크 슈트 방출 어댑터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위에 위치된 커버를 갖는 탄약 스트립을 포함한다. 제 1 측벽은 베이스 및 커버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무기의 수용 챔버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를 포함한다. 제 2 측벽은 제 1 측벽에 대해 위치되고, 그리고 베이스 및 커버에 커플링된다. 링크 슈트 커플러는 베이스의 원위 단부에서 지지된다. 방출 챔버는 베이스 및 커버,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에 의해서 규정된다. 방출 챔버는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종방향 축선을 따라서 전체적으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근위 단부는 무기의 수용 챔버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원위 단부는 배출 슈트에 연결된다. 하우징의 정지부는 탄약 스트립용 하우징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 1 측벽의 근위 단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탄약 정지부는 탄약 스트립의 탄약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 2 측벽의 근위 단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탄약 정지부는 축선 방향으로 방출 챔버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떨어져, 그리고 제 2 측벽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부터 횡방향으로 멀리 떨어져 이동하는 핑거를 포함한다.
문헌 FR 804,422 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탑승 항공기들에 사용되는 일부 기관총들은 나란히 위치된 2 개의 측면 오리피스들을 포함한다: 이들 쉘들 및 커넥터들이 슬라이딩하여 배출될 때의 탄약의 쉘들용 방출 오리피스 및 이들 쉘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들용 별도의 오리피스. 쉘들의 격렬한 폭발로 인한 위험들을 회피하기 위하여, 방출 코리도는 쉘들 및 커넥터들을 수집하여 이들이 이들의 주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기관총들에 상당히 자주 적용된다. 상기 방출 코리도의 단점은 쉘들 및 커넥터들이 내부에서 혼합되어 빈번하게 얽히게 되고, 이는 쉘이 쉘 박스로 튀어 오르는 경우 기관총이 스웰링되고, 심지어 긁히게 된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게다가, 기관총의 모든 발사 위치들에서, 그리고 수직 이동 동안, 기관총을 엄격히 따라가는 이런 방출 코리도는 이것이 수직 방향에 너무 근접하지 않을 때 중력에 의한 쉘들 및 커넥터들의 유동을 단지 보장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스웰링이 유동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문헌에서 제안된 배출 디바이스는 이들 단점들을 회피하도록 설계되었다. 이것은 이하의 이점들을 얻을 수 있게 한다:
i) 혼합, 얽힘 및 스웰링의 가능성이 없는 기관총으로부터의 출구에서의 쉘들 및 커넥터들의 선택적 배출;
ii) 쉘들 및 커넥터들의 혼합이 더 이상 어떠한 위험도 없는 위치에서만 합쳐지는 별개의 슈트들에 의한 쉘들 및 커넥터들의 안내;
iii) 신중하게 위치된 충돌벽을 사용하여, 슬라이드 박스를 향한 튀어 오름과 기관총의 스크레칭의 가능성이 없으면서 일정한 배출 궤적을 부여하기 위한, 쉘들이 기관총에서 나올 때의 쉘들의 캡처링과, 상기 쉘들의 방출로 인한 유효력 (live force) 의 사용에 의한 기관총의 편향;
iv) 기관총의 이동을 보상하는 피벗팅에 의한 쉘들 및 커넥터들의 중력 유동 필요성에 대한 별도의 슈트들의 자동 각도 조정 (automatic angular adaptation).
문헌 US 4,601,230 A 는 커넥터들을 갖는 탄약 공급부를 사용하는 주요 배럴 및 공축 기관총을 포함하고, 상기 주요 배럴 및 상기 공축 기관총 모두가 장갑차에서 회전할 수 있게 위치되도록 포탑에 장착되는 무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주요 배럴에 의해서 발사된 탄약 커넥터들 및 기관총에 의해서 발사된 탄약 커넥터들 및 쉘들은 장갑차 외부와 통신하는 구획부에서, 주요 무기의 회전자가 회전하는 넥 베어링 (neck bearing) 을 통하여 방출된다. 주요 배럴의 커넥터들을 갖는 탄약은 포탑 바스켓에서 직경 방향으로 위치된 직사각형 탄약 박스에 보관된다. 주요 배럴의 커넥터 방출 슈트들은 슈트 채널들을 통하여 커넥터들의 탭들을 안내하여 슈트의 재밍을 방지하는 가이드 스트립들을 포함한다.
어떤 시점에서의 기술적 수준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의 생각 프로세스는 포탑의 마스크에서, 기하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 기존 환경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는 표준적이고 고유한 아키텍처를 확립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발명의 경우에, 원하는 효과는 탑승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더 안전하고 더 적절하고 편안한 생활 공간을 보장하면서, 포탑의 탑승자들, 즉 지휘관 및 사수가 포탑 내부에 위치된 다른 모듈들 (HMI 시스템, 제어 장치들의 취급 등) 에 대하여, 기능적으로, 그리고 인체 공학적으로, 이전에 규정된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항상 위치되도록 포탑의 마스크 영역에 위치된, 공급 채널(들), 방출 채널(들) 등과 같은 기존 요소들에 대한 이점과 상기 기존 요소들로의 적응를 취하는 디바이스를 개발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하나의 목적은 상기 환경에 대해 이전에 존재하는 요소들의 수, 배열 및 크기에 관해서는 변화시키지 않고, 기능적으로 및 안전성 측면에서 보다 잘 최적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개발되는 방출 디바이스는 변하지 않는 아키텍처에 추가되는 것으로 규정되기 때문에, 바디 구조물 내부, 그리고 결과적으로 포탑의 바디 구조물 내부는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고 (기하학적 구조, 크기, 위치 등), 이는 인테리어 모듈들의 레이아웃이 동일한 철학을 존중한다는 전제하에, 승무원들을 위한 기본 작업 영역이 20 mm 내지 50 mm 의 중구경 배럴, 및/또는 5.56 mm 내지 15 mm 의 소구경 공축이 체결되는 각각의 포탑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명의 주요 특징들
본 발명에서, 소구경 및/또는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는 롤링 베어링들의 영역에서 포탑의 마스크의 하우징에,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i) 주요 무기에 대한 방출 채널(들) 및 ii) 보조 무기에 직접 연결된 배출 채널(들) 모두의, 마스크에서, 출구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기준으로서 주요 무기의 주 축선을 고려할 때, 방출 시스템은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공급 시스템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즉 2 개의 시스템들 (공급 시스템 및 방출 시스템) 은 주요 무기의 주 축선에 대해 대칭이다. 배럴을 위한 지지 플레이트의 외부 레이아웃들이 일반적인 구성 측면에서 어떠한 변경들도 거의 필요로 하지 않도록 바디 구조물이 배럴을 위한 지지 플레이트 (마스크 근처) 와 관련된 특정 단부를 갖는다는 사실로 인해 방출 디바이스는 또한 이 위치에서 위치될 수 있었다.
발사 후에, 배럴의 경우에,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커넥터들은 방출 디바이스에서 스위칭하도록 중구경 탄약의 타입에 근거하여 1 개 (또는 2 개) 의 배출 채널(들), 즉 상부 채널 및/또는 하부 채널을 통하여 운반될 수 있는 반면에, 보조 무기의 경우에, 소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쉘들 및 커넥터들은 단일 배출 채널을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쉘들 (또는 상기 커넥터들) 은 하부 배출 채널로 돌진하고 상기 커넥터들 (또는 상기 쉘들) 은 상부 채널로 돌진하고, 결국에는 마찬가지로 방출 디바이스 내로 급락한다.
마지막으로,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관점에서, 일정한 시나리오들에서, 바스켓은 포탑의 바디 구조물에 통합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따라서, 포탑의 작동과 관련된 조작들이 승무원에 의해서 장갑차 자체의 내부에서 직접 이루어진다는 전제하에, 상기 바스켓은 이런 인클로져로부터 완전히 빠져있다. 결과적으로, 지휘관 및 사수는 바스켓이 아니고 장갑차 내부에 자리잡는 반면에, 방출 시스템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 채로 있다. 다시 말해서, 방출 시스템의 위치 결정 및 작동은 포탑 내부에 있는 사람의 수와는 무관하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들) 또는 스트립(들) (또는 이들의 조합) 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출 디바이스는 장갑차 포탑에 장착되고, 그리고, 탄약을 발사한 후에, 결정된 경로를 따라서 상기 포탑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상기 쉘들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기하학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규정된 구조 요소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쉘들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의 상기 이동을 유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구조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 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슈트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에는 불균형 질량체가 제공되고 상기 모터는 발사 동안에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디바이스는 이하의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더 포함한다:
- 포탑은 마스크 및 하우징을 구비한 바디 구조물을 포함하고, 그리고 주요 무기는 배럴이라 지칭되는 중구경 배럴이고, 보조 무기는 공축이라고 지칭되는 소구경 기관총이고;
- 배럴을 위한 탄약은 중구경 탄약이고, 상기 중구경은 20 mm 내지 50 mm 인 반면에, 공축과 관련된 탄약은 소구경 탄약이고, 상기 소구경은 5.56 mm 내지 15 mm 이고;
- 한편으로는, 상기 주요 무기에 상부 방출 채널 및/또는 하부 방출 채널이 부착되고, 커넥터 (n) 가 커넥터 (n + 1) 의 중심 루프의 임펄스 하에서만 진행하도록 중구경 탄약의 체인 또는 스트립의 커넥터들은, 서로 분리되면서, 발사 후에 상기 상부 방출 채널 및/또는 상기 하부 방출 채널에 진입하고 상기 포탑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들의 경로를 계속가서, 단일 방출 채널의 경우에, 상기 커넥터들은 이들의 볼록 곡률의 배향에 관계없이 상기 단일 방출 채널에서 진행하는 반면에, 2 개의 방출 채널들의 경우에, 볼록한 곡선부가 위쪽으로 있는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상부 방출 채널에서 순환하고 볼록한 곡선부가 아래쪽으로 있는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하부 방출 채널에서 진행하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보조 무기에 상부 배출 채널 및/또는 하부 배출 채널이 부착되고, 소구경 탄약의 체인 또는 스트립의 상기 커넥터들 및 상기 쉘들은, 서로 분리되면서, 발사 후에 상기 상부 배출 채널 및/또는 상기 하부 배출 채널에 진입하고 상기 포탑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들의 경로를 계속가거나, 또는 소구경 탄약의 체인 또는 스트립의 상기 커넥터들 (상기 쉘들, 각각) 및 상기 쉘들 (상기 커넥터들, 각각) 각각이 발사 후에 상기 상부 배출 채널 및/또는 상기 하부 배출 채널에 진입하고 상기 단일 배출 채널의 경우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진행을 계속하고;
- 상기 방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구조 요소들은 표면 연속부, 구부러진 채널, 스프링 디바이스 및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 상기 쉘 및/또는 커넥터 방출 디바이스는,
· 상기 표면 연속부는 상기 상부 방출 채널과 상기 방출 디바이스의 후속 요소, 즉 상기 구부러진 채널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와 관련된 이동 가능한 폐쇄 시트에 고정되면서 상기 상부 방출 채널의 출구에 직접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 곡선 각도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구부러진 채널은 상기 표면 연속부의 연장부이고, 그리고 제 1 오리피스 및 제 2 오리피스인 2 개의 오리피스들을 갖고, 상기 제 1 오리피스는 상기 상부 방출 채널의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표면 연속부와 상기 구부러진 채널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오리피스가 90°의 굽힘 각도 이후에 위치되고, 상기 방출 채널(들), 적용 가능하다면, 상부 방출 채널 및 하부 방출 채널에 수직인 평면, 즉 배럴의 주 축선이 수평일 때, 그리고 장갑차가 본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에서 파킹되거나 이동될 때 지면을 향하는 평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 진동 스터드들을 통해 상기 포탑의 상기 바디 구조물의 상기 하우징에 체결된 상기 슈트는 상기 방출 채널의 상기 출구에, 또는 각각, 상기 표면 연속부 및 상기 구부러진 채널 각각을 통해, 상기 상부 방출 채널의 상기 출구에, 그리고 또한 상기 하부 방출 채널의 출구에, 뿐만 아니라 각각의 배출 채널(들), 적용 가능하다면, 상부 배출 채널 및 하부 배출 채널의 출구에 위치된 깔때기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슈트는 또한 제 1 오리피스 및 제 2 오리피스인 2 개의 오리피스들을 갖고, 상기 제 1 오리피스는 상기 제 2 오리피스가 수 cm 의 깊이에 걸쳐서 관통하도록 상기 구부러진 채널의 상기 제 2 오리피스를 수용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오리피스는 상기 포탑의 상기 바디 구조물의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각도 편향으로 상기 포탑의 외부를 향하여 배향되고, 즉 상기 슈트는 전체적으로 상기 구부러진 채널을 포함하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 상기 스프링 디바이스가 상기 구부러진 채널의 베이스 시트 아래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바디 구조물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에 의해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 상기 방출 디바이스는 모든 상황들 하에서 유사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된 메카니즘을 갖고, 즉 상기 메카니즘은 커넥터들의 타입 뿐만 아니라 상기 탄약의 타입 및 구경에 무관하고;
- 상기 방출 디바이스는, 장갑차 및 결과적으로 포탑이 완전히 수평한 지면에 위치되지 않을 때,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의 방출과 관련된 진동들에 유리한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한다. 실제로, 지구의 절대 수평에 대해 장갑차 및 결과적으로 포탑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상기 슈트와 이 수평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상기 포탑의 외부를 향한 상기 커넥터들의 자연스러운 슬라이딩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1°내지 90°의 엄격한 양의 기울기에 해당하고;
- 상기 슈트는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인 2 개의 폐쇄 디바이스들의 존재에 따른 NBC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슈트의 상기 제 2 오리피스에 위치된 제거 가능한 정지부의 형태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2 개의 특정 위치들에 영구적으로 체결된 벨로우즈 시일이라 지칭되는 고무 스트립의 형태이고, 상기 특정 위치들, 즉 상기 벨로우즈 시일의 일 단부는 상기 슈트의 높이를 따라서 중간에서 슬롯에 위치되어 접착되면서 상기 슈트를 완전히 둘러 싸고,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 시일의 다른 단부는 상기 폐쇄 시트에 의해서 캡처링되고;
- 상기 표면 연속부는 상기 포탑 내부의 승무원들에 의한 유지 보수 작업을 유리하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디바이스 및 잠금 (잠금 해제) 디바이스를 통해 고정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서, 주요 무기의 경우에, 발사 후에, 단일 방출 채널의 존재 하에서, 상기 방출 채널 내로 방출된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커넥터들은, 90°의 곡선 각도가 교차하면, 상기 커넥터들이 상기 주요 무기에 의해서 규정된 속도로 서로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하는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도록 이들 커넥터들을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배향하기 위하여, 구부러진 채널의 제 1 오리피스에서, 표면 연속부를 관통하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포탑 외부로 궁극적으로 방출되게 하기 위하여 슈트 내로 하나씩 플런징되도록 상기 구부러진 채널의 제 2 오리피스 내로 진행하는 반면에, 2 개의 방출 채널들의 존재 하에서,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커넥터들은 단일 방출 채널의 존재 하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경로를 따르도록 상부 방출 채널 내로, 그리고 상기 상부 방출 채널에 대해 설명된 방식과 유사하게 하부 방출 채널 내로 방출되지만, 상기 하부 방출 채널에서 임의의 중간 부분을 통과하지 않으면서, 즉 일단 상기 하부 방출 채널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상부 방출 채널을 횡단하는 상기 커넥터들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분리 모드에 따라 포탑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슈트 내로 직접적으로 그리고 자연스럽게 플런징된다.
유리하게는, 보조 무기의 경우에, 발사 후에, 소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커넥터들 및 쉘들은, 자연스럽게 중력의 영향 하에서, 상기 슈트 내로 플런징되기 전에, 별개로 이들 커넥터들 및 쉘들 각각이 상부 배출 채널, 하부 배출 채널 각각, 그리고 하부 배출 채널, 상부 배출 채널들 각각에서 통과한 후에, 상기 배출 채널을 통하여 동시에 방출되어 상기 포탑 외부로 배출된다.
여전히 유리하게는, 상기 모터는 상기 방출이 중력의 영향만으로 항상 허용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그리고, 상기 쉘들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이 상기 슈트에서 채널링될 때, 상기 쉘들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은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마찰, 이들과 상기 슈트 사이의 저항 및 상기 포탑의 경사로 하강이 약간 느려진다는 전제하에,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상기 쉘들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을 방출하는 프로세스를 보조하거나 개선하고, 발사 동안에만 작동하는 상기 모터는 상기 슈트의 진동을 야기하고, 이 진동은 기계적 응력들을 최소화함으로써 모든 상기 쉘들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을 방출할 수 있게 하는 일정한 강도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강도는 사용된 커넥터들의 타입 뿐만 아니라 탄약들의 타입 및 구경에 좌우된다는 전제하에 처음에는 가변적이고, 이어서 상기 포탑 외부로의 상기 쉘들 및/또는 상기 커넥터들의 방출에 유리한 진동수가 얻어졌을 때 발사 동안 일정하게 되고, 상기 진동 강도는 상기 진동 스터드들에 의해서 상기 포탑에서 감쇠된다.
도 1 은 커넥터들을 갖는 소구경 및/또는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 뿐만 아니라 카트리지 타입의 탄약을 도시한다.
도 2 는 주요 무기 (배럴), 보조 무기 (기관총 또는 공축) 및 방출 디바이스를 갖는 장갑차 포탑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구경 및/또는 중구경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의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배럴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용 커넥터의 여러 도면들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탄약 (1) 의 물품들은 탄약 (1) 의 가요성 체인 또는 스트립 (3) 을 형성하기 위하여 커넥터들 (2) 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클립핑된다 (도 1). 다시 말하면, 이들의 구성면에서, 탄약 (1) 은 일반적으로 총알 또는 탄두 (4), 쉘 (5), 화약 (6), 컵 (7) 및 퓨즈 (8)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 2 개의 구경 타입들의 탄약 (1), 즉 20 mm 내지 50 mm 의 중구경 탄약 (1) 및 5.56 mm 내지 15 mm 의 소구경 탄약 (1) 이 고려된다.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은 규정되지 않고 특정되지 않은 초기 크기를 갖고, 이는, 진행중인 임무에 의해서 규정된 필요에 따라, 탄약 (1) 을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언제든지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을 잘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체인 또는 스트립은 고정된 시작 길이를 고려해야 만하는 반면에, 포탑 (9) 내에서 직면하게 되는 주된 (bulk) 제약 조건들에 따라, 일정한 길이를 초과할 수 없다. 이들 2 개의 파라미터들은 선택된 무기에 대한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운반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전체 임무에 따라 고려되어야한다. 다시 말해서, 이들 2 개의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크기의 변화는 임의의 장갑차 (도 2) 에 장착된 포탑 (9) 내부에서 용인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디바이스 (10) 는 포탑 (9) 의 바디 구조물 (18) 의 프레임 (17) 에 체결되어 있으면서 마스크 (16) 근처의 롤링 베어링들 (15) 의 영역에서 방출 채널들, 즉 상부 방출 채널 (11) 및 하부 방출 채널 (12) 각각, 그리고 배출 채널들, 즉 상부 배출 채널 (13) 및 하부 배출 채널 (14) 각각의 출구에 위치된다. 따라서, 기준으로서, 주요 무기, 즉 배럴 (19) 의 주 축선을 고려할 때, 방출 디바이스 (10) 는 기준 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공급 시스템 (20) 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이는 공급 시스템 (20) 및 방출 시스템 (11, 12) 모두가 상기 기준에 대하여 대략 대칭이 되게 한다.
구조적 관점으로부터 (도 3),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디바이스 (10) 는 이하로서 규정된 복수의 강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 상부 방출 채널 (11) 과 방출 디바이스 (10) 의 후속 요소 (즉 구부러진 채널 (23))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표면 연속부 (21) 는 마스크 (16) 와 관련된 이동 가능한 폐쇄 시트 (22) 에 고정되면서 상부 방출 채널 (11) 의 출구에 직접 위치되고;
· 곡선 각도가 90°인 구부러진 채널 (23) 은 표면 연속부 (21) 의 연장부이고, 그리고 제 1 오리피스 (24) 및 제 2 오리피스 (25) 인 2 개의 특정 오리피스들을 갖고: 상기 제 1 오리피스 (24) 는 상부 방출 채널 (11) 의 높이에 위치되고 표면 연속부 (21) 와 구부러진 채널 (23) 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매개체 또는 연결부로서 역할을 하는 반면에, 상기 제 2 오리피스 (25) 는 90°의 굽힘 각도 이후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및 상기 하부 방출 채널 (12) 에 수직인 평면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평면은 i) 배럴 (19) 의 주 축선이 수평일 때, 그리고 ii) 장갑차가 완전히 편평한 지형에서 파킹되거나 이동될 때 지면을 향한다.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의 제 2 오리피스 (25) 는 슈트 (26) 에서 나타난다. 상기 슈트는 진동 스터드들 (미도시) 을 사용하여 포탑 (9) 의 바디 구조물 (18) 의 하우징 (17) 에 체결되고, 그리고, 상부 배출 채널 (13) 및 하부 배출 채널 (14) 뿐만 아니라, 표면 연속부 (21) 및 구부러진 채널 (23) 을 통해, 각각의 상부 방출 채널 (11) 및 하부 방출 채널 (12) 의 출구에 위치된 깔때기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슈트 (26) 는 또한 제 1 오리피스 (27) 및 제 2 오리피스 (28) 인 2 개의 오리피스들을 갖고: 상기 제 1 오리피스 (27) 는 수 cm 의 깊이에 걸쳐서 관통 또는 네스팅이 이뤄지도록 구부러진 채널 (23) 의 제 2 오리피스 (25) 를 수용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 2 오리피스 (28) 는 포탑 (9) 외부를 향하여 배향된다. 마지막으로, 슈트 (26) 는, 제 2 오리피스 (28) 에서, 포탑 (9) 의 바디 구조물 (18) 의 하우징 (17) 에 대해 각도 편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슈트 (26) 는 구부러진 채널 (23) 을 포함하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서 완전하게 위치되지 않고;
· 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모터 (29) 는 상기 슈트 (26) 에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모터에는 가변 강도의 일련의 진동들을 일으키는 불균형 질량체가 제공되고 (그 작동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 표면 연속부 (21) 의 최대 이점을 취하기 위하여, 스프링 디바이스 (30) 는 구부러진 채널 (23) 의 베이스 시트 (31) 아래에 위치되고, 그리고 포탑 (9) 의 바디 구조물 (18) 의 하우징 (17) 의 내부에 차례로 위치된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 (32) 에 의해서 제어된다 (그 작동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기능적 관점에서, 탄약 (1) 은 보조 무기 (33) 를 위한 5.56 mm 내지 15 mm 의 소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뿐만 아니라, 주요 무기를 위한 20 mm 내지 50 mm 의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으로부터 비롯된다. 탄약 (1) 을 특징짓는 또 다른 중요한 기준은 탄약 (1) 의 타입과 관련된 것이고, 즉 그 구성/성질에 의해서 규정된 것이다. 이들에는 "최고 탄도점들 (ordinates)", "폭발성들"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방출 디바이스 (10) 는 모든 타입들의 탄약 (1) 에 대해 유효하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약 (1) 의 물품들은 커넥터들 (2) 을 사용하여 서로 연결되고 클립핑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커넥터들은 일반적으로 i) 고려된 탄약 (1) 의 타입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3 차원 구조와, ii) 고려된 탄약 (1) 의 타입에 무관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부착 원리를 갖는다. 전술한 일련의 기준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디바이스 (10) 는 모든 상황 하에서 유사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었고, 다시 말해서 메카니즘은 커넥터들 (2) 의 타입 뿐만 아니라 탄약 (1) 의 타입 및 구경에 무관하다.
따라서, 방출은 i) 배럴 (19) 의 경우에만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커넥터들 (2) 및/또는 ii) 공축 (33) 의 경우에는 소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에 관한 것이다. 시나리오들 모두에서, 잔여물들은 주요 무기 (19) 에 대한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과 관련된 쉘들 (5) 과 같이 포탑 (9) 외부에서 발견되어야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탄약 (1) 의 구경은 주요 무기 (19) 의 경우에는 30 mm 및/또는 40 mm 이고, 그리고 보조 무기 (33) 의 경우에는 7.62 mm 인 반면에, 커넥터 (2) 의 타입은 도 4 에서 설명된 것이거나 이와 유사하다. 커넥터 (2) 는 일반적으로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된 2 개의 부분들 (34, 35) 로 구성된다. 제 2 부분 (35) 은 소정의 구경을 갖는 카트리지 (1) 의 쉘 (5) 에 대해 조정되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대략 반원통형 개구부를 규정하는, 커넥터 (2) 의 높이에 대한, 중심 루프 또는 컬 (36) 을 포함한다. 제 1 부분 (34) 은, 높이 측면에서, 중심 루프 (36) 의 양측에 각각 위치된 이런 타입의 2 개의 루프들 (37, 38) 을 포함한다. 이들 루프들 (36, 37, 38) 각각은, 이들 2 개의 자유 단부들 각각에, 탄약 (1) 의 용이한 삽입 또는 인출을 허용하는 플레어를 규정하도록 다른 방향으로 배향된 작은 루프 (39) 를 포함한다. 제 1 부분 (34) 의 상부 루프 (37) 는 상방 연장되는 본질적으로 편평하고 직사각형인 부분 (40) 에 의해서 연장되고, 그리고 제 1 부분 (34) 의 하부 루프 (38) 는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에서 탄약 (1) 의 정확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하여 쉘 (5) 의 제거 가능한 슬롯 (43) 에 삽입되는 핑거 (42) 로 끝나는 본질적으로 편평한 부분 (41) 에 의해서 하방 연장된다.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가요성은 루프 또는 컬 (36) 과 탄약 (1) 사이의 관절로 인한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디바이스 (10) 는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에 속하는 탄약 (1) 용 쉘들 (5) 의 방출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한다. 실제로, 이 경우에, 상기 쉘들 (5) 은 주요 무기 (19) 근처의 포탑 (9) 의 마스크 (16) 에 위치된 오리피스 (44) 를 통하여 방출된다. 방출은 배럴 (19) 의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포탑 (9) 외부의 전방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디바이스 (10) 의 작동 모드를 이해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 요소들 각각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런 고려 사항들을 조사하기 전에, 초기에, 즉 발사 전에, 포탑 (9) 내에서, 중구경 및 소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은 특정 공급 채널들 (20) 을 따르는 주요 무기 (19) 또는 보조 무기 (33) 각각을 향하여 운반된다는 것을 상기해야한다. 발사 후에, 탄두 (4) 는 선택된 무기 (19, 33) 외부로 배출되지만 탄약 (1) 잔여물들은 또한 특정 방출 및/또는 배출 채널들을 사용하여 방출되어야한다는 것이 고려되어야한다.
따라서, 주요 무기 (19) 의 경우에,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이, 공급 시스템 (20) 을 떠난 후, 후자의 주요 무기 (19) 의 높이에 도달할 때, 그리고, 일단 발사가 행해지면, 커넥터들 (2) 은 상기 방출 채널들 (11, 12) 에 진입함으로써 이들의 경로를 계속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구경 탄약 (1) 의 선택된 타입에 따라, 커넥터들 (2) 은 상부 방출 채널 (11) 또는 하부 방출 채널 (12) 에 진입한다. 양쪽 경우들에서, 탄약 (1) 이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으로부터 제거된다는 전제하에서, 커넥터들 (2) 만 전진한다. 이 때, 커넥터들 (2) 은 커넥터 (n) 가 커넥터 (n + 1) 의 중심 루프 (36) 의 임펄스 하에서만 진행하도록 서로 분리된다.
상부 방출 채널 (11) 에 대하여, 커넥터들 (2) 은 내부에서 볼록한 곡선부가 위쪽으로 있다. 이들 커넥터들이 먼저 표면 연속부 (21) 를 관통하도록 (그 이동성과 관련된 작동 원리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임) 경로가 계속되고, 이어서 구부러진 채널 (23) 의 제 1 오리피스 (24) 는 상기 방출 채널들 (11, 12) 에 의해 전술한 것과 유사한 연결 모드를 사용한다. 일단 90°의 곡선 각도가 교차되면, 커넥터들 (2) 은 이들이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도록 스스로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배향된다. 중력의 작용 하에서, 커넥터들 (2) 은 주요 무기 (19) 의 작동에 의해서 규정된 속도로 서로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구부러진 채널 (23) 의 제 2 오리피스 (25) 가 횡단될 때, 개별화된 커넥터들 (2) 은 슈트 (26) 를 향하여 다이빙되고, 궁극적으로는 포탑 (9) 외부로 방출된다.
하부 방출 채널 (12) 의 경우에, 접근법은 상부 방출 채널 (11) 의 경우에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 차이들은 본질적으로 이하의 단계들에서 나타난다: i) 커넥터들 (2) 은 내부에서 볼록한 곡선부가 아래쪽으로 있고, 그리고 ii) 잔여물들은 하부 방출 채널 (12) 의 출구에서 중간 부분들 (예를 들면, 상부 방출 채널 (11) 의 경우에 표면 연속부 (21) 및/또는 구부러진 채널 (23)) 을 통과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일단 하부 방출 채널 (12) 로 이동되면, 잔여물들은 상부 방출 채널 (11) 을 횡단하는 커넥터들 (2) 에 대해 규정된 것과 동일한 분리 모드에 따라 포탑 (9)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슈트 (26) 내로 직접적으로, 자연적으로 다이빙된다.
보조 무기 (33) 의 경우에, 일단 소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이 공급 채널들 (20) 을 통과한 후에 보조 무기 (33) 의 높이에 도달하면, 일단 발사가 이루어지면,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은 이들이 2 개의 특정 및 별도의 배출 채널들 (13, 14) 을 통과한 후에 별개로 방출될 것이다: i) 커넥터들 (2) 의 경우에, 이들은, 자연스럽게 중력의 영향하에서, 슈트 (26) 내로 다이빙하기 전에 상부 배출 채널 (13) 을 따르고 결국 포탑 (9) 외부에 이르게 되고, 그리고 ii) 쉘들 (5) 의 경우에, 방출 메카니즘은 쉘들 (5) 이 하부 방출 채널 (14) 을 따르고 슈트 (26) 에 수집된 후에 결국 포탑 (9) 외부에 이르게 된다는 차이점이 있으면서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따라서, 주요 무기 (19) 및 보조 무기 (33) 로부터의 잔여물들 모두의 경우에, 슈트 (26) 는 이들 잔여물들이 포탑 (9) 외부로 방출될 수도 있도록 이들 잔여물들을 채널링하는 깔때기로서 역할을 한다.
시나리오들 모두에서, 즉 무기 (19 및/또는 33) 의 각각의 타입으로부터 무관심하게 비롯되는 잔여물들의 경우에, 포탑 (9) 외부로의 방출이 항상 중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실제로, 이들 잔여물들이 슈트 (26) 내로 채널링될 때, 잔여물들은ⅰ)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마찰, ⅱ) 이들과 슈트 (26) 사이의 저항, 및 ⅲ) 포탑 (9) 의 경사로 하강이 약간 느려진다. 이것이 바람직하게는, 작은 모터 (29) 가 상기 슈트 (26) 에서 임의의 위치에 위치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상기 모터 (29) 의 목적은, 불균형 질량체를 통해, 일정한 강도의 진동을 유발하는 것이고, 이는 기계적 응력들을 최소화함으로써 모든 잔여물들을 배출할 수 있게 한다. 그 강도는 사용된 커넥터들 (2) 의 타입 뿐만 아니라 탄약 (1) 의 타입 및 구경에 좌우된다는 전제하에서 초기에는 가변적이다. 이어서, 상기 강도는 포탑 (9) 외부로의 잔여물들의 방출에 유리한 적절한 진동수가 얻어졌을 때 발사 동안 일정해야한다. 진동은 포탑 (9) 의 바디 구조물 (18) 의 하우징 (17) 에 슈트 (26) 를 체결하는 진동 스터드들에 의해서 흡수되고, 그리고 그 진동수는 불균형 질량체를 변화시킴으로써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모터 (29) 는 발사 동안에만 작동된다. 실제로, 상류에서, 탄약 (1) 의 제 1 물품은 고려된 무기 (19, 33) 의 오리피스 전방으로 가져 오기 위해 재무장된다. 이어서, 발사가 개시되면, 탄두 (5) 는 발사되어 i) 이런 조작으로 인한 가스들이 팬들에 의해서 포탑 (9) 외부로 방출되도록 회수되고, 그리고 ii) 모터 (29) 는 동시에 작동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모터 (29) 는 슈트 (26) 의 베이스 시트 (45) 아래에 위치된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모터 (29) 의 존재는 장갑차 및 결과적으로 포탑 (9) 이 완전히 수평한 지면에 위치되지 않을 때 더욱 유용하고 정당하다. 따라서, 장갑차가 고르지 않은 지형 위에서 정지되거나 이동할 때, 포탑 (9) 은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사를 제공할 수 없다. 그래도, 슈트 (26) 자체는 포탑 (9) 의 바디 구조물 (18) 의 하우징 (17) 에 대해 특정한 각도 편향을 갖기 때문에, 절대값으로의 최대 각도 차이는 1°내지 90°이다. 이 값이 중력의 영향 하에서 잔여물들의 방출을 유리하게 하기에 너무 낮으면, 모터 (29) 만이 구동되어 그 하강을 가속시키도록 작용한다.
슈트 (26) 와 관련된 하나의 추가 기준은 NBC 제약 조건, 즉 고려된 무기 (19, 33) 와 관련된 핵, 생물학적 및/또는 화학적 보호(들) 에 대한 NBC 제약 조건에 관한 것이다.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2 개의 폐쇄 디바이스들이 동시에 고려된다:
· 제거 가능한 정지부 (46) 는 슈트 (26) 의 제 2 오리피스 (28) 에 위치되고;
· 벨로우즈 시일이라 지칭되는 고무 스트립 (47) 은 2 개의 특정 위치들에 영구적으로 체결된다. 일 단부에서, 상기 고무 스트립은 슈트 (26) 의 높이를 따라서 중간에서 슬롯에 위치되어 접착되면서 슈트 (26) 를 완전히 둘러 싸고,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 상기 고무 스트립은 폐쇄 시트 (48) 에 의해서 캡처링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 디바이스 (10) 에서 고려해야 할 마지막 파라미터는 표면 연속부 (21) 이다. 이것은 i) 상부 방출 채널 (11) 과 구부러진 채널 (23) 의 제 1 오리피스 (24)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고, 그리고 ii) 고정된 채로 유지되거나 또는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구조이다. 상기 표면 연속부는 구부러진 채널 (23) 의 베이스 시트 (31) 아래에 위치된 구부러진 채널 (23) 에 인접한 수직 플레이트 (미도시) 를 통해 스프링 디바이스 (30) 와 관련되고, 스프링 디바이스 (30) 는 차례로, 상기 수직 플레이트를 통해, 포탑 (9) 에 있는 승무원에 의해서 관리되는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 (32) 에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 동안, 스프링 디바이스 (30) 는 표면 연속부 (21) 가 이들 2 개의 구조물들 (11, 21) 사이에서 연속성을 규정하고 보장하도록 상부 방출 채널 (11) 을 향하여 갖다 붙이려는 경향이 있도록 텐션을 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프링 디바이스는 표면 연속부 (21) 가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위치에서 스프링 디바이스 (30) 를 유지하는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 (32) 또는 클릭이다. 포탑 (9) 내의 일정한 특정 요소들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프링 디바이스 (30) 가 더 이상 텐션을 가하지 않도록, 그리고 표면 연속부 (21) 가 외부로 슬라이딩하도록, 다시 말해서 표면 연속부가 더 이상 상부 방출 채널 (11) 에 고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 디바이스는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 또는 클릭을 자유롭게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런 분리 작동으로 인해, 안전 조치로서, 승무원은, 예를 들면, i) 주요 무기 (19) 의 유지 보수 작동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ii) 부정확하게 맞물린 탄약 (1) 을 비우기 위하여, iii) 공급 채널 (20) 및/또는 방출 채널(들) (12) 을 제거하기 위하여, iv) 등을 위하여 포탑 (9) 내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발명의 이점들
현재 개발중인 프로젝트는 위에 규정된 위치 결정 이후에 매우 높은 작동적, 기능적, 인체 공학적, 경제적 등의 수준들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계적 양태들의 측면들에서, 조립체는 포탑 및/또는 상기 포탑이 부착된 차량의 다양한 이동들 동안 필요에 따라 모든 충격들 및 진동들을 흡수할 수 있는 견고한 패스너를 구성하면서, 비교적 단순한 접근 방식을 따르고, 이들 이동들은 상기 차량의 이동들에 의해서 설명된 것 뿐만 아니라 고도 (elevation) 와 회전의 측면들에서 존재한다.
따라서, 이런 장착을 유리하게 하기 위하여, 포탑, 및 특히 배럴 주변의 인터페이스에서의 환경은 단지 약간의 구조적 변경들만을 거치게 된다. 상기 변경들은 본질적으로 마스크 자체에서 뿐만 아니라 마스크에 인접한 배럴의 지지 플레이트와 직접 접촉하는 포탑의 바디 구조물의 특정한 단부에서 나타난다. 이것은 이런 방출 디바이스가 소구경 및/또는 중구경 배럴이 관련되는 포탑에 장착되는 이유이다. 대구경 배럴의 경우에, 탄약의 잔여물들의 방출 및 회수는 완전히 다른 접근 방식을 따르고, 이는 이 특허 출원에서 개발되지 않았다.
1 탄약
2 커넥터
3 체인 또는 스트립
4 총알 또는 탄두
5 쉘
6 화약
7 캡
8 퓨즈
9 포탑
10 방출 디바이스
11 상부 방출 채널
12 하부 방출 채널
13 상부 배출 채널
14 하부 배출 채널
15 롤링 베어링(들)
16 포탑 마스크
17 하우징
18 바디 구조물
19 배럴
20 탄약 공급 시스템
21 표면 연속부
22 폐쇄 시트
23 구부러진 채널
24 구부러진 튜브의 제 1 오리피스
25 구부러진 튜브의 제 2 오리피스
26 슈트
27 제 1 슈트 오리피스
28 제 2 슈트 오리피스
29 모터
30 스프링 디바이스
31 베이스 시트
32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
33 기관총 또는 공축
34 제 1 커넥터 부분
35 제 2 커넥터 부분
36 중심 컬 또는 루프
37 루프
38 루프
39 소형 대향 루프
40 직사각형 부분
41 편평한 부분
42 핑거
43 제거 슬롯
44 마스크에서의 방출 오리피스
45 베이스 시트
46 슈트 정지부
47 벨로우즈 시일
48 폐쇄 시트

Claims (13)

  1. 주요 무기 (19) 및 보조 무기 (33)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탄약 (1) 의 적어도 하나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으로부터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로서,
    상기 방출 디바이스 (10) 는 장갑차의 포탑 (9) 에 장착되고, 그리고, 탄약 (1) 을 발사한 후에, 결정된 경로를 따라서 상기 포탑 (9) 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상기 쉘들 (5) 및 상기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기하학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규정된 구조 요소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쉘들 (5) 및 상기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이동을 유리하게 하도록 상기 구조 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를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 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슈트 (26) 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수단은 상기 슈트 (26) 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된 모터 (29) 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29) 에는 불균형 질량체가 제공되고 상기 모터 (29) 는 발사 동안에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탑 (9) 은 마스크 (16) 및 하우징 (17) 을 구비한 바디 구조물 (18) 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주요 무기 (19) 는 배럴이라 지칭되는 중구경 배럴이고,
    상기 보조 무기 (33) 는 공축 (coax) 이라고 지칭되는 소구경 기관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19) 을 위한 상기 탄약 (1) 은 중구경 탄약이고, 상기 중구경은 20 mm 내지 50 mm 인 반면에, 상기 공축 (33) 과 관련된 상기 탄약 (1) 은 소구경 탄약이고, 상기 소구경은 5.56 mm 내지 1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무기 (19) 에 상부 방출 채널 (11) 및 하부 방출 채널 (12) 중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커넥터 (n) 가 커넥터 (n + 1) 의 중심 루프의 임펄스 하에서만 진행하도록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상기 커넥터들 (2) 은, 서로 분리되면서, 발사 후에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및 상기 하부 방출 채널 (12) 중 하나 이상에 진입하고 상기 포탑 (9) 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들의 경로를 계속가서, 단일 방출 채널의 경우에, 상기 커넥터들은 이들의 볼록 곡률의 배향에 관계없이 상기 단일 방출 채널에서 진행하는 반면에, 2 개의 방출 채널들의 경우에, 볼록한 곡선부가 위쪽으로 있는 상기 커넥터들 (2) 은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에서 순환하고 볼록한 곡선부가 아래쪽으로 있는 상기 커넥터들 (2) 은 상기 하부 방출 채널 (12) 에서 진행하고, 그리고,
    상기 보조 무기 (33) 에 상부 배출 채널 (13) 및 하부 배출 채널 (14) 중 하나 이상이 부착되고, 소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상기 커넥터들 (2) 및 상기 쉘들 (5) 은, 서로 분리되면서, 발사 후에 상기 상부 배출 채널 (13) 및 상기 하부 배출 채널 (14) 중 하나 이상에 진입하고 상기 포탑 (9) 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이들의 경로를 계속가거나, 또는 소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상기 커넥터들 (2) (상기 쉘들 (5), 각각) 및 상기 쉘들 (5) (상기 커넥터들 (2), 각각) 각각이 발사 후에 상기 상부 배출 채널 (13) 및 상기 하부 배출 채널 (14) 중 하나 이상에 진입하여 상기 단일 방출 채널의 경우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진행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디바이스 (10) 를 구성하는 상기 구조 요소들은 표면 연속부 (21), 구부러진 채널 (23), 스프링 디바이스 (30) 및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 (32)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6. 제 5 항에 있어서,
    · 상기 표면 연속부 (21) 는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과 상기 방출 디바이스 (10) 의 후속 요소, 즉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사이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 (16) 와 관련된 이동 가능한 폐쇄 시트 (22) 에 고정되면서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의 출구에 직접 위치되고;
    · 곡선 각도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은 상기 표면 연속부 (21) 의 연장부이고, 그리고 제 1 오리피스 (24) 및 제 2 오리피스 (25) 인 2 개의 오리피스들을 갖고, 상기 제 1 오리피스 (24) 는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의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표면 연속부 (21) 와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의 나머지 부분 사이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오리피스 (25) 는 90°의 굽힘 각도 이후에, 상기 방출 채널(들), 적용 가능하다면,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및 상기 하부 방출 채널 (12) 에 수직인 평면, 즉 상기 배럴 (19) 의 주 축선이 수평일 때, 그리고 장갑차가 본질적으로 편평한 표면에서 파킹되거나 이동될 때 지면을 향하는 상기 평면에 위치되고;
    · 진동 스터드들을 통해 상기 포탑 (9) 의 상기 바디 구조물 (18) 의 상기 하우징 (17) 에 체결된 상기 슈트 (26) 는 상기 방출 채널의 상기 출구에, 또는 각각, 상기 표면 연속부 (21) 및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각각을 통해,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의 상기 출구에, 그리고 또한 상기 하부 방출 채널 (12) 의 출구에, 뿐만 아니라 각각의 배출 채널(들), 적용 가능하다면, 상부 배출 채널 (13) 및 하부 배출 채널 (14) 의 출구에 위치된 깔때기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슈트 (26) 는 또한 제 1 오리피스 (27) 및 제 2 오리피스 (28) 인 2 개의 오리피스들을 갖고, 상기 제 1 오리피스 (27) 는 상기 제 2 오리피스가 수 cm 의 깊이에 걸쳐서 관통하도록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의 상기 제 2 오리피스 (25) 를 수용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오리피스 (28) 는 상기 포탑 (9) 의 상기 바디 구조물 (18) 의 상기 하우징 (17) 에 대해 각도 편향으로 상기 포탑 (9) 의 외부를 향하여 배향되고, 즉 상기 슈트 (26) 는 전체적으로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을 포함하는 평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지 않고;
    · 상기 스프링 디바이스 (30) 는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의 베이스 시트 (31) 아래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포탑 (9) 의 상기 바디 구조물 (18) 의 상기 하우징 (17) 의 내부에 위치된 잠금 (잠금 해제) 하우징 (32) 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디바이스 (10) 는 모든 상황들 하에서 유사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된 메카니즘을 갖고, 즉 상기 메카니즘은 상기 커넥터들 (2) 의 타입 뿐만 아니라 상기 탄약 (1) 의 타입 및 구경에 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디바이스는, 상기 장갑차 및 결과적으로 상기 포탑 (9) 이 완전히 수평한 지면에 위치되지 않을 때, 상기 탄약 (1) 의 상기 체인 또는 상기 스트립 (3) 의 상기 쉘들 (5) 및 상기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의 방출과 관련된 진동들에 유리한 모터 (29) 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하여, 지구의 절대 수평에 대해 상기 장갑차 및 결과적으로 상기 포탑 (9) 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상기 슈트 (26) 와 이 수평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상기 포탑 (9) 의 외부를 향한 상기 커넥터들 (2) 의 자연스러운 슬라이딩에 유리하도록 하는 것이 필수적이고,
    상기 각도는 1°내지 90°의 엄격한 양의 기울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 (26) 는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인 2 개의 폐쇄 디바이스들의 존재에 따른 NBC 제약 조건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슈트 (26) 의 상기 제 2 오리피스 (28) 에 위치된 제거 가능한 정지부 (46) 의 형태이고, 그리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2 개의 특정 위치들에 영구적으로 체결된 벨로우즈 시일이라 지칭되는 고무 스트립 (47) 의 형태이고,
    상기 특정 위치들, 즉 상기 벨로우즈 시일의 일 단부는 상기 슈트 (26) 의 높이를 따라서 중간에서 슬롯에 위치되어 접착되면서 상기 슈트 (26) 를 완전히 둘러 싸고,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 시일의 다른 단부는 폐쇄 시트 (48) 에 의해서 캡처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연속부 (21) 는 상기 포탑 (9) 내부의 승무원들에 의한 유지 보수 작동들을 유리하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디바이스 (30) 및 잠금 (잠금 해제) 디바이스 (32) 를 통해 고정되거나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11. 제 5 항에 따른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주요 무기 (19) 의 경우에, 발사 후에, 단일 방출 채널의 존재 하에서, 상기 방출 채널 내로 방출된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상기 커넥터들 (2) 은, 90° 의 곡선 각도가 교차하면, 상기 커넥터들이 상기 주요 무기 (19) 에 의해서 규정된 속도로 서로 자연스럽게 분리되게 하는 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도록 이들 커넥터들을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배향하기 위하여, 구부러진 채널 (23) 의 제 1 오리피스 (24) 에서, 표면 연속부 (21) 를 관통하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포탑 (9) 외부로 궁극적으로 방출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슈트 (26) 내로 하나씩 플런징되도록 상기 구부러진 채널 (23) 의 제 2 오리피스 (25) 내로 진행하는 반면에, 2 개의 방출 채널들의 존재 하에서, 중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상기 커넥터들 (2) 은 단일 방출 채널의 존재 하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한 경로를 따르도록 상부 방출 채널 (11) 내로, 그리고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에 대해 설명된 방식과 유사하게 하부 방출 채널 (12) 내로 방출되지만, 상기 하부 방출 채널 (12) 에서 임의의 중간 부분을 통과하지 않으면서, 즉 일단 상기 하부 방출 채널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커넥터들 (2) 은 상기 상부 방출 채널 (11) 을 횡단하는 상기 커넥터들 (2) 에 대해 규정된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분리 모드에 따라 상기 포탑 (9)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슈트 (26) 내로 직접적으로 그리고 자연스럽게 플런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를 사용하는 방법.
  12. 제 5 항에 따른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보조 무기 (33) 의 경우에, 발사 후에, 소구경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상기 커넥터들 (2) 및 쉘들 (5) 은, 자연스럽게 중력의 영향 하에서, 슈트 (26) 내로 플런징되기 전에, 별개로 이들 커넥터들 및 쉘들 각각이 상부 배출 채널 (13), 하부 배출 채널 (14) 각각, 그리고 하부 배출 채널 (14), 상부 배출 채널 (13) 각각에서 통과한 후에, 배출 채널을 통하여 동시에 방출되어 포탑 (9)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를 사용하는 방법.
  13.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모터 (29) 는 방출이 중력의 영향만으로 항상 허용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그리고, 상기 쉘들 및 커넥터들 중 하나 이상이 슈트 (26) 에서 채널링될 때, 상기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은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마찰, 이들과 상기 슈트 (26) 사이의 저항 및 포탑 (9) 의 경사로 하강이 느려진다는 전제하에, 탄약 (1) 의 체인 또는 스트립 (3) 의 상기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는 프로세스를 보조하거나 개선하고,
    발사 동안에만 작동하는 상기 모터 (29) 는 상기 슈트 (26) 의 진동을 야기하고,
    이 진동은 기계적 응력들을 최소화함으로써 모든 상기 쉘들 (5) 및 상기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할 수 있게 하는 일정한 강도를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강도는 사용된 커넥터들 (2) 의 타입 뿐만 아니라 탄약들 (1) 의 타입 및 구경에 좌우된다는 전제하에 처음에는 가변적이고, 이어서 상기 포탑 (9) 외부로의 상기 쉘들 (5) 및 상기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의 방출에 유리한 진동수가 얻어졌을 때 발사 동안 일정하게 되고,
    상기 진동 강도는 진동 스터드들에 의해서 상기 포탑 (9) 에서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들 (5) 및 커넥터들 (2)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10) 를 사용하는 방법.
KR1020197008242A 2016-10-10 2017-09-14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KR102376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16/5757A BE1024729B1 (fr) 2016-10-10 2016-10-10 Dispositif d'éjection de douilles et/ou de maillons issus d'une chaîne ou bande de munitions associée à une arme principale et/ou secondaire
BE2016/5757 2016-10-10
PCT/EP2017/073204 WO2018068984A1 (fr) 2016-10-10 2017-09-14 Dispositif d'éjection de douilles et/ou de maillons issus d'une chaîne ou bande de munitions associée à une arme principale et/ou second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316A KR20190077316A (ko) 2019-07-03
KR102376793B1 true KR102376793B1 (ko) 2022-03-18

Family

ID=5720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242A KR102376793B1 (ko) 2016-10-10 2017-09-14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0739092B2 (ko)
EP (1) EP3523594B1 (ko)
KR (1) KR102376793B1 (ko)
CN (1) CN109690228B (ko)
AU (1) AU2017344297B2 (ko)
BE (1) BE1024729B1 (ko)
BR (1) BR112019006613A2 (ko)
CA (1) CA3034165A1 (ko)
CO (1) CO2019004595A2 (ko)
DK (1) DK3523594T3 (ko)
ES (1) ES2866938T3 (ko)
IL (1) IL265836B (ko)
MX (1) MX2019004095A (ko)
PL (1) PL3523594T3 (ko)
SG (1) SG11201901886YA (ko)
WO (1) WO2018068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0160T3 (es) 2019-05-22 2022-05-11 John Cockerill Defense SA Dispositivo de expulsión de eslabones de municiones
DE102019124414A1 (de) 2019-09-11 2021-03-11 Rheinmetall Landsysteme Gmbh Ableitvorrichtung
SE543680C2 (en) * 2019-10-15 2021-06-01 Bae Systems Haegglunds Ab Arrangement for feeding ammunition to a weapon
US11656050B2 (en) 2020-10-21 2023-05-23 Tac-Clamp, LLC Firearm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04422A (fr) * 1935-07-17 1936-10-23 Dispositif d'évacuation des étuis et maillons des cartouches tirées par des mitrailleuses
US4038904A (en) * 1976-06-30 1977-08-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artridge feed, positioning and ejection control system
EP0149704B1 (de) * 1983-07-07 1988-01-20 Rheinmetall GmbH Blendenlafettierung für eine automatische Rohrwaffe, insbesondere Maschinenkanone
US4601230A (en) * 1984-12-13 1986-07-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Weapon system
US6176169B1 (en) * 1997-03-06 2001-01-23 Paul H. Sanderson Aircraft support plank mounted 30 MM machine gun
WO2008140514A1 (en) * 2007-05-08 2008-11-20 Moody Joseph R Machine gun ammunition holder with ejection deflector
US8151683B2 (en) 2009-06-23 2012-04-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ink chute ejection adapter
FR2977018B1 (fr) 2011-06-27 2014-02-28 Nexter Systems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 maillons
US8607683B1 (en) * 2012-03-06 2013-12-1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ctive ammunition magazine
US8850950B2 (en) * 2012-06-08 2014-10-07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elicopter weapon moun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4165A1 (fr) 2018-04-19
EP3523594B1 (fr) 2021-03-03
WO2018068984A1 (fr) 2018-04-19
BE1024729B1 (fr) 2018-06-13
SG11201901886YA (en) 2019-04-29
US10739092B2 (en) 2020-08-11
CO2019004595A2 (es) 2019-05-10
IL265836B (en) 2020-11-30
PL3523594T3 (pl) 2021-07-12
AU2017344297A1 (en) 2019-03-21
IL265836A (en) 2019-06-30
ES2866938T3 (es) 2021-10-20
DK3523594T3 (da) 2021-04-26
MX2019004095A (es) 2019-06-10
EP3523594A1 (fr) 2019-08-14
CN109690228B (zh) 2021-07-06
BE1024729A1 (fr) 2018-06-07
BR112019006613A2 (pt) 2019-07-02
AU2017344297B2 (en) 2023-10-26
US20190242664A1 (en) 2019-08-08
KR20190077316A (ko) 2019-07-03
CN109690228A (zh)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793B1 (ko)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US9200857B1 (en) Hollow hammer with downward ejecting chamber for rifle
US20050262750A1 (en) Auto-loading firearm mechanisms and methods
RU2571837C2 (ru) Двухсредовое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найперское оружие и патроны для стрельбы из оружия кущенко в.а.
US3204530A (en) Rocket boosted automatic weapon and ammunition system
US5880395A (en) Gun turret assembly for an armored vehicle
KR101509333B1 (ko) 수중 자동소총
RU2648505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трелковое оружие
US11835312B1 (en) Combat optimized ballistic remote armament
RU2326322C2 (ru) Танковая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ряжания "скоропея"
RU2560181C1 (ru) Танковая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заряжания "скоропея-3"
KR100296809B1 (ko) 자동 장전식 유탄 발사기
RU2191960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ороховых газов из боевого отделения при стрельбе из артиллерийского оруд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3608422A (en) Front loading firing apparatus
US477764A (en) Magazine-gun
RU2736305C1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усилия отдачи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и пушка с откидным патронником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KR101509334B1 (ko) 수중 자동소총
US20230221086A1 (en) Semi-automatic shotpistol shell pistol
RU2215965C2 (ru) Боевое отделение танка (варианты)
RU2243473C1 (ru) Салютная пушка
KR101595911B1 (ko)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KR101835196B1 (ko)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RU2069300C1 (ru) Ручное много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етания различных объектов
RU2283998C1 (ru) Боевое отделение танка (варианты)
ARMY MATERIEL COMMAND ALEXANDRIA VA ENGINEERING DESIGN HANDBOOK. GUNS SERIES GUNS-GENE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