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196B1 -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196B1
KR101835196B1 KR1020160001543A KR20160001543A KR101835196B1 KR 101835196 B1 KR101835196 B1 KR 101835196B1 KR 1020160001543 A KR1020160001543 A KR 1020160001543A KR 20160001543 A KR20160001543 A KR 20160001543A KR 101835196 B1 KR101835196 B1 KR 101835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hell
triggering
elastic body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306A (ko
Inventor
반재현
Original Assignee
반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재현 filed Critical 반재현
Priority to KR102016000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19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42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42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 F41A19/43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in bolt-action guns
    • F41A19/47C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열과 연통되어 포탄이 장전되고, 사각통 형상이며,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홀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바닥홀이 형성된 약실; 상기 약실의 외부에 설치되되, 측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에 공이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이송돌기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전진하여 포탄을 약실 내부로 밀어주거나 격발후 폭발력에 의해 탄피에 의해 밀려서 후퇴하는 노리쇠 부재; 포신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노리쇠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 상기 약실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약실에 장전된 포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장치가 내장된 격발실; 및 상기 약실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을 약실에 밀착 지지하는 측방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탄의 장전과 탄피의 추출 방식을 개선하여 포탄의 장전과 격발이 용이하고, 격발과 재격발의 시간을 단축시켜 단시간에 포탄의 고속 연사에 따른 많은 화력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탄매가 격발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격발 안정성이 우수하며, 로켓탄의 연속 발사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SYSTEM FOR PERCUSSION OF CANNONBALL OF CANNON}
본 발명은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포의 포탄의 장전과 탄피의 추출 방식을 개선하여 격발과 재격발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포는 원통형 포신 내부에 삽입된 장약을 폭발시켜 화약가스의 압력으로 포탄을 발사하여 목표물을 파괴하고 인명을 살상하는데 사용되는 대형 병기에 속한다.
이러한 대포는 발사된 포탄이 비행하는 탄도의 궤적에 따라 평사포와 곡사포 및 박격포로 구분된다. 그밖에 자주포는 무한궤도와 기관을 장비하고 있어 어떠한 곳에서나 쉽게 사격할 수 있고, 로켓포는 포탄 자체가 추진력을 갖고 있어 스스로의 힘으로 공중을 날아가며, 원자포는 핵폭발을 일으키는 원자탄의 발사가 가능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주포와 곡사포 등에는 포탄 및 장약을 삽입한 후에 폐쇄기를 닫고 격발을 실시하게 되는데 격발장치는 포신의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대포의 격발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포마운트 후단에서 포마운트에 대해 구속된 상태에서 후진 및 전진하게 되는 후미환이 구비되고, 포미환의 내측에는 포미환에 고정되는 개폐수단에 의해 승강하며 포미환의 후방을 개폐하는 폐쇄기가 구비된 대포에 있어서, 포미환에 베어링 지지되는 연결축 양단에 고정되는 연결자 1 및 연결자 2에 의해 가압되는 연결봉 1과, 폐쇄기에 스프링 탄지되고 연결봉 1에 의해 가압되며 일측에 래크기어를 형성한 연결봉 2와, 래크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소정각도에서 회전이 구속되도록 핀결합되어 있는 캠과, 캠선단을 안내하는 개방홈을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개방홈으로 삽입된 캡선단에 의해 가압되도록 스프링 탄지되는 격발자와, 하우징 후방으로 돌출되는 격발자 후단에 연결되어 전진시 공이를 가격하는 공이치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포의 격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선단에 통상의 갈퀴를 갖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중공부 선단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시 공이스프링에 의하여 후방으로 탄력 지지되는 공이와, 몸체 내의 공이 후방 측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단이 중공부 후단에 결합된 몸체마개에 지지된 격발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탄력 지지되는 망치유지자와, 망치유지자 내에 삽입되어 망치유지자에 대해 전후 유동거리를 가지며 선단이 공이마개를 통하여 공이의 후단을 가압하는 망치와, 망치유이자를 구속하여 이를 후퇴시키다가 이탈되도록 선단에 연결자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격발레버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뇌관 격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전기제어장치의 고장에 의한 대포의 작동불능 사태가 우려되며, 격발 안정성이 떨어지고, 연속 격발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격발 후에 탄매가 격발장치의 내부로로 유입되어 격발장치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작동과 탄피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으며, 포탄의 유입과 이송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03043호(1996.04.1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17419호(1997.01.01. 공개)
본 발명은 포탄의 장전과 탄피의 추출 방식을 개선하여 포탄의 장전과 격발이 용이하고, 격발과 재격발의 시간을 단축시켜 단시간에 포탄의 고속 연사에 따른 많은 화력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탄매가 격발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격발 안정성이 우수하며, 로켓탄의 연속 발사에 적용 가능한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열과 연통되어 포탄이 장전되고, 사각통 형상이며,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홀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바닥홀이 형성된 약실; 상기 약실의 외부에 설치되되, 측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에 공이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이송돌기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전진하여 포탄을 약실 내부로 밀어주거나 격발후 폭발력에 의해 탄피에 의해 밀려서 후퇴하는 노리쇠 부재; 포신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노리쇠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 상기 약실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약실에 장전된 포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장치가 내장된 격발실; 및 상기 약실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을 약실에 밀착 지지하는 측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포신의 후미에 일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리쇠 부재와 함께 후퇴한 탄피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차개판을 더 포함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포탄의 장전과 탄피의 추출 방식을 개선하여 포탄의 장전과 격발이 용이하고, 격발과 재격발의 시간을 단축시켜 단시간에 포탄의 고속 연사에 따른 많은 화력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탄매가 격발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격발 안정성이 우수하며, 로켓탄의 연속 발사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리쇠 부재 및 스프링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발장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지지부재 및 그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개판 및 그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발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대포의 포탄 격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에서 대포의 기본 구조는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포신(1)을 구비하고, 포신(1)은 포탄으로부터 분리된 탄환이 발사되는 원형의 내측 단면을 갖는 포열(2)과, 포열(2)의 후방에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통되고 포탄이 장전되는 약실(100)과, 상기 약실(100)과 연통되어 사각통 형상이고 포탄으로부터 분리된 탄피가 후퇴되는 포미(3)와, 후퇴된 탄피가 외부로 추출되는 방출구(4)를 포함하며, 그리고, 포신(1)의 약실(100) 하측에 격발장치가 내장된 격발실(400)이 설치된다.
또한, 대포의 포탄의 장전과 탄피의 추출 방식을 개선하여 격발과 재격발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노리쇠 부재(200), 스프링 부재(300), 측방지지부재(500) 및 차개판(ejector, 600)이 설치된다.
상기 약실(100)은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포열(2)과 연통되어 내부에 포탄이 장전된다. 약실(100)의 측면에는 1개 이상의 이송홀(1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노리쇠 부재(200)가 이송홀(110)을 따라 전진하여 포탄을 약실(100) 내부로 밀어주거나 격발후 폭발력에 의해 탄피에 의해 밀려서 후퇴하게 된다.
상기 약실(100)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바닥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바닥홀은 측방지지부재(500)의 작동구(530)와 스토퍼(540)가 출몰되도록 바닥면의 양측에 일측홀(120)과 타측홀(130)이 관통 형성되고, 공이치기(430)의 공이(431)가 출몰되도록 바닥면 중간에 공이구(140)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약실(100)의 외부 측면 상·하부에는 홈 또는 돌기 형상의 레일부재(160)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노리쇠 부재(200)의 측판(210) 내면의 상·하부에 돌기 또는 홈 형상의 가이드부재(21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노리쇠 부재(200)의 진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노리쇠 부재(200)는 상기 약실(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 구비된 측판(210)과, 측판(210)과 직각을 이루도록 바닥측에 구비되어 측판(210)과 연결된 바닥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판(210)의 후단부에는 1개 이상의 이송돌기(211)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송돌기(211)는 약실(100)의 외부 측면에 형성된 이송홀(110)을 따라 전진하면서 포탄을 약실 내부로 밀어주어 장전되게 하거나 포탄 격발후 그 폭발력에 의해 탄피에 밀려서 후퇴 작동된다. 그리고, 측판(210) 내면의 상·하부에는 돌기 또는 홈 형상의 가이드부재(21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노리쇠 부재(200)의 진퇴를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노리쇠 부재(200)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차단부재(213)가 형성되어 스프링 부재(300)가 전방으로 통과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바닥판(220)에는 공이홀(2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이홀(221)을 통하여 격발실(400)에 내장된 공이치기(430)의 공이(431)가 출몰된다.
상기 측판(210)과 바닥판(220)은 후방부가 서로 연결되어 직각을 이루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소정의 빈 간격(230)이 형성된다. 특히, 바닥판(220)의 일단부는 후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모두 절개되어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포탄 장전시 후술할 측방지지부재(500)의 작동구(5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노리쇠 부재(200)는 바닥판(220)의 길이가 측판(210)의 길이보다 전방을 향해 더 연장된 연장판(240)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판(240)은 노리쇠 부재(200)에 여분의 면적을 더 제공하여 격발 후 노리쇠 부재(200)의 후퇴시 약실(100)의 바닥홀들을 일시적으로 폐쇄시켜 탄매가 격발실(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격발장치의 영향을 주어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300)는 포미(3)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스프링가이드(310)의 외주에 감착 설치되어 스프링가이드(310)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신장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가이드(310)는 포미(3)의 일측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일단부가 포미(3)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노리쇠 부재(200)를 관통하도록 연결되어 노리쇠 부재(200)가 스프링가이드(310)를 활주하여 진퇴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부재(300)는 일단부는 포미(3)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는 노리쇠 부재(200)의 차단부재(213)에 의해 걸림 연결되어 신축된다.
상기 격발실(400)은 상기 약실(100)과 노리쇠 부재(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케이스(410)를 구비하며, 케이스(410)의 상부면에 복수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케이스(410)의 내부에 약실(100)에 장전된 포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장치가 내장된다.
이때, 복수의 통공들은 제1통공(411)과 제2통공(412)이고, 제1통공(411)을 통하여 승강부재(420)의 두부(421)가 통과되고, 제2통공(412)을 통하여 공이치기(430)의 공이(431)가 통과된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격발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410)의 내부에 승강부재(420)가 수직으로 직립되어 제1통공(411)의 하측에 장착 설치되되, 지지축(424)에 탄성체(423)가 감착되고, 이러한 탄성체(423)가 감착된 지지축(424)에 승강부재(420)가 탄성 지지되어 상측에 노리쇠 부재(200)의 유무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420)는 제1통공(411)을 통하여 두부(421)가 돌출되고, 두부(421)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포탄이 장전될 때 돌출된 두부(421)가 노리쇠 부재(200)의 표면과 접촉되면 승강부재(420)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승강부재(420)는 지지축(424)을 따라 탄성체(423)의 탄성력을 받게 되고, 승강부재(130)의 하단부 일측에는 돌출부(422)가 돌출 형성되고 돌출부(422)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슬라이더(480)와 접촉되게 구비된다.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격발실(400)의 내부에 공이치기(430)의 일측이 힌지축(H)으로 힌지 결합되고 전방에 구비된 탄성체(434)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의 뇌관(12c)을 격발시키는 것이다. 상기 공이치기(430)는 일측에 수평한 걸림턱(433)이 형성되고, 타측에 케이스(410) 상부면의 제2통공(412)을 통해 포탄의 표면과 접촉되는 돌기(432)가 돌출 형성되며, 타측면 후방에 포탄의 뇌관을 타격하는 공이(4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이(431)와 돌기(432)는 케이스(410)의 제2통공(412), 노리쇠 부재(200)의 공이홀(221), 약실(100)의 공이구(140)를 통하여 포탄의 탄피(12) 하부에 형성된 홈(12b)에 도달할 수 있고, 상기 탄성체(434)는 공이치기(430)가 이러한 구멍들을 통해 위로 탄성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회동부재(440)는 격발실(400)의 내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회동축(444)으로 결합되고, 수직으로 직립되는 원통형이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작동편(441)이 격발로드(460)와 접촉되고, 타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442)이 공이치기(430)의 걸림턱(433) 위에 걸쳐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재(440)의 걸림편(442)은 작동공(443)의 내측에 탄성체(445)로 탄성 지지되어 출몰되는 것으로 하측을 향해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편(442)의 경사면은 공이치기(430)의 걸림턱(433) 위에 걸림편(442)이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상기 회동부재(440)가 회동하는 동안에 걸림편(442)이 공이치기(430)의 측면이나 하부에 접촉되더라도 공이치기(430)가 탄피에 의하여 가압되어 눌러지는 동안 걸림편(442)이 공이치기(430)의 측면을 따라 올라오면서 걸림턱(433) 위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방아쇠(450)는 격발실(400)의 내부에서 힌지축(H)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로프나 연동되는 자동 장치를 설치하여 작동시킬 수도 있다.
격발로드(460)는 일측이 상기 방아쇠(450)의 상부와 접촉되어 방아쇠의 구동력을 수평 방향으로 회동부재(440)에 전달한다. 여기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방아쇠(450)와 격발로드(460)의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분리되어 방아쇠(450)의 작동력을 제한하는 잠금쇠(451)가 힌지축(H)으로 힌지 결합되고, 격발실(400)의 외측 표면에 잠금쇠(451)와 연동되게 축으로 설치된 노브(452)가 일체로 구성된 안전장치가 구비된다. 안전장치는 사용자가 방아쇠(450)의 안전잠금을 위하여 격발실(400) 외측 표면에 위치한 노브(452)를 작동시키면 축으로 결합된 잠금쇠(451)가 회전되어 잠금쇠(451) 단부가 방아쇠(450)와 격발로드(460) 상부 사이에 위치되므로 방아쇠(450)를 작동시켜도 격발로드(460)는 작동되지 않는다. 하지만, 노브(452)를 회전시켜 잠금쇠(451)를 해제시키면 방아쇠(450)의 작동력이 격발로드(460)로 전달되게 된다.
후방지지부재(470)는 격발실(400)의 케이스(410)에 브라켓에 의해 결합 지지되고, 힌지축(H)이 구비되며, 탄성체(471)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이 장전된 노리쇠 부재(20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471)는 포탄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지지부재(470)는 탄성에 의하여 후방홀(150)을 통해 돌추로디어 있다가 격발 후 포탄의 탄피가 노리쇠 부재(200)와 함께 후퇴할 때에 탄피의 배출 압력으로 노리쇠 부재(200)의 후방 지지가 해제된다. 더불어, 상기 후방지지부재(470)의 단부는 완만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노리쇠 부재(200)를 지지하다가 탄피의 배출 압력에 의해 내려가게 된다.
슬라이더(480)는 봉 형상이고, 일측이 승강부재(420)의 하부와 접촉되고, 타측이 회동부재(440)의 작동편(441)에 접촉되며, 하부에 구비된 하부레일(485) 상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더(480)는 회동부재(440)의 작동편(441)에 접촉되는 제1작동체(481)와, 승강부재(420)의 하부와 접촉되는 제2작동체(482)로 이루어지고, 제1작동체(481)와 제2작동체(482)의 사이에 탄성체(486)가 개재되며, 제1작동체(481)의 가이드돌기(483)가 제2작동체(482)의 가이드공(484)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측방지지부재(500)는 상기 약실(100)의 하부면에 힌지축(H)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고, 탄성체(550)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을 약실에 밀착 지지한다. 상기 측방지지부재(500)는 축지지편(510) 양측으로 연결봉(520)이 연결되고, 연결봉(520)의 양측에는 각각 작동구(530)와 스토퍼(540)가 결합된다. 상기 작동구(530)는 약실(100)의 일측홀(120)에 출입되고, 상기 스토퍼(540)는 약실(100)의 타측홀(130)에 출입된다. 그리고, 스토퍼(540)와 연결된 연결봉(520)에는 탄성체(550)가 약실(100)의 하부면과 결합되어 있다. 약실(100)에 포탄이 공급되어 장전되기 전에는 탄성체(550)가 탄성력으로 작동구(530)가 일측홀(120)에 돌출되어 있다가 포탄이 장전될 때에 작동구(530)가 포탄의 중량에 눌려지고 포탄이 완전히 약실(100)의 내부로 장전되면 스토퍼(540)가 타측홀(130)을 통하여 돌출되어 포탄의 측방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차개판(600)은 포신의 후미인 포미(3)에 설치되되, 일측의 방출구(4)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격발 후 노리쇠 부재(200)와 함께 후퇴한 탄피가 방출구(4)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개판(600)은 격발 후 밀려난 노리쇠 부재(200)의 이송돌기(211)가 통과될 수 있도록 차개홀(61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약실(100)로 포탄을 유입시켜 자동으로 장전하기 위한 자동공급장치가 더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포탄은 연속 발사되는 로켓탄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포탄(10)은, 원기둥 형상의 탄환(11)과 탄피(12)가 결합된 것이다. 탄피(12)는 내부에 장약(12a)이 충전되고, 탄피(12) 아래에는 홈(12b)이 형성되며, 홈(12b)과 탄피(12)의 내측 사이에는 뇌관(12c)이 위치해 있다. 뇌관(12c)은 외부 충격에 의하여 내장된 기폭약이 기폭되어 장약(12a)을 폭발시키는 것이다. 탄피(12)의 전방에는 몸체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탄환(11)이 결합되고, 탄환(11)에는 신관과 폭약이 내장된다.
또한, 탄피(12)의 외부에 사각통 형상의 중공된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곽판(13)이 복수 개의 브릿지(15)에 의해 연결 형성되고, 외곽판(13)의 내측은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이로써, 방열 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포탄의 유입, 장전 및 탄피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의 격발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약실(100)에 포탄이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격발장치의 승강부재(420)가 상승된 상태이고, 공이치기(430)는 회동부재(440)에 의해 하강된 상태이다.
도 8a에서, 포탄이 유입된 후 노리쇠 부재(200)가 스프링 부재(300)에 의하여 전진하여 포탄을 이송하게 되면(S11), 측방지지부재(500)의 작동으로 작동구(530)가 눌려지면서 스토퍼(540)가 돌출되어 포탄의 측방을 밀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S12). 그리고, 후방지지부재(470)가 노리쇠 부재(200)의 후미에 돌출되어 노리쇠 부재(200)를 지지하게 된다(S13). 또한, 포탄이 장전되면서 승강부재(420)가 노리쇠 부재(200)에 의해 하강하는 상태가 된다(S14). 이때, 덮개 등으로 약실(100)을 닫아 폐쇄시킬 수 있다.
포탄이 약실(100)에 장전된 후 방아쇠(450)를 작동시키면(S15), 방아쇠(450)의 상부에 일측이 접촉된 격발로드(460)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고(S16), 격발로드(460)는 타측에 접촉된 회동부재(440)의 작동편(441)을 이동된 일정 거리만큼 밀어 회동시킨다(S17). 회동부재(440)가 회동되면 걸림편(442)이 걸림턱(43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써, 회동부재(440)의 회동으로 걸림편(442)에 의하여 걸림턱(453)에 고정되어 있던 공이치기(430)가 탄성체(434)의 탄성에 의하여 상승하면서(S18), 공이(431)가 포탄의 뇌관(12c)을 격발시킨다(S19).
이는 도 9a에서 방아쇠(450)가 작동되어 격발로드(460)가 이동되면 작동편(441)이 밀리면서 회동부재(440)가 회동되고, 도 9b에서 회동부재(140)의 걸림편(442)이 공이치기(430)의 걸림턱(433)으로부터 분리되어 공이치기(430)가 탄성체(434)의 탄성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공이(431)가 포탄의 뇌관(12c)을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b에서 포탄의 뇌관(12c)이 공이(431)의 타격으로 기폭되면 포탄 내부의 장약(12a)이 폭발하게 되고(S20), 장약의 폭발로 탄환(11)이 포열(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며(S21), 방출된 탄환(11)으로부터 분리된 탄피(12)는 폭발 가스압에 의하여 약실(100)로부터 후퇴하게 된다(S22). 이때 노리쇠 부재(200)가 탄피(12)에 밀려서 이송돌기(211)가 약실(100)의 이송홀(110)을 따라 함께 후퇴하게 되며(S23), 후방홀(150)을 통해 돌출되어 탄피(12)의 후미를 지지하고 있던 후방지지부재(470)는 탄피(12)가 후퇴하는 압력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또한, 도 8c에서 탄피(12)가 약실(100)에서 후퇴하면서 탄피(12)의 홈(12b)의 상측에 위치된 뇌관(12c)을 타격하기 위하여 상승되어 있던 공이치기(430)를 하강시킨다(S24). 그리고, 노리쇠 부재(200)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던 승강부재(420)는 탄성체(423)의 탄성력으로 제1통공(411)을 통해 두부(421)가 상승하게 된다(S25). 이어서, 승강부재(420)가 상승하게 되면 승강부재(420)의 돌출부(422)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있던 슬라이더(480)의 제2작동체(482)가 하부레일(485)을 따라 수평 이동되고, 제2작동체(482)의 이동은 탄성체(486)을 가압시키며, 탄성체(486)는 제1작동체(481)를 수평 이동시킨다(S26). 그리고, 제1작동체(481)는 회동부재(440)의 작동편(441)을 밀어서 회동부재(440)가 회동되도록 한다(S27). 이때, 회동부재(440)의 걸림편(442)은 공이치기(430)의 걸림턱(433)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는 탄피(12)가 약실(100)로부터 후퇴되는 동안에 탄피(12)가 공이치기(430)의 돌기(432)를 계속 누르고 있기 때문에 회동부재(440)의 걸림편(442)이 자유롭게 회동되는 것이다.
다음에, 회동부재(440)의 회동은 작동편(441)에 접촉된 격발로드(460)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S28). 격발로드(460)의 이동으로 방아쇠(450)가 원위치된다(S29). 탄피(12)가 약실(100)로부터 완전히 빠져나가면 공이치기(430)는 탄성체(434)의 탄성에 의하여 상승되면서 회동부재(440)의 걸림편(442)에 의하여 상승이 제한된 상태로 정지된다(S30). 이어서, 측방지지부재(500)와 후방지지부재(470)가 각각 탄성체의 탄성력에 이해 원위치하게 된다(S31 및 S32). 이러한 방아쇠(450)의 작동과 동시에 일련의 작동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포탄으로부터 탄환(11)이 분리되어 포열(2)을 통하여 방출되고, 탄피(12)는 약실(100)로부터 후퇴되면서 노리쇠 부재(200)와 함께 포미(3)에 이르게 되면, 탄피(12)가 일측으로 경사 형성된 차개판(600)에 의하여 방출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S33). 탄피(12)가 배출되어 더 이상 후퇴력을 받지 못한 노리쇠 부재(200)는 차개판(600)의 위치를 반환점으로 하여 스프링 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앞으로 전진하여 재격발 준비상태가 된다(S34). 도 8d는 포탄의 장전을 대기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은 포탄의 장전과 탄피의 추출 방식을 개선하여 포탄의 장전과 격발이 용이하고, 격발과 재격발의 시간을 단축시켜 단시간에 포탄의 고속 연사에 따른 많은 화력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탄매가 격발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격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포신 2. 포열
3. 포미 4. 방출구
10. 포탄 11. 탄환
12. 탄피 12a. 장약
12b. 홈 12c. 뇌관
13. 외곽판 14. 내부공간
15. 브릿지 100. 약실
110. 이송홀 120. 일측홀
130. 타측홀 140. 공이구
150. 후방홀 160. 레일부재
200. 노리쇠 부재 210. 측판
211. 이송돌기 212. 가이드부재
213. 차단부재 220. 바닥판
221. 공이홀 230. 간격
240. 연장판 300. 스프링 부재
310. 스프링가이드 400. 격발실
410. 케이스 411. 제1통공
412. 제2통공 420. 승강부재
421. 두부 422. 돌출부
423. 탄성체 424. 지지축
430. 공이치기 431. 공이
432. 돌기 433. 걸림턱
434. 탄성체 440. 회동부재
441. 작동편 442. 걸림편
443. 작동공 444. 회동축
445. 탄성체 450. 방아쇠
451. 잠금쇠 452. 노브
460. 격발로드 470. 후방지지부재
471. 탄성체 480. 슬라이더
481. 제1작동체 482. 제2작동체
483. 가이드돌기 484. 가이드공
485. 하부레일 486. 탄성체
500. 측방지지부재 510. 축지지편
520. 연결봉 530. 작동구
540. 스토퍼 550. 탄성체
600. 차개판 610. 차개홀 H. 힌지축

Claims (9)

  1. 포열과 연통되어 포탄이 장전되고, 사각통 형상이며,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홀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바닥홀이 형성된 약실;
    상기 약실의 외부에 설치되되, 측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에 공이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이송돌기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전진하여 포탄을 약실 내부로 밀어주거나 격발후 폭발력에 의해 탄피에 의해 밀려서 후퇴하는 노리쇠 부재;
    포신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노리쇠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
    상기 약실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약실에 장전된 포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장치가 내장된 격발실; 및
    상기 약실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을 약실에 밀착 지지하는 측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포신의 후미에 일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노리쇠 부재와 함께 후퇴한 탄피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차개판을 더 포함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2. 포열과 연통되어 포탄이 장전되고, 사각통 형상이며,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홀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바닥홀이 형성된 약실;
    상기 약실의 외부에 설치되되, 측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에 공이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이송돌기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전진하여 포탄을 약실 내부로 밀어주거나 격발후 폭발력에 의해 탄피에 의해 밀려서 후퇴하는 노리쇠 부재;
    포신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노리쇠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
    상기 약실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약실에 장전된 포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장치가 내장된 격발실; 및
    상기 약실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을 약실에 밀착 지지하는 측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노리쇠 부재는 상기 바닥판이 상기 측판보다 전방을 향해 더 연장된 연장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3. 포열과 연통되어 포탄이 장전되고, 사각통 형상이며,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홀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바닥홀이 형성된 약실;
    상기 약실의 외부에 설치되되, 측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에 공이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이송돌기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전진하여 포탄을 약실 내부로 밀어주거나 격발후 폭발력에 의해 탄피에 의해 밀려서 후퇴하는 노리쇠 부재;
    포신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노리쇠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
    상기 약실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약실에 장전된 포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장치가 내장된 격발실; 및
    상기 약실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을 약실에 밀착 지지하는 측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측방지지부재는 축지지편 양측으로 연결봉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 양측에는 각각 스토퍼와 작동구가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와 작동구는 상기 약실 하부 양측에 형성된 바닥홀에 각각 출몰하고, 상기 스토퍼와 연결된 연결봉에는 탄성체가 약실의 하부면과 결합되며,
    상기 측판과 바닥판은, 후방부가 서로 연결되고, 나머지는 소정의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어 이루어짐으로써, 포탄 장전시 상기 작동구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4. 포열과 연통되어 포탄이 장전되고, 사각통 형상이며,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이송홀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바닥홀이 형성된 약실;
    상기 약실의 외부에 설치되되, 측판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판에 공이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측판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이송돌기가 상기 이송홀을 따라 전진하여 포탄을 약실 내부로 밀어주거나 격발후 폭발력에 의해 탄피에 의해 밀려서 후퇴하는 노리쇠 부재;
    포신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가이드가 상기 노리쇠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에 설치된 스프링 부재;
    상기 약실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부면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약실에 장전된 포탄을 격발시키는 격발장치가 내장된 격발실; 및
    상기 약실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을 약실에 밀착 지지하는 측방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포탄은, 탄피의 외부에 사각통 형상의 중공된 외곽판이 브릿지에 의해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장치는, 수직으로 직립 설치되고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상측에 상기 노리쇠 부재의 유무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부재와,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공이로 포탄의 뇌관을 격발시키는 공이치기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하여 구동되는 방아쇠와, 일측이 상기 방아쇠와 접촉되어 방아쇠의 구동력을 수평 방향으로 전달하는 격발로드와, 좌우로 회동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직립 설치되고 일측에 돌출 형성된 작동편이 상기 격발로드와 접촉되어 타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이 상기 공이치기 위에 걸쳐지도록 구비되는 회동부재와, 일측이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와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작동편에 접촉되며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 부재는 상기 측판 내면의 상·하부에 돌기 또는 홈 형상의 가이드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약실의 외부 측면에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 형상의 레일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실의 케이스에 브라켓에 의해 결합 지지되고, 힌지축이 구비되어 회전되며, 탄성체로 탄성 지지되어 포탄이 장전된 노리쇠 부재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후방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01543A 2016-01-06 2016-01-06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KR101835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543A KR101835196B1 (ko) 2016-01-06 2016-01-06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543A KR101835196B1 (ko) 2016-01-06 2016-01-06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306A KR20170082306A (ko) 2017-07-14
KR101835196B1 true KR101835196B1 (ko) 2018-03-08

Family

ID=5935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543A KR101835196B1 (ko) 2016-01-06 2016-01-06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1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306A (ko)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3227B1 (en) Explosive detonating system and components
JP5334479B2 (ja) 旋回せん子および回転ロックヘッドを有するロックおよび再撃鉄起しアセンブリ、特に反跳の運動エネルギーを使用する慣性作動武器のためのアセンブリ
US6910404B2 (en) Gun bolt locking mechanism
JP4860983B2 (ja) 発砲装置
KR20200062173A (ko) 병진 약실을 갖는 탄두 내장형 탄약
WO1997042460A1 (en) Automatic firearm arranged for high safety and rapid dismantling
CA2653036C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US4467698A (en) Angular shape firing pin for use with a collapsible toggle recoil in a hand held weapon
US20070119094A1 (en) Mole gun
KR101761243B1 (ko) 탄창 자동회전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TW418315B (en) Semiautomatic pistol and ammunition
KR101835196B1 (ko)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US3204530A (en) Rocket boosted automatic weapon and ammunition system
US9429386B2 (en) Advanced muzzleloader system
JP3180507U (ja) 真鍮弾頭付きアルミ薬莢型発火式モデルガン用カートリッジ
KR101763240B1 (ko) 탄환의 장착이 용이한 최루탄 발사기
US20100282109A1 (en) Shock-stabilized firing mechanism for diversionary device
US20220373310A1 (en) Grenade with independently detachable carpel segments
KR100296809B1 (ko) 자동 장전식 유탄 발사기
KR101340275B1 (ko) 대포의 포탄 격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47215B1 (ko) 가스압을 이용한 리볼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볼빙식 유탄 발사기
DE102004016356A1 (de) Verbesserter Submunitionszünder
KR20100071288A (ko) 모터식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US7845280B2 (en) Diversionary device with vertically deployed payload
US20170299324A1 (en) Flare G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