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911B1 -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 Google Patents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911B1
KR101595911B1 KR1020140075957A KR20140075957A KR101595911B1 KR 101595911 B1 KR101595911 B1 KR 101595911B1 KR 1020140075957 A KR1020140075957 A KR 1020140075957A KR 20140075957 A KR20140075957 A KR 20140075957A KR 101595911 B1 KR101595911 B1 KR 101595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ongated hole
engaging
state
shells
suppor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5626A (ko
Inventor
류철민
김종도
반상권
백대운
Original Assignee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91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5/00Cartridge extractors, i.e. devices for pulling cartridges or cartridge cases at least partially out of the cartridge chamber; Cartridge ejectors, i.e. devices for throwing the extracted cartridges or cartridge cases free of the gun
    • F41A15/20Cartridge extractors, i.e. devices for pulling cartridges or cartridge cases at least partially out of the cartridge chamber; Cartridge ejectors, i.e. devices for throwing the extracted cartridges or cartridge cases free of the gun specially adapted for caseless-ammunition du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5/00Cartridge extractors, i.e. devices for pulling cartridges or cartridge cases at least partially out of the cartridge chamber; Cartridge ejectors, i.e. devices for throwing the extracted cartridges or cartridge cases free of the gun
    • F41A15/22Tools for extrac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재형 포구장전 방식의 곡사 화기를 운용 중 불발 포탄이 발생할 경우, 포구를 통하여 불발 포탄을 즉각적으로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불발 포탄을 배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운영자의 안전 확보와 함께 불발 포탄의 제거에 따른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내부의 수용홈과 통하는 구조로 일 측면에 진입구가 형성되는 관체; 상기 진입구의 둘레를 따라 내, 외측면이 개방되는 구조로 관체에 형성되는 장공; 상기 장공 내에 탄력 지지 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장공의 내측면 개방 부분으로부터 인, 출입하면서 진입구로 진입하는 탄두의 걸림홈에 걸림 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수단은 장공으로부터 인, 출입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이동 구조로 장공에 결합 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장공의 외측면 개방 부분을 막는 형태로 설치되는 마감 케이스와, 상기 마감 케이스와 걸림부재 사이에 탄력 지지 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탄력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Removal Device for Bomb Disposal of Indirect Fire Weapons}
본 발명은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재형 포구장전 방식의 곡사 화기를 운용 중 불발 포탄이 발생할 경우, 포구를 통해 불발 포탄을 즉각적으로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불발 포탄을 배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운영자의 안전 확보와 함께 불발 포탄의 제거에 따른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탑형 곡사 화기는 포미를 개방 한 후 포탄을 포미에 삽입하는 포미 장전 방식이므로 불발 포탄이 발생할 경우, 포미를 개방함으로써 불발 포탄에 대한 즉각적인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도수운반형 곡사 화기(예를 들면 박격포)의 경우도 포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포열을 기울일 수 있어 포구를 통해 불발 포탄의 즉각적인 배출 제거가 가능하다.
그런데 포탄을 포구로부터 장전하는 차량 탑재형 포구 장전 방식 곡사 화기의 경우, 포미의 개방이 불가능한 포열 구조이고, 또한 운용 차량에 고정 탑재되는 타입이므로 앞선 설명된 도수운반형 곡사 화기와 같이 포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포열을 기울이기 불가능하여 포열 내에 존재하는 불발 포탄을 즉각적으로 배출 제거할 수 없었다.
그에 따라 상기 탑재형 포구 장전 방식 곡사 화기의 운용 중 불발 포탄이 발생하게 되면, 먼저 운용차량으로부터 탑재형 포구 장전 방식 곡사 화기를 탈거 후 포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포열을 기울이고 포구로부터 불발 포탄을 빼내는 방식으로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탈거 및 포열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포열의 흔들림과 충격 발생이 불가피하여 자칫 불발 포탄이 터질 수 있기 때문에 운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포열이 무겁기 때문에 포구가 아래를 향하도록 포열을 기울이기 위한 취급도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탑재형 포구장전 방식 곡사 화기의 탈거 및 포열을 기울일 시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으며, 아울러 불발 포탄의 배출 제거 이후 재운용을 위한 재조립과 재탑재 및 조준에 대한 재세팅이 실시되어야 함으로써, 탑재형 포구장전 방식 곡사 화기의 신속한 운용이 어려웠다.
예컨대, 전시 상황에서 차량 탑재형 포구 장전 방식 곡사 화기의 대응 운용 중 불발 포탄의 발생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발 포탄의 즉각적인 배출 제거가 불가능하여 운용이 중단될 수 있고, 그러한 이유로 인해 전투 불능 상태에 빠지게 될 경우 아군의 치명적인 타격을 피할 수 없는 큰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59080
본 발명은 탑재형 포구장전 방식의 곡사 화기를 운용 중 불발 포탄이 발생할 경우, 포구를 통해 불발 포탄을 즉각적으로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불발 포탄을 배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운영자의 안전 확보와 함께 불발 포탄의 제거에 대한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의 수용홈과 통하는 구조로 일 측면에 진입구가 형성되는 관체; 상기 진입구의 둘레를 따라 내, 외측면이 개방되는 구조로 관체에 형성되는 장공; 상기 장공 내에 탄력 지지 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장공의 내측면 개방 부분으로부터 인, 출입하면서 진입구로 진입하는 탄두의 걸림홈에 걸림 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수단은 장공으로부터 인, 출입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이동 구조로 장공에 결합 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장공의 외측면 개방 부분을 막는 형태로 설치되는 마감 케이스와, 상기 마감 케이스와 걸림부재 사이에 탄력 지지 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탄력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에 의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후면부로부터 마감 케이스의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가 관통 결합 되는 구조를 취하도록 마감케이스에 형성되어 장공으로부터 인, 출입하는 걸림부재의 이동 직진성을 유도하는 가이드 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에 의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특히 차량 탑재형 포구 장전 방식 곡사 화기의 경우 포구를 통해 불발 포탄을 즉각적으로 배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포구를 통하여 불발 포탄을 배출 제거하는 과정에서 운영자의 안전 확보와 함께 불발 포탄의 제거에 대한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포열이 조준 세팅된 상태에서 불발 포탄에 대한 즉각적인 배출 제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재운용에 따른 단축은 물론, 즉각적인 대응 포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a는 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1b는 아래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서, 도 2a는 평단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이용하여 불발 포탄에 대한 제거 과정을 단계별로 각각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a는 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1b는 아래에서 바라본 것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로서, 도 2a는 평단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10 이하, 제거기구로 약칭함)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홈(13)과 통하는 구조로 일 측면(12)에 진입구(11)가 마련되는 관체(14)와, 상기 관체(14)의 타 측면(15)에 연결 끈(16)을 매듭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고정러그(17)와, 상기 진입구(11)의 둘레를 따라 관체(14)에 형성되는 장공(18)과, 탄력 지지 되는 형태로 장공(18) 내에 설치되며 장공(18)으로부터 인, 출입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1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체(14)에는 진입구(11)의 둘레를 따라 내, 외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장공(18)이 간격을 가지고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공(18)에는 앞서 언급한 걸림수단(19)이 채용되어 있다.
상기 걸림수단(19)은 장공(18)으로부터 인입과 인출이 이루어지는 걸림부재(19a)와, 상기 걸림부재(19a)를 탄력 지지하는 탄력지지부재(19b)와, 상기 탄력지지부재(19b)에 대한 지지 고정과 걸림부재(19a)의 인, 출입에 대한 가이드 기능과 이탈 방지 기능을 발휘하는 마감 케이스(19c)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장공(18) 내에는 걸림부재(19a)가 장공(18)을 따라 인, 출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놓여져 있는데, 이때 걸림부재(19a)의 인출시 장공(18)의 내측면 방향으로의 완전한 이탈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걸림부재(19a)의 후면부(20) 양측에는 장공(18)의 양측 턱부(21)에 각각 걸림 되는 걸림턱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턱부(21)와 걸림턱부(22)에 의해 걸림부재(19a)는 장공(18)으로부터 항상 일정 부분만큼 인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장공(18)에는 파진 형태로 가이드 공간(23)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마감 케이스(19c)가 장공(18)의 외면 개방 부분을 막는 형태로 관체(14)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마감 케이스(19c)의 중앙에는 걸림부재(19a)의 후면부(20)로부터 마감 케이스(19c)의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바(24)가 관통 결합 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가이드 공(2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19a)가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가이드 바(24)는 가이드 공(25)에 의해 직진성이 유도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19a)의 비틀림이나 위치 변동 및 흔들림 등이 방지되며, 아울러 걸림부재(19a)의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19a)의 후면부(20)와 대응하는 전면부(26)의 하단에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2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내주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걸림부(26b)가 함께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력지지부재(19b)는 가이드 바(24)를 감싸는 형태로 일단이 가이드 공(25)의 내부에 탄력 지지 되어 있고, 타단은 걸림부재(19a)의 후면부(20)에 탄력 지지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탄력지지부재(19b)에 의해 걸림부재(19a)는 항상 장공(25)으로부터 일부 인출되는 상태를 취하게 된다 (도 2a 참조).
첨부된 도면에서 상기 탄력지지부재(19b)는 가이드 바(24)를 감싸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반드시 코일형 스프링 타입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마감 케이스(19c)의 내면과 걸림부재(19a)의 후면부(20)을 탄력 지지할 수 있다면 그 어떤 형상이나 구조를 가지는 탄력지지부재의 채용도 무방하다.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이용하여 불발 포탄에 대한 제거 과정을 단계별로 각각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보듯이, 곡사 화기(P1)의 포열(P2) 내에 불발 포탄(W)이 존재하게 되면, 먼저 포구를 통해 제거기구(10)를 포열(P2)의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거기구(10)을 포열(P2) 내로 삽입하게 되면, 제거기구(10)의 자중과 포열(P2)의 기울기 구조에 의해 제거기구(10)는 포열(P2)을 따라 포미 방향으로 자유 낙하하게 된다.
상기 제거기구(10)가 포열(P2)을 따라 낙하하게 되면 탄두(W)를 만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탄두(W)를 세 부분(S1, S2, S3)으로 구획하였을 때, 첫번째 부분(S1)에서 세번째 부분(S3)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커지는 원뿔 형태이므로 외경이 가장 작은 첫 번째 부분(S1)은 진입구(11)를 통해 수용홈(13)으로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두 번째 부분(S2)은 걸림부재(19a)의 인출 정도에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원(C)과 두 번째 부분(S2)의 어느 지점에 대한 둘레 외경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어 걸림부(26b)에 닿게 된다 (도 2a, 도 3a, 도 3b 참조).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제거기구(10)의 무게는 탄력지지부재(19b)의 탄성력을 이기도록 사전에 설정되어 있어서, 제거기구(10)의 하강 이동이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19a)는 장공(18)의 방향으로 인입되는 상태가 되고 탄력지지부재(19b)는 압축된다.
이러한 상태로 제거기구(10)가 계속 하강 이동하여 세번째 부분(S3)을 지나갈 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19a)의 걸림부(26b)는 세번째 부분(S3)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27)을 만나게 되고, 이와 같이 만나는 순간 압축되어 있던 탄력지지부재(19b)의 탄발로 인해 걸림부재(19a)의 걸림부(26b)가 걸림홈(27)으로 삽입되는 걸림구조를 취하게 된다.
위와 같이 걸림부재(19a)의 걸림부(26b)가 걸림홈(27)에 걸린 상태에서 제거기구(10)의 고정러그(17)에 매듭 고정된 연결 끈(16)을 포구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불발 포탄(W)이 포열(P2)를 따라 인양되는 형태로 포구를 통해 배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탑재형 포구장전 방식의 곡사 화기에서 불발 포탄이 발생할 경우, 포구를 통해 불발 포탄의 즉각적인 배출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불발 포탄의 배출 제거에 따른 곡사 화기의 외부 충격이나 분해 등이 없어 운영자의 안전 확보와 함께 불발 포탄 제거에 따른 편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포열이 조준 세팅된 상태에서 불발 포탄에 대한 즉각적인 배출 제거가 가능하여 재운용에 따른 신속함과 함께 즉각적인 대응 포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제거기구 11 : 진입구
12 : 일 측면 13 : 수용홈
14 : 관체 15 : 타 측면
16 연결 끈 17 : 고정러그
18 : 장공 19 : 걸림수단
19a : 걸림부재 19b : 탄력지지부재
19c : 마감 케이스 20 : 후면부
21 : 턱부 22 : 걸림턱부
23 : 가이드 공간 24 : 가이드 바
25 : 가이드 공 26 : 전면부
26a : 경사면 26b : 걸림부
27 : 걸림 P1 : 곡사화기
P2 : 포열 D : 불발 포탄
W : 탄두

Claims (4)

  1. 내부의 수용홈과 통하는 구조로 일 측면에 진입구가 형성되는 관체;
    상기 진입구의 둘레를 따라 내, 외측면이 개방되는 구조로 관체에 형성되는 장공;
    상기 장공 내에 탄력 지지 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장공의 내측면 개방 부분으로부터 인, 출입하면서 진입구로 진입하는 탄두의 걸림홈에 걸림 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수단은 장공으로부터 인, 출입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이동 구조로 장공에 결합 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장공의 외측면 개방 부분을 막는 형태로 설치되는 마감 케이스와, 상기 마감 케이스와 걸림부재 사이에 탄력 지지 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탄력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후면부로부터 마감 케이스의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바;
    상기 가이드 바가 관통 결합 되는 구조를 취하도록 마감케이스에 형성되어 장공으로부터 인, 출입하는 걸림부재의 이동 직진성을 유도하는 가이드 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와 대응하는 관체의 외면에 연결 끈을 매듭 고정할 수 있는 고정러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KR1020140075957A 2014-06-20 2014-06-20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KR101595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57A KR101595911B1 (ko) 2014-06-20 2014-06-20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957A KR101595911B1 (ko) 2014-06-20 2014-06-20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26A KR20150145626A (ko) 2015-12-30
KR101595911B1 true KR101595911B1 (ko) 2016-02-19

Family

ID=5508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957A KR101595911B1 (ko) 2014-06-20 2014-06-20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9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0988A (en) * 1952-07-24 1956-11-20 Brandt Soc Nouv Ets Misfired projectile extrac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80B1 (ko) 2004-05-04 2004-12-03 수성정밀기계(주) 불발탄 취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0988A (en) * 1952-07-24 1956-11-20 Brandt Soc Nouv Ets Misfired projectile ex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26A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220B1 (ko) 총기
US7287456B2 (en) Breech-block system for a firearm
JP6185198B2 (ja) 内部撃鉄式自動装弾ピストルの落下保護装置及びこのような落下保護装置を有する自動装弾ピストル
CN1024716C (zh) 具有往复运动枪机的武器的后坐装置
RU24824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ания снаряда в казенной части ствола орудия
KR102071565B1 (ko) 유도결합 기능을 구비한 수류탄 투하 장치 및 드론을 이용한 수류탄 투하 방법
KR102376793B1 (ko) 주요 무기 및/또는 보조 무기와 관련된 탄약 체인 또는 스트립으로부터 쉘들 및/또는 커넥터들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 디바이스
WO2007137524A2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US20110308129A1 (en) Trigger
KR101595911B1 (ko) 곡사 화기용 불발 포탄 제거기구
JP3180507U (ja) 真鍮弾頭付きアルミ薬莢型発火式モデルガン用カートリッジ
RU24824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ержания минометного снаряда в стволе орудия, заряжаемого с казенной части
KR101338178B1 (ko) 휴대용 유도탄 구속 해제 장치
RU2562092C2 (ru) Полу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пистолет со скользящим стволом
KR101763240B1 (ko) 탄환의 장착이 용이한 최루탄 발사기
US10247509B1 (en) Fire starting flares launcher
KR102142667B1 (ko) 탄창의 호환이 가능한 자동회전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US9976824B2 (en) Rifle loading device
US10234222B2 (en) Single 40 mm projectile launcher
US10234234B2 (en) Firearm recoil system
KR101301336B1 (ko) K1,k2자동소총용 레일 겸용 탄피수집장치
US20170299324A1 (en) Flare Gun
RU2537367C2 (ru) Выпрыгивающий боеприпас с управляемой дистанцией подрыва и пус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него
KR101340275B1 (ko) 대포의 포탄 격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5196B1 (ko) 대포의 포탄 격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