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886B1 -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 Google Patents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886B1
KR102375886B1 KR1020210066428A KR20210066428A KR102375886B1 KR 102375886 B1 KR102375886 B1 KR 102375886B1 KR 1020210066428 A KR1020210066428 A KR 1020210066428A KR 20210066428 A KR20210066428 A KR 20210066428A KR 102375886 B1 KR102375886 B1 KR 10237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discharge
cu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886B9 (ko
Inventor
이유철
Original Assignee
클래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래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클래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886B1/ko
Publication of KR10237588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88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for cutt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4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devices for feeding, positioning, clamping, or rotat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어레스트의 동작에 따라 커팅을 위한 파이프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키고, 커팅유닛이 정확한 위치에서 파이프를 커팅하도록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고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유닛과, 컨베이어유닛에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커팅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길이에 대응하여 컨베이어유닛에서 파이프를 정지시키는 길이어레스트와, 컨베이어유닛에 정지된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팅 작업을 실시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CUTTING SYSTEM OF PIPE USING THE LENGTH ARREST}
본 발명은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길이어레스트의 동작에 따라 커팅을 위한 파이프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키고, 커팅유닛이 정확한 위치에서 파이프를 커팅하도록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사용처로 공급되어 사용하기 전에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이프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커팅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커팅시스템을 살펴보면, 척에 파이프를 수동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커팅 작업이 진행되므로, 파이프의 고정, 해체, 이동 시 작업자의 안전 사고 위험에 노출된다. 또한, 수동으로 진행되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가 발생되어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파이프는 길이가 길고, 무게가 무거우므로, 작업자가 파이프를 커팅시스템에 수동으로 정위치시키고, 커팅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0496호 (발명의 명칭 : 플라즈마를 이용한 절단과 개선각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2020. 03. 2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어레스트의 동작에 따라 커팅을 위한 파이프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키고, 커팅유닛이 정확한 위치에서 파이프를 커팅하도록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의 직경에 대한 다양성을 수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를 정위치에 고정시켜 커팅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팅 작업을 위한 파이프의 반입, 로딩, 가공, 언로딩, 반출을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파이프의 커팅 작업에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고, 상기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커팅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상기 파이프를 정지시키는 길이어레스트;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정지된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팅 작업을 실시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모듈;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모듈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모듈; 및 상호 인접한 두 롤러모듈을 연결하거나, 상기 롤러모듈과 상기 롤러구동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력을 상기 롤러모듈에 전달하는 지지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롤러모듈은,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롤러부재;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 및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재에는, 양단부로부터 상기 롤러부재의 중앙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정위치경사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어레스트는, 상기 커팅유닛과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이격 배치되는 어레스트베이스;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어레스트베이스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왕복레일; 상기 어레스트베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왕복레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왕복슬라이더; 상기 왕복레일에서 상기 왕복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 상기 파이프의 지지를 위해 상기 커팅유닛과 상기 어레스트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어레스트부재; 상기 어레스트부재와 상기 어레스트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어레스트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어레스트부재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저지레일; 상기 어레스트부재와 상기 어레스트베이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저지레일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지슬라이더; 및 상기 저지레일에서 상기 저지슬라이더를 승강 이동시키는 저지승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통과하는 부재통과부가 형성된 유닛본체; 상기 부재통과부를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를 커팅하는 커팅부재; 상기 커팅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재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승강부재; 상기 부재통과부의 양측에서 상기 유닛본체와 상기 본체승강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유닛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승강부재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본체레일; 상기 유닛본체와 상기 본체승강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레일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슬라이더; 상기 본체레일에서 상기 본체슬라이더를 승강 이동시키는 본체승강구동부; 상기 부재통과부의 일측에서 상기 유닛본체 또는 상기 본체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드럼; 상기 부재통과부의 타측에서 상기 아이들드럼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본체 또는 상기 본체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드럼; 및 상기 구동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재는 상기 아이들드럼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부재통과부를 가로질러 상기 구동드럼에 권취된다.
여기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정위치된 파이프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커팅을 위한 플라즈마아크가 발생되는 커팅노즐; 상기 커팅노즐에서 상기 플라즈마아크를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커팅노즐의 3축 이동 동작과 상기 커팅노즐의 3축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플라즈마모듈; 상기 플라즈마모듈이 결합되는 플라즈마슬라이더; 상기 컨베이어유닛 또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인접한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플라즈마슬라이더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플라즈마레일; 및 상기 플라즈마레일에서 상기 플라즈마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플라즈마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은 상기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커팅유닛에서 상기 파이프가 정위치될 때, 상기 파이프를 파지하는 파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바이스;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바이스;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바이스와 상기 제2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스레일; 및 상기 바이스레일에서 상기 제1바이스와 상기 제2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왕복 이동시키는 바이스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척슬라이더; 상기 척슬라이더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파지되는 척부재;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척슬라이더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척레일; 상기 커팅유닛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파지하기 위해 상기 척부재를 동작시키는 척부재구동부; 및 상기 척레일에서 상기 척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척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척슬라이더; 상기 척슬라이더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파지되는 척부재;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척슬라이더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척레일; 상기 커팅유닛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한편, 상기 커팅유닛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척부재를 동작시키는 척부재구동부; 및 상기 척레일에서 상기 척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척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은 상기 커팅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고정되는 배출브라켓;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가 배출되는 쪽에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축부;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배출축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일단부가 상기 배출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축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배출날개부;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력으로 상기 배출날개부 중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배출날개부 중 다른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지지모듈; 및 상기 배출구동모듈과 상기 배출지지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배출지지모듈에 전달하는 연결축모듈;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모듈은, 상기 배출축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지지부; 및 상기 연결축부의 일단부와 상기 배출구동모듈을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축부의 타단부와 상기 배출지지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조인트는, 상기 연결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조인트로드; 상기 제1조인트로드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조인트로드; 상기 배출구동모듈 또는 상기 배출지지모듈에 결합되는 제3조인트로드; 상기 제3조인트로드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4조인트로드; 상기 제1조인트로드와 상기 제2조인트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연결링크; 상호 인접한 상기 제2조인트로드와 상기 제4조인트로드를 동축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고정부; 및 상기 제3조인트로드와 상기 제4조인트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 따르면, 길이어레스트의 동작에 따라 커팅을 위한 파이프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키고, 커팅유닛이 정확한 위치에서 파이프를 간편하게 커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직경에 대한 다양성을 수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를 정위치에 고정시켜 커팅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 작업을 위한 파이프의 반입, 로딩, 가공, 언로딩, 반출을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파이프의 커팅 작업에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컨베이어유닛에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른 파이프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가 길이어레스트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한편, 커팅유닛에서 파이프의 커팅위치가 명확하게 정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롤러부재에서 파이프의 폭 방향에 대해 간편하게 센터링할 수 있고,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파이프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지지부를 통해 롤러부재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회전부를 통해 지지연결부를 이용한 롤러모듈과 롤러구동모듈 사이의 동력 전달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구동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롤러모듈에 안정적인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회전부를 통해 지지연결부를 이용한 롤러모듈과 롤러구동모듈 사이의 동력 전달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어레스트를 통해 커팅유닛에 파이프의 커팅 위치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어레스트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어레스트부재의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레스트프레임을 통해 컨베이어유닛에서 길이어레스트의 배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왕복구동부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파이프의 커팅 위치에 대응하여 어레스트베이스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지승강부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어레스트부재의 승강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유닛을 통해 정위치 고정된 파이프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커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밴드쏘 커팅 방식 또는 와이어쏘 커팅 방식으로 파이프의 커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롤러를 통해 반입되는 파이프를 컨베이어유닛에 안정되게 전달하고, 파이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승강부재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반입되는 파이프가 커팅유닛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커팅 작업 과정에서 파이프지지부가 파이프의 커팅 위치를 안정되게 지시하여 파이프의 커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커팅 작업 과정에서 커팅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커팅부재를 통한 커팅의 정확성과 커팅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플라즈마 커팅 방식으로 파이프의 커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모듈을 통한 커팅노즐의 자유도 및 플라즈마구동부를 통한 위치 이동에 따라 파이프의 커팅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을 통해 커팅유닛에 정위치된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고, 커팅유닛이 파이프를 안정되게 커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바이스 파지 방식으로 정위치된 파이프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척부재가 반입되는 파이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픈척 파지 방식으로 정위치된 파이프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닛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척부재가 반입되는 파이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픈척 파지 방식으로 정위치된 파이프를 안정되게 파지하며, 파이프의 커팅 형태에 대응하여 파이프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을 통해 커팅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따라 컨베이어유닛에서 파이프와 배출유닛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배출날개부들의 동시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를 승강 이동시켜 파이프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유닛의 부가 결합 관계를 통해 컨베이어유닛에서 파이프가 배출될 때, 파이프의 수평을 유지시켜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한 파이프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날개부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반입되는 파이프와 배출날개부의 간섭을 방지하고, 파이프의 반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구동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하는 배출날개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배출전달변환부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날개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지지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하는 배출날개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배출지지변환부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날개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축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구동모듈과 배출지지모듈의 유동에 대응하여 연결축부의 양단부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구동모듈의 회전력을 배출지지모듈에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컨베이어유닛의 롤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컨베이어유닛의 롤러구동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길이어레스트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커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배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배출유닛의 배출구동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배출유닛의 배출지지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배출유닛의 연결축모듈에 구비되는 연결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20)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은 길이어레스트(20)의 동작에 따라 커팅을 위한 파이프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키고, 커팅유닛(30)이 정확한 위치에서 파이프를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유닛(10)과, 길이어레스트(20)와, 커팅유닛(30)을 포함하고, 파지유닛(40)과, 배출유닛(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길이어레스트(20)는 파이프의 커팅 위치에 대응하여 반입되는 파이프를 정위치에 정지시킴에 따라 커팅유닛(30)에 파이프의 커팅 위치가 일치되도록 하고, 파지유닛(40)이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팅유닛(30)이 안정되게 파이프를 커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팅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배출유닛(50) 또는 배출컨베이어(15)를 이용하여 다음 공정으로 파이프를 반출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컨베이어유닛(10)에는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한다.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베이어유닛(10)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모듈(11)과, 프레임모듈(1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모듈(12)과, 프레임모듈(11)에 결합되고 롤러모듈(12)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모듈(13)과, 상호 인접한 두 롤러모듈(12)을 연결하거나, 롤러모듈(12)과 롤러구동모듈(13)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롤러모듈(12)에 전달하는 지지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모듈(11)은 롤러모듈(12)이 지지되는 한 쌍의 상단프레임과, 상단프레임을 지지하는 바디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모듈(12)은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프레임모듈(11)의 상단부에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모듈(12)은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고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롤러부재(121)와, 프레임모듈(11)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롤러부재(121)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와, 롤러부재(121)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롤러부재(121)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재(121)에는 양단부로부터 롤러부재(121)의 중앙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정위치경사부(122)가 구비되므로, 반입되는 파이프가 롤러부재(121)에서 폭 방향으로 안정되게 정위치되도록 한다.
롤러지지부는 롤러부재(121)의 일단부에서 롤러부재(12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롤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지지부(123)와, 롤러부재(121)의 타단부에서 롤러부재(12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롤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지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지지부(123)와 제2롤러지지부(124)는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롤러회전부는 제1롤러회전부(125)와 제2롤러회전부(126)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롤러회전부(125)와 제2롤러회전부(126)는 롤러부재(121)의 일단부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롤러부재(121)의 타단부에 모두 구비되거나, 롤러부재(12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롤러구동모듈(13)은 프레임모듈(11)에 고정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부(131)와, 롤러구동부(131)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롤러구동부(131)에 구비된 롤러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구동부(131)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롤러구동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회전부는 제1구동회전부(132)와 제2구동회전부(133)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구동회전부(132)와 제2구동회전부(133)는 롤러구동부(131)의 롤러구동축의 일단부에 모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롤러구동부(131)의 롤러구동축의 타단부에 모두 구비되거나 롤러구동부(131)의 롤러구동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지지연결부(미도시)는 체인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회전부와 구동회전부는 각각 스프로킷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롤러모듈(12) 간의 연결에 대하여, 상호 인접한 세 롤러모듈(12)인 제1모듈과 제2모듈과 제3모듈이 차례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제1모듈의 제1롤러회전부(125)와 제2모듈의 제1롤러회전부(125)가 가상의 제1평면에 배치되어 지지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고, 제2모듈의 제2롤러회전부(126)와 제3모듈의 제2롤러회전부(126)가 제1평면과 평행한 가상의 제2평면에 배치되어 지지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롤러모듈(12)과 롤러구동모듈(13)의 연결에 대하여 제1롤러회전부(125)와 제1구동회전부(132)는 가상의 제1평면에 배치되어 지지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고, 제2롤러회전부(126)와 제2구동회전부(133)는 제1평면과 평행한 가상의 제2평면에 배치되어 지지연결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컨베이어유닛(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면, 컨베이어유닛(10)에서 롤러구동부(131)가 동작됨에 따라 롤러부재(121)가 회전되므로, 파이프의 커팅 위치에 대응하여 파이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미설명부호 14는 파이프를 컨베이어유닛(10)에 전달하는 진입컨베이어이고, 미설명부호 15는 컨베이어유닛(10)의 파이프를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이다.
길이어레스트(20)는 컨베이어유닛(10)에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길이어레스트(20)는 컨베이어유닛(10)에 결합되기도 하고, 컨베이어유닛(10)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길이어레스트(20)는 커팅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길이에 대응하여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를 정지시킨다.
길이어레스트(20)는 어레스트베이스(22)와, 왕복레일(23)과, 왕복슬라이더(24)와, 왕복구동부(25)와, 어레스트부재(26)와, 저지레일(27)과, 저지슬라이더(28)와, 저지승강부(29)를 포함하고, 어레스트프레임(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레스트프레임(21)은 컨베이어유닛(10)에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어레스트베이스(22)는 커팅유닛(30)과 컨베이어유닛(10)에서 이격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어레스트프레임(21)은 어레스트베이스(22)가 컨베이어유닛(1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컨베이어유닛(10)에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왕복레일(23)은 컨베이어유닛(10)을 기준으로 어레스트베이스(22)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왕복레일(23)은 어레스트프레임(21)에 결합된다.
왕복슬라이더(24)는 어레스트베이스(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왕복레일(2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왕복구동부(25)는 왕복레일(23)에서 왕복슬라이더(24)를 왕복 이동시킨다.
왕복구동부(25)는 왕복레일(23)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왕복랙기어(251)와, 왕복랙기어(251)에 치합되는 왕복피니언기어와, 어레스트베이스(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왕복피니언기어를 정역 회전시키는 왕복모터(25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레스트부재(26)는 파이프의 지지를 위해 커팅유닛(30)과 어레스트베이스(22) 사이에 배치된다.
저지레일(27)은 어레스트부재(26)와 어레스트베이스(22)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저지레일(27)은 어레스트베이스(22)를 기준으로 어레스트부재(26)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저지슬라이더(28)는 어레스트부재(26)와 어레스트베이스(22)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저지슬라이더(28)는 저지레일(27)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저지승강부(29)는 저지레일(27)에서 저지슬라이더(28)를 승강 이동시킨다.
저지승강부(29)는 저지레일(27)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저지랙기어(291)와, 저지랙기어(291)에 치합되는 저지피니언기어와, 어레스트베이스(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저지피니언기어를 정역 회전시키는 저지모터(292)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유닛(30)은 컨베이어유닛(10)에 정지된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팅 작업을 실시한다.
커팅유닛(30)은 커팅부재가 파이프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파이프를 커팅하는 쏘유닛(30-1)을 포함할 수 있다.
쏘유닛(30-1)은 유닛본체(31)와, 커팅부재(미도시)와, 본체승강부재(34)와, 본체레일(33)과, 본체슬라이더(미도시)와, 본체승강구동부(미도시)와, 아이들드럼(35)과, 구동드럼(36)과, 드럼구동부(37)를 포함하고, 가이드롤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닛본체(31)는 파이프가 반입되는 컨베이어유닛(10)의 일측에 구비된다. 유닛본체(31)에는 파이프가 통과하는 부재통과부(311)가 형성되어 파이프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가 유닛본체(3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팅부재는 부재통과부(311)를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파이프를 커팅한다.
커팅부재는 아이들드럼(35)에 권취된 상태에서 부재통과부(311)를 가로질러 구동드럼(36)에 권취된다. 커팅부재는 밴드쏘 또는 와이어쏘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승강부재(34)는 유닛본체(3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체승강부재(34)에는 커팅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재가이드(341)가 형성된다.
좀더 자세하게, 본체승강부재(34)는 상기 유닛본체(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본체승강바디와, 커팅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부재통과부(311)를 기준으로 본체승강바디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부재가이드(3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승강부재(34)는 두 부재가이드(341) 사이에서 본체승강바디로부터 돌출 형성된 상태로 본체승강바디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파이프지지부(342)와, 본체승강바디를 기준으로 파이프지지부(342)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완충부(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파이프의 커팅 위치에 대응하여 본체승강부재(34)가 하강함에 따라 파이프지지부(342)가 파이프에 지지되고, 파이프의 커팅 작업 과정에서 파이프지지부(342)는 지지완충부(343)의 탄성력에 의해 파이프의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의 커팅 작업이 완료되어 본체승강부재(34)가 상승함에 따라 파이프지지부(342)는 파이프에서 이격된다. 파이프지지부(342)는 커팅부재의 상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커팅 작업 과정에서 커팅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레일(33)은 부재통과부(311)의 양측에서 유닛본체(31)와 본체승강부재(34)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본체레일(33)은 유닛본체(31)를 기준으로 본체승강부재(34)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본체슬라이더는 유닛본체(31)와 본체승강부재(34)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본체슬라이더는 본체레일(33)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승강구동부는 본체레일(33)에서 본체슬라이더를 승강 이동시킨다.
아이들드럼(35)은 부재통과부(311)의 일측에서 유닛본체(31) 또는 본체승강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드럼(36)은 부재통과부(311)의 타측에서 아이들드럼(35)에 대응하여 유닛본체(31) 또는 본체승강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럼구동부(37)는 구동드럼(36)을 회전시켜, 커팅부재가 파이프를 커팅하도록 한다.
가이드롤러(32)는 파이프가 반입되는 부재통과부(311)의 일측에서 유닛본체(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반입되는 파이프의 이동을 안정화시키고, 파이프가 부재통과부(311)를 안정되게 통과하여 컨베이어유닛에 전달되도록 한다.
쏘유닛(30-1)의 동작을 살펴보면, 파이프의 커팅 위치가 커팅유닛(30)에 정위치 고정되면, 본체승강부재(34)가 하강함에 따라 파이프지지부(342)가 파이프에 접촉 또는 지지된다. 이때, 드럼구동부(37)에 의해 구동드럼(36)이 회전됨에 따라 커팅부재가 이동하면서 파이프를 커팅할 수 있다.
파지유닛(40)은 컨베이어유닛(10)과 커팅유닛(30)에서 파이프가 정위치될 때, 파이프를 파지한다.
파지유닛(40)은 파이프의 양측을 지지하여 정위치된 파이프를 파지하는 고정바이스모듈(4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바이스모듈(41)은 파이프가 반입되는 컨베이어유닛(10)의 일측에서 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바이스(411)와, 파이프가 반입되는 컨베이어유닛(10)의 일측에서 제1바이스(411)와 마주보도록 파이프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바이스(412)와,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바이스(411)와 제2바이스(4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스레일(413)과, 바이스레일(413)에서 제1바이스(411)와 제2바이스(4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왕복 이동시키는 바이스구동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닛(50)은 커팅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컨베이어유닛(10)에서 배출시킨다.
배출유닛(50)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컨베이어유닛에 고정되는 배출브라켓(51)과, 컨베이어유닛(10)을 기준으로 파이프가 배출되는 쪽에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배출브라켓(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축부(52)와, 컨베이어유닛(10)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다수 개가 배출축부(52)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일단부가 배출축부(52)에 결합되어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배출축부(52)와 함께 회전 가능한 배출날개부(53)와, 컨베이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력으로 배출날개부(53) 중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구동모듈(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닛(50)은 배출구동모듈(54)에서 이격되어 컨베이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출구동모듈(54)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배출날개부(53) 중 다른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지지모듈(55)과, 배출구동모듈(54)과 배출지지모듈(55)을 연결하여 배출구동모듈(54)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배출지지모듈(55)에 전달하는 연결축모듈(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브라켓(51)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고정된다. 배출브라켓(51)의 일부는 컨베이어유닛(1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배출축부(5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배출축부(52)는 배출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배출지지부는 배출브라켓(51)에 결합된다.
배출날개부(53)는 배출축부(52)에서 돌출 형성된다. 배출날개부(53)에는 컨베이어유닛(10)에 안착되는 파이프가 간섭되지 않도록 간섭방지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섭방지홈부에 안착된 파이프는 배출날개부(53)가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회전될 때, 배출날개부(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날개부(53)의 일단부에는 배출축부(52)가 결합되는 배출축결합부(531)가 구비된다. 배출구동모듈(54)에 대응하여 배출날개부(53) 중 어느 하나에는 배출날개결합부(532)가 구비되어 배출구동모듈(54)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배출지지모듈(55)에 대응하여 배출날개부(53) 중 다른 하나에도 배출날개결합부(532)가 구비되어 배출지지모듈(55)이 결합되도록 한다. 배출날개결합부(532)는 배출축결합부(531)로부터 배출날개부(53)의 자유단을 향해 이격 배치된다.
배출구동모듈(54)은 배출날개부(53)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배출구동부(541)와, 배출구동부(541)의 배출구동축에 결합되는 축이음부(542)와, 축이음부(542)와 결합되고 축이음부(54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배출날개부(53)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전달모듈(543)을 포함할 수 있다.
축이음부(542)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축이음부(542)는 배출구동부(541)를 배출전달모듈(54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배출전달모듈(543)은 축이음부(542)와 동축으로 결합되는 배출전달축(5441)과, 배출전달축(5441)과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단부가 배출날개부(53)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전달축부(545)와, 배출전달축(5441)에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승강전달축부(545)가 승강 이동되도록 배출전달축(5441)과 승강전달축부(545)를 연결시키는 배출전달변환부(544)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배출전달변환부(544)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전달피벗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피벗모듈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결합된다는 것은, 전달피벗모듈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 전달피벗모듈이 배출브라켓(51)에 결합되는 구조, 전달피벗모듈이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켓(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전달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피벗모듈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 또는 배출브라켓(51) 또는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켓(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전달브라켓에 구비되는 전달모듈브라켓과, 전달피벗축(5471)을 매개로 전달모듈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피벗브라켓(547)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달피벗브라켓(547)은 배출전달변환부(544)에 고정된다.
배출전달모듈(543)은 승강전달축부(545)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전달축부(545)를 가이드하는 승강전달가이드(5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전달가이드(546)는 배출전달변환부(544) 또는 전달피벗브라켓(547)에 결합되고, 승강전달가이드(546)가 삽입될 수 있다.
배출전달모듈(543)은 승강전달가이드(546)에 결합되어 승강전달축부(545)의 승강이동 한계를 감지하는 전달한계감지부(5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한계감지부(548)는 승강전달축부(545)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는 전달상한감지부(5482)와, 승강전달축부(545)가 최대로 하강한 상태를 감지하는 전달하한감지부(5483)를 포함하고, 승강전달가이드(546)에 전달상한감지부(5482)와 전달하한감지부(5483)를 결합시키는 전달한계브라켓(54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달한계브라켓(5481)은 전달상한감지부(5482)를 승강전달가이드(546)에 결합시키는 제1전달브라켓과, 제1전달브라켓에서 이격되어 전달하한감지부(5483)를 승강전달가이드(546)에 결합시키는 제2전달브라켓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배출지지모듈(55)은 축이음부(542)와 동축으로 결합되는 배출지지축(5511)과, 배출지지축(5511)과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단부가 배출날개부(53)에 링크 결합되는 승강지지축부(552)와, 배출지지축(5511)에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승강지지축부(552)가 승강 이동되도록 배출지지축(5511)과 승강지지축부(552)를 연결시키는 배출지지변환부(551)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배출지지변환부(55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피벗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피벗모듈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결합된다는 것은, 지지피벗모듈이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 지지피벗모듈이 배출브라켓(51)에 결합되는 구조, 지지피벗모듈이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켓(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피벗모듈은 컨베이어유닛(10)의 프레임모듈(11) 또는 배출브라켓(51) 또는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켓(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지지브라켓에 구비되는 지지모듈브라켓과, 지지피벗축(5541)을 매개로 지지모듈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피벗브라켓(55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피벗브라켓(554)은 배출지지변환부(551)에 고정된다.
배출지지모듈(55)은 승강지지축부(552)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승강지지축부(552)를 가이드하는 승강지지가이드(5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지지가이드(553)는 배출지지변환부(551) 또는 지지피벗브라켓(554)에 결합되고, 승강지지가이드(553)가 삽입될 수 있다.
배출지지모듈(55)은 승강지지가이드(553)에 결합되어 승강지지축부(552)의 승강이동 한계를 감지하는 지지한계감지부(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한계감지부(555)는 승강지지축부(552)가 최대로 상승한 상태를 감지하는 지지상한감지부(5552)와, 승강지지축부(552)가 최대로 하강한 상태를 감지하는 지지하한감지부(5553)를 포함하고, 승강지지가이드(553)에 지지상한감지부(5552)와 지지하한감지부(5553)를 결합시키는 지지한계브라켓(55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한계브라켓(5551)은 지지상한감지부(5552)를 승강지지가이드(553)에 결합시키는 제1지지브라켓과, 제1지지브라켓에서 이격되어 지지하한감지부(5553)를 승강지지가이드(553)에 결합시키는 제2지지브라켓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결축모듈(56)은 배출축부(5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컨베이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561)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컨베이어유닛(10)에 결합되고, 연결축부(56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지지부(562)와, 연결축부(561)의 일단부와 배출구동모듈(54)을 연결시키고 연결축부(561)의 타단부와 배출지지모듈(55)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563)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부(561)가 컨베이어유닛(10)에 결합된다는 것은 연결축부(561)가 연결지지부(562)를 매개로 컨베이어유닛(10)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 연결축부(561)가 연결지지부(562)를 매개로 배출브라켓(51)에 결합되는 구조, 연결축부(561)가 연결지지부(562)를 매개로 프레임모듈(11)과 배출브라켓(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배출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부(561)는 배출축부(52)와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축부(561)는 아이들 상태에서 배출구동부(541)의 배출구동축, 배출전달변환부(544)의 배출전달축(5441), 배출지지변환부(551)의 배출지지축(5511)들과 동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조인트(563)는 연결축부(56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조인트로드(5631)와, 제1조인트로드(5631)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조인트로드(5632)와, 배출구동모듈(54) 또는 배출지지모듈(55)에 결합되는 제3조인트로드(5633)와, 제3조인트로드(5633)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4조인트로드(5634)와, 제1조인트로드(5631)와 제2조인트로드(5632)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연결링크(5636)와, 상호 인접한 제2조인트로드(5632)와 제4조인트로드(5634)를 동축으로 결합시키는 축고정부(5635)와, 제3조인트로드(5633)와 제4조인트로드(5634)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연결링크(5637)를 포함할 수 있다. 축고정부(5635)는 제2조인트로드(5632)와 제4조인트로드(5634)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제2조인트로드(5632)와 제4조인트로드(5634) 중 다른 하나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축고정부(5635)는 스플라인 결합 방식이 적용되므로, 회전력의 전달과 함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배출유닛(50)의 동작을 살펴보면, 커팅유닛(30)에서 파이프의 커팅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커팅된 파이프가 컨베이어유닛(10)에 지지된다. 이때, 배출날개부(53)의 상단부는 파이프의 하단부보다 아래 배치되므로,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배출날개부(53)가 파이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배출날개부(53)의 상단부는 롤러부재(121)의 정위치경사부(122)보다 아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유닛(10)에 정위치된 파이프의 반출을 위해 배출구동모듈(54)이 동작되면, 승강전달축부(545)가 하강되고, 배출날개부(53)는 상승하면서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파이프는 배출날개부(53)에 지지된 상태에서 컨베이어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배출날개부(53)의 경사에 의해 파이프는 배출날개부(53)에서 이탈되어 반출이 완료된다. 여기서, 승강전달축부(545)의 단부는 배출날개부(53)에 구속되므로, 배출전달변환부(544)는 전달피벗모듈을 기준으로 피벗 회전되고, 배출전달축(5441)과 연결축부(561) 사이의 동축 관계가 평행 관계로 변형되지만, 연결조인트(563)에 의해 배출전달축(5441)부에 전달된 회전력은 안정되게 연결축부(561)를 거쳐 배출지지모듈(55)의 배출지지축(5511)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배출구동모듈(54)의 동작과 함께 배출지지모듈(55)도 동시에 동작되므로, 승강지지축부(552)가 하강되고, 배출날개부(53)는 상승하면서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파이프는 배출날개부(53)에 지지된 상태에서 컨베이어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배출날개부(53)의 경사에 의해 배출날개부(53)에서 이탈되어 반출이 완료된다. 여기서, 승강지지축부(552)의 단부는 배출날개부(53)에 구속되므로, 배출지지변환부(551)는 지지피벗모듈을 기준으로 피벗 회전되고, 배출지지축(5511)과 연결축부(561) 사이의 동축 관계가 평행 관계로 변형되지만, 연결조인트(563)에 의해 연결축부(561)에 전달된 회전력은 안정되게 배출지지축(5511)에 전달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20)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은 길이어레스트(20)의 동작에 따라 커팅을 위한 파이프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키고, 커팅유닛(30)이 정확한 위치에서 파이프를 커팅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유닛(10)과, 길이어레스트(20)와, 커팅유닛(30)을 포함하고, 파지유닛(40)과, 배출유닛(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20)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길이어레스트(20)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커팅유닛(30)은 파이프에서 이격된 커팅노즐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아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커팅하는 플라즈마유닛(30-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유닛(30-2)은 컨베이어유닛(10)에 정위치된 파이프에 근접함에 따라 파이프의 커팅을 위한 플라즈마아크가 발생되는 커팅노즐과, 커팅노즐에서 플라즈마아크를 발생시키는 한편 커팅노즐의 3축 이동 동작과 커팅노즐의 3축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플라즈마모듈과, 플라즈마모듈이 결합되는 플라즈마슬라이더(321)와, 컨베이어유닛 또는 컨베이어유닛에 인접한 바닥에 구비되고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플라즈마슬라이더(321)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플라즈마레일(322)과, 플라즈마레일(322)에서 플라즈마슬라이더(321)를 왕복 이동시키는 플라즈마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커팅노즐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아크가 파이프를 커팅하고, 플라즈마모듈에 의해 커팅노즐이 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파이프의 커팅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커팅유닛(30)은 쏘유닛(30-1)과 플라즈마유닛(30-2) 중 적어도 어는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커팅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파지유닛(40)은 파이프를 감싼 상태에서 파이프의 외주면을 지지하여 파이프를 파지하는 왕복척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예로, 왕복척모듈(42)은 파이프가 반입되는 컨베이어유닛(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척슬라이더(421)와, 척슬라이더(421)에 구비되고 파이프가 파지되는 척부재(422)와,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척슬라이더(421)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척레일(423)과, 커팅유닛(30)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파지하기 위해 척부재(422)를 동작시키는 척부재구동부(424)와, 척레일(423)에서 척슬라이더(421)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척구동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척부재(422)는 정위치된 파이프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2예로, 왕복척모듈(42)은 파이프가 반입되는 컨베이어유닛(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척슬라이더(421)와, 척슬라이더(421)에 구비되고 파이프가 파지되는 척부재(422)와,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척슬라이더(421)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척레일(423)과, 커팅유닛(30)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한편 커팅유닛(30)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회전시키기 위해 척부재(422)를 동작시키는 척부재구동부(424)와, 척레일(423)에서 척슬라이더(421)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척구동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척부재(422)는 정위치된 파이프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파이프의 커팅면에 대응하여 파이프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척부재(422)는 공지의 오프척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파지유닛(40)은 고정바이스모듈(41)과 왕복척모듈(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파지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길이어레스트(20)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파이프의 커팅을 위한 길이데이터는 설계소프트웨어에 의해 CNC데이터로 자동 변환된다. 변환된 CNC데이터는 길이어레스트(20)와 커팅유닛(30)에 각각 전송된다.
길이어레스트(20)에서는 CNC데이터에 기초하여 왕복구동부(25)와 저지승강부(29)가 동작됨에 따라 길이어레스트(20)에서 어레스트부재(26)는 컨베이어유닛(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컨베이어유닛(10)을 향해 하강하므로, 공급되는 파이프의 커팅 길이와 커팅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커팅유닛(30)이 파이프를 커팅하는 위치로부터 어레스트부재(26)가 이격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영점측정부는 파이프의 영점을 측정하고, 측정된 영점데이터와 CNC데이터에 포함된 파이프의 커팅길이에 대응하여 길이어레스트(20)에서 어레스트부재(26)는 파이프의 영점 위치로부터 커팅길이 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이프가 커팅길이 만큼 컨베이어유닛(10)에서 이동하고, 파이프의 단부가 어레스트부재(26)에 접촉되면, 길이어레스트(20)의 정지센싱부가 파이프를 감지하게 된다. 정지센싱부가 파이프를 감지하면, 컨베이어유닛(10)이 정지하는 한편, 파지유닛(40)이 파이프를 파지한 다음, 커팅유닛(30)이 파이프의 커팅 위치를 정확하게 커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파이프의 커팅 작업이 완료되면, 길이어레스트(20)에서 어레스트부재(26)가 상승하여 파이프로부터 이격되고, 컨베이어유닛(10)의 동작에 따라 파이프가 커팅유닛(30)에서 분리된다. 마지막으로, 배출유닛(50)이 동작되어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를 배출시킨다.
컨베이어유닛(10)으로부터 파이프가 배출되고 나면, 승강전달축부(545)와 승강지지축부(552)의 상승에 따라 배출날개부(53)는 하강하면서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배출날개부(53)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길이어레스트(20)와 파지유닛(4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후속하는 CNC데이터에 따라 상술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공급되는 파이프를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다.
상술한 길이어레스트(20)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에 따르면, 길이어레스트(20)의 동작에 따라 커팅을 위한 파이프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키고, 커팅유닛(30)이 정확한 위치에서 파이프를 간편하게 커팅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직경에 대한 다양성을 수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를 정위치에 고정시켜 커팅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팅 작업을 위한 파이프의 반입, 로딩, 가공, 언로딩, 반출을 일련의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파이프의 커팅 작업에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유닛(1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른 파이프의 왕복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가 길이어레스트(20)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한편, 커팅유닛(30)에서 파이프의 커팅위치가 명확하게 정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롤러모듈(12)의 결합 관계를 통해 롤러부재(121)에서 파이프의 폭 방향에 대해 간편하게 센터링할 수 있고,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파이프의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지지부를 통해 롤러부재(121)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회전부를 통해 지지연결부(미도시)를 이용한 롤러모듈(12)과 롤러구동모듈(13) 사이의 동력 전달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러구동모듈(13)의 결합 관계를 통해 롤러모듈(12)에 안정적인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구동회전부를 통해 지지연결부(미도시)를 이용한 롤러모듈(12)과 롤러구동모듈(13) 사이의 동력 전달 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길이어레스트(20)를 통해 커팅유닛(30)에 파이프의 커팅 위치를 자동으로 정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어레스트(2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어레스트부재(26)의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어레스트프레임(21)을 통해 컨베이어유닛에서 길이어레스트(20)의 배치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왕복구동부(25)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파이프의 커팅 위치에 대응하여 어레스트베이스(22)의 왕복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지승강부(29)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파이프의 직경에 대응하여 어레스트부재(26)의 승강 이동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팅유닛(30)을 통해 정위치 고정된 파이프를 자동으로 간편하게 커팅할 수 있다.
또한, 커팅유닛(3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밴드쏘 또는 와이어쏘 커팅 방식으로 파이프의 커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롤러(32)를 통해 반입되는 파이프를 컨베이어유닛(10)에 안정되게 전달하고, 파이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승강부재(34)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반입되는 파이프가 커팅유닛(3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커팅 작업 과정에서 파이프지지부(342)가 파이프의 커팅 위치를 안정되게 지시하여 파이프의 커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커팅 작업 과정에서 커팅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커팅부재를 통한 커팅의 정확성과 커팅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팅유닛(3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플라즈마 커팅 방식으로 파이프의 커팅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모듈을 통한 커팅노즐의 자유도 및 플라즈마구동부를 통한 위치 이동에 따라 파이프의 커팅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지유닛(40)을 통해 커팅유닛(30)에 정위치된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고, 커팅유닛(30)이 파이프를 안정되게 커팅하도록 한다.
또한, 파지유닛(4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바이스 파지 방식으로 정위치된 파이프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유닛(4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척부재(422)가 반입되는 파이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픈척 파지 방식으로 정위치된 파이프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유닛(4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척부재(422)가 반입되는 파이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픈척 파지 방식으로 정위치된 파이프를 안정되게 파지하며, 파이프의 커팅 형태에 대응하여 파이프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유닛(50)을 통해 커팅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파이프의 왕복 이동에 따라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와 배출유닛(5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닛(5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배출날개부(53)들의 동시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파이프를 승강 이동시켜 파이프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닛(50)의 부가 결합 관계를 통해 컨베이어유닛(10)에서 파이프가 배출될 때, 파이프의 수평을 유지시켜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한 파이프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날개부(53)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반입되는 파이프와 배출날개부(53)의 간섭을 방지하고, 파이프의 반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동모듈(54)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하는 배출날개부(53)의 회전에 대응하여 배출전달변환부(544)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날개부(5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출지지모듈(55)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축부(52)를 기준으로 하는 배출날개부(53)의 회전에 대응하여 배출지지변환부(551)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날개부(5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축모듈(56)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배출구동모듈(54)과 배출지지모듈(55)의 유동에 대응하여 연결축부(561)의 양단부의 안정된 유동성을 확보하고, 배출구동모듈(54)의 회전력을 배출지지모듈(55)에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컨베이어유닛 11: 프레임모듈 12: 롤러모듈
121: 롤러부재 122: 정위치경사부 123: 제1롤러지지부
124: 제2롤러지지부 125: 제1롤러회전부 126: 제2롤러회전부
13: 롤러구동모듈 131: 롤러구동부 132: 제1구동회전부
133: 제2구동회전부 14: 진입컨베이어 15: 배출컨베이어
20: 길이어레스트 21: 어레스트프레임 22: 어레스트베이스
23: 왕복레일 24: 왕복슬라이더 25: 왕복구동부
251: 왕복랙기어 252: 왕복모터 26: 어레스트부재
27: 저지레일 28: 저지슬라이더 29: 저지승강부
291: 저지랙기어 292: 저지모터
30: 커팅유닛 30-1: 쏘유닛 31: 유닛본체
311: 부재통과부 32: 가이드롤러 33: 본체레일
34: 본체승강부재 341: 부재가이드 342: 파이프지지부
343: 지지완충부 35: 아이들드럼 36: 구동드럼
37: 드럼구동부 30-2: 플라즈마유닛 321: 플라즈마슬라이더
322: 플라즈마레일
40: 파지유닛 41: 고정바이스모듈 411: 제1바이스
412: 제2바이스 413: 바이스레일 414: 바이스구동부
42: 왕복척모듈 421: 척슬라이더 422: 척부재
423: 척레일 424: 척부재구동부 425: 왕복척구동부
50: 배출유닛 51: 배출브라켓 52: 배출축부
53: 배출날개부 531: 배출축결합부 532: 배출날개결합부
54: 배출구동모듈 541: 배출구동부 542: 축이음부
543: 배출전달모듈 544: 배출전달변환부 5441: 배출전달축
545: 승강전달축부 546: 승강전달가이드 547: 전달피벗브라켓
5471: 전달피벗축 548: 전달한계감지부 5481: 전달한계브라켓
5482: 전달상한감지부 5483: 전달하한감지부 55: 배출지지모듈
551: 배출지지변환부 5511: 배출지지축 552: 승강지지축부
553: 승강지지가이드 554: 지지피벗브라켓 5541: 지지피벗축
555: 지지한계감지부 5551: 지지한계브라켓 5552: 지지상한감지부
5553: 지지하한감지부 56: 연결축모듈 561: 연결축부
562: 연결지지부 563: 연결조인트 5631: 제1조인트로드
5632: 제2조인트로드 5633: 제3조인트로드 5634: 제4조인트로드
5635: 축고정부 5636: 제1연결링크 5637: 제2연결링크

Claims (15)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반입되는 파이프가 안착되고, 상기 파이프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유닛;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커팅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상기 파이프를 정지시키는 길이어레스트;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정지된 파이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팅 작업을 실시하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길이어레스트는,
    상기 커팅유닛과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이격 배치되는 어레스트베이스;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어레스트베이스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왕복레일;
    상기 어레스트베이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왕복레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왕복슬라이더;
    상기 왕복레일에서 상기 왕복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구동부;
    상기 파이프의 지지를 위해 상기 커팅유닛과 상기 어레스트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어레스트부재;
    상기 어레스트부재와 상기 어레스트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어레스트베이스를 기준으로 상기 어레스트부재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저지레일;
    상기 어레스트부재와 상기 어레스트베이스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저지레일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지슬라이더; 및
    상기 저지레일에서 상기 저지슬라이더를 승강 이동시키는 저지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은,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모듈;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모듈;
    상기 프레임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모듈의 정역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롤러구동모듈; 및
    상호 인접한 두 롤러모듈을 연결하거나, 상기 롤러모듈과 상기 롤러구동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력을 상기 롤러모듈에 전달하는 지지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모듈은,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롤러부재;
    상기 프레임모듈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부; 및
    상기 롤러부재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롤러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재에는, 양단부로부터 상기 롤러부재의 중앙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정위치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통과하는 부재통과부가 형성된 유닛본체;
    상기 부재통과부를 가로질러 이동하면서 상기 파이프를 커팅하는 커팅부재;
    상기 커팅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재가이드가 형성된 본체승강부재;
    상기 부재통과부의 양측에서 상기 유닛본체와 상기 본체승강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유닛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승강부재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본체레일;
    상기 유닛본체와 상기 본체승강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레일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슬라이더;
    상기 본체레일에서 상기 본체슬라이더를 승강 이동시키는 본체승강구동부;
    상기 부재통과부의 일측에서 상기 유닛본체 또는 상기 본체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이들드럼;
    상기 부재통과부의 타측에서 상기 아이들드럼에 대응하여 상기 유닛본체 또는 상기 본체승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드럼; 및
    상기 구동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재는 상기 아이들드럼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부재통과부를 가로질러 상기 구동드럼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유닛은,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정위치된 파이프에 근접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커팅을 위한 플라즈마아크가 발생되는 커팅노즐;
    상기 커팅노즐에서 상기 플라즈마아크를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커팅노즐의 3축 이동 동작과 상기 커팅노즐의 3축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플라즈마모듈;
    상기 플라즈마모듈이 결합되는 플라즈마슬라이더;
    상기 컨베이어유닛 또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인접한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플라즈마슬라이더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플라즈마레일; 및
    상기 플라즈마레일에서 상기 플라즈마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플라즈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유닛과 상기 커팅유닛에서 상기 파이프가 정위치될 때, 상기 파이프를 파지하는 파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바이스;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서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바이스;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바이스와 상기 제2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이스레일; 및
    상기 바이스레일에서 상기 제1바이스와 상기 제2바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왕복 이동시키는 바이스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척슬라이더;
    상기 척슬라이더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파지되는 척부재;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척슬라이더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척레일;
    상기 커팅유닛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파지하기 위해 상기 척부재를 동작시키는 척부재구동부; 및
    상기 척레일에서 상기 척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파이프가 반입되는 상기 컨베이어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척슬라이더;
    상기 척슬라이더에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가 파지되는 척부재;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척슬라이더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척레일;
    상기 커팅유닛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파지하는 한편, 상기 커팅유닛에 정위치되는 파이프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척부재를 동작시키는 척부재구동부; 및
    상기 척레일에서 상기 척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척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작업을 마친 파이프를 상기 컨베이어유닛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고정되는 배출브라켓;
    상기 컨베이어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파이프가 배출되는 쪽에서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출축부;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안착되는 파이프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다수 개가 상기 배출축부를 따라 상호 이격되고, 일단부가 상기 배출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축부를 기준으로 상기 배출축부와 함께 회전 가능한 배출날개부; 및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력으로 상기 배출날개부 중 어느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은,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배출날개부 중 다른 하나를 승강 이동시키는 배출지지모듈; 및
    상기 배출구동모듈과 상기 배출지지모듈을 연결하여 상기 배출구동모듈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상기 배출지지모듈에 전달하는 연결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모듈은,
    상기 배출축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부;
    둘 이상이 상호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지지부; 및
    상기 연결축부의 일단부와 상기 배출구동모듈을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축부의 타단부와 상기 배출지지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는,
    상기 연결축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조인트로드;
    상기 제1조인트로드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2조인트로드;
    상기 배출구동모듈 또는 상기 배출지지모듈에 결합되는 제3조인트로드;
    상기 제3조인트로드에서 이격 배치되는 제4조인트로드;
    상기 제1조인트로드와 상기 제2조인트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1연결링크;
    상호 인접한 상기 제2조인트로드와 상기 제4조인트로드를 동축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고정부; 및
    상기 제3조인트로드와 상기 제4조인트로드를 링크 결합시키는 제2연결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KR1020210066428A 2021-05-24 2021-05-24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KR102375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428A KR102375886B1 (ko) 2021-05-24 2021-05-24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428A KR102375886B1 (ko) 2021-05-24 2021-05-24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886B1 true KR102375886B1 (ko) 2022-03-18
KR102375886B9 KR102375886B9 (ko) 2023-02-23

Family

ID=8093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428A KR102375886B1 (ko) 2021-05-24 2021-05-24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5500A (zh) * 2022-06-06 2022-11-01 福建祥鑫新能源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铝型材加工用锯切机床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4139B2 (ja) * 1986-07-31 1998-03-09 株式会社 アマダ 切断装置
KR20080021238A (ko) * 2006-08-31 2008-03-07 윤한용 목재이송장치
KR20140067735A (ko) * 2012-11-27 2014-06-05 세영 E.N.G. 주식회사 파이프 절단장치
KR20150066891A (ko) * 2013-12-09 2015-06-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튜브컷팅설비의 컷팅길이확장장치
KR20170038716A (ko) * 2015-09-30 2017-04-07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공작기계
JP2017071028A (ja) * 2015-10-08 2017-04-13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帯鋸盤
KR102090496B1 (ko) 2019-11-15 2020-03-20 아이언틸 주식회사 플라즈마를 이용한 절단과 개선각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4139B2 (ja) * 1986-07-31 1998-03-09 株式会社 アマダ 切断装置
KR20080021238A (ko) * 2006-08-31 2008-03-07 윤한용 목재이송장치
KR20140067735A (ko) * 2012-11-27 2014-06-05 세영 E.N.G. 주식회사 파이프 절단장치
KR20150066891A (ko) * 2013-12-09 2015-06-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튜브컷팅설비의 컷팅길이확장장치
KR20170038716A (ko) * 2015-09-30 2017-04-07 시티즌 도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공작기계
JP2017071028A (ja) * 2015-10-08 2017-04-13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帯鋸盤
KR102090496B1 (ko) 2019-11-15 2020-03-20 아이언틸 주식회사 플라즈마를 이용한 절단과 개선각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파이프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5500A (zh) * 2022-06-06 2022-11-01 福建祥鑫新能源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铝型材加工用锯切机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886B9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622B1 (ko) 합판 운반장치
KR101470375B1 (ko) 레이저 파이프 절단장치
KR102375886B1 (ko) 길이어레스트를 이용한 파이프의 커팅시스템
KR102108710B1 (ko) 합판 운반장치
CN211680288U (zh) 波纹管切割机
KR20100095717A (ko) 자동 목재 제재 장치
ES2361706T3 (es) Método y máquina para mecanizar componentes de madera o similares.
CN210880091U (zh) 一种锥型圆料智能定长自动锯断分拣设备
JP6741447B2 (ja) レーザ加工装置
KR102389894B1 (ko) 자동 센터추적 컨베이어와 이를 이용한 자동 베벨 유연시스템
KR100974864B1 (ko) 플라즈마 컷팅 장치로 컷팅 대상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 공급장치
CN113681074B (zh) 一种基于门套定尺锯切装置的门套柔性定尺锯切方法
CN214452200U (zh) 一种用于堆垛打包设备上的递送装置
CN205291185U (zh) 一种全自动木料打钉机
CN212423810U (zh) 一种半成品型材放置架
JP6832069B2 (ja) ワーク把持方法及びチャック装置
KR20200049247A (ko) 크기가 다른 피가공물의 파지가 용이한 피가공물 절단장치
CN210823119U (zh) 一种玻璃纤维自动装箱线
JP3844553B2 (ja) 切断機に対するワーク給材方法および装置
CN220947146U (zh) 一种光伏熔断器底座的自动侧面移印设备
JP4659185B2 (ja) 切断装置
CN220263282U (zh) 一种伺服追逐理料机构
CN220446854U (zh) 一种上下料机构
JP6700884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2613556B2 (ja) 製材装置用給材方法並びに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