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166B1 -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Google Patents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5166B1 KR102375166B1 KR1020170070934A KR20170070934A KR102375166B1 KR 102375166 B1 KR102375166 B1 KR 102375166B1 KR 1020170070934 A KR1020170070934 A KR 1020170070934A KR 20170070934 A KR20170070934 A KR 20170070934A KR 102375166 B1 KR102375166 B1 KR 1023751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ember
- bullet
- mounting means
- groove
- hold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47—Ratio selector apparatus with essentially straight linear movement for gear selection, e.g. straight selection movement using detent mechanism for improving fee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의 길이방향으로 동작되고, 헤드부와 넥부로 구성되며, 넥부에는 거치수단이 형성된 불렛; 및 상기 거치수단에 의해 상기 넥부에 거치되고, 상기 헤드부와 수용홈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불렛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조작기구에 설치되어, 변속레버를 통한 변속의 수행 시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기는 변속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및 무단변속기 등으로 구분되며, 주행상태에 따라 엔진의 토크 및 회전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자동변속기 차량의 변속레버는 각 변속단으로 이동 시 조작감을 부여하여 변속된 기어를 위치 고정시키는 한편, 운전자가 기어의 변속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변속레버의 조작성이 좋지 않으면 운전자의 변속조작이 변속기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불편한 조작감으로 인해 차량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변속레버 하우징에 별도의 불렛과 그루브를 설치하여 조작감을 부여하는데, 종래의 경우 불렛의 외경과 하우징의 삽입부 내경 간의 치수 차이에 의해 틈이 발생되며, 이는 변속레버의 유격을 유발하여 운전자에게 나쁜 조작감을 부여하며, 불렛에 하중의 미적용 시 래틀이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속레버의 조작 시 전달되는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불렛과 하우징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래틀 이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는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의 길이방향으로 동작되고, 헤드부와 넥부로 구성되며, 넥부에는 거치수단이 형성된 불렛; 및 상기 거치수단에 의해 상기 넥부에 거치되고, 상기 헤드부와 수용홈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불렛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상기 불렛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테이퍼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넥부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설치홈으로써, 상기 넥부의 외주면과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거치수단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넥부의 대칭이 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의 일단 또는 타단은 상기 넥부를 관통하여 양측 거치수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거치수단의 일단 또는 타단에 관통된 후 양끝단이 상기 거치수단의 양측 타단 또는 일단에 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거치수단의 총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거치수단에 절곡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중심측에 상기 넥부 측으로 절곡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불렛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홈부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수용홈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불렛의 좌우방향의 유격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에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는 병합되어 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불렛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가 가압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넥부의 대칭이 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의 일단 또는 타단은 상기 넥부를 관통하여 양측 거치수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거치수단의 일단 또는 타단에 관통된 후 양끝단의 상기 병합부가 상기 거치수단의 양측 타단 또는 일단에 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넥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길이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넥부의 하측에는 상기 거치수단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부는 상기 원주부와 거치수단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수용홈 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상태로 상기 거치수단에 걸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와 넥부의 사이에는 상기 헤드부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상기 헤드부 측으로 만입된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주부가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넥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상기 불렛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테이퍼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에 따르면, 수용홈의 테이퍼와 탄성부재가 상시 선접촉을 형성하여 불렛의 좌우유동을 제한하여 유격을 제거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거치수단과 탄성부재의 설계를 달리하여 최적의 형상을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복합적이고 강건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탄성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탄성부재가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는 곡부의 굽힘 정도를 조절하여 불렛의 리턴력 가변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대비 부품수를 절감하여 우수한 절도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부품수의 절감으로 부품관리가 용이하며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과도한 스트로크로 인해 불렛 자체에 탄성력이 부가되어 불렛의 동작 시 불렛이 하우징에 고착될 수 있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으며, 작동 시 마찰을 저감하고, 유격으로 인한 래틀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그루브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과 수용홈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이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불렛과 탄성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과 수용홈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불렛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탄성부재가 불렛에 설치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탄성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그루브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과 수용홈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이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불렛과 탄성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과 수용홈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불렛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탄성부재가 불렛에 설치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탄성부재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속조작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그루브(900)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300)과 수용홈(11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300)이 수용홈(110)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불렛(300)과 탄성부재(50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300)과 수용홈(110)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불렛(300)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탄성부재(500)가 불렛(300)에 설치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탄성부재(50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는 수용홈(110)이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수용홈(110)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110)의 길이방향으로 동작되고, 헤드부(310)와 넥부(330)로 구성되며, 넥부(330)에는 거치수단(331)이 형성된 불렛(300); 및 상기 거치수단(331)에 의해 상기 넥부(330)에 거치되고, 상기 헤드부(310)와 수용홈(1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불렛(300)이 상기 수용홈(110)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2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변속레버(700)가 설치된 변속레버 하우징(100)일 수 있으며, 상기 변속레버(700)와 불렛(300)은 동일한 회전축(710)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불렛(300)은 변속레버(7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110)의 상측에는 상기 수용홈(110)을 커버하되, 내측에는 복수의 삽입홈(910)이 형성된 그루브(90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변속레버(700)의 회전 시 상기 불렛(300)이 탄성적으로 상기 수용홈(110)에 수납 또는 인출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910)에 수납 또는 인출됨으로써, 조작감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변속레버(70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변속레버(700)의 회전축(710)을 향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상기 수용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0)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측면에 테이퍼(11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0)에는 상기 수용홈(110)의 길이방향으로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불렛(30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불렛(300)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테이퍼(111)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불렛(300)이 상기 수용홈(110) 내에서 동작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300)과 수용홈(110)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상기 불렛(300)은 상기 헤드부(310)와 넥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넥부(330)에는 상기 탄성부재(500)를 거치할 수 있는 상기 거치수단(331)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넥부(33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설치홈으로써, 상기 넥부(330)의 외주면과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거치수단(331)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넥부(330)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불렛(300)의 넥부(330)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거치수단(331)의 일단 또는 타단은 상기 넥부(330)를 관통하여 양측 거치수단(331)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거치수단(331)의 일단 또는 타단에 관통된 후 양끝단이 상기 거치수단(331)의 양측 타단 또는 일단에 거치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 또는 타단이 관통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양측 단부가 상기 거치수단(331)에 거치되도록 설치되면, 상기 일단 또는 타의 관통지점에도 상기 탄성부재(500)가 위치되어 상기 불렛(30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시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이 적절히 분배되어 좌우측 유격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넥부(3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거치수단(331)의 총길이 즉 상기 거치수단(331)의 양측을 더한 길이와 일단 또는 타단의 관통된 지점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거치수단(331)에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어 탄성력이 부가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넥부(330)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중심측에 상기 넥부(330) 측으로 절곡된 홈부(510)가 형성되어, 상기 불렛(300)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홈부(510)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수용홈(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접촉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불렛(300)의 동작 시 좌우방향의 유격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불렛(3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력과 상기 탄성부재(500)와 수용홈(110)과의 반력에 의해 상기 불렛(300)이 원복된다.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300)과 수용홈(110)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상기 불렛(300)은 상기 헤드부(310)와 넥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넥부(330)에는 상기 탄성부재(500)를 거치할 수 있는 상기 거치수단(331)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넥부(33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설치홈으로써, 상기 넥부(330)의 외주면과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거치수단(331)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넥부(330)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불렛(300)의 넥부(330)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거치수단(331)의 일단 또는 타단은 상기 넥부(330)를 관통하여 양측 거치수단(331)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수단(331)에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의 탄성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500)의 양단부는 병합되어 병합부(5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불렛(300)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500)가 가압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500) 간의 간섭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스프링의 길이, 굽힘정도, 스프링상수 등을 다르게 설정하여 서로 다른 스프링 특성을 갖도록 하여 상기 불렛(300)의 인출 시 복합적인 탄성력에 의해 상기 불렛(300)이 동작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거치수단(331)의 일단 또는 타단에 관통된 후 양끝단이 상기 거치수단(331)의 양측 타단 또는 일단에 거치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 또는 타단이 관통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양측 단부가 상기 거치수단(331)에 거치되도록 설치되면, 상기 일단 또는 타의 관통지점에도 상기 탄성부재(500)가 위치되어 상기 불렛(30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시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이 적절히 분배되어 좌우측 유격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넥부(3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거치수단(331)의 총길이 즉 상기 거치수단(331)의 양측을 더한 길이와 일단 또는 타단의 관통된 지점의 직경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거치수단(331)에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어 탄성력이 부가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넥부(330)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치됨으로써, 중심측에 상기 넥부(330) 측으로 절곡된 홈부(510)가 형성되어, 상기 불렛(300)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홈부(510)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수용홈(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접촉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불렛(300)의 동작 시 좌우방향의 유격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불렛(3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력과 상기 탄성부재(500)와 수용홈(110)과의 반력에 의해 상기 불렛(300)이 원복된다.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불렛(300)과 수용홈(110)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변속조작기구의 상기 불렛(300)은 상기 헤드부(310)와 넥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310)와 넥부(330)의 사이에는 상기 헤드부(310)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상기 헤드부(310) 측으로 만입된 거치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넥부(330)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측면에 테이퍼(11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불렛(300)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테이퍼(111)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상기 넥부(330)에는 상기 탄성부재(500)를 거치할 수 있는 상기 거치수단(331)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수단(331)은 상기 넥부(33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설치홈으로써, 상기 넥부(330)의 외주면과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거치수단(331)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500)는 상기 넥부(3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원주부(550)와 상기 원주부(550)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길이부(570)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넥부(330)의 하측에는 상기 거치수단(331)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00)의 길이부(570)는 상기 원주부(550)와 거치수단(331)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0)의 상기 불렛(300)에의 설치 시 상기 탄성부재(500)가 상기 수용홈(110) 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상태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00)의 상단은 상기 원주부(550)가 상기 거치홈(31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하단은 상기 거치수단(331)에 걸리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불렛(300)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500)의 길이부(570)가 상기 수용홈(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접촉됨으로써, 유동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불렛(300)의 동작 시 좌우방향의 유격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넥부(330)에도 상기 수용홈(110)의 테이퍼(111)에 대응되는 형상의 테이퍼(3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333)와 상기 탄성부재(500)의 길이부(570)의 절곡부분이 항상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불렛(300)에 하중이 인가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상기 수용홈(110)과 불렛(300)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작 시 상기 불렛(30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500)의 탄성력과 상기 탄성부재(500)와 수용홈(110)과의 반력에 의해 상기 불렛(300)이 원복된다.
상기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500)는 플레이트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형상 및 길이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불렛(300)이 하중을 받아 하방으로 가압되면, 상기 불렛(300)이 상기 탄성부재(500)의 반력을 받으며 상기 수용홈(110)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수용홈(110)의 테이퍼(111)와 상기 탄성부재(500) 간의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따른 반력이 발생된다. 상기 탄성부재(500)에 의해 압축된 불렛(300)이 상기 수용홈(110)을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수용홈(110)과 불렛(300)은 밀착되게 되며, 이 때 발생되는 반력은 상기 변속레버(700)를 조작하는 조작 하중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 불렛(300)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중에도 점점 좁아지는 반경을 갖는 상기 수용홈(110)의 테이퍼(111)에 의해 상기 수용홈(110)과 불렛(300)은 지속적으로 밀착되어 유격이 제거되어, 상기 변속레버(700)의 작동 시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조작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불렛(300)에 제공되던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500)가 탄성력에 의해 원복되어 상기 불렛(300)은 원위치로 복원되고, 다시 상기 변속레버(700)의 조작 시 상기 그루브(900)의 수용홈(110) 내를 이동되어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에 따르면, 수용홈(110)의 테이퍼(111)와 탄성부재(500)가 상시 선접촉을 형성하여 불렛(300)의 좌우유동을 제한하여 유격을 제거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거치수단(331)과 탄성부재(500)의 설계를 달리하여 최적의 형상을 선정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복수의 탄성부재(500)를 이용하여 복합적이고 강건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탄성부재(500)의 길이를 조절하여 탄성부재(500)가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는 곡부의 굽힘 정도를 조절하여 불렛(300)의 리턴력 가변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대비 부품수를 절감하여 우수한 절도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부품수의 절감으로 부품관리가 용이하며 원가 및 중량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과도한 스트로크로 인해 불렛(300) 자체에 탄성력이 부가되어 불렛(300)의 동작 시 불렛(300)이 하우징(100)에 고착될 수 있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으며, 작동 시 마찰을 저감하고, 유격으로 인한 래틀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수용홈
111 : 테이퍼 300 : 불렛
310 : 헤드부 311 : 거치홈
330 : 넥부 331 : 거치수단
333 : 테이퍼 500 : 탄성부재
510 : 홈부 530 : 병합부
550 : 원주부 570 : 길이부
700 : 변속레버 710 : 회전축
900 : 그루브 910 : 삽입홈
111 : 테이퍼 300 : 불렛
310 : 헤드부 311 : 거치홈
330 : 넥부 331 : 거치수단
333 : 테이퍼 500 : 탄성부재
510 : 홈부 530 : 병합부
550 : 원주부 570 : 길이부
700 : 변속레버 710 : 회전축
900 : 그루브 910 : 삽입홈
Claims (12)
-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홈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홈의 길이방향으로 동작되고, 헤드부와 넥부로 구성되며, 넥부에는 거치수단이 형성된 불렛; 및
상기 거치수단에 의해 상기 넥부에 거치되고, 상기 헤드부와 수용홈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불렛이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수납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상기 불렛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테이퍼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넥부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만입된 설치홈으로써, 상기 넥부의 외주면과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거치수단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넥부의 대칭이 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의 일단 또는 타단은 상기 넥부를 관통하여 양측 거치수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거치수단의 일단 또는 타단에 관통된 후 양끝단이 상기 거치수단의 양측 타단 또는 일단에 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거치수단의 총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거치수단에 절곡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중심측에 상기 넥부 측으로 절곡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불렛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홈부의 상측과 하측이 각각 상기 수용홈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불렛의 좌우방향의 유격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에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복수의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부는 병합되어 병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불렛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가 가압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 간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넥부의 대칭이 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의 일단 또는 타단은 상기 넥부를 관통하여 양측 거치수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거치수단의 일단 또는 타단에 관통된 후 양끝단의 상기 병합부가 상기 거치수단의 양측 타단 또는 일단에 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넥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원주부와 상기 원주부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길이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넥부의 하측에는 상기 거치수단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부는 상기 원주부와 거치수단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수용홈 측으로 볼록하게 절곡된 상태로 상기 거치수단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넥부의 사이에는 상기 헤드부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상기 헤드부 측으로 만입된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주부가 상기 거치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넥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측면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상기 불렛의 하방으로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테이퍼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0934A KR102375166B1 (ko) | 2017-06-07 | 2017-06-07 |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0934A KR102375166B1 (ko) | 2017-06-07 | 2017-06-07 |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3721A KR20180133721A (ko) | 2018-12-17 |
KR102375166B1 true KR102375166B1 (ko) | 2022-03-16 |
Family
ID=6500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0934A KR102375166B1 (ko) | 2017-06-07 | 2017-06-07 |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516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698Y1 (ko) * | 2015-11-20 | 2016-02-26 | (주)에스엠씨 | 디텐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344287B4 (de) | 2003-09-23 | 2005-12-08 | Zf Friedrichshafen Ag | Rastiervorrichtung |
-
2017
- 2017-06-07 KR KR1020170070934A patent/KR1023751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9698Y1 (ko) * | 2015-11-20 | 2016-02-26 | (주)에스엠씨 | 디텐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3721A (ko) | 2018-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81111B1 (ko) | 변속케이블의 댐퍼장치 | |
KR102651621B1 (ko) | 클러치 액추에이터 | |
EP3128209A1 (en) | Shift selector mechanism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 |
KR102375166B1 (ko) |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
KR102324753B1 (ko) |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
US11287029B2 (en) | Damping mechanism for a shift selector assembly and a shift sel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damping mechanism | |
KR101201254B1 (ko) | 소켓 어셈블리의 특성 곡선을 만족하기 위한 구조 변경된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기어변속 케이블용 소켓 어셈블리 | |
KR101519229B1 (ko) | 수동변속기 오조작 방지 장치 | |
KR100457250B1 (ko) | 수동변속기의 위치결정장치 | |
KR100551082B1 (ko) |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기구 | |
KR102375141B1 (ko) | 변속조작기구의 조작감 부여장치 | |
US20090241720A1 (en) | Shift lever assembly for transmission in vehicle | |
KR101381435B1 (ko) | 변속레버 조작력 형성 구조 | |
KR100379634B1 (ko) |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 |
KR100461809B1 (ko) |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 |
KR102389133B1 (ko) |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 |
KR101943742B1 (ko) | 수동변속기용 샤프트의 디텐트 구조 | |
KR20080107568A (ko) | 수동 변속기의 컨트롤 핑거의 가이드 장치 | |
KR20050098518A (ko) |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 |
KR20090118138A (ko) | 수동변속 차량의 후진 오조작 방지장치 | |
KR101411659B1 (ko) | 반자동 변속기용 회전식 시프트 포크 | |
KR100270531B1 (ko) |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고정 구조 | |
KR100726220B1 (ko) | 수동 변속기 차량용 시프트 레일 고정장치 | |
KR100456540B1 (ko) |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 |
KR100439985B1 (ko) |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