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368B1 -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368B1
KR102374368B1 KR1020210122465A KR20210122465A KR102374368B1 KR 102374368 B1 KR102374368 B1 KR 102374368B1 KR 1020210122465 A KR1020210122465 A KR 1020210122465A KR 20210122465 A KR20210122465 A KR 20210122465A KR 102374368 B1 KR102374368 B1 KR 10237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ain body
disposed
picker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웅
배병흠
김창선
남성식
양재유
오세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에이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21012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73Mas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e.g.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patterned surfaces
    • H05K3/0079Mas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5K3/02 - H05K3/46, e.g.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patterned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or removal of the mas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 H05K3/281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by means of a preformed insulating foil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바디(110);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조립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상측으로 직립되어 배치되는 메인바디(120);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고, 테이프조립체(5)가 감겨져 배치되는 공급유닛(200);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고, 상기 테이프공급유닛(200)에서 풀린 테이프조립체(5)를 마찰력을 통해 이동시키는 피더(300, feeder); 상기 피더(300)에서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를 지지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에서 이형지(2)를 분리하는 리무버(400); 상기 피더(300)에서 공급된 테이프(1)를 압축공기를 통해 흡착 고정하고, 이형지(2)가 분리된 테이프(1)를 이동시키는 피커(500, picker); 상기 리무버(400) 및 피더(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1) 및 이형지(2) 중에서 상기 테이프(1)만을 절단하는 커터(600);를 포함하는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Appararus for automatically feeding tapes}
본 발명은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FPCB)은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동박(구리막)을 입힌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이의 특정 영역에는 필요에 따라서 광유출방지, 기구물 부착,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보호, 전자파차폐, 절연 등을 위해 테이프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테이프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완성된 후 부착이 이루어지며, 개별적으로 절단된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된다.
이러한 테이프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의 특정한 영역에 정확히 부착되어야 하며,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용도나, 사양 등에 따라 정밀도를 요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복수의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면서 테이프 부착작업의 정밀도나, 속도 등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게 되므로 인해 어느 한 단계에서 작업이 지체되면 여타의 다른 단계도 자동적으로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테이프 부착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컨디션 등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현격하게 드러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신뢰할 수 없는 것은 물론, 불량률이 높고, 작업에 소요되는 노동력이나 시간이 과도 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95368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는 테이프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이형지를 분리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는 테이프를 연속된 형태로 공급하기 때문에,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부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9536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18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테이프를 소정길이로 절단한 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절단된 테이프에서 이형지를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형지가 분리된 테이프를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는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바디(110);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조립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상측으로 직립되어 배치되는 메인바디(120);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고, 테이프조립체(5)가 감겨져 배치되는 공급유닛(200);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고, 상기 테이프공급유닛(200)에서 풀린 테이프조립체(5)를 마찰력을 통해 이동시키는 피더(300, feeder); 상기 피더(300)에서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를 지지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에서 이형지(2)를 분리하는 리무버(400); 상기 피더(300)에서 공급된 테이프(1)를 압축공기를 통해 흡착 고정하고, 이형지(2)가 분리된 테이프(1)를 이동시키는 피커(500, picker); 상기 리무버(400) 및 피더(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1) 및 이형지(2) 중에서 상기 테이프(1)만을 절단하는 커터(600);를 포함하는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메인바디(120)가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이송 및 가공되는 작업구역(3) 및 상기 공급유닛(200), 피더(300), 리무버(400), 피커(500) 및 커터(600)의 구동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구역(4)으로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상부를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는 공급모터(250); 상기 공급모터(250)의 회전축(25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코일러(210); 상기 제 1 코일러(21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감겨진 제 2 코일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20)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공급모터(250)가 조립되는 제 1 공급브래킷(230);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코일러(220)가 설치되는 제 2 공급브래킷(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1 체결슬릿(232); 상기 제 2 공급브래킷(240)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2 체결슬릿(242); 상기 제 1 체결슬릿(232), 메인바디(120) 및 제 2 체결슬릿(242)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 메인바디(120) 및 제 2 공급브래킷(240)을 동시체 체결고정하는 체결부재(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연속공급되는 테이프조립체에서 테이프만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 후, 절단된 테이프만을 흡착고정 후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 제 2 코일러 및 제 2 공급브래킷(240)이 제 1 코일러 및 제 1 공급브래킷 보다 메인바디의 중앙에 근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의 무게중심을 베이스바디의 좌우 방향 중심(H1) 측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해 장치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상기 피딩레버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 2 피딩롤러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제 1 피딩롤러 및 제 2 피딩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테이프조립체와의 접촉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두께의 테이프조립체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리무버를 통해 테이프만 절단된 테이프조립체에서 이형지를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면 우측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면 좌측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7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리무버 및 피커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리무버 및 피커의 좌측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배면 우측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 좌측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도 7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7의 D-D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는 이형지(2)가 부착된 테이프(1)를 이동시키고, 소정 단위로 절단 하며, 이형지(2)가 분리된 테이프(1)를 부품(미도시, 541' 하측) 상측으로 이동 및 부착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이프(1)는 캡톤 테이프일 수 있다. 캡톤테이프(Polyimide (Kapton) Tape)는 내열성 (섭씨 250~300도)이 뛰어난 테이프이고, 내한, 내화학성, 절연성, 내전압성 등이 뛰어난 테이프이다. 연노랑의 투명한 켑톤플림층과 점착제로는 실리콘점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많다.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면서도 내열성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에 납땜 후 쇼트의 우려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열이나 화학적인 안정성이 필요한 곳이나 점착이 필요한 곳에 사용합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테이프(1) 및 이형지(2)가 결합된 형태를 테이프조립체(5)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는 이형지(2)를 자동으로 분리함으로써 테이프(1)의 공급, 절단 및 이동을 자동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는 각 기능들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조립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상측으로 직립되어 배치되는 메인바디(120)와,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고, 테이프조립체(5)가 감겨져 배치되는 공급유닛(200)과,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고, 상기 테이프공급유닛(200)에서 풀린 테이프조립체(5)를 마찰력을 통해 이동시키는 피더(300, feeder)과, 상기 피더(300)에서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를 지지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에서 이형지(2)를 분리하는 리무버(400)와, 상기 피더(300)에서 공급된 테이프(1)를 압축공기를 통해 흡착 고정하고, 이형지(2)가 분리된 테이프(1)를 부품(미도시, 541'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피커(500, picker)와, 상기 리무버(400) 및 피더(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1) 및 이형지(2) 중에서 상기 테이프(1)만을 절단하는 커터(600)와, 상기 공급유닛(200), 피더(300), 리무버(400), 피커(500) 및 커터(600)의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바닥 또는 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2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상측면에 수직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바디(110)를 2개의 구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20)는 테이프(1)가 이송 및 가공되는 작업구역(3)과, 상기 공급유닛(200), 피더(300), 리무버(400), 피커(500) 및 커터(600)의 구동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구역(4)으로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전단(111) 및 후단(1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단(111)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좌측단 및 우측단 중간을 관통하는 수직축을 H1이라 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전단(111) 및 후단(112)의 중간을 관통하는 수직축을 H2이라 한다.
상기 작업구역(3) 및 설치구역(4)이 구획되어 배치됨으로써, 테이프(1) 가공되는 공간으로 작업자의 접근필요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작업구역(3)으로 접근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송되는 테이프(1)에 옷이 말리거나 커터의 작동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구역(3)의 폭 보다 설치구역(4)의 폭이 2배 이상 길게 형성된다. 필요 시, 테이프(1)가 이동 또는 이송되는 작업구역(3)만 케이스(미도시)로 감싸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고, 공급유닛(200), 피더(300), 리무버(400), 피커(500) 및 커터(600)의 구동부품 들을 용이하게 수리 또는 교체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는 공급모터(250)와, 상기 공급모터(250)의 회전축(25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코일러(210)와, 상기 제 1 코일러(21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테이프조립체(5)가 감겨진 제 2 코일러(2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20)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공급모터(250)가 조립되는 제 1 공급브래킷(230)과,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코일러(220)가 설치되는 제 2 공급브래킷(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 및 제 2 공급브래킷(240)을 통해, 상기 제 1 코일러(210) 및 제 2 코일러(220)의 간섭을 방지하고, 작동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은 메인바디(120)의 배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2 공급브래킷(240)은 메인바디(120)의 정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내측에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 1 체결슬릿(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급브래킷(24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내측에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제 2 체결슬릿(2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슬릿(23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슬릿(242)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20)의 정면에서 볼 때, 제 1 공급브래킷(230) 및 제 2 공급브래킷(240)의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체결슬릿(232) 및 제 2 체결슬릿(242)도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게 배치되며, 체결부재(202)는 제 1 체결슬릿(232) 및 제 2 체결슬릿(242)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 및 제 2 공급브래킷(240)을 동시에 체결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코일러(210) 및 제 2 코일러(220)는 드럼 또는 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코일러(210) 보다 제 2 코일러(220)가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측면에서 볼 때, 제 1 코일러(210) 및 제 2 코일러(220)는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코일러(210) 및 제 2 코일러(220)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일러(210) 보다 제 2 코일러(220)가 더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코일러(210)는 상기 메인바디(120)의 높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코일러(220)는 상기 메인바디(120)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제 2 코일러(220)가 제 2 공급브래킷(240)을 통해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기 때문에, 메인바디(120)의 부피 및 무게를 최소화하고 전체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코일러(220) 및 제 2 공급브래킷(240)이 상기 제 1 코일러(210) 및 제 1 공급브래킷(240) 보다 메인바디(120)의 중앙에 근접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의 무게중심을 베이스바디(110)의 좌우 방향 중심(H1) 측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 충격에 의해 장치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제 1 코일러(210) 및 제 1 공급브래킷(230)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1 공급샤프트(212)와, 상기 제 2 코일러(220) 및 제 2 공급브래킷(240)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제 2 공급샤프트(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급샤프트(212) 및 제 2 공급샤프트(222)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공급샤프트(212) 및 제 2 공급샤프트(222)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공급샤프트(212)에 공급모터(250)을 결합시키기 위해 클러치(252)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의 배면에 클러치박스(235)가 배치되고, 상기 클러치박스(235) 내부에 상기 클러치(25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공급샤프트(212)의 후단이 상기 클러치(252)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모터(250)의 모터축(251)이 상기 클러치(252)의 후단에 결합된다. 상기 공급모터(250)는 상기 클러치박스(235)에 조립된다.
상기 클러치박스(235) 및 공급모터(250)는 상기 설치구역(4)에 배치된다.
또한, 클러치박스(235) 및 공급모터(250)는 베이스바디(110)의 전후 방향 폭 내에 배치되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의 무게중심을 베이스바디(110)의 전후 방향 중심(H2) 측으로 유도할 수 있고,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공급모터(250)는 메인바디(120)의 우측단에서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을 통해 상기 공급모터(250) 및 피더(500)의 설치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피더(300)는 상기 공급유닛(200)에서 공급된 테이프(1)를 마찰력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피더(300)는,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된 피딩모터(350)와, 상기 피딩모터(350)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테이프(1) 또는 이형지(2)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제 1 피딩롤러(310)와, 상기 테이프(1) 또는 이형지(2) 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되고, 상기 테이프(1) 또는 이형지(2) 중 나머지 하나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 2 피딩롤러(320)와, 상기 제 2 피딩롤러(320)를 상기 제 1 피딩롤러(310) 측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 2 피딩롤러(320)를 탄성지지하는 피딩서포터(330)와, 편심회전을 통해 상기 피딩서포터(330)를 밀어 이동시키는 피딩레버(340)를 포함한다.
상기 피딩모터(350)는 상기 설치공간(4)에 배치되고, 상기 피딩모터(350)의 모터축(351)은 상기 메인바디(120)를 관통하여 작업공간(3)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피딩롤러(310), 제 2 피딩롤러(320), 피딩서포터(330) 및 피딩레버(340)는 작업공간(3)에 배치된다.
상기 피더(300)의 설치 및 수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피딩모터(350)가 피더플레이트(355)에 조립되고, 상기 피더플레이트(355)가 상기 메인바디(120)에 체결조립된다. 상기 메인바디(120)에는 상기 피더플레이트(355)보다 면적이 약간 작은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 상기 피딩모터(350)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상기 피딩모터(350)의 모터축(351)은 상기 피더플레이트(355)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피딩롤러(310)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피딩롤러(320)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피딩롤러(310)가 테이프(1)의 상측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 2 피딩롤러(320)가 이형지(2)의 하측면에 접촉된다.
상기 제 1 피딩롤러(310) 및 제 2 피딩롤러(320)가 테이프(1) 및 이형지(2)를 각각 가압하고, 상기 테이프(1) 및 이형지(2)와 각각 마찰력을 통해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1 피딩롤러(310) 및 제 2 피딩롤러(3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피딩롤러(320)의 외주면 중 일부가 상기 제 1 피딩롤러(310)의 외주면 중 일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 2 피딩롤러(320)는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피딩서포터(3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2 피딩롤러(320)의 회전축(321)이 상기 피딩서포터(33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모터축(351) 및 회전축(321)은 베이스바디(110)에 수직하게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피딩롤러(310)는 디스크형태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모터축(351)을 향해 오목하게 요홈(312)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피딩롤러(320)의 외주면(322)이 상기 요홈(312)에 삽입된다.
상기 요홈(312) 전방에 제 1 롤러보더(311)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312) 후방에 제 1 롤러보더(31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피딩롤러(320)의 상단이 상기 제 1 롤러보더(311) 및 제 1 롤러보더(313)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 2 피딩롤러(320)의 전후 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 제 2 피딩롤러(320)의 상단 및 상기 제 1 피딩롤러(310)의 하단 사이에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배치된다. 상기 테이프조립체(5)는 상기 제 1 피딩롤러(310)의 하단 요홈(312)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하측에 배치된 제 2 피딩롤러(320)의 상단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된다.
제 2 피딩롤러(320)의 상단 및 상기 제 1 피딩롤러(310)의 하단 간격이 테이프조립체(5)의 두께보다 벌어지면 상기 테이프조립체(5)와 효과적인 마찰을 형성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테이프조립체(5)의 정확한 이송이 불가능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딩서포터(330) 및 피딩레버(340)가 배치된다.
상기 피딩서포트(330)는, 상기 제 2 피딩롤러(320)의 회전축(321)이 조립되는 제 1 서포트블럭(331)과,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과 이격되어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서포트블럭(332)과,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 및 제 2 서포트블럭(332)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33)와, 상측에 개구면(36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이 상기 개구면(361)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피딩레버(340)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서포트케이스(36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케이스(360)는 상측면에 개구면(361)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면(361)을 통해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에 회전축(321)이 조립되는 바,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이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피딩롤러(310) 측으로 근접되고,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피딩롤러(310)와 이격된다.
상기 서포트케이스(360)는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한다.
상기 제 2 서포트블럭(332)은 서포트케이스(360)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33)가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 및 제 2 서포트블럭(332)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333)가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를 상측으로 가압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피딩롤러(320)가 상기 테이프조립체(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서포트케이스(360)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 및 제 2 서포트블럭(332)가 이동되는 케이스홈(362)이 형성된 서포트바디(363)와, 상기 서포트바디(363)에 조립되어 상기 케이스홈(362)을 커버하고, 상기 피딩레버(340)가 조립되는 서포트커버(364)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바디(363)는 상하 방향으로 케이스홈(362)이 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개구면(361)에 연결되며, 하측은 폐쇄된 형태이다.
상기 케이스홈(362)의 전면이 개구되고, 상기 서포트커버(364)의 조립에 의해 폐쇄된다. 서포트커버(364)는 서포트바디(363)의 전면에 체결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트블럭(33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블럭(332)은 탄성부재(333)가 지지되는 상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한 편심홈(332a)을 포함한다.
상기 편심홈(332a)은 정면에서 볼 때, 반원형태로 형성되고,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편심홈(332a)은 피딩레버(34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반경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피딩레버(340)는 레버(342)와, 상기 레버(342)에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커버(364)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레버축(344)와, 상기 레버축(344)에 결합되고, 상기 서포트케이스(36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편심홈(332a)을 지지하는 피딩편심캠(346)을 포함한다.
작업자가 상기 레버(342)의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축(344)을 중심으로 상기 피딩편심캠(346)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서포트커버(364)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레버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축(344)이 상기 레버홀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레버축(344)은 상기 레버홀에 조립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피딩편심캠(346)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외주면이 상기 편심홈(332a)에 지지된다.
상기 레버축(344)은 상기 피딩편심캠(346)의 지오메트리 중심에서 편심되어 배치된다.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레버축(344)은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상기 피딩편심캠(346)은 레버축(344)의 축중심(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편심회전된다.
그래서 상기 피딩레버(340)의 회전 시, 상기 피딩편심캠(346)이 소정 반경을 기준으로 편심회전되면서 상기 제 2 서포트블럭(332)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피딩편심캠(346)은 제 2 서포트블럭(332)의 편심홈(332a) 내에서 제 2 서포트블럭(332)을 지지한다.
상기 피딩레버(34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제 2 피딩롤러(3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제 1 피딩롤러(310) 및 제 2 피딩롤러(3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피딩레버(340)의 회전을 통해 테이프조립체(5)와의 접촉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두께의 테이프조립체(5)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는, 상기 제 1 피딩롤러(310) 및 제 1 코일러(210) 사이에 배치되고, 이송되는 테이프조립체(5)를 감지하는 센서조립체(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조립체(370)는 메인바디(120)에 전면에 조립되고, 상기 작업공간(3)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테이프조립체(5)의 상측에 위치되는 센서브래킷(372)과, 상기 센서브래킷(372)에 배치되는 센서(375)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375)는 포토센서일 수 있고, 상기 테이프조립체(5)를 향해 광원을 방출한 후, 반사된 광원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터(600)는 피더(300) 및 리무버(4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더(300)에서 상기 리무버(400)로 이송되는 테이프조립체(5) 중 테이프(1)만을 절단한다.
상기 커터(600)는, 메인바디(120)에 결합되고, 상측으로 테이프조립체(5)가 이송되는 커터베이스(610)와, 상기 커터베이스(6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조립체(5) 중 테이프(1)만을 절단하는 블레이드(650)와, 상기 블레이드(650)가 조립된 커터바디(620)와, 상기 커터바디(6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블레이드(650)에 절단력을 제공하는 커터액추에이터(630)를 포함한다.
공급유닛(200)에서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의 이송 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커터(600)가 테이프조립체(5)의 테이프(1)를 연속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절단된 테이프(1)의 길이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커터(600)는 상기 작업구역(3)에 배치된다.
상기 커터액추에이터(630)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고, 실린더로드(632)가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터바디(620)는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는 제 1 커터바디(621)와, 상기 제 1 커터바디(62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2 커터바디(622)를 포함한다.
상기 커터액추에이터(630)는 제 1 커터바디(621)의 상측에 조립된다.
상기 제 1 커터바디(621)는 상기 제 2 커터바디(622)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커터바디(622)는 상기 제 1 커터바디(621)의 내부 공간(62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터바디(622)의 하단에 상기 블레이드(650)가 조립된다.
상기 블레이드(650)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커터바디(622)는 제 2-1 커터바디(624) 및 제 2-2 커터바디(6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1 커터바디(624) 및 제 2-2 커터바디(625)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커터액추에이터(630)에 조립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1 커터바디(624)가 커터액추에이터(630)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2 커터바디(625)는 상기 제 2-1 커터바디(624)에 체결결합되고, 상기 블레이드(650)가 상기 제 2-1 커터바디(624) 및 제 2-2 커터바디(625)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제 2-2 커터바디(625)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제 2-1 커터바디(624)에 체결조립되고, 블레이드(650)의 교체 시 상기 제 2-2 커터바디(625)가 상기 제 2-1 커터바디(624)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커터베이스(610)는 상기 제 2-1 커터바디(624) 및 제 2-2 커터바디(625)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테이프조립체(5)가 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650)의 하측 이동 시 상기 블레이드(65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커터베이스(610)는 테이프조립체(5)의 수평방향(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입구가이드돌기(611)(612) 및 출구가이드돌기(613)(614)가 배치된다.
상기 입구가이드돌기(611)(612)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로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배치된다. 상기 입구가이드돌기(611)(612)는 각각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정해진 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650)에 의해 테이프(1)가 절단될 때, 절단력에 의해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입구가이드돌기(611)(612)는 피더(300) 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가이드돌기(613)(614)는 리무버(400) 측에 배치된다.
상기 출구가이드돌기(613)(614)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로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배치된다. 상기 출구가이드돌기(613)(614)는 각각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정해진 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출구가이드돌기(613)(614)는 제 2-2 커터바디(625)와 접촉되어 상기 제 2-2 커터바디(62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출구가이드돌기(613)(614) 및 제 2-2 커터바디(625)는 서로 맞닺는 면이 챔퍼(champer)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2 커터바디(625)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각 출구가이드돌기(613)(614)와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650)가 상기 테이프(1)만을 절단한 후, 상기 리무버(400)가 상기 테이프조립체(5)에서 상기 이형지(2)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리무버 및 피커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리무버 및 피커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리무버(400)는 테이프조립체(5)에서 이형지(2)를 분리한다.
상기 리무버(400)가 이형지(2)를 분리할 때, 상기 피커(500)가 상기 테이프(1)를 압력차를 통해 흡착고정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리무버(400)는, 상기 메인바디(120)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460)와, 상기 고정베이스(4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조립체(5)의 이형지(2) 하측을 지지하는 무빙베이스(410)와, 상기 무빙베이스(410)를 상기 테이프조립체(5)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리무버구동장치(430)와, 상기 무빙베이스(410) 및 고정베이스(46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베이스(410)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리무버가이드(420)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베이스(410)는 테이프조립체(5)과 교차되게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무빙베이스(410)는 이형지(2)를 지지하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리무버바디(413)와, 상기 리무버바디(413)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테이프홈(415)을 형성하는 제 1 가이드부(411) 및 제 2 가이드부(412)와, 상기 리무버바디(413)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리무버바디(413)와 간격을 형성하는 리무버롤러(414)와, 상기 리무버바디(413)의 배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캠홈(418)을 포함한다.
제 1 가이드부(411) 및 제 2 가이드부(412)는 테이프조립체(5)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테이프홈(415)도 상기 테이프조립체(5)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부(411)가 테이프조립체(5)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412)가 테이프조립체(5)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무빙베이스(410)의 하측면에 롤러홈(417)이 형성되고, 상기 리무버롤러(414)가 상기 롤러홈(417)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리무버롤러(414)의 축은 테이프조립체(5)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롤러홈(417) 및 리무버롤러(414)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롤러홈(417) 및 리무버롤러(414) 사이로 이형지(2)가 삽입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기 무빙베이스(410)는 리무버구동장치(43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될 수 있다.
상기 리무버구동장치(430)는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는 리무버모터(440)와, 상기 리무버모터(440)의 모터축(441)에 편심 결합되는 리무버편심캠(450)을 포함한다.
상기 리무버편심캠(450)은 디스크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면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무버모터(440)의 모터축(441)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441)은 상기 리무버편심캠(450)의 지오메트리중심에서 편심되어 고정된다. 그래서 상기 리무버편심캠(450)은 상기 모터축(441)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회전된다.
상기 리무버편심캠(450)은 상기 캠홈(418)에 삽입되고, 리무버편심캠(450)의 편심회전 시, 상기 무빙베이스(410)를 좌우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캠홈(418)은 리무버바디(413)의 배면에서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무버가이드(420)는 엘엠가이드가 사용되고, 상기 무빙베이스(410) 및
리무버모터(44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리무버편심캠(450)이 편심 회전되고, 상기 무빙베이스(410)가 상기 리무버가이드(420)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면서 테이프조립체(5)에서 이형지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피커(500)는,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는 제 1 피커바디(510)와, 상기 제 1 피커바디(510)에 결합되는 피커모터(550)와, 상기 피커모터(55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디스크(560)와, 상기 구동디스크(56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제 2 피커바디(520)와, 상기 제 1 피커바디(510) 및 제 2 피커바디(5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피커가이드(530)와,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흡착바디(540)와, 상기 흡착바디(54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액추에이터(580)와, 상기 흡착바디(540) 및 제 2 피커바디(5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착바디(5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피커가이드(57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피커바디(510)는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고, 상기 설치구역(4)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피커바디(510)는 메인바디(1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피커바디(510)는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는 제 1-1 피커바디(511)와, 상기 제 1-1 피커바디(511)에 조립되고, 상기 피커모터(550)가 조립되는 제 1-2 피커바디(51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피커바디(511)는 직선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2 피커바디(512)는 "L"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2 피커바디(512)가 "L"자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1 피커바디(511) 및 제 2 피커바디(520)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제 1-2 피커바디(512) 및 제 2 피커바디(520)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피커가이드(530)는 제 2 피커바디(520)의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엘엠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제 1 피커가이드(530)는 전후 방향으로 제 2 피터바디(520) 슬라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피커모터(550)의 모터축은 상기 제 1-2 피커바디(512)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2 피커바디(512) 및 제 2 피커바디(520) 사이에 상기 구동디스크(560)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디스크(560)는 상기 피커모터(550)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디스크(560)는 원형의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디스크(560)의 중심에 상기 피커모터(550)의 모터축이 조립된다.
상기 구동디스크(56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 2 피커바디(520)가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디스크(560)에 제 1 구동롤러(561) 및 제 2 구동롤러(56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롤러(561) 및 제 2 구동롤러(562)는 상기 구동디스크(560) 및 제 2 피커바디(5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롤러(561) 및 제 2 구동롤러(562)의 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롤러(561)는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의 구동홀(521)에 삽입되고, 상기 구동홀(521)의 직경이 상기 제 1 구동롤러(56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구동롤러(562)는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의 피커가이드홈(522)에 삽입된다. 상기 피커가이드홈(522)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커가이드홈(522)의 폭이 상기 제 2 구동롤러(56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피커가이드홈(522)이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가이드블럭(525)이 조립되고, 상기 가이드블럭(525)에 상기 피커가이드홈(522)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커가이드홈(522)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피커모터(550)의 작동 시, 상기 구동디스크(560)의 제 1 구동롤러(561) 및 제 2 구동롤러(56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롤러(561)가 상기 구동홀(521)을 밀어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구동롤러(562)가 피커가이드홈(52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피커모터(55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피커바디(520)를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에 조립된 흡착바디(54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흡착바디(540)는 상기 절단된 테이프(1)가 흡착고정되는 제 1 흡착바디(541)과, 상기 제 1 흡착바디(541)이 결합되고, 상기 상하액추에이터(580)에 조립되어 상하 이동되는 제 2 흡착바디(542)와,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에 결합되는 제 3 흡착바디(54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착바디(54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흡착바디(542) 및 제 3 흡착바디(543) 사이에 상기 제 2 피커가이드(5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피커가이드(570)는 엘엠가이드일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착바디(541)는 측면에서 볼 때, "T"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절단된 테이프(1)가 흡착고정된다. 상기 제 1 흡착바디(541)에 진공이 형성되어 절단된 테이프(1)를 흡착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착바디(541)에 미도시된 진공펌프가 연결되고, 상기 제 1 흡착바디(541)의 하단에 음압이 형성된다. 상기 진공펌프의 결합구조 및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부호 541'은 이동된 제 1 흡착바디(541')가 도시된 것이다.
상기 제 1 흡착바디(541)는 테이프(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착바디(54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3 흡착바디(543)가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에 조립되고, 제 2 흡착바디(542) 및 제 3 흡착바디(543) 사이에 제 2 피커가이드(57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액추에이터(580)는 상기 제 3 흡착바디(543)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흡착바디(542)의 상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액추에이터(580)는 에어실린더가 사용되고, 에어실린더의 로드가 상기 제 2 흡착바디(542)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흡착바디(54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 3 흡착바디(543)에 제 1 스토퍼(544) 및 제 2 스토퍼(545)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토퍼(544) 및 제 2 스토퍼(545)는 상기 제 2 흡착바디(542)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스토퍼(544) 및 제 2 스토퍼(545)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피커(500)는, 상기 제 2 흡착바디(542)에서 제 1 스토퍼(544) 및 제 2 스토퍼(545) 사이로 돌출된 스토퍼블럭(54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블럭(546)은 상기 제 2 흡착바디(54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측 이동 시 상기 제 1 스토퍼(544)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하측 이동 시 상기 제 2 스토퍼(545)와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는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에 배치된 감지브래킷(710)과, 상기 제 1 피커바디(510)에 배치된 감지센서(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브래킷(710)은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에 결합된 제 1 브래킷부(711)와, 상기 제 1 브래킷부(711)와 연결되고 상기 제 1-1 피커바디(511) 상부로 연장된 제 2 브래킷부(712)와, 상기 제 2 브래킷부(712)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제 3 브래킷부(713)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브래킷(710)은 정면에서 볼 때, "∩"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센서(720)는 포토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감지센서(720)는 요(凹)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목한 부분에 상기 제 3 브래킷부(71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피커바디(520)의 후진 시, 상기 제 3 브래킷부(713)가 상기 감지센서(720)는 요(凹) 형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작동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닛(200)이 부착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테이프조립체(5)를 이송시키고, 상기 커터(600)가 상하 동작만으로 테이프조립체(5)에서 테이프(1)만을 절단한다.
이후, 피커(500)가 테이프 흡착 위치로 이동하여 테이프(1)를 진공 흡착하고, 하부의 리무버(400)가 테이프조립체(5)에서 이형지(2)를 분리한다.
상기 이형지(2)가 제거되면 상기 피커(500)가 제 1 흡착바디(541)를 상승시키고, 상승된 제 1 흡착바디(541)를 전진시키며, 전진된 제 1 흡착바디(541)를 다시 하강시켜 테이프 부착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베이스바디 120 : 메인바디
200 : 공급유닛 300 : 피더
400 : 리무버 500 : 피커
600 : 커터

Claims (5)

  1.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바디(110);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조립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에서 상측으로 직립되어 배치되는 메인바디(120);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고, 테이프조립체(5)가 감겨져 배치되는 공급유닛(200);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고, 상기 테이프공급유닛(200)에서 풀린 테이프조립체(5)를 마찰력을 통해 이동시키는 피더(300, feeder);
    상기 피더(300)에서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를 지지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조립체(5)에서 이형지(2)를 분리하는 리무버(400);
    상기 피더(300)에서 공급된 테이프(1)를 압축공기를 통해 흡착 고정하고, 이형지(2)가 분리된 테이프(1)를 이동시키는 피커(500, picker);
    상기 리무버(400) 및 피더(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프(1) 및 이형지(2) 중에서 상기 테이프(1)만을 절단하는 커터(60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120)는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이송 및 가공되는 작업구역(3) 및 상기 공급유닛(200), 피더(300), 리무버(400), 피커(500) 및 커터(600)의 구동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구역(4)으로 상기 베이스바디(110)의 상부를 구획하며,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메인바디(120)에 조립되는 공급모터(250);
    상기 공급모터(250)의 회전축(25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 1 코일러(210);
    상기 제 1 코일러(21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코일러(210)로 공급되는 상기 테이프조립체(5)가 감겨진 제 2 코일러(220);를 포함하는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200)은,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20)에서 우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공급모터(250)가 조립되는 제 1 공급브래킷(230);
    상기 메인바디(12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바디(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2 코일러(220)가 설치되는 제 2 공급브래킷(240);을 더 포함하는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1 체결슬릿(232);
    상기 제 2 공급브래킷(240)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는 제 2 체결슬릿(242);
    상기 제 1 체결슬릿(232), 메인바디(120) 및 제 2 체결슬릿(242)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 1 공급브래킷(230), 메인바디(120) 및 제 2 공급브래킷(240)을 동시체 체결고정하는 체결부재(202);를 더 포함하는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KR1020210122465A 2021-09-14 2021-09-14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KR10237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65A KR102374368B1 (ko) 2021-09-14 2021-09-14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65A KR102374368B1 (ko) 2021-09-14 2021-09-14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4368B1 true KR102374368B1 (ko) 2022-03-15

Family

ID=8081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65A KR102374368B1 (ko) 2021-09-14 2021-09-14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0218A (zh) * 2022-06-13 2022-08-12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导框贴胶设备及贴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711A (ja) * 1994-03-18 1996-11-12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自動化されたガスケット用アプリケータ及びその使用法
KR20090001869U (ko) 2007-08-23 2009-02-26 최경림 전자부품 이송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KR20100007004U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접착 테이프 커팅장치
KR101395368B1 (ko) 2012-09-21 2014-05-14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711A (ja) * 1994-03-18 1996-11-12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自動化されたガスケット用アプリケータ及びその使用法
KR20090001869U (ko) 2007-08-23 2009-02-26 최경림 전자부품 이송테이프 자동 절단장치
KR20100007004U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접착 테이프 커팅장치
KR101395368B1 (ko) 2012-09-21 2014-05-14 주식회사 우리시스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90218A (zh) * 2022-06-13 2022-08-12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导框贴胶设备及贴胶方法
CN114890218B (zh) * 2022-06-13 2024-03-26 江苏创源电子有限公司 一种导框贴胶设备及贴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3030A2 (en) Test tube gripper, test tube labeling unit, and test tube prepa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74368B1 (ko) 테이프 자동공급 장치
KR101320640B1 (ko)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포장할 수 있는 듀얼 포장장치
JPH0550428B2 (ko)
CN110355809B (zh) 一种薄膜裁切机构及其使用方法
CN105981489B (zh) 拼接装置及拼接方法
JP6259986B2 (ja) スプライシング装置
US5053099A (en) Film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US20170259589A1 (en) Part detecting device of carrier tape and part feeding device
CN212352116U (zh) 裁切机构及贴胶装置
KR101724841B1 (ko) 보호필름 부착장치
JP2014225592A (ja) スプライシング装置及びスプライシング装置における部品テープの送り方法
CN106990705A (zh) 一种手表柄头柄轴装配自动送料机构
EP1162046A2 (en) X-Y axes cutting machine
CN107107368B (zh) 用于片材元件的横向定位装置
JPH0122183B2 (ko)
EP2149524B1 (en) Vacuum Sheet Feeder
CN219524353U (zh) 包装设备
JP6566438B2 (ja) 穿孔システム
CN220331987U (zh) 自动贴膜设备
KR101403475B1 (ko) 원단의 사행방지장치
CN211053880U (zh) 一种进料切料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裁切贴合机
CN209740337U (zh) 纠偏装置和裹胶机构
CN210853070U (zh) 一种载带轨道导引装置
RU2769892C1 (ru) Подающее голографическую пленку устройство, а также машина для горячего тиснения плен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