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577B1 -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2577B1 KR102372577B1 KR1020200066817A KR20200066817A KR102372577B1 KR 102372577 B1 KR102372577 B1 KR 102372577B1 KR 1020200066817 A KR1020200066817 A KR 1020200066817A KR 20200066817 A KR20200066817 A KR 20200066817A KR 102372577 B1 KR102372577 B1 KR 1023725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area
- vibration
- vibration component
- display screen
-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진동 제어 장치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케이스; 케이스 표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 -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를 구비하고; 접힘 형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펼침 형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분리됨 - ; 및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처리 모듈,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출원 번호가 201911243291.6이고, 출원일이 2019년 12월 6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한 것이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인용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진동 피드백은 모바일 단말의 흔히 사용되는 기능 중 하나이고,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이 전화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제때에 모바일 단말을 볼 수 있도록, 진동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를 프롬프트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접힘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이 진동 피드백을 수행할 경우, 진동 감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 체험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접힘 가능한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의 진동 피드백 효과를 개선하는 것은, 선행 기술에서 더 나아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공개 번호가 US 2018/035208 A1인 미국 특허 출원을 선행기술문헌으로 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표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접힘 형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펼침 형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분리됨 - ;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처리 모듈,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진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에 적용되며,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접힘 형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펼침 형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분리됨 - ;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진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진동 제어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서 제공한 진동 제어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서의 명령어가 모바일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동 단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서 제공하는 진동 제어 방법에서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방안은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일 경우와 동일한 진폭으로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가 모두 진동하도록 제어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에 상호 작용력이 존재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진폭이 증가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인 모바일 단말의 진폭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인 모바일 단말의 진폭보다 크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에 체험하는 진동 감각은 차별화된다.
본 발명은 처리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진폭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고, 상이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형태에서 모바일 단말 진폭을 제어하는 수요를 만족시키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의 모바일 단말의 진동 감각의 일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을 마련해주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다만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문의 도면은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 실시예의 원리의 해석에 사용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펼침 형태인 모바일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3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펼침 형태인 다른 모바일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3c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접힘 형태인 모바일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3d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접힘 형태인 다른 모바일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신호 그래프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신호 그래프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자유 감쇠 운동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안정 상태 운동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개시 과정의 운동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중지 과정의 운동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변환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모바일 단말의 일부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H-브리지 회로 구조 예시도이다.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검출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모바일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펼침 형태인 모바일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3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펼침 형태인 다른 모바일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3c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접힘 형태인 모바일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3d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접힘 형태인 다른 모바일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신호 그래프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신호 그래프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자유 감쇠 운동 예시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안정 상태 운동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개시 과정의 운동 예시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중지 과정의 운동 예시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변환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모바일 단말의 일부 예시도이다.
도 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H-브리지 회로 구조 예시도이다.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검출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아래에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그 예는 도면에 도시된다. 아래의 설명에서 도면을 참조할 때,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상이한 도면에서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로, 이들은 다만 청구 범위에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전자 기기 기술이 부단히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접힘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개발 추세 중 하나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를 구비하며; 접힘 형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펼침 형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설치된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을 발생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에 진동이 발생되도록 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한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할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1 작용력을 구비하며, 제1 작용력의 작용 하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진동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할 경우, 제2 진동 컴포넌트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제2 작용력을 구비하며, 제2 작용력의 작용 하에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진동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이고,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가 기설정된 진동 모드에 따라 모두 진동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상호 작용력은 약하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기설정된 진동 모드에 따라 진동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가 모두 진동하면, 제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상호 작용력이 증가되므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진폭이 커지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인 모바일 단말의 진폭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인 모바일 단말 진폭보다 크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에 체험하는 진동 감각은 차별화 된다.
다시 말해, 관련 기술에서, 접힘 가능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를 가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일 경우 느끼는 진동 감각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체험하는 진동 감각에 비교적 큰 차별이 존재하므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지 않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모바일 단말(1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케이스(110);
케이스(110) 표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120);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131);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140); 및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고, 처리 모듈(140),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의 형태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150)을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은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를 구비하고; 접힘 형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펼침 형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분리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적층되도록 설치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은 모바일 단말(100)의 제1 표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모바일 단말(100)의 제2 표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모바일 단말(100)의 제1 표면과 모바일 단말(100)의 제2 표면은 서로 반대면이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분리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은 모두 사용자를 향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분리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사이에는 일정한 협각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처리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진폭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고, 상이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형태에서 모바일 단말 진폭을 제어하는 수요를 만족시키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의 모바일 단말의 진동 감각의 일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을 마련해주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10)는,
후면 커버;
중간 프레임; 및
중간 프레임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또는, 후면 커버의 상이한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는, 모바일 단말 내부의 다양한 부재를 지지 또는 캐리하기 위한 바디 커버를 포함한다.
후면 커버의 제1 영역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에 평행되고, 후면 커버의 제2 영역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에 평행된다. 제1 진동 컴포넌트를 후면 커버의 제1 영역의 에지 영역에 설치할 수 있고, 제2 진동 컴포넌트를 후면 커버의 제2 영역의 에지 영역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진동 컴포넌트를 후면 커버 제1 영역의 중간 영역에 설치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진동 컴포넌트를 후면 커버 제1 영역의 에지 영역에 설치하여, 더욱 쉽게 후면 커버가 비교적 뚜렷한 진동을 생성하도록 유도하며, 진동 피드백의 효과를 확보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상기 중간 프레임은 상기 후면 커버가 위치하는 평면에 수직될 수 있고, 상기 후면 커버의 에지를 둘러싸므로, 버튼, 잭(jack) 등 부재를 설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더 뚜렷한 진동을 느낄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진동 컴포넌트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과 상기 중간 프레임이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하고, 제2 진동 컴포넌트를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과 상기 중간 프레임이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중간 프레임의 진동을 유도하여, 모바일 단말을 잡고 있거나 모바일 단말에 접촉되는 손 등 인체 부위가 비교적 뚜렷한 진동 감각을 느끼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15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펼침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 모듈(150)은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또는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 모듈(150)은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제2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제2 진폭은 제1 진폭보다 작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어 모듈(150)은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또는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모두 제1 진폭보다 작은 제2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여, 진동할 경우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작용력을 모두 감소시키고, 상기 작용력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진폭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진폭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의 진폭의 일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고,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 진동 감각의 일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또는 제2 진동 컴포넌트(132)만 진동하여, 진동 감각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펼침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모두 진동하도록 제어하여, 펼침 형태일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만 진동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이 진동하지 않는 진동 부족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진동 피드백 효과를 확보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100)은,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고, 제어 모듈(150)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상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상태 획득 모듈 -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상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상태는 모두 사용 상태 및 아이들 상태를 포함함 - ; 을 포함하고,
제어 모듈(150)은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사용 상태이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아이들 상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131)가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제어 모듈(150)은 또한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아이들 상태이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사용 형태일 경우,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태 획득 모듈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전력 소비를 획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전력 소비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전력 소비를 기설정된 전력 소비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상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전력 소비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 상태일 경우 소비해야 하는 최소 전력 소비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전력 소비가 기설정된 전력 소비보다 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은 사용 상태이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전력 소비가 기설정된 전력 소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은 아이들 상태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전력 소비가 기설정된 전력 소비보다 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사용 상태이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전력 소비가 기설정된 전력 소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아이들 상태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사용 상태는 사용자 동작 명령어를 수신 가능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사용 상태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은 비디오를 플레이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특정 영역에서 프레스 동작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이 현재 플레이된 비디오를 중지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특정 영역은, 프레스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사용 상태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향한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사용 상태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은 일반적으로 사용자를 향한다.
예시적으로, 상기 아이들 상태는,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 또는 특정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아이들 상태일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수 있거나, 특정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이미지는 사용자 수요에 따라 설정된 정적 이미지 또는 동적 이미지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사용 상태이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아이들 상태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은 사용자를 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은 사용자를 등진다.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아이들 상태이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사용 상태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은 사용자를 등지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은 사용자를 향한다.
사용자를 프롬프트해야 할 경우에 아이들 상태인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의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구동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상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상태를 획득하고, 사용자를 프롬프트해야 할 경우, 사용 상태인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의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진동 감각 피드백을 제때에 수신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00)은,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고, 처리 모듈(140)에 연결되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 크기를 획득하기 위한 협각 획득 모듈(160);을 포함하고,
처리 모듈(140)은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이 제1 기설정된 각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처리 모듈(140)은 또한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사이의 협각이 제1 기설정된 각도보다 클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펼침 형태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이, 0도 보다 크거나 같고, 180도보다 작거나 같은 각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 사이의 협각,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후면 사이의 협각,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후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 사이의 협각, 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후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후면 사이의 협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후면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디스플레이창의 반대면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후면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디스플레이창의 반대면이다.
예시적으로, 제1 기설정된 각도는 90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 사이의 협각이 90도보다 크고 180보다 작을 경우, 모바일 단말(10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이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은 펼침 형태이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 사이의 협각이 180도일 경우, 모바일 단말(10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일 수 있고, 이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은 펼침 형태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눈이 위치“1”곳에 위치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 모두가 사용자를 향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이 위치“2”곳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후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모두 사용자를 등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후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후면 사이의 협각이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을 경우, 모바일 단말(100)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은 접힘 형태이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후면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후면 사이의 협각이 0도일 경우, 모바일 단말(100)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눈이 위치“3”곳에 위치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사용자를 향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사용자를 등지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은 사용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아이들 상태이다.
사용자의 눈이 위치“4”곳에 위치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사용자를 등지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사용자를 향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은 아이들 상태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은 사용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 크기를 획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폭을 제어하므로, 방법이 간단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협각 획득 모듈(16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후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 각 속도 센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후면에 위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2 각 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협각 획득 모듈(160)은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각 속도 센서 및 제2 각 속도 센서는 모두 자이로스코프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단말(100)에 이전 생성된 구동 신호를 미리 저장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이전 구동 신호의 구동 결과를 획득한다. 이전 구동 결과를 통해, 이전에 구동 신호가 생성될 경우 진동하는 진동 컴포넌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전의 구동 결과가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면, 이전 진동할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은 펼침 형태이다. 더 나아가, 현재 획득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이전에 획득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이전에 구동 신호를 생성할 경우와 비교할 때 자세 각이 발생한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재 획득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이전에 획득된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것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이 이전에 구동 신호를 생성할 경우와 비교할 때 자세 각이 발생한 변화를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이 이전 구동 신호를 생성할 경우와 비교할 때의 변화값을 결정할 수 있고, 즉 현재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을 결정할 수 있어, 선행 기술과 호환성이 강하며, 방법이 간단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협각 획득 모듈(16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후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 방향을 획득하기 위한 제1 가속도 센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후면에 위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 방향을 획득하기 위한 제2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며,
협각 획득 모듈(160)은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 방향,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협각 획득 모듈(16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 방향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의 형태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 방향이 일치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은 일치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은 펼침 형태이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 방향이 반대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은 반대이고,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은 접힘 형태이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 방향,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것을 통해, 3차원 좌표계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가 z축의 벡터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3차원 좌표계를 지리적 좌표계로 하면, z축 정방향은 모바일 단말(100)이 받는 중력 방향과 반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이 상기 z축 정방향과 일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이 상기 z축 정방향과 일치할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펼침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모두 사용자를 등지는 것으로 결정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이 상기 z축 정방향과 반대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이 상기 z축 정방향과 반대될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펼침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 모두가 사용자를 향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이 상기 z축 정방향과 일치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이 상기 z축 정방향과 반대될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사용자를 등지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사용자를 향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때, 진동 피드백을 수행해야 할 경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후면의 제2 진동 컴포넌트(132)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이 상기 z축 정방향과 반대되고,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가 z축에서의 벡터 방향이 상기 z축 정방향과 일치할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이 접힘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디스플레이창이 사용자를 향하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디스플레이창이 사용자를 등지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때, 진동 피드백을 수행해야 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후면의 제1 진동 컴포넌트(131)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가속도 방향,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의 자세 각 파라미터,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122)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써, 진동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15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의 형태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처리 모듈(1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의 형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제어 모듈(150)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 모듈(150)은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모바일 단말(100)의 제어 모듈(150)은 트리거 핀을 구비하고, 트리거 핀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또는 제2 진동 컴포넌트(132)에 연결될 경우, 제어 모듈(150)은 직접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의 형태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즉 하드웨어를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폭에 대한 제어를 직접 트리거한다. 이러한 제어 방식에서 언급된 신호 그래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이벤트 신호는 사용자 동작 신호를 나타내고, 트리거 신호는 모바일 단말(100)이 사용자 동작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 생성된 트리거 신호를 나타내며, 진동 신호는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 신호를 나타낸다.
또는, 모바일 단말(100)의 처리 모듈(1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120)의 형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경우, 제어 신호를 모바일 단말(100)의 제어 모듈(150)에 송신한 다음, 제어 모듈(150)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가 생성된다. 즉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모듈(15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진동 제어를 구현한다. 이러한 제어 방식에서 언급된 신호 파형 그래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제1 인터페이스는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직접 회로간 버스(Inter-Integrated Circuit, I2C) 인터페이스 또는 직렬 주변 기기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이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처리 모듈(140)에 연결될 경우, 처리 모듈(140)은 또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모듈(150)을 초기화할 수 있고, 진동해야 하는 파형 신호를 제어 모듈(150)에 저장하여, 특정한 진동 감각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기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은 하드웨어 트리거의 방식을 통해 구동 신호를 직접 생성할 수 있어,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의 진동 피드백에 상응하는 속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잇어서, 처리 모듈(140)이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제어 모듈(150)에 송신하여, 제어 모듈(150)이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구동 신호의 생성 방식은 다양하고, 제어 방식은 유연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150)은,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모바일 단말(100)은,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모듈 - 제2 신호값은 제1 신호값보다 큼 - 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폭을 제어하고;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와 비교하면,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기 시작하거나 진동 중지할 경우, 더 큰 진동 감쇠력을 생성한다.
예시적으로, 변환 모듈은, 연산 증폭기와 같은 부스팅 기능을 구비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신호는 전압 신호일 수 있다.
구동 신호가 제1 진동 모듈(131)이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예로 들면, 한 쌍의 차동 신호 라인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131)에 제1 차동 신호 및 제2 차동 신호를 구동 신호로서 입력할 경우, 상기 한 쌍의 차동 신호 라인에서의 두 라인의 차동 신호의 차이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코일에서 교번 자기장을 생성한다. 상기 교번 자기장 작용 하에서,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내부에 자성 물질을 갖는 웨이트 블록은 자기장의 변화에 대해 주기적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된다.
상기 웨이트 블록의 진동 시작 과정은 두 부분의 운동의 중첩 즉 감쇠력 작용 하에서의 자유 감쇠 운동(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 및 구동 신호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 작용하에서의 안정 상태 운동(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음)의 중첩을 포함하고, 형성된 중첩 결과는 도 8에 도시된 파형이다. 제1 진동 컴포넌트 내부의 웨이트 블록의 진동 중지 과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동 감쇠력 작용하에서의 자유 감쇠 운동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시적 과정에 대해, 진동 중지 단계인지 진동 시작 단계인지와 관계없이, 제1 진동 컴포넌트(131)의 감쇠비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진동 감쇠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진동 시작 시간 및 진동 중지 시간을 조절한다. 또한, 진동 감쇠력이 클수록, 진동 시작 시간 및 진동 중지 시간은 짧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변환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L은 인덕턴스를 나타내고, 회로가 도통될 경우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소자(Q1) 및 소자(Q2)는 스위칭 기능을 구비하는 소자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소자(Q1) 및 소자(Q2)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변환 모듈의 출력 전압(Vout t)과 전원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전압(Vin) 사이는 아래와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여기서, D는 듀티비를 나타내고, 상기 듀티비는 하나의 펄스 순환 사이클 내에, 펄스 하이 레벨 신호의 지속 시간이 펄스 신호의 하나의 사이클 지속 시간에 대한 비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펄스 하이 레벨 신호의 지속 시간이 1㎲이고, 상기 펄스 신호의 하나의 사이클 지속 시간이 4㎲이면, 듀티비는 0.25이다. 따라서, 듀티비가 0보다 크고 1보다 작으며, (1-D)도 0보다 크고 1보다 작으므로, 변환 모듈의 출력 전압이 입력 변환 모듈의 입력 전압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변환 모듈은 부스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변환 모듈이 제1 단계일 경우, 트랜지스터(Q1)는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2)는 오프되며, 전류는 제1 회로(L1)에서 흐르며, 전원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전압(Vin)은 인덕턴스(L)에 작용되어, 인덕턴스(L)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한다. 전기 에너지를 저장한 인덕턴스(L)는 유도 전원으로 간주할 수 있고, 그 유도 전압(VL)의 방향은 왼쪽이 양극이고 오른쪽이 음극이다. 여기서, 동일한 펄스 신호를 통해 Q1 및 Q2의 도통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인덕턴스(L)를 충전 완료할 경우,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도록 제어하고,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도록 제어하며, 이때, 변환 모듈은 제2 단계이고, 전류는 제2 회로(L2)에서 흐르며, 이때, 인덕턴스(L)는 전류를 방출하고, 렌츠의 법칙에 따라 인덕턴스(L)의 유도 전압(VL)의 방향이 왼쪽이 음극이고 오른쪽이 양극인 것으로 변경되고, 인덕턴스(L)에 의해 방출된 전류 방향이 전원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전류 방향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변환 모듈의 출력 전압은 전원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전압과 인덕턴스(L)의 유도 전압의 중첩으로 간주할 수 있어, 변환 모듈의 출력 전압이 전원에 의해 제공된 입력 전압보다 크도록 하여, 부스팅 과정을 완료한다.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예로 든다. 모바일 단말의 처리 모듈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모듈 중 제어 부분을 제어할 경우, 변환 모듈은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로 변환시키고, 제1 진동 컴포넌트에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전송하여, 제1 진동 컴포넌트가 더 큰 구동력을 받도록 한다. 이때, 제1 진동 컴포넌트가 받은 감쇠력도 더 커지므로,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시작 시간 및 진동 중지 시간은 모두 작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에 있어서, 변환 모듈을 통해 구동 신호의 신호값을 증가시키고, 신호값이 증가된 후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제어하며,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와 비교하면,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기 시작하거나 진동 중지할 경우, 더 큰 진동 감쇠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진동 감쇠력 작용하에서 자유 감쇠 운동의 진폭의 감쇠 속도가 증가되어,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중 적어도 하나가 안정 상태로 진입하는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하여, 진동 시작 시간을 감소시킨다.
진동 중지 과정에서,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중 적어도 하나는 진동 감쇠력 작용하에서의 자유 감쇠 운동만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자유 감쇠 운동의 진폭 감쇠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 중지 시간도 축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안은 진동 시작 시간 및 진동 중지 시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의 순간적인 진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100)은,
제1 진동 컴포넌트(131)에 연결되고, 제2 진동 컴포넌트(132)에 연결되며, 제1 진동 컴포넌트(131)의 진동 주파수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의 진동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검출 모듈; 및
검출 모듈에 연결되고, 검출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진동 컴포넌트(131)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131)의 진동 주파수 및 제2 진동 컴포넌트(132)의 진동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처리 모듈(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는 100 헤르츠 내지 400 헤르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진동 컴포넌트(131)의 진동 주파수가 100 헤르츠보다 작으면, 이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인체와 접촉할 경우, 인체가 느낄 수 있는 진동 작용이 매우 약하고, 진동 프롬프트의 효과가 비교적 나쁘다.
제1 진동 컴포넌트(131)의 진동 주파수가 400 헤르츠보다 크면, 이때, 제1 디스플레이 영역(121)이 인체와 접촉할 경우 인체는 감전되는 듯한 따끔 거림을 느끼고, 사용자 체험이 나쁘다.
예시적으로, 제1 진동 컴포넌트(131)의 진동 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을 예로 들면, 도 11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의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E 포인트 및 F 포인트 사이의 기전력을 검출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효과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브리지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회로 구조이고,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를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기능을 오픈하거나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기능을 오프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진동 컴포넌트 진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는 두 개의 차동 신호를 포함하고, 각각 E 포인트가 위치하는 전송 라인 및 F 포인트가 위치하는 전송 라인으로부터 제1 진동 컴포넌트로 전송되며, 상기 차동 신호는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코일에서 교번 자기장을 형성한다. 검출 모듈은 상기 교번 자기장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에 대한 검출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에 타임 스탬프를 추가하고, E 포인트 및 F 포인트의 사이에서 검출된 전압 값 및 대응되는 타임 스탬프에 따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를 계산한다.
계산하여 얻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의 고정을 구현한다. 또한, 상이한 구동 주파수에서 구동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공진 주파수에 대한 검출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가 조정될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변화 추세 및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 변화 추세는 동일하다.
아래에 제1 진동 컴포넌트(131)가 진동하도록 제어하고, 구동 신호가 차동 신호인 것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차동 신호는 제1 진동 컴포넌트 코일 내부에서 교번 자기장(자기장 강도는 B임)을 생성한다.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검출 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모듈에서의 홀(Hall) 부품은 홀 효과에 기반하여 홀 전압(UH)을 출력하고, 상기 홀 전압은 교번 자기장 변화를 반영하는 전압 신호 및 홀 바이어스 전압 신호이므로, 저항(R1)과 저항(R2)으로 조성된 바이어스 회로를 통해 홀 바이어스 전압 신호를 제거하여, 제1 레벨 연산 증폭기를 입력하는 신호가 교번 자기장 변화를 반영하는 전압 신호이도록 한다.
교번 자기장 변화를 반영하는 전압 신호는, 순차적으로 제1 레벨 연산 증폭기의 증폭 작용 및 제2 레벨 연산 증폭기의 증폭을 통해 신호값이 U02로 증가되도록 한다. 제2 레벨 연산 증폭기의 출력 전압(U02)을 샘플링 유지 회로에 입력하고, 샘플링 유지 회로의 출력 전압은 Vo이다. 여기서, Vo는 샘플링 유지 회로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증폭된 후의 교번 자기장 변화를 반영하는 전압 신호를 나타내며, Vo는 제2 레벨 연산 증폭기의 출력 전압(U02)와 동일하다. 여기서, 제1 레벨 연산 증폭기의 통과 대역 주파수는 이고, 순방향 비례는 이며, π는 원주율을 나타내고, RF는 제1 레벨 연산 증폭기 중 저항(RF)의 저항값을 나타내며, CF는 제1 레벨 연산 증폭기 중 커패시터(CF)의 커패시터 값을 나타내고, R0는 제1 레벨 연산 증폭기 중 저항(R0)의 저항값을 나타내며; 제2 레벨 연산 증폭기의 통과 대역 주파수는 이고, 순방향 비례는 이며, RF2는 제2 레벨 연산 증폭기 중 저항(RF2)의 저항값을 나타내고, CF2는 제2 레벨 연산 증폭기 중 커패시터(CF2)의 커패시터 값을 나타내며, R5는 제2 레벨 연산 증폭기 중 저항(R5)의 저항값을 나타내며, U01은 제1 레벨 연산 증폭기의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Vo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회로에 입력하여, 교번 자기장 변화를 반영하는 전압 신호의 주파수 및 제1 진동 컴포넌트의 공진 주파수의 비교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샘플링 유지 회로의 출력 전압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회로에 전송될 경우, 샘플링 유지 회로의 출력 전압 신호값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회로가 샘플링 가능한 전압 범위 내에 위치한다.
제1 진동 컴포넌트의 공진 주파수의 검출이 완료된 후,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해 샘플링 유지 회로 및 그 다음 레벨 회로가 작업 중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저항(R7)이 커패시터(CQ)에 의해 저장된 전하를 소모하는 것을 통해,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레벨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 및 제2 레벨 연산 증폭기의 입력단 사이는, 로우 패스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우 패스 필터는 고주파 노이즈 성분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로우 패스 필터의 주파수는 이고, R3은 로우 패스 필터 중 저항(R3)의 저항값을 나타내고, C3은 로우 패스 필터 중 커패시터(C3)의 커패시터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검출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 대한 효과적인 진동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찌르는 것과 같은 나쁜 체험을 가져다 주는 확율을 감소시킨다.
도 1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진동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100)에 적용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고;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를 구비하며; 접힘 형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펼침 형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분리된다.
단계 S11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것을 통해, 모바일 단말 진폭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고, 상이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형태에서 모바일 단말 진폭을 제어하는 수요를 만족시키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의 모바일 단말의 진동 감각의 일치성을향상시키기 위한 조건을 마련해주었으며,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S110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 또는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2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 제2 진폭은 제1 진폭보다 작음 -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 또는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1 진폭보다 작은 제2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여, 진동할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작용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작용력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진폭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진폭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의 진폭의 일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고,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일 경우 진동 감각의 일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 또는 제2 진동 컴포넌트만 진동하여, 진동 감각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가 모두 진동하도록 제어하여, 펼침 형태일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만 진동되고, 다른 디스플레이 영역이 진동되지 않는 진동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진동 피드백 효과를 확보함에 있어서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는 모두 사용 상태 및 아이들 상태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고;
단계 S11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 상태이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이들 상태일 경우,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이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이들 상태이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사용 상태일 경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를 프롬프트해야 할 경우에 아이들 상태인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의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구동하는 것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일 경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를 획득하고, 사용자를 프롬프트해야 할 경우, 사용 상태인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의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가 진동 감각 피드백을 제때에 수신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S100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이 제1 기설정된 각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접힘 형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이 상기 제1 기설정된 각도보다 클 경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펼침 형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획득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제어하고, 방법이 간단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을 결정할 수 있어, 선행 기술과 호환성이 강하며, 방법이 간단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상이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으로써, 진동 제어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제어 모듈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또는,
모바일 단말의 처리 모듈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제어 모듈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모듈이 하드웨어 트리거를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구동 신호를 직접 생성할 수 있어,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의 진동 피드백의 상응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며; 처리 모듈에 의해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제어 모듈에 송신하여, 제어 모듈이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구동 신호의 생성 방식은 다양하며, 제어 방식은 유연하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모바일 단말의 제어 모듈이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 제2 신호값은 제1 신호값보다 큼 - 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와 비교하면,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기 시작하거나 진동 중지할 경우, 더 큰 진동 감쇠력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에 있어서, 변환 회로를 통해 구동 신호의 신호값을 증가시키고, 신호값이 증가된 후의 구동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제어하며,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와 비교하면,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기 시작하거나 진동 중지할 경우, 더 큰 진동 감쇠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진동 감쇠력 작용하에서 자유 감쇠 운동의 진폭의 감쇠 속도가 증가되어,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가 안정 상태로 진입하는 속도가 더 빨라지도록 하여, 진동 시작 시간을 감소시킨다.
진동 중지 과정에서,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는 진동 감쇠력 작용하에서의 자유 감쇠 운동만 포함할 수 있으므로, 자유 감쇠 운동의 진폭 감쇠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 중지 시간도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안은 진동 시작 시간 및 진동 중지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의 순간적인 진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여, 검출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검출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검출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검출 결과에 기반하여,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및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주파수 범위에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 대한 효과적인 진동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찌르는 것과 같은 나쁜 체험을 가져다 주는 확율을 감소시킨다.
예 1에 있어서,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예로 든다. 진동 역학 이론에 따르면, 진동 역학 모델에서, 아래와 같은 관계가 존재한다.
여기서, 진동 역학 모델은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고, F는 모바일 단말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으로 받은 작용력을 나타내고, M은 모바일 단말의 질량을 나타내며, A는 모바일 단말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작용 하에서 생성한 가속도를 나타내며, G는 모바일 단말의 진동 햅틱 유닛을 나타내며, 는 진동 과정 중 제1 진동 컴포넌트의 가속도를 나타내며, T는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햅틱 유닛 증폭 계수를 나타내며, m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질량을 나타내며, D는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나타내며, f는 진동 주파수를 나타내고, g는 중력 가속도를 나타낸다.
모바일 단말의 설계 과정에 있어서, 설계 수요에 따라, 상기 관계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질량(M) 및 진동 효과가 수요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센서를 모바일 단말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가속도 테스트 기기를 통해 모터 진동기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하여 진동할 경우 역학 부하의 가속도를 테스트한다. 진동 센서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여도 모두 일정한 가속도를 구비하므로, 제1 진동 컴포넌트의 가속도와 진동 센서에 설치된 위치 좌표의 함수 관계와 같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가속도에 관한 함수를 구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체 모바일 단말에서 3차원 공간을 구비하는 가속도 공간 분포 함수는, 모바일 단말 가속도의 최대값(Amax)결정하는 것을 통해, 최대 진동 햅틱 유닛을 결정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최대 진동 햅틱 유닛과 기설정된 진동 햅틱 유닛 범위 사이의 관계에 따라 진동 효과가 수요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최대 진동 햅틱 유닛이 기설정된 진동 햅틱 유닛 범위 내에 존재할 경우, 진동 효과가 수요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하고; 최대 진동 햅틱 유닛이 기설정된 진동 햅틱 유닛 범위 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진동 효과가 수요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한다.
아래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역학 모델의 도출 과정이다.
주파수가 f인 구동력으로 구동된 1차원 진동 시스템에 있어서, 을 x 축에서의 유닛 벡터로 설정하고, 을 y 축에서의 유닛 벡터로 설정한다.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질량은 m이고,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운동하는 접선 속도는 이며, 제1 진동 컴포넌트가 x축에서의 속도 벡터는 이며, y축에서의 속도 벡터는 이며, 속도 벡터() 및 x축의 협각은 이며,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초기 속도는 이며, 제1 진동 컴포넌트의 회전각 속도는 이며, 제1 진동 컴포넌트의 가속도는 이며,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원 운동하는 반경은 이며, 제1 진동 컴포넌트가 받는 구심력은 F1이며, 회전 각도가 이면,
뉴톤 제2 법칙에 따라, 아래와 같은 공식을 얻을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의 질량이 M인 것으로 설정하면, 구동력이 일정한 경우에서,
여기서, 는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나타내고, 구동력의 주파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진동 주파수와 동일하다. 실제 사용 중, 일반적으로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g)의 비례값을 사용하여 진동량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식(2)에 따라 알 수 있듯이, "2g의 진동량"은 진동량이 중력 가속도(g)의 2배임을 나타낸다. 이상의 관계에 따라, 아래의 공식을 사용하여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이론적인 진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은 테스트 기기가 진동량에 대한 증폭 계수를 나타내고, 상기 증폭 계수의 값은 테스트 기기의 프로브 위치, 테스트 기기의 형태 등 요소와 모두 관련되며, 상수가 아니다. 현재, 모델이 0832A 시리즈의 제1 진동 컴포넌트의 테스트 기기의 경우, 증폭 계수()는 약 2.8, 또는 이다. 얻어진 진폭값에을 나누어 유효값을 얻은 다음, 중력 가속도()를 나누면 이론적인 진동량을 얻고, 사용자가 느끼는 진동 감각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진동량 공식을 분석하면, 모바일 단말 기기가 일정한 경우에, 진동량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질량(),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 및 구동력 주파수(f)와 관련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공식(12)에서 진폭()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질량에 의해 직접 결정되는 것이 아니며, 감쇠 계수의 영향을 받으므로, 독립적으로 연구해야 한다.
예시적으로, 제1 진동 컴포넌트를 접착성 감쇠 모델로 간주하고 감쇠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성 감쇠 모델은 스프링, 스프링에 연결되고 구동력 작용하에서 진동하는 웨이트 블록을 포함한다. 접착성 감쇠 모델에서, 아래와 같은 관계가 존재한다.
접착성 감쇠 모델의 경우, 진동 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스프링의 탄성 계수를 나타내고, 는 스프링의 탄력을 나타내며, 는 제1 진동 컴포넌트 진동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에 따른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웨이트 블록에 대한 작용력을 나타낸다.
웨이트 블록이 초기 시각의 속도 및 변위가 모두 0으로 설정되면, 방정식(15)을 풀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운동 방정식(16)의 해에서, 은 자유 감쇠 운동을 나타내고, 은 모바일 단말에 의해 출력된 구동 신호가 제1 진동 컴포넌트를 구동하여 내부 로렌츠 힘하에서 생성한 강제 운동을 나타낸다. 여기서(16)에서의 특수 해는 아래와 같다.
여기서, 은 제1 진폭을 나타내고, 은 제1 진동 컴포넌트 변위의 위상과 구동 신호의 위상 사이의 위상을 나타낸다. 공식(17)은 제어 모듈에 의해 출력된 구동 신호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코일에 의해 생성된 교번 전자기장에서,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안정 상태 응답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공식(17)에서의 주파수는 구동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하다. 이고, 는 주파수비를 나타내고, 구동 신호의 주파수() 및 제1 진동 컴포넌트가 고유한 주파수()의 비례값을 나타내므로,
이면, 는 고정된 구동력의 제2 진폭을 나타내고, 제1 진폭()과 제2 진폭()의 비례값은, 진폭 증폭 배수()로 나타내며, 공식(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진폭 증폭 배수는 감쇠 및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공식(21)이 성립될 경우, 진폭 증폭 배수()는 최대값을 취하고, =1일 경우 공진이 발생되며, 이때 진폭 증폭 배수는 이고, 구동 신호에 따라 생성된 구동력의 위상과 변위의 위상 차는 π/2이므로, 구동 작용력이 웨이트 블록에서의 변위가 0일 경우 최대값을 취하고, 웨이트 블록에서의 변위가 최대값을 취할 경우, 구동 작용력이 0인 것을 설명한다.
제1 진폭은 아래와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공식(22)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진폭은 구동력, 감쇠력 및 스프링 탄성 계수의 영향을 받는다.
이상 제1 진동 컴포넌트 중 웨이트 블록의 안정 상태 진동 과정을 증명하였지만, 진동 시작과 진동 중지의 일시적 분석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감쇠 진동 그래프이다. 시스템 전기 신호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이 사라지고, 진동 감쇠력의 작용 하에서,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 상태가 안정 상태 진동으로부터 진폭이 기하 급수적으로 감쇠되는 단순 고조파 진동으로 스위칭되는 것을, 감쇠 진동으로 지칭한다.
따라서, 감쇠 진동 그래프에 따라 시스템 진동의 감쇠비를 얻을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감쇠비가 클수록, 로그 감쇠율이 더 크며, 감쇠 속도도 더 커진다.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량은 100%로부터 10%로 감쇠되는 감쇠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시간()은,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량이 100%로부터 10%로 감쇠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방정식(26)에 따라 알 수 있듯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진동량이 100%로부터 10%로 감쇠되는 감쇠 과정 중, 제1 진동 컴포넌트의 감쇠비가 클수록, 브레이크 시간은 작아진다. 여기서, 브레이크 시간()은, 제1 진동 컴포넌트에 대한 구동력을 제거하는 시각부터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을 중지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분석에 기반하여 알 수 있듯이,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운동 방정식은 아래와 같다.
초기 시각의 제1 진동 컴포넌트의 속도 및 변위가 모두 0인 것으로 설정하면, 감쇠 작용 하에서의 자유 연동 진동의 진폭이 에 따라 0으로 점차 감쇠되므로,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 중지 과정에서의 진동 파형 방정식은 아래와 같은 관계를 만족한다.
공식(29)은 제1 진동 컴포넌트 내부 로렌츠 힘 하에서 생성된 강제 운동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제어 장치(8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8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 메시징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피트니스 기기, 개인 휴대용 단말 등일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장치(800)는 처리 컴포넌트(802), 메모리(804), 전력 컴포넌트(8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 오디오 컴포넌트(8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812), 센서 컴포넌트(814) 및 통신 컴포넌트(816)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된 동작과 같은 장치(8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 컴포넌트(802)는,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료하기 위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컴포넌트(802)는 처리 컴포넌트(802) 및 다른 컴포넌트 사이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컴포넌트(802)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 및 처리 컴포넌트(802) 사이의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장치(80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장치(8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어, 연락인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8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PROM), 읽기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중 어느 한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컴포넌트(806)는 장치(80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컴포넌트(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원 및 장치(800)를 위해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상기 장치(800) 및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모니터(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터치 패널(Touch Panel, 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나 슬라이드 동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808)는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장치(800)가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에 있을 경우,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 및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하나의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을 포함하며, 장치(800)가 콜 모드, 녹음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804)에 추가로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816)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 컴포넌트(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812)는 처리 컴포넌트(802)와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에는 홈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장치(800)를 위한 다양한 측면의 형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814)는 기기(800)의 온/오프 형태, 컴포넌트의 상대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컴포넌트는 장치(800)의 모니터와 키패드이며, 센서 컴포넌트(814)는 장치(800) 또는 장치(800)에서 하나의 컴포넌트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800) 접촉의 존재 유무, 장치(800) 방향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8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이 근처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814)는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d Coupled Device,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8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816)는 장치(800)와 다른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장치(800)는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기준에 기반한 무선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컴포넌트(816)는 방송 채널에 의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816)는 근거리 통신을 추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자(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기술, 적외선 통신 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기술, 초광대역 (Ultra Wideband, UWB) 기술, 블루투스 기술 또는 다른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80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장치(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다른 전자 부품에 의해 구현되며, 장치(800)는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804)와 같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명령어는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을 완료하도록 장치(8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서의 명령어가 모바일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이동 단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진동 제어 방법에서의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을 실천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며, 본 발명에서 개시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된 상식이나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지적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9)
- 모바일 단말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표면에 위치하고,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접힘 형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펼침 형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분리됨 - ;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처리 모듈,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일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상태 획득 모듈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는 모두 사용 상태 및 아이들 상태를 포함함 -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사용 상태이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아이들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아이들 상태이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펼침 형태일 경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일 경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또는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상기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일 경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2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진폭은 상기 제1 진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처리 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획득하기 위한 협각 획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이 제1 기설정된 각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디스플레이창이 향하는 방향 사이의 협각이 상기 제1 기설정된 각도보다 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펼침 형태인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각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1 각 속도 센서;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제2 각 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협각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협각 획득 모듈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를 획득하기 위한 제1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를 획득하기 위한 제2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협각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또는,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에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환 모듈 - 상기 제2 신호값은 상기 제1 신호값보다 큼 -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와 비교하면,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기 시작하거나 진동 중지할 경우, 더 큰 진동 감쇠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후면 커버; 및
중간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는 상기 중간 프레임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는 상기 후면 커버의 상이한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 진동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모바일 단말에 적용되며,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접힘 형태 및 펼침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접힘 형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펼침 형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은 분리됨 - ;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일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태는 모두 사용 상태 및 아이들 상태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사용 상태이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아이들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이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아이들 상태이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이 상기 사용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후면에 위치하는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펼침 형태일 경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일 경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또는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1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일 경우,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가 제2 진폭으로 진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제2 진폭은 상기 제1 진폭보다 작음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제어 방법.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이 제1 기설정된 각도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접힘 형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이 상기 제1 기설정된 각도보다 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상기 펼침 형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속도 방향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의 자세 각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사이의 협각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어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처리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형태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어 모듈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 방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제어 모듈이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를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로 변환시키는 단계 - 상기 제2 신호값은 상기 제1 신호값보다 큼 -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의 진폭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신호값의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신호값의 구동 신호와 비교하면, 상기 제1 진동 컴포넌트 및 상기 제2 진동 컴포넌트 중 적어도 하나가 진동하기 시작하거나 진동 중지할 경우, 더 큰 진동 감쇠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제어 방법. - 진동 제어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실행할 경우, 제10항에 따른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제어 장치. -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저장 매체에서의 명령어가 모바일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모바일 단말로 하여금 제10항에 따른 진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911243291.6 | 2019-12-06 | ||
CN201911243291.6A CN112925407A (zh) | 2019-12-06 | 2019-12-06 | 移动终端、振动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2673A KR20210072673A (ko) | 2021-06-17 |
KR102372577B1 true KR102372577B1 (ko) | 2022-03-10 |
Family
ID=7110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6817A KR102372577B1 (ko) | 2019-12-06 | 2020-06-03 |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165898B2 (ko) |
EP (1) | EP3832991B1 (ko) |
JP (1) | JP6990743B2 (ko) |
KR (1) | KR102372577B1 (ko) |
CN (1) | CN11292540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73961B (zh) * | 2021-06-11 | 2024-07-16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振动控制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
KR20230012850A (ko) * | 2021-07-16 | 2023-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CN115086479B (zh) * | 2022-06-30 | 2024-02-09 |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 终端控制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
CN116893743A (zh) * | 2023-09-07 | 2023-10-17 | 武汉市聚芯微电子有限责任公司 | 设备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35208A1 (en) * | 2016-07-26 | 2018-02-0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1771B1 (ko) * | 2004-08-31 | 2009-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 각도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및 방법 |
JP2009217415A (ja) * | 2008-03-10 | 2009-09-24 | Sanyo Electric Co Ltd | 表示装置 |
KR101046734B1 (ko) * | 2008-12-12 | 2011-07-05 | (주)엔스퍼트 | 폴더의 각도 감지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565414B1 (ko) * | 2009-07-10 | 2015-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2179813B1 (ko) * | 2013-09-03 | 2020-11-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
KR102358110B1 (ko) | 2015-03-05 | 2022-02-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0013060B2 (en) * | 2015-09-18 | 2018-07-03 | Immersion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aptic effects in response to deformation of a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
CN109739465B (zh) * | 2018-12-21 | 2021-01-2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音频输出方法及移动终端 |
CN110290283B (zh) * | 2019-06-03 | 2020-11-0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控制震动的方法、装置及折叠屏设备 |
-
2019
- 2019-12-06 CN CN201911243291.6A patent/CN112925407A/zh active Pending
-
2020
- 2020-05-22 US US16/881,771 patent/US11165898B2/en active Active
- 2020-06-03 KR KR1020200066817A patent/KR1023725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6-04 JP JP2020097448A patent/JP6990743B2/ja active Active
- 2020-06-16 EP EP20180162.8A patent/EP38329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35208A1 (en) * | 2016-07-26 | 2018-02-0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832991A1 (en) | 2021-06-09 |
JP6990743B2 (ja) | 2022-01-12 |
US20210176352A1 (en) | 2021-06-10 |
KR20210072673A (ko) | 2021-06-17 |
CN112925407A (zh) | 2021-06-08 |
US11165898B2 (en) | 2021-11-02 |
JP2021093114A (ja) | 2021-06-17 |
EP3832991B1 (en) | 2022-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2577B1 (ko) | 모바일 단말, 진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 |
US10586431B2 (en) | Haptic system with increased LRA bandwidth | |
KR102419658B1 (ko) | 전자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장치,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
JP5507760B2 (ja) | 電子機器 | |
KR20110080316A (ko)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햅틱 피드백 제어 방법 및 장치 | |
KR20140100438A (ko) | 햅틱 효과를 생성하기 위한 액추에이터에 대한 오버드라이브 전압 | |
US20140302893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sensitivity of proximity sensor | |
US10596459B2 (en) | Systems, methods, and/or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for localized haptic feedback based on position of virtual object | |
US20160364001A1 (en) | Electronic device | |
CN108777763B (zh) | 一种拍照方法及终端设备 | |
CN111782444A (zh) | 一种马达测试系统及方法、计算机存储介质 | |
CN113708590A (zh) | 线性振动马达、触觉反馈振动模组、控制方法及装置 | |
CN111752370A (zh) | 马达的振动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 |
US20200081540A1 (en) | Tungsten frame of a haptic feedback modul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CN114125095B (zh) | 一种终端设备、振动噪音的控制方法、装置及介质 | |
CN107437322A (zh) | 移动终端、移动终端危险监测装置及方法 | |
CN113708704A (zh) | 马达震感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 |
CN111766918A (zh) | 折叠屏姿态检测方法和装置、电子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CN115348351B (zh) | 磁场检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EP2787715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sensitivity of proximity sensor | |
CN114510141A (zh) | 振动控制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 |
US2017030003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