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080B1 - 세차기용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세차기용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080B1
KR102372080B1 KR1020200062359A KR20200062359A KR102372080B1 KR 102372080 B1 KR102372080 B1 KR 102372080B1 KR 1020200062359 A KR1020200062359 A KR 1020200062359A KR 20200062359 A KR20200062359 A KR 20200062359A KR 102372080 B1 KR102372080 B1 KR 102372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nozzle unit
cleaning liquid
discharg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451A (ko
Inventor
김희성
박관희
임재성
Original Assignee
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트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트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08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83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 gas and liquid jets intersecting in the mixing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단이 세차기의 세정액을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의 단부와 연결되어, 유체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가속상태로 이동되게 하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메인 노즐부, 후단을 유체공급라인에 결합한 상태로 메인 노즐부의 외측에 삽입 배치하며, 메인 노즐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외부에 분사 배출되게 가이드하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유로가 형성된 배출 노즐부를 포함하며, 배출 노즐부의 외주면 둘레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공기공급공이 관통 형성되어, 메인 노즐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되게 할 때 공기공급공을 통해 배출 노즐부의 유로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면서 세정액을 공기와 혼합상태로 배출되게 하고, 배출 노즐부의 선단부분 유로 직경 크기는, 메인 노즐부의 선단부분 유로 직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세차기용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차기용 분사노즐{Spray nozzle for car wash}
본 발명은, 세차에 사용되는 물이나 세제 또는 왁스와 같은 세정액 및 공기를 세차대상 차량으로 분사되게 하는 세차기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세차기는 세차대상 차량을 지정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세차기 본체가 레일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물과 세제 또는 왁스와 같은 세정액을 분사하면서 세척용 브러쉬가 회전 및 세차대상 차량과 접촉하면서 차체를 닦은 뒤,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세차대상 차량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한다.
이때, 자동 세차기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은 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상태로 분사 배출되도록 하여, 세차대상 차량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세제 등을 깨끗하게 씻겨 나가게 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 세차기용 분사 노즐은, 세정액을 배출하는 세정액 분사노즐부와,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분사노즐부를 각각 설치하게 되는 바,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됨과 더불어, 세정액 노즐부를 통해 분사되는 세정액의 분사압력을 높이기 위해 세정액을 펌핑시키는 펌핑장치의 펌핑력을 높여야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분사 노즐이 마련된 세차기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9233호(2002.03.09)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세차대상 차량의 표면으로 세정액이 고압상태로 분사되게 하여 안정적인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세차기용 분사노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후단이 세차기의 세정액을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의 단부와 연결되어, 유체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가속상태로 이동되게 하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메인 노즐부, 후단을 유체공급라인에 결합한 상태로 메인 노즐부의 외측에 삽입 배치하며, 메인 노즐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외부에 분사 배출되게 가이드하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유로가 형성된 배출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노즐부의 외주면 둘레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공기공급공이 관통 형성되어, 메인 노즐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되게 할 때 공기공급공을 통해 배출 노즐부의 유로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면서 세정액을 공기와 혼합상태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배출 노즐부의 선단부분 유로 직경 크기는, 메인 노즐부의 선단부분 유로 직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세차기용 분사노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 노즐부는, 내측에 제1유입유로가 형성되고, 후단 외주면에는 배출 노즐부 내측에 걸림상태로 삽입되도록 걸림단이 돌출 형성된 메인 후측바디, 상기 메인 후측바디의 선단에 연결 형성되며, 내측에는 제1유입유로와 연결되는 제1배출유로가 형성된 메인 선측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출유로의 직경 크기는 제1유입유로의 직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노즐부는, 내측에 메인 노즐부의 후단을 걸림시킨 상태로 유체공급라인의 단부 외측에 삽입 체결하는 관 형태의 체결 바디, 상기 체결 바디의 선단에 연결하며, 외주면에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되고, 내측에 메인 노즐부를 삽입되게 제2유입유로가 형성된 배출 후측바디, 상기 배출 후측바디의 선단에 연결 형성되며, 내측에는 제2유입유로와 연결되는 제2배출유로가 형성된 배출 선측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출유로의 직경 크기는 제2유입유로의 직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후측바디 내주면에는 세정액이 충돌하면서 와류를 발생시킨 상태로 배출되게 복수의 날개판이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용 분사노즐은, 배출 노즐부의 내측에 메인 노즐부를 삽입 배치하고, 배출 노즐부의 외주면에는 메인 노즐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되게 할 때 배출 노즐부의 유로로 외부의 공기가 공급되게 공기공급공이 형성된 바, 세정액을 공기와 혼합상태로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분사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용 분사노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용 분사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세차기용 분사노즐은, 메인 노즐부(100), 배출 노즐부(20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세차기용 분사노즐은, 세차기의 세정액을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도면미도시)의 끝단부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상기 메인 노즐부(100)는 유체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가속상태로 이동하면서 이후 설명될 배출 노즐부(200)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메인 노즐부(100)은 배출 노즐부(200)의 내측에 삽입 배치하며, 메인 노즐부(100)의 길이방향 후단은 유체공급라인의 배출 단부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메인 노즐부(100)는 메인 후측바디(110), 메인 선측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후측바디(110)는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메인 후측바디(110)의 내측에는 유체공급라인과 연결되도록 제1유입유로(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후측바디(110)의 후단 테두리 외주면에는 걸림단(112)을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단(112)은 메인 후측바디(110)의 후단 부분을 배출 노즐부(200)의 내측에 걸림상태로 삽입 배치되게 함과 더불어 메인 후측바디(110)의 후단 테두리 부분이 배출 노즐부(200)의 내주면에 최대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메인 선측바디(120)는 메인 후측바디(110)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연결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때, 메인 선측바디(120)는 메인 후측바디(110)와 일체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 선측바디(120)의 내측에는 제1유입유로(111)와 연결되는 제1배출유로(1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배출유로(121)의 출구 단부에는 세정액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1확대부(122)가 형성되어, 제1배출유로(121)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높인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선측바디(120)의 제1배출유로(121)의 직경크기는 메인 후측바디(110)의 제1유입유로(111)의 직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유입유로(111)에서 제1배출유로(121)로 세정액의 이동시 세정액을 가속상태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메인 후측바디(110)의 내주면에는 제1유입유로(111)에서 제1배출유로(121)로 이동하는 세정액을 이후 설명될 배출 노즐부(200)의 유로로 와류를 발생시킨 상태로 배출되게 하도록 날개판(130)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날개판(130)은 메인 후측바디(110)의 내주면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노즐부(200)는 메인 노즐부(100)로부터 가속상태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외부의 세차대상 차량(도면미도시)으로 배출되게 가이드하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배출 노즐부(200)는 배출 노즐부(200)의 외측에 삽입 배치하며, 배출 노즐부(200)의 길이방향 후단은 유체공급라인의 배출 단부에 결합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배출 노즐부(200)는 체결 바디(210), 배출 후측바디(220), 배출 선측바디(23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바디(210)는 유체공급라인의 배출 단부 외측에 삽입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체결 바디(210)의 내측에는 메인 노즐부(100)의 메인 후측바디(110)에 형성된 걸림단(112)을 걸림되게 하는 걸림턱(211)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바디(210)의 내측에는 유체공급라인의 배출 단부와 걸림단(1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씰링부재(212)가 설치되어, 유체공급라인의 배출 단부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이 체결 바디(210)의 후단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배출 후측바디(220)는 메인 노즐부(100)를 감싸도록 메인 노즐부(100)의 외측에 삽입 배치하는 양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배출 후측바디(220)는 체결 바디(210)의 선단에 일체상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 후측바디(220)의 내측에는 메인 노즐부(100)를 삽입되게 함과 더불어 메인 노즐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유입유로(2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후측바디(220)의 외주면에는 내측의 제2유입유로(221)와 연결되는 공기공급공(2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공급공(222)은 메인 노즐부(100)를 통해 세정액의 공급시,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되게 하면서 배출 후측바디(220) 내에서 세정액과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바, 세정액의 분사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배출 선측바디(230)는 배출 후측바디(220)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연결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때, 배출 선측바디(230)는 배출 후측바디(220)와 일체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출 선측바디(230)의 내측에는 제2유입유로(221)와 연결되는 제2배출유로(2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배출유로(231)의 출구 단부에는 세정액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2확대부(232)가 형성되어, 제2배출유로(231)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높인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 선측바디(230)의 제2배출유로(231)의 직경크기는 배출 후측바디(220)의 제2유입유로(221)의 직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2유입유로(221)에서 제2배출유로(231)로 세정액의 이동시 세정액을 가속상태로 이동되게 한다. 그리고, 배출 선측바디(230)의 제2배출유로(231)의 직경크기는 메인 선측바디(120)의 제1배출유로(121)의 직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메인 노즐부(100)에서 배출 노즐부(200)로 공급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세정액의 분사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용 분사노즐은, 배출 노즐부(200)의 내측에 메인 노즐부(100)를 삽입 배치하고, 배출 노즐부(200)의 외주면에는 메인 노즐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되게 할 때 배출 노즐부(200)의 유로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되게 하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된 바, 세정액을 공기와 혼합하여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분사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세차대상 차량의 세차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메인 노즐부 110: 메인 후측바디
111: 제1유입유로 112: 걸림단
120: 메인 선측바디 121: 제1배출유로
130: 날개판 200: 배출 노즐부
210: 체결바디 220: 배출 후측바디
221: 제2유입유로 222: 공기공급공
230: 배출 선측바디 231: 제2배출유로

Claims (4)

  1. 후단이 세차기의 세정액을 공급하는 유체공급라인의 단부와 연결되어, 유체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가속상태로 이동되게 하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유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메인 노즐부와;
    후단을 유체공급라인에 결합한 상태로 메인 노즐부의 외측에 삽입 배치하며, 메인 노즐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증대시킨 상태로 외부에 분사 배출되게 가이드하도록 양단으로 개방된 유로가 형성된 배출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노즐부는, 내측에 제1유입유로가 형성되고, 후단 외주면에는 배출 노즐부 내측에 걸림상태로 삽입되도록 걸림단이 돌출 형성된 메인 후측바디, 상기 메인 후측바디의 선단에 연결 형성되며, 내측에는 제1유입유로와 연결되는 제1배출유로가 형성된 메인 선측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 노즐부는, 내측에 메인 노즐부의 후단을 걸림시킨 상태로 유체공급라인의 단부 외측에 삽입 체결하는 관 형태의 체결 바디, 상기 체결바디의 선단에 연결하며, 외주면에는 공기공급공이 형성되고, 내측에 메인 노즐부를 삽입되게 제2유입유로가 형성된 배출 후측바디, 상기 배출 후측바디의 선단에 연결 형성되며, 내측에는 제2유입유로와 연결되는 제2배출유로가 형성된 배출 선측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배출유로의 직경 크기는 제1유입유로의 직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유입유로에서 제1배출유로로 세정액의 이동시 세정액을 가속상태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제1배출유로의 출구 단부에는 세정액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1확대부가 형성되어, 제1배출유로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높인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제2배출유로의 직경 크기는 제2유입유로의 직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2유입유로에서 제2배출유로로 세정액의 이동시 세정액을 가속상태로 이동되게 하며,
    상기 메인 후측바디 내주면에는 세정액이 충돌하면서 와류를 발생시킨 상태로 배출되게 복수의 날개판이 원둘레 방향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 노즐부의 외주면 둘레로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공기공급공이 관통 형성되어, 메인 노즐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되게 할 때 공기공급공을 통해 배출 노즐부의 유로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면서 세정액을 공기와 혼합상태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제2배출유로의 출구 단부에는 세정액의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제2확대부가 형성되어, 제2배출유로에서 배출되는 세정액의 압력을 높인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배출 선측바디의 제2배출유로의 직경크기는 메인 선측바디의 제1배출유로의 직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메인 노즐부에서 배출 노즐부로 공급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세정액의 분사 압력을 증대되게 하는 세차기용 분사노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2359A 2020-05-25 2020-05-25 세차기용 분사노즐 KR102372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59A KR102372080B1 (ko) 2020-05-25 2020-05-25 세차기용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359A KR102372080B1 (ko) 2020-05-25 2020-05-25 세차기용 분사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451A KR20210145451A (ko) 2021-12-02
KR102372080B1 true KR102372080B1 (ko) 2022-03-10

Family

ID=7886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359A KR102372080B1 (ko) 2020-05-25 2020-05-25 세차기용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9631A1 (en) 2022-11-08 2024-05-16 Counterfog S.L. Supersonic nozzle for decontamination and/or disinf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752A (ja) * 2005-01-06 2006-07-20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2流体特殊洗浄ノズル
KR101650028B1 (ko) * 2016-06-15 2016-08-22 계룡환경주식회사 와류 발생 노즐과 이를 포함한 정체수 없는 물탱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1778A (en) * 1999-06-11 2000-12-19 Spraying Systems Co. Air atomizing nozzle assembly with improved air c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7752A (ja) * 2005-01-06 2006-07-20 Hitachi Industrial Equipment Systems Co Ltd 2流体特殊洗浄ノズル
KR101650028B1 (ko) * 2016-06-15 2016-08-22 계룡환경주식회사 와류 발생 노즐과 이를 포함한 정체수 없는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451A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14102A (en) Self-cleaning nozzles
KR101706039B1 (ko) 노브러쉬 세차 장치
KR100413441B1 (ko) 의료기기 세척기
KR100906639B1 (ko) 분사노즐
JP2003154294A (ja) ノズル及び噴出装置。
JP2019505359A (ja) 改良型スプレーガン洗浄装置
KR102372080B1 (ko) 세차기용 분사노즐
JP2001104840A (ja) 流体噴出ガン
KR101854784B1 (ko) 세차장치
CN106319877B (zh) 用于洗衣机的喷头组件及洗衣机
KR20200002506U (ko) 세척용 분사노즐
KR101739385B1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2250133B1 (ko) 자동 세차기용 유체 분사 장치
JP2005076162A5 (ko)
JP2019188952A (ja) 洗車機
KR20210094376A (ko) 세차기용 분사장치
JP4215060B2 (ja) 食器洗い機
CN110199059A (zh) 具有偏转元件的衣物处理器具
JP2010091176A (ja) 空気流による乾燥方法
KR200482407Y1 (ko) 액체 토출장치
CN213222780U (zh) 一种高压盥洗喷嘴
CN209813939U (zh) 一种用于无接触洗车机上的自动排水防滴漏喷流杆
JP5594280B2 (ja) 洗車機
KR0114716Y1 (ko) 차량의 윈도와셔액 분사노즐
JP2607660Y2 (ja) 有低状パイプ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