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946B1 - 자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 - Google Patents

자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946B1
KR102371946B1 KR1020140174256A KR20140174256A KR102371946B1 KR 102371946 B1 KR102371946 B1 KR 102371946B1 KR 1020140174256 A KR1020140174256 A KR 1020140174256A KR 20140174256 A KR20140174256 A KR 20140174256A KR 102371946 B1 KR102371946 B1 KR 10237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duction magnet
induction
hol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048A (ko
Inventor
박한오
김종갑
Original Assignee
㈜바이오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니아 filed Critical ㈜바이오니아
Publication of KR2015006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05Pre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separation
    • B03C1/01Pre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separation by addition of magnetic adjuv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2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permanent magn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12N15/1006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means of a solid support carrier, e.g. particles, polymers
    • C12N15/101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means of a solid support carrier, e.g. particles, polymers by using magnetic b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Concentrating sample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68Trapping microscopic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magne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18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are suspended i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6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도자석(100), 유도자석(100)이 고정되는 유도자석고정홀(210)이 구비된 유도자석고정부(200), 및 튜브(T)가 삽입되는 유입홀(310)이 형성된 몸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몸체측에 자기장을 인가 및 제거하기가 매우 편함에 따라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를 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Magnetic particles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nucleic acid or protein}
본 발명은 자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물학적 시료에서 핵산(DNA와 RNA) 또는 단백질의 분리는 생화학 연구 및 진단 프로세스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시료에서 유전자 물질(핵산)을 분리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인 유전자 검출, 유전자 클로닝, 유전자 시퀀싱, 유전자 증폭, cDNA 합성 등이 수행될 수 없다. 여러 세포 혼합물에서 DNA 또는 RNA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이고 재현성 있는 분리 방법이 필요하고 여기에 최근 자성 입자를 이용한 분리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자성 입자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방법은 자성 입자를 이용하여 유전자 물질과 결합을 유도한 후, 시편에 외부 자기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DNA, RNA, 단백질 등을 분리 정제하는데 사용되는 자성입자는 입자크기가 500 - 2000 nm 정도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유전자 물질에 자기장을 인가시켜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 미국 공개특허 2013/0026104호(MAGNETIC SEPARATION DEVICE AND METHODS)가 개시되고 있다.
위 미국 공개특허의 그 상세한 설명 및 도 3을 참고할 때, 상측 및 하측의 지지부(111, 201)의 사이의 대략 중심부분에 자석(123)이 구비된 중앙지지부재(119)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측 지지부(201) 또는 하측 지지부(111)에 자성물질과 함께 유전자 물질이 수용된 수용부(501)가 구비된다.
위 미국 공개특허의 경우, 수용부(501)가 분리장치(101)에 결합되기 위해서 나사 결합되는 등 불편함을 갖고 있으며, 수용부(501) 측에 제공된 자기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용부(501)를 분리장치(101)로부터 다시 빼 내어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다.
1. 미국 공개특허 2013/0026104호(2013.01.31.)(명칭 : MAGNETIC SEPARATION DEVICE AND METHODS)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수용부(이하에서는 '튜브'라 칭함)에 자기장을 인가 및 제거가 매우 편리하도록 함으로써 시료에서 원하는 핵산 또는 단백질을 분리 및 정제하는데 매우 빠르고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가 포함된 튜브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자기장이 형성되어 자성입자를 유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유도자석(100); 상기 유도자석(100) 각각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유도자석고정홀(210)을 구비하는 유도자석고정부(200); 및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가 결합되며, 상기 유도자석(100)이 배열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높이방향으로 유입홀(310)이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유입홀(310a)과 인접한 또 다른 유입홀(310b)을 구분시키기 위한 구획벽(320)이 구비된 몸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 중 상기 구획벽(320)은 상기 구획벽(3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321), 및 상기 유입홀(310)에 삽입되는 튜브(T)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몸체(300)에 고정시키며, 상기 삽입홀(321)에 삽입되는 튜브고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300)는 상기 구획벽(32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유입홀(310)을 형성시키기 위한 내측벽(312)의 내부로 형성되는 홈부(360); 및 상기 유입홀(310)에 삽입되는 튜브(T)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몸체(300)에 고정시키며, 상기 홈부(360)에 삽입되는 튜브고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입홀(310)의 내측으로 상기 튜브(T)가 삽입될 때, 상기 튜브의 바닥면(BS)과 상기 유입홀(310)의 바닥면(311)은 소정거리(t) 이격되도록 상기 유입홀(310)의 깊이(D)는 상기 유입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튜브(T)의 길이(L)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도자석(100) 각각을 강제 삽입 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도자석고정홀(210)의 단부(211)는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에는 상기 유도자석고정홀(210)이 형성된 면의 가장자리 측에는 상기 몸체(300)와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자석(230)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1결합자석고정홀(22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300)에 상기 제1결합자석(230)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자석고정홀(220)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2결합자석(340)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2결합자석고정홀(3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유도자석(100)의 일측은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의 유도자석고정홀(2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300)의 하부측에는 돌출 형성된 상기 유도자석(100)이 상기 구획벽(320)과 인접한 또 다른 구획벽(32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유입홀(310)의 단면적은 상부측보다 하부측이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300)와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 사이에는 상기 몸체(300)가 상기 유도자석(100)이 고정된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300)의 외주면을 압박시키기 위한 압박부(410); 및 상기 압박부(410)를 내측부에 수용시켜 고정하기 위한 수용부(420);를 포함하는 몸체위치고정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에 있어서, 자성 입자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를 위하여 유전자 물질에 자성입자를 섞은 후 튜브(T)에 주입하는 주입단계(S100); 상기 몸체(300) 측에 상기 튜브(T)를 고정시키는 튜브고정단계(S200); 유도자석(100)이 고정된 유도자석고정부(200)를 몸체(30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유도자석고정부결합단계(S300); 상기 유도자석(100)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유전자 물질과 결합된 자성입자가 상기 유도자석(100) 측으로 유인되는 자성입자유인단계(S400); 상기 유인된 유전자 물질과 결합된 자성입자를 제외한 잔여액체를 상기 튜브(T)로부터 제거하는 잔여액체제거단계(S500); 및 상기 몸체(300)의 일측에 고정된 유도자석고정부(200)를 제거하여 몸체에 형성된 자기장을 제거하는 자기장제거단계(S600); 을 포함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자기장제거단계(S600) 이후에는 상기 튜브(T)에 잔류하는 자성입자와 핵산 또는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T) 내측으로 세척용액 또는 분리용액을 주입하는 세척 및 분리용액주입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으로 인하여 몸체 측에 자기장을 인가 및 제거하기가 매우 편함에 따라 정제된 핵산 또는 단백질만을 추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몸체의 내측으로 튜브의 삽입 및 고정이 매우 편하게 설계됨에 따라 핵산과 함께 자성물질이 자석에 의하여 유도된 상태에서 잔여 물질의 제거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일측 방향 분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또 다른 방향의 분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상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일측 방향 분해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분해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의 자성입자 분리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한 플라스미드 DNA 분리결과를 나타내는 전기영동 사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해당하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에 해당되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해당한다.
[ 제1실시예 ] 튜브 삽입형 자성입자 분리장치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제1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는 튜브(T)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입홀(310)이 구비된 몸체(300) 및 유도자석(100)이 장착된 유도자석고정부(200)가 구비된다. 유도자석고정부(20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어 몸체(30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유도자석(100)은 자성을 지닌 물체로써 몸체(300)의 내부 또는 몸체(300)에 삽입된 튜브(T)에 전체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유도자석(100)의 형상을 대략 동전과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며 약간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단면형상은 사각,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유도자석고정부(200)에 형성된 유도자석고정홀(210)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유도자석(100)은 이하 상술하는 유도자석고정부(200)에 형성된 유도자석고정홀(210)에 각각 삽입 고정된다. 유도자석(100)은 다수의 행(L1, L2, L3, L4)과 열(C1, C2, C3, C4, C5, C6)을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열(C1, C2, … C6)마다 튜브(T)가 대응될 수 있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행(L1, L2, … L4)을 둔 것은 튜브(T)의 일측으로 효과적으로 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유도자석이 배치되는 행과 열은 다양하게 응용되어 제작될 수 있으며, 삽입하고자 하는 튜브의 사이즈와 개수에 따라 유동적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유도자석고정부(200)는 다수개의 유도자석고정홀(210) 및 이하 후술할 몸체(30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자석고정홀(220) 및 이에 삽입고정되는 결합자석(230)이 구비된다. 도 2를 참고할 때, 유도자석고정홀(210)의 열의 수가 6개이므로 이에 대응될 수 있도록 튜브(T)의 유입홀(310) 또한 6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홀(310)의 수에 따라 유도자석고정홀(210)의 열의 수가 가변적임을 의미한다. 한편, 유입홀(310)의 수는 삽입하고자 하는 튜브(T)의 사이즈와 개수에 따라 유동적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유도자석고정부(200)와 몸체(300)가 결합되었을 때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유도자석고정부(200)가 장착되는 몸체(300)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몸체(300)에는 유도자석고정부(20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350, 도 3 참조)가 구비된다. 한편, 유도자석고정부(200)는 평평한 외측면을 기준으로 유도자석고정홀(210)이 고정되는 제1판(240)은 결합자석고정홀(220)이 구비된 제2판(250)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1판(240) 및 제2판(250) 등으로 나누어 기술하였으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판(240)이 제2판(250)보다 돌출됨은 향후 서술하는 몸체(300)에 형성된 유입홀(310)에 제1판(240)이 보다 근접하게 함으로써 튜브(T)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높이기 위함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몸체(300)는 튜브(T)가 삽입되는 유입홀(310)이 구비된다. 특정 유입홀(310a)과 이와 인접한 유입홀(310b)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320)이 형성된다. 구획벽(32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삽입홀(321)이 형성된다. 삽입홀(321)에는 유입홀(310)의 내측으로 외주면의 일부가 돌출되는 튜브고정부(322a)가 삽입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유도자석고정부(200)에는 대략 그 모서리부분에 제1결합자석고정홀(220) 및 이에 삽입된 제1결합자석(230)이 구비된다. 몸체(300)에는 이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자석고정홀(330) 및 이에 결합된 제2결합자석(340)이 구비된다. 유도자석고정부(200)의 제1결합자석(230)과 몸체(300)의 제2결합자석(340)이 상호 자력에 의하여 유도자석고정부(200)가 몸체(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전술한 유도자석고정부(200)의 제1판(240) 및 제2판(25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350)가 구비된다.
한편, 몸체(300)는 유입홀(310)을 통하여 삽입 고정된 튜브(T)에서 핵산 및 자성물질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투명재질, 특히, 투명아크릴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5를 참고하여, 튜브고정부(322a)는 튜브(T)가 유입홀(310) 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튜브(T)의 외주면측을 압박하기 위하여 구획벽(320)을 관통하여 삽입 고정된다.
몸체(300)에 형성된 각각의 구획벽(320) 마다 삽입홀(321)이 천공된다. 천공된 삽입홀(321)에 튜브고정부(322a)가 삽입되되, 유입홀(310)의 내측으로 튜브고정부(322a)의 일측면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고정부(322a)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잘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내부가 중공된 실리콘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튜브(T)가 삽입되었을 때 튜브고정부(322a)로 인하여 튜브(T) 측으로 지나친 압력을 가하여 튜브(T)가 깨지거나 찌그러지는 등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리콘 오링 등을 이용한 튜브고정부(322a)에 의하여 튜브(T)가 몸체(300)에 밀착 고정되어 몸체(30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유도자석 고정부(200)에 고정된 유도자석(100)의 자기장에 의하여 튜브(T) 내의 핵산 및 자성물질이 분리가 완료된 경우 몸체(300)를 뒤집어서 잔여 용액을 제거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유도자석고정부(200)와 몸체(300)의 용이한 탈부착을 위해 제1 및/또는 제2결합자석(230, 340)을 이용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유도자석(100)에 의하여 몸체(300)측으로 자기장을 인가 또는 해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도자석고정부(200)를 몸체(300)에서 떼어낸 상태에서 튜브(T)내에 세척용액, 핵산 또는 단백질 분리용액 등을 주입하여 반응시킨 후 유도자석고정부(200)를 몸체(300)에 결합시켜 자기장을 제공하면 튜브(T)내의 자성입자가 유도자석고정부(200) 측으로 유인되어 상등액과 분리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때 분리된 상등액을 손쉽게 제거하거나 회수하여 사용함으로써, 핵산 또는 단백질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자성입자는 한국등록특허 제 10-1053023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자성입자 또는 바이오니아사에서 제조되는 AccuBeadTM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들이 핵산 또는 단백질 분리, 정제를 위해 사용하는 자성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 제2실시예 ] 또 다른 튜브 삽입형 자성입자 분리장치
한편, 또 다른 튜브 삽입형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도 6 및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기술적 특징은 기재의 효율성을 위하여 생략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기재되지 않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유입홀(310)은 그 단면의 형상이 대략 'C'자형으로 일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띈다. 구획벽(320)의 일측면부터 시작하여 몸체의 내측벽(312)까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홈부(360)가 형성된다.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일자형 홈부(360) 내측으로 튜브고정부(322b)가 삽입된다. 튜브고정부(322b)의 재질 등은 제1실시예에 준한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튜브고정부(322b)가 홈부(360)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튜브(T)의 외주면측을 압박할 수 있다. 튜브(T) 삽입시 튜브(T)의 외주면측을 효율적으로 압박하기 위하여, 튜브고정부(322b)의 직경은 몸체의 내측벽(312)측으로 형성된 홈부(360)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입홀(310)의 일측 부분에 튜브고정부(322b)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유입홀(310)의 내측으로 튜브(T)가 삽입될 때, 튜브의 바닥면(BS)과 유입홀(310)의 바닥면(311)은 소정거리(t) 이격될 수 있다. 이는 제1실시예도 마찬가지이다. 튜브(T) 삽입 및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활용할 때 튜브(T)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몸체(300)에 형성된 구획벽(320)의 높이를 몸체(300) 전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시킬 수 있다. 구획벽(320)의 상단측에 튜브(T)의 외주면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P)이 형성될 수 있다. 튜브(T)의 걸림턱(P)이 구획벽(320)의 상단부측에 걸리는 것이다. 또는 튜브(T)의 외경을 상부측으로 점증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구획벽(320)의 상단부측에 걸리게 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유도자석고정부(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도자석(100)을 효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유도자석고정홀(210)의 단부(211)는 돌출형성될 수 있다. 유도자석(100)을 유도자석고정홀(2100 측으로 강제로 밀어 넣어 고정시키기 위하여 단부(211)가 돌출 형성된다.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유도자석고정홀(210)의 입구 및 유도자석(100)으로 인하여, 유도자석(100)이 유도자석고정홀(210) 측에 안전하고 견고하고 고정된다.
도 7을 참고하면, 튜브(T)의 캡(C)이 튜브의 입구를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튜브(T)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모따기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의 용이성을 위함이다.
[ 제3실시예 ] 제3의 튜브 삽입형 자성입자 분리장치
한편, 또 다른 튜브 삽입형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공통되는 기술적 특징은 기재의 효율성을 위하여 생략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기재되지 않은 기술적 특징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다.
도 8을 참고하면, 몸체(300)는 그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를 띌 수 있다. 튜브(T)를 유입홀(310)로 삽입시 튜브(T)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300)는 튜브(T)가 테이블의 바닥면 등에 닿지 않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제2실시예 등을 참고하여, 튜브(T)의 외주면에 걸림턱(P)을 두어 튜브(T)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유도자석(100)의 행렬의 수가 다르나, 이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라 유도자석(100)의 개수가 유입되는 튜브의 크기와 개수에 맞게 가변적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튜브고정부(322a)의 경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실시예 2와 같은 튜브고정부(322b)로 치환될 수 있다.
도 8의 도면번호에 대한 구성 중 앞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제1 및/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다.
[ 제4실시예 ] 멀티-웰 플레이트( Multi - well Well Plate )형 자성입자 분리장치
한편, 멀티-웰 플레이트에 적용되는 활용예를 도 9 내지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유도자석(100), 유도자석(100)이 고정되는 유도자석고정부(200), 몸체(300) 등이 구비된다. 추가적으로 몸체(300)가 유도자석고정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몸체위치고정부(400)가 더 구비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유도자석고정부(200)가 몸체(300)의 측면부분에 장착되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몸체(300)가 유도자석고정부(200)의 상면측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도 10을 참고하여, 유도자석(100)이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유도자석고정부(200)에는 유도자석고정홀(210)이 천공된다. 유도자석(100)은 유도자석고정홀(210)에 강제 압입 또는 본드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달리 유도자석(100)은 충분한 높이를 갖는 원기둥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활용예에서 96웰 플레이트에 적용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멀티-웰(multi-well)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행 및 열의 수에 맞게 가변적으로 유도자석의 갯수가 변경되어 제작될 수 있다. 96 웰 플레이트의 경우 8*12의 유입홀(310; 96개의 유입홀)을 구비하며, 이들 사이에는 구획벽(320)으로 구획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할 때, 유입홀(310) 하부측에는 유입홀(310)의 행 및 열의 수보다 1개씩 만은 9*13의 공간(117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 공간마다 유도자석(1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같은 행과 열을 갖는 개수(117개) 만큼 유도자석(100)이 유도자석고정부(200)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홀(310)의 단면적은 상부측보다 하부측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을 참고할 때, 몸체(300)가 유도자석고정부(2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그 사이에 몸체위치고정부(400)가 배치된다.
도 10을 참고할 때, 몸체위치고정부(400)는 압박부(410) 및 압박부(410)가 수용되는 수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부(4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오링이 사용될 수 있다. 강제삽입시 몸체(300)의 외형이 파손 또는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쉽께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몸체위치고정부(400)가 유도자석고정부(200) 측에 고정될 때 다양한 고정방법 예를 들면, 나사 체결, 볼트 결합, 스냅-인 체결 또는 자석의 자력에 의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홀(H)은 이를 위한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 제5실시예 ]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를 이용한 자성입자 분리방법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 및 정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성 입자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를 위하여 유전자 물질에 자성입자를 섞은 후 튜브(T)에 주입한다(S100).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할 때, 몸체(300)의 높이방향으로 천공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310)에 튜브(T)를 삽입시킨다(S200).
이때, 몸체(300)의 내부에 위치한 튜브고정부(322a, 322b)가 튜브(T)의 외주면을 압박함에 따라 몸체(300)측에 튜브(T)가 고정된다(S200).
유도자석(100)이 고정된 유도자석고정부(200)를 몸체(300)의 일측에 고정시킨다(S300). 전술한 S100 단계 내지 S300단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유도자석(100)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유전자 물질과 결합된 자성입자가 유도자석(100) 측으로 유인된다(S400). 유인된 유전자 물질과 결합된 자성입자를 제외한 잔여액체를 튜브(T)로부터 제거한다(S500).
몸체(300)의 일측에 고정된 유도자석고정부(200)를 제거하여 몸체에 형성된 자기장을 제거한다(S600). 튜브(T)에 잔류하는 자성입자와 핵산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T) 내측으로 세척용액을 주입한다(S700). 이로써 핵산이 효과적으로 분리 및 정제되는 것이다.
위 세척 및 분리용액 주입단계(S700)는 1회 이상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다.
[ 제6실시예 ] 제4실시예를 이용한 자성입자 분리방법
제4실시예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 및 정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성 입자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를 위하여 유전자 물질에 자성입자를 섞은 후 멀티-웰(multi-well) 플레이트에 주입한다(S100).
도9 내지 도11을 참고할 때, 멀티-웰 플레이트 몸체(300)의 단위 웰 사이에 유도자석(100)이 인입될 수 있도록 멀티-웰 플레이트 몸체(300)를 몸체위치고정부(400)에 고정시킨다(S200 ~ S300).
이때, 몸체위치 고정부(400)의 내부에 위치한 압박부(410)가 멀티-웰 플레이트 몸체(300)의 외주면을 압박함에 따라 몸체위치 고정부(400)측에 멀티-웰 플레이트 몸체(300)가 고정된다(S200). 전술한 S100 단계 내지 S200단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그 순서는 바뀔 수 있다.
유도자석(100)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유전자 물질과 결합된 자성입자가 유도자석(100) 측으로 유인된다(S400).
유인된 유전자 물질과 결합된 자성입자를 제외한 잔여액체를 멀티-웰 플레이트 몸체(300)로부터 제거한다(S500).
멀티-웰 플레이트 몸체(300)에 고정된 몸체위치 고정부(400)를 제거하여 몸체에 형성된 자기장을 제거한다(S600).
멀티-웰 플레이트 몸체(300)의 단위 웰에 잔류하는 자성입자와 핵산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멀티-웰 플레이트 몸체(300)의 단위 웰 내측으로 세척용액을 주입한다(S700).
이로써 핵산이 효과적으로 분리 및 정제되는 것이다.
위 세척 및 분리용액 주입단계(S700)는 1회 이상 반복하여 실행될 수 있다.
[ 실험예 ] 본 발명의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한 플라스미드 DNA 분리방법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한 플라스미드 DNA 분리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일 실시예로, 하기 방법이외에 핵산, 단백질 분리를 위한 방법이 광범위하게 포함된다.
목표 플라스미드 DNA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세포파쇄용액을 준비한다. 세포파쇄용액은 화학적 세포파쇄방법을 통해 수득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사용하는 방법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준비된 세포파쇄용액에 자성입자를 주입한 후 세포 단백질 변성 응집물 및 세파쇄입자와 자성입자를 결합시킨 후 상등액을 수득한다. 상등액을 수득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수득된 상등액에 8M 구아니딘-염화수소, 100% 에탄올, 자성입자를 주입하여 혼합시켜준다. 이러한 혼합과정을 통해 목표 플라스미드 DNA가 자성입자와 결합하게 된다.
결합된 플라스미드 DNA-자성입자의 분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인가/해지해줌으로써, 플라스미드 DNA-자성입자가 튜브 내부에서 유도자석고정부측으로 유인되어 부착되게 된다. 이때 플라스미드 DNA-자성입자를 제외한 불순액들은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불순액이 제거된 플라스미드 DNA-자성입자가 존재하는 튜브내에 세척용액을 주입하고 세척단계를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 유도자석고정부(200)를 이용한 자기장을 인가/해지 해주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플라스미드 DNA-자성입자 결합체에서 단백질만 분리하기 위해 에탄올, 증류수나, 용출용액을 추가적으로 주입하고 자기장을 인가/해지함으로써 플라스미드 DNA-자성입자 결합물에서 목표 단백질만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분리한 플라스미드 DNA을 전기영동 사진으로 비교한 결과로 컬럼 형태의 플라스미드 키트와 비교하여 상응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100 : 유도자석 200 : 유도자석고정부
300 : 몸체 400 : 몸체위치고정부

Claims (10)

  1. 자기장이 형성되어 자성입자를 유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유도자석(100);
    상기 유도자석(100) 각각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유도자석고정홀(210)을 구비하는 유도자석고정부(200); 및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가 결합되며, 상기 유도자석(100)이 배열된 위치와 대응되도록 높이방향으로 유입홀(310)이 형성되되, 어느 하나의 유입홀(310a)과 인접한 또 다른 유입홀(310b)을 구분시키기 위한 구획벽(320)이 구비된 몸체(300);
    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벽(320)은
    상기 구획벽(3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삽입홀(321), 및 상기 유입홀(310)에 삽입되는 튜브(T)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몸체(300)에 고정시키며, 상기 삽입홀(321)에 삽입되는 튜브고정부(322)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몸체(300)는 상기 구획벽(32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유입홀(310)을 형성시키기 위한 내측벽(312)의 내부로 형성되는 홈부(360); 및
    상기 유입홀(310)에 삽입되는 튜브(T)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상기 몸체(300)에 고정시키며, 상기 홈부(360)에 삽입되는 튜브고정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310)의 내측으로 상기 튜브(T)가 삽입될 때, 상기 튜브의 바닥면(BS)과 상기 유입홀(310)의 바닥면(311)은 소정거리(t) 이격되도록 상기 유입홀(310)의 깊이(D)는 상기 유입홀(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튜브(T)의 길이(L)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자석(100) 각각을 강제 삽입 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도자석고정홀(210)의 단부(211)는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에는 상기 유도자석고정홀(210)이 형성된 면의 가장자리측에는 상기 몸체(300)와 결합시키기 위한 제1결합자석(230)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1결합자석고정홀(22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300)에 상기 제1결합자석(230)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결합자석고정홀(220)과 대응되는 부분에 제2결합자석(340)을 안착시키기 위한 제2결합자석고정홀(3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자석(100)의 일측은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의 유도자석고정홀(2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300)의 하부측에는 돌출 형성된 상기 유도자석(100)이 상기 구획벽(320)과 인접한 또 다른 구획벽(32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유입홀(310)의 단면적은 상부측보다 하부측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0)와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사이에는,
    상기 몸체(300)가 상기 유도자석(100)이 고정된 상기 유도자석고정부(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300)의 외주면을 압박시키기 위한 압박부(410); 및 상기 압박부(410)를 내측부에 수용시켜 고정하기 위한 수용부(420);를 포함하는 몸체위치고정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성입자 분리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의 자성입자 분리장치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에 있어서,
    자성 입자를 이용한 핵산의 분리를 위하여 유전자 물질에 자성입자를 섞은 후 튜브(T)에 주입하는 주입단계(S100);
    상기 몸체(300) 측에 상기 튜브(T)를 고정시키는 튜브고정단계(S200);
    유도자석(100)이 고정된 유도자석고정부(200)를 몸체(300)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유도자석고정부결합단계(S300);
    상기 유도자석(100)에 의하여 형성된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유전자 물질과 결합된 자성입자가 상기 유도자석(100)측으로 유인되는 자성입자유인단계(S400);
    상기 유인된 유전자 물질과 결합된 자성입자를 제외한 잔여액체를 상기 튜브(T)로부터 제거하는 잔여액체제거단계(S500); 및
    상기 몸체(300)의 일측에 고정된 유도자석고정부(200)를 제거하여 몸체에 형성된 자기장을 제거하는 자기장제거단계(S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제거단계(S600) 이후에는,
    상기 튜브(T)에 잔류하는 자성입자와 핵산 또는 단백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튜브(T) 내측으로 세척용액 또는 분리용액을 주입하는 세척 및 분리용액주입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
KR1020140174256A 2013-12-09 2014-12-05 자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 KR102371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2613 2013-12-09
KR1020130152613 2013-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048A KR20150067048A (ko) 2015-06-17
KR102371946B1 true KR102371946B1 (ko) 2022-03-08

Family

ID=5337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256A KR102371946B1 (ko) 2013-12-09 2014-12-05 자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41957B2 (ko)
EP (1) EP3081634B1 (ko)
JP (1) JP6360559B2 (ko)
KR (1) KR102371946B1 (ko)
CN (1) CN105916972B (ko)
WO (1) WO2015088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3780B2 (en) 2014-10-15 2017-05-30 Alpaqua Engineering, LLC Solid-core ring-magnet
EP4286516A3 (en) * 2015-02-24 2024-03-06 10X Genomics, Inc. Partition processing methods and systems
CN106754345A (zh) * 2016-12-02 2017-05-31 上海默里科基因科技有限公司 核酸提取装置
RU2697275C1 (ru) * 2018-03-19 2019-08-1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интол" (ООО "Синтол") Магнитный штатив для пробирок для выделения и очистки нуклеиновых кислот и/или макромолекул из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образца
US11242519B2 (en) * 2018-08-23 2022-02-08 Alpaqua Engineering, LLC Discontinuous wall hollow core magnet
KR102192403B1 (ko) * 2019-02-13 2020-12-17 주식회사 이지다이아텍 자동 단백질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 정제 방법
CN110317712A (zh) * 2019-07-17 2019-10-11 英诺维尔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自动化磁体细胞分离分选装置
KR20220075978A (ko) 2020-11-30 2022-06-08 (주)바이오니아 중저 비유전율을 가진 화합물을 포함한 핵산 결합 완충액을 이용한 핵산 분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7592A1 (en) * 2008-07-11 2011-07-21 Faustman Denise L Magnetic apparatus for blood separation
US20130026104A1 (en) * 2011-07-29 2013-01-31 Bassam El-Fahmawi Magnetic separation device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8145U (ko) * 1978-07-24 1980-02-05
CA1220168A (en) * 1983-09-09 1987-04-07 Henry J. Rahn Magnetic separator for solid phase immunoassays
US4679446A (en) * 1985-09-09 1987-07-14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ulti-volume displacement pipette
US4895650A (en) * 1988-02-25 1990-01-23 Gen-Probe Incorporated Magnetic separation rack for diagnostic assays
NO168811C (no) * 1989-05-31 1992-04-08 Dynal As Separasjonsanordning for separering av magnetiserbare partikler
US6884357B2 (en) * 1995-02-21 2005-04-26 Iqbal Waheed Siddiqi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agnetic particles
IL123210A0 (en) * 1998-02-06 1998-09-24 Gombinsky Moshe A device and system for the collection of magnetic particles
US6193892B1 (en) * 1999-03-03 2001-02-27 Promega Corporation Magnetic separation assembly and method
JP4271835B2 (ja) * 2000-08-18 2009-06-03 アークレイ株式会社 ピペット装置
CN2451221Y (zh) * 2000-10-21 2001-10-03 陈康 组合试管架
WO2003090897A1 (en) * 2002-04-26 2003-11-06 Abbott Laboratories Structure and method for handling magnetic particles in biological assays
CN2693770Y (zh) * 2003-05-30 2005-04-20 上海东晟纳米科技发展有限公司 具底座的可组装磁分离架
CN2819220Y (zh) * 2005-07-29 2006-09-20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酶标板专用磁分离器
KR100992462B1 (ko) * 2006-01-11 2010-11-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중력과 자기력의 차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입자 분리 장치및 방법
EP1862219B1 (de) * 2006-05-29 2018-02-07 Qiagen GmbH Vorrichtung zur halterung von pipettenspitzen sowie pipettiervorrichtung
CN2925616Y (zh) * 2006-07-20 2007-07-25 上海奥润微纳新材料科技有限公司 通用型磁性分离架
CN201020402Y (zh) * 2006-12-21 2008-02-13 上海奥润微纳新材料科技有限公司 可卸式实用型磁性分离架
TWI304746B (en) * 2006-12-29 2009-01-01 Ind Tech Res Inst Magnetic separation device
US8355132B2 (en) 2007-04-06 2013-01-15 Qiagen Gaithersburg, Inc. Sample adequacy measurement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sample tubes and using turbidity light scattering techniques
CN201108831Y (zh) * 2007-05-17 2008-09-03 田静言 试验室用试管架
TWI325337B (en) 2007-07-26 2010-06-01 Ind Tech Res Inst Magnetic separation device
TWI316874B (en) * 2007-07-26 2009-11-11 Ind Tech Res Inst Magnetic separation device
KR101053023B1 (ko) 2008-02-14 2011-08-01 (주)바이오니아 구형 실리카 자성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324661Y (zh) * 2008-10-23 2009-10-14 上海奥润微纳新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式分离架
CN201384983Y (zh) * 2009-04-10 2010-01-20 成都思洛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组合式磁性分离架
EP2488303B1 (en) * 2009-10-16 2017-03-15 Promega Corporation Heating, shaking, and magnetizing apparatus
US8512558B2 (en) 2010-02-19 2013-08-20 Roche Molecular Systems, Inc. Magnetic separation system comprising flexible magnetic pins
US9187725B2 (en) * 2010-04-30 2015-11-17 Bioneer Corporation Automatic biological sample purific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magnetic filed applying part, method of extracting target substance from biological sample, and protein expression and purification method
CN102274790B (zh) * 2011-05-09 2013-04-24 广州华峰生物科技有限公司 卡扣式磁性分离架
US20130260667A1 (en) * 2012-03-28 2013-10-03 Joseph Francis Agri, SR. Vent Cover for a Forced Air Vent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7592A1 (en) * 2008-07-11 2011-07-21 Faustman Denise L Magnetic apparatus for blood separation
US20130026104A1 (en) * 2011-07-29 2013-01-31 Bassam El-Fahmawi Magnetic separation device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16972B (zh) 2018-12-21
EP3081634C0 (en) 2023-12-20
KR20150067048A (ko) 2015-06-17
US20160368001A1 (en) 2016-12-22
EP3081634A1 (en) 2016-10-19
EP3081634B1 (en) 2023-12-20
WO2015088201A1 (ko) 2015-06-18
US10441957B2 (en) 2019-10-15
CN105916972A (zh) 2016-08-31
JP2017508599A (ja) 2017-03-30
JP6360559B2 (ja) 2018-07-18
EP3081634A4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1946B1 (ko) 자성입자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핵산 또는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방법
US20170074758A1 (en) Sample pr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alytes
US6193892B1 (en) Magnetic separation assembly and method
US6120985A (en) Pressure-enhance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US20020016450A1 (en) Pressure-enhance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EP2274098B1 (en) Multicapillary sample pr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alytes
WO199905731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solierung von nucleinsäuren
WO2008052138A3 (en) Inline-injection microdevice and microfabricated integrated dna analysis system using same
KR20170061815A (ko) 핵산 또는 다양한 생물학적 물질을 추출 또는 정제하기 위한 키트 및 자동화장치
US200200701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magnetic separation of magnetically attractable particles in a liquid
US20160168562A1 (en) Device having a filter layer and method for extracting nucleic acids from formalin-fixed and paraffin-embedded samples
EP1807207B1 (en) Multiple cartridge and cartridge array frame
ES2279960T3 (es) Procedimiento y automata de extraccion de acidos nucleicos a partir de una mezcla compleja.
KR102011496B1 (ko) 자성입자를 이용한 핵산 정제용 멀티-웰 자성입자 파이펫터
US20020182118A1 (en) Vacuum manifold for both multi-well plate and individual columns
US20150322489A1 (en) Silica-based biological material isolation
CN203737383U (zh) 多功能磁性分离架
JP5324699B2 (ja) 二者択一のゲルストリップの配向のための等電点電気泳動トレイ及び電極の組立体
WO2014014926A2 (en) Magnetic particle separator
KR101905136B1 (ko) 자성입자 분리장치
CN219470021U (zh) 一种96孔磁棒套
CN203960220U (zh) 用于磁珠法的磁针套
CN203878136U (zh) 分离生物样本的磁力系统
CN212159300U (zh) 生物样本提取用装置、用于生物样本提取的基板及生物样本提取机构
CN110895219A (zh) 生物样本提取用装置及用于生物样本提取的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